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2294B1 - 순환형 다층 연소로 - Google Patents

순환형 다층 연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2294B1
KR101552294B1 KR1020147034787A KR20147034787A KR101552294B1 KR 101552294 B1 KR101552294 B1 KR 101552294B1 KR 1020147034787 A KR1020147034787 A KR 1020147034787A KR 20147034787 A KR20147034787 A KR 20147034787A KR 101552294 B1 KR101552294 B1 KR 101552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lation
combustion
air
flow rate
circ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4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4490A (ko
Inventor
도모유키 다케시타
슈사쿠 핫도리
요이치로 미즈노
마사노부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메타워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타워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메타워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14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4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2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2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10/00Fluidised bed combustion apparatus
    • F23C10/02Fluidised bed combustion apparatus with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chieving or promoting a circulating movement of particles within the bed or for a recirculation of particles entrained from the bed
    • F23C10/04Fluidised bed combustion apparatus with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chieving or promoting a circulating movement of particles within the bed or for a recirculation of particles entrained from the bed the particles being circulated to a section, e.g. a heat-exchange section or a return duct, at least partially shielded from the combustion zone, before being reintroduced into the combustion zone
    • F23C10/08Fluidised bed combustion apparatus with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chieving or promoting a circulating movement of particles within the bed or for a recirculation of particles entrained from the bed the particles being circulated to a section, e.g. a heat-exchange section or a return duct, at least partially shielded from the combustion zone, before being reintroduced into the combustion zone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separation apparatus, e.g. cyclones,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the flue gases
    • F23C10/10Fluidised bed combustion apparatus with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chieving or promoting a circulating movement of particles within the bed or for a recirculation of particles entrained from the bed the particles being circulated to a section, e.g. a heat-exchange section or a return duct, at least partially shielded from the combustion zone, before being reintroduced into the combustion zone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separation apparatus, e.g. cyclones,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the flue gases the separation apparatus being located outside the combustion chamb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6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oxid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10/00Fluidised bed combustion apparatus
    • F23C10/18Details; Accessories
    • F23C10/28Control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luidised bed, combustion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27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pyrolising or gasifying st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8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 F23G5/14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including secondary combustion
    • F23G5/16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including secondary combustion in a separate combustion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3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a fluidised b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7/00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 F23G7/001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for sludges or waste products from water treatment instal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1/00Pretreatment
    • F23G2201/30Pyrolysing
    • F23G2201/303Burning pyro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2/00Combustion
    • F23G2202/10Combustion in two or more stages
    • F23G2202/101Combustion in two or more stages with controlled oxidant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7/00Control
    • F23G2207/10Arrangement of sensing devices
    • F23G2207/104Arrangement of sensing devices for CO or CO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7/00Control
    • F23G2207/10Arrangement of sensing devices
    • F23G2207/105Arrangement of sensing devices for NOx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7/00Control
    • F23G2207/30Oxidant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incinerators
    • F23G2900/55Controlling; Monitoring or measuring
    • F23G2900/55003Sensing for exhaust gas properties, e.g. O2 cont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40Valorisation of by-products of wastewater, sewage or sludge processing

Abstract

유동 매체를 순환시키는 공기를 공급하면서 오니를 연소하는 순환부(2)와, 순환부(2)로부터의 열분해 가스에 공기를 공급하여 완전 연소시키는 후연소부(3)를 가지고, 투입 오니량에 대응하는 완전 연소에 필요한 유량의 공기를, 순환부(2)와 후연소부(3)에 대하여 소정의 비율로 나누어 공급하는 제 1 제어를 행하는 순환형 다층 연소로에 있어서, 제 1 제어에서는 순환부(2)에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이 유동 매체를 순환시키는데 필요한 유량 미만이 되는 경우에, 제 1 제어 대신, 완전 연소에 필요한 유량의 공기 중, 순환부(2)에 있어서 유동 매체를 순환시키는데 필요한 최저한의 유량의 공기를 순환부(2)에 공급함과 함께, 잔부의 공기를 후연소부(3)에 공급하는 제 2 제어를 행한다.

Description

순환형 다층 연소로{CIRCULATING-TYPE MULTI-LAYER FURNACE}
이 발명은, 유동 매체를 순환시키는 공기를 공급하면서 오니를 연소하는 순환부와 순환부로부터의 열분해 가스에 2차 공기 및 3차 공기를 공급하여 완전 연소시키는 후(後)연소부를 가진 순환형 다층 연소로에 관한 것이다.
순환식 유동 소각로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라이저(riser)에 충전된 규사(硅砂) 등으로 이루어지는 유동 매체를 유동 공기에 의해 유동시키고, 연소 배기가스에 동반되어 라이저로부터 배출된 유동 매체를 사이클론에 의해 회수하고, 다운카머(downcomer)를 통하여 라이저 하부로 순환시키면서 폐기물을 소각하는 순환부를 가지는 것이다. 그리고, 그 후단에 있어서 연소 배기가스 중의 완전 연소를 확보하는 예비 연소부를 가지는 것이 있다. 이 순환식 유동 소각로는, 함수율이나 발열량 등이 다른 폭넓은 폐기물을 안정적으로 소각할 수 있기 때문에, 하수 오니 등의 폐기물의 소각 처리에 이용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유동 매체를 순환시켜 연료 및 1차 공기를 공급하여 오니를 연소하는 순환부와 상기 순환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순환부로부터의 연소 배기가스에 2차 공기 및 3차 공기를 공급하여 완전 연소시키는 후연소부를 가진 순환형 다층 연소로도 있다. 이 순환형 다층 연소로의 순환부에서는 상술한 순환식 유동 소각로보다 저온에서 억제 연소시켜 온실 효과 가스인 N20의 발생량을 억제하고, 후단의 후연소부에서 고온장 존을 형성하여 N2O를 분해함과 함께 미연소분을 완전 연소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종래의 순환형 다층 연소로에서는, 투입 오니량에 대응하는 완전 연소에 필요한 전(全)공기량을, 순환부에서 억제 연소시킴과 함께 후연소부에서 완전 연소시키는데 최적인 비율로, 순환부와 후연소부로 나누어 공급하고 있다. 이 순환형 다층 연소로에 있어서는, 단위 시간당의 소각 처리량이 감소한 경우에 있어서, 순환부에 공급되어야 할 1차 공기량이 최저 1차 공기량 미만이 되어, 저부하 운전 후에, 노(爐)의 정지를 강요당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순환형 다층 연소로를 정지한 다음, 오니의 저장을, 순환부에 공급되어야 할 1차 공기량이 최저 1차 공기량 이상이 되는 통상 운전이 가능해질 때까지 증가시키고 나서, 순환형 다층 연소로의 운전을 재개하는 방법이 채용되어 있었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1-263634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9-139043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방법에 있어서는, 순환형 다층 연소로에 있어서, 셋업 작업이 극히 번잡하여 상당한 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시간적으로 비효율적이었다. 또한, 냉각되어버린 노를 다시 승온시킬 필요가 있어, 이 승온에 방대한 보조 연료가 필요해지기 때문에, 보조 연료의 사용량에 관해서도 극히 비효율적이었다.
또한, 순환형 다층 연소로의 정지를 회피하는 방법으로서, 투입 오니량의 부족분을 보조 연료로 보완함으로써, 순환부에 공급되어야 할 1차 공기량이 최저 1차 공기량 미만이 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 채용되는 경우도 있으나, 이 경우에는 보조 연료의 사용량이 증가해버려, 역시 비효율적이었다.
이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순환형 다층 연소로의 운전이 통상 운전으로부터 저부하 운전으로 이행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순환형 다층 연소로의 정지를 회피할 수 있음과 함께 사용하는 보조 연료의 단위 오니 처리량당의 사용량을 증가시키지 않고 운전을 계속할 수 있는 순환형 다층 연소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발명에 관련된 순환형 다층 연소로는, 유동 매체를 순환시키는 공기를 공급하면서 오니를 연소하는 순환부와, 순환부로부터의 열분해 가스에 공기를 공급하여 완전 연소시키는 후연소부를 가지고, 투입 오니량에 대응하는 완전 연소에 필요한 공기 유량의 공기를, 순환부와 후연소부에 대하여 소정의 비율로 나누어 공급하는 제 1 제어를 행하는 순환형 다층 연소로로서, 제 1 제어에서는 순환부에 공급되어야 할 공기의 공기 유량이 유동 매체를 순환시키는데 필요한 공기 유량 미만이 되는 경우에, 제 1 제어 대신, 완전 연소에 필요한 공기 유량의 공기 중, 순환부에 있어서 유동 매체를 순환시키는데 필요한 최저한의 공기 유량 이상의 공기를 순환부에 공급함과 함께, 잔부의 공기를 후연소부에 공급하는, 제 2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관련된 순환형 다층 연소로는,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제 2 제어는, 완전 연소에 필요한 공기 유량의 공기 중, 순환부에 있어서 유동 매체를 순환시키는데 필요한 최저한의 공기 유량의 공기를 순환부에 공급함과 함께, 잔부의 공기를 후연소부에 공급하는 제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의한 순환형 다층 연소로에 의하면, 통상 운전으로부터 저부하 운전으로 운전이 이행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순환형 다층 연소로의 정지를 회피할 수 있음과 함께 사용하는 보조 연료의 단위 오니 처리량당의 사용량을 증가시키지 않고 운전을 계속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순환형 다층 연소로의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나타낸 제어 장치에 의한, 단위 시간당의 소각 처리량에 대한 단위 소각 처리량당의 연료 사용량의 변화의 일례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b는, 도 1에 나타낸 제어 장치에 의한, 단위 시간당의 소각 처리량에 대한 공기비의 변화의 일례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c는, 도 1에 나타낸 제어 장치에 의한, 단위 시간당의 소각 처리량에 대한 1차 공기 유량의 변화의 일례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d는, 도 1에 나타낸 제어 장치에 의한, 단위 시간당 소각 처리량에 대한 순환부 출구 온도의 변화의 일례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순환형 다층 연소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순환형 다층 연소로(1)는, 순환부(2)와, 순환부(2)의 후단에 설치된 후연소부(3)를 가진다. 순환부(2)는, 라이저(10)와 사이클론(20)과 다운카머(21)를 가진다. 라이저(10)는, 대략 원통 형상을 이루고, 노내에는, 상부에 희박층(11)과, 하부에 농후층(12)이라고 불리는, 충전된 규사 등 유동 매체의 입자 트랩(trap)의 부분이 형성된다.
라이저(10)의 하부에 충전되는 유동 매체는, 유동 공기(1차 공기)에 의해 노내에서 유동되고, 투입된 오니를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600∼900℃ 정도에서 연소시킨다. 연소 배기가스(열분해 가스)는, 유동 매체와 함께 사이클론(20)으로 보내져 고체-기체 가스(固氣)가 분리되고, 유동 매체는, 다운카머(21)를 통하여 라이저(10)의 하부로 순환시키면서 오니를 소각한다. 사이클론(20)에 의해 고체-기체 가스가 분리된 열분해 가스는, 후단에 설치된 후연소부(3)로 보내진다.
후연소부(3)는, 2차 공기에 의해 상류에 형성되는 국소 고온장 존과 3차 공기에 의해 하류에 형성되는 완전 연소 존을 형성하고, 국소 고온장 존에서, 사이클론(20)으로부터 보내진 열분해 가스 중의 N2O를 분해하여 온실 효과 가스의 삭감을 행하고, 완전 연소 존에서, 미연분을 완전 연소한다.
라이저(10)의 하부에는, 오니 공급 펌프(60)를 통하여 오니가 공급되고, 오니 공급량은, 연소 처리량으로서 제어 장치(100)로 보내진다. 또한, 라이저(10)의 하부에는, 밸브(51), 연료 사용량 검출기(71)를 통하여 연료(70)가 공급된다. 밸브(51)는, 연료 사용량 조절기(FIC)(41)에 의해, 연료 사용량 검출기(71)에서 검출된 연료 사용량이 제어 장치(100)로부터 지시된 제어량이 되도록 개도 제어된다.
라이저(10)의 하부에는 1차 공기 블로워(blower)(80)로부터 밸브(52)를 통하여, 오니의 완전 연소에 필요한 공기 유량의 공기 중 일부의 공기로서의 1차 공기(A1)가 공급된다. 또한, 후연소부(3)의 상부 또는 중부에는, 2차 공기 블로워(90)로부터 밸브(53)를 통하여 2차 공기(A2)가 공급되어, 국소 고온장 존이 형성된다. 또한, 후연소부(3)의 중부 또는 하부에는, 2차 공기 블로워(90)로부터 밸브(54)를 통하여 3차 공기(A3)가 공급되어, 완전 연소 존이 형성된다. 이들의 2차 공기(A2) 및 3차 공기(A3)는, 오니의 완전 연소에 필요한 공기 유량의 공기 중 잔부의 공기이다.
1차 공기 유량 조절기(42)는, 제어 장치(100)에 의해 지시된 제어량의 1차 공기(A1)를 라이저(10)의 하부의 농후층(12)에 공급하도록, 도시하지 않은 1차 공기 유량 검출기의 검출 결과를 바탕으로 밸브(52)의 개도를 제어한다. 2차 공기 유량 조절기(43)는, 제어 장치(100)로부터 지시된 제어량의 2차 공기(A2)를, 후연소부(3)의 상부 또는 중부에 공급하도록, 도시하지 않은 2차 공기 유량 검출기의 검출 결과를 바탕으로 밸브(53)의 개도를 제어한다. 3차 공기 유량 조절기(44)는, 제어 장치(100)로부터 지시된 제어량의 3차 공기(A3)를 후연소부(3)의 중부 또는 하부에 공급하도록, 도시하지 않은 3차 공기 유량 검출기의 검출 결과를 바탕으로 밸브(54)의 개도를 제어한다.
라이저(10) 및 후연소부(3)에는, 복수의 열전대(13, 33)가 각각 분산 배치되어, 각각의 노내 온도가 계측되도록 되어 있다.
이 순환형 다층 연소로(1)에서는, 라이저(10)에 있어서, 하부에 공급된 오니를, 동일하게 하부로부터 공급되는 연료(70) 및 1차 공기(A1)에 의해 연소시키고, 후연소부(3)에 있어서, 라이저(10) 및 사이클론(20)을 통하고 나서 배출되는 열분해 가스에 대하여, 상부 또는 중부에 공급되는 2차 공기(A2)에 의해 국소 고온장 존에서 연소시켜 연소 배기가스 중의 N2O를 분해하고, 동일하게 하부에서는, 3차 공기(A3)에 의해 완전 연소 존에서 불연분을 완전 연소시킨다.
제어 장치(100)에는, 연료 사용량 검출기(71), 오니 공급 유량 검출기(61), 1차 공기 유량 검출기, 2차 공기 유량 검출기, 3차 공기 유량 검출기로부터, 각각 연료 사용량, 오니 처리량, 1차 공기 유량, 2차 공기 유량, 3차 공기 유량이 입력됨과 함께, 열전대(13, 33)로부터 각각, 라이저(10)의 노내 온도 및 후연소부(3)의 노내 온도가 입력된다. 또한, 제어 장치(100)에는, 후연소부(3)로부터, 가스 센서(35)에 의해 검출되는 O2나 N2O 등의 배기가스 성분값도 입력된다. 그리고, 제어 장치(100)는, 연료 사용량 조절기(41), 1차 공기 유량 조절기(42), 2차 공기 유량 조절기(43) 및 3차 공기 유량 조절기(44)에 각각, 제어량으로서의 연료 사용량, 1차 공기 유량, 2차 공기 유량 및 3차 공기 유량을 출력한다.
여기서, 순환부(2)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라이저(10)의 노내 용량에 따라, 노내에서 유동 매체를 분산시켜 적당한 유동 매체 밀도를 확보하기 위해, 일정값 이상의 1차 공기 유량을 순환부(2) 내로 유입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순환부(2)로의 1차 공기 유량은, 일정값의 1차 공기 유량(최저 1차 공기 유량) 미만이 될 일은 없다.
제어 장치(100)는, 순환부(2)에 공급되는 1차 공기 유량이 유동 매체를 분산시키기 위한 최저 1차 공기 유량을 넘는, 소위 통상 운전 상태의 경우, 순환부(2)에 있어서 오니의 단위 소각 처리량당의 연료 사용량을 일정값으로 하고, 또한 1차 공기비가 1 미만이 되는 억제 연소를 행하고, 후연소부(3)에 있어서 2차 공기(A2) 및 3차 공기(A3)를 공급하여 순환부(2)로부터의 열분해 가스를 한층 더 연소시켜 완전 연소시키는 제 1 제어에 의한 제 1 다층 연소 처리를 행한다.
또한, 제어 장치(100)는, 순환부(2)에 공급되는 1차 공기 유량이 최저 1차 공기 유량이 된, 소위 저부하 운전 상태의 경우, 순환부(2)에 있어서 오니의 단위소각 처리량당의 연료 사용량을 제 1 다층 연소 처리와 동일한 값으로 하고, 또한 순환부(2)에 공급되는 단위 시간당의 오니의 소각 처리량의 감소에 따라 1차 공기비를 순환형 다층 연소로(1) 전체의 전(全)공기비의 값까지 서서히 증대시키고, 후연소부(3)에 있어서 순환부(2)에 공급되는 단위 시간당의 오니의 소각 처리량의 감소에 따라 2차 공기비 및 3차 공기비를 0의 값까지 서서히 감소시키는 제 2 제어에 의한 제 2 다층 연소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순환부(2)에 공급되는 1차 공기 유량이 최저 1차 공기 유량이며, 순환부(2)에 공급되는 1차 공기비가 전공기비가 된 경우, 순환부(2) 만으로 오니를 완전 연소시키는 순환부 완전 연소 처리를 행한다.
여기서, 도 2a, 도 2b, 도 2c 및 도 2d를 참조하여, 제어 장치(100)에 의한 연소 제어 처리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a는, 순환형 다층 연소로(1)의 부하인, 단위 시간당의 소각 처리량(Br)에 대한 단위 소각 처리량(1t-cake)당의 연료 사용량(Fr)(Nm3/t-cake)을 나타낸다. 도 2b는, 단위 시간당의 소각 처리량(Br)에 대한 공기비(1차 공기비(m1), 2차 공기비(m2), 3차 공기비(m3), 전공기비(m))의 변화를 나타낸다. 또한, 도 2c는, 단위 시간당의 소각 처리량(Br)에 대한 1차 공기 유량(A1V), 도 2d는, 단위 시간당의 소각 처리량(Br)에 대한 순환부 출구 온도(T)의 변화를 나타낸다. 또한, 100% 부하의 소각 처리량(Br)은,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100t/일(日)이다. 따라서, 75% 부하 및 50% 부하의 소각 처리량(Br)은 각각,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75t/일 및 50t/일이다.
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순환부(2)의 최저 1차 공기 유량(A1Vmin)은, 소각 처리량(Br)이 75% 부하일 때이다. 이 최저 1차 공기 유량(A1Vmin)을 넘어 최대 1차 공기 유량(A1Vmax)까지의 구간, 즉, 75% 부하에서 100% 부하의 사이에서는, 상술한 제 1 다층 연소 처리(B1)가 행해진다. 또한, 최저 1차 공기 유량(A1Vmin)인 구간, 즉, 75% 부하에서 50% 부하의 사이에서는, 상술한 제 2 다층 연소 처리(B2)가 행해지고, 특히, 50% 부하시에서는, 순환부 완전 연소 처리(B3)가 행해진다.
(제 1 다층 연소 처리)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다층 연소 처리(B1)의 구간에서는, 순환부(2)에서의 1차 공기비(m1)가 1 미만, 예를 들면 0.9로 하는 억제 연소 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후연소부(3)에서의 2차 공기비(m2)를 예를 들면 0.1 및 3차 공기비(m3)를 예를 들면 0.3으로 하여 순환부(2)로부터의 열분해 가스를 완전 연소시킨다. 그리고, 순환형 다층 연소로(1) 전체의 전공기비는 예를 들면 1.3으로 설정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오니의 처리량이 많고, 순환부(2)가 억제 연소 상태임과 함께, 후연소부(3)에 있어서 국소 고온장 존이 형성되어 있고, N2O 가스가 저감된다. 그리고, 순환부(2)가 억제 연소이기 때문에, 도 2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다층 연소 처리(B1)의 구간에서는, 순환부 출구 온도(T)는, 예를 들면 750℃가 된다. 또한, 후연소부 출구 온도는, 예를 들면 850℃가 된다.
또한,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다층 연소 처리(B1)의 구간에서는, 1차 공기비(m1)를 유지하기 위해, 단위 소각 처리량당의 연료 사용량은, 일정값(Fr1)(예를 들면, 20(Nm3/t-cake))이 된다. 또한, 일정값(Fr1)은, 단위 소각 처리량에 대응하기 때문에, 소각 처리량(Br)이 증가하면, 연료 사용량의 절대량은 증대한다.
(제 2 다층 연소 처리 및 순환부 완전 연소 처리)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다층 연소 처리(B2)의 구간에서는, 순환부(2)에서의 1차 공기비(m1)는, 1 미만으로 하는 것에 관계없이, 부하의 감소에 따라 단조(單調)하게 증대시키고, 50% 부하에 있어서 전공기비(m)의 값이 되도록 하고 있다. 한편, 후연소부(3)의 2차 공기비(m2) 및 3차 공기비(m3)는, 부하의 감소에 따라 단조하게 감소시키고, 50% 부하에 있어서 0이 되도록 하고 있다. 즉, 50% 부하에서는, 순환부(2)만이 완전 연소되고, 후연소부(3)는, 완전 연소를 확보하는 예비 연소부의 역할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제 2 다층 연소 처리(B2)의 구간의 75% 부하에 있어서, 1차 공기비(m1)를 즉시 1.3, 2차 공기비(m2) 및 3차 공기비(m3)를 즉시 0으로 하여 불연속으로 제어하면, 순환부(2)에 급속하게 많은 공기가 공급되게 된다. 이 경우, 순환부(2)에 잉여의 공기를 공급하게 되므로, 순환부(2)에 있어서는, 이 잉여의 공기를 승온시킬 필요가 생겨, 연료의 사용량이 증가해버린다. 그 때문에, 제 2 다층 연소 처리(B2)의 구간에 있어서는, 부하의 감소에 따라, 1차 공기비(m1), 2차 공기비(m2) 및 3차 공기비(m3)의 각각을 단조 또한 연속적으로 변화시킨다.
또한, 제 2 다층 연소 처리(B2)의 구간에 있어서, 순환부(2)에 있어서의 1차 공기비(m1)가 1.0 미만의 경우, 제 1 다층 연소 처리(B1)의 구간과 동일하게, 순환부(2)가 억제 연소 상태임과 함께, 후연소부(3)에 있어서 국소 고온장 존이 형성되어, N2O가 저감된다. 그리고, 오니의 처리량이 적어져 부하가 감소하는 것에 따라, 순환부(2)에 있어서의 1차 공기비(m1)가 연속적으로 증가하여 1.0 이상이 되면, 순환부(2)에 있어서는, 온도가 상승하지만 완전 연소까지는 가지 않을 정도의 연소 상태가 된다. 이 경우, 후연소부(3)에 있어서는, 제 1 다층 연소 처리(B1)의 경우에 비해 온도가 저하하지만, N2O는 순환부(2)에 있어서 완전 연소시키는 것보다 낮은 상태가 된다.
상술한 제 1 다층 연소 처리(B1)에서는, 부하가 증감하더라도, 순환부(2)와 후연소부(3)와 연소 처리 비율은 변화시키고 있지 않으나, 이 제 2 다층 연소 처리(B2)에서는, 부하의 감소에 따라, 순환부(2)에서의 연소 처리 비율을 즉시 변경하지 않고, 서서히 높이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50% 부하에서는, 순환부(2)에서의 연소 처리 비율을 100%로 하는 순환부 완전 연소 처리(B3)를 행하고 있다. 이 결과, 도 2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다층 연소 처리(B2)의 구간에서는, 순환부 출구 온도(T)는, 75% 부하에서 50% 부하에 가까워짐에 따라, 예를 들면 750℃에서 850℃로 고온화한다. 또한, 후연소부 출구 온도는, 예를 들면 700℃가 된다.
여기서, 종래의 순환형 다층 연소로에서는, 도 2b의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75% 부하에서 50% 부하의 사이에서도, 100% 부하에서 75% 부하의 사이의 제 1 다층 연소 처리와 동일하게, 부하와는 무관하게 1차 공기비(m1), 2차 공기비(m2), 3차 공기비(m3)를 일정하게 하는 제어를 행하고 있었다. 이 결과, 도 2d의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75% 부하에서 50% 부하의 사이에서도, 순환부(2)는, 순환부 출구 온도(T)가 750℃가 되는 억제 연소가 행해지고, 후연소부 출구 온도가 850℃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75% 부하에서 50% 부하의 사이에서는, 부하의 감소에 따라, 절대량인 1차 공기 유량(A1V)이 감소하지 않기 때문에, 1차 공기 유량(A1V)이 잉여가 되고, 도 2a의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잉여분의 공기에 대응하여 강제적으로 1차 공기비(m1)를 0.9로 유지하여 오니의 억제 연소를 행하게 하기 위한 단위 소각 처리량당의 연료 사용량이, 부하의 감소(1차 공기 유량(A1V)의 잉여량의 증대)에 따라 증대하고 있었다.
이것에 대해,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2b의 75% 부하에서 50% 부하의 사이에서, 부하의 감소에 따라, 1차 공기비(m1)를 증대시키고, 순환부(2)의 억제 연소(다층 연소 상태)로부터, 순환부(2)에 의한 오니의 완전 연소 상태(고온 상태)로 이행시키고 있기 때문에, 1차 공기 유량(A1V)의 잉여량의 증대라고 하는 상태가 발생하지 않아, 불필요한 연료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75% 부하나 50% 부하는, 일례이며, 순환부(2)의 노 용량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다.
이상,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실시형태에 기재된 범위에는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상기 실시형태에, 다양한 변경 또는 개량을 더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게 명확하다. 또한 그와 같은 변경 또는 개량을 더한 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될 수 있는 것이, 특허청구의 범위의 기재에서 명확하다.
1: 순환형 다층 연소로 2: 순환부
3: 후연소부 10: 라이저
11: 희박층 12: 농후층
13, 33: 열전대 20: 사이클론
21: 다운카머 35: 가스 센서
41l 연료 사용량 조절기 42, 43, 44: 공기 유량 조절기
51, 52, 53, 54: 밸브 60: 오니 공급 펌프
61: 오니 공급 유량 검출기 70: 연료
71: 연료 사용량 검출기 80: 1차 공기 블로워
90: 2차 공기 블로워 100: 제어 장치
A1: 1차 공기 A2: 2차 공기
A3: 3차 공기

Claims (2)

  1. 유동 매체를 순환시키는 공기를 공급하면서 오니를 연소하는 순환부와, 상기 순환부로부터의 열분해 가스에 공기를 공급하여 완전 연소시키는 후(後)연소부를 가지고, 투입 오니량에 대응하는 완전 연소에 필요한 공기 유량의 공기를, 상기 순환부와 상기 후연소부에 대하여 소정의 비율로 나누어 공급하는 제 1 제어를 행하는 순환형 다층 연소로(爐)로서,
    상기 제 1 제어에서는 상기 순환부에 공급되어야 할 공기의 공기 유량이 상기 유동 매체를 순환시키는데 필요한 공기 유량 미만이 되는 경우에, 상기 제 1 제어 대신, 상기 완전 연소에 필요한 공기 유량의 공기 중, 상기 순환부에 있어서 상기 유동 매체를 순환시키는데 필요한 최저한의 공기 유량 이상의 공기를 상기 순환부에 공급함과 함께, 잔부의 공기를 상기 후연소부에 공급하는 제 2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형 다층 연소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는, 상기 완전 연소에 필요한 공기 유량의 공기 중, 상기 순환부에 있어서 상기 유동 매체를 순환시키는데 필요한 최저한의 공기 유량의 공기를 상기 순환부에 공급함과 함께, 잔부의 공기를 상기 후연소부에 공급하는 제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형 다층 연소로.
KR1020147034787A 2012-06-18 2013-06-14 순환형 다층 연소로 KR1015522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37091 2012-06-18
JP2012137091 2012-06-18
PCT/JP2013/066511 WO2013191109A1 (ja) 2012-06-18 2013-06-14 循環型多層燃焼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4490A KR20150014490A (ko) 2015-02-06
KR101552294B1 true KR101552294B1 (ko) 2015-09-10

Family

ID=49768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4787A KR101552294B1 (ko) 2012-06-18 2013-06-14 순환형 다층 연소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863122B1 (ko)
JP (1) JP5998216B2 (ko)
KR (1) KR101552294B1 (ko)
CN (1) CN104350330B (ko)
HK (1) HK1202610A1 (ko)
WO (1) WO20131911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43805B2 (ja) * 2014-06-24 2017-12-06 株式会社神鋼環境ソリューション 汚泥の燃焼方法および汚泥用の燃焼炉
CN107461752A (zh) * 2017-06-29 2017-12-12 俞国豪 一种湿污泥焚烧方法及流化床焚烧炉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9413A (ja) * 1995-02-14 1996-08-30 Mitsubishi Heavy Ind Ltd 流動床ボイラ
JP3586164B2 (ja) 2000-03-22 2004-11-10 日本碍子株式会社 循環流動焼却炉の運転方法
JP2003042422A (ja) * 2001-08-02 2003-02-13 Hitachi Zosen Corp 廃棄物燃焼方法
JP2004181322A (ja) * 2002-12-02 2004-07-02 Tsukishima Kikai Co Ltd 流動層
JP2004278992A (ja) * 2003-03-18 2004-10-07 Babcock Hitachi Kk 流動層焼却炉とその運転方法
JP4147395B2 (ja) * 2003-03-19 2008-09-10 バブコック日立株式会社 流動床式廃棄物処理装置
US6865994B2 (en) * 2003-04-03 2005-03-15 General Electric Company Step-diffuser for overfire air and overfire air/N-agent injector systems
JP4817459B2 (ja) * 2007-12-10 2011-11-16 メタウォーター株式会社 汚泥の焼却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汚泥の焼却方法
JP5321785B2 (ja) * 2008-03-25 2013-10-23 株式会社Ihi 循環流動層ガス化装置とその空気流量制御方法及び装置
CN101725965B (zh) * 2008-10-21 2012-07-25 神华集团有限责任公司 循环流化床高温烟气炉及其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3191109A1 (ja) 2016-05-26
CN104350330B (zh) 2016-09-07
HK1202610A1 (zh) 2015-10-02
WO2013191109A1 (ja) 2013-12-27
EP2863122A1 (en) 2015-04-22
KR20150014490A (ko) 2015-02-06
EP2863122B1 (en) 2019-01-09
EP2863122A4 (en) 2016-03-09
JP5998216B2 (ja) 2016-09-28
CN104350330A (zh) 2015-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837415A (ja) 低NOx用ごみ焼却炉
JP2011220668A (ja) 循環式流動焼却炉の温度制御装置及びその温度制御方法
KR101552294B1 (ko) 순환형 다층 연소로
JP5013808B2 (ja) ストーカ式焼却炉の燃焼制御装置
KR102524977B1 (ko) 연소변동성 억제를 통한 소각로 질소산화물 제어방법 및 장치
JP2019207048A (ja) 廃棄物焼却炉
JP6738773B2 (ja) 火格子式廃棄物焼却炉
JP2002098308A (ja) 循環流動層燃焼装置
TWI639799B (zh) 流動床式污泥焚化爐及焚化處理方法
JP3913229B2 (ja) 循環流動炉
JP7397627B2 (ja) 焼却プラント及びその燃焼制御方法
JP5271660B2 (ja) 旋回燃焼ボイラ
JP2012122623A (ja) 下水汚泥の乾燥焼却方法及び装置
JP6797082B2 (ja) 一次燃焼用気体の供給制御方法、蒸発量安定化方法、発電量安定化方法、及び火格子式廃棄物焼却炉
JP5675284B2 (ja) 汚泥流動層焼却プラント及び汚泥焼却方法
JP2681748B2 (ja) 流動床炉における安定燃焼方法及び装置
KR102102189B1 (ko) 개별 제어가 가능한 복수의 라이저를 구비한 유동사 하강형 순환유동층 보일러 및 이의 운전방법
JP2005282970A (ja) ストーカ式ごみ焼却炉の燃焼制御方法及びごみ焼却炉
JP7091110B2 (ja) 廃棄物焼却炉
EP3597996B1 (en) Falling fluid sand type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 with a plurality of riser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2002130626A (ja) 廃棄物燃焼装置及び方法
JP2941785B1 (ja) 流動層焼却炉の運転方法とその焼却炉
JPH1194224A (ja) 流動床式焼却炉の燃焼制御方法
JP2005351562A (ja) 廃棄物処理装置
JP2000121025A (ja) 流動床焼却炉の燃焼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