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0626B1 - 재충전 가능 배터리용 연결 극 및 재충전 가능 배터리 하우징 - Google Patents

재충전 가능 배터리용 연결 극 및 재충전 가능 배터리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0626B1
KR102600626B1 KR1020207014360A KR20207014360A KR102600626B1 KR 102600626 B1 KR102600626 B1 KR 102600626B1 KR 1020207014360 A KR1020207014360 A KR 1020207014360A KR 20207014360 A KR20207014360 A KR 20207014360A KR 102600626 B1 KR102600626 B1 KR 102600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pole
area
pole
projection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4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9267A (ko
Inventor
마틴 비그만
Original Assignee
클라리오스 어드밴스드 솔루션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리오스 어드밴스드 솔루션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클라리오스 어드밴스드 솔루션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00079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9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0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06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4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6Lead-acid 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12Monobloc comprising multiple compart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6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28Fixed electrical connections, i.e. not intended for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61Hollow metallic terminals, e.g. terminal bush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충전 가능 배터리용 연결 극(1)으로서, 상기 연결 극(1)은 극 단자를 상기 연결 극(1)에 고정하기 위한 연결 영역(2); 및 상기 연결 극(1)을 상기 재충전 가능 배터리의 하우징 부분(5)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영역(3)을 포함하는, 상기 재충전 가능 배터리용 연결 극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연결 영역(2)을 향하는 상기 고정 영역(3)의 단부 영역에 원주 방향 돌출부(14)가 제공되고, 상기 돌출부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환형 형상을 갖고,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연결 극(1)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외주부에 톱니부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연결 극(1)이 상기 재충전 가능 배터리의 배터리 커버로 가압되거나 사출 성형될 때 상기 연결 극(1)과 상기 배터리 커버의 재료 사이에 모세관 갭 또는 pm 범위의 갭이 발생하지 않는 상황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톱니부 시스템이 제공된 상기 원주 방향 돌출부(14)와 상기 연결 영역(2) 사이의, 상기 연결 영역(2)을 향하는 상기 고정 영역(3)의 단부 영역에 원주 방향 밀봉 돌출부(19)가 제공되고, 상기 밀봉 돌출부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원형 링 형상의 디자인이다.

Description

재충전 가능 배터리용 연결 극 및 재충전 가능 배터리 하우징
본 발명은 재충전 가능 배터리용 연결 극(connection pole) 및 재충전 가능 배터리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배터리 하우징을 폐쇄하기 위한 플라스틱 배터리 커버로서, 배터리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에서 배터리 하우징을 향하는 하부측 및 대향하는 상부측을 포함하고; 배터리 커버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연결 극을 포함하는, 배터리 커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셀로 분할된 플라스틱 하우징, 이 플라스틱 하우징의 셀 내에 있는 다수의 전극 판, 및 이 셀 내에 전해질을 포함하는 납산 배터리(lead-acid battery)에 관한 것이다.
배터리, 특히 재충전 가능 배터리를 생산할 때 및 이 상황에서, 특히 스타터 배터리를 생산할 때, 누설이 없고 기밀 상태를 유지하는, 예를 들어, 극 연결 및 셀 커넥터를 위해 리드스루(leadthrough)를 형성하는 것은 특정 문제를 야기한다. 이 리드스루는 저렴하고 생산이 간단하며 전해질을 견딜 수 있어야 하는데, 이는 크리핑(creep)에 매우 취약하다. 이를 위해, 리드 부싱(lead bushing)이 일반적으로 극 리드스루로서 배터리 커버 또는 셀 벽으로 가압되거나 또는 몰딩(molded)된다.
금속과 플라스틱의 열 팽창 계수가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견고한 안착이 여기서 보장되어야 한다. 배터리 생산 시 그리고 배터리 생산 동안 산이 존재하는 것으로 인해 여기에 다른 문제가 추가된다.
이전에 사용된 연결 극은 일반적으로 냉간 압연, 금형 주조 또는 사출 성형된 리드 부싱으로 구현된다. 커버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뒤틀림이나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필요한 안전 장치(safeguard)가 돌출부와 미로 형상부(labyrinth)에 의해 제공된다. 동시에, 전해질이 크리핑하는 거리를 연장시키는 것에 의해 밀봉을 개선하는 것은 더 많거나 더 적은 수의 미로 형상 링에 의해 달성된다.
WO 2014/198650 A1은 회전 방지 안전 장치가 더 제공된, 예를 들어 미로 형상 링을 갖는 리드 부싱 형태의 이러한 종류의 극 리드스루를 개시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종래 기술에 알려진 이 극 부싱에서도, 배터리 제조 동안 극 부싱과 배터리 커버 사이에 국지적으로 제한된 범위의 ㎛ 정도의 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없어서, 배터리 제조 동안 산이 이 갭으로 침투하고 세척에 최대 노력을 기울임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갭에 산이 남아 있다. 이것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부식으로 인해 알려진 손상 현상을 야기한다.
이를 위해, 종래 기술에서는 예를 들어 규산염 그리스 또는 역청을 연결 극의 외부 표면에 코팅함으로써 밀봉을 개선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리드 부싱이 부식되는 것을 동시에 방지하는 윤활제 밀봉이 생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유형의 밀봉을 사용하면 리드 부싱을 견고히 안착시키는 능력이 줄어든다. 또한, 이러한 리드 부싱을 처리하는 것은 복잡하고 금형이 오염된다. 코팅의 일부가 분리되는 것으로 인해 주변 재료에 결함, 예를 들어, 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
샌드블라스팅 또는 일부 다른 거칠기 방법에 의해 연결 극 표면을 처리한다 하더라도 지금까지 크게 개선되지는 않았다.
이 문제의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본 목적은, 예를 들어, WO 2014/198650 A1에 알려진 종류의 연결 극에서 시작하여, 이 연결 극을 배터리 커버로 가압하거나 또는 몰딩하는 것에 의해, 연결 극과 배터리 커버 재료 사이에, 산 또는 전해질이 모이거나 산 또는 전해질이 통과할 수 있는 모세관 갭 또는 ㎛ 범위의 갭을 생성하지 않아서, 윤활제 밀봉을 사용하지 않고도 이러한 방법으로 연결 극이 부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연결 극을 개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응하는 플라스틱 배터리 커버 또는 대응하는 배터리 하우징뿐만 아니라 납산 축전지를 제시하는 것이다.
연결 극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목적은 독립 특허 청구항 1의 주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 극에 대한 유리한 개선은 종속 특허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7에 제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히 재충전 가능 배터리용 연결 극으로서, 상기 연결 극은 극 단자를 상기 연결 극에 고정하기 위한 연결 영역, 및 상기 연결 극을 상기 재충전 가능 배터리의 하우징 부분(housing part)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재충전 가능 배터리용 연결 극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연결 영역"이라는 용어는, 연결 극이 설치된 상태에서, 즉, 연결 극이 재충전 가능 배터리의 배터리 커버 또는 하우징 부분으로 가압되거나 몰딩될 때, 극 단자를 부착하기 위해 대응하여 외부에 노출된 연결 극의 영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대조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고정 영역"이라는 용어는 연결 극이 설치된 상태에서 재충전 가능 배터리의 하우징 부분의 재료로 가압되거나 또는 몰딩되는 연결 극의 영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WO 2014/198650 A1에 알려진 연결 극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결 극은, 이의 고정 영역에, 실질적으로 환형 형상을 갖고 외주부(outer circumference)에 톱니부 시스템(tooth system)이 제공된 원주 방향 돌출부(circumferential projection)로 형성된 대응하는 회전 방지 안전 장치를 포함한다. 이 회전 방지 안전 장치(토크 링)는 연결 극의 연결 영역을 향하는 고정 영역의 단부 영역에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 극은 특히, 설치된 상태에서, 즉, 연결 극이 재충전 가능 배터리의 하우징 부분의 대응하는 극 리드스루로 가압되거나 또는 몰딩될 때, 연결 극의 구성 요소와 하우징 부분 재료 사이에, 산 또는 전해질이 모이거나 산 또는 전해질이 빠져나갈 수 있는 모세관 갭 또는 ㎛ 범위의 다른 갭이 남아 있거나 발생하지 않아서, 다른 밀봉 수단이 없이도 재충전 가능 배터리의 하우징 부분과 연결 극 사이에 누설 없는 밀봉을 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연결 극의 경우에, 상기 연결 영역을 향하는 상기 고정 영역의 단부 영역에는, 보다 구체적으로 회전 방지 안전 장치 사이에는, 즉, 톱니부 시스템이 제공된 원주 방향 돌출부와 연결 영역 사이에는, 다른 원주 방향 밀봉 돌출부가 제공되고, 상기 다른 돌출부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원형 링 형상 디자인이고 밀봉 돌출부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회전 방지 보호 장치 위에, 즉, 회전 방지 보호 장치와 연결 극의 연결 영역 사이의 영역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원형 링 형상 디자인의 원주 방향 밀봉 돌출부를 제공하는 것을 통해, 연결 극의 구성 요소와 하우징 부분 재료 사이에 모세관 갭 또는 ㎛ 범위의 다른 갭이 남아 있거나 발생하지 않는 것을 보장하는 목적이 실현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종류의 밀봉 돌출부를 제공하면 연결 극의 구성 요소와 재충전 가능 배터리 하우징 부분의 재료 사이에 모세관 갭 또는 다른 갭이 형성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 극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회전 방지 안전 장치와 연결 극의 연결 영역 사이에 제공되는 밀봉 돌출부는 톱니부 시스템 없이 형성된 외주 방향 표면, 특히 원형 링 형상 원주 방향 표면을 갖는 것으로 고려된다. 이 조치에 의해,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연결 극이 재충전 가능 배터리의 하우징 부분에 고정된 상태에서, 즉, 연결 극이 대응하는 극 리드스루에서 하우징 부분으로 가압되거나 몰딩될 때, 밀봉 돌출부는 하우징 부분의 재료, 특히 플라스틱 재료로 완전히 덮이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이것은 또한 연결 극의 연결 영역을 향하는 원형 링 형상 돌출부의 상부 원형 링 표면에도 적용된다. 연결 극이 재충전 가능 배터리의 하우징 부분으로 가압되거나 또는 몰딩될 때 원형 링 형상 돌출부의 상부 원형 링 표면이 또한 하우징 부분의 재료, 특히 플라스틱 재료에 의해 완전히 덮이는 것에 의해, 전해질 또는 산이 남아 있거나 전해질이 빠져나갈 수 있는 갭 영역 또는 모세관 갭이 형성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언급된 실시형태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밀봉 돌출부의 상부 원형 링 표면은 연결 영역과 고정 영역 사이의 단면 평면(section plane) 내에 또는 아래에 있는 평면에 위치되고, 서두에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연결 영역은 연결 극이 재충전 가능 배터리의 하우징 부분에 연결된 상태에서 하우징 부분에 대해 노출되는 연결 극의 영역을 규정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 극의 제1 대안에 따르면, 밀봉 돌출부는 톱니부 시스템이 제공된 원주 방향 돌출부(회전 방지 안전 장치)의 상부 원형 링 표면이 놓이는 평면에 대응하는 평면에 있는 연결 영역과는 반대쪽을 향하는 하부 원형 링 표면을 갖는 것으로 고려된다.
그러나, 밀봉 돌출부의 하부 원형 링 표면이 톱니부 시스템이 제공된 원주 방향 돌출부의 상부 원형 링 표면이 놓이는 평면과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연장되는 평면에 놓여 있는 경우, 연결 극과 재충전 가능 배터리의 하우징 부분 사이에 보다 효과적인 밀봉이 달성될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톱니부 시스템이 제공된 원주 방향 돌출부(회전 방지 안전 장치)와 밀봉 돌출부 사이에 원형 링 형상 언더컷 영역이 제공되는 것이 특히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 극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언더컷 영역은 연결 극의 길이 방향으로 볼 때, 0.1㎜ 내지 0.8㎜의 길이,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7㎜의 길이,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5㎜의 길이를 가진다.
크리핑에 매우 취약한 전해질과 관련하여 훨씬 더 나은 결과를 얻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연결 극의 실시형태에 따라, 밀봉 돌출부는 톱니부 시스템이 제공된 원주 방향 돌출부(회전 방지 안전 장치)의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경사진 원주 방향 표면을 갖는 것으로 고려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 극의 회전 방지 안전 장치와 관련하여, 원주 방향 돌출부의 톱니부 시스템은 돌출부의 원주 방향으로 볼 때 바람직하게는 규칙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영역이 형성되는 톱니부를 갖는 것으로 고려된다. 이런 상황에서,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연결 극의 반경 방향으로 볼 때, 톱니부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영역은 적어도 밀봉 돌출부만큼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밀봉 돌출부보다 더 돌출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톱니부의 각각 2개의 인접한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영역들 사이에는 톱니부의 홈 형상 영역이 있으며, 상기 영역은 연결 극의 반경 방향으로 볼 때 톱니부의 돌출 영역보다 덜 돌출한다. 톱니부의 이러한 홈 형상 영역과 관련하여, 원형 돌출부는 바람직하게는 톱니부의 각각의 홈 영역보다 더 돌출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 극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연결 극은 고정 영역에 미로 영역을 갖는데, 바람직하게는 연결 영역의 반대쪽에 놓이는 고정 영역의 단부 영역에 미로 영역을 갖고, 연결 극의 외벽은 이 미로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원주 방향 돌출부를 갖는다. 이 경우, 연결 극의 외벽의 원주는 원주 방향 돌출부가 제공되지 않은 미로 영역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서 연결 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증가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에 의해 연결 영역에 근접하여, 즉, 미로 영역의 상부 영역에서 연결 극의 외주부를 더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의해 이 영역에서 연결 극에 필요한 재료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원주 방향 돌출부가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배열되지 않은 벽 영역은 원주 방향 돌출부가 제공되지 않은 미로 영역의 영역에서 연결 극의 외벽의 원주인 것으로 고려된다. 그 결과, 이들 벽 영역은 원주 방향 돌출부로 전이하는 부분이 제공되지 않는 외벽의 벽 영역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마지막으로 언급된 실시형태에서, 연결 극의 하부 단부로부터 시작하여 외주부는 연결 영역을 향해 가면서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원주 방향 돌출부 외부의 미로 영역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서 연결 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결 극의 외벽을 원추형으로 확대시키는 것을 고려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연결 극의 외주부는 적어도 하나의 원주 방향 돌출부 외부의 미로 영역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서 연결 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대략 선형 방식으로 확대된다.
언급한 바와 같이, 연결 극의 이 실시형태에 의해 미로 영역의 상부 영역에서 재료의 절약을 유리하게 달성할 수 있다. 동시에, 연결 극의 충분한 기계적 안정성이 추가로 보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납으로 생산되는 연결 극의 재료를 절약하면 연결 극의 중량이 상당히 줄어들어 연결 극이 제공된 재충전 가능 배터리 하우징의 중량도 또한 상당히 줄어들 수 있다. 재료의 절약은 또한 비용의 절약과 유리하게 관련된다.
연결 극의 외벽은 유리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원주 방향 돌출부 또는 원주 방향 돌출부들이 배열되지 않은 영역에서 원추형으로 연장되거나 또는 하나의 시트의 쌍곡선 형태로 연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 극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미로 영역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원주 방향 돌출부는 또한 직경이 감소된다. 이에 의해 재료 및 중량의 추가 절약이 얻어진다. 또한 복수의 원주 방향 돌출부가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유리한 개선에 따르면, 연결 극의 외벽의 원주는 원주 방향 돌출부가 제공되지 않은 영역의 전체 미로 영역에서 연결 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이에 의해 재료의 절약 및 그에 따른 중량의 절약을 최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개선에 따르면, 미로 영역은 고정 구획보다 연결 극의 길이 방향으로 더 짧은 범위를 갖는다. 이것은 미로 영역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고정 구획에 다른 요소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미로 영역의 적어도 하나의 원주 방향 돌출부는 상이한 프로파일로 구현될 수 있다. 원주 방향 돌출부의 기본 형상으로는 링형 형상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개선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원주 방향 돌출부는 후크 형상 프로파일을 갖는다. 프로파일의 후크 형상 영역은 예를 들어 전술한 기본 형상에 따라 링 방식으로 형성된 돌출부의 외부에 이어질 수 있다. 후크 형상 프로파일은 효과적인 방식으로 연결 극의 재료와 주변 하우징의 플라스틱 사이에 미로를 형성한 부분을 지지한다. 이에 의해, 미로의 밀봉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개선에 따르면, 연결 극은 내부가 중공이다. 연결 극의 내벽의 원주는 미로 영역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역에서 연결 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증가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개선에서, 원주에 대해 증가하는 내벽의 영역은 원주에 대해 증가하는 외벽의 영역과 겹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개선에 따르면, 연결 극의 내벽 및 외벽은 적어도 일부 구획 또는 구획들에서 그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이에 의해, 적어도 일부 구획 또는 구획들에서, 연결 극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벽 두께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전체적으로 연결 극은 재료의 절약 및 중량과 관련하여 더 최적화될 수 있다. 이 개선은 예를 들어, 연결 극의 길이 방향 축에 대해 내벽의 원추형 영역이 이루는 각도가 연결 극의 길이 방향 축에 대해 외벽의 원추형 구획이 이루는 각도와 실질적으로 같은 경우,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개선에 따르면, 내벽의 원주가 증가하는 제1 영역은 외벽의 원주가 증가하는 영역을 넘어서 연결 극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하지 않는 것으로 고려된다. 특히, 내벽의 원주가 증가하는 제1 영역이 연결 영역까지 연장되는 것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개선에 따르면, 내벽의 원주가 증가하는 제1 영역은 외벽의 원주가 증가하는 영역을 넘어서 연결 극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이것은 내벽의 구획을 다른 특수 형상으로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개선에 따르면, 연결 극은 내부가 중공이고, 연결 극의 내벽의 원주는 연결 영역에서 미로 영역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개선에 따르면, 내벽 및/또는 외벽의 원주는 단조 선형으로 또는 아치형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따라서 원주의 증가는 선형 윤곽으로 이루어져서, 그 결과 내벽 및/또는 외벽이 적어도 일부 구획 또는 구획들에서 원추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유리하게는 예를 들어 쌍곡선 형상을 갖는 아치형 윤곽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유리하게는 내벽 및/또는 외벽에서 연결 극에 원추형 구획과 아치형 구획을 결합하여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연결 극은 회전 대칭 설계일 수 있다. 이 경우에, 내벽 또는 외벽의 원주에 관한 전술한 설명은 각각의 직경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개선에 따르면, 연결 극의 내벽은 미로 영역의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역에서 연결 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원추형으로 확대된다. 제2 영역에서, 내벽은 제1 영역에서보다 연결 극의 길이 방향 축에 대해 더 큰 각도를 이룬다. 이러한 원추 각도를 단계적 확대하면 재충전 가능 배터리를 조립하는 동안 점진적인 센터링 효과에 의해 연결 극의 내부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연결 극의 내부 중공 영역은 연결 핀을 수용하기 위해 제공되고, 이 연결 핀은 연결 극을 통해 연결 구획의 내부로 연장된다. 연결 핀은 재충전 가능 배터리 내부의 전극 판 세트에 연결된다. 재충전 가능 배터리를 생산하는 것과 관련하여, 하우징 하부 부분에는 연결 핀이 이미 장착된 전극 판 세트가 먼저 제공된다.
사출 성형에 의해 연결 극이 몰딩된 재충전 가능 배터리의 커버는 이후 하우징 하부 부분 상에 배치된다. 이 경우, 연결 핀에 대해 연결 극을 간단하고 신속히 센터링하는 목적은 재충전 가능 배터리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기 위함이다. 원추형 내부 구획은 이 센터링을 단순화한다.
다른 장점은 환경에 대한 사출 성형 화합물의 내부 밀봉을 위한 하부 맨드릴(lower mandrel)이 재충전 가능 배터리의 커버를 생산하는 동안 제2 원추형 영역에 신속히 위치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유리한 개선에 따르면, 제2 영역은 연결 영역과는 반대쪽을 향하는 제1 구획 측에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개선에 따르면, 연결 극의 내벽의 원주는 연결 영역과는 반대쪽을 향하는 연결 극의 단부에서 불연속적으로 변한다. 이러한 불연속성은 내부 직경이 급격히 변하게 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에 대해 확대된 직경을 갖는 연결 극의 환형 단부 구획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리한 재충전 가능 배터리 하우징 또는 이의 부분은 전술한 유형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 극을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연결 극의 고정 구획은 유리하게는 사출 성형에 의해 재충전 가능 배터리 하우징 부분에 매립된다. 재충전 가능 배터리 하우징 부분은 예를 들어 재충전 가능 배터리의 커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 극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도 1a 및 도 1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연결 극의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연결 극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연결 극을 통한 길이방향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연결 극의 변형예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연결 극의 변형예를 통한 길이방향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 극의 제2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은 제2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연결 극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그리고
도 8은 제2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연결 극을 통한 길이방향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면에서, 대응하는 요소 및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 극(1)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a 및 도 1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연결 극(1)의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여기서 연결 극은 도 2에 다시 한번 측면도로 개략적으로 도시되고, 도 3에 길이방향 단면도로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 4는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연결 극(1)의 변형예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변형된 실시형태는 다시 한번 도 5에 길이방향 단면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연결 극(1)은 연결 영역(2) 및 고정 영역(3)을 갖는다. 또한, 미로 영역(4)이 제공된다.
연결 영역(2)의 외부에서 연결 극(1)은 외벽(18) 및 상부 단부 표면(16)을 갖는다. 연결 영역(2)에 인접한 고정 영역(3)에서 연결 극(1)의 외부에는 원주 방향 돌출부(14)가 배열되고, 이 원주 방향 돌출부는 기본적으로 대략 링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회전 방지 안전 장치로서 기능한다. 이를 위해, 원주 방향 돌출부(14)는 외주부 상에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톱니부 시스템을 갖는다. 원주 방향 돌출부(14)(회전 방지 안전 장치)에 인접한 연결 극(1)의 외부에는 외벽(6)이 있고, 상기 외벽은 미로 영역(4)에 배열된다. 외벽(6)은 각각 후크 형상 프로파일을 갖는 원주 방향 돌출부(7, 8)에 의해 차단된다. 톱니부 시스템과 별도로, 연결 극(1)은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회전 대칭 구성 요소로서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극(1)의 좌측 영역에서, 도 2는 사출 성형에 의해 연결 극(1)에 몰딩된 재충전 가능 배터리 하우징 부분(5)의 세그먼트를 도시한다. 명백한 바와 같이, 연결 극(1)은 고정 영역(3)에서 외부 하우징 부분(5)의 재료에 매립된다. 원주 방향 돌출부(7, 8, 14)는 환경에 대하여 재충전 가능 배터리의 내부가 양호하게 밀봉되는 것을 보장하는 미로를 형성한다.
연결 극(1)은 중공 디자인이다. 연결 극(1)에 형성된 공동(17) 내에서, 내벽(9)의 구획은 연결 극(1)의 길이 방향 축(L)에 대해 내벽(9)의 상이한 각도로 원추형으로 연장된다. 미로 영역(4)에는, 원추형으로 연장되는 내벽(9)의 제1 영역(10) 및 제2 영역(11)이 도시되어 있다. 제2 영역(11)에는 연결 영역(2)으로부터 연결 극(1)의 반대쪽에 있는 제1 영역(10)이 인접해 있다. 상부 단부 표면(16)으로부터 미로 영역으로 연장되는, 내벽(9)의 다른 원추형으로 연장되는 영역(15)은 제1 영역(10)의 타측에 제공된다.
제2 영역(11)에 인접한 공동(17)에는 대략 환형 영역(13)이 있다. 이 경우, 참조 부호 "12"로 표시된 위치에서 공동(17)의 직경이 갑자기 확대된다.
회전 방지 안전 장치로서 기능하는 원주 방향 돌출부(14)는 대응하여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영역(21)(톱니부)으로 형성된 외부 톱니부 시스템을 갖는다. 홈 형상 영역(22)은 톱니부의 각각의 2개의 인접한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영역(21)(톱니부) 사이에 위치된다.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영역(21) 및 홈 형상 영역(22)으로 형성된 톱니부는 재충전 가능 배터리 하우징 부분(5)의 플라스틱 재료에 연결 극(1)의 회전 방지 안전 장치를 제공한다.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연결 극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다수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영역(21)(톱니부)이 연결 극(1)의 원주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된 방식으로 배열되는 것으로 제공된다. 이런 상황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영역(21)에 비대칭 톱니부 측면(tooth flank)이 제공되는 것이 유리하다. 도 1a 및 도 1b에 사시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영역(21)의 제1 톱니부 측면은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영역(21)에 속하는 제2 톱니부 측면보다 원주 방향 돌출부(14)의 외주부에 대해 더 작은 각도를 갖는다. 더 작은 각도로 형성된 톱니부 측면은 집게형 금형(jaw-type mold)에 의해 연결 극(1)을 생산하는 가능성을 만든다. 그러나, 금형을 분리하는 동안, 분리 방향으로 언더컷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집게부가 연결 극(1)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연결 극(1)의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뿐만 아니라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변형된 실시형태는 특히, 연결 극(1)의 연결 영역(2)을 향하는 고정 영역(3)의 단부 영역에서, 톱니부 시스템이 제공되고 회전 방지 안전 장치로서 기능하는 원주 방향 돌출부(14)와 연결 영역(2) 사이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원형 링 형상의 디자인인 다른 원주 방향 돌출부(19)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다른 원주 방향 돌출부(19)는, 연결 극(1)과 재충전 가능 배터리의 하우징 부분의 재료 사이에 산이 잔류할 수 있는 갭이 형성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특히 또한 매우 효과적으로 누설 없이 밀봉하는데 사용된다.
도 2의 도면으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밀봉 돌출부(19)는, 연결 극(1)이 재충전 가능 배터리의 하우징 부분(5)에 고정된 상태에서, 전체 영역에 걸쳐 하우징 부분(5)의 재료, 특히 플라스틱 재료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덮이도록 배열되고 구현된다. 이런 상황에서 "전체 영역에 걸쳐 덮이는" 것이란 특히 연결 극(1)의 연결 영역(2)을 향하는 밀봉 돌출부(19)의 상부 원형 링 표면이 또한 하우징 부분(5)의 재료, 특히 플라스틱 재료에 의해서 덮인 것을 의미한다. 이런 정도로, 원형 링 형상 밀봉 돌출부(19)의 상부 원형 링 표면은 연결 영역(2)과 고정 영역(3) 사이의 단면 평면 내에 또는 아래에 있는 평면에 위치되고, 여기서 연결 영역(2)은 연결 극(1)이 재충전 가능 배터리의 하우징 부분(5)에 연결된 상태에서 하우징 부분(5)에 대해 노출되는 연결 극(1)의 영역을 규정한다.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연결 극(1)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원형 링 형상 밀봉 돌출부는 특히 원형 링 형상인 외주면을 갖고, 이 외주면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 극(1)의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밀봉 돌출부(19)가 신뢰성 있는 밀봉 기능만을 갖고 회전 방지 안전 기능은 갖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톱니부 시스템 없이 형성된다.
더욱이 톱니부 시스템(회전 방지 안전 장치)이 제공된 원주 방향 돌출부(14)는 원형 링 형상 밀봉 돌출부(19)의 상부 원형 링 표면이 놓이는 평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평면에 있는 밀봉 돌출부(19)를 향하는 상부 원형 링 표면을 갖는 것을 도면으로부터 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 극(1)의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도 1 내지 도 5에 따른 도면에서 변형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링 형상 밀봉 돌출부(19)는, 연결 극(1)의 연결 영역(2)을 향하고, 톱니부 시스템이 제공된 원주 방향 돌출부(14)의 상부 원형 링 표면이 놓이는 평면과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연장되는 평면에 놓여 있는 하부 원형 링 표면을 갖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형 링 형상 밀봉 돌출부(19)는 톱니부 시스템이 제공된 원주 방향 돌출부(14)에 직접 접한다. 다시 말해, 밀봉 돌출부(19)와 돌출부(14) 사이에는 더 이상 다른 돌출부가 제공되지 않는다.
특히, 도 2, 도 3, 도 4 및 도 5의 도면으로부터 원형 링 형상 언더컷 영역(21)이 밀봉 돌출부(19)와 돌출부(14) 사이에 제공되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연결 극(1)의 반경 방향으로 볼 때 원형 밀봉 돌출부(19)가 돌출부(14)의 톱니부의 각각의 홈 형상 영역(22)보다 더 돌출할 때 누설 없는 밀봉이 효과적인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원형 링 형상 밀봉 돌출부(19)가 또한 돌출부(14)의 톱니부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영역보다 반경 방향으로 더 돌출할 필요도 없다.
도시된 연결 극(1)에 대해 도 3에 입력된 직경 및 길이의 바람직한 치수는 다음과 같다:
D1: 21㎜ 내지 22㎜ L1: 18.35㎜ 내지 20.35㎜ L4: 0.2㎜ 내지 0.4㎜
D2: 20㎜ 내지 22㎜ L2: 15.85 ㎜내지 17.58㎜ L5: 0.4㎜ 내지 2.4㎜
D3: 19㎜ 내지 21㎜ L3: 0.7㎜ 내지 0.9㎜ L6: 1.5㎜ 내지 3.5㎜
도시된 연결 극(1)에 대해 도 5에 입력된 직경 및 길이의 바람직한 치수는 다음과 같다:
D1: 21㎜ 내지 22㎜ L1: 18.35㎜ 내지 20.35㎜ L4: 0.2㎜ 내지 0.4㎜
D2: 19㎜ 내지 21㎜ L2: 15.85㎜ 내지 17.58㎜ L5: 0.4㎜ 내지 2.4㎜
D3: 18㎜ 내지 20㎜ L3: 0.7㎜ 내지 0.9㎜ L6: 1.5㎜ 내지 3.5㎜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 극(1)의 제2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상기 제2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도 7에 측면도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다시 한번 도 8에 길이방향 단면도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구조적으로 그리고 기능적으로, 연결 극(1)은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연결 극에 실질적으로 대응하고, 그에 따라 불필요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이들 두 실시형태들 사이의 차이점만이 아래에서 설명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연결 극(1)의 경우,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와 달리, 원형 링 형상 밀봉 돌출부(19)는 톱니부 시스템이 제공된 원주 방향 돌출부(14)의 상부 원형 링 표면이 놓이는 평면에 대응하는 평면에 놓여 있는 연결 영역(2)과는 반대쪽을 향하는 하부 원형 링 표면을 갖는 것으로 고려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연결 극(1)의 제2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회전 방지 안전 장치로 기능하는 돌출부(14)와 밀봉 돌출부(19) 사이에는 언더컷이 제공되지 않는다.
도시된 연결 극(1)에 대해 도 8에 입력된 직경 및 길이의 바람직한 치수는 다음과 같다:
D1: 22㎜ 내지 24㎜ L1: 18.35㎜ 내지 20.35㎜ L3: 0.4㎜ 내지 0.6㎜
D2: 19㎜ 내지 21㎜ L2: 15.85㎜ 내지 17.58㎜ L6: 1.5㎜ 내지 3.5㎜
연결 극(1)의 전술한 실시형태는 각각 길이 방향으로 선형 프로파일, 즉, 대응하는 원추형 구획 또는 영역을 갖는다. 그러나, 고정 영역(3)의 내벽(9) 및 외벽(6)이 아치형 형상으로 선택된 연결 극(1)의 실시형태가 이 상황에서 또한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로 제한되지 않고 본 명세서에 개시된 모든 특징의 조합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1: 연결 극
2: 연결 영역
3: 고정 영역
4: 미로 영역
5: 재충전 가능 배터리의 하우징 부분
6: 고정 영역의 연결 극의 외벽
7: 원주 방향 돌출부(미로 영역)
8: 원주 방향 돌출부(미로 영역)
9: 연결 극의 내벽
10: 미로 영역의 내벽의 제1 구획
11: 미로 영역의 내벽의 제2 구획
12: 위치
13: 공동의 하부 단부 영역의 환형 영역
14: 돌출부/회전 방지 안전 장치
15: 내벽의 제3 구획
16: 상부 연결 표면
17: 공동
18: 연결 영역의 연결 극의 외벽
19: 밀봉 돌출부
20: 언더컷
21: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영역/톱니부
22: 홈 형상 영역
L: 연결 극의 길이 방향 축
L1 내지 L6: 지시된 영역의 길이
D1 내지 D3: 지시된 영역의 직경

Claims (29)

  1. 재충전 가능 배터리용 연결 극(connection pole)(1)으로서, 상기 연결 극(1)은,
    - 극 단자를 상기 연결 극(1)에 고정하기 위한 연결 영역(2); 및
    - 상기 연결 극(1)을 상기 재충전 가능 배터리의 하우징 부분(5)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영역(3)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영역(2)을 향하는 상기 고정 영역(3)의 단부 영역에 원주 방향 돌출부(14)가 제공되고, 상기 돌출부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환형 형상을 갖고,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연결 극(1)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외주부에 톱니부 시스템이 제공되되,
    상기 톱니부 시스템이 제공된 상기 원주 방향 돌출부(14)와 상기 연결 영역(2) 사이의, 상기 연결 영역(2)을 향하는 상기 고정 영역(3)의 단부 영역에는 원주 방향 밀봉 돌출부(19)가 제공되고, 상기 밀봉 돌출부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원형 링 형상의 디자인이고,
    상기 밀봉 돌출부(19)는, 상기 연결 극(1)이 상기 재충전 가능 배터리의 상기 하우징 부분(5)에 고정된 상태에서, 전체 영역에 걸쳐 상기 하우징 부분(5)의 재료에 의해 덮이고 상기 연결 영역(2)을 향하는 상부 원형 링 표면을 갖고,
    상기 밀봉 돌출부(19)는 상기 톱니부 시스템이 제공된 상기 원주 방향 돌출부(14)의 상부 원형 링 표면이 놓이는 평면과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연장되는 평면에 있는 상기 연결 영역(2)과는 반대쪽을 향하는 하부 원형 링 표면을 갖고, 상기 톱니부 시스템이 제공된 상기 원주 방향 돌출부(14)와 상기 밀봉 돌출부(19) 사이에는 원형 링 형상의 언더컷 영역(20)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극(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돌출부(19)는 톱니부 시스템 없이 형성된 외주면을 갖는, 연결 극(1).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돌출부(19)의 상기 상부 원형 링 표면은 상기 연결 영역(2)과 상기 고정 영역(3) 사이의 단면 평면 내에 또는 아래에 있는 평면에 위치되고, 상기 연결 영역(2)은 상기 연결 극(1)이 상기 재충전 가능 배터리의 상기 하우징 부분(5)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 부분(5)에 대해 노출되는 상기 연결 극(1)의 영역을 규정하는, 연결 극(1).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부 시스템이 제공된 상기 원주 방향 돌출부(14)는 상기 밀봉 돌출부(19)의 상기 상부 원형 링 표면이 놓이는 평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평면에 있는 상기 밀봉 돌출부(19)를 향하는 상부 원형 링 표면을 갖는, 연결 극(1).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돌출부(19)는 상기 톱니부 시스템이 제공된 상기 원주 방향 돌출부(14)의 상부 원형 링 표면이 놓이는 평면에 대응하는 평면에 있는 상기 연결 영역(2)과는 반대쪽을 향하는 하부 원형 링 표면을 갖는, 연결 극(1).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컷 영역(20)은, 상기 연결 극(1)의 길이 방향(L)으로 볼 때, 0.1㎜ 내지 0.8㎜의 길이를 갖는, 연결 극(1).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돌출부(19)는 상기 톱니부 시스템이 제공된 상기 원주 방향 돌출부(14)에 직접 인접한, 연결 극(1).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돌출부(19)는 상기 톱니부 시스템이 제공된 상기 원주 방향 돌출부(14)의 방향으로 경사진 원주 방향 표면을 갖는, 연결 극(1).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 방향 돌출부(14)의 상기 톱니부 시스템은 상기 돌출부(14)의 원주 방향으로 볼 때 규칙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영역(21)이 형성된 톱니부를 갖는, 연결 극(1).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부의 상기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영역(21)은 상기 연결 극(1)의 반경 방향으로 볼 때 적어도 상기 밀봉 돌출부(19)만큼 또는 상기 밀봉 돌출부(19)보다 더 돌출하는, 연결 극(1).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부의 각각의 2개의 인접한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영역(21) 사이에는 상기 톱니부의 홈 형상 영역(22)이 있고, 상기 영역은 상기 연결 극(1)의 반경 방향으로 볼 때 상기 톱니부의 돌출 영역(21)보다 덜 돌출하고, 상기 밀봉 돌출부(19)는 상기 톱니부의 각각의 홈 형상 영역(22)보다 더 돌출하는, 연결 극(1).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극(1)의 길이 방향(L)으로 볼 때 각 경우에 상기 톱니부 시스템이 제공된 상기 원주 방향 돌출부(14)는 제1 길이를 갖고 상기 밀봉 돌출부(19)는 제2 길이를 갖고, 상기 제1 길이는 상기 제2 길이보다 더 큰, 연결 극(1).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길이는 0.5㎜ 내지 4.0㎜ 범위인, 연결 극(1).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극(1)의 상기 고정 영역(3)에는 미로 영역(4)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 극(1)의 외벽(6)은 상기 미로 영역(4)에 적어도 하나의 원주 방향 돌출부(7, 8)를 갖는, 연결 극(1).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극(1)의 상기 외벽(6)의 원주는 원주 방향 돌출부(7, 8)가 제공되지 않은 상기 미로 영역(4)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서 상기 연결 영역(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증가하는, 연결 극(1).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미로 영역(4)은 상기 고정 영역(3)보다 상기 연결 극(1)의 길이 방향(L)으로 더 짧은 범위를 갖는, 연결 극(1).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미로 영역(4)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원주 방향 돌출부(7, 8)는 후크 형상 프로파일을 갖는, 연결 극(1).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극(1)은 내부가 중공이고, 상기 연결 극(1)의 내벽(9)의 원주는 상기 미로 영역(4)의 적어도 하나의 제1 구획(10)에서 상기 연결 영역(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증가하는, 연결 극(1).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극(1)의 상기 내벽(9)과 상기 외벽(6)은 적어도 일부 영역 또는 영역들에서 길이 방향(L)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연결 극(1).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9)의 원주가 증가하는 상기 제1 구획(10)은 상기 외벽(6)의 원주가 증가하는 상기 구획(10)을 넘어 상기 연결 극(1)의 길이 방향(L)으로 돌출하지 않는, 연결 극(1).
  24.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9)의 원주가 증가하는 상기 제1 구획(10)은 상기 외벽(6)의 원주가 증가하는 상기 구획(10)을 넘어 상기 연결 극(1)의 길이 방향(L)으로 돌출하는, 연결 극(1).
  25.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극(1)은 내부가 중공이고, 상기 연결 극(1)의 내벽(9)의 원주는 상기 연결 영역(2)에서 상기 미로 영역(4)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연결 극(1).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극(1)의 내벽(9)의 원주 및/또는 상기 연결 극(1)의 외벽(6)의 원주는 단조 선형으로 또는 아치형으로 증가하는, 연결 극(1).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극(1)의 원주의 아치형 증가는 상기 연결 영역(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진행되는, 연결 극(1).
  28. 제1항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 극(1)을 갖는 재충전 가능 배터리 하우징 또는 이의 부분(5)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극(1)은 이의 고정 영역(3)에서 사출 성형 기술에 의해 재충전 가능 배터리 하우징 부분(5)에 매립되는, 재충전 가능 배터리 하우징 또는 이의 부분.
  29. 제28항의 재충전 가능 배터리 하우징을 갖는 재충전 가능 배터리 하우징 또는 이의 부분을 갖는 재충전 가능 배터리.
KR1020207014360A 2017-10-25 2017-10-25 재충전 가능 배터리용 연결 극 및 재충전 가능 배터리 하우징 KR1026006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7/077283 WO2019081007A1 (de) 2017-10-25 2017-10-25 Anschlusspol für einen akkumulator und akkumulatorgehäu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9267A KR20200079267A (ko) 2020-07-02
KR102600626B1 true KR102600626B1 (ko) 2023-11-09

Family

ID=60327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4360A KR102600626B1 (ko) 2017-10-25 2017-10-25 재충전 가능 배터리용 연결 극 및 재충전 가능 배터리 하우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00328398A1 (ko)
EP (1) EP3701577A1 (ko)
KR (1) KR102600626B1 (ko)
CN (1) CN111247666A (ko)
BR (1) BR112020007260A2 (ko)
CA (1) CA3075197A1 (ko)
MX (1) MX2020004226A (ko)
WO (1) WO20190810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90431S1 (en) 2019-11-01 2023-06-27 Cps Technology Holdings Llc Battery side terminal bushing
USD944737S1 (en) * 2019-11-01 2022-03-01 Cps Technology Holdings Llc Battery side terminal bushing
USD988264S1 (en) 2019-11-01 2023-06-06 Cps Technology Holdings Llc Battery side terminal bushing
USD944203S1 (en) * 2019-11-01 2022-02-22 Cps Technology Holdings Llc Battery side terminal bushing
CN113809483B (zh) * 2021-08-23 2023-08-04 天能电池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铜芯具有抗扭转功能的端子及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22696A1 (en) * 2005-09-27 2007-05-31 Vb Autobatterie Gmbh & Co. Kgaa Battery cover
US20150030904A1 (en) 2011-10-25 2015-01-29 Vb Autobatterie Gmbh & Co., Kgaa Connecting pole for a rechargeable battery, rechargeable battery housing and machine for producing a connecting pole
KR101544805B1 (ko) * 2010-03-09 2015-08-21 존슨 컨트롤스 오토바테리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아아 재충전식 배터리용 커넥팅 폴 및 재충전식 배터리 하우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9191A (en) * 1989-03-23 1989-11-07 Globe-Union Inc. Crimp terminal for a battery
DE4241393C2 (de) * 1992-12-09 1999-05-27 Dionys Hofmann Gmbh Anschlußpol für einen Akkumulator
US20020002772A1 (en) * 1996-12-25 2002-01-10 Tatsuya Hirano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orage battery terminal
DE10023747A1 (de) * 2000-05-15 2001-11-22 Hoppecke Zoellner Sohn Accu Stopfenanordnung
CN2445439Y (zh) * 2000-10-20 2001-08-29 江苏双登电源有限公司 阀控密封铅酸蓄电池端子密封结构
ITTO20020251A1 (it) * 2002-03-20 2003-09-22 I C S Ind Composizioni Stamp A Terminale connettore per una batteria e batteria che lo comprende.
US7070441B1 (en) * 2004-03-15 2006-07-04 Tulip Corporation Acid seal
DE102005063540B4 (de) * 2005-09-27 2015-10-01 Johnson Controls Autobatterie Gmbh & Co. Kgaa Bleibatterie und Kunststoff-Batteriedeckel
ES2275436B1 (es) * 2005-11-18 2008-05-16 Garcia Alberola E Hijos, S.L. Terminales estancos para baterias.
EP2099084A1 (en) * 2008-03-06 2009-09-09 Accumalux S.A. Cover for lead acid batteries
JP5394087B2 (ja) * 2009-01-30 2014-01-22 古河電池株式会社 鉛蓄電池
JP5426214B2 (ja) * 2009-03-31 2014-02-26 古河電池株式会社 鉛蓄電池
ES2746292T3 (es) * 2009-04-30 2020-03-05 Water Gremlin Co Piezas de bateria que tienen elementos de retención y sellado
US20110262806A1 (en) * 2010-03-12 2011-10-27 Water Gremlin Company Battery parts having retaining and sealing features, and associate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CN103840098A (zh) * 2012-11-20 2014-06-04 双登集团股份有限公司 铅酸蓄电池极柱多重密封结构
DE102012111409B4 (de) * 2012-11-26 2018-12-20 Johnson Controls Autobatterie Gmbh & Co. Kgaa Anschlusspol für einen Akkumulator und Akkumulator
JP5604612B1 (ja) * 2013-03-15 2014-10-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鉛蓄電池用ブッシングおよび鉛蓄電池
ES2549663T3 (es) * 2013-06-14 2015-10-30 Wegmann Automotive Gmbh & Co. Kg Terminal sellable para una batería recargab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22696A1 (en) * 2005-09-27 2007-05-31 Vb Autobatterie Gmbh & Co. Kgaa Battery cover
KR101544805B1 (ko) * 2010-03-09 2015-08-21 존슨 컨트롤스 오토바테리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아아 재충전식 배터리용 커넥팅 폴 및 재충전식 배터리 하우징
US20150030904A1 (en) 2011-10-25 2015-01-29 Vb Autobatterie Gmbh & Co., Kgaa Connecting pole for a rechargeable battery, rechargeable battery housing and machine for producing a connecting po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9267A (ko) 2020-07-02
CA3075197A1 (en) 2019-05-02
CN111247666A (zh) 2020-06-05
EP3701577A1 (de) 2020-09-02
BR112020007260A2 (pt) 2020-10-13
US20200328398A1 (en) 2020-10-15
WO2019081007A1 (de) 2019-05-02
MX2020004226A (es) 2020-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0626B1 (ko) 재충전 가능 배터리용 연결 극 및 재충전 가능 배터리 하우징
US8168323B2 (en) Battery cover
US9847522B2 (en) Connecting pole for a rechargeable battery and rechargeable battery housing
US8851915B2 (en) Plug cap
US9951804B2 (en) Spark containment cap
RU2611730C1 (ru) Герметизируемый вывод для перезаряжаемой батареи
US6312852B1 (en) Battery cell cover with flexible positive post terminal
EP3739654B1 (en) Cap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US7019432B1 (en) Flat commutator
EP3133674B1 (en) Battery terminal with internal anti-twist protection
JPH10172536A (ja) 合わせすじなしの、短尺固定部を有する耐食性バッテリ端子
WO2009145017A1 (ja) 円筒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485242B1 (en) Construction for closing a through hole in a magnesium alloy case
EP3301692A1 (en) Bobbin for forming a solenoid for an injection valve, power group assembly, injection valve and method for making a power group assembly
FI66264B (fi) Polbultsgenomfoering i locket till hoeljet hos en elektrisk acumulator
CN104539081A (zh) 塑封定子与轴承端盖的防水密封结构及塑封电机
JP5538509B2 (ja) 二次電池
CN113424361A (zh) 用于蓄电池的连接极和蓄电池壳体
CN210073927U (zh) 电池盖帽和圆柱形电池
CN107611298B (zh) 电池包密封安装结构及电动汽车
CN205592388U (zh) 密封卡箍
CN215731936U (zh) 一种柱状锂电池
CN218975598U (zh) 电池封装结构、单体电池和电池包
CN219067143U (zh) 电池及电池包
EP2120276B1 (en) Plug structure and sealed seat thereof, in a "kamina" system, for closing the holes in electric battery cov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