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6654B1 - 침대 각도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침대 각도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6654B1
KR101846654B1 KR1020160035951A KR20160035951A KR101846654B1 KR 101846654 B1 KR101846654 B1 KR 101846654B1 KR 1020160035951 A KR1020160035951 A KR 1020160035951A KR 20160035951 A KR20160035951 A KR 20160035951A KR 101846654 B1 KR101846654 B1 KR 101846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crankshaft
bed
body membe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5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1117A (ko
Inventor
정창환
Original Assignee
정창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창환 filed Critical 정창환
Priority to KR1020160035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6654B1/ko
Publication of KR20170111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1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6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6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4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 A47C20/042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by means of screw-and-nut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0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tiltable around transverse horizontal axis, e.g. for Trendelenbur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Abstract

본 발명은 침대 하부에 형성된 크랭크축의 하부에 액추에이터를 고정시켜, 등받이 각도 또는 다리부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한 침대 각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침대 하부에 형성되어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며 침대의 등받이를 올려주기 위한 크랭크축에 고정 설치되기 위한 축고정부; 침대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축고정부의 좌우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고정부; 및 일측이 상기 축고정부에 고정 설치되고, 다른 일측이 상기 안내고정부에 장착되어, 외부입력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다른 일측에 형성된 로드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크랭크축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주기 위한 액추에이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침대 각도 조절 장치{ANGLE ADJUSTING DEVICE FOR BED}
본 발명의 기술 분야는 침대 각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침대 하부에 형성된 크랭크축의 하부에 액추에이터를 고정시켜, 등받이 각도 또는 다리부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한 침대 각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동 침대는 일반적으로 환자나 노인 등 거동이 불편한 사람과 간호하는 사람의 편의를 위해 침대의 작동이 전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침대의 높낮이와 등받이부의 각도 및 다리 지지부의 각도 등이 전동으로 작동되며, 이를 위해 침대 프레임을 구성하는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사이에 액추에이터 및 작동 기구가 설치된다.
이러한 전동 침대는 일반적으로 등받이부를 작동시킬 때 다리 지지부도 같이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러한 연동 작동은 등받이부의 각도 조절과 다리 지지부의 각도 조절을 위해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된 두 개의 액추에이터를 별도의 제어기를 이용하여 동시에 작동시키거나 순차적으로 작동시키는 방식에 의해 구현되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44399호(2014.09.18 등록)는 전동 침대용 연동 장치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전동 침대의 상부 프레임에 설치되는 액추에이터와, 액추에이터의 작동 로드에 연결되고, 전동 침대의 등받이부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는 제1연동 기구와, 제1 연동 기구에 연결되고, 전동 침대의 다리 지지부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는 제2 연동 기구를 포함하고, 제1 연동 기구는 상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축과, 이 회동축에 설치되어 회동축과 일체로 회동하는 제1 연동 브라켓과, 회동축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 연동 브라켓과 연결되어 제1 연동 브라켓과 일체로 회동하되, 일정 경로 범위 내에서는 제1 연동 브라켓과는 독립적으로 회동하는 제2 연동 브라켓과, 회동축에 설치되어 회동축과 일체로 회동하면서 등받이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작동 블록 포함하며, 제1 연동 기구는 액추에이터의 작동 로드가 일정 길이 한도까지 신장 작동할 때까지는 다리 지지부의 경사 각도만 높아지도록 작동 로드로부터 전달받은 작동력을 제2 연동 기구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부품의 개수 및 무게가 획기적으로 감소될 수 있게 되고, 연동 작동시 오작동이 방지될 수 있게 되며, 등받이부와 다리 지지부가 시간차를 두고 연동 작동함으로써, 사용자의 미끄러짐이 방지될 수 있고, 복부압박이 감소될 수 있게 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80247호(2014.12.31 등록)는 환자가 누워있는 상태에서 침대 표면에 배치되는 별도의 상판만 이동시킴으로써 환자가 일어나지 않고도 다른 침대로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며, 보조 회전 기구를 동작시켜 침대를 세우지 않고도, 환자의 체중에 의해 환자 스스로 침대의 각도를 조절하거나 각도가 조정된 후 각도를 고정할 수 있는 병실용 침대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환자의 상체와 하체를 각각 지지하는 상체부와 하체부를 포함하는 병실용 침대에 있어서, 상체부와 하체부의 표면에 삽입되어 있는 복수의 회전볼과, 상체부와 하체부의 각도를 변화시키도록 상체부 또는 하체부에 고정되어 있는 회전축과, 회전축에 연결되며 상체부를 지지하는 상체 지지축과, 회전축에 연결되며 하체부를 지지하는 하체 지지축과, 하체 지지축과 하체부 하면 사이에 배치되며, 상체부가 항상 세워지려고 하는 탄성적 힘을 받도록 지지하는 탄성체와, 회전축의 일단에 설치되어 회전축의 회전을 제한하는 등받이 조절장치를 포함하며, 등받이 조절장치는 회전축의 일단과 연결되는 기어휠과, 기어휠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톱봉, 스톱봉의 일방향 이동을 탄성적으로 제어하는 누름 기구를 포함하고, 누름 기구는 누름 버튼과, 누름 버튼의 일단과 연결되어 회전에 의해 길이가 변화되는 회전 기구 및 회전 기구의 동작에 따라 길이가 변화되어 스톱봉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작동 기구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침대 각도 조절 장치는 침대 하부에 형성된 크랭크축의 일측에 전동기(또는 액추에이터)가 바로 연결되어, 전동기를 자주 사용할 시에, 연결부가 전동기의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쉽게 부러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44399호 한국등록특허 제10-1480247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침대 하부에 형성된 크랭크축의 하부에 액추에이터를 고정시켜, 등받이 각도 또는 다리부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한 침대 각도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침대 하부에 형성되어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며 침대의 등받이를 올려주기 위한 크랭크축에 고정 설치되기 위한 축고정부; 침대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축고정부의 좌우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고정부; 및 일측이 상기 축고정부에 고정 설치되고, 다른 일측이 상기 안내고정부에 장착되어, 외부입력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올림신호에 따라 다른 일측에 형성된 로드가 구동되어 움직이면서 상기 축고정부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외부입력장치로부터 전달되는 내림신호에 따라 로드가 구동되어 움직이면서 상기 축고정부를 좌측방향으로 이동시켜, 크랭크축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주기 위한 액추에이터부를 포함하는 침대 각도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축고정부는, 좌우길이방향으로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침대 하부의 크랭크축을 삽입하여 크랭크축에 고정 설치되기 위한 본체부재; 및 상기 본체부재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액추에이터부의 일측을 고정 설치하여, 상기 액추에이터부를 침대 하부에 고정시켜 주기 위한 제1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축고정부는, 상기 본체부재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액추에이터부의 다른 일측을 지지하여, 상기 액추에이터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축고정부는, 상기 본체부재에 제1고정홀을 형성하고, 크랭크축에 제2고정홀을 형성하여, 상기 제1고정홀과 상기 제2고정홀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부재와 크랭크축을 고정시켜 주기 위한 제2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고정부재는, 상기 제1고정홀을 관통한 다음에 상기 제2고정홀에 관통하여, 상기 본체부재와 크랭크축을 연결해 주기 위한 제1고정수단; 및 상기 제1고정수단에 체결되어, 상기 본체부재와 크랭크축을 고정시켜 주기 위한 제2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축고정부는, 상기 본체부재의 일단부 길이를 상기 본체부재에 삽입되는 크랭크축의 일단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축고정부는, 상기 본체부재의 일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재의 일단부로 크랭크축의 일단부가 나오는 것을 막아주기 위한 막음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액추에이터부는,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축고정부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축고정부에 장착되기 위한 제1장착부재; 및 다른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안내고정부에 장착되기 위한 제2장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안내고정부는, 침대 하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는 두 개의 고정바부재; 상기 고정바부재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액추에이터부의 로드를 고정시켜 주기 위한 로드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바부재의 사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축고정부의 좌우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고정바부재의 사이에 고정 설치되어, 크랭크축을 받쳐주기 위한 받침수단; 상기 받침수단의 양측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상기 받침수단을 고정바부재에 고정시켜 주기 위한 두 개의 고정수단; 및 상기 받침수단의 중앙 부분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축고정부의 좌우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침대 하부에 형성된 크랭크축의 하부에 액추에이터를 고정시켜, 등받이 각도 또는 다리부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한 침대 각도 조절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전동기(또는 액추에이터)의 하중을 크랭크축의 하부로 분산시킬 수 있으며, 크랭크축과 전동기의 고정 부분이 부러지지 않고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침대 각도 조절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축고정부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있는 제2고정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있는 축고정부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있는 액추에이터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있는 안내고정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있는 안내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침대 각도 조절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침대 각도 조절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침대 각도 조절 장치(10)는, 축고정부(100), 안내고정부(200), 액추에이터부(300)를 포함한다.
축고정부(100)는, 액추에이터부(300)의 일측을 고정 설치하며, 침대 하부에 형성되어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며 침대의 등받이를 올려주기 위한 크랭크축에 고정 설치되어, 안내고정부(200)의 안내에 의해 좌우이동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축고정부(100)는, 단단한 소재(예를 들면, 금속)로 형성되어, 크랭크축을 삽입 고정시켜주며, 액추에이터부(300)의 로드 구동시에, 안내고정부(200)의 안내에 의해 좌우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축고정부(100)는, 좌측방향으로 이동시에, 삽입 고정시킨 크랭크축을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이에 크랭크축의 우측에 힌지연결된 침대의 등받이를 올려줄 수 있으며,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에, 삽입 고정시킨 크랭크축을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이에 크랭크축의 우측에 힌지연결된 침대의 등받이를 내려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축고정부(100)는, 예를 들어, 침대의 우측에 등받이가 형성되고 좌측에 다리부분(즉, 침대 하부에 형성된 침대를 지지해 주기 위한 네 개의 다리가 아니라, 사람의 신체 중 다리를 지지해 주는 부분)이 형성되는 경우에, 침대의 우측 하부에 설치되어, 침대의 등받이 각도를 조절하거나, 침대의 좌측 하부에 설치되어, 침대의 다리부분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크랭크축은, 침대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의료용 침대(즉, 환자용 침대)의 하부에 형성되며, 축고정부(100)에 삽입된 다음에 고정 설치되어, 축고정부(100)의 다른 일측에 형성된 로드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함께 좌우방향으로 이동하여, 침대 등받이 또는 다리부분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안내고정부(200)는, 액추에이터부(300)의 다른 일측을 고정 설치하며, 침대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축고정부(100)의 좌우이동을 안내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안내고정부(200)는, 단단한 소재(예를 들면, 금속)로 형성되어, 축고정부(100)와 액추에이터부(300)를 지지해줄 수도 있다.
액추에이터부(300)는, 일측이 축고정부(100)에 고정 설치되고, 다른 일측이 안내고정부(200)에 장착되어, 외부입력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다른 일측에 형성된 로드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크랭크축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액추에이터부(300)는, 동력을 이용하여 기계를 동작시키는 구동 장치로서, 전기 모터 혹은 유압이나 공기압으로 작동하는 피스톤 또는 실린더 기구이며, 다른 일측에 형성된 로드를 피스톤운동 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액추에이터부(300)는, 외부입력장치로부터 올림신호 또는 내림신호를 전달받아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추에이터부(300)는, 외부입력장치로부터 올림신호를 전달받아, 해당 전달받은 올림신호에 따라 다른 일측에 형성된 로드가 구동되어 움직이면서 축고정부(100)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며, 이에 축고정부(100)에 삽입 고정설치된 크랭크축을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 크랭크축에 힌지연결된 침대의 등받이를 올려줄 수 있다. 그런 다음에, 액추에이터부(300)는, 외부입력장치로부터 내림신호를 전달받아, 해당 전달받은 내림신호에 따라 로드가 구동되어 움직이면서 축고정부(100)를 좌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며, 이에 축고정부(100)에 삽입 고정설치된 크랭크축을 좌측방향으로 이동시켜 크랭크축에 힌지연결된 침대의 등받이를 내려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외부입력장치는, 액추에이터부(300)를 구동시키기 위한 원격조정기(예를 들면, 리모컨)로서, 액추에이터부(30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설치되며, 액추에이터부(300)를 구동시키기 위해 올림신호 또는 내림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올림신호 또는 내림신호를 액추에이터부(300)로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침대 각도 조절 장치(10)는, 침대 하부에 형성된 크랭크축의 하부에 축고정부(100)를 설치하여, 축고정부(100)에 액추에이터부(300)를 고정시켜, 침대의 등받이 각도 또는 다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액추에이터부(300)의 하중을 크랭크축의 하부로 분산시킬 수 있으며, 크랭크축과 액추에이터부(300)의 고정 부분이 부러지지 않고 장시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침대 각도 조절 장치(10)는, 기존의 환자용 수동 침대에도 고정 설치가 가능하여, 별도로 침대를 구입하지 않고도 설치 가능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축고정부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축고정부(100)는, 본체부재(110), 제1고정부재(120)를 포함한다.
본체부재(110)는, 좌우길이방향으로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침대 하부의 크랭크축을 삽입하여 크랭크축에 고정 설치되며, 일측에 제1고정부재(120)를 형성하고, 다른 일측에 이탈방지부재(130)를 형성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부재(110)는, 지름의 길이를 크랭크축의 지름의 길이보다 약 1 ~ 3mm 정도 크게 형성하여, 크랭크축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축고정부(100)는, 본체부재(110)의 일단부 길이를 본체부재(110)에 삽입되는 크랭크축의 일단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여, 크랭크축이 본체부재(110)를 관통하여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1고정부재(120)는, 본체부재(110)의 일측에 형성되고, 액추에이터부(300)의 일측을 고정 설치하여, 액추에이터부(300)를 침대 하부에 고정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제1고정부재(120)는, 본체부재(11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액추에이터부(300)의 일측을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 설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고정부재(120)는, 단면이 'ㄷ'형태로 형성되어, 사이공간을 형성하며, 사이공간에 액추에이터부(300)의 제1장착부재(310)(도 6 참조)를 위치시켜 고정수단(예를 들면, 볼트 및 너트)을 이용하여 제1장착부재(310)를 고정 설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축고정부(100)는, 이탈방지부재(130), 제2고정부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탈방지부재(130)는, 본체부재(110)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액추에이터부(300)의 다른 일측을 지지하여, 액추에이터부(300)의 이탈을 방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이탈방지부재(130)는, 단면이 U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액추에이터부(300)의 다른 일측이 하부방향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지지해 주어 액추에이터부(3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제2고정부재(140)는, 본체부재(110)에 제1고정홀을 형성하고, 크랭크축에 제2고정홀을 형성하여, 제1고정홀과 제2고정홀에 삽입되어 본체부재(110)와 크랭크축을 고정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축고정부(100)는, 제2고정부재(140)를 이용하여 본체부재(110)와 크랭크축을 고정시켜 준 다음에, 제2고정부재(140)의 위치를 납땜 또는 용접을 하여, 본체부재(110)와 크랭크축을 더 단단하게 고정시켜줄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있는 제2고정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고정부재(140)는, 제1고정수단(141), 제2고정수단(142)을 포함한다.
제1고정수단(141)은, 제1고정홀을 관통한 다음에 제2고정홀에 관통하여, 본체부재(110)와 크랭크축을 연결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제1고정수단(141)은, 예를 들면 볼트로서, 본체부재(110)의 전측에 형성된 제1고정홀을 관통하고, 크랭크축의 전측에 형성된 제2고정홀을 관통한 다음에, 본체부재(110)의 후측에 형성된 제1고정홀을 관통하고, 크랭크축의 전후에 형성된 제2고정홀을 관통하여 본체부재(110)와 크랭크축을 연결해 줄 수 있다.
제2고정수단(142)은, 제1고정수단(141)에 체결되어, 본체부재(110)와 크랭크축을 고정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제2고정수단(142)은, 예를 들면 너트로서, 제1고정수단(141)이 본체부재(110)에 형성된 제1고정홀과 크랭크축에 형성된 제2고정홀을 관통하면, 본체부재(110)와 크랭크축를 관통한 제1고정수단(141)에 체결되어, 본체부재(110)에 크랭크축이 고정 설치되도록, 제1고정수단(141)을 조여줄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있는 축고정부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축고정부(100)는, 본체부재(110), 제1고정부재(120), 이탈방지부재(130), 제2고정부재(140), 막음부재(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부재(110), 제1고정부재(120), 이탈방지부재(130), 제2고정부재(140)는, 도 3의 구성요소와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 이하 그 설명을 생략하며,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막음부재(150)는, 본체부재(110)의 일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본체부재(110)의 일단부로 크랭크축의 일단부가 나오는 것을 막아준다.
일 실시 예에서, 막음부재(150)는, 본체부재(110)의 일단부(즉, 안내고정부(200)에서 안내받는 일단부)에 끼워져, 본체부재(110)와의 틈 사이를 납땜하여 고정 설치되거나, 본체부재(110)와의 틈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본체부재(11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막음부재(150)는, 본체부재(110)의 일단부(즉, 안내고정부(200)에서 안내받는 일단부)에 끼워진 다음에 고정수단(예를 들면, 볼트, 나사)을 이용하여 본체부재(11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막음부재(150)는, 단단한 재질(예를 들면, 금속)로 형성되어, 본체부재(110)의 일단부로 크랭크축의 일단부가 나오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축고정부(100)는, 본체부재(110)의 일단부 길이를 본체부재(110)에 삽입되는 크랭크축의 일단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고, 본체부재(110)의 일단부에 막음부재(150)를 끼움으로써, 크랭크축이 본체부재(110)를 관통하여 외부로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있는 액추에이터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액추에이터부(300)는, 제1장착부재(310), 제2장착부재(320)를 포함한다.
제1장착부재(310)는, 액추에이터부(30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축고정부(10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축고정부(100)에 장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장착부재(310)는, 예를 들면, 볼트 및 너트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축고정부(10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제2장착부재(320)는, 액추에이터부(300)의 다른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안내고정부(200)에 장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장착부재(320)는, 예를 들면, 볼트 및 너트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안내고정부(200)(즉, 고정바부재(210))(도 7 참조)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있는 안내고정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안내고정부(200)는, 두 개의 고정바부재(210), 로드고정부재(220), 안내부재(230)를 포함한다.
고정바부재(210)는, 하부에 로드고정부재(220)를 형성하고, 침대 하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며, 일정한 간격의 사이에 안내부재(230)를 고정 설치한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바부재(210)는, 하부에 홀을 형성하여, 일정한 간격의 사이에 홀에 대향하는 위치에 제2장착부재(320)가 위치하면, 로드고정부재(220)에 의해 제2장착부재(320)를 고정 설치할 수 있다.
로드고정부재(220)는, 고정바부재(2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액추에이터부(300)의 로드를 고정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로드고정부재(220)는, 예를 들면, 볼트 및 너트와 같은 고정수단으로서, 고정바부재(210)와 고정바부재(210)의 일정한 간격 사이에 안내부재(230)가 위치하면, 볼트를 삽입한 후에 너트로 고정시켜 고정바부재(210)에 안내부재(230)를 고정시켜 줄 수 있다.
안내부재(230)는, 고정바부재(210)의 사이에 고정 설치되어, 축고정부(100)의 좌우이동을 안내해 준다.
도 8은 도 7에 있는 안내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안내부재(230)는, 받침수단(231), 두 개의 고정수단(232), 롤러(233)를 포함한다.
받침수단(231)은, 중앙 부분에 롤러(233)를 고정 설치하고, 고정바부재(210)의 사이에 고정수단(232)에 의해 고정 설치되어, 크랭크축을 받쳐준다.
일 실시 예에서, 받침수단(231)은, 고정수단(232)에 의해 고정바부재(210)의 사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받침수단(231)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중앙 부분에 고정 설치한 롤러(233)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고정수단(232)은, 받침수단(231)의 양측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받침수단(231)을 고정바부재(210)에 고정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수단(232)은, 예를 들면, 볼트 또는 나사 또는 못으로서, 받침수단(231)을 고정바부재(210)의 사이에 고정 설치시켜줄 수 있다.
롤러(233)는, 받침수단(231)의 중앙 부분에 고정 설치되어, 축고정부(100)의 좌우이동을 안내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롤러(233)는, 축고정부(100)의 좌우이동을 안내해주며 축고정부(100)가 이동하지 않을 시에, 축고정부(100)가 하부방향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축고정부(100)를 지지해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침대 각도 조절 장치
100: 축고정부
110: 본체부재
120: 제1고정부재
130: 이탈방지부재
140: 제2고정부재
141: 제1고정수단
142: 제2고정수단
150: 막음부재
200: 안내고정부
210: 고정바부재
220: 로드고정부재
230: 안내부재
231: 받침수단
232: 고정수단
233: 롤러
300: 액추에이터부
310: 제1장착부재
320: 제2장착부재

Claims (10)

  1. 침대 하부에 형성되어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며 침대의 등받이를 올려주기 위한 크랭크축에 고정 설치되기 위한 축고정부;
    침대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축고정부의 좌우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고정부; 및
    일측이 상기 축고정부에 고정 설치되고, 다른 일측이 상기 안내고정부에 장착되어, 외부입력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올림신호에 따라 다른 일측에 형성된 로드가 구동되어 움직이면서 상기 축고정부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외부입력장치로부터 전달되는 내림신호에 따라 로드가 구동되어 움직이면서 상기 축고정부를 좌측방향으로 이동시켜, 크랭크축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주기 위한 액추에이터부를 포함하되,
    상기 축고정부는,
    좌우길이방향으로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침대 하부의 크랭크축을 삽입하여 크랭크축에 고정 설치되기 위한 본체부재; 및
    상기 본체부재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액추에이터부의 일측을 고정 설치하여, 상기 액추에이터부를 침대 하부에 고정시켜 주기 위한 제1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각도 조절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고정부는,
    상기 본체부재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액추에이터부의 다른 일측을 지지하여, 상기 액추에이터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각도 조절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고정부는,
    상기 본체부재에 제1고정홀을 형성하고, 크랭크축에 제2고정홀을 형성하여, 상기 제1고정홀과 상기 제2고정홀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부재와 크랭크축을 고정시켜 주기 위한 제2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각도 조절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재는,
    상기 제1고정홀을 관통한 다음에 상기 제2고정홀에 관통하여, 상기 본체부재와 크랭크축을 연결해 주기 위한 제1고정수단; 및
    상기 제1고정수단에 체결되어, 상기 본체부재와 크랭크축을 고정시켜 주기 위한 제2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각도 조절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고정부는,
    상기 본체부재의 일단부 길이를 상기 본체부재에 삽입되는 크랭크축의 일단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각도 조절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고정부는,
    상기 본체부재의 일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재의 일단부로 크랭크축의 일단부가 나오는 것을 막아주기 위한 막음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각도 조절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부는,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축고정부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축고정부에 장착되기 위한 제1장착부재; 및
    다른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안내고정부에 장착되기 위한 제2장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각도 조절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고정부는,
    침대 하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는 두 개의 고정바부재;
    상기 고정바부재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액추에이터부의 로드를 고정시켜 주기 위한 로드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바부재의 사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축고정부의 좌우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각도 조절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고정바부재의 사이에 고정 설치되어, 크랭크축을 받쳐주기 위한 받침수단;
    상기 받침수단의 양측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상기 받침수단을 고정바부재에 고정시켜 주기 위한 두 개의 고정수단; 및
    상기 받침수단의 중앙 부분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축고정부의 좌우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각도 조절 장치.
KR1020160035951A 2016-03-25 2016-03-25 침대 각도 조절 장치 KR101846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951A KR101846654B1 (ko) 2016-03-25 2016-03-25 침대 각도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951A KR101846654B1 (ko) 2016-03-25 2016-03-25 침대 각도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117A KR20170111117A (ko) 2017-10-12
KR101846654B1 true KR101846654B1 (ko) 2018-04-09

Family

ID=60141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5951A KR101846654B1 (ko) 2016-03-25 2016-03-25 침대 각도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665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740Y1 (ko) * 2013-12-18 2014-12-29 장현정 침대 등받이판의 각도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740Y1 (ko) * 2013-12-18 2014-12-29 장현정 침대 등받이판의 각도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117A (ko)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2851B1 (ko) 베개 자세조절장치
KR101623255B1 (ko) 환자용 침대
KR101361473B1 (ko) 충돌 방지 스위치의 스위치 작동 조절 장치 및 이를 채용한 의료용 진단기기용 테이블
US20140237723A1 (en) Adjustable bed
EP2314267B1 (en) Hospital bed with adjustable sleeping surface
CN105266457A (zh) 一种可电动调节的支撑装置
TWI679953B (zh) 可調整座椅高度之傢俱構件
TWI679954B (zh) 可調整座椅深度之傢俱構件
JP2010252905A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に備えられた背揉み装置及びこの背揉み装置を備えた椅子型マッサージ機
CN110840135A (zh) 一种椅子
KR101846654B1 (ko) 침대 각도 조절 장치
JP2008126692A (ja) 車両のシート移動装置
TWI677306B (zh) 傢俱構件之腳墊機構
KR101220612B1 (ko) 착석과 기립시 이동이 가능한 이동보조기
KR200475740Y1 (ko) 침대 등받이판의 각도조절장치
KR101560750B1 (ko)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
CN110859742A (zh) 一种椅架及其按摩装置
JP5107181B2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
KR101829277B1 (ko) 반도체 패키지 프레스 장치
KR200481575Y1 (ko) 전동수동겸용 병원침대 전동전환장치
CN211723864U (zh) 一种椅架
KR20160003687U (ko) 내구성이 강화된 병원용 전동침대
JP4057006B2 (ja) 床擦れ防止装置
CN211511154U (zh) 一种椅子
KR20170014915A (ko) 의료용 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0001607;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80529

Effective date: 2019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