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2313B1 - 간편착화식 종이봉지숯 - Google Patents

간편착화식 종이봉지숯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2313B1
KR101862313B1 KR1020160152253A KR20160152253A KR101862313B1 KR 101862313 B1 KR101862313 B1 KR 101862313B1 KR 1020160152253 A KR1020160152253 A KR 1020160152253A KR 20160152253 A KR20160152253 A KR 20160152253A KR 101862313 B1 KR101862313 B1 KR 101862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ag
charcoal
casing
i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2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4374A (ko
Inventor
김정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홈베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홈베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홈베큐
Priority to KR1020160152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2313B1/ko
Publication of KR20180054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4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2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2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4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vegetable substances
    • C10L5/442Wood or forestry wast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63Small-size, portable barbecues
    • A47J37/0768Disposable barbecue packages containing a quantity of fuel, e.g. charco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47J37/079Charcoal igni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95Ventilating arrangements, e.g. openings, space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1/00Manufacture of firelighters
    • C10L11/04Manufacture of firelighters consisting of combustibl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1/00Manufacture of firelighters
    • C10L11/08Apparatu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00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 F24C1/16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with special adaptation for travelling, e.g. collapsi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원으로 사용되는 다수개의 숯과 종이재질로 상기 숯이 내부에 밀봉된 상태로 저장되는 저장봉지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저장봉지는 하면부 가운데부분에 다수개의 점화유도공이 일정간격으로 천공되어 있으며 저장봉지에서 다수개의 점화유도공이 천공된 부분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는 내부로의 습기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밀봉비닐이 고정부착되어 있는 숯포장부와, 수평으로 눕혀진 상부가 개구된 종이재질의 케이스형상으로 저장봉지의 하면부와 바닥면 사이에 공기유입을 위한 일정한 공간부를 형성하는 수납케이싱이 구비되고 상기 수납케이싱은 저장봉지의 점화유도공이 천공된 부분을 둘러싼 상태로 저장봉지의 하면부에 고정부착되며 수납케이싱의 전방에는 전방개폐구가 절취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수납부와, 포장봉지의 내부에 하나 또는 다수개의 착화제가 투입되어 밀봉포장된 상태로 수납케이싱의 내부에 수납되며 절취제거되는 수납케이싱의 전방개폐구를 통해 착화제가 점화되면서 저장봉지의 점화유도공을 통해 내부의 숯을 착화시키는 착화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착화식 종이봉지숯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간편착화식 종이봉지숯{A paper bag Charcoal for a simple ignition}
본 발명은 캠핑 등에서 숯을 이용한 직화식 요리 등을 하는 경우 숯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착화(着火)시킬 수 있는 종이봉지숯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열원으로 사용되는 다수개의 숯과 종이재질로 상기 숯이 내부에 밀봉된 상태로 저장되는 저장봉지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저장봉지는 하면부 가운데부분에 다수개의 점화유도공이 일정간격으로 천공되어 있으며 저장봉지에서 다수개의 점화유도공이 천공된 부분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는 내부로의 습기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밀봉비닐이 고정부착되어 있는 숯포장부와, 수평으로 눕혀진 상부가 개구된 종이재질의 케이스형상으로 저장봉지의 하면부와 바닥면 사이에 공기유입을 위한 일정한 공간부를 형성하는 수납케이싱이 구비되고 상기 수납케이싱은 저장봉지의 점화유도공이 천공된 부분을 둘러싼 상태로 저장봉지의 하면부에 고정부착되며 수납케이싱의 전방에는 전방개폐구가 절취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수납부와, 포장봉지의 내부에 하나 또는 다수개의 착화제가 투입되어 밀봉포장된 상태로 수납케이싱의 내부에 수납되며 절취제거되는 수납케이싱의 전방개폐구를 통해 착화제가 점화되면서 저장봉지의 점화유도공을 통해 내부의 숯을 착화시키는 착화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착화식 종이봉지숯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숯은 목재를 공기의 공급을 차단하고 가열하거나 또는 공기를 아주 적게 하여 가열하였을 때 생성되는 고체 생성물을 말하며, 재료로는 보통 단단한 나무가 사용되는데 한국에서는 참나무류가 주로 사용되어 이로부터 생성되는 참숯이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숯은 통상적으로 비닐봉지 등에 일정량씩 넣어 포장된 상태로 공급되어 사용자가 그릴 등의 장치에 일정량의 숯을 넣고 착화시켜 돼지고기나 소고기, 닭고기, 오리고기 등의 육류나 어류를 직화식으로 구이요리하는 경우의 연료로서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종래 사용되는 포장숯은 단순히 습기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비닐봉지 등으로 숯을 밀봉처리하여 비닐봉지채로 숯에 불을 붙히면 각종 유해가스 등이 발생되어 숯을 비닐봉지로부터 꺼내어 토치 등의 도구를 이용해 착화시켰는데, 숯을 비닐봉지로부터 꺼내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손에 이물질 등이 묻어날 뿐 아니라 숯가루가 비산되고 숯에 불이 잘 붙지 않아 불을 붙이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포장숯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 10-2016-0000208호에서는 일정한 크기로 선별한 숯; 숯을 적어도 2개 안치시켜 외기와의 접촉을 차단하도록 외부면을 실링하는 포장봉지; 포장봉지의 내측에 코팅되어 점화기능 및 외기차단 기능을 하며 실링작업시 융착되는 생분해성 폴리머층; 및 숯 사이에 충격 흡수 및 심지용으로 안치되는 눌러진 관체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포장봉지는 내측의 생분해성 폴리머층에 의하여 실링상태로 융착되며, 융착시 눌러진 관체가 심지용으로 외부로 노출되도록 융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포장숯이 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포장봉지 내측의 숯 사이에 위치된 관체가 심지용으로 사용되면서 관체에 불을 붙여 인접된 숯이 점화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관체에 붙은 불이 양측에 위치된 숯에 쉽게 옮겨 붙지 않아 숯이 점화되는데 장시간이 소요될 뿐 아니라 포장봉지 내부로 외부로부터의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되지 않아 관체에 붙은 불이 쉽게 꺼져 숯을 신속하게 점화시키기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이재질로 된 저장봉지의 내부에 일정량의 숯을 투입하여 밀봉하고 상기 저장봉지의 하면부에는 다수개의 점화유도공을 천공하며 저장봉지의 점화유도공이 천공된 부분을 둘러싼 상태로 저장봉지의 하면부에 상부가 개구된 종이재질로 된 수납케이싱을 고정부착하고 수납케이싱의 내측에는 포장봉지에 밀봉포장된 착화제를 투입하여 사용자가 저장봉지 내부의 숯을 꺼내지 않고 수납케이싱의 전방개폐구를 통해 불이 붙기 쉬운 재질로 된 내측의 착화제를 점화시키면 숯의 하부에 위치된 착화제로부터의 불이 저장봉지의 점화유도공을 통해 내부의 숯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착화시키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열원으로 사용되는 다수개의 숯과 종이재질로 상기 숯이 내부에 밀봉된 상태로 저장되는 저장봉지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저장봉지는 하면부 가운데부분에 다수개의 점화유도공이 일정간격으로 천공되어 있으며 저장봉지에서 다수개의 점화유도공이 천공된 부분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는 내부로의 습기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밀봉비닐이 고정부착되어 있는 숯포장부와, 수평으로 눕혀진 상부가 개구된 종이재질의 케이스형상으로 저장봉지의 하면부와 바닥면 사이에 공기유입을 위한 일정한 공간부를 형성하는 수납케이싱이 구비되고 상기 수납케이싱은 저장봉지의 점화유도공이 천공된 부분을 둘러싼 상태로 저장봉지의 하면부에 고정부착되며 수납케이싱의 전방에는 전방개폐구가 절취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수납부와, 포장봉지의 내부에 하나 또는 다수개의 착화제가 투입되어 밀봉포장된 상태로 수납케이싱의 내부에 수납되며 절취제거되는 수납케이싱의 전방개폐구를 통해 착화제가 점화되면서 저장봉지의 점화유도공을 통해 내부의 숯을 착화시키는 착화부로 구성된 것에 본 발명의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종이재질로 된 저장봉지의 내부에 일정량의 숯이 투입되어 밀봉되고 상기 저장봉지의 하면부에는 다수개의 점화유도공이 천공되며 저장봉지의 점화유도공이 천공된 부분을 둘러싼 상태로 저장봉지의 하면부에 상부가 개구된 종이재질의 수납케이싱이 고정부착되고 수납케이싱의 내측에는 포장봉지에 밀봉포장된 착화제가 투입되어 있어 사용자가 저장봉지 내부의 숯을 꺼내지 않고 수납케이싱의 전방개폐구를 통해 불이 붙기 쉬운 재질로 된 내측의 착화제를 점화시키면 숯의 하부에 위치된 착화제로부터의 불이 저장봉지의 점화유도공을 통해 내부의 숯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착화시킬 수 있고, 또한 저장봉지로부터 숯을 꺼내지 않고 점화시켜 숯가루가 날리거나 손에 묻지 않으며 수납케이싱이 숯포장부의 하부에 일정한 공간부를 형성하여 하측의 착화제와 숯에 원활하게 공기가 유입되어 숯의 점화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간편착화식 종이봉지숯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저면 사시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간편착화식 종이봉지숯의 수납부에 착화부가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 사시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간편착화식 종이봉지숯의 숯포장부에 수납부가 부착된 상태로 수납케이싱의 전방개폐구가 절취제거되어 개방된 상태의 사시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간편착화식 종이봉지숯의 종단면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간편착화식 종이봉지숯의 심지와 착화제를 점화하여 숯을 착화시키는 상태의 단면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간편착화식 종이봉지숯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개략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성을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간편착화식 종이봉지숯(1)은 도 1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핑 등에서 숯을 이용한 직화식 요리 등을 하는 경우 숯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착화(着火)시킬 수 있는 종이봉지숯에 관한 것으로, 열원으로 사용되는 다수개의 숯(4)과 종이재질로 상기 숯(4)이 내부에 밀봉된 상태로 저장되는 저장봉지(3)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저장봉지(3)는 하면부 가운데부분에 다수개의 점화유도공(5)이 일정간격으로 천공되어 있으며 저장봉지(3)에서 다수개의 점화유도공(5)이 천공된 부분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는 내부로의 습기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밀봉비닐(6)이 고정부착되어 있는 숯포장부(2)와, 수평으로 눕혀진 상부가 개구된 종이재질의 케이스형상으로 저장봉지(3)의 하면부와 바닥면 사이에 공기유입을 위한 일정한 공간부를 형성하는 수납케이싱(8)이 구비되고 상기 수납케이싱(8)은 저장봉지(3)의 점화유도공(5)이 천공된 부분을 둘러싼 상태로 저장봉지(3)의 하면부에 고정부착되며 수납케이싱(8)의 전방에는 전방개폐구(12)가 절취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수납부(7)와, 포장봉지(14)의 내부에 하나 또는 다수개의 착화제(15)가 투입되어 밀봉포장된 상태로 수납케이싱(8)의 내부에 수납되며 절취제거되는 수납케이싱(8)의 전방개폐구(12)를 통해 착화제(15)가 점화되면서 저장봉지(3)의 점화유도공(5)을 통해 내부의 숯(4)을 착화시키는 착화부(13)로 구성된다.
상기 숯포장부(2)는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이재질로 된 저장봉지(3) 내부에 일정량의 숯(4)이 밀봉포장된 부분으로, 열원으로 사용되는 다수개의 숯(4)과 종이재질로 상기 숯(4)이 내부에 밀봉된 상태로 저장되는 저장봉지(3)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저장봉지(3)는 하면부 가운데부분에 다수개의 점화유도공(5)이 일정간격으로 천공되어 있으며 저장봉지(3)에서 다수개의 점화유도공(5)이 천공된 부분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는 내부로의 습기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밀봉비닐(6)이 고정부착되어 있다.
상기 저장봉지(3)는 종이재질로 내주면에 전분 등의 재질로 된 생분해성 플라스틱 등이 코팅처리되어 있어 열융착 등의 방법을 통해 저장봉지(3)의 밀봉처리가 가능하여 내부로 습기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면서 연소시 유해가스가 발생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저장봉지(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부 가운데부분에 다수개의 점화유도공(5)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다수개의 점화유도공(5)이 천공된 부분에는 전분 등의 재질로 된 생분해성 플라스틱 필름 등으로 이루어진 밀봉비닐(6)이 고정부착되어 외부로부터의 습기가 저장봉지(3)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저장봉지(3) 내부의 숯가루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함께 방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숯포장부(2)의 하부에 위치된 수납케이싱(8) 내부에 들어있는 착화제(15)의 점화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화제(15)로부터의 불이 상기 밀봉비닐(6)을 연소시킨 후 다수개의 점화유도공(5)을 통해 저장봉지(3)의 내측으로 유입되면서 내측의 숯(4)을 점화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저장봉지(3)로부터 숯(4)을 외부로 꺼내지 않고 점화가능하여 숯가루가 날리거나 손에 묻지 않아 위생적인 착화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숯(4)은 연소에 따라 연소열을 발생시키는 부분으로 참나무 등의 목재를 연소시킨 참숯이 주로 사용되는데, 필요에 따라서는 조개탄 등의 성형목탄도 대체 사용가능하다.
상기 수납부(7)는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착화제(15)가 수납되면서 저장봉지(3)가 놓여지는 바닥면과 저장봉지(3)의 하면부 사이에 일정한 공간부를 형성하여 착화제(15)에 원활한 산소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부분으로,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로 상부가 개구된 종이재질의 케이스형상으로 저장봉지(3)의 하면부와 바닥면 사이에 공기유입을 위한 일정한 공간부를 형성하는 수납케이싱(8)이 구비되고 상기 수납케이싱(8)은 저장봉지(3)의 점화유도공(5)이 천공된 부분을 둘러싼 상태로 저장봉지(3)의 하면부에 고정부착되며 수납케이싱(8)의 전방에는 전방개폐구(12)가 절취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수납케이싱(8)은 일정두께를 지닌 판지나 보드지 등의 단단한 종이재질로 형성되어 있어 수평으로 눕혀진 케이스형상의 수납케이싱(8)이 바닥면에 놓여지는 경우 상부에 위치되는 숯포장부(2)의 하중에 의해 수납케이싱(8)이 쉽게 구겨지거나 압착되지 않고 일정한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으며 수납케이싱(8)의 상면부 외곽둘레에는 테두리부(9)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테두리부(9)의 상면부에는 양면테이프나 접착제 등의 부착수단(10)이 부착되어 있어 수납케이싱(8)이 저장봉지(3)의 하면부에 간편하게 고정부착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테두리부(9)는 저장봉지(3)의 하면부에 천공된 다수개의 점화유도공(5)의 외곽부분을 둘러싸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납케이싱(8)은 전방에 형성된 절취선(11)을 따라 전방개폐구(12)가 절취 제거되도록 되어 있어 내부에 수납된 착화제(15)에 불을 붙이고자 하는 경우 도 3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전방개폐구(12)를 수납케이싱(8)으로부터 분리시켜 제거한 다음 내부의 착화제(15)에 불을 붙여 수납케이싱(8)의 개구된 전방을 통해 내측으로 산소가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착화부(13)는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에 용이하게 착화되어 연소되면서 저장봉지(3)의 숯(4)을 점화시키는 부분으로, 포장봉지(14)의 내부에 하나 또는 다수개의 착화제(15)가 투입되어 밀봉포장된 상태로 수납케이싱(8)의 내부에 수납되며 절취제거되는 수납케이싱(8)의 전방개폐구(12)를 통해 착화제(15)가 점화되면서 저장봉지(3)의 점화유도공(5)을 통해 내부의 숯(4)을 착화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포장봉지(14)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필름 등의 재질로 되어 있어 내부에 하나 또는 다수개의 착화제(15)가 투입된 상태로 밀봉처리되어 내측으로 습기 등이 유입되지 않게 차단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착화제(15)는 일정크기를 지닌 블럭형상으로 하나 또는 다수개가 포장봉지(14)에 밀봉된 상태로 포장되도록 되어 있되, 상기 착화제(15)는 주정을 함침시킨 목재 또는 알코올을 비누와 혼합하여 제작된 고체연료 등으로 이루어져 있어 쉽게 불이 붙는 재질로 형성되면서 불이 붙은 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연소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착화제(15)의 연소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케이싱(8)의 내측에 위치된 착화제(15)로부터의 불이 저장봉지(3)의 점화유도공(5)을 통해 상측에 위치된 숯(4)을 연소시켜 간편하고 신속하게 착화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착화부(13)는 착화제(15)와 함께 불이 점화되게 쉬운 재질의 심지(16)가 포함되도록 되어 있되, 상기 심지(16)는 신문지 등의 얇은 종이를 권취하여 형성되며 전후길이가 수납케이싱(8)의 내측 전후길이에 부합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어 수납케이싱(8)의 내측에 하나 또는 복수개의 심지(16)가 포장봉지(14)에 넣어진 착화제(15)와 함께 수납되면서 수납케이싱(8)의 전방개폐구(12)를 절취제거하면 심지(16)의 전방이 외측으로 노출되어 심지(16)에 용이하게 불을 붙이도록 되어 있고 심지(16)에 불을 붙이면 심지(16)를 따라 연소되는 불이 착화제(15)에 옮겨 붙어 착화제(15)를 점화시키고 착화제(15)에 옮겨 붙은 불이 상측의 숯(4)을 가열하여 점화시키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케이싱(8)은 하부에 알루미늄박 등의 재질로 된 받침트레이(17)가 결합되도록 되어 있되, 상기 받침트레이(17)는 저장봉지(3)의 크기에 부합되는 크기를 지닌 판형상으로 가운데부분에는 일정높이를 지닌 안착턱(18)이 수직상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어 안착턱(18)의 내측에 수납케이싱(8)의 하부가 부합되게 안착되면서 수납케이싱(8)의 외측면을 안착턱(18)이 둘러싸 지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수납케이싱(8) 내측의 착화제(15)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수납케이싱(8)이 빠르게 연소되어 수납케이싱(8)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가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고 숯포장부(2)의 숯(4)이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재가 받침트레이(17) 위에 모여 연소 후 소각된 재의 용이한 처리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안착턱(18)은 전방이 개방되어 있어 수납케이싱(8)의 전방개폐구(12)를 차단하지 않아 수납케이싱(8)의 내측으로 공기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간편착화식 종이봉지숯(1)을 이용하여 캠핑 등에서 숯을 이용한 직화식 요리 등을 하는 경우 숯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착화(着火)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수납케이싱(8)의 전방에 형성된 절취선(11)을 따라 전방개폐구(12)를 절취제거하여 수납케이싱(8)의 전방을 개방하고 상기 수납케이싱(8)의 개방에 따라 전방 외측으로 노출된 심지(16)에 불을 붙이면 심지(16)를 따라 연소되는 불이 착화제(15)에 옮겨 붙어 착화제(15)를 점화시키게 된다.
이 상태에서 수납케이싱(8)을 화로대나 숯불구이기 등의 내측 바닥면 위에 올려놓으면 수납케이싱(8)의 상부에는 숯포장부(2)가 위치되며 수납케이싱(8)에 의해 바닥면과 저장봉지(3) 사이에 일정한 공간부가 형성되어 수납케이싱(8)의 내측으로 외부로부터의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케이싱(8) 내측에 수납된 착화제(15)에 옮겨 붙은 불이 꺼지지 않고 지속적으로 타오르면서 저장봉지(3) 하면부에 부착된 밀봉비닐(6)을 연소시킨 후 다수개의 점화유도공(5)을 통해 저장봉지(3)의 내측으로 유입되면서 저장봉지(3)의 내측에 저장된 숯(4)을 가열시켜 간편, 신속하게 점화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저장봉지(3)로부터 숯(4)을 외부로 꺼내지 않고 점화가 가능하여 숯가루가 날리거나 손에 묻지 않아 위생적인 착화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1. 종이봉지숯 2. 숯포장부
3. 저장봉지 4. 숯
5. 점화유도공 6. 밀봉비닐
7. 수납부 8. 수납케이싱
9. 테두리부 10. 부착수단
11. 절취선 12. 전방개폐구
13. 착화부 14. 포장봉지
15. 착화제 16. 심지
17. 받침트레이 18. 안착턱

Claims (5)

  1. 다수개의 숯(4)과 저장봉지(3)와 밀봉비닐(6)과 착화제(15)와 수납케이싱(8)을 포함하는 간편착화식 종이봉지숯에 있어서, 열원으로 사용되는 상기 숯(4)과 종이재질로 숯이 내부에 밀봉된 상태로 저장되는 상기 저장봉지(3)로 이루어져 있되 저장봉지(3)는 하면부 가운데부분에 다수개의 점화유도공(5)이 일정간격으로 천공되어 있으며 저장봉지(3)에서 다수개의 점화유도공(5)이 천공된 부분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는 내부로의 습기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상기 밀봉비닐(6)이 고정부착되어 있는 숯포장부(2)와, 수평으로 눕혀진 상부가 개구된 종이재질의 케이스형상으로 저장봉지(3)의 하면부와 바닥면 사이에 공기유입을 위한 일정한 공간부를 형성하는 상기 수납케이싱(8)이 구비되고 수납케이싱(8)은 저장봉지(3)의 점화유도공(5)이 천공된 부분을 둘러싼 상태로 저장봉지(3)의 하면부에 고정부착되며 수납케이싱(8)의 전방에는 전방개폐구(12)가 절취가능하게 형성된 수납부(7)와, 포장봉지(14)의 내부에 하나 또는 다수개의 상기 착화제(15)가 투입되어 밀봉포장된 상태로 수납케이싱(8)의 내부에 수납되며 절취제거되는 수납케이싱(8)의 전방개폐구(12)를 통해 착화제(15)가 점화되면서 저장봉지(3)의 점화유도공(5)을 통해 내부의 숯(4)을 착화시키는 착화부(13)로 구성되어 있되, 상기 수납케이싱(8)은 일정두께를 지닌 판지나 보드지로 형성되어 있으며 수납케이싱(8)의 상면부 외곽둘레에는 테두리부(9)가 형성되어 있고 테두리부(9)의 상면부에는 양면테이프나 접착제로 된 부착수단(10)이 부착되어 있어 부착수단(10)을 통해 수납케이싱(8)이 저장봉지(3)의 하면부에 고정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착화식 종이봉지숯.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케이싱(8)은 전방에 형성된 절취선(11)을 따라 전방개폐구(12)가 절취 제거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착화식 종이봉지숯.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화부(13)는 착화제(15)와 함께 불이 점화되게 쉬운 재질의 심지(16)가 수납케이싱(8) 내부에 수납되도록 되어 있되, 상기 심지(16)는 전후길이가 수납케이싱(8)의 내측 전후길이에 부합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어 수납케이싱(8)의 내측에 하나 또는 복수개의 심지(16)가 수납된 상태에서 수납케이싱(8)의 전방개폐구(12)를 절취제거하면 심지(16)의 전방이 외측으로 노출되어 심지(16)에 점화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착화식 종이봉지숯.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케이싱(8)은 하부에 알루미늄박 재질의 받침트레이(17)가 결합되도록 되어 있되, 상기 받침트레이(17)는 저장봉지(3)의 크기에 부합되는 크기를 지닌 판형상으로 가운데부분에 수납케이싱(8)의 하부가 부합되게 안착되면서 수납케이싱(8)의 외측면을 둘러싸 지지하는 안착턱(18)이 수직상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착턱(18)은 전방이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착화식 종이봉지숯.
KR1020160152253A 2016-11-15 2016-11-15 간편착화식 종이봉지숯 KR101862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253A KR101862313B1 (ko) 2016-11-15 2016-11-15 간편착화식 종이봉지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253A KR101862313B1 (ko) 2016-11-15 2016-11-15 간편착화식 종이봉지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4374A KR20180054374A (ko) 2018-05-24
KR101862313B1 true KR101862313B1 (ko) 2018-05-29

Family

ID=62297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2253A KR101862313B1 (ko) 2016-11-15 2016-11-15 간편착화식 종이봉지숯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231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866Y1 (ko) 2006-09-28 2006-12-28 애니 창 숯 연료 포장체
US7670392B2 (en) 2005-08-25 2010-03-02 Felipe Correa Environmentally safe charcoal-based heat source
US20110061641A1 (en) * 2007-05-23 2011-03-17 Annie Chang Charcoal fuel assembl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70392B2 (en) 2005-08-25 2010-03-02 Felipe Correa Environmentally safe charcoal-based heat source
KR200434866Y1 (ko) 2006-09-28 2006-12-28 애니 창 숯 연료 포장체
US20110061641A1 (en) * 2007-05-23 2011-03-17 Annie Chang Charcoal fuel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4374A (ko) 2018-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59269B2 (en) Hookah bowl
US20070056599A1 (en) Hookah bowl
US20080000467A1 (en) Disposable charcoal lighting apparatus
JP5906211B2 (ja) 加熱調理容器
JP2006320285A (ja) 擬似タバコ用加熱装置および擬似タバコ
CA2634023A1 (en) Pellet-fired smoke generator
JP6732778B2 (ja) 喫煙物品のための消火パッケージ
US20090007826A1 (en) Environmentally Safe Charcoal-Based Heat Source
JP2016525430A (ja) 使い捨て焼き器セット
US6059849A (en) Barbecue smoker device for barbecue grills
JP2014510515A (ja) 吸込み装置
US9211037B2 (en) Magnetic smoker box and packaging therefor
US6705213B1 (en) Smoke generator for food processing
KR101862313B1 (ko) 간편착화식 종이봉지숯
US20150315508A1 (en) Disposable chimney charcoal starter, fuel package and method for starting a fire
KR101694078B1 (ko) 숯 연료 포장체
US8967154B2 (en) Briquette ignition device
JP6425664B2 (ja) 喫煙物品用の消火器
KR100512564B1 (ko) 숯불구이장치
KR200480272Y1 (ko) 하향식 그릴장치
US10327590B1 (en) Charcoal starter
KR20160000208A (ko) 점화포장숯
JPH07171058A (ja) 加熱調理装置およびこの装置に使用するカートリッジ式燃料
JP6411797B2 (ja) 加熱調理器
JPS5811184Y2 (ja) 家庭用燻製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