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9529B1 - 올 풀림을 방지하는 리본형 직물의 재단방법 - Google Patents

올 풀림을 방지하는 리본형 직물의 재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9529B1
KR101539529B1 KR1020140021025A KR20140021025A KR101539529B1 KR 101539529 B1 KR101539529 B1 KR 101539529B1 KR 1020140021025 A KR1020140021025 A KR 1020140021025A KR 20140021025 A KR20140021025 A KR 20140021025A KR 101539529 B1 KR101539529 B1 KR 101539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streamlined
cutting
cut
ribb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1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정
Original Assignee
김희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정 filed Critical 김희정
Priority to KR1020140021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95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9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9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7/00Apparatus or processes for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of textile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DTRIMMINGS; RIBBONS, TAPES OR BA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D9/00Ribbons, tapes, welts, bands, beadings, or other decorative or ornamental strip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5/00Treating selvedges or other edges, e.g. stiffen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7/00Apparatus or processes for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of textile materials
    • D06H7/04Apparatus or processes for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of textile materials longitudin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올 풀림을 방지하는 리본형 직물의 재단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리본형 직물을 재단할 때 일자형 재단이 아니라 굴곡이 있는 유선형 재단을 함으로써, 원사의 방향과 재단면이 다르게 되므로 올 풀림 방지 효과를 현저히 개선할 수 있는 올 풀림을 방지하는 리본형 직물의 재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얇고 올풀림이 심한 원단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원단들에 적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정이 추가되는 것이 아니고, 재단시 기존 공정의 재단 방식을 일자형이 아니라 유선형으로 재단되도록 변형한 것으로, 간단한 공정을 통해 올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올 풀림을 방지하는 리본형 직물의 재단방법 {Method of cut the cloth tapes for preventing come untied of strand}
본 발명은 올 풀림을 방지하는 리본형 직물의 재단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리본형 직물을 재단할 때 일자형 재단이 아니라 굴곡이 있는 유선형 재단을 함으로써, 원사의 방향과 재단면이 다르게 되므로 올 풀림 방지 효과를 현저히 개선하여, 얇고 올풀림이 심한 원단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원단들을 간단한 공정을 통해 올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올 풀림을 방지하는 리본형 직물의 재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이프 형태의 리본형 직물은 경조사 화환을 취급하는 화원에서 꽃을 장식하거나 인사말을 적기 위한 장식용 리본으로 사용됨은 물론, 상점 등에서 물건을 예쁘게 포장하기 위한 포장용 끈으로도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이러한 테이프 형태의 리본형 직물은 의류의 레벨이나 레이스는 물론, 액세서리 제품에 사용되기도 하는 등 그 사용용도가 다양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리본형 직물의 주요 재질은 가격이 저렴한 합성수지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기는 하지만 보다 고급스러운 분위기의 창출을 위해서 면직물로 이루어지기도 하며, 그 용도에 맞춰 사용될 수 있도록 다양한 폭과 다양한 색상으로 제작이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리본형 직물은 그 사용의 편리를 위하여 일정 길이 연속된 부재가 롤에 감긴 채로 공급됨에 따라서 사용 과정에서는 필요한 길이만큼이 절단이 되어 사용된다. 물론, 리본형 직물 상에는 특정 형태의 무늬나 문자 등이 표현이 되기도 하고, 각종 무늬가 있는 레이스 등이 덧붙여져 더욱 고급스러운 형태로 제공되기도 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리본형 직물은 재단공정을 통해서 넓은 폭의 원단을 좁은 폭으로 재단한 후 마무리 공정을 거쳐 한 단위체로 제작이 되기도 함은 물론, 직조공정을 통해서 원사가 일정 폭으로 직접 직조가 되어 한 단위체로 제작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리본형 직물을 제조함에 있어 폭이 넓은 대폭 원단을 일정한 소폭으로 재단하는 공정을 통해 완성된 리본형 직물은 재단된 양쪽 가장자리 부분의 올 풀림 현상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등록특허 제10-0925549호의 리본형 직물 및 리본형 직물 제조장치와 국내등록특허 제10-1228132호의 리본형 직물 및 리본형 직물의 제조방법에서는 양쪽 가장자리의 변사를 히팅롤러를 통해 가열하여 마감처리 하며 히팅롤러의 외주면에 형성된 문양에 의하여 문자 또는 무늬를 형성하여 올 풀림을 방지하였지만, 재단시 일자로 재단함에 따라 올 풀림 현상은 여전히 발생하였다.
또한, 국내등록특허 제10-1349929호의 리본형 직물은 재단 위치에 보강 원단을 핫멜트로 고정한 뒤 재단 공정을 수행하여 재단 위치의 올 풀림을 방지하였지만, 핫멜트를 접착한 보강 원단을 제작하는 공정 등이 추가됨에 따라 제작공정이 복잡하고 제작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등록특허 제10-0925549호(2009.10.30.) 국내등록특허 제10-1228132호(2013.01.24) 국내등록특허 제10-1349929호(2014.01.0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리본형 직물을 재단할 때 일자형 재단이 아니라 굴곡이 있는 유선형 재단을 함으로써, 원사의 방향과 재단면이 다르게 되므로 올 풀림 방지 효과를 현저히 개선하여, 얇고 올풀림이 심한 원단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원단들을 간단한 공정을 통해 올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올 풀림을 방지하는 리본형 직물의 재단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대폭 원단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준비된 대폭 원단을 리본형 직물 제조장치에 장착하는 단계와; 상기 리본형 직물 제조장치에 장착된 상기 대폭 원단은 유선형 칼날에 의하여 유선형 소폭 재단위치에 따라 유선형 소폭 원단으로 재단되는 단계와; 상기 유선형 소폭 원단은 재단된 양쪽 가장자리 부분의 변사들이 히팅 롤러에 의하여 열 융합되는 단계와; 상기 열 융합된 유선형 소폭 원단은 상기 유선형 소폭 원단의 가장자리 부분이 통과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히팅 롤러의 외주 상에 문양이 형성된 접촉부에 의하여 상기 가장자리 부분에 문자 또는 무늬가 새겨지는 단계; 를 통해 상기 유선형 소폭 원단은 상기 대폭 원단이 상기 유선형 칼날에 의하여 양쪽 가장자리가 직선이 아닌 굴곡이 있는 유선형으로 재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올 풀림을 방지하는 리본형 직물의 재단방법은 리본형 직물을 재단할 때 일자형 재단이 아니라 굴곡이 있는 유선형 재단을 함으로써, 원사의 방향과 재단면이 다르게 되므로 올 풀림 방지 효과를 현저히 개선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자형으로 재단이 어려운 원단, 얇고 올풀림이 심한 원단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원단들에 적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정이 추가되는 것이 아니고, 재단시 기존 공정의 재단 방식을 일자형이 아니라 유선형으로 재단되도록 변형한 것으로, 간단한 공정을 통해 올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리본형 직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올 풀림을 방지하는 리본형 직물의 재단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S형)에 따른 올 풀림을 방지하는 리본형 직물의 재단방법을 간단히 나타낸 도면이다.
(3a : 대폭 원단 준비(S10), 3b : 유선형 소폭 원단으로 재단(S30), 3c : 가장자리 부분의 열 융합(S40) 및 문자 또는 무늬 생성(S50))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Z형)에 따른 올 풀림을 방지하는 리본형 직물의 재단방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C형)에 따른 올 풀림을 방지하는 리본형 직물의 재단방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본형 직물(140)은 그 단위체가 별도로 직조가 되어 형성되는 것이 아니고,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이 넓게 직조가 된 대폭 원단(100)은 폭이 좁은 소폭 원단으로 여러 폭이 되게 재단이 되는 한편, 그 재단된 소폭 원단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120a)에 발생하게 되는 변사가 열 융합이 됨에 따라 전체적으로는 직조가 된 느낌이 살 수 있도록 구성이 이루어진다.
첨부된 도 2,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올 풀림을 방지하는 리본형 직물(140)의 재단방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먼저,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S형의 칼날을 이용하는 것으로,
도 3a와 같이, 대폭 원단(100)을 준비하는 단계(S10)와;
이때, 상기 대폭 원단(100)은 합성직물, 면직물, 마직물, 광목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상기 준비된 대폭 원단(100)을 리본형 직물(140) 제조장치에 장착하는 단계(S20)와;
도 3b와 같이, 상기 리본형 직물(140) 제조장치에 장착된 상기 대폭 원단(100)은 유선형 칼날에 의하여 유선형 소폭 재단위치(110)에 따라 유선형 소폭 원단(120)으로 재단되는 단계(S30)와;
이때, 재단시 초음파 재단기를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재단되기 전 유선형 소폭 재단 위치(110) 표면에 핫멜트 필름이 일체로 부착되어 유선형 재단 공정이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두 원단을 핫멜트로 접착하여 합포한 뒤 유선형 재단 공정이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재단되기 전 유선형 소폭 재단 위치(110) 표면에 핫멜트 필름이 일체로 부착되어 유선형 재단 공정이 수행된다면 이후 가장자리에 열융합 및 문자 또는 무늬가 새겨지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선형 칼날은, 칼날의 두께가 0.2~0.7㎜인 것으로, 원단의 종류와 두께에 따라 적합한 칼날의 두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칼날의 두께가 0.2㎜ 미만일 경우 칼날의 수명이 짧아질 수 있고, 0.7㎜를 초과할 경우 재단면이 거칠어질 수 있고, 초음파 재단기의 초음파량의 한계로 재단이 불완전하며,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재단시 유선형 소폭 재단 위치(110) 표면에 핫멜트 필름을 부착하지 않고 재단할 경우, 칼날의 두께가 중요하므로 원단의 종류와 두께에 따라 적합한 칼날의 두께를 선택하여 사용하되, 원단이 얇아질수록 두꺼운 두께의 칼날을 사용한다. 또한, 재단시 유선형 소폭 재단 위치(110) 표면에 핫멜트 필름을 부착하여 유선형 재단 공정이 수행될 경우, 칼날의 두께는 크게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0.2~0.3㎜의 칼날로 모든 원단의 재단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는 S형의 칼날을 이용하는 것으로, 소폭 원단의 가장자리 부분(120a)은 S형으로 재단된다.
도 3c와 같이, 상기 유선형 소폭 원단(120)은 재단된 양쪽 가장자리 부분(120a)의 변사들이 히팅 롤러에 의하여 열 융합되는 단계(S40)와;
동시에, 상기 열 융합된 유선형 소폭 원단(120)은 상기 유선형 소폭 원단(120)의 가장자리 부분(120a)이 통과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히팅 롤러의 외주 상에 문양이 형성된 접촉부에 의하여 상기 가장자리 부분(120a)에 문자 또는 무늬(130)가 새겨지는 단계(S50); 를 통해 리본형 직물(140)의 제조가 완료된다.
이때, 상기 유선형 칼날에 의하여 유선형 소폭 원단(120)으로 재단되는 단계(S30), 재단된 양쪽 가장자리 부분(120a)의 변사들이 상기 히팅 롤러에 의하여 가열 가압에 의한 열융합을 통해 열융합부(120b)를 형성하는 단계(S40), 상기 접촉부에 의하여 상기 열융합부(120b)에 문자 또는 무늬(130)가 형성되는 단계(S50)가 동시에 이루어진다.
도 4와 같이, Z형의 칼날을 이용하면 소폭 원단의 가장자리 부분(120a)는 Z형으로 재단되고, 도 5와 같이, C형의 칼날을 이용하면 소폭 원단의 가장자리 부분(120a)는 C형으로 재단된다. 이는 일자형으로 재단할 수 없던 원단들의 재단도 가능하며, 재단되기 전 유선형 소폭 재단 위치(110) 표면에 핫멜트 필름이 일체로 부착되어 유선형 재단 공정이 수행된다면 모든 원단의 재단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유선형 칼날은 S형, Z형, C형을 포함하여 재단된 후 양쪽 가장자리의 좌우 모양이 같도록 재단되는 칼날 형태로 구성되어, 원단이 낭비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상기 칼날은 유선형 칼날로, 상기 대폭 원단(100)을 양쪽 가장자리가 직선이 아닌 S형태, Z형태, C형태를 포함하는 굴곡이 있는 유선형의 소폭 원단으로 재단하여, 원사의 방향과 재단면이 다르게 되므로 가장자리의 올 풀림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재단된 소폭 원단은 히팅 롤러에 의하여 양쪽 가장자리 부분(120a)에 발생하게 되는 변사가 열 융합되어 다시 한 번 가장자리의 올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사가 열 융합되게 하는 과정에서 히팅 롤러의 접촉부에 새겨진 문양에 의하여 가장자리에 문자 또는 무늬(130)가 새겨지며 또 한 번 가장자리의 올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재단되기 전 유선형 소폭 재단 위치(110) 표면에 핫멜트 필름이 일체로 부착되어 유선형 재단 공정이 수행된다면 이후 가장자리에 열융합 및 문자 또는 무늬가 새겨지는 과정을 수행하지 않아도 올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새로운 공정이 추가되는 것이 아니고, 재단시 기존 공정의 재단 방식을 일자형이 아니라 유선형으로 재단되도록 변형한 것으로, 간단한 공정을 통해 올 풀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얇고 올풀림이 심한 원단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원단들에 적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100 : 대폭 원단
110 : 유선형 소폭 재단위치
120 : 유선형 소폭 원단
120a : 가장자리 부분 120b : 가장자리 부분이 열융합된 열융합부
130 : 문자 또는 무늬
140 : 리본형 직물

Claims (6)

  1. 대폭 원단(100)을 준비하는 단계(S10)와;

    상기 준비된 대폭 원단(100)을 리본형 직물(140) 제조장치에 장착하는 단계(S20)와;

    상기 리본형 직물(140) 제조장치에 장착된 상기 대폭 원단(100)은 유선형 칼날에 의하여 유선형 소폭 재단위치(110)에 따라 유선형 소폭 원단(120)으로 재단되는 단계(S30)와;

    상기 유선형 소폭 원단(120)은 재단된 양쪽 가장자리 부분(120a)의 변사들이 히팅 롤러에 의하여 열 융합되는 단계(S40)와;

    상기 열 융합된 유선형 소폭 원단(120)은 상기 유선형 소폭 원단(120)의 가장자리 부분(120a)이 통과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히팅 롤러의 외주 상에 문양이 형성된 접촉부에 의하여 상기 가장자리 부분(120a)에 문자 또는 무늬(130)가 새겨지는 단계(S50); 를 포함하며,

    상기 대폭 원단(100)은 합성직물, 면직물, 마직물, 광목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고,

    상기 유선형 칼날은 칼날의 두께가 0.2~0.7㎜이고, 칼날의 형태가 S형, Z형, C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유선형 소폭 재단위치(110)는 재단되기 전 유선형 소폭 재단위치(110) 표면에 핫멜트 필름이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유선형 소폭 원단(120)은 상기 대폭 원단(100)이 상기 유선형 칼날에 의하여 양쪽 가장자리가 직선이 아닌 굴곡이 있는 유선형으로 재단되며,

    상기 유선형 소폭 원단(120)은 상기 유선형 칼날에 의하여 유선형 소폭 원단(120)으로 재단되되, 재단된 양쪽 가장자리 부분(120a)의 변사들이 상기 히팅 롤러에 의하여 가열 가압에 의한 열융합을 통해 열융합부(120b)를 형성하며, 상기 접촉부에 의하여 문자 또는 무늬(130)가 형성되는 것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 풀림을 방지하는 리본형 직물의 재단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40021025A 2014-02-24 2014-02-24 올 풀림을 방지하는 리본형 직물의 재단방법 KR101539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025A KR101539529B1 (ko) 2014-02-24 2014-02-24 올 풀림을 방지하는 리본형 직물의 재단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025A KR101539529B1 (ko) 2014-02-24 2014-02-24 올 풀림을 방지하는 리본형 직물의 재단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9529B1 true KR101539529B1 (ko) 2015-07-27

Family

ID=53875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1025A KR101539529B1 (ko) 2014-02-24 2014-02-24 올 풀림을 방지하는 리본형 직물의 재단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95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3659B1 (ko) 2016-12-05 2017-07-04 임문식 바지 속주머니 원단 열재단 장치
KR101892655B1 (ko) 2017-09-14 2018-08-28 이만수 배너 가공방법
CN110453483A (zh) * 2019-08-14 2019-11-15 厦门奔力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复合布料收边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1258A (ko) * 2000-08-01 2002-02-08 이재명 화환용 이중 한지 레이스 리본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25142A (ko) * 2003-05-13 2005-03-11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르 의료
JP3129453U (ja) * 2006-11-30 2007-02-22 株式会社タケダレース 房部を有する経編レース地
KR101228132B1 (ko) * 2012-05-11 2013-02-13 두지산업 주식회사 리본형 직물 및 리본형 직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1258A (ko) * 2000-08-01 2002-02-08 이재명 화환용 이중 한지 레이스 리본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25142A (ko) * 2003-05-13 2005-03-11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르 의료
JP3129453U (ja) * 2006-11-30 2007-02-22 株式会社タケダレース 房部を有する経編レース地
KR101228132B1 (ko) * 2012-05-11 2013-02-13 두지산업 주식회사 리본형 직물 및 리본형 직물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3659B1 (ko) 2016-12-05 2017-07-04 임문식 바지 속주머니 원단 열재단 장치
KR101892655B1 (ko) 2017-09-14 2018-08-28 이만수 배너 가공방법
CN110453483A (zh) * 2019-08-14 2019-11-15 厦门奔力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复合布料收边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9529B1 (ko) 올 풀림을 방지하는 리본형 직물의 재단방법
US4311542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rip-shaped composite body
ES2665882T3 (es) Método para fabricar una etiqueta mediante material reciclado
KR100925549B1 (ko) 리본형 직물 및 리본형 직물 제조장치
WO2022097593A1 (ja) ポリエステル系織物面ファスナ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3283684B1 (fr) Procede de transfert a chaud sur textile et complexe multicouche expansible pour ce procede
JP6261723B2 (ja) リボン型織物
US11051587B2 (en) Multicolored agl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A1050871A (en) Method for producing bonded carpeting
KR101140571B1 (ko) 원단 리본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와 이를 통해 제조된 원단 리본
RU2680766C9 (ru) Трикотажная пряжа для ручного вязания и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JP6134222B2 (ja) 布製ワッペン基材の製造法
JP2007289082A (ja) 装飾付き釣竿
CN108382032A (zh) 变色织带
US2125838A (en) Narrow fabric
JP3859690B1 (ja) 布又は布製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491665B2 (en) Method of making a textile material and textile material made thereby
KR200457164Y1 (ko) 장식띠
EP1358370B1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ing of a cork yarn, yarn and fabric thereby obtained
JP3138648U (ja) プリーツリボン
WO2007118727A2 (en) A process for manufacturing a breathable thermoadhesive transfer, for application onto a fabric or onto other materials, and a breathable thermoadhesive transfer obtained
US4297156A (en) Process for manufacture of wall coverings and wall coverings thus obtained
KR102451798B1 (ko) 분할이 용이한 양면접착 테이프 자동 제조방법 및 시스템
JP2004232161A (ja) 裂織の方法
JP3183611U (ja) 布地リボン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