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6836B1 - 차량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6836B1
KR102606836B1 KR1020180126150A KR20180126150A KR102606836B1 KR 102606836 B1 KR102606836 B1 KR 102606836B1 KR 1020180126150 A KR1020180126150 A KR 1020180126150A KR 20180126150 A KR20180126150 A KR 20180126150A KR 102606836 B1 KR102606836 B1 KR 102606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er
pairing
control unit
charg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6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5282A (ko
Inventor
노정하
성법모
김상연
신득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6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6836B1/ko
Priority to CN201811489973.0A priority patent/CN111071078A/zh
Priority to EP18210955.3A priority patent/EP3643556B1/en
Priority to US16/214,650 priority patent/US11390177B2/en
Publication of KR20200045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5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6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6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2I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26Methods for pairing a vehicle and a charging station, e.g. establishing a one-to-one relation between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a wireless power rece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1DC charging controlled by the charging station, e.g. mode 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1Charging column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04B3/544Setting up communications; Call and signal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04B3/546Combination of signalling, telemetering, pro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04B3/56Circuits for coupling, blocking, or by-passing of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18B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를 다수의 충전기로 충전하는 경우 신호의 송수신 순서를 달리하여 신호 간섭으로 인한 오작동을 회피할 수 있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적어도 하나의 충전기로부터 전력을 전달받는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충전 포트; 및 상기 제1커넥터 및 상기 제2커넥터와 상기 충전 포트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충전 시작 명령이 입력되면 차량과 상기 제1커넥터 및 상기 제2커넥터와 페어링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및 그 제어방법{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충전 시간의 단축을 위하여 다수의 충전기를 이용하여 차량을 충전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전기 자동차는 자동차의 구동 에너지를 기존의 자동차와 같이 화석 연료의 연소로부터가 아닌 전기에너지로부터 얻는 자동차이다.
이러한 전기 자동차의 주 에너지 공급원은 배터리로 배터리의 경량화, 소형화 및 짧은 충전시간은 전기자동차가 실용화되기 위한 필수적이다.
한편, 기존 전기 자동차 충전 방식은 대용량 배터리가 장착된 차량에 한 개의 충전구가 탑재되어 충전기와 차량의 일대 일 방식으로 충전을 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충전 시간을 단축시키려면 충전기의 용량 및 차량 부품의 용량을 증가시켜야 하므로, 충전기 인프라 비용이 증가하고 차량의 원가 및 중량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차량에 다수의 충전구를 장착하여 다수의 충전기를 통하여 충전하는 방식이 제안되고 있으나, 다수의 충전기를 원활하게 제어하지 못해 오작동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를 다수의 충전기로 충전하는 경우 신호의 송수신 순서를 달리하여 신호 간섭으로 인한 오작동을 회피할 수 있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적어도 하나의 충전기로부터 전력을 전달받는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충전 포트; 및 상기 제1커넥터 및 상기 제2커넥터와 상기 충전 포트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충전 시작 명령이 입력되면 차량과 상기 제1커넥터 및 상기 제2커넥터와 페어링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커넥터 및 상기 제2커넥터는 각각 서로 다른 복수의 충전기와 대응되고,
상기 제어부는, 제1충전 제어부; 및 제2충전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충전기가가 순차적으로 상기 제1충전 제어부 및 상기 제2충전 제어부와 각각 페어링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어부의 페어링이 완료되면, 상기 제2커넥터와의 페어링을 위한 페어링 요청신호에 대응한 상기 제2커넥터와 대응되는 페어링 응답 신호를 무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커넥터와의 페어링을 기초로, 상기 제1커넥터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주소를 획득하고, 상기 제2커넥터와 대응되는 페어링 응답 신호에 포함된 네트워크 주소와 상기 제1커넥터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주소를 비교하여 상기 제2커넥터와 대응되는 페어링 응답 신호를 무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충전 제어부에 대응되는 채널 형성 명령을 송신하고, 상기 제1커넥터와 대응되는 충전기 및 상기 제1충전 제어부 사이의 페어링이 완료되어 통신 채널이 형성되면, 상기 제1충전 제어부로부터 채널 형성 완료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충전 제어부에 대응되는 채널 형성 명령을 송신하여 상기 상기 제2커넥터와 대응되는 충전기 및 상기 제2충전 제어부 사이의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커넥터 및 상기 제2커넥터 각각과 상기 충전 포트의 접속 상태에 기초하여 페어링을 시작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커넥터와 대응되는 충전기와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에 기초한 상기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통신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1커넥터와 대응되는 충전기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차량의 충전 정보 및 상기 제1커넥터와 대응되는 충전기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기에 송신하는 페어링 요청 신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기가 송신하는 페어링 응답 신호에 포함된 상기 페어링 요청 신호의 감쇠율을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기와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 시작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기로부터 통신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기에 페어링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페어링 요청 신호에 대응한 페어링 응답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기와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충전 시작 명령이 입력되면 차량과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와의 페어링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충전기로부터 전력을 전달받는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가 복수개의 충전 포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충전 시작 명령이 입력되면 차량과 상기 제1커넥터 및 상기 제2커넥터와의 페어링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넥터 및 상기 제2커넥터는 각각 서로 다른 복수의 충전기와 대응되고,
상기 페어링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은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충전기가 차량에 마련된 제1충전 제어부 및 제2충전 제어부와 각각 페어링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차량의 페어링이 완료되면,
상기 제2커넥터와의 페어링을 위한 페어링 요청신호에 대응한 상기 제2커넥터에서 송신된 페어링 응답 신호를 무시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순차적으로 페어링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은, 상기 제1커넥터와의 페어링을 기초로, 상기 제1커넥터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주소를 획득하고, 상기 제2커넥터와 대응되는 상기 페어링 응답 신호에 포함된 네트워크 주소와 상기 제1커넥터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주소를 비교하여 상기 제2커넥터와 대응되는 페어링 응답 신호를 무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페어링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은 상기 제1충전 제어부에 대응되는 채널 형성 명령을 송신하고, 상기 제1커넥터와 대응되는 충전기 및 상기 제1충전 제어부 사이의 페어링이 완료되어 통신 채널이 형성되면, 상기 제1충전 제어부로부터 채널 형성 완료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충전 제어부에 대응되는 채널 형성 명령을 송신하여 상기 상기 제2커넥터와 대응되는 충전기 및 상기 제2충전 제어부 사이의 페어링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페어링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은 상기 제1커넥터와 대응되는 충전기와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에 기초한 상기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통신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1커넥터와 대응되는 충전기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차량의 충전 정보 및 상기 제1커넥터와 대응되는 충전기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페어링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기에 송신하는 페어링 요청 신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기가 송신하는 페어링 응답 신호에 포함된 상기 페어링 요청 신호의 감쇠율을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기와 페어링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페어링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은 상기 충전 시작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기로부터 통신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페어링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기에 페어링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페어링 요청 신호에 대응한 페어링 응답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기와 페어링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은 전기 자동차를 다수의 충전기로 충전하는 경우 신호의 송수신 순서를 달리하여 신호 간섭으로 인한 오작동을 회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호 신호 간섭의 문제가 없는 멀티 포트 동시 충전을 구현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차량의 고전압 배터리 충전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 시킬 수 있다.
도1은 차량과 충전기의 외관도이다.
도2는 하나의 충전기로 차량을 충전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3 및 도4는 다수의 충전기로 차량을 충전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충전 시스템의 제어블럭도이다.
도6은 도5에서 나타낸 제어블럭도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제어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8은 차량(1)과 충전기 사이의 신호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9는 도8의 동작을 더욱 상세하게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10은 복수개의 충전기와 차량이 페어링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11은 충전기와 페어링이 수행되면 다른 충전기의 페어링 응답 신호를 무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1은 차량과 충전기의 외관도이다.
차량(1)은 구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1)의 구동 장치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motor)를 채용할 수 있다.
차량(1)의 동력원은 배터리가 저장하는 전기 에너지이다. 배터리는 차량(1)의 외부, 즉 충전기로부터 전기를 전달받을 수 있다.
충전기는 차체에 마련된 충전 포트(100-1, 100-2)를 통해 충전기와 연결되어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1)는 EV(Electric Vehicle), PHEV(PHEV(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및 FCEV(Fuel Cell Electric Vehicle) 등 배터리를 포함하는 충전이 가능한 모든 차량에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1)은 운행 전 배터리를 충전기(10-1,10-2)와 연결하여 운행을 준비할 수 있다.
한편 차량(1)은 구동의 동력원이 되는 배터리는 직류(DC) 전원(급속충전설비)을 배터리에 직접 연결하여 급속 충전하거나, 교류(AC) 전원을 차량(1)에 연결하여 완속 충전할 수 있다.
충전기는 급속 충전방식에서 직류(DC) 전원으로 사용되는 급속충전설비는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차량(1)에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충전기는 차량(1) 내 배터리에 직결되어 높은 전류를 제공하므로 단시간에 차량(1) 배터리의 충전을 완료할 수 있다.
한편 충전기가 완속 충전방식에서는 배전계통에 연계된 상용 교류(AC) 전원을 이용하여 차량(1)에 교류 전력을 공급하면, 차량(1) 내에서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이러한 완속 충전방식을 적용할 경우에는 상용 교류 전원이 공급하는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형태 및 크기를 변환시켜야 하기 때문에 전력변환시스템의 회로 구성을 가지는 완속충전기(On-Board Charger, OBC)가 차량(1)에 탑재될 수 있다.
한편 차량(1)은 2구 충전시스템이 적용된 전기버스로 마련될 수 있다.
도2는 하나의 충전기로 차량(1)을 충전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3 및 도4는 다수의 충전기로 차량(1)을 충전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2를 참고하면, 차량(1)의 충전 포트(100-1)와 충전기의 커넥터(10-1)가 연결되어 차량(1)을 충전할 수 있다. 하나의 충전기로 충전 시간을 단축시키려면 충전기의 용량 및 차량(1) 부품의 용량을 증가시켜야 한다. 이 경우에는 단일한 충전기와 차량(1)에 구비된 단일한 제어 모듈이 존재하여 충전기와 제어 모듈이 교차하여 신호의 간섭을 받지 않는다.
한편, 충전기 및 차량(1)의 설비를 크게 변경하지 않고 차량(1)의 충전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도3과 같이 다수의 충전기(10-11,10-12,10-13)를 이용할 수 있다. 각각의 충전기는 차량(1)에 마련된 다수의 충전포트(100-11, 100-12, 100-13)를 이용하여 충전할 수 있다.
한편 도4를 참고하면, 도4는 도3의 경우를 블록도로 나타내고 있다. 제1충전기(10-1) 및 제2충전기(10-2)로 차량(1)을 충전하는 경우 충전기와 차량(1)간의 통신이 선행되어야 한다.
한편 충전기와 차량(1)은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을 통하여 통신할 수 있다. 전력선통신(PLC)은 전기를 공급하는 전력선을 이용해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 방식이다. 전력선통신은60Hz 및 그 이외의 주파수대역, 즉 1~30MHz 주파수 대역에 신호를 송신하여 초고속통신이 가능하다.
따라서 차량(1)과 충전기(10-1, 10-2)는 연결된 전력선을 통하여 통신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제1충전기(10-1)와 대응되는 제1충전 제어부(210-1)와 통신하고 제2충전기(10-2)와 대응되는 제2충전기(10-2)와 통신하는 것이 원칙이나, 충전기가 제1,2 충전 제어부(210-1, 210-2)에서 신호 간섭을 일으켜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2 충전 제어부(210-1, 210-2)와 제1충전기(10-1), 및 제2충전기(10-2)에 있어서 제1충전 제어부(210-1)가 송신한 채널 형성을 위한 요청 신호는 방사되어 제2충전기(10-2)에 도달할 수 있으며, 제2충전 제어부(210-2)가 송신한 채널 형성을 위한 요청 신호는 방사되어 제1충전기(10-1)에 도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충전 제어부(210)를 통하여 충전을 실시하게 될 제1충전기(10-1)는 원활한 충전을 하기 어렵고 제2충전 제어부(210-2)를 통하여 충전을 실시하게 될 제2충전기(10-2)는 원활한 충전을 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충전기와 충전 제어부가 본격적인 통신을 형성하기 전 충전기와 차량(1)의 매칭에 이용되는 SLAC(Signal Level Attenuation Characterization)에서 시간차를 두어 충전기와 충전 제어부 상호간의 신호의 간섭을 배제할 수 있다.
SLAC(Signal Level Attenuation Characterization)은 차량(1)과 충전기간 초기 연결 설정시 인접한 충전기에 오 접속 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한 동작으로 상술한 PLC 통신을 이용하는 충전 시 사전에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는 동작이다.
구체적으로 차량(1)은 제어부(200)에 요청 신호 및 미리 결정된 개수의 메시지를 충전기에 송신할 수 있다.
충전기는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차량(1)이 송신한 신호의 감쇠율을 판단하고, 판단된 감쇠율을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차량(1)은 충전기가 송신한 신호에 포함된 감쇠율이 미리 정해진 감쇠율 이하(예를 들어, 20dB)가 되면 물리적으로 연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충전 제어부(210)와 충전기가 시간차를 두고 SLAC을 실시하는 구체적 동작은 후술한다.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충전 시스템의 제어블럭도이다.
도5를 참고하면 차량 충전 시스템은 제1충전기(10-1), 제2충전기(10-2) 및 차량(1)을 포함하고, 차량(1)은 복수개의 충전 포트(100-1, 100-2), 제1충전 제어부(210-1), 제2충전 제어부(210-2) 및 관리 제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충전기(10-1) 및 제2충전기(10-2)는 차량(1)을 충전하는 설비로 구현될 수 있다. 제1충전기(10-1) 및 제2충전기(10-2)는 사용자로부터 충전 개시 명령을 입력 받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1)은 제1충전기(10-1) 및 제2충전기(10-2)를 통하여 충전 개시 명령에 기초하여 제1충전기(10-1)에 대응되는 통신 채널이 형성되면, 제2충전기(10-2)에 대응되는 통신 채널 형성을 위한 요청 신호를 상기 제2충전기(10-2)에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1)은 제1충전기(10-1) 및 제2충전기(10-2)와 접속하는 충전 포트(100-1, 100-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충전 포트(100-1, 100-2)는 제1충전기(10-1) 및 제2충전기(10-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차량에 포함된 제어부(200)는 제1충전기(10-1) 및 상기 제2충전기(10-2)와 충전 포트(100-1, 100-2)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충전 시작 명령이 입력되면 차량과 상기 제1충전기(10-1) 및 상기 제2충전기(10-1)가 순차적으로 페어링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충전 시작 명령은 사용자가 충전기에 충전 시작을 직접적으로 입력하는 것을 포함하지만,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명령을 입력하지 않더라도 충전기를 차량의 충전 포트에 꽂는 행위 등 차량의 충전을 개시하는 동작과 연관된 동작이라면 충전 시작 명령의 제한은 없다.
또한 차량(1)은 제1충전기(10-1)에 대응되는 통신 채널이 형성되면, 충전 포트를 통해 제2충전기(10-2)에 대응되는 통신 채널 형성을 위한 요청 신호를 상기 제2충전기(10-2)에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제1충전 제어부(210-1) 및 제2충전 제어부(210-2)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에 포함된 관리 제어부(220)는 제1충전기(10-1) 및 상기 제2충전기(10-2)가 순차적으로 제1충전 제어부(210-1) 및 제2충전 제어부(210-2) 와 각각 페어링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리 제어부(220)는 제1충전기(10-1)에 대응되는 제1충전 제어부(210-1), 제2충전기(10-2)에 대응되는 제2충전 제어부(210-2) 및 제1충전 제어부(210-1) 및 상기 제2충전 제어부(210-2) 중 적어도 하나에 채널 형성 명령을 송신하고, 상기 제1충전 제어부(210-1) 및 상기 제2충전 제어부(210-2)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채널 형성 완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관리 제어부(220)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관리 제어부(220)와 제1충전 제어부(210-1) 및 제2충전 제어부(210-2) 상호간 및 제1충전 제어부(210-1)와 제2충전 제어부(210-2) 상호간은 CAN네트워크(Controller Area Network)를 통해 통신 할 수 있다.
CAN네트워크는 프로세서들 간의 데이터 전송 그리고 정보/통신 시스템 및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의 제어 등에 사용될 수 있다. CAN네트워크는 꼬여 있거나 또는 피복에 의해 차폐되어 있는 2가닥 데이터 배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CAN은 마스터/슬레이브 시스템에서 다수의 프로세서가 마스터(master) 기능을 수행하는 멀티-마스터(multi-master) 원리에 따라 작동할 수 있다.
제1 충전 제어부(210-1)는 제1충전기와 페어링이 완료 되면, 제2충전기(10-2)와의 페어링을 위한 페어링 요청신호에 대응한 제2충전기(10-2)에서 송신된 페어링 응답 신호를 무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충전 제어부(210-1)와 제1충전기(10-1)가 채널을 형성하여 통신을 하는 경우, 제1충전 제어부(210-1)는 제1충전기(10-1)의 신호를 수신하고 통신하고 그 밖의 신호는 무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충전기(10-1)는 고유의 맥(MAC)주소를 가질 수 있고, 제1충전기(10-1)가 제1충전 제어부(210-1)에 송신하는 신호에는 제1충전기(10-1)의 맥주소가 포함될 수 있다. 제1충전 제어부(210-1)는 제1충전기(10-1)의 맥주소를 상술한 SLAC에 의해서도 파악 할 수 있으므로 제1충전기(10-1)의 맥 주소가 포함된 신호만을 수신할 수 있다. 제2충전기(10-2)가 송신한 신호에는 제2충전기(10-2)의 맥주소가 포함되어 있을 것이므로 제1충전 제어부(210-1)는 제1충전기(10-1)와 제2충전기(10-2)의 신호를 식별할 수 있으며, 제2충전기(10-2)가 송신한 신호는 무시할 수 있다.
관리 제어부(220)는, 제1충전기(10-1) 및 제2충전기(10-2) 각각과 충전 포트(100-1, 100-2)에 접속 상태에 기초하여 제1충전기(10-1) 및 제2충전기(10-2) 각각에 대응되는 채널 형성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충전기와 충전 포트의 체결 상태는 PD(Proximity Detection)신호에 기초하여 충전 제어부가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1)은 충전기와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에 기초한 상기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차량(1)은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1충전기(10-1)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차량(1)의 충전 정보 및 상기 제1충전기(10-1)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충전 제어부(210-1, 210-2) 및 관리 제어부(220)는 하나의 모듈로서 형성될 수 있으나 별개의 모듈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충전 제어부(210) 및 관리 제어부(220)는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도5에 포함된 충전 제어부(210) 및 관리 제어부(220)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 제어부(210) 및 관리 제어부(220) 외부 장치(예를 들어 충전기)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5에 도시된 차량(1) 충전 시스템의 구성 요소들의 성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상호 위치는 시스템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한편, 도 5에서 도시된 각각의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및 주문형 반도체(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도6은 도5에서 나타낸 제어블럭도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6을 참고하면 제1충전기(10-1) 및 제2충전기(10-2)는 전기 자동차 충전 설비(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EVSE,10)로 구현될 수 있다. 전기 자동차 충전 설비(10)는 직류 전원 공급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직류 전원 공급부(13)는 차량(1)의 충전에 직류전원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전기 자동차 충전 설비(10)는 제1충전기(10-1) 및 제2충전기(10-2)에 각각 대응되는 신호 송신부(11-1, 11-2) 및 PLC모뎀(12-1, 12-2)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 충전 설비(10)는 각각의 신호 송신부(11-1, 11-2)에서 생성한 신호 및 PLC 모뎀(12-1, 12-2)을 통하여 차량(1)과 PLC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 충전 설비(10)에 마련된 신호 송신부는 사용자의 충전 시작 명령에 기초한 신호(예를 들어 PWM 신호)를 차량(1)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충전 제어부(210-1, 210-2)는 충전기와 충전 포트 사이에서 충전 포트 체결(PD)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전기 자동차 충전 설비에 제어 신호(CP)를 송신 할 수 있다.
한편, 전기 자동차 충전 설비(10)로부터 송신된 신호는 각각 제1충전 제어부(210-1) 및 제2충전 제어부(210-2)에 전달될 수 있다. 전기 자동차 충전 설비는 충전기 상태 정보를 포함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각각의 충전 제어부(210)는 전기 자동차 충전 설비로부터 수신 받은 PLC신호를 CAN신호로 변환하여 다른 충전 제어부 및 관리 제어부(220-1, 220-2)에 송신할 수 있다.
도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제어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6과 도7을 함께 참고하면 충전 제어부(210)는 PD 모듈(211), CP모듈(212) 및 PLC 모듈(213), MCU(214) 및 CAN 모듈(215)를 포함할 수 있다.
PD모듈(21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충전기와 차량(1)에 마련된 충전 포트의 접촉 상태를 판단하는 회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관리 제어부는 PD모듈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제1충전기(10-1) 및 제2충전기(10-2) 각각이 차량(1)과 체결되었는지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관리 제어부는 충전 포트와 충전기가 연결 된 것으로 판단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CP모듈(212)이 통신 요청 신호(PWM)를 수신하면 채널 형성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CP모듈(212)은 충전기에서 송신된 통신 요청 신호(PWM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요청 신호에는 충전기의 종류, 충전기 및 차량의 상태에 관련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CP 모듈(212)은 전압을 변화 시킴으로써 충전기에게 충전 시작을 인지시킬 수 있다.
CP 모듈(212)은 충전기가 송신하는 통신 요청 신호(PWM)를 처리하고 차량이 충전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P 모듈은 충전기와 차량의 연결 여부, 차량 충전 불가 또는 차량 충전 가능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PLC 모듈(213)은 충전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충전기와 충전 제어부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PLC 모듈(213)은 충전기와 충전 제어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충전 제어 신호에는 세부적인 충전 단계에서 주고 받는 실제적인 제어정보, 충전전압/전류량, 차량이상상태, 충전기 이상상태, 충전절차상의 필요한 각종 FLAG 및 SLAC에 관련된 신호가 포함될 수 있다.
PLC 모듈(213)은 신호를 변환하여 MCU에 전달할 수 있다.
충전 제어부(210)은 MCU(214) 및 CAN 모듈(215)를 포함할 수 있다. MCU(214)는 프로세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상태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MCU(214)는 제어신호를 차량(1)에 구비된 다른 모듈에 CAN모듈(215)을 이용하여 송신할 수 있다.
도8은 차량(1)과 충전기 사이의 신호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차량(1)은 충전을 위하여 제1충전기(10-1) 및 제2충전기(10-2)와 접속(S801, S802)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1)에 마련된 충전 포트와 제1충전기(10-1) 및 제2충전기(10-2)에 마련된 충전 포트는 접속할 수 있다.
차량(1)과 충전기가 접속하면 사용자는 충전기에 충전 시작 명령(C81, C82)을 입력할 수 있다. 충전 시작 명령(C81, C82)은 입력 시점을 달리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동시에 이루어 질 수도 있다.
충전기(10-1, 10-2)는 사용자의 충전 시작 명령(C81, C92)에 기초하여 차량(1)과의 통신을 요청하는 신호(S803, S804)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예 따르면 차량과의 통신을 요청하는 신호는 통신하는 PWM신호의 5%에 해당되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차량(1)은 충전기(10-1, 10-2)의 신호를 수신하면 채널 형성을 위하여 제1충전기(10-1)에 페어링 요청 신호(S805)를 송신할 수 있다. 차량(1)이 페어링 요청 신호(S805)를 송신하는 우선순위는 사용자의 충전 시작 명령의 시점에 선후에 기초할 수 있으나, 반드시 사용자의 충전 시작 명령의 시점에 종속되는 것은 아니다.
차량(1)은 충전기에 페어링을 위한 요청 신호(S805, S807)를 송신할 수 있다. 도8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제1충전기(10-1)와 제2충전기(10-2)는 차량(1)과 순차적으로 페어링이 이루어 질 수 있다.
차량(1)이 페어링 요청 신호(S805)를 제1충전기(10-1)에 송신하고 제1충전기(10-1)로부터 페어링 응답 신호(S806)를 수신하기 전까지 차량(1)은 제2충전기(10-2)에 페어링을 위한 요청 신호(S807)를 송신하지 않는다. 다만, 차량(1)과 제1충전기(10-1)가 페어링이 완료된 시점에서는 차량(1)은 제2충전기(10-2)에 페어링을 위한 요청 신호(S807)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제1충전기(10-1)는 제2충전기(10-2)와 차량(1)간의 페어링과 무관하게 차량(1)의 충전(C83)을 시작할 수 있다. 차량(1)을 충전하는 과정에서 차량(1)은 충전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S809, S811)를 충전기에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충전기는 충전기의 상태정보(S810, S812)를 포함하는 신호를 차량(1)에 송신할 수 있다.
도9는 도8의 동작을 더욱 상세하게 나타낸 흐름도이다.
차량(1)의 제어부는 제1충전기(10-1)와 대응되는 제1충전 제어부(210-1), 제2충전기(10-2)와 대응되는 제2충전 제어부(210-2) 및 관리 제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충전 제어부와 충전기는 전력선 통신을 통하여 통신할 수 있다. 충전 제어부와 관리 제어부는 상술한 CAN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할 수 있다.
관리 제어부는 제1충전 제어부(210-1)에 대응되는 채널 형성 명령(S905)을 송신할 수 있다.
관리 제어부(220)가 송신하는 채널 형성 명령(S905, S909)은 사용자가 충전기를 통해 입력한 충전 시작 명령(C91, C92)에 의해서 시작될 수 있다. 사용자가 충전기(10-1, 10-2)를 통해서 충전 시작 명령(C91, C92)을 입력하면 충전 제어부는 사용자의 명령에 기초한 신호를 입력 받아 관리 제어부(220)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관리 제어부(220)는 제1충전 제어부(210-1)에 채녈 형성 명령을 송신(S905)하기 전에 사용자가 제2충전기(10-2)에 입력한 충전 시작 명령과 관련된 신호가 수신되더라도 제1충전 제어부(210-1)와 제2충전 제어부(210-2)에 유사한 시점에 채널 형성 명령을 송신하는 것이 아닌 제1충전기(10-1)와의 페어링이 완료된 후에 제2충전기(10-2)와의 페어링을 위한 채널 형성 명령(S909)을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리 제어부(220)가 제1충전 제어부(210-1)에 채널 형성 명령(S905)을 송신하면 제1충전 제어부(210-1)는 제1충전기(10-1)에 페어링 요청 신호(S906)를 송신할 수 있다. 제1충전기(10-1)는 제1충전 제어부(210-1)가 송신한 페어링 요청 신호(S906)에 응답하는 페어링 응답 신호(S907)를 송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으로 제1충전기(10-1)와 제1충전 제어부(210-1)는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페어링이 수행되면, 제1충전기(10-1)와 제1충전 제어부(210-1)는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1)과 충전기는 상술한 SLAC(Signal Level Attenuation Characterization)을 통하여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1)은 페어링 요청신호(예를 들어,CM_SLAC_PARM.REQ)를 충전기에 송신할 수 있다. 차량(1)은 미리 결정된 횟수의 요청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충전기는 페어링 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차량(1)에 신호의 감쇠율이 포함된 페어링 응답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차량(1)은 수신된 페어링 응답 신호에 포함된 감쇠율이 미리 결정된 값(예를 들어 20dB) 이하가 되면 차량(1)과 충전기가 연결된 것으로 판단하여 응답신호를 송신한 충전기와 통신 채널 형성하여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SLAC 이후 본격적인 충전 절차가 진행될 수 있다.
제1충전기(10-1)와 페어링이 수행되어 통신 채널이 형성되면 제1충전 제어부(210-1)는 관리 제어부(220)에 제1충전기(10-1)와 제1충전 제어부(210-1)가 페어링이 완료되고 채널이 형성된 정보를 포함한 채널 형성 완료 신호(S908)를 관리 제어부(220)에 송신할 수 있다. 관리 제어부(220)는 제1충전 제어부(210-1)가 송신한 채널 형성 완료 신호(S908)를 수신하여 제1충전기(10-1)와 차량(1)이 페어링 된 것을 판단할 수 있다. 관리 제어부(220)는 제1충전기(10-1)와 차량(1)이 페어링 된 것으로 판단되면, 순차적으로 다음 제2충전기(10-2)와의 페어링을 위한 채널 형성 완료 신호(S909)을 제2충전 제어부(210-2)에 송신할 수 있으며, 제1충전기(10-1)와 동일한 방법으로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도10은 3개의 충전기(10-1, 10-2, 10-3)와 차량(1)이 페어링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8 및 도10에서 설명한 동작을 기초로 차량(1)은 제1충전기(10-1) 및 제2충전기(10-2)와 순차적으로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차량(1)은 제2충전기(10-2)와의 페어링이 수행된 뒤 제3충전기(10-3)와 순차적으로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1내지 제3충전기(10-3)와 차량(1)의 페어링에 있어서, 사용자가 입력한 충전 시작 명령에 시점에 의해서 우선 순위가 정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내지 제3충전기(10-1, 10-2, 10-3)에 순차적으로 사용자의 충전 시작 명령(C101, C102, C103)이 입력된 경우 도10에 나타난 신호의 흐름도와 같이 동작할 수 있다.
다만, 제1충전기(10-1)와의 페어링 동작 도중 제3충전기(10-3)의 충전 시작 명령이 제2충전기(10-2)의 충전 시작 명령보다 선행되거나, 제3충전기(10-3)의 충전 시작 명령이 제2충전기(10-2)의 충전 시작 명령과 동시에 이루어진 경우에는 순서에 상관없이 차량(1)이 순차적으로 충전기와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1충전기(10-1)와 차량(1)의 페어링이 완료되고 제3충전기(10-3)에 충전 시작 명령이 제2충전기(10-2)의 충전 시작 명령 먼저 입력된 경우라도, 차량(1)은 제3충전기보다 제2충전기(10-2)와 먼저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도9와 도10을 함께 참고하면, 차량(1)에 마련된 관리 제어부는 페어링을 위하여 송신하는 채널 형성 명령을 송신하는데 있어서, 제1충전기(10-1)와 페어링 이후에 무작위적이지만, 순차적으로 다른 충전기들과 페어링을 시작할 수 있다.
차량(1)은 적어도 하나의 충전기와 페어링이 완료 되고 충전을 시작하는 경우에는, 페어링이 완료된 충전기와의 충전 행정과 독립적으로 다른 충전기와 페어링을 시도할 수 있다. 차량(1)은 제1충전기(10-1) 및 제2충전기(10-2)와 페어링을 순차적으로 완료하면 충전기로부터 차량(1)을 충전할 수 있다. 차량(1)은 제1충전기(10-1) 및 제2충전기(10-2)로부터 충전을 받음과 동시에 제3충전기(10-3)와의 페어링을 시작할 수 있다. 한편 도10에서 제시하는 제1내지 제3충전기는 본 발명의 동작을 위하여 부가한 서수에 불과하고 충전기에 부가된 서수는 우선순위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11은 충전기와 페어링이 수행되면 다른 충전기의 페어링 응답 신호를 무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11에서는 차량(1)에 마련된 제1충전 제어부(210-1)와 제1충전기(10-1)가 페어링이 완료된 이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차량(1)과 충전기가 페어링이 완료되면 차량(1)은 해당 충전기가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1)과 페어링된 충전기는 충전기의 고유 네트워크 주소를 포함하는 응답신호를 차량(1)에 송신할 수 있다. 고유 네트워크 주소는 IP주소, 포트(Port)주소, MAC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충전기가 다른 기기이므로 기기에 고유한 주소인 MAC주소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MAC주소는 특정 구역 내 정보통신망인 LAN에 사용되는 네트워크 모델인 이더넷의 물리적인 주소를 의미할 수 있다. MAC주소는 차량에 마련된 이더넷 카드의 읽기용 기억장치(ROM)에 기록될 수 있다.
한편 제1충전 제어부(210-1)는 제1충전기(10-1)로부터 제1충전기(10-1)의 네트워크 주소가 포함된 페어링 응답 신호(S1008)를 수신받아 페어링을 완료하면 제1충전기(10-1)의 네트워크 주소가 포함된 신호만을 수신하여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충전기(10-1)의 MAC주소가 "00-00-00-AB-CD-00-01"인 경우, 제1충전 제어부(210-1)는 "00-00-00-AB-CD-00-01"의 MAC주소가 포함된 신호만을 수용하고 "00-00-00-AB-CD-00-02" 등의 다른MAC주소가 포함된 신호는 수용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제1충전기(10-1)와 제1충전 제어부(210-1)가 페어링을 완료하고 제2충전 제어부(210-2)와 제2충전기(10-2)가 페어링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제2충전기(10-2)는 제2충전 제어부(210-2)가 송신한 페어링 요청 신호(S1109)에 대응한 페어링 응답 신호를 제2충전 제어부(210-2)에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충전기(10-2)가 송신한 페어링 응답 신호(S1110)는 공기 중에 방사(SN)되어 제1충전 제어부(210-1)에 전달 될 수도 있다. 제1충전 제어부(210-1)는 전달 받은 제2충전기(10-2)가 송신한 페어링 응답 신호(S1110)의 MAC주소를 식별 할 수 있다. 제1충전 제어부(210-1)가 식별한 제2충전기(10-2)가 송신한 페어링 응답 신호의 MAC주소는 제1충전기(10-1)가 송신한 응답 신호와 다른 MAC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충전 제어부(210-1)는 제1충전기(10-1)와 다른 MAC주소를 포함하는 제2충전기(10-2)가 송신한 페어링 응답 신호를 무시할 수 있다(C113). 한편, 도 11에서는 제2충전기(10-2)의 응답 신호를 특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네트워크 주소를 식별하여 수용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은 충전기에서 송신한 신호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네트워크 기기를 통하여 송신된 신호이면 그 내용은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 : 차량
10-1 : 제1충전기
10-2 : 제2충전기
100 : 충전 포트
200 : 제어부
210 : 충전 제어부
220 : 관리 제어부

Claims (20)

  1. 제1충전기로부터 전력을 전달받는 제1충전기의 제1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충전 포트;
    제2충전기로부터 전력을 전달받는 제2충전기의 제2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충전 포트; 및
    상기 제1충전 포트가 상기 제1커넥터에 연결되고 상기 제2충전 포트가 상기 제2커넥터에 연결되고 충전 시작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충전기에 제1페어링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2충전기에 제2페어링 요청 신호를 전송하여 제1, 2 충전기와 순차적으로 페어링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충전기와 페어링을 수행할 때 상기 제2충전기의 페어링 응답 신호를 무시하고, 상기 제1충전기와 페어링이 완료되면 상기 제2충전기에 제2페어링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차량.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충전기와의 페어링을 위한 제1충전 제어부; 및
    상기 제2충전기와의 페어링을 위한 제2충전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충전 제어부는,
    상기 제1충전기와의 페어링을 기초로, 상기 제1충전기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주소를 획득하고,
    상기 제2충전기의 페어링 응답 신호에 포함된 네트워크 주소와 상기 제1충전기의 네트워크 주소를 비교하여 상기 제2충전기의 페어링 응답 신호를 무시하는 차량.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충전 제어부에 대응되는 채널 형성 명령을 송신하고,
    상기 제1 충전기 및 상기 제1충전 제어부 사이의 페어링이 완료되어 통신 채널이 형성되면,
    상기 제1충전 제어부로부터 채널 형성 완료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충전 제어부에 대응되는 채널 형성 명령을 송신하여 상기 제2충전기 및 상기 제2충전 제어부 사이의 페어링을 수행하는 차량.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커넥터 및 상기 제2커넥터 각각과 상기 제1, 2 충전 포트의 접속 상태에 기초하여 페어링을 시작하는 차량.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충전기와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에 기초한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통신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1 충전기에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차량의 충전 정보 및 상기 제1 충전기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차량.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충전기 및 상기 제2충전기 중 어느 하나에 송신하는 페어링 요청 신호와, 상기 제1 충전기 및 상기 제2충전기 중 어느 하나가 송신하는 페어링 응답 신호에 포함된 상기 페어링 요청 신호의 감쇠율을 기초로 상기 제1 충전기 및 상기 제2충전기 중 어느 하나와 페어링을 수행하는 차량.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 시작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 충전기 및 상기 제2충전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통신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차량.
  10. 삭제
  11. 삭제
  12. 제1충전 포트가 제1충전기의 제1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충전 포트가 제2충전기의 제2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충전 시작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충전기에 제1페어링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2충전기에 제2페어링 요청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제1, 2 충전기와 순차적으로 페어링을 수행하되,
    상기 제1충전기와 페어링을 수행할 때, 상기 제2충전기의 페어링 응답 신호를 무시하고, 상기 제1충전기와 페어링이 완료되면 상기 제2충전기에 제2페어링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차량 제어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순차적으로 페어링을 수행하는 것은
    차량에 마련된 제1충전 제어부 및 제2충전 제어부와 상기 제1, 2 충전기와의 페어링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제어방법.
  14. 삭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충전기의 페어링 응답 신호를 무시하는 것은,
    상기 제1충전기와의 페어링을 기초로, 상기 제1충전기의 네트워크 주소를 획득하고,
    상기 제2충전기의 상기 페어링 응답 신호에 포함된 네트워크 주소와 상기 제1충전기의 네트워크 주소를 비교하여 상기 제2충전기의 페어링 응답 신호를 무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제어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순차적으로 페어링을 수행하는 것은
    상기 제1충전 제어부에 대응되는 채널 형성 명령을 송신하고,
    상기 제1 충전기 및 상기 제1충전 제어부 사이의 페어링이 완료되어 통신 채널이 형성되면, 상기 제1충전 제어부로부터 채널 형성 완료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충전 제어부에 대응되는 채널 형성 명령을 송신하여 상기 상기 제2 충전기 및 상기 제2충전 제어부 사이의 페어링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제어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순차적으로 페어링을 수행하는 것은
    상기 제1 충전기와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에 기초한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통신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1 충전기에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차량의 충전 정보 및 상기 제1 충전기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제어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순차적으로 페어링을 수행하는 것은,
    상기 제1충전기 및 제2충전기 중 어느 하나에 송신하는 페어링 요청 신호와, 상기 제1충전기 및 제2충전기 중 어느 하나가 송신하는 페어링 응답 신호에 포함된 상기 페어링 요청 신호의 감쇠율을 기초로 상기 제1충전기 및 제2충전기 중 어느 하나와 페어링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제어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순차적으로 페어링을 수행하는 것은
    상기 충전 시작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충전기 및 제2충전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통신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제어방법.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순차적으로 페어링을 수행하는 것은
    상기 제1충전기 및 제2충전기 중 어느 하나에 페어링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페어링 요청 신호에 대응한 페어링 응답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1충전기 및 제2충전기 중 어느 하나와 페어링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제어방법.
KR1020180126150A 2018-10-22 2018-10-22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2606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150A KR102606836B1 (ko) 2018-10-22 2018-10-22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N201811489973.0A CN111071078A (zh) 2018-10-22 2018-12-06 车辆及其控制方法
EP18210955.3A EP3643556B1 (en) 2018-10-22 2018-12-07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6/214,650 US11390177B2 (en) 2018-10-22 2018-12-10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150A KR102606836B1 (ko) 2018-10-22 2018-10-22 차량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5282A KR20200045282A (ko) 2020-05-04
KR102606836B1 true KR102606836B1 (ko) 2023-11-27

Family

ID=64661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6150A KR102606836B1 (ko) 2018-10-22 2018-10-22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390177B2 (ko)
EP (1) EP3643556B1 (ko)
KR (1) KR102606836B1 (ko)
CN (1) CN11107107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2979A (ko) * 2019-12-26 2021-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장치 및 상기 모바일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10119718A (ko) * 2020-03-25 2021-10-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자동차 충전 제어 방법, 이를 이용한 충전 제어 장치 및 전기자동차
CN111422093B (zh) * 2020-05-20 2022-06-07 深圳市科华恒盛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于电动汽车的多枪同充充电系统
CN113765169B (zh) * 2020-06-05 2023-09-12 南京德睿能源研究院有限公司 一种加速充电控制器及其应用装置和加速充电控制方法
SG10202009655TA (en) * 2020-09-28 2021-12-30 Mine Mobility Research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side control of a multi-pile charging session
DE102021118797A1 (de) * 2021-07-21 2023-01-26 Webasto S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Laden eines Elektrofahrzeuges
DE102022112430A1 (de) 2022-05-18 2023-11-23 Daimler Truck AG Hochvolt-Speicher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Verfahren zum Laden einer Hochvolt-Speichereinrichtung und Kraftfahrzeu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75245A1 (en) * 2014-09-15 2016-03-17 Stmicro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Wireless Charging System
US20160114692A1 (en) * 2013-06-06 2016-04-28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Battery charging devices, battery charging methods, battery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batterie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49939B2 (en) * 2002-07-31 2006-05-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ower line carrier system
US9860965B2 (en) * 2006-03-28 2018-01-02 Wireless Environment, Llc Cloud connected lighting system
JP5478174B2 (ja) 2009-09-24 2014-04-23 北陸電力株式会社 大型二次電池の充電方法及びシステム
KR20110042403A (ko) 2009-10-19 2011-04-27 김현민 전기자동차용 무선충전 시스템 및 그충전방법
JP2013051874A (ja) 2010-06-28 2013-03-14 Japan Delivery System Corp 電気自動車の充電システム
US9026813B2 (en) * 2010-11-22 2015-05-05 Qualcomm Incorporated Establishing a power charging association on a powerline network
KR101229139B1 (ko) 2011-04-06 2013-02-01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전기차 충전시스템
US9021278B2 (en) 2011-08-10 2015-04-28 Qualcomm Incorporated Network association of communication devices based on attenuation information
KR101336794B1 (ko) 2011-12-21 2013-12-04 재단법인 전북자동차기술원 전기자동차용 통합 배터리 충전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US20130162221A1 (en) * 2011-12-22 2013-06-27 Schneider Electric USA, Inc. Direct Communications System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EP2802058A4 (en) * 2011-12-31 2016-01-06 Shenzhen Byd Auto R&D Co Ltd ELECTRIC AUTOMOTIVE AND INTEGRATED CONTROL SYSTEM THEREFOR
JP5955714B2 (ja) 2012-09-18 2016-07-20 株式会社東芝 電池パックおよび電気自動車
WO2016183014A1 (en) * 2015-05-08 2016-11-17 Faa, Llc Battery charging stations and associated methods of use
KR20160146296A (ko) 2015-06-12 2016-12-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 자동차 충전용 통신 제어 시스템 및 그의 통신 제어 방법
KR102518037B1 (ko) 2016-02-19 2023-04-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의 충전 장치 및 그의 통신 방법
KR101857469B1 (ko) * 2016-03-22 2018-05-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복수의 충전기를 통한 전기차 충전 방법 및 장치
KR102606792B1 (ko) 2016-05-04 2023-11-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의 충전 장치 및 그의 통신 방법
US10999331B1 (en) * 2016-07-06 2021-05-04 Google Llc Reverse discovery and pairing of client devices to a media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14692A1 (en) * 2013-06-06 2016-04-28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Battery charging devices, battery charging methods, battery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batteries
US20160075245A1 (en) * 2014-09-15 2016-03-17 Stmicro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Wireless Charging System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omeplug Powerline Alliance, "HomePlug Green PHY Specification Release Version 1.1", 2012.02.08.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5282A (ko) 2020-05-04
EP3643556B1 (en) 2023-03-29
CN111071078A (zh) 2020-04-28
US20200122593A1 (en) 2020-04-23
EP3643556A1 (en) 2020-04-29
US11390177B2 (en) 2022-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6836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9114714B2 (en) High voltage charge pack
CN107554318A (zh) 缆上控制盒、电动车辆充电方法及供应设备通信控制器
CN106585393A (zh) 用于电动车辆电力传输系统的安全方法和装置
US10481896B2 (en) Charger storage for cached vehicle updates
US11264825B1 (en) Vehicle to vehicle high power charging
US9180786B2 (en) Method to ensure reliable reception of electric vehicle association messages
JP7263532B2 (ja) 電動車両給電機器及び電動車両間の基本インターフェース上のイーサネット
KR20150112016A (ko) 상이한 통신 매체들 사이에서 통신 디바이스들의 스위칭
JP7371732B2 (ja) 車両の制御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車両ならびに車両の制御方法
KR101320372B1 (ko)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전력선 통신 어쏘시에이션 방법 및 전력선 통신 모뎀
CN102555833B (zh) 对车辆电池充电的系统和方法
TW202106533A (zh) 用於為電池充電的設備、系統和方法
US1034354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KR20210082763A (ko) 마스터 배터리 및 슬레이브 배터리를 동시에 충전하는 전기자동차 충전 방법
CN113224785A (zh) 车辆对建筑物电力系统
KR101848610B1 (ko) 실시간 충전 데이터 모니터링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US20230234458A1 (en) Charge adaptors for supporting bidirectional energy transfers between multiple energy units
CN112092655B (zh) 充电站通信系统、方法和充电站
Harper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sae dc charging digital communication for plug-in electric vehicle dc charging
CN113364104B (zh) 一种车载obc并联充电系统及其充电控制方法
CN216002227U (zh) 一种充电机
CN215621433U (zh) 智能车载充电接口和电动汽车
US2024008328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communications
CN210183332U (zh) 一种电动汽车智能充电通信系统中的电动车端通信控制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