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5344B1 - 이벤트 중심의 무인 철도 관제 시스템 및 그 관제방법 - Google Patents

이벤트 중심의 무인 철도 관제 시스템 및 그 관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5344B1
KR101545344B1 KR1020140152432A KR20140152432A KR101545344B1 KR 101545344 B1 KR101545344 B1 KR 101545344B1 KR 1020140152432 A KR1020140152432 A KR 1020140152432A KR 20140152432 A KR20140152432 A KR 20140152432A KR 101545344 B1 KR101545344 B1 KR 101545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tuation
unusual
trains
anomalous
t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2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봉관
안치형
류상환
정종덕
창상훈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52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53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5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5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3/00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이벤트 중심의 무인 철도 관제 시스템은, 철도 시설물의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현장 신호설비; 관제실에 설치되고, 상기 현장 신호설비로부터 상기 감지신호를 전송받는 관제 서버; 및 상기 철도 시설물에 대한 관리원이 소지하는 무선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전송받은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철도 시설물에 기 설정된 이례적인 상황이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이벤트 관리 서버; 및 상기 무선 모바일 단말기와의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례적인 상황은, 상기 철도 시설물에 발생되는 사고 및 장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이벤트 관리 서버가 상기 복수의 열차 및 상기 선로변 시설 중 적어도 하나인 제 1 객체에 상기 이례적인 상황이 발생되었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이벤트 관리 서버는 상기 제 1 객체에 발생된 이례적인 상황에 대응하는 알림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무선기는 상기 알림신호를 상기 제 1 객체에 대한 제 1 관리원이 소지한 제 1 무선 모바일 단발기에 전송하며, 상기 제 1 무선 모바일 단발기는 상기 전송받은 알림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관리원에게 상기 제 1 객체에 발생된 이례적인 상황을 인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이벤트 중심의 무인 철도 관제 시스템 및 그 관제방법{UNMANNED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 BASED ON EV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이벤트 중심의 무인 철도 관제 시스템 및 그 관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관제 서버와 무선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관제업무가 수행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운영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이벤트 중심의 무인 철도 관제 시스템 및 그 관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시철도시스템은 차량과 시설(선로, 전력, 통신, 신호 등)이 시스템화 되어 운영되는 인프라로서, 기술적으로는 전기, 전자, 기계, 건축, 토목, 컴퓨터, 정보 통신공학 등의 다양한 기술이 혼합된 종합시스템이다. 이러한 도시철도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관제시스템을 통하여 열차의 운행상황을 집중적으로 제어, 감시 및 통제한다.
국내의 신호시스템 운영 현황은 대부분 국외 시스템을 도입하여 설치 및 운영함으로써 각각의 노선에 따라 모두 상이하게 기술적 특성이 주어지며, 운영 및 유지보수 측면에서 각각의 노선별로 기술적인 호환 및 교류가 불가능한 상태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관제시스템은 순수 국내 기술로 구축되어 운영되고 있다.
현재 대부분의 도시철도나 경량전철에서 운영하고 있는 관제시스템은 크게 신호(운영, 운전)관제, 통신관제, 전력관제 그리고 설비관제로 구분하여 분야별 관제실을 운영하거나, 또는 모든 관제를 하나로 통합한 통합관제실을 운영하고 있다. 최근 관제시스템의 구성은 운영, 효율성, 유지보수 및 비용를 고려하여 통합관제실로 구축하는 추세에 있다.
한편, 국내 대부분의 도시철도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관제시스템은 유인 운전방식의 신호시스템을 기반으로 구축되었기 때문에, 신호시스템이 무인운전을 지원하더라도 무인운전을 운영할 수 없는 환경이다.
즉, 무인운전을 위해 필요로 하는 가장 중요한 관점은 차량의 방호, 승객의 안전 및 모든 신호장치의 실시간 모니터링과 원격제어 그리고 응급상황에서의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현재의 관제시스템은 이러한 조건을 대부분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
무인운전을 위한 관제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 우선 무인운전이 가능한 신호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하지만, 최근에 구축되어 운영 중인 경량전철을 제외한 모든 도시철도 신호시스템은 유인운전 기반의 국외 신호시스템을 그대로 도입하였기 때문에 국내의 독자적 기술로 신호시스템을 수정, 변경이 불가능한 상황이며, 각각의 노선에 따라 모두 상이하게 기술적 특성이 주어지며, 운영 및 유지보수 측면에서 각각의 노선별로 기술적인 호환이 불가능하고 운영방식도 달라 관제시스템의 통일 및 호환성이 결여된 상태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A) 제10-2010-012815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B1) 제10-136420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관제 서버와 무선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관제업무가 수행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운영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이벤트 중심의 무인 철도 관제 시스템 및 그 관제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이례적인 상황의 발생 시 그 정보를 담당자가 소지하는 단말기로 자동적으로 전달함으로써 용이하게 상황 파악이 가능하게 하고 즉각적인 조치가 취해질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이벤트 중심의 무인 철도 관제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례적인 상황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각각의 이례적인 상황에 대하여 우선순위를 선정함으로써 사고나 장애의 정도에 따른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고 보다 신속한 수습을 유도할 수 있는 이벤트 중심의 무인 철도 관제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제에 필요한 인력과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설비를 최소화·통합화할 수 있는 이벤트 중심의 무인 철도 관제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복수의 열차 및 상기 복수의 열차의 운행에 요구되는 선로변 시설을 포함하는 철도 시설물을 관리하는 철도 관제 시스템에 있어서,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이벤트 중심의 무인 철도 관제 시스템은, 상기 철도 시설물의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현장 신호설비; 관제실에 설치되고, 상기 현장 신호설비로부터 상기 감지신호를 전송받는 관제 서버; 및 상기 철도 시설물에 대한 관리원이 소지하는 무선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전송받은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철도 시설물에 기 설정된 이례적인 상황이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이벤트 관리 서버; 및 상기 무선 모바일 단말기와의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례적인 상황은, 상기 철도 시설물에 발생되는 사고 및 장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이벤트 관리 서버가 상기 복수의 열차 및 상기 선로변 시설 중 적어도 하나인 제 1 객체에 상기 이례적인 상황이 발생되었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이벤트 관리 서버는 상기 제 1 객체에 발생된 이례적인 상황에 대응하는 알림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무선기는 상기 알림신호를 상기 제 1 객체에 대한 제 1 관리원이 소지한 제 1 무선 모바일 단발기에 전송하며, 상기 제 1 무선 모바일 단발기는 상기 전송받은 알림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관리원에게 상기 제 1 객체에 발생된 이례적인 상황을 인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무선 모바일 단발기는, 상기 제 1 관리원에게 상기 제 1 객체에 발생된 이례적인 상황을 인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전송받은 알림신호에 대응하여 음향 또는 진동을 출력하거나 상기 현장 신호설비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제 1 객체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벤트 관리 서버는, 상기 이례적인 상황이 복수로 발생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복수의 이례적인 상황에 대하여 우선순위를 선정하고, 상기 알림신호에 상기 선정된 우선순위 정보를 부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무선 모바일 단발기는, 상기 알림신호에 상기 선정된 우선순위 정보가 부가된 경우, 상기 선정된 우선순위 정보를 상기 제 1 관리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이례적인 상황이 발생되고, 상기 복수의 이례적인 상황 중 임의로 선택된 제 1 이례적 상황에 의하여 운행에 영향을 받는 열차의 대수가 상기 복수의 이례적 상황 중 임의로 선택된 제 2 이례적 상황에 의하여 운행에 영향을 받는 열차의 대수보다 많은 경우, 상기 이벤트 관리 서버는 상기 제 1 이례적 상황의 우선순위를 상기 제 2 이례적 상황의 우선순위보다 높게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이례적인 상황이 발생되고, 상기 제 1 이례적 상황에 의하여 운행에 영향을 받는 열차의 대수와 상기 제 2 이례적 상황에 의하여 운행에 영향을 받는 열차의 대수가 같은 경우, 상기 이벤트 관리 서버는 상기 제 1 이례적 상황에 의하여 유발되는 지연시간과 상기 제 2 이례적 상황에 의하여 유발되는 지연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제 1 이례적 상황 및 상기 제 2 이례적 상황 중 긴 지연시간을 유발시키는 것에 높은 우선순위를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객체에 발생된 이례적인 상황의 처리가 종료된 경우, 상기 제 1 무선 모바일 단발기는 상기 제 1 객체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보고신호를 상기 관제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고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 1 객체의 상태에 관한 정보는 상기 관제 서버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됨으로써 상기 관제실에 근무하는 관제원의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제 1 객체에 발생된 상기 이례적인 상황 및 상기 제 1 객체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의 분석을 위한 분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분석부는 일정 기간 내에 발생된 이례적인 상황에 대한 정보의 통계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열차 및 상기 복수의 열차의 운행에 요구되는 선로변 시설을 포함하는 철도 시설물을 관리하는 철도 관제 시스템의 관제방법에 있어서,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이벤트 중심의 무인 철도 관제 시스템의 관제방법은, 상기 철도 시설물의 상태가 감지되는 제 1 단계; 상기 감지된 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감지신호가 생성되는 제 2 단계; 상기 감지신호가 관제실에 설치된 관제 서버로 전송되는 제 3 단계; 상기 전송받은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철도 시설물에 기 설정된 이례적인 상황이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4 단계; 상기 복수의 열차 및 상기 선로변 시설 중 적어도 하나인 제 1 객체에 상기 이례적인 상황이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 1 객체에 발생된 이례적인 상황에 대응하는 알림신호가 생성되는 제 5 단계; 상기 알림신호가 상기 제 1 객체에 대한 제 1 관리원이 소지한 제 1 무선 모바일 단발기에 전송되는 제 6 단계; 및 상기 제 1 무선 모바일 단발기가 상기 전송받은 알림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관리원에게 상기 제 1 객체에 발생된 이례적인 상황을 인지시키는 제 7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이례적인 상황은, 상기 철도 시설물에 발생되는 사고 및 장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4 단계에서 상기 이례적인 상황이 복수로 발생하였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복수의 이례적인 상황에 대하여 우선순위를 선정하고, 상기 알림신호에 상기 선정된 우선순위 정보를 부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관제 서버와 무선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관제업무가 수행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운영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이벤트 중심의 무인 철도 관제 시스템 및 그 관제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이례적인 상황의 발생 시 그 정보를 담당자가 소지하는 단말기로 자동적으로 전달함으로써 용이하게 상황 파악이 가능하게 하고 즉각적인 조치가 취해질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이벤트 중심의 무인 철도 관제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례적인 상황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각각의 이례적인 상황에 대하여 우선순위를 선정함으로써 사고나 장애의 정도에 따른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고 보다 신속한 수습을 유도할 수 있는 이벤트 중심의 무인 철도 관제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제에 필요한 인력과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설비를 최소화·통합화할 수 있는 이벤트 중심의 무인 철도 관제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구현될 수 있는 이벤트 중심의 무인 철도 관제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벤트 중심의 무인 철도 관제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무선 모바일 단말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벤트 중심의 무인 철도 관제 시스템의 관제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 실시례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이벤트 중심의 무인 철도 관제 시스템의 구성>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제안하고자 하는 이벤트 중심의 무인 철도 관제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구현될 수 있는 이벤트 중심의 무인 철도 관제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벤트 중심의 무인 철도 관제 시스템은 현장 신호설비(20), 관제 서버(30) 및 무선 모바일 단말기(5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단,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벤트 중심의 무인 철도 관제 시스템(100)이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현장 신호설비(20)는 철도 시설물의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감지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철도 시설물은 복수의 열차(10) 및 상기 복수의 열차(10)의 운행에 요구되는 선로변 시설(12)을 포함할 수 있다. 선로변 시설(12)은 열차(10)의 운행에 기여되기 위하여 설치되는 일체의 설비로서, 신호기, 선로전환기 등을 들 수 있다.
관제 서버(30)는 관제실에 설치되며, 관제실에 근무하는 관제원이 상기 관제 서버(30)를 담당한다. 관제 서버(30)는 현장 신호설비(20)들과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관제 서버(30)는 현장 신호설비(2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송받을 수 있다.
관제 서버(30)의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도 2를 먼저 참조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벤트 중심의 무인 철도 관제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관제 서버(30)는 이벤트 관리 서버(32), 무선기(34), 디스플레이 패널(36), 정보 저장부(38) 및 분석부(4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벤트 관리 서버(32)는 현장 신호설비(20)로부터 전송받은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철도 시설물에 기 설정된 이례적인 상황이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무선기(34)는 관제 서버(30)가 무선 모바일 단말기와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무선통신은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36)은 관제 서버(3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관제 서버(30)의 관제원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6)에 표시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정보 저장부(38)는 철도 시설물에서 발생된 이례적인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철도 시설물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분석부(40)는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의 분석할 수 있으며, 소정의 통계자료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모바일 단말기(50)는 관제 서버(30)의 무선기(34)와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철도 시설물에 대한 운영요원 또는 유지·보수 담당자(이하, 관리원)가 소지한다. 상기 무선 모바일 단말기(50)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무선 모바일 단말기(5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2 및 도 3에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무선 모바일 단말기의 일례를 나타낸다.
무선 모바일 단말기(50)의 통신부(52)는 무선 모바일 단말기(5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무선 모바일 단말기(50)와 무선 모바일 단말기(5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52)는 방송 수신 모듈,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위치정보 모듈(GP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54)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56)와 마이크(58)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56)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66)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56)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74)에 저장되거나 통신부(52)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카메라(56)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일례로, 무선 모바일 단말기(50)의 디스플레이부(66)가 구비된 반대면에 3D 영상 촬영을 위한 제1 및 제2 카메라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무선 모바일 단말기(50)의 디스플레이부(66)가 구비된 면의 일부 영역에 사용자의 셀프 촬영을 위한 제3 카메라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카메라는 3D 영상의 소스 영상인 좌안 영상 촬영을 위한 것이고, 제2 카메라는 우안 영상 촬영을 위한 것이 될 수 있다.
마이크(58)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58)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6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60)는 본 발명에 따라 표시되는 컨텐트들 중 두 개 이상의 컨텐트를 지정하는 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두 개 이상의 컨텐트를 지정하는 신호는, 터치입력을 통하여 수신되거나, 하드키 및 소프트 키입력을 통하여 수신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60)는 상기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컨텐트들을 선택하는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무선 모바일 단말기(50)가 수행할 수 있는 기능과 관련된 아이콘을 생성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사용자 입력부(60)는 방향키,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출력부(64)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66), 음향 출력 모듈(68), 알람부(70), 햅틱 모듈(7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66)는 무선 모바일 단말기(5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무선 모바일 단말기(5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무선 모바일 단말기(5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부(66)는 2D 및 3D 표시 모드를 지원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부(66)는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에 스위치 액정을 조합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스위치 액정을 이용하여 광학 시차 장벽을 작동시켜 광의 진행 방향을 제어하여 좌우의 눈에 각기 다른 광이 도달하도록 분리할 수 있다. 때문에 우안용 영상과 좌안용 영상이 조합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 (66)에 표시되는 경우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각각의 눈에 대응한 화상이 보여 마치 입체로 표시된 것처럼 느끼게 된다.
즉, 디스플레이부(66)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2D 표시 모드인 상태에서는상기 스위치 액정 및 광학 시차 장벽을 구동시키지 않고, 상기 디스플레이부(66)만을 구동시켜 일반적인 2D 표시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66)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3D 표시 모드인 상태에서는 상기 스위치 액정과, 광학 시차 장벽 및 디스플레이부(66)를 구동시켜 3D 표시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부(66)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66)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66)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무선 모바일 단말기(5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66)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모바일 단말기(5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66)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66)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66)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66)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66)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미도시)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66)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근접 센서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휴대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68)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통신부(52)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74)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68)은 무선 모바일 단말기(5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68)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70)는 모선 모바일 단말기(5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70)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66)나 음성 출력 모듈(68)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66) 및 음성출력모듈(68)은 알람부(70)의 일종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72)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72)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72)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72)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72)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72)은 무선 모바일 단말기(5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이벤트 중심의 무인 철도 관제 시스템(100)은 역간 전자폐색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역간 전자폐색방식은 B역을 B열차가 완전히 진출한 후 관제 서버(30)가 A역에 정차한 A열차가 출발하기 위한 출발신호(진로개통정보)를 전송함으로써 구현된다.
즉, B열차가 B역을 완전히 빠져나간 상태가 B역에 설치된 현장 신호설비(20)에 의하여 감지되고, 이에 대한 정보는 광통신망에 의하여 관제 서버(30)로 전송된다. 관제 서버(30)는 B역의 B열차의 출발신호를 전송하며, A역에 정차한 A열차는 출발신호를 수신한 후 A역을 출발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열차(10)의 감속을 위한 정위치 정차용 지상자와 상기 열차(10)를 정위치에 정지하기 위한 ATO 유전원 지상자를 포함할 수 있다. 즉, A역에 진입한 A열차는 정위치 정차용 지상자로부터 지점신호를 수신받아 정위치 정지와 관련된 정위치 정지패턴을 생성한다. A열차는 정위치 정지패턴에 기초하여 A역에 정차를 위한 감속을 수행한다.
상기 A역 선로에 설치된 ATO 유전원 지상자를 이용하여 상기 A열차가 A역에 진입되는 것이 감지되면, 관제 서버(30)는 A역의 정위치 영역에 관한 정보가 A열차에 전송되도록 제어하며, A열차는 A역의 정위치 영역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정위치에 정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웃하는 A역과 B역의 간격이 기 설정된 수치(예를 들어, 1.5㎞ 내지 2㎞)보다 긴 경우, A역과 B역 사이를 운행하는 열차의 운행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가상역을 설치하여 운행될 수 있다.
즉, 가상역의 체크 인 센서와 체크 아웃 센서에 의해 A역과 B역 사이를 운행하는 열차의 통과시간이 계측될 수 있으며, A역과 B역 사이를 운행하는 열차의 운행속도를 제어하여 A역과 B역 사이의 통과시간이 열차가 역에 정차하는 시간에 대응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에서의 정차시간이 15초 내지 25초 사이의 범위를 갖는 경우, A역과 B역 사이의 통과시간도 15초 내지 25초 사이의 범위가 되도록 열차의 운행속도 제어가 가능하다. 이에 의하여 역간 거리가 긴 노선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열차의 운전시격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효율적인 운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벤트 중심의 무인 철도 관제 시스템의 관제방법>
한편,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관제 시스템의 관제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벤트 중심의 무인 철도 관제 시스템의 관제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현장 신호설비(20)가 열차(10) 및 선로변 시설(12) 철도 시설물의 상태를 감지하며, 상기 감지된 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감지신호가 생성한다. 상기 감지신호는 관제실에 설치된 관제 서버(30)로 전송된다.
관제 서버(30)의 이벤트 관리 서버(32)는 전송받은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철도 시설물에 기 설정된 이례적인 상황이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이례적인 상황은 철도 시설물에 발생되는 사고나 장애를 의미한다.
이벤트 관리 서버(32)가 복수의 열차(10) 및 선로변 시설(12) 중 적어도 하나인 제 1 객체에 이례적인 상황이 발생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제 1 객체에 발생된 이례적인 상황에 대응하는 알림신호가 생성되며, 상기 알림신호는 관제 서버(30)의 무선기(34)를 통하여 제 1 객체에 대한 제 1 관리원이 소지한 제 1 무선 모바일 단말기(50)로 전송된다.
이례적인 상황이 복수로 발생된 경우, 이벤트 관리 서버(32)는 복수의 이례적인 상황에 대하여 우선순위를 선정하고, 이를 알림신호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례적인 상황이 열차(10)의 운행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상기 우선순위를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우선순위의 선정 시, 열차(10)의 운행에 대한 정량적인 요소를 고려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 1 이례적 상황에 의하여 운행에 영향을 받는 열차(10)의 대수가 제 2 이례적 상황에 의하여 운행에 영향을 받는 열차의 대수보다 많은 경우, 이벤트 관리 서버(32)는 제 1 이례적 상황의 우선순위를 제 2 이례적 상황의 우선순위보다 높게 선정할 수 있다.
만약, 제 1 이례적 상황에 의하여 운행에 영향을 받는 열차의 대수와 제 2 이례적 상황에 의하여 운행에 영향을 받는 열차의 대수가 같은 경우에는, 이벤트 관리 서버(32)는 제 1 이례적 상황에 의하여 유발되는 지연시간과 제 2 이례적 상황에 의하여 유발되는 지연시간을 계산하고, 제 1 이례적 상황 및 제 2 이례적 상황 중 긴 지연시간을 유발시키는 것에 높은 우선순위를 선정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지연시간은 이례적인 상황의 발생에서부터 처리가 종료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
한편, 제 1 무선 모바일 단발기(50)는 상기 전송받은 알림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관리원에게 상기 제 1 객체에 발생된 이례적인 상황을 인지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제 1 무선 모바일 단발기(50)는 음향 출력 모듈(68)을 이용하여 소정의 음향을 출력시킬 수 있고, 햅틱 모듈(72)을 이용하여 일정한 패턴의 진동을 출력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무선 모바일 단발기(50)는 디스플레이부(66)에 현장 신호설비(20)에 의하여 감지된 제 1 객체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벤트 관리 서버(32)가 복수의 이례적인 상황에 대하여 우선순위를 선정한 경우에는, 선정된 우선순위 정보가 제 1 관리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관리원은 발생된 복수의 이례적인 상황 중 어떤 것을 먼저 처리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판단의 기준을 용이하게 찾을 수 있다.
제 1 관리원이 제 1 객체에 발생된 이례적인 상황의 처리를 종료한 경우, 제 1 무선 모바일 단발기(50)를 이용하여 보고신호를 관제 서버(3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보고신호에는 제 1 관리원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정보 등과 같은 제 1 객체의 상태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보고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 1 객체의 상태에 관한 정보는 관제 서버(30)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패널(36)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관제실에 근무하는 관제원은 이례적인 상황의 과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관제 서버(30)의 정보 저장부(38)에는 철도 시설물에 발생된 이례적인 상황에 대한 구체적인 데이터가 저장된다. 정보 저장부(38)에 저장되는 정보로는, 이례적인 상황의 종류와 발생 시간, 발생 원인, 이례적인 상황에 의하여 영향을 받은 열차(10)의 대수, 이례적인 상황에 의해 유발된 지연시간, 이례적인 상황이 발생된 철도 시설물의 상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정보 저장부(38)에 저장된 이례적인 상황에 대한 정보는 관제원이나 관리원이 직접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열차(10)에 탑승한 이용객은 물론, 승강장에서 대기하는 이용객들도 본인이 소지한 단말기를 통하여 정보 저장부(38)에 저장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분석부(40)는 일정 기간 내에 발생된 이례적인 상황에 대한 정보의 통계자료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석부(40)는 가장 빈번하게 발생되는 이례적인 상황을 제시하거나 주기적으로 발생되는 이례적인 상황을 제시함으로써 이에 대한 대비를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통계자료는 관리 서버(30)나 무선 모바일 단말기(50)에 제공되어 관제원이나 관리원이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분석부(40)에 의하여 생성된 이례적인 상황에 대한 통계자료는 철도 이용객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통계자료는 빈번한 장애나 사고에 대한 대책 수립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안전한 운행에 대한 교육이나 홍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명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례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례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례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열차
12: 선로변 시설
20: 현장 신호설비
30: 관제 서버
32: 이벤트 관리 서버
34: 무선기
50: 무선 모바일 단말기
100: 이벤트 중심의 무인 철도 관제 시스템

Claims (14)

  1. 복수의 열차 및 상기 복수의 열차의 운행에 요구되는 선로변 시설을 관리하는 철도 관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열차 및 선로변 시설의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현장 신호설비;
    상기 전송받은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열차 및 선로변 시설에 기 설정된 이례적인 상황이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이벤트 관리 서버와, 상기 무선 모바일 단말기와의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기를 포함하며, 관제실에 설치되는 관제 서버; 및
    상기 열차 및 선로변 시설에 대한 관리원이 소지하는 무선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이례적인 상황은, 상기 열차 및 선로변 시설에 발생되는 사고 및 장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이벤트 관리 서버가 상기 복수의 열차 및 상기 선로변 시설 중 적어도 하나인 제 1 객체에 상기 이례적인 상황이 발생되었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이벤트 관리 서버는 상기 제 1 객체에 발생된 이례적인 상황에 대응하는 알림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무선기는 상기 알림신호를 상기 제 1 객체에 대한 제 1 관리원이 소지한 제 1 무선 모바일 단말기에 전송하며, 상기 제 1 무선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전송받은 알림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관리원에게 상기 제 1 객체에 발생된 이례적인 상황을 인지시키며,
    상기 이벤트 관리 서버는,
    상기 이례적인 상황이 복수로 발생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복수의 이례적인 상황에 대하여 열차의 운행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우선순위를 선정하고, 상기 알림신호에 상기 선정된 우선순위 정보를 부가하되,
    상기 복수의 이례적인 상황 중 임의로 선택된 제 1 이례적 상황에 의하여 운행에 영향을 받는 열차의 대수가 상기 복수의 이례적 상황 중 임의로 선택된 제 2 이례적 상황에 의하여 운행에 영향을 받는 열차의 대수보다 많은 경우, 상기 제 1 이례적 상황의 우선순위를 상기 제 2 이례적 상황의 우선순위보다 높게 선정하며,
    상기 제 1 이례적 상황에 의하여 운행에 영향을 받는 열차의 대수와 상기 제 2 이례적 상황에 의하여 운행에 영향을 받는 열차의 대수가 같은 경우, 상기 제 1 이례적 상황에 의하여 유발되는 지연시간과 상기 제 2 이례적 상황에 의하여 유발되는 지연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제 1 이례적 상황 및 상기 제 2 이례적 상황 중 긴 지연시간을 유발시키는 것에 높은 우선순위를 선정하며,
    상기 지연시간은 이례적인 상황의 발생에서부터 처리가 종료되는 데 걸리는 시간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 중심의 무인 철도 관제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 모바일 단발기는,
    상기 제 1 관리원에게 상기 제 1 객체에 발생된 이례적인 상황을 인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전송받은 알림신호에 대응하여 음향 또는 진동을 출력하거나 상기 현장 신호설비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제 1 객체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 중심의 무인 철도 관제 시스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 모바일 단발기는,
    상기 알림신호에 상기 선정된 우선순위 정보가 부가된 경우, 상기 선정된 우선순위 정보를 상기 제 1 관리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 중심의 무인 철도 관제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객체에 발생된 이례적인 상황의 처리가 종료된 경우,
    상기 제 1 무선 모바일 단발기는 상기 제 1 객체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보고신호를 상기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 중심의 무인 철도 관제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보고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 1 객체의 상태에 관한 정보는 상기 관제 서버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됨으로써 상기 관제실에 근무하는 관제원의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 중심의 무인 철도 관제 시스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제 1 객체에 발생된 상기 이례적인 상황 및 상기 제 1 객체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 중심의 무인 철도 관제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의 분석을 위한 분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분석부는 일정 기간 내에 발생된 이례적인 상황에 대한 정보의 통계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 중심의 무인 철도 관제 시스템.
  11. 복수의 열차 및 상기 복수의 열차의 운행에 요구되는 선로변 시설을 관리하는 철도 관제 시스템의 관제방법에 있어서,
    상기 열차 및 선로변 시설의 상태가 감지되는 제 1 단계;
    상기 감지된 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감지신호가 생성되는 제 2 단계;
    상기 감지신호가 관제실에 설치된 관제 서버로 전송되는 제 3 단계;
    상기 관제서버에 포함되는 이벤트 관리 서버가 상기 전송받은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열차 및 선로변 시설에 기 설정된 이례적인 상황이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4 단계;
    상기 이벤트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복수의 열차 및 상기 선로변 시설 중 적어도 하나인 제 1 객체에 상기 이례적인 상황이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 1 객체에 발생된 이례적인 상황에 대응하는 알림신호가 생성되는 제 5 단계;
    상기 알림신호가 상기 제 1 객체에 대한 제 1 관리원이 소지한 제 1 무선 모바일 단말기에 전송되는 제 6 단계; 및
    상기 제 1 무선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전송받은 알림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관리원에게 상기 제 1 객체에 발생된 이례적인 상황을 인지시키는 제 7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이례적인 상황은, 상기 열차 및 선로변 시설에 발생되는 사고 및 장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이벤트 관리 서버는,
    상기 이례적인 상황이 복수로 발생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복수의 이례적인 상황에 대하여 열차의 운행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우선순위를 선정하고, 상기 알림신호에 상기 선정된 우선순위 정보를 부가하되,
    상기 복수의 이례적인 상황 중 임의로 선택된 제 1 이례적 상황에 의하여 운행에 영향을 받는 열차의 대수가 상기 복수의 이례적 상황 중 임의로 선택된 제 2 이례적 상황에 의하여 운행에 영향을 받는 열차의 대수보다 많은 경우, 상기 제 1 이례적 상황의 우선순위를 상기 제 2 이례적 상황의 우선순위보다 높게 선정하며,
    상기 제 1 이례적 상황에 의하여 운행에 영향을 받는 열차의 대수와 상기 제 2 이례적 상황에 의하여 운행에 영향을 받는 열차의 대수가 같은 경우, 상기 제 1 이례적 상황에 의하여 유발되는 지연시간과 상기 제 2 이례적 상황에 의하여 유발되는 지연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제 1 이례적 상황 및 상기 제 2 이례적 상황 중 긴 지연시간을 유발시키는 것에 높은 우선순위를 선정하며, 상기 지연시간은 이례적인 상황의 발생에서부터 처리가 종료되는 데 걸리는 시간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 중심의 무인 철도 관제 시스템의 관제방법.
  12. 삭제
  13. 이벤트 중심의 무인 철도 관제 시스템의 관제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고, 상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복수의 열차 및 상기 복수의 열차의 운행에 요구되는 선로변 시설을 관리하는 철도 관제 시스템의 관제방법은,
    상기 열차 및 선로변 시설의 상태가 감지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감지신호가 생성되는 단계;
    상기 감지신호가 관제실에 설치된 관제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전송받은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열차 및 선로변 시설에 기 설정된 이례적인 상황이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열차 및 상기 선로변 시설 중 적어도 하나인 제 1 객체에 상기 이례적인 상황이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 1 객체에 발생된 이례적인 상황에 대응하는 알림신호가 생성되는 단계;
    상기 알림신호가 상기 제 1 객체에 대한 제 1 관리원이 소지한 제 1 무선 모바일 단말기에 전송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무선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전송받은 알림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관리원에게 상기 제 1 객체에 발생된 이례적인 상황을 인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이례적인 상황은, 상기 열차 및 선로변 시설에 발생되는 사고 및 장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이벤트 관리 서버는,
    상기 이례적인 상황이 복수로 발생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복수의 이례적인 상황에 대하여 열차의 운행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우선순위를 선정하고, 상기 알림신호에 상기 선정된 우선순위 정보를 부가하되,
    상기 복수의 이례적인 상황 중 임의로 선택된 제 1 이례적 상황에 의하여 운행에 영향을 받는 열차의 대수가 상기 복수의 이례적 상황 중 임의로 선택된 제 2 이례적 상황에 의하여 운행에 영향을 받는 열차의 대수보다 많은 경우, 상기 제 1 이례적 상황의 우선순위를 상기 제 2 이례적 상황의 우선순위보다 높게 선정하며,
    상기 제 1 이례적 상황에 의하여 운행에 영향을 받는 열차의 대수와 상기 제 2 이례적 상황에 의하여 운행에 영향을 받는 열차의 대수가 같은 경우, 상기 제 1 이례적 상황에 의하여 유발되는 지연시간과 상기 제 2 이례적 상황에 의하여 유발되는 지연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제 1 이례적 상황 및 상기 제 2 이례적 상황 중 긴 지연시간을 유발시키는 것에 높은 우선순위를 선정하며,
    상기 지연시간은 이례적인 상황의 발생에서부터 처리가 종료되는 데 걸리는 시간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4. 이벤트 중심의 무인 철도 관제 시스템의 관제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이 유형적으로 구현된 프로그램에 있어서,
    복수의 열차 및 상기 복수의 열차의 운행에 요구되는 선로변 시설을 관리하는 철도 관제 시스템의 관제방법은,
    상기 열차 및 선로변 시설의 상태가 감지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감지신호가 생성되는 단계;
    상기 감지신호가 관제실에 설치된 관제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전송받은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열차 및 선로변 시설에 기 설정된 이례적인 상황이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열차 및 상기 선로변 시설 중 적어도 하나인 제 1 객체에 상기 이례적인 상황이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 1 객체에 발생된 이례적인 상황에 대응하는 알림신호가 생성되는 단계;
    상기 알림신호가 상기 제 1 객체에 대한 제 1 관리원이 소지한 제 1 무선 모바일 단말기에 전송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무선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전송받은 알림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관리원에게 상기 제 1 객체에 발생된 이례적인 상황을 인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이례적인 상황은, 상기 열차 및 선로변 시설에 발생되는 사고 및 장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이벤트 관리 서버는,
    상기 이례적인 상황이 복수로 발생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복수의 이례적인 상황에 대하여 열차의 운행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우선순위를 선정하고, 상기 알림신호에 상기 선정된 우선순위 정보를 부가하되,
    상기 복수의 이례적인 상황 중 임의로 선택된 제 1 이례적 상황에 의하여 운행에 영향을 받는 열차의 대수가 상기 복수의 이례적 상황 중 임의로 선택된 제 2 이례적 상황에 의하여 운행에 영향을 받는 열차의 대수보다 많은 경우, 상기 제 1 이례적 상황의 우선순위를 상기 제 2 이례적 상황의 우선순위보다 높게 선정하며,
    상기 제 1 이례적 상황에 의하여 운행에 영향을 받는 열차의 대수와 상기 제 2 이례적 상황에 의하여 운행에 영향을 받는 열차의 대수가 같은 경우, 상기 제 1 이례적 상황에 의하여 유발되는 지연시간과 상기 제 2 이례적 상황에 의하여 유발되는 지연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제 1 이례적 상황 및 상기 제 2 이례적 상황 중 긴 지연시간을 유발시키는 것에 높은 우선순위를 선정하며,
    상기 지연시간은 이례적인 상황의 발생에서부터 처리가 종료되는 데 걸리는 시간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KR1020140152432A 2014-11-04 2014-11-04 이벤트 중심의 무인 철도 관제 시스템 및 그 관제방법 KR101545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432A KR101545344B1 (ko) 2014-11-04 2014-11-04 이벤트 중심의 무인 철도 관제 시스템 및 그 관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432A KR101545344B1 (ko) 2014-11-04 2014-11-04 이벤트 중심의 무인 철도 관제 시스템 및 그 관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5344B1 true KR101545344B1 (ko) 2015-08-24

Family

ID=54061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2432A KR101545344B1 (ko) 2014-11-04 2014-11-04 이벤트 중심의 무인 철도 관제 시스템 및 그 관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534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9474A (ko) * 2017-02-28 2018-09-05 주식회사 케이티 열차 선로 및 열차 제어를 위한 제어 장치, 제어방법 및 열차선로 관리 시스템
KR20200047858A (ko) 2018-10-25 2020-05-0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운행 스케줄 조정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209544B1 (ko) * 2019-07-31 2021-02-0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열차상황 인지 방법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4821A (ja) 2002-07-03 2004-02-05 Daido Signal Co Ltd 集中監視装置の切替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切替装置
JP2004306880A (ja) * 2003-04-10 2004-11-04 Hitachi Ltd 移動体異常検知システム,移動体、及び地上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4821A (ja) 2002-07-03 2004-02-05 Daido Signal Co Ltd 集中監視装置の切替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切替装置
JP2004306880A (ja) * 2003-04-10 2004-11-04 Hitachi Ltd 移動体異常検知システム,移動体、及び地上システ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9474A (ko) * 2017-02-28 2018-09-05 주식회사 케이티 열차 선로 및 열차 제어를 위한 제어 장치, 제어방법 및 열차선로 관리 시스템
KR102319320B1 (ko) * 2017-02-28 2021-11-01 주식회사 케이티 열차 선로 및 열차 제어를 위한 제어 장치, 제어방법 및 열차선로 관리 시스템
KR20200047858A (ko) 2018-10-25 2020-05-0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운행 스케줄 조정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209544B1 (ko) * 2019-07-31 2021-02-0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열차상황 인지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7921B1 (ko) 텔레매틱스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에서의 텔레매틱스 서비스 제공 방법
CN109961638B (zh) 信息收集系统以及信息收集装置
KR102512969B1 (ko) 무인 반송차의 제어 방법, 제어 장치 및 기억 매체
KR101687336B1 (ko) 전차선 급전구간별 열차 대수를 고려한 열차운행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CN108025889A (zh) 电线桥监控系统
KR101545344B1 (ko) 이벤트 중심의 무인 철도 관제 시스템 및 그 관제방법
CN109743531B (zh) 自动驾驶列车的乘客报警系统和方法、车载报警装置
CN111376253A (zh) 一种机器人路线规划方法、装置、机器人及安全管理
KR20160052891A (ko) 상황 인식 기반 지능형 피난안내 시스템
KR20120057683A (ko) 열차 접근 경보 시스템 및 방법
JP2022002115A (ja) 車両管理システム
KR101382220B1 (ko) 사고 및 위험 방지 시스템
WO2019168026A1 (ja) 支援システム及び支援方法
KR20170083764A (ko) 미아방지 시스템
RU2737976C1 (ru) Система оповещения о приближении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подвижного состава и ограждения участка работ, размещаемая на путевой машине (сомп)
TWI754927B (zh) 用於執行緊急求救之方法及行動通訊裝置
JP2015106328A (ja) 機能制限装置、機能制限システム、機能制限方法、及び機能制限プログラム
JP5046840B2 (ja) 緊急地震速報システム
KR101074727B1 (ko) 이동대상물의 이동보안 관제시스템
KR101874520B1 (ko) 버스의 이동경로 추적 및 예상경로 예측 기능의 버스 안내단말과 안내시스템
KR20210106171A (ko) 자체 로라 근거리통신망 스위칭 구조를 갖는 블루투스-로라 네트워킹 선택연동이 가능한 건설 현장 스마트 안전 관리 방법
JP2018190159A (ja) 警報出力システム、警報出力装置、警報出力装置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警報出力方法
JP2020009019A (ja) 作業情報通信方法、作業情報通信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端末
KR101450079B1 (ko) 위기 관리 기능을 구비한 안전 귀가 서비스 방법
TWI781397B (zh) 具有自動換組功能之行動通訊裝置及其操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