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0982B1 - 학습영역 분리를 이용한 노킹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학습영역 분리를 이용한 노킹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0982B1
KR101550982B1 KR1020130142965A KR20130142965A KR101550982B1 KR 101550982 B1 KR101550982 B1 KR 101550982B1 KR 1020130142965 A KR1020130142965 A KR 1020130142965A KR 20130142965 A KR20130142965 A KR 20130142965A KR 101550982 B1 KR101550982 B1 KR 101550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load
knocking
cell
par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2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9676A (ko
Inventor
봉하동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2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0982B1/ko
Priority to US14/295,053 priority patent/US20150149067A1/en
Priority to CN201410272923.2A priority patent/CN104653380B/zh
Publication of KR20150059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9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0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0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5/00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 F02P5/04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automatically, as a function of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engine or vehicle or of the atmospheric conditions
    • F02P5/145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automatically, as a function of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engine or vehicle or of the atmospheric conditions using electrical means
    • F02P5/15Digital data processing
    • F02P5/152Digital data processing dependent on pinking
    • F02P5/1526Digital data processing dependent on pinking with means for taking into account incorrect functioning of the pinking sensor or of the electric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5/00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 F02P5/04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automatically, as a function of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engine or vehicle or of the atmospheric conditions
    • F02P5/145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automatically, as a function of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engine or vehicle or of the atmospheric conditions using electrical means
    • F02P5/15Digital data processing
    • F02P5/152Digital data processing dependent on pink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23/00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or recording rapid changes, such as oscillations, in the pressure of steam, gas, or liquid; Indicators for determining work or energy of steam, internal-combustion, or other fluid-pressure engines from the condition of the working fluid
    • G01L23/22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or recording rapid changes, such as oscillations, in the pressure of steam, gas, or liquid; Indicators for determining work or energy of steam, internal-combustion, or other fluid-pressure engines from the condition of the working fluid for detecting or indicating knocks in internal-combustion engines; Units comprising pressure-sensitive members combined with ignitors for firing internal-combustion engines
    • G01L23/221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or recording rapid changes, such as oscillations, in the pressure of steam, gas, or liquid; Indicators for determining work or energy of steam, internal-combustion, or other fluid-pressure engines from the condition of the working fluid for detecting or indicating knocks in internal-combustion engines; Units comprising pressure-sensitive members combined with ignitors for firing internal-combustion engines for detecting or indicating knocks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G01L23/225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or recording rapid changes, such as oscillations, in the pressure of steam, gas, or liquid; Indicators for determining work or energy of steam, internal-combustion, or other fluid-pressure engines from the condition of the working fluid for detecting or indicating knocks in internal-combustion engines; Units comprising pressure-sensitive members combined with ignitors for firing internal-combustion engines for detecting or indicating knocks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ircuit arrangements therefor
    • G01L23/227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or recording rapid changes, such as oscillations, in the pressure of steam, gas, or liquid; Indicators for determining work or energy of steam, internal-combustion, or other fluid-pressure engines from the condition of the working fluid for detecting or indicating knocks in internal-combustion engines; Units comprising pressure-sensitive members combined with ignitors for firing internal-combustion engines for detecting or indicating knocks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ircuit arrangements therefor using numerical analy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35/00Controlling engines, dependent on conditions exterior or interior to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D35/02Controlling engines, dependent on conditions exterior or interior to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n interior conditions
    • F02D35/027Controlling engines, dependent on conditions exterior or interior to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n interior conditions using knock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4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 F02D41/2406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using essentially read only memories
    • F02D41/2425Particular ways of programming the data
    • F02D41/2429Methods of calibrating or learning
    • F02D41/2441Methods of calibrating or learning characterised by the learning conditions
    • F02D41/2445Methods of calibrating or learning characterised by the learning conditions characterised by a plurality of learning conditions or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5/00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 F02P5/04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automatically, as a function of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engine or vehicle or of the atmospheric conditions
    • F02P5/145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automatically, as a function of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engine or vehicle or of the atmospheric conditions using electrical means
    • F02P5/15Digital data processing
    • F02P5/1502Digital data processing using one central computing unit
    • F02P5/1514Digital data processing using one central computing unit with means for optimising the use of registers or of memories, e.g. interpo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의 학습영역 분리를 이용한 노킹제어방법에서는 전부하와 부분 부하에서 노킹 학습 셀 구분이 이루어지면서 동일영역의 부분부하 노킹학습 값이 전부하에서도 함께 적용됨으로써 고부하의 부분부하에서 학습된 값으로 전부하에서의 노킹(Knocking)의 발생이 최소화되고, 또한 부분부하에서 특정 셀 값의 학습 시 전부하 특정 셀도 함께 학습됨으로써 동일 영역에서 부분부하보다 2ㅀ진각하여 맵핑됨에 따라 부분부하 학습 값을 그대로 받아 학습하는 것이 노킹(Knocking)에 유리한 전부하의 특성이 반영될 수 있으며, 특히 점화시기 설정방식의 다름에도 노킹학습제어 영역은 부분부하와 전부하를 하나의 테이블(Table)로 보고 맵핑(Mapping)함에 따른 노킹(Knocking)의 악순환이 모두 해소되는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학습영역 분리를 이용한 노킹제어방법{Knocking Control Method based on Separation Learning Range}
본 발명은 노킹학습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분 부하 및 전부하에서 점화시기 설정방식의 다름에도 노킹학습제어 영역은 부분부하와 전부하를 하나의 테이블(Table)로 보고 맵핑(Mapping)함에 따른 노킹(Knocking)의 악순환을 해소할 수 있는 학습영역 분리를 이용한 노킹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킹(Knocking)은 정상적인 화염이 연소실 끝까지 도달되기 전에 미연 말단가스가 자발화되는 현상으로서, 특히 점화시기를 MBT(Maximum Brake Torque: 최대 토크를 발생시키는 최소 진각 점화시기)까지 진각하기 전에 발생함으로써 엔진 토크의 감소가 발생된다.
이러한 현상은 저속 고부하 시 심화될 수 있다.
이러한 노킹을 방지하는 한 예는 점화시기 설정방식을 부하로 달리하는 점화시기 데이터 맵핑 방식으로서, 이를 통해 엔진의 회전수와 부하에 따른 점화 시기 맵(Spark Ignition Map)이 완성된다.
일례로, 엔진의 회전수(Ne)와 부하(Load)에 따라 점화시기를 설정하고, 설정된 점화시기에 따라 작동된 엔진에서 노크(knock)가 발생되지 않은 점화시기를 DBL(Detonation Board Line)로 결정하고, 이에 대해 안전각도(Margin)를 두고 점화시기를 지각시켜 특정회전수와 부하에서의 점호시기(Spark Timing)를 결정해줌으로써 점화 시기 맵(Spark Ignition Map)이 완성되는 방식이다.
이와 달리 노킹 학습은 셀(Cell)을 이용한 보다 개선된 노킹 학습 제어 방식이 있고, 이는 실험에 의한 시간과 인력이 필요한 방식의 단점을 해소할 수 있다.
이러한, 노킹 학습 제어 방식은 회전수(RPM)와 로드(Load, 공기량)로 형성되어 있는 엔진의 운전영역을 학습 셀(Cell)로 구분하고, 부분 부하 및 전부하에서 점화시기 설정방식을 달리하며, 부분부하와 전부하를 하나의 표(Table)로 보고 노킹학습제어 영역이 맵핑되는 방식이다.
일례로, 부분부하에서는 점화시기가 DBL(노킹발생점화시기)보다 2~3도 지각된 값으로 맵핑되는데, 이는 부분부하 시 엔진 소음이 크지 않은 통상 운전영역이므로 소음측면을 기준으로 맵핑됨에 기인된다. 반면, 전부하에서는 점화시기가 DBL이나 DBL -1도 수준에서 맵핑되는데, 이는 전부하 시 엔진의 소음 수준이 크고 동력성능을 기준으로 맵핑됨에 기인된다.
이러한 부분부하 및 전부하의 구분에서 각 운전 영역이 다수 셀(Cell)로 구분되고, 이로부터 노킹 학습 셀이 적용됨으로써 노킹 학습 제어가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각 운전 영역이 0~15로 나누어진 16개의 셀로 구분될 때 전부하영역은 1200~2000rpm에서 공기량 75로 8번 셀에 걸쳐 있는 방식이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 2를 통해 예시된다.
국내특허공개 10-2002-0083209(2002년11월02일)
하지만, 부분 부하 및 전부하에서 점화시기 설정방식이 다름을 구분하지 않는 노킹 학습 제어 방식은 점화시기 설정방식이 다른 상황에서 노킹학습제어 영역이 부분부하와 전부하를 하나의 표(Table)로 보고 맵핑됨으로서, 각 운전 영역을 구분한 셀중 특정한 셀에서 부분부하와 전부하가 공존됨에 따른 불리함이 있게 된다.
이로 인해, 노킹 학습 제어 시 전부하에서 노킹이 발생하여 지각된 점화시기를 부분부하에서도 적용될 수 있고, 이 경우 동력성능 저하가 발생될 수밖에 없다.
특히, 부분부하에서 노킹(Knocking)이 발생하지 않아 점화시기 회복이 발생할 때, 그 부분을 가지고 다시 전부하 영역에서 운전할 경우 노킹(Knocking)이 다시 발생되는 악순환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식에서는 저지대에서의 쓰로틀(Throttle) 70%이상의 전부하조건 시 공기량 75이상에서 발생한 노킹(Knocking)이 특정 셀에 학습되고, 동일 영역에서 공기량 45~75까지 부분부하로 노킹이 발생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이 특정 셀의 학습 값이 점화시기 지각 값으로 지각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전부하와 부분 부하에서 노킹 학습 셀 구분이 이루어지면서 동일영역의 부분부하 노킹학습 값이 전부하에서도 함께 적용됨으로써 고부하의 부분부하에서 학습된 값으로 전부하에서의 노킹(Knocking)의 발생이 최소화되고, 특히 부분부하에서 특정 셀 값의 학습 시 전부하 특정 셀도 함께 학습됨으로써 동일 영역에서 부분부하보다 2도 진각하여 맵핑됨에 따라 부분부하 학습 값을 그대로 받아 학습하는 것이 노킹(Knocking)에 유리한 전부하의 특성이 반영될 수 있는 학습영역 분리를 이용한 노킹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학습영역 분리를 이용한 노킹제어방법은 (a) 공기량(Load)-회전수로 표현된 운전영역에 학습 셀(Cell)이 지정되고; (b) 상기 학습 셀(Cell)을 이루는 개개의 셀(Cell)이 각각의 고유 번호로 구분되어져 부분 부하와 전부하에 각각 설정되며; (c) 상기 부분 부하의 노킹 셀과 상기 전부하의 노킹 셀이 다른 셀로 각각 지정되며; (d) 점화시기 진지각 기준이 고부하의 부분부하 학습값과 전부하에서의 학습값이 갖는 차이로 구분되고, 상기 부분 부하의 노킹 셀 학습과 상기 전부하의 노킹 셀 학습이 동시에 이루어지거나 상기 부분 부하의 노킹 셀 학습 시 상기 전부하의 노킹 셀 학습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량(Load)-회전수에서, 공기량(Load)은 쓰로틀(Throttle)의 개도량에 의한 다수 영역으로 구분되고, 회전수는 상기 쓰로틀 영역에 각각 대응하는 엔진회전수 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학습 셀은 상기 쓰로틀 영역과 상기 엔진회전수 영역이 형성하는 행과 열에 각각 배정된 셀로 설정된다.
상기 학습 셀이외의 셀은 전부하에 추가 학습 셀로 지정되고, 상기 추가 학습 셀은 전 부하 노킹 학습 셀로 설정된다.
상기 전 부하 노킹 학습 셀은 저지대에서의 전부하조건에 적용된다.
상기 점화시기 진지각 기준은 |고부하의 부분부하 학습값|≥ |전부하에서의 학습값|이나 |고부하의 부분부하 학습값|< |전부하에서의 학습값|으로 설정된다.
상기 점화시기 진지각 기준이 |고부하의 부분부하 학습값|≥ |전부하에서의 학습값|으로 적용되면, (A) 고부하의 부분부하에서 노킹발생이 있는지 여부가 판단되고, (B) 노킹발생 시 점화시기 지각량이 상기 부분 부하 노킹 학습 셀과 상기 전부하 노킹 학습 셀에서 동시 학습되며, (C) 노킹 미 발생시 점화시기 진각량 상기 부분 부하 노킹 학습 셀에 학습되나 상기 전부하 노킹 학습 셀에서 학습되지 않는다.
상기 상기 점화시기 진지각 기준이 |고부하의 부분부하 학습값|< |전부하에서의 학습값|으로 적용되면, (A-1) 고부하의 부분부하에서 노킹발생이 있는지 여부가 판단되고, (B-1) 노킹 발생시 점화시기 지각량이 상기 부분 부하 노킹 학습 셀에 학습되나 상기 전부하 노킹 학습 셀에서 학습되지 않으며, (C-1) 노킹 미 발생시 점화시기 지각량 > 맵핑기준 진각량에 대한 판단이 이루어진 후, (D-1) 점화시기 지각량 > 맵핑기준 진각량 충족 시 점화시기 진각량이 상기 부분 부하 노킹 학습 셀과 상기 전부하 노킹 학습 셀에서 동시 학습되며, (E-1) 점화시기 지각량 > 맵핑기준 진각량 미 충족 시 점화시기 진각량이 상기 부분 부하 노킹 학습 셀에 학습되나 상기 전부하 노킹 학습 셀에서 학습되지 않는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전부하와 부분 부하에서 셀로 노킹 학습 셀 구분이 이루어짐으로써, 부분 부하 및 전부하에서 점화시기 설정방식의 다름에도 노킹학습제어 영역은 부분부하와 전부하를 하나의 테이블(Table)로 보고 맵핑(Mapping)함에 따른 노킹(Knocking)의 악순환이 모두 해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부하 영역이 학습 셀 추가나 사용빈도가 적은 셀을 이용해 설정됨으로써 저지대에서의 쓰로틀(Throttle) 70%이상의 전부하 조건 시 공기량 75이상에서 발생한 노킹(Knocking)의 학습 값이 부분 부하 시 학습 셀과 다른 학습 셀로 학습 및 저장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분부하에서 특정 셀 값의 학습 시 전부하 특정 셀도 함께 학습됨으로써 동일 영역에서 부분부하보다 2도 진각하여 맵핑됨에 따라 부분부하 학습 값을 그대로 받아 학습하는 것이 노킹(Knocking)에 유리한 전부하의 특성이 반영될 수 있고, 특히 고부하의 부분부하에서 학습된 값을 전부하 학습 셀에 동시에 적용되게 하여 전부하에서의 노킹(Knocking)의 발생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부하에서 노킹(Knocking)에 의해서 학습된 값이 부분부하에서 반영되어 토크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전부하시 DBL과 부분부하 시 DBL인 -2도 ~ -3도에 의한 점화시기 2도 차이에 의한 토크저하가 1~2% 회복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일 쓰로틀(Throttle)에서 대기압저하에 따른 절대공기량 감소가 불가결한 고지에서의 학습영역 변경에 의한 능동적 대응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영역 분리를 이용한 노킹제어방법의 동작 흐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하별 분리 학습을 이용한 노킹제어가 적용되기 위한 회전수-로드의 학습 셀 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학습영역 분리를 이용한 노킹제어의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다.
S10에서는 점화시기 진각 및 지각을 부하별로 구분하여 학습 셀로 지정되는데, 이 경우 S11과 같이 전부하관련 학습 셀이 사용빈도가 낮은 셀 이나 또는 학습 셀에 포함되지 않는 추가 학습 셀로 지정되었는지를 체크한다.
본실시예에서, 학습 셀은 공기량(Load)이 쓰로틀(Throttle)의 개도량에 의한 다수 영역으로 구분되고, 회전수가 쓰로틀 영역에 각각 대응하는 엔진회전수 영역으로 구분되며, 학습 셀은 쓰로틀 영역과 엔진회전수 영역이 형성하는 행과 열에 각각 배정된 셀로 설정된다. 특히, 학습 셀이외의 셀이 전부하에 추가 학습 셀로 지정되면, 추가 학습 셀은 전 부하 노킹 학습 셀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학습 셀의 예는 도 2를 통해 예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 셀이 0~15번 까지 약 16개의 학습 셀로 구분된 경우이지만, 그 개수와 학습영역은 장치의 종류에 따라 각각 다를 수 있다.
도 2와 같이 학습 셀(1)이 0~15번으로 분류되면, 학습 셀(1)을 이루는 0~15번의 각 셀이 공기량(Load)-회전수로 표현된 운전영역에서 고유영역으로 지정된다.
일례로, 공기량(Load)은 30.0, 35.3, 45.0,60.0,84.8,99.8의 영역으로 구분되고, 회전수는 640,800,1200,2000,2520,3520,4520,5000의 영역으로 구분되며, 학습 셀(1)의 0~15번은 공기량(Load)의 행과 회전수의 열에 각각 지정되는 방식이다.
이로부터, 부분 부하영역에는 학습 셀(1)중 사용빈도가 큰 0~11번 셀이 주로 배당됨으로써 부분 부하 학습 셀(1-1)이 형성되고, 전 부하영역에는 학습 셀(1)중 사용빈도가 크지 않은 12~15번 셀이 주로 배당됨으로써 전 부하 학습 셀(1-2)이 형성된다.
하지만, 전 부하 학습 셀의 지정은 전 부하 추가 학습 셀(1-2-1)을 이용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전 부하 추가 학습 셀(1-2-1)은 16~23 셀로 지정됨으로써 회전수 640은 16번 셀, 800은 17번 셀,1200은 18번 셀, 2000은 19번 셀, 2520은 20번 셀, 3520은 21번 셀, 4520은 22번 셀,5000은 23번 셀로 지정될 수 있다.
S20에서는 S10을 통해 지정된 부분 부하 학습 셀중 노킹 학습을 위한 노킹 학습 셀이 지정된다. 이 경우, 부분 부하 노킹 학습 셀(10-1)은 도 2와 같이 8번 셀로 지정된다.
S30에서는 S10을 통해 지정된 전 부하 학습 셀중 노킹 학습을 위한 노킹 학습 셀이 지정된다. 이 경우, 저지대에서의 쓰로틀(Throttle) 70%이상의 전부하 조건, 공기량 75이상 시 노킹 발생조건의 만족여부가 체크된다.
이러한 전 부하 노킹 학습 셀(10-2)은 도 2와 같이 18번 셀로 지정된다. 그러므로, 전 부하 노킹 학습 셀(10-2)인 18번 셀은 부분 부하 노킹 학습 셀(10-1)인 8번 셀과 다른 학습 셀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노킹 학습 셀이 8번 셀과 18번 셀로 다르게 지정됨으로써 저지대에서의 쓰로틀(Throttle) 70%이상의 전부하 조건, 공기량 75이상에서 발생한 노킹은 8번 셀이 아닌 전부하셀인 18번 셀에 학습을 하여 값을 저장된다. 그러므로, 부분부하에서 학습된 8번 셀의 값은 학습이 될 때 18번 학습 셀과 동시에 학습하게 함으로써 전부하에서의 노킹 추가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게 되면, 전부하는 동일 영역에서 부분부하보다 2도 진각하여 맵핑하기 때문에 부분부하 학습값을 그대로 받아 학습하는 것이 노킹발생에 유리한 장점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저지대에서의 쓰로틀(Throttle) 70%이상의 전부하 조건, 공기량 75이상에서 발생한 노킹이 8번 셀에 학습될 경우, 이 값은 동일 영역에서 공기량 45~75까지 부분부하로 노킹이 발생하지 않는데도 8번 셀에 학습된 점화시기 지각값으로 지각되던 제어가 방식이 해소됨을 의미한다.
한편, S40은 노킹 학습 셀의 학습 조건이 설정되는 단계로서, 이는 고부하의 부분부하 학습값과 전부하에서의 학습값을 이용하여 설정된다. 여기서, 도 2의 학습셀를 참조하면, 부분부하 학습값을 위한 고부하는 쓰로틀(Throttle) 70%이하에서의 공기량 조건이며, 전부하에서의 학습값을 위한 전부하는 쓰로틀(Throttle) 70%이상에서의 공기량조건을 의미한다.
S50과 같이 노킹 학습 셀의 학습 조건이 |고부하의 부분부하 학습값|≥ |전부하에서의 학습값|으로 설정되면, S51과 같이 고부하의 부분부하에서 노킹발생이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S51의 체크로 노킹발생이 있으면, S53과 같이 점화시기 지각량이 8번 셀과 18번 셀에서 동시 학습된다. 그러나, S51의 체크로 노킹발생이 없으면, S55와 같이 점화시기 진각량이 8번 셀에 학습되나 18번 셀에서 학습되지 않는다.
반면, S60과 같이 노킹 학습 셀의 학습 조건이 |고부하의 부분부하 학습값|< |전부하에서의 학습값|으로 설정되면, S61과 같이 고부하의 부분부하에서 노킹발생이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S61의 체크로 노킹발생이 있으면, S63과 같이 점화시기 지각량이 8번 셀에 학습되나 18번 셀에서 학습되지 않는다. 그러나, S61의 체크로 노킹발생이 없으면, S65로 진입함으로써 점화시기 지각량 > 맵핑기준 진각량에 대한 판단이 이루어진다.
S65의 체크로 점화시기 지각량 > 맵핑기준 진각량이 충족되면, S67과 같이 점화시기 진각량이 8번 셀과 18번 셀에서 동시 학습된다. 그러나, S65의 체크로 점화시기 지각량 > 맵핑기준 진각량이 충족되지 않으면, S69와 같이 점화시기 진각량이 8번 셀에 학습되나 18번 셀에서 학습되지 않는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학습영역 분리를 이용한 노킹제어방법에서는 전부하와 부분 부하에서 노킹 학습 셀 구분이 이루어지면서 동일영역의 부분부하 노킹학습 값이 전부하에서도 함께 적용됨으로써 고부하의 부분부하에서 학습된 값으로 전부하에서의 노킹(Knocking)의 발생이 최소화되고, 또한 부분부하에서 특정 셀 값의 학습 시 전부하 특정 셀도 함께 학습됨으로써 동일 영역에서 부분부하보다 2도 진각하여 맵핑됨에 따라 부분부하 학습 값을 그대로 받아 학습하는 것이 노킹(Knocking)에 유리한 전부하의 특성이 반영될 수 있으며, 특히 점화시기 설정방식의 다름에도 노킹학습제어 영역은 부분부하와 전부하를 하나의 테이블(Table)로 보고 맵핑(Mapping)함에 따른 노킹(Knocking)의 악순환이 모두 해소될 수 있다.
1 : 학습 셀 1-1 : 부분 부하 학습 셀
1-2 : 전 부하 학습 셀 1-2-1 : 전 부하 추가 학습 셀
10-1 : 부분 부하 노킹 학습 셀
10-2 : 전 부하 노킹 학습 셀

Claims (7)

  1. (a) 공기량(Load)-회전수로 표현된 운전영역에 학습 셀(Cell)이 지정되고; (b) 상기 학습 셀(Cell)을 이루는 개개의 셀(Cell)이 각각의 고유 번호로 구분되어져 부분 부하와 전부하에 각각 설정되며;
    (c) 상기 부분 부하의 노킹 셀과 상기 전부하의 노킹 셀이 다른 셀로 각각 지정되며;
    (d) 점화시기 진지각 기준이 쓰로틀(Throttle) 70%이하의 공기량에 의한 고부하의 부분부하 학습값과, 쓰로틀(Throttle) 70%이상의 공기량에 의한 전부하의 학습값이 갖는 차이로 구분되고, 상기 부분 부하의 노킹 셀 학습과 상기 전부하의 노킹 셀 학습이 동시에 이루어지거나 상기 부분 부하의 노킹 셀 학습 시 상기 전부하의 노킹 셀 학습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영역 분리를 이용한 노킹제어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량(Load)-회전수에서, 공기량(Load)은 쓰로틀(Throttle)의 개도량에 의한 다수 영역으로 구분되고, 회전수는 상기 쓰로틀 영역에 각각 대응하는 엔진회전수 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학습 셀은 상기 쓰로틀 영역과 상기 엔진회전수 영역이 형성하는 행과 열에 각각 배정된 셀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영역 분리를 이용한 노킹제어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학습 셀이외의 셀은 전부하에 추가 학습 셀로 지정되고, 상기 추가 학습 셀은 전 부하 노킹 학습 셀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영역 분리를 이용한 노킹제어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 부하 노킹 학습 셀은 저지대에서의 전부하조건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영역 분리를 이용한 노킹제어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화시기 진지각 기준은 |고부하의 부분부하 학습값|≥ |전부하에서의 학습값|이나 |고부하의 부분부하 학습값|< |전부하에서의 학습값|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영역 분리를 이용한 노킹제어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점화시기 진지각 기준이 |고부하의 부분부하 학습값|≥ |전부하에서의 학습값|으로 적용되면, (A) 고부하의 부분부하에서 노킹발생이 있는지 여부가 판단되고, (B) 노킹발생 시 점화시기 지각량이 상기 부분 부하 노킹 학습 셀과 상기 전부하 노킹 학습 셀에서 동시 학습되며, (C) 노킹 미 발생시 점화시기 진각량 상기 부분 부하 노킹 학습 셀에 학습되나 상기 전부하 노킹 학습 셀에서 학습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영역 분리를 이용한 노킹제어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상기 점화시기 진지각 기준이 |고부하의 부분부하 학습값|< |전부하에서의 학습값|으로 적용되면, (A-1) 고부하의 부분부하에서 노킹발생이 있는지 여부가 판단되고, (B-1) 노킹 발생시 점화시기 지각량이 상기 부분 부하 노킹 학습 셀에 학습되나 상기 전부하 노킹 학습 셀에서 학습되지 않으며, (C-1) 노킹 미 발생시 점화시기 지각량 > 맵핑기준 진각량에 대한 판단이 이루어진 후, (D-1) 점화시기 지각량 > 맵핑기준 진각량 충족 시 점화시기 진각량이 상기 부분 부하 노킹 학습 셀과 상기 전부하 노킹 학습 셀에서 동시 학습되며, (E-1) 점화시기 지각량 > 맵핑기준 진각량 미 충족 시 점화시기 진각량이 상기 부분 부하 노킹 학습 셀에 학습되나 상기 전부하 노킹 학습 셀에서 학습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영역 분리를 이용한 노킹제어방법.
KR1020130142965A 2013-11-22 2013-11-22 학습영역 분리를 이용한 노킹제어방법 KR101550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965A KR101550982B1 (ko) 2013-11-22 2013-11-22 학습영역 분리를 이용한 노킹제어방법
US14/295,053 US20150149067A1 (en) 2013-11-22 2014-06-03 Knocking control method based on separation learning range
CN201410272923.2A CN104653380B (zh) 2013-11-22 2014-06-18 基于分开学习范围的爆震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965A KR101550982B1 (ko) 2013-11-22 2013-11-22 학습영역 분리를 이용한 노킹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9676A KR20150059676A (ko) 2015-06-02
KR101550982B1 true KR101550982B1 (ko) 2015-09-08

Family

ID=53183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2965A KR101550982B1 (ko) 2013-11-22 2013-11-22 학습영역 분리를 이용한 노킹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50149067A1 (ko)
KR (1) KR101550982B1 (ko)
CN (1) CN104653380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97595A (ja) 2010-10-29 2012-05-24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点火時期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9012746A1 (en) * 1988-06-13 1989-12-28 Robert Bosch Gmbh Knock control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2910858B2 (ja) * 1989-08-31 1999-06-23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のノッキング検出方法
US5090382A (en) * 1990-10-23 1992-02-25 Saturn Corporation Vehicle engine ignition timing system with adaptive knock retard
JP2844418B2 (ja) * 1993-12-30 1999-01-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点火時期制御装置
DE19605407C2 (de) * 1996-02-14 1999-08-05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r Bestimmung des Zündwinkels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mit adaptiver Klopfregelung
JP2000130246A (ja) * 1998-10-27 2000-05-09 Daihatsu Motor Co Ltd 内燃機関のノック検出方法
JP2006046084A (ja) * 2004-07-30 2006-02-16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点火時期制御装置
US9157825B2 (en) * 2008-05-01 2015-10-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ngine knock diagnostic
JP4807471B2 (ja) * 2009-01-09 2011-11-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異常検出装置
JP4841638B2 (ja) * 2009-02-12 2011-12-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点火時期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97595A (ja) 2010-10-29 2012-05-24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点火時期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653380A (zh) 2015-05-27
CN104653380B (zh) 2018-10-16
US20150149067A1 (en) 2015-05-28
KR20150059676A (ko) 2015-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82202B2 (en) Torque compensation for detonation
RU2011149222A (ru) Способ работы двигателя (варианты) и система двигателя
JPS58165574A (ja) 多気筒エンジンの制御装置
KR101550982B1 (ko) 학습영역 분리를 이용한 노킹제어방법
CN111852719B (zh) 点火角控制方法、系统和可读存储介质
JP4589956B2 (ja) 点火制御装置
CN104169549A (zh) 用于控制爆震的方法和装置
US7051712B2 (en) Method for computing an ignition angl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7239627A (ja) 火花点火式内燃機関
JP2007321597A (ja) 内燃機関のノッキング制御装置
KR101554785B1 (ko) 점화시기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2502844B (zh) 一种发动机控制方法、装置、设备和介质
JP5146337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4877276B2 (ja) 内燃機関の点火時期制御装置
CN107710162B (zh) 电子控制装置及栈使用方法
CN106286073A (zh) 车辆发动机控制方法及装置
JP2006161640A (ja) エンジンの点火制御装置
CN115143008B (zh) 发动机点火的控制方法、装置以及发动机
JPS62107274A (ja) 内燃機関の点火時期制御装置
JP2016148295A (ja) 点火制御装置
JP6485137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17089608A (ja) エンジンの燃焼室構造の設計方法
JP2015218621A (ja) 内燃機関の燃焼室構造
JP4663467B2 (ja) ノック発生状態判定装置
KR20130041479A (ko) 엔진의 점화시기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