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9352B1 - 타이어 이송기 - Google Patents

타이어 이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9352B1
KR101559352B1 KR1020150055607A KR20150055607A KR101559352B1 KR 101559352 B1 KR101559352 B1 KR 101559352B1 KR 1020150055607 A KR1020150055607 A KR 1020150055607A KR 20150055607 A KR20150055607 A KR 20150055607A KR 101559352 B1 KR101559352 B1 KR 101559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ing
tire
plate
rail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5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to KR1020150055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93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9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9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5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suspended load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73T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yre Mou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를 적재하고 레일에 현수되어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타이어를 이송하는 타이어 이송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타이어 이송기는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현수되어 승강하도록 구성되고 타이어를 클램핑하는 클램핑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 장치는, 상기 본체에 현수되어 승강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이 베이스 플레이트에 지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 멀어지는 제1 방향과 서로 가까워지는 제2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 개의 클램핑 유닛;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클램핑 유닛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클램핑 유닛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슬라이드하도록 구성되는 가동 플레이트; 이 가동 플레이트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클램핑 축; 상기 클램핑 축의 하단에 배치되어 그 일부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클램핑 플레이트; 상기 클램핑 축의 둘레에 배치되어 상기 클램핑 축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한 클램핑 파이프, 및 상기 클램핑 파이프의 상하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타이어 이송기{AN APPARATUS FOR TRANSPORTING A TIRE}
본 발명은 타이어 이송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타이어를 적재하고 레일에 현수되어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타이어를 이송하는 타이어 이송기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의 제조 공장 또는 완성된 타이어를 적재하는 창고에서는 타이어의 성형, 가류 또는 검사 공정으로부터 다른 공정으로 타이어를 이송하거나 타이어의 적재 창고와 그 사용처 사이에서 타이어를 이송하는 데 있어서, 창고 또는 공장의 천장 쪽에 레일을 설치하고 타이어를 적재한 이송기가 이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한 시스템을 이용한다.
그러한 일례로서 타이어의 가류기에서 가류 공정이 완료된 타이어는 검사 공정으로 이동하거나 적재 창고로 이동하는데, 그러한 이동에 있어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송기가 이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유형의 이송기는 레일에 현수되어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본체와 이 본체에 현수된 상태로 승강하여 지면이나 작업대 또는 이송 대차 등에 놓인 타이어를 클램핑하는 클램핑 장치를 포함하며, 클램핑 장치는 벨트, 케이블 또는 와이어 등에 의해 본체에 현수되어 본체에 마련된 풀리 등이 벨트 또는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작동에 의해 상하로 승강하며, 타이어의 외측 둘레를 감싸거나 타이어의 원주 방향 내측으로 삽입되어 타이어를 클램핑한다.
이러한 클램핑 장치는 그 이송하려는 타이어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 클램핑 장치의 작동이 제어되어야 하고, 특히 타이어가 그 이송 목표 위치의 상부에 도달하였을 때 본체로부터 하강하여 타이어를 이송 목표 위치에 내려 놓고 타이어의 클램핑 상태를 해제하여야 한다.
이러한 타이어의 이송 동작은 이송하려는 타이어의 크기와 형상을 감지하고 이송 목표 위치와 이송용 레일 사이의 거리 등을 감지하는 각종 영상 분석 장치와 제어 장치에 의해 이루어져야 하지만, 그러한 영상 분석 장치나 제어 장치를 구성하는 것은 상당한 비용이 소요되며, 인식의 오류 등으로 인하여 타이어 이송기가 오작동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타이어를 적재하고 레일에 현수되어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타이어를 이송하는 타이어 이송기에 있어서, 복잡한 고가의 영상 분석 장치를 사용하는 일이 없이 물리적 원리와 간단한 센서를 이용하여 이송 대상 타이어의 크기와 형상 및 이송 목표 위치와 이송용 레일 사이의 거리에 따라 확실한 클램핑 및 그 해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는 타이어 이송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타이어 이송기가 이송 목표 위치에 타이어를 내려놓을 때 타이어가 목표 위치에 안착한 것을 감지하여 클램핑의 해제 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구성을 갖춘 타이어 이송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타이어를 적재하고 레일에 현수되어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타이어를 이송하며,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현수되어 승강하도록 구성되고 타이어를 클램핑하는 클램핑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클램핑 장치는, 상기 본체에 현수되어 승강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이 베이스 플레이트에 지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 멀어지는 제1 방향과 서로 가까워지는 제2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 개의 클램핑 유닛;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클램핑 유닛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클램핑 유닛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슬라이드하도록 구성되는 가동 플레이트; 이 가동 플레이트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클램핑 축; 상기 클램핑 축의 하단에 배치되어 그 일부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클램핑 플레이트; 상기 클램핑 축의 둘레에 배치되어 상기 클램핑 축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한 클램핑 파이프, 및 상기 클램핑 파이프의 상하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 유닛들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각각의 상기 클램핑 유닛의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의 일부가 상기 타이어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타이어를 클램핑하고, 상기 클램핑 유닛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타이어의 내측에 삽입된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의 일부가 상기 타이어의 내측으로의 삽입이 해제되어 상기 타이어의 클램핑이 해제되며,
상기 클램핑 파이프는 상기 클램핑 유닛들이 상기 타이어를 클램핑하면 상기 타이어의 내측 둘레 표면과 접촉하고, 상기 클램핑 장치가 하강하고 상기 타이어가 하강하지 않으면 상기 클램핑 축을 따라 상향 이동하며, 상기 센서는 상기 클램핑 파이프가 상기 클램핑 축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는 것인 타이어 이송기에 의해 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타이어 이송기가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이송 목표 위치의 상측에 도달하면, 클램핑 장치는 레일에 현수되어 있는 이송기 본체로부터 하강하는데, 이때 클램핑 장치의 클램핑 유닛은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서로 멀어지는 제1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이므로, 각 클램핑 유닛의 클램핑 플레이트가 타이어의 내측에 삽입되어 타이어가 클램핑 플레이트에 걸려 있는 상태로 있다.
또한, 클램핑 축을 둘러싸는 클램핑 파이프는 타이어의 내측 둘레 표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클램핑 축의 하단에 밀착한 상태로 있다.
클램핑 장치가 하강하여 아래쪽을 향하고 있는 타이어의 측면이 이송 목표 위치에 안착하면 타이어는 하강을 멈추지만, 클램핑 장치는 계속 하강한다. 이에 따라, 타이어의 내측 둘레 표면과 접촉하고 있는 클램핑 파이프는 클램핑 축을 따라 상승하여 클램핑 파이프의 상승 이동이 센서에 의해 감지된다.
이러한 센서의 감지에 따라 타이어가 이송 목표 지점에 안착한 것이 판별되어 클램핑 장치는 하강을 멈추고 각각의 클램핑 유닛이 제2 방향으로 이동하여 타이어의 클램핑이 해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이송기의 구성에 따르면, 타이어가 이송 목표 위치에 도달함에 따라 클램핑 축과 클램핑 파이프의 상대 운동이 발생하고 이러한 상대 운동이 센서에 의해 감지되어 후속 작동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클램핑 축과 클램핑 파이프의 상대 운동은 클램핑 장치의 하강과 타이어의 목표 위치 도달에 따라 반드시 일어나게 되며 이러한 상대 운동은 비교적 저렴하면서도 신뢰성 있게 감지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작동과 감지의 오류 없이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타이어 이송기의 타이어 클램핑 해제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양태로서, 상기 센서는 근접 센서이고 상기 클램핑 축의 하단측 둘레에 배치되어, 상기 클램핑 파이프의 하단이 상기 클램핑 축의 하단 둘레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감지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클램핑 장치가 하강하여 타이어가 이송 목표 위치에 도달하면, 타이어가 하강을 멈추는 데 따라 클램핑 파이프와 클램핑 축이 상대 이동하면서 클램핑 파이프의 하단이 클램핑 축 하단의 둘레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따라서, 클램핑 축의 하단에 근접 센서를 배치하여 클램핑 축의 하단 둘레에 클램핑 파이프가 배치되어 있는 상태와 이탈하는 상태가 감지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가 상기 클램핑 파이프의 하단이 상기 클램핑 축의 하단 둘레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클램핑 장치는 하향 이동을 중지하고 이어서 상기 클램핑 유닛들은 제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작동한다.
이상의 실시 양태의 구성과 작용에 따르면, 클램핑 파이프와 클램프 축의 상대 이동이 더욱 신뢰성 있게 감지될 수 있고, 그러한 감지는 비교적 신뢰성이 높고 저렴한 근접 센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이송기가 레일에 현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와 측면도이고,
도 3과 도 4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타이어 이송기에서 클램핑 장치만을 나타내는 정면도와 측면도이며,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이송기에서 클램핑 장치의 작동을 순차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이송기의 구성과 작용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과 도 2에는 본 실시예의 타이어 이송기의 전체적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서 클램핑 장치(100)는 상승하여 타이어 이송기의 프레임(10) 내에 수납되어 있다.
도면에는 레일(2)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 레일(2)은 모노레일로 구성되어 타이 제조 공장 또는 적재 창고의 천정에 설치되어 있다.
타이어 이송기의 프레임(10)이 마련되어 있고, 프레임(10)의 상부 플레이트(11)의 상면에는 레일(2)에 결합되어 레일(2)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제1 구동부(20)와 제2 구동부(30)가 레일(2)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상부 플레이트(11)의 하면에는 클램핑 장치(100)를 승강시키는 4개의 벨트 풀리(40) 및 이들 벨트 풀리(40)를 구동하는 모터(45)가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상부 플레이트(11), 제1 구동부(20), 제2 구동부(30) 및 벨트 풀리(40) 등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이송기의 본체를 이루는 것이다.
프레임(10)에는 상부 플레이트(11)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측면 프레임(12)이 마련되어 있고, 측면 프레임(12)의 하단에는 이 하단을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도어(13)가 마련되어 있다.
제1 구동부(20)는 레일(2)의 상면에서 이동하는 구동 휘일(21)과 이 구동 휘일(21)을 구동하는 모터(22), 레일(2)의 양 측면에서 구름 운동하면서 제1 구동부(20)가 레일(2)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구속하는 4개의 로울러(23)가 마련되어 있다.
제2 구동부(30)에는 각각 레일(2)의 상면과 양측면에서 구름 운동하는 휘일(31)과 로울러(32)가 마련되어 있지만 이들은 모터에 의해 구동되지는 않는다.
상부 플레이트(11) 하면에 마련된 4개의 벨트 풀리(40)에는 각각 벨트(41)가 권취되어 있는데, 이 벨트들(41)의 종단은 클램핑 장치(100)에 결합되어 있다. 벨트 풀리(40)는 모터(45)에 의해 정역 구동되어 회전함으로써, 벨트(41)의 종단에 결합된 클램핑 장치(100)를 승강시킨다.
이어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클램핑 장치(100)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클램핑 장치(100)에는 벨트(41)에 의해 승강 구동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면에 장착되는 볼스크류 기구(120)가 마련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면에는 4개의 브라켓(111)이 고정되어 있고, 각각의 브라켓(111)에는 벨트(41)의 종단이 결합되어 있다.
볼 스크류 기구(120)는 도 3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면에서 좌우 방향 중간에 배치되어 고정되어 있는 구동 모터(121)와 기어 세트(122), 기어 세트(122)의 좌우 양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출력축(123)과 커플링(124), 일단이 이 커플링(124)에 결합되고 타단은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면에 배치된 베어링(12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2개의 스크류축(126, 127)를 포함하고 있다.
스크류축(126, 127)는 도 3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데, 이들 스크류축(126, 127) 중의 하나에는 왼나사, 다른 하나에는 오른 나사가 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스크류 축(126, 127)에는 볼너트를 내장하여 스크류 축(126, 127)의 회전에 의해 스크류 축(126, 127)을 따라 왕복동하는 2개의 가동 블록(128)이 결합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하면에는 스크류 축(126, 127)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2개의 안내 레일(112)이, 도 4에서 볼 때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좌우에 배치되어 고정되어 있고, 이 안내 레일(112)에는 이것을 따라 활주 가능한 슬라이딩 블록(129)이 안내 레일(112)마다 2개씩 결합되어 있다.
도 3에서 우측에 배치되어 있는 2개의 슬라이딩 블록(129)은 하나의 연결 브라켓(1281)을 통하여 우측의 가동 블록(128)에 결합되어 있고, 좌측에 배치되어 있는 2개의 슬라이딩 블록(129)도 마찬가지로 연결 브라켓(1281)을 통하여 좌측의 가동 블록(128)에 결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딩 블록(129)은 가동 블록(128)의 왕복동 운동에 따라 안내 레일(112)에서 왕복동한다.
도 3에서 좌측의 2개의 슬라이딩 블록(129)과 우측의 2개의 슬라이딩 블록(129)에는 각각 클램핑 유닛(130, 140)이 부착되어 있다. 좌우의 클랭핑 유닛(130, 140)은 서로 대칭으로 구성되므로, 좌측의 클램핑 유닛(130)의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클램핑 유닛(130)에는 각각의 연결 브라켓(1281)에 일단이 결합되어 수직으로 하향 연장되는 2개의 클랭핑 축(131)이 마련되어 있다. 2개의 클램핑 축(131)의 하단에는 이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클램핑 플레이트(132)가 결합되어 있다.
클램핑 플레이트(132)는 상면과 하면이 편평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도 3에서 보았을 때 좌측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클램핑부(133)가 마련되어 있다. 클램핑부(133)는 타이어의 내부에 삽입되어 타이어를 고정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구동 모터(121)을 회전시키면, 기어세트(122)와 출력축(123) 및 커플링(124)을 통하여 좌우의 스크류축(126, 127)이 회전한다. 스크류축(126, 127)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지만, 나사선이 반대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여기에 각각 결합된 가동 블록(128)은 스크류축(126, 127)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서로 멀어지는 제1 방향 또는 서로 근접하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각각 좌우의 가동 블록(128)에 연결되어 있는 클램핑 유닛(130, 140)은 구동 모터(121)의 회전에 따라 서로 멀어지거나 근접하는 방향으로 가동되고, 서로 멀어지는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 클램핑 유닛 하단의 클램핑 플레이트(132, 142)의 클램핑부(133, 143)가 타이어(1)의 내면에 삽입되어 타이어(1)를 클램핑하고, 서로 근접하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면 타이어(1)의 클램핑이 해제된다.
한편, 각각의 클램핑 축(131, 141)의 둘레에는 클램핑 파이프(150)가 클램핑 축(131, 141)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클램핑 파이프(150)는 클램핑 축(131, 141)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어서, 클램핑 축(131, 141)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아무런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클램핑 파이프(150)는 클램핑 축(131, 141)의 아래쪽으로 배치되어 있어, 하단을 포함한 하부에서 양자가 서로 겹쳐서 배치된다.
클램핑 플레이트(132, 142)의 상면에는 클램핑 축(131, 141)과 클램핑 파이프(150)의 하단의 표면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근접 센서(151)가 배치되어 있다. 근접 센서(151)는 클램핑 파이프(150)의 하단이 클램핑 축(131, 141)의 하단과 겹쳐 있을 때와 클램핑 파이프(150)가 상승하여 그 하단이 클램핑 축(131, 141)의 하단과 겹쳐 있지 않을 때를 감지하여 온 또는 오프의 신호를 생성하여 본 실시예의 타이어 이송기의 제어부(미도시)로 송신한다.
한편, 클램핑 축(131, 141)의 사이에는 클램핑 플레이트(132, 142)와 연결 브라켓(1281) 사이에 장착축(161)이 마련되고 이 장착축(161)에 포토 센서(160)가 부착되어 있다. 포토 센서(160)는 클램핑 유닛(130, 140)이 이동하는 제1 방향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어, 제1 방향에 다른 물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식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포토센서(160)에 의해 클램핑 유닛(130, 140)의 슬라이딩 플레이트(132, 142)가 타이어(1)의 내측에 들어간 상태와 빠져나온 상태가 판별된다.
이상의 구성에 따른 본 실시예의 타이어 이송기의 작동을 도 5a 내지 도 5e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a 내지 도 5e는 본 실시예의 타이어 이송기에서 클램핑 장치(100)와 클램핑 장치를 현수하는 벨트(41)들만을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들은 본 실시예의 타이어 이송기가 타이어(1)가 놓여진 곳에 도달하여 타이어(1)에 접근하여 타이어를 클램핑하고 다시 클램핑한 타이어를 내려 놓는 동작을 보여주고 있다.
먼저 도 5a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타이어 이송기의 프레임(10)으로부터 클램핑 장치(100)가 하강하여 타이어(1)에 근접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클램핑 플레이트(132, 142)들에 설치된 포토 센서(160)가 작동하여 클램핑 플레이트(132, 142)가 타이어(1)의 내측으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도 5b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클램핑 플레이트(132, 142)가 타이어(1)의 내측으로 진입하여 그 상면에 배치된 포트 센서(160)로부터의 광이 타이어(1)에 의해 차단됨으로써 타이어(1) 내측으로의 진입 여부가 판별된다. 포토 센서(160)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구동 모터(121)가 구동되어 2개의 클램핑 유닛(130, 140)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타이어(1)의 내측 둘레 표면이 클램핑 파이프(150)에 접촉한다.
다음으로, 도 5c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프레임(10)에 설치된 벨트 풀리(40)가 구동되어 벨트(41)가 감기면서 클램핑 장치(100)가 상승하고, 타이어(1)는 클램핑 플레이트의 클램핑부(133, 143)가 타이어(1)의 내측에 서로 대향하는 상태로 걸림으로써 클램핑 장치(100)에 클램핑되어 함께 상승한다.
이렇게 상승하는 타이어(1)는 프레임(10) 내로 상승하고, 프레임 하단의 도어 장치(70)가 닫히고 본 실시예의 타이어 이송기는 레일(2)을 따라 이동하여 타이어(1)의 이송 목표 위치의 상부로 이동한다.
타이어 이송기가 이송 목표 위치의 상부에 도달하면, 클램핑 장치(100)가 타이어(1)를 클램핑한 상태로 하강하고, 타이어(1)가 이송 목표 위치에 도달하여 그 일측면이 목표 이송 위치의 지면에 닿는다. 여기서 지면이라 함은 공장이나 창고의 바닥면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타이어의 이송 목표 위치에서 타이어가 놓여 지지되는 표면을 의미한다.
타이어(1)가 지면에 닿은 상태에서도 클램핑 장치(100)는 계속 하강하지만, 클램핑 파이프(150)는 타이어(1)의 클램핑 상태에서 타이어(1)의 내측 둘레 표면에 접촉하여 하강하지 않게 되므로, 도 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램핑 축(131, 141)의 상단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클램핑 파이프(150)의 하단은 클램핑 축(131, 141)의 하단으로부터 이탈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는 클램핑 파이프(150)의 하단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근접 센서(151)에 의해 감지된다.
근접 센서(151)의 신호에 따라 타이어 이송기의 제어부는 클램핑 장치(100)의 하강을 정지시키고, 도 5e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램핑 유닛(130, 140)을 제2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타이어(1)에 대한 클램핑을 해제하고, 이어서 클램핑 장치(100)가 프레임(10)의 위치로 상승하여 타이어의 이송이 종료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타이어를 클램핑하는 장치에 타이어가 이송 목표 위치의 지면에 안착되었을 때 서로 상대 이동이 발생하는 기구를 마련하고 그러한 상대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를 설치함으로써, 타이어 클램핑의 해제 동작이 확실하고 신뢰성 있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클램핑 축에서 상대 이동하는 클램핑 파이프를 설치하고 그 하단 측에 근접 센서를 설치하였으나, 클램핑 파이프의 표면에 식별 표지를 마련하고 그러한 식별 표지를 판독하는 스캐너 또는 포토 센서 등을 클램핑 장치의 다른 부분에 설치함으로써 클램핑 파이프와 클램핑 축의 상대 이동을 감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구성 요소의 부가가 가능하며, 그러한 변경과 구성 요소의 부가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프레임 40: 벨트 풀리
100: 클램핑 장치 120: 볼 스크류 기구
130,140: 클램핑 유닛 150: 클램핑 파이프
151: 근접 센서 160: 포토 센서

Claims (5)

  1. 타이어를 적재하고 레일에 현수되어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타이어를 이송하며,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현수되어 승강하도록 구성되고 타이어를 클램핑하는 클램핑 장치를 포함하는 타이어 이송기로서,
    상기 클램핑 장치는, 상기 본체에 현수되어 승강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이 베이스 플레이트에 지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 멀어지는 제1 방향과 서로 가까워지는 제2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 개의 클램핑 유닛;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클램핑 유닛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클램핑 유닛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슬라이드하도록 구성되는 가동 플레이트; 이 가동 플레이트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클램핑 축; 상기 클램핑 축의 하단에 배치되어 그 일부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클램핑 플레이트; 상기 클램핑 축의 둘레에 배치되어 상기 클램핑 축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한 클램핑 파이프, 및 상기 클램핑 파이프의 상하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 유닛들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각각의 상기 클램핑 유닛의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의 일부가 상기 타이어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타이어를 클램핑하고, 상기 클램핑 유닛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타이어의 내측에 삽입된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의 일부가 상기 타이어의 내측으로의 삽입이 해제되어 상기 타이어의 클램핑이 해제되며,
    상기 클램핑 파이프는 상기 클램핑 유닛들이 상기 타이어를 클램핑하면 상기 타이어의 내측 둘레 표면과 접촉하고, 상기 클램핑 장치가 하강하고 상기 타이어가 하강하지 않으면 상기 클램핑 축을 따라 상향 이동하며, 상기 센서는 상기 클램핑 파이프가 상기 클램핑 축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는 것인 타이어 이송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근접 센서이고 상기 클램핑 축의 하단측 둘레에 배치되어, 상기 클램핑 파이프의 하단이 상기 클램핑 축의 하단 둘레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감지하는 것인 타이어 이송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장치의 하향 이동 중에 상기 근접 센서가 상기 클램핑 파이프의 하단이 상기 클램핑 축의 하단 둘레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클램핑 장치는 하향 이동을 중지하고 이어서 상기 클램핑 유닛들은 제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작동하는 것인 타이어 이송기.
  4. 제1항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2개의 상기 클램핑 유닛을 포함하고,
    각각의 클랭핑 유닛은 1개의 가동 플레이트로부터 2개의 클램핑 축이 하향 연장되며,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는 2개의 클램핑 축의 하단 사이에서 연장되는 것인 타이어 이송기.
  5. 삭제
KR1020150055607A 2015-04-21 2015-04-21 타이어 이송기 KR101559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607A KR101559352B1 (ko) 2015-04-21 2015-04-21 타이어 이송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607A KR101559352B1 (ko) 2015-04-21 2015-04-21 타이어 이송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9352B1 true KR101559352B1 (ko) 2015-10-15

Family

ID=54357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5607A KR101559352B1 (ko) 2015-04-21 2015-04-21 타이어 이송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9352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81726A (zh) * 2017-06-07 2017-08-22 徐晓依 一种轮胎存放架
CN108910525A (zh) * 2018-09-05 2018-11-30 深圳市宝德自动化精密设备有限公司 一种固定机构及运送装置
CN110064469A (zh) * 2019-04-22 2019-07-30 五矿(湖南)铁合金有限责任公司 一种自动对中定心夹紧装置
KR20200145030A (ko) 2019-06-20 2020-12-30 주식회사 에스엠코어 일자 형상의 그린타이어 이송장치
CN114284928A (zh) * 2020-09-27 2022-04-05 中国石油天然气集团有限公司 悬挂小车及具有其的检测装置
KR20230014510A (ko) * 2021-07-21 2023-01-30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타이어 척킹 장치
KR20230014511A (ko) * 2021-07-21 2023-01-30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타이어 척킹 장치
KR20230014512A (ko) * 2021-07-21 2023-01-30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타이어 척킹 장치
KR20230014513A (ko) * 2021-07-21 2023-01-30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타이어 척킹 장치
KR20230014509A (ko) * 2021-07-21 2023-01-30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타이어 척킹 장치
CN117565095A (zh) * 2024-01-17 2024-02-20 金鳞(辽宁)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具有翻面功能的汽车零部件夹持机械手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2372A (ja) 1999-06-24 2001-01-09 Mitsubishi Heavy Ind Ltd 搬送装置
KR100992633B1 (ko) 2008-08-14 2010-11-0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타이어 적재장치
JP5082437B2 (ja) 2006-12-27 2012-11-28 村田機械株式会社 物品移載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2372A (ja) 1999-06-24 2001-01-09 Mitsubishi Heavy Ind Ltd 搬送装置
JP5082437B2 (ja) 2006-12-27 2012-11-28 村田機械株式会社 物品移載装置
KR100992633B1 (ko) 2008-08-14 2010-11-0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타이어 적재장치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81726A (zh) * 2017-06-07 2017-08-22 徐晓依 一种轮胎存放架
CN108910525A (zh) * 2018-09-05 2018-11-30 深圳市宝德自动化精密设备有限公司 一种固定机构及运送装置
CN108910525B (zh) * 2018-09-05 2024-03-19 紫石能源有限公司 一种固定机构及运送装置
CN110064469A (zh) * 2019-04-22 2019-07-30 五矿(湖南)铁合金有限责任公司 一种自动对中定心夹紧装置
CN110064469B (zh) * 2019-04-22 2024-05-17 五矿(湖南)铁合金有限责任公司 一种自动对中定心夹紧装置
KR20200145030A (ko) 2019-06-20 2020-12-30 주식회사 에스엠코어 일자 형상의 그린타이어 이송장치
KR102206037B1 (ko) * 2019-06-20 2021-01-20 주식회사 에스엠코어 일자 형상의 그린타이어 이송장치
CN114284928A (zh) * 2020-09-27 2022-04-05 中国石油天然气集团有限公司 悬挂小车及具有其的检测装置
CN114284928B (zh) * 2020-09-27 2024-03-26 中国石油天然气集团有限公司 悬挂小车及具有其的检测装置
KR20230014509A (ko) * 2021-07-21 2023-01-30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타이어 척킹 장치
KR20230014513A (ko) * 2021-07-21 2023-01-30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타이어 척킹 장치
KR102533215B1 (ko) * 2021-07-21 2023-05-17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타이어 척킹 장치
KR102533214B1 (ko) * 2021-07-21 2023-05-17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타이어 척킹 장치
KR102533217B1 (ko) * 2021-07-21 2023-05-17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타이어 척킹 장치
KR102533216B1 (ko) * 2021-07-21 2023-05-17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타이어 척킹 장치
KR102550819B1 (ko) * 2021-07-21 2023-07-04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타이어 척킹 장치
KR20230014512A (ko) * 2021-07-21 2023-01-30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타이어 척킹 장치
KR20230014511A (ko) * 2021-07-21 2023-01-30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타이어 척킹 장치
KR20230014510A (ko) * 2021-07-21 2023-01-30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타이어 척킹 장치
CN117565095A (zh) * 2024-01-17 2024-02-20 金鳞(辽宁)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具有翻面功能的汽车零部件夹持机械手
CN117565095B (zh) * 2024-01-17 2024-05-07 金鳞(辽宁)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具有翻面功能的汽车零部件夹持机械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9352B1 (ko) 타이어 이송기
JP5082437B2 (ja) 物品移載装置
TW213509B (ko)
KR101770353B1 (ko) 라벨 부착 장치
KR101767868B1 (ko) 금속재 봉 자동 공급장치
CN113979050B (zh) 一种物流分类转运设备及方法
CN207810691U (zh) 取件检测机构及工件转运机构
KR20160128398A (ko) 타이어 유지장치, 및 타이어 시험 시스템
KR101725871B1 (ko) 오버헤드 호이스트 이송장치의 그립퍼 유닛
KR101559349B1 (ko) 타이어의 이송을 위한 타이어 정렬 장치
CN211217570U (zh) 一种活塞检测机
CN219842452U (zh) 一种电芯校验测试设备
JP2016215358A (ja) ハンド装置、物品移送装置および物品移送方法
KR101291535B1 (ko) 벨트 컨베이어 감지장치
KR101776580B1 (ko) 목재 적재 장치
CN211945280U (zh) 一种可自检的盒胚输送系统
CN115285464A (zh) 硅片保护层自动放置装置及放置方法
KR100831620B1 (ko) 필름 낱장공급장치
CN111591739A (zh) 一种汽车曲轴的质检输送装置
TWI660163B (zh) 輪胎搬運裝置、具備其的輪胎試驗系統及輪胎搬運方法
KR100581623B1 (ko) 리프트와 대차 사이의 단차에 의한 팔레트 이송 불능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주차장치 및 팔레트 이송 제어방법
CN212314848U (zh) 一种汽车曲轴的质检输送装置
KR101295745B1 (ko) 벨트 컨베이어 손상 감지장치
KR101332525B1 (ko) 타이어 시트고무의 이송장치
CN117324967B (zh) 重载生产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