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1984B1 -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 및 몰드 스위치의 교환 방법 - Google Patents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 및 몰드 스위치의 교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1984B1
KR101541984B1 KR1020137019741A KR20137019741A KR101541984B1 KR 101541984 B1 KR101541984 B1 KR 101541984B1 KR 1020137019741 A KR1020137019741 A KR 1020137019741A KR 20137019741 A KR20137019741 A KR 20137019741A KR 101541984 B1 KR101541984 B1 KR 101541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mold
mold switch
cabl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9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6314A (ko
Inventor
슈이치 기쿠카와
게이이치 다카하시
아유무 모리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30116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6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1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1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2Housings or protective screens
    • H01H33/66207Specific housing details, e.g. sealing, soldering or brazing
    • H01H2033/6623Details relating to the encasing or the outside layers of the vacuum switch hou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1/00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1/003Earthing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6Operating arrangements
    • H01H33/6661Combination with other type of switch, e.g. for load break switch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1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resin ca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354Gas-insulated switchgear comprising a vacuum switc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3/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assembly, or maintenance of boards or switch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 High-Tension Arc-Extinguishing Switches Without Spraying Means (AREA)
  • Motor Or Generator Current Coll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위치 기어 전체를 대형화하는 일이 없이 몰드 스위치의 교환을 행하기 위해서, 개폐기 구획부내에 설치되어, 그 하방에 배치된 조작 기구부에 의해 조작되는 차단 기능을 갖는 스위치 및 단로·접지 기능을 갖는 스위치로 이뤄지는 몰드 스위치를 교환하는 데 있어서, 모선측 부싱과 모선의 접속 및 케이블측 부싱과 케이블의 접속을 분리하는 동시에, 상기 몰드 스위치를 하우징에 고정하는 몰드 스위치 고정 부재와의 체결 및 상기 몰드 스위치 고정 부재를 지지 고정하는 개폐 스위치 지지 부재와의 체결을 해제하고, 그 후 상기 몰드 스위치 고정 부재를, 모선측 부싱의 높이 방향 돌출 치수 이상으로 상방으로 끌어 올리고, 그런 후에 상기 몰드 스위치를 수평 방향에 인출해서 스위치 기어 외부로 취출하고, 그 후는 교환용의 몰드 스위치를 상술과 역의 수순으로 상기 개폐기 구획부내에 설치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 및 몰드 스위치의 교환 방법{VACUUM INSULATION SWITCHGEAR AND METHOD FOR REPLACING MOLD SWITCH}
본 발명은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 및 몰드 스위치의 교환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진공 개폐 스위치부와 접지 기능 부착 단로기가 에폭시 주형에 의해 일체화된 몰드 스위치를 구비하고, 수변전 설비에 사용하는 것에 적합한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 및 몰드 스위치의 교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수변전 설비에 있어서는, 부하 전류 또는 사고 전류를 차단하기 위한 진공 차단기, 부하의 보수 점검을 행할 때에,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단로기 및 접지 개폐기, 계통 전압, 계통 전류의 검출 장치, 또한 보호 릴레이 등이 수납된 폐쇄형 배전반(이하, 스위치 기어라함)을 구비하고 있다.
이 스위치 기어의 절연 방식은 다종 다양해서, 종래로부터 기중(氣中) 절연, SF6 가스를 사용한 가스 절연에 더하여, 요즘에서는 환경 대응의 관점으로부터 고체 절연, 압축 공기 절연, 전체 진공 절연 방식의 것이 등장하고 있다. 이들 각종 절연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차단기, 단로기, 접지 개폐기의 각 컴포넌트(component)의 소형화가 가속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하에 있어서, 최근, 차단 기능을 갖는 진공 개폐 스위치부와 같게 기중 절연된 접지 기능 부착 단로기(EDS)가, 에폭시 주형에 의해 일체화된 것을 하우징내에 수납된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1 참조).
상술한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는 차단 기능을 갖은 진공 개폐 스위치부를 수납한 진공 용기와, 접지 기능 부착 단로기(EDS)가 에폭시 주형에 의해 일체화되어, 이것을 하우징 내부에 수납한 것이며, 소형이며, 또한 경량으로 신뢰성이 높기 때문에, 예를 들어, 도시부에서의 배전 설비 등의 중요 설비에 대하여 요구가 있는 소형이고, 또한 경량화에 대응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수변전 설비에서는, 사용자의 요구가 다양화되고 있다. 예를 들어, 그 사용 목적에 의해, 부하의 종류, 운전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요구되는 안전성, 신뢰성, 운전 보전 및 장래의 부하의 증가를 고려해서 배전 계통을 계획하지만, 이 배전 계통의 계획에 있어서, 수변전 설비를 구성하는 차단기, 단로기, 접지 개폐기 등의 제어 및 수변전 설비의 전압, 전류, 전력 등의 감시 계측에 관해서도, 배려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 경우, 차단기, 단로기, 접지 개폐기 등의 기기와, 그 제어 기기 및 감시 계측 기기의 설치 공간을 어떻게 작게 하고, 이들 기기의 설치를 위한 투자를 억제할 수 있을지가 중요한 포인트가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요구에 대하여, 특히, 스위치 기어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주요 기기인 당해 개폐기 유닛부의 소형화는, 스위치 기어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매우 중요하고, 필요 최소한도의 설치 스페이스에, 당해 개폐기 유닛을 배치하는 것이 기대된다.
한편, 고객의 요구로, 현지 운전중에, 만일, 당해 개폐기 스위치부에 수납되어 있는 몰드 스위치에서 트러블이 발생한 경우, 당해 트러블이 발생한 몰드 스위치를, 가능한 한 단시간에 새로운 몰드 스위치로 교환함으로써, 최대한 정전 시간을 억제하고 싶은 요구가 있다.
통상, 스위치 기어 전체를 통째로 교환해서 복구하는 것이 가장 단시간에 행할 수 있는 교환 작업이지만, 그 경우, 교환용의 스위치 기어에 걸리는 비용 부담이 커지기 때문에, 고객의 요구로, 트러블이 발생한 크리티컬 부품(parts)만을 교환하고, 될수록 비용 부담을 경감하고 싶은 요구가 있다.
이와 같은 것으로, 최대한 개폐기 유닛부의 몰드 스위치 수납부를 소 용적으로 함으로써, 스위치 기어의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만일, 몰드 스위치부에서 트러블이 발생한 경우, 빠르게 몰드 스위치를 스위치 기어로부터 제거하고, 새로운 몰드 스위치로 교환할 수 있게 배려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이 몰드 스위치의 교환 방법에 대해서, 도 6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전시[도 6 (a)]에는, 개폐기 구획부(1b)내에 설치된 차단 기능을 갖는 진공 개폐 스위치(8)와, 단로 및 접지 기능을 갖는 3위치형 단로 스위치(9)를 에폭시 수지에서 일체로 몰드한 몰드 스위치(20)가, 몰드 스위치 고정 부재(21)로 하우징(1)에 고정되고, 이 몰드 스위치 고정 부재(21)가 개폐 스위치 지지 부재에 고정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몰드 스위치(20)에 트러블이 발생해서 새로운 몰드 스위치로 교환하려고 하여도, 몰드 스위치(20)의 모선측 부싱(25)이, 몰드 스위치(20)로부터 모선측 부싱(25)의 높이 방향으로 돌출(도면 중 L 치수)하고 있기 때문에, 이대로의 상태에서는, 모선측 부싱(25)이 방해되고, 몰드 스위치(20)를 스위치 기어 외부로 꺼내는 것이 곤란하다.
그 때문에, 통상은, 몰드 스위치(20)의 하부에, 몰드 스위치(20)의 모선측 부싱(25)이 상방으로 돌출하고 있는 높이 방향 치수 L과 동일 치수 L의 스페이스를 확보해 두고, 트러블이 발생한 몰드 스위치를 교환할 경우에는, 도 6의 (b)와 같이, 몰드 스위치 고정 부재(21)로부터 제거된 트러블이 발생한 몰드 스위치(20)를, 일단 몰드 스위치(20)의 하부에 확보되어 있는 L 치수의 스페이스 부분까지 내리고, 그 후, 도 6의 (c)의 화살표와 같이, 몰드 스위치(20)의 하부에 확보되어 있는 스페이스 부분을 포함한 공간으로부터 리프터 등으로 수평 방향으로 인출하고, 스위치 기어 외부로 취출하도록 하고 있다. 트러블이 발생한 몰드 스위치(20)를 스위치 기어 외부로 취출한 후는, 새로운 교환용의 몰드 스위치를, 상술과 역의 수순으로 개폐기 구획부(1b)내에 설치하고, 개폐 스위치 지지 부재에 몰드 스위치 고정 부재(21)를 고정하고, 이 몰드 스위치 고정 부재(21)를 하우징(1)에 고정하면 좋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0-44928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몰드 스위치의 교환 방법에서는, 미리 몰드 스위치의 하부에, 몰드 스위치의 모선측 부싱의 높이 방향 치수 L과 동일 치수 L의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있고, 이 스페이스를 고려한 몰드 스위치의 높이 방향의 길이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L+La로 되어 버려(La는 모선측 부싱의 높이 방향 치수 L을 제외하는 몰드 스위치의 높이 방향 치수), 스위치 기어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하는데 있어서 장해가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점에 감안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스위치 기어 전체를 대형화하는 일이 없이 몰드 스위치의 교환을 행할 수 있는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 및 몰드 스위치의 교환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접지 금속판으로 각각 구획되고, 하방에 조작 기구부가 배치되어 있는 개폐기 구획부, 모선이 배치되어 있는 모선 구획부, 케이블이 배치되어 있는 케이블 구획부 및 제어 구획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개폐기 구획부내에 설치되어, 상기 조작 기구부에 의해 조작되는 차단 기능을 갖는 진공 개폐 스위치 및 단로·접지 기능을 갖는 3위치형 단로 스위치를 일체 몰드한 몰드 스위치와, 상기 몰드 스위치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하는 몰드 스위치 고정 부재와, 상기 몰드 스위치 고정 부재를 지지 고정하는 개폐 스위치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모선 구획부는 상기 하우징의 중앙부 상방에, 상기 개폐기 구획부는 상기 모선 구획부의 하부에, 상기 케이블 구획부는 상기 하우징의 배면측에, 상기 제어 구획부는 상기 하우징의 전방면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몰드 스위치의 높이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는 모선측 부싱과 상기 모선이, 상기 몰드 스위치의 수평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는 케이블측 부싱과 상기 케이블이 각각 접속되어 있는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에 있어서, 상기 몰드 스위치와 그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조작 기구부와의 간격이, 상기 몰드 스위치의 높이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는 상기 모선측 부싱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몰드 스위치의 교환 방법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접지 금속판으로 구획되어 있는 개폐기 구획부내에 설치되고, 그 하방에 배치된 조작 기구부에 의해 조작되는 차단 기능을 갖는 진공 개폐 스위치 및 단로·접지 기능을 갖는 3위치형 단로 스위치가 일체로 몰드되어서 형성되고, 또한 높이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는 모선측 부싱과 모선이, 수평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는 케이블측 부싱과 케이블이 각각 접속되어 있는 몰드 스위치를 교환하는 데 있어서, 상기 모선측 부싱과 모선의 접속 및 상기 케이블측 부싱과 케이블의 접속을 분리하는 동시에, 상기 몰드 스위치를 하우징에 고정하는 몰드 스위치 고정 부재와의 체결 및 상기 몰드 스위치 고정 부재를 지지 고정하는 개폐 스위치 지지 부재와의 체결을 해제하고, 그 후 상기 몰드 스위치 고정 부재를, 상기 모선측 부싱의 높이 방향 돌출 치수 이상으로 상방으로 끌어 올리고, 그런 후에, 상기 몰드 스위치를 수평 방향으로 인출해서 스위치 기어 외부로 취출하고, 그 후는 교환용의 몰드 스위치를 상술과 역의 수순으로 상기 개폐기 구획부내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위치 기어 전체의 소형화 및 몰드 스위치부가 고장났을 때에, 당해 몰드 스위치만 교환 가능한 양쪽의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를 피더 반으로서 적용한 일 실시형태를 일부 단면에서 도시하는 운전시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를 피더 반으로서 적용한 일 실시형태를 일부 단면에서 도시하는 몰드 스위치 교환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를 구성하는 개폐 스위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의 일 실시형태를 구성하는 개폐 스위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몰드 스위치의 교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종래의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에 있어서의 몰드 스위치의 교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의 일 실시형태를 도면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를 피더 반으로서 적용한 일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것이다. 상기 도면에 있어서,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의 하우징(1)은 접지 금속판에서 각각 구획된 모선 구획부(1a), 조작 기구부를 갖는 개폐기 구획부(1b), 케이블 구획부(1c) 및 제어 구획부(1d)를 구비하고 있다.
모선 구획부(1a)는 하우징(1)의 중앙부 상방에, 개폐기 구획부(1b)는 모선 구획부(1a)의 하부에, 케이블 구획부(1c)는 하우징(1)의 배면측(도 1의 좌측)에, 제어 구획부(1d)는 하우징(1)의 전방면측(도 1의 우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모선 구획부(1a) 내에는, 3상의 고체 절연된 모선(5)이 하우징(1)의 전방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모선(5)은 고체 절연에 의해 가스리스화되어, 그 취급성과 안전성을 확보하고 있다. 개폐기 구획부(1b)내에는, 차단 기능을 갖는 진공 개폐 스위치(8)와, 단로, 접지 기능을 갖는 3위치형 단로 스위치(9) 및 조작 기구부(10)가 배치되어 있다.
케이블 구획부(1c)에는, 진공 개폐 스위치(8)의 고정 전극에 접속되고, 케이블 구획부(1c)내에 도입된 케이블 접속용의 단자(2a)와, 이 단자(2a)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T형 케이블 헤드(2)와, 이 T형 케이블 헤드(2)에 의해 단자(2a)에 접속하는 케이블(3)과, 이 케이블(3)에 설치한 계기용 변류기(CT)(4)가 설치되어 있다. 케이블(3)은, 이 예에서는, 하우징(1)의 하부로부터 케이블 구획부(1c)에 도입되어 있다. 케이블 구획부(1c)내의 케이블 접속용의 단자(2a)의 외주에는, 계통 보호용의 변류기(CT)(6)가 설치되어 있다.
제어 구획부(1d)는, 하우징(1)에 있어서의 조작 기구부(10)의 상방에서 전방면측(도 1의 우측)에 배치되고, 설치 장소에서의 하우징(1)의 높이 방향의 치수를 크게 하지 않도록 배려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에서는, 상술한 진공 개폐 스위치(8)와 3위치형 단로 스위치(9)는 에폭시 수지에 의해 일체적으로 몰드되어, 개폐 스위치 지지 부재(24)에 지지되어서 개폐기 구획부(1b)내에 설치되어 있다. 개폐기 구획부(1b)내에 설치된 몰드 스위치(20)는, 그 교환시에, 작업이 용이하도록, 개폐 스위치 지지 부재(24)에 볼트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해 제거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몰드 스위치 고정 부재(21)에, 볼트 등의 체결 수단(22)에 의해 제거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을 구성하는 개폐 스위치 지지 부재(24)의 몰드 스위치(20)가 배치되어 있는 부분의 스위치 기어 배면측에는, 몰드 스위치(20)를 취출할 수 있는 정도의 개구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고, 운전 시에는, 이 개구부는 볼트 체결된 덮개(도시하지 않음)에서 폐쇄해져 있지만, 몰드 스위치(20)의 교환시에는, 볼트 체결을 해제해서 덮개를 제거하고, 개구부로부터 몰드 스위치(20)를 인출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몰드 스위치(20)가 유닛화되어, 소형 경량화가 의도되어서 교환 작업이 용이해지고 있는 것은 물론, 이 유닛화된 3개의 몰드 스위치(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 분리 구조이며, 하우징(1)의 전방면과 직교해서 3열로 배치되고, 그 상간에 상간 접지 금속판(23)을 배치하고, 상간의 단락 사고의 발생이 억제되고 있다. 또한, 상간 접지 금속판(23)은 몰드 스위치 고정 부재(21)와 제거 가능한 예를 들어 볼트 등의 체결 부재로 체결되어 있다. 또한, 몰드 스위치(20)의 외표면은 도전 도료가 도포되어서 접지되고, 접촉 등의 안전성이 확보되어 있다.
또한, 몰드 스위치(20)와, 그 하방에 배치되는 조작 기구부(10)와의 간격은, 종래는 몰드 스위치(20)의 모선측 부싱(25)이 상방으로 돌출하고 있는 높이 방향 치수 L과 동일 치수 L의 스페이스를 확보하고 있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그 필요가 없어지고, 몰드 스위치(20)와 조작 기구부(10)와의 간격은, 모선측 부싱(25)이 상방으로 돌출하고 있는 높이 방향 치수 L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몰드 스위치(20)의 높이 방향의 길이를 L+La라고 할 수 있고, 스위치 기어 전체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구성에 의한 몰드 스위치(20)의 교환 방법에 대해서, 도 5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5의 (a)는 본 실시예의 구성에 있어서의 운전 상태를 도시하지만, 종래 구성의 운전 상태를 도시하는 도 6의 (a)와 다른 것은, 도 6의 (a)에서는, 몰드 스위치(20)의 모선측 부싱(25)이 상방으로 돌출하고 있는 높이 방향 치수 L과 동일 치수 L의 스페이스를 확보하고 있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치수 L의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없고, 몰드 스위치(20)와 조작 기구부(10)와의 간격이, 모선측 부싱(25)이 상방으로 돌출하고 있는 높이 방향 치수 L보다 짧게 형성되고 있는 점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몰드 스위치(20)에 트러블이 발생해 교환이 필요할 경우에는, 우선, 몰드 스위치(20)의 모선측 부싱(25)과 모선(5) 및 케이블측 부싱(26)과 케이블(3)의 접속을 분리하는 동시에, 몰드 스위치(20)를 고정하고 있는 개폐 스위치 지지 부재(24) 및 몰드 스위치 고정 부재(21)의 볼트 체결을 해제하고, 그 후, 이 몰드 스위치 고정 부재(21)를, 몰드 스위치(20)의 모선측 부싱(25)이 상방으로 돌출하고 있는 높이 방향 치수 L 이상으로 상방향으로 끌어 올린다. 이 상태를 도 5의 (b)에 도시한다(도 2도 같은 상태를 도시한다).
도 5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몰드 스위치 고정 부재(21)를, 몰드 스위치(20)의 모선측 부싱(25)이 상방으로 돌출하고 있는 높이 방향 치수 L 이상으로 상방으로 끌어 올림으로써, 모선측 부싱(25)이 위치하는 몰드 스위치(20)의 상방에는 공간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이 공간이 존재함으로써, 몰드 스위치(20)의 모선측 부싱(25)이 상방에 L 치수 돌출하고 있어도, 방해되는 것이 존재하지 않고, 도 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러블이 발생한 몰드 스위치(20)를, 개폐 스위치 지지 부재(24)에 형성된 개구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인출할 수 있고, 원활하게 스위치 기어 외부로 취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트러블이 발생한 몰드 스위치(20)를 스위치 기어 외부로 취출한 후는, 새로운 교환용의 몰드 스위치를, 상술과 역의 수순으로, 개폐기 구획부(1b)내에 설치하고, 개폐 스위치 지지 부재(24)에 몰드 스위치 고정 부재(21)로 고정하는 동시에, 몰드 스위치(20)의 모선측 부싱(25)과 모선(5) 및 케이블측 부싱(26)과 케이블(3)을 접속하는 것으로 교환 작업이 종료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의 몰드 스위치의 교환 방법으로 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몰드 스위치(20)의 하부에, 모선측 부싱(25)이 상방으로 돌출하고 있는 높이 방향 치수 L과 동일 치수 L의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없어지고, 몰드 스위치의 높이 방향의 길이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L+La가 되고, 그 만큼 스위치 기어 전체의 소형화가 도모되게 된다.
그 결과, 고객 요구인 스위치 기어 전체의 소형화와, 몰드 스위치부에 트러블이 발생했을 때에, 당해의 몰드 스위치만 교환 가능한 양쪽의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효과의 이외에, 몰드 스위치(20)를 고정하는 몰드 스위치 고정 부재(21)가, 개폐기 스위치 지지 부재(27) 및 상간 금속판(23)과 제거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들을 제거하는 것으로 경량화되고 있어, 몰드 스위치 고정 부재(21)를 상방으로 끌어 올리기 쉬워지는 효과도 있다.
1 : 하우징
1a : 모선 구획부
1b : 개폐기 구획부
1c : 케이블 구획부
1d : 제어 구획부
2 : T형 케이블 헤드
2a : 단자
3 : 케이블
4 : 계기용 변류기
5 : 모선
6 : 계통 보호용 변류기
8 : 진공 개폐 스위치
9 : 3위치형 단로 스위치
10 : 조작 기구부
20 : 몰드 스위치
21 : 몰드 스위치 고정 부재
22 : 체결 수단
23 : 상간 접지 금속판, 몰드 스위치
24 : 개폐 스위치 지지 부재
25 : 모선측 부싱
26 : 케이블측 부싱

Claims (6)

  1. 접지 금속판에서 각각 구획되어, 하방에 조작 기구부가 배치되어 있는 개폐기 구획부, 모선이 배치되어 있는 모선 구획부, 케이블이 배치되어 있는 케이블 구획부 및 제어 구획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개폐기 구획부내에 설치되어, 상기 조작 기구부에 의해 조작되는 차단 기능을 갖는 진공 개폐 스위치 및 단로·접지 기능을 갖는 3위치형 단로 스위치를 일체 몰드한 몰드 스위치와, 상기 몰드 스위치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하는 몰드 스위치 고정 부재와, 상기 몰드 스위치 고정 부재를 지지 고정하는 개폐 스위치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모선 구획부는 상기 하우징의 중앙부 상방에, 상기 개폐기 구획부는 상기 모선 구획부의 하부에, 상기 케이블 구획부는 상기 하우징의 배면측에, 상기 제어 구획부는 상기 하우징의 전방면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몰드 스위치의 높이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는 모선측 부싱과 상기 모선이, 상기 몰드 스위치의 수평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는 케이블측 부싱과 상기 케이블이 각각 접속되어 있는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에 있어서,
    상기 몰드 스위치와 그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조작 기구부와의 간격이, 상기 몰드 스위치의 높이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는 상기 모선측 부싱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 스위치 고정 부재는, 상기 개폐 스위치 지지 부재와 접속, 제거 가능한 체결 부재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 스위치는, 3개의 몰드 스위치가 상간 금속판을 사이에 배치해서 3열로 배치되고, 상기 몰드 스위치 고정 부재는, 상기 상간 금속판과 제거 가능한 체결 부재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는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
  5. 접지 금속판에서 구획되어 있는 개폐기 구획부내에 설치되어, 그 하방에 배치된 조작 기구부에 의해 조작되는 차단 기능을 갖는 진공 개폐 스위치 및 단로·접지 기능을 갖는 3위치형 단로 스위치가 일체로 몰드되어서 형성되고, 또한, 높이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는 모선측 부싱과 모선이, 수평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는 케이블측 부싱과 케이블이 각각 접속되어 있는 몰드 스위치를 교환하는데 있어서,
    상기 모선측 부싱과 모선의 접속 및 상기 케이블측 부싱과 케이블의 접속을 분리하는 동시에, 상기 몰드 스위치를 하우징에 고정하는 몰드 스위치 고정 부재와의 체결 및 상기 몰드 스위치 고정 부재를 지지 고정하는 개폐 스위치 지지 부재와의 체결을 해제하고, 그 후, 상기 몰드 스위치 고정 부재를, 상기 모선측 부싱의 높이 방향 돌출 치수이상으로 상방으로 끌어 올리고, 그런 후에, 상기 몰드 스위치를 수평 방향으로 인출해서 스위치 기어 외부로 취출하고, 그 후는 교환용의 몰드 스위치를, 상술과 역의 수순으로 상기 개폐기 구획부내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스위치의 교환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 스위치와 몰드 스위치 고정 부재와의 체결 및 상기 몰드 스위치 고정 부재와 개폐 스위치 지지 부재와의 체결은 접속, 제거 가능한 볼트에 의해 행해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스위치의 교환 방법.
KR1020137019741A 2011-01-26 2011-01-26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 및 몰드 스위치의 교환 방법 KR1015419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1/051420 WO2012101766A1 (ja) 2011-01-26 2011-01-26 真空絶縁スイッチギヤ及びモールドスイッチの交換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6314A KR20130116314A (ko) 2013-10-23
KR101541984B1 true KR101541984B1 (ko) 2015-08-04

Family

ID=46580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9741A KR101541984B1 (ko) 2011-01-26 2011-01-26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 및 몰드 스위치의 교환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2670008B1 (ko)
JP (1) JP5431599B2 (ko)
KR (1) KR101541984B1 (ko)
CN (1) CN103329376B (ko)
BR (1) BR112013019004A2 (ko)
SG (1) SG192031A1 (ko)
WO (1) WO20121017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0827A1 (en) * 2015-05-28 2016-12-01 Sfa Elektromekani̇k Elektri̇k Sanayi̇ Ve Ti̇caret Anoni̇m Şi̇rketi̇ Switching mechanism comprising the combination of breaker, separator and grounding apparatus
KR101636343B1 (ko) * 2015-12-07 2016-07-05 주식회사 광명전기 금속폐쇄형 스위치기어
KR102171783B1 (ko) * 2019-12-10 2020-10-29 제룡전기 주식회사 개폐 동작 시간 측정 수단이 구비된 가스절연부하개폐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스절연부하개폐기 테스트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2709A (ja) 1999-02-09 2000-08-22 Takaoka Electric Mfg Co Ltd ガス絶縁開閉装置
JP2008245409A (ja) 2007-03-27 2008-10-09 Hitachi Ltd 真空絶縁スイッチギヤ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8006A (ja) * 1994-05-12 1995-11-21 Fuji Electric Co Ltd ガス絶縁開閉器及びそのキュービクル
JP2001352623A (ja) * 2000-06-02 2001-12-21 Mitsubishi Electric Corp ガス絶縁開閉装置
JP4004012B2 (ja) * 2000-11-14 2007-11-07 株式会社東芝 密閉形スイッチギヤ
TWI435355B (zh) * 2006-09-20 2014-04-21 Hitachi Ltd Vacuum insulated switch drive
JP4264457B2 (ja) * 2007-07-17 2009-05-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真空絶縁スイッチギヤ
JP4701273B2 (ja) * 2008-07-30 2011-06-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真空スイッチギヤ及びその高さ調整方法
JP4764906B2 (ja) 2008-08-12 2011-09-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真空スイッチ及び真空スイッチギ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2709A (ja) 1999-02-09 2000-08-22 Takaoka Electric Mfg Co Ltd ガス絶縁開閉装置
JP2008245409A (ja) 2007-03-27 2008-10-09 Hitachi Ltd 真空絶縁スイッチギ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70008B1 (en) 2017-03-15
CN103329376B (zh) 2015-05-20
KR20130116314A (ko) 2013-10-23
SG192031A1 (en) 2013-08-30
JP5431599B2 (ja) 2014-03-05
CN103329376A (zh) 2013-09-25
EP2670008A1 (en) 2013-12-04
EP2670008A4 (en) 2014-06-18
JPWO2012101766A1 (ja) 2014-06-30
BR112013019004A2 (pt) 2017-07-11
WO2012101766A1 (ja) 2012-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33145B2 (ja) 固体絶縁母線スイッチギヤ
EP1903592B1 (en) Vacuum insulated switchgear
JP4268991B2 (ja) 真空絶縁スイッチギヤ
EP2017866B1 (en) Vacuum insulated switchgear
EP1983625A1 (en) Removable compartment for use in a functional unit of an electrical switchgear
JP5026537B2 (ja) スイッチギヤ
KR101541984B1 (ko)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 및 몰드 스위치의 교환 방법
EP3525303B1 (en) Electrical unit for a motor control center with ingress protection
US20100195273A1 (en) Vacuum insulated switchgear
KR101271146B1 (ko) 기체절연 개폐장치
JP4333774B2 (ja) 配電用開閉装置
JP5123894B2 (ja) 真空絶縁スイッチギヤ
KR101454723B1 (ko) 가스절연개폐장치
KR101546791B1 (ko) 기체절연 개폐장치
JP2008259262A (ja) 開閉装置
JP2012105389A (ja) ガス絶縁開閉装置及びその更新方法
JPH1189027A (ja) スイッチギヤ
KR20110075823A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모선 유니트
JP4738266B2 (ja) 電力用開閉装置
JPH11113119A (ja) 母線接続構造
JPH11113117A (ja) スイッチギヤ
JPH1141727A (ja) スイッチギヤ
JP2000041313A (ja) ガス絶縁開閉装置および遮断器の取り替え方法
JP2005005277A (ja) 真空スイッチ
JPH0974631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