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7680B1 - 프로브 유닛 적재함 - Google Patents

프로브 유닛 적재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7680B1
KR101667680B1 KR1020150113390A KR20150113390A KR101667680B1 KR 101667680 B1 KR101667680 B1 KR 101667680B1 KR 1020150113390 A KR1020150113390 A KR 1020150113390A KR 20150113390 A KR20150113390 A KR 20150113390A KR 101667680 B1 KR101667680 B1 KR 101667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be unit
probe
loading
bogie
loa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3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금성
김현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우디에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우디에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우디에스피
Priority to KR1020150113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76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7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7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42Storage devices mechanical for elonga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64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ccess from abov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17Elong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브 유닛의 보관 및 취출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프로브 유닛 적재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차를 통해 적재함 내부로 장입된 프로브 유닛이 항상 정확한 위치에서 로딩될 수 있는 프로브 유닛 적재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프로브 유닛(200)을 수평상태로 지지해 주는 지지대(111)가 양측에 구비된 대차(110);
상기 대차가 장입되는 개방공간인 로딩부(121)와 로딩된 다양한 프로브 유닛들을 보관하기 위한 다수의 데크(122)를 구비한 본체(120);
프로브 유닛의 양측단 저면에 형성된 상협하광 형상의 얼라인 홈부(124);
상기 로딩부의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얼라인 홈부에 삽입되는 상협하광 형상의 얼라인 돌기(126)를 구비한 한 쌍의 승강실린더(125);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형성된 상협하광 형상의 안내돌기(113); 및
상기 안내돌기에 대응되게 프로브 유닛의 저면에 형성된 상협하광의 안내홈(1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프로브 유닛 적재함{Loading container for probe unit}
본 발명은 프로브 유닛의 보관 및 취출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프로브 유닛 적재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차를 통해 적재함 내부로 장입된 프로브 유닛이 항상 정확한 위치에서 로딩될 수 있는 프로브 유닛 적재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로브 유닛은 LCD나 OLED의 글라스 셀을 검사하기 위한 핵심부품으로서 전기적인 신호를 디스플레이 패널의 입력단에 컨택하여 전기적 검사 및 비전검사를 실시한다.
이러한 프로브 유닛은 대략 20kg의 중량을 갖는 고가의 정밀한 검사장비이기 때문에 대차를 이용하여 안전하게 운반되며, 검사 대상이 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종류에 따라서 각기 다른 프로브 유닛이 요구되므로 프로브 유닛 적재함 내에는 여러 종류가 함께 보관된다.
상기 프로브 유닛 적재함은 대차가 장입되는 개방공간인 로딩부와 로딩된 다양한 프로브 유닛들을 보관하기 위한 다수의 데크를 구비하고 있으며, 로딩부 일측에는 대차를 통해 장입되는 프로브 유닛의 로딩과 데크에 보관된 프로브 유닛의 취출을 담당하는 이송로봇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프로브 유닛 적재함은 이송로봇이 프로브 유닛을 로딩하는데 있어서 프로브 유닛이 수동으로 운전되는 대차를 통해 장입되는 관계로 프로브 유닛의 로딩 위치가 유동적이어서 대차가 2mm에서 3mm 정도만 틀어져도 로딩시 이송로봇이 프로브 유닛을 정확하게 클램핑 하지 못하거나 충돌하면서 정상적인 로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설령 로딩이 이루어졌다 하더라도 이송로봇이 프로브 유닛을 비정상적인 위치에서 클램핑 했기 때문에 이송로봇이 프로브 유닛을 데크에 안착시킬 때 프로브 유닛과 데크가 충돌하면서 프로브 유닛이 추락하는 심각한 사고가 발생된다.
KR10-1019534B1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대차를 통해 장입되는 프로브 유닛이 항상 정확한 위치에서 로딩되는 프로브 유닛 적재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프로브 유닛 적재함은 프로브 유닛을 수평상태로 지지해 주는 지지대가 양측에 구비된 대차와, 상기 대차가 장입되는 개방공간인 로딩부와 로딩된 다양한 프로브 유닛들을 보관하기 위한 다수의 데크를 구비한 본체와, 프로브 유닛의 양측단 저면에 구비된 상협하광 형상의 얼라인 홈부와, 상기 로딩부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얼라인 홈부에 삽입되는 상협하광 형상의 얼라인 돌기를 구비한 한 쌍의 승강실린더와,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형성된 상협하광 형상의 안내돌기와, 상기 안내돌기에 대응되게 프로브 유닛의 저면에 형성된 상협하광의 안내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아울러, 상기 안내홈은 프로브 유닛의 저면에 부착된 제1블럭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얼라인 홈부는 프로브 유닛의 양측단 저면에 부착된 제2블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프로브 유닛의 양측단 저면에 형성된 상협하광 형상의 얼라인 홈부가 형성되고 대차가 장입되는 로딩부의 양측에 상기 얼라인 홈부에 삽입되는 상협하광 형상의 얼라인 돌기를 구비한 한 쌍의 승강실린더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승강실린더가 승강동작을 수행하게 되면 얼라인 돌기가 얼라인 홈부로 삽입되고 프로브 유닛이 지지대로부터 상승하면서 프로브 유닛의 얼라인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프로브 유닛이 본체에 장입된 대차의 위치 변화에 상관없이 항상 정확한 로딩지점에 위치하게 되므로 이송로봇이 프로브 유닛을 항상 정확한 위치에서 클램핑하여 데크에 안전하게 안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 유닛 적재함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 유닛 적재함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 유닛 적재함의 요부상태도로서, 승강실린더가 하강 동작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 유닛 적재함의 요부상태도로서, 승강실린더가 상승 동작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중복되지 않게 상이한 부분만을 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 유닛 적재함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 유닛 적재함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 유닛 적재함의 요부상태도로서, 승강실린더가 하강 동작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 유닛 적재함의 요부상태도로서, 승강실린더가 상승 동작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프로브 유닛(200) 적재함(100)은 프로브 유닛(200)을 운반하는 대차(110)와, 대차(110)가 공급해 주는 프로브 유닛(200)들을 보관하는 본체(120)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대차(110)는 프로브 유닛(200)을 수평상태로 지지해 주는 지지대(111)가 양측에 구비된다. 상기 지지대(111)의 상단에는 프로브 유닛(200)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하여 프로브 유닛(200)의 저면에 밀착되는 일정한 면적의 수평면을 가진 지지블록(112)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블록(112)의 상단에는 안내돌기(113)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돌기(113)에 대응되는 프로브 유닛(200)의 저면에는 상기 안내돌기(113)가 삽입되는 안내홈(1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돌기(113)는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114)은 상협하광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안내홈(114)은 프로브 유닛(200)을 공용화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프로브 유닛(200)의 저면에 부착된 제1블럭(115)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제1블럭(115)은 자체적으로 탄성을 가진 재질로 제작하여 지지블록(112)과 프로브 유닛(200) 사이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본체(120)에는 대차(110)가 장입되는 개방공간인 로딩부(121)와 로딩된 다양한 프로브 유닛(200)들을 보관하기 위한 다수의 데크(12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20) 내부에는 대차(110)를 통해 장입되는 프로브 유닛(200)의 로딩하고 데크(122)에 보관된 프로브 유닛(200)을 취출하는 이송로봇(123)이 설치된다.
한편, 프로브 유닛(200)의 양측단 저면에는 상협하광 형상의 얼라인 홈부(12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로딩부(121)의 양측에는 각각 승강실린더(125)가 설치된다. 상기 승강실린더(125)의 로드 단부에는 상기 얼라인 홈부(124)에 삽입되는 상협하광 형상의 얼라인 돌기(126)가 구비된다.
상기 승강실린더(125)는 대차(110)에 로딩부(121)에 장입된 상태에서 프로브 유닛(200)의 얼라인 홈부(124)의 하부에 얼라인 돌기(126)가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실린더(125)는 상기 얼라인 돌기(126)를 안내돌기(113) 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승시킴과 동시에 상기 안내돌기(113) 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강시킨다.
한편, 프로브 유닛(200)을 공용화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얼라인 홈부(124)는 프로브 유닛(200)의 양측단 저면에 부착된 제2블럭(127)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제2블럭(127)은 자체적으로 탄성을 가진 재질로 제작하여 얼라인 블록과 프로브 유닛(200) 사이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프로브 유닛(200) 적재함(100)은 다음과 같이 동작된다.
먼저, 대차(110)에 프로브 유닛(200)이 탑재된다. 이 상태의 프로브 유닛(200)은 지지대(111)의 지지블록(112) 상단에 형성된 안내돌기(113)가 안내홈(114)에 삽입되어 제1블록(115)에 밀착된 상태로서, 상기 안내돌기(113)가 상협하광 형상이고 안내홈(114)이 상협하광 형상이기 때문에 안내돌기(113)가 안내홈(114)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자동으로 얼라인된다. 따라서, 상기 프로브 유닛(200)은 항상 일정한 위치에 탑재가 될 뿐만 아니라 이동 중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더라도 대차(110)로부터 쉽게 탈락되지 않는다.
대차(110)에 프로브 유닛(200)이 탑재되면 작업자가 대차(110)를 본체(120)의 로딩부(121)로 장입한다.
대차(110)가 로딩부(121)에 장입되면 승강실린더(125)의 상승동작이 개시되면서 하강상태의 로드가 실린더로부터 인출된다. 로드가 인출되면 로드 단부에 설치된 얼라인 돌기(126)가 상승하면서 상부에 위치한 프로브 유닛(200)의 얼라인 홈부(124) 내로 삽입된다. 승강실린더(125)는 얼라인 돌기(126)가 안내돌기(113) 보다 상부에 위치할 때까지 로드를 인출시킨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가 실린더로부터 완전히 인출되면 프로브 유닛(200)이 지지대(111)로부터 상승하면서 승강실린더(125)에 의하여 수평상태로 지지된다. 그리고 얼라인 홈부(124)가 상협하광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얼라인 돌기(126)가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얼라인 돌기(126)가 얼라인 홈부(124)로 삽입되고 프로브 유닛(200)이 지지대(111)로부터 상승되는 과정에서 프로브 유닛(200)은 자연스럽게 얼라인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프로브 유닛(200)은 본체(120)에 장입된 대차(110)의 위치 변화에 상관없이 항상 정확한 로딩 지점에 위치하게 되며, 이송로봇(123)이 프로브 유닛(200)을 항상 정확한 위치에서 클램핑하여 데크(122)로 안전하게 안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
100...프로브 유닛 적재함 110...대차
111...지지대 113...안내돌기
114...안내홈 115...제1블럭
120...본체 121...로딩부
122...데크 124...얼라인 홈부
125...승강실린더 126...얼라인 돌기
127...제2블럭 200...프로브 유닛

Claims (4)

  1. 프로브 유닛을 수평상태로 지지해 주는 지지대가 양측에 구비된 대차;
    상기 대차가 장입되는 개방공간인 로딩부와 로딩된 다양한 프로브 유닛들을 보관하기 위한 다수의 데크를 구비한 본체;
    프로브 유닛의 양측단 저면에 구비된 상협하광 형상의 얼라인 홈부;
    상기 로딩부의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얼라인 홈부에 삽입되는 상협하광 형상의 얼라인 돌기를 구비한 한 쌍의 승강실린더;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형성된 상협하광 형상의 안내돌기; 및
    상기 안내돌기에 대응되게 프로브 유닛의 저면에 형성된 상협하광의 안내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유닛 적재함.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은 프로브 유닛의 저면에 부착된 제1블럭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유닛 적재함.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홈부는 프로브 유닛의 양측단 저면에 부착된 제2블럭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유닛 적재함.
KR1020150113390A 2015-08-11 2015-08-11 프로브 유닛 적재함 KR101667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390A KR101667680B1 (ko) 2015-08-11 2015-08-11 프로브 유닛 적재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390A KR101667680B1 (ko) 2015-08-11 2015-08-11 프로브 유닛 적재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7680B1 true KR101667680B1 (ko) 2016-10-20

Family

ID=57251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3390A KR101667680B1 (ko) 2015-08-11 2015-08-11 프로브 유닛 적재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768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2221U (ja) * 1992-06-18 1993-12-17 茂之 篠原 パレットの直進間欠移送装置
KR20100021195A (ko) * 2008-08-14 2010-02-2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타이어 적재장치
KR101019534B1 (ko) 2008-08-05 2011-03-07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프로브 카드 스토커 시스템
KR20120016924A (ko) * 2010-08-17 2012-02-27 한솔테크닉스(주) Lcm 화질 검사 공정에서의 포장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2221U (ja) * 1992-06-18 1993-12-17 茂之 篠原 パレットの直進間欠移送装置
KR101019534B1 (ko) 2008-08-05 2011-03-07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프로브 카드 스토커 시스템
KR20100021195A (ko) * 2008-08-14 2010-02-2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타이어 적재장치
KR20120016924A (ko) * 2010-08-17 2012-02-27 한솔테크닉스(주) Lcm 화질 검사 공정에서의 포장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4141B1 (ko) 조립 및 검사용 지그 인터체인지 작업대
KR20160056828A (ko) 물품 수납 설비
KR101667680B1 (ko) 프로브 유닛 적재함
US9260242B2 (en) Transfer apparatus
RU2291833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перемещения контейнеров
JP4302778B2 (ja) シート状物体を位置決めする把持装置
WO2014103479A1 (ja) 汎用受け治具
KR100865743B1 (ko) 팔레트 랙 거치대
US7828164B2 (en) Suspended platform for overhead traveling carriage
KR102096906B1 (ko) 번인보드 자동 검사장치
JP7433644B2 (ja) 基板検出装置、基板検出方法、及び基板処理ユニット
KR100779617B1 (ko) 스틸 팔레트 파손 분석용 실험장치
KR101833706B1 (ko) 크레인을 활용한 구조물 점검장치
TWI518840B (zh) 吸著台
CN209224057U (zh) 一种无线桁架机械手
KR20200073486A (ko) 설비 정렬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설비의 정렬 방법
TWI534946B (zh) Plasma processing device
CN106002972A (zh) 一种搬运设备
CN213276077U (zh) 一种大尺寸拼接平台
CN215665806U (zh) 一种装卸机器手机构
KR101530427B1 (ko) 캐리어 탱크 및 데크의 설치방법
CN211603455U (zh) 一种pcba板自动检测设备
US20160204013A1 (en) Adaptable casette holder
KR20160054971A (ko) 래들 안착장치
JP4730014B2 (ja) プレ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