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2565B1 - 외부침입자를 감지하도록 경광부를 구비한 도어록. - Google Patents

외부침입자를 감지하도록 경광부를 구비한 도어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2565B1
KR101552565B1 KR1020140093639A KR20140093639A KR101552565B1 KR 101552565 B1 KR101552565 B1 KR 101552565B1 KR 1020140093639 A KR1020140093639 A KR 1020140093639A KR 20140093639 A KR20140093639 A KR 20140093639A KR 101552565 B1 KR101552565 B1 KR 101552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door
switch
terminal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3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해담
Original Assignee
정해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해담 filed Critical 정해담
Priority to KR1020140093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25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2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2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9/00Locks giving indication of authorised or unauthorised unloc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0Mean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pening, e.g. for secur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Landscapes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록에 설치된 스위치의 (+)단자를 도어록의 손잡이를 회전시 손잡이와 연동되어 구동되는 캠축, 잠금쇄, 래치 연동되는 롤러에 설치하고, 스위치의 (-)단자를 도어록의 지지대에 설치하여 도어록 손잡이를 회전하여 도어록이 설치된 도어를 열때 스위치와 연결된 (+) 및 (-) 단자가 서로 연결되어 도어록의 고정용몸체에 설치된 발광부와 스위치와 연결된 경보기에서 동시에 발광 및 경보음을 발생하여 외부침입자를 즉시 알리도록한 외부침자를 감지하도록 발광부를 구비한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외부침입자를 감지하도록 경광부를 구비한 도어록.{DOORLOCK FOR SENSING A INVADER}
본 발명은 외부침입자를 감지하도록 경광부를 구비한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록에 설치된 스위치의 (+)단자를 도어록의 손잡이를 회전시 손잡이와 연동되어 구동되는 캠축, 잠금쇄, 래치 연동되는 롤러에 설치하고, 스위치의 (-)단자를 도어록의 지지대에 설치하여 도어록 손잡이를 회전하여 도어록이 설치된 도어를 열때 스위치와 연결된 (+) 및 (-) 단자가 서로 연결되어 도어록의 고정용몸체에 설치된 경광부와 스위치와 연결된 경보기에서 동시에 경광 및 경보음을 발생하여 외부침입자를 즉시 알리도록한 외부침자를 감지하도록 경광부를 구비한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 또는 사무실등의 도어는 도어록이 설치되어 있어 필요시 도어를 외부침입자가 손쉽게 열수 없도록 잠금어 사용하여 왔다.
이러한, 도어록(110)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운동이 가능하게한 롤러(1111)가 탄력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롤러(111)의 상측에는 도어(d)와 도어틀(da)을 일선에서 록킹하여 주는 잠금쇄(112)의 래치(113)가 결합되며, 상기 롤러(111)의 양측에는 캠운동에 의해 상기 롤러(111)를 강제하강시키기 위한 캠축(114)이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고, 양 상기 캠축(114)과 결합되는 손잡이(115)가 설치되며, 양 상기 캠축(114)에 고정용몸체(116)가 설치되고, 양 상기 고정용몸체(116)에 다수개의 지지대(117)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도어록(110)은 일반적으로 도어를 손쉽게 열고닫는 기능과, 도어(d)를 도어록(110)에 구성된 잠금장치를 잠금어 외부침입을 방지하도록 하였을뿐, 외부침입자가 도어록(110)에 구성된 잠금장치를 강제로 해제 또는 파손하여 도어(d)를 열어 도어(d)로 보호받고자하는 장소에 귀중품을 도난당하거나, 심지어 도어록(110)이 구비된 도어(d)가 설치된 장소에 도어록(110)을 잠그고 그 장소에 머무는 거주자가 있을경우 외부침입자가 도어록(110)의 잠금장치를 강제로 해제 또는 파손하여 침입시 도어록(110)이 구비된 도어(d)가 설치된 장소에 거주자는 외부침입자의 침입을 먼저 알수 없는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도어록에 설치된 스위치의 (+)단자를 도어록의 손잡이를 회전시 손잡이와 연동되어 구동되는 캠축, 잠금쇄, 래치 연동되는 롤러에 설치하고, 스위치의 (-)단자를 도어록의 지지대에 설치하여 도어록 손잡이를 회전하여 도어록이 설치된 도어를 열때 스위치와 연결된 (+) 및 (-) 단자가 서로 연결되어 도어록의 고정용몸체에 설치된 경광부와 스위치와 연결된 경보기에서 동시에 경광 및 경보음을 발생하여 외부침입자를 즉시 알리도록한 새로운 외부침자를 감지하도록 경광부를 구비한 도어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운동이 가능하게한 롤러(11)가 탄력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롤러(11)의 상측에는 도어(d)와 도어틀(da)을 일선에서 록킹하여 주는 잠금쇄(12)의 래치(13)가 결합되며, 상기 롤러(11)의 양측에는 캠운동에 의해 상기 롤러를 강제하강시키기 위한 캠축(14)이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고, 양 상기 캠축(14)과 결합되는 손잡이(15)가 설치되며, 양 상기 캠축(14)에 고정용몸체(16)가 설치되고, 양 상기 고정용몸체(16)에 다수개의 지지대(17)가 설치되어 구성되는 도어록(10)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10)에 설치된 스위치(20)와; 상기 잠금쇄(12) 및 상기 래치(13)와 연결되어 작동되는 상기 롤러(11)의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20)와 연결된 (+)단자(30a)와; 상기 (+)단자(30)와 접촉되도록 상기 지지대(17)에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20)와 연결된 (-)단자(30b)와; 상기 (+)단자(30a) 및 (-)단자(30b)와 연결되고 양 상기 고정용몸체(16)중 선택된 부위에 다수개의 경광부(40)가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록(10)이 설치된 도어(d)에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20)와 연결된 전원부(50)와, 상기 전원부(50)와 상기 스위치(20)와 연결된 접속공(60a)이 상기 도어(d)에 설치되고, 상기 접속공(60a)에 경보기(70)와 연결된 접속단자(60b)가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도어록에 설치된 스위치의 (+)단자를 도어록의 손잡이를 회전시 손잡이와 연동되어 구동되는 캠축, 잠금쇄, 래치 연동되는 롤러에 설치하고, 스위치의 (-)단자를 도어록의 지지대에 설치하여 도어록 손잡이를 회전하여 도어록이 설치된 도어를 열때 스위치와 연결된 (+) 및 (-) 단자가 서로 연결되어 도어록의 고정용몸체에 설치된 경광부와 스위치와 연결된 경보기에서 동시에 경광 및 경보음을 발생하여 외부침입자를 즉시 알려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도어록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안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외부침입자를 감지하도록 경광부를 구비한 도어록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외부침입자를 감지하도록 경광부를 구비한 도어록은 스위치(20)와, (+)단자(30a)와, (-)단자(30b)와, 경광부(40)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록(10)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운동이 가능하게한 롤러(11)가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롤러(11)의 상측에는 도어(d)와 도어틀(da)을 일선에서 록킹하여 주는 잠금쇄(12)의 래치(13)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롤러(11)의 양측에는 캠운동에 의해 상기 롤러를 강제하강시키기 위한 캠축(14)이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어 구성된다.
양 상기 캠축(14)과 결합되는 손잡이(15)가 설치되며, 양 상기 캠축(14)에 고정용몸체(16)가 설치되고, 양 상기 고정용몸체(16)에 다수개의 지지대(17)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스위치(20)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20)는 상기 도어록(10)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스위치(20)에는 (+)단자(30a)와, (-)단자(30b)가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단자(30a)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단자(30a)는 상기 잠금쇄(12) 및 상기 래치(13)와 연결되어 작동되는 상기 롤러(11)의 일단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단자(30b)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단자(30)와 접촉되도록 상기 지지대(17)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단자(30a)는 상기 도어록(10)의 상기 손잡이(15)를 회전시 상기 손잡이(15)와 연동되어 구동되는 상기 캠축(14)과, 상기 캠축(14)과 연동되어 구동되는 상기 잠금쇄(12) 및 상기 래치(13)와, 상기 잠금쇄(12) 및 상기 래치(13) 연동되는 상기 롤러(11)의 구동으로 상기 지지대(17)에 설치된 상기 (-)단자(30a)와 접촉되어 후술되는 경광부(40)를 경광시키도록 한다.
상기 경광부(40) 및 상기 스위치(20)는 상기 도어(d)에 설치된 전원부(50)와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경광부(40)는 상기 스위치(20)의 (-)단자(30b)와; 상기 (+)단자(30a) 및 (-)단자(30b)와 연결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경광부(40)는 양 상기 고정용몸체(16)중 선택된 부위에 다수개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경광부(40)들은 상기 고정용몸체(16)가 실내로 방향으로 설치된 부위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도어록(10)이 설치된 도어(d)에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20)와 연결된 전원부(50)로 구성된다.
상기 전원부(50)와 상기 스위치(20)와 연결된 접속공(60a)이 상기 도어(d)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접속공(60a)에 경보기(70)와 연결된 접속단자(60b)가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도어록(10)의 상기 고정용몸체(16)에 설치된 다수개의 상기 경광부(40)는 상기 도어록(10)에 구비된 상기 스위치(20)와 연결된 (+)단자(30a)와 (-)단자(30b)중 상기 (+)단자(30a)가 상기 도어록(10)의 구성인 상기 손잡이(15), 상기 캠축(14), 상기 잠금쇄(12), 상기 래치(13)가 서로 연동되어 구동되는 상기 롤러(11)의 구동으로 상기 지지대(17)에 설치된 (-)단자(30b)에 접촉되어 작동되어 경광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스위치(20)와 연결된 상기 경보기(70)도 또한 경보를 발생하여 상기 경광부(40) 및 상기 경보기(70)를 구비한 상기 도어록(10)으로 외부침입자를 손쉽게 알려주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도어록 11: 롤러 12: 잠금쇄 13: 래치 14: 캠축 15: 손잡이 16; 고정용몸체 17: 지지대 20: 스위치 30a: (+)단자 30b: (-)단자 40: 경광부 50: 전원부 60a: 접속공 60b: 접속단자 70: 경보기 d: 도어 da: 도어틀

Claims (2)

  1.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운동이 가능하게한 롤러(11)가 탄력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롤러(11)의 상측에는 도어(d)와 도어틀(da)을 일선에서 록킹하여 주는 잠금쇄(12)의 래치(13)가 결합되며, 상기 롤러(11)의 양측에는 캠운동에 의해 상기 롤러를 강제하강시키기 위한 캠축(14)이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고, 양 상기 캠축(14)과 결합되는 손잡이(15)가 설치되며, 양 상기 캠축(14)에 고정용몸체(16)가 설치되고, 양 상기 고정용몸체(16)에 다수개의 지지대(17)가 설치되어 구성되는 도어록(10)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10)에 설치된 스위치(20)와;
    상기 잠금쇄(12) 및 상기 래치(13)와 연결되어 작동되는 상기 롤러(11)의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20)와 연결된 (+)단자(30a)와;
    상기 (+)단자(30a)와 접촉되도록 상기 지지대(17)에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20)와 연결된 (-)단자(30b)와;
    상기 (+)단자(30a) 및 (-)단자(30b)와 연결되고 양 상기 고정용몸체(16)중 선택된 부위에 다수개의 경광부(40)가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침입자를 감지하도록 경광부를 구비한 도어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10)이 설치된 도어(d)에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20)와 연결된 전원부(50)와, 상기 전원부(50)와 상기 스위치(20)와 연결된 접속공(60a)이 상기 도어(d)에 설치되고, 상기 접속공(60a)에 경보기(70)와 연결된 접속단자(60b)가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침입자를 감지하도록 경광부를 구비한 도어록.
KR1020140093639A 2014-07-23 2014-07-23 외부침입자를 감지하도록 경광부를 구비한 도어록. KR101552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639A KR101552565B1 (ko) 2014-07-23 2014-07-23 외부침입자를 감지하도록 경광부를 구비한 도어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639A KR101552565B1 (ko) 2014-07-23 2014-07-23 외부침입자를 감지하도록 경광부를 구비한 도어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2565B1 true KR101552565B1 (ko) 2015-09-18

Family

ID=54248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3639A KR101552565B1 (ko) 2014-07-23 2014-07-23 외부침입자를 감지하도록 경광부를 구비한 도어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256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242B1 (ko) * 2007-08-09 2009-07-30 주식회사 아이필립 디지털 도어록의 방범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242B1 (ko) * 2007-08-09 2009-07-30 주식회사 아이필립 디지털 도어록의 방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9386B1 (ko) 잠금식별과 방범기능을 갖는 창호용 잠금장치
ATE360126T1 (de) Oberflächenmontiertes elektrisches schliessblech
EP1991748B1 (en) A door strike
JP2008531875A (ja) 窓およびドア用監視装置
JP3100285U (ja) アラーム発生出入装置
KR101552565B1 (ko) 외부침입자를 감지하도록 경광부를 구비한 도어록.
CN111954744B (zh) 开门通知和门把手/防恐杆位置表示装置
EP2561492B1 (en) Burglar alarm arrangement
KR102026664B1 (ko) 도어 개방 알림 및 패닉바 위치표시장치
KR101849097B1 (ko) 미닫이 창호용 안전 크리센트
JP5274273B2 (ja) 建物
KR20200060265A (ko) 개폐감지장치가 내장된 창호
KR101087277B1 (ko) 창문 잠금 장치
JP6758988B2 (ja) 引戸装置
JP2009102904A (ja) 建築用開閉体における防犯装置
KR20110007210U (ko) 보안수단이 구비된 창호용 잠금장치
JP3109392U (ja) バールでのドア破り用警報装置
JP2007186955A (ja) 施錠装置および施錠方法
JP2017066668A (ja) 電気錠を備えたドア装置
JP4949046B2 (ja) ドアロック装置の施錠状態検出装置
JP3185594U (ja) サムターンロック装置
KR100510980B1 (ko) 전자 도어록
JP4605794B2 (ja) クレセント及びクレセント付サッシ
JP2005163361A (ja) 外部開口部施錠構造
RU2002106341A (ru) Способ сигнализации о попытке проникновения в помещени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