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3112B1 - 현관문용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현관문용 힌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33112B1 KR101733112B1 KR1020150029090A KR20150029090A KR101733112B1 KR 101733112 B1 KR101733112 B1 KR 101733112B1 KR 1020150029090 A KR1020150029090 A KR 1020150029090A KR 20150029090 A KR20150029090 A KR 20150029090A KR 101733112 B1 KR101733112 B1 KR 1017331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frame
- front door
- latch
- groov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018—Anti-tamper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Hinges (AREA)
Abstract
안전고리의 역할을 병행할 수 있는 현관문용 힌지장치가 개시된다. 본 현관문용 힌지장치는, 육면체의 정면에 T형상의 내측으로 형성되되 프레임의 일단이 수용되도록 마련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며, H형상으로 형성되되 현관문의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일단이 회전축 역할을 하여 회전가능하게 마련된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육면체의 배면이 문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문틀 방향으로 장착되도록 마련되는 걸쇠부; 및 상기 육면체의 정면에 T형상이 내측으로 형성되되 상기 프레임이 상기 현관문 방향으로 회전 시에 수용되도록 마련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육면체의 배면이 상기 현관문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현관문에 장착되도록 마련되는 걸림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현관문의 잠금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열림 방지수단을 개량함과 동시에 힌지장치를 개선하여 안전고리의 역할을 병행할 수 있는 현관문용 힌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람이 침입할 수 없는 정도의 공간을 전체적으로 열어 비교적 큰 물품이나 방문한 사람의 인적사항을 쉽게 알 수 있지만, 낯선 방문자가 실내로 들어올 수 없게 하여 거주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현관문에 장착된 힌지장치의 외부로 노출된 부분과 도어 프레임 사이에 연장을 집어넣어 현관문을 강제로 개방하려고 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는 현관문용 힌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현관문용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전고리의 역할을 병행할 수 있는 현관문용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관문은 아파트나 오피스텔 등 건축물의 출입문으로서 주거자가 밖으로 나가거나 또는 집안으로 들어가기 위해 사용되는 문이다.
이런 현관문에는 일반적으로 방범상태를 유지한 채 외부인을 확인하거나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해 현관문을 완전히 개방하지 않고 약간만 개방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현관문용 안전고리가 설치된다.
그러나, 현관문용 안전고리는 그 틈이 작아 큰 물건을 들이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안전고리 하나만으로 현관물을 지탱하기 어렵고, 외부에서 강한 충격이 가해지면 쉽게 파손되어 외부 침입에 취약한 문제가 있다.
또한, 현관문에 아무리 좋은 자물쇠를 설치하더라도 외부에서 문과 문틀 사이의 틈으로 빠루나 지렛대와 같은 연장을 집어넣어 강제로 젖히면 자물쇠의 잠금장치도 쉽게 해제시킬 수 있어 안전상의 취약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현관문의 잠금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열림 방지수단을 개량함과 동시에 힌지장치를 개선하여 안전고리의 역할을 병행할 수 있는 현관문용 힌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사람이 침입할 수 없는 정도의 공간을 전체적으로 열어 비교적 큰 물품이나 방문한 사람의 인적사항을 쉽게 알 수 있지만, 낯선 방문자가 실내로 들어올 수 없게 하여 거주자의 안전을 도모하고자 한다. 그리고, 현관문에 장착된 힌지장치의 외부로 노출된 부분과 도어 프레임 사이에 연장을 집어넣어 현관문을 강제로 개방하려고 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는 현관문용 힌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관문용 힌지장치는, 육면체의 정면에 T형상의 내측으로 형성되되 프레임의 일단이 수용되도록 마련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며, H형상으로 형성되되 현관문의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일단이 회전축 역할을 하여 회전가능하게 마련된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육면체의 배면이 문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문틀 방향으로 장착되도록 마련되는 걸쇠부; 및 상기 육면체의 정면에 T형상이 내측으로 형성되되 상기 프레임이 상기 현관문 방향으로 회전 시에 수용되도록 마련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육면체의 배면이 상기 현관문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현관문에 장착되도록 마련되는 걸림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일단을 회전축으로 이용하여 상기 걸쇠부에 수용되지 않은 타단이 회전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홈은, 상기 프레임의 타단이 회전가능하여 상기 걸림홈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문이 열리면, 상기 걸쇠부와 상기 걸림부의 거리가 이격되어 상기 걸림홈에 수용된 프레임이 상기 걸쇠부 반대 방향에서 상기 걸쇠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내부 수용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이 상기 걸림홈에 수용되고 상기 문이 열릴 시에, 상기 프레임이 상기 걸림홈의 내부 수용공간 중 상기 걸쇠부 방향으로 형성된 내벽에 도달하면, 상기 문이 현재상태보다 더 열리지 못하도록 하여 상기 문이 일정거리 이상으로 열리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내부 수용공간은, 상기 프레임이 상기 걸림홈에 수용되어 상기 걸쇠부 방향과 상기 걸쇠부 반대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강제적으로 상기 프레임이 상기 걸림홈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걸림홈에서 상기 걸쇠부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걸림부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홈은, 상기 문이 외부의 물리적인 힘에 의해 강제적으로 들려 상기 문틀에서 분리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걸림부의 높이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의 높이와 동일한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현관문의 잠금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열림 방지수단을 개량함과 동시에 힌지장치를 개선하여 안전고리의 역할을 병행할 수 있는 현관문용 힌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람이 침입할 수 없는 정도의 공간을 전체적으로 열어 비교적 큰 물품이나 방문한 사람의 인적사항을 쉽게 알 수 있지만, 낯선 방문자가 실내로 들어올 수 없게 하여 거주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현관문에 장착된 힌지장치의 외부로 노출된 부분과 도어 프레임 사이에 연장을 집어넣어 현관문을 강제로 개방하려고 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는 현관문용 힌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관문용 힌지장치가 현관문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관문용 힌지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관문용 힌지장치의 걸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관문용 힌지장치의 이용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관문용 힌지장치가 현관문에 장착되어 이용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관문용 힌지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관문용 힌지장치의 걸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관문용 힌지장치의 이용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관문용 힌지장치가 현관문에 장착되어 이용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관문용 힌지장치(10)가 현관문(20)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현관문용 힌지장치(10)가 현관문(20)과 현관문(20)의 측면에 마련된 문틀(21)에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현관문용 힌지장치(10)는 현관문(20)의 잠금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해, 현관문용 힌지장치(10)를 개선하여 안전고리의 역할을 병행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또한, 현관문(20)에 장착된 현관문용 힌지장치(10)의 외부로 노출된 부분과 도어 프레임 사이에 연장을 집어넣어 현관문(20)을 강제로 개방하려고 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현관문용 힌지장치(10)는 현관문(20)이 문틀(21)에 부착되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힌지장치를 의미한다.
그리고,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힌지장치와 다르게 현관문(20) 가운데 부분에 장착될 수 있다.
다만, 이럴 경우에는 현관문(20)의 하중을 지지해주고, 현관문(20)의 회전 시에 필요한 회전축이 별도로 필요하게 된다.
이에, 기존의 현관문(20)에 설치되어 있는 힌지장치는 유지하고, 별도로 본 실시예에 따른 현관문용 힌지장치(10)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관문용 힌지장치(1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관문용 힌지장치(10)의 걸림부(2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현관문용 힌지장치(1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현관문용 힌지장치(10)는 안전고리의 역할을 병행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현관문용 힌지장치(10)는 걸쇠부(100) 및 걸림부(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걸쇠부(100)는 H형상으로 형성된 프레임(110)을 포함하며, 육면체의 정면에 T형상의 내측으로 형성되되 프레임(110)의 일단이 수용되도록 마련되는 수용홈(120)이 형성된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걸쇠부(100)는 문이 열리는 방향의 반대 방향에 마련된 문틀(21)에 장착된다.
그리고, 걸쇠부(100)는 내부에 프레임(110)의 일단이 수용되도록 하는 수용홈(120)을 포함한다.
여기서, 프레임(110)은 현관문(20)의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일단 및 타단과 일단 및 타단의 이격 거리만큼 수평으로 형성되어 일단 및 타단이 연결되도록 연결부재로 구성된다.
그리고, 프레임(110)은 수용홈(120)에 수용된 일단이 회전축 역할을 하여 걸쇠부(100)에 수용되지 않는 프레임(110)의 타단이 회전되도록 하기 위해서 수용홈(120)에 일단이 수용되도록 한다.
수용홈(120)은, 상기 걸쇠부(100)의 높이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110)의 높이와 일치하는 길이로 마련되며 프레임(110)이 수용되는 방향으로 상면과 하면에 돌출되는 턱이 형성되어 수용된 프레임(110)이 수용홈(120) 밖으로 나오지 못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걸쇠부(100)의 폭은 문틀(21)의 길이를 넘지 않으며, 걸쇠부(100)의 높이는 걸림부(200)의 높이 동일하도록 형성되며, 걸쇠부(100)의 두께는 프레임(110)의 두께보다 두껍지만 문틀(21)의 두께를 넘지 않도록 한다.
한편, 걸림부(200)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현관문(20)에 장착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걸림부(200)는, 프레임(110)이 회전가능하여 문 방향으로 회전 시에 수용되도록 마련되는 걸림홈(210)을 포함한다.
걸림홈(210)은, 프레임(110)의 타단이 회전가능하여 걸림홈(210)에 수용된 상태에서 문이 열리면, 걸쇠부(100)와 걸림부(200)가 이격되어 프레임(110)이 걸림홈(210)의 내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내부 수용공간(211)이 형성된다.
그리고, 프레임(110)이 내부 수용공간(211)의 걸쇠부(100) 방향으로 형성된 내벽에 도달하면 현관문(20)이 현재상태에서 더 이상 열리지 못하게 된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현관문용 힌지장치(10)는 현관문(20)을 일정거리 이상 열리지 못하도록 하는 안전고리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110)이 걸림홈(210)에 수용되어 걸쇠부(100) 방향과 걸쇠부(100) 반대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강제적으로 프레임(110)이 걸림홈(2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내부 수용공간(211)은 걸림홈(210)에서 걸쇠부(100)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걸림부(200)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프레임(110)이 걸림홈(210)에 수용되고 문이 열리는 상태에서 프레임(110)이 걸림홈(210)의 내부 수용공간(211) 중 걸쇠부(100) 방향으로 형성된 내벽에 도달하여 문이 더 이상 열리지 않을 때, 문을 닫으면, 프레임(110)이 내부 수용공간(211)의 걸쇠부(100)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 내벽에 도달하게 된다.
이는 내부 수용공간(211)이 걸림부(200)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걸림홈(210)과 내부 수용공간(211) 사이에 턱이 형성되는 것으로, 걸림홈(210)과 내부 수용공간(211) 사이에 형성된 턱이 프레임(110)이 걸쇠부(100)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때 걸림 턱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통해, 프레임(110)이 걸림홈(210)에 수용되어 걸쇠부(100) 방향과 걸쇠부(100) 반대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강제적으로 프레임(110)이 걸림홈(2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부 수용공간(211)은 프레임(110)의 연결부재를 중심으로 걸림홈(210)에 수용되는 프레임(110)의 타단의 상측과 하측이 모두 수용되도록 걸림홈(210)의 상측과 하측에서 걸쇠부(100)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걸림부(200)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현관문(20)이 외부의 물리적인 힘에 의해 강제적으로 들려 문틀(21)에서 분리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걸림홈(210)은 걸림부(200)의 높이 방향으로 프레임(110)의 높이와 동일한 길이로 마련된다.
또한, 걸림부(200)는 걸쇠부(100)의 두께만큼 현관문(20)의 가장자리에서 이격되어 부착되도록 한다.
걸림부(200)가 현관문(20)의 가장자리에서 이격되는 거리가 걸쇠부(100)의 두께보다 짧아지면 현관문(20)이 닫힐 시에 걸림부(200)와 걸쇠부(100)의 일부가 걸려 현관문(20)이 완전히 닫히지 않게 될 수 있다.
그리고, 걸림부(200)의 폭은 프레임(110) 연결부재의 길이보다 짧지 않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걸림부(200)의 높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걸쇠부(100)의 높이 동일하도록 형성되며, 걸림부(200)의 두께는 프레임(110)의 두께보다 두껍지만 걸쇠부(100)의 폭을 넘지 않도록 한다.
첨언하면 상술한 걸림부(200) 및 걸쇠부(100)의 폭은 도면에서 육면체 정면의 가로 길이를 의미하며, 두께는 육면체 측면의 가로 길이를 의미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관문용 힌지장치(10)의 이용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관문용 힌지장치(10)가 현관문(20)에 장착되어 이용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4a와 도 5a, 도 4b와 도 5b 및 도 4c와 도 5c는 각각 동일한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지만, 도 4a 내지 도 4c는 걸쇠부(100) 및 걸림부(200)를 자세히 도시한 도면이며, 도 5a 내지 도 5c는 현관문(20)에 장착되어 있는 걸쇠부(100) 및 걸림부(2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현관문용 힌지장치(10)의 이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현관문용 힌지장치(10)는 일반적으로 현관문(20)을 열고 닫을 시에, 도 4a 및 도 5a와 같이 걸쇠부(100)에 프레임(110)의 일단이 수용되어 있으며, 프레임(110)의 타단은 노출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현관문(20)을 잠그고, 잠금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키도록 하기 위해, 도 4b 및 4b와 같이 프레임(110)의 타단을 회전시켜 걸림부(200)의 걸림홈(210)에 수용되도록 한다.
그러면, 도 4c 및 도 5c와 같이 현관문(20)이 강제적으로 열리거나 필요에 의해 현관문(20)을 열었을 시에, 걸림부(200)와 걸쇠부(100)의 거리가 이격되어 프레임(110)이 걸림부(200)의 내부 수용공간(211)의 내벽에 도달하면 현관문(20)이 현재상태에서 더 이상 열리지 못하게 된다.
즉, 걸림부(200)와 걸쇠부(100) 사이에 연결된 프레임(110)이 안전고리 역할을 수행하여 현관문(20)이 더 이상 열리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사람이 침입할 수 없는 정도의 공간을 전체적으로 열어 비교적 큰 물품이나 방문한 사람의 인적사항을 쉽게 알 수 있지만, 낯선 방문자가 실내로 들어올 수 없게 하여 거주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 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 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 현관문용 힌지장치 20 : 현관문
21 : 문틀 100 : 걸쇠부
110 : 프레임 120 : 수용홈
200 : 걸림부 210 : 걸림홈
211 : 내부 수용공간
21 : 문틀 100 : 걸쇠부
110 : 프레임 120 : 수용홈
200 : 걸림부 210 : 걸림홈
211 : 내부 수용공간
Claims (6)
- 육면체의 정면에 T형상의 내측으로 형성되되 프레임의 일단이 수용되도록 마련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며, H형상으로 형성되되 현관문의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일단이 회전축 역할을 하여 회전가능하게 마련된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육면체의 배면이 문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문틀 방향으로 장착되도록 마련되는 걸쇠부; 및
상기 육면체의 정면에 T형상이 내측으로 형성되되 상기 프레임이 상기 현관문 방향으로 회전 시에 수용되도록 마련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육면체의 배면이 상기 현관문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현관문에 장착되도록 마련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홈은,
상기 프레임의 타단이 회전가능하여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문이 열리면, 상기 걸쇠부와 상기 걸림부의 거리가 이격되어 상기 수용된 프레임이 상기 걸쇠부 반대 방향에서 상기 걸쇠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내부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문용 힌지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일단을 회전축으로 이용하여 상기 걸쇠부에 수용되지 않은 타단이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문용 힌지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상기 걸림홈에 수용되고 상기 문이 열릴 시에, 상기 프레임이 상기 걸림홈의 내부 수용공간 중 상기 걸쇠부 방향으로 형성된 내벽에 도달하면, 상기 문이 현재상태보다 더 열리지 못하도록 하여 상기 문이 일정거리 이상으로 열리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문용 힌지장치. - 제1항에 있어서,
내부 수용공간은,
상기 프레임이 상기 걸림홈에 수용되어 상기 걸쇠부 방향과 상기 걸쇠부 반대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강제적으로 상기 프레임이 상기 걸림홈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걸림홈에서 상기 걸쇠부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걸림부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문용 힌지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은,
상기 문이 외부의 물리적인 힘에 의해 강제적으로 들려 상기 문틀에서 분리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걸림부의 높이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의 높이와 동일한 길이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문용 힌지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29090A KR101733112B1 (ko) | 2015-03-02 | 2015-03-02 | 현관문용 힌지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29090A KR101733112B1 (ko) | 2015-03-02 | 2015-03-02 | 현관문용 힌지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06329A KR20160106329A (ko) | 2016-09-12 |
KR101733112B1 true KR101733112B1 (ko) | 2017-05-08 |
Family
ID=56950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29090A KR101733112B1 (ko) | 2015-03-02 | 2015-03-02 | 현관문용 힌지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3311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130857B (zh) * | 2017-06-14 | 2022-02-15 | 张卫 | 两用安防门锁 |
-
2015
- 2015-03-02 KR KR1020150029090A patent/KR101733112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06329A (ko) | 2016-09-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40260448A1 (en) | Interconnected locking system | |
US20140175814A1 (en) | Security door block | |
KR20160052486A (ko) |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 |
KR101733112B1 (ko) | 현관문용 힌지장치 | |
JP2016075134A (ja) | 屋内側施錠装置 | |
KR101990693B1 (ko) | 방범 방충망용 잠금장치 | |
KR20010016844A (ko) | 창문의 잠금장치 | |
EP3380690B1 (en) | Intrusion-preventing device | |
US11002045B2 (en) | Door bar security system | |
KR101024304B1 (ko) | 출입문용 안전 고리 | |
KR101096583B1 (ko) | 이단 열림구조가 있는 건축물의 현관문 | |
KR102064641B1 (ko) | 환기 및 방범 기능이 구비된 미서기 창호 | |
JP6633880B2 (ja) | 電気錠を備えたドア装置 | |
KR100681848B1 (ko) | 공동주택 현관문의 물품수납용 도어 | |
KR101002238B1 (ko) | 다굴절 자물쇠 잠금장치 | |
KR101990692B1 (ko) | 방범 방충망용 잠금장치 | |
KR200274319Y1 (ko) | 현관용 도어의 보조 잠금장치 | |
KR101430337B1 (ko) | 현관문 방범 패널 | |
JP4441922B2 (ja) | クレセント錠の防犯カバー | |
KR20140066382A (ko) | 안전 도어 | |
KR101017267B1 (ko) | 위치 고정이 가능한 건축물의 창문 구조 | |
KR200351050Y1 (ko) | 방화문용 안전록 | |
JP2005344399A (ja) | 窓 | |
JP2003239593A (ja) | 防犯用枠付扉 | |
JP2010070955A (ja) | 片開き窓の施錠機構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