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9815B1 - 다기능 의자 - Google Patents

다기능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9815B1
KR101889815B1 KR1020160030177A KR20160030177A KR101889815B1 KR 101889815 B1 KR101889815 B1 KR 101889815B1 KR 1020160030177 A KR1020160030177 A KR 1020160030177A KR 20160030177 A KR20160030177 A KR 20160030177A KR 101889815 B1 KR101889815 B1 KR 101889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rotation
cylinder
plate
rotata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0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6730A (ko
Inventor
유영덕
Original Assignee
신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민호 filed Critical 신민호
Priority to KR1020160030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9815B1/ko
Publication of KR20170106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6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9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9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vertically-acting fluid cylind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47C7/004Chair or stool bases for chairs or stools with central column, e.g. offic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다기능 의자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다기능 의자는: 사용자의 착좌를 지지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받침부와, 받침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로드의 길이가 상하로 가변되어 받침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실린더부와, 일측은 실린더부와 마주하는 하우징부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측은 하우징부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회전레버와, 받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사용자에 조작에 의해 위치가 가변되는 상하조절레버 및 회전레버와 상하조절레버를 연결하며 상하조절레버의 회전에 의해 회전레버를 회전시켜 실린더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기능 의자{MULTIFUNCTIONAL CHAIR}
본 발명은 다기능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의자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다기능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지지프레임과, 등을 지지시키기 위한 등받이가 고정프레임에 각각 고정된다. 지지프레임의 하부에는 실린더가 구비되며, 실리더에 결합되는 지지대와, 지지대 하측 단부에 연결되는 프레임에 복수의 바퀴가 연결되어 의자의 이동을 간편하게 한다.
종래에는 의자의 높낮이를 조절할 경우, 의자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레버가 의자의 하부에 설치되므로 사용자가 의자에서 내려와서 의자의 높낮이를 조절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002133호(2016.01.07 공개, 발명의 명칭: 무게중심 조절형 의자)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의자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다기능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의자는: 사용자의 착좌를 지지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받침부와, 받침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로드의 길이가 상하로 가변되어 받침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실린더부와, 일측은 실린더부와 마주하는 하우징부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측은 하우징부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회전레버와, 받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사용자에 조작에 의해 위치가 가변되는 상하조절레버 및 회전레버와 상하조절레버를 연결하며 상하조절레버의 회전에 의해 회전레버를 회전시켜 실린더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받침부는, 실린더부가 삽입되는 홈부를 구비하며 회전레버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우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우징부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레버에 연결되며,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실린더부와 접하거나 이격되는 회전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하조절레버는, 받침부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동력전달부에 연결되는 레버몸체 및 레버몸체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팔걸이부재의 외측에 위치하는 레버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동력전달부는, 상하조절레버에 연결되어 상하조절레버와 함께 회전되는 결합플레이트와, 일측은 결합플레이트에 연결되며 타측은 회전레버에 연결되는 연결와이어 및 연결와이어에 연결되어 연결와이어의 이동방향을 전환시키는 방향전환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방향전환부는, 받침부의 하부에 고정되는 롤러브라켓 및 롤러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연결와이어가 회전 가능하게 걸쳐지는 회전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의자는, 사용자가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상하조절레버를 조작하여 동력전달부를 통해 회전레버를 동작시키므로, 의자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의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의자에 경사조절레버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의자에 상하조절레버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조절레버가 동작되기 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조절레버가 동작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조절레버와 동력전달부와 회전레버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부가 하우징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부가 하우징부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조절레버가 회전이동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이동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이동부가 잠금제어부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조절레버가 회전되어 디스크부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의자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의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의자에 경사조절레버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의자에 상하조절레버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조절레버가 동작되기 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조절레버가 동작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조절레버와 동력전달부와 회전레버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부가 하우징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부가 하우징부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조절레버가 회전이동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이동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이동부가 잠금제어부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조절레버가 회전되어 디스크부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의자(1)는, 프레임부(10)와 경사조절레버(20)와 회전이동부(30)와 상하조절레버(40)와 고정브라켓(50)과 동력전달부(60)와 스토퍼부재(70)와 방향전환부(80)와 회전레버(90)와 실린더부(110)와 잠금제어부(120)와 디스크부(13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기능 의자(1)의 몸체를 형성하는 프레임부(10)는, 받침부(12)와 등받이(14)와 팔걸이부재(16)와 다리부재(18)와 바퀴(19)를 포함한다.
받침부(12)는 사용자의 착좌를 지지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12)의 하측에는 하우징부(100)가 구비된다. 하우징부(100)는 실린더부(110)가 삽입되는 홈부를 구비하며 회전레버(9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100)는 회전레버(90)와 연결된 회전판(95)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몸체(104)와, 하우징몸체(104)의 하측으로 구멍을 형성하는 장착홀부(102)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10)의 일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등받이(14)는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며, 필요에 따라 설치각도가 조절된다. 프레임부(10)의 양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팔걸이부재(16)는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므로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받침부(12)의 하측에 구비된 다리부재(18)는 실린던부에 연결된다. 실린더부(110)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설치된 다리부재(18)에 바퀴(19)가 설치되므로 다기능 의자(1)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조절레버(20)는 받침부(12)의 측방향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위치가 가변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조절레버(20)는 받침부(12)에 연결된 팔걸이부재(16)의 외측에 위치하며, 회전이동부(30)는 받침부(12)의 하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등받이(14)의 경사각도 조절을 위해 사용자가 의자에서 내려서 관련된 레버를 조작하지 않아도 되므로 다기능 의자(1)의 편의성이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이동부(30)는 경사조절레버(2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경사조절레버(20)의 회전에 연동하여 길이가 가변되어 잠금제어부(120)를 동작시키므로 등받이(14)의 이동을 구속하는 디스크부(130)의 잠금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이동부(30)는, 중심몸체부(32)와 걸림턱(34)과 스프링(35)과 제2경사부재(36)와 제1경사부재(37)와 헤드부(38)를 포함한다.
중심몸체부(32)는 경사조절레버(20)에 연결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중심몸체부(32)는 원형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심몸체부(32)의 외측에는 원형 띠 형상의 걸림턱(34)이 추가 설치되어 스프링(35)의 이동을 구속한다.
잠금제어부(120)를 향한 중심몸체부(32)의 일단에 제1경사부재(37)가 고정된다. 제1경사부재(37)는 중심몸체부(32)의 외측에 위치하며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1경사부재(37)의 측면에는 사선 형상의 경사면이 구비된다.
제2경사부재(36)는 제1경사부재(37)와 마주하며 중심몸체부(32)의 외측에 위치하며, 제1경사부재(37)에 대응되는 경사면을 측면에 구비한다. 제2경사부재(36)는 스프링(35)과 제1경사부재(37)의 사이에 설치되며, 제1경사부재(37)와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경사부재(36)는 회전이 구속된 상태로 설치되므로, 제1경사부재(37)가 중심몸체부(32)와 함께 회전되면서 제1경사부재(37)와 제2경사부재(36)의 경사면이 서로 접하면서 벌어지므로 제1경사부재(37)가 중심몸체부(32)와 함께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탄성을 구비하는 스프링(35)은 제2경사부재(36)와 중심몸체부(32)의 걸림턱(34) 사이에 설치된다. 경사조절레버(20)를 이동시키는 외력이 제거되면, 스프링(35)은 탄성에 의한 복원력을 형성하여 중심몸체부(32)에 구비된 걸림턱(34)을 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스프링(35)의 일단은 걸림턱(34)의 홈부에 삽입되며, 스프링(35)의 타단은 제2경사부재(36)의 홈부에 삽입된다.
헤드부(38)는 제1경사부재(37)와 제2경사부재(36)와 스프링(35)을 감싸며 잠금제어부(120)에 고정되며, 제2경사부재(36)와 체결요소로 고정되어 제2경사부재(36)의 이동을 구속한다. 헤드부(38)는 다단 형상으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부재이며, 헤드부(38)의 일단은 잠금제어부(120)의 고정파이프(124)에 고정된다. 또한 헤드부(38)의 몸체를 관통하는 체결요소는 제2경사부재(36)에 고정되므로, 제2경사부재(36)는 헤드부(38)와 함께 이동이 구속된다.
잠금제어부(120)는 회전이동부(30)에 연이어 설치되며, 회전이동부(30)의 길이 가변에 의해 디스크부(130)의 잠금을 제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제어부(120)는, 연결축부재(121)와 탄성부재(122)와 지지프레임(123)과 고정파이프(124)와 내측파이프(125)와 고정돌기부재(126)를 포함한다.
연결축부재(121)는 볼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연결축부재(121)의 머리는 회전이동부(30)의 제1경사부재(37)와 마주한다. 따라서 제1경사부재(37)가 연결축부재(121)를 향한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연결축부재(121)는 탄성부재(122)를 압축시키며 제1경사부재(37)와 함께 수평방향으로 이동된다. 연결축부재(121)는 제1경사부재(37)에 밀려서 디스크부(130)의 잠금을 해제한다.
지지프레임(123)은 받침부(12)에 구비된 하우징부(100)에서 연장되며, 연결축부재(121)가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지지프레임(123)에서 회전이동부(30)와 마주하는 측면에는 고정파이프(124)가 설치된다. 고정파이프(124)에 회전이동부(30)의 헤드부(38)가 고정된다.
지지프레임(123)은 서로 마주하는 형상으로 격벽이 이격되며, 연결축부재(121)가 지지프레임(123)의 일측을 통과해 타측을 향해 설치된다. 연결축부재(121)는 디스크부(130)의 판부재(132)에 형성된 장공홀부(134)와 판부재(132)와 판부재(132) 사이에 위치하는 간격유지부재(136)를 관통하며 설치된다. 또한 디스크부(130)와 지지프레임(123)의 사이에는 내측파이프(125)가 설치된다.
고정돌기부재(126)는 내측파이프(125)가 설치된 연결축부재(121)의 단부에 결합되며, 지지프레임(123)의 외측에 걸린다.
탄성부재(122)의 일측은 지지프레임(123)에 지지되며 타측은 연결축부재(121)의 머리에 지지되므로 연결축부재(121)를 회전이동부(30)를 향한 방향으로 탄성 가압한다.
다판 형상의 디스크부(130)는 받침부(12)의 상측으로 연장된 등받이(14)의 이동을 제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부(130)는, 판부재(132)와 간격유지부재(136)를 포함한다.
판부재(132)의 일측은 등받이(14)에 연결된 힌지축부재(139)에 연결되며, 판부재(132)의 타측은 잠금제어부(120)에 구비된 연결축부재(121)에 연결된다. 판부재(132)는 복수로 이루어지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판 형상이다. 판부재(132)의 일측에는 연결홀부(135)가 구비되며 판부재(132)의 타측에는 장공홀부(134)가 구비된다. 등받이(14)의 경사각도를 조절할 경우, 판부재(132)를 관통하는 연결축부재(121)를 기준으로 판부재(132)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연결축부재(121)가 관통하는 판부재(132)의 장공홀부(134)는 장공 형상으로 형성된다. 판부재(132)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복수로 배열되며, 판부재(132)와 이웃한 판부재(132)의 사이에는 간격유지부재(136)가 설치된다.
간격유지부재(136)는 판부재(132)의 사이에 설치되어 판부재(132)의 간격을 유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유지부재(136)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조절레버(40)는 받침부(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사용자에 조작에 의해 위치가 가변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조절레버(40)는 레버손잡이(42)와 레버몸체(44)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조절레버(40)는 받침부(12)에 연결된 팔걸이부재(16)의 외측에 위치하며, 경사조절레버(20)와는 반대되는 방향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다기능 의자(1)의 오른팔 팔걸이부재(16)의 외측에 상하조절레버(40)가 설치된 경우, 왼팔 팔걸이부재(16)의 외측에 경사조절레버(20)가 설치된다.
따라서 받침부(12)의 상호 높이조절을 위해 사용자가 의자에서 내려서 관련된 레버를 조작하지 않고 앉은 자리에서 레버를 조작할 수 있으므로 다기능 의자(1)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레버몸체(44)는 받침부(12)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5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동력전달부(60)에 연결된다. 레버손잡이(42)는 레버몸체(44)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팔걸이부재(16)의 외측에 위치하므로, 사용자의 손에 의해 파지되어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동력전달부(60)의 결합플레이트(62)와 연결되는 레버몸체(44)에는 다각형 단면 형상의 걸림몸체(46)가 구비된다. 걸림몸체(46)의 양측에 결합플레이트(62)가 결합되므로 걸림몸체(46)와 결합플레이트(62)가 함께 회전된다.
고정브라켓(50)은 받침부(12)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하조절레버(40)의 레버몸체(44)가 고정브라켓(50)을 관통하여 설치되므로 고정브라켓(50)을 중심으로 상하조절레버(40)가 회전된다.
동력전달부(60)는 회전레버(90)와 상하조절레버(40)를 연결하며, 상하조절레버(40)의 회전에 의해 회전레버(90)를 회전시켜 실린더부(11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동력전달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60)는 결합플레이트(62)와 체결볼트(67)와 방향전환부(80)와 연결와이어(75)를 포함한다.
결합플레이트(62)는 상하조절레버(40)에 연결되어 상하조절레버(40)와 함께 회전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플레이트(62)는 상하조절레버(40)에 구비된 걸림몸체(46)의 양측에 위치하며, 걸림몸체(46)에 대응하는 걸림홈부(66)를 구비한다. 따라서 걸림몸체(46)를 중심으로 2개의 플레이트몸체(64)가 서로 마주한 상태에서 체결볼트(67)로 고정된다. 결합플레이트(62)는 몸체를 형성하는 플레이트몸체(64)와 플레이트몸체(64)의 측면에 구비된 걸림홈부(66)를 포함한다.
고정브라켓(50)을 관통한 상하조절레버(40)의 레버몸체(44)는 파이프 형상의 스페이서(77)와 결합플레이트(62)를 차례로 통과하며 설치된다. 결합플레이트(62)의 양측에는 원통형의 스페이서(77)가 위치하므로 결합플레이트(62)가 고정브라켓(50)에 간섭됨을 방지한다.
연결와이어(75)의 일측은 결합플레이트(62)에 연결되며 타측은 회전레버(90)에 연결된다. 방향전환부(80)는 연결와이어(75)에 연결되어 연결와이어(75)의 이동방향을 전환시킨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전환부(80)는 롤러브라켓(82)과 회전롤러(84)를 포함한다.
방향전환부(80)는, 받침부(12)의 하부에 고정되는 롤러브라켓(82) 및 롤러브라켓(8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연결와이어(75)가 회전 가능하게 걸쳐지는 회전롤러(84)를 포함한다. 연결와이어(75)는 회전롤러(84)에 걸쳐지며 양단이 하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결합플레이트(62)와 회전레버(90)에 각각 연결된다. 따라서 상하조절레버(40)를 회전시키는 동작에 연동하여 회전레버(90)가 상승하는 동작이 이루어진다.
결합플레이트(62)가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전됨을 구속하기 위해 스토퍼부재(70)가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부재(70)는 와이어 형상으로 형성되며, 결합플레이트(62)의 일측과 받침부(12)의 하부를 연결한다. 스토퍼부재(70)의 단부는 고정볼트(72)의 체결로 받침부(12)의 하부에 고정된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레버(90)의 일측은 실린더부(110)와 마주하는 하우징부(10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레버(90)의 타측은 하우징부(100)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회전판(95)은 하우징부(10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레버(90)에 연결되며,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실린더부(110)와 접하거나 이격된다.
실린더부(110)는 받침부(12)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로드(114)의 길이가 상하로 가변되어 받침부(12)의 높이를 조절한다. 받침부(12)의 하부에 구비된 하우징부(100)로 삽입된 실린더부(110)는 실린더몸체(112)와 로드(114)와 작동돌기(116)를 포함한다.
로드(114)의 상단에 작동돌기(116)가 구비되며, 로드(114)는 하우징부(100)의 장착홀부(102)를 통해 하우징부(100)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하우징부(100)의 내측에는 회전판(95)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판(95)의 회전에 의해 작동돌기(116)에 접촉되거나 이격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의자(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받침부(12)가 상하로 조절됨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받침부(12)에 앉은 상태에서 상하조절레버(40)를 회전시키면, 상하조절레버(40)와 함께 결합플레이트(62)가 회전된다. 결합플레이트(62)에 연결된 연결와이어(75)가 회전롤러(84)에 걸쳐진 상태에서 이동되므로 연결와이어(75)에 연결된 회전레버(90)는 상측으로 이동된다.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레버(90)가 이동되면서 회전판(95)이 실린더부(110)의 작동돌기(116)와 이격되면, 받침부(12)를 하측으로 가압하는 힘에 의해 받침부(12)가 하측으로 이동되며 받침부(12)의 상하 높이를 조절한다. 또는 받침부(12)에 하중을 가하지 않거나 적게 가한 상태에서 실린더부(110)가 작동되면 받침부(12)의 설치높이가 높아질 수도 있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조절레버(20)를 회전시키기 전에는 디스크부(130)의 판부재(132)와 간격유지부재(136)가 서로 밀착되므로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14)의 경사각도 조절이 구속된다.
경사조절레버(20)를 회전시키면, 경사조절레버(20)에 연결된 중심몸체부(32)가 회전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몸체부(32)와 연결된 제1경사부재(37)가 회전되면서 제1경사부재(37)의 경사면은 제2경사부재(36)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된다. 따라서 제1경사부재(37)는 고정된 제2경사부재(36)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연결축부재(121)를 가압한다.
연결축부재(121)는 탄성부재(122)를 압축하며 내측파이프(125)와 고정돌기부재(126)를 디스크부(13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디스크부(130)와 판부재(132)와 간격유지부재(136)의 사이에 간격이 발생하므로 등받이(14)의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상하조절레버(40)를 조작하여 동력전달부(60)를 통해 회전레버(90)를 동작시키므로, 의자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경사조절레버(20)를 조작하여 디스크부(130)의 잠금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으므로 등받이(14)의 경사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다기능 의자
10: 프레임부 12: 받침부
14: 등받이 16: 팔걸이부재
18: 다리부재 19: 바퀴
20: 경사조절레버 30: 회전이동부
32: 중심몸체부 34: 걸림턱
35: 스프링 36: 제2경사부재
37: 제1경사부재 38: 헤드부
40: 상하조절레버 42: 레버손잡이
44: 레버몸체 46: 걸림몸체
50: 고정브라켓 60: 동력전달부
62: 결합플레이트 64:플레이트몸체
66: 걸림홈부 67: 체결볼트
70: 스토퍼부재 72: 고정볼트
75: 연결와이어 77: 스페이서
80: 방향전환부 82: 롤러브라켓
84: 회전롤러 90: 회전레버
95: 회전판 100: 하우징부
102: 장착홀부 104: 하우징몸체
110: 실린더부 112: 실린더몸체
114: 로드 116: 작동돌기
120: 잠금제어부 121: 연결축부재
122: 탄성부재 123: 지지프레임
124: 고정파이프 125: 내측파이프
126: 고정돌기부재 130: 디스크부
132: 판부재 134: 장공홀부
135: 연결홀부 136: 간격유지부재
139: 힌지축부재

Claims (6)

  1. 사용자의 착좌를 지지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로드의 길이가 상하로 가변되어 상기 받침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실린더부;
    일측은 상기 실린더부와 마주하는 하우징부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측은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회전레버;
    상기 받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사용자에 조작에 의해 위치가 가변되는 상하조절레버; 및
    상기 회전레버와 상기 상하조절레버를 연결하며, 상기 상하조절레버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레버를 회전시켜 상기 실린더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상하조절레버에 연결되어 상기 상하조절레버와 함께 회전되는 결합플레이트; 일측은 상기 결합플레이트에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회전레버에 연결되는 연결와이어; 및 상기 연결와이어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와이어의 이동방향을 전환시키는 방향전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향전환부는, 상기 받침부의 하부에 고정되는 롤러브라켓; 및 상기 롤러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연결와이어가 회전 가능하게 걸쳐지는 회전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의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실린더부가 삽입되는 홈부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레버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우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의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회전레버에 연결되며,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상기 실린더부와 접하거나 이격되는 회전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의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조절레버는, 상기 받침부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동력전달부에 연결되는 레버몸체; 및
    상기 레버몸체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팔걸이부재의 외측에 위치하는 레버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의자.
  5. 삭제
  6. 삭제
KR1020160030177A 2016-03-14 2016-03-14 다기능 의자 KR101889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177A KR101889815B1 (ko) 2016-03-14 2016-03-14 다기능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177A KR101889815B1 (ko) 2016-03-14 2016-03-14 다기능 의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0686A Division KR20180082409A (ko) 2018-07-11 2018-07-11 다기능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6730A KR20170106730A (ko) 2017-09-22
KR101889815B1 true KR101889815B1 (ko) 2018-08-20

Family

ID=60035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0177A KR101889815B1 (ko) 2016-03-14 2016-03-14 다기능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98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5228B1 (ko) * 2018-12-03 2019-10-22 이종화 의자를 이용한 수동 및 자동 겸용 허리 운동기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9575Y2 (ja) * 1991-10-04 1997-09-30 株式会社イトーキクレビオ 椅子の操作機構部における長さ調節可能な引張り力伝達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6730A (ko) 2017-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48020A1 (en) Flat-screen monitor support
CA2837363C (en) Tilt mechanism for a chair and chair
KR101704526B1 (ko) 내진용 조절발
KR101330119B1 (ko) 의자의 헤드레스트 각도 및 높이조절장치
KR101889815B1 (ko) 다기능 의자
JP3207407U (ja) オフィスチェア
WO1993008033A1 (en) Improved cradle assembly for a moveable arm support system
CN110710816A (zh) 用于头枕的调节装置
KR20180082409A (ko) 다기능 의자
US9578967B2 (en) Piece of rotary seating furniture
KR20170106727A (ko) 다기능 의자
KR101075872B1 (ko)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 장치
JP2011522622A (ja) 優先制御機構
US20230270255A1 (en) Double angle back support adjustment
KR101560750B1 (ko)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
KR102203145B1 (ko)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
CN103876508B (zh) 具有用于椅子的倾斜支架的装置
KR20180035205A (ko) 차량용 텔레스코픽 장치
KR20100012517A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KR200490892Y1 (ko) 체압 연동형 의자 등받이 경사 조절기구
JP5409091B2 (ja) 調節可能な肘掛け
US20200046120A1 (en) Synchronous chair mechanism and chair having same
WO2007083186A2 (en) Device for adjusting the tilt of a backrest or seat of a chair
CN108340815B (zh) 儿童安全座椅
KR102321996B1 (ko) 좌판모듈 틸팅이 가능한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