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4805B1 - 재충전식 배터리용 커넥팅 폴 및 재충전식 배터리 하우징 - Google Patents

재충전식 배터리용 커넥팅 폴 및 재충전식 배터리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4805B1
KR101544805B1 KR1020127026018A KR20127026018A KR101544805B1 KR 101544805 B1 KR101544805 B1 KR 101544805B1 KR 1020127026018 A KR1020127026018 A KR 1020127026018A KR 20127026018 A KR20127026018 A KR 20127026018A KR 101544805 B1 KR101544805 B1 KR 101544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pole
wall
section
circumference
rechargeabl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6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6248A (ko
Inventor
피터 스트로이어
안느로흐 르두
Original Assignee
존슨 컨트롤스 오토바테리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아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10010772.7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10010772B4/d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10022584.3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10022584B4/de
Application filed by 존슨 컨트롤스 오토바테리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아아 filed Critical 존슨 컨트롤스 오토바테리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아아
Publication of KR20130016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6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4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4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61Hollow metallic terminals, e.g. terminal bush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5Gas exhaust passages comprising elongated, tortuous or labyrinth-shaped exhaust passa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커넥팅 폴(1)은 폴 단자가 상기 커넥팅 폴(1)에 부착될 수 있는 연결부(2)를 갖고,
b) 상기 커넥팅 폴(1)은 재충전식 배터리의 하우징부(5)에 부착될 수 있는 부착부(3)를 가지며,
c) 상기 부착부(3)는 래버린스부(4)를 갖고
d) 상기 커넥팅 폴(1)의 외벽(6)은 상기 래버린스부(4)에서 적어도 하나의 원주 돌출부(7,8)를 갖는 재충전식 배터리용 커넥팅 폴(1)로서,
e) 상기 커넥팅 폴(1)의 외벽(6)의 원주는 원주 돌출부(7,8)가 형성되지 않은 래버린스부(4)의 적어도 한 부분에서 연결부(2)로부터 멀리 지시하는 방향으로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충전식 배터리용 커넥팅 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런 종류의 적어도 하나의 커넥팅 폴을 갖는 재충전식 배터리 하우징 또는 상기 재충전식 배터리 하우징의 일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재충전식 배터리용 커넥팅 폴 및 재충전식 배터리 하우징{CONNECTING POLE FOR A RECHARGEABLE BATTERY AND RECHARGEABLE BATTERY HOUSING}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문에 청구된 바와 같이 재충전식 배터리용 커넥팅 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청구항 15에 청구된 바와 같이 이런 종류의 적어도 하나의 커넥팅 폴을 갖는 재충전식 배터리 하우징 또는 상기 재충전식 배터리 하우징의 일부에 관한 것이다.
재충전식 배터리용 커넥팅 폴은 재충전식 배터리와 상기 재충전식 배터리가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기 디바이스들 사이에 전기접촉을 확립하는데 이용된다. 자동차용 시동 배터리의 경우, 해당 폴 단자들은 시동 배터리의 2개의 커넥팅 폴들에 나사고정된다.
재충전식 배터리용 커넥팅 폴은 DE 42 41 393 C2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 참조문헌에 기술된 커넥팅 폴은 원주 채널들을 갖는 기저부를 가지며, 상기 기저부는 재충전식 배터리의 하우징에 삽입될 수 있다. 원주 채널들은 채널을 채우는 플라스틱으로 래버린스 실(labyrinth seal)을 형성한다.
본 발명은 기지의 커넥팅 폴보다 더 가벼운 무게를 갖는 커넥팅 폴을 명시하는 목적을 바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경량의 이런 종류의 커넥팅 폴을 갖는 해당 재충전식 배터리를 명시하는 목적을 바탕으로 한다.
이 목적은 청구항 1 및 청구항 15에 명시된 발명에 의해 달성된다. 종속항은 본 발명의 유리한 개선들을 명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팅 폴의 외벽의 원주는 원주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는 래버린스부의 적어도 한 섹션에서 연결부로부터 멀리 지시하는 방향으로 증가되는 것을 제안한다. 그 결과, 커넥팅 폴의 더 작은 원주가 연결부에 가까이, 즉 래버린스부의 상부 영역에 구현될 수 있고, 그 결과 이 영역에서 커넥팅 폴에 필요한 재료량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원주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는 래버린스부의 한 섹션에서 커넥팅 폴의 외벽의 원주는 원주 돌출부가 전체적으로 혹은 부분적으로 배열되어 있지 않은 벽 부분들로 이해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들 벽 부분들은 원주 돌출부로 전혀 전환이 없는 벽 부분들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위해, 커넥팅 폴의 하단으로부터 시작해 연결부 방향으로 외주를 줄일 수 있다. 그러므로, 적어도 하나의 원주 돌출부 밖으로 래버린스부의 적어도 한 섹션에서의 연결부로부터 멀리 지시하는 방향으로 커넥팅 폴의 외벽의 크기가 원추형으로 증가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커넥팅 폴의 외주는 적어도 하나의 원주 돌출부 밖으로 래버린스부의 적어도 한 섹션에서의 연결부로부터 멀리 지시하는 방향으로 대략 직선으로 크기가 증가된다.
이 경우, "섹션"이라는 용어는 커넥팅 폴의 길이방향, 즉, 도 1에 도시된 길이방향 축(L)에서의 부분을 말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재료는 본 발명에 의해 래버린스부의 상부 영역에서 이점적으로 절감될 수 있다. 더욱이, 상당한 정도로 커넥팅 폴의 기계적 안정성이 동시에 보장될 수 있다. 가령 납으로 제조되는 커넥팅 폴의 재료 절감으로 커넥팅 폴과 이에 따라 또한 커넥팅 폴이 제공되는 재충전식 배터리의 하우징의 무게가 현저히 줄어들게 된다. 재료 절감은 이점적으로 비용면에서 또한 절감이 수반된다. 커넥팅 폴의 외벽은 적어도 한 섹션에서 특히 원주 돌출부 또는 원주 돌출부들이 배열된 섹션에서 원추형 또는 일체형 쌍곡선 식으로 이점적으로 이어진다.
본 발명은 또한 래버린스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원주 돌출부의 직경을 줄이 수 있다. 이로써 재료 및 무게가 또한 절감되어 진다. 복수의 원주 돌출부들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적인 발전에 따르면, 커넥팅 폴의 외벽의 원주가 래버린스부를 관통한 원주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 연결부로부터 멀리 지시하는 방향으로 증가하도록 제공된다. 그 결과, 재료 및 이에 따라 무게의 절감이 극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적인 발전에 따르면, 래버린스부는 부착부보다 커넥팅 폴의 길이방향으로 범위가 더 작다. 이는 래버린스부에 악영향을 주지 않고도 부착부에 다른 요소들이 제공되게 한다.
원주 돌출부는 다른 프로파일들로 구현될 수 있다. 링형 형태가 원주 돌출부용 기본 형태로 언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적인 발전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원주 돌출부는 고리형 프로파일을 갖는다. 프로파일의 고리형 영역은 예컨대 상술한 기본 형태에 따라 링형 돌출부의 외부면에 인접한다. 고리형 프로파일은 커넥팅 폴의 재료와 주변 하우징의 플라스틱 사이에 래버린스의 형성을 효과적으로 돕는다. 래버린스의 밀봉효과가 그 결과 더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적인 발전에 따르면, 커넥팅 폴은 내부가 중공이다. 커넥팅 폴의 내벽의 원주는 래버린스부의 적어도 제 1 섹션에서 커넥팅 폴로부터 멀리 지시하는 방향으로 증가한다. 본 발명의 이점적인 발전으로, 원주가 증가하는 내벽의 섹션은 원주가 증가하는 외벽의 섹션과 겹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적인 발전에 따르면, 커넥팅 폴의 내벽과 외벽은 상기 커넥팅 폴의 길이방향으로의 섹션에서 적어도 나란히 이어진다. 그 결과, 일정한 벽 두께가 적어도 커넥팅 폴의 길이방향으로의 섹션에서 구현될 수 있다. 전반적으로, 커넥팅 폴은 재료 절감 및 그 결과 무게 면에서 더 최적화될 수 있다. 이 발전은 가령 커넥팅 폴의 길이방향 축에 대한 각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상기 각은 내벽의 원추부에 의해 형성되고 이는 커넥팅 폴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외벽의 원추부의 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 발명의 이점적인 발전에 따르면, 내벽의 원주가 증가하는 제 1 섹션은 외벽의 원주가 커넥팅 폴의 길이방향으로 증가하는 섹션 너머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지 않는다. 특히, 내벽의 원주가 증가하는 제 1 섹션이 연결부로 뻗어 있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적인 발전에 따르면, 내벽의 원주가 증가하는 제 1 섹션은 외벽의 원주가 커넥팅 폴의 길이방향으로 증가하는 섹션 너머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이는 내벽의 더 특수하게 형성된 섹션을 제공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이점적인 발전에 따르면, 커넥팅 폴은 내부에 중공이 있고, 커넥팅 폴의 내벽의 외주는 연결부에서 래버린스부 방향으로 증가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이점적인 발전에 따르면, 내벽 및/또는 외벽의 원주는 단조적으로 직선 또는 활모양으로 증가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원주로의 증가가 선형 외곽을 따라 발생하므로, 내벽 및/또는 외벽은 섹션에서 적어도 원추형으로 이어진다. 활모양의 외형은 가령 쌍곡선 프로파일을 따라 또한 이점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결합된 원추형 및 활형 섹션들도 또한 내벽 및/또는 외벽에 커넥팅 폴에 이점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적인 발전에 따르면, 원주로의 활모양 증가는 연결부에서 멀리 지시하는 방향으로 점진적이다. 그 결과, 커넥팅 폴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외벽 및/또는 내벽 간의 각도 차는 연결부(2)로부터 시작해 증가한다.
본 발명의 이점적인 발전에 따르면, 외벽 및/또는 내벽은 커넥팅 폴의 길이방향으로 일체형 쌍곡선 프로파일을 갖는다. 이 경우, 원추형 섹션에 의해 생성된 모든 외형들은 특히 쌍곡선, 포물선, 원추형 또는 타원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외벽 및/또는 내벽의 섹션에서 적어도 지수함수를 따른 프로파일을 제공하는 것이 마찬가지로 이점적이다.
커넥팅 폴은 특히 회전 대칭일 수 있다. 이 경우, 내벽 또는 외벽의 외주에 대한 앞선 진술은 각각의 직경들과 관련있다.
본 발명의 이점적인 발전에 따르면, 커넥팅 폴의 내벽은 적어도 래버린스부의 제 2 섹션에서 연결부로부터 멀리 지시하는 방향으로 크기가 원추형으로 증가된다. 내벽은 제 1 섹션에서보다는 제 2 섹션에서 커넥팅 폴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더 큰 각을 이룬다. 이런 식으로 원추 각의 크기로 점진적 증가로 재충전식 배터리의 장착 동안 점진적 센터링 효과를 가지며 커넥팅 폴의 내부 영역이 제공된다. 커넥팅 폴의 내부 중공영역은 커넥팅 폴을 통해 연결부의 내부로 뻗어 있는 커넥팅 핀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커넥팅 핀은 재충전식 배터러의 내부에 전극 플레이트 세트에 연결된다. 재충전식 배터리의 제조 동안, 하부 하우징부에는 연결핀이 이미 끼워져 있는 전극 플레이트 세트가 제공된다. 그런 후, 커넥팅 폴이 사출성형 기술을 이용해 형성되는 재충전식 배터리의 커버가 하부 하우징부에 배치된다. 본원의 목적은 재충전식 배터리의 빠르고 효율적인 생산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커넥팅 핀에 대한 커넥팅 폴의 간단하고 신속한 센터링을 제공하는 것이다. 원추형 내부 섹션들이 센터링 위치를 간단히 한다.
다른 이점은 주변 영역으로부터 사출성형 복합물을 내부적으로 밀봉하기 위한 하부 맨드릴이 재충전식 배터리의 커버 제조 동안 제 2 원추부에 신속히 위치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적인 발전에 따르면, 제 2 섹션은 연결부로부터 벗어난 제 1 섹션의 측면에 있다.
본 발명의 이점적인 발전에 따르면, 커넥팅 폴의 내벽의 원주는 연결부로부터 벗어난 커넥팅 폴의 단부에 불연속적으로 변한다. 이런 종류의 불연속으로 내부 직경이 갑자기 증가하게 된다. 그 결과, 예컨대, 커넥팅 폴의 환형 단부는 제 1 또는 제 2 섹션에 대해 크기가 증가하는 직경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적인 발전에 따르면, 커넥팅 폴은 연결부와 래버린스부 간에 부착부에서 외주상에 돌기 시스템을 갖춘 원주 돌출부를 갖는다. 돌기 시스템은 이점적으로 회전방지수단을 형성하며, 이는 재충전식 배터리 하우징의 재료에서 커넥팅 폴의 바람직하지 못한 회전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이점적인 발전에 따르면, 돌기 시스템은 6개에서 9개 범위로 치차 개수를 갖는다. 특히, 8개 치차 개수가 특히 이점적인 것으로 입증되었으며 커넥팅 폴의 치차의 기계적 안정성과 재충전식 배터리 하우징의 플라스틱 재료에 커넥팅 폴을 보유하는 능력 간에 양호하게 절충된다. 치차의 개수가 너무 많으면 개개의 치차의 치수가 줄어들어 그 결과 개개의 치차의 안정성이 저하된다. 치차의 개수가 너무 적으면 재충전식 배터리 하우징의 플라스틱 재료에 커넥팅 폴을 보유하는 능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회전방지 수단의 효과가 저하된다.
본 발명의 이점적인 발전에 따르면, 커넥팅 폴은 내부에 중공이 있다. 커넥팅 폴의 내벽은 연결부에 원추형 프로파일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이점적인 발전에 따르면, 커넥팅 폴의 내벽의 원추형 프로파일은 부착부로 뻗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적인 개선으로, 제 1 섹션이 연결부에서 내벽의 원추형 프로파일에 인접하고 커넥팅 폴의 내벽의 제 2 섹션은 상기 제 1 섹션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점적인 재충전식 배터리와 상기 재충전식 배터리 하우징의 일부는 상술한 종류의 적어도 하나의 커넥팅 폴을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커넥팅 폴의 부착부는 이점적으로 사출성형 기술에 의해 재충전식 배터리 하우징부에 매입되어 있다. 재충전식 배터리 하우징부는 예컨대 재충전식 배터리의 커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됨.
본 발명은 도면을 이용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로 본문에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길이방향으로 커넥팅 폴을 관통한 횡단면도이다.
도 2는 커넥팅 폴의 내벽의 프로파일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길이방향으로 커넥팅 폴의 다른 실시예를 관통한 횡단면도이다.
도 4는 커넥팅 폴의 실시예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은 길이방향으로 커넥팅 폴의 다른 실시예를 관통한 횡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서로 일치하는 요소들에 사용된다.
도 1은 길이방향으로 커넥팅 폴(1)을 관통한 횡단면도이다. 커넥팅 폴(1)은 커넥팅부(2), 부착부(3) 및 레브린스부(4)를 갖는다.
커넥팅 폴(1)은 연결부(2)에서 외부면에 외벽(18)과 상부 종단면(16)을 갖는다. 원칙적으로 대략 환형 형태를 가질 수 있는 원주 돌출부(14)는 연결부(2)에 인접한 부착부(3)에서 커넥팅 폴(1)의 외부 면에 배열된다. 원주 돌출부(14)는 또한 외주에 돌기 시스템을 가질 수 있고, 이는 잇따른 본문에 더 상세히 설명된다. 커넥팅 폴(1)의 외부 면에 외벽(6)이 원주 돌출부(14)에 인접하고, 상기 외벽은 래버린스부(4)에 배열되어 있다. 외벽(6)은 각각이 고리형 프로파일을 갖는 원주 돌출부(7,8)에 의해 차단된다. 커넥팅 폴(1)은 돌기 시스템과 별도로 가령 실질적으로 회전 대칭 구성요소의 형태일 수 있다.
도 1은 예로써 커넥팅 폴(1)의 좌측 영역에 사출성형 프로세스를 이용해 커넥팅 폴(1)에 일체로 형성된 재충전식 배터리의 하우징부(5)의 세부사항을 도시한 것이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팅 폴은 외부 면에서 부착부(3)에 하우징부(5)의 재료에 매입된다. 래버린스는 원주 돌출부(7,8,14)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래버린스는 주위 영역으로부터 재충전식 배터리의 내부의 효과적 밀봉을 보장한다.
커넥팅 폴(1)은 중공이다. 내벽(9) 섹션들은 커넥팅 폴(1)에 형성된 공동(17)에 길이방향(L)에 대해 내벽(9)의 다른 각도들에서 원추형으로 이어진다. 원추형으로 이어진 내벽(9)의 제 1 섹션(10)과 제 2 섹션(11)이 래버린스부(4)에 도시되어 있다. 제 2 섹션(11)은 연결부(2) 맞은 편에 있는 커넥팅 폴(1)의 측면으로 제 1 섹션(10)에 인접한다. 내벽(9)의 다른 원추형 연속부(15)는 제 1 섹션(10)의 타측에 제공되고, 상기 다른 원추형 연속부는 상부 종단면(16)으로부터 래버린스부(4)까지 뻗어 있다.
대략 환형 섹션(13)은 공동(17)에 있는 제 2 섹션(11)에 인접한다. 이 경우, 공동(17)의 직경은 지점(12)에서 갑자기 크기가 증가된다.
도 2는 섹션들(15, 10, 11)에서 내벽(9)의 프로파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연속부(15)에서, 내벽(9)은 길이방향 축(L)에 대해 각(α)을 이룬다. 제 1 섹션(10)에서, 내벽(9)은 길이방향 축(L)에 대해 각(β)을 이룬다. 제 2 섹션(11)에서, 내벽(9)은 길이방향 축(L)에 대해 각(γ)을 이룬다. 이점적으로, α<β<γ이다. 이는 커넥팅 폴(1)의 대향 단부 방향으로 상부 종단면(16)으로부터 원추형 각으로 단조 증가를 이룬다.
도 3은 크기가 감소되는 커넥팅 폴(1)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연결부(2)에서 커넥팅 폴의 외직경은 도 1에 따른 커넥팅 폴(1)의 외직경에 해당한다. 그러나, 공동(17)은 도 1에 비해 직경이 더 작다. 도 3에 따른 실시예에서, 원추형으로 이어진 내벽(9)의 제 1 섹션(10)은 부착부(3) 너머 연결부(2)까지 뻗어 있다.
도 4는 도 4의 a), 도 4의 b), 도 4의 c)에서, 특히 종단면(16)의 측면으로부터 평면도로 커넥팅 폴(1)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3개 실시예들 모두 상부 종단면(16), 외부 측벽(18), 내부 공동(17) 및 원주 돌출부(14)를 도시한다.
원주 돌출부(14)는 치차(19,20,23)로 도시된 외부 돌기 시스템을 갖는다. 치차(19,20,23)는 커넥팅 폴이 재충전식 배터리 하우징의 플라스틱 재료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 경우, 도 4의 a)는 6개 치차(19)가 커넥팅 폴(1)의 원주 위로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배열되어 있는 이점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의 b)는 커넥팅 폴(1)의 원주에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배열된 8개 치차(19)를 갖는 이점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에 대해, 도 4의 c)는 도 4의 b)에 따른 실시예에 해당하는 것으로, 도 4의 c)에서는 이점적인 발전으로서 치차(20,23)에 비대칭 치차 플랭크들(21,22)이 제공된다. 그러므로, 치차 플랭크(21)는 치차 플랭크(22)보다 원주 돌출부(14)의 원주에 대한 각이 더 작다. 치차(23)는 치차(20)과 유사한 비대칭 치차 플랭크들로 형성된다. 이 경우, 치차(23)는 치차(20)에 미러 이미지 대칭으로 배열된다. 더 작은 각으로 형성되는 치차 플랭크(21)는 분할식 몰드에 의해 커넥팅 폴을 만드는 옵션을 제공한다. 그 결과, 치크들(cheeks)은 분리 방향으로 언더컷이 전혀 없기 때문에 몰드로부터 제거될 경우 쉽게 커넥팅 폴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커넥팅 폴(1)의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에 따른 실시예들은 도 1에 따른 실시예에 비해 래버린스부(4)에서 원주 돌출부용으로 이점적으로 교번하는 프로파일 옵션들을 갖는다. 또한, 환형부(13)가 도 5 및 도 6에 따른 실시예에서 공동(17)의 아래 영역에 형성되어 있지 않다.
둥근 프로파일을 갖는 래버린스부(4)에서 커넥팅 폴(1)의 원주에 원주 돌출부(7,8)가 도 5에 따라 제안된다. 실질적으로 동일 프로파일을 갖는 2개 원주 돌출부(7,8)가 제공된다.
래버린스영역(4)에서 커넥팅 부싱(1)의 원주에 원주 돌출부(7,8,60)가 도 6에 따라 제안되며, 상기 원주 돌출부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특히 정사각형 프로파일을 갖는다. 3개의 원주 돌출부(7,8,60)가 한가지 이점적인 개선으로 제공된다. 이 경우, 연결부(2)로부터 벗어난 커넥팅 폴(1)의 단부에 제공된 원주 돌출부(8)는 한가지 이점적인 개선으로 원주 돌출부(7,60)보다 횡단면이 더 크다.
커넥팅 폴의 상술한 실시예들 각각은 길이방향으로 선형 프로파일을 갖는다. 즉, 해당 원추형 섹션들을 갖는다. 도 7은 부착부(3)에 내벽(9)과 외벽(6)의 활모양의 프로파일을 갖는 커넥팅 폴(1)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에 따른 커넥팅 폴은 특히 상업용 차량분야에 이용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외벽(6)과 내벽(9)은 전혀 원주 돌출부(7,8)가 배열되지 않고 이에 따라 일정한 벽 두께가 이들 부분에 형성되는 영역에서 적어도 부착부(3)에 나란히 이어진다. 커넥팅 폴(1)의 외주와 내주는 아랫방향으로, 즉 폴 브러싱을 위해 삽입면 방향으로, 부착부에, 그리고 래버린스부(4)에 각각 연속적으로 증가된다. 그 결과, 원주 돌출부(8) 위에서 원주 돌출부(14)까지 원주의 재료가 절감될 수 있다. 그 결과, 도 7에 도시된 상업용 차량의 커넥팅 폴(7)도 또한 공지의 상업용 차량 커넥팅 폴보다 더 가벼워진다.

Claims (15)

  1. a) 커넥팅 폴(1)은 폴 단자가 상기 커넥팅 폴(1)에 부착될 수 있는 연결부(2)를 갖고,
    b) 상기 커넥팅 폴(1)은 재충전식 배터리의 하우징부(5)에 부착될 수 있는 부착부(3)를 가지며,
    c) 상기 부착부(3)는 래버린스부(4)를 갖고,
    d) 상기 커넥팅 폴(1)의 외벽(6)은 상기 래버린스부(4)에서 적어도 하나의 원주 돌출부(7,8)를 가지며,
    e) 상기 커넥팅 폴(1)의 외벽(6)의 원주는 원주 돌출부(7,8)가 형성되지 않은 래버린스부(4)의 적어도 한 섹션에서 연결부(2)로부터 멀리 지시하는 방향으로 증가되고,
    f) 커넥팅 폴(1)은 내부가 중공이고, 커넥팅 폴(1)의 내벽(9)의 원주는 래버린스부(4)의 적어도 제 1 섹션(10)에서 연결부(2)로부터 멀리 지시하는 방향으로 증가하고,
    g) 커넥팅 폴(1)의 내벽(9)과 외벽(6)은 적어도 상기 래버린스부(4) 내에 섹션들에서 상기 커넥팅 폴의 길이방향(L)으로 평행하게 이어지는 재충전식 배터리용 커넥팅 폴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원주 돌출부(7,8)는 고리형 프로파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충전식 배터리용 커넥팅 폴.
  2. 제 1 항에 있어서,
    커넥팅 폴(1)의 외벽(6)의 원주는 래버린스부(4)를 관통한 원주 돌출부(7,8)가 형성되지 않는 영역에서의 연결부(2)로부터 멀리 지시하는 방향으로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충전식 배터리용 커넥팅 폴.
  3. 제 1 항에 있어서,
    래버린스부(4)는 부착부(3)보다 커넥팅 폴(1)의 길이방향(L)으로 범위가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충전식 배터리용 커넥팅 폴.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내벽(9)의 원주가 증가하는 제 1 섹션(10)은 외벽(6)의 원주가 커넥팅 폴(1)의 길이방향(L)으로 증가하는 섹션 너머로 돌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충전식 배터리용 커넥팅 폴.
  6. 제 1 항에 있어서,
    내벽(9)의 원주가 증가하는 제 1 섹션(10)은 외벽(6)의 원주가 커넥팅 폴(1)의 길이방향(L)으로 증가하는 섹션 너머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충전식 배터리용 커넥팅 폴.
  7. 제 1 항에 있어서,
    커넥팅 폴(1)은 내부가 중공이고, 커넥팅 폴(1)의 내벽(9)의 원주는 연결부(2)에서 래버린스부 방향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충전식 배터리용 커넥팅 폴.
  8. 제 1 항에 있어서,
    내벽(9) 및 외벽(6) 중 적어도 하나의 원주는 단조적으로 직선 또는 활모양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충전식 배터리용 커넥팅 폴.
  9. 제 8 항에 있어서,
    원주에서 활모양 증가는 연결부(2)로부터 멀리 지시하는 방향으로 점진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충전식 배터리용 커넥팅 폴.
  10. 제 8 항에 있어서,
    외벽(6) 및 내벽(9) 중 적어도 하나는 커넥팅 폴의 길이방향(L)으로 일체의 쌍곡선 프로파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충전식 배터리용 커넥팅 폴.
  11. 제 8 항에 있어서,
    외벽(6) 및 내벽(9) 중 적어도 하나는 연결부(2)로부터 멀리 지시하는 방향으로 크기가 원추형으로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충전식 배터리용 커넥팅 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커넥팅 폴(1)의 내벽(9)은 래버린스부(4)의 적어도 제 2 섹션(11)에서 연결부(2)로부터 멀리 지시하는 방향으로 크기가 원추형으로 증가되고, 상기 내벽(9)은 제 1 섹션(10)보다 제 2 섹션(11)에서 커넥팅 폴(1)의 길이방향 축(L)에 대해 더 큰 각(γ)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충전식 배터리용 커넥팅 폴.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고, 부착부(3)에서 사출성형 기술에 의해 재충전식 배터리 하우징부(5)에 매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팅 폴(1)을 갖는 재충전식 배터리 하우징.
  14. 삭제
  15. 삭제
KR1020127026018A 2010-03-09 2011-03-07 재충전식 배터리용 커넥팅 폴 및 재충전식 배터리 하우징 KR1015448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10772.7 2010-03-09
DE102010010772.7A DE102010010772B4 (de) 2010-03-09 2010-03-09 Anschlusspol für einen Akkumulator und Akkumulatorgehäuse
DE102010022584.3A DE102010022584B4 (de) 2010-06-03 2010-06-03 Anschlusspol für einen Akkumulator und Akkumulatorgehäuse
DE102010022584.3 2010-06-03
PCT/EP2011/001103 WO2011110317A1 (de) 2010-03-09 2011-03-07 Anschlusspol für einen akkumulator und akkumulatorgehäu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6248A KR20130016248A (ko) 2013-02-14
KR101544805B1 true KR101544805B1 (ko) 2015-08-21

Family

ID=43971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6018A KR101544805B1 (ko) 2010-03-09 2011-03-07 재충전식 배터리용 커넥팅 폴 및 재충전식 배터리 하우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847522B2 (ko)
EP (1) EP2545602B1 (ko)
KR (1) KR101544805B1 (ko)
CN (1) CN102859745B (ko)
BR (1) BR112012022815B1 (ko)
MX (1) MX2012010207A (ko)
WO (1) WO201111031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9267A (ko) * 2017-10-25 2020-07-02 클라리오스 어드밴스드 솔루션즈 게엠베하 재충전 가능 배터리용 연결 극 및 재충전 가능 배터리 하우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12022815B1 (pt) 2010-03-09 2021-03-09 Clarios Germany Gmbh & Co. Kgaa polo de conexão para um acumulador e caixa de acumulador
ES2549663T3 (es) * 2013-06-14 2015-10-30 Wegmann Automotive Gmbh & Co. Kg Terminal sellable para una batería recargable
JP6213769B2 (ja) * 2013-12-18 2017-10-18 株式会社Gsユアサ 鉛蓄電池
USD767490S1 (en) 2015-01-07 2016-09-27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Battery bushing
EP3133674B1 (en) * 2015-08-20 2017-11-22 WEGMANN automotive GmbH & Co. KG Battery terminal with internal anti-twist protection
DE102018131385A1 (de) * 2018-12-07 2020-06-10 Clarios Germany Gmbh & Co. Kgaa Anschlusspol für einen akkumulator und akkumulatorgehäuse
DE102019105782A1 (de) * 2019-03-07 2020-09-10 Johnson Controls Autobatterie Gmbh & Co. Kgaa Versetzte Polbuchsen und Energiespeichersystem mit den gleich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30723A (en) 1997-05-22 2000-02-29 Miyagawa Kasei Industry Co., Ltd. Lead bushing and lead storage battery with lead bushing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9547A (en) * 1987-10-06 1989-08-22 Gates Energy Products, Inc. Battery terminal and method
DE3919725A1 (de) * 1989-06-16 1991-01-03 Varta Batterie Vorrichtung zum elektrischen verbinden eines batteriepols mit mindestens einem anschlusskabel
DE3942175A1 (de) 1989-12-20 1991-06-27 Hofmann Werkstatt Technik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oberflaechenbehandlung von polhuelsen fuer batterien
US5373720A (en) 1992-09-03 1994-12-20 Water Gremlin Company Method of making battery terminal with necked flange
US5296317A (en) 1992-09-03 1994-03-22 Water Gremlin Co. High torque battery terminal and method of making same
DE4241393C2 (de) * 1992-12-09 1999-05-27 Dionys Hofmann Gmbh Anschlußpol für einen Akkumulator
JP3237259B2 (ja) * 1993-01-26 2001-12-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鉛蓄電池用端子
US5422202A (en) 1993-06-17 1995-06-06 Tulip Corporation Side wall electrical battery terminal
IT1278026B1 (it) 1994-02-22 1997-11-17 Tulip Corp Terminale di parete per batterie elettriche.
US5632173A (en) 1995-05-17 1997-05-27 Tulip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ld forming a ring on a lead alloy battery terminal
US5791183A (en) 1995-05-17 1998-08-11 Tulip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ld forming a ring on a lead alloy battery terminal including an anti-torque structure
BR9706160A (pt) 1996-10-09 1999-04-13 Casais Osvaldo Balbino Extremidade anti-corrosiva com fixação curta sem linhas de uni o para baterias
IT1292401B1 (it) * 1996-10-09 1999-02-08 Osvaldo Balbino Casais Morsetto anticorrosione con ancoraggio corto,senza linee di unione, per batterie di accumulatori
US20020002772A1 (en) * 1996-12-25 2002-01-10 Tatsuya Hirano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orage battery terminal
US6312852B1 (en) 1998-02-26 2001-11-06 C&D Charter Holdings Inc. Battery cell cover with flexible positive post terminal
DE10108649A1 (de) * 2001-02-22 2002-09-05 Dionys Hofmann Gmbh Anschlusspol für einen Akkumulator
US6644084B1 (en) 2001-06-14 2003-11-11 Tulip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battery terminal with undercut rings
US7628049B2 (en) 2001-06-14 2009-12-08 Tulip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battery terminal with undercut rings
ITTO20020251A1 (it) 2002-03-20 2003-09-22 I C S Ind Composizioni Stamp A Terminale connettore per una batteria e batteria che lo comprende.
US7163763B2 (en) 2002-06-04 2007-01-16 Tulip Corporation Cold formed battery terminal
US7905384B1 (en) 2002-06-04 2011-03-15 Tulip Corporation Cold formed battery terminal
US7338539B2 (en) 2004-01-02 2008-03-04 Water Gremlin Company Die cast battery terminal and a method of making
US8701743B2 (en) 2004-01-02 2014-04-22 Water Gremlin Company Battery part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JP2007528578A (ja) 2004-01-02 2007-10-11 ウォーター・グレムリン・カンパニー バッテリ部品
GB2420300B (en) 2004-11-17 2007-01-10 Accuma Plastic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a terminal for a lead-acid type accumulator and a terminal manufactured therewith
DE202005013772U1 (de) * 2005-04-07 2006-08-17 Kromberg & Schubert Gmbh & Co. Kg Anschlusseinrichtung
DE102005046256B4 (de) 2005-09-27 2010-09-30 Vb Autobatterie Gmbh & Co. Kgaa Bleibatterie und Kunststoff-Batteriedeckel hierzu
ES2275436B1 (es) 2005-11-18 2008-05-16 Garcia Alberola E Hijos, S.L. Terminales estancos para baterias.
KR100717796B1 (ko) 2005-11-30 2007-05-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 전지용 캐소드 촉매,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용막-전극 어셈블리 및 연료 전지 시스템
CN101176908B (zh) 2006-11-06 2010-06-16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铆接方法及锂离子电池电极极柱和盖板的联接方法
US7985496B2 (en) 2007-07-25 2011-07-26 Tulip Corporation Side terminal and insert,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ame
BR112012022815B1 (pt) 2010-03-09 2021-03-09 Clarios Germany Gmbh & Co. Kgaa polo de conexão para um acumulador e caixa de acumulador
DE102012111409B4 (de) 2012-11-26 2018-12-20 Johnson Controls Autobatterie Gmbh & Co. Kgaa Anschlusspol für einen Akkumulator und Akkumula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30723A (en) 1997-05-22 2000-02-29 Miyagawa Kasei Industry Co., Ltd. Lead bushing and lead storage battery with lead bush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9267A (ko) * 2017-10-25 2020-07-02 클라리오스 어드밴스드 솔루션즈 게엠베하 재충전 가능 배터리용 연결 극 및 재충전 가능 배터리 하우징
KR102600626B1 (ko) * 2017-10-25 2023-11-09 클라리오스 어드밴스드 솔루션즈 게엠베하 재충전 가능 배터리용 연결 극 및 재충전 가능 배터리 하우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45602B1 (de) 2015-08-26
BR112012022815B1 (pt) 2021-03-09
CN102859745A (zh) 2013-01-02
WO2011110317A1 (de) 2011-09-15
US20130052519A1 (en) 2013-02-28
US9847522B2 (en) 2017-12-19
MX2012010207A (es) 2013-04-29
BR112012022815A2 (pt) 2016-08-09
EP2545602A1 (de) 2013-01-16
CN102859745B (zh) 2016-03-09
KR20130016248A (ko) 201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4805B1 (ko) 재충전식 배터리용 커넥팅 폴 및 재충전식 배터리 하우징
EP3059785B1 (en) Battery parts having retaining and sealing features
US10388937B2 (en) Battery bushing with internal anti-twist protection
US8168323B2 (en) Battery cover
KR102600626B1 (ko) 재충전 가능 배터리용 연결 극 및 재충전 가능 배터리 하우징
US9520590B2 (en) Sealable terminal for rechargeable battery
US11196130B2 (en) Connecting pole for a rechargeable battery and connecting pole and housing assembly
CN102834332A (zh) 儿童防护封闭件壳体、封闭件和包装件
KR101941741B1 (ko) 점화기 조립체와 그의 조립 방법, 및 커버 부재
JP5437090B2 (ja) 鉛蓄電池の製造方法
CN103683565A (zh) 电动机中的定子
US20150118545A1 (en) Flat battery
US9048476B2 (en) Cover part for a rechargeable battery and rechargeable battery having a cover part such as this
CN106079235A (zh) 用于制造电开关设备的方法和有增强气密性的电开关设备
JP2016021411A (ja) 蓄電池用蓋の製造方法及び蓄電池の製造方法
CN113424361A (zh) 用于蓄电池的连接极和蓄电池壳体
CN216599216U (zh) 电机密封结构和电机
JP2011192391A (ja) 扁平形電池
JP5877874B2 (ja) プラグ接続具、および、プラグ接続具の製造方法
CN110492654A (zh) 后端盖总成及减速电机
JP2012094372A (ja) 蓄電池の蓋、蓄電池の筐体および蓄電池
UA18860U (en) Polymeric rod insulator
JP2004153972A (ja) レゾルバの絶縁キャップ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