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2657B1 - 식품 보존고 - Google Patents

식품 보존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2657B1
KR101542657B1 KR1020130085941A KR20130085941A KR101542657B1 KR 101542657 B1 KR101542657 B1 KR 101542657B1 KR 1020130085941 A KR1020130085941 A KR 1020130085941A KR 20130085941 A KR20130085941 A KR 20130085941A KR 101542657 B1 KR101542657 B1 KR 101542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humidifying
compartment
chamber
moisture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5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1216A (ko
Inventor
다쿠미 오이카와
에이지 시나가와
히로노리 사사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140061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1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2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2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 F25D2317/041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5D2317/04111Control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 F25D2317/0415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by deodori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6Sensors detecting the presence of a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rying Of Gase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분자 전해질막 방법을 사용하여 제습할 수 있는 식품 보존고를 제공한다.
실시형태의 식품 보존고는 냉장고의 야채실에 밀폐된 제습실을 설치하고, 상기 제습실에 고분자 전해질막 방법에 의해 제습을 실시하는 제습 장치를 부착한 것이다.

Description

식품 보존고{FOOD PRESERVATION DEVICE}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식품 보존고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스낵(snack) 과자 등과 같이 개봉 후의 식품에서 수분을 흡착함으로써 품질의 저하를 초래하는 식품은, 밀폐된 캔 등에 실리카겔(silica gel) 등을 흡착제와 함께 넣음으로써 보존하고 있었다. 상기 흡착제로서는, 예를 들어 실리카겔 이외에 염화칼슘 등이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흡착제를 사용하는 제습방법은 저렴하고 사용방법도 간단하여 장점이 있기는 하지만, 일정량의 수분을 흡착하면 수명이 다하여 재생 또는 교환이라는 수고가 든다.
이에 대하여, 수명이 긴 제습방법으로서 냉동 사이클을 사용한 제습 장치가 있다. 이 제습방법은 냉각된 부품에 바람을 쐬임으로써, 그 부분에 수분을 결로시켜 습도를 낮추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 냉동 사이클을 사용하면 제습 장치가 대규모가 되고, 진동이 발생하기 때문에 분말 형상물 등의 식품이 진동에 의한 블로킹(blocking)에 의해 고밀도화되어 건조되기 어려워진다.
제습 장치 및 제습방법에 관한 종래 기술로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4-126518호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1-216714호 등이 있다.
종래, 상기 특허공보에 개시한 고분자 전해질막을 사용한 제습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 제습 장치는 고분자 전해질막의 일면에 캐소드층을 설치하고 타면에 애노드층을 형성하며, 애노드층측으로부터 수분을 흡습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제습 장치에서는, 종래에는 고정 자기 디스크 장치 등의 전자기기의 제습에 사용되고, 식품의 보존에 적합한 구조로 하는 것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고분자 전해질막 방법을 사용하여 제습할 수 있는 식품 보존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습기를 싫어하는 식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실과, 상기 수납실을 밀폐 가능하게 폐색하는 문과, 고분자 전해질막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수납실의 내부를 제습하는 제습 장치를 구비하는 식품 보존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제1 수납실과, 상기 제1 수납실내에 매달려 수납되고, 습기를 싫어하는 식품을 밀폐 가능하게 수납하는 제2 수납실과, 상기 제2 수납실의 배면에 부착되고, 고분자 전해질막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제2 수납실의 내부를 제습하는 제습 장치와, 상기 제2 수납실의 환경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습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식품 보존고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밀폐된 제습실내의 수분을 제습하고, 습기를 싫어하는 식품을 안심하고 수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야채실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야채실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제습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제습 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제습 장치의 블럭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식품 보존고에 대해서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이하, 실시형태 1의 식품 보존고는 냉장고(10)로서, 도 1 내지 도 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1) 냉장고(10)
냉장고(10)의 구조에 대해서 도 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냉장고(10)의 전체의 종단면도이다.
냉장고(10)의 캐비넷(12)은 단열상자체로, 내부상자와 외부상자로 형성되고, 그 사이에 단열재가 충전되어 있다. 상기 캐비넷(12)의 내부는, 위로부터 차례로 냉장실(14), 야채실(16), 소형 냉동실(18) 및 냉동실(20)을 갖고, 소형 냉동실(18)의 옆에는 제빙실(22)이 설치되어 있다. 야채실(16)과 소형 냉동실(18)의 사이, 및 야채실(16)과 제빙실(22) 사이에는 단열 칸막이체(24)가 설치되어 있다. 냉장실(14)과 야채실(16)은 수평인 칸막이체(26)에 의해 칸막이되어 있다. 냉장실(14)의 전면(前面)에는 좌우 여닫이식 문(14a, 14b)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야채실(16), 소형 냉동실(18), 냉동실(20) 및 제빙실(22)에는 각각 인출식 문(16a, 18a, 20a, 22a)이 설치되어 있다.
(2) 야채실(16)
다음에, 야채실(16)의 구조에 대해서 도 2 및 도 3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야채실(16)의 정면도이고, 도 3은 측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야채실(16)의 하부에는 인출식 야채실 용기(28)가 설치되어 있다. 야채실(16)의 상부 좌측에는 제습실(30)이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습실(30)은 복수의 매달림 부재(33)에 의해 칸막이체(26)에 매달려 있다. 제습실(30)은 직방체의 상자 형상을 이루고, 전면(前面)이 개구되어 있다.
제습실(30)에는 전후 방향으로 인출 가능한 제습 용기(34)가 수납되어 있다. 상기 제습 용기(34)의 상면(上面)은 개구되고, 전면(前面)은 문(36)을 구성하고 있다. 제습실(30)의 개구된 전면 가장자리부에는 플랜지(flange)부(3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문(36)의 이면측에는 액자 형상의 가스켓(gasket)(40)이 설치되고, 문(36)을 닫은 경우에 가스켓(40)이 플랜지부(38)에 접촉되어 제습실(30)은 밀폐된다.
제습실(30)의 배면에는 제습실(30) 내부를 제습하기 위한 제습 장치(100)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제습 장치(100)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습실(30)의 배면(42)의 상부 내측에는 습도 센서(46)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습도 센서(46)는 밀폐된 제습실(30)의 내부 습도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습도 정보를 후술하는 제어부(48)에 출력한다.
(3) 제습 장치(100)
다음에, 제습 장치(100)의 구조에 대해서 도 4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제습 장치(100)의 종단면도이다.
제습 장치(100)는 제습실(30)의 배면에 부착되어 있다. 이 경우에, 제습실(30)의 배면(42)에는 직사각형의 개구부(44)가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44)의 위치에 제습 장치(100)를 구성하는 입방체형의 유닛 케이스(102)의 전면부(前部)가 삽입되어 부착된다.
유닛 케이스(102)의 내부에는 제습 유닛(104)이 수납되어 있다. 상기 제습 유닛(104)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유닛 케이스(102)의 전면, 즉 제습실(30)측에는 흡습구(106)가 개구되어 제습실(30)로부터의 공기가 인도되고, 후면에는 배기구(108)가 개구되어 있다.
(4) 제습 유닛(104)
다음에, 제습 유닛(104)에 대해서 도 4 및 도 5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제습 유닛(104)의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4 및 도 5에서 실제의 각 부재의 두께는 얇은 것이지만,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 도면에서는 그 두께를 확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고분자 전해질막(이하, 단순히 「전해질막」이라고 함)(116)이 흡습구(106)를 마주 향하도록 세로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전해질막(116)의 전부에는 애노드층(118)이 설치되고, 전해질막(116)의 후부에는 캐소드층(120)이 설치되어 있다. 전해질막(116)은 내피온(Nafion)(등록상표)으로 형성되어 있다. 「내피온」이라는 것은 설폰(sulfone)화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tetrafluoroethylene)을 기초로 한 불소 수지의 공중합체로, 이온 전도성을 갖는 폴리머이다. 그리고, 내피온은 음이온이나 전자는 이동시키지 않고, 양이온만을 이동시킨다. 캐소드층(120)은 카본 촉매와 카본 페이퍼를 적층한 것이다. 또한, 애노드층(118)과 캐소드층(120)에는 백금 촉매가 각각 담지(擔持)되어 있다. 이들 전해질막(116), 애노드층(118) 및 캐소드층(120)은 핫프레스(hot press) 등을 사용하여 일체로 접합되어 있다. 애노드층(118)의 전방에는 플러스측의 집전체(12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캐소드층(120)의 후방에는 마이너스측의 집전체(124)가 설치되어 있다. 양 집전체(122, 124)는 표면에 백금 도금을 실시한 메시 형상의 티탄막이다. 그리고, 집전체(122)는 애노드층(118)에 플러스 통전을 실시하고, 집전체(124)는 캐소드층(120)에 마이너스 통전을 실시한다. 양 집전체(122, 124)는 전선(140, 142)으로부터 통전되어 있다. 또한, 양 집전체(122, 124)가 접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절연체(125)가 양 집전체(122, 124)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절연체(125)는 액자 형상(사각형의 둘러싸는 형상)으로, 전해질막(116)과 애노드층(118)과 캐소드층(120)이 그 내부에 수납되어 있다.
플러스측의 집전체(122)의 후방(흡습구(106)측)에는 발수층(12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발수층(126)은 액자 형상의 가스켓(127)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마이너스측의 집전체(124)의 전방(배기구(108)측)에도 발수층(13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발수층(130)은 액자 형상의 가스켓(131)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발수층(126, 130)으로서는 고분자 필름을 사용한다. 대부분의 고분자 필름은 발수성이지만 수증기를 투과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재료에 따라서는 두께의 조정이 필요하다. 그래서, 발수층(126, 130)으로서는 물을 투과시키지 않고 수증기를 투과시키는 성질을 갖는 PTFE(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olytetrafluoroethylene) 필름이나 발수성 수지를 사용한 부직포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수층(126)의 전방(흡습구(106)측)에는 시트 형상의 흡습체(128)가 배치되어 있다. 흡습체(128)는 부직포이고, 합성수지섬유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합성수지섬유에는 친수성을 갖게 해 두거나, 친수성이 있는 합성수지섬유를 사용한다. 또한, 흡습체(128)로서는 부직포 이외에 실리카겔의 시트, 염화 칼슘의 시트를 사용해도 좋다.
상기와 같이 하여 차례로 적층한 각 부재는 전후 한쌍의 고정부재(132)와 고정부재(134)에 의해 끼워져 고정된다. 애노드층(118)측에 배치되는 전방의 고정부재(132)는 직방체 형상을 이루고 직사각형의 흡습구(136)를 갖는다. 상기 흡습구(136)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유닛 케이스(102)의 흡습구(106)에 대응하고 있으며, 제습실(30)의 배면(42)의 개구부(44)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캐소드층(120)측에 부착하는 후방의 고정부재(134)도 직방체 형상을 이루고 중앙부에 배기구(138)를 갖는다. 상기 배기구(138)는 유닛 케이스(102)의 배기구(108)의 위치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상의 부재에 의해 제습 유닛(104)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부재(132)와 고정부재(134)는 도시하지 않은 다수의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고정부재(132)와 고정부재(134)의 전후 방향의 두께는 예를 들어 10㎜이다. 또한, 흡습체(128)의 두께는 예를 들어 0.2㎜이다. 또한, 발수층(126)과 발수층(130)의 두께는 예를 들어 0.2㎜이다. 또한, 가스켓(127)과 가스켓(131)의 두께는 각각 예를 들어 0.2㎜이다. 또한, 애노드층(118)의 두께는 예를 들어 0.25㎜이다. 또한, 전해질막(116)의 두께는 예를 들어 0.2㎜이다. 또한, 캐소드층(120)의 두께는 예를 들어 0.25㎜이다. 또한, 절연체(126)의 두께는 예를 들어 0.7㎜이다. 또한, 집전체(122)와 집전체(124)의 두께는 각각 예를 들어 0.5㎜이다.
(5) 제습 장치(100)의 전기적 구성
다음에, 제습 장치(100)의 전기적 구성에 대해서 도 6의 블럭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냉장고(10)는 캐비넷(12)의 배면에 제어부(48)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어부(48)는 냉장고(10)의 고내 온도의 관리를 실시하는 것이고, 냉장실(14), 야채실(16), 소형 냉동실(18), 냉동실(20) 등의 고내 온도를 온도 센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검출하고,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를 온/오프(ON/OFF)시켜 냉각 상태를 제어한다.
제어부(48)에는 제습 장치(100)의 제습 유닛(104)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전선(140, 142)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48)에는 제습실(30)의 내부에 설치된 습도 센서(46)도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48)는 습도 센서(46)에서 검출한 검출 습도가 미리 정한 상한 기준 습도(예를 들어, 50%)를 초과하면, 제습 유닛(104)에 대해서 통전을 실시하여, 제습 장치(100)를 구동시킨다. 또한, 제어부(48)는 습도 센서(46)가 검출한 습도가 미리 정한 하한 기준 습도(예를 들어, 20%) 보다 내려가면, 제습 장치(100)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6) 제습 장치(100)의 동작상태
다음에, 제습 장치(100)의 동작 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사용자가 야채실(16)의 문(16a)을 개방한 후, 제습실(30)의 문(36)을 전방으로 인출하면, 제습 용기(34)도 앞으로 인출된다. 상기 제습 용기(34)의 내부에 습기를 싫어하는 식품(예를 들어, 가다랭이포, 김 등의 건조물, 소맥분, 빵가루 등의 분말 형상물, 커피, 녹차, 홍차 등의 차류, 먹다 남은 스낵, 약, 서플리먼트(supplement)) 등을 수납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문(36)을 닫고 제습실(30)의 내부를 밀폐 상태로 한다.
다음에, 제어부(48)는 밀폐된 제습실(30)의 내부 습도를 습도 센서(46)에서 검출하고, 상기 상한 기준 습도를 초과한 경우에는 제습 장치(100)를 구동시킨다. 즉, 제어부(48)는 습도 센서나 후술하는 개폐 스위치 등, 제습실(30)의 환경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제습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다음에, 제습 장치(100)의 제습 유닛(104)이 구동되면, 제습실(30) 내에 수납된 식품으로부터 발생한 습한 공기는 제습실(30)의 개구부(44), 유닛 케이스(102)의 흡습구(106), 고정 부재(132)의 흡습구(136)를 거쳐 흡습체(128)로 흡습되고, 집전체(122, 124)가 통전되어 있으므로 유입된 습한 공기로부터 제습이 실시된다. 이 제습시에, 애노드층(118)과 캐소드층(120)에서는 다음과 같은 반응이 일어난다.
애노드층…2H20→O2+4H++4e-
캐소드층…O2+4H++4e-→2H2O
이 반응식을 설명한다.
우선, 제습 용기(34) 내의 습한 공기가 제습 유닛(104)의 흡습체(128)에서 흡습된다.
다음에, 흡습체(128)에서 흡습된 수분이 수증기가 되어 발수층(126)을 통과하고, 애노드층(118)에서 전기 분해되어 수소 이온이 만들어진다.
다음에, 그 수소 이온이 전해질막(116) 내를 이동하여 캐소드층(120)에 도달하고, 제습실(30)을 내장하는 야채실(16) 내의 산소와 반응하여 수증기를 생성한다. 이 때, 고정부재(134)의 배기구(138), 유닛 케이스(102)의 배기구(108)로부터 유입된 야채실(16)의 산소를 소비한다.
다음에, 제습 유닛(104)의 캐소드층(120)에서 발생한 수증기가 고정부재(134)의 배기구(138), 유닛 케이스(102)의 배기구(108)로부터 야채실(16)로 확산된다.
이에 의해, 제습 용기(36) 내부가 제습되고, 내부에 수납된 식품이 건조되며, 또한 확산된 수증기에 의해 야채실(16) 내부가 축축해진다.
마지막으로, 제어부(48)는 습도 센서(46)가 검출한 습도가 상기 하한 기준 습도를 하회한 경우에는 제습 장치(100)를 정지시킨다.
(7) 효과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밀폐된 제습실(30) 내의 수분을 제습하고, 습기를 싫어하는 식품을 안심하고 수납할 수 있다. 이 경우, 소맥분, 빵가루 등의 분말 형상물이나 녹차, 커피, 홍차 등의 차에 대해서, 제습실(30)에 의한 진동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블로킹이 일어나지 않고, 밀도가 높은 상태가 되지 않게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제습 장치(100)는 모터 등의 구동부분이 없어 진동에 추가되는 소음도 발생하지 않으므로, 사용자에게 있어 사용하기 쉽다.
또한, 제습실(30)은 매달림 부재(33)에 의해 칸막이체(26)에 매달려 있으므로, 냉장고(10)에 설치되어 있는 압축기에 의한 진동이 제습실(30)에 전달되지 않아 수납된 식품을 진동시키지 않는다. 또한, 제습실(30)은 야채실(16)에 매달린 상태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야채실 용기(28)를 출입시켜도 제습실(30)이 진동하지 않는다.
또한, 제습 장치(100)의 배기구(108)로부터는 수증기가 확산되므로 야채실(16) 내부를 수분으로 축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습도가 낮을 때에는 제습 장치(100)를 구동시키지 않으므로, 제습 유닛(104)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고 또한 에너지 절감 효과도 있다.
또한, 제습 유닛(104)에는 흡습체(128)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습실(30)의 내부의 수분은 우선 상기 흡습체(128)에 흡습된다. 또한, 제습실(30)의 습도가 상승한 경우에만, 제습 유닛(104)이 구동된다. 이 때문에, 통전시간을 짧게 할 수 있어 에너지가 절감되고 또한 제습 유닛(104)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 즉, 흡습체(128)가 포화될 때까지 제습 유닛(104)을 구동시킬 필요가 없다.
또한, 흡습체(128)는 친수성을 가지므로 수분을 흡습하기 쉽다.
(실시형태 2)
다음에, 실시형태 2의 냉장고(10)의 제습 장치(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 2와 실시형태 1의 다른 점은, 제습 유닛(104)에 사용되고 있는 흡습체(128)를 갖지 않는 점에 있다. 즉, 본 실시형태 2에서는 흡습체(128)를 사용하지 않고 집전체(122), 애노드층(118)을 노출시켜 애노드층(118)에서 수증기를 직접 흡수하는 구성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 2에서도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제습 장치(100)에 의해, 밀폐된 제습실(30)의 내부를 제습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다음에, 실시형태 3의 냉장고(10)의 제습 장치(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및 실시형태 2에서는 식품 보존고로서 냉장고를 설명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 3에서는 식품선반, 찻장, 쌀궤, 부엌 싱크대 아래의 수납고 등의 식품 보존고에, 상기 실시형태 1의 제습 장치(100)를 사용한다.
(실시형태 4)
다음에, 실시형태 4의 냉장고(10)의 제습 장치(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 1에서는 제습 장치(100)의 구동의 온/오프는 습도 센서(46)의 검출 습도에 따라 실시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 4에서는 제습실(30)의 문(36)의 개폐를 검출하는 문 스위치(200)를 제습실(30)에 설치하고, 제어부(48)는 문(36)이 개방된 경우에 제습 장치(100)를 구동시킨다. 또한, 제어부(48)는 문 스위치(200)가 개방으로부터 폐쇄된 상태를 검출한 후, 미리 정한 시간(예를 들어, 1시간)이 경과한 후에 제습 장치(100)를 정지시킨다.
(실시형태 5)
다음에, 실시형태 5의 냉장고(10)의 제습 장치(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 1에서는 흡습체(128)를 사용하고 있을 뿐이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 5에서는 상기 흡습체(128)의 중량을 계측하는 중량계(250)를 설치한다. 제어부(48)는 상기 중량계(250)를 사용하여 흡습체(128)의 중량을 항상 계측하고, 흡습체(128)의 계측 중량이 미리 정한 기준 중량보다 가벼울 때에는, 흡습체(128)의 흡습 능력이 포화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여 제습 유닛(104)에 통전을 실시하지 않는다. 한편, 흡습체(128)의 계측 중량이 상기 기준 중량보다 무거워진 경우에, 흡습체(128)의 흡습 능력이 포화되었다고 판단하여 제습 유닛(104)을 구동시킨다.
이에 의해, 제습 유닛(104)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또한 에너지도 절감된다.
(실시형태 6)
다음에, 실시형태 6의 냉장고(10)의 제습 장치(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 6에서는, 제습 장치(100)에 추가하여 제습실(30)에 탈취 장치를 설치한다.
가정 등에서 습기를 싫어하는 식품은 차나 김 등의 냄새를 발생시키는 것이 많고, 함께 수납하면 냄새의 이동이 일어나게 되지만, 이 탈취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냄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 7)
다음에, 실시형태 7의 냉장고(10)의 제습 장치(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 7에서는, 제습 장치(100)에 추가하여 제습실(30)에 제균장치를 설치한다.
이에 의해, 식빵이나 떡 등의 곰팡이가 발생하기 쉬운 식품에 관하여, 건조에 의해 곰팡이가 발생하기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제균장치에 의해 더욱 곰팡이를 발생시키지 않고 장기간 보존이 가능해진다.
(변경예)
본 발명의 몇가지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는 없다. 이들 신규의 실시형태는 그 밖의 여러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생략, 치환, 변경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고 또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
10: 냉장고 16: 야채실
26: 칸막이체 30: 제습실
34: 매달림 부재 46: 습도 센서
48: 제어부 100: 제습 장치
104: 제습 유닛 116: 고분자 전해질막
118: 애노드층 120: 캐소드층

Claims (12)

  1. 습기를 싫어하는 식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실;
    상기 수납실을 밀폐 가능하게 폐색하는 문; 및
    애노드층과 캐소드층 사이에 끼어 있는 고분자 전해질막과, 상기 애노드층측에 부착되고 상기 수납실의 습한 공기를 흡습하는 친수성 흡습체를 포함하는 제습 장치를 구비하는, 식품 보존고.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체의 중량을 계측하는 중량계와,
    상기 중량계가 계측한 계측 중량이 미리 정한 기준 중량보다 무거운 경우에 상기 제습 장치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추가로 갖는, 식품 보존고.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야채를 수납하는 제1 수납실,
    상기 제1 수납실 내에 매달려 수납되고, 습기를 싫어하는 식품을 밀폐 가능하게 수납하는 제2 수납실;
    상기 제2 수납실의 배면에 부착되고, 애노드층과 캐소드층 사이에 끼어 있는 고분자 전해질막과, 상기 애노드층측에 부착되고 상기 제2 수납실내의 습한 공기를 흡습하는 친수성 흡습체를 포함하는 제습 장치; 및
    상기 제2 수납실의 환경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습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식품 보존고.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 장치에 의해 제습된 상기 제2 수납실의 수증기는 동일한 실내인 상기 제1 수납실로 확산되는, 식품 보존고.
KR1020130085941A 2012-11-12 2013-07-22 식품 보존고 KR1015426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48340A JP6116863B2 (ja) 2012-11-12 2012-11-12 食品保存庫
JPJP-P-2012-248340 2012-11-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1216A KR20140061216A (ko) 2014-05-21
KR101542657B1 true KR101542657B1 (ko) 2015-08-06

Family

ID=50705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5941A KR101542657B1 (ko) 2012-11-12 2013-07-22 식품 보존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116863B2 (ko)
KR (1) KR101542657B1 (ko)
CN (1) CN103808106B (ko)
TW (1) TWI58091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80241A (ja) * 2014-10-15 2016-05-16 株式会社東芝 減酸素装置及び貯蔵庫
KR102650342B1 (ko) * 2017-01-17 2024-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기기 및 의류처리기기의 제어방법
CN107289722A (zh) * 2017-06-12 2017-10-24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一种储藏盒及具有其的冰箱
CN107270624A (zh) * 2017-06-30 2017-10-20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冷藏冷冻装置
CN108684812A (zh) * 2017-08-12 2018-10-23 浙江省农业科学院 一种水果就地快速预冷机
CN109850386A (zh) * 2017-11-30 2019-06-07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冷藏冷冻装置及其储物容器
CN108302889A (zh) * 2017-12-22 2018-07-20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冷藏冷冻装置及其储物容器
GB2612222B (en) * 2018-03-04 2023-08-02 Ffi Ionix Ip Inc Environment control system utilizing an electrochemical cell
CN110715493A (zh) * 2018-07-11 2020-01-21 青岛海尔智能技术研发有限公司 冷藏冷冻装置及其储物容器
CN110715494A (zh) * 2018-07-11 2020-01-21 青岛海尔智能技术研发有限公司 冷藏冷冻装置及其储物容器
CN110715500B (zh) * 2018-07-11 2022-09-20 青岛海尔智能技术研发有限公司 冷藏冷冻装置及其控制方法
CN110715491A (zh) * 2018-07-11 2020-01-21 青岛海尔智能技术研发有限公司 冷藏冷冻装置及其储物容器
CN110715492A (zh) * 2018-07-11 2020-01-21 青岛海尔智能技术研发有限公司 冷藏冷冻装置及其储物容器
CN111426134A (zh) * 2020-04-16 2020-07-1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除湿方法及冷藏设备
CN114322403A (zh) * 2021-12-28 2022-04-12 Tcl家用电器(合肥)有限公司 冰箱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8493A (ja) * 2008-08-08 2010-02-18 Hitachi Appliances Inc 冷蔵庫
JP2010144991A (ja) * 2008-12-18 2010-07-01 Panasonic Corp 冷蔵庫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4082A (en) * 1979-08-30 1981-04-06 Tokyo Shibaura Electric Co Cooler and refrigerator
JPH04126518A (ja) * 1989-08-01 1992-04-27 Mitsubishi Electric Corp 除湿装置
JPH0384383A (ja) * 1989-08-24 1991-04-09 Matsushita Refrig Co Ltd 食品貯蔵庫
JPH0415465A (ja) * 1990-05-10 1992-01-20 Fuji Photo Film Co Ltd 低温低湿保存庫
JPH08164319A (ja) * 1994-12-12 1996-06-25 Opt D D Melco Lab:Kk 除湿素子
JPH0952018A (ja) * 1995-08-18 1997-02-25 Opt D D Melco Lab:Kk 除湿装置
JP3325802B2 (ja) * 1997-06-11 2002-09-17 三菱電機株式会社 人体保持装置及び清浄シート
JP3844859B2 (ja) * 1997-11-12 2006-11-15 三菱電機株式会社 除湿装置
JPH11207132A (ja) * 1998-01-20 1999-08-03 Mitsubishi Electric Corp 固体高分子電解型湿度交換モジュール
JP2000205739A (ja) * 1999-01-18 2000-07-28 Mitsubishi Electric Engineering Co Ltd ワイン保冷庫
JP2000220949A (ja) * 1999-01-29 2000-08-08 Sharp Corp 冷蔵庫
JP2001240990A (ja) * 1999-12-21 2001-09-04 Mitsubishi Electric Corp 固体高分子電解質膜を用いた電気化学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有する空調機および冷蔵庫
JP4052947B2 (ja) * 2001-05-17 2008-02-27 株式会社荏原製作所 基板搬送容器
JP3906807B2 (ja) * 2003-01-27 2007-04-18 三菱電機株式会社 除湿素子モジュールおよび除湿装置
JP4198529B2 (ja) * 2003-05-29 2008-12-17 株式会社荏原製作所 除湿素子
JP4165497B2 (ja) * 2004-11-22 2008-10-15 三菱電機株式会社 除湿素子モジュール
JP2007082288A (ja) * 2005-09-12 2007-03-29 Toshiba Corp 高電圧変電装置
JP2009039000A (ja) * 2007-08-07 2009-02-26 Panasonic Corp 食品の乾燥方法および食品の乾燥手段を備えた貯蔵庫
US9488404B2 (en) * 2008-09-30 2016-11-08 Thermo Fisher Scientific (Asheville) Llc Frost reduction by active circulation
JP5404592B2 (ja) * 2010-12-20 2014-02-05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
JP5638433B2 (ja) * 2011-03-24 2014-12-10 株式会社東芝 電解装置および冷蔵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8493A (ja) * 2008-08-08 2010-02-18 Hitachi Appliances Inc 冷蔵庫
JP2010144991A (ja) * 2008-12-18 2010-07-01 Panasonic Corp 冷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1216A (ko) 2014-05-21
TW201418651A (zh) 2014-05-16
JP6116863B2 (ja) 2017-04-19
JP2014095531A (ja) 2014-05-22
TWI580917B (zh) 2017-05-01
CN103808106B (zh) 2016-11-02
CN103808106A (zh) 2014-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2657B1 (ko) 식품 보존고
CN103512297B (zh) 冰箱以及减氧装置
KR101694050B1 (ko) 산소저감 장치 및 저장고
CN111442603A (zh) 一种气调保鲜装置、冰箱及其气调保鲜方法
CN111076472A (zh) 保鲜果蔬室及其控制方法、冰箱
CN105917181B (zh) 具有存放区域的制冷器具
JP6226708B2 (ja) 減酸素装置と冷蔵庫
JP6202865B2 (ja) 冷蔵庫
JP6242586B2 (ja) 減酸素装置
CN210772950U (zh) 一种冰箱
JP6230234B2 (ja) 冷蔵庫
JP6338875B2 (ja) 食品貯蔵庫
JP5237908B2 (ja) 冷蔵庫
JP6523000B2 (ja) 冷蔵庫
CN212006415U (zh) 一种气调保鲜装置和冰箱
JP6180758B2 (ja) 冷蔵庫
JP6203001B2 (ja) 減酸素装置
JP6712301B2 (ja) 貯蔵庫
JP6419439B2 (ja) 貯蔵庫
CN211876481U (zh) 冰箱的储物容器及冰箱
CN217083028U (zh) 一种冰箱
CN216409433U (zh) 冷藏冷冻装置
JP7017384B2 (ja) 冷蔵庫
CN116045576A (zh) 冰箱
CN111426134A (zh) 除湿方法及冷藏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