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6965B1 - 일회용 발화연소장치 - Google Patents

일회용 발화연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6965B1
KR101796965B1 KR1020160044637A KR20160044637A KR101796965B1 KR 101796965 B1 KR101796965 B1 KR 101796965B1 KR 1020160044637 A KR1020160044637 A KR 1020160044637A KR 20160044637 A KR20160044637 A KR 20160044637A KR 101796965 B1 KR101796965 B1 KR 101796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gnition
charcoal
disposable
present
blocking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4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6716A (ko
Inventor
김철기
김희정
조응태
Original Assignee
김철기
주식회사 나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기, 주식회사 나들이 filed Critical 김철기
Priority to KR1020160044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6965B1/ko
Priority to PCT/KR2017/003942 priority patent/WO2017179904A1/ko
Publication of KR20170116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6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6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6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20/00Combustion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ility or transport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63Small-size, portable barbecues
    • A47J37/0768Disposable barbecue packages containing a quantity of fuel, e.g. charco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90/00Combustion methods not rela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 F23B90/02Start-up techniq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2700/00Combustion apparatus for solid fuel
    • F23B2700/013Combustion apparatus for solid fuel for use in baking ovens or cooking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회용 발화연소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용부와 바닥부 안에 숯이 수용되고, 바닥부의 상측에는 발화부가 고정설치되며, 숯과 발화제가 수용된 수용부와 바닥부는 밀폐포장부에 의해 밀폐되도록 형성되어, 숯과 발화부가 일체로 형성된 일회용 발화연소장치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고, 숯, 발화제 등을 별도로 준비할 필요 없이 일회용 발화연소장치를 화로에 넣어 손쉽게 고기를 구울 수 있도록 하고, 발화될 때까지 숯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숯의 발화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발화부가 숯의 하측에서 숯과 함께 밀폐된 공간에 위치하도록 하여 숯에 불이 옮겨 붙는 속도까지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일회용 발화연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일회용 발화연소장치{A Disposable Ignition and Combustion Device}
본 발명은 일회용 발화연소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용부와 바닥부 안에 숯이 수용되고, 바닥부의 상측에는 발화부가 고정설치되며, 숯과 발화제가 수용된 수용부와 바닥부는 밀폐포장부에 의해 밀폐되도록 형성되어, 숯과 발화부가 일체로 형성된 일회용 발화연소장치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고, 숯, 발화제 등을 별도로 준비할 필요 없이 일회용 발화연소장치를 화로에 넣어 손쉽게 고기를 구울 수 있도록 하고, 발화될 때까지 숯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숯의 발화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발화부가 숯의 하측에서 숯과 함께 밀폐된 공간에 위치하도록 하여 숯에 불이 옮겨 붙는 속도까지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일회용 발화연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기를 화로에 구워먹는 특유의 음식 문화를 가진 우리나라는 화로에 참숯 또는 연탄을 넣고 석쇠를 올려 고기를 굽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최근에는 음식점뿐만 아니라, 야외에서 고기를 굽는 것이 하나의 문화로 자리잡고 있으며, 이를 위해 야외에서 사용할 수 있는 화로, 숯 등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숯은 점화시키기 어렵고, 점화되기까지 오랜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아래 특허문헌과 같은 착화제를 넣어 발화시키고, 발화된 불이 숯에 옮겨지도록 하고 있다.
(특허문헌)
등록특허공보 제10-1477923호(2014. 12. 23. 등록)"착화탄 제조방법"
그러나 화로 내에 숯과 착화제를 별도로 넣고 불을 붙이는 경우에는 착화제에 금방 불이 붙는다 하더라도 숯 전체에 옮겨지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숯에 빨리 불을 붙이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착화제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숯은 공기 중에 노출될 경우 빠르게 습기를 흡수하는 성질이 있어, 화로에 옮겨 착화제에 의해 불이 옮겨 붙는 사이에 빠르게 습기를 흡수하여 발화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숯, 발화제 등을 별도로 준비할 필요 없이 손쉽게 야외에서도 고기를 구울 수 있도록 하고, 숯의 발화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숯에 불이 옮겨 붙는 속도까지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일회용 발화연소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공기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여 숯의 연소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일회용 발화연소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화력이 증대되는 일회용 발화연소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발화부의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일회용 발화연소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발화부에 쉽게 불을 붙일 수 있도록 하는 일회용 발화연소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발화연소장치는 숯이 수용되는 일정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바닥에 형성되어 숯의 하측을 지지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상측에 고정되어 발화를 일으키는 발화부와, 상기 수용부 및 바닥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숯의 수용공간을 밀폐하는 밀폐포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발화연소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숯이 수용되는 공간의 마주보는 양 측면에 형성되는 제1측벽부와, 상기 제1측벽부와 수직으로 형성되어 숯이 수용되는 공간의 또 다른 양 측면에 형성되는 제2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측벽부는 수직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는 복수의 제1차단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측벽부는 상기 제1차단부재의 상측과 하측에 번갈아 지지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제2차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발화연소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2차단부재는 불에 연소되는 목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발화연소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마주보는 제1차단부재 또는 제2차단부재의 하단을 연결하며, 양측 일 지점에 상기 발화부가 고정설치되는 발화부지지부재와; 상기 발화부 사이에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하부차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발화연소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화부는 상측으로 일정 깊이 함입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발화부지지부재에 끼워지는 함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발화연소장치에 있어서, 상기 밀폐포장부는 외부 바닥면에 상기 발화부의 위치를 표시하는 발화지점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발화연소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화부는 톱밥과 파라핀이 혼합되어 응고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수용부와 바닥부 안에 숯이 수용되고, 바닥부의 상측에는 발화부가 고정설치되며, 숯과 발화제가 수용된 수용부와 바닥부는 밀폐포장부에 의해 밀폐되도록 형성되어, 숯과 발화부가 일체로 형성된 일회용 발화연소장치를 화로에 넣음으로써 숯, 발화제 등을 별도로 준비할 필요 없이 손쉽게 야외에서도 고기를 구울 수 있도록 하고, 발화될 때까지 숯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숯의 발화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발화부가 숯의 하측에서 밀폐된 공간에 위치하도록 하여 숯에 불이 옮겨 붙는 속도까지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측벽부와 제2측벽부를 통해 숯을 둘러싸도록 하고, 제1측벽부와 제2측벽부는 각각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교차하여 형성되는 제1차단부재 및 제2차단부재를 포함하도록 하여, 제1차단부재 및 제2차단부재의 이격된 공간을 통해 공기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숯의 연소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2차단부재를 목재로 형성되도록 하여, 숯의 연소가 진행되면서 제1,2차단부재의 연소도 함께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일회용 발화연소장치의 화력이 증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바닥에 발화부지지부재 형성되어 숯의 하측에 발화부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복수의 차단부재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바닥을 통한 공기의 출입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숯의 연소가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발화부의 하측에 상측으로 함입되도록 형성되는 함입부를 포함하여, 발화부가 발화부지지부재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발화부의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밀폐포장부의 외부 바닥면에 발화부의 위치를 표시하는 발화지점표시부를 형성하여 발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발화연소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발화연소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발화연소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바닥부의 측면도(a) 및 정면도(b)
도 5는 밀폐포장부에 의해 밀폐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발화연소장치의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발화연소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발화연소장치를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일회용 발화연소장치는 숯(5)이 수용되는 일정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1)와, 상기 수용부(1)의 바닥에 형성되어 숯(5)의 하측을 지지하는 바닥부(2)와, 상기 바닥부(2)의 상측에 고정되어 발화를 일으키는 발화부(3)와, 상기 수용부(1) 및 바닥부(2)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숯(5)의 수용공간을 밀폐하는 밀폐포장부(4)와, 상기 수용부(1)에 수용되는 숯(5)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발화연소장치는 상기 수용부(1)와 바닥부(2)로 형성되는 일정 공간 안에 숯(5)을 채워넣고, 숯(5)의 하측에는 빠르게 발화되어 착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발화부(3)가 형성되도록 하여 숯(5)과 발화부(3)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숯(5), 발화부(3)를 수용하는 수용부(1), 바닥부(2)가 밀폐포장부(4) 안에 밀폐되어 포장되도록 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발화연소장치를 화로(100) 내에 넣고 석쇠(200)를 올려 손쉽게 고기를 구울 수 있다. 따라서, 밀폐된 일정 공간 안에 숯(5)과 발화부(3)가 밀착된 상태로 위치하게 되어 발화부(3)의 불이 빠르게 숯(5)으로 옮겨 붙을 수 있으며, 숯(5)은 불이 붙을 때까지 외부공기로부터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습기를 흡수하는 것이 방지되어 발화성능이 향상된다.
상기 수용부(1)는 숯(5)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측벽부(11)와, 상기 제1측벽부(11)와 수직으로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제2측벽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측벽부(11)는 숯(5)이 수용되는 공간의 마주보는 측면에 한 쌍이 형성되며, 예를 들어 전후방향에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측벽부(11)는 숯(5)의 발화시 충분한 산소를 공급받을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상기 제1측벽부(11)는 수직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되는 제1차단부재(1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차단부재(111)는 숯(5)이 수용되는 공간의 마주보는 측면에 형성되어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복수개가 형성되며, 양 끝단이 상기 제2측벽부(13)의 후술할 제2차단부재(131)의 양 끝단에 지지되어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차단부재(111)는 일정 두께 및 길이를 가진 직육면체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차단부재(111) 사이 사이의 공간으로 공기가 출입하여 숯(5)에 충분한 산소가 공급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수용부(1)를 밀폐하는 밀폐포장부(4)는 종이재질로 형성되어 불에 쉽게 연소되므로, 상기 발화부(3)에 의해 발화가 시작되면 빠르게 제거되어 숯(5)에 충분한 산소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차단부재(111)는 불에 탈 수 있는 목재로 형성되어 숯(5)에 불이 붙어 어느 정도 연소가 진행되면, 상기 제1차단부재(111)에도 불이 옮겨 붙어 함께 연소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발화연소장치는 숯(5)뿐만 아니라, 상기 제1차단부재(111) 및 후술할 제2차단부재(131)도 함께 연소되므로 더욱 우수한 화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측벽부(13)는 상기 제1측벽부(11)와 연결되어 숯(5)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상기 제1측벽부(11)와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제1측벽부(11)가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2측벽부(13)는 좌우방향으로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측벽부(13)는 제1측벽부(11)와 같이 숯(5)의 발화시 충분한 산소를 공급받을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수직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되는 제2차단부재(1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차단부재(131)는 숯(5)이 수용되는 공간의 마주보는 측면에 형성되어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복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제1차단부재(111)와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차단부재(131)는 양 끝단이 상기 제1차단부재(111)의 양 끝단에 지지되어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일정 두께 및 길이를 가진 직육면체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제2차단부재(131) 사이의 공간으로 공기가 출입하여 숯(5)에 충분한 산소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차단부재(131) 역시 불에 탈 수 있는 목재로 형성되어 숯(5)과 함께 연소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바닥부(2)는 상기 수용부(1)의 바닥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상기 수용부(1)의 바닥을 차단하여 숯(5)이 수용부(1) 내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발화부(3)가 고정설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2)는 상기 수용부(1)와 같이 공기의 출입이 가능한 통로를 형성하여 숯(5)에 대한 산소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바닥부(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화부(3)가 고정설치되는 발화부지지부재(21)와, 숯(5)의 하측을 지지하는 하부차단부재(23)를 포함한다.
상기 발화부지지부재(21)는 상기 발화부(3)가 고정설치되는 구성으로, 마주보는 상기 제1차단부재(111) 사이를 연결하거나 마주보는 제2차단부재(131) 사이를 연결하는 일정 두께와 길이를 가진 막대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화부지지부재(21)는 상기 제1차단부재(111) 또는 제2차단부재(131) 중 더욱 긴 길이를 갖는 부재와 평행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숯(5)의 수용공간을 넓히고 상기 발화부(3)에 대한 착화를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차단부재(111) 또는 제2차단부재(131)의 가장 하단을 연결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발화부지지부재(21)는 일 지점에 상측으로 상기 발화부(3)가 고정설치되며, 복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고,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끝 지점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화부(3)는 도 4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화부지지부재(21)에 끼워져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하부차단부재(23)는 도 4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화부지지부재(21)의 상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숯(5)이 하측방향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하부차단부재(23)는 상기 발화부지지부재(21)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하부차단부재(23)는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공기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며, 불에 연소되는 목재로 형성되어 숯(5)과 함께 연소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일회용 발화연소장치의 화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발화부(3)는 상기 발화부지지부재(21)에 고정되어 상기 수용부(1) 내에 설치되며, 상기 밀폐포장부(4)에 의해 숯(5)과 함께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발화부(3)는 톱밥과 파라핀을 혼합하여 쉽게 발화되는 성질을 갖도록 하며, 파라핀을 가열하여 녹인 후 톱밥을 넣고 식혀 응고되도록 함으로써 고형의 발화부(3)가 되도록 한다. 상기 발화부(3)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발화부지지부재(21)의 상측에 고정설치되며, 일 지점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도록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화부지지부재(21)의 양측 끝단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발화부(3)는 상기 하부차단부재(23)에 지지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더욱 안정적인 고정을 위하여 하측에 상측으로 함입되는 함입부(31)를 형성하여 상기 발화부지지부재(21)에 끼워지도록 한다.
상기 함입부(31)는 상기 발화부(3)가 발화부지지부재(21)에 끼워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형의 발화부(3) 하측에 상측으로 함입되도록 한다. 상기 함입부(31)는 상기 발화부지지부재(21)의 외부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져 상기 발화부지지부재(21)에 밀착되어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발화부(3)가 발화부지지부재(21)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밀폐포장부(4)는 상기 수용부(1) 및 바닥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숯(5)의 수용공간을 밀폐시키는 구성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발화연소장치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의 제품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숯, 착화제 등을 별도로 준비할 필요 없이 상기 일회용 발화연소장치를 화로(100)에 넣고 불을 붙이는 작업만으로 고기를 손쉽게 구울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일회용 발화연소장치는 숯을 꺼낼 필요가 없으므로, 숯(5)이 불이 붙을 때까지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여, 습기를 흡수함에 따라 발화성능이 약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숯(5)과 발화부(3)가 밀폐된 공간 안에 밀착되어 형성되므로, 발화부(3)에서 시작된 불이 빠른 속도로 숯(5)에 옮겨 붙을 수 있다. 상기 밀폐포장부(4)는 불에 쉽게 연소되는 종이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발화부(3)가 발화되어 숯(5)에 불이 붙기 시작하면, 상기 밀폐포장부(4)가 연소되어 공기의 출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밀폐포장부(4)는 상기 수용부(1) 및 바닥부(2)를 밀폐, 포장한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에 발화지점을 표시하는 발화지점표시부(41)를 갖도록 한다.
상기 발화지점표시부(41)는 상기 밀폐포장부(4)가 수용부(1) 및 바닥부(2)를 밀폐시킨 상태에서 바닥에 불을 붙일 수 있는 발화지점을 표시하는 구성으로, 상기 발화부(3)가 위치한 지점을 표시하도록 한다. 상기 발화지점표시부(41)는 상기 발화부(3)와 동일한 형상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밀폐포장부(4)가 그대로 포장된 상태에서 바닥의 발화지점표시부(41)에 불을 붙임으로써 정확한 위치에 손쉽게 발화시킬 수 있다. 상기 발화부지지부재(2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차단부재 또는 제2차단부재(131) 중 가장 하단의 제1차단부재(111) 또는 제2차단부재(131)를 연결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발화부(3)는 바닥에 형성되는 상기 발화부지지부재(21)에 끼워져 형성되므로, 상기 발화부(3)에 빠르게 불이 붙을 수 있다.
상기 숯(5)은 상기 수용부(1) 및 바닥부(2) 내에 수용되어 연소되는 구성으로, 일반적으로 고기 구이에 사용되는 숯이 사용될 수 있으며, 검탄, 백탄 등 다양한 숯(5)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숯(5)은 상기 수용부(1)에 수용되어 상기 밀폐포장부(4)에 의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발화부(3)가 발화되면, 불이 옮겨 붙어 연소됨으로써 고기를 구울 수 있는 화력을 제공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일회용 발화연소장치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숯(5) 뿐만 아니라, 목재로 형성되는 상기 제1차단부재(111) 및 제2차단부재(131)에 의해서도 화력이 제공되므로 우수한 화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발화연소장치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일회용 발화연소장치는 발화부(3')를 수용하는 일정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1'), 상기 수용부(1')의 바닥에 형성되어 발화부(3')를 지지하는 바닥부(2'), 상기 바닥부(2')에 고정되어 발화를 일으키는 발화부(3')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부(1'), 바닥부(2'), 발화부(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1), 바닥부(2), 발화부(3)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하나, 다만 상기 수용부(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1)보다 작은 크기의 공간을 형성하며, 내부에는 숯(5)을 포함하지 않고 발화부(3')만이 수용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발화연소장치는 숯이 수용된 화로에 첨가되어 점화제로서의 역할만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포장부(4)를 포함하여 일회용 발화연소장치를 밀폐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다른 내용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수용부(1')는 일 실시예와 같이 제1측벽부(11') 및 제2측벽부(13')를 포함하며, 이에 관한 설명은 일 실시예의 제1측벽부(11) 및 제2측벽부(13)와 같다. 다만 상기 수용부(1')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1)보다 작은 크기의 공간을 형성하므로, 상기 제1측벽부(11') 및 제2측벽부(13')는 일 실시예의 제1측벽부(11) 및 제2측벽부(13)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하나의 발화부(3')만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용부(1')도 목재로 형성되어 일회용 발화연소장치의 발화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바닥부(2')는 상기 수용부(1')의 바닥을 형성하며, 일 실시예와 동일한 발화부지지부재(21')를 포함하나, 상기 수용부(1')가 하나의 발화부(3')만을 포함하는 작은 공간을 형성하므로, 일 실시예와 같은 하부차단부재(23)는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발화부(3')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발화부(3)와 같이 상기 발화부지지부재(21')에 고정되어 수용부(1') 내에 설치되며, 톱밥과 파라핀을 혼합하여 쉽게 발화되는 성질을 갖도록 함으로써 점화제로서 사용되도록 한다. 상기 발화부(3')는 파라핀을 가열하여 녹인 후 톱밥을 넣고 식혀 응고되도록 함으로써 고형의 발화부(3')가 되도록 한다. 상기 발화부(3')는 상기 발화부지지부재(21')에 고정되며, 함입부(31')를 형성하여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함입부(31')에 관한 설명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함입부(31)에 관한 설명과 같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수용부
11: 제1측벽부 111: 제1차단부재
13: 제2측벽부 131: 제2차단부재
2: 바닥부
21: 발화부지지부재 23: 하부차단부재
3: 발화부 31: 함입부
4: 밀폐포장부 41: 발화지점표시부
5: 숯

Claims (7)

  1. 숯이 수용되는 일정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바닥에 형성되어 숯의 하측을 지지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상측에 고정되어 발화를 일으키는 발화부와,
    상기 수용부 및 바닥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숯의 수용공간을 밀폐하며, 외부 바닥면에 상기 발화부의 위치를 표시하는 발화지점표시부가 구비된 밀폐포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발화연소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숯이 수용되는 공간의 마주보는 양 측면에 형성되는 제1측벽부와, 상기 제1측벽부와 수직으로 형성되어 숯이 수용되는 공간의 또 다른 양 측면에 형성되는 제2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측벽부는 수직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는 복수의 제1차단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측벽부는 상기 제1차단부재의 상측과 하측에 번갈아 지지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제2차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발화연소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차단부재는 불에 연소되는 목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발화연소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마주보는 제1차단부재 또는 제2차단부재의 하단을 연결하며, 양측 일 지점에 상기 발화부가 고정설치되는 발화부지지부재와; 상기 발화부 사이에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하부차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발화연소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발화부는
    상측으로 일정 깊이 함입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발화부지지부재에 끼워지는 함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발화연소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화부는
    톱밥과 파라핀이 혼합되어 응고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발화연소장치.
KR1020160044637A 2016-04-12 2016-04-12 일회용 발화연소장치 KR101796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637A KR101796965B1 (ko) 2016-04-12 2016-04-12 일회용 발화연소장치
PCT/KR2017/003942 WO2017179904A1 (ko) 2016-04-12 2017-04-12 일회용 발화연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637A KR101796965B1 (ko) 2016-04-12 2016-04-12 일회용 발화연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6716A KR20170116716A (ko) 2017-10-20
KR101796965B1 true KR101796965B1 (ko) 2017-11-13

Family

ID=60041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4637A KR101796965B1 (ko) 2016-04-12 2016-04-12 일회용 발화연소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96965B1 (ko)
WO (1) WO201717990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7570B1 (ko) 2023-06-12 2023-10-11 이왕선 숯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1494A1 (fr) * 2019-04-04 2020-10-08 Claude Gros Dispositif de chauffage a combustion pour lutter contre le gel tardif ou toutes autres menaces dans les vignes, vergers et cultures
FR3094776A3 (fr) * 2019-04-04 2020-10-09 Claude Gros Procédé de lutte contre le gel pour l'agricultur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32438A (ja) * 2002-07-05 2005-10-27 クリステイアン アウベルゲル, 炭の点火装置
KR200434866Y1 (ko) * 2006-09-28 2006-12-28 애니 창 숯 연료 포장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109B1 (ko) * 2007-07-25 2010-04-28 김경환 휴대용 숯불구이기
KR20100109638A (ko) * 2009-04-01 2010-10-11 박순세 가연성 트레이로 포장된 구이용 숯
KR20150105722A (ko) * 2014-03-10 2015-09-18 이강용 친환경 점화체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32438A (ja) * 2002-07-05 2005-10-27 クリステイアン アウベルゲル, 炭の点火装置
KR200434866Y1 (ko) * 2006-09-28 2006-12-28 애니 창 숯 연료 포장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7570B1 (ko) 2023-06-12 2023-10-11 이왕선 숯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6716A (ko) 2017-10-20
WO2017179904A1 (ko) 2017-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6965B1 (ko) 일회용 발화연소장치
US11160418B1 (en) Barbecue grill accessory and method for preparing food
RU2021134603A (ru) Выработка аэрозоля
US9211037B2 (en) Magnetic smoker box and packaging therefor
AU2009225659A1 (en) Environmentally safe charcoal-based heat source
US3827423A (en) Unitary cellular-structured cooking fire apparatus
US3262445A (en) Heating means and container comprising same
JP6979377B2 (ja) 煙突効果により着火性に優れた木炭パッケージ
GB2442702A (en) Carbon fuel combustion package
KR101694078B1 (ko) 숯 연료 포장체
ES2339056T3 (es) Barbacoa con quemador vertical.
KR200434866Y1 (ko) 숯 연료 포장체
KR101650175B1 (ko) 가연성 숯 착화 용기
EP3542683B1 (en) Grilling set made of natural material
KR101504319B1 (ko) 일회용 구이기 제조방법 및 그 일회용 구이기
CA1122088A (en) Portable cooker and smoker
US11751724B1 (en) Wick-start charcoal portable grill
US10327590B1 (en) Charcoal starter
JP3126767U (ja) 炭素燃料点火補助包装体
JP2593769B2 (ja) 調理装置とカートリッジ式燃料、また、調理装置の加熱手段としてカートリッジ式燃料を用いた加熱調理装置
JP3556122B2 (ja) 携帯式調理・加温缶
KR101444887B1 (ko) 구이장치
JP2022123801A (ja) 木炭用火起しユニットと食品との梱包セット
JP2005083581A (ja) 木炭の着火容器
CA2556953A1 (en) Carbon fuel combustion supporting packag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