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4866Y1 - 숯 연료 포장체 - Google Patents

숯 연료 포장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4866Y1
KR200434866Y1 KR2020060026252U KR20060026252U KR200434866Y1 KR 200434866 Y1 KR200434866 Y1 KR 200434866Y1 KR 2020060026252 U KR2020060026252 U KR 2020060026252U KR 20060026252 U KR20060026252 U KR 20060026252U KR 200434866 Y1 KR200434866 Y1 KR 2004348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coal
charcoal fuel
package
rack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62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애니 창
Original Assignee
애니 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니 창 filed Critical 애니 창
Priority to KR20200600262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48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48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486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1/00Manufacture of firelighters
    • C10L11/04Manufacture of firelighters consisting of combustibl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1/00Manufacture of firelighters
    • C10L11/06Manufacture of firelighters of a special shap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4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vegetable substan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숯 연료 포장체, 특히 내부에 담긴 숯연료가 발화되도록 돕는 포장체에 관한 것으로서, 가연성 바닥 프레임의 상단부에 가연성 랙을 이용하여 상하로 하나의 숯 연료 적재면을 구분하고, 하부의 공간 내부에 불쏘시개를 넣게 되어 있는 구조를 주요 구성으로 하여, 불쏘시개가 점화된 후, 작은 불꽃이 먼저 가연성 랙에 붙고, 랙이 연소되면서 비교적 큰 화력으로 전환되어 연소 면적이 확대되면, 상방의 숯 연료가 전체적으로 발화되도록 도와주어 전체적으로 연소된 후 재를 형성하며, 또한 가연성 포위체가 바닥 프레임 주변의 상방에 연결되어 상기 숯 연료와 동시에 포장되므로, 동시에 연소될 수 있다.

Description

숯 연료 포장체{PACKAGE FOR CHARCOAL FUEL}
도 1은 일반 챠콜 연료의 발화 응용도,
도 2는 예비연소통으로 챠콜 연료를 점화하는 조작 측면사시도,
도 3은 울짱 형태의 박스에 도화선으로 챠콜 연료를 점화하는 입체 외관도,
도 4는 본 고안인 포위체의 외관도,
도 5는 본 고안의 포위체의 발화 조작 측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포장방식 실시도,
도 8은 본 고안에서 실시한 포위체 및 바닥 프레임의 외관도,
도 9는 도 8의 측면사시도,
도 10은 도 8의 평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제식 식물성 챠콜을 배열시킨 실시예도 및
도 12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제 2 실시예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포위체 1A: 상층 포위체
2: 울짱 형태(柵狀)의 랙 2A: 상층 울짱 형태의 랙
3: 불쏘시개 4: 숯 연료
5: 종이봉투 6: 지면
7: 식물성 챠콜 10: 포장체
11: 수납홈 12, 13: 통공
14: 상단부 15: 막대
20: 바닥 프레임 21: 내천(川)자형 구멍
31: 포장재 50: 손잡이끈
51: 봉합입구 61: 벽돌
70: 연기 통로 71: 관로
100: 금속화로 101: 고기구이판
102: 금속화로 랙 103: 받침판
104: 연소장치 105: 도화선
106: 울짱 형태의 박스 107: 예비연소통
108: 울타리망 109: 손잡이
110: 포장봉투 120: 연장된 막대
200: 연장부 201 : 주입구
A, A1: 공기 H: 공간
본 고안은 숯 연료 포장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포장된 숯 연료에 대하여, 발화 초기에 적재된 숯 연료가 완전히 발화되도록 돕고, 연소 후의 재는 유기 비료화합물로 이용하여 2차 오염을 방지하도록 하는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숯 연료는 목탄 또는 코크스 등을 발화원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대체적으로 고기를 구울 때 열에너지로 사용하는데, 일반적인 상태에서의 사용방식은 대형 포장봉투로 포장된 숯 연료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과정 중 필요량에 따라 부분적으로 꺼내어 금속화로(100) 내부에 넣게 되어 있다.
금속화로(100)는 금속 랙(102)을 이용하여 저부 공간 및 상부 수용공간으로 분리되며, 상부 수용공간에 숯 연료(4)를 포설하고, 상단부에 구이판(101)을 설치하며, 저부는 받침판(103)으로 받쳐주도록 되어 있다.
이의 점화조작은 저부에서 높이를 조절하여 금속화로 랙(102)의 간격을 띠우고, 연소장치(104)로 불꽃을 뿜어 상층의 숯 연료(4) 저부를 향하도록 하며, 불이 붙으면 연소장치(104)를 이동시키는 방식이다.
또는 도화선(105)의 일단을 숯 연료(4) 내부에 끼우고, 타단을 밖으로 향하게 한 다음 점화조작을 거쳐 도화선(105)이 숯 연료(4)에 진입된 틈새를 순서대로 연소시킨 후, 발화원을 형성하면서 숯 연료(4)가 점화되는 방식이다.
연소가 완료된 후의 재는 받침판(103)으로 떨어지게 되는데, 숯 연료(4)는 대형 포장체에서 분량에 따라 꺼내어야 하고, 또한 포설 조작을 금속화로(100)의 내부에서 하기 때문에, 과정 중 조작자의 손과 의복을 더럽힐 수 있으며, 상기 금속화로 랙(102)은 열작업을 오랜 기간 거치게 되면 변형 및 오손될 수 있어 이를 회수하여 재활용할 때 청결을 보장하기가 매우 어렵다. 따라서 보통 이를 폐기하여 환경오염을 일으키게 된다.
상기 금속화로(100)의 보조 기구를 이용하여, 숯 연료(4)가 효과적으로 연소되도록 하고 있으나, 만약 화로(100) 없이 사용하는 경우, 상기 숯 연료(4)는 쌓아 올리는 방식으로 받침판(103) 상방에 놓을 수 밖에 없으며, 또한 도화선(105)을 직접 쌓아 놓은 숯 연료(4) 저부에 설치하여 불을 피우게 되어 있어, 발화 과정 중 산소 부족으로 인하여 효력을 상실하는 경우가 흔하며, 또는 야외에서 숯 연료(4)만 준비된 상황에서, 지면에 직접 쌓아놓고 불을 피워야 한다.
상기 발화조작은 도화선(105) 등 방식 이외에, 연소장치(104) 등을 이용하여 숯 연료를 점화하게 되는데, 그 조작 과정이 대단히 번거롭고, 또한 숯 연료(4)는 일종의 탄화물이기 때문에 쉽게 분해되거나 또는 미립자가 이탈되어 오염을 일으키기 쉽고, 휴대가 매우 불편하다.
도 2를 참조하면, 집적체로 설계하여 숯 연료가 발화된 후, 좀 더 많은 구이판을 분포시켜 사용할 수 있는 예비연소통(107)이 구비되어, 상기 예비연소통(107)의 허리부분 저부는 철망(108)으로 간격을 두고, 철망(108) 하방에 연소장치(104)를 두어 불꽃을 일으키며, 철망(108) 상방의 숯 연료(4)를 향하여 불을 피우게 되어있다. 연소장치(104)로 불꽃을 일으키거나 또는 임의의 방식으로 상방의 숯 연료(4)에 불을 피움으로써, 상기 숯 연료(4)가 자연 연소 상태가 되도록 한 후, 사용하고자 하는 고기구이 화로로 옮겨 설치한다. 연소된 후의 예비연소통(107) 본체는 상당히 고온이므로, 연장된 손잡이(109)를 이용하여 휴대하거나 기울이는 조작을 하게 되는데, 상기 발화작업은 앞에서 설명한 여러 가지 불편함이 마찬가지로 존재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울짱 형태(柵狀)의 박스(106) 형식이 더욱 새롭게 도입되었는데, 내부에 숯 연료(4)를 적재한 후, 도화선(105)을 외부로부터 숯 연료(4)와 접촉되는 틈새로 집어넣어, 도화선(105)이 점화된 후, 상기 불쏘시개가 천천히 접촉되는 숯 연료(4)에 불을 피우면서, 충분한 온도가 발생하여 자연 연소 상태가 되도록 하는 방식이며, 울짱 형태의 박스(106)는 가연성 재질로서, 사전에 숯 연료(4)를 포장할 수 있고, 사후에는 재로 타버리게 된다. 다만 상기 울짱 형태의 박스(106)는 하나의 박스 형태로서, 내부에 전체적으로 숯 연료(4)가 담기게 되어 있어, 연소 시 필요한 산소는 측방향에서만 유입될 수 있고, 또한 단순히 도화선(105)을 이용하여 불씨를 일으키기 때문에 화력이 부족하고 도화선(105)이 고르게 분포될 수 없어 전체적으로 불을 피우기가 어렵다.
흔히 볼 수 있는 일부분의 숯 연료(4)는 과도하게 연소되어 부분적으로 발화가 되지 않는 상태가 되거나, 저부 중심에 위치한 숯 연료(4)는 계속 동시에 연소될 수 없다. 따라서 점화 시작부터 완전히 발화되는 과정에는 약 30분 정도가 소요되며, 또한 입괴(粒塊) 형태의 숯 연료(4)가 서로 연소되는 정도가 동일하지 않아, 일부분은 과열되고 일부분은 생숯으로 남아있게 되며, 생숯 연료가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데워진 숯 연료의 온도를 흡수하기 때문에 고기를 굽는데 이용되는 열 공률(功率)이 대폭으로 감소하며 저온 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그 원인은 열 공률이 시간이 흐름에 따라 분산되기 때문이며, 음식의 열 흡수 온도가 부족하거나 고기를 굽는 시간이 늘어나게 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숯 연료가 거의 동시에 불을 피울 수 있도록 효과적으로 연소를 돕고, 청결유지와 휴대가 편리한 포장체를 제공하는 것으로, 바닥 프레임과 바닥 프레임의 상단부에 포위체를 결합하여 숯 연료를 동시에 포장하고, 바닥 프레임은 가연성 울짱 형태의 랙을 이용하여 바닥 프레임에 형성된 공간과 간격을 띄워 불쏘시개를 담으며, 2단 발화 방식으로 적재된 숯 연료가 효과적으로 고르게 연소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바닥 프레임 상방에 포위체를 연결하여, 측방향으로 숯 연료를 포장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으며, 상기 포위체는 동시에 재로 연소되는 재료이다.
본 고안의 세 번째 목적은 바닥 프레임 또는 포위체가 가연성 섬유펄프를 몰딩하여 제작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네 번째 목적은 사용되는 숯 연료는 식물성 챠콜로서 톱밥 또는 식물섬유를 이용할 수 있으며, 모양을 빚어 일정한 외형과 규격을 갖추도록 함으로써, 정렬 배치에 유리하도록 하고, 불꽃 연기의 통로가 마련되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섯 번째 목적은 겹층 방식을 이용하여, 상하층으로 분포된 숯 연료의 허리 부분에 불쏘시개를 담아, 불쏘시개가 상층부의 숯 연료를 먼저 발화시키고, 아래를 향하는 열복사파가 아래층의 숯 연료를 태우도록 함으로써, 기류가 상승하며 흐르는 효과를 통하여 두 단계 방식으로 숯 연료를 연소시고, 또한 길어 진 연소 시간에 의해 열효율이 균일한 값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상세한 내용에 관하여, 우선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본 고안의 바닥 프레임(20)에 포위체(1)가 결합된 입체도로서, 포장체(10)는 가연성 바닥 프레임(20)을 포함하여, 바닥 프레임(20) 주변에 포위판(221), (222), (223), (224) 이 둘러싸며 측방향의 방풍 효과를 형성하고, 상단부는 가연성 울짱 형태의 랙(2)이 상방으로 간격을 띄우며, 바닥 프레임(20) 상단에 다수의 가연성 막대(15)를 짜맞추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가연성 포위체(1)가 결합되고, 바깥 둘레에 다수의 통공(通孔)(12)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포위체(1)와 바닥 프레임(20) 상단에 수납홈(11)이 구비되며, 바닥 프레임(20)에 공간(H)이 형성되어, 상기 공간(H)에 불쏘시개(3)를 담게 되며, 상단부(14)는 숯 연료를 넣는 입구가 된다.
울짱 형태의 랙(2)은 랙 바가 평행으로 배열되어, 측방에 형성된 내천(川)자형 구멍(21)으로 공간(H) 내부에 필요한 공기를 제공해주게 되는데, 불쏘시개의 부피가 비교적 작기 때문에 연소 시 필요한 공기의 양은 내천(川)자형 구멍(21)을 통하여 측방에서만 보급해도 충분하다.
불쏘시개(3)는 가연성 고체 알코올로 실시 가능하며, 상기 고체 알코올의 바깥 둘레는 포장재(31)로 포장되어, 상기 포장재(31)가 정상 상태에서는 밀폐된 상태이므로 유기체가 외부를 향해 휘발되지 못하여 장기간 보관할 수 있고 휴대하는 과정에서도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불쏘시개(3)는 또한 톱밥 미립자에 광물유를 혼합한 후 알갱이 형태의 불쏘시개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알갱이 상태의 불쏘시개 바깥 둘레는 종이로 포장한다. 상기 종이는 유성으로, 종이가 먼저 점화된 후 톱밥에 불이 지펴지고, 또한 광물유의 도움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연소될 수 있다.
포장체(10)는 다수의 나무로 된 가연성 막대(15)를 짜맞추어 하나의 포위체(1) 또는 바닥 프레임(20)을 형성한다. 상기 막대(15)는 목재 또는 나무 재질의 합판을 잘라 만들거나 또는 나무줄기를 또는 대나무막대 또는 대나무 통발을 갈라 형성한다.
상기 바닥 프레임(20) 또는 포위체(1)는 몰딩 성형 방식을 이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톱밥섬유 또는 식물섬유를 하나의 울짱 형태의 판으로 몰딩하고(도시되지 않음), 각 울짱판을 둘러싸며 하나의 포위체(1) 또는 바닥 프레임(20)을 구성한다. 상기 랙(2) 역시 마찬가지로 몰딩 방식을 통하여 일체형으로 울짱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상기 막대(15)는 나무섬유 합판을 자른 것으로서, 합판을 분할하고, 치수를 정밀하게 하여 자동화 생산이 유리하도록 하며, 기구 또는 기기의 암으로 재료가 정확하게 정위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포위체(1)는 또한 폐지 재생용 종이판 등과 같은 임의의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측방향으로 공기가 흐르는 통공(12)을 갖출 수 있으면 된다. 또한 가연성 재질로 내부의 연료와 동시에 완전히 연소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포장체(10)는 바닥 프레임(20) 상방에 포위체(1)가 결합되어 형성된 것으로서, 포위체(1) 내부에 설치 수납홈(11)이 형성되어 숯 연료(4)를 담도록 되어 있으며, 바닥 프레임(20) 내부는 불쏘시개(3)를 넣게 되어 있다. 포장체(10)는 직접 받침판 또는 지면에 설치 가능하고, 상단부는 가연성 천연섬유로 만든 손잡이끈(50)이 결합되어 휴대 및 연소가 가능하다.
연소 조작은 먼저 불쏘시개(3)를 점화한 후, 불꽃을 먼저 가연성 랙(2)을 향하도록 놓으면, 가연성 랙(2)이 점화된 후 더욱 큰 화력으로 전환되며, 상방의 저층부에 놓인 숯 연료(4)에 붙게 된다. 랙(2)이 울짱 형태의 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점화 후 이웃한 랙(2) 전체에 동일한 면적으로 확대된 불꽃이 상방의 숯 연료(4) 저층부에 붙게 된다.
점화 초기, 저부의 공기(A1)가 랙(2)으로 구분된 내천(川)자형 구멍(21)으로 불쏘시개(3)가 필요로 하는 만큼 제공되며, 숯 연료(4)가 점화된 후의 공기는 상방의 통공(12) 또는 (13)을 통하여 보급되고, 점화 후 전체적인 숯 연료(4)는 저부로부터 상부로 순서대로 전면적으로 발화된다. 과정 중 저부의 랙(2)이 불쏘시개(3)에 의해 먼저 점화되는데, 이 때 완전 연소되어 랙(2)이 무너지면서 상부에 적재된 숯 연료(4)가 아래로 떨어질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이 떨어지는 상황은 랙(2)이 완전히 연소되어 부서지면서 구조적 기계의 힘을 상실했을 때에만 나타나는 현상으로, 이미 완전히 연소되었다면 상대적으로 충분한 화력을 제공하여 저층의 숯 연료(4)를 태우게 되고, 따라서 숯 연료(4)는 자체적으로 자연 연소되는 상태가 되면서 더 이상 저부에서 화력을 제공할 필요가 없게 되며, 떨어진 후 마찬가지로 자체 연 소가 진행되어 상부를 향하여 적재되어 있는 상층부의 숯 연료(4)를 태우게 된다.
과정 중 포위체(1)를 구성하는 막대(15)는 마찬가지로 불꽃이 통공(12)에서 나와 연소되기 때문에, 연소되는 중후반 시간에 상기 막대(15) 역시 점화되어 완전히 연소되며, 이후에는 무너져 내리게 되는데, 무너진 후의 막대(15)의 잔여물은 숯 연료(4)가 쌓인 바깥 둘레에 섞이면서 동시에 연소되며, 또한 무너진 후의 숯 연료(4)의 열 복사파가 저부의 막대(15)를 태우면서 전체적으로 연소된다.
무너진 후의 공기 보급량은, 무너져 내리면서 쌓인 숯 연료(4)가 혼합된 막대(15)의 잔여 찌꺼기 중심 부위의 산소 공급원은 중심 저부의 숯 연료(4)가 이미 발화된 후, 그 공기의 흐름 속도가 온도에 따라 증가되기 때문에, 고온 상황에서 기류의 속도가 빨라지고 산소 소모량이 높아지는 상황이 발생하여 진공력이 외부를 향하는 산소가 그 틈새로부터 중심으로 흡입되면서 상기 부위의 연소를 돕게 되며, 심지어 연기가 피어오르는 과정에서도 마찬가지로 상기 연료에게 산소를 보급할 수 있다.
상기 바닥 프레임(20) 또는 포위체(1)에 막대(15) 구조의 소재를 이용하는 경우, 짜맞추는 사이를 아교로 조립하거나 또는 못을 박아 조립하며, 만약 못을 박는 방식을 이용할 경우, 사용되는 못은 숯 연료의 온도에 쉽게 산화되거나 열에 녹는 재질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단면의 직경이 약 0.3mm인 가는 못을 실험 테스트를 거쳐 숯 연료와 동시에 연소되도록 한 후, 상기 철못이 이미 열에 녹아 대량의 이물질이 미세하게 함유된 불규칙한 용해 입자가 되어, 토양과 친화되어 습기를 머금게 되면 산화철로 분해되기 쉬울 것이며, 유기비료의 원소로 제공될 수 있을 것 이다.
본 고안의 조립은 가는 못을 박는 방식이 바람직하며, 그 이유로는 첫 번째 로 환경문제가 없기 때문이고, 두 번째로 생산 조립 작업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상기 못을 막대에 박은 후, 반드시 습기에 의한 산화문제를 고려해야 한다. 상기 못의 표층에 전기도금층과 같은 항산화층을 설치하고, 장식용 못은 상기 규격 및 항산화층 도금막을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 보호 조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본 고안의 간편한 실시 응용예로서, 본 고안의 포장체(10)를 야외에서 활용할 때, 지면(6)에 직접 돌이나 벽돌(61)을 설치 높이로 쌓고, 상방에 냄비 또는 화로 받침에 놓이는 가열용기, 또는 고기구이판(101)을 설치한다. 발화 과정은 먼저 불쏘시개(3)를 점화하면, 불쏘시개(3)는 사전에 가연성 랙(2)에 불이 붙은 다음, 내부의 숯 연료(4)에 대하여 도 5와 같은 발화 및 연소화 조작이 진행된다.
본 고안의 주요 개념은 가연성 바닥 프레임(20) 상방에 포위체(1)를 결합하여 포장체(10)를 형성하고, 이와 동시에 내부에 숯 연료(4)를 포함하여, 휴대 및 연소가 편리하도록 하며, 연소된 후의 재는 지면(6)에서 방출하여 유기비료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동시 포장의 개념은 도 7을 참조하여 기술한다.
본 고안의 포장 형태는 수납홈(11)에 담긴 숯 연료(4)에 대하여, 간접적으로 종이봉투(5)로 먼저 포장하는데, 이렇게 포장하는 목적은 휴대 과정 중 숯 연료(4)의 부스러기 입자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여 청결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종이봉투(5)를 이용하여 포장한 후 그 입구(51)는 접착제를 붙이거나 또는 손잡이끈(50)으로 묶는 등 어떠한 봉합 방식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접착제로 붙이거나 또는 손잡이끈(50)으로 묶는 방식 중 본 고안은 동시에 묶어 고정시키는 개념으로, 봉합 입구(51)의 위치는 접착제 또는 면실로 된 손잡이끈(50)을 통해 포위체(1)의 상단부(14)에 연결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상단부(14)의 기계적 힘을 이용하여 종이봉투(5)를 동시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종이봉투(5)가 휴대 과정 중 수납홈(11) 내부에 위치되도록 하고, 천연 손잡이끈(50)을 사용하는 의미는 천연 재질로서, 연소된 후 오염을 일으키지 않기 때문이다.
본 고안에 사용된 불쏘시개(3)는 종이봉투(5)와 함께 싸여져 최상층 위치에 놓여, 사용 시 봉합입구(51)를 열면 제 1 순위로 불쏘시개(3)를 꺼낼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불쏘시개(3)는 반대 방향으로 공간(H) 내부에 넣어, 불쏘시개(3)가 불을 피운 후 먼저 가연성 랙(2)을 태우도록 한다. 도 3의 작동 상태와 같이, 종이봉투(5)를 태우고 나면, 충분한 화력을 재이용하여 내부의 숯 연료(4)가 발화되도록 불을 피우게 되는 것이다.
상기 종이봉투(5)는 쉽게 연소되는 재질을 사용하여, 저온의 불씨에 의해 신속하게 산화 연소되도록 하며, 포장된 숯 연료(4)가 상승된 온도와 접촉되기만 하면, 바로 가까운 면적의 종이봉투(5) 표면이 먼저 연소되고, 연소 후 생긴 공간으로 공기가 보급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종이봉투(5)를 개봉한 후 불쏘시개(3)를 꺼내고, 안에 담긴 숯 연료(4)를 방출하여 내부에 담아, 도 3과 같이 조작하여 종 이봉투(5)가 연소되는 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포장은 종이봉투(5)로 숯 연료(4) 또는 불쏘시개(3)를 포장하는 이외에, 포장체(10)의 바깥 둘레에 종이 또는 비닐랩, 비닐봉투 등을 이용하여 직접 또는 2중 포장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닥 프레임(20)은 독립적으로 형성하여, 독립된 포위체(1)를 상대적으로 연결하거나, 또는 연결체를 함께 구성하는 방식을 취할 수 있으며, 독립적으로 제작하는 경우 그 재질은 필요한 연소 속도에 부합되도록 개별적으로 선택하거나, 또는 경제적 여건에 따라 재료를 선택하거나, 또는 각기 다른 조건에 맞추어 다른 규격의 숯 연료를 선택 사용할 수 있다.
응용 상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상기 포장체(10)는 바닥 프레임(20)의 상부에 포위체(1)를 결합하여 구성되며, 바닥 프레임(20)의 상단부에 울짱 형태의 랙(2)이 간격을 두고 구비되며, 울짱 형태의 랙(2) 상방에 포위체(1)가 설치되어 수납홈(11)을 형성한다. 수납홈(11) 내부는 숯 연료를 담기 위한 것이며, 포위체(1)는 다수의 막대(151), (152), (153)로 구성되고, 또한 각 막대(151), (152), (153)의 직경 크기는 연소 시간의 차이에 따라 대소를 구분한다. 예를 들어 하부의 막대(151)는 비교적 일찍 연소되므로, 반드시 그 연소 시간을 연장해야 하므로 막대를 비교적 크게 재단하여, 쉽게 연소되는 최상부의 막대(153)에 맞추어 연소 시간이 길어지도록 하고, 동시에 연소가 완료되는 종점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포위체(1)는 다수의 막대가 서로 연결되어 구성되며, 그 사이는 가는 못을 박는 방식으로 설치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 및 장치 후 가는 못의 물리조건은 본 고안에 적절히 사용 가능하며, 상기 못을 박는 방식은 여기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각 막대(151), (152), (153) 또는 바닥 프레임(20)의 테두리판(221), (222), (223), (224) 등은 모두 도 5의 설명과 같은 방식을 취하며, 재료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한다.
수납홈(11) 내부에 숯 연료를 담게 되어 있으며, 상기 숯 연료는 외형의 규격이 동일화된 제식(制式) 연료를 형성한다. 상기 제식 연료는 식물섬유 또는 톱밥을 고온에서 압축하여 성형한다. 예를 들어 원통 형상의 식물성 챠콜(charcoal)(7)은 동일한 외형 규격을 이용하여 수납홈(11) 내부에 정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렬 방식을 이용하여, 연소과정 중 불꽃의 경로가 고르게 분포되어 연소에 필요한 산소가 측방향 통공(12)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식물성 챠콜(7)은 원형 또는 기타 기하학적 단면으로 모양을 만들 수 있다. 다만 원형을 이용할 경우, 그 표면이 받는 열 온도 반응이 비교적 고르고, 또한 생산이 용이하며, 수납홈(11)에 배열할 때, 동일한 면적의 조건 하에서 비교적 큰 연기 통로(70)가 마련될 수 있다(도 10 참조).
상기 식물성 챠콜(7)은 식물섬유를 분쇄한 후 압착하여 성형한 것으로서, 야자, 종려 또는 톱밥 등을 주요 소재로 제조한다. 외관 칫수를 조건에 부합되도록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식물성 챠콜(7)은 가공을 거쳐 성형되며, 그 중심부에 관로(71)를 구비하면( 도 10 참조), 상기 관로(71)가 랙(2)(도 9 참조)에서 연소되어 변형되거나 또는 연소되어 무너진 후, 그 하단부에서 공기 통로를 만들어, 공기가 관로(71) 저부로부터 유입되어 상부로 흐르면서 단위 연통 효과를 형성하여, 이와 같은 환경이 공기 대류 속도를 높여주어 충분한 산소를 제공하게 된다. 물론 랙(2)이 무너진 후에는 상기 식물성 챠콜(7) 역시 무너지게 되는데, 그것이 무너진 상태가 원래 직립이었기 때문에 서로 기울어져 교대로 중첩되는 형태를 이루게 될 가능성이 높으며, 상기 경사각도 역시 연통 효과를 형성하며, 심지어 수평으로 무너졌을 때에도, 상기 관로(71)는 환경에 따른 단일한 측방향의 풍압으로 인하여 단일한 각도의 방향을 이룰 수 있다. 즉 바람의 흐름이 관로(71)의 단일한 단부로부터 진입되어, 타단으로 빠져나가게 되면, 역시 기류가 교환되는 근거를 제공하게 되고, 또한 관로(71)가 기류의 유입을 받는 동시에 상기 단부 맞은편의 열온도가 함께 유입되어 관벽과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되며, 연소점에 도달할 때, 역시 내부 연소 작용이 발생한다.
울짱 형태의 랙(2)은 내천(川)자형 구멍(21)이 간격을 두고 구비되며, 내천(川)자형 구멍(21) 또한 산소를 보급하는 작용을 한다.
바닥 프레임(20)과 상부의 포위체(1) 사이를 일체형으로 연결한 구조는 연장된 막대(120)를 이용하여 포위체(1) 및 바닥 프레임(20)의 모서리 단부에 끼워 직립 형태를 형성하며, 포장체(10)가 일체형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포장체(10) 내부에 정렬 형태의 식물성 챠콜(7)을 수납한 후, 하부의 바닥 프레임(20)에 불쏘시개(3)를 함께 포장한다. 상기 포장 후의 가장 바깥 가장자리는 종이봉투 또는 비닐봉투 등과 같은 기타 종이 형태의 포장봉 투를 이용하여 포장체(10)를 둘러싸도록 이중 포장하고, 아울러 불쏘시개(3)를 바닥 프레임(20) 내부의 공간(H) 내부에 함께 포장한다. 이와 같이 가장 바깥층의 포장봉투(110)로 전체를 감싸, 불쏘시개(3)가 운송 과정에서 바닥 프레임(20)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거나 또는 판매나 진열 시 본체와 동시에 포장하면 사용자가 겉 포장봉투(110)를 개봉한 후, 바로 불쏘시개(3)를 꺼내어 점화 조작을 하기가 편리하다. 불쏘시개(3)가 발화된 후에는 불꽃이 먼저 랙(2)에 붙게 되는데, 랙(2)이 연소 온도를 받은 후에는 자체적으로 연소가 발생하여, 랙(2)이 자연 연소되는 불꽃을 재이용하여 식물성 챠콜(7) 저부가 전체적으로 발화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바닥 프레임(20)은 상부를 향해 포장체(10)가 연결되는 방식이며, 서로 다른 재질을 이용하여 각기 다른 응용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닥 프레임(20)을 합판 분할 재료로 할 경우, 상부의 포위체(1)는 상기 방식의 막대로 구성하거나 또는 종이 재질을 구부려 포위체를 형성하거나, 또는 식물성 챠콜(7)의 외형을 규격화함으로 인하여 끈으로 묶는 방식으로 측방향에서 묶어 바닥 프레임(20)과 연결하는 방식을 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포위체는 여러 가지 방식으로 응용될 수 있으며, 그 조건은 포위체(1)의 재질이 연소될 수 있어야 하며, 또한 천연소재로 연소 후 유독가스를 발생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바닥 프레임(20)과 일체로 연결될 수 있어야 한다.
식물성 챠콜(7) 중앙에 구비된 관로(71)는 원래 산소와 접촉되는 면적으로 설계된 것이나, 본 고안의 포장 방식에서는 상기 관로(71)를 랙(2)의 수직 상방에 위치시켜, 랙(2)의 단면에 의해 격리되도록 한다. 이러한 격리 작용은 도 10에 도 시된 바와 같으며, 그 목적은 랙(2)을 이용하여 식물성 챠콜(7)을 직접 받치도록 하고, 각각의 식물성 챠콜(7)은 규격이 제식화되어 원형체로 설계되므로, 배열되는 맞은편 바깥 둘레의 원형 상대면에 호형상이 형성되고, 사이각의 대변에 비교적 큰 연기의 통로(70)가 형성된다. 상기 연기 통로(70)를 이용하여 연기가 대량으로 흐르게 되며, 관로(71)의 단면이 비교적 작아 대류 속도가 나쁘더라도,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비교적 우수한 연기 통로를 제공해 줄 수 있어 발화 초기에 기류가 쉽게 흐르도록 한다.
랙(2)을 이용하여 단독으로 위를 향해 한 줄의 식물성 챠콜(7)을 압박하면, 적재 능력이 단독으로 분배될 수 있으며, 또한 식물성 챠콜(7)을 원형으로 동일한 규격으로 제작하여, 정렬 후에 수납홈(11) 내부에 담으며 포위체(1) 모서리의 사이각 공간에 연장된 막대(120)를 위치시킨다.
이와 같이, 식물성 챠콜(7)을 동일한 규격의 외형으로 제작하여 정열 배치에 유리하도록 하고, 또한 포위체(1)의 내부 너비를 식물성 챠콜(7)의 직경 배수에 맞추어 설정하며, 상기 식물성 챠콜(7)은 사각형 단면 또는 기타 기하 규칙적인 단면으로 설계할 수 있다. 보통 원형의 벽면이 균등하고, 표면이 서로 연기가 흐르는 마찰 속도에 의해 가까워지기 때문에 원형이 가장 바람직하며, 원형을 이용하여 이웃한 식물성 챠콜(7)의 단면 접촉점이 선형이 되도록 하여, 비교적 큰 연기의 통로(70)를 비울 수 있다.
상기 식물성 챠콜(7)의 배열은 세로 몸체의 중앙에 관로(71)를 개설하여, 관로(71)가 수직 상태일 때에는 열이 대류되는 연통 효과가 형성되며, 상대적으로 식 물성 챠콜(7)의 배치 각도를 수평으로 조절하고 전후로 연결되는 방식(도 11 참조)을 이용하여 이어진 상태로 랙(2) 상방에 놓으면, 상기 관로(71)가 식물성 챠콜(7)의 발화 외관이 연소되어 변형되기 전에는 아무런 작용도 보이지 않는다. 발화 초기에 가로로 놓인 식물성 챠콜(7)은 몸통 외표면으로만 열작용을 받고, 관로(71) 내표면은 가려진 상태가 되어 열 반응이 없으며, 전반적으로 발화되는 초기에 관로(71)의 내면은 열작용을 받지 않기 때문에 저온을 유지하게 되며, 식물성 챠콜(7)의 외표면과 동시에 연소되지 않는데, 그 시간차는 전체적인 연소 속도를 늦춰주어 고단백질 식품 등과 같이 고온으로 덥힐 필요가 없는 식재료를 굽는데 유리하다.
상기 변화되는 방식을 이용하여 단위 시간 내의 열 공률을 낮춰줄 수 있고, 상대적으로 연소 속도가 저하되면 연소 시간이 늦춰지게 된다. 단위시간 내의 화력을 낮춰줌으로써, 은근한 불을 이용하는 방식의 구이가 이루어지며, 상기 은근한 불은 구이 음식이 비교적 많은 열전달 시간을 얻을 수 있어, 식재료 외표면의 열성질이 식재료의 중심부로 진입하게 되며, 또한 외표면이 과열되어 탈 우려가 없고, 안과 밖의 열작용이 비교적 균일하여 동시에 덥혀질 수 있다.
상기 식물성 챠콜(7)의 재료는 톱밥섬유를 이용하여, 고온에서 압착하여 성형하며, 상기 섬유는 또한 야자, 종려, 뱀나무 등과 같은 식물의 섬유에서 취하여, 분쇄 후 고온 고압 상태에서 압착하여 형성되는 야자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연료는 톱밥 섬유를 고압으로 압축하여 만든 것으로, 발생되는 열수치 및 연소시간이 최대인 것을 선택하며, 만약 장시간 고기를 굽는데 사용할 경우, 상기 챠콜 연료(4)는 톱밥 섬유를 고압으로 압축하여 성형한 것을 선택하는 것이 바 람직하다.
본 고안 중 바닥 프레임(20)의 실시는(도 5 참조), 상부에 가연성 랙(2)을 형성하고, 저부에 공간(H)을 형성하여, 불쏘시개(3)를 넣고 2단식으로 발화되도록 하며, 공간(H)을 형성할 때, 만약 측방향의 강풍 기류를 고려하지 않고, 다리기둥, 다리판, 또는 다리받침 등과 같이 울짱 형태의 랙(2)을 지탱할 수 있는 지탱 부재만으로 하부에 공간(H)을 형성하여 불쏘시개(3)를 담도록 하는 경우는 모두 본 고안의 실시 내용이다.
본 고안 중 랙(2) 상방에 적재되는 숯 연료(4)(도 9 참조)는 기본적으로 1 층으로 가지런히 포설하거나 또는 2층 이상으로 쌓아올린다. 층을 쌓는 높이에 따라 높이에 맞는 포장체(1)를 선택하며, 식물성 챠콜(7)과 같이 1층으로 포설되는 규격화된 연료는 이를 직립 또는 가로 방식으로 배치할 수 있다. 가로 방향의 배치는 필요한 연소 시간의 길이에 따라 결정되며, 산화 정도에 영향을 주는 관로(81)의 방향을 가로 또는 세로로 배열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포장체에 설치된 바닥 프레임(20)은 울짱 형태의 랙(2)을 통하여 숯 연료(4) 또는 식물성 챠콜(7)을 적재하게 되어 있으며, 숯 연료(4) 또는 식물성 챠콜(7)은 전술한 바와 동일한 정열 방식으로 배치하고, 포위체(1) 상단은 연장부(200)를 통하여 상층 포위체(1A)가 연장되도록 하며, 상기 상층 포위체(1A)의 저부에는 상층 울짱 형태의 랙(2A)이 설치되어, 상층 울짱 랙(2A) 상방에 숯 연료(4) 또는 식물성 챠콜(7)을 포설한다. 불쏘시개(3)는 연장부(200)에 설치된 주입구(201)를 통하여 주입한다. 조작 점화 경로에 의하면 바닥 프레임(20) 은 불쏘시개(3)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불쏘시개(3)는 주입구(201)를 통하여 조작 점화된 후, 열복사파가 상부를 향해 상층 울짱 랙(2A)을 발화시키게 되는데, 상층 울짱 랙(2A)의 개입을 통하여 비교적 큰 불꽃이 발생되며 상층 연료를 전면적으로 발화시키게 된다.
불쏘시개(3)가 연소되는 열복사파는 다방향 복사파로서, 기류의 열효율이 상부로 전달되는 이외에, 열복사파는 마찬가지로 아래를 향해 하층부의 숯 연료(4) 또는 식물성 챠콜(7)의 상부면을 태우게 된다. 열기류의 물리적 효과를 근거로 알 수 있듯이, 상층부의 숯 연료(4) 또는 식물성 챠콜(7)은 먼저 전면적으로 발화되어, 선행적으로 연소된 후, 연소 후의 부숴진 잔여물은 바로 아래로 떨어져, 하층부 숯 연료(4)의 상부 표면 위로 떨어지게 되고, 마찬가지로 연소를 일으키게 되는데, 다만 하층부의 숯 연료(4) 또는 식물성 챠콜(7)은 상부 표면이 발화되는 것이기 때문에 전체적인 연소 속도가 비교적 완만하다.
연소에 보급되는 모든 공기는 바닥 프레임(20) 또는 주입구(201)를 통하여 진입된다.
공간(H)은 불쏘시개(3)를 넣고 점화조작을 할 수 있는 조건을 만족시키기만 하면 된다.
상기 불쏘시개(3)는 마찬가지로 상기 나무섬유 혼합 광물유를 유성 종이로 포장하거나 또는 고체 알콜을 가연성 포장체로 포장한다.
강력한 화력을 얻기 위해서는 연장부의 공간(H)에 불쏘시개(3)를 담아 중간 부분을 연소시키도록 하는 이외에, 바닥 프레임(20)의 공간(H) 내부에도 동시에 불 쏘시개(3)를 넣고, 상, 하층부의 숯 연료(4) 또는 식물성 챠콜(7)이 동시에 발화되도록 동시에 점화하며, 동시 발화 조작의 실시를 통하여 신속하게 연소를 유도하면, 연소 유도 후 단위시간 이내에 비교적 큰 열공률이 발생하여 강력한 화력을 얻을 수 있으며, 그 과정에서 포위체의 재료는 마찬가지로 연소 후 재로 변하게 된다.
상기 포위체는 다수의 나무 막대를 교차되도록 쌓아올린 것으로서, 상기 막대는 천연 목재 이외에, 나무 재질의 섬유로 제작된 MDF 합판을 잘라 만든 것이며, 전술한 정렬 방식과 같이 외형 규격이 동일한 식물성 챠콜을 수납홈(11) 내부에 배치한다. 그 연소과정은 도 5 및 도 9의 원리와 마찬가지로 전면적으로 발화되며, 그 정렬 배치 방식은 도 10의 개념과 동일하게 순서대로 배열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내부에 포장된 숯 연료에 대하여, 발화 초기에 적재된 숯 연료가 완전히 발화되도록 돕고, 연소 후의 재는 유기 비료화합물로 이용하여 2차 오염을 방지하도록 하는 포장체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6)

  1. 포장된 숯 연료가 동시에 발화되는 숯 연료 포장체에 있어서,
    가연성 방풍 바닥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 프레임의 상단부에 가연성 랙이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숯 연료를 적재하며, 상기 랙에는 상기 바닥 프레임 내부 공간의 기류가 통하기 위한 내천(川)자형 구멍이 구비되고, 상기 바닥 프레임 내부의 공간은 불쏘시개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바닥 프레임 테두리 상단이 포위체와 결합하여 숯 연료 수납홈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 연료 포장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체 바깥 둘레가 가연성 포장지로 포장되고,
    상기 불쏘시개가 바닥 프레임 내부에 함께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 연료 포장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쏘시개는 목재섬유에 광물유가 혼합되어, 기름종이로 포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 연료 포장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쏘시개는 고체 알코올 연료로서, 가연성 포장재로 포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 연료 포장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숯 연료는 목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 연료 포장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숯 연료는 코크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 연료 포장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숯 연료는 나무뿌리 또는 식물섬유를 제식 외형 규격을 갖추도록 몰딩 제작한 식물성 챠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 연료 포장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위체 및 바닥 프레임은 다수의 나무 막대를 짜맞추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 연료 포장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는 나무 재질의 섬유로 제조된 합판을 잘라 만든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 연료 포장체.
  10. 제 7 항에 있어서,
    동일한 외형 규격을 갖춘 식물성 챠콜이 순서대로 상기 랙 상방의 포위체 내부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 연료 포장체.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위체는 가연성 나무 섬유를 몰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 연료 포장체.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프레임은 가연성 나무재질 섬유를 몰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 연료 포장체.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위체는 종이를 접어 구성되고 또한, 바닥 프레임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 연료 포장체.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프레임에 형성된 공간은 지탱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 연료 포장체.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프레임 상방의 상기 랙에 적재된 숯 연료 적재층은 1층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 연료 포장체.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연성 바닥 프레임 상방에 설치되는 포위체의 상단부에, 연장부를 통하여 위를 향해 상층 포위체가 연장되고, 상기 상층 포위체의 저부에 상층 울짱 형태의 랙이 설치되어, 양자 사이에 수납홈이 형성되어 연료가 포설되며,
    상기 연장부는 그 중간 부분의 공간을 따라 불쏘시개를 주입하는 주입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 연료 포장체.
KR2020060026252U 2006-09-28 2006-09-28 숯 연료 포장체 KR2004348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252U KR200434866Y1 (ko) 2006-09-28 2006-09-28 숯 연료 포장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252U KR200434866Y1 (ko) 2006-09-28 2006-09-28 숯 연료 포장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4866Y1 true KR200434866Y1 (ko) 2006-12-28

Family

ID=41783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6252U KR200434866Y1 (ko) 2006-09-28 2006-09-28 숯 연료 포장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486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8398A (ko) * 2014-10-24 2016-05-04 유남곤 연료 포장체
KR101694078B1 (ko) * 2015-11-24 2017-01-06 김재명 숯 연료 포장체
WO2017179904A1 (ko) * 2016-04-12 2017-10-19 김철기 일회용 발화연소장치
KR101862313B1 (ko) 2016-11-15 2018-05-29 주식회사 홈베큐 간편착화식 종이봉지숯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8398A (ko) * 2014-10-24 2016-05-04 유남곤 연료 포장체
KR101651010B1 (ko) 2014-10-24 2016-08-24 유남곤 연료 포장체
KR101694078B1 (ko) * 2015-11-24 2017-01-06 김재명 숯 연료 포장체
WO2017179904A1 (ko) * 2016-04-12 2017-10-19 김철기 일회용 발화연소장치
KR101796965B1 (ko) * 2016-04-12 2017-11-13 김철기 일회용 발화연소장치
KR101862313B1 (ko) 2016-11-15 2018-05-29 주식회사 홈베큐 간편착화식 종이봉지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31200C2 (ru) Одноразовый гриль
US6508849B1 (en) Fire starter as sole fuel to quickly ignite a log of wood
MX2007008754A (es) Envase de combustion para aglomerado de carbon vegetal y un encendedor de fuego.
KR102289806B1 (ko) 일회용 그릴
KR200434866Y1 (ko) 숯 연료 포장체
US8647399B2 (en) Fire starter
KR20110010431U (ko) 무동력 목재펠릿 난로
GB2442702A (en) Carbon fuel combustion package
KR101849395B1 (ko) 펠렛 난로
US8250995B2 (en) Log cartridge burning system
CN102015979A (zh) 对环境安全的炭基热源
JP6979377B2 (ja) 煙突効果により着火性に優れた木炭パッケージ
US20080092873A1 (en) Carbon fuel combustion supporting packaging
US20060027227A1 (en) Volcano furnace
JP3126767U (ja) 炭素燃料点火補助包装体
US20230349547A1 (en) Combustion Device
CA2556953A1 (en) Carbon fuel combustion supporting packaging
US20140096440A1 (en) Combustible artificial firelog assembly
CN107667258A (zh) 利用颗粒燃料的点火装置
TWI275639B (en) Combustion-supporting package of carbon fuel
FR3095451A1 (fr) Bloc combustible constitué par une cagette en bois contenant des matériaux combustibles
CA2309572C (en) A fire starter as sole fuel to quickly ignite a log of wood
CN219645569U (zh) 一种便携式生碳火装置
JP2005083581A (ja) 木炭の着火容器
US20040173206A1 (en) Multi-purpose two-tier fireplace gr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