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1406B1 - 위치기반 자동차 자가정비 대행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위치기반 자동차 자가정비 대행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1406B1
KR101701406B1 KR1020150132658A KR20150132658A KR101701406B1 KR 101701406 B1 KR101701406 B1 KR 101701406B1 KR 1020150132658 A KR1020150132658 A KR 1020150132658A KR 20150132658 A KR20150132658 A KR 20150132658A KR 101701406 B1 KR101701406 B1 KR 101701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maintenance
management server
provide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2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진욱
Original Assignee
임진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진욱 filed Critical 임진욱
Priority to KR1020150132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14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이용자 단말, 제공자 단말 및 관리 서버를 이용하여 자동차 자가정비 대행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관리 서버가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서비스 이용자와 서비스 제공자를 연결해 줌으로써, 고객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간단한 경정비나 부품 교환에 대해서 고객이 정비 업소를 선택할 수 있고, 정비 업소가 고객의 위치로 찾아가서 자가정비 대행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위치기반 자동차 자가정비 대행서비스 제공 방법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automobile maintenance service}
본 발명은 자동차 자가정비 대행서비스 제공 방법 에 관한 것으로서, 여성, 노약자 등 직접 정비업소에 가서 간단한 정비를 받기 어렵거나, 꺼려하는 소비자들에게 위치를 확인 후 직접 방문하여 소비자들이 원하는 시간, 장소에서 간단한 자가 정비나 부품 교환을 대행하고, 정밀 정비가 진행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자가정비 대행 서비스 업체를 추천하여 고객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음은 물론, 다수의 고객들이 공동으로 자가정비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정비 서비스 비용을 낮출 수 있는 위치기반 자동차 자가정비 대행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를 정비하거나 부품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자동차를 정비업소로 이동시키고, 정비업소에서 견적을 제공하고 자동차 소유자가 이를 수락하면 정비가 실행된다.
이와 같은 방식의 종래의 자동차 정비 서비스는, 정비업소의 서비스 품질 정보나 부품 가격 등에 대한 정보를 고객이 획득하기 어려워서, 고객이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받기가 곤란하였다.
또한, 여성들이나 노인, 초보 운전자 들과 같은 경우, 자동차의 자가 정비가 어렵기 때문에 전문 차량 정비 업체 등을 통해 자가 정비를 요청하고 있으나, 이러한 경우 정비 업체에서는 과도한 비용을 청구하거나, 불필요한 정비까지 요구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016147호(특허문헌 1)에 의하면, 차량소유주와 정비업체 회원 정보를 회원 가입 시에 사이트에 데이터베이스화 하고, 주요 세부정보는 개인은 차량정보, 개인정보, 지역정보 등을 저장하고, 업체는 사업자 정보, 지역 정보 및 위치 세부정보(약도 포함), 업체 등급(종합, 부분), 입찰 담당자 정보, 주요 정비 항목 및 가격 등을 저장하여, 자동차 정비 비용의 사전 예산 파악, 가격 협상 및 업체 선정 그리고 수리비 협상의 보조 서비스에 대해 제시하고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44928호(특허문헌 2)에 의하면, 차량의 진단업체와 정비업체를 분리하고, 중계 서버를 통해 각 진단업체와 정비업체를 중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회원이 진단업체 및 정비업체를 각각 선택하여 회원차량에 대한 정확한 진단 및 그에 적합한 정비를 개별적으로 서비스 받을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진단, 정비 중계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방법들은 양질의 서비스를 받기 위해 고객이 정비 서비스 선택할 수 있는 선택권이 불충분하고, 간단한 정비의 경우에도 고객이 정비업소를 직접 찾아가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공동 구매와 같이 정비 비용 절감을 위해 고객측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단이 거의 없었다.
삭제
삭제
특허문헌 1: 한국 공개특허 공보 제10-2006-0016147호 특허문헌 2: 한국 공개특허 공보 제10-2013-0044928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자동차 정비 서비스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객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자가 정비 가능항목의 정비나 부품 교환에 대해서 고객이 무선 단말장치 및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정비 업소를 선택할 수 있고, 정비를 원하는 시간에 장소를 예약하면 정비 업체가 고객이 예약한 시간에 요청한 위치로 찾아가서 자가정비 대행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자동차 자가정비 대행서비스 제공 방법은, 서로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이용자 단말, 제공자 단말 및 관리 서버를 이용하여 자동차 자가정비 대행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서비스 이용자가 이용자 단말을 통해 관리 서버에 자가정비 대행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 (b) 관리 서버가, 이용자 단말과 제공자 단말의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서비스 제공자를 검색하고, 검색된 서비스 제공자의 제공자 단말에 서비스 이용자의 정비 서비스 요청 내역을 전달하는 단계; (c) 상기 자가정비 대행서비스 요청 내역과 상기 이용자 단말의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자 단말을 통해 관리 서버에 정비 서비스에 대한 견적, 이동 및 소요 시간을 송신하는 단계; (d) 관리 서버가, 상기 견적, 이동 및 소요 시간을 이용자 단말에 전달하는 단계; (e) 서비스 이용자가 상기 견적, 이동 및 소요 시간에 근거하여 서비스를 실시할 서비스 제공자를 선택하고, 이를 이용자 단말을 통해 관리 서버에 통지하는 단계; (f) 관리 서버가 상기 선택된 서비스 제공자의 제공자 단말에 서비스 제공을 요청하는 단계; (g) 서비스 제공자가 서비스 이용자의 위치로 이동하여 자가정비 대행서비스를 제공한 후, 제공자 단말을 통해 관리 서버에 서비스 완료 내역을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단계 (a)에서의 자가정비 대행서비스 요청은 실시간 서비스 또는 예약 서비스로 요청할 수 있고, 예약 서비스를 요청한 경우, 예약된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단계 (b)~(f)가 실행되고, 예약된 시점이 도래하면 상기 단계 (g)가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정비 서비스에 대한 견적 및 소요 시간은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자 단말을 통해 입력하고, 상기 정비 서비스에 대한 이동 시간은 상기 이용자 단말의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제공자 단말이 자동으로 계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비 서비스는 오일 교환 및 보충과, 에어클리너, 필터류, 배터리, 전기배선 및 전구의 교환과, 냉각장치, 타이어, 차내 설비 및 차체의 점검 및 정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단계들에 추가하여, (h)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서비스 완료 내역에 근거하여 서비스 이용자의 자동차의 정비 이력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자동차의 정비 이력에 근거하여, 이용자 단말에 주기적으로 정비 알림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단계들에 추가하여, (i) 상기 서비스 이용자가 제공받은 서비스에 대한 평가를 이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관리 서버에 통지하고,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평가 결과에 근거하여 서비스 제공자의 평가 순위를 결정하여 이용자 단말에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계 (e)에서, 서비스 이용자는 상기 견적, 이동 및 소요 시간에 더하여, 상기 결정된 평가 순위에 근거하여 서비스를 실시할 서비스 제공자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d)에서, 관리 서버는 상기 견적, 이동 및 소요 시간, 상기 결정된 평가 순위에 각각 가중치를 부여하여 추천 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추천 순위를 이용자 단말에 추가로 전달하고, 상기 단계 (e)에서, 서비스 이용자는 상기 추천 순위에 근거하여 서비스를 실시할 서비스 제공자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a)에서, 다수의 서비스 이용자들은 각각의 이용자 단말을 통해 공동으로 정비 서비스를 요청할 수도 있고, 상기 단계 (c)에서의 견적 제공은 역경매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g) 이후에, (j) 모바일 결제 수단 혹은 현장 결제를 이용하여 제공된 자가정비 대행서비스에 대한 결제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위치기반 자동차 정비 서비스 제공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간단한 자가정비나 부품 교환에 대해서 정비 업소가 고객의 위치로 찾아가서 자가정비 대행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고객이 편리하게 자가정비 대행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둘째, 고객이 정비 업체의 서비스 수행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자가정비 대행 서비스업체를 선택할 수 있어서 고객 만족도를 높일 수 있고, 다수의 고객이 공동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정비 서비스 비용을 낮출 수 있다.
셋째, 고객의 정비 이력을 활용하여 고객 관리를 할 수 있으므로, 서비스 제공자의 고객 확보에 유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비 서비스 방법을 실행하는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비 서비스 방법의 실행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비 서비스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시스템 내에서의 송수신되는 정보의 흐름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은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자동차 자가정비 대행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이러한 방법을 실행할 수 있는 시스템 환경에 대해 도 1에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 자가정비 대행서비스 시스템은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 이용자(고객)가 사용하는 이용자 단말(10)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정비 업체)가 사용하는 제공자 단말(20)과, 상기 이용자 단말(10)과 제공자 단말(20)을 관리하는 관리 서버(30)로 구성되며, 이러한 구성요소(10, 20, 30)들은 네트워크(40)를 통해 실시간으로 연결되어 무선으로 정보를 송수신 한다.
여기서 이용자 단말(10), 제공자 단말(20) 및 관리 서버(30)는 기본적으로 정보를 실시간으로 무선 전송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가능할 수 있다.
이용자 단말(10)은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공자 단말(20)은 개인용 컴퓨터, 무선 패드, 스마트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는 일반적으로 자동차 정비 업체를 가맹점으로 두고 개개인에게 자가정비 대행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본사에서 운용하게 된다.
또한, 이용자 단말(10)은 스마트폰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을 통해 사용할 수 있으며, 개인정보 및 소비자의 차종, 주행거리 등을 입력하여 회원가입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정보의 송수신은 관리 서버(30)를 매개하여 이용자 단말(10)과 제공자 단말(20)사이에서 주로 실행되나, 필요한 경우 이용자 단말(10)과 제공자 단말(20)간에 직접적으로 정보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도 2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정비 대행서비스 제공 방법이 실행되는 과정을 흐름도로서 나타내었으며, 도 3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정비 대행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이용자 단말(10), 제공자 단말(20) 및 관리 서버(30) 간의 신호의 전송 과정을 나타내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가정비 대행서비스 제공 방법은 자가정비 대행 서비스 요청단계(S100), 서비스 제공자 검색단계(S200), 자가정비 대행서비스 견적 및 소요시간 제공단계(S300), 서비스 제공자 선택단계(S400), 자가정비 대행서비스 이용단계(S500), 정비 이력 생성단계(S600), 평가순위 생성단계(S700), 서비스 비용 결제단계(S8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먼저, 자가정비 대행 서비스 요청단계(S100)는 서비스 이용자가 이용자 단말(10)을 통해 관리 서버(30)에 자가정비 대행서비스를 요청한다. 이러한 자가정비 대행서비스는 자동차 관리법 시행규칙 132조의 자동차 정비업 제외 사항에서 규정하고 있는 정비 서비스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정비 서비스는 오일 교환 및 보충과, 에어클리너, 필터류, 배터리, 전기배선 및 전구의 교환과, 냉각장치, 타이어, 차내 설비 및 차체의 점검 및 정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제한된 정비 서비스만 대상으로 함으로써, 서비스 제공자가 이동 출장 서비스를 합법적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단계 100에서의 자가정비 대행서비스 요청은 실시간 서비스로 요청할 수도 있고 예약 서비스로 요청할 수도 있다.
예약 서비스의 경우, 서비스 이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서비스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이하에서 설명하는 도 2의 단계 200~600이 예약된 시점을 기준으로 실행되고, 예약된 시점이 도래하면 자가정비 대행서비스가 제공된다 (즉, 도 2의 단계 700이 실행).
즉, 예약 서비스는 사용자의 스케쥴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위치와 시간을 서비스 이용자가 입력하면, 이에 따라 서비스 제공자와 예약 위치 및 장소가 결정되고, 예약된 시점에 예약된 위치에서 서비스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단계 100에서의 자가정비 대행서비스 요청을 위해서, 서비스 이용자는 이용자 단말(100)에 서비스 받을 위치정보(주소), 차량정보(차종, 제조사, 연식 등), 서비스정보(정비항목, 부품명 등)를 사전에 제공해야 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 서비스의 결제방법도 사전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단계 100에서, 다수의 서비스 이용자들이 각각의 이용자 단말(10)을 통해 공동으로 자가정비 대행서비스를 요청할 수도 있다.
즉, 공동 구매와 같이 다수의 서비스 이용자들이 그룹을 형성하여 하나의 서비스 제공자에게 공동으로 정비를 요청할 수 있게 함으로써, 서비스 비용을 낮추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공동 자가정비 대행서비스는 주로 동일 지역 내에 거주하는 다수의 고객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SNS에 의한 대화 채널을 이용하여 성립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 검색단계(S200)는 관리 서버(30)가, 이용자 단말(10)과 제공자 단말(20)의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 제공자를 검색한다.
이를 위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용자 단말(10)과 제공자 단말(20)은 관리 서버(30)에 실시간으로 위치정보를 제공한다. 관리 서버(30)는 검색된 서비스 제공자의 제공자 단말(20)에 서비스 이용자의 자가정비 대행서비스 요청 내역을 전달한다.
자가정비 대행서비스 견적 및 소요시간 제공단계(S300)는 상기한 자가정비 대행서비스 요청 내역과 이용자 단말(10)의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자 단말(20)을 통해 관리 서버(30)에 자가정비 대행서비스에 대한 견적, 이동 및 소요 시간을 송신하고, 관리 서버(30)가, 상기한 견적, 이동 및 소요 시간을 이용자 단말(10)에 전달한다.
이때, 관리 서버(30)는 상기 자가정비 대행서비스 요청단계(S100)에서 이루어지는 회원 가입시 발생한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이용자 단말(10)측에 문자 메세지, 어플리케이션 알람 서비스, 이메일 등으로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자가정비 대행서비스에 대한 견적 및 소요 시간은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자 단말(20)을 통해 입력하고, 자가정비 대행서비스에 대한 이동 시간은 이용자 단말(10)의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제공자 단말(20)이 자동으로 계산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공자 단말(20) 내에 설치된 프로그램이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동시간을 자동으로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S300에서의 견적 정보 제공은 역경매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용자 혹은 관리 서버 운영자가 특정 서비스에 대한 기준 가격을 제시하고, 서비스 제공자가 할인 가능한 가격을 제시하는 역경매 방식으로 서비스 가격을 결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역경매 방식을 통하여 관리 서버(30)에서 제시한 기준 가격과, 다수의 서비스 제공자가 제시하는 다양한 할인 가격을 동시에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이용자가 특정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하여 이용자 단말(10)을 통해 가장 낮은 가격으로 구성된 서비스 제공자를 검색하여 자가 정비 대행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을 것이다.
서비스 제공자 선택단계(S400)는 상기 S300 단계를 통해 제공된 서비스 이용 견적 및 소요 시간 정보를 바탕으로 서비스 이용자가 상기한 견적, 이동 및 소요 시간에 근거하여 서비스를 실시할 서비스 제공자를 선택한다.
이때, 이용자 단말(10)은 현재 서비스 이용자가 위치한 지역으로부터 가장 인접한 위치에 있는 서비스 제공자를 검색할 수 있으며, 검색된 서비스 제공자의 거래 등급, 신용 등급, 소비자 평가 등과 같은 서비스 제공자 판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관리 서버(30)로부터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아 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보다 안전한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어서, 이용자 단말(10)을 통해 선택한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정보를 관리 서버(30)에 통지하고, 관리 서버(30)는 통지된 서비스 제공자의 제공자 단말(20)측으로 전달하여 이용자 단말(10)과 제공자 단말(20) 간의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자가정비 대행서비스 이용단계(S500)는 관리 서버(30)는 이용자 단말(10)에 의해 선택된 서비스 제공자의 제공자 단말(20)에 자가 정비 대행서비스 제공을 요청하여 자가정비 대행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계이다.
이때, 서비스 이용자와 서비스 제공자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관리 서버(30)는 이용자 단말(10)과 제공자 단말(20)이 서로 대화할 수 있는 통신 채널을 설정해 줄 수 있다. 이러한 통신 채널은 통신사의 SMS나 카카오톡과 같은 기존의 채널을 이용하여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관리 서버(30)는 이용자 단말(10)과 제공자 단말(20)측으로 자가 정비 대행서비스를 통해 이전에 자가 정비가 이루어진 정비 이력을 함께 전송함으로써, 불필요한 자가 정비가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정밀하고 신속한 자가 정비 대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자가정비 대행서비스 이용단계(S500)에서는 이용자 단말(10)측으로 예약 혹은 지정된 서비스 제공 시점이 도래하기 전에, 서비스 제공자의 도착 시점 등을 미리 알려줌으로써, 이용자가 서비스를 제공에 대해 여유를 갖고 준비할 수 있도록 제공자 단말(20)이 이용자 단말(10)에 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아울러, 제공자 단말(20)은 이용자 단말(10)측으로 현재 제공자 단말(2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자가정비 대행서비스 이용단계(S500)에서는 자가정비 대행서비스의 서비스 제공이 완료되면, 서비스 제공자는 제공자 단말(20)을 통해 관리 서버(30)에 서비스 완료 내역을 통지하는 자가정비 대행서비스의 서비스 제공 완료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정비 이력 생성단계(S600)는 상기 자가정비 대행서비스 이용단계(S500)가 완료 후, 관리 서버(30)가 상기 서비스 완료 내역에 근거하여 서비스 이용자의 자동차의 정비 이력을 생성하는 단계이다.
이와 같이 정비 이력을 생성하여, 관리 서버(30)는 이용자 단말(10)에 주기적으로 정비 알림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즉, 오일 교환 시기 등이 도래하면 서비스 이용자에게 미리 푸시 알림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평가순위 생성단계(S700)는 서비스 이용자가 제공받은 서비스에 대한 평가를 이용자 단말(10)을 이용하여 관리 서버(30)에 통지하고, 관리 서버(30)가 상기 평가 결과에 근거하여 서비스 제공자의 평가 순위를 결정하여 이용자 단말(10)에 통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제공자에게도 평가 순위를 통지하여, 서비스 향상에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평가 순위를 결정하는 경우, 상기 S400에서는 서비스 이용자는 상기 견적, 이동 및 소요 시간에 더하여, 상기 결정된 평가 순위에 근거하여 서비스를 실시할 서비스 제공자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평가순위 생성단계(S700)는 관리 서버(30)를 통해 상기 S300을 통해 송신된 상기 견적, 이동 및 소요 시간과, 상기 결정된 평가 순위에 각각 가중치를 부여하여 추천 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추천 순위를 이용자 단말(10)에 추가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이용자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선택단계(S400)에서 이용자 단말(10)을 통해 상기 추천 순위에 근거하여 서비스를 실시할 서비스 제공자를 서비스 이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비용 결제단계(S800)는 평가순위 생성이 완료되면, 자가정비 대행서비스를 이용에 대한 비용을 결제하는 단계로서, 카드결제, 현금결제, 모바일 결제 등 다양한 결제 방식에 의해 진행될 수 있다.
즉, 서비스 비용 결제 단계에서는 현장 결제뿐만 아니라 모바일 결제 수단, 계좌 이체 등의 공지된 결제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세금 계산서 발행 기능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결제 과정은 예약과 동시에 실행되도록 할 수도 있고, 서비스 제공 후에 실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 비용 결제단계(S800)는 상기 S500 이후, 제공된 서비스 비용에 대한 결제 과정이 실행될 수도 있다.
상기 설명한 단계 100~800은 선후 관계가 필요한 단계를 제외하고는 반드시 순차적으로 실행될 필요는 없으며, 경우에 따라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동시에 실행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정비 대행서비스 방법은 상기한 자동차 관리법에 규정된 항목 이외의 전문적인 정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전문정비업소를 연결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자체 포인트 적립, 할인 쿠폰 제공, 예약 스케줄링 기능, 카드 마일리지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서비스 받을 차량의 보험 가입 현황 정보에 근거하여, 긴급 출동 서비스 대행과 보험 만기 알림 및 보험 견적 제공 서비스를 부가시킬 수도 있다. 또한, 소셜커머스를 통한 출장 자가정비 대행 판매 서비스, 건물이나 공영주차장의 정기주차 차량 공동구매 출장 할인 시공 서비스, 대형 쇼핑몰이나 집단 판매시설의 주차장에서 자가 정비 대행 서비스, 쇼핑시간 동안의 오일교환 서비스, 공항이나 호텔의 등 주차대행 서비스와 연계한 서비스, 대단위 아파트 단지의 순회 자가 정비 대행서비스, 장기 렌터카 자가 정비 위탁관리 서비스 등으로 서비스를 확장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상이한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정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이용자 단말 20: 제공자 단말
30: 관리 서버 40: 네트워크

Claims (12)

  1. 서로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이용자 단말, 제공자 단말 및 관리 서버를 이용하여 자동차 자가정비 대행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서비스 이용자가 이용자 단말을 통해 관리 서버에 자가정비 대행서비스를 요청하거나, 다수의 서비스 이용자들이 각각의 이용자 단말을 통해 공동으로 자가정비 대행서비스를 요청이 가능하며, 자가정비 대행서비스 요청시, 실시간 서비스 또는 예약 서비스로 요청할 수 있고, 예약 서비스를 요청한 경우, 예약된 시점을 기준으로 하기 단계 (b)~(f)가 실행되고, 예약된 시점이 도래하면 하기 단계 (g)를 실행하는 단계;
    (b) 관리 서버가, 이용자 단말과 제공자 단말의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서비스 제공자를 검색하고, 검색된 서비스 제공자의 제공자 단말에 서비스 이용자의 정비 서비스 요청 내역을 전달하는 단계;
    (c) 상기 자가정비 대행서비스 요청 내역과 상기 이용자 단말의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자 단말을 통해 관리 서버에 정비 서비스에 대한 견적, 이동 및 소요 시간을 송신하고, 상기 견적에 대한 정보 제공은 역경매 방식을 통하여 관리 서버에서 제시한 기준 가격과, 다수의 서비스 제공자가 제시하는 다양한 할인 가격을 동시에 제공하는 단계;
    (d) 관리 서버가, 상기 견적, 이동 및 소요 시간을 이용자 단말에 전달하는 단계;
    (e) 서비스 이용자가 상기 견적, 이동 및 소요 시간에 근거하여 서비스를 실시할 서비스 제공자를 선택하고, 이를 이용자 단말을 통해 관리 서버에 통지하는 단계;
    (f) 관리 서버가 상기 선택된 서비스 제공자의 제공자 단말에 서비스 제공을 요청하는 단계;
    (g) 서비스 제공자가 서비스 이용자의 위치로 이동하여 자가정비 대행서비스를 제공한 후, 제공자 단말을 통해 관리 서버에 서비스 완료 내역을 통지하는 단계;
    (h)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서비스 완료 내역에 근거하여 서비스 이용자의 자동차의 정비 이력을 생성하는 단계;
    (i) 상기 서비스 이용자가 제공받은 서비스에 대한 평가를 이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관리 서버에 통지하고,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평가 결과에 근거하여 서비스 제공자의 평가 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추천 순위를 이용자 단말에 통지하는 단계;
    (j) 모바일 결제 수단 혹은 현장 결제를 이용하여 제공된 자가정비 대행서비스의 비용에 대한 결제를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자동차 자가정비 대행서비스 제공 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정비 서비스에 대한 견적 및 소요 시간은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자 단말을 통해 입력하고, 상기 정비 서비스에 대한 이동 시간은 상기 이용자 단말의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제공자 단말이 자동으로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자동차 자가정비 대행서비스 제공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비 서비스는 오일 교환 및 보충과, 에어클리너, 필터류, 배터리, 전기배선 및 전구의 교환과, 냉각장치, 타이어, 차내 설비 및 차체의 점검 및 정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자동차 자가정비 대행서비스 제공 방법.
  5. 삭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자동차의 정비 이력에 근거하여, 이용자 단말에 주기적으로 정비 알림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자동차 자가정비 대행서비스 제공 방법.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e)에서,
    서비스 이용자는 상기 견적, 이동 및 소요 시간에 더하여, 결정된 평가 순위에 근거하여 서비스를 실시할 서비스 제공자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자동차 자가정비 대행서비스 제공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
    관리 서버는 상기 견적, 이동 및 소요 시간, 결정된 평가 순위에 각각 가중치를 부여하여 추천 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추천 순위를 이용자 단말에 추가로 전달하고,
    상기 단계 (e)에서, 서비스 이용자는 상기 추천 순위에 근거하여 서비스를 실시할 서비스 제공자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자동차 자가정비 대행서비스 제공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50132658A 2015-09-18 2015-09-18 위치기반 자동차 자가정비 대행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01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2658A KR101701406B1 (ko) 2015-09-18 2015-09-18 위치기반 자동차 자가정비 대행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2658A KR101701406B1 (ko) 2015-09-18 2015-09-18 위치기반 자동차 자가정비 대행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1406B1 true KR101701406B1 (ko) 2017-02-01

Family

ID=58109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2658A KR101701406B1 (ko) 2015-09-18 2015-09-18 위치기반 자동차 자가정비 대행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1406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69577A (zh) * 2017-04-27 2017-09-15 广东立升科技有限公司 一种发布维修需求的方法及装置
KR20190048332A (ko) * 2017-10-31 2019-05-09 강형곤 고객 및 정비사 간 중개 기반 차량 정비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00031842A (ko) 2018-09-17 2020-03-25 배선구 차량 정비 예약 시스템 및 방법
KR102095042B1 (ko) * 2019-06-20 2020-03-30 주식회사 세모견 상품 거래 중개 서버
KR102116324B1 (ko) * 2019-07-03 2020-05-28 라종일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이를 포함하는 차량번호 기반 차량이력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고객 서비스 제공방법
KR20210009718A (ko) * 2019-07-17 2021-01-27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타어어 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타이어 관련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10126229A (ko) * 2020-04-10 2021-10-20 주식회사 다돌 출장 세차 중개장치 및 그의 중개방법
KR102348531B1 (ko) * 2020-10-20 2022-01-07 김선호 차량 정비 시스템
CN114140186A (zh) * 2021-10-22 2022-03-04 深圳市元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车用商城信息展示方法及相关设备
KR20220082608A (ko) * 2020-12-10 2022-06-17 이무비 자전거 픽업수리 시스템
KR20220102256A (ko) * 2021-01-13 2022-07-20 권봉길 출장 세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25463A (ko) 2021-03-05 2022-09-14 윤재현 자동차 매니지먼트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13973A (ko) 2021-07-20 2023-01-27 카라이모빌리티 주식회사 차량 정비 및 점검 대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플랫폼
WO2023177116A1 (ko) * 2022-03-16 2023-09-21 ㈜넵튠클라우드 대화형 벙커 트레이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벙커 트레이딩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9599A (ko) * 2001-02-27 2002-09-05 김성희 온라인-오프라인을 연계한 자동차 관리 서비스 시스템과자동차 관리 방법
JP2004302506A (ja) * 2003-03-28 2004-10-28 Honda Motor Co Ltd 修理依頼受付システムおよび修理依頼受付プログラム
KR20060016147A (ko) 2004-08-17 2006-02-22 안희진 차량 정비(용품 장착 포함, 이하 생략)에 관한 온라인 자가 견적 및 역경매 서비스와 온라인 차계부의 수리이력 통합 자동 전송 서비스 및 수리비 검증 서비스
KR20130044928A (ko) 2011-10-25 2013-05-03 고재현 차량의 진단, 정비 중계 시스템 및 방법
KR101349935B1 (ko) * 2013-03-08 2014-02-06 윤성환 자동차 정비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40070933A (ko) * 2012-11-30 2014-06-11 권복민 차량 수리비용 비교견적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9599A (ko) * 2001-02-27 2002-09-05 김성희 온라인-오프라인을 연계한 자동차 관리 서비스 시스템과자동차 관리 방법
JP2004302506A (ja) * 2003-03-28 2004-10-28 Honda Motor Co Ltd 修理依頼受付システムおよび修理依頼受付プログラム
KR20060016147A (ko) 2004-08-17 2006-02-22 안희진 차량 정비(용품 장착 포함, 이하 생략)에 관한 온라인 자가 견적 및 역경매 서비스와 온라인 차계부의 수리이력 통합 자동 전송 서비스 및 수리비 검증 서비스
KR20130044928A (ko) 2011-10-25 2013-05-03 고재현 차량의 진단, 정비 중계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70933A (ko) * 2012-11-30 2014-06-11 권복민 차량 수리비용 비교견적 방법
KR101349935B1 (ko) * 2013-03-08 2014-02-06 윤성환 자동차 정비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69577A (zh) * 2017-04-27 2017-09-15 广东立升科技有限公司 一种发布维修需求的方法及装置
KR20190048332A (ko) * 2017-10-31 2019-05-09 강형곤 고객 및 정비사 간 중개 기반 차량 정비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979365B1 (ko) * 2017-10-31 2019-05-16 강형곤 고객 및 정비사 간 중개 기반 차량 정비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00031842A (ko) 2018-09-17 2020-03-25 배선구 차량 정비 예약 시스템 및 방법
KR102095042B1 (ko) * 2019-06-20 2020-03-30 주식회사 세모견 상품 거래 중개 서버
KR102116324B1 (ko) * 2019-07-03 2020-05-28 라종일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이를 포함하는 차량번호 기반 차량이력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고객 서비스 제공방법
WO2021002613A1 (ko) * 2019-07-03 2021-01-07 라종일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이를 포함하는 차량번호 기반 차량이력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고객 서비스 제공방법
KR20210009718A (ko) * 2019-07-17 2021-01-27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타어어 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타이어 관련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232826B1 (ko) * 2019-07-17 2021-03-26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타어어 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타이어 관련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320330B1 (ko) * 2020-04-10 2021-11-02 주식회사 다돌 출장 세차 중개장치 및 그의 중개방법
KR20210126229A (ko) * 2020-04-10 2021-10-20 주식회사 다돌 출장 세차 중개장치 및 그의 중개방법
KR102348531B1 (ko) * 2020-10-20 2022-01-07 김선호 차량 정비 시스템
KR20220082608A (ko) * 2020-12-10 2022-06-17 이무비 자전거 픽업수리 시스템
KR102457871B1 (ko) 2020-12-10 2022-10-25 이무비 자전거 픽업수리 시스템
KR20220102256A (ko) * 2021-01-13 2022-07-20 권봉길 출장 세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571006B1 (ko) 2021-01-13 2023-08-25 권봉길 출장 세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25463A (ko) 2021-03-05 2022-09-14 윤재현 자동차 매니지먼트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13973A (ko) 2021-07-20 2023-01-27 카라이모빌리티 주식회사 차량 정비 및 점검 대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플랫폼
CN114140186A (zh) * 2021-10-22 2022-03-04 深圳市元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车用商城信息展示方法及相关设备
WO2023177116A1 (ko) * 2022-03-16 2023-09-21 ㈜넵튠클라우드 대화형 벙커 트레이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벙커 트레이딩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1406B1 (ko) 위치기반 자동차 자가정비 대행서비스 제공 방법
US1142710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ic electric vehicle identification and charging via wireless charging pads
US981538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ic electric vehicle identification and charging via wireless charging pads
US1159993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n-demand delivery
US20110022427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d Reserving Available Parking
EP1271368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advertisement rates
US10628835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acquisition and deliver of goods
US20140040043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Acquisition and Delivery of Goods
KR20120024135A (ko) 스마트폰의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대리운전 시스템 및 그의 운영방법
US20210209635A1 (en) Real Time Discount Marketplace
WO2001039053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an interactive incentive rewards program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KR20190130299A (ko) O2o 기반의 점포 경영 및 마케팅 방법
JP2018092630A (ja) 車両整備情報管理システム、車両整備情報管理システムの制御方法、車両整備情報管理システム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2425961B1 (ko) 차량 정비 서비스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서비스 제공 방법
GB2614337A (en) A method for booking an electrical vehicle charging station and a method of managing electrical vehicle battery charging at a commercial parking location
JP2003168195A (ja) 配車サービス方法、配車サービスシステム、配車サービス装置、利用者用端末装置、事業者用端末装置、事業者用車載機
US112384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acquisition and delivery of goods
JP2002032629A (ja) 移動端末を利用した取引方法及び装置、システム並びに記録媒体
KR20200140157A (ko) 렌트카 사업자 기반 자동차 운행 공유 서비스 방법
KR20140117768A (ko) 모바일 차계부 서비스 시스템
KR20130131547A (ko) 고유번호를 이용한 대리운전 운용시스템 및 그의 운용방법
JP7459432B2 (ja) 個人間カーシェア支援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2000510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multiple device communication system
KR101837595B1 (ko) 복합몰 예약 가능한 차량용 avn 장치 및 방법
WO2023079284A1 (en) A method for booking an electrical vehicle charging station and a method of managing electrical vehicle battery charging at a commercial parking lo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