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1741B1 - 점화기 조립체와 그의 조립 방법, 및 커버 부재 - Google Patents

점화기 조립체와 그의 조립 방법, 및 커버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1741B1
KR101941741B1 KR1020157000439A KR20157000439A KR101941741B1 KR 101941741 B1 KR101941741 B1 KR 101941741B1 KR 1020157000439 A KR1020157000439 A KR 1020157000439A KR 20157000439 A KR20157000439 A KR 20157000439A KR 101941741 B1 KR101941741 B1 KR 101941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ember
igniter
reinforcing rib
metal cup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0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9608A (ko
Inventor
고지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이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이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이셀
Publication of KR20150039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9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1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1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00Blasting cartridges, i.e. case and explosive
    • F42B3/10Initia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00Blasting cartridges, i.e. case and explosive
    • F42B3/10Initiators therefor
    • F42B3/12Bridge initiators
    • F42B3/125Bridge initiato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bridge initiator ca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00Blasting cartridges, i.e. case and explosive
    • F42B3/10Initiators therefor
    • F42B3/195Manufa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00Blasting cartridges, i.e. case and explosive
    • F42B3/10Initiators therefor
    • F42B3/195Manufacture
    • F42B3/198Manufacture of electric initiator heads e.g., testing, machines
    • B60R2021/26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00Blasting cartridges, i.e. case and explosive
    • F42B3/10Initiators therefor
    • F42B3/18Safety initiators resistant to premature firing by static electricity or stray curr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ir Bag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화기 본체와 수지부가 일체로 된 점화기 조립체로서, 해당 점화기 본체가 도전 핀을 갖는 금속제의 헤더와, 점화약의 충전 공간을 형성하도록 해당 헤더에 씌워진 금속제 컵과, 해당 충전 공간에 충전된 점화약과, 해당 금속제 컵에 씌워진 커버 부재를 갖고 있으며, 해당 커버 부재가 적어도 주벽부의 내주면에 보강용 리브를 갖고 있는 것이고, 해당 점화기 조립체가 적어도 해당 커버 부재의 주벽부의 일부, 헤더 및 해당 도전 핀의 일부가 수지부로 포위되어 있는 것인 점화기 조립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점화기 조립체와 그의 조립 방법, 및 커버 부재{IGNITER ASSEMBLY, ASSEMBLY METHOD THEREOF, AND COVER MEMBER}
본 발명은, 차량의 에어백 시스템 등 인원 구속 장치용의 가스 발생기 등에 사용하는 점화기에서 사용하는 커버 부재와, 그것을 사용한 점화기 조립체, 점화기 조립체의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에어백 등의 탑승원 구속 장치를 작동시키는 가스 발생기나 액추에이터에는 점화기가 사용되고 있다.
전기 착화식의 점화기의 경우, 점화약은 금속제의 컵 내에 충전되어 있으며, 절연하는 목적으로 컵의 외측에는 플라스틱제의 절연 커버가 씌워져 있다.
절연 커버는 절연이 목적이기 때문에 얇은 것일 수도 있지만, 지나치게 얇으면 강도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변형되기 쉬워, 설치 작업성의 면에서 개량의 여지가 있다.
US-A No.5131679에는, 점화기 조립체 (140)이 개시되어 있다. 점화기 조립체 (140)에 사용되는 금속 캡 (158)에는, 얇은 플라스틱 필름 (170)이 씌워져 있다. 이 플라스틱 필름 (170)의 두께는 0.125mm이며(6란 17-18행), 이에 의해 금속 캡 (158)이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본 발명은, 점화기 본체와 수지부가 일체로 된 점화기 조립체로서,
해당 점화기 본체가
도전 핀을 갖는 금속제의 헤더와,
점화약의 충전 공간을 형성하도록 해당 헤더에 씌워진 금속제 컵과,
해당 충전 공간에 충전된 점화약과,
해당 금속제 컵에 씌워진 커버 부재를 갖고 있으며, 해당 커버 부재가 적어도 주벽부의 내주면에 보강용 리브를 갖고 있는 것이고,
해당 점화기 조립체가, 적어도 해당 커버 부재의 주벽부의 일부, 헤더 및 해당 도전 핀의 일부가 수지부로 포위되어 있는 것인 점화기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점화기 조립체의 조립 방법으로서,
상기 커버 부재를 개구부가 위가 되도록 대 위에 놓아두는 공정과,
상기 커버 부재의 개구부측으로부터 점화기 본체의 금속제 컵을 끼워 넣는 공정과,
상기 수지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갖고 있으며,
상기 금속제 컵을 상기 커버 부재에 끼워 넣을 때, 상기 커버 부재의 내주면의 보강용 리브와 금속제 컵의 외주면을 접촉시키면서, 상기 금속제 컵의 외주면과 상기 커버 부재의 내주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상태로 끼워 넣는, 점화기 조립체의 조립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도전 핀을 갖는 금속제의 헤더와,
점화약의 충전 공간을 형성하도록 해당 헤더에 씌워진 금속제 컵과,
해당 충전 공간에 충전된 점화약을 갖고 있는 점화기 본체의 해당 금속제 컵에 씌우기 위한 전기 절연용의 커버 부재로서,
해당 커버 부재가 저면부와 주벽부를 갖는 컵상인 것이며, 해당 주벽부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보강용 리브를 갖고 있는 것인 커버 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도전 핀을 갖는 금속제의 헤더와, 점화약의 충전 공간을 형성하도록 해당 헤더에 씌워진 금속제 컵과, 해당 충전 공간에 충전된 점화약을 갖고 있는 점화기 본체에 사용되는 커버 부재로서, 커버 부재는 저면부와 주벽부를 갖는 컵상인 것이며, 해당 주벽부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보강용 리브를 가지며, 커버 부재는 금속제 컵을 덮고 있는 전기 절연용의 커버 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에 의해 더욱 완전히 이해되는 것이지만, 이것들은 단지 설명을 위해 부여되는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커버 부재의 사시도와, 점화기의 금속제 컵에 대한 커버 부재의 끼워 넣기 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a) 내지 (d)에 있어서, 각각 상이한 실시 형태의 커버 부재의 폭(직경)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3은 (a) 내지 (d)에 있어서, 각각 상이한 실시 형태의 커버 부재의 폭(직경)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상이한 실시 형태의 커버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커버 부재의 제조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6은 점화기 조립체의 축 방향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점화기 본체의 금속제 컵에 씌우는 커버 부재로서, 두께가 얇지만 충분한 강도를 갖고 있으며, 조립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는 커버 부재를 제공하는 것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커버 부재를 사용한 점화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점화기 조립체의 조립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커버 부재는 금속제 컵의 외측에 씌움으로써, 금속제 컵의 외측을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그 때문에 커버 부재는 전기적인 절연 특성을 갖는 재료로 제조할 수 있으며, 각종 수지(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3-161599호 공보의 단락 번호 0020), 고무, 엘라스토머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나일론 66, 나일론 6-12, 불소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커버 부재는 저면부와 주벽부를 갖는 컵상인 것이며, 주벽부에 보강용 리브를 갖고 있다.
커버 부재의 형상 및 내용적은, 금속제 컵에 씌울 수 있는 형상 및 내용적인 것이다.
또한, 커버 부재를 신축성이 있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형성했을 때에는, 커버 부재로서 금속제 컵보다도 작은 것을 사용하여, 금속제 컵에 씌울(끼워 넣을) 때에는 커버 부재를 펴면서 씌우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저면부는 폐색면일 수도 있고, 작은 구멍을 1개 또는 복수개 갖는 것일 수도 있다.
보강용 리브는, 커버 부재의 주벽부의 두께가 부분적으로 두꺼워진 것이며, 커버의 축 방향(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것이다.
보강용 리브의 폭 방향의 단면 형상은 반원형, 삼각형, 사각형, 사다리꼴 등으로 할 수 있다.
보강용 리브의 두께(최대 두께)는, 커버 부재의 주벽부(보강용 리브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두께 1에 대하여 1.05 내지 4배,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5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배의 두께가 바람직하다.
보강용 리브의 두께(최대 두께)는, 예를 들어 폭 방향의 단면 형상이 삼각형인 경우에는, 저변으로부터 정점까지의 두께(주벽부에 상당하는 부분도 포함한 두께)이다.
커버 부재의 주벽부(보강용 리브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두께는 0.1 내지 0.3mm로 할 수 있고, 0.15 내지 0.2mm가 바람직하다.
보강용 리브는, 주벽부의 내표면, 외표면 또는 그의 양쪽에 형성되어 있다.
보강용 리브는 1개 또는 복수개 가질 수 있지만, 보강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복수개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용 리브를 복수개 갖고 있을 때에는 등간격으로 3 내지 8개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4개이다.
또한 보강용 리브는, 복수개의 리브를 1군으로 하여 등간격으로 3 내지 8군,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군,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4군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도 있다.
보강용 리브를 주벽부의 내표면과 외표면 양쪽에 갖고 있을 때에는, 내측과 외측의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고, 상이한 위치에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내표면에 4개의 보강용 리브가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외표면에는 내표면의 4개의 리브의 주위 방향의 중간 위치에 4개의 보강용 리브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보강용 리브는, 커버 부재의 주벽부 중, 저면부에 접하는 위치로부터 개구부까지의 범위 내에 형성되어 있다.
보강용 리브는,
저면부로부터 개구부까지의 전체 범위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
저면부로부터 개구부의 근방까지의 범위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
저면부의 근방으로부터 개구부까지의 범위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
저면부의 근방으로부터 개구부 근방까지의 범위(즉, 양단부측을 제외한 중간 범위)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
으로 할 수 있다.
보강용 리브는 연속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복수개로 분리한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커버 부재가 보강용 리브를 갖고 있음으로써, 축 방향으로부터 또는 반경 방향으로부터 주벽부에 하중이 가해진 경우에도, 주벽부가 변형되기 어려워, 커버 부재의 형상이 유지된다.
그 때문에, 점화기 본체의 금속제 컵에 커버 부재를 끼워 넣을 때의 작업성이 양호해진다.
본 발명의 점화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보강용 리브가 상기 주벽부의 내주면, 외주면 및 양쪽 면으로부터 선택되는 면에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용 리브는, 커버 부재의 내표면, 외표면, 또는 내표면과 외표면 양쪽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보강용 리브가 주벽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커버 부재는, 보강용 리브가 없는 주벽부의 내주면과 금속제 컵 사이에 공기 빼기용의 간극이 형성되기 때문에, 금속제 컵에 대한 끼워 넣기 작업이 용이해지고, 끼워 넣은 후에도 보강용 리브가 금속제 컵의 주벽부를 외측으로부터 가압하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커버 부재가 탈락되기 어려워진다는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보강용 리브가 주벽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커버 부재는, 점화기의 헤더(금속제 컵)의 일부를 수지로 덮은 수지부를 갖는 점화기 조립체로 했을 때, 커버 부재의 보강용 리브의 일부도 수지로 덮이기 때문에(수지에 매설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커버 부재가 주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는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보강용 리브가 주벽부의 내주면과 외주면 양쪽에 형성된 커버 부재는, 상기한 양쪽의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점화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의 저면부가, 중앙부가 내측으로 오목해진 오목부와, 그의 주위의 환상면과, 해당 오목부와 해당 환상면 사이에 있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 부재는, 금형(수형과 암형의 조합)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에 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제조된다.
이때, 커버 부재의 저면부의 중심부에 상당하는 부분에 수지의 사출 게이트가 위치하도록 하여 사출 성형된다.
그리고, 사출 성형 후에 금형으로부터 취출했을 때, 저면부의 중심(사출 게이트에 상당하는 부분)에는, 사출 게이트로부터의 수지의 사출에 의해 작은 돌기가 형성된다.
이 돌기가 그대로이면, 커버 부재를 저면부가 아래가 되도록 대 위에 두었을 때, 돌기에 의해 커버 부재가 기울어지거나 흔들리기 때문에, 끼워 넣기 작업성이 저하된다.
이러한 문제는 돌기를 제거하면 해소되지만, 돌기를 제거하는 작업 자체가 부담이 되어, 작업성을 저하시킨다.
본 발명의 커버 부재의 저면부는 중앙부가 내측으로 오목해진 오목부와, 그의 주위의 환상면과, 오목부와 해당 환상면 사이에 있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 때문에, 오목부에 작은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도, 오목부가 오목해진 상태이며, 주위의 환상면이 높아져 있기 때문에, 커버 부재를 저면부가 아래가 되도록 대 위에 두었을 때에도, 돌기의 존재에 의해 커버 부재가 흔들리거나 기울어지지 않는다. 예를 들어 오목부는 원형으로, 경사면은 환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돌기의 높이는 미리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돌기의 높이와 오목부와 환상면의 고저차를 조정함으로써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즉, 돌기가 있는 커버 부재가 대 위에서 흔들리지 않고, 끼워 넣기 작업을 저하시키지 않는다는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점화기 조립체는, 상기 커버 부재의 외주면의 개구부측의 일부가 수지부로 포위(매설)되어 있는 것으로 함으로써, 커버 부재 자체의 탈락이 방지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화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가 주벽부의 외주면에 보강용 리브를 더 갖고 있는 것이며,
상기 커버 부재의 보강용 리브를 포함하는 외주면의 개구부측의 일부가 수지부로 포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화기 조립체는, 상기 커버 부재로서 주벽부의 외주면에 보강용 리브를 더 갖는 것을 사용했을 때, 상기 보강용 리브의 일부가 수지부로 포위되어 있도록 함으로써, 커버 부재의 탈락 방지 효과와 함께, 커버 부재의 주위 방향으로의 회전 방지 효과도 얻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와 같이 주벽부의 내주면뿐만 아니라 주벽부의 외주면에 보강용 리브를 더 갖는다.
본 발명의 점화기 조립체는, 점화기 본체의 금속제 컵에 커버 부재를 씌운 후에, 수지부를 형성하는 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커버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금속제 컵에 대한 커버 부재의 끼워 넣기 작업이 용이해진다.
점화기 조립체의 수지부는 커버 부재와 동일한 수지를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고, 상이한 수지를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수지부로서, 커버 부재를 형성하는 수지의 융점과 동일 정도의 융점을 갖는 것을 사용하면, 사출 성형하여 커버 부재의 일부가 수지부로 덮이도록 했을 때, 커버 부재와 수지부를 용융 일체화할 수 있기 때문에 결합 강도가 보다 높아진다.
점화기 본체의 금속제 컵을 끼워 넣는 커버 부재로서, 적어도 주벽부의 내주면에 보강용 리브를 갖고 있는 커버 부재를 사용할 때, 금속제 컵의 외주면과 커버 부재의 보강용 리브가 접촉한다.
그 때문에, 적어도 보강용 리브의 주위 방향 양측에는, 금속제 컵과의 사이에 축 방향(커버 부재의 저면부로부터 개구부까지의 범위)으로 연속된 간극이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금속제 컵을 커버 부재에 끼워 넣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간극이 공기 빼기 구멍이 되기 때문에 끼워 넣기 작업이 용이해진다.
금속제 컵을 커버 부재에 끼워 넣을 때, 상기 간극이 없고, 금속제 컵의 외주면의 전체면과 커버 부재의 내주면의 전체면이 접촉한 상태이면, 내부의 공기가 빠지지 않기 때문에 끼워 넣기 작업이 곤란해지고, 커버 부재 자체가 변형될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의 점화기 본체용 컵용의 커버 부재는, 보강용 리브를 갖고 있어 변형되기 어려운 것이기 때문에, 점화기 본체의 금속제 컵 부재에 대한 끼워 넣기 작업성이 양호하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1) 도 1 내지 도 3의 커버 부재
도 1에 도시하는 커버 부재 (10)은, 저면부 (12)와 주벽부 (16)을 갖고 있는 컵상인 것이며, 나일론 6-12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주벽부 (16)의 내주면 (16a)에는, 축 (X) 방향으로 연장된 4개의 보강용 리브 (18)이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4개의 보강용 리브 (18)은, 일단부측은 저면부 (12)로부터 조금 떨어진 위치가 되도록, 타단부측은 개구부 (14)로부터 조금 떨어진 위치가 되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주벽부 (16)은 두께가 0.18mm이며, 보강용 리브 (18)의 최대 두께(주벽부 (16)의 두께를 포함함)는 0.2mm이다.
보강용 리브 (18)의 폭 방향의 단면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하는 삼각형, 도 2(a)에 도시하는 반원형, 도 2(b)에 도시하는 사각형, 도 2(c)에 도시하는 사다리꼴, 도 2(d)에 도시하는 직사각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도 2(a)는, 금속제 컵 (26)을 끼워 넣을 때의 위치 관계를 함께 나타내고 있다.
보강용 리브 (18)은, 주벽부 (16)의 내주면 (16a)와 외주면 (16b)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형성할 수 있다.
도 3(a)(도 2(a)와 동일함)는, 주벽부 (16)의 내주면 (16a)에 4개의 보강용 리브 (18)이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3(b)는, 주벽부 (16)의 외주면 (16b)에 4개의 보강용 리브 (18)이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3(c)는, 주벽부 (16)의 내주면 (16a)와 외주면 (16b)의 양쪽의 동일한 위치에, 각각 4개의 보강용 리브 (18a), (18b)가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3(d)는, 주벽부 (16)의 내주면 (16a)와 외주면 (16b)의 양쪽의 상이한 위치에, 각각 4개의 보강용 리브 (18a), (18b)가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4개의 외측 리브 (18b) 각각은, 내측 리브 (18a)의 중간 위치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실제의 제조에 있어서는, 다수의 커버 부재 (10)을 제조하여, 하나로 합친 상태로 보관 및 운반한다.
이 경우, 좌우에 인접하거나 또는 상하에 적층된 커버 부재 (10)끼리에 의해, 주벽부 (16)이 압박되어 변형되는 경우가 있다.
변형되어도 절연 기능이 손상되지 않으면 사용 가능하지만, 금속제 컵 (26)에 끼우기 어려워져 작업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커버 부재 (10)은 보강용 리브 (18)을 갖고 있음으로써, 커버 부재 (10)에 대하여 하중이 가해졌을 때에도 주벽부 (16)이 변형되는 것이 억제되기 때문에, 작업성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이어서, 도 1에 의해 점화기 본체 (20)의 금속제 컵 (26)에 대한 커버 부재 (10)의 끼워 넣기 작업을 설명한다.
점화기 본체 (20)은 공지된 구조인 것이며, 도전 핀 (22)가 고정된 헤더 (24)에 대하여 금속제의 컵 (26)이 용접 등의 공지된 방법으로 고정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 (14)가 위가 되도록 하여 대 위에 놓인 커버 부재 (10)에 대하여 점화기 본체 (20)의 금속제 컵 (26)을 끼워 넣는다(도 2(a) 참조).
이때, 커버 부재 (10)이 변형되어 있거나 기울어져 있으면, 점화기 본체 (20)의 끼워 넣기 작업이 어려워진다.
그러나, 커버 부재 (10)은 보강용 리브 (18)의 보강 효과에 의해 변형되기 어렵기 때문에, 끼워 넣기 작업성이 손상되지 않는다.
또한, 끼워 넣기 작업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금속제 컵 (26)에 대한 커버 부재 (10)의 고정 강도를 높이는 관점에서, 커버 부재 (10)과 점화기 본체 (20)의 금속제 컵 (26)의 크기를 조정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도 2(a) 내지 (d)에 도시하는 커버 부재 (10)을 사용할 때, 금속제 컵 (26)에 씌우기 전의 상태에서는, 커버 부재 (10)의 정면으로 마주보는 보강용 리브 (18)끼리의 간격(w1), 보강용 리브가 없는 주벽부 (16)의 내경(r1), 금속제 컵 (26)의 외경(D1)의 관계가 r1>D1>w1이 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강용 리브 (18)이 정면으로 마주보는 위치에 없는 경우에는, 보강용 리브 (18)의 내측 단부를 연결하여 형성되는 원의 직경을 w1로 한다.
이러한 관계로 함으로써, 금속제 컵 (26)이 커버 부재 (10)의 보강용 리브 (18)에 대하여 압입되면서 끼워 넣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단,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때에도 금속제 컵 (26)과 보강용 리브 (18)의 접촉 면적이 작은 것과, 주벽부 (16)의 내주면 (16a)와 금속제 컵 (26)이 접촉하고 있지 않은 간극 (19)가 공기 빼기 구멍으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끼워 넣기 작업은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실제로는,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완전한 환상의 간극 (19)가 형성되는 것은 어렵지만, 적어도 보강용 리브 (18) 가까이에는 간극이 형성되기 때문에, 그것이 공기 빼기 구멍으로서 작용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저면부 (12)에도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끼워 넣기 종료 후에는 보강용 리브 (18)과 컵 (26)이 강하게 접촉된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 부재 (10)이 금속제 컵 (26)으로부터 탈락되기 어려워진다.
(2) 도 4의 커버 부재
도 4는 다른 실시 형태의 커버 부재 (110)이며, 도 1의 커버 부재 (10)과는 반대로, 저면부 (112)측을 위로 하여 나타내고, 내부를 알 수 있도록 일부를 잘라낸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커버 부재 (110)은, 저면부 (112)와 주벽부 (116)을 갖고 있는 컵상인 것이다.
주벽부 (116)의 내주면 (116a)에는, 축 (X) 방향으로 연장된 4개의 보강용 리브 (118)이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4개의 보강용 리브 (118)은, 일단부측은 저면부 (112)로부터 조금 떨어진 위치가 되도록, 타단부측은 개구부 (114)로부터 조금 떨어진 위치가 되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저면부 (112)는, 중앙부가 내측으로 오목해진 원형 오목부 (113)과, 그의 주위의 환상면 (114)와, 원형 오목부 (113)과 환상면 (114) 사이에 있는 환상 경사면 (115)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원형 오목부 (113)은, 중심축 (X)와 동심으로 형성되어 있다.
원형 오목부 (113)은 내측으로 오목해진 상태이기 때문에, 환상 경사면 (115)는 환상면 (114)로부터 원형 오목부 (113)측으로 내려가는 경사면이다.
그리고, 원형 오목부 (113)의 중심부에는, 제조 공정에서 유래한 돌기 (117)이 형성되어 있다.
돌기 (117)은, 환상면 (114)의 높이와 원형 오목부 (113)의 높이의 차이보다도 높이가 작기 때문에, 환상면 (114)보다도 낮은 위치에 있다. 즉, 돌기 (117)의 정점은 환상면 (114)보다도 낮은 위치에 있다.
그 때문에, 도 1에 도시하는 커버 부재 (10)과 같이 대 위에 두었을 때에도, 대에는 환상면 (114)만이 접촉되고, 돌기 (117)은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커버 부재 (110)이 흔들리지 않는다.
이어서, 도 5에 의해 도 4의 커버 부재 (110)의 성형 방법을 설명한다.
성형형(금형) (40)은, 상형(암형) (42)와 하형(수형) (44)로 이루어져 있으며, 양쪽 형 (42), (44)를 맞춤으로써 커버 부재 (110)과 일치하는 형상의 공간(수지의 충전 공간)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사출 성형할 때에는, 사출 게이트 (46)으로부터 수지 충전 공간 내에 용융 수지를 사출한다.
그리고, 수지가 굳어진 후, 형을 분리하여 성형품(커버 부재 (110))을 취출한다. 이때, 게이트 (46) 내에 잔존하는 수지가 커버 부재 (110)에 부착된 상태로 남아, 돌기 (117)이 형성된다.
수십만, 수백만 단위의 커버 부재 (110)을 제조할 때, 하나하나 돌기 (117)을 제거하면 작업성이 크게 손상되게 되지만, 커버 부재 (110)의 저면부 (112)를 도 4와 같이 함으로써, 그러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3) 도 6의 점화기 조립체
도 6의 점화기 조립체 (50)은, 도 1에 도시하는 점화기 본체 (20)(번호는 도시하지 않음)과 수지부 (36)을 갖는 것이다.
점화기 본체 (20)은, 다음 각 부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헤더 (24)의 중심부에는 구멍이 있고, 유리 등의 절연체 (30)을 개재시켜 센터 핀(한쪽의 도전 핀) (22a)가 설치되어 있다.
헤더 (24)의 하면 (27)에는, 어스 핀(다른 쪽의 도전 핀) (22b)가 접속되어 있다.
헤더 (24)의 상면 (28)측에는, 센터 핀 (22a)와, 헤더 (24)의 상면 (28)에 가교하도록 브릿지 와이어 (32)가 배치되어 있다.
헤더 (24)의 상면 (28)에는 금속제 컵 (26)이 씌워져 있으며, 내부 공간에는 브릿지 와이어 (32)와 접촉하도록 점화약 (34)가 충전되어 있다.
금속제 컵 (26)의 위로부터 도 1에 도시하는 내측에 4개의 보강용 리브를 갖는 커버 부재 (10)이 씌워져 있다.
점화기 본체 (20)과 일체가 된 수지부 (36)은, 헤더 (24)의 하면 (27), 센터 핀 (22a)와 어스 핀 (22b)의 일부, 나아가 금속제 컵 (26)에 씌워진 커버 부재 (10)의 개구부측을 덮고 있다.
수지부 (36)을 형성하는 수지는, 커버 부재 (10)의 제조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는 수지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단, 커버 부재 (10)의 제조 재료로서 수지를 사용했을 때, 이 수지와 동일한 수지 또는 이 수지와 동일한 정도의 융점을 갖는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커버 부재 (10)의 개구부 (14)측을 용융시켜, 수지부 (36)과 일체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금속제 컵 (26) 및 헤더 (24)를 기밀하게 유지함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도 6에 도시하는 점화기 조립체 (50)으로 하는 것 이외에도,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3-161599호 공보의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점화기 컬러 (2)에 대하여 수지 (3)을 사출 성형하여 얻어지는 점화기 조립체일 수도 있고, 마찬가지로 점화부 (4)에 대하여 본 발명의 커버 부재를 설치할 수 있다.
(4) 점화기 조립체의 조립 방법
도 1에 의해 점화기 조립체 (50)의 조립 방법을 설명한다.
작업대 위에 커버 부재 (10)을 개구부 (14)가 위를 향하도록 놓아둔다.
이 상태로 위로부터 점화기 본체 (20)의 금속제 컵 (26)을 커버 부재 (10)에 끼워 넣는다. 커버 부재 (10)은, 예를 들어 도 2(a) 내지 (d)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것을 사용한다.
금속제 컵 (26)을 커버 부재 (10)에 끼워 넣을 때, 금속제 컵 (26)의 외주면은 커버 부재 (10)의 보강용 리브 (18)에 접촉한다. 그리고, 금속제 컵 (26)의 외주면과 커버 부재 (10)의 내주면(보강용 리브 (18)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면) (16a) 사이에는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간극 (19)가 발생한다.
단, 커버 부재 (10) 자체는 매우 얇은 것이기 때문에, 실제로는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간극 (19)는 되지 않고, 부분적으로는 금속제 컵 (26)의 외주면과 커버 부재 (10)의 내주면(보강용 리브 (18)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면) (16a)가 접촉한 상태가 된다.
그러나, 보강용 리브 (18)의 두께와 커버 부재 (10)의 내주면(보강용 리브 (18)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면) (16a)와의 두께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적어도 보강용 리브 (18)의 주위 방향 양측에는 축 방향으로 연속된 간극이 형성된다.
그 때문에, 금속제 컵 (26)의 외주면과 커버 부재 (10)의 내주면 (16a) 사이에는 축 방향(커버 부재의 저면부로부터 개구부까지의 범위)으로 연속된 간극 (19)가 형성되고, 이 간극 (19)가 공기 빼기 구멍이 되기 때문에, 끼워 넣기 작업이 용이해진다.
점화기 본체 (20)의 금속제 컵 (26)을 커버 부재 (10)에 끼워 넣은 후, 사출 성형법을 적용하여 수지부 (36)을 형성하여, 점화기 조립체 (50)을 얻는다.
커버 부재 (10) 대신에 도 4에 도시하는 커버 부재 (110)을 사용한 경우에도, 조립 방법 및 그에 따라 얻어지는 효과는 커버 부재 (10)을 사용한 경우와 동일하다.
커버 부재 (110)을 사용한 점화기 조립체는, 조립 종료시에는 금속 컵 (26)의 저면(천장면)과 커버 부재 (110)의 환상면 (114) 사이에 환상의 간극이 형성되게 된다.
그러나, 환상의 간극 자체는 매우 작은 것이기 때문에, 예를 들어 에어백용의 가스 발생기에 점화기 조립체를 설치했을 때에도, 다른 부품 사이에서 방해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환상의 간극은, 필요에 따라 압궤할 수도 있다. 또한, 돌기 (117)이 남아 있어도, 점화기 조립체를 제조한 후에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또한 돌기 (117)은, 환상면 (114)로부터 돌출되지 않은 것이면 원형 오목부 (113)이나 환상 경사면 (115)는 각각 원형이나 환상 이외의 형상일 수도 있다. 또한 보강용 리브 (18), (118)은, 커버 부재 (10), (110)의 주벽부 (16), (116)을 보강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기 때문에, 이 기능을 갖는 한, 보강용 리브의 형상이나 사양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이상과 같이 기재하였다. 당연,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그의 범위에 포함하고, 이들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의 일탈이 아니다. 또한 당해 기술 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가 명백하게 본 발명의 변형으로 간주하는 모든 것은, 이하에 기재하는 청구항의 범위에 있다.

Claims (8)

  1. 점화기 본체와 수지부가 일체로 된 점화기 조립체로서,
    해당 점화기 본체가
    도전 핀을 갖는 금속제의 헤더와,
    점화약의 충전 공간을 형성하도록 해당 헤더에 씌워진 금속제 컵과,
    해당 충전 공간에 충전된 점화약과,
    해당 금속제 컵에 씌워진 커버 부재를 갖고 있으며, 해당 커버 부재가 전기적인 절연 특성을 가지며 주벽부의 내주면에 보강용 리브를 갖고 있는 것이고, 해당 보강용 리브가, 주벽부의 두께가 부분적으로 두꺼워진 것이며 커버 부재의 축 방향으로 연장된 것이고,
    해당 점화기 조립체가 적어도 해당 커버 부재의 주벽부의 일부, 헤더 및 해당 도전 핀의 일부가 수지부로 포위되어 있는 것인 점화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가 주벽부의 외주면에 보강용 리브를 더 갖고 있는 것이며,
    상기 커버 부재의 보강용 리브를 포함하는 외주면의 개구부측의 일부가 수지부로 포위되어 있는 점화기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용 리브가 상기 주벽부의 내주면, 외주면 및 양쪽 면으로부터 선택되는 면에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점화기 조립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의 저면부가, 중앙부가 내측으로 오목해진 오목부와, 그의 주위의 환상면과, 해당 오목부와 해당 환상면 사이에 있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것인 점화기 조립체.
  5. 제1항에 기재된 점화기 조립체의 조립 방법으로서,
    상기 커버 부재를 개구부가 위가 되도록 대 위에 놓아두는 공정과,
    상기 커버 부재의 개구부측으로부터 점화기 본체의 금속제 컵을 끼워 넣는 공정과,
    상기 수지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갖고 있으며,
    상기 금속제 컵을 상기 커버 부재에 끼워 넣을 때, 상기 커버 부재의 내주면의 보강용 리브와 금속제 컵의 외주면을 접촉시키면서, 상기 금속제 컵의 외주면과 상기 커버 부재의 내주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상태로 끼워 넣는 점화기 조립체의 조립 방법.
  6. 도전 핀을 갖는 금속제의 헤더와,
    점화약의 충전 공간을 형성하도록 해당 헤더에 씌워진 금속제 컵과,
    해당 충전 공간에 충전된 점화약을 갖고 있는 점화기 본체의 해당 금속제 컵에 씌우기 위한 전기 절연용의 커버 부재로서,
    해당 커버 부재가 저면부와 주벽부를 갖는 컵상인 것이며, 해당 주벽부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보강용 리브를 갖고 있는 것이고, 해당 보강용 리브가, 주벽부의 두께가 부분적으로 두꺼워진 것이며 커버 부재의 축 방향으로 연장된 것인 커버 부재.
  7. 제1항에 있어서, 커버 부재의 주벽부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보강용 리브를 더 갖는 점화기 조립체.
  8. 삭제
KR1020157000439A 2012-07-13 2013-07-04 점화기 조립체와 그의 조립 방법, 및 커버 부재 KR1019417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57619A JP5897417B2 (ja) 2012-07-13 2012-07-13 点火器用のカバー部材
JPJP-P-2012-157619 2012-07-13
PCT/JP2013/068318 WO2014010495A1 (ja) 2012-07-13 2013-07-04 点火器組立体とその組立方法とカバー部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9608A KR20150039608A (ko) 2015-04-10
KR101941741B1 true KR101941741B1 (ko) 2019-01-23

Family

ID=49912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0439A KR101941741B1 (ko) 2012-07-13 2013-07-04 점화기 조립체와 그의 조립 방법, 및 커버 부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35133B2 (ko)
EP (1) EP2873942B1 (ko)
JP (1) JP5897417B2 (ko)
KR (1) KR101941741B1 (ko)
CN (1) CN104428623B (ko)
WO (1) WO20140104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07759B2 (ja) * 2015-02-17 2018-10-17 株式会社ダイセル パイロ式アクチュエータ機構、注射器、及び点火器組立体
WO2017098706A1 (ja) * 2015-12-10 2017-06-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光変換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投射型表示装置
JP6767713B2 (ja) * 2016-09-28 2020-10-14 Smc株式会社 位置検出スイッチ及びその製造方法
JP6706190B2 (ja) * 2016-11-29 2020-06-03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EP4015979A1 (de) * 2019-12-19 2022-06-22 Schott Ag Metall-fixiermaterial-durchführung,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en
CN114799863B (zh) * 2022-04-12 2023-12-19 陕西电器研究所 一种动力装置自动装配控制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5970A (ja) * 2004-07-26 2006-02-09 Daicel Chem Ind Ltd 点火器組立体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373857A (ko) * 1929-09-30
US2987997A (en) * 1958-11-06 1961-06-13 Du Pont Blasting cap
JPS559301A (en) * 1978-07-01 1980-01-23 Nissan Motor Connector for igniter
US4278025A (en) * 1979-02-12 1981-07-14 Mcreynolds Oliver B Seismic explosive charge loader and anchor
US4592280A (en) * 1984-03-29 1986-06-03 General Dynamics, Pomona Division Filter/shield for electro-explosive devices
GB8419461D0 (en) * 1984-07-31 1984-09-05 Secr Defence Booster housing
US5131679A (en) * 1990-12-18 1992-07-21 Trw Inc. Initiator assembly for air bag inflator
DE4229624C2 (de) * 1991-09-05 2000-12-07 Trw Inc Aufblasvorrichtung für eine Fahrzeuginsassen-Rückhaltevorrichtung
DE69701826T2 (de) * 1996-03-06 2000-08-17 Autoliv Asp Inc Selbstzündungssystem
US5932832A (en) * 1996-04-15 1999-08-03 Autoliv Asp, Inc. High pressure resistant initiator with integral metal oxide varistor for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US6311621B1 (en) 1996-11-01 2001-11-06 The Ensign-Bickford Company Shock-resistant electronic circuit assembly
US6079332A (en) 1996-11-01 2000-06-27 The Ensign-Bickford Company Shock-resistant electronic circuit assembly
US5988069A (en) * 1996-11-12 1999-11-23 Universal Propulsion Company, Inc. Electric initiator having a sealing material forming a ceramic to metal seal
US6009809A (en) * 1997-12-12 2000-01-04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Bridgewire initiator
US6073963A (en) * 1998-03-19 2000-06-13 Oea, Inc. Initiator with injection molded insert member
US6295935B1 (en) * 1998-04-27 2001-10-02 Trw Inc. Initiator for air bag inflator
FR2796715B1 (fr) * 1999-07-19 2002-09-13 Giat Ind Sa Initiateur pyrotechnique et procede de montage d'un tel initiateur
US6578487B2 (en) * 2000-12-08 2003-06-17 Special Devices, Inc. Pyrotechnic initiator with a narrowed sleeve retaining a pyrotechnic charge and methods of making same
JP4021178B2 (ja) * 2001-11-21 2007-12-12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イニシエータ組立体
US6820556B1 (en) 2001-11-21 2004-11-23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Initiator assembly
DE10203710C1 (de) * 2002-01-31 2003-02-13 Thomas Magnete Gmbh Pyrotechnischer Aktor
JP4248423B2 (ja) * 2004-03-03 2009-04-02 日本化薬株式会社 ガス発生器
US7721652B2 (en) 2004-03-02 2010-05-25 Nippon Kayaku Kabushiki Kaisha Gas generator
JP2005308339A (ja) * 2004-04-23 2005-11-04 Nippon Kayaku Co Ltd 点火器及びこれを有するガス発生器
US20060017269A1 (en) 2004-07-26 2006-01-26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Igniter assembly
JP4633522B2 (ja) * 2005-04-05 2011-02-16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点火器組立体
US20060260498A1 (en) 2005-04-05 2006-11-23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Igniter assembly
WO2007083663A1 (ja) * 2006-01-18 2007-07-26 Nippon Kayaku Kabushiki Kaisha ガスアクチュエータ用小型ガス発生器及びプリテンショナーシステム
JP4916868B2 (ja) * 2006-12-20 2012-04-18 株式会社ダイセル 電気的な着火を利用する装置の組立方法
WO2008153097A1 (ja) * 2007-06-13 2008-12-18 Nipponkayaku Kabushikikaisha スクイブならびに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装置およびシートベルトプリテンショナー用ガス発生装置
US8100043B1 (en) * 2008-03-28 2012-01-24 Reynolds Systems, Inc. Detonator cartridge and methods of use
US8056477B2 (en) * 2009-06-10 2011-11-15 Autoliv Asp, Inc. Protection system for use with airbag inflators and initiators
US20120192748A1 (en) * 2011-02-02 2012-08-02 Eric Scheid Coupling adapt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5970A (ja) * 2004-07-26 2006-02-09 Daicel Chem Ind Ltd 点火器組立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020617A (ja) 2014-02-03
WO2014010495A1 (ja) 2014-01-16
CN104428623B (zh) 2017-06-09
KR20150039608A (ko) 2015-04-10
JP5897417B2 (ja) 2016-03-30
US20140013981A1 (en) 2014-01-16
EP2873942A1 (en) 2015-05-20
EP2873942A4 (en) 2016-03-02
US9335133B2 (en) 2016-05-10
CN104428623A (zh) 2015-03-18
EP2873942B1 (en) 2018-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1741B1 (ko) 점화기 조립체와 그의 조립 방법, 및 커버 부재
KR101889242B1 (ko) 엔드벨 조립체를 가진 고전류 퓨즈
EP2054974B1 (en) Watertight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7232953B2 (en) Insulation cap and joined electrical wire using the same
KR101544805B1 (ko) 재충전식 배터리용 커넥팅 폴 및 재충전식 배터리 하우징
EP1551082A1 (en) Separabl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10224166B2 (en) High-current fuse with endbell assembly
US6118361A (en) Molded coil a method and a mold for producing the same
JP3020341B2 (ja) 気密端子保護カバー
CN102570699A (zh) 防电弧接线盒
JP2017037904A (ja) 内燃機関用の点火コイル
JP5944279B2 (ja) ホールプラグ
CN113196437A (zh) 具有铆接壳体的烟火装置
KR102013490B1 (ko) 이차전지 조립체의 전극단자 조립방법 및 이의 조립방법으로 조립된 이차전지의 전극단자
US10366848B2 (en) Method for producing electric switchgear and electric switchgear with enhanced seal-tightness
US20120181153A1 (en) Electrical Current Interrupting Device
WO2018100905A1 (ja) ガス発生器の点火器組立体とその製造方法
JP5995120B2 (ja) 蓄電池用蓋の製造方法及び蓄電池の製造方法
CN109969102A (zh) 电连接线缆
US6525445B2 (en) Plane commut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H08312513A (ja) 点火プラグキャップ
US20120118189A1 (en) Igniter assembly
CN117855932A (zh) 电插头装置的密封件、壳体组件、电插头装置和铸造工具
CN117914050A (zh) 用于电机的极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