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4317B1 - 건설 산업용 서포트 및 이 건설 산업용 서포트의 파이프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건설 산업용 서포트 및 이 건설 산업용 서포트의 파이프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4317B1
KR101524317B1 KR1020097009114A KR20097009114A KR101524317B1 KR 101524317 B1 KR101524317 B1 KR 101524317B1 KR 1020097009114 A KR1020097009114 A KR 1020097009114A KR 20097009114 A KR20097009114 A KR 20097009114A KR 101524317 B1 KR101524317 B1 KR 101524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upport
inner diameter
region
end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9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5603A (ko
Inventor
요한 페네데르
Original Assignee
도카 인두스트리에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카 인두스트리에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도카 인두스트리에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90085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5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4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4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5/08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relatively to each other by friction or gripp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5/06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025/003Supports therefor, e.g. tripo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616Structural member m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시에 외부로부터 접근할 수 있는 적어도 한쪽 단부 영역에 축방향 프로파일을 갖는 파이프(10)를 포함하는 건설 산업용 서포트(동바리)에 관한 것이다. 파이프의 적어도 한쪽 단부 영역에서의 외경, 내경 및/또는 벽두께는 파이프(10)의 나머지 영역에 비해 확대된다. 건설 산업용 서포트의 파이프 제조 중에, 파이프의 적어도 한쪽 단부 영역의 외경, 내경 및/또는 벽두께를 파이프의 나머지 영역에 비해 확대시키고, 파이프에 축방향 프로파일을 마련한다.
거푸집, 서포트, 동바리, 타격, 해머

Description

건설 산업용 서포트 및 이 건설 산업용 서포트의 파이프 제조 방법{SUPPORT FOR THE BUILDING INDUSTRY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PIPE OF A SUPPORT FOR THE BUILDING INDUSTRY}
본 발명은 건설 산업용 서포트(동바리) 및 이 건설 산업용 서포트의 파이프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설 산업에서, 통상 높이 조절 가능한 서포트를 이용하여 예를 들면 플로어 거푸집(floor formwork)을 세우고 있다. 이를 위해, 수많은 서포트를 소정 표면에 걸쳐 배치하여 수직으로 조절하고, 이 서포트 상에 통상 제1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비임을 배치하게 된다. 이들 비임 상에는 제2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수많은 다른 비임들이 놓인다. 이러한 제2 세트의 비임 상에 복수의 거푸집용 패널을 서로 근접하게 배치하여 그 상에 예를 들면 콘크리트 플로어를 타설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일단 콘크리트가 경화되면, 서포트는 물론 모든 비임과 거푸집용 패널이 제거된다. 거푸집을 제거할 때와 서포트를 조절하여 변위시킬 때에 서포트에 충격을 가할 수 있다. 그러한 작업은 서포트의 하부 영역에서의 서포트의 변위와 관련한 최선의 결과가 달성될 수 있는 곳이라는 점에서 서포트의 하부 영역을 통상 해머를 이용하여 타격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타격은 해머로 타격할 때에 서포트의 파이프에 손상을 방지하도록 특별한 해머, 예를 들면 고무층이 코팅된 해머로 가해질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특별한 해머를 건설 현장에서 항상 이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이로 인해 전술한 타격이 종종 그러한 용도에 접합하지 않은 해머나, 예를 들면 각목과 같은 기타 물건을 이용하여 가해지고 있다. 이 경우의 문제점은, 외부 파이프에 함몰부가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그 외부 파이프의 내부에서 내부 파이프의 이동이 방지 또는 곤란하게 되어, 서포트의 신축 능력(telescoping ability) 및 높이 조절 능력에 악영향을 미치고 최악의 경우에는 그 서포트가 사용할 수 없게 될 수 있다는 점이다.
종래 기술
DE 44 31 145 A1로부터 플로어 거푸집을 위한 높이 조절형 서포트가 공지되어 있는 데, 이 서포트에는 바닥 플레이트 영역에 큰 외경을 갖는 확장 섹션이 마련되어 있다.
DE 76 36 864 U1에 개시된 높이 조절형 서포트는 외부 파이프를 구비하며 이 외부 파이프의 머리부 피스 또는 바닥부 피스에 대직경의 비드를 가질 수 있는 소위 부착 피스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근간을 이루는 목적은, 서포트에 대한 필요 요건을 특히 잘 충족하기에 적합한 건설 산업용 서포트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그 제조 방법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은, 한편으로는 청구항 1에 기재한 서포트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서포트는, 사용시에 외부로부터 접근할 수 있는 단부 영역 및 단부 영역 이외의 나머지 영역으로 구분되는 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파이프는 단부 영역에 축방향 프로파일을 갖으며, 이 파이프의 단부 영역에서의 외경, 내경 및/또는 벽두께는 파이프의 상기 단부 영역 이외의 나머지 영역에서의 외경, 내경 및/또는 벽두께에 비해 확대되어 있다. 전술한 단부 영역은 외경, 내경, 및/또는 벽두께의 확대로 인해 특히 안정적일 수 있다. 이는 서포트를 조절하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타격이 가해지는 곳이기 때문에, 하측 단부 영역의 경우에는 특히 유리하다. 벽두께 및 외경의 확대의 유리한 효과는 특히 해당 영역에서의 안정성을 개선한다는 점이다. 이는 파이프가 전술한 바와 같은 타격에 더 잘 견딜 수 있고, 변형될 가능성이 현저히 적어짐을 의미한다. 내경이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확대되는 경우, 전술한 타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임의의 만입부가, 외부 파이프 내에서 이동 가능한 내부 파이프가 위치한 영역에 도달하는 경우가 훨씬 적어진다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 만입부가 형성되더라도, 이 만입부에 상응하는 파이프 내부의 작은 팽출에 의해 내부 파이프의 이동이 방지 또는 차단되는 경우가 훨씬 적어진다. 이에 의해 서포트의 전체적인 기능성이 현저히 개선된다.
상기한 축방향 프로파일은 전술한 수단(measures)들과 다양한 방식으로 협력한다. 한편, 전술한 효과를 달성하도록 보강된 영역을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축방향 프로파일은 필요한 타격이 가해질 곳을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표시한다. 이에 의해, 특히 안정적인 파이프 영역으로 타격이 제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적합하지 않은 영역으로의 타격으로 인한 기능성에 있어서의 역효과를 명확히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축방향 프로파일은 파이프의 안정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시 말해, 외경 및/또는 내경이 오로지 적소에서(in places) 확대되는 경우, 즉, 축방향 프로파일을 따라 확대되는 경우라도, 이는 파이프의 안정성 및 내변형성에 기여한다. 놀랍게도, 파이프에 타격이 가해질 때, 힘이 축방향 프로파일을 거쳐 특히 바람직한 형태로 파이프의 벽에 가해질 수 있고, 이러한 이유로 외측에서는 만입, 내측에서는 팽출의 발생 가능성 및 그 정도도 역시 감소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힘은 파이프의 둘레 방향에서, 접선 방향으로 소정 크기로 도입되고, 전술한 함몰부를 야기하는 반경 방향으로는 더 작은 크기로 도입된다.
게다가, 축방향 프로파일은 함몰부 등이 시각적으로 상당히 덜 드러나게 하는 유리한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매끈한 파이프의 경우보다도 불가피한 함몰부 및 기타 손상을 확인하기가 상당히 더 곤란하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 후에도 파이프의 외관이 개선된다. 또 다른 효과로는, 축방향 프로파일이 사용되는 강의 구조적 변경을 유리하게, 구체적으로는 구조적 압축을 야기하고, 이러한 이유로 그 파이프는 안정성의 개선도 달성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합금 원소로서 정해진 탄소 비율 및/또는 망간을 갖는 합금강이 본 발명에 따른 서포트의 외부 파이프를 위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서포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다른 청구항들에 기재되어 있다.
하단부에서 측정하였을 때 15㎝와 20㎝ 사이의 영역이 축방향 프로파일을 구비하고 내경, 외경 및/또는 벽두께가 확대되는 파이프의 단부 영역을 위해 특히 유리한 것으로 드러났다. 서포트를 변위시키기 위한 타격은 그러한 영역에서 특히 효과적인데, 이는 타격이 서포트의 하단부에 비교적 근접하여 가해져, 바람직한 방식으로 서포트를 변위시키고 그 수직 방향 조절을 달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용시에, 하단부는 파이프가 배치될 지면, 땅속, 또는 건물의 플로어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바닥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영역이 하단부로부터 측정하였을 때에 적어도 15㎝와 20㎝ 사이의 상기한 구역에 위치할 수 있지만, 상당히 더 연장될 수도 있다. 따라서, 그 영역이 하단부로부터 수 센티미터 떨어진 지점 및/또는 하단부로부터 30㎝ 떨어진 지점에 이르게 연장하는 경우라도 유리한 것으로 드러났다. 하단부 그 자체가 축방향 프로파일을 갖지 않는다면, 플레이트, 특히 외부 파이프의 바닥 플레이트를 바람직하게는 용접에 의해 부착하기 용이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그러나, 내경, 외경 및/또는 벽두께의 확장은 이러한 영역에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시가, 통상 상부 파이프라서 머리 플레이트를 갖고 있는 내부 파이프에 적용되는 경우에도 동일한 이점은 존재한다.
현재에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파이프의 단부 이외의 나머지 영역과 비교할 때, 내경 및 외경은 확대되지만 벽두께는 동일하게 유지된다. 이를 위해 특히 양호한 특성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특히 바람직한 제조 방법이 개발될 수 있었는데, 이 방법에서는 우선 파이프의 내경과 외경 사이의 두께(벽두께)를 확대시키기 위해 해당 영역을 압축 성형하고, 이어서, 파이프의 내경 및 외경을 팽창시켜, 확대된 단부 영역에서 파이프의 나머지 영역과 적어도 동일한 벽두께가 얻어진다.
축방향 프로파일과 관련하여, 현재에는 축방향 프로파일이 단면으로 보았을 때에 대체로 파형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태는 시각적으로 매력적이고 조화를 이룬 디자인을 보장한다. 또한, 그러한 파형은 텐션 피크(tension peak)가 생성될 영역의 형성을 방지한다.
외경에 경사진 피크를 갖는 프로파일이 특히 바람직한 특성을 갖는 것으로 드러났다. 다시 말해, 외면 상의 피크들은 약간 편평하여 각 피크에서 편평한 영역에 인접하게 2개의 에지를 형성한다. 편평한 영역은, 둥근 피크의 경우와 같이 즉각적이고 명백히 드러나는 타격의 흔적을 남기는 일 없이, 해머에 의해 타격이 가해질 수 있다. 더 나아가, 가해진 힘은 특히 바람직한 방식, 즉 파이프의 둘레에서 접선 방향으로 편평한 피크에 도입되어 변형을 감소시키게 된다.
또한, 전술한 목적은, 파이프의 적어도 한쪽 단부 영역에서 외경, 내경 및/또는 벽두께를 파이프의 단부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비해 확대시키고, 파이프에 축방향 프로파일을 마련하는, 건설 산업용 서포트의 파이프를 제조하는 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서는 필요 요건을 특히 양호하게 충족하는 서포트를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한 단부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확장 및 축방향으로의 압축을 행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먼저, 파이프의 벽두께를 증가시키기 위해 축방향으로의 압축을 행하고, 이어서 팽창을 행하여 파이프의 내경 및 외경을 증가시켜, 얻어진 벽두께가 파이프의 나머지 영역의 벽두께와 적어도 대체로 동일하게 한다면 특히 유리한 결과가 얻어질 수 있다. 프로파일의 형성 작업은 압축 및/또는 팽창 작업 전에, 그 동안 또는 후에 한번에 혹은 수회에 걸쳐 행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이에 의해 생성된 서포트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상응한다. 축방향 프로파일이 파이프의 에지의 바로 위에 이르기까지 실지로 적용된 경우, 파이프의 에지의 영역은, 본 발명의 방법의 범위 내에서, 머리 플레이트 또는 바닥 플레이트와 결합을 용이하기 위해, 예를 들면 용접 수단에 의해 평활화, 라운딩 및/또는 성형하여 다시 원통형으로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모든 종속 청구항들의 특징들이 서로 조합될 수 있다는 점은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예시로서 도시한 실시예에 의해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서포트의 파이프의 단부 영역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단부 영역의 프로파일 영역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에서는 건설 산업용 서포트의 파이프(10)의 하부 영역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그 파이프는 하단부에 바닥 플레이트(18)를 갖는 외부 파이프이다. 그러나, 도시된 플레이트가 머리 플레이트로서 기능을 하는 경우에, 그 파이프는 내부 파이프가 될 수도 있다. 도시한 외부 파이프의 경우, 내부 파이프가 외부 파이프의 내부에 수용되어 그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플로어 거푸집을 세우는 경우, 도 1에 예로서 도시한 하부 영역이 있는 외부 파이프를 구비한 수많은 서포트가 수직 방향으로 조절된다. 이를 위해, 예를 들면 해머를 이용하여 하단부에 비교적 근접하게 위치한 확대된 단부 영역(12)에 타격을 가함으로써 외부 파이프를 효과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로부터 드러나는 바와 같이, 상기한 영역은, 축방향 프로파일을 구비하는 한편, 도시한 예의 경우, 외경 및 내경 모두가 파이프의 단부 영역 이외의 나머지 영역에 있어서의 파이프의 외경 및 내경에 비해 확대되도록 특정한 방식으로 구성된다. 도시한 예에서, 외경과 내경 사이의 두께(벽두께)는 파이프의 나머지 영역에서의 외경과 내경 사이의 두께(벽두께)와 대략 동일하다. 또한, 파이프의 하단부와, 상기 하단부로부터 축방향 상측에 위치한 확대된 단부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최하부 영역(16), 다시 말해 바닥 플레이트(18)가 맞닿는 영역은 도시한 예의 경우에 확대되어 있지 않고 프로파일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이로 인해 그 영역에서 파이프에 바닥 플레이트를 부착하는 것이 특히 용이하다.
도 2에서는 특정 방식으로 구성된 확대된 단부 영역(12)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로부터 드러나는 바와 같이, 축방향 프로파일은 실질적으로 파형으로 구성된다. 이로 인해, 외측에 존재하는 피크(14)들은 각각 2개의 에지(20)가 형성되도록 약간 편평하게 되어 있다. 편평한 부분의 영역에는 해머가 힘을 특히 잘 전달할 수 있고, 그 힘은 유리한 방식으로 파이프의 벽에 접선 방향(tangentially)으로 도입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는 내측의 피크들이 편평하게 되고 이에 따라 에지가 마련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도시한 예에서는 최소 내경, 즉 내측의 피크로 인해 초래되는 내경은 파이프의 나머지 영역의 내경에 비해 크게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 결과, 전술한 바와 같이 파이프의 외측에서의 함몰부가 내측에 팽출부를 야기하는 경우에도, 내부 파이프의 이동이 영향을 받지 않으며, 이에 따라 신축 능력이 유지된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축방향 프로파일은 리브들이 그 사이에 홈을 형성한 상태로 대체로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Claims (11)

  1. 건설 산업용 서포트(support)로서,
    축방향에 있어서 사용시에 외부로부터 접근할 수 있는 단부 영역 및 상기 단부 영역 이외의 나머지 영역으로 구분되는 파이프(10)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10)의 내부에 내부 파이프가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파이프(10)는 상기 단부 영역에 축방향 프로파일을 갖으며, 상기 파이프의 단부 영역에서의 내경은 상기 나머지 영역에서의 내경에 비해 확대되고, 상기 파이프의 단부 영역에서의 외경과 내경 사이의 두께(벽두께)는, 상기 파이프의 나머지 영역에서의 외경과 내경 사이의 두께(벽두께)와 동일한 크기거나 보다 크게 되어 있는 것인 건설 산업용 서포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영역은 상기 파이프(10)의 하단부로부터 측정하였을 때에 적어도 15㎝와 20㎝ 사이의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인 건설 산업용 서포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내경이 상기 파이프의 나머지 영역의 내경에 비해 확대된 단부 영역(12)은 상기 파이프(10)의 하단부 쪽으로 고려하였을 때에 하단부로부터 수㎝ 떨어진 지점까지 연장하는 것인 건설 산업용 서포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내경이 상기 파이프의 나머지 영역의 내경에 비해 확대된 단부 영역(12)은 상기 파이프(10)의 하단부로부터 고려하였을 때에 하단부로부터 30㎝ 떨어진 지점까지 연장하는 것인 건설 산업용 서포트.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의 단부 영역에서의 외경과 내경 사이의 두께(벽두께)는 상기 파이프의 나머지 영역에서의 외경과 내경 사이의 두께(벽두께)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 것인 건설 산업용 서포트.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프로파일은 단면으로 보았을 때에 파형 형상을 갖는 것인 건설 산업용 서포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프로파일의 외경 상에 형성된 피크(14)는 양측의 2개의 에지(20)가 형성된 편평한 영역을 갖고, 각이 진 형상을 갖는 것인 건설 산업용 서포트.
  8. 건설 산업용 서포트의 파이프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파이프는 내부에 내부 파이프가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사용시에 외부로부터 접근할 수 있는 상기 파이프의 단부 영역의 내경을, 상기 파이프의 단부 영역 이외의 나머지 영역의 내경에 비해 확대시키고, 파이프에 축방향 프로파일을 마련하며, 상기 파이프의 단부 영역에서의 외경과 내경 사이의 두께(벽두께)를, 상기 파이프의 나머지 영역에서의 외경과 내경 사이의 두께(벽두께)와 동일하게 하거나 확대시키는 것인 건설 산업용 서포트의 파이프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축방향으로의 압축 및 축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의 확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수행하여 상기 파이프의 단부 영역을 형성하는 것인 건설 산업용 서포트의 파이프 제조 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영역은 상기 파이프의 하단부로부터 측정하였을 때에 적어도 15㎝와 20㎝ 사이의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인 건설 산업용 서포트의 파이프 제조 방법.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의 하단부와, 상기 하단부로부터 축방향 상측에 위치한 확대된 단부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최하부 영역(16)을 평활화하는 것인 건설 산업용 서포트의 파이프 제조 방법.
KR1020097009114A 2006-10-23 2007-10-18 건설 산업용 서포트 및 이 건설 산업용 서포트의 파이프 제조 방법 KR1015243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49841A DE102006049841B3 (de) 2006-10-23 2006-10-23 Stütze im Bauwes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Rohres einer Stütze im Bauwesen
DE102006049841.0 2006-10-23
PCT/EP2007/061147 WO2008049780A1 (de) 2006-10-23 2007-10-18 Stütze im bauwes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rohres einer stütze im bauwes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603A KR20090085603A (ko) 2009-08-07
KR101524317B1 true KR101524317B1 (ko) 2015-05-29

Family

ID=38896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9114A KR101524317B1 (ko) 2006-10-23 2007-10-18 건설 산업용 서포트 및 이 건설 산업용 서포트의 파이프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201583B2 (ko)
EP (1) EP2102433B1 (ko)
KR (1) KR101524317B1 (ko)
CN (1) CN101542054B (ko)
DE (1) DE102006049841B3 (ko)
ES (1) ES2629769T3 (ko)
HK (1) HK1136017A1 (ko)
PL (1) PL2102433T3 (ko)
RU (1) RU2436916C2 (ko)
WO (1) WO20080497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700055288A1 (it) * 2017-05-22 2018-11-22 Amadio & C S P A Supporto per l'edilizia rinforzato e metodo di realizzazione di tale supporto rinforzato
CN111576925B (zh) * 2020-04-29 2021-11-05 浙江东新建设有限公司 一种快捷式建筑钢支撑架及其实施方法
EP4067607B1 (en) * 2021-03-30 2024-05-15 Gherardi S.R.L. - Attrezzature Edili Telescopic prop and procedure for realizing a telescopic prop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6794A (ja) * 2002-07-04 2004-02-05 Showa Alumi Viewtech Co Ltd 屋外設置用ポール
KR200402518Y1 (ko) * 2005-08-30 2005-12-02 우주엘엔티(주) 가로등용 가로등 지주대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7293A (en) * 1899-06-20 Douglas george brighton
US298657A (en) * 1884-05-13 Straight water-pipe
GB213317A (en) * 1922-12-06 1924-04-03 William Bateman Atkinso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building supports
US1783605A (en) * 1928-07-13 1930-12-02 Walter J Mcguigan Pipe
US2236802A (en) * 1939-03-13 1941-04-01 Albert P Mcdonald Vitreous clay conduit section
US2261056A (en) * 1939-11-08 1941-10-28 Nat Tube Co Method of making threaded joint members
US2508779A (en) * 1945-06-09 1950-05-23 Vocisano Domenico Form support
DE2200874A1 (de) * 1971-07-19 1973-08-30 Aristovoulos George Petzetakis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nbringen von innenkalibrierten einsteckmuffen mit dichtungsmittelsicke an rohren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DE2628924A1 (de) * 1976-06-28 1977-12-29 Acrow Wolff Gmbh Stuetze, insbesondere fuer baugerueste
DE7636864U1 (de) * 1976-11-24 1977-03-03 Huennebeck Gmbh, 4030 Ratingen Hoehenverstellbare stuetze
DE3641349C5 (de) * 1986-12-03 2004-02-12 Friedr. Ischebeck Gmbh Baustütze
US5099888A (en) * 1990-06-04 1992-03-31 Vassallo Research And Development Corporation Impact protected, sealed, double-walled pipe body
FR2670819B1 (fr) * 1990-12-24 1994-08-26 Ottenwealder Bernard Perfectionnement aux etais tubulaires telescopiques.
NL9100139A (nl) * 1991-01-28 1992-08-17 Leeuw Petrus J L De Afsteunelement voor toepassing in bouwconstructies.
DE4111169C2 (de) * 1991-04-06 2000-02-03 Ischebeck Friedrich Gmbh Baustrebe
DE9313317U1 (de) * 1993-09-04 1993-10-28 Mueller & Baum Höhenverstellbare Stütze für eine Deckenschalung
EP0625622A1 (de) * 1993-05-17 1994-11-23 Müller & Baum GmbH & Co. KG Ausziehbare Baustütze
US5517843A (en) * 1994-03-16 1996-05-21 Shaw Industries, Ltd. Method for making upset ends on metal pipe and resulting product
JP3488331B2 (ja) * 1996-02-21 2004-01-19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フランジ付配管継手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711177A (en) * 1996-06-27 1998-01-27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Method for corrugating a metallic pipe
DE19844613A1 (de) * 1998-09-29 2000-03-30 Plettac Ag Vertikales Gerüstrohr mit verbesserter Lastaufnahmefähigkeit
DE19859365A1 (de) 1998-12-22 2000-06-29 Plettac Ag Geschaeftsbereich G Gerüstrohr mit Eindrückungen zur Erhöhung der Lastaufnahmefähigkeit
CN2467672Y (zh) * 2001-03-06 2001-12-26 施龙井 可承受双向作用力的钢管支柱
CN2729221Y (zh) * 2004-09-20 2005-09-28 金兴文 混凝土楼板浇注用伸缩支柱
JP2006283843A (ja) * 2005-03-31 2006-10-19 Tokai Rubber Ind Ltd 高耐圧振動吸収ホース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6794A (ja) * 2002-07-04 2004-02-05 Showa Alumi Viewtech Co Ltd 屋外設置用ポール
KR200402518Y1 (ko) * 2005-08-30 2005-12-02 우주엘엔티(주) 가로등용 가로등 지주대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42054B (zh) 2013-11-20
RU2436916C2 (ru) 2011-12-20
PL2102433T3 (pl) 2017-08-31
EP2102433B1 (de) 2017-04-19
RU2009119460A (ru) 2010-11-27
US8201583B2 (en) 2012-06-19
EP2102433A1 (de) 2009-09-23
WO2008049780A1 (de) 2008-05-02
ES2629769T3 (es) 2017-08-14
HK1136017A1 (en) 2010-06-18
CN101542054A (zh) 2009-09-23
KR20090085603A (ko) 2009-08-07
US20090266008A1 (en) 2009-10-29
DE102006049841B3 (de) 2008-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4317B1 (ko) 건설 산업용 서포트 및 이 건설 산업용 서포트의 파이프 제조 방법
US807495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he strength of a utility pole
JP5311762B2 (ja) エネルギー吸収部材
US20040089786A1 (en) Form panel and panel holding member
US20220213679A1 (en) Column Shoe Manufactured From One Piece of Sheet Metal
JP2018165433A (ja) 外壁通気工法用ラス
JP6330478B2 (ja) 鋼管
CN218346164U (zh) 一种可伸缩补桩器
KR200408488Y1 (ko) 체결 편리성이 증진된 거푸집 패널
EP3207185B1 (en) An arrangement for supporting a steel pile in an impact pile driving device, an impact pile driving device, an impact pile driving machine, and a method for arranging the support of a steel pile in an impact pile driving device
EP2422028A1 (en) Construction prop
WO2018117269A1 (ja) ハット形鋼矢板
JP2006169787A (ja) 杭とフーチングの接合構造
CN208907195U (zh) 一种公路施工用铁板与防颠斜面板之间连接结构
CN218235747U (zh) 一种高强度建筑钢钉
CN220183722U (zh) 一种新旧路基搭接用土工格栅
KR102276631B1 (ko) n형 결합부재와 너트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탈형 데크용 스페이서 및 탈형 데크
KR102655242B1 (ko) 거푸집용 서포트 장치
CN202644526U (zh) 混凝土桩基保护件
JP6133621B2 (ja) 山留壁
CN209482590U (zh) 一种可装配式冷弯薄壁型钢三角形截面格构柱
JP6110454B1 (ja) 耐圧伸縮筒
JP5399014B2 (ja) 構造材と固定端の接合構造
CN103629213A (zh) 柏油路面螺丝
JP2019094644A (ja) 橋脚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