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4182B1 - 자동 잉곳 투입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잉곳 투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4182B1
KR101764182B1 KR1020160110661A KR20160110661A KR101764182B1 KR 101764182 B1 KR101764182 B1 KR 101764182B1 KR 1020160110661 A KR1020160110661 A KR 1020160110661A KR 20160110661 A KR20160110661 A KR 20160110661A KR 101764182 B1 KR101764182 B1 KR 101764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got
unit
rail
gripper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0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유승
Original Assignee
(주)동우로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우로테크 filed Critical (주)동우로테크
Priority to KR1020160110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41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4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4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22D17/28Melting po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4/00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08Details peculiar to 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0806Charging or discharg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3/00Apparatus for preheating charges; Arrangements for preheating char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02Skids or tracks for heavy obj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2003/0034Means for moving, conveying, transporting the charge in the furnace or in the charging facilities
    • F27D2003/0046Means for moving, conveying, transporting the charge in the furnace or in the charging facilities comprising one or more movable arms, e.g. for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2003/0034Means for moving, conveying, transporting the charge in the furnace or in the charging facilities
    • F27D2003/0062Means for moving, conveying, transporting the charge in the furnace or in the charging facilities using devices for tilting or rocking the char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2003/0034Means for moving, conveying, transporting the charge in the furnace or in the charging facilities
    • F27D2003/0065Lifts, e.g. containing the bucket elev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2003/0034Means for moving, conveying, transporting the charge in the furnace or in the charging facilities
    • F27D2003/0068Means for moving, conveying, transporting the charge in the furnace or in the charging facilities comprising clamps or to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rnace Charging Or Dischar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해로(1)의 내부에 잉곳(I)을 투입하는 장치에 관련되며, 그 구성의 특징으로서 본체프레임(11)에서 리프트(13)로 잉곳(I)을 수직방향으로 승강 이송하는 공급유니트(10); 상기 공급유니트(10)에서 잉곳(I)을 안착하여 수평방향으로 전환하면서 레일(21)로 이송하게 잉곳(I)의 일면에 접촉하여 레일(21)로 로딩하는 로딩바(23)와, 로딩바(23)를 수평방향으로 구동하는 로딩실린더(24)와, 레일(21) 상에서 잉곳(I)을 클램핑하도록 설치되는 틸팅바(25)와, 틸팅바(25)를 방향 전환하도록 구동하는 틸팅실린더(26)를 구비하는 이송유니트(20); 상기 이송유니트(20)에서 레일(21)로 이송한 잉곳(I)을 예열하는 예열유니트(30); 및 상기 이송유니트(20)에서 그립퍼(41)로 잉곳(I)을 클램핑하여 수평/수직 방향으로 이송하여 용해로(1)로 투입하는 투입유니트(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주조 현장에서 주로 수작업에 의존하던 잉곳 투입공정을 자동화로 구현함에 따라 공급 및 투입을 정밀하면서 원활하게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생산성 향상과 편의성 향상은 물론 작업자의 노동 환경을 개선하면서 미리 안전사고와 산재를 예방하고, 잉곳의 공급과정에서 예열하여 용융효율을 향상시켜 품질의 안정과 함께 불량률을 최소화하기 위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 잉곳 투입장치{Devices for supply automatic an ingot}
본 발명은 자동화 기반의 잉곳 투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주조 현장에서 주로 수작업에 의존하던 잉곳 투입공정을 자동화로 구현하여 품질의 안정과 함께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면서 산재를 예방하기 위한 자동 잉곳 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다이캐스팅은 치수 정확도가 높고 표면정도가 우수하고, 기계가공이나 마무리 작업이 필요치 않은 제품을 대량 생산하기에 적합한 주조법으로서 아연, 주석, 납과 같은 저용융점 금속들을 주조하기 위한 저온챔버공정과 알루미늄, 마그네슘, 구리 같은 고용융점 합금의 주조에 주로 이용되는 고온챔버공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다이캐스팅은 일정한 크기로 절단된 금속 또는 비금속 소재 등의 원료(잉곳)를 용해로에서 약 680~720℃ 정도의 고열로 용탕으로 용해시키고 금속 주형틀에 빠른 속도로 채우면서 식혀 제품을 생산한다.
한편, 용해로에 원료(잉곳)를 투입하는 과정을 수작업에 의존하는데, 즉 레버식 투입기 등을 이용하여 직접 용해로에 투입함에 따라 작업자의 노동 환경은 물론 안전사고에 따른 여러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어 부적절하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용해로에 잉곳의 투입을 기계에 의존하여 방식이 도입되기도 한다.
이와 관련되는 선행기술문헌으로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17667호(선행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92747호(선행문헌 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23216호(선행문헌 3) 등을 참조할 수 있다.
선행문헌 1은 상기 교체가 용이한 잉고트 투입장치는, 강판 아연도금욕조의 일측 클램프와 연계토록 배치되어 잉고트를 이동시키는 메인컨베이어;와, 상기 메인 컨베이어를 따라 전후 이동토록 설치된 프레임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상에 상하 및 좌우 이동토록 설치된 이동블록 및, 상기 이동블록의 하부에 메인컨베이어상의 잉고트를 인출후 회전시키도록 설치된 잉고트 클램핑바아를 구비하는 잉고트 교체수단;과, 상기 메인컨베이어와 잉고트 교체수단사이에 전방측에 배치되어 투입 잉고트를 대기시키는 대기컨베이어; 및 상기 대기컨베이어의 후방으로 투입 잉고트를 인출수단 작업위치로 회전 이동시키도록 설치된 회전컨베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선행문헌 2는 일측에 유도가열장치(11)가 설치되고 내부로 스트립이 진행하며 도금되는 용융아연도금 액이 충입된 주 용융아연도금 욕(10)의 인접된 위치에는 보조 용융아연도금 욕(30)이 마련되고 그 보조 용융아연도금 욕의 일 측에는 상기 주 용융아연도금 욕과 연결되는 용융아연도금 액 유도수단(40)이 설치되며 상기 용융아연도금 액 유도수단의 선택된 곳에는 밸브장치(50)가 설치되고, 이 밸브장치(50)는 용융아연도금액 유도수단의 입 측 또는 그 용융아연도금 액 유도수단이 설치되는 보조 용융아연도금 욕상에 지지부(51)가 설치되고 그 지지부에는 실린더(52)가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의 로드에는 차단패널(53)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선행문헌 3은 도금욕조(A)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연결하도록 호 형상을 갖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하부에 형성하는 힌지부재(120)를 중심으로 상기 본체(110)를 따라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지지몸체(130)와; 상기 지지몸체(13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부재(140)와; 상기 지지몸체(130)의 선단에 형성하여 잉곳(C)을 집어서 도금욕조(A)의 내부로 투입하기 위한 투입부재(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문헌에 의하면, 지면에 설치한 컨베이어의 구조로 인하여 넓은 장소가 필요하여 협소한 장소나 위치에는 적용할 수 없는 등 설치환경에 극히 제한되는 단점과, 잉곳을 도금욕조의 내부에 바로 공급하는 구조이므로 도금액과 잉곳의 온도 차이로 용융효율 및 생산품질을 저하로 한계성을 드러낸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17667호 "교체가 용이한 잉고트 투입장치"(공개일자: 2005. 02. 23.)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92747호 "용융아연도금 액 보충장치"(등록일자: 2008. 01. 0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23216호 "도금욕조의 잉곳 자동 투입장치"(등록일자: 2015. 05. 20.)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조 현장에서 주로 수작업에 의존하던 잉곳 투입공정을 자동화로 구현함에 따라 공급 및 투입을 정밀하면서 원활하게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생산성 향상과 편의성 향상은 물론 작업자의 노동 환경을 개선하면서 미리 안전사고와 산재를 예방하고, 잉곳의 공급과정에서 예열하여 용융효율을 향상시켜 품질의 안정과 함께 불량률을 최소화하기 위한 자동 잉곳 투입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용해로의 내부에 잉곳을 투입하는 장치에 있어서: 본체프레임에서 리프트로 잉곳을 수직방향으로 승강 이송하는 공급유니트; 상기 공급유니트에서 잉곳을 안착하여 수평방향으로 전환하면서 레일로 이송하게 잉곳의 일면에 접촉하여 레일로 로딩하는 로딩바와, 로딩바를 수평방향으로 구동하는 로딩실린더와, 레일 상에서 잉곳을 클램핑하도록 설치되는 틸팅바와, 틸팅바를 방향 전환하도록 구동하는 틸팅실린더를 구비하는 이송유니트; 상기 이송유니트에서 레일로 이송한 잉곳을 예열하는 예열유니트; 및 상기 이송유니트에서 그립퍼로 잉곳을 클램핑하여 수평/수직 방향으로 이송하여 용해로로 투입하는 투입유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공급유니트는 잉곳을 적재하여 수용하는 리프트와, 리프트의 수직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와 리프트를 승강하도록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예열유니트는 레일의 상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적외선히터와, 원적외선히터에 의해 잉곳을 순차적으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150~200℃내외로 예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투입유니트는 잉곳을 클램핑하도록 힌지축을 통해 가압하는 그립퍼와, 그립퍼의 가압력을 구동하는 가압실린더와, 그립퍼를 수평방향으로 이송하도록 LM가이드, 볼스크류, 모터를 구비한 수평이송기와, 그립퍼를 수직방향으로 이송하도록 LM가이드, 볼스크류, 모터를 구비한 수직이송기를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잉곳 투입장치는 주조 현장에서 주로 수작업에 의존하던 잉곳 투입공정을 자동화로 구현함에 따라 공급 및 투입을 정밀하면서 원활하게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생산성 향상과 편의성 향상은 물론 작업자의 노동 환경을 개선하면서 미리 안전사고와 산재를 예방하고, 잉곳의 공급과정에서 예열하여 용융효율을 향상시켜 품질의 안정과 함께 불량률을 최소화하기 위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주요 구성을 3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공급 및 이송유니트를 정면과 평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투입유니트를 정면과 측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그립퍼를 정면과 측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용해로(1)의 내부에 잉곳(I)을 투입하는 장치에 관하여 제안하며, 특히 공급 및 투입을 정밀하면서 원활하게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생산성 향상과 편의성 향상은 물론 잉곳의 공급과정에서 예열하여 용융효율을 향상시켜 품질의 안정화하기 위한 자동 잉곳 투입장치에 관하여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프레임(11)에서 리프트(13)로 잉곳(I)을 수직방향으로 승강 이송하는 공급유니트(10)가 구비된다. 공급유니트(10)는 도 1처럼 본체프레임(11)내에 설치되어 잉곳(I)을 공급한다. 여기서 본체프레임(11)은 도 1에서 용해로(1)의 외주면에 인접하게 구비된다. 공급유니트(10)는 작업자가 다수의 잉곳(I)을 리프트(13)로 공급하고, 이를 통하여 잉곳(I)이 순차적으로 승강하여 공급한다. 이에 따른 공급유니트(10)의 상세한 구성은 후술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세부구성에 의하면 상기 공급유니트(10)는 잉곳(I)을 적재하여 수용하는 리프트(13)와, 리프트(13)의 수직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15)와 리프트(13)를 승강하도록 구동하는 구동모터(1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급유니트(10)는 도 4 및 도 5처럼 리프트(13), 가이드(15), 구동모터(17)로 구성되어 잉곳(I)을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리프트(13)는 다수의 잉곳(I)을 적재하도록 수용하고 이러한 리프트(13)는 구동모터(17)에 의해 승강하도록 한다. 그리고 리프트(13)는 가이드(15)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안내되고 잉곳(I)을 안정적으로 적재하여 공급한다. 이에 따라, 잉곳(I)은 리프트(13)에 순차적으로 적재되도록 수용되고, 구동모터(17)의 구동력과 가이드(15)에 의해 안정적으로 승강하여 후술하는 이송유니트(20)로 공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공급유니트(10)에서 잉곳(I)을 안착하여 수평방향으로 전환하면서 레일(21)로 이송하는 이송유니트(20)가 구비된다. 이송유니트(20)는 도 2처럼 공급유니트(10)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잉곳(I)을 수평방향으로 전환하여 레일(21)로 이송한다. 이러한 이송유니트(20)는 공급유니트(10)의 리프트(13)로 공급되는 잉곳(I)을 하나씩 로딩한 상태로 인출한 다음 후술하는 예열유니트(30)로 전달한다. 이에 따른 이송유니트(20)의 상세한 구성은 후술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세부구성에 의하면 상기 이송유니트(20)는 잉곳(I)의 일면에 접촉하여 레일(21)로 로딩하는 로딩바(23)와, 로딩바(23)를 수평방향으로 구동하는 로딩실린더(24)와, 레일(21) 상에서 잉곳(I)을 클램핑하도록 설치되는 틸팅바(25)와, 틸팅바(25)를 방향 전환하도록 구동하는 틸팅실린더(2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송유니트(20)는 도 4처럼 로딩바(23), 로딩실린더(24), 틸팅바(25), 틸팅실린더(26)로 구성되어 잉곳(I)을 하나씩 인출하여 예열유니트(30)로 이송한다. 로딩바(23)는 공급유니트(10)의 리프트(13)에서 잉곳(I)의 일면을 접촉한 상태에서 인출하여 레일(21)로 로딩한다. 이러한 로딩바(23)는 로딩실린더(24)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구동한다. 그리고 틸팅바(25)는 레일(21)의 끝단에 위치하여 잉곳(I)을 클램핑하고, 틸팅실린더(26)에 의해 잉곳(I)의 방향 전환을 유도한다. 이는 도 1처럼 틸팅바(25)와 틸팅실린더(26)에 의해 방향 전환된 잉곳(I)은 후속하는 투입유니트(40)의 그립퍼(41)가 손쉽게 클램핑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송유니트(20)에서 레일(21)로 이송한 잉곳(I)을 예열하는 예열유니트(30)가 구비된다. 예열유니트(30)는 도 4처럼 이송유니트(20)의 레일(21) 상의 상하부에 위치하여 잉곳(I)을 예열한다. 이러한 예열유니트(30)는 용해로(1)에 투입되는 전 미리 예열하여 용융효율을 향상시켜 품질의 안정화를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따른 예열유니트(30)의 상세한 구성은 후술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세부구성에 의하면 상기 예열유니트(30)는 레일(21)의 상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적외선히터(33)와, 원적외선히터(33)에 의해 잉곳(I)을 순차적으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150~200℃내외로 예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열유니트(30)는 도 4 및 도 5처럼 레일(21)의 상하부에 설치되고,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잉곳(I)을 예열한다. 예열유니트(30)는 레일(21)의 상하부에 하나 이상의 원적외선히터(33)를 설치하고, 원적외선히터(33)는 레일(21)에서 이송되는 과정에서 150~200℃내외로 예열한다. 이러한 예열유니트(30)는 통상 이송 속도를 감안하여 5~10분 정도 150~200℃로 예열하여 후속하는 틸팅바(25)와 틸팅실린더(26)에 의해 방향 전환하여 투입유니트(40)로 전달한다.
여기서, 예열유니트(30)는 원적외선히터(33)를 사용하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할 것이다. 즉 원적외선히터(33) 대신에 IR히터, 세라믹 히터 등 전기를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송유니트(20)에서 그립퍼(41)로 잉곳(I)을 클램핑하여 수평/수직 방향으로 이송하여 용해로(1)로 투입하는 투입유니트(40)가 구비된다. 투입유니트(40)는 도 1 내지 도 3처럼 이송유니트(20)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잉곳(I)을 받아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이송하여 용해로(1)로 투입한다. 이러한 투입유니트(40)는 이송유니트(20)의 틸팅바(25)에 의해 방향 전환된 잉곳(I)을 전달받아 그립퍼(41)로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이송하여 용해로(1)로 투입한다. 여기서 그립퍼(41)로 전달받은 잉곳(I)은 예열유니트(30)에 의해 미리 150~200℃로 예열된 상태이다. 이에 따른 투입유니트(40)의 상세한 구성은 후술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세부구성에 의하면 상기 투입유니트(40)는 잉곳(I)을 클램핑하도록 힌지축(41a)을 통해 가압하는 그립퍼(41)와, 그립퍼(41)의 가압력을 구동하는 가압실린더(42)와, 그립퍼(41)를 수평방향으로 이송하도록 LM가이드(45a), 볼스크류(45b), 모터(45c)를 구비한 수평이송기(45)와, 그립퍼(41)를 수직방향으로 이송하도록 LM가이드(47a), 볼스크류(47b), 모터(47c)를 구비한 수직이송기(47)를 특징으로 한다. 투입유니트(40)는 도 6 및 도 7처럼 그립퍼(41), 가압실린더(42), 수평이송기(45), 수직이송기(47)로 구성되어 잉곳(I)을 용해로(1)로 투입한다. 그립퍼(41)는 힌지축(41a)을 통해 잉곳(I)을 가압하여 클램핑하고, 가압실린더(42)에 의해 그립퍼(41)의 가압력을 전달받는다.
한편, 그립퍼(41)는 도면부호로 표시하지 않았지만, 가압실린더(42)에 의해 그립퍼(41)의 가압력을 전달받으면서 LM가이드에 의해 유도된다.
이러한 그립퍼(41)는 수평이송기(45)와 수직이송기(47)에 의해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이송하여 용해로(1)로 잉곳(I)을 투입한다. 수평이송기(45)와 수직이송기(47)는 동일한 구성을 띄고 있는데, 즉 수평이송기(45)는 LM가이드(45a), 볼스크류(45b), 모터(45c)를 구비하여 수평방향으로 이송하고, 수직이송기(47)는 LM가이드(47a), 볼스크류(47b), 모터(47c)를 구비하여 수직방향으로 이송하여 잉곳(I)을 용해로(I)로 투입한다.
한편, 도면을 통하여 도시하지 않았지만, 그립퍼(41) 상에 잉곳(I)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요철 등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이용하여 작동에 있어서, 먼저 공급유니트(10)의 리프트(13)에 다수의 잉곳(I)을 순차적으로 적재하고, 구동모터(17)와 가이드(15)에 의해 안정적으로 승강하여 공급한다. 이어서, 공급유니트(10)의 리프트(13)에서 로딩바(23)가 로딩실린더(24)에 의해 잉곳(I)의 일면을 접촉한 상태에서 인출하여 레일(21)로 로딩한다. 그리고 잉곳(I)이 레일(21)에서 이송되는 과정에서 원적외선히터(33)에 의해 150~200℃내외로 예열된다. 이어서, 레일(21)의 끝단에 위치한 틸팅바(25)와 틸팅실린더(26)에 의해 잉곳(I)을 클램핑하여 방향 전환한다.
이어서, 이송유니트(20)의 틸팅바(25)에 의해 방향 전환된 잉곳(I)을 그립퍼(41)가 가압하여 클램핑하고, 수평이송기(45)와 수직이송기(47)에 의해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이송하여 용해로(1)로 잉곳(I)을 투입한다.
이와 같은 작동을 역행하여 원위치로 돌아감과 함께 다시 상기의 작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잉곳(I)을 용해로(1)에 투입하여 완료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주조 현장에서 주로 수작업에 의존하던 잉곳 투입공정을 자동화로 구현함에 따라 공급 및 투입을 정밀하면서 원활하게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생산성 향상과 편의성 향상은 물론 작업자의 노동 환경을 개선하면서 미리 안전사고와 산재를 예방하고, 잉곳의 공급과정에서 예열하여 용융효율을 향상시켜 품질의 안정과 함께 불량률을 최소화하기 위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용해로 10: 공급유니트 11: 본체프레임
13: 리프트 15: 가이드 17: 구동모터
20: 이송유니트 21: 레일 23: 로딩바
24: 로딩실린더 25: 틸팅바 26: 틸팅실린더
30: 예열유니트 33: 원적외선히터 40: 투입유니트
41: 그립퍼 42: 가압실린더 45: 수평이송기
47: 수직이송기 I: 잉곳

Claims (5)

  1. 용해로(1)의 내부에 잉곳(I)을 투입하는 장치에 있어서:
    본체프레임(11)에서 리프트(13)로 잉곳(I)을 수직방향으로 승강 이송하는 공급유니트(10);
    상기 공급유니트(10)에서 잉곳(I)을 안착하여 수평방향으로 전환하면서 레일(21)로 이송하게 잉곳(I)의 일면에 접촉하여 레일(21)로 로딩하는 로딩바(23)와, 로딩바(23)를 수평방향으로 구동하는 로딩실린더(24)와, 레일(21) 상에서 잉곳(I)을 클램핑하도록 설치되는 틸팅바(25)와, 틸팅바(25)를 방향 전환하도록 구동하는 틸팅실린더(26)를 구비하는 이송유니트(20);
    상기 이송유니트(20)에서 레일(21)로 이송한 잉곳(I)을 예열하는 예열유니트(30); 및
    상기 이송유니트(20)에서 그립퍼(41)로 잉곳(I)을 클램핑하여 수평/수직 방향으로 이송하여 용해로(1)로 투입하는 투입유니트(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잉곳 투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유니트(10)는 잉곳(I)을 적재하여 수용하는 리프트(13)와, 리프트(13)의 수직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15)와 리프트(13)를 승강하도록 구동하는 구동모터(1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잉곳 투입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열유니트(30)는 레일(21)의 상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적외선히터(33)와, 원적외선히터(33)에 의해 잉곳(I)을 순차적으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150~200℃내외로 예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잉곳 투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유니트(40)는 잉곳(I)을 클램핑하도록 힌지축(41a)을 통해 가압하는 그립퍼(41)와, 그립퍼(41)의 가압력을 구동하는 가압실린더(42)와, 그립퍼(41)를 수평방향으로 이송하도록 LM가이드(45a), 볼스크류(45b), 모터(45c)를 구비한 수평이송기(45)와, 그립퍼(41)를 수직방향으로 이송하도록 LM가이드(47a), 볼스크류(47b), 모터(47c)를 구비한 수직이송기(47)를 특징으로 하는 자동 잉곳 투입장치.
KR1020160110661A 2016-08-30 2016-08-30 자동 잉곳 투입장치 KR101764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661A KR101764182B1 (ko) 2016-08-30 2016-08-30 자동 잉곳 투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661A KR101764182B1 (ko) 2016-08-30 2016-08-30 자동 잉곳 투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4182B1 true KR101764182B1 (ko) 2017-08-02

Family

ID=59651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0661A KR101764182B1 (ko) 2016-08-30 2016-08-30 자동 잉곳 투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418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6508B1 (ko) * 2017-11-13 2019-05-10 (주) 장원테크 잉곳 공급 장치
CN112027704A (zh) * 2020-10-08 2020-12-04 上海沃骋有色金属有限公司 一种再生铝熔炉连续投料设备
KR20220080404A (ko) * 2020-12-07 2022-06-14 (주)세아메카닉스 다이캐스팅 주조설비의 잉곳 자동투입장치
KR102427198B1 (ko) * 2022-02-28 2022-07-28 김동구 다이캐스팅 용해로의 잉곳 투입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129B1 (ko) * 2013-10-01 2014-08-05 주식회사 리배산업 도금액의 출탕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도금장치
KR101425130B1 (ko) 2013-11-05 2014-08-13 주식회사 리배산업 생산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용융아연 도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129B1 (ko) * 2013-10-01 2014-08-05 주식회사 리배산업 도금액의 출탕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도금장치
KR101425130B1 (ko) 2013-11-05 2014-08-13 주식회사 리배산업 생산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용융아연 도금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6508B1 (ko) * 2017-11-13 2019-05-10 (주) 장원테크 잉곳 공급 장치
CN112027704A (zh) * 2020-10-08 2020-12-04 上海沃骋有色金属有限公司 一种再生铝熔炉连续投料设备
CN112027704B (zh) * 2020-10-08 2023-03-14 上海沃骋有色金属有限公司 一种再生铝熔炉连续投料设备
KR20220080404A (ko) * 2020-12-07 2022-06-14 (주)세아메카닉스 다이캐스팅 주조설비의 잉곳 자동투입장치
KR102453482B1 (ko) * 2020-12-07 2022-10-12 (주)세아메카닉스 다이캐스팅 주조설비의 잉곳 자동투입장치
KR102427198B1 (ko) * 2022-02-28 2022-07-28 김동구 다이캐스팅 용해로의 잉곳 투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4182B1 (ko) 자동 잉곳 투입장치
CN107159835A (zh) 一种自动铆螺母装置
KR100789400B1 (ko) 단조용 소재 이송장치
KR101638458B1 (ko) 소재 공급 및 가공품 배출시스템
CN104057376B (zh) 立式耐火砖磨削系统
AU2008234219B2 (en) Device for introducing metal bars into a metal bath
KR101706923B1 (ko) 다이캐스팅 주조설비의 잉곳 자동 투입장치
KR101976508B1 (ko) 잉곳 공급 장치
KR20090100979A (ko) 가열로 장입용 롤러 이송 장치
JP2018040026A (ja) 焼入れ用冷却装置および熱処理装置
KR20160033530A (ko) 핫스탬핑용 예열장치
KR101581913B1 (ko) 세라믹 도포 성형시스템
CN103331508A (zh) 钢管内外焊一体机
KR102353899B1 (ko) 다셀형 연속식 열처리로
KR102609028B1 (ko) 잉곳 자동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0952055B (zh) 锌锭吊运机构及自动加锌锭系统
KR102132121B1 (ko) 클램프 단조성형 프레스용 가공소재 이송장치
KR101286884B1 (ko) 알루미늄바 자동 공급장치
KR20100136615A (ko) 다이캐스팅 사출기의 잉곳 자동투입장치
CN108759472B (zh) 磷铜球生产线自动化投料装置以及投料方法
KR20120090296A (ko) 유압펌프용 부품의 구리합금용융착 라이닝장치
KR101606924B1 (ko) 자동 용접장치
KR101535798B1 (ko) 레일 샤프트의 고주파 경화 자동화 장치
CN213410297U (zh) 自动浇铸设备及其加热输送装置
KR101291533B1 (ko) 연속식 하역기용 연원료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