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0189B1 - 차량 부품 공급 및 보험 처리를 위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서버 - Google Patents

차량 부품 공급 및 보험 처리를 위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0189B1
KR101950189B1 KR1020180088911A KR20180088911A KR101950189B1 KR 101950189 B1 KR101950189 B1 KR 101950189B1 KR 1020180088911 A KR1020180088911 A KR 1020180088911A KR 20180088911 A KR20180088911 A KR 20180088911A KR 101950189 B1 KR101950189 B1 KR 101950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rance
vehicle
industrial
terminal
on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8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명찬
조윤아
송민주
한권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텍상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텍상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텍상사
Priority to KR1020180088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01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0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0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부품 공급 및 보험 처리를 위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서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업사에 차량 부품을 공급하고 공업사로부터 보험처리시 보험사에는 보험 대금 안내 및 계약 체결 과정을 제공하여 성공적인 자동차 수리 및 작업을 위한 대금 지급이 최적화되어 지급되도록 하기 위한 차량 부품 공급 및 보험 처리를 위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서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부품 공급 및 보험 처리를 위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서버{Total management system of vehicle part for vehicle part supply and insurance processing, and total vehicle parts management server for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 부품 공급 및 보험 처리를 위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서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업사에 차량 부품을 공급하고 공업사로부터 보험처리시 보험사에는 보험 대금 안내 및 계약 체결 과정을 제공하여 성공적인 자동차 수리 및 작업을 위한 대금 지급이 최적화되어 지급되도록 하기 위한 차량 부품 공급 및 보험 처리를 위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서버에 관한 것이다.
차량 사고 발생시 차량 운전자 본인이 직접 보험사, 경찰서, 지인 등에게 연락을 취하여, 발생한 사고를 해결한다.
그러나 사고 발생에 따른 손해액 산정에 있어서 보험사와 공업사 간의 이견이 자주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이견을 해결하기 위해 차량 소유주에 대한 보험금 지급 청구가 늦어지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1-0066129호 "유무선 쌍방향 매체에 의한 보험사 전손차량 잔존물 가치평가 및 전손차량 경매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업사에 차량 부품을 공급하고 공업사로부터 보험처리시 보험사에는 보험 대금 안내 및 계약 체결 과정을 제공하여 성공적인 자동차 수리 및 작업을 위한 대금 지급이 최적화되어 지급되도록 하기 위한 차량 부품 공급 및 보험 처리를 위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서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비효율적인 공임을 청구하는 공업사를 회피하여 효율적인 공업사를 선택할 뿐만 아니라, 정당한 보험금 청구에 대해서 지급을 미루거나 미지급하는 보험사에 대해서도 차량 소유주에 의해 기피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불공정한 행위를 지양하도록 하기 위한 차량 부품 공급 및 보험 처리를 위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서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비규격화된 차량 수리 부품에 대해서도 효율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차량 부품 공급 및 보험 처리를 위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서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부품 공급 및 보험 처리를 위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은, 차량 소유주 단말(100), 네트워크(200),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서버(300), 토탈 차량 부품 관리자 단말(300a),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업사 단말(400)로 이루어진 공업사 단말 그룹(400g),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험사 서버(500)로 이루어진 보험사 서버 그룹(500g)을 포함하는 차량 부품 공급 및 보험 처리를 위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1)에 있어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서버(300)는, 공업사 단말 그룹(400g)을 이루는 각 공업사 단말(400)에 공급한 차량 수리 부품, 방청·방음 부품에 대한 청구서 관리 및 판매, 부품대금 청구서 작성, 청구금액 한도 설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하되, 청구서 관리 및 판매의 경우, 각 공업사 단말(40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차량 수리 부품, 방청·방음 부품 요청을 위한 차량번호, 인수번호, 보험접수번호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온라인 차량 부품 견적서를 수신한 뒤, 데이터베이스(330)에 각 공업사 단말(400)의 식별번호와 함께 차량 부품 견적서를 저장시, 차량 부품 견적서에의 대금으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차량 수린 부품 및 방청·방음 부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된 부품 단가에, 공임이 포함된 것을 수신하며, 온라인 차량 부품 견적서에 보험접수번호가 있는 경우, 제 1 차 온라인 보험 청구서를 작성하여 보험접수번호에 해당하는 보험사 서버(500)로 개별 내역을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며, 각 보험사 서버(500)의 식별번호 별 또는 각 공업사 단말(400) 별 제 1 차 온라인 보험 청구서에 대한 청구서 작성 현황을 관리하고, 미리 설정된 기간(연도별, 월별, 일별) 작성된 온라인 차량 부품 견적서 또는 제 1 차 온라인 보험 청구서에 대한 견적 비용 및 보험 청구 비용에 대한 집계를 수행하여 각 보험사 서버(500) 및 각 공업사 단말(400)에 대한 인증을 통해 열람에 제공하도록 하며, 공업사 단말(400)에 의한 차량번호, 인수번호, 보험접수번호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온라인 차량 부품 견적서를 수신하여, 제 1 차 온라인 보험 청구서를 보험사 서버(500)로 제공한 뒤, 보험사 서버(500)에 의한 온라인 차량 부품 견적서의 부품 대금에 대한 이의 신청을 받는 경우, 온라인 차량 부품 견적서를 제공한 공업사 단말(400)에 대한 위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에서 추출한 뒤, 인접한 공업사 단말(400)의 식별번호를 추출한 뒤, 차량 소유주 단말(100)에게 추출된 공업사 단말(400)의 식별번호를 제공하여 차량 소유주 단말(100)에 의해 자신의 차량에 대한 차량 수리 또는 방청·방음 처리를 위한 다른 공업사로의 이관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며, 이의 신청에 따른 감액 사유를 정리하여, 각 공업사 단말(400), 각 보험사 서버(500), 차량 소유주 단말(100)에 각각 제공하여 열람할 수 있도록 하며, 추출된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인접한 공업사 단말(400)에 대한 이전 공업사 단말(400)로부터 수신된 온라인 차량 부품 견적서, 그리고 이의 신청 내역을 제공한 뒤, 제공된 정보에 응답하여 조정된 대금으로 온라인 차량 부품 견적서를 제공한 인접한 공업사 단말(400)에 대한 식별번호만 차량 소유주 단말(100)에게 네트워크(200)를 통해 제공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는 청구서 관리 모듈(321); 및 보험금 지급에 대한 관리, 지급 이력 관리, 담당자별 미지급건 통계, 담당자별 감액 사유 입력 요청, 입금 현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관리를 수행하는 입금 관리 모듈(32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입금 관리 모듈(322)은, 제 1 차 온라인 보험 청구서를 제공한 공업사 단말(400)의 식별번호, 그리고 제 2 차 내지 제 n 차(n은 3 이상의 자연수) 온라인 보험 청구서를 제공한 공업사 단말(400)의 식별번호의 변경 과정, 그리고 각 차수에 따른 온라인 보험 청구서에 따른 보험사 서버(500)에 의한 수락 및 이의 신청에 대한 이력을 하나의 차량 부품 청구 단위로 하여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부품 공급 및 보험 처리를 위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서버는, 공업사에 차량 부품을 공급하고 공업사로부터 보험처리시 보험사에는 보험 대금 안내 및 계약 체결 과정을 제공하여 성공적인 자동차 수리 및 작업을 위한 대금 지급이 최적화되어 지급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부품 공급 및 보험 처리를 위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서버는, 비효율적인 공임을 청구하는 공업사를 회피하여 효율적인 공업사를 선택할 뿐만 아니라, 정당한 보험금 청구에 대해서 지급을 미루거나 미지급하는 보험사에 대해서도 차량 소유주에 의해 기피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불공정한 행위를 지양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부품 공급 및 보험 처리를 위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서버는, 비규격화된 차량 수리 부품에 대해서도 효율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부품 공급 및 보험 처리를 위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 부품 공급 및 보험 처리를 위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1) 중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서버(3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부품 공급 및 보험 처리를 위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1) 상에서 공업사 수리 명세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부품 공급 및 보험 처리를 위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1) 상에서 공업사 수리서 전송 내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부품 공급 및 보험 처리를 위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1) 상에서 공업사 견적서 작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부품 공급 및 보험 처리를 위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1) 상에서 공업사 견적서 내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부품 공급 및 보험 처리를 위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1) 상에서 공업사 보상 담당자 관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부품 공급 및 보험 처리를 위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1) 상에서 보험사 청구서 접수현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부품 공급 및 보험 처리를 위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1) 상에서 보험사 감액사유 입력 요청 현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부품 공급 및 보험 처리를 위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1) 상에서 보험사 보상 담당자 관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부품 공급 및 보험 처리를 위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부품 공급 및 보험 처리를 위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 부품 공급 및 보험 처리를 위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1)은 차량 소유주 단말(100), 네트워크(200),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서버(300), 토탈 차량 부품 관리자 단말(300a),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업사 단말(400)로 이루어진 공업사 단말 그룹(400g),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험사 서버(500)로 이루어진 보험사 서버 그룹(500g)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소유주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서버(300)로 액세스(access)하여 본인 인증을 거쳐, 차량번호, 인수번호, 보험접수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 자신의 차량에 대한 차량 수리, 방청, 방음 작업에 대한 처리 진행 사항을 조회할 수 있다.
네트워크(200)는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200)가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네트워크(200)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그 밖의 5G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200)는 차량 소유주 단말(100),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서버(300), 토탈 차량 부품 관리자 단말(300a),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업사 단말(400)로 이루어진 공업사 단말 그룹(400g),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험사 서버(500)로 이루어진 보험사 서버 그룹(500g), 그 밖의 시스템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서버(300)는 공업사 단말 그룹(400g)을 이루는 각 공업사 단말(400)에 공급한 차량 수리 부품, 방청·방음 부품에 대한 판매 및 관리를 수행하고, 보험사 서버 그룹(500g)을 이루는 각 보험사 서버(500)를 운용하는 보험사에서 요청된 견적에 대해서 비용 안내를 수행할 뿐만 아니라, 차량 소유주 단말(100)에 대한 차량의 처리 진행 사항을 안내하는 역할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방청·방음 부품은 카트리지실런트, 테이프형실런트, 스프레이실런트, 언더코팅제, 파워실런트, 멀티실런트, 알루미늄스프레이, 인너왁스, 패널접착제, 차음제, 멀티프로텍트코팅제 등과 같이 제공될 수 있으며, 차량 수리 부품은 방청 및 방음용 차량 부품을 제외하고, 차량 휀다, 차량 문, 본 네트, 썬루프, 싸이드 스커트 등과 같은 교체용 부품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방청 및 방음 부품"이란 용어에서 방청 및 방음은 하나의 예시로, 사고차량 패널 등의 교환·판금 시 방음, 방수, 방청, 방진 등의 원상회복을 위해 반드시 사용되어야 하는 필수 부품을 의미할 수 있다.
토탈 차량 부품 관리자 단말(300a)은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서버(300)를 운영하는 운영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네트워크(200)를 통해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서버(300)의 데이터베이스(330)에 액세스하여 처리 상황 조회,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서버(300)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되는 프로세스에 대한 수동 조처 등의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차량 부품 공급 및 보험 처리를 위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1) 중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서버(3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부품 공급 및 보험 처리를 위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1) 상에서 공업사 수리 명세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부품 공급 및 보험 처리를 위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1) 상에서 공업사 수리서 전송 내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부품 공급 및 보험 처리를 위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1) 상에서 공업사 견적서 작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부품 공급 및 보험 처리를 위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1) 상에서 공업사 견적서 내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부품 공급 및 보험 처리를 위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1) 상에서 공업사 보상 담당자 관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부품 공급 및 보험 처리를 위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1) 상에서 보험사 청구서 접수현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부품 공급 및 보험 처리를 위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1) 상에서 보험사 감액사유 입력 요청 현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부품 공급 및 보험 처리를 위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1) 상에서 보험사 보상 담당자 관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서버(300)는 송수신부(310), 제어부(320) 및 데이터베이스(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청구서 관리 모듈(321), 입금 관리 모듈(322), 판매 재고 관리 모듈(323), 부품/차량 관리 모듈(324), 계정 관리 모듈(325) 및 게시판 관리 모듈(326)을 포함할 수 있다.
청구서 관리 모듈(321)은 공업사 단말 그룹(400g)을 이루는 각 공업사 단말(400)에 공급한 차량 수리 부품, 방청·방음 부품에 대한 청구서 관리 및 판매, 부품대금 청구서 작성, 청구금액 한도 설정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 청구서 작성창의 ‘보험사 선택’에서 ‘중복검사’기능은 동일한 청구서를 중복 작성하는 것을 예방함으로써 불필요한 청구서를 작성하는 시간절약과 동 청구서의 팩스 전송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청구서 작성창의 ‘사용부품 선택’ 란에서 공급된 부품 중 실제 사용하는 부품을 선택하여 부품대금을 청구할 수 있다.
또한, 청구서 작성창의 ‘작업항목 선택’은 작업항목별로 사용될 수 있는 동일한 부품을 동일한 음영으로 표시함으로써 식별을 용이하게 하고, 작업항목별로 교환, 판금을 체크할 경우 그에 따른 사용부품란에 사용부품이 자동 체크됨으로써 사용부품의 내용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청구서 작성창 우측에 ‘ 매월말 기준 청구 대비 재고 현황’에 재고비율이 일정비율을 초과하는 부품만 표시되게 함으로써 주의를 환기시켜 적정한 재고 관리를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구서 관리 및 판매의 경우, 청구서 관리 모듈(321)은 각 공업사 단말(40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차량 수리 부품, 방청·방음 부품 요청을 위한 차량번호, 인수번호, 보험접수번호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온라인 차량 부품 견적서를 수신한 뒤, 데이터베이스(330)에 각 공업사 단말(400)의 식별번호와 함께 차량 부품 견적서를 도 4와 같은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부품 견적서에의 대금은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차량 수린 부품 및/또는 방청·방음 부품에 대한 고정된 단가에, 공임이 포함된 것일 수 있으며,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서버(300)는 사전에 각 공업사 단말(400)로부터 가맹을 가입 받아 생성된 공업사 단말 그룹(400g)에 대한 관리를 수행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온라인 차량 부품 견적서는 차량 수리 부품의 경우 도 5, 방청·방음 부품의 경우 도 3과 같을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해당하며 다양한 형태로 변경가능하다.
청구서 관리 모듈(321)은 온라인 차량 부품 견적서에 보험접수번호가 있는 경우, 제 1 차 온라인 보험 청구서를 작성하여 보험접수번호에 해당하는 보험사 서버(500)로 개별 내역을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청구서 관리 모듈(321)은 각 보험사 서버(500)의 식별번호 별 및/또는 각 공업사 단말(400) 별 제 1 차 온라인 보험 청구서에 대한 청구서 작성 현황을 관리하고, 미리 설정된 기간(연도별, 월별, 일별) 작성된 온라인 차량 부품 견적서 및/또는 제 1 차 온라인 보험 청구서에 대한 견적 비용 및 보험 청구 비용에 대한 집계를 수행하여 각 보험사 서버(500) 및 각 공업사 단말(400)에 대한 인증을 통해 열람에 제공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청구서 관리 모듈(321)은 실제로 공업사 단말(400)에 의한 차량번호, 인수번호, 보험접수번호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온라인 차량 부품 견적서를 수신하여, 제 1 차 온라인 보험 청구서를 보험사 서버(500)로 제공한 뒤, 보험사 서버(500)에 의한 온라인 차량 부품 견적서의 부품 대금에 대한 이의 신청을 받는 경우, 온라인 차량 부품 견적서를 제공한 공업사 단말(400)에 대한 위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에서 추출한 뒤, 인접한 공업사 단말(400)의 식별번호를 추출한 뒤, 차량 소유주 단말(100)에게 추출된 공업사 단말(400)의 식별번호를 제공함으로써, 차량 소유주 단말(100)에 의해 자신의 차량에 대한 차량 수리 또는 방청·방음 처리를 위한 다른 공업사로의 이관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청구서 관리 모듈(321)은 이의 신청에 따른 감액 사유를 도 9과 같이 정리하여, 각 공업사 단말(400), 각 보험사 서버(500), 차량 소유주 단말(100)에 각각 제공하여 열람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청구서 관리 모듈(321)은 추출된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인접한 공업사 단말(400)에 대한 이전 공업사 단말(400)로부터 수신된 온라인 차량 부품 견적서, 그리고 이의 신청 내역을 제공한 뒤, 제공된 정보에 응답하여 조정된 대금으로 온라인 차량 부품 견적서를 제공한 인접한 공업사 단말(400)에 대한 식별번호만 차량 소유주 단말(100)에게 네트워크(200)를 통해 제공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청구서 관리 모듈(321)은 대금 조정된 온라인 차량 부품 견적서를 토대로 제 2 차 온라인 보험 청구서를 생성하여 다시 보험사 서버(500)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청구서 관리 모듈(321)은 각 보험사 서버(500)로 전송한 제 1 내지 제 n 차 온라인 보험 청구서를 도 8과 같은 UI 화면으로 각 보험사 서버(500) 및 각 공업사 서버(400)로 제공하여 열람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보험사별 청구건수 현황에 있어서, 공업사의 보험사별 청구건수를 표시하 는 현황으로서 전체 건수 중 협력 보험사의 청구건수를 보고 보험사의 불공정거래행위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다른 보험사와 비교하여 협력 보험사의 청구건수가 많은데, 협력 보험사가 대금청구를 많이 못하게 하면 청구건수가 적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청구서 관리 모듈(321)은 각 공업사 단말(400)에 대해서 각 월(1월 내지 12월)별 온라인 보험 청구서 현황과, 보험사 서버(500)에 대한 보험 청구 건수 현황을 집계한 뒤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하여, 각 공업사 단말(400) 및 각 보험사 서버(500)에 의한 열람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청구서 관리 모듈(321)은 각 공업사 단말(400)에 의해 차량 수리 부품 및/또는 방청·방음 부품을 이용해 처리된 자동차 수리 부위에 대한 정보를 각 공업사 단말(400)로부터 수신한 뒤, 각 자동차 수리 부위로 분류된 대 카테고리와, 사용된 차량 수리 부품 및/또는 방청·방음 부품을 소 카테고리로 하는 n(대 카테고리)×m(소 카테고리) 셀 구조에 각 공업사 단말(400)의 식별번호를 기입한 뒤, 각 셀에서 가장 많이 수리한 공업사 단말(400)에 대한 식별번호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여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청구서 관리 모듈(321)은 각 셀에 대한 평균 대금 정보도 각 공업사 단말(400)에 대한 질의를 통해 수신하여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이렇게 저장된 차량 수리 부위 관련 셀 정보는 차량 소유주 단말(100), 공업사 단말(400), 보험사 서버(500)에 대해서 열람에 제공함으로써, 차량 소유주 단말(100)에 의한 공업사 검색, 공업사 단말(400)에 의한 경쟁 의식 고취, 보험사 서버(500)에 의한 보험금 청구서에 대한 이의 신청의 근거가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청구서 관리 모듈(321)은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차량 수리 부위 관련 셀 정보를 공업사별 수리부위 현황에 해당하는 일정 기간(연도별, 월별) 공업사별로 청구된 각 수리부위별 집계 현황, 공업사별로 청구된 차량 종류(소형·중형·대형 또는 세단·SUV·리무진 등)별 각 수리부위별 현황도 차량 소유주 단말(100), 공업사 단말(400), 보험사 서버(500)에 대해서 열람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공업사별 수리부위 현황은 방청제 사용작업부위를 표시하는 현황으로서 방청제 사용량이 많은 정비업체를 식별할 수 있고, 이를 참고하여 그 정비업체에게 추가적으로 공급되는 부품의 사용을 권유하는 등 효율적인 영업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청구서 관리 모듈(321)은 제 1 차 온라인 보험 청구서 및 제 2 차 온라인 보험 청구서 각각에 대한 대금에 대한 청구금액 한도를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차량 수리 부위 관련 셀 정보를 활용하여 생성한 뒤,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하고, 각 공업사 단말(400) 및 보험사 서버(500)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입금 관리 모듈(322)은 보험금 지급에 대한 관리, 지급 이력 관리, 담당자별 미지급건 통계, 담당자별 감액 사유 입력 요청, 입금 현황 등에 대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험금 지급에 대한 관리에 대해서 살펴보면, 보험사 서버(500)에서 각 공업사 단말(400)로 지급되는 보험금에 대한 출·입금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입금 관리 모듈(322)은 제 1 차 온라인 보험 청구서를 제공한 공업사 단말(400)의 식별번호, 그리고 제 2 차 내지 제 n 차(n은 3 이상의 자연수) 온라인 보험 청구서를 제공한 공업사 단말(400)의 식별번호의 변경 과정, 그리고 각 차수에 따른 온라인 보험 청구서에 따른 보험사 서버(500)에 의한 수락 및 이의 신청에 대한 이력을 하나의 차량 부품 청구 단위로 하여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즉, 입금 관리 모듈(322)은 하나의 차량 부품 청구 단위에 대해서 도 7과 같이 각 공업사 단말(400)의 보상 담당자에 대한 이력 UI 화면과, 도 10과 같이 각 보험사 서버(500)의 보상 담당자에 대한 이력 UI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입금 관리 모듈(322)은 각 공업사 단말(400)의 보상 담당자와 각 보험사 서버(500)의 보상 담당자에서 다른 부서의 보상 담당자로 이첩되는 경우 이력 관리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급 이력 관리에 대해서 살펴보면, 입금 관리 모듈(322)은 각 공업사 단말(400)의 보상 담당자와 각 보험사 서버(500)의 보상 담당자 별로 미지급된 보험금에 대한 통계를 내서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하여, 차량 소유주 단말(100), 공업사 단말(400), 보험사 서버(500)에 대해서 열람에 제공함으로써, 열람에 대한 수수료 지급 방식으로 차량 소유주 단말(100)에 의한 공업사 및 보험사 검색, 공업사 단말(400)에 의한 보험사 검색, 보험사 서버(500)에 의한 공업사 검색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담당자별 감액 사유 입력 요청건에 대해서 살펴보면, 입금 관리 모듈(322)은 제 1 내지 제 n 차 온라인 보험 청구서에 대해서 하나의 보험사 서버(500) 또는 보상 담당자로 이첩에 따른 둘 이상의 보험사 서버(500)의 보험 담당자에 의해 작성된 이의 신청 내역에 포함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감액 사유(과다 청구, 부품 번호 기재 오기 청구 등)를 각 공업사별, 상기 차량 수리 부위 관련 셀 정보의 각 셀 별로 통계를 작성하여 열람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금 현황에 대해서 살펴보면, 입금 관리 모듈(322)은 각 보험사 서버(500) 별 온라인 보험 청구서에 포함된 청구 대금에 따른 대금 지급 현황을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330)에 각 보험사 별로 저장하며, 각 공업사 단말(400) 별 온라인 차량 부품 견적서에 포함된 대금 청구에 따른 대금 입금 현황을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330)에 각 공업사별로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입금 관리 모듈(322)은 각 보험사별 대금 지급 현황과, 각 보험사별 대금 입급 현황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이 반복되는 보험사와 공업사를 추출한 뒤, 데이터베이스(330)에 게시하여 차량 소유주 단말(100)에게 열람에 제공함으로써, 차량 소유주 단말(100)이 자신의 보험사 정보를 확인하여 회피해야할 공업사 식별번호를 통해 차량 수리 시에 제 1 차 온라인 보험 청구서 내지 제 n 차 온라인 보험 청구서를 작성하지 않고 다른 공업사를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입금 관리 모듈(322)은 각 공업사별 월별 보험 청구 현황을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한 뒤, 열람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 입금 관리 모듈(322)은 이첩이력관리로 팩스로 보낸 청구서가 보상담당자에게 오발송 되었을 경우 뉴텍 및 보상담당자들이 본사모드 및 보험사모드를 통해 실제 담당자에게 이첩할 수 있고, 이첩 내용을 이첩 이력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입금 관리 모듈(322)은 담당자별 미지급건 통계에 있어서, 각 보상담당자별 미지급건을 내림차순으로 정렬하여 구현함으로써 미지급건 과다보유자를 쉽게 식별할 수 있고, 미지급건이 많은 담당자에게 우선하여 지급을 요청할 수 있도록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입금 관리 모듈(322)은 담당자별 감액사유 입력요청 통계에 있어서. 과다하게 감액하여 지급한 건을 감액률에 따라 내림차순으로 정렬하여 구현함으로써 과다 감액자를 쉽게 식별할 수 있고, 감액률이 높은 담당자에게 우선하여 그 사유를 파악할 수 있도록 관리할 수 있다.
판매 재고 관리 모듈(323)은 각 공업사 단말(400) 별로 제공한 차량 수리 부품, 방청·방음 부품에 대한 판매재고 관리로, 공업사별 입출고 관리, 공업사별 재고 현황, 공업사별 청구 대비 재고현황, 공업사별 재고 정산 현황, 재고정산 환경 설정에 관한 서비스를 공업사 단말(400)에 대해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판매 재고 관리 모듈(323)은 각 공업사 단말(400)에 대한 네트워크(200)를 통한 각 차량 수리 부품의 품목별 수량, 각 방청·방음 부품의 품목별 수량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된 수량 정보를 토대로 입출고 관리, 공업사별 재고 현황, 공업사별 재고 변동 현황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판매 재고 관리 모듈(323)은 각 공업사 단말(400)에 대한 상술한 청구서 관리 모듈(321)에 의해 생성되어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차량 수리 부위 관련 셀 정보를 활용하여 공업사별 수리부위 현황에 해당하는 일정 기간(연도별, 월별) 공업사별로 청구된 각 수리부위별 집계 현황, 공업사별로 청구된 차량 종류(소형·중형·대형 또는 세단·SUV·리무진 등)별 각 수리부위별 현황에 따라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에 공업사별 청구 대비 재고현황을 빅데이터 기반으로 예측하여, 부족할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추가 구매 요청을 각 공업사 단말(400)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공되는 빅데이터 기반 예측시, 판매 재고 관리 모듈(323)은 머신러닝 및 딥러닝 방식을 활용할 수 있다. 즉, 판매 재고 관리 모듈(323)은 데이터베이스(330)에 분산 저장된 수집 데이터에 해당하는 차량 수리 부위 관련 셀 정보의 각 셀 단위 정보를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통해 분석하고 추가 구매 요청 명령을 내릴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판매 재고 관리 모듈(323)에서 사용되는 머신러닝 알고리즘은 결정 트리(DT, Decision Tree) 분류 알고리즘, 랜덤 포레스트 분류 알고리즘, SVM(Support Vector Machine) 분류 알고리즘 중 하나일 수 있다.
판매 재고 관리 모듈(323)은 분산 저장된 수집 데이터를 분석하여 그 분석한 결과로 다수의 특징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 정보를 복수의 머신러닝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학습하여 학습한 결과로 이상 상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판매 재고 관리 모듈(323)은 추가 구매 결과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 다수의 상호 보완적인 머신러닝 알고리즘들로 구성된 앙상블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결정 트리 분류 알고리즘은 트리 구조로 학습하여 결과를 도출하는 방식으로 결과 해석 및 이해가 용이하고, 데이터 처리 속도가 빠르며 탐색 트리 기반으로 룰 도출이 가능할 수 있다. DT의 낮은 분류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RF를 적용할 수 있다. 랜덤 포레스트 분류 알고리즘은 다수의 DT를 앙상블로 학습한 결과를 도축하는 방식으로, DT보다 결과 이해가 어려우나 DT보다 결과 정확도가 높을 수 있다. DT 또는 RF 학습을 통해 발생 가능한 과적합의 개선 방안으로 SVM을 적용할 수 있다. SVM 분류 알고리즘은 서로 다른 분류에 속한 데이터를 평면 기반으로 분류하는 방식으로, 일반적으로 높은 정확도를 갖고, 구조적으로 과적합(overfitting)에 낮은 민감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판매 재고 관리 모듈(323)은 머신러닝 이후 정제된 데이터를 활용해 딥러닝 수행하는데, 여기서 딥러닝 방식은 추가 구매 결과를 분석하여 형성된 패턴 데이터별 반복 작업시 하나의 전체 프로세스에 소요되는 시간인 사이클 타임(Cycle time)과, 각 공정시간의 최대 시간인 택트 타임(Tact time)의 감소를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각 추가 구매 결과의 분석 파라미터에 대한 딥러닝 알고리즘 프로그램의 변환 및 적용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판매 재고 관리 모듈(323)은 현재의 재고와 추가 구매 결과를 각 공업사 단말(400)에게 제공한 뒤, 각 차량 수리 부품 및/또는 방청·방음 부품의 품목별 정기 배송을 위한 배송 날짜 지정, 그리고 재고 개수에 따른 자동 배송 발송 등을 위한 설정 환경 UI 정보, 그리고 자동 배송 예측에 따른 비용 정산시기, 그리고 각 배송에 따른 환불 금액, 미지급 금액 정산을 위한 기간 설정과 같은 설정 환경을 미리 설정된 기간 지정을 위한 설정 환경 UI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각 공업사 단말(400)에게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 판매 재고 관리 모듈(323)은 공업사별 청구 대비 재고 현황에 있어서, 공업사별로 청구 대비 재고 현황을 비교 구현함으로써 공급 대비 적정하게 청구되도록 유도하고, 실제 현장의 부품 재고는 작은데 시스템상 과다하게 재고가 많은 업체에 대해서는 청구 누락이나 비보험차량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부품/차량 관리 모듈(324)은 각 공업사 단말(400) 별로 제공된 차량 수리 부품, 방청·방음 부품, 그리고 각 차량 소유주 단말(100) 별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부품/차량 관리 모듈(324)은 각 공업사 단말(400)에게 제공된 차량 수리 부품, 방청·방음 부품에 대한 관리를 위한 부품 조견표(제품의 정보나 운임료, 가격 등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작성한 서식) 관리로, 각 부품에 대한 기준부품 조견표, 각 부품에 대해서 대체 가능 부품이 있는 경우 환산부품 조견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부품/차량 관리 모듈(324)은 각 차량 소유주 단말(100)의 식별번호에 대해서 지금까지 처리된 차량 수리 부품, 방청·방음 부품에 대한 이력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하여 제공할 수 있다.
계정 관리 모듈(325)은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서버(300) 및 토탈 차량 부품 관리자 단말(300a)을 운영하는 운영자 계정, 각 공업사 단말(400)의 공업사 계정, 각 보험사 서버(500)의 보험사 계정을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계정 관리 모듈(325)은 각 공업사 단말(400)의 공업사 계정 정보를 통해 공업사 보상 담당자 현황과 관리, 그리고 공업사 사용 부품 관리, 각 공업사에 해당하는 지역관리, 각 공업사별 구분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계정 관리 모듈(325)은 각 보험사 서버(500)의 보험사 계정 정보를 통해 보험사 관리로 보험사 관리(현임), 팀 관리(현임), 보험사 담당자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게시판 관리 모듈(326)은 청구서 관리 모듈(321)에 의해 생성된 각 보험사 서버(500)의 식별번호 별 및/또는 각 공업사 단말(400) 별 제 1 내지 제 n 차 온라인 보험 청구서에 대한 청구서 작성 현황, 미리 설정된 기간(연도별, 월별, 일별) 작성된 온라인 차량 부품 견적서 및/또는 제 1 내지 제 n 차 온라인 보험 청구서에 대한 견적 비용 및 보험 청구 비용에 대한 집계를 수행하여 각 보험사 서버(500) 및 각 공업사 단말(400)에 대한 인증 과정을 거쳐 온라인 게시판을 통해 열람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게시판 관리 모듈(326)은 청구서 관리 모듈(321)에 의해 생성된 각 공업사 단말(400)에 대해서 각 월(1월 내지 12월)별 온라인 보험 청구서 현황과, 보험사 서버(500)에 대한 보험 청구 건수 현황을 집계한 정보를 각 공업사 단말(400) 및 각 보험사 서버(500)에 대한 인증 과정을 거쳐 온라인 게시판을 통해 열람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게시판 관리 모듈(326)은 청구서 관리 모듈(321)에 의해 생성된 차량 수리 부위 관련 셀 정보를 차량 소유주 단말(100), 공업사 단말(400), 보험사 서버(500)에 대한 인증 과정을 거쳐 온라인 게시판을 통해 열람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게시판 관리 모듈(326)은 청구서 관리 모듈(321)에 의해 차량 수리 부위 관련 셀 정보를 활용하여 생성된 공업사별 수리부위 현황에 해당하는 일정 기간(연도별, 월별) 공업사별로 청구된 각 수리부위별 집계 현황, 공업사별로 청구된 차량 종류(소형·중형·대형 또는 세단·SUV·리무진 등)별 각 수리부위별 현황을 차량 소유주 단말(100), 공업사 단말(400), 보험사 서버(500)에 대한 인증 과정을 거쳐 온라인 게시판을 통해 열람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게시판 관리 모듈(326)은 입금 관리 모듈(322)에 의해 생성된 각 공업사 단말(400)의 보상 담당자와 각 보험사 서버(500)의 보상 담당자 별로 미지급된 보험금에 대한 통계 정보를 차량 소유주 단말(100), 공업사 단말(400), 보험사 서버(500)에 에 대한 인증 과정을 거쳐 온라인 게시판을 통해 열람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게시판 관리 모듈(326)은 입금 관리 모듈(322)에 의해 제 1 내지 제 n 차 온라인 보험 청구서에 대해서 하나의 보험사 서버(500) 또는 보상 담당자로 이첩에 따른 둘 이상의 보험사 서버(500)의 보험 담당자에 의해 작성된 이의 신청 내역에 포함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감액 사유(과다 청구, 부품 번호 기재 오기 청구 등)에 대해서 각 공업사별, 상기 차량 수리 부위 관련 셀 정보의 각 셀 별로 통계 작성이 완료되면, 차량 소유주 단말(100), 공업사 단말(400), 보험사 서버(500)에 대한 인증 과정을 거쳐 온라인 게시판을 통해 열람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게시판 관리 모듈(326)은 입금 관리 모듈(322)에 의해 각 보험사별 대금 지급 현황과, 각 보험사별 대금 입급 현황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이 반복되는 보험사와 공업사를 추출이 완료되면 차량 소유주 단말(100)에 대한 인증 과정을 거쳐 온라인 게시판을 통해 열람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게시판 관리 모듈(326)은 입금 관리 모듈(322)에 의해 각 공업사별 월별 보험 청구 현황 추출이 완료되면, 차량 소유주 단말(100), 공업사 단말(400), 보험사 서버(500)에 대한 인증 과정을 거쳐 온라인 게시판을 통해 열람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부품 공급 및 보험 처리를 위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차량 부품 공급 및 보험 처리를 위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1)은 도 1의 구성 요소 외에, 공장 설비 그룹(600g), 3차원 프린터 그룹(700g)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서버(300)는 차량 수리 부품 및/또는 방청·방음 부품, 특히 차량 수리 부품이 기성품이 아니고 새로운 규격을 갖는 신품에 대한 각 공업사 단말(400)에 의한 부품 공급 요청이 있는 경우, 주문 부품 요청에 포함된 공급처 고유번호에 해당하는 공급처에 해당하는 공장 설비(600)의 공장 디바이스(610)로 주문 부품 요청을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이후,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서버(300)는 공장 디바이스(610) 상에서 주문 부품 요청에 기존 부품의 시리얼 번호가 포함된 경우 시리얼 번호에 해당하는 3차원 설계 도면에 대해서 데이터베이스(330)에서 추출하거나, 주문 부품 요청에 기존 부품의 시리얼 번호가 아닌 새로운 규격 정보(2차원 또는 3차원 외관 형상 정보, 그리고 재질 정보, 전자 소자 설계 정보 포함)와 복수개로 저장된 기존 부품의 설계 도면을 대조하여 근접 범위에 있는 3차원 설계 도면(전력 계통 기기 본체 또는 전자 소자 모듈 각각 또는 전체)에 대한 추출이 완료되면, 추출된 3차원 설계 도면을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서버(300)는 추출된 3차원 설계 도면을 의뢰한 공업사 단말(400)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하여 의뢰한 공업사 단말(400) 상에서 설계 도면 매칭 여부 확인 과정과, 의뢰한 공업사 단말(400)의 위치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의뢰한 공업사 단말(400)은 GPS 수신장치를 통한 GPS 좌표 수신 또는 무선통신부를 통해 기지국 삼각측량법에 의한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서버(300)는 의뢰한 공업사 단말(400)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에 따라 3차원 프린터 그룹(700a) 중 가장 인접한 지역 기반 3차원 프린터(700)에 대한 지정 식별 ID를 데이터베이스(230) 상에서 추출하여 추출된 지역 기반 3차원 프린터(700)에 대한 지정 식별 ID를 의뢰한 공업사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서버(300)는 지정된 지역 기반 3차원 프린터(700)에 의한 차량 부품에 대한 출력 완료 메시지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하여 의뢰한 공업사 단말(400)로 전력 계통 기기 3차원 프린터 출력물에 대한 출력 완료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의뢰한 공업사 단말(400) 상에서 주문한 차량 부품(전력 계통 기기 본체도 별도 또는 함께 출력)에 대한 3차원 프린터 출력물 확인(만족 또는 불만족)이 입출력부를 통해 의뢰자에 의해 입력에 따라, 3차원 프린터 출력물에 대한 만족하는 경우,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서버(300)는 최종 주문 요청을 의뢰한 공업사 단말(40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하거나, 3차원 프린터 출력물에 대해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일부 변경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일부 변경 정보는 2차원 또는 3차원 외관 형상 이미지 정보이거나 3차원 프린터 출력물에 대한 구분 영역 명칭과 치수 정보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서버(300)는 의뢰한 공업사 단말(400)로부터 수신된 정보가 3차원 프린터 출력물에 대해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일부 변경인지를 분석한 뒤, 분석 결과 일부 변경이 아닌, 즉 3차원 프린터 출력물에 대해 만족하는 경우, 출력된 차량 부품에 대한 3차원 프린터 출력물에 대한 의뢰한 공업사 단말(400)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주문 수량 질의에 따라 반환된 주문 수량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제품 주문 요청에 포함된 공급처 고유번호에 해당하는 공장 디바이스(610)로 전송하도록 제어함으로써, 공장 디바이스(610)에서 주문 생산이 수행되도록 제어한 뒤, 주문 생산된 차량 부품을 의뢰한 공업사 단말(400)로 공급함으로써, 비규격이나 차량모델에 따라 조금 변경된 부품에 대해서도 효율적인 차량 부품에 대한 주문 및 생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 차량 부품 공급 및 보험 처리를 위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
100 : 차량 소유주 단말
200 : 네트워크
300 :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서버
310 : 수신부
320 : 제어부
321 : 청구서 관리 모듈
322 : 입금 관리 모듈
323 : 판매 재고 관리 모듈
324 : 부품/차량 관리 모듈
325 : 계정 관리 모듈
326 : 게시판 관리 모듈
330 : 데이터베이스
300a : 토탈 차량 부품 관리자 단말
400 : 공업사 단말
400g : 공업사 단말 그룹
500 : 보험사 서버
500g : 보험사 서버 그룹
600 : 공장 설비
600g : 공장 설비 그룹
700 : 3차원 프린터
700g : 3차원 프린터 그룹

Claims (2)

  1. 차량 소유주 단말(100), 네트워크(200),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서버(300), 토탈 차량 부품 관리자 단말(300a),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업사 단말(400)로 이루어진 공업사 단말 그룹(400g),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험사 서버(500)로 이루어진 보험사 서버 그룹(500g)을 포함하는 차량 부품 공급 및 보험 처리를 위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1)에 있어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서버(300)는,
    공업사 단말 그룹(400g)을 이루는 각 공업사 단말(400)에 공급한 차량 수리 부품, 방청·방음 부품에 대한 청구서 관리 및 판매, 부품대금 청구서 작성, 청구금액 한도 설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하되, 청구서 관리 및 판매의 경우, 각 공업사 단말(40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차량 수리 부품, 방청·방음 부품 요청을 위한 차량번호, 인수번호, 보험접수번호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온라인 차량 부품 견적서를 수신한 뒤, 데이터베이스(330)에 각 공업사 단말(400)의 식별번호와 함께 차량 부품 견적서를 저장하고, 온라인 차량 부품 견적서에 보험접수번호가 있는 경우, 제 1 차 온라인 보험 청구서를 작성하여 보험접수번호에 해당하는 보험사 서버(500)로 개별 내역을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며, 각 보험사 서버(500)의 식별번호 별 또는 각 공업사 단말(400) 별 제 1 차 온라인 보험 청구서에 대한 청구서 작성 현황을 관리하고, 미리 설정된 기간(연도별, 월별, 일별) 작성된 온라인 차량 부품 견적서 또는 제 1 차 온라인 보험 청구서에 대한 견적 비용 및 보험 청구 비용에 대한 집계를 수행하여 각 보험사 서버(500) 및 각 공업사 단말(400)에 대한 인증을 통해 열람에 제공하도록 하며, 공업사 단말(400)에 의한 차량번호, 인수번호, 보험접수번호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온라인 차량 부품 견적서를 수신하여, 제 1 차 온라인 보험 청구서를 보험사 서버(500)로 제공한 뒤, 보험사 서버(500)에 의한 온라인 차량 부품 견적서의 부품 대금에 대한 이의 신청을 받는 경우, 온라인 차량 부품 견적서를 제공한 공업사 단말(400)에 대한 위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에서 추출한 뒤, 인접한 공업사 단말(400)의 식별번호를 추출한 뒤, 차량 소유주 단말(100)에게 추출된 공업사 단말(400)의 식별번호를 제공하여 차량 소유주 단말(100)에 의해 자신의 차량에 대한 차량 수리 또는 방청·방음 처리를 위한 다른 공업사로의 이관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며, 이의 신청에 따른 감액 사유를 정리하여, 각 공업사 단말(400), 각 보험사 서버(500), 차량 소유주 단말(100)에 각각 제공하여 열람할 수 있도록 하며, 추출된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인접한 공업사 단말(400)에 대한 이전 공업사 단말(400)로부터 수신된 온라인 차량 부품 견적서, 그리고 이의 신청 내역을 제공한 뒤, 제공된 정보에 응답하여 조정된 대금으로 온라인 차량 부품 견적서를 제공한 인접한 공업사 단말(400)에 대한 식별번호만 차량 소유주 단말(100)에게 네트워크(200)를 통해 제공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는 청구서 관리 모듈(321); 및
    보험금 지급에 대한 관리, 지급 이력 관리, 담당자별 미지급건 통계, 담당자별 감액 사유 입력 요청, 입금 현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관리를 수행하는 입금 관리 모듈(32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부품 공급 및 보험 처리를 위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입금 관리 모듈(322)은,
    제 1 차 온라인 보험 청구서를 제공한 공업사 단말(400)의 식별번호, 그리고 제 2 차 내지 제 n 차(n은 3 이상의 자연수) 온라인 보험 청구서를 제공한 공업사 단말(400)의 식별번호의 변경 과정, 그리고 각 차수에 따른 온라인 보험 청구서에 따른 보험사 서버(500)에 의한 수락 및 이의 신청에 대한 이력을 하나의 차량 부품 청구 단위로 하여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부품 공급 및 보험 처리를 위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
KR1020180088911A 2018-07-31 2018-07-31 차량 부품 공급 및 보험 처리를 위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서버 KR101950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911A KR101950189B1 (ko) 2018-07-31 2018-07-31 차량 부품 공급 및 보험 처리를 위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911A KR101950189B1 (ko) 2018-07-31 2018-07-31 차량 부품 공급 및 보험 처리를 위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0189B1 true KR101950189B1 (ko) 2019-02-21

Family

ID=65585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8911A KR101950189B1 (ko) 2018-07-31 2018-07-31 차량 부품 공급 및 보험 처리를 위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018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2145A (ko) 2020-09-07 2022-03-15 주식회사 인트라밴 자동차 차종별 제원정보 맵핑 연동형 정비 및 부품 견적 자동산출 시스템
KR20220140157A (ko) 2021-04-09 2022-10-18 김탁권 부품 유통 정보 및 차량 정비 정보 관리를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애플리케이션
KR20230050275A (ko) 2021-10-07 2023-04-14 토비스 주식회사 이륜차 표준 보험 견적 청구 및 손해사정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608808B1 (ko) * 2023-09-14 2023-12-01 주식회사 오토젠스 손해사정 판매된 중고차의 결함에 따른 견적을 산정하는 손해사정 솔루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6129A (ko) 1999-12-31 2001-07-11 박종섭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비트 라인 프리차지 회로
KR20130044928A (ko) * 2011-10-25 2013-05-03 고재현 차량의 진단, 정비 중계 시스템 및 방법
KR101545984B1 (ko) * 2013-05-16 2015-08-21 현대하이카손해사정 주식회사 차량 정비 내역을 검증하는 차량 정비 검증 시스템 및 차량 정비 검증 방법
KR20180048187A (ko) * 2016-11-02 2018-05-10 이인옥 자동차보험사지정정비업체네트워크시스템
KR101867241B1 (ko) * 2017-11-17 2018-06-12 주식회사 레드벨벳벤처스 보험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6129A (ko) 1999-12-31 2001-07-11 박종섭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비트 라인 프리차지 회로
KR20130044928A (ko) * 2011-10-25 2013-05-03 고재현 차량의 진단, 정비 중계 시스템 및 방법
KR101545984B1 (ko) * 2013-05-16 2015-08-21 현대하이카손해사정 주식회사 차량 정비 내역을 검증하는 차량 정비 검증 시스템 및 차량 정비 검증 방법
KR20180048187A (ko) * 2016-11-02 2018-05-10 이인옥 자동차보험사지정정비업체네트워크시스템
KR101867241B1 (ko) * 2017-11-17 2018-06-12 주식회사 레드벨벳벤처스 보험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2145A (ko) 2020-09-07 2022-03-15 주식회사 인트라밴 자동차 차종별 제원정보 맵핑 연동형 정비 및 부품 견적 자동산출 시스템
KR20220140157A (ko) 2021-04-09 2022-10-18 김탁권 부품 유통 정보 및 차량 정비 정보 관리를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애플리케이션
KR102593412B1 (ko) * 2021-04-09 2023-10-23 김탁권 부품 유통 정보 및 차량 정비 정보 관리를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애플리케이션
KR20230050275A (ko) 2021-10-07 2023-04-14 토비스 주식회사 이륜차 표준 보험 견적 청구 및 손해사정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608808B1 (ko) * 2023-09-14 2023-12-01 주식회사 오토젠스 손해사정 판매된 중고차의 결함에 따른 견적을 산정하는 손해사정 솔루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0189B1 (ko) 차량 부품 공급 및 보험 처리를 위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토탈 차량 부품 관리 서버
CN110766528A (zh) 一种客户信用自评估工厂实时智能分析管理系统
US20170221017A1 (en) System and method to manage collection of waste resources
US200300508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relative performance of a business in an association of the same or similar businesses
US20120123951A1 (en) Service management platform for fleet of assets
US10108831B1 (en) System controlled by data bearing records
US20160292653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llection of waste resources
US20050149237A1 (en) Vehicle repair system
CN112465327A (zh) 一种关于汽车经销企业运营管理的数字化集成清单系统
KR20130047915A (ko) 공유 차량 통합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48187A (ko) 자동차보험사지정정비업체네트워크시스템
KR101088895B1 (ko) 차량 보험 통합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8038550A (zh) 工单信息上报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1694230B1 (ko) 운송차량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서버
KR20210085895A (ko) 폐차장 통합관리 시스템
US7107233B2 (en) Scrap reduction by combining operations of different manufacturers
KR20150142407A (ko) 손해보험 기타대물분야 보상처리 통합 처리 시스템
JP6871893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220164939A (ko) 차량 부품 유통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047277B1 (ko) TaaS 기반의 자산조달관리 장치
JP2003208486A (ja) 事故車の修理状況管理装置
Perdomo-Rivera A framework for a decision support model for supply chain management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KR102593412B1 (ko) 부품 유통 정보 및 차량 정비 정보 관리를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애플리케이션
KR20010034959A (ko)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한 다자간 공동 차량관리방법 및 장치
JP2001229238A (ja) 事故車の修理状況管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