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3700B1 - 창호개폐 감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범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창호개폐 감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범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3700B1
KR102383700B1 KR1020210042308A KR20210042308A KR102383700B1 KR 102383700 B1 KR102383700 B1 KR 102383700B1 KR 1020210042308 A KR1020210042308 A KR 1020210042308A KR 20210042308 A KR20210042308 A KR 20210042308A KR 102383700 B1 KR102383700 B1 KR 102383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user
monitoring system
indoor
out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2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권
권경우
이지용
강민우
송현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림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림,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림
Priority to KR1020210042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37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3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3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08Mechanical actuation by opening, e.g. of door, of window, of drawer, of shutter, of curtain, of blin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실내창호와 실외창호를 포함하는 창호의 개폐를 감지하는 감지시스템으로서, 상기 실내창호에 부착되는 제1 자석; 상기 실외창호에 부착되는 제2 자석; 및 상기 실내창호 및 상기 실외창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폐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센서 어셈블리로서, 상기 제1 자석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장의 적어도 일부를 센싱하도록 배치된 내측센서; 상기 제2 자석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장의 적어도 일부를 센싱하도록 배치된 외측센서; 세대단말기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통신모듈; 사용자의 동작을 센싱하도록 구성된 동작 감지센서; 및 상기 내측센서, 상기 외측센서 및 상기 통신모듈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생성된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는 센서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시스템이 상기 창호의 내측에 위치하는, 창호개폐 감지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창호개폐 감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범관리 방법{Window Opening/Closing Monitoring System and Security Managing Method Using Thereof}
본 개시는 창호개폐 감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범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개시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건물의 출입구나 창구에 마련되는 창호의 개폐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에 관해 다수의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이로 인해, 해당 분야는 지속적으로 발전해왔다.
일 예로, 일본 등록특허 제6238157호는 하나 이상의 영구자석을 이용하여 창틀의 개폐 상태를 정확하게 검출하는 창호용 개폐 검출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해당 창호용 개폐 검출 장치는, 단일 창호에만 적용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이로 인해, 이중창이 사용되는 최근 건물에 적용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보호자가 부재 중인 상황에서, 노약자나 어린이가 창호를 통한 추락하는 사고 등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안전에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JP 6238157 B2 KR 10-2020-0060265 A KR 10-2020-0081092 A
이에, 본 개시는 이중창에도 사용 가능한 창문개폐 감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범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개시는 보호자가 부재 중인 상황에서도 창호개폐를 감시함으로써, 불의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창문개폐 감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범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실내창호와 실외창호를 포함하는 창호의 개폐를 감지하는 감지시스템으로서, 상기 실내창호에 부착되는 제1 자석; 상기 실외창호에 부착되는 제2 자석; 및 상기 실내창호 및 상기 실외창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폐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센서 어셈블리로서, 상기 제1 자석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장의 적어도 일부를 센싱하도록 배치된 내측센서; 상기 제2 자석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장의 적어도 일부를 센싱하도록 배치된 외측센서; 세대단말기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통신모듈; 사용자의 동작을 센싱하도록 구성된 동작 감지센서; 및 상기 내측센서, 상기 외측센서 및 상기 통신모듈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생성된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는 센서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시스템이 상기 창호의 내측에 위치하는, 창호개폐 감지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에 의한 창호개폐 감지시스템은, 상기 세대단말기와 통신 가능하며 재실여부를 센싱하도록 구성된 재실여부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재실여부 감지센서는 미리 설정된 규칙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재실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에 의한 창호개폐 감지시스템은, 상기 세대단말기와 통신하는 제2 제어부; 및 상기 제2 제어부 및 공동주택 관리자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홈네트워크 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에 의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센서 어셈블리에 의해 센싱된 실외창호 및 실내창호의 개폐여부; 상기 재실여부 감지센서에 의해 센싱된 재실여부 정보; 및 상기 동작 감지센서에 의해 센싱된 동작정보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방법에 의해 상기 실내창호 및 상기 실외창호의 개폐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에 의한 창호개폐 감지시스템은, 상기 제2 제어부에 의해 기본모드, 외출 준비모드, 외출 복귀모드 및 어린이 및 노약자 보호모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모드로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에 의한 상기 제2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취득되는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재실여부를 파악한다.
또한, 본 개시에 의한 창호개폐 감지시스템을 이용한 방범관리 방법에 있어서, (a1) 상기 제2 제어부에 의해 기본모드가 선택되는 단계; (a2) 상기 실내창호의 개폐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a3) 상기 실외창호의 개방 시도가 감지되는 단계; (a4) 상기 실내창호가 폐쇄된 상태이고, 상기 실외창호의 개방 시도가 있는 경우, 외부인의 침입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단계; 및 (a5) 사용자에게 알림에 제공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에 의한 상기 (a2) 단계는, (a2-1) 상기 실내창호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기본모드가 종료되는 단계; 및 (a2-2) 상기 실내창호가 폐쇄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a3) 단계가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에 의한 창호개폐 감지시스템은, 상기 (a3) 단계에서 상기 실외창호의 개방 시도가 감지되지 아니하는 경우, 상기 (a2) 단계가 수행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에 의한 방법은, (a6) 상기 (a5) 단계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공동주택 관리자에게 긴급알림이 제공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에 의한 창호개폐 감지시스템을 이용한 방범관리 방법에 있어서, (b1) 상기 제2 제어부에 의해 외출준비 모드가 선택되는 단계; (b2) 사용자의 외출이 감지되는 단계; (b3) 상기 실외창호 및 상기 실내창호의 개폐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및 (b4) 사용자에게 알림이 제공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에 의한 상기 (b2) 단계는, (b2-1) 상기 실외창호 및 상기 실내창호가 모두 개방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b3) 단계가 수행되는 단계; 및 (b2-2) 상기 실외창호 및 상기 실내창호 중 하나 이상이 폐쇄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외출준비 모드가 종료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에 의한 창호개폐 감지시스템을 이용한 방범관리 방법에 있어서, (c1) 상기 재실여부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외출한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 외출모드가 개시되는 단계; (c2) 사용자가 일정 반경 이내에 진입하였는지 판단되는 단계; 및 (c3) 사용자가 일정 반경 이내에 진입하였다고 판단되면, 사용자 외출모드가 해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에 의한 상기 사용자 외출모드는, 상기 기본모드의 로직과 동일한 로직으로 구동된다.
또한, 본 개시에 의한 창호개폐 감지시스템을 이용한 방범관리 방법에 있어서, (d1) 상기 제2 제어부에 의해 어린이 및 노약자 보호모드가 선택되는 단계; (d2) 지정된 공간에 형성된 실내창호의 개방 시도가 감지되는 단계; 및 (d3) 사용자에게 알림이 제공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에 의한 상기 어린이 및 노약자 보호모드는, 상기 재실여부 감지센서에 의해 센싱된 사용자가 어린이 또는 노약자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사용자인 경우에만 개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창호개폐 감지시스템은 이중창에 적합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창호개폐 감지시스템은 보호자가 부재 중이거나 수면 중인 상황에서도 노약자 또는 어린이의 창호 개방 시도를 감지함으로써, 불의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가 부착된 창호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창호를 Ⅱ-Ⅱ' 방향으로 절단한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창호를 Ⅲ-Ⅲ' 방향으로 절단한 종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개폐 감지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개폐 감시시스템이 기본모드로 작동할 때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개폐 감시시스템이 외출 준비모드로 작동할 때의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개폐 감시시스템이 외출 복귀모드로 작동할 때의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개폐 감시시스템이 어린이 및 노약자 보호모드로 작동할 때의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개폐 시스템이 사용자 단말기에 알림을 제공할 때의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가 부착된 창호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i), ii),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나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세대"는 생활을 같이하는 1인 또는 다수의 사람이 공통 거주하는 공간을 의미한다. 주거, 상업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파트와 같은 주거용 건물에 거주하는 다수의 세대 각각을 지칭할 수도 있으며, 또는 상업 시설에서 개별적으로 입주한 사무실 단위를 지칭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사용자"는 본 발명을 이용하는 사람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각 세대 거주자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단말기"는 정보 처리가 가능한 모든 기기를 의미한다. "세대단말기"는 각 세대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월패드(wall pad)일 수 있다. 이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자가 구비하여 사용하는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 단말기"라고 지칭하며, 이는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등 다양한 기기일 수 있다.
이하에서, 센서 어셈블리가 미닫이 이중창호에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단일창호, 여닫이, 양문형 창호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양지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한다.
센서 어셈블리의 구성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가 부착된 창호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창호를 Ⅱ-Ⅱ' 방향으로 절단한 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100)는 실외창호(
Figure 112021038083481-pat00001
) 및 실내창호(
Figure 112021038083481-pat00002
)의 사이에 배치된다. 더 구체적으로, 센서 어셈블리(100)는 실내창호(
Figure 112021038083481-pat00003
)에 부착된 제1 자석(11) 및 실외창호(
Figure 112021038083481-pat00004
)에 부착된 제2 자석(12)의 사이에 배치된다.
센서 어셈블리(100)는 부착부(170)에 의해 창틀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부착부(170)는 바람직하게는 센서 어셈블리(100)가 부착되는 일 면 및 창틀에 고정되는 다른 면을 포함한다.
센서 어셈블리(100)는 제1 자석(11)으로부터 생성되는 자기장 및 제2 자석(12)으로부터 생성되는 자기장의 적어도 일부를 센싱하도록 구성된다.
실내창호(
Figure 112021038083481-pat00005
)가 개방되면 제1 자석(11)이 센서 어셈블리(100)로부터 이격되고, 센서 어셈블리(100)는 실내창호(
Figure 112021038083481-pat00006
)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실외창호(
Figure 112021038083481-pat00007
)가 개방되면 제2 자석(12)이 센서 어셈블리(100)로부터 이격되고, 센서 어셈블리(100)는 실외창호(
Figure 112021038083481-pat00008
)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한다.
도 3은 도 1의 창호를 Ⅲ-Ⅲ' 방향으로 절단한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개폐 감지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100)는 내측센서(110), 외측센서(120), 동작 감지센서(130), 통신모듈(140), 제1 제어부(150) 및 배터리부(16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내측센서(110)는 센서 어셈블리(100)의 내부에 제1 자석(11)에 대면하도록 배치된다. 이로 인해, 내측센서(110)는 제1 자석(11)으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의 적어도 일부를 센싱하도록 구성된다. 내측센서(110)가 센싱하는 자기장 수치는 제1 제어부(150)에게 전달된다.
외측센서(120)는 센서 어셈블리(100)의 내부에 제2 자석(12)에 대면하도록 배치된다. 이로 인해, 외측센서(120)는 제2 자석(12)으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의 적어도 일부를 센싱하도록 구성된다. 외측센서(120)가 센싱하는 자기장 수치는 제1 제어부(150)에게 전달된다.
실내창호(
Figure 112021038083481-pat00009
)가 개방되는 경우, 내측센서(110)는 제1 자석(11)으로부터의 자기장 변동을 감지한다. 제1 자석(11)의 자기장 변동은 제1 제어부(150)에게 전달되고, 제1 제어부(150)는 실내창호(
Figure 112021038083481-pat00010
)가 개방되는 상태 또는 실내창호(
Figure 112021038083481-pat00011
)가 개방된 상태로 판단한다.
실외창호(
Figure 112021038083481-pat00012
)가 개방되는 경우, 외측센서(120)는 제2 자석(12)으로부터의 자기장 변동을 감지한다. 제2 자석(12)의 자기장 변동은 제1 제어부(150)에게 전달되고, 제1 제어부(150)는 실외창호(
Figure 112021038083481-pat00013
)가 개방되는 상태 또는 실외창호(
Figure 112021038083481-pat00014
)가 개방된 상태로 판단한다.
본 개시에 의한 센서 어셈블리(100)는, 실외창호(
Figure 112021038083481-pat00015
) 및 실내창호(
Figure 112021038083481-pat00016
)의 개폐여부가 동시에 센싱함으로써, 창호개폐 감지시스템(1)은 외부인의 침입 여부를 정확히 인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동작 감지센서(130)는 센서 어셈블리(1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동작 감지센서(130)는 사용자의 동작을 센싱하도록 형성된다.
사용자의 동작을 파악하기 위하여, 동작 감지센서(130)가 라이다센서(LiDAR sensor), 센서(RADAR sensor), 열화상센서, 초음파센서, UWB 센서(ultra-wide band sensor)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140)은 세대단말기(14, 도 5 참조)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통신모듈(140)의 통신방법은 무선통신임이 바람직하다. 이때, 무선통신은 인터넷(internet), BLE(Bluetooth low energy), 적외선(infrared), 직비(zigbee), 와이파이(wi-fi), 로라(LoRa) 중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무선통신 기술영역에서 알려진 여러가지 무선통신 방법으로 갈음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통신모듈(140)은 제1 제어부(150)에 의해 수신된 정보를 세대단말기(14)에게 전달한다. 이때, 제1 제어부(150)에 의해 수신된 정보는 실내창호(
Figure 112021038083481-pat00017
)의 개폐여부, 실외창호(
Figure 112021038083481-pat00018
)의 개폐여부 및 배터리부(160)의 SoC(state of charge)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배터리부(160)는 센서 어셈블리(100)의 내부에 배치되며, 내측센서(110), 외측센서(120), 통신모듈(140) 및 제1 제어부(150)의 적어도 일부에게 전력을 공급하도록 형성된다.
배터리부(160)의 SoC 정보는 제1 제어부(150)에 의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monitoring)된다. 저전력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제1 제어부(150)는 사용자에게 배터리 교체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의한 센서 어셈블리(100)는 센서 어셈블리(100)의 위치를 고려하여 저조도 솔라셀(indoor solar cell,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조도 솔라셀에 의해 생성된 전기에너지는, 센서 어셈블리(100)의 각 구성요소에게 제공될 수 있다. 배터리부(160)가 저전력인 상태일 ‹š, 저조도 솔라셀에 의해 전력이 제공됨으로써 페일세이프(fail-safe)가 담보될 수 있다.
창호개폐 감지시스템의 구성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개폐 감지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를 포함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개폐 감지시스템(1)은, 센서 어셈블리(100), 액추에이터(13), 세대단말기(14), 제2 제어부(15) 및 홈네트워크 서버(17)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센서 어셈블리(100)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4에 관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액추에이터(13)는 실외창호(
Figure 112021038083481-pat00019
) 및 실내창호(
Figure 112021038083481-pat00020
)의 적어도 일부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된 전기 기계적 장치이다. 액추에이터(13)는 제1 제어부(150)에 의해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에 상응하여, 실외창호(
Figure 112021038083481-pat00021
) 및 실내창호(
Figure 112021038083481-pat00022
)의 개폐를 제어한다. 예컨대, 제1 제어부(150)로부터 "실내창호 개방" 명령이 입력된 경우, 액추에이터(13)는 실내창호(
Figure 112021038083481-pat00023
)를 개방한다.
액추에이터(13)는 바람직하게는 BLDC 모터를 포함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액추에이터(13)는 스텝모터(step motor), 서보 모터(servo mo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세대단말기(14)는 통신모듈(140)을 통해 센서 어셈블리(100)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세대단말기(14)는 재실여부 감지센서(
Figure 112021038083481-pat00024
)와 근거리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재실여부 감지센서(
Figure 112021038083481-pat00025
)를 포함하는 실내 통신망은 별도로 구비되는 중계기(미도시)에 의해 구축될 수 있다.
중계기는 세대단말기(14)에 내장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중계기는 개별공간의 조명, 스위치를 포함하는 별도의 설치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개별공간은 방, 거실, 주방, 화장실 등의 구획된 공간을 의미한다.
재실여부 감지센서(
Figure 112021053959165-pat00026
)는 사용자가 소정의 공간에 머무는지 여부를 센싱하도록 형성되며, 센서 어셈블리(100)의 내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재실여부 감지센서(
Figure 112021053959165-pat00027
)에 의해 센싱된 재실 정보는 제2 제어부(15)에게 전달된다.
이때, 사용자의 재실 여부를 파악하기 위하여, 재실여부 감지센서(
Figure 112021038083481-pat00028
)가 도플러 센서(doppler sensor) 및 PIR 센서(passive infrared sensor)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제어부(15)는 세대단말기(14) 및 홈네트워크 서버(17)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제2 제어부(15)는 각 세대에 하나씩 할당되는 중앙 처리 장치(cpu)의 형태일 수 있다.
제2 제어부(15)는 사용자 단말기(19)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해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위치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9)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가 이용됨으로써 취합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재실여부 또는 사용자의 세대 접근 여부가 제2 제어부(15)에 의해 파악될 수 있다.
제2 제어부(15)는 실외창호(
Figure 112021038083481-pat00029
) 및 실내창호(
Figure 112021038083481-pat00030
)의 개폐여부, 사용자의 재실여부 및 동작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고려함으로써 실외창호(
Figure 112021038083481-pat00031
) 및 실내창호(
Figure 112021038083481-pat00032
)의 개폐여부를 결정한다. 한편, 제2 제어부(15)의 창호 개폐여부 프로세스와 관련되어,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홈네트워크 서버(17)는 제2 제어부(15)와 통신 가능하다. 또한, 홈네트워크 서버(17)는 공동주택 관리자와 통신 가능하다.
홈네트워크 서버(17)는 각 건물 또는 각 건물의 집합체마다 구비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건물의 집합체는, 예컨대 아파트 단지를 의미하는 것이다. 즉, 각 건물 또는 각 건물의 집합체에는 한 개 또는 수 개의 홈네트워크 서버(17)가 구비되며, 한 개 또는 수 개의 홈네트워크 서버(17)가 다수의 세대를 담당하는바, 다수의 세대단말기(14), 다수의 센서 어셈블리(100)가 이에 연결될 것이다.
제2 제어부(15) 및 홈네트워크 서버(17) 중 하나 이상은 AI 모듈(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I 모듈은, 재실여부 감지센서(
Figure 112021038083481-pat00033
)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새대 내부의 상황을 분석하고, 사용자의 생활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AI 모듈은 재실여부 감지센서(
Figure 112021053959165-pat00034
)를 이용하여 취합되는 재실여부 정보 및 동작 감지센서(130)에 의해 사용자의 동작을 입력자료로 사용하며, 사용자의 활동상태, 예컨대, 사용자의 동작의 종류, 수면여부, 노약자 해당여부, 어린이 해당여부 및 반려동물 유무여부 중 하나 이상을 출력자료로 상정하여 학습을 수행한다.
또한, AI 모듈은 사용자의 생활 패턴을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의 주 활동 시간대를 분석 및 판단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AI 모듈은 세대 내 보안감시가 필요한 상황을 판단하고, 자동으로 방범을 위한 기본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AI 모듈에 의해 창호의 개폐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시간 간격이 조정될 수 있다.
또한, AI 모듈은 계절 및 사용자 선호도를 반영하여, 창호개폐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여름이 공조기가 오프(off)된 상황에서, 사용자가 창호를 개방하는 것을 선호한다고 학습된 경우, AI 모듈은 창호 개방신호를 생성하여 액추에이터(13)에게 개방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또한, AI 모듈은 세대 내에 사용자 전체의 재실여부를 확인하여 모두 외출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스마트 자석 센서를 통해 창호 개폐 상태를 확인한다. 창호 폐쇄 상태의 경우, 스마트 자석 센서의 보안 설정이 활성화되고, 창호가 개방 상태의 경우 사용자에게 알림하고, 액추에이터(13)가 배치되어 있으면 개폐를 제어하여 창호를 닫힘 상태가 되게 한다.
AI 모듈에 의해 판단된 사용자 활동상태를 기반으로 하여, 제2 제어부(15)는 기본모드, 외출 준비모드, 외출 복귀모드 및 어린이 및 노약자 보호모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모드를 개시한다. 이에, 창호개폐 감지시스템(1)은 해당 모드로 구동된다.
창호개폐 감지시스템을 이용한 방범관리 방법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개폐 감시시스템이 기본모드로 작동할 때의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개폐 시스템이 사용자 단말기에 알림을 제공할 때의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제2 제어부(15)에 의해 기본모드가 선택된 경우의 창호개폐 감지시스템(1)의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
기본모드가 개시되면, 실내창호(
Figure 112021038083481-pat00035
)의 개폐여부가 판단된다(S600).
실내창호(
Figure 112021038083481-pat00036
)가 폐쇄된 것으로 판단되면, 실외창호(
Figure 112021038083481-pat00037
)의 개방 시도가 있는지 감지된다(S610).
실내창호(
Figure 112021038083481-pat00038
)가 폐쇄된 상태에서, 실외창호(
Figure 112021038083481-pat00039
)의 개방 시도가 있는 경우, 외부인 침입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S620).
홈네트워크 서버(17)는 사용자 단말기(19)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한다(S630). 이때,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알람의 예시는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다.
S630의 단계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공동주택 관리자에게 긴급알림이 제공될 수 있다(S640). 특히, 사용자가 세대 내부에 부재중이거나, 재실 중인 사람이 노약자 또는 어린이일 경우, 공동주택 관리자가 해당 세대를 점검함으로써, 범행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S600 단계에서 실내창호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기본모드는 종료된다.
또한, S610 단계에서 실외창호의 개방 시도가 감지되지 아니하는 경우, S600 단계 내지 S610 단계가 반복된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개폐 감시시스템이 외출 준비모드로 작동할 때의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제2 제어부(15)에 의해 외출준비 모드가 선택된 경우의 창호개폐 감지시스템(1)의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
사용자의 외출이 감지되면(S700), 제1 제어부(150)는 실외창호(
Figure 112021038083481-pat00040
) 및 실내창호(
Figure 112021038083481-pat00041
)의 개폐 여부를 판단한다(S710). 이때, 사용자의 외출 여부는 사용자 단말기(19)의 GPS정보가 이용됨으로써 판단될 수 있다.
실외창호(
Figure 112021038083481-pat00042
) 및 실내창호(
Figure 112021038083481-pat00043
)가 모두 개방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에게 알림이 제공된다(S730). 사용자가 알림을 수신하였음에도 상기 창호들을 폐쇄하지 아니한 상태로 외출하면, 제2 제어부(15)는 제1 제어부(150)를 통해 액추에이터(13)에 창호 개폐 신호를 인가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창호를 닫지 않고 외출하는 경우에도 창호가 적절히 단속될 수 있어, 범죄 등을 예방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개폐 감시시스템이 외출 복귀모드로 작동할 때의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제2 제어부(15)에 의해 외출복귀 모드가 선택된 경우의 창호개폐 감지시스템(1)의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
사용자가 외출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2 제어부(15)는 사용자 외출모드를 개시한다(S800). 이때, 사용자 외출모드는 기본모드의 로직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세대로부터 일정 반경 이내에 진입이 감지되면(S810), 사용자 외출모드가 해제된다(S820). 이로 인해, 센서 어셈블리(100)를 포함한 창호개폐 감지시스템(1)의 구성요소 전부 또는 일부의 전력이 차단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낭비 등이 방지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개폐 감시시스템이 어린이 및 노약자 보호모드로 작동할 때의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제2 제어부(15)에 의해 어린이 및 노약자 보호모드가 선택된 경우의 창호개폐 감지시스템(1)의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
사용자가 부재중이거나 수면 중인 것으로 판단되고, 재실여부 감지센서(
Figure 112021038083481-pat00044
)에 의해 재실하고 있는 사람이 어린이 및 노약자로만 구성된 것으로 판단되면 어린이 및 노약자 보호모드가 개시된다(S900).
지정된 공간의 실내창호(
Figure 112021038083481-pat00045
)의 개방 시도가 감지되면(S910), 사용자에게 알림이 제공된다(S920). 이때,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알람의 예시는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다. 특히 어린이나 노약자는 창호를 통한 추락 사고 등이 빈번하게 발생하는데, 본 개시에 의한 창호개폐 감지시스템(1)은 상기한 사고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사용자가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가 부착된 창호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개시에 의한 센서 어셈블리(200)는 여닫이식 단일창호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센서 어셈블리(200)는 제1 자석(21)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장의 적어도 일부를 감지한다.
요컨대, 본 개시에 의한 센서 어셈블리(100 및 200)는 미닫이식 이중창호뿐만 아니라 여닫이식 단일창호에도 활용될 수 있어, 활용성이 크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창호개폐 감지시스템
11: 제1 자석
12: 제2 자석
100: 센서 어셈블리
13: 액추에이터
14: 세대단말기
15: 제2 제어부
17: 홈네트워크 서버
19: 사용자 단말기

Claims (16)

  1. 실내창호와 실외창호를 포함하는 창호에서 하나의 시스템으로서 실내창호의 개폐 및 실외창호의 개폐를 개별적으로 모두 감지하는 감시시스템으로서,
    상기 실내창호에 부착되는 제1 자석;
    상기 실외창호에 부착되되, 상기 제1 자석에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제2 자석; 및
    상기 제1 자석 및 상기 제2 자석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실내창호 및 상기 실외창호의 개폐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센서 어셈블리로서,
    상기 제1 자석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장의 적어도 일부를 센싱함으로써, 상기 실내창호의 이동을 감지하도록 배치된 내측센서;
    상기 제2 자석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장의 적어도 일부를 센싱함으로써, 상기 실외창호의 이동을 감지하도록 배치된 외측센서;
    세대단말기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통신모듈;
    사용자의 동작을 센싱하도록 구성된 동작 감지센서; 및
    상기 내측센서, 상기 외측센서 및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생성된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는 센서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감시시스템이 상기 창호의 내측에 위치하여,
    하나의 감시시스템에 의해 실내창호 및 실외창호의 개폐를 개별적으로 모두 감지하는,
    창호개폐 감시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대단말기와 통신 가능하며 재실여부를 센싱하도록 구성된 재실여부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재실여부 감지센서는 미리 설정된 규칙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재실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창호개폐 감시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대단말기와 통신하는 제2 제어부; 및
    상기 제2 제어부 및 공동주택 관리자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홈네트워크 서버를 포함하는,
    창호개폐 감시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센서 어셈블리에 의해 센싱된 실외창호 및 실내창호의 개폐여부;
    상기 재실여부 감지센서에 의해 센싱된 재실여부 정보; 및
    상기 동작 감지센서에 의해 센싱된 동작정보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방법에 의해 상기 실내창호 및 상기 실외창호의 개폐여부를 결정하는,
    창호개폐 감시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에 의해 기본모드, 외출 준비모드, 외출 복귀모드 및 어린이 및 노약자 보호모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모드로 작동하도록 구성된,
    창호개폐 감시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취득되는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재실여부를 파악하는,
    창호개폐 감시시스템.
  7. 제5항 또는 제6항에 따른 창호개폐 감시시스템을 이용한 방범관리 방법에 있어서,
    (a1) 상기 제2 제어부에 의해 기본모드가 선택되는 단계;
    (a2) 상기 창호개폐 감시시스템에 의해 상기 실내창호의 개폐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a3) 상기 창호개폐 감시시스템에 의해 상기 실외창호의 개방 시도가 감지되는 단계;
    (a4) 상기 실내창호가 폐쇄된 상태이고, 상기 실외창호의 개방 시도가 감지된 경우, 외부인의 침입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단계; 및
    (a5) 사용자에게 알림에 제공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2) 단계는,
    (a2-1) 상기 실내창호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기본모드가 종료되는 단계; 및
    (a2-2) 상기 실내창호가 폐쇄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a3) 단계가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a3) 단계에서 상기 실외창호의 개방 시도가 감지되지 아니하는 경우, 상기 (a2) 단계가 수행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a6) 상기 (a5) 단계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공동주택 관리자에게 긴급알림이 제공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5항 또는 제6항에 따른 창호개폐 감시시스템을 이용한 방범관리 방법에 있어서,
    (b1) 상기 제2 제어부에 의해 외출준비 모드가 선택되는 단계;
    (b2) 상기 창호개폐 감시시스템에 의해 사용자의 외출이 감지되는 단계;
    (b3) 상기 창호개폐 감시시스템에 의해 상기 실외창호 및 상기 실내창호의 개폐여부가 각각 판단되는 단계; 및
    (b4) 사용자에게 알림이 제공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b2) 단계는,
    (b2-1) 상기 실외창호 및 상기 실내창호가 모두 개방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b3) 단계가 수행되는 단계; 및
    (b2-2) 상기 실외창호 및 상기 실내창호 중 하나 이상이 폐쇄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외출준비 모드가 종료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5항 또는 제6항에 따른 창호개폐 감시시스템을 이용한 방범관리 방법에 있어서,
    (c1) 상기 재실여부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외출한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 외출모드가 개시되는 단계;
    (c2) 상기 창호개폐 감시시스템에 의해 사용자가 일정 반경 이내에 진입하였는지 판단되는 단계; 및
    (c3) 사용자가 일정 반경 이내에 진입하였다고 판단되면, 사용자 외출모드가 해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외출모드는 상기 기본모드의 로직과 동일한 로직으로 구동되는,
    방법.
  15. 제5항 또는 제6항에 따른창호개폐 감시시스템을 이용한 방범관리 방법에 있어서,
    (d1) 상기 제2 제어부에 의해 어린이 및 노약자 보호모드가 선택되는 단계;
    (d2) 상기 창호개폐 감시시스템에 의해, 지정된 공간에 형성된 실내창호의 개방 시도가 감지되는 단계; 및
    (d3) 사용자에게 알림이 제공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어린이 및 노약자 보호모드는, 상기 재실여부 감지센서에 의해 센싱된 사용자가 어린이 또는 노약자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사용자인 경우에만 개시되는,
    방법.
KR1020210042308A 2021-03-31 2021-03-31 창호개폐 감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범관리 방법 KR102383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308A KR102383700B1 (ko) 2021-03-31 2021-03-31 창호개폐 감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범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308A KR102383700B1 (ko) 2021-03-31 2021-03-31 창호개폐 감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범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3700B1 true KR102383700B1 (ko) 2022-04-11

Family

ID=81210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2308A KR102383700B1 (ko) 2021-03-31 2021-03-31 창호개폐 감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범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370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2605A (ko) * 2009-09-23 2011-03-30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근거리 통신 망에서 주변 기기 제어 장치 및 방법
JP6238157B2 (ja) 2013-08-28 2017-11-2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建具用開閉検出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建具用施解錠検出装置
KR20180059965A (ko) * 2016-11-25 2018-06-07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재실자를 고려한 다기종 실내 환경 기기의 통합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20180070211A (ko) * 2016-12-16 2018-06-26 임채상 지능형 창문제어 시스템
KR20200060265A (ko) 2018-11-22 2020-05-29 (주)엘지하우시스 개폐감지장치가 내장된 창호
KR20200081092A (ko) 2018-12-27 2020-07-07 주식회사 한국지텔프 항공영어 구술 능력 시험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00092807A (ko) * 2019-01-25 2020-08-0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창문
KR20200095115A (ko) * 2019-01-31 2020-08-10 주식회사 커미닉 방범기능을 갖는 창호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2605A (ko) * 2009-09-23 2011-03-30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근거리 통신 망에서 주변 기기 제어 장치 및 방법
JP6238157B2 (ja) 2013-08-28 2017-11-2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建具用開閉検出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建具用施解錠検出装置
KR20180059965A (ko) * 2016-11-25 2018-06-07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재실자를 고려한 다기종 실내 환경 기기의 통합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20180070211A (ko) * 2016-12-16 2018-06-26 임채상 지능형 창문제어 시스템
KR20200060265A (ko) 2018-11-22 2020-05-29 (주)엘지하우시스 개폐감지장치가 내장된 창호
KR20200081092A (ko) 2018-12-27 2020-07-07 주식회사 한국지텔프 항공영어 구술 능력 시험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00092807A (ko) * 2019-01-25 2020-08-0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창문
KR20200095115A (ko) * 2019-01-31 2020-08-10 주식회사 커미닉 방범기능을 갖는 창호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72705B2 (en) Systems and methods of intrusion detection
US10192426B2 (en) Systems and methods of privacy within a security system
US10223904B2 (en) Automatic security system mode selection
US10083596B2 (en) Systems and methods of automated arming and disarming of a security system
US11062590B2 (en) Systems and methods of providing allowances for a security system
US9747769B2 (en) Entry point opening sensor
US10429177B2 (en) Blocked sensor detection and notification
US20170084161A1 (en) Systems and methods of dynamically varying a pre-alarm time of a security system
EP3096495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solidating events across sensors
US11680423B2 (en) Electromechanical locking apparatu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same in a real property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KR102515001B1 (ko) 와이파이 연결들을 사용한 유저 존재 및 부재의 결정
US20220027725A1 (en) Sound model localization within an environment
WO2016109335A1 (en) Systems and methods of intrusion detection
KR102383700B1 (ko) 창호개폐 감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범관리 방법
JP2023524482A (ja) Wifiデバイスについての到着レイテンシおよび離脱レイテンシの決定
US20170328943A1 (en) Systems and methods of detecting cable connectivity in a smart home environment
KR102350973B1 (ko) 창호개폐 감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환경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