KR101560750B1 -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 - Google Patents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0750B1
KR101560750B1 KR1020150014967A KR20150014967A KR101560750B1 KR 101560750 B1 KR101560750 B1 KR 101560750B1 KR 1020150014967 A KR1020150014967 A KR 1020150014967A KR 20150014967 A KR20150014967 A KR 20150014967A KR 101560750 B1 KR101560750 B1 KR 101560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shaft
bracket
tilting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4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Priority to KR1020150014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07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0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0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47C7/004Chair or stool bases for chairs or stools with central column, e.g. offic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Abstract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에 관한 것으로, 상면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상부에 제1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브래킷, 상기 바디의 후단에 제2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브래킷 및 복수의 락킹플레이트를 압착하여 발생하는 고정력을 이용해서 상기 회전 브래킷의 회전 동작을 락킹 또는 해제해서 상기 회전브래킷의 회전 동작에 의한 등받이의 틸팅 동작을 락킹 또는 해제하는 틸팅 락킹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간단한 구조의 어셈블리를 이용해서 좌석부와 등받이의 틸팅 기능 및 틸팅 락 기능, 틸팅 동작시 장력 조절 기능 및 좌석부의 높이 조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ASSEMBLY AND CHAIR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체형이나 작업환경에 따라 좌석부의 높이와 장력, 기울기 조절 기능을 갖는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좌판과 다리 및 등받이를 포함한다.
이와 함께, 의자에는 머리를 받쳐주는 머리받침과 팔을 편안하게 지지하는 팔걸이가 마련될 수 있다.
최근에는 사용자의 체형이나 작업환경에 따라 좌판의 전후 방향 위치 및 높이를 조절하거나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의자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하기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는 의자 어셈블리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상,하부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의자 어셈블리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 등판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틸팅수단, 등판의 기울기 정도를 다단으로 제한하는 틸팅제한수단, 원하는 틸팅각도로 고정시키는 틸팅락킹수단, 틸팅수단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탄성조절수단, 케이스 양측에 각각 축설치되는 승강레버 및 락킹레버, 다단 틸팅할 수 있게 케이스 선단부에 설치되는 리미트레버 및 승강레버에 축설치되는 탄성조절레버를 포함하는 의자 어셈블리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하기의 특허문헌 2에는 등판의 자유 틸팅각도를 설정하는 틸팅 제한부, 등판의 틸팅 상태를 고정시키는 다단 락킹부, 등판의 틸팅강도를 조절하는 탄성 조절부, 좌판을 앞으로 기울이는 좌판 탈팅부, 좌판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승강 조절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의자 어셈블리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791454호(2008년 1월 3일 공고)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028731호(2011년 4월 14일 공고)
그러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의자 어셈블리는 등판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등판 틸팅 기능, 좌판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좌판 틸팅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링크와 탄성스프을 이용한 복잡한 구조로 구성된다.
이로 인해, 의자 어셈블리의 제조 작업시 작업성이 저하되고, 제조 작업에 소요되는 인적, 경제적, 시간적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의자 어셈블리는 등받이의 각도 조절시 복수의 정지홈이나 락킹 홈을 형성해서 다단으로 락킹하는 경우, 사용자의 체형이나 작업환경에 따라 등받이의 기울기를 미세하게 조절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좌석부의 높낮이, 등받이의 기울기 및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등받이의 틸팅 동작시 등받이의 기울기를 자유롭게 조절하고, 용이하게 락킹할 수 있는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어셈블리는 상면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상부에 제1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브래킷, 상기 바디의 후단에 제2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브래킷 및 복수의 락킹플레이트를 압착하여 발생하는 고정력을 이용해서 상기 회전 브래킷의 회전 동작을 락킹 또는 해제해서 상기 회전브래킷의 회전 동작에 의한 등받이의 틸팅 동작을 락킹 또는 해제하는 틸팅 락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좌석부와 등받이의 틸팅 동작시 상기 바디와 상부 브래킷에 작용하는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부 및 좌석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다리부에 설치된 실린더의 신축 동작을 락킹 또는 해제하는 높낮이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틸팅 락킹부는 상기 바디의 후단부에 설치되는 설치 브래킷, 상기 설치 브래킷의 양측벽을 가로질러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축, 상기 상부 브래킷의 후단부에 연결되고, 제3 힌지축에 의해 상기 회전 브래킷의 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연결 브래킷의 하면에 설치되는 제2 축, 상기 제1 축과 제2 축에 양단이 설치되는 복수의 락킹플레이트, 상기 복수의 락킹플레이트를 압착하여 고정력을 발생하는 압착유닛 및 상기 압착유닛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압착유닛을 상하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는 락킹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착유닛은 상기 설치 브래킷의 일측벽에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제1 축의 일부가 배치되도록 공간이 마련되는 고정통체, 상기 고정통체를 관통해서 상기 제1 축과 직각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3 축, 상기 제3 축을 중심으로 회전해서 상기 복수의 락킹플레이트를 압착하거나 해제하도록 상기 제1 축을 이동시키는 회전부재 및 상기 제1 축의 외주부에 설치되고 제1 축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축은 상기 락킹바가 하방으로 회전하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압착유닛 측으로 이동해서 상기 복수의 락킹플레이트를 압착하고, 상기 락킹바가 상방으로 회전하면 상기 복수의 락킹플레이트 사이에 유격이 형성되도록 상기 압착유닛의 반대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낮이 조절부는 상기 바디의 양측벽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조절바, 상기 조절바의 선단에 설치되는 조작레버 및 상기 조절바에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의 상단에 설치되는 개폐핀을 가압해서 밀폐 상태를 해제하는 가압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력 조절부는 상기 상부 브래킷과 바디를 관통해서 설치되는 조절볼트, 상기 조절볼트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 브래킷과 바디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조절볼트의 하단에 체결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조절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어셈블리를 구비한 의자는 상기 의자용 어셈블리를 이용해서 좌석부의 높낮이 및 좌석부와 등받이의 기울기를 조절하고, 복수의 락킹플레이트를 압착하여 발생하는 고정력을 이용해서 등받이의 틸팅 동작을 락킹 또는 해제하며, 좌석부와 등받이의 틸팅 동작시 장력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의 어셈블리를 이용해서 좌석부와 등받이의 틸팅 기능 및 틸팅 락 기능, 틸팅 동작시 장력 조절 기능 및 좌석부의 높이 조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틸팅 락킹부에 마련된 복수의 락킹플레이트를 압착하여 고정력을 발생해서 회전 브래킷의 회전 운동을 락킹함으로써, 사용자의 체형이나 작업 환경에 따라 등받이를 틸팅 동작시켜 등받이의 기울기를 미세하게 조절한 후, 락킹바를 회전시켜 등받이를 원하는 각도로 락킹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조절바를 바디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해서 높낮이 조절 기능을 락킹하고, 장력 조절을 통해 틸팅 동작을 락킹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의자용 어셈블리의 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해서 제조 비용을 절감하고, 제조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의자용 어셈블리를 구비한 의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의자용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A'선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도 2에서 브래킷을 제거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B-B'선에 대한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락킹바와 회전부재가 상방으로 회전된 상태를 보인 동작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의자용 어셈블리를 구비한 의자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의자용 어셈블리를 구비한 의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착석하는 좌석부(11), 좌석부의 하부에 마련되고 다수의 바퀴가 부착되는 다리부(12), 좌석부(11)의 후측에 연결되는 등받이(13) 및 좌석부(11)의 하부에 설치되고 좌석부(11)의 높낮이를 조절하고 좌석부(11)와 등받이(13)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틸팅 동작하며 틸팅 동작시 장력을 조절하는 의자용 어셈블리(14)를 포함한다.
여기서, 좌석부(11) 또는 등받이(13)의 양측에는 사용자의 팔을 받치는 팔걸이가 장착되고, 등받이(13)의 상단에는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머리받침이 장착될 수 있다.
다리부(12)의 상부에는 좌석부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 신축 동작하는 실린더(15)가 설치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어셈블리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의자용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A'선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서 브래킷을 제거한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의자용 어셈블리(이하 '어셈블리'라 약칭함)(1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디(20), 바디(20)의 상부에 제1 힌지축(2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브래킷(30), 바디(20)의 후단에 제2 힌지축(2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브래킷(40) 및 복수의 락킹플레이트(54)를 압착하여 발생하는 고정력을 이용해서 회전 브래킷(40)의 회전 동작을 락킹 또는 해제해서 회전브래킷(40)의 회전 동작에 의한 등받이(13)의 틸팅 동작을 락킹 또는 해제하는 틸팅 락킹부(50)를 포함한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어셈블리(14)는 바디(20)의 전측부에 설치되고 좌석부(11)와 등받이(13)의 틸팅 동작시 작용하는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부(60) 및 바디(20)의 후측부에 설치되고 다리부(12)에 설치된 실린더(11)의 신축 동작을 락킹 또는 해제하는 높낮이 조절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디(20)의 후측부에는 실린더(15)의 상단부가 결합 설치되는 설치공(23)이 형성될 수 있다.
바디(20)의 중앙부에는 상부 브래킷(30)의 양측벽과 바디(20)의 양측벽을 가로질러서 제1 힌지축(21)이 설치될 수 있다.
그래서 상부 브래킷(30)이 제1 힌지축(21)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함에 따라, 어셈블리(14)는 좌석부(11)와 등받이(13)를 후측 하방을 향해 회전시켜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부 브래킷(30)은 제1 힌지축(21)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해서 좌석부(11)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상부 브래킷(30)은 대략 하면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 브래킷(30)의 각 모퉁이 부분에는 장착볼트를 이용해서 좌석부(11)에 장착되도록 체결공(31)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 브래킷(40)은 제2 힌지축(22)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해서 후단부에 연결되는 등받이(13)를 틸팅 동작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회전 브래킷(40)은 대략 상면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회전 브래킷(40)의 전측부 하면은 틸팅 락킹부(50)가 설치되도록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회전 브래킷(40)의 전단부에는 상부 브래킷(30)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연결 브래킷(41)이 제3 힌지축(4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연결 브래킷(41)은 전면에서 보았을 때 단면이 대략 '┏┓' 형상으로 형성되고, 연결 브래킷(41)의 양측벽은 제3 힌지축(42)에 의해 회전 브래킷(40)과 결합되며, 연결 브래킷(41)의 상면은 상부 브래킷(20)의 후단부에 용접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등받이(13)를 후측으로 가압하면, 등받이(13)에 연결된 회전 브래킷(40)과 연결 브래킷(41) 및 상부 브래킷(30)이 함께 후측 하방으로 회전하여 등받이(13) 및 좌석부(11)의 기울기가 변화한다.
회전 브래킷(40)의 후단부에는 등받이(13)의 프레임이 장착볼트에 의해 장착되도록 복수의 장착공(43)이 형성될 수 있다.
바디(20)와 상부 브래킷(30), 회전 브래킷(40) 및 연결 브래킷(41)은 각각 강성을 갖도록 철과 같은 금속 재질의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다음,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틸팅 락킹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B-B'선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락킹바와 회전부재가 상방으로 회전된 상태를 보인 동작 상태도이다.
틸팅 락킹부(50)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20)의 후단부에 설치되는 설치 브래킷(51), 설치 브래킷(51)의 양측벽을 가로질러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축(52)과 연결 브래킷(41)의 하면에 설치되는 제2 축(53)에 양단이 설치되는 복수의 락킹플레이트(54), 복수의 락킹플레이트(54)를 압착하여 고정력을 발생하는 압착유닛(55) 및 압착유닛(55)의 일측에 연결되고 압착유닛(55)을 상하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는 락킹바(5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축(52)의 일측, 도 5에서 보았을 때 우측단에는 머리부가 마련되고, 제1 축(52)의 좌측단에는 고정블록(521)이 설치된 상태에서 고정너트가 체결될 수 있다.
각 락킹플레이트(54)의 하단부에는 제1 축(52)이 관통 결합되는 장공 형상의 결합공(541)이 형성되고, 각 락킹플레이트(54)의 상단부에는 제2 축(53)이 관통 결합되는 관통공(542)이 형성될 수 있다.
각 락킹플레이트(542) 사이에는 각 락킹플레이트(54)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도록 스페이서(543)가 설치되고, 전체 락킹플레이트(542)의 양측에는 각각 제1 축(52)에 이동 가능하게 한 쌍의 원형플레이트(544)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각 락킹플레이트(542)와 스페이서(543) 사이에는 약간의 유격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락킹플레이트(542) 사이에 유격이 형성됨에 따라, 회전 브래킷(40)은 제2 힌지축(2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반면, 각 락킹플레이트(542)는 제1 축(52)이 압착유닛(55) 측으로 이동하면, 서로 압착되면서 회전 브래킷(40)의 회전운동을 락킹하도록 고정력을 발생한다.
압착유닛(55)은 설치 브래킷(51)의 일측벽에 설치되고 내부에 제1 축(52)의 일부가 배치되도록 공간이 마련되는 고정통체(551), 고정통체(551)를 관통해서 제1 축(52)과 직각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3 축(552), 제3축(552)에 결합되어 제3 축(552)을 중심으로 회전해서 각 락킹플레이트(542)를 압착하거나 해제하도록 제1 축(52)을 이동시키는 회전부재(553) 및 제1 축(52)의 외주부에 설치되고 제1 축(52)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스프링(554)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통체(551)는 회전 브래킷(40)을 중심으로 외측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고정통체(551)의 내부에는 고정통체(551)의 내측단과 회전부재(553)에 각각 양단이 지지되도록 복원스프링(554)이 설치될 수 있다.
회전부재(553)는 락킹바(56)의 회전에 따라 제1 축(52)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캠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복원스프링(554)과 접촉되는 회전부재(553)의 선단면 중앙에는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555)가 형성되고, 회전부재(553)에는 양측벽을 가로질러 제4 축(556)이 설치되며, 제4 축(556)에는 회전부재(553)가 제1 축(52)의 머리부와 접촉된 상태에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베어링(557)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부재(553)의 선단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555)의 하부에 우측 상방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경사면(558)과 돌출부(555)의 상부에 우측 하방을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경사면(559)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경사면(558)과 제3 축(552)의 중심 사이의 간격(d)은 제2 경사면(559)과 제3 축(552)의 중심 사이의 거리(D)보다 짧게 마련될 수 있다(d<D).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바(56)와 회전부재(553)가 하방으로 회전해서 제1 경사면(558)에 제1 축(52)의 머리부가 접촉되면, 제1 축(52)이 압착유닛(55)을 향해 우측으로 이동된다.
이로 인해, 각 락킹플레이트(54)는 제1 축(52)의 좌측단에 설치된 고정블록(521)과 고정통체(551) 사이의 거리(l)가 짧아짐에 따라, 서로 압착되면서 회전 브래킷(40)의 회전 동작을 락킹한다.
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바(56)와 회전부재(553)가 상방으로 회전해서 제2 경사면(559)에 제1 축(52)의 머리부가 접촉되면, 제1 축(52)이 압착유닛(55)이 설치된 방향과 반대측으로 이동된다.
이로 인해, 제1 축(52)의 좌측단에 설치된 고정블록(521)과 고정통체(551) 사이의 거리(L)가 멀어짐에 따라(L>l), 각 락킹플레이트(54)와 스페이서(543) 사이에 유격이 형성되면서 회전 브래킷(40)의 회전 동작 락킹을 해제한다.
락킹바(56)의 끝단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락킹 레버(57)가 마련되고, 락킹바(56)의 외부에는 보호캡(58)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틸팅 락킹부에 마련된 복수의 락킹플레이트를 압착하여 고정력을 발생해서 등받이의 틸팅 동작을 락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사용자의 체형이나 작업 환경에 따라 등받이의 기울기를 미세하게 조절한 후, 락킹바를 회전시켜 등받이를 원하는 각도로 락킹할 수 있다.
장력 조절부(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석부(11)와 등받이(13)의 틸팅 동작시 브래킷(30)과 바디(20)에 제공되는 탄성력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장력 조절부(60)는 상부 브래킷(30)과 바디(20)를 관통해서 설치되는 조절볼트(61), 조절볼트(61)의 외측에 설치되고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62) 및 조절볼트(61)의 하단에 체결되고 회전에 의해 탄성부재(62)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조절캡(6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장력 조절부(60)는 바디(20)와 조절캡(63) 사이에 설치되고 내부에 설치된 탄성부재(62)의 외면을 차폐하는 차폐캡(6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차폐캡(64)은 대략 하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설치된 탄성부재에 먼지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조절캡(63)은 내부에 탄성부재(62)가 설치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대략 상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조절캡(63)의 하면에는 조절볼트(61)에 체결되는 인서트 너트(65)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절캡(63)이 일측 방향 회전하면, 조절볼트(61)의 외측에 설치된 탄성부재(62)가 길이가 줄어들도록 탄성 변형됨에 따라, 탄성부재(62)로부터 상부 브래킷(30)과 바디(20)에 제공되는 탄성력이 커진다.
이로 인해, 좌석부(11)와 등받이(13)의 틸팅 동작 시 작용하는 장력이 커짐에 따라, 사용자는 조절캡(63)을 회전시키기 이전보다 큰 힘을 가해야만 좌석부(11)와 등받이(13)를 틸팅 동작시킬 수 있다.
반면, 조절캡(63)이 반대측 방향으로 회전하면, 탄성부재(62)가 길이가 늘어나면서 탄성부재(62)로부터 브래킷(30)과 바디(20)에 제공되는 탄성력이 작아진다.
이로 인해, 좌석부(11)와 등받이(13)의 틸팅 동작시 작용하는 장력이 작아짐에 따라, 사용자는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좌석부(11)와 등받이(13)를 틸팅 동작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장력 조절부를 이용해서 바디와 브래킷에 작용하는 장력을 조절함으로써, 좌석부와 등받이의 틸팅 동작에 필요한 힘을 조절할 수 있고, 틸팅 동작을 제한할 수 있다.
높낮이 조절부(7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20)의 후측부에 양측벽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조절바(71), 조절바(71)의 외측단에 설치되는 조작레버(72) 및 조절바의 내측단에 설치되고 실린더(15)의 상단부에 마련된 개폐핀(16)를 가압하는 가압플레이트(7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플레이트(73)는 조절바(71)의 회전동작에 의해 개폐핀(16)을 가압해서 실린더(15)의 밀폐 상태를 해제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조절바(71)는 바디(20)의 양측벽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바(71)의 가압플레이트(73)는 높낮이 조절 동작시에는 실린더(15)의 개폐핀(16) 상부에 배치된다.
반면, 높낮이 조절 동작을 미수행하는 경우, 조절바(71)의 가압플레이트(73)는 우측으로 이동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조절바의 가압플레이트를 이용해서 실린더의 밀폐 상태를 해제하여 좌석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고, 높낮이 조절이 필요없는 경우에는 조절바를 일측으로 이동시켜 높낮이 조절 기능을 락킹할 수 있다.
한편, 가압플레이트(73)는 조절바(71)가 바디(2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도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조절바(71)에는 가압플레이트(73)와 바디(20)의 좌측벽 사이에 탄성스프링(도면 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스프링은 조절바(71)를 바디(20)의 우측으로 이동시키도록 가압플레이트(73)에 탄성력을 제공해서 높낮이 조절 기능을 락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사용자가 조작레버를 잡고 조절바를 좌측으로 이동시킨 후 조절바를 회전시키면, 실린더의 밀폐 상태를 해제해서 높낮이를 조절하고, 조작레버에 가하는 힘을 제거되면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조절바가 우측으로 이동 배치되면서 높낮이 조절 기능을 락킹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 의자의 작동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틸팅 락킹부(50)의 락킹바(56)를 상방으로 회전시켜 회전 브래킷(40)의 회전 동작 락킹 상태를 해제한 후, 사용자의 체형이나 작업 조건에 따라 등받이(13)를 회전시켜 기울기를 자유롭게 조절한다.
등받이(13)의 기울기 조절이 완료되면, 다시 락킹바(56)를 하방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락킹바(56)에 연결된 압착유닛(55)의 회전부재(553)가 회전하면서 제1 축(52)이 압착유닛(55) 측으로 이동 배치되면서 복수의 락킹플레이트(54)를 압착하여 회전 브래킷(40)의 회전 동작을 락킹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의 락킹플레이트를 서로 압착하거나 해제해서 회전 브래킷의 회전 운동을 락킹 또는 해제함으로써, 등받이의 틸팅 기능과 틸팅 락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장력 조절부(60)의 조절캡(63)을 일측 또는 반대측으로 회전시켜 탄성부재(62)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좌석부(11)와 등받이(13)의 틸팅 동작시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조절바(71)는 평상시에는 탄성스프링(75)의 탄성력에 의해 바디에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되어 높낮이 조절 기능을 락킹함으로써, 실린더(15)의 폐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좌석부(11)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경우, 사용자는 조절바(71)를 바디에서 분리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가압부(73)를 실린더(15)의 개폐핀(16) 상단에 배치하고, 조절레버(72)를 일측, 예컨대 상방으로 회전시켜 개폐핀(16)을 가압함으로써, 실린더(15)의 폐쇄 상태를 해제한다.
이어서, 사용자는 좌석부(11)에 힘을 가해서 실린더(15)의 길이를 적절하게 조절해서 좌석부(11)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의 어셈블리를 이용해서 좌석부와 등받이의 틸팅 기능 및 틸팅 락 기능, 틸팅 동작시 장력 조절 기능 및 좌석부의 높이 조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의 어셈블리를 이용해서 좌석부와 등받이의 기울기 조절 기능 및 틸팅 락킹 기능, 틸팅 동작시 장력 조절 기능 및 좌석부의 높이 조절 기능을 제공하는 의자에 적용된다.
10: 의자 11: 좌석부
12: 다리부 13: 등받이
14: 어셈블리 15: 실린더
16: 개폐핀 20: 바디
21,22: 제1,제2 힌지축 23: 설치공
30: 상부 브래킷 31: 체결공
40: 회전 브래킷 41: 연결 브래킷
42: 제3 힌지축 43: 장착공
50: 틸팅 락킹부 51: 설치 브래킷
52,53: 제1,제2 축 521: 고정블록
54: 락킹플레이트 541: 결합공
542: 관통공 543: 스페이서
544: 원형플레이트 55: 압착유닛
551: 고정통체 552: 제3 축
553: 회전부재 554: 복원스프링
555: 돌출부 556: 제4 축
557: 베어링 558,559: 제1,제2 경사면
56: 락킹바 57: 락킹 레버
58: 보호캡 60: 장력 조절부
61: 조절볼트 62: 탄성부재
63: 조절캡 64: 차폐캡
65: 인서트 너트 70: 높낮이 조절부
71: 조절바 72: 조작레버
73: 가압부

Claims (8)

  1. 상면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상부에 제1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브래킷,
    상기 바디의 후단에 제2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브래킷,
    복수의 락킹플레이트를 압착하여 발생하는 고정력을 이용해서 상기 회전 브래킷의 회전 동작을 락킹 또는 해제해서 상기 회전브래킷의 회전 동작에 의한 등받이의 틸팅 동작을 락킹 또는 해제하는 틸팅 락킹부,
    좌석부와 등받이의 틸팅 동작시 상기 바디와 상부 브래킷에 작용하는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부 및
    좌석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다리부에 설치된 실린더의 신축 동작을 락킹 또는 해제하는 높낮이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틸팅 락킹부는 상기 바디의 후단부에 설치되는 설치 브래킷,
    상기 설치 브래킷의 양측벽을 가로질러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축,
    상기 상부 브래킷의 후단부에 연결되고, 제3 힌지축에 의해 상기 회전 브래킷의 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연결 브래킷의 하면에 설치되는 제2 축,
    상기 제1 축과 제2 축에 양단이 설치되는 복수의 락킹플레이트,
    상기 복수의 락킹플레이트를 압착하여 고정력을 발생하는 압착유닛 및
    상기 압착유닛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압착유닛을 상하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는 락킹바를 포함하며,
    상기 압착유닛은 상기 설치 브래킷의 일측벽에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제1 축의 일부가 배치되도록 공간이 마련되는 고정통체,
    상기 고정통체를 관통해서 상기 제1 축과 직각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3 축,
    상기 제3 축을 중심으로 회전해서 상기 복수의 락킹플레이트를 압착하거나 해제하도록 상기 제1 축을 이동시키는 회전부재 및
    상기 제1 축의 외주부에 설치되고 제1 축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축은 상기 락킹바가 하방으로 회전하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압착유닛 측으로 이동해서 상기 복수의 락킹플레이트를 압착하고,
    상기 락킹바가 상방으로 회전하면 상기 복수의 락킹플레이트 사이에 유격이 형성되도록 상기 압착유닛의 반대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조절부는 상기 바디의 양측벽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조절바,
    상기 조절바의 선단에 설치되는 조작레버 및
    상기 조절바에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의 상단에 설치되는 개폐핀을 가압해서 밀폐 상태를 해제하는 가압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어셈블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조절부는
    상기 상부 브래킷과 바디를 관통해서 설치되는 조절볼트,
    상기 조절볼트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 브래킷과 바디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조절볼트의 하단에 체결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조절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어셈블리.
  8. 제1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으로 이루어진 의자용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의자용 어셈블리를 이용해서 좌석부의 높낮이 및 좌석부와 등받이의 기울기를 조절하고, 복수의 락킹플레이트를 압착하여 발생하는 고정력을 이용해서 등받이의 틸팅 동작을 락킹 또는 해제하며, 좌석부와 등받이의 틸팅 동작시 장력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어셈블리를 구비한 의자.
KR1020150014967A 2015-01-30 2015-01-30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 KR101560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4967A KR101560750B1 (ko) 2015-01-30 2015-01-30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4967A KR101560750B1 (ko) 2015-01-30 2015-01-30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0750B1 true KR101560750B1 (ko) 2015-10-14

Family

ID=54357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4967A KR101560750B1 (ko) 2015-01-30 2015-01-30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075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17654A (zh) * 2019-01-09 2019-05-07 深圳市悠睿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节倾斜角度的座椅调整装置
KR102014886B1 (ko) * 2018-07-04 2019-10-21 주식회사 바우인터내셔널 허리 스트레칭을 위한 좌판 회전의자
KR102341831B1 (ko) 2021-09-08 2021-12-22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의자용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의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0654Y1 (ko) * 2001-07-16 2001-11-17 주식회사 다원스폰지 의자의 각도조절용 록킹장치
KR200292591Y1 (ko) * 2002-07-29 2002-10-28 이세환 의자의 등받이와 좌판의 연동 및 록킹구조
KR100679152B1 (ko) * 2006-06-13 2007-02-06 주식회사 대하정공 의자 좌판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0654Y1 (ko) * 2001-07-16 2001-11-17 주식회사 다원스폰지 의자의 각도조절용 록킹장치
KR200292591Y1 (ko) * 2002-07-29 2002-10-28 이세환 의자의 등받이와 좌판의 연동 및 록킹구조
KR100679152B1 (ko) * 2006-06-13 2007-02-06 주식회사 대하정공 의자 좌판 어셈블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4886B1 (ko) * 2018-07-04 2019-10-21 주식회사 바우인터내셔널 허리 스트레칭을 위한 좌판 회전의자
CN109717654A (zh) * 2019-01-09 2019-05-07 深圳市悠睿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节倾斜角度的座椅调整装置
KR102341831B1 (ko) 2021-09-08 2021-12-22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의자용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0750B1 (ko)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
JPH06261818A (ja) 椅子の背凭れの傾動緩衝装置
CA2040528A1 (en) Chair back and seat adjustment
KR101588702B1 (ko) 수평이동식 의자등받이
KR101075872B1 (ko)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 장치
JP6398447B2 (ja) 指挟み防止用のカバー、ロッキング機構、椅子
KR101327884B1 (ko) 골반 보호용 의자의 힌지부 체결구조
KR101902770B1 (ko)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
US11096495B2 (en) Chair
KR101759479B1 (ko) 의자용 등받이
JP5438045B2 (ja) 座の前後位置調整装置
US3441311A (en) Chair control
KR200490892Y1 (ko) 체압 연동형 의자 등받이 경사 조절기구
US9782008B2 (en) Chair back height adjustment mechanism and chair
KR101803447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101589156B1 (ko) 의자의 좌판 각도조절장치
KR101889815B1 (ko) 다기능 의자
JP2014079492A (ja) 椅子
JP7260949B2 (ja) 椅子
JP7119157B2 (ja) 椅子
JP6788543B2 (ja) 背凭れ
KR101846654B1 (ko) 침대 각도 조절 장치
JP2018047777A (ja)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6858624B2 (ja) オプション部材の取付構造、オプション部材、及び什器
KR102640132B1 (ko) 등받이의 틸팅장치 및 그가 적용된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