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4154B1 - 차량의 진단, 정비 중계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진단, 정비 중계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4154B1
KR101554154B1 KR1020110109291A KR20110109291A KR101554154B1 KR 101554154 B1 KR101554154 B1 KR 101554154B1 KR 1020110109291 A KR1020110109291 A KR 1020110109291A KR 20110109291 A KR20110109291 A KR 20110109291A KR 101554154 B1 KR101554154 B1 KR 101554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tenance
company
vehicle
diagnosis
relay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9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4928A (ko
Inventor
고재현
Original Assignee
고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재현 filed Critical 고재현
Priority to KR1020110109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4154B1/ko
Publication of KR20130044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4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4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4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진단, 정비 중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진단업체와 정비업체를 분리하고 중계 서버를 통해 각 진단업체와 정비업체를 중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회원이 진단업체 및 정비업체를 각각 선택하여 회원 차량에 대한 정확한 진단 및 그에 적합한 정비를 개별적으로 서비스받을 수 있도록 하여 과잉 정비를 사전에 방지하며, 진단업체의 진단내용을 참조하여 정비업체가 그에 맞는 세부적인 부품종류 또는 정비내용을 포함한 정비견적을 회원에게 제시함으로써 수리비 과다 청구를 방지하고 동일한 정비 내용에 대해 가장 저렴한 가격으로 정비받을 수 있도록 하고,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회원 차량의 현재 위치 또는 회원이 원하는 정비 위치를 파악하고 그에 적합한 정비업체를 신속히 매칭하여 중계함으로써 차량 정비에 대한 편의성을 높이며, 법정 정비업 종류에 따라 정비 가능한 차종, 부품종류 및 정비내용을 관리하고 정비업체의 법정 정비업 종류에 따라 정비 가능한 정비업체를 분류하여 중계함으로써 회원 및 정비업체의 편의성을 높이며 정비 불량에 대한 위험성을 최소화하고,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구비한 무선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구성함으로써 차량의 진단 및 정비의 신속성을 높이며 사용자 편의성을 더욱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진단, 정비 중계 시스템 및 방법{VEHICLE DIAGNOSIS, MAINTENANCE RELAY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의 진단, 정비 중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진단업체와 정비업체를 분리하고 중계 서버를 통해 각 진단업체와 정비업체를 중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회원이 진단업체 및 정비업체를 각각 선택하여 회원 차량에 대한 정확한 진단 및 그에 적합한 정비를 개별적으로 신속히 서비스받을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진단, 정비 중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차량에 고장 등의 문제가 발생하거나 소모품의 사용 기한이 다하여 교체가 필요한 경우, 차량 소유자가 차량 정비업소에 문제가 생긴 자신의 차량에 대한 고장 수리를 의뢰하거나 부품 교환을 요청하였다.
차량 정비업소에서는 작업자가 고장 수리를 의뢰받은 차량에 대한 고장 수리 견적서를 수작업으로 작성하여 수리 의뢰인에게 보여준 후 고장 수리를 행하거나 혹은 먼저 고장 수리를 행한 후에 교체 또는 고장 수리한 부품들에 대한 견적서(또는 비용 청구서)를 수작업으로 작성하여 수리 의뢰인에게 전달하였다.
일반적인 차량 소유자는 차량의 구동 메커니즘이나 세부 구조를 자세히 알지 못하며 차량 정비에 대한 전문 지식이 없어, 차량 정비업소에서 고장이라고 지목하는 부분을 정비하거나 교체를 권유하는 부품 등을 교환하여야 했었다.
그러나, 차량 정비업소들이 이러한 점을 악용하여 고장이 나지 않은 부분이나 교체가 필요하지 않은 부품을 정비하거나 교환하는 등의 과잉 정비가 자주 발생했다.
또는, 정비의 공임이나 교환한 부품 가격을 턱없이 높게 부풀려 받는 수리비 과다 청구의 문제도 일부 차량 정비업소에서 종종 발생했다.
이러한 문제점은 차량 정비 지식이 거의 없는 초보 운전자, 미숙련 운전자나 여성운전자 등의 경우에 더욱 심하게 발생했다.
종래에도, 차량 정비와 관련하여 차량 소유자가 차량에 대한 고장 수리 내용을 파악하는 경우, 해당 내용을 직접 웹사이트 등에 입력하고 이에 대한 정비를 역경매하는 방법이 있었다.
그러나, 이는 차량 소유자가 차량의 고장 원인이나 부품 교환에 대한 정확한 지식과 판단이 있어야만 가능한 것으로, 차량 전문 지식이 거의 없는 일반적인 운전자는 이용하기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였다.
또한, 상기에서 진단이 필요한 경우, 진단과 정비를 분리할 수 없는 구성으로 실제 차량의 소유자는 차량 정비업소에서 행하는 진단 결과가 수리비 과다 청구 또는 과잉 정비를 위한 것인지 의심해야 하는 상황이 동일하게 발생하였다.
따라서, 비록 차량 소유자가 차량 정비에 대한 전문 지식이 없다 할지라도, 고장의 원인 및 교체 부품 등에 대한 차량의 진단 결과를 신뢰할 수 있는 차량 진단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상기 신뢰성 높은 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그에 적합한 차량 정비를 합리적인 가격으로 받을 수 있는 차량 정비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더불어, 이러한 차량의 진단 및 정비의 절차를 수행함에 있어 차량 소유자의 편의성을 충족시켜 신속히 진단 및 정비를 수행할 수 있는 차량의 진단 및 정비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 공개 특허 제10-2006-0016147호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 실시 예의 목적은 차량의 진단업체와 정비업체를 분리하고 중계 서버를 통해 각 진단업체와 정비업체를 중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회원이 진단업체 및 정비업체를 각각 선택하여 회원 차량에 대한 정확한 진단 및 그에 적합한 정비를 개별적으로 서비스받을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진단, 정비 중계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 실시 예의 다른 목적은 진단업체의 진단내용을 참조하여 정비업체가 그에 맞는 세부적인 부품종류 또는 정비내용을 포함한 정비견적을 회원에게 제시함으로써 회원이 비교하여 유리한 조건으로 정비받을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진단, 정비 중계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 실시 예의 또 다른 목적은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회원 차량의 현재 위치 또는 회원이 원하는 정비 위치를 파악하고 그에 적합한 정비업체를 매칭하여 중계함으로써 회원이 정비 위치 및 시간 등을 고려하여 신속히 정비 업체를 선택하도록 한 차량의 진단, 정비 중계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 실시 예의 또 다른 목적은 법정 정비업 종류에 따라 정비 가능한 차종, 부품종류 및 정비내용을 관리하고 정비업체의 법정 정비업 종류에 따라 정비 가능한 정비업체를 분류하여 중계함으로써 적합한 정비업체를 매칭하고 무분별하고 불법적인 정비를 사전에 방지하도록 한 차량의 진단, 정비 중계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 실시 예의 또 다른 목적은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구비한 무선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구성함으로써 회원, 진단업체 및 정비업체가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진단 및 정비 절차를 수행하도록 한 차량의 진단, 정비 중계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진단, 정비 중계 시스템은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구비한 무선통신 단말과 통신하여 회원의 차량에 대한 진단과 정비를 중계하는 시스템으로서, 회원의 식별정보를 관리하는 회원 관리부, 진단업체의 식별정보를 관리하는 진단업체 관리부, 정비업체의 식별정보를 관리하는 정비업체 관리부, 진단업체가 상기 회원의 차량에 대해 작성한 진단내용을 진단업체 단말로부터 전송받아 관리하는 진단내용 관리부, 상기 진단내용을 정비업체 단말로 제공하며, 정비업체가 상기 진단내용에 의거하여 작성한 상기 차량의 차종 및 연식에 따른 부품종류 또는 정비내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 정비견적을 상기 정비업체 단말로부터 전송받아 관리하는 견적관리부 및 회원 단말의 정비견적 요청에 대해 기 설정된 기준에 따른 하나 이상의 정비업체를 매칭하여 상기 정비업체의 정비견적을 상기 회원 단말로 제공하는 중계부를 구비한 중계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은 상기 회원이 설정한 조건 또는 상기 중계 서버가 상기 진단내용을 참조하여 설정한 조건을 포함한다.
상기 차량의 진단, 정비 중계 시스템은 회원 단말, 진단업체 단말, 정비업체 단말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진단업체 단말의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진단을 요청하는 회원의 차량에 대한 진단내용을 작성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정비업체 단말의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진단내용을 조회하고 이를 기준으로 정비견적을 작성하는 기능을 구비하며, 상기 회원 단말의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진단내용에 대한 정비견적을 요청 및 조회하고 이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정비를 요청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중계 서버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치정보 관리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중계 서버의 중계부는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회원 단말의 위치로부터 기 설정된 범위 내 정비업체를 매칭하여 상기 정비업체의 정비견적을 상기 회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중계 서버의 중계부는 상기 정비업체에 대한 정비견적을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거리, 상기 정비견적의 가격, 상기 정비업체의 정비 소요시간, 상기 정비업체의 운영시간 중 하나를 이용하여 순위대로 제공하거나, 전자 지도 상에 상기 정비업체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계 서버는 각 정비업체의 법정 정비업 종류를 관리하며, 상기 법정 정비업 종류에 따라 기 정의된 정비 가능 차종, 부품종류 및 정비내용을 관리하는 정비정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중계부는 상기 진단내용에 따른 차종, 부품종류 및 정비요망내용을 기준으로 정비 가능한 정비업체를 상기 정비정보부를 이용하여 분류하여 매칭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비정보부는 각 정비업체의 전문 정비분야, 정비 차종, 연식, 재고부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관리하며, 상기 중계부는 상기 차량의 차종, 연식, 상기 진단내용에 따른 부품종류, 정비요망내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 기준으로 정비 가능한 정비업체를 상기 정비정보부를 이용하여 분류하여 매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정비정보부는 상기 차량의 차종 및 연식에 따른 상기 부품종류 또는 정비내용의 표준 가격 및 공임을 관리하며, 회원 단말, 진단업체 단말, 정비업체 단말의 요청시 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중계 서버는 상기 회원의 차량정비 후, 상기 차량정비에 대한 정비결과를 저장하여 관리하고 이를 정비완료 보고서로 상기 회원 단말로 제공하는 정비결과 관리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계 서버는 차량의 과거 사고내용, 과거 진단내용, 과거 정비내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관리하며, 회원 단말, 진단업체 단말, 정비업체 단말의 요청시 이를 제공하는 차량정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중계 서버는 차량의 정비에 대한 회원과 정비업체와의 정비예약, 정비계약 체결, 결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관리하는 예약관리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진단, 정비의 중계 방법은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구비한 무선통신 단말과 통신하여 회원의 차량에 대한 진단과 정비를 중계하는 시스템의 차량 진단, 정비 중계 방법으로서, 중계 서버가 회원, 진단업체, 정비업체의 식별정보를 관리하는 단계, 상기 중계 서버가 진단업체 단말로부터 상기 회원의 차량에 대해 작성한 진단내용을 전송받아 관리하는 단계, 상기 중계 서버가 상기 진단내용을 정비업체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중계 서버가 상기 정비업체 단말로부터 상기 진단내용에 의거하여 작성한 상기 차량의 차종 및 연식에 따른 부품종류 또는 정비내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 정비견적을 전송받아 관리하는 단계, 상기 중계 서버가 회원 단말의 정비견적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중계 서버가 기 설정된 기준에 따른 하나 이상의 정비업체를 매칭하여 상기 정비업체의 정비견적을 상기 회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은 상기 회원이 설정한 조건 또는 상기 중계 서버가 상기 진단내용을 참조하여 설정한 조건을 포함한다.
상기 차량의 진단, 정비의 중계 방법은 상기 진단업체 단말의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진단을 요청하는 회원의 차량에 대한 진단내용을 상기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정비업체 단말의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진단내용을 조회하고 이를 기준으로 작성한 정비견적을 상기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회원 단말의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진단내용에 대한 정비견적을 요청 및 조회하고 이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정비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차량의 진단, 정비의 중계 방법은 상기 중계 서버가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계 단계는 상기 중계 서버가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회원 단말의 위치로부터 기 설정된 범위 내 정비업체를 매칭하여 상기 정비업체의 정비견적을 상기 회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중계 단계는 상기 중계 서버가 상기 정비업체에 대한 정비견적을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거리, 상기 정비견적의 가격, 상기 정비업체의 정비 소요시간, 상기 정비업체의 운영시간 중 하나를 이용하여 순위대로 제공하거나, 전자 지도 상에 상기 정비업체의 위치를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차량의 진단, 정비의 중계 방법은 상기 중계 서버가 각 정비업체의 법정 정비업 종류를 관리하며, 상기 법정 정비업 종류에 따라 기 정의된 정비 가능 차종, 부품종류 및 정비내용을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중계 단계는 상기 중계 서버가 상기 진단내용에 따른 차종, 부품종류 및 정비요망내용을 기준으로 정비 가능한 정비업체를 상기 관리 단계를 이용하여 분류하여 하나 이상의 정비업체를 매칭하여 상기 정비업체의 정비견적을 상기 회원 단말로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혹은, 상기 관리 단계는 상기 중계 서버가 각 정비업체의 전문 정비분야, 정비 차종, 연식, 재고부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관리하며, 이때 상기 중계 단계는 상기 중계 서버가 상기 차량의 차종, 연식, 상기 진단내용에 따른 부품종류, 정비요망내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 기준으로 정비 가능한 정비업체를 상기 관리 단계를 이용하여 분류하여 하나 이상의 정비업체를 매칭하여 상기 정비업체의 정비견적을 상기 회원 단말로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관리 단계는 상기 차량의 차종 및 연식에 따른 상기 부품종류 또는 정비내용의 표준 가격 및 공임을 관리하며, 회원 단말, 진단업체 단말, 정비업체 단말의 요청시 이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차량의 진단, 정비의 중계 방법은 상기 중계 서버가 상기 회원의 차량정비 후, 상기 차량정비에 대한 정비결과를 저장하여 관리하고 이를 정비완료 보고서로 상기 회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차량의 진단, 정비의 중계 방법은 상기 중계 서버가 차량의 과거 사고내용, 과거 진단내용, 과거 정비내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관리하며, 회원 단말, 진단업체 단말, 정비업체 단말의 요청시 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차량의 진단, 정비의 중계 방법은 상기 중계 서버가 차량의 정비에 대한 회원과 정비업체와의 정비예약, 정비계약 체결, 결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차량의 진단, 정비의 중계 방법은 진단업체의 검색 및 조회와 진단 예약을 위한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진단, 정비 중계 시스템 및 방법은 차량의 진단업체와 정비업체를 분리하고 중계 서버를 통해 각 진단업체와 정비업체를 중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회원이 진단업체 및 정비업체를 각각 선택하여 회원 차량에 대한 정확한 진단 및 그에 적합한 정비를 개별적으로 서비스받을 수 있도록 하여 미숙련 운전자 또는 초보 운전자와 같이 차량 정비에 익숙하지 않은 차량 소유자에게 종종 발생하는 과잉 정비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진단, 정비 중계 시스템 및 방법은 진단업체의 진단내용을 참조하여 정비업체가 그에 맞는 세부적인 부품종류 또는 정비내용을 포함한 정비견적을 회원에게 제시함으로써 회원이 비교하여 유리한 조건으로 정비받을 수 있도록 하여 수리비 과다 청구를 방지하고 동일한 정비 내용에 대해 가장 저렴한 가격으로 정비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진단, 정비 중계 시스템 및 방법은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회원 차량의 현재 위치 또는 회원이 원하는 정비 위치를 파악하고 그에 적합한 정비업체를 매칭하여 중계함으로써 회원이 정비 위치 및 시간 등을 고려하여 신속히 정비 업체를 선택하도록 하여 차량 정비에 대한 편의성을 한층 높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진단, 정비 중계 시스템 및 방법은 법정 정비업 종류에 따라 정비 가능한 차종, 부품종류 및 정비내용을 관리하고 정비업체의 법정 정비업 종류에 따라 정비 가능한 정비업체를 분류하여 중계함으로써 적합한 정비업체를 매칭하고 무분별하고 불법적인 정비를 사전에 방지하도록 하여 회원 및 정비업체의 편의성을 높이며 정비 불량에 대한 위험성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진단, 정비 중계 시스템 및 방법은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구비한 무선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구성함으로써 회원, 진단업체 및 정비업체가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진단 및 정비 절차를 수행하도록 하여 차량의 진단 및 정비의 신속성을 높이며 사용자 편의성을 더욱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진단, 정비 중계 시스템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계 서버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블록도.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진단, 정비 중계 방법의 데이터흐름도.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들과 실시 예들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진단, 정비 중계 시스템의 예시도다.
상기 차량의 진단,정비 중계 시스템은 회원(1), 진단업체, 정비업체가 소지한 전용 애플리케이션(20,30,40)을 구비한 무선통신 단말과 통신하여 회원(1)의 차량에 대한 진단과 정비를 중계하는 중계 서버(100)를 포함한다.
상기 중계 시스템은 차량에 대한 진단과 정비를 완전히 분리하고, 회원이 소지한 무선통신 단말에 구비된 전용 애플리케이션(20)을 통해 진단업체의 진단내용 및 정비를 신청한 정비업체, 정비견적, 정비결과 등을 조회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회원(1)은 상기 전용 애플리케이션(20)을 통해 자신의 현재 위치나 혹은 원하는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중계 서버(100)에 저장된 진단내용을 인접 정비업체(정비업체A, 정비업체B, 정비업체C)에 전송하여 해당 인접 정비업체가 제시하는 정비견적을 받을 수 있도록 하여 견적을 비교한 후 원하는 곳에서 해당 진단 내용에 따른 정비를 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중계 서버(100)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며, 하나 이상의 정비업체가 정비견적(정비업체A, 정비업체B, 정비업체C)을 전송할 경우 회원(1)이 원하는 거리나 가격에 따라 정비업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를 기반으로 거리 순서 또는 가격 순서에 따른 정비견적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진단과 정비의 완전한 분리를 위해, 진단업체에 자격증 또는 면허를 부여하고 차량 진단을 전문적으로 수행하도록 하여 그 신뢰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진단업체는 주유소나 마트 등 사람들이 많이 방문하는 곳에 위치하여 진단을 손쉽게 받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계 서버(100)는 정비업체의 법정 정비업 종류 구분에 따라 정비 가능한 범위를 관리하여, 진단업체의 진단내용에 따라 적절한 정비업체를 매칭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전용 애플리케이션(20,30,40)은 회원, 진단업체, 정비업체별로 구분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모든 구성을 하나의 전용 애플리케이션에 구성하고 가입자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의 진단, 정비 중계 시스템은 차량의 진단업체와 정비업체를 분리하고 중계 서버(100)를 통해 각 진단업체와 정비업체를 중계하도록 구성하여 회원이 진단업체 및 정비업체를 각각 선택하여 회원 차량에 대한 정확한 진단 및 그에 적합한 정비를 개별적으로 서비스받을 수 있으므로 미숙련 운전자 또는 초보 운전자와 같이 차량 정비에 익숙하지 않은 차량 소유자에게 종종 발생하는 과잉 정비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중계 서버(100)는 상기 회원, 진단업체, 정비업체의 식별정보를 관리한다.
차량의 진단 및 정비를 의뢰하고자 하는 회원(1)은 회원 단말에 구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20)을 이용하여 가까운 진단업체(2)를 검색한다.
상기 회원(1)은 상기 진단업체(2)에 차량 진단을 예약하여 방문한 후, 차량의 진단을 요청한다.
상기 진단업체(2)는 차량의 고장 부위나 교환하여야 하는 부품 등을 점검한 후, 진단업체 단말을 이용하여 진단내용을 작성한다.
상기 진단업체 단말의 전용 애플리케이션(30)(웹 어플리케이션 포함)은 회원의 차량에 대한 진단내용을 상기 중계 서버(100)로 전송한다.
상기 중계 서버(100)는 상기 진단업체 단말로부터 상기 회원의 차량에 대해 작성한 진단내용을 전송받는다.
이때, 상기 중계 서버(100)는 상기 진단내용을 상기 회원 단말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회원은 상기 회원 단말을 통해 수신한 진단 내용을 확인한 후 회원 단말을 통해 상기 중계 서버(100)에 정비견적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중계 서버(100)는 상기 진단내용에 따른 회원 단말의 정비견적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진단내용을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매칭된 정비업체 단말로 제공(정비업체A, 정비업체B, 정비업체C)한다.
정비업체는 상기 정비업체 단말의 전용 애플리케이션(40)을 통해 상기 진단내용을 조회하고 이를 기준으로 작성한 정비견적을 상기 중계 서버(10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정비업체는 상기 진단업체(2)의 진단내용을 참조하여 그에 맞는 세부적인 부품종류 또는 정비내용을 포함한 정비견적을 회원(1)에게 제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수리비 과다 청구를 방지하고 회원(1)이 동일한 정비 내용에 대해 가장 저렴한 가격으로 정비받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중계 서버(100)는 상기 정비업체 단말로부터 상기 진단내용에 의거하여 작성한 상기 차량의 차종 및 연식에 따른 부품종류 또는 정비내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 정비견적을 전송받는다.
이후, 상기 중계 서버(100)는 정비업체의 정비견적을 상기 회원 단말로 제공한다.
이때, 상기 중계 서버(100)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회원 단말의 위치로부터 기 설정된 범위 내 정비업체(정비업체A, 정비업체B, 정비업체C)를 매칭하여 정비견적을 요청한 후, 전송받은 정비업체의 정비견적을 상기 회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이는, 회원 차량의 현재 위치 또는 회원이 원하는 정비 위치를 파악하고 그에 적합한 정비업체를 매칭하여 중계하는 것으로, 회원이 정비 위치 및 시간 등을 고려하여 신속히 정비 업체를 선택할 수 있어 차량 정비에 대한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계 서버(100)는 상기 정비업체에 대한 정비견적을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거리, 상기 정비견적의 가격, 상기 정비업체의 정비 소요시간, 상기 정비업체의 운영시간 중 하나를 이용하여 순위대로 제공할 수도 있다.
회원(1)은 상기 회원 단말의 전용 애플리케이션(20)을 통해 상기 진단내용에 대한 정비견적을 요청 및 조회하고 이 중 하나를 선택(3)하여 정비를 예약한 후, 정비업체(3)를 방문하여 차량을 정비한다.
상기 중계 서버 및 회원, 진단업체, 정비업체가 각각 구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구성은 도 2 내지 도 8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계 서버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중계 서버(100)는 전용 애플리케이션(20,30,40)을 구비한 무선통신 단말과 통신하여 회원의 차량에 대한 진단과 정비를 중계하는 서버로서, 회원의 식별정보를 관리하는 회원 관리부(111), 진단업체의 식별정보를 관리하는 진단업체 관리부(121), 정비업체의 식별정보를 관리하는 정비업체 관리부(131), 진단업체가 상기 회원의 차량에 대해 작성한 진단내용을 진단업체 단말로부터 전송받아 관리하는 진단내용 관리부(122), 상기 진단내용을 정비업체 단말로 제공하며, 정비업체가 상기 진단내용에 의거하여 작성한 상기 차량의 차종 및 연식에 따른 부품종류 또는 정비내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 정비견적을 상기 정비업체 단말로부터 전송받아 관리하는 견적관리부(133) 및 회원 단말의 정비견적 요청에 대해 기 설정된 기준에 따른 하나 이상의 정비업체를 매칭하여 상기 정비업체의 정비견적을 상기 회원 단말로 제공하는 중계부(143)를 구비한다.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은 회원 단말의 전용 애플리케이션(20)을 이용하여 정비견적의 요청시 설정된 위치, 시간, 가격과 같은 회원이 설정한 소정 조건이거나 또는 중계 서버(100)에서 상기 진단내용을 참조하여 그에 따른 적합한 정비업체를 검색하는 등의 중계 서버(100)가 설정한 소정 조건일 수 있다.
상기 중계 서버(100)는 회원의 진단 요청을 관리하는 진단 요청 관리부(113) 및 정비 요청을 관리하는 정비 요청 관리부(11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계 서버(100)는 상기 회원의 차량 식별 정보, 차량의 과거 사고내용, 과거 진단내용, 과거 정비내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관리하며, 회원 단말(20), 진단업체 단말(30), 정비업체 단말(40)의 요청시 이를 제공하는 차량정보부(112)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차량의 상태 확인 또는 진단, 정비시에 용이하게 참조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의 차량은 일반 차량뿐만 아니라 원동기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정보부(112)는 원동기를 포함하여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중계 서버(100)는 차량의 정비에 대한 회원과 정비업체와의 정비예약, 정비계약 체결, 결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관리하는 예약관리부(134)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진단, 정비 중계 시스템은 회원 단말, 진단업체 단말, 정비업체 단말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진단업체 단말의 전용 애플리케이션(30)은 진단을 요청하는 회원의 차량에 대한 진단내용을 작성하는 진단 내용 입력부(32)를 구비하고, 상기 정비업체 단말의 전용 애플리케이션(40)은 상기 진단내용을 조회하는 진단내용 조회부 (42)및 이를 기준으로 정비견적을 작성하는 견적 작성부(43)를 구비하며, 상기 회원 단말의 전용 애플리케이션(20)은 상기 진단내용에 대한 정비견적을 요청 및 조회하는 정비 조회부(22)와 이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정비를 요청하는 정비 요청부(23)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원 단말의 전용 애플리케이션(20)은 상기 진단업체의 검색 및 진단내용의 조회를 담당하는 진단 조회부(21) 및 진단과 정비의 예약,계약,결제를 담당하는 결제부(24)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비 조회부(22)는 정비 견적의 요청시, 회원의 현재 위치나 원하는 정비 위치 혹은 시간, 정비 가격과 같은 회원이 원하는 소정의 기준을 설정하여 중계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비 조회부(22)는 정비업체의 검색, 정비내용의 조회, 정비완료 보고서 및 상기 차량의 차종 및 연식에 따른 상기 부품종류 또는 정비내용의 표준 가격 및 공임 등을 조회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진단업체 및 정비업체의 전용 애플리케이션(30,40)은 진단 및 정비를 보다 정확하게 수행하기 위해, 상기 중계 서버(100)로부터 상기 회원의 차량 식별 정보, 차량의 과거 사고내용, 과거 진단내용, 과거 정비내용 등을 전송받는 차량 정보 조회부(31,41)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진단업체 및 정비업체의 전용 애플리케이션(30,40)은 해당 업체의 상세 정보를 입력하는 업체 정보 입력부(33,46)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기 진단업체의 경우 상기 업체 정보 입력부(33)는 진단업체의 위치, 주소, 전화번호, 운영시간이나 혹은 진단업체의 전문 진단분야, 진단 차종, 연식 및 운영 시간 등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비업체의 경우 상기 업체 정보 입력부(46)는 정비업체의 위치, 주소, 전화번호, 운영시간이나 혹은 정비업체의 법정 정비업 종류, 전문 정비분야, 정비 가능 차종, 연식, 재고부품 등을 입력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정비업체의 전용 애플리케이션(40)은 차량 정비의 예약,계약 및 결제 등을 조회하고 확인하는 예약 조회부(44) 및 차량 정비의 결과를 입력하는 정비 결과 입력부(45)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진단, 정비 중계 시스템은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구비한 무선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회원, 진단업체 및 정비업체가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진단 및 정비 절차를 수행하도록 하여 차량의 진단 및 정비의 신속성을 높이며 사용자 편의성을 더욱 증대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원 단말의 전용 애플리케이션(20)의 화면 예시도로서, 차량 진단의 결과로서 회원이 진단업체에서 받은 진단내용(4)을 조회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진단내용(4)은 도시한 바와 같이 회원의 차대번호, 차종 및 연식을 명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진단 세부 내용으로서 교환해야할 부품종류나 정비요망내용 등을 표시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원 단말의 전용 애플리케이션(20)의 화면 예시도로서, 회원이 정비업체로 정비견적을 요청하여 그 결과로서 회원이 정비업체에서 받은 정비견적 리스트(5)를 조회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정비견적 리스트(5)는 차량의 진단내용을 근거로 해당 차량의 정비를 희망하는 정비업체들이 견적한 정비견적서를 리스트 형태로 표시한 것으로서, 세부내용 항목(6)을 선택하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품종류 또는 정비내용을 포함한 정비견적의 세부내용을 조회할 수 있다.
이때, 회원 차량의 신속한 정비를 위해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회원의 현재 차량의 위치나 혹은 회원이 희망하는 정비 위치를 기준으로 소정 범위 내의 정비업체를 선별하여 정비견적을 받을 수 있다.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는 통신망이나 위성항법장치(GPS) 등을 통해 얻은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이용자에게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기지국이나 위성항법장치(GPS)와 연결되는 칩을 부착해 위치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와 같은 리스트의 형태가 아니라 전자 지도 상에 상기 정비업체의 위치를 표시하여 회원이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정비업체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는, 정비견적의 가격이나 정비업체와의 거리를 순위화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중계 서버(100)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치정보 관리부(141)를 더 구비하고, 상기 중계 서버(100)의 중계부(143)는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회원 단말의 위치로부터 기 설정된 범위 내 정비업체를 매칭하여 상기 정비업체의 정비견적을 상기 회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계 서버의 중계부(143)는 상기 정비업체에 대한 정비견적을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거리, 상기 정비견적의 가격, 상기 정비업체의 정비 소요시간, 상기 정비업체의 운영시간 중 하나를 이용하여 순위대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중계 서버(100)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회원 차량의 현재 위치 또는 회원이 원하는 정비 위치를 파악하고 그에 적합한 정비업체를 매칭하여 중계하여 회원이 정비 위치 및 시간 등을 고려하여 신속히 정비 업체를 선택할 수 있어 차량 정비에 대한 편의성을 한층 높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원 단말의 전용 애플리케이션(20)의 화면 예시도로서, 회원이 정비업체로 정비견적을 요청하여 그 결과로서 회원이 정비업체에서 받은 정비견적 리스트(7)를 조회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정비견적 리스트(7)는 차량의 진단내용을 근거로 해당 차량의 차종, 부품종류, 정비내용 등을 고려하여 이에 가장 적합한 정비업체들이 견적한 정비견적서를 리스트 형태로 표시한 것이다.
차량의 정비업체는 법률에 따라 자동차정비업의 종류로 구분되며, 등록된 자동차정비업의 종류에 따라 해당 정비업체에서 정비할 수 있는 차종, 부품 및 정비범위가 각각 상이하게 된다.
또한, 등록된 자동차정비업의 종류에 따라 정비의 공임도 각각 다르게 된다.
상기 자동차 정비업의 종류는 자동차 종합 정비업, 소형 자동차 정비업, 자동차 부분 정비업 및 원동기 전문 정비업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자동차 종합 정비업은 모든 종류의 자동차에 대한 점검,정비 및 구조,장치의 변경작업이 가능하며, 상기 소형 자동차 정비업은 승용자동차,경형 및 소형의 승합,화물,특수자동차에 대한 점검,정비 및 구조,장치의 변경작업이 가능하고, 자동차 부분 정비업은 별도로 정해진 자동차 부분 정비업의 작업 제한 범위에 속하지 아니하는 구조,장치에 대한 점검,정비만이 가능하며, 원동기 전문 정비업은 자동차 원동기의 재생정비가 가능하다.
종래의 차량 소유자는 차량의 정비에 대한 전문 지식이 없거나 고장의 원인을 파악할 수 없는 경우, 교환하여야 할 부품이나 정비 내용을 알지 못해 그에 맞는 정비업체를 구분하여 자신에게 제일 유리한 곳으로 선택하기가 쉽지 않았다.
그러나, 본 실시 예에서는 차량의 진단을 통해 진단내용을 중계 서버(100)로 전송하고 상기 중계 서버(100)가 상기 진단내용에 따른 차종, 부품종류 및 정비요망내용을 참조하여 이에 적합한 정비업체를 자동으로 선별하여 제시하도록 구성하여 회원이 해당 정비에 적합한 정비업체를 직접 검색하지 않아도 원활한 정비를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를 위해,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중계 서버(100)는 각 정비업체의 법정 정비업 종류를 관리하며, 상기 법정 정비업 종류에 따라 기 정의된 정비 가능 차종, 부품종류 및 정비내용을 관리하는 정비정보부(142)를 더 구비하고, 상기 중계부(143)는 상기 진단내용에 따른 차종, 부품종류 및 정비요망내용을 기준으로 정비 가능한 정비업체를 상기 정비정보부(142)를 이용하여 분류하여 하나 이상의 정비업체를 매칭하고 상기 정비업체의 정비견적을 상기 회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진단, 정비 중계 시스템은 법정 정비업 종류에 따라 정비 가능한 차종, 부품종류 및 정비내용을 관리하고 정비업체의 법정 정비업 종류에 따라 정비 가능한 정비업체를 분류하여 중계하여 적합한 정비업체를 매칭할 뿐만 아니라 무분별하고 불법적인 정비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어 회원 및 정비업체의 편의성을 높이며 정비 불량에 대한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차종은 자동차 생산회사에서 정한 자동차의 브랜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실시 예에서의 차종은 법에서 정해진 자동차의 종류 예를 들어, 대형, 승용, 소형, 경형 등과 같은 분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기 정비정보부(142)는 각 정비업체의 전문 정비분야, 정비 차종, 연식, 재고부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관리하며, 상기 중계부(143)는 상기 차량의 차종, 연식, 상기 진단내용에 따른 부품종류, 정비요망내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 기준으로 정비 가능한 정비업체를 상기 정비정보부(142)를 이용하여 분류하여 하나 이상의 정비업체를 매칭하고 상기 정비업체의 정비견적을 상기 회원 단말로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의 전문정비분야, 정비 차종, 연식, 재고부품 등은 정비업체의 전용 애플리케이션(40)을 이용하여 정비업체에서 입력하여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회원의 조회 및 진단, 정비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정비정보부(142)는 상기 차량의 차종 및 연식에 따른 상기 부품종류 또는 정비내용의 표준 가격 및 공임을 관리하며, 상기 회원 단말, 진단업체 단말, 정비업체 단말의 요청시 이를 제공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원 단말의 전용 애플리케이션(20)의 화면 예시도로서, 회원이 선택한 정비업체의 세부 정비견적 내용(8)을 조회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정비견적(8)은 진단업체의 진단내용을 참조하여 정비업체가 그에 맞는 세부적인 부품종류 또는 정비내용을 포함하여 회원에게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회원은 각각의 정비업체의 정비견적을 비교하여 유리한 조건으로 정비받을 수 있어 수리비 과다 청구를 방지하고 동일한 정비 내용에 대해 가장 저렴한 가격으로 정비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원 단말의 전용 애플리케이션(20)의 화면 예시도로서, 차량의 정비를 완료한 정비업체가 회원의 단말로 전송한 정비 완료 보고서를 조회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정비 완료 보고서에는 정비업체의 서명 및 정비완료일자와 함께 정비를 완료한 차량의 차대번호, 회원의 식별정보, 차종, 연식 등이 표기되며, 완료한 정비의 내용 및 교환 부품 등이 명기되어 있다.
또한, 해당 정비 완료 보고서는 순정 사용 여부와 같이 정비의 세부 내용을 조회할 수 있는 항목(9)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회원은 정비견적의 내용과 정비결과가 같은지 확인할 수 있어 추후 문제가 발생할 경우 이를 근거로 해당 정비업체에 문제를 제기할 수 있어 정비업체가 부품을 속이는 등이 행위를 하기 어렵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위해, 도 2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중계 서버(100)는 상기 회원의 차량정비 후, 상기 차량정비에 대한 정비결과를 저장하여 관리하고 이를 정비완료 보고서로 상기 회원 단말로 제공하는 정비결과 관리부(132)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진단, 정비 중계 방법의 데이터흐름도이다.
상기 차량의 진단, 정비의 중계 방법은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구비한 무선통신 단말과 통신하여 회원의 차량에 대한 진단과 정비를 중계하는 시스템의 차량의 진단, 정비 중계 방법으로서, 중계 서버(100)가 회원, 진단업체, 정비업체의 식별정보를 관리하는 단계, 상기 중계 서버(100)가 진단업체 단말(30)로부터 상기 회원의 차량에 대해 작성한 진단내용을 전송받아 관리하는 단계(S125), 상기 중계 서버(100)가 상기 진단내용을 정비업체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S130), 상기 중계 서버(100)가 상기 정비업체 단말(40)로부터 상기 진단내용에 의거하여 작성한 상기 차량의 차종 및 연식에 따른 부품종류 또는 정비내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 정비견적을 전송받아 관리하는 단계(S140, S145), 상기 중계 서버(100)가 회원 단말(20)의 정비견적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127) 및 상기 중계 서버(100)가 기 설정된 기준에 따른 하나 이상의 정비업체를 매칭(S130)하여 상기 정비업체의 정비견적을 상기 회원 단말(20)로 제공하는 단계(S150)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의 진단, 정비의 중계 방법은 상기 진단업체 단말의 전용 애플리케이션(30)이 진단을 요청하는 회원의 차량에 대한 진단내용을 상기 중계 서버(100)로 전송하는 단계(S125), 상기 정비업체 단말의 전용 애플리케이션(40)이 상기 진단내용을 조회하고 이를 기준으로 작성한 정비견적을 상기 중계 서버(100)로 전송하는 단계(S145) 및 상기 회원 단말의 전용 애플리케이션(20)이 상기 진단내용에 대한 정비견적을 요청 및 조회(S150)하고 이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정비를 요청하는 단계(S1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차량의 진단, 정비의 중계 방법은 상기 중계 서버(100)가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계 단계(S130,S150)는 상기 중계 서버(100)가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회원 단말의 위치로부터 기 설정된 범위 내 정비업체를 매칭하여 상기 정비업체의 정비견적을 상기 회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중계 단계(S130,S150)는 상기 중계 서버(100)가 상기 정비업체에 대한 정비견적을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거리, 상기 정비견적의 가격, 상기 정비업체의 정비 소요시간, 상기 정비업체의 운영시간 중 하나를 이용하여 순위대로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차량의 진단, 정비의 중계 방법은 상기 중계 서버(100)가 각 정비업체의 법정 정비업 종류를 관리하며, 상기 법정 정비업 종류에 따라 기 정의된 정비 가능 차종, 부품종류 및 정비내용을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중계 단계(S130,S150)는 상기 중계 서버(100)가 상기 진단내용에 따른 차종, 부품종류 및 정비요망내용을 기준으로 정비 가능한 정비업체를 상기 관리 단계를 이용하여 분류하여 하나 이상의 정비업체를 매칭하여 상기 정비업체의 정비견적을 상기 회원 단말로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혹은, 상기 관리 단계는 상기 중계 서버(100)가 각 정비업체의 전문 정비분야, 정비 차종, 연식, 재고부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관리하며, 이때 상기 중계 단계(S130,S150)는 상기 중계 서버(100)가 상기 차량의 차종, 연식, 상기 진단내용에 따른 부품종류, 정비요망내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 기준으로 정비 가능한 정비업체를 상기 관리 단계를 이용하여 분류하여 하나 이상의 정비업체를 매칭하여 상기 정비업체의 정비견적을 상기 회원 단말로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관리 단계는 상기 차량의 차종 및 연식에 따른 상기 부품종류 또는 정비내용의 표준 가격 및 공임을 관리하며, 회원 단말, 진단업체 단말, 정비업체 단말의 요청시 이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차량의 진단, 정비의 중계 방법은 상기 중계 서버(100)가 상기 회원의 차량정비 후, 상기 차량정비에 대한 정비결과를 저장하여 관리(S170)하고 이를 정비완료 보고서로 상기 회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S17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차량의 진단, 정비의 중계 방법은 상기 중계 서버(100)가 차량의 과거 사고내용, 과거 진단내용, 과거 정비내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관리하며, 회원 단말, 진단업체 단말, 정비업체 단말의 요청시 이를 제공하는 단계(S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차량의 진단, 정비의 중계 방법은 상기 중계 서버가 차량의 정비에 대한 회원과 정비업체와의 정비예약, 정비계약 체결, 결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관리하는 단계(S16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차량의 진단, 정비의 중계 방법은 진단업체의 검색 및 조회와 진단 예약을 위한 단계(S110,S115,S12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 회원 2: 진단업체
3: 정비업체 10: 무선통신 단말
20: 회원 전용 애플리케이션 30: 진단업체 전용 애플리케이션
40: 정비업체 전용 애플리케이션 100: 중계 서버
111: 회원 관리부 112: 차량 정보부
113: 진단요청 관리부 114: 정비요청 관리부
121: 진단업체 관리부 122: 진단내용 관리부
131: 정비업체 관리부 132: 정비결과 관리부
133: 견적 관리부 134: 예약 관리부
141: 위치정보 관리부 142: 정비정보부
143: 중계부

Claims (20)

  1.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구비한 무선통신 단말과 통신하여 회원의 차량에 대한 진단과 정비를 중계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회원의 식별정보를 관리하는 회원 관리부,
    진단업체의 식별정보를 관리하는 진단업체 관리부,
    정비업체의 식별정보를 관리하는 정비업체 관리부,
    진단업체가 상기 회원의 차량에 대해 작성한 진단내용을 진단업체 단말로부터 전송받아 관리하는 진단내용 관리부,
    상기 진단내용을 정비업체 단말로 제공하며, 정비업체가 상기 진단내용에 의거하여 작성한 상기 차량의 차종 및 연식에 따른 부품종류 또는 정비내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 정비견적을 상기 정비업체 단말로부터 전송받아 관리하는 견적관리부 및
    회원 단말의 정비견적 요청에 대해 기 설정된 기준에 따른 하나 이상의 정비업체를 매칭하여 상기 정비업체의 정비견적을 상기 회원 단말로 제공하는 중계부를 구비한 중계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은 상기 회원이 설정한 조건 또는 상기 중계 서버가 상기 진단내용을 참조하여 설정한 조건을 포함하는 차량의 진단, 정비 중계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회원 단말;
    진단업체 단말;
    정비업체 단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진단업체 단말의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진단을 요청하는 회원의 차량에 대한 진단내용을 작성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정비업체 단말의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진단내용을 조회하고 이를 기준으로 정비견적을 작성하는 기능을 구비하며,
    상기 회원 단말의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진단내용에 대한 정비견적을 요청 및 조회하고 이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정비를 요청하는 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진단, 정비 중계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서버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치정보 관리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중계 서버의 중계부는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회원 단말의 위치로부터 기 설정된 범위 내 정비업체를 매칭하여 상기 정비업체의 정비견적을 상기 회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진단, 정비 중계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서버의 중계부는
    상기 정비업체에 대한 정비견적을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거리, 상기 정비견적의 가격, 상기 정비업체의 정비 소요시간, 상기 정비업체의 운영시간 중 하나를 이용하여 순위대로 제공하거나, 전자 지도 상에 상기 정비업체의 위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진단, 정비 중계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서버는
    각 정비업체의 법정 정비업 종류를 관리하며, 상기 법정 정비업 종류에 따라 기 정의된 정비 가능 차종, 부품종류 및 정비내용을 관리하는 정비정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중계부는 상기 진단내용에 따른 차종, 부품종류 및 정비요망내용을 기준으로 정비 가능한 정비업체를 상기 정비정보부를 이용하여 분류하여 매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진단, 정비 중계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정비정보부는 각 정비업체의 전문 정비분야, 정비 차종, 연식, 재고부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관리하며,
    상기 중계부는 상기 차량의 차종, 연식, 상기 진단내용에 따른 부품종류, 정비요망내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 기준으로 정비 가능한 정비업체를 상기 정비정보부를 이용하여 분류하여 매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진단, 정비 중계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정비정보부는 상기 차량의 차종 및 연식에 따른 상기 부품종류 또는 정비내용의 표준 가격 및 공임을 관리하며, 회원 단말, 진단업체 단말, 정비업체 단말의 요청시 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진단, 정비 중계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서버는
    상기 회원의 차량정비 후, 상기 차량정비에 대한 정비결과를 저장하여 관리하고 이를 정비완료 보고서로 상기 회원 단말로 제공하는 정비결과 관리부를 더 구비하는 차량의 진단, 정비 중계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서버는
    차량의 과거 사고내용, 과거 진단내용, 과거 정비내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관리하며, 회원 단말, 진단업체 단말, 정비업체 단말의 요청시 이를 제공하는 차량정보부를 더 구비하는 차량의 진단, 정비 중계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서버는
    차량의 정비에 대한 회원과 정비업체와의 정비예약, 정비계약 체결, 결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관리하는 예약관리부를 더 구비하는 차량의 진단, 정비 중계 시스템.
  11.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구비한 무선통신 단말과 통신하여 회원의 차량에 대한 진단과 정비를 중계하는 시스템의 차량의 진단, 정비 중계 방법에 있어서,
    a) 중계 서버가 회원, 진단업체, 정비업체의 식별정보를 관리하는 단계;
    b) 상기 중계 서버가 진단업체 단말로부터 상기 회원의 차량에 대해 작성한 진단내용을 전송받아 관리하는 단계;
    c) 상기 중계 서버가 상기 진단내용을 정비업체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d) 상기 중계 서버가 상기 정비업체 단말로부터 상기 진단내용에 의거하여 작성한 상기 차량의 차종 및 연식에 따른 부품종류 또는 정비내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 정비견적을 전송받아 관리하는 단계;
    e) 상기 중계 서버가 회원 단말의 정비견적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및
    f) 상기 중계 서버가 상기 정비견적 요청에 대해 기 설정된 기준에 따른 하나 이상의 정비업체를 매칭하여 상기 정비업체의 정비견적을 상기 회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은 상기 회원이 설정한 조건 또는 상기 중계 서버가 상기 진단내용을 참조하여 설정한 조건을 포함하는 차량의 진단, 정비 중계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업체 단말의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진단을 요청하는 회원의 차량에 대한 진단내용을 상기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정비업체 단말의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진단내용을 조회하고 이를 기준으로 작성한 정비견적을 상기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및
    상기 회원 단말의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진단내용에 대한 정비견적을 요청 및 조회하고 이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정비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진단, 정비 중계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서버가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f) 단계는 상기 중계 서버가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회원 단말의 위치로부터 기 설정된 범위 내 정비업체를 매칭하고 상기 정비업체의 정비견적을 상기 회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진단, 정비 중계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상기 중계 서버가 상기 정비업체에 대한 정비견적을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거리, 상기 정비견적의 가격, 상기 정비업체의 정비 소요시간, 상기 정비업체의 운영시간 중 하나를 이용하여 순위대로 제공하거나, 전자 지도 상에 상기 정비업체의 위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진단, 정비 중계 방법.
  15. 제 11항에 있어서,
    g) 상기 중계 서버가 각 정비업체의 법정 정비업 종류를 관리하며, 상기 법정 정비업 종류에 따라 기 정의된 정비 가능 차종, 부품종류 및 정비내용을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f)단계는 상기 중계 서버가 상기 진단내용에 따른 차종, 부품종류 및 정비요망내용을 기준으로 정비 가능한 정비업체를 상기 g)단계를 이용하여 분류하여 정비업체를 매칭하고 상기 정비업체의 정비견적을 상기 회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진단, 정비 중계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g)단계는 상기 중계 서버가 각 정비업체의 전문 정비분야, 정비 차종, 연식, 재고부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관리하며,
    상기 f)단계는 상기 중계 서버가 상기 차량의 차종, 연식, 상기 진단내용에 따른 부품종류, 정비요망내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 기준으로 정비 가능한 정비업체를 상기 g)단계를 이용하여 분류하여 정비업체를 매칭하고 상기 정비업체의 정비견적을 상기 회원 단말로 제공하는 것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진단, 정비 중계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g)단계는 상기 차량의 차종 및 연식에 따른 상기 부품종류 또는 정비내용의 표준 가격 및 공임을 관리하며, 회원 단말, 진단업체 단말, 정비업체 단말의 요청시 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진단, 정비 중계 방법.
  18.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서버가 상기 회원의 차량정비 후, 상기 차량정비에 대한 정비결과를 저장하여 관리하고 이를 정비완료 보고서로 상기 회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진단, 정비 중계 방법.
  19.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서버가 차량의 과거 사고내용, 과거 진단내용, 과거 정비내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관리하며, 회원 단말, 진단업체 단말, 정비업체 단말의 요청시 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진단, 정비 중계 방법.
  20.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서버가 차량의 정비에 대한 회원과 정비업체와의 정비예약, 정비계약 체결, 결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진단, 정비 중계 방법.
KR1020110109291A 2011-10-25 2011-10-25 차량의 진단, 정비 중계 시스템 및 방법 KR101554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291A KR101554154B1 (ko) 2011-10-25 2011-10-25 차량의 진단, 정비 중계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291A KR101554154B1 (ko) 2011-10-25 2011-10-25 차량의 진단, 정비 중계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928A KR20130044928A (ko) 2013-05-03
KR101554154B1 true KR101554154B1 (ko) 2015-09-21

Family

ID=48657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9291A KR101554154B1 (ko) 2011-10-25 2011-10-25 차량의 진단, 정비 중계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41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2512A (ko) * 2018-09-18 2020-03-26 한국전력공사 전기차 충전 중 차량 상태 진단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469794B1 (ko) 2022-02-18 2022-11-23 주식회사 어메스 폐차장 관리 솔루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935B1 (ko) * 2013-03-08 2014-02-06 윤성환 자동차 정비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60121110A (ko) 2015-04-10 2016-10-19 (주)에이엔지씨와이 차량의 수리 서비스 시스템
KR101682461B1 (ko) * 2015-05-13 2016-12-05 사단법인 한국아이티기반 환경융합기술 연구조합 지역 거점을 활용한 차량 유지보수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684341B1 (ko) * 2015-06-17 2016-12-08 김영호 자동차 부품 가격 및 정비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739110B1 (ko) 2015-07-07 2017-06-23 주식회사 자라요 차량의 수리 서비스 시스템
KR101701406B1 (ko) 2015-09-18 2017-02-01 임진욱 위치기반 자동차 자가정비 대행서비스 제공 방법
KR101692183B1 (ko) * 2016-02-11 2017-01-02 인포뱅크 주식회사 차량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상기 서버를 이용한 차량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39153B1 (ko) * 2017-11-09 2019-11-26 이영빈 네트워크 기반의 차량 정비 방법 및 시스템
KR101950189B1 (ko) * 2018-07-31 2019-02-21 주식회사 뉴텍상사 차량 부품 공급 및 보험 처리를 위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서버
KR102289339B1 (ko) * 2019-10-25 2021-08-12 박현덕 As용 범퍼 도장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통합 관리 방법
KR20210103802A (ko) * 2020-02-14 2021-08-24 양연옥 차량용 엔진의 재활용을 위한 관리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KR102497407B1 (ko) * 2020-11-26 2023-02-08 차현주 차량 정비 예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예약 방법
KR102419539B1 (ko) * 2020-12-03 2022-07-11 이재하 자동차 서비스 공유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서비스 공유 방법
KR102446224B1 (ko) * 2020-12-29 2022-09-22 주식회사 마이게러지 맞춤형 정비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2512A (ko) * 2018-09-18 2020-03-26 한국전력공사 전기차 충전 중 차량 상태 진단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596471B1 (ko) * 2018-09-18 2023-11-02 한국전력공사 전기차 충전 중 차량 상태 진단 방법
KR102469794B1 (ko) 2022-02-18 2022-11-23 주식회사 어메스 폐차장 관리 솔루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30124466A (ko) 2022-02-18 2023-08-25 주식회사 어메스 이미지 인식 기반 폐차 부품 분석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928A (ko) 2013-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4154B1 (ko) 차량의 진단, 정비 중계 시스템 및 방법
US20200202401A1 (en)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competitive pricing for vehicle services
US10032228B2 (en) Assistance on the go
KR101604468B1 (ko) 차량 유지를 위한 인터넷 텔레매틱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3834463B2 (ja) 車載故障警報通報システム
US8027843B2 (en) On-demand supplemental diagnostic and service resource planning for mobile systems
US20170076344A1 (en) System and method to prevent vehicle failures on public roadways
JP5889761B2 (ja)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装置、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60071338A1 (en) Diagnostic unit and method
CN105493083A (zh) 用于预评估车辆诊断和维修成本估计的系统和方法
US20150142256A1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service at service centers
WO2006137137A1 (ja) 顧客管理装置
US20160209224A1 (en) Vehicle swap and driver statistics
KR102083725B1 (ko)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관련 서비스를 제안하기 위한 방법
US20240095686A1 (en) Autonomous car repair
KR20180065984A (ko) 차량 수리 중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2015103187A (ja) 車両の評価システム及び車両の評価方法
US8131605B2 (en) Machine having automatic component registration
KR20180048187A (ko) 자동차보험사지정정비업체네트워크시스템
KR20130012166A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자동차 보험 견적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39110B1 (ko) 차량의 수리 서비스 시스템
WO2012075055A2 (en)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competitive pricing for vehicle services
KR101684445B1 (ko) 차량 유지를 위한 인터넷 텔레매틱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05446A (ko) 허위매물 조회와 차량 정비사 동행이 가능한 중고차 구매 플랫폼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2342508A (ja) 自動車の故障検出と修理依頼システム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