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3145B1 -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 - Google Patents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3145B1
KR102203145B1 KR1020180109516A KR20180109516A KR102203145B1 KR 102203145 B1 KR102203145 B1 KR 102203145B1 KR 1020180109516 A KR1020180109516 A KR 1020180109516A KR 20180109516 A KR20180109516 A KR 20180109516A KR 102203145 B1 KR102203145 B1 KR 102203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unit
restoration
support
base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9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0812A (ko
Inventor
김영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도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도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도화학
Priority to KR1020180109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3145B1/ko
Publication of KR20200030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0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47C7/004Chair or stool bases for chairs or stools with central column, e.g. offic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Landscapes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면이 바닥에 접촉하고 일정 수준 이상의 면적을 가지며 전체를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상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상부에 별도의 상판이 결합되고, 길이방향에 따른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와 틸팅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연결유닛 및 상기 베이스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유닛의 하부에서 지지하며, 상하방향에 따른 가상기준선을 중심으로 상기 연결유닛의 길이방향에 따른 중심선이 기 설정된 범위 내의 각도를 가지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지지유닛을 포함하는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Stool with self-vertical restoration}
본 발명은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베이스와 베이스 사이에 구비된 지지프레임이 외력의 작용 여부에 따라 설정된 범위 내에서 기울어지거나 또는 초기위치로 복원되는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에 관한 것이다.
등받이가 없는 일인용 의자를 스툴이라고 부르는데, 다양한 타입의 것이 있으며, 최근에는 이러한 단순 스툴보다는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거치할 수 있는 부가적 스툴이 많이 사용될 뿐만 아니라 직접 착석 가능한 구조도 사용된다.
특히, 이러한 스툴 중에서 단순히 수직형태의 스툴뿐만 아니라 가스실린더나 액츄에이터 등을 사용하여 높이의 조절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스툴들이 개발되었다.
다만, 이러한 스툴들은 상판의 각도가 고정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단순 착석 이외에는 사용하기에 불편함이 있었으며, 특히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그 경사각도의 조절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지지프레임이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기울어지며, 별도의 복원부재에 의해 복원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편의에 따라 상부베이스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별다른 조작 없이 외력을 제거하는 것 만으로도 초기 위치로 복원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은 하면이 바닥에 접촉하고 일정 수준 이상의 면적을 가지며 전체를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상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상부에 별도의 상판이 결합되는 연결유닛 및 상기 베이스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유닛의 하부에서 지지하며, 상하방향에 따른 가상기준선을 중심으로 상기 연결유닛의 길이방향에 따른 중심선이 기 설정된 범위 내의 각도를 가지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지지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탄성지지유닛은 상기 연결유닛의 중심선이 상기 가상기준선을 기준으로 일정각도 틸팅 가능하도록 지지하며, 틸팅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복원력이 증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유닛은 되고, 길이방향에 따른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와 틸팅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지지유닛은 상기 연결유닛의 하부에서 일정반경을 가지며 상기 연결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베이스와 상기 연결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부재 및 상기 베이스상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복원부재의 둘레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연결유닛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유닛은 길이방향에 따른 하측 끝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의 둘레에 대응하도록 일정 반경을 가지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지지부와 선택적으로 접하여 일정 각도이상 틸팅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둘레를 따라 일부가 상부방향으로 도출된 복수 개의 제1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브라켓은 둘레를 따라 일부가 하부방향으로 돌출된 제2돌기부가 형성되며, 배치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제1돌기부와 상기 제2돌기부가 교차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와 상기 지지브라켓이 상호 맞물리며 상기 연결유닛이 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또는 상기 지지브라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가상기준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또는 상기 지지브라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가상기준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기 설정된 각도만큼 왕복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원부재는 링 형상을 가지며 상하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돌출된 끝단부가 곡면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연결유닛이 틸팅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유닛은 상하방향을 따라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은 연결유닛 하부에 구비된 탄성지지유닛에 의해 기 설정된 각도로 틸팅 가능하며, 복원력이 작용하여 연결유닛의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둘째, 연결유닛과 탄성지지유닛에 각각 제1돌기부와 제2돌기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선택적으로 회전상태가 조절되어 연결유닛의 틸팅 가능여부가 조절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스툴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스툴에서 상부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스툴에서 내부 구성들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스툴에서 연결유닛이 틸팅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에서 연결유닛의 틸팅에 의해 복원부재가 압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1의 스툴에서 지지부가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의 스툴에서 조작수단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9는 도 7의 스툴에서 지지부를 회전시키는 조작수단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구성에 대해 나타낸 도면임.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스툴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의 스툴에서 상부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 1의 스툴에서 내부 구성들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도면을 살펴보면, 바닥에서 일정 높이 이상으로 지지되는 상판(100)이 외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틸팅되며, 외력의 제거 시 초기위치로 복원되는 스툴에 관한 것으로, 크게 상판(100), 베이스(200), 연결유닛(300), 탄성지지유닛(400)을 포함한다.
상기 상판(100)은 일반적인 스툴의 상판(100)으로 상면이 확장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기 설정된 면적을 가지며 사용자가 착석 또는 신체의 일부분을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판(100)은 후술하는 베이스(200), 연결유닛(300) 등에 의해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에서 지지되며, 상면에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물품 또는 신체를 안착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판(100)은 스툴형태의 평탄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달리 등받이나 팔걸이 등을 구비하여 의자와 같이 사용되거나 또는 사용처에 따라 특정 형태로 굴곡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상판(100)은 금속이나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로 구성되어 일정 수준 이상의 내구성을 가지며, 신체와 접촉하는 경우 표면에 별도의 직물이나 합성섬유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상판(100)은 하부가 상기 연결유닛(300)의 일부를 함께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200)는 전체를 지지하며 바닥에 접촉하여 상기 연결유닛(300)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200)는 일정 면전을 가지며 바닥면 또는 설치면상에 위치하고 상부에 상기 연결유닛(300)이 상하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상판(100)이 유지되도록 지지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200)는 내부에 상기 탄성지지유닛(400)이 구비되어 상기 연결유닛(300)의 일부를 감싸며 탄성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베이스(200)는 크게 본체(210) 및 상부커버(22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210)는 외형을 이루며 하면이 바닥에 접하도록 구성되고 내부에 상기 탄성지지유닛(400)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본체(210)의 중앙부에는 별도의 결합부(212)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유닛(300)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212)는 상기 본체(210)의 중앙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전체적인 무게 중심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210)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212)가 중앙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상기 본체(210)가 다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210)는 일정한 면적을 가지며 중앙에는 상기 결합부(212)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유닛(300)이 결합됨으로써 상기 연결유닛(300)이 이탈되지 않고 결합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212)는 상기 본체(210)상에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연결유닛(300)이 결합되며, 이를 중심으로 후술하는 상기 탄성지지유닛(400)이 안착되며 이탈되지 않고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상부커버(220)는 상기 본체(210)의 상부에서 결합되며 상기 본체(210)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210) 내부에 수용되는 부품들을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커버(22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본체(210)의 둘레 형상에 대응하여 이와 체결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중앙에는 별도의 관통홀(222)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유닛(300)이 관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관통홀(222)의 크기는 상기 연결유닛(300)의 둘레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유닛(300)이 기 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짐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커버(220)는 원뿔형태로 형성되어 중앙에 상기 관통홀(222)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222)이 상기 결합부(212)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연결유닛(300)이 관통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베이스(200)는 상기 본체(210) 및 상기 상부커버(220)를 포함하여 전체를 지지한다.
한편, 상기 연결유닛(300)은 상하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하측이 상기 베이스(200)에 결합되며 상측이 상기 상판(100)과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유닛(300)은 긴 봉과 같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판(100)과 상기 베이스(200) 사이에서 간격을 유지시킴과 동시에 지지하는 구성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유닛(300)은 크게 수직프레임(310), 연결부(330) 및 지지브라켓(320)을 포함한다.
상기 수직프레임(310)은 상기 베이스(200)의 상부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상판(100)과 베이스(200)를 연결하고 상기 상판(100)을 하부에서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직프레임(3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하측이 상기 베이스(200) 또는 상기 탄성지지유닛(400)과 결합된다.
이때, 상기 수직프레임(310)은 상기 탄성지지유닛(400)에 의해 일정 각도 틸팅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200)상에서 이탈되지 않고 고정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직프레임(3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재로 구성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선택적으로 상하방향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프레임(310)은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어 신축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내부에 별도의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직프레임(310)은 원통형태의 제1프레임(312), 상기 제1프레임(312) 내부에서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며 선택적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제2프레임(314)을 포함하며, 상기 제1프레임(312) 내부에서 상기 제2프레임(314)의 끝단부에 구비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즉, 상기 제1프레임(312)과 상기 제2프레임(314)의 슬라이딩에 따라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전체적인 길이가 조절됨으로써 상기 베이스(200)로부터 상기 상판(100)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직프레임(3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재로 구성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선택적으로 신축하여 그 길이가 조절된다.
상기 연결부(330)는 길게 형성되어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하측 끝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200)와 틸팅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부(212)는 상기 베이스(200) 또는 상기 수직프레임(310) 중 어느 하나와 고정 결합되고, 나머지 하나와 틸팅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이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수직프레임(310)이 상기 베이스(200)상에서 틸팅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330)는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길이방향을 따른 중심선(L2)상에 위치하며, 상기 결합부(212)상에 위치하여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330)는 상기 결합부(212)상에 일측이 고정 결합되며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하측 끝단부와 틸팅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330)는 길이방향을 따라 불균일한 둘레를 가지며, 일부가 상기 수직프레임(310) 내부에 배치되어 해당 부분의 둘레가 증가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수직프레임(310)과 이탈하지 않고 결합상태를 유지한다.
특히 상기 연결부(3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된 끝단부가 곡면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연결유닛(300)이 틸팅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330)는 상기 수직프레임(310)과 결합됨에 따라 사용자의 하중 및 상판(100)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배우에 별도의 보강부재(332)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부(330)는 상기 수직프레임(310)과 상기 베이스(200) 사이에 구비되어 상호 틸팅 가능하도록 결합시킨다.
한편, 상기 지지브라켓(320)은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길이방향에 따른 하측 끝단부에 구비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베이스(200)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탄성지지유닛(400)과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틸팅 여부를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브라켓(320)은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둘레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탄성지지유닛(400)과 선택적으로 접촉한다. 이때, 상기 탄성지지유닛(400)은 상기 베이스(200) 내부에 결합된 상태이며, 상기 수직프레임(310)이 틸팅되는 경우 상기 탄성지지유닛(400)과 접촉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지지유닛(400)과 상기 지지브라켓(320)이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틸팅에 의해 함께 틸팅되며 상기 탄성지지유닛(400)과 접촉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브라켓(320)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하부로 갈수록 둘레가 증가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프레임(310)을 중심으로 길이방향에 따른 하측 끝단부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지지브라켓(320)은 상기 베이스(200)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직프레임(310)과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브라켓(320)은 후술하는 상기 탄성지지유닛(400)의 둘레에 대응하도록 일정 반경을 가지며 선택적으로 접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브라켓(320)의 하측 둘레에 따른 일부가 하부방향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제2돌기부(332)가 형성되며, 일정간격을 가지고 둘레를 따라 배치된다. 이는 후술하는 상기 탄성지지유닛(400)과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지지브라켓(320)이 상기 수직프레임(310)이 틸팅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선택적으로 상기 탄성지지유닛(400)과 접촉여부가 조절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지지브라켓(320)은 상기 베이스(200)상에 결합된 상기 수직프레임(310)이 상기 베이스(200)상에 결합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틸팅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만 틸팅 되도록 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연결유닛(300)은 상기 베이스(200)와 상기 상판(100)사이에서 지지하며 선택적으로 상하방향에 따른 길이가 조절되어 상기 상판(100)의 위치를 조절한다. 또한, 상기 연결유닛(300)이 상기 베이스(200)상에서 선택적으로 틸팅 가능하도록 하며 기 설정된 각도 이상 틸팅되지 않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탄성지지유닛(400)은, 상기 베이스(20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유닛(300)과 접촉하여 복원력을 제공하며, 선택적으로 틸팅 가능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지지유닛(400)은 상기 연결유닛(300)의 하부에서 지지하며 상기 결합부(212)를 중심으로 하는 가상기준선(L1)을 중심으로 상기 연결유닛(300)의 길이방향에 따른 중심선(L2)이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위치하도록 복원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가상기준선(L1)은 상기 베이스(200)와 상기 연결부(330)가 결합된 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상기 연결유닛(300)의 초기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가상선이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상기준선(L1)은 상기 연결부(330)가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의 연장선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탄성지지유닛(400)은 상기 연결유닛(300)의 중심선(L2)이 상기 가상기준선(L1)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 틸팅 가능하도록 지지하며, 틸팅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복원력이 증가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탄성지지유닛(400)은 크게 복원부재(410) 및 지지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복원부재(410)는 상기 베이스(200)상에서 상기 연결유닛(3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직프레임(310)이 틸팅되는 경우 압착됨과 동시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연결부(330)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원부재(410)는 탄성 소재로 이루어져 상하방향에 따른 압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연결부(330)를 중심으로 일정한 거리를 가지도록 이격되어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복원부재(410)는 상하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가지며, 상기 수직프레임(310)을 하부에서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복원부재(410)는 상기 가상기준선(L1)상에 배치되며, 이를 중심으로 원형으로 배치되어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하부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틸팅 시 일부가 압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복원부재(410)는 상기 베이스(200)상에 형성된 상기 결합부(212) 내부에 삽입 고정되며 링 형상으로 상기 연결부(33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된다. 이때, 상기 복원부재(4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재로 구성되어 상하방향을 따라 일정 수준이상의 높이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복원부재(410)는 고무 소재의 링 형상을 가지며 상기 연결부(330)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복원부재(410)는 상기 지지브라켓(320)의 하측 둘레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제2돌기부(332)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복원부재(410)는 하나의 부재로 구성되며 둘레를 따라 일부 구간에는 상대적으로 더 두껍게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며 이를 통해 상기 수직프레임(310)을 지지한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복원부재(410)는 링 형태를 이루되 복수 개의 기둥형태로 둘레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돌출되어 두껍게 형성되며, 각각이 상기 베이스(200)에 형성된 상기 결합부(212)에 삽입된다. 또한, 상부는 상기 수직프레임(310) 또는 상기 지지브라켓(320)의 하부에 삽입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복원부재(410)는 상기 결합부(212)상에서 상기 지지브라켓(320)의 하부에 배치되며 각각이 고정되어 이탈되지 않고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틸팅 시 상기 지지브라켓(320)에 의해 일부가 압착된다.
물론,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복원부재(410)는 링 형태가 아니라 복수 개의 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연결부(33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복원부재(410)가 상기 연결부(330)를 중심으로 상기 지지브라켓(320)의 하부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틸팅 시 압착되어 복원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복원부재(410)는 별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초기상태에서 상기 가상기준선(L1)과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중심선(L2)이 일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지부(420)는 상기 베이스(200)상에서 상기 복원부재(410)의 하부에 배치되며, 기 설정될 둘레를 가지고 상기 복원부재(410)의 둘레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420)는 상기 결합부(212)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브라켓(320)의 하측 둘레에 대응하는 둘레를 가지며 상기 복원부재(410)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복원부재(410)를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420)는 둘레를 따라 일부가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제1돌기부(422)가 형성되며, 상기 제2돌기부(332)와 선택적으로 치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420)와 상기 지지브라켓(320)의 상호 배치상태에 따라 상기 제1돌기부(422) 및 상기 제2돌기부(332)가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틸팅 가능 여부가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4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330)가 위치한 상기 가상기준선(L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복원부재(410)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결합부(212)상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탄성지지유닛(400)은 상기 베이스(200)상에서 상기 연결부(330)를 중심으로 둘레를 따라 구비되며 상기 연결유닛(300)의 하부에서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유닛(300)이 틸팅됨에 따라 상기 복원부재(410)가 압착됨으로써 상기 연결유닛(300)의 중심선(L2)이 상기 가상기준선(L1)을 향해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스툴은 외력의 작용하지 않는 경우 자가 수직복원리 가능하다.
이어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툴이 틸팅됨에 따라 복원력이 작용하는 상태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도 1의 스툴에서 연결유닛(300)이 틸팅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서 연결유닛(300)의 틸팅에 의해 복원부재(410)가 압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을 살펴보면, 상기 수직프레임(310)에 외력이 작용하여 상기 연결부(330)를 중심으로 틸팅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중심선(L2)과 상기 가상기준선(L1)이 서로 교차된 상태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직프레임(310)이 외력에 의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진 상태이며, 이에 따라 상기 복원부재(410) 중 일부가 가압되는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프레임(310)은 상기 연결부(330)와 결합된 A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틸팅된 상태이며, 이에 따라 상기 지지브라켓(320)도 함께 기울어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브라켓(320)이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지지브라켓(320)과 상기 베이스(200) 사이에 배치된 상기 복원부재(410)는 일부가 압축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복원부재(410)는 압축에 의해 복원력이 작용하게 되지만, 사용자에 의해 착용하는 외력과 상쇄되어 상기 수직프레임(310)이 기울어진 상태가 유지된다. 만약 상기 수직프레임(310)에 작용하는 외력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복원부재(41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지지브라켓(320)이 초기위치로 되돌아가며, 이에 따라 상기 수직프레임(310)도 함께 초기 위치로 복원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초기위치는 사용자의 설정이나 상기 복원부재(410) 또는 상기 지지브라켓(320)의 형상에 의해 차이가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중심선(L2)과 상기 가상기준선(L1)이 일치하는 형태가 초기 위치가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복원부재(410)에 의해 상기 지지브라켓(320)에 복원력이 작용하게 되며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복원력에 의해 상기 수직프레임(310)이 초기위치로 복원된다.
이때, 상기 복원부재(410)는 일반적인 탄성 소재로 구성되어 압축 정도에 따라 복원력도 증가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수직프레임(310)이 틸팅함에 있어, 상기 지지부(420)에 형성된 상기 제1돌기부(422)와 상기 지지브라켓(320)에 형성된 상기 제2돌기부(332)가 서로 교차되는 형태로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브라켓(320)이 상기 수직프레임(310)과 함께 틸팅되는 경우 상기 제2돌기부(332)의 일부가 상기 제1돌기부(422)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며, 이에 따라 상기 수직프레임(310)이 틸팅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상기 제1돌기부(422)와 상기 제2돌기부(332)가 교차되지 않고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되는 경우 상호 접촉에 의해 간섭이 발생하여 상기 수직프레임(310)이 틸팅되지 않고 고정된다.
즉, 상기 제1돌기부(422)와 상기 제2돌기부(332)의 배치 상태에 따라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틸팅 가능 여부가 조절된다.
또한, 상기 제1돌기부(422)와 상기 제2돌기부(332)의 돌출 길이에 따라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틸팅 각도가 조절될 수도 있다. 상기 제1돌기부(422)와 상기 제2돌기부(332)의 돌출 길이가 길어질수록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틸팅 가능 각도가 증가하지만, 일정 수준이상 기울어지는 경우 과도한 토크가 작용할 수도 있다.
이어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지지부(420)의 회전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도 1의 스툴에서 지지부(420)가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스툴에서 조작수단(214)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도 7의 스툴에서 지지부(420)를 회전시키는 조작수단(214)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구성에 대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420)가 상기 베이스(200) 내부에서 선택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420)는 상기 가상기준선(L1)을 중심으로 기 설정된 각도만큼 왕복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제1돌기부(422)와 상기 제2돌기부(332)가 맞물리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지지부(420)와 상기 지지브라켓(320)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해 복수 개의 상기 제1돌기부(422)와 상기 제2돌기부(332)가 구비되며, 배치 상태에 따라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420)가 회전하여 상기 제1돌기부(422)와 상기 제2돌기부(332)가 상호 접촉하는 경우 상기 수직프레임(310)은 상기 지지부(420)에 의해 틸팅이 불가능해지며 락 상태가 된다.
즉, 상기 지지부(420)의 회전 따라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중심선(L2)이 상기 가상기준선(L1)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1돌기부(422)와 상기 제2돌기부(332)가 접촉하여 틸팅 가능 여부가 조절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420)가 상기 베이스(200)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제1돌기부(422)와 상기 제2돌기부(332)가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상기 지지브라켓(320)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만약 상기 지지브라켓(320)이 상기 수직프레임(310)상에서 회전 상태가 조절되는 경우 상기 지지브라켓(320)이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가 고정되어야 하며, 회전만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부(420) 또는 상기 지지브라켓(320)이 상기 가상기준선(L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틸팅 여부를 조절하여 락/언락을 조절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부(42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420)가 상기 베이스(200)상에서 기 설정된 각도만큼 왕복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420)의 일부가 바닥을 향해 관통되도록 별도의 슬릿(216)이 형성되며, 상기 슬릿(216)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슬릿(216)은 상기 가상기준선(L1)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부(420)의 회전반경에 대응하여 곡선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420)는 바닥을 향해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424) 형성되어 상기 슬릿(216)을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돌기(424)는 상기 슬릿(216)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상기 슬릿(216)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420)는 상기 가상기준선(L1)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회전 시 상기 결합돌기(424)가 상기 슬릿(216)을 따라 이탈하지 않고 이동하여 상기 지지부(420)의 회전각도 및 방향을 제한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420)는 복수 개의 상기 결합돌기(424)가 둘레를 따라 이격 형성되어 각각 상기 베이스(200)를 관통하여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슬릿(216) 역시 상기 결합돌기(424)에 대응하여 복수 개가 형성되며, 각각 상기 결합돌기(424)가 관통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릿(216)의 길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420)의 회전각도가 결정되며, 이는 상기 제1돌기부(422) 및 상기 제2돌기부(332) 각각의 돌출 간격에 대응하여 회전상태에 따라 상호 접촉여부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지지부(420)는 복수 개의 상기 결합돌기(424)가 구비되어 상기 슬릿(216)을 관통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지지부(420)의 회전각도를 제한함과 동시에 상기 제1돌기부(422)와 상기 제2돌기부(332)의 접촉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슬릿(216)의 길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420)의 회전 각도가 조절되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결합돌기(424)가 상기 슬릿(216)의 끝단부에 위치하는 경우 각각 상기 제1돌기부(422)와 상기 제2돌기부(332)가 서로 마주보며 접촉하거나 또는 엇갈리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베이스(200)는 하면에서 상기 슬릿(216)을 관통한 상기 결합돌기(424)와 체결되며 상기 지지부(420)를 회전시키는 별도의 조작수단(214)을 더 구비한다.
상기 조작수단(214)은 상기 지지부(420)와 마찬가지로 상기 가상기준선(L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420)와 동시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지지부(420)는 상기 조작수단(214)에 의해 상기 가상기준선(L1)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선택적으로 회전각도가 조절되어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틸팅 가능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상판
200: 베이스
210: 본체
220: 상부커버
300: 연결유닛
310: 수직프레임
320: 지지브라켓
330: 연결부
400: 탄성지지유닛
410: 복원부재
420: 지지부

Claims (11)

  1. 하면이 바닥에 접촉하고 일정 수준 이상의 면적을 가지며 전체를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상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며 길이방향에 따른 하부에 상기 베이스와 틸팅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부에 별도의 상판이 결합되는 연결유닛; 및
    상기 베이스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유닛의 하부에서 지지하며, 상하방향에 따른 가상기준선을 중심으로 상기 연결유닛의 길이방향에 따른 중심선이 상기 가상기준선을 기준으로 일정각도 이상 기울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며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지지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지지유닛은,
    상기 연결유닛의 하부에서 일정반경을 가지며 상기 연결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베이스와 상기 연결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부재 및 상기 베이스상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복원부재의 둘레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연결유닛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유닛은,
    상기 연결유닛의 틸팅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복원력이 증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길이방향에 따른 하측 끝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의 둘레에 대응하도록 일정 반경을 가지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지지부와 선택적으로 접하여 일정 각도이상 틸팅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둘레를 따라 일부가 상부방향으로 도출된 복수 개의 제1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브라켓은 둘레를 따라 일부가 하부방향으로 돌출된 제2돌기부가 형성되며,
    배치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제1돌기부와 상기 제2돌기부가 교차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와 상기 지지브라켓이 상호 맞물리며 상기 연결유닛이 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또는 상기 지지브라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가상기준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또는 상기 지지브라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가상기준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기 설정된 각도만큼 왕복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부재는,
    링 형상을 가지며 상하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돌출된 끝단부가 곡면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연결유닛이 틸팅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상하방향을 따라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
KR1020180109516A 2018-09-13 2018-09-13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 KR102203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516A KR102203145B1 (ko) 2018-09-13 2018-09-13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516A KR102203145B1 (ko) 2018-09-13 2018-09-13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0812A KR20200030812A (ko) 2020-03-23
KR102203145B1 true KR102203145B1 (ko) 2021-01-14

Family

ID=69998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9516A KR102203145B1 (ko) 2018-09-13 2018-09-13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31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1996B1 (ko) * 2021-08-11 2021-11-08 주식회사 미도화학 좌판모듈 틸팅이 가능한 의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124B1 (ko) 2014-10-28 2015-02-12 (주)다목생태기술 다목적 휴대용 작업의자
JP2018023663A (ja) 2016-08-12 2018-02-15 及樺實業股▲ふん▼有限公司 傾斜可能な作業椅子
KR101869729B1 (ko) * 2018-01-31 2018-06-21 (주)퍼맥스 의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09475B2 (ja) * 2016-08-18 2020-06-17 株式会社クオリ 傾動可能なスツールまたはラウンジチェア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124B1 (ko) 2014-10-28 2015-02-12 (주)다목생태기술 다목적 휴대용 작업의자
JP2018023663A (ja) 2016-08-12 2018-02-15 及樺實業股▲ふん▼有限公司 傾斜可能な作業椅子
KR101869729B1 (ko) * 2018-01-31 2018-06-21 (주)퍼맥스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0812A (ko) 2020-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71208A (en) Chair tilt control mechanism
US10433644B2 (en) Tiltable stool and tiltable lounge chair
US6176548B1 (en) Tilt mechanism for chair having adjustable spring characteristics
KR101704526B1 (ko) 내진용 조절발
KR950030930A (ko) 프리로딩된 기틀 조립체를 갖는 회전 안락의자/흔들의자
US8931848B2 (en) Rotating footrest assembly for a seat
US5222783A (en) Chair with its backrest adjustable in its angle
KR102203145B1 (ko)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
US2529861A (en) Adjustable seat supporting structure
CA3006737A1 (en) Guide spring for a seating device and sprung seating device
US11744371B2 (en) Chair device and star-shaped base thereof
GB1576011A (en) Chair supports
CA2791131C (en) Rotating footrest assembly for a seat
KR100747010B1 (ko) 하중 분산이 가능한 회전 의자의 다리구조
KR102321996B1 (ko) 좌판모듈 틸팅이 가능한 의자
KR102468097B1 (ko) 의자
WO2020233411A1 (zh) 座椅装置及其星形底座
JP2007007249A (ja) 椅子
KR101889815B1 (ko) 다기능 의자
KR200482720Y1 (ko) 등받이 받침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
JP4383907B2 (ja) 椅子の肘掛け装置
KR102007515B1 (ko) 의자
KR102437284B1 (ko) 임의 방향으로 좌판의 틸팅이 가능한 의자
KR101559889B1 (ko) 높이조절장치 및 그를 구비한 의자
US20240225294A1 (en) Arm rest for se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