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8307B1 - 일회용 구이기 - Google Patents

일회용 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8307B1
KR101528307B1 KR1020140143546A KR20140143546A KR101528307B1 KR 101528307 B1 KR101528307 B1 KR 101528307B1 KR 1020140143546 A KR1020140143546 A KR 1020140143546A KR 20140143546 A KR20140143546 A KR 20140143546A KR 101528307 B1 KR101528307 B1 KR 101528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arbon
igniter
charcoal
igni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3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나
Original Assignee
김한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나 filed Critical 김한나
Priority to KR1020140143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8307B1/ko
Priority to PCT/KR2014/012699 priority patent/WO2016064027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8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8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8Warming devices generating the heat by exothermic reactions, e.g. heat released by the contact of unslaked lime with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63Small-size, portable barbecues
    • A47J37/0768Disposable barbecue packages containing a quantity of fuel, e.g. charco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회용 구이기 제조방법 및 그 일회용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방이 개방된 통 형상의 하우징에 발화체를 내장하고 상부에 망상체를 결합한 후 밀봉 포장하는 일회용 구이기 제조방법 및 그 일회용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구이기는 바닥부와 측면부에 공기구멍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통 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고 망상체에 올려진 구이물에 화력을 제공하는 발화체와,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가결합된 상태에서 발화체가 내장된 후 완전 결합되어 하우징과 함께 구조물을 이루는 망상체 및 상기 구조물을 밀봉 포장하는 포장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일회용 구이기 {Disposable roaster}
본 발명은 일회용 구이기 제조방법 및 그 일회용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방이 개방된 통 형상의 하우징에 발화체를 내장하고 상부에 망상체를 결합한 후 밀봉 포장하는 일회용 구이기 제조방법 및 그 일회용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주 5일 근무제가 확산되고 야외 활동이 늘어남에 따라, 야외에서 고기 등을 구워먹는 문화도 같이 늘어나고 있다.
이와 같이 야외에서 고기 등을 구워먹기 위해서는 고기 이외에 고기 등을 굽기 위한 불판과 휴대용 가스레인지, 그리고 가스 등을 사전에 준비하여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롭고, 간혹 잃어버리는 불상사가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야외에서 숯불을 이용하는 숯불구이의 경우 연소재인 숯은 착화가 용이하지 아니하여, 일반적으로 신속한 점화를 위해 화약성분을 숯의 표면에 도포하기 때문에, 위생 및 안전상 바람직하지 아니하다.
그리고 숯을 연소시킬 수 있는 수단이 마땅하지 아니하여, 주위에 돌들을 수집하여 간이구조체를 형성한 후, 상기 간이구조체에서 숯을 연소시키는 관계로, 불씨의 유출로 인한 화재의 위험성이 항시 존재하게 된다.
한편, 선행특허문헌 공개특허 제10-2005-0101126호에는 일회용 숯불구이기가 개시되어 있는 바, 이 선행특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망상구조의 불판(20)이 안착되고, 하나 이상의 흡기공(11)이 마련된 내화성 재질의 케이스(10)에 숯(30)이 수용되어, 상기 케이스(10)에 수용된 숯(30)이 착화하여 연소되면서 불판(20)에 안치된 육류를 가열하여 굽도록 구성되고,
상기 망사구조의 불판(20)과 숯(30) 간에는 착화지(40)가 마련되어, 착화지(40)가 점화되면서 숯에 화염이 전파되어 숯이 함께 점화 및 연소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의 바닥면과 숯(30) 간에 철사와 같은 금속선으로 이루어진 망상부재(50)가 마련되고, 평탄한 지반에 숯불구이기(1)를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간이 받침대(60)가 구비된다.
그런데 성기 선행특허는 불판(20), 케이스(10), 망상부재(50)가 따로 마련되어 구조가 복잡하면서 제조원가가 비싸고 숯(30)이 케이스(10) 내부에 수용되는 형태이기 때문에 이동하는 경우 숯이 움직이면서 잘게 부서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제10-2005-0101126호(2005년10월20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휴대가 용이하고 설치가 간편하며 야외활동시 적은 원가로 간단하게 착화하여 고기를 구울 수 있는 일회용 구이기 제조방법 및 그 일회용 구이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입체형 하우징에 발화체를 성형하여 착화지로 감싸거나 상·하부에 위치시킴으로써 제조원가를 줄이면서 이동시 숯과 같은 연소연료의 움직임이나 부서짐을 방지할 수 있는 일회용 구이기 제조방법 및 그 일회용 구이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구이기 제조방법은, (a) 평평한 판을 가압하여 프레스 한 후 하우징과 망상체를 성형하여 하나로 가결합하는 단계;
(b)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망상체에 올려진 구이물에 화력을 제공하는 발화체를 내장하는 단계;
(c) 상기 발화체가 내장된 하우징의 상부에 망상체를 완전 결합하여 구조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d) 상기 구조물을 밀봉 포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구이기 제조방법은, (a) 평평한 판을 가압하여 프레스 한 후 하우징과 망상체를 각각 성형하는 단계;
(b)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망상체에 올려진 구이물에 화력을 제공하는 발화체를 내장하는 단계;
(c) 상기 발화체가 내장된 하우징의 상부에 망상체를 결합하여 구조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d) 상기 구조물을 밀봉 포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구이기는, 바닥부와 측면부에 공기구멍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통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고 망상체에 올려진 구이물에 화력을 제공하는 발화체;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가결합된 상태에서 발화체가 내장된 후 완전 결합되어 하우징과 함께 구조물을 이루는 망상체; 및
상기 구조물을 밀봉 포장하는 포장재;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구이기는, 바닥부와 측면부에 공기구멍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통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고 망상체에 올려진 구이물에 화력을 제공하는 발화체;
상기 발화체가 내장된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어 하우징과 함께 구조물을 이루는 망상체; 및
상기 구조물을 밀봉 포장하는 포장재;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하면, 휴대가 용이하고 설치가 간편하며 야외활동시 적은 원가로 간단하게 착화하여 고기를 구울 수 있다.
또한, 입체형 하우징에 발화체를 성형하여 착화지로 감싸거나 상·하부에 위치시킴으로써 제조원가를 줄이면서 이동시 숯과 같은 연소연료의 움직임이나 부서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일회용 숯불구이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구이기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2에 의해 제조된 일회용 구이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하우징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구이기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구이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는 도 3에 의해 조립된 일회용 구이기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구이기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3은 도 2에 의해 제조된 일회용 구이기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한 판을 가압하여 프레스 한 후 하우징(110)과 망상체(140)를 성형하여 하나로 가결합한다(S202).
이때 판은 철, 스테인리스, 구리, 알루미늄,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아연, 구리, 스테인리스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재질로 도금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상부가 개방된 원형 또는 삼각, 사각, 하트 등의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은 측면에 요철(111)을 형성하여 하우징을 더 튼튼하게 보강할 수 있고, 화력을 유도하거나 발화체(120)의 고정을 돕기 위해 하우징(110) 바닥에 요철(112)을 형성할 수도 있다(도 4 참조).
또한, 하우징(11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발화가 원활할 수 있도록 하우징(110)의 측면부나 바닥부에 공기구멍(113)을 다수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망상체(140)는 망상체 위에 올려진 구이물 즉, 고기가 구워지면서 망상체(140)에 달라붙는 것을 최소화하고 망상체와 고기와의 접촉면적을 줄이면서 그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요철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망상체(140)는 종횡으로 배열되어 망상체를 구성하는 철심에 V자의 요홈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하여 요홈을 따라 고기의 기름이 흐르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에 더해 하우징(110)과 망상체(140)의 녹을 방지하거나 부식을 막기 위해 그 표면을 코팅 처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하우징(110)과 망상체(140)가 하우징의 일측 상부에서 힌지 결합되어 하나로 연결되는 것을 보여준다.
다음 이와 같이 제조된 하우징(110)의 내부에, 망상체(140)에 올려진 구이물에 화력을 제공하는 발화체(120)를 내장한다(S204).
상기 발화체(120)는 착화탄, 숯, 탄(연탄, 조개탄 포함)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재질을 성형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착화탄은 숯+탄+황토+규조토 등으로 사용하여 원적외선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고, 신속하게 착화할 수 있도록 착화탄을 주정 알콜에 적신 후 밀봉하거나, 파라핀을 일정량 혼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화탄은 연탄처럼 하나의 덩어리로 성형하여 그 내부에 구멍(122)을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에 더해 상기 발화체(120)의 착화를 돕기 위해 착화지(130)를 발화체(12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시키거나, 주머니 형태로 만들어 발화체(120)를 감싸도록 하여 더 빠르게 착화할 수도 있다.
다음 발화체(120)와 착화지(120)가 내장된 하우징(110)의 상부에 망상체(140)를 완전 결합하여 구조물(100)을 제조한다(S206).
이때 망상체(140)와 하우징(110)을 더 견고하게 완전 결합하기 위해 시밍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상기 망상체(140)와 하우징(110)의 결합 방법은 시밍기 등을 이용하여 캔처럼 접합하는 방법과, 페인트의 뚜껑처럼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는 방법, 라사지를 주어 라사처럼 결합하는 방법, 함지박처럼 뚜껑에 키를 주어 굳게 닫는 방법, 강아지 사료의 캔처럼 접착제를 사용하여 결합하는 방법 등이 있고, 이 결합 방법들이 제조 공정에서 가격을 낮출 수 있는 관건이 된다.
또한, 상기 망상체(140)나 발화체(120)의 간격을 1mm~50mm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간격이 1mm 이하이면 구이물이 발화체에 접촉될 우려가 있고, 50mm 이상이면 잘 구워지지 않게 된다.
상기 하우징(110)과 망상체(140)의 결합시 상기 망상체(140)만을 별도로 오려 하우징의 내부에 넣어서 고정시킬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이와 같이 제조된 구조물(100)을 포장하여 일회용 구이기의 제조가 완료된다(S208).
이때 구조물은 비닐로 밀봉 포장할 수 있다.
더 단순한 방법으로 포장하기 위해 비닐 포장을 피하고 하우징(110)의 측면부나 바닥부에 공기구멍(113)과 망상체(140)를, 즉 외부와 연통되는 구조물 부위를테이프 등으로 접합하여 밀봉할 수도 있다.
또한, 더 견고하게 포장하기 위해 망상체(140) 상부에 캔 뚜껑 등을 설치하여 공기구멍(113)은 테이프 등으로 막고, 망상체(140)는 캔 뚜껑으로 막아, 소비자는 일회용 캔을 따듯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일회용 구이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와 측면부에 공기구멍(133)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고 착화탄, 숯, 탄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재질을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발화체(120)와, 상기 하우징(110)에 내장되어 발화체(120)의 착화를 돕는 착화지(130)와,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에 결합되는 망상체(140)를 포함하는 구조물(100)과,
상기 구조물(100)을 밀봉 포장하는 포장재(미도시)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란 소비자는 일회용 구이기를 구입한 후 비닐을 뜯어 불만 붙이면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
이와 같은 일회용 구이기에 의하면, 간단하게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원적외선이 발산되는 재료에 의하여 고기를 구워 맛을 낼 수 있을뿐더러, 견고하고 간편하며 원가가 적게 고기를 구워먹을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하우징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측면부와 바닥부에는 하우징 내부로 공기를 유입할 수 있도록 공기구멍(113)이 형성되고, 화력 유도를 위하거나 발화체의 고정을 돕기 위해 바닥에 요철(112)을 형성하며, 하우징(110)의 보강을 위해 측면에 요철(111)이 형성된다.
또한, 일회용 구이기를 테이블 위에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테이블에 열이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110) 하부에 절첩식 받침대를 형성하거나 받침대(150)를 따로 구비하여 하우징 하부에 조립해서 사용하게 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운반시 받침대(150)의 사용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구이기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구이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한 판을 가압하여 프레스 한 후 하우징(110)과 망상체(140)를 각각 성형한다(S502).
이때 판은 철, 스테인리스, 구리, 알루미늄,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아연, 구리, 스테인리스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재질로 도금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상부가 개방된 원형 또는 삼각, 사각, 하트 등의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은 측면에 요철(111)을 형성하여 하우징을 더 튼튼하게 보강할 수 있고, 화력을 유도하거나 발화체(120)의 고정을 돕기 위해 하우징(110) 바닥에 요철(112)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하우징(11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발화가 원활할 수 있도록 하우징(110)의 측면부나 바닥부에 공기구멍(113)을 다수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망상체(140)는 망상체 위에 올려진 구이물 즉, 고기가 구워지면서 망상체(140)에 달라붙는 것을 최소화하고 망상체와 고기와의 접촉면적을 줄이면서 그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요철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망상체(140)는 종횡으로 배열되어 망상체를 구성하는 철심에 V자의 요홈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하여 요홈을 따라 고기의 기름이 흐르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에 더해 하우징(110)과 망상체(140)의 녹을 방지하거나 부식을 막기 위해 그 표면을 코팅 처리할 수도 있다.
다음 이와 같이 제조된 하우징(110)의 내부에, 망상체(140)에 올려진 구이물에 화력을 제공하는 발화체(120)를 내장한다(S504).
상기 발화체(120)는 착화탄, 숯, 탄(연탄, 조개탄 포함)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재질을 성형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착화탄은 숯+탄+황토+규조토 등으로 사용하여 원적외선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고, 신속하게 착화할 수 있도록 착화탄을 주정 알콜에 적신 후 밀봉하거나, 파라핀을 일정량 혼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화탄은 연탄처럼 하나의 덩어리로 성형하여 그 내부에 구멍(122)을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에 더해 상기 발화체(120)의 착화를 돕기 위해 착화지(130)를 발화체(12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시키거나, 주머니 형태로 만들어 발화체(120)를 감싸도록 하여 더 빠르게 착화할 수도 있다.
다음 발화체(120)와 착화지(120)가 내장된 하우징(110)의 상부에 망상체(140)를 결합하여 구조물(100)을 제조한다(S506).
이때 망상체(140)와 하우징(110)을 더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해 시밍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상기 망상체(140)와 하우징(110)의 결합 방법은 시밍기 등을 이용하여 캔처럼 접합하는 방법과, 페인트의 뚜껑처럼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는 방법, 라사지를 주어 라사처럼 결합하는 방법, 함지박처럼 뚜껑에 키를 주어 굳게 닫는 방법, 강아지 사료의 캔처럼 접착제를 사용하여 결합하는 방법 등이 있고, 이 결합 방법들이 제조 공정에서 가격을 낮출 수 있는 관건이 된다.
또한, 상기 망상체(140)나 발화체(120)의 간격을 1mm~50mm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간격이 1mm 이하이면 구이물이 발화체에 접촉될 우려가 있고, 50mm 이상이면 잘 구워지지 않게 된다.
상기 하우징(110)과 망상체(140)의 결합시 상기 망상체(140)만을 별도로 오려 하우징의 내부에 넣어서 고정시킬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이와 같이 제조된 구조물(100)을 포장하여 일회용 구이기의 제조가 완료된다(S508).
이때 구조물은 비닐로 밀봉 포장할 수 있다.
더 단순한 방법으로 포장하기 위해 비닐 포장을 피하고 하우징(110)의 측면부나 바닥부에 공기구멍(113)과 망상체(140)를, 즉 외부와 연통되는 구조물 부위를테이프 등으로 접합하여 밀봉할 수도 있다.
또한, 더 견고하게 포장하기 위해 망상체(140) 상부에 캔 뚜껑 등을 설치하여 공기구멍(113)은 테이프 등으로 막고, 망상체(140)는 캔 뚜껑으로 막아, 소비자는 일회용 캔을 따듯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일회용 구이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와 측면부에 공기구멍(133)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고 착화탄, 숯, 탄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재질을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발화체(120)와, 상기 하우징(110)에 내장되어 발화체(120)의 착화를 돕는 착화지(130)와,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에 결합되는 망상체(140)를 포함하는 구조물(100)과,
상기 구조물(100)을 밀봉 포장하는 포장재(미도시)로 이루어진다.
한편, 일회용 구이기를 테이블 위에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테이블에 열이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110) 하부에 절첩식 받침대를 형성하거나 받침대(150)를 따로 구비하여 하우징 하부에 조립해서 사용하게 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운반시 받침대(150)의 사용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일회용 구이기에 의하면, 간단하게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원적외선이 발산되는 재료에 의하여 고기를 구워 맛을 낼 수 있을뿐더러, 견고하고 간편하며 원가가 적게 고기를 구워먹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구조물 110: 하우징
120: 발화체 130: 착화지
140: 망상체 150: 받침대

Claims (1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바닥부와 측면부에 공기구멍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통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고 망상체에 올려진 구이물에 화력을 제공하는 발화체;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가결합된 상태에서 발화체가 내장된 후 완전 결합되어 하우징과 함께 구조물을 이루는 망상체; 및
    상기 구조물을 밀봉 포장하는 포장재; 를 포함하되,
    상기 발화체는 착화탄, 숯, 탄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재질을 성형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착화탄은 신속하게 착화할 수 있도록 착화탄을 주정 알콜에 적신 후 밀봉하거나, 착화탄에 파라핀을 일정량 혼합하거나 또는 착화탄을 하나의 덩어리로 성형하여 그 내부에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망상체는 요철이 형성되고 발화체와의 간격은 1mm ~ 5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구이기.
  8. 바닥부와 측면부에 공기구멍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통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고 망상체에 올려진 구이물에 화력을 제공하는 발화체;
    상기 발화체가 내장된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어 하우징과 함께 구조물을 이루는 망상체; 및
    상기 구조물을 밀봉 포장하는 포장재; 를 포함하되,
    상기 발화체는 착화탄, 숯, 탄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재질을 성형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착화탄은 신속하게 착화할 수 있도록 착화탄을 주정 알콜에 적신 후 밀봉하거나, 착화탄에 파라핀을 일정량 혼합하거나 또는 착화탄을 하나의 덩어리로 성형하여 그 내부에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망상체는 요철이 형성되고 발화체와의 간격은 1mm ~ 5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구이기.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망상체는 철, 스테인리스, 구리, 알루미늄,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아연, 구리, 스테인리스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재질로 도금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구이기.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원형, 삼각, 사각, 또는 하트 형태의 통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구이기.
  11.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측면이나 바닥에 요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구이기.
  12. 삭제
  13.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망상체의 표면이 코팅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구이기.
  14.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절첩식 받침대가 형성되거나, 받침대가 별도로 구비되어 하우징 하부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구이기.
  15.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발화체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거나, 발화체를 감싸서 발화체의 착화를 돕는 착화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구이기.
  16. 삭제
  17. 삭제
  18.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망상체를 별도로 오려 하우징 내부에 넣어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일회용 구이기.
  1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망상체는 종횡으로 배열되어 망상체를 구성하는 철심에 V자의 요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구이기.
KR1020140143546A 2014-10-22 2014-10-22 일회용 구이기 KR101528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3546A KR101528307B1 (ko) 2014-10-22 2014-10-22 일회용 구이기
PCT/KR2014/012699 WO2016064027A1 (ko) 2014-10-22 2014-12-23 일회용 구이기 제조방법 및 그 일회용 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3546A KR101528307B1 (ko) 2014-10-22 2014-10-22 일회용 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8307B1 true KR101528307B1 (ko) 2015-06-17

Family

ID=53518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3546A KR101528307B1 (ko) 2014-10-22 2014-10-22 일회용 구이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28307B1 (ko)
WO (1) WO20160640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526359A (ja) * 2016-09-02 2019-09-19 ノボ フチュラ イーベーエス 使い捨てグリル及び使い捨てグリルの製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6409U (ko) * 2007-06-16 2008-12-19 안진숙 일회용 숯불 구이기 셋트
KR101378612B1 (ko) * 2013-08-02 2014-03-27 홍길몽 일회용 구이기 셋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2974Y1 (ko) * 2006-09-19 2006-12-07 조영식 일회용 숯불구이기
KR20090105240A (ko) * 2008-04-02 2009-10-07 (주) 미도랜드 고기 구이 조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6409U (ko) * 2007-06-16 2008-12-19 안진숙 일회용 숯불 구이기 셋트
KR101378612B1 (ko) * 2013-08-02 2014-03-27 홍길몽 일회용 구이기 셋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64027A1 (ko) 2016-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16090B2 (en) Disposable grill
JP2016525430A (ja) 使い捨て焼き器セット
US2981249A (en) Portable disposable stove or grill
US2975698A (en) Twin charcoal vertical broiler
KR101528307B1 (ko) 일회용 구이기
USRE32288E (en) Heat trapping cooking grill
KR101796965B1 (ko) 일회용 발화연소장치
KR101504319B1 (ko) 일회용 구이기 제조방법 및 그 일회용 구이기
KR101980423B1 (ko) 구이용 고체연료
KR200434866Y1 (ko) 숯 연료 포장체
KR101632357B1 (ko) 착화탄 제조방법
KR101632833B1 (ko) 숯불구이용 직화 차단판
CN207235935U (zh) 食物窑
KR101494082B1 (ko) 황토 원적외선 구이기
KR20080004510U (ko) 석분이 충진된 구이용 불판
KR101804932B1 (ko) 구이용 고형연료 포장방법
JP3173800U (ja) 火消蓋付炭燃焼器
KR200477897Y1 (ko) 눌어붙지 않는 조립식 종이냄비
KR200420318Y1 (ko) 세 라 믹 연 탄
CN204734373U (zh) 除烟双面平锅
JP7109766B2 (ja) 木炭燃料ユニット
JP5279844B2 (ja) 油吸着構造物及びそれを用いた調理器具
JP2005083581A (ja) 木炭の着火容器
JP3126767U (ja) 炭素燃料点火補助包装体
CN106724914B (zh) 燃气烧烤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