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9817B1 - 통신 네트워크들에서의 감쇠 레벨 기반 연계 - Google Patents

통신 네트워크들에서의 감쇠 레벨 기반 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9817B1
KR101559817B1 KR1020147006261A KR20147006261A KR101559817B1 KR 101559817 B1 KR101559817 B1 KR 101559817B1 KR 1020147006261 A KR1020147006261 A KR 1020147006261A KR 20147006261 A KR20147006261 A KR 20147006261A KR 101559817 B1 KR101559817 B1 KR 101559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device
target network
client
determining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6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7159A (ko
Inventor
스리니바스 카타르
로렌스 더블유. 3세. 영
로렌스 더블유. 3세. 영
리차드 어니스트 뉴맨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47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7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9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9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1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a wired telecommunication network or a data transmission b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4Negotiation of communication capabil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50Charging stations characterised by energy-storage or power-gener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5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involving identification of vehicles or their battery ty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7Controlling two or more charging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H02J13/0062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6Charger exchanging data with batte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provisions for charging different types of batt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71Wireles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8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repeating transmission, e.g. Verdan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2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certific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6Special purpose or proprietary protocols or archite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47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digital signa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6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certificates, e.g. public key certificate [PKC] or attribute certificate [AC];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9Authentication using certificates or pre-shared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45Authentication, i.e. circuits for checking compatibility between one component, e.g. a battery or a battery charger, and another component, e.g. a power 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84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2Remote or cooperative charg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4Details associated with the interoperability, e.g. vehicle recognition, authentication, identification or bil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4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d telecommunication networks or data transmission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전기 자동차는 충전 스테이션들 중의 하나에 보안성 있게 접속하여 그로부터 전력을 수신하기 위하여 충전 설비 내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충전 스테이션들과의 연계 절차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기 자동차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을 충전 스테이션들로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고, 이에 응답하여, 충전 스테이션들 중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충전 스테이션으로부터 감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는 전기 자동차가 어느 충전 스테이션과 연계해야 하는지를 식별하기 위하여(예를 들어, 어느 충전 스테이션이 전력을 전기 자동차에 제공해야 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충전 스테이션들로부터 수신된 감쇠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전기 자동차는 식별된 충전 스테이션과 연계할 수 있다(그리고 그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음).

Description

통신 네트워크들에서의 감쇠 레벨 기반 연계{ATTENUATION LEVEL BASED ASSOCIA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본 출원은 2011년 8월 10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1/522,184호의 우선권 이익과, 2012년 8월 1일자로 출원된 미국 출원 제13/564,358호의 우선권 이익을 주장한다.
발명의 청구 대상의 실시예들은 일반적으로 통신 네트워크들의 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통신 네트워크들에서의 감쇠 레벨 기반 연계(attenuation level based association)를 위한 메커니즘에 관한 것이다.
전기 자동차는 전형적으로 기존의 파워 아울렛(power outlet) 또는 전용 충전 스테이션(charging station)으로부터 충전한다. 충전 스테이션으로부터 파워(power)를 수신하기 전에, 전기 자동차는 충전 설비 내의 적절한 충전 스테이션에 접속하고 이와 연계할 수 있다. 또한, 충전 스테이션은 전기 자동차의 이용자가 전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전력에 대해 지불하기 위한 적절한 권한을 가진다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네트워크들 중의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적어도 서브세트(subset)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멀티-네트워크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들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상기 서브세트의 적어도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서브세트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수신된 감쇠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으로 하여,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네트워크들에서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 연계할 디바이스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멀티-네트워크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들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상기 서브세트의 적어도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서브세트가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입증하는(validate)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된 보안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로 통신 파라미터들에 대한 요청을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상기 서브세트의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서브세트의 적어도 각각으로부터, 상기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된 통신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상기 서브세트의 적어도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서브세트로부터, 상기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된 상기 통신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것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으로 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상기 서브세트의 적어도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서브세트로 송신될 멀티-네트워크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들의 수를 적어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로 통신 파라미터들에 대한 요청을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된 상기 통신 파라미터들을 수신하기 위한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을 개시하는 단계;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이 경과한 것으로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통신 파라미터들이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의 임의의 것으로부터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통신 파라미터들이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상기 서브세트의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서브세트로부터 수신된 것으로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상기 서브세트의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서브세트 중 연계할 서브세트를 결정하기 위하여 연계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파라미터들이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의 임의의 것으로부터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 파라미터들에 대한 상기 요청을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로 다시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상기 서브세트의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서브세트의 각각으로부터, 상기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된 상기 통신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것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으로 하여,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 연계할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보안 동작들을 실행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 연계할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보안 동작들의 실행을 결정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된 보안 정보를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상기 서브세트의 적어도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서브세트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상기 서브세트의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서브세트의 적어도 각각과 연계된 보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된 상기 보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의 후속 송신들을 서명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된 상기 보안 정보로 서명되어 있는 후속 송신들을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상기 서브세트의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서브세트의 각각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상기 서브세트의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서브세트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된 상기 통신 파라미터들은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되어야 할 서비스 정합(matching) 메시지들의 수, 상기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이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되어야 할 최대 시간 간격, 및 보안 통신들이 상기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지원되어야 하는지 여부의 표시 중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표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상기 서브세트의 적어도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서브세트의 대응하는 각각으로부터 복수의 통신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단계; 통신 파라미터들의 통합된 세트(set)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수신된 통신 파라미터들을 조합하는 단계; 및 통신 파라미터들의 상기 통합된 세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으로 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상기 서브세트의 적어도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서브세트로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멀티-네트워크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들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 연계할 디바이스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상기 서브세트의 적어도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서브세트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수신된 감쇠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으로 하여,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의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통신 링크를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의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의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통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의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통지를 송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방법은,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의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된 네트워크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네트워크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확인 메시지를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의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의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상기 통신 링크를 설정하여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의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수신된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네트워크 파라미터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으로 하여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의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된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의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된 상기 네트워크의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네트워크 파라미터들은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의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상기 네트워크와 연계된 네트워크 식별자, 디바이스 어드레스, 및 보안 정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의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해야 함을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의 상기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네트워크와 연계된 네트워크 파라미터들을 표시하는 통지를,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의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의 상기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상기 네트워크와 연계된 상기 네트워크 파라미터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으로 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의 상기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된 제 1 진폭 맵을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의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의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된 제 2 진폭 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진폭 맵 및 상기 제 2 진폭 맵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으로 하여,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의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송신 파워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플러그-인 전기 자동차(PEV : plug-in electric vehicle)이고,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각각은 전기 자동차 공급 장비(EVSE : 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스테이션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상기 서브세트의 적어도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서브세트로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멀티-네트워크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들을 송신하기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멀티-네트워크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들의 송신의 시작을 표시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상기 서브세트의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서브세트로 통지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지 메시지는 송신될 멀티-네트워크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들의 최대 수,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멀티-네트워크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들이 송신될 최대 시간 간격, 및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식별자 중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식별자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상기 서브세트의 적어도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서브세트로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멀티-네트워크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들을 송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방법은,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상기 서브세트의 적어도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서브세트로부터 상기 감쇠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을 개시하는 단계;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이 경과한 것으로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감쇠 정보가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의 임의의 것으로부터 수신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감쇠 정보가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상기 서브세트의 적어도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서브세트로부터 수신된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네트워크들에서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 연계할 디바이스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감쇠 정보가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의 임의의 것으로부터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멀티-네트워크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들을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상기 서브세트의 적어도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서브세트로 재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네트워크들에서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 연계할 디바이스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최저 감쇠 레벨로 연계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의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네트워크들에서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 연계할 디바이스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그리고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상기 서브세트의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서브세트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수신된 송신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으로 하여 상기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된 감쇠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상기 서브세트의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서브세트로부터 수신된 감쇠 정보에 기반으로 하여, 그리고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상기 서브세트의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서브세트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결정된 상기 감쇠 레벨에 기반으로 하여,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의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네트워크들에서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 연계할 디바이스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적어도 하나와 연계된 감쇠 레벨이 미리 결정된 감쇠 임계치보다 작은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적어도 하나와 연계된 상기 감쇠 레벨이 상기 미리 결정된 감쇠 임계치보다 작은 것으로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네트워크들에서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 연계할 디바이스를 결정하는 단계; 및 대응하는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과 연계된 상기 감쇠 레벨들 중의 어떤 것도 상기 미리 결정된 감쇠 임계치보다 작지 않은 것으로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상기 서브세트의 적어도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서브세트로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멀티-네트워크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들을 재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네트워크들에서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 연계할 디바이스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 연계할 디바이스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상기 서브세트의 적어도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서브세트로부터 수신된 상기 감쇠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의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의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통지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의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하기 위하여 중앙 조정자 디바이스로부터 통지를 수신하는 단계 중의 하나의 단계에 기반으로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네트워크들 중의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상기 서브세트의 적어도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서브세트로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멀티-네트워크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네트워크들 중의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로 감소된 송신 파워 레벨로 멀티-네트워크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들의 제 1 세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의 임의의 것으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네트워크들 중의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로 이전의 송신 파워 레벨들보다 각각 더 큰 증가하는 송신 파워 레벨들로 멀티-네트워크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들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후속 세트들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상기 서브세트의 적어도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서브세트로부터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상기 서브세트의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서브세트로 상기 감소된 송신 파워 레벨로 멀티-네트워크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들의 제 3 세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클라이언트 동작 모드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각각은 마스터 동작 모드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서비스 제공자에서,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멀티-네트워크 서비스 정합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서 수신된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멀티-네트워크 서비스 정합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들을 분석하는 것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으로 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서비스 제공자와 연계된 감쇠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자와 연계된 상기 감쇠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으로 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요청을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에 응답하여, 상기 방법은,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네트워크들의 복수의 다른 서비스 제공자들과 연계된 감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자와 연계된 상기 감쇠 정보와, 상기 복수의 다른 서비스 제공자들로부터 수신된 상기 감쇠 정보에 기반으로 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2 서비스 제공자와 연계해야 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2 서비스 제공자의 네트워크와 연계된 네트워크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서비스 제공자와 연계하고 상기 제 2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상기 서비스를 수신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서비스 제공자의 상기 네트워크와 연계된 상기 네트워크 파라미터들을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된 보안 정보가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서 수신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된 보안 정보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서 수신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서비스 제공자와 연계된 보안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자와 연계된 상기 보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의 후속 송신들을 서명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된 보안 정보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서 수신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의 후속 송신들을 서명하지 않도록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와 연계된 상기 보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의 후속 송신들을 서명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된 상기 보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의 후속 송신들을 암호화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네트워크와 연계된 네트워크 파라미터들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논리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상기 네트워크와 연계된 상기 네트워크 파라미터들로 상기 서비스 제공자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네트워크 파라미터들은 네트워크 식별자 및 네트워크 멤버쉽 키(key)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상기 논리 네트워크를 형성한 후,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인증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동작들을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성공적으로 인증한 후, 상기 서비스를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멀티-네트워크 서비스 정합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들의 송신의 시작을 표시하는 통지 메시지를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멀티-네트워크 서비스 정합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들의 상기 송신의 상기 시작을 표시하는 상기 통지 메시지를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멀티-네트워크 서비스 정합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들을 수신하기 위한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을 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이 경과한 것으로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서비스 제공자와 연계된 상기 감쇠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서비스 제공자와 연계된 상기 감쇠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및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된 통신 대역 내의 복수의 마스킹되지 않은(unmasked) 주파수 캐리어들의 미리 결정된 수를 복수의 캐리어 그룹들로 그룹화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캐리어 그룹들 각각에 대하여, 상기 통신 대역에서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멀티-네트워크 서비스 정합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들을 수신하는 것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으로 하여, 상기 캐리어 그룹과 연계된 평균 감쇠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캐리어 그룹들의 수 및 상기 복수의 캐리어 그룹들의 각각과 연계된 상기 평균 감쇠 레벨을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서비스 제공자와 연계된 상기 감쇠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멀티-네트워크 서비스 정합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들의 미리 결정된 수를 수신하는 단계, 최종 멀티-네트워크 서비스 정합 브로드캐스트 메시지가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멀티-네트워크 서비스 정합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들을 송신하기 위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할당된 시간 간격이 경과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중의 하나의 단계에 응답하고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충전 스테이션에서 입증 동작들을 실행하기 위하여, 그리고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할 것인지 여부와, 상기 서비스를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제공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낮은 대역폭의 대역외(out-of-band) 통신 매체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충전 스테이션에서 입증 동작들을 실행하기 위하여 상기 낮은 대역폭의 대역외 통신 매체를 사용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와 연계된 충전 케이블을 따라 파일럿 신호의 듀티 사이클을 수정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된 상기 파일럿 신호의 듀티 사이클을 결정하도록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요청하는 입증 요청 메시지를 상기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된 상기 파일럿 신호의 상기 듀티 사이클의 표시를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측정된 듀티 사이클이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된 상기 듀티 사이클과 정합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측정된 상기 듀티 사이클이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된 상기 듀티 사이클과 정합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측정된 상기 듀티 사이클이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된 상기 듀티 사이클과 정합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와 커플링된 연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연계 유닛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멀티-네트워크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들을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네트워크들 중의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적어도 서브세트로 송신하고; 그리고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상기 서브세트의 적어도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서브세트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수신된 감쇠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으로 하여,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네트워크들에서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 연계할 디바이스를 결정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연계 유닛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로 통신 파라미터들에 대한 요청을 브로드캐스팅하고;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상기 서브세트의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서브세트의 적어도 각각으로부터, 상기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된 통신 파라미터들을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상기 서브세트의 적어도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서브세트로부터, 상기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된 상기 통신 파라미터들을 상기 연계 유닛이 수신하는 것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으로 하여,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상기 서브세트의 적어도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서브세트로 송신될 멀티-네트워크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들의 수를 적어도 결정하도록 더 동작가능하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연계 유닛은,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상기 서브세트의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서브세트의 적어도 각각으로부터, 상기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된 상기 통신 파라미터들을 상기 연계 유닛이 수신하는 것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으로 하여,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 연계할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보안 동작들을 실행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 연계할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보안 동작들의 실행을 상기 연계 유닛이 결정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된 보안 정보를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상기 서브세트의 적어도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서브세트로 송신하고;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상기 서브세트의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서브세트의 적어도 각각과 연계된 보안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된 상기 보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의 후속 송신들을 서명하고; 그리고 상기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된 상기 보안 정보로 서명되어 있는 후속 송신들을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상기 서브세트의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서브세트의 각각으로부터 수신하도록 더 동작가능하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서비스 제공자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커플링된 연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연계 유닛은,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멀티-네트워크 서비스 정합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들을 수신하고; 상기 연계 유닛이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멀티-네트워크 서비스 정합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들을 분석하는 것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으로 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서비스 제공자와 연계된 감쇠 정보를 송신하고; 그리고 상기 서비스 제공자와 연계된 상기 감쇠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으로 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요청을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연계 유닛은,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된 보안 정보가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된 보안 정보가 수신된 것으로 상기 연계 유닛이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와 연계된 보안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고, 그리고 상기 서비스 제공자와 연계된 상기 보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의 후속 송신들을 서명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및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된 보안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상기 연계 유닛이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의 후속 송신들을 서명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더 동작가능하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연계 유닛이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할 것인지를 결정하도록 동작가능한 것은, 상기 연계 유닛이 충전 스테이션에서 입증 동작들을 실행하기 위하여, 그리고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할 것인지 여부와, 상기 서비스를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제공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낮은 대역폭의 대역외 통신 매체를 사용하도록 동작가능한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프로세서들이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이 저장되어 있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기계-판독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되고, 상기 동작들은,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네트워크들 중의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적어도 서브세트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멀티-네트워크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들을 송신하는 동작; 및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상기 서브세트의 적어도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서브세트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수신된 감쇠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으로 하여,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네트워크들에서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 연계할 디바이스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 연계할 디바이스를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상기 서브세트의 적어도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서브세트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수신된 상기 감쇠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으로 하여,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의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동작;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의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통신 링크를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의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의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통지를 송신하는 동작;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의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해야 함을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의 상기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네트워크와 연계된 네트워크 파라미터들을 표시하는 통지를,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의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의 상기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상기 네트워크와 연계된 상기 네트워크 파라미터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으로 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의 상기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하도록 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프로세서들이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이 저장되어 있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기계-판독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되고, 상기 동작들은, 서비스 제공자에서,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멀티-네트워크 서비스 정합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들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서 수신된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멀티-네트워크 서비스 정합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들을 분석하는 것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으로 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서비스 제공자와 연계된 감쇠 정보를 송신하는 동작; 및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자와 연계된 상기 감쇠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으로 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요청을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서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요청을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서 수신하는 동작은, 충전 스테이션에서 입증 동작들을 실행하기 위하여, 그리고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할 것인지 여부와, 상기 서비스를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제공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낮은 대역폭의 대역외 통신 매체를 사용하는 동작을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적어도 서브세트로부터 수신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통신 파라미터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으로 하여,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적어도 상기 서브세트로 송신할 멀티-네트워크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들의 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네트워크들 중의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적어도 상기 서브세트로 상기 결정된 수의 멀티-네트워크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들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상기 서브세트의 적어도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서브세트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수신된 감쇠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으로 하여,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네트워크들에서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 연계할 디바이스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연계할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보안 동작들을 실행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 연계할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보안 동작들의 실행을 결정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된 보안 정보를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상기 서브세트의 적어도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서브세트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상기 서브세트의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서브세트의 적어도 각각과 연계된 보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된 상기 보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의 후속 송신들을 서명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된 상기 보안 정보로 서명되어 있는 후속 송신들을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상기 서브세트의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서브세트의 각각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네트워크들에서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 연계할 디바이스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의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의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통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의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해야 함을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의 상기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네트워크와 연계된 네트워크 파라미터들을 표시하는 통지를,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의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의 상기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상기 네트워크와 연계된 상기 네트워크 파라미터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으로 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의 상기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들은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함으로써 더 양호하게 이해될 수 있고 다수의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당업자들에게 명백해질 수 있다.
도 1은 전기 자동차와 충전 설비 내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충전 스테이션들 사이의 연계 절차를 예시하는 예시적인 개념도이다.
도 2는 통신 네트워크의 서비스 제공자와의 통신 링크를 설정하기 위해 연계 절차를 실행하는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동작들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의 계속이며, 또한, 통신 네트워크의 서비스 제공자와의 통신 링크를 설정하기 위해 연계 절차를 실행하는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동작들을 예시한다.
도 4는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계 절차를 실행하는 서비스 제공자의 예시적인 동작들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의 계속이며, 또한,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계 절차를 실행하는 서비스 제공자의 예시적인 동작들을 예시한다.
도 6은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감쇠 레벨 기반 연계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의 하나의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뒤따르는 설명은 본 발명의 청구 대상의 기술들을 구현하는 예시적인 시스템들, 방법들, 기술들, 명령 시퀀스(instruction sequence)들, 및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설명된 실시예들은 이 특정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예를 들어, 예들은 전력선 통신(PLC : powerline communication) 네트워크(예를 들어, HomePlug® Green PHY 네트워크)에서 감쇠 레벨 기반 연계 절차를 실행하는 것을 지칭하지만, 실시예들은 그렇게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신호 레벨 감쇠 특성화를 위해 여기에서 설명된 동작들은 다른 적당한 공유형 통신 네트워크(shared communication network)들(예를 들어, HomePlug AV 네트워크, MoCA(Multimedia over Coax Alliance) 네트워크, EoC(Ethernet over Coax), IEEE 802.11 네트워크들과 같은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LAN : wireless local area network)들, 등)에서 실행될 수 있다. 다른 인스턴스들에서는, 설명을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하여 잘 알려진 명령 인스턴스들, 프로토콜들, 구조들, 및 기술들이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았다.
전기 자동차와 충전 스테이션 사이의 통신은 전기 자동차를 충전 설비 내의 충전 스테이션에 접속하기 위해 이용되는 파워 케이블(power cable)을 이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통신들을 교환하기 위해 파워 케이블을 이용하는 것은 신호 누설을 초래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전기 자동차에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은 (충전 설비의) 다른 충전 스테이션들이 또한 전기 자동차에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충전 스테이션을 위해 의도된 신호를 (예를 들어, RF 커플링을 통해) 수신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기 자동차는 충전 설비 내의 다수의 충전 스테이션들을 검출(예를 들어, 상기 충전 스테이션들로부터 응답 메시지들을 수신)할 수 있고,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이로부터 전력을 수신해야 하는 충전 스테이션들 중의 하나를 식별하고 이와 연계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기 자동차와 충전 설비 내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충전 스테이션들은 전기 자동차와 적절한 충전 스테이션 사이의 연계 절차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연계 절차에 따르면, 전기 자동차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서비스 정합 메시지(service matching message)들을 충전 설비 내의 충전 스테이션들에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기 위하여 멀티-네트워크 브로드캐스트 통신(multi-network broadcast communication)들을 이용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에 응답하여 충전 스테이션들 중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충전 스테이션으로부터 감쇠 정보(예를 들어, 측정된 신호 레벨)를 수신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는 어느 충전 스테이션이 전기 자동차에 전력을 제공해야 하는지를 식별하기 위해(즉, 전기 자동차를 위한 "정합된(matched)" 충전 스테이션을 식별하기 위해) 충전 스테이션들로부터 수신된 감쇠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기 자동차는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과 연계할 수 있다(그리고 상기 충전 스테이션으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음). 전기 자동차가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충전 스테이션을 자동으로 검출하기 위해 다수의 충전 스테이션들로부터 수신된 감쇠 정보(또는 검출된 신호 레벨 정보)를 이용하는 이러한 연계 절차는 사용자를 위한 전기 자동차 충전 프로세스를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기 자동차 및 충전 스테이션들은 전기 자동차와 충전 스테이션들 사이에서 교환되는 메시지들을 그 각각의 암호화 키(encryption key)들로 서명(sign)함으로써 보안 연계 절차를 채용할 수 있다. 보안 연계 절차를 이용하는 것은 전기 자동차와 충전 스테이션들이 각각의 수신된 통신을 입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것은 강한 신호들을 발생시키는 악의적인 전기 자동차들이 합법적인 전기 자동차 대신에 정합되지 않는 것(그리고 서비스를 받지 않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각각의 통신이 번호가 매겨지고, 그 다음으로, 서명되고 및/또는 암호화되는 보안 연계 절차를 실행하는 것은 재전송 공격(replay attack)들 및 도용된 메시지들의 송신/수신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전기 자동차와 충전 설비(100) 내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충전 스테이션들 사이의 연계 절차를 예시하는 예시적인 개념도이다. 도 1에서, 충전 설비(100)는 전기 자동차(102) 및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을 포함한다. 전기 자동차(102)는 통신 유닛(104)을 포함한다. 통신 유닛(104)은 연계 유닛(112)을 포함한다. 충전 스테이션(106)도 또한 통신 유닛(114)을 포함한다. 통신 유닛(114)은 연계 유닛(116)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충전 스테이션들(108 및 110)은 통신 유닛 및 연계 유닛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연계 절차를 실행하고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을 식별하기 위한 기능부(예를 들어, 통신 유닛(104) 또는 통신 유닛(114))는 집적 회로(IC : integrated circuit), 시스템-온-어-칩(SoC : system-on-a-chip), 주문형 IC(ASIC : application specific IC) 등과 같은 적당한 회로 기판상에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연계 절차를 실행하기 위한 기능부는 회로 기판상의 다수의 칩들, 다수의 회로 기판들, 등에 걸쳐 구현될 수 있다. 통신 유닛(104)은 전기 자동차(102)가 충전 설비(100) 내의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 중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충전 스테이션들과 통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프로토콜들 및 기능부를 구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충전 스테이션(106)의) 통신 유닛(114)은 충전 스테이션(106)이 전기 자동차(102)와 (그리고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다른 충전 스테이션들(108 및 110)과) 통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프로토콜들 및 기능부를 구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충전 설비(100)는 공유형 통신 네트워크(예를 들어, HomePlug® Green PHY 네트워크와 같은 전력선 통신(PLC) 네트워크)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충전 설비(100)는 다른 적당한 유형들의 네트워크들(예를 들어, EoC(Ethernet over Coax), IEEE 802.11 네트워크들과 같은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LAN)들, 등)일 수 있다.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은 무선 통신 프로토콜들(예를 들어, WLAN, 블루투스(Bluetooth), 등)을 이용하여 또는 유선 통신 프로토콜들(예를 들어, PLC, 이더넷(Ethernet), 등)을 이용하여 통신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연계 절차는 전기 자동차(102)와 충전 설비(100)의 충전 스테이션들 중의 하나 사이의 연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HomePlug® Green PHY 사양의 신호 레벨 감쇠 특성화(SLAC : Signal Level Attenuation Characterization) 절차의 메시지들 및 프레임워크(framework)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된다. 도 1 내지 도 5는 HomePlug Green PHY 사양의 SLAC 절차의 예들을 이용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연계 절차가 다른 적당한 통신 기술들의 메시지들 및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연계 기능부를 구현하는 회로 기판은 전기 자동차의 일부로서 그리고 또한 충전 스테이션의 일부로서도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연계 절차를 개시하기 이전에, 전기 자동차(102)는 슬레이브/클라이언트(slave/client) 동작 모드로 구성될 수 있는 반면,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은 마스터(master) 동작 모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102)의 Green PHY 모듈(예를 들어, 통신 유닛(104))은 네트워크의 중앙 조정자(central coordinator)가 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전기 자동차(102)의 상위 계층 엔티티(HLE : Higher Layer Entity)는 전기 자동차가 연결되는 네트워크의 중앙 조정자가 되는 것이 아니라, 그 대신에, 네트워크의 클라이언트/슬레이브가 되도록 전기 자동차(102)의 Green PHY 모듈을 구성하기 위해 적당한 메시지(예를 들어, APCM_SET_CCo.REQ 프리미티브(primitive))를 제공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102)의 Green PHY 모듈은 전기 자동차가 클라이언트 동작 모드로 성공적으로 구성되었음을 표시하기 위하여 전기 자동차(102)의 HLE에 확인 메시지(예를 들어, APCM_SET_CCo.CNF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102)는 또한 연계 절차를 개시하고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의 송신기가 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102)의 HLE는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의 송신기와 연계되는 연계 절차의 그러한 동작들을 실행하도록 전기 자동차(102)의 Green PHY 모듈(예를 들어, 통신 유닛(104))을 구성하기 위해 적당한 메시지(예를 들어, APCM_CONF_SLAC.REQ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102)의 Green PHY 모듈은 성공적인 구성을 표시하기 위하여 전기 자동차(102)의 HLE에 확인 메시지(예를 들어, APCM_CONF_SLAC.CNF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충전 스테이션(106)의 Green PHY 모듈(예를 들어, 충전 스테이션(106)의 통신 유닛(114))은 네트워크의 중앙 조정자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충전 스테이션(106)의 HLE는 충전 스테이션(106)이 연결되는 네트워크의 중앙 조정자가 되도록 충전 스테이션(106)의 Green PHY 모듈을 구성하기 위해 적당한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충전 스테이션(106)의 HLE는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의 수신기와 연계되는 연계 절차의 그러한 동작들을 실행하도록 충전 스테이션(106)의 Green PHY 모듈을 구성하기 위해 적당한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전기 자동차(102) 및 충전 스테이션(106)을 적절한 동작 모드로 구성하기 위해 다른 적당한 기술들 및 통신 프로토콜들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그러나, 전기 자동차(102) 및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의 구성은 구현 종속적일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전기 자동차(102) 및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은 제조 프로세스 동안 또는 설치 전에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동작 모드 또는 마스터 동작 모드로) 영구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전기 자동차(102) 및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은 연계 절차가 개시되기 전에 상황에 맞게(on-the-fly)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은 제조 프로세스 동안에 영구적으로 구성될 수 있는 반면; 전기 자동차(102)는 연계 절차가 개시되기 전에 동적으로 구성될 수 있거나, 그 반대도 성립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전기 자동차(102) 및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 내의 Green PHY 모듈들은 이 모듈들이 전기 자동차 또는 충전 스테이션의 일부인지를 자동으로 검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자신들을 자동으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스테이션(106)의 구성은 전기 자동차(102)가 충전 스테이션(106)과 연계되는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단계들(A - F)에서 이하에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전기 자동차(102)는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 중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충전 스테이션으로부터 수신된 감쇠 정보(또는 신호 레벨 정보)에 기반으로 하여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 중의 하나와 연계하고 이로부터 전력을 수신하기 위하여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과의 연계 절차를 실행할 수 있다.
단계(A)에서, 전기 자동차(102)의 연계 유닛(112)은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 중의 하나와의 통신 링크를 설정하기 위한 연계 파라미터들에 대한 요청을 송신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기 자동차(102)(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의 상위 레벨 엔티티(HLE : higher level entity))는 전기 자동차(102)가 충전 코드셋(charging cordset)을 이용하여 충전 스테이션에 접속되어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연계 유닛(112)은 통신 파라미터들에 대한 요청("통신 파라미터들 요청 메시지")을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연계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통신 파라미터들 요청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한 후, 연계 유닛(112)은 또한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 중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충전 스테이션으로부터의 통신 파라미터들의 수신을 추적하기 위하여 통신 파라미터들 타이머(communication parameters timer)를 시작시킬 수도 있다. 통신 파라미터들 요청 메시지의 일부로서, 연계 유닛(112)은 또한 보안 연계 절차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표시할 수도 있다. 보안 연계 절차에 따르면, 전기 자동차(102) 및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은 수신자(recipient)가 통신들을 수락하기 위한 모든 후속 통신들을 서명/암호화할 수 있다.
단계(B)에서, 전기 자동차(102)의 연계 유닛(112)은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 중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충전 스테이션으로부터 통신 파라미터들을 수신한다.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은 전기 자동차(102)의 거동(behavior)을 제어하기 위하여 통신 파라미터들을 이용할 수 있다. 통신 파라미터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의 각각은 충전 스테이션과 연계된 통신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통신 파라미터들 응답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의 각각은 또한 그 각각의 통신 파라미터들 응답 메시지에서, 충전 스테이션이 보안 연계 절차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은 또한 어떤 유형의 보안 메커니즘들이 채용되어야 하는지를 협상하도록 시도할 수도 있다.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의 각각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5에서 이하에 더 논의되는 바와 같이, 통신 파라미터들은 충전 스테이션으로 송신되어야 하는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의 수 및 다른 적당한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것에 기반으로 하여, 전기 자동차(102)의 연계 유닛(112)은 또한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과의 보안 연계 절차를 실행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연계 유닛(112)이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과의 보안 연계 절차가 실행되어야 한다고 결정하는 경우, (단계(C)에서 이하에 설명되는)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을 송신하기 이전에, 연계 유닛(112)은 또한 보안 정보(예를 들어, 공개 키 인증서(public key certificate)들)를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로 송신할 수 있고,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과 연계된 보안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보안 연계 절차가 실행되는 경우, 전기 자동차(102)와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 사이의(그리고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과 전기 자동차(102) 사이의) 후속 통신들이 적절한 보안 정보로 서명될 수 있다.
단계(C)에서, 연계 유닛(112)은 수신된 통신 파라미터들에 기반으로 하여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을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로 송신한다. 예를 들어,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로부터 수신된 통신 파라미터들에 기반으로 하여, 연계 유닛(112)은 얼마나 많은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이 브로드캐스팅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연계 유닛(112)은 멀티-네트워크 브로드캐스트(MNBC : multi-network broadcast) 통신을 이용하여 결정된 수의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멀티-네트워크 사운드(sound)들 또는 M-사운드들이라고도 또한 지칭됨)을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연계 유닛(112)이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과 보안 연계 절차가 실행되어야 한다고 결정하는 경우, 연계 유닛(112)은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을 브로드캐스팅하기 이전에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에 서명할 수 있다.
단계(D)에서,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은 수신된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으로 하여 그 각각의 감쇠 정보(또는 신호 레벨 정보)를 결정하고, 감쇠 정보를 전기 자동차(102)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여 이하에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충전 스테이션(106)의 연계 유닛(116)은 상이한 캐리어 주파수(carrier frequency)들에서 수신된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의 측정된 신호 강도를 결정할 수 있고, 전기 자동차에 측정된 신호 강도를 통지할 수 있다. 모든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이 수신된 후, 또는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이 경과한 후,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은 그 각각의 감쇠 정보를 전기 자동차(102)로 송신할 수 있다. 보안 연계 절차가 실행되는 경우,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의 각각은 그 각각의 감쇠 정보를 결정하기 이전에, 수신된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을 입증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추가적으로,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은 감쇠 정보를 전기 자동차(102)로 송신하기 이전에, 그 각각의 보안 정보(예를 들어, 서명 키)를 이용하여 감쇠 정보에 서명할 수 있다.
단계(E)에서, 전기 자동차(102)의 연계 유닛(112)은 전기 자동차가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로부터 수신된 감쇠 정보에 기반으로 하여 연계해야 하는 충전 스테이션("정합된 충전 스테이션")을 결정한다. 연계 유닛(112)은 수신된 감쇠 정보를 분석할 수 있고, 충전 스테이션들 중의 하나(예를 들어, 충전 스테이션(106))를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으로서 선택할 수 있다.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은 전형적으로, 전기 자동차(102)가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전기 자동차(102)가 그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충전 스테이션(106)이다. 예를 들어, 최저 감쇠 레벨(또는 최고 신호 레벨)과 연계되어 있는 충전 스테이션(106)이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으로서 선택될 수 있다. 연계 유닛(112)은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106)에 연계 절차의 결과들을 통지하기 위하여 정합 통지 메시지를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106)으로 송신할 수 있다.
단계(F)에서, 통신 유닛(104)은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106)과의 통신 링크(118)를 설정하고,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106)으로부터 파워를 수신한다. 전기 자동차(102)로부터 정합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106)(예를 들어, 연계 유닛(116))은 정합 확인 메시지를 전기 자동차(102)로 송신할 수 있다. 정합 확인 메시지는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106)과 연계된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NID : network identifier),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106)과 연계된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멤버쉽 키(NMK : network membership key),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106)의 MAC 어드레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106)은 정합 확인 메시지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전기 자동차(102)로 송신하기 이전에, 그 보안 정보(예를 들어, 서명 키)를 이용하여 정합 확인 메시지의 전부 또는 일부에 서명할 수 있고, 전기 자동차(102)의 보안 정보(예를 들어, 공개 암호화 키)를 이용하여 정합 확인 메시지(예를 들어, NID 및 NMK)의 전부 또는 일부를 암호화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102) 및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106)은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106)과 연계된 네트워크의 NID 및 NMK를 이용하여 스스로를 각각 구성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102) 및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106)은 AV 논리 네트워크(AVLN : AV logical network)를 형성할 수 있다.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106)(예를 들어,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106)의 인증 유닛(authentication unit))이 전기 자동차(102)를 성공적으로 인증하고 권한 부여한 후, 전기 자동차(102)는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106)으로부터(예를 들어,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106)의 충전 유닛으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통신 네트워크의 서비스 제공자와의 통신 링크를 설정하기 위한 연계 절차를 실행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동작들을 예시하는 흐름도("흐름")(200)를 도시한다. 상기 흐름은 도 2의 블록(202)에서 시작한다. 도 2 내지 도 3은 HomePlug Green PHY 사양의 SLAC 절차의 예시적인 메시지들 및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라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블록(202)에서,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복수의 서비스 제공자들 중의 하나와의 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플러그-인 전기 자동차(PEV : plug-in electric vehicle)일 수 있는 반면; 서비스 제공자들은 각각 충전 스테이션이라고도 또한 지칭되는 전기 자동차 공급 장비(EVSE : 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일 수 있다. 도 1의 예를 참조하면, 전기 자동차(102)의 연계 유닛(112)은 전기 자동차(102)가 충전 코드셋을 이용하여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 중의 하나에 접속되어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연계 유닛(112)은 전기 자동차(102)를 클라이언트 동작 모드로 구성할 수 있고,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과의 연계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흐름은 블록(204)에서 계속된다.
블록(204)에서, 통신 파라미터들에 대한 통신 파라미터들 요청 메시지가 서비스 제공자들에게 송신되고, 통신 파라미터들 타이머가 개시된다. 도 1의 예를 참조하면, 전기 자동차(102)의 연계 유닛(112)은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과 연계된 통신 파라미터들을 수신하기 위하여 통신 파라미터들 요청 메시지(예를 들어, CM_SLAC_PARM.REQ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통신 파라미터들 요청 메시지는 멀티-네트워크 브로드캐스트(MNBC) 메시지일 수 있다. 이하에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연계 유닛(112)은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과의 연계 절차를 실행하기 위하여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로부터 수신된) 통신 파라미터들을 이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통신 파라미터들 요청 메시지는 전기 자동차(102)의 식별자, 전기 자동차가 보안 연계 절차를 지원하는지의 표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파라미터들 요청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한 후, 연계 유닛(112)은 또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로부터 통신 파라미터들의 수신을 추적하기 위하여 통신 파라미터들 타이머를 시작시킬 수도 있다. 통신 파라미터들 타이머의 값은 연계 유닛(112)이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 중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충전 스테이션으로부터 통신 파라미터들을 수신하기 위해 대기할 시간의 양을 표시할 수 있다. 흐름은 블록(206)에서 계속된다.
블록(206)에서는, 통신 파라미터들 타이머가 경과하였는지 여부가 결정된다. 도 1의 예를 참조하면, 연계 유닛(112)은 통신 파라미터들 타이머가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통신 파라미터들 타이머는 (전기 자동차(102)의) 연계 유닛(112)이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로부터 통신 파라미터들을 수신하기 위해 대기할 최대 시간 간격을 표시할 수 있다. 통신 파라미터들 타이머가 경과한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흐름은 블록(208)에서 계속된다. 그렇지 않을 경우, 흐름은 블록(206)으로 되돌아가고, 여기서, 연계 유닛(112)은 통신 파라미터들 타이머가 경과한 것인지를 계속 결정한다.
블록(208)에서는, 통신 파라미터들이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수신되었는지 여부가 결정된다. 흐름(200)은 통신 파라미터들이 타이머가 경과하였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블록(206)으로부터 블록(208)으로 이동한다. 도 1의 예를 참조하면, 전기 자동차(102)의 연계 유닛(112)은 통신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통신 파라미터들 응답 메시지(예를 들어, CM_SLAC_PARM.CNF 메시지)가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 중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통신 파라미터들이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 중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었다고 결정되는 경우, 흐름은 블록(210)에서 계속된다. 그렇지 않을 경우, (통신 파라미터들 타이머가 경과한 후에) 통신 파라미터들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면, 흐름은 종료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통신 파라미터들 타이머가 경과한 후에) 통신 파라미터들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연계 유닛(112)은 통신 파라미터들 요청 메시지를 모든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에 다시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연계 절차를 재시작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블록(210)에서는, 수신된 통신 파라미터들에 기반으로 하여, 보안 연계 절차를 위한 동작들이 실행되어야 하는지 여부가 결정된다. 도 1의 예를 참조하면, 연계 유닛(112)은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로부터 통신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통신 파라미터들 응답 메시지(예를 들어, CM_SLAC_PARM.CNF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스테이션(106)으로부터 수신된) 통신 파라미터들 응답 메시지는 충전 스테이션(106)의 식별자(예를 들어, MAC 어드레스), 전기 자동차(102)의 식별자, 충전 스테이션(106)이 보안 연계 절차를 지원하는지의 표시, 및 다른 적당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스테이션(106)과 연계된 통신 파라미터들은 충전 스테이션(106)으로 송신되어야 할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의 수,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이 충전 스테이션(106)으로 송신되어야 할 최대 시간 간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의 각각은 상이한 세트(set)의 통신 파라미터들을 전기 자동차(102)로 송신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연계 유닛(112)은 수신된 통신 파라미터들을 통합할 수 있고, 통합된 통신 파라미터들에 따라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과의 연계 절차를 실행할 수 있다.
도 1의 예를 참조하면, 연계 유닛(112)은 (수신된 통신 파라미터들 응답 메시지들에 기반으로 하여)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이 보안 연계 절차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전기 자동차(102)가 보안 연계 절차를 지원하는 경우, 전기 자동차(102)는 256-비트 보안 해쉬 알고리즘(SHA-256 : 256-bit secure hash algorithm)을 갖는 디지털 서명 알고리즘(DSA : digital signature algorithm), 리베스트-샤미르-아델만(RSA : Rivest-Shamir-Adleman) 알고리즘, 암호 블록 연쇄(CBC : cipher block chaining) 모드의 128-비트 진보된 암호화 표준(AES-128 : 128-bit advanced encryption standard) 알고리즘, 타원 곡선 디지털 서명 알고리즘(ECDSA : elliptic curve digital signature algorithm), ES-DH, AES-256, 등과 같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암호화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102) 및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이 암호화 프로토콜들(및 이에 따라 보안 연계 절차)을 지원하는 경우, 연계 유닛(112)은 보안 연계 절차가 실행되어야 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충전 스테이션들 중의 심지어 하나조차 보안 연계 절차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연계 유닛(112)은 보안 연계 절차가 실행되지 않아야 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보안 연계 절차를 위한 동작들이 실행되어야 한다고 결정되는 경우, 흐름은 블록(212)에서 계속된다. 그렇지 않을 경우, 흐름은 도 3의 블록(214)에서 계속된다.
블록(212)에서는, 보안 연계 절차를 위한 동작들이 실행되어야 한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된 보안 정보가 서비스 제공자들에게 제공된다. 도 1의 예를 참조하면, 연계 유닛(112)이 수신된 통신 파라미터들 응답 메시지들(예를 들어, CM_SLAC_PARM.CNF 메시지들)에 기반으로 하여, 보안 연계 절차가 실행되어야 한다고 결정하는 경우, 연계 유닛(112)은 (예를 들어, CM_PKCS_CERT.IND 메시지로) 전기 자동차(102)와 연계된 보안 정보를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로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기 자동차(102)와 연계된 보안 정보는 전달 계층 보안(transport layer security)을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전기 자동차(102)와 연계된) 공개 키 인증서(public key certificat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안 정보는 공개 키 인증서의 길이, 공개 키 인증서의 암호 묶음(cipher suite), 전기 자동차(102)의 어드레스(예를 들어, MAC 어드레스)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기 자동차(102)와 연계된 공개 키 인증서는 X.509v3 인증서일 수 있다. 공개 키 인증서는 널 컨텐츠(null content) 및 첨부된 인증서 리스트와, 인증서 폐기 리스트(CRL : certificate revocation list)들을 갖는 (예를 들어, IETF RFC 5652에 따라) 서명된 암호 메시지 구문(CMS : Cryptographic Message Syntax) 메시지로서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로 제공될 수 있다. 전기 자동차(102)와 연계된 공개 키 인증서는 전기 자동차 인증서들을 발행하도록 권한 부여된 인증 기관(CA : certificate authority)에 의해 서명될 수 있다. 전기 자동차(102)와 연계된 공개 키 인증서는 인증서 소유자(즉, 전기 자동차(102))를 합법적인 전기 자동차로서 식별하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속성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전기 자동차의 인증서를 서명한 인증 기관은 전기 자동차의 아이덴티티(identity)를 보증하도록 권한 부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기 자동차(102)와 연계된 보안 정보는 미리 결정된 횟수로 송신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전기 자동차(102)와 연계된 보안 정보는 전기 자동차(102)(예를 들어, 연계 유닛(112))가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예를 들어, 그 통신 파라미터들을 응답한 모든 충전 스테이션들)로부터 확인응답(acknowledgement) 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 송신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기 자동차(102)와 연계된 보안 정보는 멀티-네트워크 브로드캐스트(MNBC) 통신을 이용하여 송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전기 자동차(102)와 연계된 보안 정보를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로 송신하는 것에 부가하여, 전기 자동차(102)(예를 들어, 연계 유닛(112))가 또한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의 각각과 연계된 보안 정보(예를 들어, 공개 키 인증서들)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전기 자동차(102)에 의해 수신된 모든 공개 키 인증서들은 공개 키를 인증서의 아이덴티티 및 속성들과 연계하기 전에 (예를 들어, ZigBee-11185r05의 섹션(section) 9에 따라) 입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102)는 공개 키 인증서를 송신한 충전 스테이션(106)을 입증하기 위하여 공개 키 인증서에서 표시된 속성들을 검증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102)는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의 합법성(legitimacy)을 보증하도록 권한 부여되어 있는 루트(root) CA들을 위하여 공개 키들을 추적할 수 있다. 보안 정보가 교환된 후, 전기 자동차(102)로부터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로 송신된 후속 메시지들은 서명 및/또는 암호화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메시지들을 서명 및 암호화하기 위하여, 전기 자동차(102)(예를 들어, 연계 유닛(112))가 컨텐츠를 먼저 서명할 수 있고, 그 다음으로, 서명된 컨텐츠를 암호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외부 컨텐츠 유형은 암호화된 데이터일 수 있고, 내부 컨텐츠 유형은 서명된 데이터일 수 있다. 흐름은 도 3의 블록(214)에서 계속된다.
블록(214)에서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이 수신된 통신 파라미터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으로 하여 서비스 제공자들에게 브로드캐스팅된다. 예를 들어, 연계 유닛(112)은 얼마나 많은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이 브로드캐스팅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수신된 통신 파라미터들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로부터 수신된 통신 파라미터들은 5개, 8개, 및 10개의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이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에 각각 송신되어야 한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연계 유닛(112)은 10개의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을 브로드캐스팅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을 송신하기 이전에, 연계 유닛(112)이 연계 절차가 시작할 것이라는 것을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에 통지하기 위하여 연계 개시 메시지(예를 들어, CM_START_ATTEN_CHAR.IND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연계 개시 메시지는 멀티-네트워크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연계 유닛(112)은 모든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이 연계 개시 메시지를 수신한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미리 결정된 횟수(예를 들어, 3번)로 연계 개시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연계 유닛(112)이 보안 연계 절차가 실행되어야 한다고 결정한 경우, 연계 유닛(112)은 연계 개시 메시지들을 송신하기 이전에 연계 개시 메시지들을 암호화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연계 개시 메시지들은 또한 실행될 연계 절차에 따라 통신 파라미터들을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계 개시 메시지들은 송신될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의 수(예를 들어, 상기 예를 참조하면, 10개의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이 송신될 최대 시간 간격, 감쇠 정보가 송신되어야 할 전기 자동차의 식별자,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연계 유닛(112)은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예를 들어, CM_MNBC_SOUND.IND 메시지들)을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로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은 멀티-네트워크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들일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송신되는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의 수는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로부터 수신된 통신 파라미터들에 기반하는 것일 수 있다.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은 전기 자동차의 식별자(예를 들어, 자동차 식별자(VIN : vehicle identifier)), 송신될 나머지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의 수, 및 다른 적당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102)가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과의 보안 연계 절차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연계 유닛(112)은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을 송신하기 이전에, 전기 자동차(102)의 공개 키 서명으로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을 암호화/서명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흐름은 블록(216)에서 계속된다.
블록(216)에서는, 감쇠 정보가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을 서비스 제공자들에게 브로드캐스팅하는 것에 응답하여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서비스 제공자들로부터 수신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연계 유닛(112)이 모든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을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로 송신한 후(및/또는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을 송신하기 위한 시간 간격이 경과한 후), 연계 유닛(112)은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로부터 감쇠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또 다른 타이머를 시작시킬 수 있다. 도 1의 예를 참조하면, 연계 유닛(112)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로부터 (예를 들어, CM_ATTEN_CHAR.IND 메시지로) 감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감쇠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의 동작들은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 설명될 것이다. 연계 유닛(112)이 적절한 메시지로 충전 스테이션(예를 들어, 충전 스테이션(106))으로부터 감쇠 정보를 수신할 때, 전기 자동차(102)는 감쇠 정보와 함께 수신된 충전 스테이션 식별자가 이전에 수신된 충전 스테이션 식별자와 정합하는지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수신된 메시지의 진정성(authenticity)을 검증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102)가 충전 스테이션(106)과의 보안 연계 절차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연계 유닛(112)은 또한 수신된 메시지 상의 서명을 검증할 수도 있다. 충전 스테이션 식별자가 이전에 수신된 충전 스테이션 식별자와 정합하지 않는 경우, 또는 메시지가 권한 부여된 충전 스테이션으로부터 나온 것이 아니었거나 재전송(replay)이었다는 것을 서명이 표시하는 경우에는, 연계 유닛(112)이 수신된 감쇠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폐기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충전 스테이션(106)으로부터 감쇠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연계 유닛(112)이 확인응답 메시지(예를 들어, CM_ATTEN_CHAR.RSP 메시지)를 충전 스테이션(106)으로 송신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102) 및 충전 스테이션(106)이 보안 연계 절차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는, 확인응답 메시지가 서명/암호화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이하에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연계 유닛(112)이 감쇠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시간 간격이 경과한 후에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시간 간격이 경과한 후) 연계 유닛(112)이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 중의 임의의 것으로부터 감쇠 정보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연계 유닛(112)은 통신 파라미터들 요청 메시지를 다시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연계 절차를 재시작할 수 있다. 흐름은 블록(218)에서 계속된다.
블록(218)에서,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수신된 감쇠 정보를 분석하고 연계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자들 중의 하나를 선택한다. 도 1의 예를 참조하면, 연계 유닛(112)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로부터 수신된 감쇠 정보 메시지들(예를 들어, CM_ATTN_CHAR.IND 메시지)을 분석할 수 있다. 이 분석에 기반으로 하여, 연계 유닛(112)은 충전 코드셋을 통해 전기 자동차(102)가 접속되어 있는 충전 스테이션("정합된 충전 스테이션")을 결정할 수 있다.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을 식별하기 위하여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로부터 수신된 감쇠 정보를 이용할 때에는, (예를 들어, 충전 코드셋을 통해) 전기 자동차(102)에 직접 접속되어 있는 충전 스테이션(106)이 최소의 감쇠로 전기 자동차(102)로부터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을 수신할 것이라고 가정된다. (전기 자동차(102)에 직접 접속되어 있지 않은) 임의의 다른 충전 스테이션(108, 110)이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을 수신하기 위해서는,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이 다수의 개방 컨택(contact)들 (예를 들어, 스위치들) 및/또는 PLC 통과 대역 (RF) 커플링을 통과해야 할 것이고, 이것은 다른 충전 스테이션들(108, 110)에 의해 측정된 신호 강도(signal strength)를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다(즉, 감쇠를 증가시킬 수 있음). 전기 자동차(102)의 연계 유닛(112)은 충전 코드셋을 통해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충전 스테이션과 전기 자동차를 연계(정합)시키기 위하여 상이한 충전 스테이션들에서의 신호 강도의 고유의 비대칭성(inherent asymmetry)을 활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전기 자동차(102)에 직접 접속되어 있는 충전 스테이션(106)은 수신된 신호에 대한 최고 신호 레벨(또는 수신된 신호에 대한 최저 감쇠 레벨)을 검출할 것이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이 최저 감쇠 레벨(또는 최고 신호 레벨)과 연계되어 있는 충전 스테이션들 중의 하나(106)로서 선택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기 자동차(102)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로부터 수신된 감쇠 정보에 기반으로 하여, 그리고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로부터 수신된 송신들의 전기 자동차의 국부적인 신호 레벨 측정치들에 기반으로 하여,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을 결정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102)의 연계 유닛(112)은 적절한 연계 판정을 행하기 위하여(즉,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을 결정하기 위하여)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로부터 수신된 감쇠 정보를 전기 자동차(102)에 의해 측정된 감쇠 정보와 조합할 수 있다. 흐름은 블록(220)에서 계속된다.
블록(220)에서는, 선택된 서비스 제공자는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하도록 통지받는다. 도 1의 예를 참조하면, 전기 자동차(102)의 연계 유닛(112)은 충전 스테이션(106)이 전기 자동차(102)를 위한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으로서 식별되었고 전기 자동차(102)가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106)에 접속되어 있음을 충전 스테이션(106)에 통지하기 위하여 정합 통지 메시지(예를 들어, CM_SLAC_MATCH.REQ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정합 통지 메시지는 보안 연계 절차가 실행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전기 자동차의 암호화 키로 서명/암호화될 수 있거나, 서명/암호화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정합 통지 메시지는 전기 자동차(102)의 식별자(예를 들어, VIN), 전기 자동차(102)의 MAC 어드레스,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106)의 식별자,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106)의 MAC 어드레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계 유닛(112)은 또한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106)으로부터의 네트워크 접속 파라미터들(예를 들어, 네트워크 식별자(NID), 네트워크 멤버쉽 키(NMK), 등)에 대한 요청으로서 정합 통지 메시지를 송신할 수도 있다. 정합 확인 메시지가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 내에 수신되지 않을 경우에는, 연계 유닛(112)이 정합 통지 메시지를 미리 결정된 횟수로 재송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정합 통지 메시지가 멀티-네트워크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일 수 있다. 흐름은 블록(222)에서 계속된다.
블록(222)에서,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선택된 서비스 제공자와 연계하고 선택된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서비스를 수신한다. 도 1의 예를 참조하면, 도 5에서 이하에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연계 유닛(112)은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106)으로부터 네트워크 접속 파라미터들(예를 들어, NID 및 NMK)을 수신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연계 유닛(112)은 수신된 네트워크 접속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전기 자동차(102)를 구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106)은 또한 네트워크 접속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도 5에서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그 다음으로, 전기 자동차(102) 및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106)은 공통의 NID 및 공통의 NMK를 이용하여 AVLN을 형성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102) 및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106)이 보안 연계 절차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네트워크 접속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정합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연계 유닛(112)은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106)과 연계된 공개 키 서명 및 충전 스테이션 식별자를 검증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충전 스테이션 식별자 및 공개 키 서명이 검증될 경우에는, 전기 자동차(102)가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106)과 연계할 수 있다. 블록(222)으로부터, 흐름은 종료된다.
도 4 및 도 5는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계 절차를 실행하는 서비스 제공자의 예시적인 동작들을 예시하는 흐름도(400)를 도시한다. 흐름(400)은 도 4의 블록(402)에서 시작된다. 도 4 내지 도 5는 HomePlug Green PHY 사양의 SLAC 절차의 예시적인 메시지들 및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라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블록(402)에서, 서비스 제공자는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통신 파라미터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플러그-인 전기 자동차(PEV : plug-in electric vehicle)일 수 있는 반면; 서비스 제공자는 충전 스테이션이라고도 또한 지칭되는 전기 자동차 공급 장비(EVSE : 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일 수 있다. 도 1의 예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통신 파라미터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기 이전에, 충전 스테이션(106)의 연계 유닛(116)은 충전 스테이션(106)이 충전 코드셋을 이용하여 전기 자동차(102)에 접속되어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연계 유닛(116)은 충전 스테이션(106)을 마스터 동작 모드로 구성할 수 있고, 전기 자동차(102)와의 연계 절차들을 지원하도록 충전 스테이션(106)을 구성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충전 스테이션과 연계된 통신 파라미터들에 대한 요청에 부가하여, 통신 파라미터들 요청 메시지는 전기 자동차(102)의 식별자, 전기 자동차(102)가 보안 연계 절차를 지원하는지 여부의 표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흐름은 블록(404)에서 계속된다.
블록(404)에서는, 서비스 제공자와 연계된 통신 파라미터들이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된다. 도 1의 예를 참조하면, 충전 스테이션(106)의 연계 유닛(116)은 충전 스테이션(106)과 연계된 통신 파라미터들을 전기 자동차(102)로 송신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연계 유닛(116)은 충전 스테이션(106)과 연계된 통신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통신 파라미터들 응답 메시지(예를 들어, CM_SLAC_PARM.CNF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통신 파라미터들 응답 메시지는 충전 스테이션(106)의 식별자, 전기 자동차(102)의 식별자, 충전 스테이션(106)이 보안 연계 절차를 지원하는지 여부의 표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파라미터들 응답 메시지는 충전 스테이션(106)으로 송신되어야 할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의 수,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이 충전 스테이션(106)으로 송신되어야 할 최대 시간 간격, 등을 포함하는 통신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충전 스테이션(106)에 의해 요청되는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의 수는 다른 충전 스테이션들(및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에 대한 충전 스테이션(106)의 위치 및 네트워크 구성에 기반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스테이션(106)이 잡음 환경에서 동작하는 경우, (충전 스테이션(106)의) 연계 유닛(116)은 큰 수의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이 충전 스테이션(106)으로 송신되어야 한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충전 스테이션(106)이 비교적 잡음없는 환경에서 동작하는 경우, 연계 유닛(116)은 더 작은 수의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이 충전 스테이션(106)으로 송신되어야 한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더 큰 수의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을 잡음 환경에서 수신하는 것은 연계 유닛(116)이 감쇠 측정치들에 대한 잡음의 효과를 평균화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충전 스테이션(106)에 의해 요청되는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의 수는 충전 스테이션(106)에서 (예를 들어, 충전하기 위하여) 지원될 수 있는 전기 자동차들의 수에 기반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충전 스테이션(106)이 다수의 전기 자동차들을 위한 충전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충전 스테이션(106)은 전기 자동차(102)가 충전 스테이션에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와, (만일 그렇다면) 전기 자동차(102)가 어느 충전 슬롯에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더 큰 수의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을 요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스테이션(106)이 (2개의 전기 자동차들을 충전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2개의 충전 포트(charging port)들을 포함하는 경우, 연계 유닛(116)은 전기 자동차(102)가 예를 들어, 30개의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을 충전 스테이션(106)으로 브로드캐스팅해야 한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이 예에서는, 다음으로, 연계 유닛(116)이 전기 자동차(102)가 충전 스테이션(106)의 제 1 충전 포트에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첫 번째 15개의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을 사용할 수 있고, 전기 자동차(102)가 충전 스테이션(106)의 제 2 충전 포트에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나머지 15개의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연계 유닛(116)은 충전 스테이션(106)이 보안 연계 절차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통신 파라미터들 응답 메시지로) 표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충전 스테이션(106)이 보안 연계 절차를 지원하는 경우, 충전 스테이션(106)은 SHA-256을 갖는 DSA, RSA, CBC 모드의 AES-128, ECDSA, ES-DH, AES-256, 등과 같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암호화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통신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통신 파라미터들 응답 메시지가 멀티-네트워크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이용하여 송신될 수 있다. 흐름은 블록(406)에서 계속된다.
블록(406)에서는,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된 보안 정보가 서비스 제공자에 수신되었는지 여부가 결정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통신 파라미터들 요청 메시지의 일부로서, 전기 자동차(102)는 그것(즉, 전기 자동차(102))이 보안 연계 절차를 지원하는지를 표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통신 파라미터들 응답 메시지의 일부로서, 연계 유닛(116)은 충전 스테이션(106)이 보안 연계 절차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102) 및 (전기 자동차(102)와 통신하는) 모든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이 보안 연계 절차를 지원하는 경우, 전기 자동차(102)는 자신의 보안 정보를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블록(210)에서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연계 유닛(116)은 전기 자동차(102)와 연계된 공개 키 인증서를 (전기 자동차(102)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된 보안 정보가 수신된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흐름은 블록(408)에서 계속된다. 그렇지 않을 경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된 보안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에는, 서비스 제공자가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비보안(unsecure) 연계 절차의 실행을 결정하고, 흐름은 블록(410)에서 계속된다.
블록(408)에서, 서비스 제공자는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보안 연계 절차의 실행을 결정한다. 보안 정보(예를 들어, 공개 키 인증서)가 전기 자동차(102)로부터 수신된 것으로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충전 스테이션(106)의 연계 유닛(116)은 전기 자동차(102)와의 보안 연계 절차의 실행을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연계 유닛(116)은 공개 키를 인증서의 아이덴티티 및 속성들과 연계하기 전에, (예를 들어, RFC 5258에 따라) 전기 자동차(102)로부터 수신된 공개 키 인증서를 입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계 유닛(116)은 공개 키 인증서를 송신한 전기 자동차(102)의 진정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수신된 공개 키 인증서에서 표시된 속성들을 검증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102)가 입증된 후, 연계 유닛(116)은 전기 자동차(102)로부터 추후에 수신되는 서명된/암호화된 통신들(예를 들어,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을 확인하기 위하여 전기 자동차(102)와 연계된 수신된 공개 키 인증서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충전 스테이션(106)은 전기 자동차(102)의 합법성을 보증하도록 권한 부여되어 있는 루트 CA들을 위하여 공개 키들을 추적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전기 자동차(102)와의 보안 연계 절차의 실행을 결정한 것에 응답하여, (충전 스테이션(106)의) 연계 유닛(116)은 또한 충전 스테이션(106)과 연계된 보안 정보를 (예를 들어, CM_PKCS_CERT.IND 메시지로) 전기 자동차(102)로 송신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충전 스테이션(106)의 보안 정보는 전달 계층 보안을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충전 스테이션(106)과 연계된) 공개 키 인증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안 정보는 공개 키 인증서의 길이, 공개 키 인증서의 암호 묶음, 충전 스테이션(106)의 어드레스(예를 들어, MAC 어드레스),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충전 스테이션(106)과 연계된 공개 키 인증서는 X.509v3 인증서일 수 있다. 공개 키 인증서는 널 컨텐츠 및 첨부된 인증서 리스트와, CRL들을 갖는 (예를 들어, RFC 5652에 따라) 서명된 CMS 메시지로서 전기 자동차(102)로 제공될 수 있다. 충전 스테이션(106)과 연계된 공개 키 인증서는 충전 스테이션 인증서들을 발행하도록 권한 부여된 CA에 의해 서명될 수 있다. 충전 스테이션(106)과 연계된 공개 키 인증서는 인증서 소유자(즉, 충전 스테이션(106))를 합법적인 충전 스테이션으로서 식별하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속성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충전 스테이션의 인증서를 서명한 인증 기관은 충전 스테이션의 아이덴티티를 보증하도록 권한 부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충전 스테이션(106)과 연계된 보안 정보는 미리 결정된 횟수로 송신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충전 스테이션(106)과 연계된 보안 정보는 충전 스테이션(106)(예를 들어, 연계 유닛(116))이 전기 자동차(102)로부터 확인응답 메시지(예를 들어, CM_PKCS_CERT.RSP 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 송신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충전 스테이션(106)과 연계된 보안 정보는 멀티-네트워크 브로드캐스트(MNBC) 통신을 이용하여 송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충전 스테이션(106)과 연계된 보안 정보가 (예를 들어, 메시지의 길이가 최대 가능한 메시지 길이보다 더 크므로) 단일 메시지로 송신될 수 없는 경우, 메시지가 프래그먼트(fragment)될 수 있다. 흐름은 블록(410)에서 계속된다.
블록(410)에서는, 연계 절차의 시작을 표시하는 통지("연계 개시 메시지")가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다. 예를 들어, 충전 스테이션(106)의 연계 유닛(116)은 연계 절차가 시작될 것임을 표시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예를 들어, MNBC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연계 개시 메시지(예를 들어, CM_START_ATTEN_CHAR.IND 메시지)는 전기 자동차(102)가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을 어떻게 송신할 것인지를 표시하는 시간 종료 값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연계 개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충전 스테이션(106)의 연계 유닛(116)은 (연계 개시 메시지에서 수신된 시간 종료 값을 포함하는) 타이머를 시작시킬 수 있고, 전기 자동차(102)로부터 미리 결정된 수의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을 수신하기 위해 대기할 수 있다. 이하에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연계 유닛(116)은 타이머가 경과한 후에 충전 스테이션(106)과 연계된 감쇠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연계 개시 메시지는 전기 자동차(102) 및 충전 스테이션(106)이 보안 연계 절차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지 그렇지 않은지에 따라 전기 자동차(102)에 의해 서명될 수 있거나 서명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흐름은 블록(412)에서 계속된다.
블록(412)에서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이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다. 도 1의 예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들에서, 연계 유닛(116)은 서비스 정합 메시지가 합법적인 전기 자동차로부터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그리고 악의적인(rouge) 전기 자동차에 의한 재전송 공격들의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서비스 정합 메시지에서 수신된 전기 자동차 식별자를 (예를 들어, 통신 파라미터들 요청 메시지에서 수신된) 이전에 수신된 전기 자동차 식별자와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연계 유닛(116)은 또한 수신된 서비스 정합 메시지의 카운터 값(counter value)이 이전에 수신된 서비스 정합 메시지의 카운터 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전기 자동차(102) 및 충전 스테이션(106)이 보안 연계 절차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연계 유닛(116)은 각각의 수신된 서비스 정합 메시지 내의 전기 자동차의 공개 키 서명이 서비스 정합 메시지가 합법적인 전기 자동차로부터 수신된 것임을 보장하기 위해 유효한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수신된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이 유효하지 않은 경우, 연계 유닛(116)은 연계 절차를 종결시킬 수 있다.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이 수신된 후(그리고 수신된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이 유효한 경우), 흐름은 블록(414)에서 계속된다.
블록(414)에서는, 서비스 제공자와 연계된 감쇠 정보가 수신된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에 기반으로 하여 결정된다. 도 1의 예를 참조하면, 충전 스테이션(106)의 연계 유닛(116)은 수신된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을 처리할 수 있고, 수신된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에 기반으로 하여 감쇠 정보(또는 신호 레벨 감쇠 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감쇠 정보가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을 송신한) 전기 자동차(102)와 충전 스테이션(106) 사이의 감쇠 프로파일(attenuation profile)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PLC 통신 대역의 마스킹되지 않은(unmasked) 주파수 캐리어들의 세트(set)가, 최저 주파수에서 주파수 캐리어를 시작하여, 미리 결정된 수의 주파수 캐리어들의 그룹들(예를 들어, 그룹당 16개의 주파수 캐리어들)로 분할될 수 있다. 캐리어들의 각각의 그룹에 대하여, 캐리어들의 그룹의 평균 감쇠가 결정될 수 있다. 그룹이 미리 결정된 수보다 작은 주파수 캐리어들을 가질 경우, 그룹의 평균 감쇠는 그룹 내의 이용가능한 마스킹되지 않은 주파수 캐리어들에 기반으로 하여 결정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각각의 서비스 정합 메시지 및 각각의 주파수 캐리어와 연계된 감쇠 프로파일이 결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캐리어들의 그룹 및 미리 결정된 수의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에 대한 평균 감쇠는 각각의 서비스 정합 메시지와 연계된 감쇠 프로파일 및 그룹과 연계된 각각의 주파수 캐리어에 기반으로 하여 계산될 수 있다. 흐름은 도 5의 블록(416)에서 계속된다.
블록(416)에서는, 서비스 제공자와 연계된 감쇠 정보가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연계 유닛(116)이 (통신 파라미터들의 일부로서 연계 유닛(116)에 의해 표시된) 미리 결정된 수의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을 수신하고 처리하자마자, 연계 유닛(116)이 감쇠 정보를 응답 메시지(예를 들어, CM_ATTEN_CHAR.IND 메시지)로 전기 자동차(102)로 송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0" 카운트 값을 갖는) 최종 서비스 정합 메시지가 수신되고 분석된 후, 연계 유닛(116)이 감쇠 정보를 전기 자동차(102)로 송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을 수신하기 위해 할당된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이 경과한 후, 연계 유닛(116)이 감쇠 정보를 전기 자동차(102)로 송신할 수 있다. 응답 메시지는 전기 자동차(102)의 어드레스(예를 들어, MAC 어드레스), 전기 자동차(102)의 식별자(예를 들어, VIN), 충전 스테이션(106)의 식별자, 및 충전 스테이션(106)과 연계된 감쇠 정보(또는 신호 레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감쇠 정보의 일부로서, 연계 유닛(116)이 주파수 캐리어들이 분할된 그룹들의 수와, 주파수 캐리어들의 각각의 그룹과 연계된 평균 감쇠 레벨을 표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감쇠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가 멀티-네트워크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일 수 있다. 전기 자동차(102) 및 충전 스테이션(106)이 보안 연계 절차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연계 유닛(116)은 충전 스테이션(106)의 공개 키 인증서를 이용하여 감쇠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서명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전기 자동차(102)에서 감쇠 정보의 신뢰성 있는 수신을 보장하기 위하여, 확인응답 메시지가 전기 자동차(102)로부터 수신될 때까지 연계 유닛(116)이 감쇠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전기 자동차(102)에 재송신할 수 있다. 흐름은 블록(418)에서 계속된다.
블록(418)에서는,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하기 위하여 서비스 제공자가 선택되었음을 표시하는 통지가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다. 예를 들어, 충전 스테이션(106)의 연계 유닛(116)은 전기 자동차(102)가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으로서 충전 스테이션(106)을 선택하였고 전기 자동차가 충전 스테이션(106)과 연계하는 것(그리고 그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것)을 희망한다는 것을 표시하는 정합 통지 메시지(도 3의 블록(320)에서 위에서 설명됨)를 수신할 수 있다. 흐름은 블록(420)에서 계속된다.
블록(420)에서, 서비스 제공자는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연계 유닛(116)은 충전 스테이션(106)이 전기 자동차(102)와 연계해야 하는지 그리고 전기 자동차(102)와의 통신 링크를 설정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충전 스테이션(106)의) 연계 유닛(116)은 (전기 자동차(102)가 통신하고 있는) 다른 충전 스테이션들(108 및 110)과 연계된 감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연계 유닛(116)은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과 연계된 감쇠 정보를 분석할 수 있고, 전기 자동차(102)가 연계해야 하는 충전 스테이션("예측된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을 식별할 수 있다. 충전 스테이션(106)이 예측된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인 경우, 연계 유닛(116)은 충전 스테이션(106)이 전기 자동차(102)와 연계해야 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충전 스테이션(106)이 예측된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이 아닐 경우에는, 연계 유닛(116)은 충전 스테이션(106)이 전기 자동차(102)와 연계하지 않아야 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정합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연계 유닛(116)은 충전 스테이션(106)이 (예를 들어, 충전 코드셋을 통해) 전기 자동차(102)에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연계 유닛(116)이 충전 스테이션(106)이 전기 자동차(102)에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연계 유닛(116)은 충전 스테이션(106)이 전기 자동차(102)와 연계해야 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연계 유닛(116)이 충전 스테이션(106)이 전기 자동차(102)에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 결정하는 경우에는, 연계 유닛(116)이 충전 스테이션(106)이 전기 자동차(102)와 연계하지 않아야 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가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해야 한다고 결정되는 경우, 흐름은 블록(422)에서 계속된다. 그렇지 않을 경우, 서비스 제공자가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하지 않아야 한다고 결정되는 경우에는, 흐름은 블록(424)에서 계속된다.
블록(422)에서, 서비스 제공자는 그 네트워크 접속 파라미터들을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고,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하고, 서비스를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제공한다. 블록(420)에서 전기 자동차(102)와 연계하는 것으로 결정한 후, 충전 스테이션(106)의 연계 유닛(116)은 정합 확인 메시지(예를 들어, CM_SLAC_MATCH.CNF 메시지)를 전기 자동차(102)로 송신할 수 있다. 정합 확인 메시지는 전기 자동차(102)의 식별자(예를 들어, VIN), 전기 자동차(102)의 MAC 어드레스,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106)의 식별자,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106)의 MAC 어드레스, 및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106)의 네트워크와 연계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네트워크 접속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스테이션(106)이 HomePlug Green PHY 사양에 따라 구성되는 경우, 연계 유닛(116)은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106)의 네트워크와 연계된 네트워크 식별자(NID) 및 네트워크 멤버쉽 키(NMK)를 정합 확인 메시지로 송신할 수 있다. 충전 스테이션(106) 및 전기 자동차(102)가 보안 연계 절차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네트워크 접속 파라미터들(예를 들어, NID 및 NMK) 및 정합 확인 메시지는 충전 스테이션의 공개 키 인증서를 이용하여 서명될 수 있고 전기 자동차의 공개 암호화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될 수 있다. 세션(session)과 연계된 시퀀스 번호(sequence number)들 또는 논스(nonce)들은 재전송 공격들을 방지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연계 유닛(116)은 멀티-네트워크 브로드캐스트 통신을 이용하여 정합 확인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정합 확인 메시지를 송신하기 이전에, 연계 유닛(116)이 이하에서 더 설명된 입증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전기 자동차(102)가 충전 코드셋을 통해 충전 스테이션(106)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입증할 수도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네트워크 접속 파라미터들을 전기 자동차(102)로 송신하는 것에 부가하여, 충전 스테이션(106)은 동일한 네트워크 접속 파라미터들(예를 들어, NID 및 NMK)로 자신을 구성할 수도 있다(예를 들어, 충전 스테이션(106)의 HLE는 충전 스테이션(106)의 Green PHY 모듈을 구성할 수 있음). 이것은 충전 스테이션(106)이 동일한 네트워크 접속 파라미터들을 가지는 또 다른 스테이션을 대기하는 비연계 스테이션(unassociated station)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일단 충전 스테이션(106) 및 전기 자동차(102)가 동일한 네트워크 접속 파라미터들(예를 들어, NID 및 NMK)을 이용하여 구성되면, 충전 스테이션(106) 및 전기 자동차(102)는 AV 논리 네트워크(AVLN)를 형성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102)가 충전 스테이션과 연계되어 있는 한(예를 들어, 충전 스테이션(106) 및 전기 자동차(102)가 동일한 AVLN의 일부인 한), 충전 스테이션(106)은 다른 전기 자동차들로부터 수신된 임의의 통신 파라미터 요청 메시지들을 무시/폐기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전기 자동차(102)가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106)의 네트워크에 연결한 후,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106)(예를 들어,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106)의 인증 유닛)은 전기 자동차(102)와의 적절한 애플리케이션 계층 인증 및 권한부여 절차들을 실행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102)가 성공적으로 인증/권한 부여된 후,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106)(예를 들어,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106)의 충전 유닛)은 그 파워 릴레이(power relay)들을 닫고 전력을 전기 자동차(102)에 공급할 수 있다. 블록(422)으로부터, 흐름은 종료된다.
블록(424)에서는,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연계해야 하는 또 다른 서비스 제공자가 식별되고,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는 다른 서비스 제공자와 연계된 네트워크 접속 파라미터들이 통지된다. 블록(420)에서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연계 유닛(116)은 충전 스테이션(106)이 예측된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이 아니고 전기 자동차(102)가 또 다른 충전 스테이션(예를 들어, 충전 스테이션(110))과 연계해야 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연계 유닛(116)은 예측된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110)과 연계된 네트워크 접속 파라미터들(예를 들어, NID, NMK, MAC 어드레스,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연계 유닛(116)은 전기 자동차의 연계 판정을 무효화할 수 있고, 예측된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110)과 연계된 네트워크 접속 파라미터들을 전기 자동차(102)로 제공할 수 있고, 전기 자동차(102)가 예측된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110)과 연계하도록 촉구할 수 있다. 블록(424)으로부터, 흐름은 종료된다.
도 5는 (도 5의 블록(422)에서) 전기 자동차(102)가 충전 스테이션(106)과 연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충전 스테이션(106)과 연계된 네트워크 접속 파라미터들을 송신하는 연계 유닛(116)을 설명하고 있지만, 실시예들은 그렇게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전기 자동차(102)의 연계 유닛(112)은 충전 스테이션(106)이 전기 자동차(102)와 연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전기 자동차(102)와 연계된 네트워크 접속 파라미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전기 자동차(102)가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106)과 연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다른 적당한 기술들이 채용될 수 있다. 또한, 도 5는 전기 자동차(102)로부터 정합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고, 전기 자동차(102)가 또 다른 충전 스테이션(110)과 연계해야 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다른 충전 스테이션(110)과 연계된 네트워크 접속 파라미터들을 제공하는 (충전 스테이션(106)의) 연계 유닛(116)을 설명하고 있지만, 실시예들은 그렇게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정합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는 연계 유닛(116)이 전기 자동차(102)가 또 다른 충전 스테이션과 연계해야 하는 것으로(또는 충전 스테이션(106)이 전기 자동차(102)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연계 유닛(116)은 연계 절차를 재실행할 것(예를 들어, 도 2의 블록(202)의 통신 파라미터들 요청 메시지를 다시 브로드캐스팅할 것)임을 전기 자동차(102)에 간단하게 통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실시예들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도록 의도된 예들이며 실시예들을 제한하거나 청구항들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이용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실시예들은 추가적인 회로 부품들, 상이한 회로 부품들을 포함할 수 있고, 및/또는 추가적인 동작들, 더 적은 동작들, 동작들을 상이한 순서로, 동작들을 병렬로, 그리고 일부 동작들을 상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기 자동차(102)는 전기 자동차(102)로부터 송신들을 수신하는 충전 스테이션들의 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연계 절차 동안에 감소된 송신 파워 레벨(transmit power level)을 채용할 수 있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전기 자동차(102)의 연계 유닛(112)은 통신 파라미터들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는 충전 스테이션들의 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그리고 전기 자동차(102)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충전 스테이션들로부터 통신들을 수신할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최저 송신 파워 레벨에서 (예를 들어, 도 2의 블록(204)에서 통신 파라미터들 요청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연계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계 유닛(112)은 전기 자동차(102)의 최대 송신 파워 레벨보다 작은 25 dB인 송신 파워 레벨에서 통신 파라미터들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시작할 수 있다. 연계 유닛(112)이 충전 스테이션들 중의 임의의 것으로부터 통신 파라미터들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을 경우, 연계 유닛(112)은 예를 들어, 2 dB만큼 송신 파워 레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연계 유닛(112)이 충전 스테이션들 중의 임의의 것으로부터 통신 파라미터들 응답 메시지를 여전히 수신하지 않을 경우, 연계 유닛(112)은 (예를 들어, 2 dB 또는 또 다른 송신 파워 증분(increment)만큼) 송신 파워 레벨을 다시 증가시킬 수 있다. 송신 파워 레벨을 증분 방식으로 그리고 반복적으로 증가시키는 이러한 프로세스는 연계 유닛(112)이 적어도 하나의 충전 스테이션(106)으로부터 통신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통신 파라미터들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 계속될 수 있다. 연계 유닛(112)은 통신 파라미터들 응답 메시지가 성공적으로 수신된 최저 송신 파워 레벨을 이용하여 충전 스테이션(106)과의 통신을 계속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전기 자동차(102)의 연계 유닛(112)은 정상적인(또는 최대) 송신 파워 레벨에서 (도 2의 블록(204)에서) 통신 파라미터들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고, 충전 스테이션들의 일부/전부로부터 통신 파라미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연계 유닛(112)은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에 응답하는 충전 스테이션들의 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최저 송신 파워 레벨에서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의 세트(set)를 송신할 수 있다. 연계 유닛(112)이 충전 스테이션들 중의 임의의 것으로부터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의 제 1 세트에 대한 응답(예를 들어, 감쇠 정보)을 수신하지 않는 경우, 연계 유닛(112)은 송신 파워 레벨을 증가시킬 수 있고 더 높은 송신 파워 레벨에서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의 제 2 세트를 송신할 수 있다. 연계 유닛(112)은 연계 유닛(112)이 적어도 하나의 충전 스테이션으로부터 응답을 수신할 때까지 송신 파워 레벨을 증분 방식으로 그리고 반복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서비스 정합 메시지의 길이가 통신 네트워크에서 송신을 위해 허용된 최대 패킷 길이("허용가능한 최대 패킷 길이")보다 클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예를 들어, 허용가능한 최대 패킷 길이는 502 옥테트(octet)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서비스 정합 메시지의 길이가 502 옥테트보다 클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전기 자동차(102)의 연계 유닛(112)은 각 프래그먼트(fragment)의 길이가 허용가능한 최대 패킷 길이 이하가 되도록 서비스 정합 메시지를 프래그먼트할 수 있다. 연계 유닛(112)은 서비스 정합 메시지의 프래그먼트들을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로 송신할 수 있다.
도면들은 그 각각의 감쇠 정보를 전기 자동차(102)로 송신하는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과,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106)을 선택하는 전기 자동차(102)를 도시하지만, 실시예들은 그렇게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충전 스테이션들은 전기 자동차(102)를 위해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106)을 결정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은 그 각각의 감쇠 정보를 교환할 수 있고, 전기 자동차(102)를 위해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106)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 중의 하나가 "마스터 충전 스테이션"으로서 지정될 수 있다(예를 들어, 충전 스테이션(110)). 마스터 충전 스테이션(110)은 다른 충전 스테이션들(106 및 108)로부터 감쇠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106)을 선택할 수 있고, 서로 연계하고 통신 링크를 설정할 것임을 전기 자동차(102) 및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106)에 통지할 수 있다. 이 실시예들에서는,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이 그 각각의 감쇠 정보를 전기 자동차(102)로 제공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 대신에, 충전 스테이션들 중의 하나(예를 들어,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106) 또는 또 다른 "마스터" 충전 스테이션(110))가 전기 자동차(102)에 연계 판정(즉,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을 간단하게 통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충전 스테이션들(108 및 110)은 그 각각의 감쇠 정보를 또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예를 들어, 중앙 조정자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모든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과 연계된 감쇠 정보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예를 들어, 중앙 조정자 디바이스)는 감쇠 정보를 분석할 수 있고, 전기 자동차(102)를 위해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106)을 선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기 자동차(102) 및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106)에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전기 자동차(102)의 연계 유닛(112)이 그 감쇠 정보를 전기 자동차(102)로 제공하는 충전 스테이션들의 서브세트(subset)로부터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106)을 선택할 수 있다. 연계 유닛(112)은 임계 감쇠 레벨보다 작은 감쇠 레벨(또는 임계 신호 레벨보다 큰 신호 레벨)과 연계되어 있는 충전 스테이션들의 서브세트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계 유닛(112)은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로부터 감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연계 유닛(112)은 충전 스테이션들(106 및 108)이 임계 감쇠 레벨(예를 들어, 25 dB 임계 감쇠 레벨)보다 작은 감쇠 레벨과 연계되어 있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연계 유닛(112)은 충전 스테이션(106) 또는 충전 스테이션(108) 중의 어느 하나를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으로서 선택할 수 있다. 충전 스테이션들 중의 어느 것도 임계 감쇠 레벨을 충족시키지 않을 경우, 연계 유닛(112)은 (도 2의 블록(202)에서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통신 파라미터들 요청 메시지를 다시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연계 절차를 재시작할 수 있거나, 연계 절차의 실패(예를 들어, 충전 스테이션들 중의 임의의 것으로부터 파워를 수신할 수 없음)를 표시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전기 자동차(102)로부터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을 수신하는 각각의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이 그 각각의 감쇠 정보를 전기 자동차(102)로 송신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스테이션(106)의 연계 유닛(116)은 (예를 들어, 수신된 서비스 정합 메시지들에 기반으로 하여) 충전 스테이션(106)과 연계된 감쇠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연계 유닛(116)은 충전 스테이션(106)과 연계된 감쇠 레벨이 임계 감쇠 레벨보다 작은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임계 감쇠 레벨은 미리 결정될 수 있고, 충전 스테이션이 직접 접속되어 있는 전기 자동차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예측된 감쇠에 기반으로 하여 계산될 수 있다. 충전 스테이션(106)과 연계된 감쇠 레벨이 임계 감쇠 레벨보다 작은 경우, 연계 유닛(116)은 충전 스테이션(106)이 전기 자동차(102)에 직접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연계 유닛(116)은 충전 스테이션(106)과 연계된 감쇠 정보를 전기 자동차(102)로 송신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106)(예를 들어, 연계 유닛(116))은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106)과 연계된 진폭 맵(amplitude map)을 (예를 들어, CM_AMP_MAP.REQ 메시지로) 전기 자동차(102)로 송신할 수도 있다. 전기 자동차(102)(예를 들어, 연계 유닛(112))는 전기 자동차(102)와 연계된 진폭 맵을 (예를 들어, CM_AMP_MAP.CNF 메시지로)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106)에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전기 자동차(102) 및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106)은 통신을 위해 이용되어야 할 송신 파워 레벨을 결정하기 위하여 (전기 자동차(102) 및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106)의) 진폭 맵들을 이용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102) 및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106)은 전기 자동차(102)와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106) 사이의 모든 후속 통신들을 위한 통신 대역(예를 들어, 전력선 통신 대역)의 각각의 마스킹되지 않은 캐리어의 진폭을 조절하기 위하여 진폭 맵들을 이용할 수 있다. 진폭 맵들은 전기 자동차(102) 및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106)이 (최저 주파수 캐리어에서 시작하는) 각각의 마스킹되지 않은 캐리어를 위한 송신 진폭 감소를 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캐리어 주파수들 상에서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102) 및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106)에 의해) 이용되는 송신 파워 레벨은 충전 스테이션의 진폭 맵 및 전기 자동차의 진폭 맵의 최소치에 기반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이것은 (전기 자동차 및/또는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에서) 특정 PLC 캐리어 주파수들에 대한 임의의 불확실성(uncertainty)/감도(sensitivity)를 고려할 수 있다.
충전 스테이션들 및 전기 자동차는 다양한 적당한 기술들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연계 절차가 완료되고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이 식별될 때까지, 전기 자동차(102)가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 중의 임의의 것과 연계된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전기 자동차(102) 및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이 동일한 통신 네트워크의 일부가 아니더라도, 전기 자동차(102) 및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이 서로 신뢰성 있게 통신하기 위하여 멀티-네트워크 브로드캐스트 통신들을 이용할 수 있다. 멀티-네트워크 브로드캐스트 통신들을 이용하는 도 1 내지 도 5의 동작들은, (예를 들어, 충전 스테이션들 사이의 감쇠 특성들로 인해, 상이한 소유자들(예를 들어, 상이한 제조업체들)에 속하는 충전 스테이션들이 서로 통신하도록 구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등등의 이유 때문에) 모든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이 단일 통신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없는 환경들에서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형 주차장에서는, 서로 멀리 떨어져 있는 충전 스테이션들이 서로 통신하거나 "청취(hear)"하는 것을 할 수 없을 수도 있다. 이 예에서는, 충전 스테이션들이 다수의 네트워크들을 형성할 수 있고, 전기 자동차(102)는 상이한 통신 네트워크들로부터의 충전 스테이션들과 통신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는, 각각의 충전 스테이션이 미리 결정된 근접성 내에 있는 그러한 충전 스테이션들과 통신 네트워크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들에서는, 각각의 충전 스테이션이 다른 충전 스테이션들과 결코 통신 네트워크를 형성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전기 자동차(102)는 연계 절차를 개시하기 이전에, 충전 스테이션들 중의 하나와 연계된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102) 및 충전 스테이션들 중의 하나(106)는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하여 적당한 인증 메커니즘(예를 들어, 유니캐스트 키 교환(UKE : unicast key exchange) 기반 인증 메커니즘)을 이용할 수 있다. 이 예에서는, 전기 자동차(102) 및 충전 스테이션(106)과 연계된 버튼(button)이 작동될 수 있고, 그 응답으로, 전기 자동차(102) 및 충전 스테이션(106)은 이들이 예를 들어, 근접성 검출 기능(proximity detect feature)을 이용하여 충전 코드셋을 통해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근접성 검출은 전기 자동차(102)가 충전 스테이션(106)으로 플러그(plug)될 때, 전기 자동차(102)가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전기 자동차(102) 및 충전 스테이션(106)이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전기 자동차(102) 및 충전 스테이션(106)이 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안전 기능(safety feature)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모든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이 공통의 네트워크의 일부일 수 있고, 전기 자동차(102)가 연계 절차를 (또는 그 일부로서) 개시하기 이전에 공통의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각각의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은 전기 자동차(102)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이 다른 충전 스테이션들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필터 유닛(filter unit)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스테이션(106)이 전기 자동차(102)로부터 통신 파라미터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충전 스테이션(106)과 연계된 필터 유닛은 다른 충전 스테이션들(108 및 110)이 충전 스테이션(106)을 통해 통신 파라미터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도록 (또는 충전 스테이션들(108 및 110)이 충전 스테이션(106)을 통해 매우 높은 감쇠로, 또는 특정한 주파수 대역들 상에서 매우 높은 감쇠로 통신 파라미터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적절한 주파수들을 최소화/차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충전 스테이션들(106, 108, 및 110)이 전기 자동차(102)에 접속하기 위하여 차폐된 케이블(shielded cable)들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것은 전기 자동차(102)에 의해 송신된 신호들의 격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기 자동차(102)에 직접 접속되어 있지 않은 충전 스테이션들이 높은 신호 레벨로 전기 자동차(102)로부터 신호들을 검출할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충전 스테이션(106)이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으로서 충전 스테이션(106)이 선택되었음을 표시하는 정합 통지 메시지를 전기 자동차(102)로부터 수신한 후, 충전 스테이션(예를 들어, 연계 유닛(116) 또는 또 다른 적당한 입증 유닛)은 전기 자동차(102)가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106)에 접속되어 있음을 입증하기 위하여 적당한 입증 기술들을 이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106)은 연계 절차를 위해 이용되는 통신 매체에 비해 전기 자동차(102)를 입증하기 위하여 더욱 보안성 있는 통신 매체를 이용하는 적당한 대역외(out-of-band) 입증 기술들을 이용할 수 있다. 입증을 위해 이용되는 통신 매체는 낮은 대역폭의 통신 매체일 수 있지만, 그것은 연계 절차를 실행하기 위해 이용되었던 통신 매체보다 가로채기(interception), 수정(modification), 또는 도용(spoofing)에 덜 민감하다. 하나의 예에서, 충전 스테이션(106)은 펄스폭 변조된(PWM : Pulse Width Modulated) 제어 파일럿 신호의 듀티 사이클(duty cycle)을 수정할 수 있다. 충전 스테이션(예를 들어, 충전 스테이션(106)의 HLE)은 입증 요청 메시지(예를 들어, CM_VALD_PWM.REQ 메시지)를 전기 자동차(102)에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102)의 HLE에) 송신할 수 있다. 입증 요청 메시지는 파일럿 라인 펄스폭 변조 값을 판독하고 그 값을 충전 스테이션(106)으로 송신하기 위한 전기 자동차(102)에 대한 요청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충전 스테이션(106)은 멀티-네트워크 브로드캐스트 통신을 이용하여 입증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충전 스테이션(106)은 입증 확인 메시지(예를 들어, CM_VALD_PWM.CNF 메시지)가 전기 자동차(102)로부터 수신될 때까지 입증 요청 메시지를 재송신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102)가 입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전기 자동차(102)는 파일럿 라인 펄스폭 변조 값(예를 들어, 측정된 듀티 사이클 값)을 결정할 수 있고, 이 값을 입증 확인 메시지로 충전 스테이션(106)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기 자동차(102)는 멀티-네트워크 브로드캐스트 통신을 이용하여 입증 확인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입증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충전 스테이션(106)은 측정된 듀티 사이클을 전기 자동차(102)에 의해 보고된 듀티 사이클 값과 비교할 수 있다. 정합이 있을 경우, 충전 스테이션(106)은 입증 프로세스가 성공적이었음을 표시하는, 도 5의 블록(422)에서 위에서 논의된 정합 확인 메시지(예를 들어, CM_SLAC_MATCH.CNF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공개 키 인증서(예를 들어, X.509v3 인증서)가 멀티-네트워크 브로드캐스트 송신을 위해서는 너무 클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공개 키 인증서를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102)로부터 충전 스테이션(106)으로) 송신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술들이 채용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충전 스테이션(106)은 먼저 전기 자동차(102)로부터 전기 자동차의 아이덴티티를 획득할 수 있고, 그 다음으로, 인증 서버 또는 캐쉬(cache)로부터 전기 자동차(102)와 연계된 인증서를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전기 자동차(102)는 그 공개 키 인증서를 프래그먼트할 수 있고, 다수의 MNBC 송신들에 걸쳐 공개 키 인증서의 프래그먼트들을 충전 스테이션(106)으로 송신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충전 스테이션들과 연계된 공개 키 인증서들을 전기 자동차(102)로 제공하기 위하여 유사한 동작들이 실행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전기 자동차(102) 및 충전 스테이션(예를 들어, 충전 스테이션(106))이 연계 절차의 일부로서 사용자 데이터를 교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102)가 충전 스테이션(106)으로부터 접속해제되었다는 것(예를 들어, 즉각적인 연계해제), 충전 프로세스가 종결되어야 한다는 것, 등등을 표시하기 위하여 사용자 데이터가 교환될 수 있다.
당업자에 의해 인식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청구 대상의 국면들은 시스템, 방법,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 대상의 국면들은 전적으로 하드웨어 실시예, (펌웨어(firmware), 상주형 소프트웨어(resident software), 마이크로코드(microcode), 등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실시예, 또는 일반적으로 모두 여기에서 "회로", "모듈" 또는 "시스템"이라고 지칭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국면들을 조합하는 실시예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 대상의 국면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그 위에 구현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에서 구현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의 임의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신호 매체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예를 들어, 전자, 자기, 광, 전자기, 적외선, 또는 반도체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 또는 상기한 것의 임의의 적당한 조합일 수 있지만, 그것으로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의 더욱 특정한 예들(비-전면적 리스트(non-exhaustive list))은 다음의 것들: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배선들을 갖는 전기 접속부, 휴대용 컴퓨터 디스켓, 하드 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 random access memory), 판독전용 메모리(ROM : read-only memory), 소거가능 프로그램가능 판독전용 메모리(EEPROM 또는 플래쉬 메모리), 광섬유, 휴대용 컴팩트 디스크 판독전용 메모리(CD-ROM : compact disc read-only memory), 광학 저장 디바이스, 자기 저장 디바이스, 또는 상기한 것의 임의의 적당한 조합을 포함할 것이다. 이 문서의 문맥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명령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 의해 또는 이들과 관련하여 이용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가지거나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실재적인 매체(tangible medium)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신호 매체는 예를 들어, 기저대역 내에 또는 캐리어 웨이브(carrier wave)의 일부로서,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그 내부에 구현한 전파된 데이터 신호(propagated data signal)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파된 신호는 전자기, 광학, 또는 그 임의의 적당한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형태들 중의 임의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신호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가 아니며 명령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 의해 또는 이들과 관련하여 이용하기 위해 프로그램을 통신, 전파, 또는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서 구현되는 프로그램 코드는 무선, 유선, 광섬유 케이블, RF, 등, 또는 상기한 것의 임의의 적당한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적절한 매체를 이용하여 송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 대상의 국면들을 위한 동작들을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Java, Smalltalk, C++ 등과 같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bject 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C" 프로그래밍 언어 또는 유사한 프로그래밍 언어들과 같은 기존의 절차적 프로그래밍 언어들(procedural programming language)들, 및 어셈블러(assembler) 또는 기계(machine) 프로그래밍 언어들을 포함하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프로그래밍 언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기록될 수 있다. 프로그램 코드는 전적으로 사용자의 컴퓨터 상에서, 스탠드-얼론(stand-alone) 소프트웨어 패키지로서 부분적으로 사용자의 컴퓨터 상에서, 부분적으로 사용자의 컴퓨터 상에서 그리고 부분적으로 원격 컴퓨터 상에서, 또는 전적으로 원격 컴퓨터 또는 서버 상에서 실행될 수 있다. 후자의 시나리오에서, 원격 컴퓨터는 로컬 영역 네트워크(LAN : local area network) 또는 광역 네트워크(WAN : wide area network)를 포함하는 임의의 유형의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의 컴퓨터에 접속될 수 있거나, (예를 들어,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외부 컴퓨터에 대해 접속이 행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 대상의 국면들은 발명의 청구 대상의 실시예들에 따라 방법들, 장치(시스템들)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들의 흐름도 예시들 및/또는 블록도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흐름도 예시들 및/또는 블록도들의 각각의 블록, 및 흐름도 예시들 및/또는 블록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은 기계를 생산하기 위하여 범용 컴퓨터, 특수 용도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데이터 처리 장치의 프로세서로 제공될 수 있어서,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데이터 처리 장치의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하는 명령들은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 블록 또는 블록들에서 특정된 기능들/동작들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을 생성한다.
컴퓨터, 다른 프로그램가능 데이터 처리 장치, 또는 다른 디바이스들이 특정한 방식으로 기능하도록 지시할 수 있는 이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도 있어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명령들은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 블록 또는 블록들에서 특정된 기능/동작을 구현하는 명령들이 저장되어 있는 제조 물품을 생산한다.
컴퓨터, 다른 프로그램가능 장치 또는 다른 디바이스들 상에서 수행될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컴퓨터 구현 프로세스를 생성하도록 하기 위하여,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이 컴퓨터, 다른 프로그램가능 데이터 처리 장치, 또는 다른 디바이스들 상에 로딩될 수도 있어서,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장치 상에서 실행되는 명령들은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 블록 또는 블록들에서 특정된 기능들/동작들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세스들을 제공한다.
도 6은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감쇠 레벨 기반 연계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600)의 하나의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통신 네트워크는 공공 충전 설비일 수 있고, 전자 디바이스(600)는 충전 스테이션(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 공급 장비(EVSE) 디바이스)일 수 있다. 다른 구현예들에서, 전자 디바이스(600)는 충전 설비 내의 충전 스테이션들 중의 하나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전기 자동차(예를 들어, 플러그-인 전기 자동차 또는 PEV)일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600)(충전 스테이션이든 또는 전기 자동차이든)는 유선 통신 기능들(예를 들어, 전력선 통신 기능들) 및/또는 무선 통신 기능들(예를 들어, WLAN 통신 기능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600)는 프로세서 유닛(602)(아마도 다수의 프로세서들, 다수의 코어(core)들, 다수의 노드(node)들을 포함하는 것, 및/또는 멀티-스레딩(multi-threading)을 구현하는 것, 등등)을 포함한다. 전자 디바이스(600)는 메모리 유닛(606)을 포함한다. 메모리 유닛(606)은 시스템 메모리(예를 들어, 캐쉬, SRAM, DRAM, 제로 커패시터 RAM, 트윈 트랜지스터 RAM, eDRAM, EDO RAM, DDR RAM, EEPROM, NRAM, RRAM, SONOS, PRAM, 등등 중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것)일 수 있거나, 기계-판독가능 매체들의 위에서 이미 설명된 가능한 실현예들 중의 임의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실현예일 수 있다. 또한, 전자 디바이스(600)는 버스(610)(예를 들어, PCI, ISA, PCI-Express, HyperTransport®, InfiniBand®, NuBus, AHB, AXI, 등등)와,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Bluetooth 인터페이스, WLAN 802.11 인터페이스, WiMAX 인터페이스, ZigBee® 인터페이스, 무선 USB 인터페이스, 등등) 및 유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Ethernet 인터페이스, 전력선 통신 인터페이스, 등등)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604)을 포함한다.
또한, 전자 디바이스(600)는 통신 유닛(608)을 포함한다. 통신 유닛(608)은 연계 유닛(612) 및 프로세서 유닛(614)을 포함한다. 전자 디바이스(600)가 전기 자동차일 때, 통신 유닛(608)은 충전 설비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충전 스테이션들과 통신들을 교환하고 어떤 충전 스테이션에 연계하여 그로부터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충전 스테이션을 식별하기 위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동작들을 실행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600)가 충전 스테이션일 때, 통신 유닛(608)은 충전 스테이션과 연계된 감쇠 정보를 전기 자동차로 제공하고 (정합된 충전 스테이션으로서 선택될 경우) 전기 자동차와 연계하여 파워를 전기 자동차로 제공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4 내지 도 5에서 위에서 설명된 동작들을 실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 유닛(614)은 연계 유닛(612)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 유닛(602)은 연계 유닛(612)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 유닛들(602 및 614)은 연계 유닛(612)의 기능을 공동으로 실행할 수 있다.
이 기능들 중의 임의의 하나는 하드웨어로 및/또는 프로세서 유닛(602) 상에서 부분적으로(또는 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은 응용 특정 집적 회로로, 프로세서 유닛(602) 내에 구현된 로직으로, 병렬 디바이스 또는 카드 상의 코-프로세서에서, 등등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구현예들은 도 6에 예시되지 않은 더 적거나 또는 추가적인 부품들(예를 들어, 비디오 카드들, 오디오 카드들, 추가적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 병렬 디바이스들,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유닛(602), 메모리 유닛(606),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604)은 버스(610)에 결합되어 있다. 버스(610)에 결합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메모리 유닛(606)은 프로세서 유닛(602)에 결합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은 다양한 구현예들 및 활용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고 있지만, 이 실시예들은 예시적이고 발명의 청구 대상의 범위는 그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감쇠 레벨 기반 연계 메커니즘은 임의의 하드웨어 시스템 또는 하드웨어 시스템들과 일치하는 설비들로 구현될 수 있다. 다수의 변형들, 수정예들, 추가예들, 및 개선예들이 가능하다.
단일 인스턴스로서 여기에서 설명된 부품들, 동작들, 또는 구조들에 대해 복수의 인스턴트들이 제공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부품들, 동작들, 및 데이터 저장소들 사이의 경계들은 다소 임의적이며, 특정한 동작들은 특정 예시적인 구성들의 상황에서 예시되어 있다. 기능의 다른 할당들이 구상되며, 발명의 청구 대상의 범위 내에 속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예시적인 구성들에서 별개의 부품들로서 제시된 구조들 및 기능은 조합된 구조 또는 부품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유사하게, 단일 부품으로서 제시된 구조들 및 기능은 별개의 부품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그리고 다른 변형예들, 수정예들, 추가예들, 및 개선예들은 발명의 청구 대상의 범위 내에 속할 수 있다.

Claims (50)

  1.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로 적어도 하나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되는 감쇠(attenuation) 정보를 감쇠 임계치와 비교하는 단계;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제 1 감쇠 정보가 상기 감쇠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다는 결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하도록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감쇠 정보가 상기 감쇠 임계치를 초과한다는 결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재송신하도록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는,
    적어도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입증(validate)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되는 보안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하기 위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로 통신 파라미터들에 대한 요청을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
    적어도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된 제 1 통신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된 상기 제 1 통신 파라미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송신할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들의 수량(quantity)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하기 위한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파라미터들에 대한 요청을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파라미터를 수신하기 위한 시간 간격(interval)을 개시하는 단계;
    상기 제 1 통신 파라미터가 상기 시간 간격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었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송신할 상기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들의 수량을 결정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통신 파라미터가 상기 시간 간격이 경과하기 전에 수신되지 않았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상기 통신 파라미터들에 대한 요청을 다시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하기 위한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된 상기 제 1 통신 파라미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보안 통신들을 교환하도록 결정하는 단계;
    적어도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된 제 1 보안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된 제 2 보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보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의 후속 송신들을 서명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보안 정보로 서명되는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의 후속 송신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하기 위한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된 상기 제 1 통신 파라미터는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되어야 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들의 수량, 상기 수량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들을 송신하기 위한 최대 시간 간격, 및 보안 통신들이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지원되는지 여부의 표시로 구성되는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멤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하기 위한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복수의 통신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단계;
    통신 파라미터들의 통합된(consolidated) 세트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수신되는 복수의 통신 파라미터들을 조합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파라미터들의 통합된 세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송신할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들의 수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하기 위한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통신들을 설정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제 1 통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하기 위한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된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확인 메시지를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통신들을 설정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하여, 상기 네트워크 파라미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된 네트워크에 연결(join)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하기 위한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된 네트워크 파라미터는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된 네트워크 식별자, 보안 정보, 및 디바이스 어드레스로 구성되는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멤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하기 위한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해야 함을 표시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된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표시하는 제 2 통지를,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통신들을 설정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된 네트워크 파라미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하기 위한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된 제 1 진폭 맵을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된 제 2 진폭 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진폭 맵 및 상기 제 2 진폭 맵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하기 위한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플러그-인 전기 자동차(PEV : plug-in electric vehicle)이고, 그리고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각각은 전기 자동차 공급 장비(EVSE : 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스테이션인,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하기 위한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의 송신의 시작을 표시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로 통지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지는 송신될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들의 최대 수량,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최대 시간 간격, 및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식별자로 구성되는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멤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하기 위한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로부터 상기 감쇠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시간 간격을 개시하는 단계;
    상기 제 1 감쇠 정보가 상기 시간 간격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다고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감쇠 정보가 상기 감쇠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하도록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각각으로부터의 상기 감쇠 정보가 상기 시간 간격이 경과하기 전에 수신되지 않았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재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하기 위한 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하도록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된 제 1 감쇠 레벨 및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된 제 2 감쇠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감쇠 레벨이 상기 제 2 감쇠 레벨보다 작다고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감쇠 레벨이 상기 감쇠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것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하도록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하기 위한 방법.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하도록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수신되는 송신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된 제 2 감쇠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 1 감쇠 정보 및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해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제 2 감쇠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하기 위한 방법.
  18. 삭제
  19. 삭제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로 제 1 송신 전력으로 제 1 세트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들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 어떠한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도 응답을 수신하지 않는 것에 응답하여, 제 2 송신 전력으로 제 2 세트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들을 송신하는 단계; 및
    적어도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응답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송신 전력으로 제 3 세트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들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하기 위한 방법.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클라이언트 동작 모드로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각각은 마스터 동작 모드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하기 위한 방법.
  22.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 1 서비스 제공자에서,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서비스 정합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서비스 제공자에서 수신되는 상기 서비스 정합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제 1 감쇠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 1 감쇠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정합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와 연계된 복수의 주파수 캐리어들 중 적어도 제 1 캐리어 그룹에 대한 평균 감쇠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함 ―;
    상기 제 1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서비스 제공자와 연계된 상기 제 1 감쇠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감쇠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하고 그리고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1 서비스 제공자에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하기 위한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제 2 서비스 제공자와 연계된 제 2 감쇠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감쇠 정보와 상기 제 2 감쇠 정보를 비교하는 것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서비스 제공자와 연계해야 한다고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2 서비스 제공자의 제 1 네트워크와 연계된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제 2 서비스 제공자와 연계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상기 서비스를 수신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제 2 서비스 제공자와 연계된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하기 위한 방법.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비스 제공자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된 제 1 보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보안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서비스 제공자와 연계된 제 2 보안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보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의 후속 송신들을 서명하도록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보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의 상기 후속 송신들을 암호화하도록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하기 위한 방법.
  25. 삭제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하기 위하여 상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감쇠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서비스 제공자가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하도록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서비스 제공자의 네트워크와 연계된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논리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네트워크 파라미터로 상기 제 1 서비스 제공자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하기 위한 방법.
  27. 삭제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비스 제공자가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상기 논리 네트워크를 형성한 후에, 상기 제 1 서비스 제공자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인증(authenticate)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서비스 제공자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성공적으로 인증한 후에,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하기 위한 방법.
  29.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정합 브로트캐스트 메시지의 송신의 시작을 표시하는 통지를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지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서비스 정합 브로트캐스트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시간 간격을 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시간 간격이 경과한 후에 상기 제 1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감쇠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하기 위한 방법.
  30. 삭제
  31. 삭제
  32.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입증하고 그리고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저대역폭 대역외(out-of-band) 통신 매체를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하기 위한 방법.
  33. 삭제
  34.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서,
    프로세서; 및
    명령들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하여금,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로 적어도 하나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송신하게 하고;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되는 감쇠 정보를 감쇠 임계치와 비교하게 하고;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제 1 감쇠 정보가 상기 감쇠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다는 결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하도록 결정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감쇠 정보가 상기 감쇠 임계치를 초과한다는 결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재송신하도록 결정하게 하는,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추가로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로 통신 파라미터들에 대한 요청을 브로드캐스팅하게 하고;
    적어도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된 제 1 통신 파라미터를 수신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된 상기 제 1 통신 파라미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송신할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들의 수량을 결정하게 하는,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추가로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된 상기 제 1 통신 파라미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보안 통신들을 교환하도록 결정하게 하고;
    적어도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된 제 1 보안 정보를 송신하게 하고;
    적어도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된 제 2 보안 정보를 수신하게 하고;
    상기 제 1 보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의 후속 송신들을 서명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보안 정보로 서명되는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의 후속 송신들을 수신하게 하는,
    제 1 네트워크 디바이스.
  37. 제 1 서비스 제공자로서,
    프로세서; 및
    명령들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제 1 서비스 제공자로 하여금,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서비스 정합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수신하게 하고;
    상기 제 1 서비스 제공자에서 수신되는 상기 서비스 정합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제 1 감쇠 정보를 결정하게 하고 ― 상기 제 1 감쇠 정보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서비스 정합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와 연계된 복수의 주파수 캐리어들 중 적어도 제 1 캐리어 그룹에 대한 평균 감쇠 레벨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함 ―;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서비스 제공자와 연계된 상기 제 1 감쇠 정보를 송신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감쇠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하고 그리고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요청을 수신하게 하는,
    제 1 서비스 제공자.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추가로 상기 제 1 서비스 제공자로 하여금,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된 제 1 보안 정보를 수신하게 하고;
    상기 제 1 보안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서비스 제공자와 연계된 제 2 보안 정보를 송신하게 하고;
    상기 제 2 보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의 후속 송신들을 서명하도록 결정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보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의 상기 후속 송신들을 암호화하도록 결정하게 하는,
    제 1 서비스 제공자.
  39.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추가로 상기 제 1 서비스 제공자로 하여금,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입증하고 그리고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저대역폭 대역외 통신 매체를 사용하게 하는,
    제 1 서비스 제공자.
  40.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저장된 명령들을 갖는 기계-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동작들은,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로 적어도 하나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송신하는 동작;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되는 감쇠 정보를 감쇠 임계치와 비교하는 동작;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제 1 감쇠 정보가 상기 감쇠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다는 결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중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하도록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의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감쇠 정보가 상기 감쇠 임계치를 초과한다는 결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재송신하도록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기계-판독가능 저장 매체.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은,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통신들을 설정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제 1 통지를 송신하는 동작;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해야 함을 표시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된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표시하는 제 2 통지를,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통신들을 설정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된 네트워크 파라미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기계-판독가능 저장 매체.
  42.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저장된 명령들을 갖는 기계-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동작들은,
    제 1 서비스 제공자에서,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서비스 정합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 1 서비스 제공자에서 수신되는 상기 서비스 정합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제 1 감쇠 정보를 결정하는 동작 ― 상기 제 1 감쇠 정보를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서비스 정합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와 연계된 복수의 주파수 캐리어들 중 적어도 제 1 캐리어 그룹에 대한 평균 감쇠 레벨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함 ―;
    상기 제 1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서비스 제공자와 연계된 상기 제 1 감쇠 정보를 송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제 1 감쇠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하고 그리고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1 서비스 제공자에서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기계-판독가능 저장 매체.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비스 제공자에서 상기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입증하고 그리고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저대역폭 대역외 통신 매체를 사용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기계-판독가능 저장 매체.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된 충전 케이블 상에서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파일럿 신호의 듀티 사이클(duty cycle)은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기 전에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수정됨 ―;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파일럿 신호의 듀티 사이클을 결정하도록 요청하는 입증(validation) 요청을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파일럿 신호의 듀티 사이클의 표시를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결정되는 듀티 사이클 및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결정되는 듀티 사이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와 연계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하기 위한 방법.
  4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멀티-네트워크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인,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하기 위한 방법.
  49.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비스 제공자에서, 상기 제 1 감쇠 정보가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감쇠 정보가 상기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감쇠 정보를 송신하도록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감쇠 정보가 상기 임계치를 초과한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감쇠 정보를 송신하지 않도록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하기 위한 방법.
  50.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비스 제공자는 제 2 네트워크의 부분이고,
    상기 제 2 서비스 제공자는 상기 제 1 네트워크의 부분이고, 그리고
    상기 서비스 정합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멀티-네트워크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인,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계하기 위한 방법.
KR1020147006261A 2011-08-10 2012-08-10 통신 네트워크들에서의 감쇠 레벨 기반 연계 KR1015598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522184P 2011-08-10 2011-08-10
US61/522,184 2011-08-10
US13/564,358 2012-08-01
US13/564,358 US9021278B2 (en) 2011-08-10 2012-08-01 Network association of communication devices based on attenuation information
PCT/US2012/050402 WO2013023164A2 (en) 2011-08-10 2012-08-10 Attenuation level based associa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0063A Division KR101884748B1 (ko) 2011-08-10 2012-08-10 통신 네트워크들에서의 감쇠 레벨 기반 연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7159A KR20140047159A (ko) 2014-04-21
KR101559817B1 true KR101559817B1 (ko) 2015-10-13

Family

ID=4675047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6261A KR101559817B1 (ko) 2011-08-10 2012-08-10 통신 네트워크들에서의 감쇠 레벨 기반 연계
KR1020157010063A KR101884748B1 (ko) 2011-08-10 2012-08-10 통신 네트워크들에서의 감쇠 레벨 기반 연계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0063A KR101884748B1 (ko) 2011-08-10 2012-08-10 통신 네트워크들에서의 감쇠 레벨 기반 연계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9021278B2 (ko)
EP (2) EP2958345B1 (ko)
JP (2) JP5795439B2 (ko)
KR (2) KR101559817B1 (ko)
CN (1) CN103843304B (ko)
BR (1) BR112014002910A2 (ko)
CA (1) CA2844701C (ko)
RU (2) RU2601146C2 (ko)
TW (1) TWI481271B (ko)
WO (1) WO201302316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26813B2 (en) 2010-11-22 2015-05-05 Qualcomm Incorporated Establishing a power charging association on a powerline network
JP5760625B2 (ja) 2011-04-13 2015-08-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センターサーバー及びこれを含む充電施設登録システム
US9003492B2 (en) 2011-06-21 2015-04-07 Qualcomm Incorporated Secure client authentication and service authorization in a shared communication network
US9021278B2 (en) 2011-08-10 2015-04-28 Qualcomm Incorporated Network association of communication devices based on attenuation information
WO2013097816A1 (zh) * 2011-12-31 2013-07-04 深圳市比亚迪汽车研发有限公司 电动汽车的充电系统及具有其的电动汽车
DE102013205460A1 (de) * 2013-03-27 2014-10-02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erknüpfung von elektrischen Verbindungen mit Kommunikationsverbindungen
US9736018B2 (en) * 2013-05-28 2017-08-15 Rivada Networks, Llc Method and system for a flexible dynamic spectrum arbitrage system
US9446674B2 (en) * 2013-07-15 2016-09-2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related to mutual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of electric vehicle and charging station
US9937811B2 (en) * 2013-07-19 2018-04-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authentication for a BEV charger
US9688295B2 (en) * 2013-08-23 2017-06-27 Electro-Motive Diesel, Inc. Trainline network access point for parallel communication
US9463816B2 (en) 2013-08-23 2016-10-11 Electro-Motive Diesel, Inc. Trainline communication network access point including filter
US9260123B2 (en) 2013-08-23 2016-02-16 Electro-Motive Diesel,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locomotive position in a consist
US9270335B2 (en) 2013-08-23 2016-02-23 Electro-Motive Diesel, Inc. Receive attenuation system for trainline communication networks
US20150095114A1 (en) * 2013-09-30 2015-04-02 Elwha Llc Employment related information center associated with communication and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electric vehicle electrical energy transfer
US10093194B2 (en) 2013-09-30 2018-10-09 Elwha Llc Communication and control system and method regarding electric vehicle for wireless electric vehicle electrical energy transfer
US11349675B2 (en) * 2013-10-18 2022-05-31 Alcatel-Lucent Usa Inc. Tamper-resistant and scalable mutual authentication for machine-to-machine devices
KR101524166B1 (ko) * 2014-02-11 2015-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터 변환기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충전 시스템 및 차량 충전 방법
US9283856B2 (en) * 2014-02-24 2016-03-1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authorizing operation of an electric vehicle that is being charged at a charging station
US9744979B2 (en) 2014-04-11 2017-08-29 Electro-Motive Diesel, Inc. Train communication network
US9560139B2 (en) 2014-04-11 2017-01-31 Electro-Motive Diesel, Inc. Train communication network
KR20150144236A (ko) * 2014-06-16 2015-12-2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력선 통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E102014010752A1 (de) * 2014-07-21 2016-01-21 Wabco Gmbh Verfahren zum Aufbau einer drahtlosen Verbindung
DE102014221559A1 (de) * 2014-10-23 2016-04-2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ufbau einer Ladekommunikation zwischen Ladestation und Fahrzeug
KR101665485B1 (ko) * 2015-06-16 2016-10-18 (주)아이앤씨테크놀로지 Iso/iec12139-1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전기자동차와 충전시스템 간의 신호 세기 측정 방법
US11831654B2 (en) * 2015-12-22 2023-11-28 Mcafee, Llc Secure over-the-air updates
KR101838508B1 (ko) * 2016-01-07 2018-03-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차 충전 방법 및 장치
KR102518037B1 (ko) * 2016-02-19 2023-04-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의 충전 장치 및 그의 통신 방법
US10611250B2 (en) * 2016-03-09 2020-04-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wireless vehicle charging communications using location based services
DE102016221474A1 (de) * 2016-11-02 2018-05-03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Ladestationseinrichtung mit einer oder mehreren Ladestationen für induktives Laden
DE102016223633A1 (de) 2016-11-29 2018-05-30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Einrichtungen zum Bereitstellen von mindestens einem Dienst, insbesondere im Automotive-Umfeld
JP2018113641A (ja) * 2017-01-13 2018-07-19 Kddi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車両、サーバ装置、通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90045454A1 (en) * 2017-08-03 2019-02-07 Autotalk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existence of a v2x safety channel with other channels
KR102017574B1 (ko) * 2017-08-29 2019-09-05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와 충전기의 신호 세기 측정 간소화방법
US10715317B2 (en) * 2017-12-12 2020-07-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otection of confidentiality, privacy and financial fairness in a blockchain based decentralized identity management system
CN108001284A (zh) * 2017-12-21 2018-05-08 陕西拓荒者网络科技有限公司 充电服务方法、系统、装置及使用方法和时间买卖系统
DE102018204565A1 (de) * 2018-03-26 2019-09-26 Siemens Aktiengesellschaft Einstellen eines Kommunikationsparameters eines Kommunikationsmoduls einer Ladestation
KR102606836B1 (ko) 2018-10-22 2023-11-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11186196B2 (en) * 2018-11-09 2021-11-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naging the provisioning of electricity for an electric vehicle
DE102019201363A1 (de) * 2019-02-04 2020-08-06 Siemens Aktiengesellschaft Freigabe einer Nutzung von Verkaufsautomaten
US11046201B2 (en) * 2019-03-25 2021-06-29 Micron Technology, Inc.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system
US20220158851A1 (en) * 2019-04-29 2022-05-19 Hyundai Motor Company Cross-certificate method and device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US11903040B2 (en) * 2019-10-31 2024-02-13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establishment for wireless power transfer
CN114554574B (zh) * 2019-11-05 2023-12-2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网络选择方法及终端设备
CN111645554B (zh) * 2020-05-28 2022-05-3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充电管理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FI20206256A1 (fi) 2020-12-04 2022-06-05 Liikennevirta Oy / Virta Ltd Sähköajoneuvojen latausasemien tunnistusmenetelmä
US11622355B2 (en) * 2021-03-29 2023-04-04 Cisco Technology, Inc. Wireless fidelity uplink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CN117751045A (zh) * 2022-04-07 2024-03-22 时代电服科技有限公司 电池更换方法、装置、计算机设备、存储介质和程序产品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25058A1 (en) * 2001-12-12 2003-07-03 Ntt Docomo, Inc.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estimating location of mobile station

Family Cites Families (9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2122A (en) 1988-12-14 1989-08-29 Alcatel Na, Inc Dielectric notch filter
US5341083A (en) 1991-09-27 1994-08-23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Inc. Contactless battery charging system
WO1995030263A1 (en) 1994-05-03 1995-11-09 Electro-Wire Products, Inc. Power distribution module
US6885652B1 (en) 1995-06-30 2005-04-26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communication system
US6182139B1 (en) * 1996-08-05 2001-01-30 Resonate Inc. Client-side resource-based load-balancing with delayed-resource-binding using TCP state migration to WWW server farm
JPH10133983A (ja) * 1996-11-01 1998-05-22 Fuji Xerox Co Ltd ホスト装置および画像出力装置
FI104780B (fi) 1997-02-28 2000-03-31 Nokia Mobile Phones Ltd Solukkoradiojärjestelmän solujen priorisointi
DE60031266T2 (de) 2000-08-17 2007-04-19 Sun Microsystems, Inc., Palo Alto Verfahren und System zum Lastausgleich
US6396241B1 (en) 2000-09-18 2002-05-28 General Motors Corporation Inductive charging system employing a fluid-cooled transformer coil and transmission cable
US6711216B2 (en) * 2001-06-28 2004-03-23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ultra-wideband radio utilizing MEMS filtering
JP2003012099A (ja) 2001-07-02 2003-01-15 Tatsuno Corp 給油所システム
EP1324546A1 (en) 2001-12-28 2003-07-02 Motorola, Inc. Dynamic content delivery method and network
US6959171B2 (en) 2002-02-28 2005-10-25 Intel Corporation Data transmission rate control
US7051102B2 (en) * 2002-04-29 2006-05-23 Microsoft Corporation Peer-to-peer name resolution protocol (PNRP) security infrastructure and method
US7599484B2 (en) 2002-04-29 2009-10-06 Adc Dsl Systems, Inc. Element management system for managing line-powered network elements
DE10221427B4 (de) * 2002-05-14 2013-08-14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Lokalisieren einer Sende- und Empfangseinrichtung
JP3845347B2 (ja) * 2002-08-28 2006-11-15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高速ローミング方式
WO2005029237A2 (en) 2003-09-15 2005-03-31 Digital Networks North America, Inc. Method and system for adaptive transcoding and transrating in a video network
US7652995B2 (en) * 2003-12-19 2010-01-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nomic reassociation of clients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8161547B1 (en) * 2004-03-22 2012-04-17 Cisco Technology, Inc. Monitoring traffic to provide enhanced network security
JP2005323248A (ja) 2004-05-11 2005-11-17 Funai Electric Co Ltd Tv番組配信システム及びこのシステムから配信される有料tv番組を受信するtv番組受信端末装置
US7366475B2 (en) * 2004-06-04 2008-04-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ignal strength measurements in cellular telecommunication systems
US7286834B2 (en) 2004-07-13 2007-10-23 Sbc Knowledge Ventures, Lp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 based policy management
JP2006158087A (ja) 2004-11-29 2006-06-15 Yamaha Motor Co Ltd 電動車両用充電システム
KR20060059782A (ko) 2004-11-29 2006-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신호의 스케일러블 프로그레시브 다운로딩을 지원하는방법
US20060195464A1 (en) 2005-02-28 2006-08-31 Microsoft Corporation Dynamic data delivery
JP4591823B2 (ja) 2005-03-15 2010-12-01 東京電力株式会社 電力供給システム
JP2007069923A (ja) 2005-09-05 2007-03-22 Idemitsu Credit Kk 計量機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計量機コントロール方法、及びposシステム
JP4832848B2 (ja) 2005-10-13 2011-12-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アクセスポイント選択方法、無線装置、無線端末なら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070185815A1 (en) * 2005-10-18 2007-08-09 Intertrust Technologies Corporation Digital rights management engine systems and methods
KR101019002B1 (ko) * 2005-10-26 2011-03-04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자원 이용 메시지를 이용하여 무선 채널에 대한 최소레이트 보증
US9225488B2 (en) 2005-10-27 2015-12-29 Qualcomm Incorporated Shared signaling channel
US8255207B2 (en) * 2005-12-28 2012-08-28 Voiceage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efficient frame erasure concealment in speech codecs
CN100525484C (zh) 2006-03-29 2009-08-05 华为技术有限公司 Cdma电路域实现超长短消息发送的方法
US8429396B1 (en) * 2006-05-31 2013-04-23 Juniper Networks, Inc. Peer discovery and secure communication in failover schemes
US8160563B2 (en) * 2006-06-30 2012-04-1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esponse to service notifications in a network environment
JP4835293B2 (ja) 2006-07-13 2011-12-14 日本電気株式会社 送信出力制御装置、マルチキャリア伝送システム、送信出力制御方法及び送信出力制御プログラム
US20080040296A1 (en) 2006-08-10 2008-02-14 V2 Green Inc. Electric Resource Power Meter in a Power Aggregation System for Distributed Electric Resources
US7940735B2 (en) * 2006-08-22 2011-05-10 Embarq Holdings Company, Llc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an access point
JP2008077267A (ja) 2006-09-20 2008-04-03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電力供給システム
US8942739B2 (en) * 2006-11-06 2015-01-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of notifications
US8510464B2 (en) * 2006-12-20 2013-08-13 Cisco Technology, Inc. Measuring delays from content servers to network devices on paths to a client such as for use in selecting a content server based on a common network device
JP2008227614A (ja) 2007-03-08 2008-09-25 Nec Corp 無線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通信制御方法及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US7885893B2 (en) 2007-03-16 2011-02-08 Daniel Alexander Method and system for the authorization of and payment for electric charging of vehicles
JP2008252586A (ja) * 2007-03-30 2008-10-16 Nec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移動端末、無線基地局、アクセススイッチおよび基地局探索方法
US7984177B2 (en) 2007-04-30 2011-07-19 Vixs Systems, Inc. Multimedia client/server system with adjustable packet size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US9521090B2 (en) * 2007-06-04 2016-12-13 Qualcomm Incorporated Authorizing stations into a centrally managed network
US8014109B2 (en) 2007-10-04 2011-09-06 Hitachi Global Storage Technologies Netherlands B.V. Current-perpendicular-to-the-plane (CPP) magnetoresistive sensor with antiparallel-pinned layer containing silicon
US8054048B2 (en) 2007-10-04 2011-11-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Power grid load management for plug-in vehicles
JP2009094768A (ja) 2007-10-09 2009-04-30 Panasonic Corp 電力線通信装置及び電力線通信装置の自動登録方法
JP2009130484A (ja) * 2007-11-21 2009-06-11 Fujitsu Ltd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JP5102319B2 (ja) * 2008-02-21 2012-12-1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無線基地局探索方法、無線基地局探索装置および無線基地局探索プログラム
JP5163238B2 (ja) 2008-04-02 2013-03-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充電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充電サービスステーション
JP4355750B2 (ja) * 2008-04-08 2009-11-0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同報情報通知方法及びネットワークノード
US8571118B2 (en) 2008-04-09 2013-10-29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line directional coupling
US8368351B2 (en) 2008-04-09 2013-02-05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line directional awareness for a charging station
JP5305504B2 (ja) 2008-07-04 2013-10-02 矢崎総業株式会社 充電監視装置
SG192551A1 (en) * 2008-07-21 2013-08-30 Dius Computing Pty Ltd An authentication system for a plug-in electric drive vehicle
US8725551B2 (en) 2008-08-19 2014-05-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mart electric vehicle interface for managing post-charge information exchange and analysis
JP5211968B2 (ja) 2008-09-17 2013-06-12 沖電気工業株式会社 アクセスポイント、無線接続方法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2010079583A (ja) 2008-09-25 2010-04-08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車両管理システム
CN101719854A (zh) * 2008-10-09 2010-06-02 广升运有限公司 可高速移动语音及图像数据的无线通讯系统及其方法
US8729857B2 (en) 2008-10-15 2014-05-20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data transfer to a vehicle and for charging said vehicle
GB2472537B (en) 2008-10-15 2011-06-22 Nomad Spectrum Ltd Network communication
KR101277431B1 (ko) 2008-12-03 2013-06-20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무선 기지국,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기지국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무선 기지국의 송신 전력 제어 프로그램의 기억 매체
US20100161518A1 (en) 2008-12-22 2010-06-24 Nathan Bowman Littrell Electricity storage controller with integrated electricity meter and methods for using same
US9396462B2 (en) 2008-12-22 2016-07-19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roaming billing for electric vehicles
SE532123C2 (sv) * 2008-12-22 2009-10-27 Elenergiladdsystem för fordon
US10189359B2 (en) 2009-02-17 2019-01-29 Chargepoint, Inc. Transmitting notification messages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network
JP5225894B2 (ja) 2009-03-04 2013-07-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基地局装置、無線端末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基地局認証方法
JP5320561B2 (ja) 2009-03-19 2013-10-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真正性を保証する端末システム、端末及び端末管理サーバ
US20110007824A1 (en) 2009-03-31 2011-01-13 Gridpoint, Inc. System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ic vehicle power management
US20100274570A1 (en) 2009-04-24 2010-10-2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Vehicle charging authorization
US8305976B1 (en) * 2009-06-16 2012-11-06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Efficient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entry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WO2010150555A1 (ja) 2009-06-25 2010-12-2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車両制御システム及び自動車
US8354913B2 (en) 2009-07-23 2013-01-15 Chargepoint, Inc. Authorization in a networked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US8996659B2 (en) 2009-07-24 2015-03-31 Plumchoic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remote services using a cross-device database
US8860362B2 (en) 2009-07-31 2014-10-14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System for vehicle battery charging
JP2011034500A (ja) 2009-08-05 2011-02-17 Enegate:Kk 電気自動車の給電課金システム
CN106130933A (zh) 2009-09-23 2016-11-16 威罗门飞行公司 具有性能监测的主动多路径网络冗余
US8296568B2 (en) 2009-10-27 2012-10-23 Goog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uthenticating an electronic transaction
US8762543B2 (en) * 2009-12-15 2014-06-24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nomous peer discovery and enhancing link reliability for wireless peer direct links
KR101376997B1 (ko) 2010-01-08 2014-03-25 알까뗄 루슨트 비활성 다운링크 요소 반송파들을 측정하도록 사용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US20110184587A1 (en) 2010-01-25 2011-07-28 Flux Engineering, LLC. System and Method for Trading Electrical or Other Portable Power or Energy Source
US11183001B2 (en) 2010-01-29 2021-11-23 Chargepoint, Inc.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host definable pricing
US20110264530A1 (en) 2010-04-23 2011-10-27 Bryan Santangelo Apparatus and methods for dynamic secondary content and data insertion and delivery
US8278875B2 (en) 2010-05-14 2012-10-02 Coulomb Technologies, Inc. Safety supervisory module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US9026813B2 (en) 2010-11-22 2015-05-05 Qualcomm Incorporated Establishing a power charging association on a powerline network
US9003492B2 (en) 2011-06-21 2015-04-07 Qualcomm Incorporated Secure client authentication and service authorization in a shared communication network
US9021278B2 (en) 2011-08-10 2015-04-28 Qualcomm Incorporated Network association of communication devices based on attenuation inform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25058A1 (en) * 2001-12-12 2003-07-03 Ntt Docomo, Inc.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estimating location of mobile s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843304A (zh) 2014-06-04
EP2958345A1 (en) 2015-12-23
KR20140047159A (ko) 2014-04-21
RU2014108873A (ru) 2015-09-20
CA2844701A1 (en) 2013-02-14
JP5795439B2 (ja) 2015-10-14
RU2016136360A (ru) 2018-12-12
EP2742670A2 (en) 2014-06-18
JP6203790B2 (ja) 2017-09-27
TW201316798A (zh) 2013-04-16
BR112014002910A2 (pt) 2017-03-01
US20150189581A1 (en) 2015-07-02
KR20150050594A (ko) 2015-05-08
EP2742670B1 (en) 2015-06-03
JP2016007036A (ja) 2016-01-14
WO2013023164A2 (en) 2013-02-14
TWI481271B (zh) 2015-04-11
WO2013023164A3 (en) 2013-07-11
JP2014524695A (ja) 2014-09-22
KR101884748B1 (ko) 2018-08-03
US9021278B2 (en) 2015-04-28
RU2601146C2 (ru) 2016-10-27
CN103843304B (zh) 2018-01-16
US20130038424A1 (en) 2013-02-14
EP2958345B1 (en) 2021-04-14
CA2844701C (en) 2017-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9817B1 (ko) 통신 네트워크들에서의 감쇠 레벨 기반 연계
US9003492B2 (en) Secure client authentication and service authorization in a shared communication network
KR101560416B1 (ko) 근거리 통신에서 보안 채널 형성 방법 및 장치
JP2022527902A (ja) 電気車両充電ステーションシステム
RU2010131184A (ru) Способ доступа с аутентификацией и система доступа с аутентификацией в беспроводной многоскачковой сети
US20150372996A1 (en) Slotted message access protocol for powerline communication networks
KR20130083619A (ko) 차량용 데이터의 인증 및 획득 방법
US20220311751A1 (en) Secure Communications Method and Apparatus
US20240010095A1 (en) Device and method for mutual authentication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CN110365511A (zh) 网络配置方法、装置、设备、系统及存储介质
CN115296847B (zh) 流量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5486104A (zh) BLE Mesh设备的配置入网方法、装置及设备
JP2024501550A (ja) セキュアリレーを備えた物理アクセス制御システム
CN117082514A (zh) 一种6g网络的设备到设备的认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