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7461B1 - 엘리베이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7461B1
KR101537461B1 KR1020137028627A KR20137028627A KR101537461B1 KR 101537461 B1 KR101537461 B1 KR 101537461B1 KR 1020137028627 A KR1020137028627 A KR 1020137028627A KR 20137028627 A KR20137028627 A KR 20137028627A KR 101537461 B1 KR101537461 B1 KR 101537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
elevator
driving direction
congested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8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5312A (ko
Inventor
유키히로 후루타니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05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7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7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02Indicators
    • B66B3/006Indicators for guiding passengers to their assigned elevator car

Abstract

건물에 복수의 엘리베이터 뱅크가 존재하는 경우에, 각 뱅크의 혼잡 상황에 따라서, 엘리베이터 이용자를 적절히 유도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시스템은 건물의 소정의 층상에 마련된 승강장 표시기와, 뱅크 부하 판정 수단을 구비한다. 승강장 표시기는 소정의 뱅크의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배치된다. 뱅크 부하 판정 수단은 승강장 표시기가 설치된 층상의 각 엘리베이터 칸 내 부하율을 운전 방향마다 관리하여, 그 층상의 각 뱅크의 혼잡 상황을 운전 방향마다 판정한다. 또, 뱅크 부하 판정 수단은 승강장 표시기를 구비한 뱅크가 소정의 운전 방향에서 혼잡하고, 또한 동일 운전 방향에서 혼잡하지 않은 다른 뱅크가 존재하는 경우는, 상기 승강장 표시기에 혼잡한 운전 방향과 다른 뱅크로의 안내도를 표시시킨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시스템{ELEVATOR SYSTEM}
본 발명은 복수의 엘리베이터 뱅크가 존재하는 건물에 있어서, 이용자를 적절히 유도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하기 특허 문헌 1 및 2에는, 엘리베이터의 이용자를 유도하기 위한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시스템에서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으로 통하는 통로에, 표시 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또, 이 시스템에서는, 등록된 호출의 수에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혼잡 상황을 검출하고 있다. 엘리베이터가 혼잡한 것이 검출되었을 경우는, 표시 장치에 그 정보를 표시하고, 이용자를 계단이 있는 방향으로 유도하고 있다.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시스템에서는, 그룹 관리되고 있는 엘리베이터의 각 승강장 출입구 근방에, 표시 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표시 장치에는, 대응하는 엘리베이터의 운전 상황이 표시된다. 엘리베이터의 이용자는 표시 장치의 표시 내용을 보고, 어느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면 좋은지를 판단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일본 특개소 58-31878호 공보 특허 문헌 2:일본 특개평 8-26609호 공보
복수의 엘리베이터 뱅크가 존재하는 백화점과 같은 건물에서는, 예를 들면, 행사가 행해지면, 뱅크 사이에서 이용자 수에 편향이 생겨 버린다. 특허 문헌 1 및 2에 기재된 시스템에서는, 이와 같은 경우에 이용자를 적절히 유도할 수 없었다. 예를 들면, 건물 내에서 행사가 개최된 경우, 특정의 뱅크에서는, 행사의 개시 직전과 종료 직후에, 이용자 수가 급증한다. 이 때문에, 로비층과 행사 회장이 되는 층의 사이의 층에서는, 이용자가 승강장에서 장시간 기다리게 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것에서는, 등록된 호출의 수에 따라 엘리베이터가 혼잡한지 여부를 판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 내의 혼잡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었다. 또, 이용자는 표시 장치의 표시 내용으로부터 어느 쪽의 운전 방향이 혼잡한지, 계단이 어디에 있는지와 같은 구체적 내용을 파악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술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건물에 복수의 엘리베이터 뱅크가 존재하는 경우에, 각 뱅크의 혼잡 상황에 따라서, 엘리베이터 이용자를 적절히 유도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복수의 엘리베이터 뱅크가 존재하는 건물에 있어서, 이용자를 유도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으로서, 건물의 소정의 층상에 설치되고, 소정의 뱅크의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배치된 승강장 표시기와, 승강장 표시기가 설치된 층상의 각 엘리베이터 칸 내 부하율을 운전 방향마다 관리하고, 그 층상의 각 뱅크의 혼잡 상황을 운전 방향마다 판정하는 뱅크 부하 판정 수단을 구비하고, 뱅크 부하 판정 수단은 승강장 표시기를 구비한 뱅크가 소정의 운전 방향에서 혼잡하고, 또한 동일 운전 방향에서 혼잡하지 않은 다른 뱅크가 존재하는 경우는, 승강장 표시기에 혼잡한 운전 방향과 다른 뱅크로의 안내도를 표시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물에 복수의 엘리베이터 뱅크가 존재하는 경우에, 각 뱅크의 혼잡 상황에 따라서, 엘리베이터 이용자를 적절히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뱅크 부하 판정 장치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승강장 표시기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첨부 도면에 따라서 이것을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고, 그 중복 설명은 적당하게 간략화 내지 생략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시스템은 복수의 엘리베이터 뱅크가 존재하는 건물에 적용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A 내지 C로 나타내는 3개의 뱅크가 건물에 존재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을 행한다.
도 1에 있어서, 1은 복수대의 엘리베이터를 한 그룹으로서 관리하는 그룹 관리 장치이다. 본 시스템에는, 뱅크의 수에 대응하여, 3대의 그룹 관리 장치(1)가 구비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각 뱅크의 구성을 개별적으로 특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 부호의 뒤에 A 내지 C 중 어느 쪽인지를 부여하여 표기한다. 예를 들면, 뱅크 A의 그룹 관리 장치는 1A, 뱅크 B의 그룹 관리 장치는 1B, 뱅크 C의 그룹 관리 장치는 1C로 표기한다. 다른 구성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2는 그룹 관리 장치(1)에 의해서 관리되는 제어 장치이다. 제어 장치(2)는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제어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뱅크에 3대의 엘리베이터가 구비되어 있다. 즉, 각 그룹 관리 장치(1)는 3대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2))를 관리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제어 장치(2)를 개별적으로 특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 뱅크 기호의 뒤에 호기 번호를 부여하여 표기한다. 예를 들면, 뱅크 A의 1호기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는 2A1, 뱅크 B의 2호기의 제어 장치는 2B2, 뱅크 C의 3호기의 제어 장치는 2C3로 표기한다.
각 제어 장치(2)에는, 부하율 연산 수단(3), 통신 제어 수단(4), 표시 제어 수단(5)이 구비되어 있다.
부하율 연산 수단(3)은 대응하는 엘리베이터 칸 내의 부하율을 연산한다. 부하율 연산 수단(3)은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장에 정지하면, 엘리베이터 칸에 승강하는 인원수를 검출하여, 엘리베이터 칸 내에 있는 사람의 수를 특정한다. 승강자 수의 검출은,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 내 카메라로부터의 영상, 도어 센서나 저울 장치의 계측 결과에 기초하여 행한다. 부하율 연산 수단(3)은 특정한 엘리베이터 칸 내 인원수와 엘리베이터 칸의 정원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칸 내 부하율을 산출한다.
통신 제어 수단(4)은 엘리베이터 칸이 각 층을 통과할 때에, 후술의 뱅크 부하 판정 장치(7)에 엘리베이터 칸 부하 정보를 송신한다. 엘리베이터 칸 부하 정보에는, 부하율 연산 수단(3)에 의해서 연산된 엘리베이터 칸 내 부하율과, 그때의 운전 방향(엘리베이터 칸의 이동 방향)이 포함된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장을 통과하는 경우, 통신 제어 수단(4)은 엘리베이터 칸이 그 승강장의 착상 위치(높이)에 이르렀을 때에, 엘리베이터 칸 부하 정보를 뱅크 부하 판정 장치(7)에 송신한다.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장에 정지하는 경우, 통신 제어 수단(4)은 엘리베이터 칸이 그 승강장으로부터 출발할 때에, 엘리베이터 칸 부하 정보를 뱅크 부하 판정 장치(7)에 송신한다.
6은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에 마련된 승강장 표시기이다. 승강장 표시기(6)는 각 엘리베이터의 각 승강장에 설치되어 있다. 표시 제어 수단(5)은 대응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표시기(6)의 표시를 제어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승강장 표시기(6)를 개별적으로 특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 뱅크 기호와 호기 번호의 뒤에, 층상 기호를 부여하여 표기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건물의 모든 층상(1F ~ 8F)에 승강장 표시기(6)를 설치하고 있다. 예를 들면, 건물의 2층(2F)에 설치된 승강장 표시기 중, 뱅크 A의 1호기의 승강장에 배치된 것은 6A1-2F, 뱅크 A의 2호기의 승강장에 배치된 것은 6A2-2F라고 표기한다. 마찬가지로, 건물의 8층(8F)에 설치된 승강장 표시기 중, 뱅크 C의 3호기의 승강장에 배치된 것은 6C3-8F라고 표기한다.
뱅크 부하 판정 장치(7)는 각 뱅크의 혼잡 상황을, 층상마다 및 운전 방향마다 판정한다. 뱅크 부하 판정 장치(7)는 각 그룹 관리 장치(1)에 접속되어 있고, 대응하는 그룹 관리 장치(1)를 경유하여, 각 제어 장치(2)의 통신 제어 수단(4)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칸 부하 정보를 수신한다.
뱅크 부하 판정 장치(7)에는 기억 수단(8), 판정 수단(9), 표시 지령 수단(10)이 구비되어 있다.
도 2는 뱅크 부하 판정 장치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기억 수단(8)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엘리베이터 칸 내 부하율이 층상마다 및 운전 방향마다 기억되어 있다. 뱅크 부하 판정 장치(7)는 통신 제어 수단(4)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칸 부하 정보를 수신하면, 기억 수단(8)에 기억되어 있는 대응하는 엘리베이터 칸 내 부하율을 갱신하고, 그 값을 항상 최신 상태로 해 둔다.
판정 수단(9)은 기억 수단(8)에서 관리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칸 내 부하율에 기초하여, 각 뱅크의 혼잡 상황을 층상마다 및 운전 방향마다 판정한다. 판정 수단(9)은, 예를 들면, 뱅크 내의 엘리베이터 칸 내 부하율이, 동일 층상의 한쪽의 운전 방향에서 모두 소정치 이상이고, 또한 그 상태가 소정 시간 계속된 경우에, 그 뱅크의 그 층상에 대해서, 상기 한쪽의 운전 방향에서 혼잡한(소정의 혼잡 상태인) 것을 판정한다.
표시 지령 수단(10)은 승강장 표시기(6)에 소정의 내용을 표시시키기 위한 지령(표시 지령)을 출력한다. 표시 지령 수단(10)은 판정 수단(9)의 판정 결과에 따라서, 적절한 내용의 표시 지령을 출력한다. 각 제어 장치(2)의 표시 제어 수단(5)은 표시 지령 수단(10)으로부터 표시 지령을 수신하면, 대응하는 승강장 표시기(6)에 그 수신 내용에 따른 표시를 행하게 한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도 참조하여, 상기 구성을 가지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4는 승강장 표시기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각 제어 장치(2)에서는, 대응하는 엘리베이터 칸이 층상을 통과할 때에, 통신 제어 수단(4)이 뱅크 부하 판정 장치(7)에 대해서 엘리베이터 칸 부하 정보를 송신한다. 뱅크 부하 판정 장치(7)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부하 정보를 수신하면(S101), 그 수신 내용에 기초하여, 기억 수단(8)에 기억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칸 내 부하율의 갱신을 행한다.
판정 수단(9)은 뱅크 부하 판정 장치(7)가 엘리베이터 칸 부하 정보를 수신하면, 그 수신한 엘리베이터 칸 내 부하율이 높은지 여부를 판정한다(S102). 예를 들면, 판정 수단(9)은 수신한 엘리베이터 칸 내 부하율이 소정치(예를 들면, 80%) 이상인 경우에, 그 층상 및 그 운전 방향의 엘리베이터 칸 내 부하율이 높은 것을 검출한다.
판정 수단(9)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칸 내 부하율이 낮다(예를 들면, 80% 미만)고 판정된 경우(S102의 No), 그 엘리베이터의 표시 제어 수단(5)은 당해 층상에 설치된 승강장 표시기(6)의 표시를 특별히 변경하지는 않는다. 지금까지의 승강장 표시기(6)의 표시가 통상의 내용이면, 표시 제어 수단(5)은 그 통상 표시를 계속시킨다(S103). 예를 들면, 뱅크 A의 1호기의 2층의 엘리베이터 칸 내 부하율이 하방향에서 10%이면(도 2 참조), 제어 장치(2A1)의 표시 제어 수단(5)은 승강장 표시기(6A-2F)에 소정의 통상 내용을 표시시킨다. 이러한 경우, 표시 지령 수단(10)은 제어 장치(2A1)에 소정의 표시 지령을 출력해도 좋고, 출력하지 않아도 좋다.
통신 제어 수단(4)으로부터 수신한 엘리베이터 칸 내 부하율이 높은 경우(S102의 Yes), 판정 수단(9)은 그 뱅크 내의 동일 층상에 있어서, 동일 운전 방향의 엘리베이터 칸 내 부하율이 모두 높은(예를 들면, 80% 이상)지 여부를 판정한다(S104). 상기 동일 운전 방향의 엘리베이터 칸 내 부하율 중에 낮은(예를 들면, 80% 미만) 것이 존재하는 경우(S104의 No), 그 엘리베이터의 표시 제어 수단(5)은 당해 층상에 설치된 승강장 표시기(6)의 표시를 특별히 변경하지는 않는다(S103).
예를 들면, 뱅크 B의 3호기의 2층의 엘리베이터 칸 내 부하율이 하방향에서 80%이면(도 2 참조), 판정 수단(9)은 엘리베이터 칸 내 부하율이 높다고 판정한다(S102의 Yes). 뱅크 B의 2층의 타호기의 엘리베이터 칸 내 부하율은, 1호기는 하방향에서 50%, 2호기는 하방향에서 40%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다른 호기 중에 엘리베이터 칸 내 부하율이 낮은 것이 존재하기 때문에, 제어 장치(2B3)의 표시 제어 수단(5)은 승강장 표시기(6B3-2F)의 표시를 변경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어 장치(2B3)의 표시 제어 수단(5)은 승강장 표시기(6B3-2F)에, 그때까지와 마찬가지로 통상의 내용을 표시시킨다.
뱅크 내의 동일 층상에 있어서, 동일 운전 방향의 엘리베이터 칸 내 부하율이 모두 높은(이하, 이러한 상태를 「고부하 상태」라고도 함) 경우(S104의 Yes), 판정 수단(9)은 그 고부하 상태가 장시간 계속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105). 예를 들면, 판정 수단(9)은 상기 고부하 상태가 소정의 시간(예를 들면, 15분 ) 이상 계속되고 있는 경우에, 그 뱅크의 당해 층상이 상기 운전 방향에서 혼잡하다는 것을 검출한다.
판정 수단(9)에 의해서 당해 층상이 혼잡하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S105의 No), 그 엘리베이터의 표시 제어 수단(5)은 당해 층상에 설치된 승강장 표시기(6)의 표시를 특별히 변경하지는 않는다(S103).
예를 들면, 뱅크 A의 1호기의 7층의 엘리베이터 칸 내 부하율이 하방향에서 90%이면(도 2 참조), 판정 수단(9)은 엘리베이터 칸 내 부하율이 높다고 판정한다(S102의 Yes). 뱅크 A의 7층의 다른 호기의 엘리베이터 칸 내 부하율은, 2호기 및 3호기와도 하방향에서 90%이다. 이 때문에, 판정 수단(9)은, 뱅크 A에 있어서 7층의 하방향이 고부하 상태라고 판정한다. 그러나 이 고부하 상태가 15분 이상 계속되고 있지 않으면, 판정 수단(9)은 뱅크 A의 7층이 하방향에서 혼잡하지 않다고 판정한다. 이러한 경우, 제어 장치(2A1 내지 2A3)의 각 표시 제어 수단(5)은, 승강장 표시기(6A1-7F, 6A2-7F, 6A3-7F)의 표시를 변경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어 장치(2A1)의 표시 제어 수단(5)은 승강장 표시기(6A1-7F)에, 그때까지와 마찬가지로 통상의 내용을 표시시킨다.
뱅크 내에 있는 층상이 소정의 운전 방향에서 혼잡한 경우(S105의 Yes), 판정 수단(9)은 동일한 층상 및 동일한 운전 방향에서, 엘리베이터 칸 내 부하율의 낮은 엘리베이터가 존재하는 다른 뱅크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106).
상기 예에 있어서, 뱅크 A의 7층에서 하방향의 고부하 상태가 15분 이상 계속되고 있는 경우, 판정 수단(9)은 뱅크 A의 7층에서 하방향이 혼잡한 것을 판정한다(S105의 Yes). 다른 뱅크의 동일 층상 및 동일 운전 방향의 엘리베이터 칸 내 부하율은, 예를 들면, 뱅크 B의 1호기는 80%, 뱅크 C의 1호기는 30%이다. 즉, 뱅크 C(다른 뱅크)에는, 엘리베이터 칸 내 부하율이 낮은 엘리베이터가 존재한다(S106의 Yes). 이러한 경우, 제어 장치(2A1 내지 2A3)의 각 표시 제어 수단(5)은, 승강장 표시기(6A1-7F, 6A2-7F, 6A3-7F)에, 그 층상에서 혼잡이 발생하고 있는 운전 방향과, 엘리베이터 칸 내 부하율이 낮은 엘리베이터가 존재하는 뱅크 C로의 안내도를 표시시킨다(S107).
도 4는 이때의 승강장 표시기(6A1-7F)의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11은, 건물의 7층에 설치된 뱅크 A의 1호기의 승강장 도어, 12는 승강장 도어(11)의 근방에 설치된 승강장 버튼이다. 승강장 표시기(6A1-7F)에는, 건물의 7층의 평면도가 표시되어 현재 위치(뱅크 A)로부터 뱅크 C까지의 이동 경로를 나타내는 화살표가, 상기 평면도에 겹쳐서 표시되어 있다. 또, 승강장 표시기(6A1-7F)에는, 뱅크 A에서 혼잡한 운전 방향이, 상기 평면도의 아래에, 문자에 의해서 표시되어 있다.
승강장 표시기(6A1-7F)의 표시를 본 이용자는, 뱅크 C가 비어 있는 것을 이해하여, 뱅크 C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예에 있어서, 뱅크 C의 모든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7층의 하방향의 엘리베이터 칸 내 부하율이 80% 이상이었을 경우는, 다른 뱅크에 엘리베이터 칸 내 부하율이 낮은 엘리베이터는 존재하지 않는다(S106의 No). 이러한 경우, 제어 장치(2A1 내지 2A3)의 각 표시 제어 수단(5)은 승강장 표시기(6A1-7F, 6A2-7F, 6A3-7F)에, 그 층상에서 혼잡이 발생하고 있는 운전 방향과, 건물 내의 계단 혹은 에스컬레이터로의 안내도를 표시시킨다(S108). 예를 들면, 승강장 표시기(6A1-7F)에 건물의 7층의 평면도를 표시하고, 현재 위치(뱅크 A)로부터 에스컬레이터까지의 이동 경로를 나타내는 화살표를, 상기 평면도에 겹쳐서 표시한다. 또, 승강장 표시기(6A1-7F)에, 뱅크 A에서 혼잡한 운전 방향을, 상기 평면도의 아래에, 문자에 의해서 표시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처리는, 소정의 주기로 각 엘리베이터 칸 내 부하율에 대해서 실시해도 좋다.
또, 상기 S106에서는, 판정 수단(9)은 동일한 층상 및 동일한 운전 방향에서, 혼잡하지 않은 다른 뱅크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해도 좋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이면, 건물에 복수의 엘리베이터 뱅크가 존재하는 경우에, 각 뱅크의 혼잡 상황에 따라서, 엘리베이터 이용자를 적절히 유도할 수 있다. 특히, 운전 방향별로 각 뱅크의 혼잡 상황을 검출하고 있기 때문에, 한쪽 운전 방향으로만 혼잡이 발생하고 있을 때에 역방향의 이용자를 다른 뱅크로 유도해 버릴 일은 없고, 서비스성이 저하될 우려도 없다. 또, 모든 뱅크가 혼잡한(부하가 높은) 경우는, 이용자를 계단이나 에스컬레이터의 설치 장소로 적절히 유도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뱅크 부하 판정 장치(7)를 각 그룹 관리 장치(1)에 접속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일례를 나타낸 것이며, 뱅크 부하 판정 장치(7)의 각 기능을 그룹 관리 장치(1)에 구비시켜도 좋다. 이러한 경우는, 뱅크 부하 판정 장치(7)로서 독립의 기기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승강장 표시기(6)를 각 엘리베이터의 각 승강장에 설치하고 있지만, 승강장 표시기(6)를 각 층상의 각 뱅크에 설치해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는 것은 가능하다.
실시 형태 2.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에,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시스템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다.
S201 내지 S206에 도시된 처리는, 도 3의 S101 내지 S106에 도시된 처리와 같다.
S206에 있어서, 동일한 층상 및 동일한 운전 방향에서, 엘리베이터 칸 내 부하율이 낮은 엘리베이터가 존재하는 다른 뱅크가 있는 경우, 판정 수단(9)은 당해 뱅크에 있어서, 혼잡한 층상(혼잡층)이 동일 운전 방향에서 연속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207). 예를 들면, 뱅크 A의 7층에서 하방향의 고부하 상태가 15분 이상 계속되고, 뱅크 C(다른 뱅크)의 7층에, 하방향에서 엘리베이터 칸 내 부하율이 낮은 엘리베이터가 존재하는 경우(도 2 참조), 판정 수단(9)은 뱅크 A의 7층의 상방층 및 하방층에 있어서, 하방향이 혼잡한지 여부를 판정한다.
도 2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뱅크 A의 8층 및 6층에서 하방향의 고부하 상태가 15분 이상 계속되고 있는 경우, 6층 내지 8층이 연속하는 혼잡층에 해당한다(S207의 Yes). 이러한 경우, 제어 장치(2A1 내지 2A3)의 각 표시 제어 수단(5)은, 6층 및 7층에 설치된 승강장 표시기(6)(6A1-6F, 6A2-6F, 6A3-6F, 6A1-7F, 6A2-7F, 6A3-7F)에, 그 층상에서 혼잡이 발생하고 있는 운전 방향과, 엘리베이터 칸 내 부하율이 낮은 엘리베이터가 존재하는 뱅크 C로의 안내도를 표시시킨다. 한편, 제어 장치(2A1 내지 2A3)의 각 표시 제어 수단(5)은, 혼잡의 시작이 되는 8층의 승강장 표시기(6)(6A1-8F, 6A2-8F, 6A3-8F)에는, 상기 운전 방향이나 안내도를 표시시키지 않는다(S208).
또한, 뱅크 A의 8층 및 6층의 양쪽에서 하방향이 혼잡하지 않은 경우(즉, 하방향에서, 연속하는 복수의 층상에 걸쳐서 혼잡이 발생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도 3의 S107의 처리와 같다. 제어 장치(2A1 내지 2A3)의 각 표시 제어 수단(5)은, 승강장 표시기(6A1-7F, 6A2-7F, 6A3-7F)에, 그 층상에서 혼잡이 발생하고 있는 운전 방향과, 엘리베이터 칸 내 부하율이 낮은 엘리베이터가 존재하는 뱅크 C로의 안내도를 표시시킨다(S209).
또, 판정 수단(9)은 S206에 있어서 No의 판정을 행하는 경우도, 다음으로, S207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한다(S210). 그리고 당해 뱅크에 있어서, 연속하는 복수의 층상에 걸쳐서 혼잡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는(S210의 Yes), 혼잡의 시작이 되는 층 이외의 혼잡층의 승강장 표시기(6)에, 그 층상에서 혼잡이 발생하고 있는 운전 방향과, 건물 내의 계단 혹은 에스컬레이터로의 안내도를 표시시킨다(S211). 또, 혼잡층이 동일 운전 방향에서 연속하지 않은 경우는(S210의 No), 혼잡층의 승강장 표시기(6)에 그 층상에서 혼잡이 발생하고 있는 운전 방향과, 건물 내의 계단 혹은 에스컬레이터로의 안내도를 표시시킨다(S212).
상기 구성을 가지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이면, 혼잡의 시작이 되는 층의 이용자에게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하게 하고, 대기 시간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중간층의 이용자만을, 다른 뱅크나 계단으로 적절히 유도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건물에 복수의 엘리베이터 뱅크가 존재하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1: 그룹 관리 장치
2: 제어 장치
3: 부하율 연산 수단
4: 통신 제어 수단
5: 표시 제어 수단
6: 승강장 표시기
7: 뱅크 부하 판정 장치
8: 기억 수단
9: 판정 수단
10: 표시 지령 수단
11: 승강장 도어
12: 승강장 버튼

Claims (5)

  1. 복수의 엘리베이터 뱅크가 존재하는 건물에 있어서, 이용자를 유도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으로서,
    상기 건물의 소정의 층상에 마련되고, 소정의 뱅크의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배치된 승강장 표시기와,
    상기 승강장 표시기가 설치된 층상의 각 엘리베이터 칸 내 부하율을 운전 방향마다 관리하여, 그 층상의 각 뱅크의 혼잡 상황을 운전 방향마다 판정하는 뱅크 부하 판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승강장 표시기는, 소정의 뱅크에 있어서, 각 층상의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마련되고,
    상기 뱅크 부하 판정 수단은,
    상기 승강장 표시기를 구비한 뱅크가 소정의 운전 방향에서 혼잡하고, 또한 동일 운전 방향에서 혼잡하지 않은 다른 뱅크가 존재하는 경우는, 상기 승강장 표시기에 혼잡한 운전 방향과 상기 다른 뱅크로의 안내도를 표시시키고,
    상기 승강장 표시기를 구비한 뱅크가 소정의 운전 방향에서, 연속하는 복수의 층상에 걸쳐서 혼잡한 경우는, 동일 운전 방향에서 혼잡하지 않은 다른 뱅크가 동일 층상에 존재하는 경우라도, 혼잡이 시작되는 층상의 상기 승강장 표시기에는, 혼잡한 운전 방향과 상기 다른 뱅크로의 안내도를 표시시키지 않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2. 복수의 엘리베이터 뱅크가 존재하는 건물에 있어서, 이용자를 유도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으로서,
    상기 건물의 소정의 층상에 마련되고, 소정의 뱅크의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배치된 승강장 표시기와,
    상기 승강장 표시기가 설치된 층상의 각 엘리베이터 칸 내 부하율을 운전 방향마다 관리하여, 그 층상의 각 뱅크의 혼잡 상황을 운전 방향마다 판정하는 뱅크 부하 판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뱅크 부하 판정 수단은,
    동일 뱅크 내의 엘리베이터 칸 내 부하율이 동일 층상의 한쪽의 운전 방향에서 모두 소정치 이상이고, 또한 그 상태가 소정 시간 계속되었을 경우에, 그 뱅크의 그 층상에 대해서, 상기 한쪽의 운전 방향에서 혼잡한 것을 판정하고,
    상기 승강장 표시기를 구비한 뱅크가 소정의 운전 방향에서 혼잡하고, 또한 동일 운전 방향에서 혼잡하지 않은 다른 뱅크가 존재하는 경우는, 상기 승강장 표시기에 혼잡한 운전 방향과 상기 다른 뱅크로의 안내도를 표시시키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뱅크 부하 판정 수단은, 상기 승강장 표시기를 구비한 뱅크가 소정의 운전 방향에서 혼잡하고, 또한 동일 층상 및 동일 운전 방향에서 엘리베이터 칸 내 부하율이 소정치 미만인 다른 뱅크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승강장 표시기에 혼잡한 운전 방향과 상기 다른 뱅크로의 안내도를 표시시키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4. 삭제
  5. 삭제
KR1020137028627A 2011-04-26 2011-04-26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15374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1/060146 WO2012147160A1 (ja) 2011-04-26 2011-04-26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312A KR20140005312A (ko) 2014-01-14
KR101537461B1 true KR101537461B1 (ko) 2015-07-16

Family

ID=47071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8627A KR101537461B1 (ko) 2011-04-26 2011-04-26 엘리베이터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500312B2 (ko)
KR (1) KR101537461B1 (ko)
CN (1) CN103282297B (ko)
WO (1) WO20121471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44667B (zh) * 2014-12-08 2017-01-11 重庆富士电梯有限责任公司 一种分散布置的电梯运行指示装置
CN110248886B (zh) 2017-02-09 2021-01-12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系统以及电梯系统中的信息提供方法
CN107265229A (zh) * 2017-08-21 2017-10-20 太仓市智联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电梯乘坐规划系统
CN111065593B (zh) * 2017-09-20 2022-09-16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监视装置和电梯系统
CN113460820A (zh) * 2020-03-31 2021-10-01 广东石油化工学院 智能电梯排队引导系统
JP7360995B2 (ja) * 2020-06-04 2023-10-13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昇降機の混雑状況表示システムおよび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06577A (ja) * 1988-10-14 1990-04-18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の制御方法及び装置
JPH06305649A (ja) * 1993-04-27 1994-11-01 Hitachi Ltd エレベータの運行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WO2006006205A1 (ja) * 2004-07-08 2006-01-1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51510B2 (ja) * 2008-12-26 2013-11-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乗り場行先階予約式群管理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KR100959337B1 (ko) * 2009-10-01 2010-05-24 (주)위너테크 승강기 무정차 안내시스템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06577A (ja) * 1988-10-14 1990-04-18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の制御方法及び装置
JPH06305649A (ja) * 1993-04-27 1994-11-01 Hitachi Ltd エレベータの運行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WO2006006205A1 (ja) * 2004-07-08 2006-01-1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47160A1 (ja) 2012-11-01
JPWO2012147160A1 (ja) 2014-07-28
KR20140005312A (ko) 2014-01-14
JP5500312B2 (ja) 2014-05-21
CN103282297A (zh) 2013-09-04
CN103282297B (zh) 2015-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7461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JP4974121B2 (ja) 昇降機システム
JP6012853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101292457B1 (ko)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
JP5523105B2 (ja) エレベータの避難支援装置
FI122222B (fi) Hissijärjestelmä
US9359169B2 (en) Elevator group control system that controls hall destination calls for assigned and non-assigned elevator calls
JP4937762B2 (ja) エレベータの避難支援装置
WO2019087249A1 (ja) エレベーター運行管理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ー運行管理方法
WO2007096969A1 (ja) エレベータの避難支援装置
WO2013030898A1 (ja) エレベーターの車椅子運転装置
JP2007161417A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10018616A1 (ja) エレベータの運転制御装置
JP4311632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CN102126659B (zh) 电梯的营救运行系统
JP6125842B2 (ja) エレベータ運転制御装置
JP2012056697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15107852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の乗場呼びシステム
JP2016222437A (ja) 交通手段案内システム
JP2006193296A (ja) エレベータの火災時運転システム
CN111344244B (zh) 组管理控制装置及组管理控制方法
JP6756681B2 (ja) エレベーター
JP6092498B2 (ja) 空間計測システム及び計測方法、並びに昇降機制御システム
KR20150069033A (ko) 엘리베이터의 알림 시스템
JPWO2006006205A1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