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5153B1 - 침탄방지액 도포장치 - Google Patents

침탄방지액 도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5153B1
KR101525153B1 KR1020130130608A KR20130130608A KR101525153B1 KR 101525153 B1 KR101525153 B1 KR 101525153B1 KR 1020130130608 A KR1020130130608 A KR 1020130130608A KR 20130130608 A KR20130130608 A KR 20130130608A KR 101525153 B1 KR101525153 B1 KR 101525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plate
frame
heating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0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2377A (ko
Inventor
류승철
손명진
Original Assignee
(주)대성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성테크 filed Critical (주)대성테크
Priority to KR1020130130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5153B1/ko
Publication of KR20150052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2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5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5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8/00Solid state diffusion of only non-metal elements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gas,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 C23C8/40Solid state diffusion of only non-metal elements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gas,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liquids, e.g. salt baths, liquid suspensions
    • C23C8/42Solid state diffusion of only non-metal elements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gas,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liquids, e.g. salt baths, liquid suspensions only one element being applied
    • C23C8/44Carburising
    • C23C8/46Carburising of ferrous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02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spra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1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metal, e.g. car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9/00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4/00Coating by spra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e.g. by flame, plasma or electric discharge
    • C23C4/12Coating by spra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e.g. by flame, plasma or electric discharge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pray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olid-Phase Diffusion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탄방지액 도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부품을 공급하는 공급수단과, 상기 공급수단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된 부품을 가열하는 가열수단 및, 상기 가열수단의 일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가열수단에서 가열된 부품에 침탄방지액을 도포하는 도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가열수단은 상부면에 컨베이어가 마련되고, 내부 공간부에 상기 컨베이어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컨베이어와 나란하게 마련된 수평프레임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상기 부품을 가열하는 가열히터와,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부 소정 위치에 승하강 가능하게 마련된 승하강플레이트와, 상기 승하강플레이트의 상부면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마련된 고정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침탄방지액 도포장치{Anti-Carburizing Inj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침탄방지액 도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각종 기계 및 장치 등의 조립을 위해 사용되는 부품에 경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침탄방지액을 자동분사하기 위한 침탄방지액 도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탄은 강철의 탄소함유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탄소를 강철에 도입하는 방법이며, 고체상태의 철에 탄소원자를 스며들게 하여 탄소농도가 낮은 표면부를 탄소농도를 높이는 방법을 말한다.
즉, 산업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각종 기계 및 장치에서 마모가 자주일어나는 부품에 탄소농도를 증가시켜 기본적인 물성은 유지하고, 침탄부위에 탄소농도를 증가시켜 경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말한다.
종래에는 침탄방지액을 도포하기 위한 부품에 침탄방지액을 도포하기 위하여 높은 비중과 점성을 가진 고농도 또는 페이스트(paste) 등의 형태로 존재하는 침탄방지액을 부품에 도포하기 위해, 부품을 가열하여 일정온도를 유지시키고, 침탄방지액이 도포되어야 할 부분에 작업자가 침탄방지액이 들어있는 스프레이로 침탄방지액을 도포 및 브러쉬 등으로 바르는 등 침탄방지액을 도포하기 위한 공정이 거의 대부분 수작업으로 이루어졌다.
전술한 방법을 통한 침탄방지액 도포방법은 침탄방지액이 고농도 또는 페이스트 형태로 존재함에 따라 분사에 의한 도포가 어렵고, 침탄방지액의 도포부위가 작업자에 의해 좌우되어 부품에 도포되는 방탄액이 균일하게 도포되지 않으며, 작업자간의 숙련도가 각각 상이하여 생산수량을 맞추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침탄방지액을 자동도포하기 위한 방법이 등록특허 제0327519호에 " 침지표면 처리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침지표면 처리방법 "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기술은 침지에 의해 액상 재료로 제품의 표면을 도포하기 위해 순환 기구를 통해 액상 재료를 일정한 방향으로 유동을 형성하여 금속 분말과 페인트 입자의 집합체와 같은 오염물 또는 기포를 탱크로부터 제거하고, 페인트 입자의 석출방지 및 액상 재료의 국부 온도 상승 방지할 수 있다는 유리한 효과가 있으나, 용제성 침탄방지액과 같이 주성분이 높은 비중과 높은 점성을 가지는 경우에는 종래기술과 같은 유동을 형성하는 경우 금속재료의 표면에 도포되는 침탄방지액에 의한 도포층이 균일하게 형성되지 않아 침탄처리시 침탄이 방지되어야 할 특정부분에 탄소가 침투하여 후가공을 위한 연성을 잃게 되어 후가공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금속제품이 일정한 경도를 가지도록 하기 위한 침탄처리시, 특정부분이 침탄처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절삭, 연삭 등의 후가공을 위해 그 특정부분이 연성인 본래의 성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그 특정부분에 침탄방지액을 도포하기 위한 침탄방지액 도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수작업에 의존하던 도포작업에 발생할 수 있는 침탄방지액에 의한 화재위험 및 안전사고에 대한 위험을 방지하고, 자동화가 가능한 침탄방지액 도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및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부품을 공급하는 공급수단과, 상기 공급수단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된 부품을 가열하는 가열수단 및, 상기 가열수단의 일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가열수단에서 가열된 부품에 침탄방지액을 도포하는 도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가열수단은 상부면에 컨베이어가 마련되고, 내부 공간부에 상기 컨베이어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컨베이어와 나란하게 마련된 수평프레임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상기 부품을 가열하는 가열히터와,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부 소정 위치에 승하강 가능하게 마련된 승하강플레이트와, 상기 승하강플레이트의 상부면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마련된 고정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탄방지액 도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공급수단은 상부면에 형성된 절개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마련된 한 쌍의 고정지그를 상부에 구비한 몸체와, 상기 절개부 사이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위치되는 한 쌍의 이송지그를 상부면에 구비하고, 하부면 각각의 모서리 소정 위치에 복수개의 하부브라켓이 구비된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몸체 내부에 설치된 고정프레임에 설치되고, 상부면에 상기 복수개의 하부브라켓과 마주보는 복수개의 상부브라켓이 구비된 하부플레이트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위치된 한 쌍의 고정축 및, 상기 한 쌍의 고정축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를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도포수단은 소정의 경사각으로 마련된 슬라이드프레임과, 상기 슬라이드프레임의 상부면과 하부면 소정 위치에 각각 결합된 제1 및 제2 지지프레임을 내부에 구비한 프레임과, 상기 슬라이드프레임의 상부 소정 위치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슬라이드프레임의 상부면과 마주보는 일측면에 걸림판이 구비된 안착지그와, 상기 제1 및 제2 지지프레임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안착지그에 안착된 상기 부품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침탄방지액을 도포하는 복수개의 스프레이와, 상기 프레임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스프레이에 침탄방지액을 공급하는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개의 스프레이는 상기 제1 지지프레임에 결합된 제1 고정판에 의해 고정결합되어 회전분사되는 제1 스프레이와, 상기 제2 지지프레임에 마련된 슬라이드레일에 슬라이드 이동되게 마련된 제2 고정판의 단부에 고정결합되어 분사되는 제2 스프레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복수개의 하부브라켓 중 어느 하나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복수개의 상부브라켓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 제1 링크바, 상기 제1 링크바의 중심부에 센터핀을 통해 제1 링크바와 교차되도록 연결되어 일단이 나머지 하부돌기에 결합되고 타단이 나머지 상부브라켓에 결합된 제2 링크바, 상기 한 쌍의 고정축에 형성된 슬릿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를 수평이동시키는 실린더, 상기 제1 링크바가 결합된 상기 상부브라켓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링크바를 상하이동시키는 승하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개의 하부브라켓과 상기 제2 실린더가 결합된 상부브라켓의 각각에는 슬릿홀이 마련되어 상기 수평플레이트가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길이와 높이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지그와 이송지그에는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부품이 안착되는 복수개의 삽입홈이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삽입홈 중 최외측에 형성된 삽입홈의 내측면에는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포수단, 상기 가열수단 및, 상기 공급수단은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장탱크의 상부에는 상기 저장탱크 내부에 수용된 침탄방지액을 교반시키는 교반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침탄방지액 도포장치는 금속제품이 일정한 경도를 가지도록 하기 위한 침탄처리시, 특정부분이 침탄처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절삭, 연삭 등의 후가공을 위해 그 특정부분이 연성인 본래의 성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그 특정부분에 침탄방지액을 도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작업에 의존하던 도포작업에 발생할 수 있는 침탄방지액에 의한 화재위험 및 안전사고에 대한 위험을 방지하고, 자동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침탄방지액 도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침탄방지액 도포장치에 마련된 공급수단의 부분확대도를 통한 작동상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침탄방지액 도포장치에 마련된 가열수단의 부분확대도를 통한 작동상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침탄방지액 도포장치에 마련된 도포수단의 부분확대도를 통한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침탄방지액 도포장치에 구비된 제어수단 및 이에 따른 제어반의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침탄방지액 도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침탄방지액 도포장치에 마련된 공급수단의 부분확대도를 통한 작동상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침탄방지액 도포장치에 마련된 가열수단의 부분확대도를 통한 작동상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침탄방지액 도포장치에 마련된 도포수단의 부분확대도를 통한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침탄방지액 도포장치에 구비된 제어수단 및 이에 따른 제어반의 확대도이다.
도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침탄방지액 도포장치(10)는 침탄하고자 하는 부품을 공급하는 공급수단(100), 공급수단(100)으로부터 부품을 공급받아 가열하는 가열수단(200), 가열수단(200)에서 가열된 부품을 공급받아 침탄방지액을 부품에 도포하는 도포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1 및 도 2를 참조하면, 공급수단(100)은 몸체(110), 상부플레이트(120), 하부플레이트(130), 고정축(140), 링크부재(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110)는 상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절개부(112)와, 절개부(112)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상부면에 마련된 한 쌍의 고정지그(114)를 구비한다.
상부플레이트(120)는 상부면에 절개부(112)를 사이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위치되는 한 쌍의 이송지그(122)를 구비하고, 하부면 각각의 모서리 소정 위치에는 복수개의 하부브라켓(124)이 구비된다.
하부플레이트(130)는 몸체(110) 내부에 설치된 고정프레임(116)에 설치되고, 상부면에 복수개의 하부브라켓(124)과 마주보는 복수개의 상부브라켓(132)이 구비된다.
여기서, 고정지그(114)와 이송지그(122)에는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부품(20)이 안착되는 복수개의 삽입홈(114a, 122a)이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고, 복수개의 삽입홈(114a, 122a) 중 최외측에 형성된 삽입홈(114a, 122a)의 내측면에는 경사지게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가열수단(200)과 인접되게 위치된 고정지그(114)와 이송지그(122)의 최외측에 형성된 삽입홈(114a, 122a)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고정지그(114)와 이송지그(122)의 최외측에 형성된 삽입홈(114a, 122a)에 삽입되어 있는 부품(20)이 가열수단(200)의 컨베이어(212)로 원활하게 공급되게 한다.
고정축(140)은 상부플레이트(120)와 하부플레이트(130) 사이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위치되어 한 쌍으로 마련된다.
링크부재(150)는 한 쌍의 고정축(140)에 결합되어 상부플레이트(120)를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링크부재(150)는 복수개의 하부브라켓(124) 중 어느 하나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복수개의 상부브라켓(132)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 제1 링크바(152)와, 제1 링크바(152)의 중심부에 센터핀(153)을 통해 제1 링크바(152)와 교차되도록 연결되어 일단이 나머지 하부브라켓(124)에 결합되고 타단이 나머지 상부브라켓(132)에 결합된 제2 링크바(154)와, 한 쌍의 고정축(140)에 형성된 슬릿홀(142)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부플레이트(120)를 수평이동시키는 실린더(156), 제1 링크바(152)가 결합된 상부브라켓(132)에 결합되어 제1 링크바(152)를 상하이동시키는 승하강실린더(15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복수개의 하부브라켓(124)과 승하강실린더(158)가 결합된 상부브라켓(132)의 각각에는 슬릿홀(124a, 132a)이 마련되어 상부플레이트(120)가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길이와 높이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도1 및 도 3을 참조하면, 가열수단(200)은 공급수단(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공급수단(100)으로부터 부품(20)을 공급받아 가열하는 것으로서, 하우징(210), 가열히터(220), 승하강플레이트(230), 고정구(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210)은 상부면에 컨베이어(212)가 마련되고, 내부 공간부(214)에 컨베이어(212)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컨베이어(212)와 나란하게 마련된 수평프레임(216)을 구비한다.
가열히터(220)는 하우징(210)의 상부에 마련되어 컨베이어(212)를 따라 이송되는 부품(20)을 가열한다.
승하강플레이트(230)는 수평프레임(216)의 상부 소정 위치에 실린더(250)에 의해 승하강 가능하게 마련되어, 후술하는 고정구(240)를 하우징(210)의 높이방향을 따라 승하강시킨다.
고정구(240)는 승하강플레이트(230)의 상부면에 마련된 슬라이드실린더(260)의 단부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가열히터(220)에 의해 가열된 부품(20)을 후술하는 도포수단(300)으로 공급한다.
도1 및 도 4를 참조하면, 도포수단(300)은 가열수단(200)으로부터 가열되어 공급된 부품(20)에 침탄방지액을 도포하는 것으로서, 프레임(310), 안착지그(320), 복수개의 스프레이(330), 저장탱크(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레임(310)은 내부에 소정의 경사각으로 마련된 슬라이드프레임(312)과, 슬라이드프레임(312)의 상부면과 하부면 소정 위치에 각각 결합된 제1 및 제2 지지프레임(314, 316)을 구비한다.
안착지그(320)는 슬라이드프레임(312)의 상부 소정 위치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슬라이드프레임(312)의 상부면과 마주보는 일측면에 걸림판(322)이 구비된다.
이때, 걸림판(322)은 안착지그(320)에 공급되는 부품(20)을 지지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안착지그(320)에는 부품(20)의 상부면 특정 부위에 침탄방지액이 도포될 수 있는 개방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안착지그(320)에 의해 부품(20)이 안착되는 슬라이드플레임(312)에는 부품(20)의 하부면 특정 부위에 침탄방지액이 도포될 수 있는 개방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제품(20)의 양측면을 동시에 침탄방지액을 도포할 수 있다.
복수개의 스프레이(330)는 제1 및 제2 지지프레임(314, 316)에 각각 결합되어 안착지그(320)에 안착된 부품(2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침탄방지액을 도포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복수개의 스프레이(330)는 제1 지지프레임(314)에 결합된 제1 고정편(314a)에 의해 고정결합되어 회전분사되는 제1 스프레이(332)와, 제2 지지프레임(316)에 마련된 슬라이드레일(316b)에 슬라이드 이동되게 마련된 제2 고정편(316a)의 단부에 고정결합된 제2 스프레이(334)로 구성된다.
저장탱크(340)는 프레임(310)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복수개의 스프레이(330)에 침탄방지액을 공급한다.
저장탱크(340)의 상부에는 저장탱크(340) 내부에 수용된 침탄방지액의 응고를 방지하기 위해 침탄방지액을 교반시키는 교반기(미도시)가 마련되고, 교반기(미도시)는 구동모터(미도시)와 구동모터(미도시)의 단부에 결합된 회전축(미도시)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임펠러(미도시)로 구성된다.
여기서, 저장탱크(340)가 마련된 프레임(310)의 일측에는 순환펌프(349)가 마련되는 것도 가능한데, 이는 복수개의 스프레이(330)로부터 분사되어 부품(20)에 도포되지 않고 분산되는 침탄방지액을 포집, 정화한 후 저장탱크(340)로 다시 보내기 위함이다.
또한, 저장탱크(340)의 일측면에는 저장탱크(340) 내부에 수용된 침탄방지액을 가열하는 가열히터(344)가 설치되는데, 이는 저장탱크(340)에 설치된 온도센서(미도시)가 침탄방지액의 온도를 측정하여 침탄방지액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하일때 침탄방지액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해 후술하는 제어수단(400)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침탄방지액을 가열한다.
이와 더불어, 저장탱크(340)의 타측면에는 저장탱크(340)의 내부에 수용된 침탄방지액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미도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수단(400)은 침탄방지액도포장치(10)의 일측면에 마련되어 공급수단(100), 가열수단(200) 및, 도포수단(300)의 각각을 제어한다,
즉, 제어수단(400)은 공급수단(100)에서 부품(20) 안착의 과부화, 링크부재(150)의 작동유무 등을 제어하고, 가열수단(200)에서는 컨베이어(212)에 부품(20) 투입확인, 가열히터(220)의 작동유무, 실린더(250) 및 슬라이드실린더(260)의 작동유무, 부품(20) 도착확인 등을 제어하며, 도포수단(300)에서는 저장탱크(340)의 작동상태 및 이상유무, 안착지그(320)와 복수개의 스프레이(330)의 작동유무 등을 제어하며, 도포 횟수 및 생산 수량등의 제어를 통해 각각의 공정에 따른 자동화가 가능하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침탄방지액 도포장치(10)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침탄방지액을 도포하고자 하는 부품(20)을 고정지그(114)에 형성된 복수개의 삽입홈(114a)에 삽입시킨다.
이후, 이송지그(122)가 고정지그(114)에 형성된 삽입홈(114a)에 삽입된 부품(20)을 가열수단(200)으로 공급할 수 있게 링크부재(150)의 승하강실린더(158)를 작동시켜 상부플레이트(120)를 상승시켜 고정지그(114)에 형성된 삽입홈(114a)에 삽입된 부품(20)이 이송지그(122)에 형성된 삽입홈(122a)에 삽입되게 한다.
계속해서, 상부플레이트(120)가 상승하여 이송지그(122)에 형성된 복수개의 삽입홈(122a)에 부품이 삽입된 상태에서 한 쌍의 고정축(140)에 결합된 실린더(156)를 작동시켜 상부플레이트(120)를 가열수단(200)을 향해 이동시킨 후 승강실린더(158)를 재차 작동시켜 상부플레이트(120)를 하강시키면 이송지그(122)에 형성된 복수개의 삽입홈(122a) 중 최외측 즉, 가열수단(200)의 컨베이어(212)와 인접되게 위치된 삽입홈(122a)에 삽입된 부품(20)이 컨베이어(212)의 상부면으로 공급된다.
여기서, 상부플레이트(120)는 컨베이어(212)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하강하게 되는데, 이는 복수개의 상부브라켓(132)과 하부브라켓(124) 중 제1 링크바(152)와 제2 링크바(154) 각각의 양단부 중 어느 한 단부와 결합되는 상부브라켓(132)과 하부브라켓(124)에 슬릿홀(124a, 132a)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공급수단(100)을 통해 침탄하고자 하는 부품(20)이 가열수단(200)의 컨베이어(212)에 공급되면 부품(20)은 컨베이어(212)와 함께 이동되면서 가열히터(220)에 의해 가열이 된 후, 가열수단(200)의 하우징(210)의 내부에 승하강가능하게 마련된 승하강플레이트(230)의 상부면에 마련된 슬라이드실린더(260)의 단부에 결합된 고정구(240)를 통해 도포수단(300)에 공급된다.
즉, 승하강플레이트(230)가 상승하게 되면 컨베이어(212)를 따라 이동하는 부품(20)이 고정구(240)의 상부면에 안착되고 이때, 슬라이드실린더(260)가 고정구(240)를 도포수단(300)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시킨 상태에서 승하강플레이트(230)를 하강시키면 고정구(240)에 안착되어 있는 부품(20)은 도포수단(300)의 슬라이드프레임(312)으로 공급된다.
이후, 슬라이드프레임(312)에 공급된 부품(20)은 슬라이드프레임(312)의 경사각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안착지그(320)로 이송되는데, 이때 부품(20)은 안착지그(320)에 구비된 걸림판(322)에 의해 안착지그(320)에 안착된다.
이때, 안착지그(320)는 슬라이드프레임(312)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위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가열수단(200)으로부터 부품(20)이 공급되면 슬라이드프레임(312)에 구비된 실린더(312a)에 의해 1차 하강하여 걸림판(322)에 부품(20)이 안착되게 한 후에 2차 하강하여 걸림판(322)에 안착된 부품(20)을 가압한다.
계속해서, 부품(20)이 안착지그(320)에 안착된 후에는 제1 스프레이(332)와 제2 스프레이(334)를 작동시켜 안착지그(320)에 안착된 부품(20)에 침탄방지액을 도포함으로써 작동이 완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침탄방지액 도포장치는 금속제품이 일정한 경도를 가지도록 하기 위한 침탄처리시, 특정부분이 침탄처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절삭, 연삭 등의 후가공을 위해 그 특정부분이 연성인 본래의 성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그 특정부분에 침탄방지액을 도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작업에 의존하던 도포작업에 발생할 수 있는 침탄방지액에 의한 화재위험 및 안전사고에 대한 위험을 방지하고, 자동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당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 침탄방지액 도포장치 20: 부품
100:공급수단 240: 고정구
110: 몸체 250: 실린더
120: 상부플레이트 260: 슬라이드실린더
130: 하부플레이트 300: 도포수단
140:고정축 310: 프레임
150:링크부재 320: 안착지그
200: 가열수단 330: 복수개의 스프레이
210: 하우징 340: 저장탱크
220: 가열히터 400: 제어수단
230: 승하강플레이트

Claims (10)

  1. 부품을 공급하는 공급수단;
    상기 공급수단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된 부품을 가열하는 가열수단; 및
    상기 가열수단의 일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가열수단에서 가열된 부품에 침탄방지액을 도포하는 도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가열수단은 상부면에 컨베이어가 마련되고, 내부 공간부에 상기 컨베이어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컨베이어와 나란하게 마련된 수평프레임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상기 부품을 가열하는 가열히터와,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부 소정 위치에 승하강 가능하게 마련된 승하강플레이트와, 상기 승하강플레이트의 상부면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마련된 고정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탄방지액 도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급수단은,
    상부면에 형성된 절개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마련된 한 쌍의 고정지그를 상부에 구비한 몸체;
    상기 절개부 사이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위치되는 한 쌍의 이송지그를 상부면에 구비하고, 하부면 각각의 모서리 소정 위치에 복수개의 하부브라켓이 구비된 상부플레이트;
    상기 몸체 내부에 설치된 고정프레임에 설치되고, 상부면에 상기 복수개의 하부브라켓과 마주보는 복수개의 상부브라켓이 구비된 하부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위치된 한 쌍의 고정축; 및
    상기 한 쌍의 고정축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를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탄방지액 도포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포수단은,
    소정의 경사각으로 마련된 슬라이드프레임과, 상기 슬라이드프레임의 상부면과 하부면 소정 위치에 각각 결합된 제1 및 제2 지지프레임을 내부에 구비한 프레임과, 상기 슬라이드프레임의 상부 소정 위치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슬라이드프레임의 상부면과 마주보는 일측면에 걸림판이 구비된 안착지그와, 상기 제1 및 제2 지지프레임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안착지그에 안착된 상기 부품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침탄방지액을 도포하는 복수개의 스프레이와, 상기 프레임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스프레이에 침탄방지액을 공급하는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탄방지액 도포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스프레이는 상기 제1 지지프레임에 결합된 제1 고정판에 의해 고정결합되어 회전분사되는 제1 스프레이와, 상기 제2 지지프레임에 마련된 슬라이드레일에 슬라이드 이동되게 마련된 제2 고정판의 단부에 고정결합되어 분사되는 제2 스프레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탄방지액 도포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복수개의 하부브라켓 중 어느 하나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복수개의 상부브라켓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 제1 링크바, 상기 제1 링크바의 중심부에 센터핀을 통해 제1 링크바와 교차되도록 연결되어 일단이 나머지 하부돌기에 결합되고 타단이 나머지 상부브라켓에 결합된 제2 링크바, 상기 한 쌍의 고정축에 형성된 슬릿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를 수평이동시키는 실린더, 상기 제1 링크바가 결합된 상기 상부브라켓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링크바를 상하이동시키는 승하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탄방지액 도포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하부브라켓과 상기 승하강실린더가 결합된 상부브라켓의 각각에는 슬릿홀이 마련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가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길이와 높이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탄방지액 도포장치.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그와 이송지그에는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부품이 안착되는 복수개의 삽입홈이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삽입홈 중 최외측에 형성된 삽입홈의 내측면에는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탄방지액 도포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포수단, 상기 가열수단 및, 상기 공급수단은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탄방지액 도포장치.
  10.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의 상부에는 상기 저장탱크 내부에 수용된 침탄방지액을 교반시키는 교반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탄방지액 도포장치.
KR1020130130608A 2013-10-30 2013-10-30 침탄방지액 도포장치 KR101525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0608A KR101525153B1 (ko) 2013-10-30 2013-10-30 침탄방지액 도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0608A KR101525153B1 (ko) 2013-10-30 2013-10-30 침탄방지액 도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2377A KR20150052377A (ko) 2015-05-14
KR101525153B1 true KR101525153B1 (ko) 2015-06-03

Family

ID=53389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0608A KR101525153B1 (ko) 2013-10-30 2013-10-30 침탄방지액 도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51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59570B (zh) * 2020-05-18 2021-11-12 南京信息职业技术学院 俯卧撑架加工用喷塑装置
CN113061836A (zh) * 2021-03-15 2021-07-02 无锡双马钻探工具有限公司 一种钻杆头部螺纹表面氮化炉
CN115318578A (zh) * 2022-08-24 2022-11-11 广州丰东热炼有限公司 输入轴防渗涂料涂敷设备及其施工方法
CN115415141A (zh) * 2022-09-07 2022-12-02 广州丰东热炼有限公司 一种汽车涡轮轮毂防渗碳区域防渗碳剂的自动喷涂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0862A (ja) * 1992-05-19 1993-12-07 Kioritz Corp 防炭剤塗布方法及びその装置
JPH0959757A (ja) * 1995-06-13 1997-03-04 Nard Inst Ltd 浸炭もしくは窒化防止用粉末および浸炭もしくは窒化防止法
JPH10273771A (ja) * 1997-03-28 1998-10-13 Nard Inst Ltd 浸炭もしくは窒化防止法
KR20100043590A (ko) * 2008-10-20 2010-04-29 (주) 청호열처리 펌프드라이버 허브 침탄방지제 자동도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0862A (ja) * 1992-05-19 1993-12-07 Kioritz Corp 防炭剤塗布方法及びその装置
JPH0959757A (ja) * 1995-06-13 1997-03-04 Nard Inst Ltd 浸炭もしくは窒化防止用粉末および浸炭もしくは窒化防止法
JPH10273771A (ja) * 1997-03-28 1998-10-13 Nard Inst Ltd 浸炭もしくは窒化防止法
KR20100043590A (ko) * 2008-10-20 2010-04-29 (주) 청호열처리 펌프드라이버 허브 침탄방지제 자동도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2377A (ko) 2015-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5153B1 (ko) 침탄방지액 도포장치
US20070108044A1 (en) Plating tank
US10246756B2 (en) Heat treatment system and heat treatment method
CN107957183B (zh) 干燥装置
KR20150050718A (ko) 카본 플레이트 코팅장치
KR101764182B1 (ko) 자동 잉곳 투입장치
JP5642986B2 (ja) 油焼入装置
KR101600050B1 (ko) 합성수지분말 코팅장치
DE102014219764A1 (de) Fördervorrichtung, Trocknungsanlage und Verfahren zum Fördern von Werkstücken
KR100959913B1 (ko) 마운팅 러버의 내관 외면 도포장치
JP2009183914A (ja) 塗布液の塗布装置および塗布方法
KR20130059689A (ko) 랙/피니언기어용 그리스 공급장치
JP4832205B2 (ja) 連続浸漬処理装置
KR101485986B1 (ko) 플로우 코팅 장치
CN106145690A (zh) 西林瓶内表面硫化系统及其硫化方法
JP4577310B2 (ja) 焼入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装置
JP4777665B2 (ja) 浸漬処理プラント
KR20050017667A (ko) 교체가 용이한 잉고트 투입장치
KR102255186B1 (ko) 복합 열처리 장치
CN113528998A (zh) 盘式脚手架用热镀锌装置
KR101242105B1 (ko) 자동 단조장치
KR101730911B1 (ko) 노즐 제어 장치
KR20210092219A (ko) 지그 반송 부재 그리고 표면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584982B1 (ko) 열처리 장치 및 열처리 방법
KR101485529B1 (ko) 용탕의 정련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