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2633B1 - 타이어 적재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 적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2633B1
KR100992633B1 KR1020080079976A KR20080079976A KR100992633B1 KR 100992633 B1 KR100992633 B1 KR 100992633B1 KR 1020080079976 A KR1020080079976 A KR 1020080079976A KR 20080079976 A KR20080079976 A KR 20080079976A KR 100992633 B1 KR100992633 B1 KR 100992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pair
grippers
sides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9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1195A (ko
Inventor
정연국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9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2633B1/ko
Publication of KR20100021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1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2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2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nnular articles
    • B65D85/0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nnular articles for ty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5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suspended load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73T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yre Moulding (AREA)
  • Stacking Of Articles And Auxiliar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이송된 타이어를 상승시키는 리프터와, 상기 리프터의 상부에 고정되고 양측이 서로 대칭되게 좌, 우 이동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리프터와 상기 슬라이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에 따라 서로 대칭되게 좌, 우 이동되어 상기 타이어를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 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그리퍼와, 일단이 상기 슬라이더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한 쌍의 그리퍼의 양측이 결합되어 상기 그리퍼들의 좌, 우 이동을 각각 지지하며 상,하로 무부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가이드바와, 상기 그리퍼의 상승이 감지되면 상기 한 쌍의 그리퍼를 서로 이격시키도록 구비되는 상승감지센서장치, 및 상기 그리퍼의 하강이 감지되면 상기 한 쌍의 그리퍼를 서로 근접시키도록 구비되는 하강감지센서장치를 포함하는 타이어 적재장치가 제공된다.
이에 의하면, 구조를 단순화하여 유지보수 소요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적재시 종래 타이어를 떨어뜨려 적재하던 방식을, 뒤이어 이송되는 타이어가 앞서 이송된 타이어를 밀어올리는 방식으로 개선하여 종래와 같은 낙하충격으로 인한 적재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타이어 적재장치, 가이드바, 부시, 완충스프링

Description

타이어 적재장치 {LAYER LOADING DEVICE OF TIRE}
본 발명은 타이어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작동구조를 단순화한 타이어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타이어는 수작업에 의해 5단 또는 그 이상, 이하로 적재 및 분류됨으로써 노동력이 많이 필요하였으며, 또한 효율적인 물류 이송이 되지 않았다.
이를 감안하여 종래에는 자동화된 타이어 적재장치가 개시된바 이하, 도 1을 참조로 하여 이에 대해 상세히 살펴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타이어 적재장치는 콘베이어(도시 생략)가 구비된 프레임(205)과, 상기 콘베이어로부터 이송된 타이어(T)를 상기 프레임(205) 상에 지지물(211)로 지지된 채 승, 하강되는 리프터(210)와, 상기 리프터(210) 상부의 프레임(205) 상에 지지물(221)로 지지되고 양측이 서로 대칭되게 좌, 우 이동되는 슬라이더(220)와, 일단이 상기 슬라이더(220)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슬라이더(220)의 이동에 따라 서로 대칭되게 좌, 우 이동되어 상기 타이어(T)를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 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그리퍼(230), 및 상기 슬라이더(220)를 승, 하강시키도록 상기 프레임(205) 상에 구비되는 실린더장치(2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따르면, 컨베이어로부터 순차적 이송되는 타이어(T)를 다단 적재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리프터(210)를 좌,우 대칭되게 이동시킴으로써 클램핑과 언클램핑을 선택적으로 행하는 슬라이더(220)와 함께, 별도로 다음 타이어(T) 진입시 그리퍼(230)와 간섭되지 않도록 하면서 타이어(T)를 떨어뜨려 적재시키기 위한 실린더장치(270)를 더 구비함으로써 기계적 구성이 복잡하게 되며, 그만큼 유지보수 소요가 증대되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타이어 종류별 적재높이가 상이한데, 폭이 작은 타이어를 적재할 시에 타이어 간 이격 거리가 과다하여 낙하시 충격으로 인한 적재불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구조를 단순화하여 유지보수 소요를 감소시킬 수 있는 타이어 적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적재시 타이어의 낙하 충격으로 인한 적재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타이어 적재장치는 이송된 타이어(T)를 상승시키는 리프터(110); 상기 리프터(110)의 상부에 고정되고 양측이 서로 대칭되게 좌, 우 이동되는 슬라이더(120); 상기 리프터(110)와 상기 슬라이더(1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더(120)의 이동에 따라 서로 대칭되게 좌, 우 이동되어 상기 타이어(T)를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 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그리퍼(130); 및 일단이 상기 슬라이더(120)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한 쌍의 그리퍼(130)의 양측이 결합되어 상기 그리퍼(130)들의 좌, 우 이동을 각각 지지하며, 상,하로 무부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가이드바(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그리퍼(130)의 상승이 감지되면 상기 한 쌍의 그리퍼(130)를 서로 이격시키도록 구비되는 상승감지센서장치(150); 및 상기 그리퍼(130)의 하강이 감지되면 상기 한 쌍의 그리퍼(130)를 서로 근접시키도록 구비되 는 하강감지센서장치(16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그리퍼(130)는 판면 양측이 상기 가이드바(140)의 외주면에 지지되어 상, 하 슬라이드 되는 'ㄷ'자 형상의 프레임(131)과, 상기 프레임(131)의 양측과 가이드바(140)의 외주면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프레임(131)의 양측에 관통설치되는 부시(133)와, 상기 프레임(131)의 판면에 상기 타이어(T)를 클램핑 하도록 수직 바 형상으로 이뤄진 한 쌍의 롤러(135)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바(140)의 타단에는 상기 그리퍼(130)가 상기 가이드 바(140)의 외주면 상에서 하방 슬라이드 시 프레임(131) 일측을 탄성 지지하도록 완충 스프링(141)이 구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적재장치에 의하면, 구조를 단순화하여 유지보수 소요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적재시 종래 타이어를 떨어뜨려 적재하던 방식을, 뒤이어 이송되는 타이어가 앞서 이송된 타이어를 밀어올리는 방식으로 개선하여 종래와 같은 낙하충격으로 인한 적재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적재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본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적재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도, 도 3은 도 2의 요부를 상세히 나타내 보인 사시도, 및 도 4는 도 2의 타이어 적재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내 보인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적재장치는 콘베이어(도시 생략)가 구비된 프레임(105)과, 상기 콘베이어로부터 이송된 타이어(T)를 상기 프레임(105) 상에 지지물(111)로 지지된 채 실린더(113)로 상승되는 리프터(110)와, 상기 리프터(110) 상부의 프레임(105)에 지지물(121)로 지지되고 양측이 서로 대칭되게 좌, 우 이동되는 슬라이더(120)와, 상기 리프터(110)와 상기 슬라이더(1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더(120)의 이동에 따라 서로 대칭되게 좌, 우 이동되어 상기 타이어(T)를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 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그리퍼(130)와, 일단이 상기 슬라이더(120)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한 쌍의 그리퍼(130)의 양측이 결합되어 상기 그리퍼(130)들의 좌, 우 이동을 각각 지지하며, 상,하로 무부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가이드바(140)와, 상기 그리퍼(130)의 상승이 감지되면 상기 한 쌍의 그리퍼(130)를 서로 이격시키도록 구 비되는 상승감지센서장치(150)와, 상기 그리퍼(130)의 하강이 감지되면 상기 한 쌍의 그리퍼(130)를 서로 근접시키도록 구비되는 하강감지센서장치(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그리퍼(130)는 판면 양측이 상기 가이드바(140)의 외주면에 지지되어 상, 하 슬라이드 되는 'ㄷ'자 형상의 프레임(131)과, 상기 프레임(131)의 양측과 가이드바(140)의 외주면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프레임(131)의 양측에 관통설치되는 부시(133)와, 상기 프레임(131)의 판면에 상기 타이어(T)를 클램핑 하도록 수직 바 형상으로 이뤄진 한 쌍의 롤러(135)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바(140)의 타단에는 상기 그리퍼(130)가 상기 가이드 바(140)의 외주면 상에서 하방 슬라이드 시 프레임(131) 일측을 탄성 지지하도록 완충 스프링(141)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바(140)는 상기 한 쌍의 그리퍼(130) 양측이 견고히 지지되도록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되는바, 타단 간격이 서로 벌어지지 않도록 각 타단을 잇는 판상의 플레이트(143)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승감지센서장치(150) 및 하강감지센서장치(160)는 도 3에서 상기 그리퍼(130)의 프레임(131) 양측이 각각 접촉됨으로써 상기 그리퍼(130)의 승, 하강이 감지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사상의 범주 내에서 공지된 센서장치의 선택적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 타이어 적재장치의 작용에 대해 살펴본다.
최초, 컨베이어로부터 첫번째 타이어(T)가 진입되는 단계(S10)로 한 쌍의 그리퍼(130)는 서로 좌,우 이격된 상태로 자중에 의해 가이드바(140)의 타단 완충스프링(141)에 탄성 지지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리프터(110)가 승강되어 타이어(T)가 상승되면, 하강감지센서(160)의 제어명령으로 한 쌍의 그리퍼(130)가 서로 대칭되게 좌, 우 이동되어 근접됨으로써 첫번째 타이어(T)를 클램핑 하게 된다(S20).
이어서, 리프터(110)는 하강되고(S30), 두번째 타이어(T)가 진입된다(S40).
이와 같이, 두번째 타이어(T)의 진입이 완료되면 리프터(110)가 다시 상승되어 첫번째 타이어(T)를 접촉된 상태로 밀어올리듯 함께 상승하게 되는데, 일정거리 상승이 이루어지게 되면 가이드바(140)의 상측에 이격 설치된 상승감지센서장치(150)가 그리퍼(130)의 상승을 감지하게 된다(S50).
그런 다음 상승감지센서(150)의 제어명령으로 그리퍼(130)는 서로 대칭되게 좌, 우 이동되어 이격됨으로써 첫번째 타이어(T)를 언클램핑 하게 된다(S60).
따라서, 그리퍼(130)는 자중에 의해 자동하강하게 되어, 가이드바(140)의 하측에 이격 설치된 하강감지센서장치(160)가 그리퍼(130)의 하강을 감지하게 되며, 이때 리프터(110)의 상승은 지속 된다(S70).
이어서, 리프터(110)의 상승이 멈춤과 동시에 하강감지센서(160)의 제어명령으로 그리퍼(130)는 서로 대칭되게 좌, 우 이동되어 근접됨으로써 첫번째 타이어(T) 및 두번째 타이어(T)를 함께 클램핑 하게 된다(S80).
최종적으로, 리프터(110)가 하강하게 되면 타이어의 2단 적재가 완료되며, 상술한 S40 단계부터 S80 단계를 반복하여 5단 적재 또는 그 이상 적재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타이어 적재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적재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도,
도 3은 도 2의 요부를 상세히 나타내 보인 사시도, 및
도 4는 도 2의 타이어 적재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내 보인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5: 프레임 110: 리프터
120:슬라이더 130: 그리퍼
140: 가이드바 150: 상승감지센서장치
160: 하강감지센서장치

Claims (4)

  1. 삭제
  2. 이송된 타이어(T)를 상승시키는 리프터(110);
    상기 리프터(110)의 상부에 고정되고 양측이 서로 대칭되게 좌, 우 이동되는 슬라이더(120);
    상기 리프터(110)와 상기 슬라이더(1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더(120)의 이동에 따라 서로 대칭되게 좌, 우 이동되어 상기 타이어(T)를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 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그리퍼(130);
    일단이 상기 슬라이더(120)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한 쌍의 그리퍼(130)의 양측이 결합되어 상기 그리퍼(130)들의 좌, 우 이동을 각각 지지하며, 상,하로 무부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가이드바(140);
    상기 그리퍼(130)의 상승이 감지되면 상기 한 쌍의 그리퍼(130)를 서로 이격시키도록 구비되는 상승감지센서장치(150); 및
    상기 그리퍼(130)의 하강이 감지되면 상기 한 쌍의 그리퍼(130)를 서로 근접시키도록 구비되는 하강감지센서장치(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적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퍼(130)는,
    판면 양측이 상기 가이드바(140)의 외주면에 지지되어 상, 하 슬라이드 되는 'ㄷ'자 형상의 프레임(131)과, 상기 프레임(131)의 양측과 가이드바(140)의 외주면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프레임(131)의 양측에 관통설치되는 부시(133)와, 상기 프레임(131)의 판면에 상기 타이어(T)를 클램핑 하도록 수직 바 형상으로 이뤄진 한 쌍의 롤러(13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적재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140)의 타단에는,
    상기 그리퍼(130)가 상기 가이드 바(140)의 외주면 상에서 하방 슬라이드 시 프레임(131) 일측을 탄성 지지하도록 완충 스프링(141)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적재장치.
KR1020080079976A 2008-08-14 2008-08-14 타이어 적재장치 KR100992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976A KR100992633B1 (ko) 2008-08-14 2008-08-14 타이어 적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976A KR100992633B1 (ko) 2008-08-14 2008-08-14 타이어 적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1195A KR20100021195A (ko) 2010-02-24
KR100992633B1 true KR100992633B1 (ko) 2010-11-05

Family

ID=42091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9976A KR100992633B1 (ko) 2008-08-14 2008-08-14 타이어 적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26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9352B1 (ko) 2015-04-21 2015-10-15 주식회사 한화 타이어 이송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198B1 (ko) * 2008-12-01 2011-04-01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완성타이어 출하 작업용 디스태커
KR101383148B1 (ko) * 2012-02-13 2014-04-10 주식회사 한샘 자재 적층 및 공급장치
CN102937491B (zh) * 2012-11-30 2014-07-16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北京长城计量测试技术研究所 一种用于表面温度传感器校准的力值加载装置
KR101667680B1 (ko) * 2015-08-11 2016-10-20 주식회사 영우디에스피 프로브 유닛 적재함
KR102216186B1 (ko) * 2020-10-07 2021-02-16 오맹환 타이어 이송 장치
KR102209314B1 (ko) * 2020-10-08 2021-01-29 주식회사 토탈이엔지 적재물 다단 적층 장치
KR20230052744A (ko) * 2021-10-13 2023-04-2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단적재 리프트 장치
KR102634752B1 (ko) 2023-11-02 2024-02-07 공인석 타이어 다단 적재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28838A1 (en) 2000-02-04 2001-10-11 Leimbach Wendell B. Automated tire loading/unloading and compression system and tire transport frame
KR100369389B1 (ko) * 2000-11-22 2003-01-29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완성 타이어의 이송적재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28838A1 (en) 2000-02-04 2001-10-11 Leimbach Wendell B. Automated tire loading/unloading and compression system and tire transport frame
KR100369389B1 (ko) * 2000-11-22 2003-01-29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완성 타이어의 이송적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9352B1 (ko) 2015-04-21 2015-10-15 주식회사 한화 타이어 이송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1195A (ko) 2010-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2633B1 (ko) 타이어 적재장치
CN104525769B (zh) 一种自动接送料冲压生产线
CN209905135U (zh) 一种收放料装置
JP5831641B2 (ja) 移載装置
CN205471558U (zh) 一种抓取移载机
KR100839503B1 (ko) 인라인 버퍼장치
WO2015077906A1 (zh) 卸瓶垛机
KR101550611B1 (ko) 차량용 도어 힌지 로딩장치
CN216402761U (zh) 棒料送料装置
KR102631952B1 (ko) 반송 시스템
KR20200137972A (ko) 이송 장치
KR100958274B1 (ko) 스택커
CN108792558B (zh) 一种采用直连方式的aoi检测运输装置
CN207409600U (zh) 电芯配组自动定位治具
KR101110884B1 (ko) 엘시디패널의 스포트메인 제조를 위한 자동 이송 장치
CN106006452A (zh) 带工件翻转功能的立柱式升降机
JP2755088B2 (ja) 鉄筋マットの移載方法及び移載装置
JP6386972B2 (ja) ハンド装置、物品移送装置および物品移送方法
CN214878054U (zh) 工件定位机构
CN213044058U (zh) 电子板件自动定位校正装置
KR101133170B1 (ko) 중간소재 이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0712996B (zh) 一种输送机构和输送方法
CN219076606U (zh) 成型机胎胚自动输送装置和轮胎成型机
CN220072492U (zh) 一种方形电芯的分选结构
CN116453967B (zh) 一种优化扩散自动化在线方阻测试装置及其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