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0265A - 개폐감지장치가 내장된 창호 - Google Patents

개폐감지장치가 내장된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0265A
KR20200060265A KR1020190147925A KR20190147925A KR20200060265A KR 20200060265 A KR20200060265 A KR 20200060265A KR 1020190147925 A KR1020190147925 A KR 1020190147925A KR 20190147925 A KR20190147925 A KR 20190147925A KR 20200060265 A KR20200060265 A KR 20200060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hook
opening
sensing member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7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9413B1 (ko
Inventor
서상훈
최재훈
김종태
이판대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주식회사 대현상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주식회사 대현상공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ublication of KR20200060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0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9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9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5/00Alarm locks
    • E05B45/06Electric alarm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05B65/0811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the bolts pivo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05B65/085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comprising simultaneously pivoting double hook-like lock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1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against burgla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08Mechanical actuation by opening, e.g. of door, of window, of drawer, of shutter, of curtain, of blin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5/00Alarm locks
    • E05B45/06Electric alarm locks
    • E05B2045/065Switch or sensor type used in alarm locks
    • E05B2045/0665Magnetic switches, e.g. reed- or hall-switch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 E05B2047/0068Door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05B2065/080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with a handle operating in both directions

Abstract

본 발명은 개폐감지장치가 내장된 창호에 관한 것으로써,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창짝의 한쪽 측면에 결합되고, 측면에 형성되는 축공으로 손잡이의 구동축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어 결합되는 손잡이 본체와, 창짝의 한쪽 측면 홈부에 매립되어 설치되며, 구동축 선단이 결합되는 구동기어와 구동기어에 연결되는 로드 및 로드의 상하에 연결되는 제1,2후크가 구비되는 하드웨어를 포함하며, 창짝이 창틀에 닫힐 때 제1,2후크가 창틀에 설치된 스트라이커에 맞닿아 회전되면서 스트라이커에 고정되고, 손잡이의 회전 조작에 따라 제1,2후크가 역회전되어 스트라이커로부터 해제되는 잠금장치 및 하드웨어의 설치되는 제1감지부재와, 제1감지부재와 수평의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창틀에 설치되어 제1감지부재와의 접근 여부에 따라 제1감지부재를 동작시켜주는 제2감지부재로 이루어진 감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개폐감지장치가 내장된 창호{Window with opening and closing sensing device inside}
본 발명은 창호의 열림이나 닫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개폐감지장치가 창호의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한 개폐감지장치가 내장된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는 실내와 실외를 격리시키는 벽체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햇빛과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유입시켜 실내 환기를 가능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창호의 한 종류인 미서기 창호는 창틀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레일이 돌출 형성되고, 그러한 레일에 적어도 한 쌍의 창짝이 슬라이딩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다.
아울러, 미서기 창호에는 외부인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창틀과 창짝이 맞닿는 부위에 손잡이와 연동되는 잠금장치가 구비되어 창짝을 잠금 또는 해제시킬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창호의 단순한 개폐 기능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창짝의 자동개폐, 환기, 방범 시스템 등을 접목시킨 창호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으며, 방법 시스템의 경우, 외부로부터 침입이 예측 가능한 곳에 복수의 센서를 장착하고, 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로 침입에 대한 경보음을 발생시키거나, 사용자 또는 경비 용역업체 또는 파출소 등으로 침입 사실을 알려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창호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창호에 설치되는 센서가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면서 미관상 보기 좋지 않으며, 보안에 취약한 구조를 가지게 되고, 외부에 노출된 센서가 외력에 의해 쉽게 손상되거나 오염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24077호(2014.08.13 공고)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창호의 개폐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개폐감지장치가 창호 내부의 잠금장치에 수용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개폐감지장치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면서 개폐감지장치의 설치 작업과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하고, 사용자가 개폐감지장치를 통해 창호의 개폐 상태를 효과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한 개폐감지장치가 내장된 창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위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개폐감지장치가 내장된 창호는 창짝의 프레임 일측 표면에 후면이 결합되고, 전면에서 후면으로 관통되는 축공에는 손잡이의 구동축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어 결합되는 손잡이 본체와,
창짝의 프레임 일측 홈부에 매립되어 설치되며, 구동축 선단이 결합되는 구동기어와 구동기어에 연결되는 로드 및 로드의 양측에 연결되는 제1후크와 제2후크가 구비되는 하드웨어를 포함하며, 창짝이 창틀에 닫힐 때 제1후크와 제2후크가 창틀의 돌출부에 설치된 스트라이커에 맞닿아 회전되면서 스트라이커에 고정되고, 손잡이의 회전 조작에 따라 제1,2후크가 역회전 되어 스트라이커로부터 해제되는 잠금장치와,
하드웨어에 설치되는 제1감지부재와, 제1감지부재와 수평의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창틀에 설치되어 제1감지부재와의 접근 여부에 따라 제1감지부재를 동작시켜주는 제2감지부재로 이루어진 감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하드웨어는 제1후크가 수용되는 제1후크 수용부와 구동기어가 수용되는 구동기어 수용부와, 제2후크가 수용되는 제2후크 수용부가 순차적으로 이격되어 지지바에 설치되고, 제1후크 수용부와 구동기어 수용부와 제1후크 수용부에는 각각 제1후크 커버와 구동기어 커버와 제2후크 커버가 덮여 결합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제1후크 수용부의 하단에는 제1감지부재가 수용되는 연장 수용부가 형성되고, 제1후크 커버 하단에는 연장 수용부에 덮여 결합될 수 있는 연장 커버가 형성되며, 연장 수용부의 전면에는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제2감지부재가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전면에 안착홈이 구비된 고정부재가 창틀의 돌출부에 설치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안착홈은 하나 이상의 끼움홈이 형성되고, 제2감지부재의 내면에는 끼움홈에 상응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끼움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제1감지부재는 리드스위치이며, 제2감지부재는 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손잡이 본체는 제1감지부재의 신호를 받아 선택한 단말기에 창짝의 개폐정보를 안내할 수 있도록 제어부가 구비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제어부는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고, 무선 신호가 게이트웨이(gateway)에 전달된 후 인터넷을 통해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과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단말기는 스마트폰, 태블릿PC, 휴대폰, 데스크탑, 노트북, 탭북, PDA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개폐감지장치가 내장된 창호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창호의 열림이나 닫힘을 감지할 수 있는 개폐감지장치가 창호의 잠금장치에 수용되면서 개폐감지장치가 창호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미관을 보기 좋게 할 수 있으며, 보안성을 향상시키고, 외력에 의한 손상 및 먼지나 이물질에 의한 오염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개폐감지장치를 구성하는 제1감지부재는 잠금장치에 간단하게 설치될 수 있고, 제2감지부재는 창틀에 고정부재를 통하여 간단하게 설치됨에 따라 개폐감지장치의 설치 작업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으며, 제1감지부재나 제2감지부재의 점검이나 교체 등을 간편하게 할 수 있어 개폐감지장치의 유지 및 관리의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개폐감지장치가 손잡이 본체에 구비되는 제어부와 연결되면서 제어부가 개폐감지장치의 신호에 따른 창호의 개폐 상태를 사용자에게 신속하게 안내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이와 같이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한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창호에 손잡이 본체가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정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창호에 손잡이 본체가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창짝에 설치되는 손잡이 본체와 잠금장치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창짝에 설치되는 잠금장치를 예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창짝에 설치되는 잠금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감지부재가 설치된 잠금장치와 제2감지부재가 설치된 고정부재를 예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창짝이 창틀에 닿으면서 잠금장치의 제1후크와 제2후크가 스트라이커에 고정된 상태를 예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8 은 도 7 의 A 부분을 확대하여 제1감지부재와 제2감지부재의 근접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손잡이 본체의 구성을 예시한 요부 분리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내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하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판단되어야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개폐감지장치가 내장된 창호의 구성은 손잡이 본체와, 잠금장치와, 감지수단으로 크게 구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구분되는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예시된 도면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손잡이 본체(100)는,
도 1 및 도 2 에 예시한 바와 같이 후면이 창짝(10)의 프레임(11) 한쪽 표면에 설치되며, 전면에는 창틀(20)에 설치된 창짝(10)을 슬라이딩시키기 위해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120)가 설치되고, 이러한 손잡이(120)의 소정 각도 회전을 통해 창틀(20)로부터 창짝(10)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도 3 및 도 9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 본체(100)는 전면에서 후면으로 축공(110)이 관통 형성되고, 이러한 축공(110)에는 손잡이(120)의 상측에 형성된 구동축(121)이 관통 연결되며, 구동축(121)은 후술되는 잠금장치(200)의 구동기어(202)와 연결됨에 따라 손잡이(120)의 회전에 의해 잠금장치(200)의 구동기어(202)가 구동된다.
참고로 손잡이 본체(100)의 축공(110)에 결합된 손잡이(120)는 축공(110)에 구비되는 스프링과 연계되어 설치됨에 따라 손잡이(12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손잡이(120)는 수직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손잡이(120)에 외력이 가해져 회전되면 스프링이 압축된 상태가 되며, 손잡이(120)에 가해졌던 외력이 제거되면 회전되었던 손잡이(120)는 원상태인 수직 상태를 다시 유지하게 된다.
잠금장치(200)는,
도 2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창틀(20)에 창짝(10)이 닫힌 상태에서 열리는 것을 방지해주며, 창짝(10)의 프레임(11)에서 창틀(20)을 향하는 쪽 측면 홈부(12)에 매립되는 상태로 설치된다.
도 3 내지 도 5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잠금장치(200)는 구동기어(202)와, 그러한 구동기어(202)에 상하 방향으로 연결되는 로드(204)와, 로드(204)의 상측과 하측에 설치되는 제1후크(206) 및 제2후크(208)가 마련되는 하드웨어(2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동기어(202)는 전술한 손잡이(120)의 구동축(121)과 결합되면서 손잡이(120)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며, 구동기어(202)와 연결된 로드(204)는 구동기어(202)의 회전에 따라 승강 작용을 하게 되고, 승강 작용하는 로드(204)에 의해 제1후크(206)와 제2후크(208)가 회전을 하게 되며, 제1후크(206)와 제2후크(208)는 토션스프링에 의해 회전된 상태에서 원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하드웨어(210)는 도 4 와 같이 구동기어(202)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전면이 개방되며 함몰된 형태의 공간부를 가지는 구동기어 수용부(213)가 지지바(217)의 중앙에 형성되고, 지지바(217)의 상측에는 제1후크(206)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전면이 개방되며 함몰된 형태의 공간부를 가지는 제1후크 수용부(211)가 형성되며, 지지바(217)의 하측에는 제2후크(208)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전면이 개방되며 함몰된 형태의 공간부를 가지는 제2후크 수용부(215)가 형성될 수 있다.
구동기어 수용부(213)와 제1후크 수용부(211)와 제2후크 수용부(215)의 개방된 전면으로는 각각 구동기어 커버(214)와 제1후크 커버(212)와 제2후크 커버(216)가 덮여져 결합 되면서 구동기어(202)와 제1후크(206)와 제2후크(208)를 보호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구동기어 수용부(213)와 제1후크 수용부(211)와 제2후크 수용부(215)의 개방된 전면은 하나의 커버를 통해 덮여져 결합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 와 같이 구동기어 수용부(213)에는 후면과 구동기어 커버(214)에 서로 일치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된 구동기어(202)의 구멍과 연통되며, 제1후크 수용부(211)와 제2후크 수용부(215)의 한쪽 측면과 이웃한 상면에는 내부에 수용된 제1후크(206)의 선단부와 제2후크(208)의 선단부가 외부에 돌출될 수 있도록 "ㄱ" 형태의 개방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 7 에서와 같이 제1후크(206)와 제2후크(208)는 창짝(10)의 닫힘 시 제1후크(206)와 제2후크(208)의 선단부 경사면이 창틀(20)의 내주면에 설치된 스트라이커(30)와 맞닿게 되고, 제1후크(206)와 제2후크(208)의 계속된 이동에 따라 제1후크(206)와 제2후크(208)가 소정 각도 회전되면서 각각의 선단부가 스트라이커(30)의 안쪽 걸림홈에 탄력적으로 걸리게 되어 창짝(10)은 잠금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잠금 상태의 창짝(10)은 손잡이(120)를 회전시켜 구동축(121)을 통해 구동기어(202)를 회전시키면 구동기어(202)와 로드(204)를 통해 연결된 제1후크(206) 및 제2후크(208)가 역회전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후크(206)와 제2후크(208)가 스트라이커(30)의 걸림홈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창짝(1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상태에서 손잡이(120)를 횡방향으로 이동시켜 창짝(10)을 개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 내지 도 5 에서와 같이 구동기어 수용부(213)에는 중간기어(203)를 통해 연동되면서 창틀(20)의 내주면 측으로 선회 돌출되는 아암(205)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아암(205)은 창짝(10)의 개방을 위하여 손잡이(120)의 회전시 구동기어(202)의 회전에 따른 중간기어(203)의 회전을 통해 선회 돌출되면서 창틀(20) 내주면을 밀어줌에 따라 창짝(10)을 개방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시켜 창짝(10)의 용이한 개방을 보조할 수 있는 것이다.
감지수단(300)은,
창틀(20)과 창짝(10)에 구비되어 창틀(20)과 창짝(10)의 닿음 여부를 판단하여 창짝의 개폐를 판단하게 된다.
감지수단(300)은 어느 하나의 형태로 한정될 필요 없이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발광부와 수광부로 이루어지는 적외선감지센서 또는 리드스위치와 자석으로 이루어지는 마그넷센서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마그넷센서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즉, 도 6 에서와 같이 감지수단(300)은 리드스위치가 될 수 있는 제1감지부재(310)와, 자석이 될 수 있는 제2감지부재(32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감지부재(310)는 전술한 창짝(10)에 설치되는 잠금장치(200)의 하드웨어(210)에 내재될 수 있고, 제2감지부재(320)는 창틀(2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제1감지부재(310)와 제2감지부재(320)는 횡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놓이도록 구성됨에 따라 창짝(10)의 이동에 따라 잠금장치(200)에 위치한 제1감지부재(310)가 창틀에 위치한 제2감지부재(320)와의 접근 여부를 통해 창짝(10)의 개방 내지 폐쇄가 판단될 수 있다.
잠금장치(200)의 하드웨어(210)에 제1감지부재(310)가 내재되도록 구성됨에 있어서, 바람직한 실시 예로는 도 4 와 같이 하드웨어(210)의 제1후크 수용부(211) 하측에 전면이 개방된 상태에서 함몰된 공간부를 가지는 연장 수용부(211a)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이러한 연장 수용부(211a)에 제1감지부재(310)가 설치되며, 연장 수용부(211a)의 개방된 전면은 제1후크 커버(212)의 하단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 커버(212a)에 의해 덮여져 결합된다.
연장 수용부(211a)는 창틀(20)을 향하는 측면에 절개부(211b)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절개부(211b)는 도 7 및 도 8 에서와 같이 창짝(10)이 창틀(20)에 닿아 제1감지부재(310)가 창틀의 제2감지부재(320)에 근접될 때, 제2감지부재(320)의 자력선이 연장 수용부(211a)의 간섭 없이 제1감지부재(310)를 정확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제2감지부재(320)는 창틀(20)에 설치됨에 있어서, 창틀(20)의 돌출부(21)에 직접 고정될 수도 있지만, 고정부재(400)를 통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고정부재(400)는 도 6 에서와 같이 전면에 내부를 향하여 소정 깊이의 함몰된 안착홈(410)이 형성됨에 따라 이러한 안착홈(410)으로 제2감지부재(320)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재(400)의 안착홈(410)에는 체결공이 형성되면서 창틀(20)의 돌출부(21)에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될 수 있고, 체결공에 체결된 체결부재의 머리는 안착홈(410)에 결합되는 제2감지부재(320)에 의해 가려지게 된다.
다른 실시 예로 도 6 및 도 8 에서와 같이 고정부재(400)의 안착홈(410)에는 하나 이상의 끼움홈(411)이 구비될 수 있으며, 고정부재(400)의 안착홈(410)에 결합되는 제2감지부재(320)의 안쪽면에는 그러한 끼움홈(411)과 대응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끼움돌기(322)가 형성되어 끼움돌기(322)와 끼움홈(411)의 억지끼움을 통해 고정부재(400)에 제2감지부재(320)를 간단하고 신속하면서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고정부재(400)로부터 제2감지부재(320)를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도 있다.
한편, 고정부재(400)의 안착홈(410)에 체결되어 있는 체결부재의 머리가 고정부재(400)의 안착홈(410)에 결합되는 제2감지부재(320)의 안쪽면과 간섭되어 제2감지부재(320)가 안착홈(410)에 정확하게 결합되지 못하거나, 결합된 후 쉽게 분리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안착홈(410)에 체결부재의 머리가 수용되는 머리 안착홈을 형성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 6 및 도 8 과 같이 제2감지부재(320)의 안쪽면 양측에 돌출된 형태의 다리부(321)를 각각 형성하고, 그러한 다리부(321)의 전면에 끼움돌기(322)를 형성함으로써, 고정부재(400)의 안착홈(410)에 제2감지부재(320)를 결합시키면 다리부(321) 사이에 공간부가 만들어짐에 따라 체결부재의 머리와 제2감지부재(320)의 안쪽면과 간섭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1감지부재(310)는 제2감지부재(320)의 근접에 따라 작동되면서 신호를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신호는 도 9 와 같이 손잡이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어부(130)에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무선통신의 기능이 구비되어 무선 신호가 게이트웨이(gateway)에 전달된 후 인터넷을 통해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과 연결될 수 있으며, 무선통신은 와이파이(Wi-fi)가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통신은 와이파이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지그비(zigbee) 무선 통신이 사용될 수도 있다.
참고로, 지그비 무선 통신은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IEEE 802154 표준 중 하나를 말하며, 가정, 사무실 등의 무선 네트워킹 분야에서 10 ~ 20m 내외의 근거리 통신과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위한 기술이고, 전력소모를 최소화하는 대신 소량의 정보를 소통시키는 개념이다.
이 밖에 무선 통신은 RF통신이나, 블루투스, Z-wave, 와이브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적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단말기는 휴대가 간편하고,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설치가 간편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스마트폰 이외에 태블릿PC, 휴대폰, 데스크탑, 노트북, 탭북, PDA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창을 통해 창짝(10)의 개폐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제어부(130)는 창호에 부가적으로 설치되는 동작감지장치 등을 통해 창호의 개폐상태와 함께 외부인의 침입을 판단하여 단말기를 물론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지인, 보안업체, 관리사무소, 파출소 등을 포함한 특정 연락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문자메시지 또는 전화를 걸어 침입 상황을 즉각 통보해주거나, 손잡이 본체(100) 등에 부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스피커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시켜 외부인의 침입에 대한 조치를 취할 수도 있다.
아울러, 손잡이 본체(100)의 전면에는 제어부(130)와 연결되며 전원공급부(140)의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함으로써, 창호의 개폐를 판단한 제어부(130)의 신호를 받아 창짝(10)의 개폐 상태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안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라 잠금장치(200)에 개폐감지장치가 조립되는 과정과 개폐감지장치의 동작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잠금장치(200)에 개폐감지장치가 조립되는 과정을 보면 도 3 과 도 4 와 같이 하드웨어(210)의 제1후크 수용부(211)에 연장 설치되어 있는 연장 수용부(211a)에 제1감지부재(310)를 끼우고, 제1후크 수용부(211)에 제1후크 커버(212)를 결합시키면 제1후크 커버(212)에 연장 형성된 연장 커버(212a)가 자연적으로 연장 수용부(211a)에 결합되어 제1감지부재(310)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는 제1감지부재(310)를 점검 및 교체하는 경우, 제1후크 수용부(211)로부터 제1후크 커버(212)를 분리시키면 연장 수용부(211a)가 자연적으로 개방되어 제1감지부재(310)의 점검이나 교체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잠금장치(200)는 창짝(10)의 프레임(11) 측면에 형성된 홈부(12)에 매립되어 설치되며, 창짝(10)의 프레임(11) 표면에 손잡이 본체(100)가 결합되면서 손잡이 본체(100)의 전면을 통해 결합된 손잡이(120)의 구동축(121)은 잠금장치(200)의 구동기어(202)와 연결된다.
그리고 도 6 과 같이 창틀(20)의 돌출부(21)에는 제1감지부재(310)와 수평한 동일 선상을 유지하는 부위에 고정부재(400)가 결합되고, 이러한 고정부재(400)의 안착홈(410)에 제2감지부재(320)가 끼워져 결합된다.
따라서, 도 7 과 같이 창짝(10)의 잠금장치(200)가 창틀(20)에 접근하여 잠금장치(200)의 제1후크(206)와 제2후크가 창틀(20)의 스트라이커(30)에 결합되면 창짝(10)의 잠금장치(200)에 설치된 제1감지부재(310)가 창틀(20)의 고정부재(400)에 설치된 제2감지부재(320)에 근접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2감지부재(320)의 자력범위에 제1감지부재(310)가 들어오게 되면 제1감지부재(310)에 전기가 통하게 되며, 이러한 제1감지부재(310)와 연결된 제어부(130)에 제1감지부재(310)의 신호가 인가되면서 제어부(130)가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단말기에 창짝(10)의 상태를 전달하게 됨으로써, 사용자는 창짝(10)의 개폐 여부를 단말기를 통해 신속하고 편리하게 인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한 설명을 하였으나, 기재된 내용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기재된 내용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질 필요는 없으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창짝 11 : 프레임
12 : 홈부 20 : 창틀
21 : 돌출부 30 : 스트라이커
100 : 손잡이 본체 110 : 축공
120 : 손잡이 130 : 제어부
140 : 전원공급부 121 : 구동축
202 : 구동기어 203 : 중간기어
204 : 로드 205 : 아암
206 : 제1후크 208 : 제2후크
210 : 하드웨어 211 : 제1후크 수용부
211a : 연장 수용부 211b : 절개부
212 : 제1후크 커버 212a : 연장 커버
213 : 구동기어 수용부 214 : 구동기어 커버
215 : 제2후크 수용부 216 : 제2후크 커버
217 : 지지바 300 : 감지수단
310 : 제1감지부재 320 : 제2감지부재
321 : 다리부 322 : 끼움돌기
400 : 고정부재 410 : 안착홈
411 : 끼움홈

Claims (9)

  1. 창짝(10)의 프레임(11) 일측 표면에 후면이 결합되고, 축공(110)에 손잡이(120)의 구동축(121)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 본체(100);
    상기 구동축(121) 선단과 결합되는 구동기어(202)와, 상기 구동기어(202)와 연결되는 로드(204) 및 상기 로드(204)의 상하에 제1후크(204), 제2후크(208)가 마련되는 하드웨어(210)를 포함하며, 상기 창짝(10)의 프레임(11) 일측 홈부(12)에 설치되는 잠금장치(200); 및
    상기 하드웨어(210)에 설치되는 제1감지부재(310)와 창틀(20)에 설치되는 제2감지부재(320)로 구성되는 감지수단(300);
    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감지장치가 내장된 창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웨어(210)는,
    상기 제1후크(206)가 수용되는 제1후크 수용부(211)와 상기 구동기어(202)가 수용되는 구동기어 수용부(213)와, 상기 제2후크(208)가 수용되는 제2후크 수용부(215)가 순차적으로 이격되어 지지바(217)에 설치되고, 상기 제1후크 수용부(211)와 상기 구동기어 수용부(213)와 상기 제1후크 수용부(211)에는 각각 제1후크 커버(212)와 구동기어 커버(214)와 제2후크 커버(216)가 덮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감지장치가 내장된 창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후크 수용부(211)의 하단에는 상기 제1감지부재(310)가 수용되는 연장 수용부(211a)가 형성되고, 상기 제1후크 커버(212) 하단에는 상기 연장 수용부(211a)에 덮여 결합될 수 있는 연장 커버(212a)가 형성되며, 상기 연장 수용부(211a)의 전면에는 절개부(211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감지장치가 내장된 창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감지부재(320)가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전면에 안착홈(410)이 구비된 고정부재(400)가 상기 창틀(20)의 돌출부(21)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감지장치가 내장된 창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410)은 하나 이상의 끼움홈(411)이 형성되고, 상기 제2감지부재(320)의 내면에는 상기 끼움홈(411)에 상응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끼움돌기(32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감지장치가 내장된 창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부재(310)는 리드스위치이며, 상기 제2감지부재(320)는 자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개폐감지장치가 내장된 창호.
  7. 제 1 항에 있어서,
    손잡이 본체(100)는,
    상기 제1감지부재(310)의 신호를 받아 선택한 단말기에 창짝(10)의 개폐정보를 안내할 수 있도록 제어부(13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감지장치가 내장된 창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30)는,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고, 무선 신호가 게이트웨이(gateway)에 전달된 후 인터넷을 통해 상기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과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감지장치가 내장된 창호.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스마트폰, 태블릿PC, 휴대폰, 데스크탑, 노트북, 탭북, PDA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감지장치가 내장된 창호.
KR1020190147925A 2018-11-22 2019-11-18 개폐감지장치가 내장된 창호 KR1023494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45688 2018-11-22
KR1020180145688 2018-11-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0265A true KR20200060265A (ko) 2020-05-29
KR102349413B1 KR102349413B1 (ko) 2022-01-12

Family

ID=70912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7925A KR102349413B1 (ko) 2018-11-22 2019-11-18 개폐감지장치가 내장된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94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3700B1 (ko) 2021-03-31 2022-04-11 주식회사 대림 창호개폐 감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범관리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6827B1 (ko) * 2006-07-24 2007-10-17 주식회사 경동네트웍 도어록을 통한 보안기능 향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24077B1 (ko) 2013-09-27 2014-08-13 주식회사 삼에스코리아 창호를 위한 방범 시스템
KR20140130285A (ko) * 2013-04-30 2014-11-10 이영재 자동 작동방식의 창문 경보장치와 이를 이용한 경보 방법
KR101833524B1 (ko) * 2017-01-13 2018-03-02 주식회사 대현상공 잠금식별이 가능한 창호용 잠금장치
JP2018511718A (ja) * 2015-02-13 2018-04-26 キャンディー・ハウ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スマートロックの制御方法、スマートロック、ロック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6827B1 (ko) * 2006-07-24 2007-10-17 주식회사 경동네트웍 도어록을 통한 보안기능 향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130285A (ko) * 2013-04-30 2014-11-10 이영재 자동 작동방식의 창문 경보장치와 이를 이용한 경보 방법
KR101424077B1 (ko) 2013-09-27 2014-08-13 주식회사 삼에스코리아 창호를 위한 방범 시스템
JP2018511718A (ja) * 2015-02-13 2018-04-26 キャンディー・ハウ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スマートロックの制御方法、スマートロック、ロックシステム
KR101833524B1 (ko) * 2017-01-13 2018-03-02 주식회사 대현상공 잠금식별이 가능한 창호용 잠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3700B1 (ko) 2021-03-31 2022-04-11 주식회사 대림 창호개폐 감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범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9413B1 (ko) 2022-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7687B1 (ko) 스마트 창호용 방범 시스템
TW202136627A (zh) 門方位偵測電路及門硬體總成
KR101849386B1 (ko) 잠금식별과 방범기능을 갖는 창호용 잠금장치
US20170138762A1 (en) Door-window sensor
KR20190061623A (ko) 자동 잠금 기능을 구비하는 창호
JP2008531875A (ja) 窓およびドア用監視装置
US20220251875A1 (en) A Module and an Attachment System
KR20200060265A (ko) 개폐감지장치가 내장된 창호
KR100718290B1 (ko) 자동방범기능을 갖춘 건축용 창구조
US10234307B1 (en) Slot-based fenestration unit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s
US20220341229A1 (en) Casement window locking bar sensor
KR20150122399A (ko) 방범 창호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JP2011169041A (ja) 窓の開閉検出システム
JP4929493B2 (ja) ホームセキュリティーシステム
JP2013049977A (ja) 引き違い窓の安全装置
KR101096583B1 (ko) 이단 열림구조가 있는 건축물의 현관문
KR101061147B1 (ko) 소리 나는 도어 핸들
EP3421703A1 (en) Pressure sensor unit for a window or door
KR101733112B1 (ko) 현관문용 힌지장치
KR20110007210U (ko) 보안수단이 구비된 창호용 잠금장치
KR100513252B1 (ko) 공동주택용 창문 비상 확인시스템
KR20130015516A (ko) 문틀 수납 시스템
JP2005113616A (ja) アラーム装置、および開口部装置
KR101776689B1 (ko) 비상문 제어장치
KR200463601Y1 (ko) 자동 미닫이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