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3759B1 - 플레이트식 열교환기 및 히트 펌프 장치 - Google Patents

플레이트식 열교환기 및 히트 펌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3759B1
KR101553759B1 KR1020137025927A KR20137025927A KR101553759B1 KR 101553759 B1 KR101553759 B1 KR 101553759B1 KR 1020137025927 A KR1020137025927 A KR 1020137025927A KR 20137025927 A KR20137025927 A KR 20137025927A KR 101553759 B1 KR101553759 B1 KR 101553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ortion
top portion
plate
adjacent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5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7531A (ko
Inventor
다이스케 이토
타케히로 하야시
카즈노리 마츠나가
신이치 우치노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27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7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3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3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9/0031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 F28D9/004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at least on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 F28D9/00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at least on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the plates having openings therein for both heat-exchange medi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 F28F3/025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corrugated, plate-lik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 F28F3/04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 F28F3/04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in the form of local deformations of the element
    • F28F3/046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in the form of local deformations of the element the deformations being linear, e.g. corrug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12Elements constructed in the shape of a hollow panel, e.g. with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75/00Fastening; Joining
    • F28F2275/04Fastening; Joining by brazing

Abstract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의 내압 강도를 높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플레이트식 열교환기는, 유체의 유입구 및 유출구가 마련된 복수의 플레이트가 적층되어 있다. 인접하는 2장의 플레이트는, 상기 적층 방향에서 본 경우에, 하측에 적층된 플레이트에 형성된 상기 파형상의 정상부와, 상측에 적층된 플레이트에 형성된 상기 파형상의 저부가 겹쳐지는 부분이 접합되어 있다. 특히, 하측에 적층된 플레이트에 형성된 파형상의 정상부 중, 유입구와 유출구에 인접하는 정상부는 평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플레이트식 열교환기 및 히트 펌프 장치{PLATE-TYPE HEAT EXCHANGER, AND HEAT PUMP DEVICE}
본 발명은, 복수의 전열(傳熱) 플레이트를 적층하여 형성된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플레이트식 열교환기를 형성하는 각 전열 플레이트에는, 유입구와 유출구가 마련되고, 유입구와 유출구의 사이에, 전열 플레이트의 적층 방향으로 변위하는 파형상(波形狀)이 형성된다. 플레이트식 열교환기는, 하측에 적층된 전열 플레이트에 형성된 파형상의 정상부(頂部)와, 상측에 적층된 전열 플레이트에 형성된 파형상의 저부(底部)가, 적층 방향에서 본 경우에 겹쳐지는 중복 부분이, 솔더링에 의해 접합된다.
각 전열 플레이트에 형성된 파형상의 파고(波高)의 치수가 균일하지 않으면, 중복 부분에서도, 인접하는 전열 플레이트 사이에 간극이 벌어져 버리는 부분이 생겨, 접합되지 않는 미접합 부분이 생긴다. 일반적으로, 전열 플레이트의 파형상은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된다. 파형상 중 유출입구와 인접하는 파(波)("1번째의 파(波)"라고 부른다)는, 프레스기의 크랭크 샤프트로부터의 거리가 멀기 때문에, 파고의 치수에 오차가 생기기 쉽다. 그 때문에, 1번째의 파에는, 미접합 부분이 생기기 쉽고, 접합 강도가 낮아지기 쉽다.
또한, 유출입구 부근은, 파형상이 형성되어 있지 않는 평면이고, 수압(受壓) 면적이 커진다. 그 때문에, 유출입구에 인접하는 1번째의 파에서의 접합 부분에 걸리는 응력은, 파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전열면 부분에 걸리는 응력보다 크다. 따라서 유출입구에 인접하는 1번째의 파에서의 중복 부분은, 특히 접합 강도를 높게 할 필요가 있다.
특허 문헌 1에는, 유출입구 주변에 봇둑(堰)을 마련한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에 관한 기재가 있다. 특허 문헌 2에는, 전열면 부분에 봇둑(보강홈)을 마련한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에 관한 기재가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국 특개평6-109394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국 특개평7-260386호 공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와 같이, 강도(强度) 대책으로서 유출입구 주변에 봇둑을 형성하면, 전열 플레이트의 형상이 복잡하게 되어 버리고, 봇둑의 높이 치수를 고정밀도로 내기가 어렵다. 또한, 이 봇둑은, 인접하는 전열 플레이트와 접합되어 있는데, 미접합부가 부분적으로 있기 때문에 압력 부하에 약하다.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와 같이, 전열면에 마련한 봇둑(보강홈)은, 전열 플레이트의 적층 방향의 변형에 관해서는 취약하기 때문에), 수압 면적이 크게 파손되기 쉬운 유출입구 부근의 강도 향상이 되지 않는다. 또한, 전열면에 봇둑을 마련하여 버리면, 유체의 압력 손실이 커져 버린다.
본 발명은,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의 내압 강도를 높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플레이트식 열교환기는,
유체의 유입구 및 유출구가 마련된 복수의 플레이트가 적층되고,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한 상기 유체가 상기 유출구를 향하여 흐르는 유로가 인접하는 2장의 플레이트의 사이에 형성된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이고,
각 플레이트에는,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의 사이에, 플레이트의 적층 방향으로 변위하는 파형상으로서, 상기 유입구측부터 상기 유출구측를 향하여 복수의 정상부 및 저부가 반복하여 나타나는 파형상이 형성되고,
인접하는 2장의 플레이트는, 상기 적층 방향에서 본 경우에, 하측에 적층된 플레이트인 하측 플레이트에 형성된 상기 파형상의 정상부와, 상측에 적층된 플레이트인 상측 플레이트에 형성된 상기 파형상의 저부가 겹쳐지는 부분이 접합되고,
상기 하측 플레이트에 형성된 파형상의 정상부 중,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와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인접하는 정상부인 인접 정상부는, 평면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에서는, 1번째의 파의 정상부(인접 정상부)가 평면형상이기 때문에, 솔더링에 의한 접합 강도가 높다. 그 때문에, 1번째의 파의 부분에서의 접합 강도가 높아져서,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의 내압 강도가 높다.
도 1은 플레이트식 열교환기(30)의 측면도.
도 2는 보강용 사이드 플레이트(1)의 정면도.
도 3은 전열 플레이트(2)의 정면도.
도 4는 전열 플레이트(3)의 정면도.
도 5는 보강용 사이드 플레이트(4)의 정면도.
도 6은 전열 플레이트(2)와 전열 플레이트(3)를 적층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플레이트식 열교환기(30)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전열 플레이트(2)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전열 플레이트(3)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전열 플레이트(2)와 전열 플레이트(3)를 적층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도 8의 A-A' 단면도.
도 12는 도 8의 B-B' 단면도.
도 13은 도 9의 C-C' 단면도.
도 14는 도 9의 D-D' 단면도.
도 15는 도 10의 E-E' 단면도.
도 16은 도 10의 F-F' 단면도.
도 17은 실시의 형태 3에 관한 인접 정상부(18)의 설명도.
도 18은 실시의 형태 3에 관한 중복 부분(20)의 설명도.
도 19는 실시의 형태 4에 관한 접합 저부(19)의 설명도.
도 20은 실시의 형태 4에 관한 인접 정상부(18)의 설명도.
도 21은 실시의 형태 4에 관한 중복 부분(20)의 설명도.
도 22는 요철 형상을 형성하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의 중복 부분(20)의 설명도.
도 23은 요철 형상을 형성한 경우에 있어서의 중복 부분(20)의 설명도.
도 24는 실시의 형태 5에 관한 전열 플레이트(3)를 도시하는 도면.
도 25는 도 24의 G-G' 단면도.
도 26은 인접 정상부(18)나 접합 저부(19)를 형성하지 않은 파의 파각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27은 인접 정상부(18)나 접합 저부(19)를 형성하는 파의 파각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28은 인접 정상부(18)나 접합 저부(19)를 형성하는 파의 일부의 파각도를 크게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9는 실시의 형태 7에 관한 히트 펌프 장치(100)의 회로 구성도.
도 30은 도 29에 도시하는 히트 펌프 장치(100)의 냉매의 상태에 관한 모리엘선도.
실시의 형태 1.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플레이트식 열교환기(30)의 기본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플레이트식 열교환기(30)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보강용 사이드 플레이트(1)의 정면도(적층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3은, 전열 플레이트(2)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전열 플레이트(3)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보강용 사이드 플레이트(4)의 정면도이다. 도 6은, 전열 플레이트(2)와 전열 플레이트(3)를 적층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플레이트식 열교환기(3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레이트식 열교환기(30)는, 전열 플레이트(2)와 전열 플레이트(3)가 교대로 적층된다. 또한, 플레이트식 열교환기(30)는, 최전면(最前面)에 보강용 사이드 플레이트(1)가 적층되고, 최배면(最背面)에 보강용 사이드 플레이트(4)가 적층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강용 사이드 플레이트(1)는, 개략 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보강용 사이드 플레이트(1)는, 개략 사각형의 네모퉁이에, 제1 유입관(5), 제1 유출관(6), 제2 유입관(7), 제2 유출관(8)이 마련된다.
도 3,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전열 플레이트(2, 3)는, 보강용 사이드 플레이트(1)와 마찬가지로, 개략 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네모퉁이에 제1 유입구(9), 제1 유출구(10), 제2 유입구(11), 제2 유출구(12)가 마련된다. 또한, 각 전열 플레이트(2, 3)는, 플레이트의 적층 방향으로 변위하는 파형상(波形狀)(15, 16)이 형성되어 있다. 파형상(15, 16)은, 적층 방향에서 본 경우에, 전열 플레이트(2, 3)의 단변방향의 양단측에 양단부(兩端部)를 가지며, 양단부로부터 장변방향으로 비켜진 위치에 되접어꺾은점(折返点)을 갖는 개략 V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특히, 전열 플레이트(2)에 형성된 파형상(15)과, 전열 플레이트(3)에 형성된 파형상(16)에서는, 개략 V자형상 방향이 역방향으로 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강용 사이드 플레이트(4)는, 보강용 사이드 플레이트(1) 등과 마찬가지로, 개략 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보강용 사이드 플레이트(4)는, 제1 유입관(5), 제1 유출관(6), 제2 유입관(7), 제2 유출관(8)이 마련되지 않는다. 또한, 도 5에서는, 보강용 사이드 플레이트(4)에, 제1 유입관(5), 제1 유출관(6), 제2 유입관(7), 제2 유출관(8)의 위치를 파선으로 도시되지만, 보강용 사이드 플레이트(4)에 이들이 마련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열 플레이트(2)와 전열 플레이트(3)를 적층한 경우, 방향이 다른 개략 V자형상의 파형상(15, 16)이 맞겹침에 의해, 전열 플레이트(2)와 전열 플레이트(3)의 사이에 복잡한 흐름을 일으키는 유로(流路)가 형성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전열 플레이트(2, 3)는, 제1 유입구(9)끼리, 제1 유출구(10)끼리, 제2 유입구(11)끼리, 제2 유출구(12)끼리가 각각 겹쳐지도록 적층된다. 또한, 보강용 사이드 플레이트(1)와 전열 플레이트(2)는, 제1 유입관(5)과 제1 유입구(9)가 겹쳐지고, 제1 유출관(6)과 제1 유출구(10)가 겹쳐지고, 제2 유입관(7)과 제2 유입구(11)가 겹쳐지고, 제2 유출관(8)과 제2 유출구(12)가 겹쳐지도록 적층된다. 그리고, 각 전열 플레이트(2, 3) 및 보강용 사이드 플레이트(1, 4)의 외주의 언저리(緣)가 겹쳐지도록 적층되고, 땜납에 의해 접합된다. 이 때, 각 전열 플레이트(2, 3)는, 외주의 언저리가 접합될 뿐만 아니라, 적층 방향에서 본 경우에, 상측(전면측(前面側))에 적층된 전열 플레이트의 파형상의 저부(底部)와 하측(배면측)에 적층된 전열 플레이트의 파형상의 정상부(頂部)가 겹쳐지는 부분도 접합된다.
이에 의해, 제1 유입관(5)으로부터 유입한 제1 유체(예를 들면, 물(水))가 제1 유출관(6)으로부터 유출되는 제1 유로(13)가, 전열 플레이트(2)의 배면과 전열 플레이트(3)의 전면(前面)과의 사이에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2 유입관(7)으로부터 유입한 제2 유체(예를 들면, 냉매)가 제2 유출관(8)으로부터 유출되는 제2 유로(14)가, 전열 플레이트(3)의 배면과 전열 플레이트(2)의 전면과의 사이에 형성된다.
외부로부터 제1 유입관(5)에 유입한 제1 유체는, 각 전열 플레이트(2, 3)의 제1 유입구(9)가 맞겹침으로써 형성된 통로구멍通路孔)을 흐르고, 각 제1 유로(13)에 유입한다. 제1 유로(13)에 유입한 제1 유체는, 단변방향으로 서서히 퍼지면서, 장변방향으로 흘러서, 제1 유출구(10)로부터 유출한다. 제1 유출구(10)로부터 유출한 제1 유체는, 제1 유출구(10)가 맞겹침으로써 형성된 통로구멍을 흐르고, 제1 유출관(6)으로부터 외부에 유출한다.
마찬가지로, 외부로부터 제2 유입관(7)에 유입한 제2 유체는, 각 전열 플레이트(2, 3)의 제2 유입구(11)가 맞겹침으로써 형성된 통로구멍을 흐르고, 각 제2 유로(14)에 유입한다. 제2 유로(14)에 유입한 제2 유체는, 단변방향으로 서서히 퍼지면서, 장변방향으로 흘러서, 제2 유출구(12)로부터 유출한다. 제2 유출구(12)로부터 유출한 제2 유체는, 제2 유출구(12)가 맞겹침으로써 형성된 통로구멍을 흐르고, 제2 유출관(8)으로부터 외부에 유출한다.
제1 유로(13)를 흐르는 제1 유체와 제2 유로(14)를 흐르는 제2 유체한, 파형상(15, 16)이 형성된 부분을 흐를 때, 전열 플레이트(2, 3)를 통하여 열교환된다. 또한, 제1 유로(13)와 제2 유로(14)에서고, 파형상(15, 16)이 형성된 부분을 열교환 유로(17)(도 3, 4, 6 참조)라고 부른다.
다음에,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플레이트식 열교환기(30)의 특징에 관해 설명한다.
도 8은,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전열 플레이트(2)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전열 플레이트(3)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전열 플레이트(2)와 전열 플레이트(3)를 적층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8의 A-A'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8의 B-B'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9의 C-C'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9의 D-D'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0의 E-E'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0의 F-F' 단면도이다.
도 9,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열 플레이트(3)에 형성된 파형상(16)의 정상부 중, 제1 유출구(10) 및 제2 유입구(11)에 인접하는 파형상(16)(1번째의 파)의 정상부인 인접 정상부(18)는, 평면형상으로 (개략 평탄)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8,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열 플레이트(2)에 형성된 파형상(15)의 저부 중, 인접 정상부(18)와 접합되는 저부인 접합 저부(19)는, 평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 10,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접 정상부(18)와 접합 저부(19)가 겹쳐지는 중복 부분(20)(도 10에서 사선으로 도시하는 영역)은, 점이 아니라 면이 된다. 따라서 인접 정상부(18)와 접합 저부(19)가 솔더링에 의해 접합되는 접합면적을 크게 할 수가 있어서, 접합 강도를 높게할 수 있다. 즉, 전열 플레이트(3)에서의 제1 유출구(10) 및 제2 유입구(11)측의 1번째의 파(波)와, 전열 플레이트(2)와의 접합 강도를 높게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플레이트의 파형상은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된다. 파형상(15, 16)중 유출입구와 가까운 부분은, 프레스기의 크랭크 샤프트로부터의 거리가 멀기 때문에, 전열 플레이트(2, 3)의 중심부에 형성된 파형상(15, 16)에 비하여, 파고(波高)의 치수(도 11, 13의 치수(a))에 오차가 생기기 쉽다. 파고의 치수(a)가, 설계치에 비하여 작아져 버리면, 전열 플레이트(2, 3)의 사이에서의 본래 밀착하여야 할 부분에 간극이 생겨서, 솔더링에 의해 접합되지 않게 되어 버린다.
그러나, 인접 정상부(18)와 접합 저부(19)를 평면형상으로 함으로써, 인접 정상부(18)와 접합 저부(19)의 사이에 다소의 간극이 있다고 하더라도, 솔더링에 의한 접합을 할 수 있다.
한편, 도 9,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열 플레이트(3)에 형성된 파형상(16)의 정상부 중, 인접 정상부(18) 이외의 정상부인 타정상부(他頂部)(21)는, 볼록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도 8,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열 플레이트(2)에 형성된 파형상(15)의 저부 중, 접합 저부(19) 이외의 저부인 타저부(他底部)(22)는, 볼록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타정상부(21)와 타저부(22)가 겹쳐지는 중복 부분(23)은, 점이 된다. 따라서 타정상부(21)와 타저부(22)가 솔더링에 의해 접합된 면적을 작게 할 수가 있어서, 열교환 유로(17)에서의 유효한 열교환 면적이 작아지지 않는다. 또한, 압력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전열 플레이트(2, 3)의 제1 유출구(10) 및 제2 유입구(11) 측만 설명하였다. 그러나, 제1 유입구(9) 및 제2 유출구(12)측에 관해서도 마찬가지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즉, 전열 플레이트(3)에 형성된 파형상(16)의 정상부 중, 제1 유입구(9) 및 제2 유출구(12)에 인접하는 파형상(16)(1번째의 파)의 정상부를 평면형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전열 플레이트(3)에서의 제1 유입구(9) 및 제2 유출구(12)에 인접하는 파형상(16)(1번째의 파)의 정상부와 접합되는, 전열 플레이트(2)에 형성된 파형상(15)의 저부를 평면형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이에 의해, 제1 유출구(10) 및 제2 유입구(11)측과 마찬가지로, 전열 플레이트(3)에서의 제1 유입구(9) 및 제2 유출구(12)측의 1번째의 파와, 전열 플레이트(2)와의 접합 강도를 높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전열 플레이트(2)의 배면측 및 전열 플레이트(3)의 전면측에 관해서만 설명하였다. 그러나, 전열 플레이트(3)의 배면측 및 전열 플레이트(2)의 전면측에 관해서도 마찬가지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즉, 전열 플레이트(2)에 형성된 파형상(15)의 정상부 중, 제1 유출구(10) 및 제2 유입구(11)에 인접하는 파형상(15)(1번째의 파)이나, 제1 유입구(9) 및 제2 유출구(12)에 인접하는 파형상(15)(1번째의 파)의 정상부를 평면형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전열 플레이트(2)에서의 제1 유출구(10) 및 제2 유입구(11)에 인접하는 파형상(15)(1번째의 파)이나, 제1 유입구(9) 및 제2 유출구(12)에 인접하는 파형상(15)(1번째의 파)의 정상부와 접합되는, 전열 플레이트(3)에 형성된 파형상(16)의 저부를 평면형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이에 의해, 전열 플레이트(2)의 배면측 및 전열 플레이트(3)의 전면측과 마찬가지로, 전열 플레이트(3)의 배면측 및 전열 플레이트(2)의 전면측에 대해서도, 전열 플레이트(2)에서의 1번째의 파와, 전열 플레이트(3)와의 접합 강도를 높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유출입구에 인접하는 1번째의 파의 정상부만을 평면형상으로 형성하였다. 그러나, 유출입구에 인접하는 2개 이상의 파의 정상부를 평면형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평면형상으로 형성한 정상부와 접합되는, 인접하는 전열 플레이트(2, 3)의 저부를 평면형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플레이트식 열교환기(30)는, 유출입구에 인접하는 파형상(15, 16)의 접합 강도를 높게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플레이트식 열교환기(30)의 내압 강도는 높다.
또한, 유출입구에 인접하는 파형상(15, 16)의 파고의 치수(a)가 작아진 경우라도, 솔더링에 의해 접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양산하는 경우에도, 안정된 강도를 갖는 플레이트식 열교환기(30)를 제공할 수 있다.
플레이트식 열교환기(30)의 강도가 높아지면, 보강용 사이드 플레이트(1, 4)나 전열 플레이트(2, 3)의 판두께를 얇게 할 수가 있어서, 플레이트식 열교환기(30)의 재료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강도가 높아지고, 신뢰성이 높은 플레이트식 열교환기(30)라면, 냉매의 누출도 적기 때문에, 고압 냉매인 CO2도 사용 가능해지고, 탄화수소, 저(低)GWP(Global Warming Potential) 냉매라는 가연성 냉매도 사용 가능해진다.
실시의 형태 2.
실시의 형태 1에서는, 인접 정상부(18)나 접합 저부(19)를 평면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에 관해 설명하였다. 실시의 형태 2에서는, 인접 정상부(18)나 접합 저부(19)를 소정의 폭의 평면으로 하는 것에 관해 설명한다.
여기서, 인접 정상부(18)나 접합 저부(19)의 폭이란, 도 11, 13에 도시하는 폭(b)인 것이다. 폭(b)은, 파형상(15, 16)의 능선과 수직한 방향의 정상부나 저부의 폭인 것이다.
폭(b)은, 1밀리미터 이상 2밀리미터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폭(b)을 1밀리미터 이상 2밀리미터 이하로 함으로써, 압력 손실이 커지는 것을 막으면서,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폭(b)을 1밀리미터보다 작게 하면, 접합면적이 너무 작아져서 접합 강도가 낮아져 버리는 경우가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프레스 정밀도의 하한치로 형성되고, 중복 부분(20)에서의 전열 플레이트(2, 3) 사이에 0.1밀리미터 정도가 간극이 생긴 경우에는, 솔더링에 의해 접합할 수가 없는 일이 일어날 수 있다.
한편, 폭(b)을 2밀리미터보다 크게 하면, 솔더링 면적이 지나치게 커지고, 압력 손실이 커져 버린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솔더링 면적이 지나치게 커져서, 인접하는 중복 부분의 솔더와 연결되어, 유로를 막아 버린다.
또한, 폭(b)은, 필요한 접합 강도에 응한 솔더링 면적이 되도록, 상기 범위에서 조정하면 좋다.
실시의 형태 3.
실시의 형태 2에서는, 인접 정상부(18)나 접합 저부(19)를 소정의 폭의 평면으로 하는 것에 관해 설명하였다. 실시의 형태 3에서는, 인접 정상부(18)나 접합 저부(19)를 평면에 가까운 원활한 곡면으로 하는 것에 관해 설명한다.
도 17은, 실시의 형태 3에 관한 인접 정상부(18)의 설명도이고, 도 9의 C-C' 단면도이다. 도 18은, 실시의 형태 3에 관한 중복 부분(20)의 설명도이고, 도 10에 도시하는 E-E' 단면도이다.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접 정상부(18)를 구부림반경(곡반경(曲半徑)(R)이 2밀리미터 이상 10밀리미터 이하의 곡면으로 한다. 마찬가지로, 접합 저부(19)도 구부림반경(R)이 2밀리미터 이상 10밀리미터 이하의 곡면으로 한다. 인접 정상부(18)나 접합 저부(19)를 구부림반경(R)이 2밀리미터 이상 10밀리미터 이하의 곡면으로 함으로써, 압력 손실이 커지는 것을 막으면서,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구부림반경(R)을 2밀리미터보다 작게 하면, 접합면적이 너무 작아져서 접합 강도가 낮아져 버리는 경우가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프레스 정밀도의 하한치로 형성되고, 중복 부분(20)에서의 전열 플레이트(2, 3) 사이에 0.1밀리미터 정도의 간극이 벌어진 경우에는, 솔더링에 의해 접합할 수 없는 일이 일어날 수 있다.
한편, 구부림반경(R)을 10밀리미터보다 크게 하면, 솔더링 면적이 커지고, 압력 손실이 커져 버린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솔더링 면적이 지나치게 커져서, 인접하는 중복 부분의 솔더와 연결하여, 유로를 막아 버리는 경우가 있다.
또한, 구부림반경(R)은, 필요한 접합 강도에 응한 솔더링 면적이 되도록, 상기 범위에서 조정하면 좋다.
실시의 형태 4.
실시의 형태 1-3에서는, 인접 정상부(18)나 접합 저부(19)를 평면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에 관해 설명하였다. 실시의 형태 4에서는, 인접 정상부(18)나 접합 저부(19)에, 서로 감합(嵌合)하는 요철 형상을 형성하는 것에 관해 설명한다.
도 19는, 실시의 형태 4에 관한 접합 저부(19)의 설명도이고, 도 8의 A-A' 단면도이다. 도 20은, 실시의 형태 4에 관한 인접 정상부(18)의 설명도이고, 도 9의 C-C' 단면도이다. 도 21은, 실시의 형태 4에 관한 중복 부분(20)의 설명도이고, 도 10에 도시하는 E-E' 단면도이다.
도 19,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합 저부(19)에 볼록부(24)가 형성되고, 인접 정상부(18)에 오목부(2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열 플레이트(2, 3)가 적층된 경우에, 볼록부(24)와 오목부(25)가 서로 감합한다.
인접 정상부(18) 및 접합 저부(19)에 볼록부(24) 및 오목부(25)와 같은 요철 형상을 형성함에 의해, 전열 플레이트(2, 3)가 적층된 경우의 접합면적이 커지고, 접합 강도가 높아진다.
도 22는, 요철 형상을 형성하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의 중복 부분(20)의 설명도이다. 도 23은, 요철 형상을 형성한 경우에 있어서의 중복 부분(20)의 설명도이다.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요철 형상을 형성하지 않은 경우, 중복 부분(20)에서의 솔더재(材)(26)가 크게 퍼져서, 하류측으로 유체가 흐르지 않는 사류역(死流域)(27)이 생겨서, 압력 손실이 커진다. 한편,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요철 형상을 형성한 경우, 중복 부분(20)에서의 솔더재(26)는 요철 형상의 사이로 퍼지기 때문에, 솔더재(26)가 퍼지는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솔더재(26)에 의해 생기는 사류역(27)을 작게 할 수가 있어서, 압력 손실이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류역(27)이 작아지면, 유효한 열교환 면적이 커져서, 열교환 성능이 높아진다.
이상의 효과에 의해, 필요한 능력에 대한 플레이트식 열교환기(30)의 전열 플레이트(2, 3)의 매수를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식 열교환기(30) 내에서의 냉동기유나 먼지 등의 유물(遺物)의 체류를 억제된다. 그 때문에, 플레이트식 열교환기(30)의 재료 비용을 억제하면서, 신뢰성을 높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인접 정상부(18)와 접합 저부(19)에 요철 형상을 형성하는 것에 관해 설명하였다. 즉, 파형상(15, 16)중, 유출입구와 인접하는 1번째의 파와, 이 파와 접합된 파와의 정상부 및 저부에 요철 형상을 형성하는 것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파형상(15, 16) 전체의 정상부 및 저부에 요철 형상을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요철 형상은, 인접 정상부(18) 전체와 접합 저부(19) 전체에 형성하여도 좋고, 인접 정상부(18)와 접합 저부(19)중의 중복 부분(20)만에 형성하여도 좋다.
실시의 형태 5.
실시의 형태 1 내지 3에서는, 인접 정상부(18)나 접합 저부(19)를 평면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에 관해 설명하였다. 실시의 형태 5에서는, 인접 정상부(18)와 접합 저부(19)와의 파고를 다른 파의 파고보다도 높게 하는 것에 관해 설명한다.
도 24는, 실시의 형태 5에 관한 전열 플레이트(3)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5는, 도 24의 G-G' 단면도이다.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접 정상부(18)의 파고(도 25의 치수(c))를 타정상부(21)의 파고(도 25의 치수(a))보다도 높게 하고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마찬가지로, 접합 저부(19)의 파고를 타저부(22)의 파고보다도 높게 한다.
인접 정상부(18)나 접합 저부(19)의 파고를 다른 파의 파고보다도 높게 함에 의해, 솔더링시에 있어서의 하중으로 인접 정상부(18)나 접합 저부(19)가 찌부러져서 우묵하게 되어, 평면현상이 된다. 그 때문에, 실시의 형태 1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플레이트식 열교환기(30)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인접 정상부(18)와 접합 저부(19)를 평면형상으로 가공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실시의 형태 5에 관한 플레이트식 열교환기(30)를 형성한 경우에는, 인접 정상부(18)와 접합 저부(19)와의 파고를 높게 할 뿐이면 좋다. 즉, 인접 정상부(18)와 접합 저부(19)와의 파고에 관한 금형 치수의 변경만으로, 실시의 형태 5에 관한 플레이트식 열교환기(30)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의 형태 5에 관한 플레이트식 열교환기(30)는,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플레이트식 열교환기(30)에 비하여, 비용을 들이지 않고서 제조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6.
실시의 형태 1 내지 5에서는, 인접 정상부(18)나 접합 저부(19)의 형상을 변경하는 것에 관해 설명하였다. 실시의 형태 6에서는, 인접 정상부(18)나 접합 저부(19)를 형성하는 파의 각도를 변경한 것에 관해 설명한다.
도 26은, 인접 정상부(18)나 접합 저부(19)를 형성하지 않은 파의 파각도(波角度)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7은, 인접 정상부(18)나 접합 저부(19)를 형성하는 파의 파각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파각도는, 전열 플레이트(2, 3)의 긴변과 평행한 선(28a)과 파의 능선(28b)이 이루는 각도이다. 도 26,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접 정상부(18)나 접합 저부(19)를 형성하지 않은 파의 파각도(θ1)는 예를 들면 65도이고, 인접 정상부(18)나 접합 저부(19)를 형성하는 파의 파각도(θ2)는 예를 들면 75도이다. 즉, 파각도(θ2)는, 파각도(θ1)보다도 크다. 환언하면, V자형상으로 형성된 파의 되접어꺾은각도(折返角度)는, 인접 정상부(18)나 접합 저부(19)를 형성하는 파의 쪽이, 인접 정상부(18)나 접합 저부(19)를 형성하지 않은 파보다도 크다.
도 26,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각도를 크게 함에 의해, 중복 부분(20)의 면적이 커진다. 즉, 인접 정상부(18)나 접합 저부(19)를 형성하는 파의 파각도를 크게 함에 의해, 접합면적이 커지고, 접합 강도가 높아진다.
도 28은, 인접 정상부(18)나 접합 저부(19)를 형성하는 파의 일부의 파각도를 크게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접 정상부(18)나 접합 저부(19)를 형성하는 파를 부분적으로 장변방향으로 절곡한 곡부(曲部)(29)를 마련하고 있다. 이에 의해, 인접 정상부(18)나 접합 저부(19)를 형성하는 파의 일부의 파각도를 크게 하고 있다. 일부의 파각도를 크게 한 경우라도, 그 부분에서의 접합면적이 커져서, 접합 강도가 높아진다.
실시의 형태 7.
실시의 형태 7에서는, 플레이트식 열교환기(30)를 이용한 히트 펌프 장치(100)의 회로 구성의 한 예에 관해 설명한다.
히트 펌프 장치(100)에서는, 냉매로서, 예를 들면, CO2, R410A, HC 등이 사용된다. CO2와 같이 고압측이 초임계역(超臨界域)이 되는 냉매도 있지만, 여기서는, 냉매로서 R410A를 사용한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도 29는, 실시의 형태 7에 관한 히트 펌프 장치(100)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30은, 도 29에 도시하는 히트 펌프 장치(100)의 냉매의 상태에 관한 모리엘선도이다. 도 30에서, 횡축은 비(比)엔탈피, 종축은 냉매 압력을 나타낸다.
히트 펌프 장치(100)는, 압축기(51)와, 열교환기(52)와, 팽창기구(53)와, 리시버(54)와, 내부 열교환기(55)와, 팽창기구(56)와, 열교환기(57)가 배관에 의해 순차적으로 접속되고, 냉매가 순환하는 주냉매 회로(58)를 구비한다. 또한, 주냉매 회로(58)에서, 압축기(51)의 배출측에는, 4방밸브(59)가 마련되고, 냉매의 순환 방향이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열교환기(57)의 부근에는, 팬(60)이 마련된다. 또한, 열교환기(52)는,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플레이트식 열교환기(30)이다.
또한, 히트 펌프 장치(100)는, 리시버(54)와 내부 열교환기(55)의 사이로부터, 압축기(51)의 인젝션 파이프까지를 배관에 의해 연결한 인젝션 회로(62)를 구비한다. 인젝션 회로(62)에는, 팽창기구(61), 내부 열교환기(55)가 순차적으로 접속된다.
열교환기(52)에는, 물이 순환하는 물회로(63)가 접속된다. 또한, 물회로(63)에는, 급탕기, 라디에이터나 바닥 난방 등의 방열기 등의 물을 이용하는 장치가 접속된다.
우선, 히트 펌프 장치(100)의 난방 운전시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난방 운전시에는, 4방밸브(59)는 실선 방향으로 설정된다. 또한, 이 난방 운전이란, 공조로 쓰여지는 난방뿐만 아니라, 물에 열을 주어 온수를 만드는 급탕도 포함한다.
압축기(51)에서 고온 고압이 된 기상(氣相) 냉매(도 30의 점(1))은, 압축기(51)로부터 토출되어, 응축기이며 방열기가 되는 열교환기(52)에서 열교환되어 액화한다(도 30의 점(2)). 이 때, 냉매로부터 방열된 열에 의해, 물회로(63)를 순환하는 물이 데워져서고, 난방이나 급탕에 이용된다.
열교환기(52)에서 액화된 액상 냉매는, 팽창기구(53)에서 감압되어, 기액(氣液) 2상 상태가 된다(도 30의 점(3)). 팽창기구(53)에서 기액 2상 상태가 된 냉매는, 리시버(54)에서 압축기(51)에 흡입되는 냉매와 열교환되어, 냉각되어 액화된다(도 30의 점(4)). 리시버(54)에서 액화된 액상 냉매는, 주냉매 회로(58)와, 인젝션 회로(62)에 분기되어 흐른다.
주냉매 회로(58)를 흐르는 액상 냉매는, 팽창기구(61)에서 감압되어 기액 2상 상태가 된 인젝션 회로(62)를 흐르는 냉매와 내부 열교환기(55)에서 열교환되고, 더묵 냉각된다(도 30의 점(5)). 내부 열교환기(55)에서 냉각된 액상 냉매는, 팽창기구(56)에서 감압되어 기액 2상 상태가 된다(도 30의 점(6)). 팽창기구(56)에서 기액 2상 상태가 된 냉매는, 증발기가 되는 열교환기(57)에서 외기와 열교환되어, 가열된다(도 30의 점(7)). 그리고, 열교환기(57)에서 가열된 냉매는, 리시버(54)에서 다시 가열되어(도 30의 점(8)), 압축기(51)에 흡입된다.
한편, 인젝션 회로(62)를 흐르는 냉매는, 상술한 바와 같이, 팽창기구(61)에서 감압되어(도 30의 점(9)), 내부 열교환기(55)에서 열교환된다(도 30의 점(10)). 내부 열교환기(55)에서 열교환된 기액 2상 상태의 냉매(인젝션 냉매)는, 기액 2상 상태인 채로 압축기(51)의 인젝션 파이프로부터 압축기(51) 내에 유입한다.
압축기(51)에서는, 주냉매 회로(58)로부터 흡입된 냉매(도 30의 점(8))가, 중간압까지 압축, 가열된다(도 30의 점(11)). 중간압까지 압축, 가열된 냉매(도 30의 점(11))에, 인젝션 냉매(도 30의 점(10))가 합류하여, 온도가 저하된다(도 30의 점(12)). 그리고, 온도가 저하된 냉매(도 30의 점(12))가, 다시 압축, 가열되어 고온 고압이 되어, 토출된다(도 30의 점(1)).
또한, 인젝션 운전을 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팽창기구(61)의 개방도를 전폐(全閉)로 한다. 즉, 인젝션 운전을 행한 경우에는, 팽창기구(61)의 개방도가 소정의 개방도보다도 크게 되어 있지만, 인젝션 운전을 행하지 않을 때에는, 팽창기구(61)의 개방도를 소정의 개방도보다 작게 한다. 이에 의해, 압축기(51)의 인젝션 파이프에 냉매가 유입하지 않는다.
여기서, 팽창기구(61)의 개방도는, 마이크로 컴퓨터 등의 제어부에 의해 전자 제어에 의해 제어된다.
다음에, 히트 펌프 장치(100)의 냉방 운전시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냉방 운전시에는, 4방밸브(59)는 파선 방향으로 설정된다. 또한, 이 냉방 운전이란, 공조에서 사용되는 냉방뿐만 아니라, 물로부터 열을 빼앗아 냉수를 만드는 것이나, 냉동(冷凍) 등도 포함한다.
압축기(51)에서 고온 고압이 된 기상 냉매(도 30의 점(1))은, 압축기(51)로부터 토출되어, 응축기이며 방열기가 되는 열교환기(57)에서 열교환되고 액화한다(도 30의 점(2)). 열교환기(57)에서 액화된 액상 냉매는, 팽창기구(56)에서 감압되어, 기액 2상 상태가 된다(도 30의 점(3)). 팽창기구(56)에서 기액 2상 상태가 된 냉매는, 내부 열교환기(55)에서 열교환되어, 냉각되어 액화된다(도 30의 점(4)). 내부 열교환기(55)에서는, 팽창기구(56)에서 기액 2상 상태가 된 냉매와, 내부 열교환기(55)에서 액화된 액상 냉매를 팽창기구(61)에서 감압시켜서 기액 2상 상태가 된 냉매(도 30의 점(9))을 열교환시키고 있다. 내부 열교환기(55)에서 열교환된 액상 냉매(도 30의 점(4))은, 주냉매 회로(58)와, 인젝션 회로(62)에 분기되어 흐른다.
주냉매 회로(58)를 흐르는 액상 냉매는, 리시버(54)에서 압축기(51)에 흡입되는 냉매와 열교환되어, 더욱 냉각된다(도 30의 점(5)). 리시버(54)에서 냉각된 액상 냉매는, 팽창기구(53)에서 감압되어 기액 2상 상태가 된다(도 30의 점(6)). 팽창기구(53)에서 기액 2상 상태가 된 냉매는, 증발기가 되는 열교환기(52)에서 열교환되어, 가열된다(도 30의 점(7)). 이 때, 냉매가 흡열함에 의해, 물회로(63)를 순환하는 물이 식혀지고, 냉방이나 냉동에 이용된다.
그리고, 열교환기(52)에서 가열된 냉매는, 리시버(54)에서 다시 가열되어(도 30의 점(8)), 압축기(51)에 흡입된다.
한편, 인젝션 회로(62)를 흐르는 냉매는, 상술한 바와 같이, 팽창기구(61)에서 감압되고(도 30의 점(9)), 내부 열교환기(55)에서 열교환된다(도 30의 점(10)). 내부 열교환기(55)에서 열교환된 기액 2상 상태의 냉매(인젝션 냉매)는, 기액 2상 상태인 채로 압축기(51)의 인젝션 파이프로부터 유입한다.
압축기(51) 내에서의 압축 동작에 관해서는, 난방 운전시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인젝션 운전을 행하지 않을 때에는, 난방 운전시와 마찬가지로, 팽창기구(61)의 개방도를 전폐로 하여, 압축기(51)의 인젝션 파이프에 냉매가 유입하지 않도록 한다.
1 : 보강용 사이드 플레이트
2, 3 : 전열 플레이트
4 : 보강용 사이드 플레이트
5 : 제1 유입관
6 : 제1 유출관
7 : 제2 유입관
8 : 제2 유출관
9 : 제1 유입구
10 : 제1 유출구
11 : 제2 유입구
12 : 제2 유출구
13 : 제1 유로
14 : 제2 유로
15, 16 : 파형상
17 : 열교환 유로
18 : 인접 정상부
19 : 접합 저부
20 : 중복 부분
21 : 타정상부
22 : 타저부
23 : 중복 부분
24 : 볼록부
25 : 오목부
26 : 솔더재
27 : 사류역
28 : 긴변과 평행한 선
29 : 곡부
30 : 플레이트식 열교환기
51 : 압축기
52 : 열교환기
53 : 팽창기구
54 : 리시버
55 : 내부 열교환기
56 : 팽창기구
57 : 열교환기
58 : 주냉매 회로
59 : 4방밸브
60 : 팬
61 : 팽창기구
62 : 인젝션 회로
100 : 히트 펌프 장치

Claims (9)

  1. 유체의 유입구 및 유출구가 마련된 복수의 플레이트가 적층되고,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한 상기 유체가 상기 유출구를 향하여 흐르는 유로가 인접하는 플레이트의 사이에 형성된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이고,
    각 플레이트에는,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의 사이에, 플레이트의 적층 방향으로 변위하는 파형상으로서, 상기 유입구측부터 상기 유출구측를 향하여 복수의 정상부 및 저부가 반복하여 나타나는 파형상이 형성되고,
    상기 각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있는 파형상은, 상기 적층 방향에서 본 경우에, 단변방향의 양단부로부터 장변방향으로 비켜진 위치에 되접어꺾은점을 갖는 V자형으로 된 것으로,
    인접하는 플레이트는, 상기 적층 방향에서 본 경우에, 하측에 적층된 플레이트인 하측 플레이트에 형성된 상기 V자형의 파형상의 정상부와, 상측에 적층된 플레이트인 상측 플레이트에 형성된 상기 V자형의 파형상의 저부가 겹쳐지는 부분이 접합되고,
    상기 하측 플레이트에 형성된 상기 V자형의 파형상의 정상부 중,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와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인접하는 정상부인 인접 정상부는, 평면형상이고,
    상기 상측 플레이트에 형성된 파형상의 저부 중, 상기 인접 정상부와 접합되는 저부인 접합 저부는, 평면형상이고,
    상기 하측 플레이트에 형성된 상기 V자형의 파형상의 정상부 중, 상기 인접 정상부 이외의 정상부에는, 볼록형상의 정상부를 가지며,
    상기 상측 플레이트에 형성된 파형상의 저부 중, 상기 접합 저부 이외의 저부에는, 볼록형상의 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식 열교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 정상부는, 상기 파형상의 능선과 수직 방향의 폭이 1밀리미터 이상 2밀리미터 이하의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식 열교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 정상부는, 구부림반경이 2밀리미터 이상 10밀리미터 이하의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식 열교환기.
  4. 유체의 유입구 및 유출구가 마련된 복수의 플레이트가 적층되고,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한 상기 유체가 상기 유출구를 향하여 흐르는 유로가 인접하는 플레이트의 사이에 형성된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이고,
    각 플레이트에는,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의 사이에, 플레이트의 적층 방향으로 변위하는 파형상으로서, 상기 유입구측부터 상기 유출구측를 향하여 복수의 정상부 및 저부가 반복하여 나타나는 파형상이 형성되고,
    상기 각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있는 파형상은, 상기 적층 방향에서 본 경우에 V자형으로 된 것으로,
    인접하는 플레이트는, 상기 적층 방향에서 본 경우에, 하측에 적층된 플레이트인 하측 플레이트에 형성된 상기 V자형의 파형상의 정상부와, 상측에 적층된 플레이트인 상측 플레이트에 형성된 상기 V자형의 파형상의 저부가 겹쳐지는 부분이 접합되고,
    상기 하측 플레이트에 형성된 상기 V자형의 파형상의 정상부 중,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와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인접하는 정상부인 인접 정상부는, 평면형상이고,
    상기 상측 플레이트에 형성된 파형상의 저부 중, 상기 인접 정상부와 접합되는 저부인 접합 저부는, 평면형상이고,
    상기 하측 플레이트에 형성된 상기 V자형의 파형상의 정상부 중, 상기 인접 정상부 이외의 정상부에는, 볼록형상의 정상부를 가지며,
    상기 상측 플레이트에 형성된 파형상의 저부 중, 상기 접합 저부 이외의 저부에는, 볼록형상의 저부를 가지며,
    상기 상측 플레이트에 형성된 파형상의 정상부 중, 상기 인접 정상부와 접합되는 저부인 접합 저부와, 상기 인접 정상부에는, 적층된 경우에 감합하도록, 이방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타방에 볼록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식 열교환기.
  5. 유체의 유입구 및 유출구가 마련된 복수의 플레이트가 적층되고,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한 상기 유체가 상기 유출구를 향하여 흐르는 유로가 인접하는 플레이트의 사이에 형성된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이고,
    각 플레이트에는,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의 사이에, 플레이트의 적층 방향으로 변위하는 파형상으로서, 상기 유입구측부터 상기 유출구측를 향하여 복수의 정상부 및 저부가 반복하여 나타나는 파형상이 형성되고,
    상기 각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있는 파형상은, 상기 적층 방향에서 본 경우에 V자형으로 된 것으로,
    인접하는 플레이트는, 상기 적층 방향에서 본 경우에, 하측에 적층된 플레이트인 하측 플레이트에 형성된 상기 V자형의 파형상의 정상부와, 상측에 적층된 플레이트인 상측 플레이트에 형성된 상기 V자형의 파형상의 저부가 겹쳐지는 부분이 접합되고,
    상기 하측 플레이트에 형성된 상기 V자형의 파형상의 정상부 중,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와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인접하는 정상부인 인접 정상부는, 평면형상이고,
    상기 상측 플레이트에 형성된 파형상의 저부 중, 상기 인접 정상부와 접합되는 저부인 접합 저부는, 평면형상이고,
    상기 하측 플레이트에 형성된 상기 V자형의 파형상의 정상부 중, 상기 인접 정상부 이외의 정상부에는, 볼록형상의 정상부를 가지며,
    상기 상측 플레이트에 형성된 파형상의 저부 중, 상기 접합 저부 이외의 저부에는, 볼록형상의 저부를 가지며,
    상기 인접 정상부는, 다른 정상부보다도 파고가 높게 형성되어 있던 것이, 상기 각 플레이트가 적층된 때의 하중에 의해 찌부러져서 평면형상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식 열교환기.
  6. 유체의 유입구 및 유출구가 마련된 복수의 플레이트가 적층되고,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한 상기 유체가 상기 유출구를 향하여 흐르는 유로가 인접하는 플레이트의 사이에 형성된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이고,
    각 플레이트에는,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의 사이에, 플레이트의 적층 방향으로 변위하는 파형상으로서, 상기 유입구측부터 상기 유출구측를 향하여 복수의 정상부 및 저부가 반복하여 나타나는 파형상이 형성되고,
    상기 각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있는 파형상은, 상기 적층 방향에서 본 경우에 V자형으로 된 것으로,
    인접하는 플레이트는, 상기 적층 방향에서 본 경우에, 하측에 적층된 플레이트인 하측 플레이트에 형성된 상기 V자형의 파형상의 정상부와, 상측에 적층된 플레이트인 상측 플레이트에 형성된 상기 V자형의 파형상의 저부가 겹쳐지는 부분이 접합되고,
    상기 하측 플레이트에 형성된 상기 V자형의 파형상의 정상부 중,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와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인접하는 정상부인 인접 정상부는, 평면형상이고,
    상기 상측 플레이트에 형성된 파형상의 저부 중, 상기 인접 정상부와 접합되는 저부인 접합 저부는, 평면형상이고,
    상기 하측 플레이트에 형성된 상기 V자형의 파형상의 정상부 중, 상기 인접 정상부 이외의 정상부에는, 볼록형상의 정상부를 가지며,
    상기 상측 플레이트에 형성된 파형상의 저부 중, 상기 접합 저부 이외의 저부에는, 볼록형상의 저부를 가지며,
    상기 각 플레이트는, 사각형이고, 장변방향의 일단측에 상기 유입구가 마련됨과 함께, 타방측에 상기 유출구가 마련되고,
    상기 각 플레이트에 형성된 상기 V자형의 파형상은, 단변방향의 양단측에 양단부를 가지며, 상기 양단부로부터 상기 장변방향으로 비켜진 위치에 되접어꺾은점을 갖고,
    상기 파형상 중 상기 인접 정상부를 형성하는 부분은, 다른 정상부를 형성하는 부분보다도 상기 V자형의 상기 되접어꺾은점에서의 되접어꺾은각도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식 열교환기.
  7. 유체의 유입구 및 유출구가 마련된 복수의 플레이트가 적층되고,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한 상기 유체가 상기 유출구를 향하여 흐르는 유로가 인접하는 플레이트의 사이에 형성된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이고,
    각 플레이트에는,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의 사이에, 플레이트의 적층 방향으로 변위하는 파형상으로서, 상기 유입구측부터 상기 유출구측를 향하여 복수의 정상부 및 저부가 반복하여 나타나는 파형상이 형성되고,
    상기 각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있는 파형상은, 상기 적층 방향에서 본 경우에 V자형으로 된 것으로,
    인접하는 플레이트는, 상기 적층 방향에서 본 경우에, 하측에 적층된 플레이트인 하측 플레이트에 형성된 상기 V자형의 파형상의 정상부와, 상측에 적층된 플레이트인 상측 플레이트에 형성된 상기 V자형의 파형상의 저부가 겹쳐지는 부분이 접합되고,
    상기 하측 플레이트에 형성된 상기 V자형의 파형상의 정상부 중,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와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인접하는 정상부인 인접 정상부는, 평면형상이고,
    상기 상측 플레이트에 형성된 파형상의 저부 중, 상기 인접 정상부와 접합되는 저부인 접합 저부는, 평면형상이고,
    상기 하측 플레이트에 형성된 상기 V자형의 파형상의 정상부 중, 상기 인접 정상부 이외의 정상부에는, 볼록형상의 정상부를 가지며,
    상기 상측 플레이트에 형성된 파형상의 저부 중, 상기 접합 저부 이외의 저부에는, 볼록형상의 저부를 가지며,
    상기 각 플레이트는, 사각형이고, 장변방향의 일단측에 상기 유입구가 마련됨과 함께, 타방측에 상기 유출구가 마련되고,
    상기 각 플레이트에 형성된 상기 V자형의 파형상은, 단변방향의 양단측에 양단부를 가지며, 상기 양단부로부터 상기 장변방향으로 비켜진 위치에 되접어꺾은점을 갖고,
    상기 파형상 중 상기 인접 정상부를 형성하는 부분에는, 상기 장변방향에서의 상기 되접어꺾은점측으로 구부러진 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식 열교환기.
  8. 압축기와, 제1 열교환기와, 팽창기구와, 제2 열교환기가 배관으로 접속된 냉매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냉매 회로에 접속된 상기 제1 열교환기는,
    유체의 유입구 및 유출구가 마련된 복수의 플레이트가 적층되고,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한 상기 유체가 상기 유출구를 향하여 흐르는 유로가 인접하는 플레이트의 사이에 형성된 플레이트식 열교환기이고,
    각 플레이트에는,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의 사이에, 플레이트의 적층 방향으로 변위하는 파형상으로서, 상기 유입구측부터 상기 유출구측를 향하여 복수의 정상부 및 저부가 반복하여 나타나는 파형상이 형성되고,
    상기 각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있는 파형상은, 상기 적층 방향에서 본 경우에, 단변방향의 양단부로부터 장변방향으로 비켜진 위치에 되접어꺾은점을 갖는 V자형으로 된 것으로,
    인접하는 플레이트는, 상기 적층 방향에서 본 경우에, 하측에 적층된 플레이트인 하측 플레이트에 형성된 상기 V자형의 파형상의 정상부와, 상측에 적층된 플레이트인 상측 플레이트에 형성된 상기 V자형의 파형상의 저부가 겹쳐지는 부분이 접합되고,
    상기 하측 플레이트에 형성된 상기 V자형의 파형상의 정상부 중,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와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인접하는 정상부인 인접 정상부는, 평면형상이고,
    상기 상측 플레이트에 형성된 파형상의 저부 중, 상기 인접 정상부와 접합되는 저부인 접합 저부는, 평면형상이고,
    상기 하측 플레이트에 형성된 상기 V자형의 파형상의 정상부 중, 상기 인접 정상부 이외의 정상부에는, 볼록형상의 정상부를 가지며,
    상기 상측 플레이트에 형성된 파형상의 저부 중, 상기 접합 저부 이외의 저부에는, 볼록형상의 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펌프 장치.
  9. 삭제
KR1020137025927A 2011-04-18 2011-04-18 플레이트식 열교환기 및 히트 펌프 장치 KR1015537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1/059543 WO2012143998A1 (ja) 2011-04-18 2011-04-18 プレート式熱交換器及びヒートポンプ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531A KR20130127531A (ko) 2013-11-22
KR101553759B1 true KR101553759B1 (ko) 2015-09-16

Family

ID=47041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5927A KR101553759B1 (ko) 2011-04-18 2011-04-18 플레이트식 열교환기 및 히트 펌프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448013B2 (ko)
EP (1) EP2700894B1 (ko)
JP (1) JP5932777B2 (ko)
KR (1) KR101553759B1 (ko)
CN (1) CN103502766B (ko)
ES (1) ES2702057T3 (ko)
RU (1) RU2554706C2 (ko)
WO (1) WO20121439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25566A1 (ja) * 2013-02-12 2014-08-21 三菱電機株式会社 プレート式熱交換器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EP2871435A1 (en) * 2013-11-07 2015-05-13 Air To Air Sweden AB A sheet for exchange of heat or mass transfer between fluid flows, a device comprising such a shee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heet
KR102293517B1 (ko) * 2013-12-10 2021-08-25 스웹 인터네셔널 에이비이 개선된 흐름을 가지는 열교환기
US10161687B2 (en) * 2015-01-22 2018-12-2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Plate heat exchanger and heat pump outdoor unit
KR101676852B1 (ko) * 2015-07-17 2016-11-17 현성씨티(주) 조립성을 향상시킨 냉각탑용 필러
JP2017110887A (ja) * 2015-12-18 2017-06-22 株式会社ノーリツ プレート式熱交換器、温水装置およびプレート式熱交換器の製造方法
JP2018179340A (ja) * 2017-04-06 2018-11-15 東京電力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プレート式熱交換器
JP1653094S (ko) * 2018-11-26 2020-02-17
JP1653096S (ko) * 2018-11-26 2020-02-17
JP1653095S (ko) * 2018-11-26 2020-02-17
US11306979B2 (en) * 2018-12-05 2022-04-19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Heat exchanger riblet and turbulator features for improved manufacturability and performance
KR20200114123A (ko) 2019-03-27 2020-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 장치
KR20200114068A (ko) 2019-03-27 2020-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 장치
KR20200114031A (ko) 2019-03-27 2020-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 장치
SE544426C2 (en) 2019-04-03 2022-05-24 Alfa Laval Corp Ab A heat exchanger plate, and a plate heat exchanger
DE102019210238A1 (de) * 2019-07-10 2021-01-14 Mahle International Gmbh Stapelscheibenwärmetauscher
EP3828489A1 (en) * 2019-11-26 2021-06-02 Alfa Laval Corporate AB Heat transfer plate
KR20210109844A (ko) 2020-02-28 2021-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 장치 및 그의 물 충전 방법
US11585575B2 (en) 2020-07-08 2023-02-21 Rheem Manufacturing Company Dual-circuit heating, ventilation, air 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and associated methods
US20220282937A1 (en) * 2021-03-08 2022-09-08 Rheem Manufacturing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heat exchange
CN116336836A (zh) * 2021-12-22 2023-06-27 丹佛斯有限公司 板式换热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10414A1 (en) 2005-07-04 2008-09-04 Alfa Laval Corporate Ab Heat Exchanger Plate, A Pair Of Two Heat Exchanger Plates, And Plate Package For A Plate Heat Exchanger
JP2009521658A (ja) 2005-12-22 2009-06-04 アルファ ラヴァル コーポレイト アクチボラゲット ポート領域の負荷を均等に分散させるプレート熱交換器用の熱伝導プレート
JP2010216754A (ja) 2009-03-18 2010-09-30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レート式熱交換器及び冷凍空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00715A (en) * 1974-05-24 1978-02-08 Apv Co Ltd Plate heat exchangers
JP3027027B2 (ja) * 1991-05-24 2000-03-27 株式会社日阪製作所 プレート式熱交換器
ATA166091A (de) * 1991-08-23 1996-02-15 Faigle Heinz Kg Füllkörper
JP3328329B2 (ja) 1992-09-24 2002-09-24 株式会社日阪製作所 プレート式熱交換器用プレート
JPH07243781A (ja) * 1994-03-04 1995-09-19 Hisaka Works Ltd プレート式熱交換器
JP3543992B2 (ja) 1994-03-28 2004-07-21 株式会社日阪製作所 プレート式熱交換器
JP3654949B2 (ja) * 1995-03-31 2005-06-02 株式会社日阪製作所 プレート式熱交換器のプレート構造
JP3026231U (ja) * 1995-12-22 1996-07-02 東洋ラジエーター株式会社 オイルクーラ
RU2100733C1 (ru) * 1996-03-29 1997-12-27 Алексей Иванович Худяков Пластинчатый теплообменник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ластинчатого теплообменника
JP3147065B2 (ja) 1997-12-10 2001-03-1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プレート式熱交換器
JP3292128B2 (ja) * 1998-02-27 2002-06-1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プレート型熱交換器
JP4462653B2 (ja) * 1998-03-26 2010-05-12 株式会社日阪製作所 プレート式熱交換器
JP2000193390A (ja) * 1998-12-25 2000-07-14 Daikin Ind Ltd プレ―ト式熱交換器
JP2000266489A (ja) 1999-03-15 2000-09-29 Ebara Corp プレート式熱交換器
RU2165571C1 (ru) * 1999-08-05 2001-04-20 Христолюбов Роберт Геннадьевич Теплообменник пластинчатый противоточный
DE19948222C2 (de) * 1999-10-07 2002-11-07 Xcellsis Gmbh Plattenwärmetauscher
JP2001280887A (ja) * 2000-03-30 2001-10-10 Hisaka Works Ltd プレート式熱交換器
SE520673C2 (sv) 2001-12-17 2003-08-12 Alfa Laval Corp Ab Plattpaket, förfarande för dess tillverkning, användning av ett plattpaket, samt plattvärmeväxlare
US20030131979A1 (en) * 2001-12-19 2003-07-17 Kim Hyeong-Ki Oil cooler
JP2004011936A (ja) 2002-06-03 2004-01-15 Nissan Motor Co Ltd 熱交換器
DE10320812B4 (de) * 2003-05-08 2007-03-01 Gea Wtt Gmbh Plattenwärmeübertrager mit einwandigen und doppelwandigen Wärmeübertragerplatten
US7343965B2 (en) * 2004-01-20 2008-03-18 Modine Manufacturing Company Brazed plate high pressure heat exchanger
SE527716C2 (sv) * 2004-04-08 2006-05-23 Swep Int Ab Plattvärmeväxlare
DE602004004114T3 (de) * 2004-08-28 2014-07-24 Swep International Ab Plattenwärmetauscher
WO2007036963A1 (en) 2005-09-30 2007-04-05 Gianni Candio Method for manufacturing a plate heat exchanger having plates connected through melted contact points and heat exchanger obtained using said method
US8205642B2 (en) * 2007-04-16 2012-06-26 Celltech Metals, Inc. Flow-through sandwich core structure and method and system for same
RU2445564C1 (ru) * 2008-03-13 2012-03-20 Данфосс А/С Теплообменник с двойной пластиной
CN101256057A (zh) * 2008-03-25 2008-09-03 丹佛斯钦宝(杭州)热交换器有限公司 具有干燥功能的板式换热器
SE532524C2 (sv) * 2008-06-13 2010-02-16 Alfa Laval Corp Ab Värmeväxlarplatta samt värmeväxlarmontage innefattandes fyra plattor
JP4827905B2 (ja) 2008-09-29 2011-11-30 三菱電機株式会社 プレート式熱交換器、及びこれを搭載した空気調和機
PL2202476T3 (pl) * 2008-12-29 2016-09-30 Sposób wytwarzania spawanego płytowego wymiennika ciepła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10414A1 (en) 2005-07-04 2008-09-04 Alfa Laval Corporate Ab Heat Exchanger Plate, A Pair Of Two Heat Exchanger Plates, And Plate Package For A Plate Heat Exchanger
JP2009521658A (ja) 2005-12-22 2009-06-04 アルファ ラヴァル コーポレイト アクチボラゲット ポート領域の負荷を均等に分散させるプレート熱交換器用の熱伝導プレート
JP2010216754A (ja) 2009-03-18 2010-09-30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レート式熱交換器及び冷凍空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2143998A1 (ja) 2014-07-28
KR20130127531A (ko) 2013-11-22
EP2700894B1 (en) 2018-11-07
US9448013B2 (en) 2016-09-20
US20140008047A1 (en) 2014-01-09
EP2700894A4 (en) 2014-12-31
WO2012143998A1 (ja) 2012-10-26
CN103502766B (zh) 2016-05-25
JP5932777B2 (ja) 2016-06-08
RU2013151067A (ru) 2015-05-27
EP2700894A1 (en) 2014-02-26
CN103502766A (zh) 2014-01-08
ES2702057T3 (es) 2019-02-27
RU2554706C2 (ru) 2015-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3759B1 (ko) 플레이트식 열교환기 및 히트 펌프 장치
JP5859022B2 (ja) プレート式熱交換器およびこの熱交換器を備えた冷凍サイクル装置
JP5661119B2 (ja) プレート式熱交換器及びヒートポンプ装置
JP5805189B2 (ja) プレート式熱交換器及びヒートポンプ装置
WO2013183113A1 (ja) プレート式熱交換器及びそれを備えた冷凍サイクル装置
JP2018066536A (ja) 熱交換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冷凍システム
WO2013076751A1 (ja) プレート式熱交換器及びそれを用いた冷凍サイクル装置
KR101318625B1 (ko) 차량용 에어컨의 냉동 사이클
JP6177459B1 (ja) プレート式熱交換器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KR101318644B1 (ko) 차량용 에어컨의 냉동 사이클
EP3486593B1 (en) Plate heat exchanger for air conditioner
CN113557404B (zh) 板式热交换器以及具备该板式热交换器的热泵装置
KR101918506B1 (ko) 판형 열교환기
JP2018066535A (ja) 熱交換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冷凍システム
JP5940152B2 (ja) プレート式熱交換器及びそれを備えた冷凍サイクル装置
JP5595064B2 (ja) プレート式熱交換器及びヒートポンプ装置
JP7433422B2 (ja) プレート式熱交換器、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及び伝熱プレートの製造方法
JPWO2013076751A1 (ja) プレート式熱交換器及びそれを用いた冷凍サイク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