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6724B1 - 야간 우천시 차선 시인성 향상을 위한 노면 구조 및 그 설치 공법 - Google Patents

야간 우천시 차선 시인성 향상을 위한 노면 구조 및 그 설치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6724B1
KR101546724B1 KR1020150028910A KR20150028910A KR101546724B1 KR 101546724 B1 KR101546724 B1 KR 101546724B1 KR 1020150028910 A KR1020150028910 A KR 1020150028910A KR 20150028910 A KR20150028910 A KR 20150028910A KR 101546724 B1 KR101546724 B1 KR 101546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power supply
lane
supply line
bur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8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길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우
Priority to KR1020150028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67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6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6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01F9/065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53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 E01F9/559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illumin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 E01F9/582Traffic lines illumin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F21S8/02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intended to be recessed in a floor or like ground surface, e.g. pavement or false 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야간 우천시 차선 시인성 향상 노면 구조 및 그 설치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차선의 도색부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LED를 매립함으로써 야간 우천시 차선의 시인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사고 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는 노면 구조 및 그 설치 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야간 우천시 차선 시인성 향상 기술을 이용하면 야간 우천시 야간식별센서 및 레인센서가 작동하여 통전을 시킴으로써 LED에 발광이 이루어져 투명 실리콘의 상부로 발광이 비추어질 수 있어 차선 시인성이 확보될 수 있고, 간단한 방법에 의하여 설치 및 시공이 될 수 있으므로 공사의 어려움이 없으며 작업도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으므로 공사 기간 및 비용 상승이 크지 않은 장점이 있다. 또한 차량의 잦은 주행시에도 파손되거나 이탈하지 않으며, 유지 보수도 저렴하고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야간 우천시 차선 시인성 향상을 위한 노면 구조 및 그 설치 공법{Road surface structure for improving visibility of the road line in case of rain at night and install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야간 우천시 차선 시인성 향상을 위한 노면 구조 및 그 설치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차선의 도색부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LED를 매립함으로써 야간 우천시 차선의 시인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사고 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는 노면 구조 및 그 설치 공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은 구획된 도로를 따라 주행함으로써 사고를 방지하고 안전 운전을 담보하게 된다. 따라서 도로의 차선은 안전과 교통 소통에 있어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므로 항시 운전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차선은 특히 야간에도 운전자가 식별하기 쉽도록 형광 물질 등을 함유한 유색 도료를 이용하여 도료 표면에 얇게 도장함으로써 형성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차선은 주간이나 야간에 날씨가 맑은 날에는 시인성이 양호하여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지 않다. 그러나, 야간 우천시에는 도로 노면에 빗물이 덮이게 되므로 자동차의 전조등, 가로등 등의 불빛이 빗물에 비추어서 차선이 보이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다반사로 발생한다. 따라서 야간 우천시 운전자는 차선을 구분할 수가 없어 차선을 넘어 인접 차로를 침범함으로써 인접 차로를 주행하는 차량과 추돌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특히 양방 2차선 도로와 같이 차선이 좁은 경우에는 중앙선이 보이지 않으므로 차량이 중앙선을 넘어 정면 충돌의 가능성도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야간 우천시에 운전자의 차선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큰 상황이다.
종래 야간 운전 우천시 차선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들이 다양하게 제안된 바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0233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95754호 등은 LED를 매립한 도로 표지병을 일정 간격으로 차선 위에 설치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도로 표지병은 노상에 돌출되게 설치되기 때문에 차량의 차로 변경을 할 경우 차량 바퀴에 의해 파손되기 쉽고 이에 따라 차선 변경이 허용되는 차선에서는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로 하부에 LED를 내장하고 금속 프레임 등을 지면 바닥면에 매설하여 앵커로 고정하며 금속 프레임에 투광창을 설치함으로써 도로의 하부에 매립한 기술들이 제안되었다(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65874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6804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31565호 등). 그러나 이러한 금속 프레임을 이용한 기술들은 프레임이 수톤 ~수십톤에 이르는 차량의 바퀴에 의해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영향을 받으므로 프레임이 변형되거나 손상이 일어나며 노면으로부터 이탈되기 쉬우므로 주행량이 많은 도로의 차선에 설치되기는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63175호는 시트화된 구조의 발광 차선을 이용하여 파손 위험성은 낮추고 차선의 시인성을 향상시킨 기술을 제안하였다. 이 기술에서는 차선을 다층의 압착 구조를 갖는 시트 형태로 제작하고 일정 휘도를 갖는 발광면을 상면에 두고 배면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도로에 붙임으로써 도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접착제로 사용되는 열경화성 수지가 빗물 등에 의해 쉽게 도로에서 떨어지므로 차량이 많이 다니는 도로에 적용하기는 불가능한 기술이다.
<기타 선행기술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15006호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35738호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9457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상황을 고려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야간 우천시에 노면에 물이 고여 시인성이 확보되기 어려운 경우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면에 발광 차선을 설치함에 있어, 기존의 도로 표지병과 같이 도로 상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되어 차선변경이 가능한 일반 차선에도 설치가 가능하며, 볼트나 앵커 등을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수톤 내지 수십톤의 차량이 지나다니더라도 파손 또는 변형이 되거나 도로 노면으로부터 이탈될 가능성이 없으며, 유지 보수도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차선 시인성 향상 노면 구조 및 그 설치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선 도색부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LED 매립 설치용 줄눈;
상기 LED 매립 설치용 줄눈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매설되는 LED;
상기 LED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선으로서 차로의 폭 방향으로 형성된 전원 공급선 매립 설치용 줄눈에 매설되어 차로 외측의 전원에 연결되는 전원 공급선;
상기 차로 외측의 전원에 연결되어 상기 차로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전원 공급선을 통해 상기 LED에 연결되는 야간식별센서 및 레인센서; 및
상기 LED 매립 설치용 줄눈 및 전원 공급선 매립 설치용 줄눈의 상부에 상기 차선 도색부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도포되어 상기 LED 매립 설치용 줄눈 및 전원 공급선 매립 설치용 줄눈의 상부를 마감하며 상기 설치된 LED 및 전원 공급선의 상부를 커버하여 밀폐시키는 투명 실리콘;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LED 매립 설치용 줄눈에 매설되는 LED 및 전원 공급선 매립 설치용 줄눈에 매설되는 전원 공급선은 수밀되게 처리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간 우천시 차선 시인성 향상 노면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원 공급선은 차로 외측에 설치된 가로등이나 교통 신호 제어기 또는 교통 신호등 전원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LED는 상기 차선의 색상에 따라 상기 차선의 색상이 황색인 경우에는 황색 LED가 설치되고 상기 차선의 색상이 백색인 경우에는 백색 LED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차선 도색부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LED 매립 설치용 줄눈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형성된 LED 매립 설치용 줄눈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LED를 매설하는 단계;
(c) 상기 LED에 전원 공급선을 연결하고, 차로의 폭 방향으로 전원 공급선 매립 설치용 줄눈을 형성하여, 상기 전원 공급선 매립 설치용 줄눈에 전원 공급선을 매설하고 차로 외측의 전원에 연결하되, 상기 LED 및 전원 공급선은 수밀되게 처리하여 설치하고, 상기 차로 외측에는 상기 전원 공급선을 통해 상기 LED에 연결되는 야간식별센서 및 레인센서를 설치하는 단계; 및
(d) 상기 형성된 LED 매립 설치용 줄눈 및 전원 공급선 매립 설치용 줄눈의 상부를 투명 실리콘으로 마감하되, 상기 차선 도색부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도포하여 상기 LED 매립 설치용 줄눈 및 전원 공급선 매립 설치용 줄눈의 상부를 마감하며 상기 설치된 LED 및 전원공급선의 상부를 커버하여 밀폐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간 우천시 차선 시인성 향상 노면 구조의 설치 공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야간 우천시 차선 시인성 향상을 위한 노면 구조 및 그 설치 공법을 이용하면 야간 우천시에 노면에 물이 고여 각종 빛들의 반영으로 차선의 시인성이 확보되기 어려운 경우 노면 하부에 매립된 LED 등을 발광시킴에 의해 차선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LED 등을 구비한 차선을 설치함에 있어 기존의 도로 표지병과 같이 도로 상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하여 차선 변경이 가능한 일반 차선에도 설치가 가능하고, 볼트나 앵커 등을 이용하여 노면에 조립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차량에 의해 파손이나 변형이 되지 않아 내구성이 우수하며, 설치가 용이하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유지보수 보수도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선 시인성 향상을 위한 노면 구조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평면 도면과 일부 확대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차선 시인성 향상을 위한 노면 구조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A-A 단면도와 일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선 시인성 향상을 위한 노면 구조에 사용되는 내부 요소들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차량이 많이 지나다니는 차로의 차선 도색부에 설치되어 야간에 비가 많이 내려 차량의 전조등이나 가로등 등의 불빛이 차로 위에 덮인 빗물에 비쳐서 차선이 잘 보이지 않을 경우에 차선을 용이하게 식별하도록 하기 위한 차선 시인성 향상 노면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선 시인성 향상을 위한 노면 구조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평면 도면과 일부 확대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차선 시인성 향상을 위한 노면 구조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A-A 단면도와 일부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선 시인성 향상을 위한 노면 구조에 사용되는 내부 요소들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야간 우천시 차선 시인성 향상 노면 구조는
차선 도색부(11)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LED 매립 설치용 줄눈(12);
상기 LED 매립 설치용 줄눈(12)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매설되는 LED(13);
상기 LED(13)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선(14)으로서 차로의 폭 방향으로 형성된 전원 공급선 매립 설치용 줄눈(15)에 매설되어 차로 외측의 전원(19)에 연결되는 전원 공급선(14);
상기 차로 외측의 전원(19)에 연결되어 상기 차로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전원 공급선(14)을 통해 상기 LED(13)에 연결되는 야간식별센서(16) 및 레인센서(17); 및
상기 LED 매립 설치용 줄눈(12) 및 전원 공급선 매립 설치용 줄눈(15)의 상부에 상기 차선 도색부(11)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도포되어 상기 LED 매립 설치용 줄눈(12) 및 전원 공급선 매립 설치용 줄눈(15)의 상부를 마감하며 상기 설치된 LED(13) 및 전원 공급선(14)의 상부를 커버하여 밀폐시키는 투명 실리콘(2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LED 매립 설치용 줄눈에 매설되는 LED(13) 및 전원 공급선 매립 설치용 줄눈에 매설되는 전원 공급선(14)은 수밀되게 처리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LED 매립 설치용 줄눈(12)과 전원 공급선 매립 설치용 줄눈(15)은 기존 또는 신설 차선의 도색부 중앙을 줄눈파기용 기계를 이용하여 설치되며 LED를 매립하고 전원 공급선을 매립하되 차량 주행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하는 폭과 깊이로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LED 매립 설치용 줄눈(12)과 전원 공급선 매립 설치용 줄눈(15)은 폭은 약 2~5mm로 형성되고, 깊이는 약 5~10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LED는 지지판(13-1) 상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판(13-1)은 측면과 하면에서 LED를 둘러싸서 LED를 보호하고 전원 공급선을 상호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LED(13)의 점멸작용은 감지센서에 의해 작동되는데 본 발명은 야간 우천시에만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므로 상기 LED(13)에 야간식별센서(16) 및 레인센서(17)를 연결한다.
상기 야간식별센서(16)는 일정 정도 밝기가 낮아지면 작동하는 야간식별센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차량에 부착되는 야간식별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인센서(17)는 일정 정도 우천시에 이를 식별하여 통전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두 가지 센서가 모두 작동해야 통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하나라도 충족되지 않을 경우에는 통전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LED가 작동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야간식별센서(16) 및 레인센서(17)는 차로의 외측 구간 지상부에 설치되는데, 예를 들어 가로등이나 교통신호 제어기 등의 지주나 폴대 등에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법으로 차로의 외측 구간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원 공급선(14)은 차로 외측의 전원을 이용하는데, 예를 들어 차로 외측에 설치된 가로등이나 교통 신호 제어기 또는 교통 신호등 전원에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LED(13)는 차선의 색상에 맞도록 적색, 황색, 백색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차선의 색상이 황색인 경우에는 황색 LED가 설치되고, 차선의 색상이 백색인 경우에는 백색 LED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직선 구간은 LED의 간격을 여유를 두어 설치하고 곡선 구간은 LED의 간격을 좁게 하여 시야를 확보하며, 중앙선을 황색 LED를 설치하고 주행 차선 점선 구간은 차선 도색부를 따라서 백색 LED를 설치하며, 급커브나 위험 구간을 알릴 필요가 있는 구간은 순번대로 점등할 수 있게 하여 차선을 유도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LED 매립 설치용 줄눈에는 LED(13)와 LED 지지판(13-1)의 결합체 및 전원 공급선을 매립하고 여기에 야간식별센서(16) 및 레인센서(17)를 차로 외측 구간에서 연결하여 차로 외측의 전원(19)에 연결한다. 상기 야간식별센서 및 레인센서를 전원 공급선에 연결함에 있어서는 플러그(18)에 의해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플러그는 수밀 플러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플러그를 이용하여 장치들을 연결할 경우 일부 장치에 손상이나 고장이 발생한 경우 그것만 교체하면 되므로 전체를 들어내고 수리할 필요가 없어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또한, LED 결합체 상호간에도 플러그를 연결할 경우 일부 LED에 고장이나 손상이 발생한 경우 그것만 교체하거나 수리하면 되므로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LED 매립 설치용 줄눈에 LED 결합체 및 전원 공급선을 매립한 후, 전원 공급선을 전원 공급선 매립 설치용 줄눈에 매립한 후 상기 전원 공급선은 차로 외측의 전원에 연결한다.
상기 차로 외측의 전원은 가로등이나 교통 신호 제어기 또는 교통 신호등의 전원을 사용할 수 있으며, 기타 현장 여건에 따라 다른 종류의 전원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모든 요소들을 줄눈에 매립한 후에 줄눈의 상부는 투명 실리콘으로 마감한다. 상기 투명 실리콘은 내부 요소들이 수밀되어 빗물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설치되며, 내부의 LED 광이 외부에서 인식될 수 있도록 적절한 두께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투명 실리콘은 LED 상부에 약 1~3mm의 두께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LED를 덮는 투명 실리콘은 차선 도색부(11)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차량 주행시 차량 바퀴와의 마찰에 의해 상기 투명 실리콘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야간 우천시 차선 시인성 향상 노면 구조의 설치 공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야간 우천시 차선 시인성 향상 노면 구조의 설치 공법은 다음의 순서로 진행된다. 즉,
(a) 차선 도색부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LED 매립 설치용 줄눈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형성된 LED 매립 설치용 줄눈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LED를 매설하는 단계;
(c) 상기 LED에 전원 공급선을 연결하고, 차로의 폭 방향으로 전원 공급선 매립 설치용 줄눈을 형성하여, 상기 전원 공급선 매립 설치용 줄눈에 전원 공급선을 매설하고 차로 외측의 전원에 연결하되, 상기 LED 및 전원 공급선은 수밀되게 처리하여 설치하고, 상기 차로 외측에는 상기 전원 공급선을 통해 상기 LED에 연결되는 야간식별센서 및 레인센서를 설치하는 단계; 및
(d) 상기 형성된 LED 매립 설치용 줄눈 및 전원 공급선 매립 설치용 줄눈의 상부를 투명 실리콘으로 마감하되, 상기 차선 도색부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도포하여 상기 LED 매립 설치용 줄눈 및 전원 공급선 매립 설치용 줄눈의 상부를 마감하며 상기 설치된 LED 및 전원공급선의 상부를 커버하여 밀폐시키는 단계;
먼저, 줄눈 파기용 기기를 사용하여 차선 도색부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차선을 따라 LED 매립 설치용 줄눈을 형성한다. 상기 줄눈은 현장 여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약 2~5mm로 형성되고, 깊이는 약 5~10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형성된 LED 매립 설치용 줄눈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LED를 매설하고 매설된 LED에 전선을 연결하여 도로의 폭 방향으로 매설한 후 여기에 야간식별센서 및 레인센서를 차로 외측 구간에서 연결하여 설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선 시인성 향상 노면 구조는 야간 우천시에 작동되기 위한 것이므로 야간식별센서 및 레인센서 중 하나만 충족되지 않더라도 작동이 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이어서, 상기 설치된 야간식별센서 및 레인센서에 전원 공급선을 연결하여 차로 외측 전원에 연결하되, 수밀 플러그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로 외측의 전원은 가로등이나 교통 신호 제어기 또는 교통 신호등의 전원을 사용할 수 있으며, 기타 현장 여건에 따라 다른 종류의 전원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어서 상기 형성된 LED 매립 설치용 줄눈 및 전원 공급선 매립 설치용 줄눈의 상부를 투명 실리콘으로 마감한다. 상기 줄눈에 매립 설치되는 각종 내부 요소, 즉 LED(LED 결합체) 및 전원 공급선은 상부에 도포되는 투명 실리콘으로 인해 수밀이 되지만, 장기 사용시 투명 실리콘에 의한 수밀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상기 내부 요소들 각각은 수밀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들을 상호 연결하는 플러그 또한 수밀 플러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포되는 투명 실리콘은 차선 도색부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차량의 주행시 마찰에 의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투명 실리콘으로 마감함으로써 상기 설치된 LED(LED 결합체) 및 전원 공급선의 상부가 밀폐되어 수밀하게 설치될 수 있고, 야간 우천시 야간식별센서 및 레인센서가 작동하여 통전을 시킴으로써 LED에 발광이 이루어져 투명 실리콘의 상부로 발광이 비추어질 수 있어 차선 시인성이 확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야간 우천시 차선 시인성 향상 노면 구조는 간단한 방법에 의하여 설치 및 시공이 될 수 있으므로 공사의 어려움이 없으며 작업도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으므로 공사 기간 및 비용 상승이 크지 않은 장점이 있다. 또한 차량의 잦은 주행시에도 파손되거나 이탈하지 않으며, 유지 보수도 저렴하고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R: 도로 11: 차선 도색부
12: LED 매립 설치용 줄눈 13: LED
14: 전원 공급선 15: 전원 공급선 매립 설치용 줄눈
16: 야간식별센서 17: 레인센서
18: 플러그 19: 차로 외측 전원
20: 투명 실리콘

Claims (4)

  1. 차선 도색부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LED 매립 설치용 줄눈으로서, 2~5mm의 폭과 5~10mm의 깊이로 형성되는 줄눈;
    상기 LED 매립 설치용 줄눈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매설되는 LED;
    상기 LED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선으로서 차로의 폭 방향으로 형성된 전원 공급선 매립 설치용 줄눈에 매설되어 차로 외측의 전원에 연결되는 전원 공급선;
    상기 차로 외측의 전원에 연결되어 상기 차로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전원 공급선을 통해 상기 LED에 연결되는 야간식별센서 및 레인센서; 및
    상기 LED 매립 설치용 줄눈 및 전원 공급선 매립 설치용 줄눈의 상부에 상기 차선 도색부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도포되어 상기 LED 매립 설치용 줄눈 및 전원 공급선 매립 설치용 줄눈의 상부를 마감하며 상기 설치된 LED 및 전원 공급선의 상부를 커버하여 밀폐시키는 투명 실리콘;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LED 매립 설치용 줄눈에 매설되는 LED 및 전원 공급선 매립 설치용 줄눈에 매설되는 전원 공급선은 수밀되게 처리되어 설치되고,
    상기 LED는 지지판 상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판은 측면과 하면에서 상기 LED를 둘러싸서 LED를 보호하고 상기 전원 공급선을 상호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전원 공급선은 차로 외측에 설치된 가로등이나 교통 신호 제어기 또는 교통 신호등 전원에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LED는 상기 차선의 색상에 따라 상기 차선의 색상이 황색인 경우에는 황색 LED가 설치되고 상기 차선의 색상이 백색인 경우에는 백색 LED가 설치되며,
    LED 결합체 상호간에는 플러그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투명 실리콘은 상기 LED 상부에 1~3mm 두께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간 우천시 차선 시인성 향상 노면 구조.
  2. 삭제
  3. 삭제
  4. (a) 차선 도색부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LED 매립 설치용 줄눈을 형성하되, 2~5mm의 폭과 5~10mm의 깊이로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형성된 LED 매립 설치용 줄눈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LED를 매설하는 단계;
    (c) 상기 LED에 전원 공급선을 연결하고, 차로의 폭 방향으로 전원 공급선 매립 설치용 줄눈을 형성하여, 상기 전원 공급선 매립 설치용 줄눈에 전원 공급선을 매설하고 차로 외측의 전원에 연결하되, 상기 LED 및 전원 공급선은 수밀되게 처리하여 설치하고, 상기 차로 외측에는 상기 전원 공급선을 통해 상기 LED에 연결되는 야간식별센서 및 레인센서를 설치하는 단계; 및
    (d) 상기 형성된 LED 매립 설치용 줄눈 및 전원 공급선 매립 설치용 줄눈의 상부를 투명 실리콘으로 마감하되, 상기 차선 도색부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도포하여 상기 LED 매립 설치용 줄눈 및 전원 공급선 매립 설치용 줄눈의 상부를 마감하며 상기 설치된 LED 및 전원공급선의 상부를 커버하여 밀폐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LED는 지지판 상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판은 측면과 하면에서 상기 LED를 둘러싸서 LED를 보호하고 상기 전원 공급선을 상호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전원 공급선은 차로 외측에 설치된 가로등이나 교통 신호 제어기 또는 교통 신호등 전원에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LED는 상기 차선의 색상에 따라 상기 차선의 색상이 황색인 경우에는 황색 LED가 설치되고 상기 차선의 색상이 백색인 경우에는 백색 LED가 설치되며,
    LED 결합체 상호간에는 플러그에 의해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투명 실리콘은 상기 LED 상부에 1~3mm 두께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간 우천시 차선 시인성 향상 노면 구조의 설치 공법.

KR1020150028910A 2015-03-02 2015-03-02 야간 우천시 차선 시인성 향상을 위한 노면 구조 및 그 설치 공법 KR101546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910A KR101546724B1 (ko) 2015-03-02 2015-03-02 야간 우천시 차선 시인성 향상을 위한 노면 구조 및 그 설치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910A KR101546724B1 (ko) 2015-03-02 2015-03-02 야간 우천시 차선 시인성 향상을 위한 노면 구조 및 그 설치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6724B1 true KR101546724B1 (ko) 2015-08-24

Family

ID=54061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8910A KR101546724B1 (ko) 2015-03-02 2015-03-02 야간 우천시 차선 시인성 향상을 위한 노면 구조 및 그 설치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67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7944B1 (ko) * 2020-07-02 2021-01-25 배성일 차량용 차선 지시등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4627382A (zh) * 2022-05-11 2022-06-14 南京信息工程大学 联合行道线几何先验的高速公路雾天能见度检测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378Y1 (ko) * 2000-01-21 2000-09-15 경덕영 도로 시설물 안내용 표시장치
KR100655768B1 (ko) * 2006-01-18 2006-12-08 주식회사 우전그린 도로의 조명차선 시스템
KR100959869B1 (ko) 2009-08-03 2010-05-27 바스코코리아(주) 자전거 전용도로용 시선유도표지구조 및 시선유도표지 시공장치 및 그 시공방법
JP2011226135A (ja) 2010-04-19 2011-11-10 Sanwa Kogyo:Kk 舗装道路のライン表示構造およびライン形成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378Y1 (ko) * 2000-01-21 2000-09-15 경덕영 도로 시설물 안내용 표시장치
KR100655768B1 (ko) * 2006-01-18 2006-12-08 주식회사 우전그린 도로의 조명차선 시스템
KR100959869B1 (ko) 2009-08-03 2010-05-27 바스코코리아(주) 자전거 전용도로용 시선유도표지구조 및 시선유도표지 시공장치 및 그 시공방법
JP2011226135A (ja) 2010-04-19 2011-11-10 Sanwa Kogyo:Kk 舗装道路のライン表示構造およびライン形成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7944B1 (ko) * 2020-07-02 2021-01-25 배성일 차량용 차선 지시등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4627382A (zh) * 2022-05-11 2022-06-14 南京信息工程大学 联合行道线几何先验的高速公路雾天能见度检测方法
CN114627382B (zh) * 2022-05-11 2022-07-22 南京信息工程大学 联合行道线几何先验的高速公路雾天能见度检测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2916B1 (ko) 도로용 안전발광난간
KR101754724B1 (ko) 태양광 도로표지병의 제어시스템
KR101986162B1 (ko) 횡단보도용 엘이디 도로표지병
KR100655768B1 (ko) 도로의 조명차선 시스템
KR102304484B1 (ko) 눈부심을 방지하고 시인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횡단보도용 led 바닥신호등
CN104278648A (zh) 一种太阳能智能斑马线装置
KR101590420B1 (ko) 횡단보도 안전장치
KR100694289B1 (ko) 횡단보도의 발광장치
KR20200086947A (ko) 날개부가 구비된 태양광 도로표지병
KR20060026927A (ko) 버스정류장 안전 정차 및 승하차 유도 점등경계석
KR100934621B1 (ko) 발광 횡단보도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546724B1 (ko) 야간 우천시 차선 시인성 향상을 위한 노면 구조 및 그 설치 공법
KR200434715Y1 (ko) 신호등에 연계되어 발광하는 표지병
KR200416773Y1 (ko) 발광수단을 구비한 합성수지 경계석
KR101919981B1 (ko) 주간 식별이 용이한 면발광 횡단보도
WO2012074201A2 (ko) 도로 표지병
KR20060065618A (ko) 도로매립형 운전자 경고등
KR101975331B1 (ko) 횡단보도 조명시스템
KR20110028904A (ko) 도로상의 차량 정지선 표시장치
CN104532764A (zh) 一种led智能斑马线广告系统及方法
KR101272709B1 (ko) 발광형 노면표시 겸용 케이블관로
KR100676847B1 (ko) 반사겸용 led 도로 표지병 시스템
KR102515370B1 (ko) 횡단보도 조명장치
CN212612072U (zh) 一种道路智慧斑马线
KR20130045959A (ko) 도로의 정지신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