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8460B1 - 액체 또는 반죽 제품을 배출시키기 위한 일회용 장치 - Google Patents

액체 또는 반죽 제품을 배출시키기 위한 일회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8460B1
KR101518460B1 KR1020097019272A KR20097019272A KR101518460B1 KR 101518460 B1 KR101518460 B1 KR 101518460B1 KR 1020097019272 A KR1020097019272 A KR 1020097019272A KR 20097019272 A KR20097019272 A KR 20097019272A KR 101518460 B1 KR101518460 B1 KR 101518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rack
pawl
container holder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9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9773A (ko
Inventor
데이비드 웨일
피에르-이브 샤소트
Original Assignee
프리메퀄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리메퀄 에스.에이. filed Critical 프리메퀄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090119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9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8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84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76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 A61M5/31578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based on axial translation, i.e. components directly operatively associated and axially moved with plunger rod
    • A61M5/31581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based on axial translation, i.e. components directly operatively associated and axially moved with plunger rod performed by rotationally moving or pivoting actuator operated by user, e.g. an injection lever or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29Syringe barr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A61M2005/2403Ampoule inserted into the ampoule holder
    • A61M2005/2407Ampoule inserted into the ampoule holder from the re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A61M2005/2485Ampoule holder connected to rest of syringe
    • A61M2005/2492Ampoule holder connected to rest of syringe via snap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4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 A61M2005/341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angularly adjustable or angled away from the axis of the inje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9Dose expelling manners
    • A61M5/31593Multi-dose, i.e. individually set dose repeatedly administered from the same medicament reservoir
    • A61M5/31595Pre-defined multi-dose administration by repeated overcoming of means blocking the free advancing movement of piston rod, e.g. by tearing or de-block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Formation And Processing Of Food Products (AREA)

Abstract

배출될 제품을 포함하도록 설계된 부분(2a)을 가지며 상기 제품을 배출하기 위한 호울(13)을 가지는 본체(2), 상기 본체(2)내의 보어(20)에서 이동하고 상기 제품을 포함하도록 설계된 상기 부분(2a)의 체적을 변화시키는 랙(3), 및 피벗식 레버(1)와 상기 랙(3) 상에 작용하기 위한 포울(4)을 구비하는 랙 이동 기구를 구비하는 액체 또는 반죽 제품을 배출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울(4)과 상기 레버(1)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단일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체 또는 반죽 제품을 배출시키기 위한 일회용 장치{DISPOSABLE DEVICE FOR EJECTING A LIQUID OR PASTY PRODUCT}
본 발명은 액체 또는 반죽 제품을 배출시키기 위한 장치, 및 이 장치를 제조 및 분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대(靭帶)내(intra-ligamentary)의 주사를 위한 치과의 주사기는 특허출원 FR 2 535 206 에서 공지되어 있다. 이 주사기는 턱뼈와 이빨 사이의 인대(ligaments) 속으로 매우 미세한 가요성 주사 바늘 제품에 의한 주사를 허용한다. 이것은 기본적으로 가압 실린더의 이동을 통해 주사를 수행하기 위한 기구가 장착되는 긴 본체, 주사될 액체로 채워진 컨테이너를 수용하는 컨테이너 홀더, 및 주사 바늘(injection needle)을 구비하는 말단 피스(end piece)로 이루어진다. 주사가 행해져야 하는 영역에 대한 접근이 어려운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주사기의 본체는 주사기의 본체의 축과 소정 각도를 이루는 주사 헤드(injection head)를 가진다. 제거가 가능한 주사 바늘은 주사가 수행되기 전 본체에 부착되고, 그 후 제거된다. 주사 기구(injecting mechanism)는 기본적으로 주사기 본체에 힌지된 레버로 이루어져서 이 레버에 힌지된 포울(pawl)을 통해 가압 실린더 상에 작용하여 가압 실린더 상에 형성된 랙의 톱니와의 접촉 위치로 복귀한다. 실린더는 주사 기 본체에 형성된 보어를 따라 평행이동상태로 안내된다. 이것은 또한 보어에 관하여 반경 방향으로 나사결합되고 실린더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보어로 들어가는 스크류와 맞물리는 길이방향 홈을 가진다. 이 기구는 또한 레버 상의 작용이 끝날 때 가압 실린더의 후방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비-복귀 포울(non-return pawl)을 가진다. 이러한 비-복귀 포울은 랙 톱니(rack teeth)와의 접촉 위치로 복귀되고, 가압 실린더가 가압하는 주사 가능한 제품 컨테이너를 교환하거나 및/또는 주사 압력을 중단시키기 위해 버튼을 누름으로써 이러한 위치에서 벗어날 수 있다. 그러한 장치에는 여러 가지 결점들이 있다. 우선 첫째로, 제조하기가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든다. 둘째로, 부품들이 많고 형상들이 복잡하며, 특히 재료에 여러 각도들과 여러 모서리들이 있다. 이들 각도와 모서리들은 접근하기가 어렵고 따라서 세정하기가 매우 어려우며 그 결과 소독하기가 어렵다.
상기 결점들에 대한 부분적인 해결책으로서, 문서 WO2005/007224 는 쉽게 분해되어 세정되는 보다 단순한 구조의 배출 장치를 제공한다. 이 장치는 본체, 제품을 포함하도록 설계되고 이 제품을 배출하기 위한 구멍을 가지는 부분, 본체의 내측의 보어를 따라 이동하고 이 제품을 포함하도록 설계된 위치의 체적을 변화시키는 톱니형 가압 실린더, 및 상기 본체에 연결된 가압 실린더를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를 구비하며, 레버에 힌지된 포울을 통해 가압 실린더의 톱니 상에 작용하는 복귀 스프링에 의해 복귀되고 가압 실린더와의 접촉 위치로 복귀된 비-복귀 포울과 스프링에 의해 가압 실린더와의 접촉위치로 복귀되는 분리가능한 힌지형 레버를 구비한다. 그의 훌륭한 단순함과 세정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분리가능한 레버의 존 재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장치는 여전히 위생의 관점에서 만족스럽지 못하며 여전히 주의깊은 세정을 요한다. 더구나, 장치의 본체에 대한 레버의 분리가능한 연결은 배출을 수행할 때 큰 힘을 받아서 레버를 더욱 약화시키기 때문에 장치의 성능을 희생하고서 성취된다. 결국, 이러한 장치는, 이전의 장치처럼, 장치의 많은 부품들 때문에 장치의 조립이 매우 어려워서, 분배하기 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미리 조립되는 것을 요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반적인 목적은 장치들에 존재하는 결점들을 완화시키는 액체 또는 반죽 제품을 배출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다음의 특별한 목적들 중의 전부 또는 일부를 성취하기 위한 것이다.
한 목적은 최고의 위생 정도를 제공하는 액체 또는 반죽 제품을 배출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2의 목적은 액체 또는 반죽 제품을 매우 효과적으로 배출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3의 목적은 배출 장치를 제조 및 분배하기 위한 경제적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전히 더 이상 단순화되고 매우 값이 싼 배출 장치의 형태로, 전체적으로 상이한 개념의 일회용 배출 장치를 채용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성취한다.
더욱 상세히 말하면, 본 발명은 배출될 제품을 포함하도록 설계되고 제품을 배출하기 위한 호울이 제공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측의 보어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제품을 포함하도록 설계된 부분의 체적을 변화시키는 랙, 및 상기 랙 상에서 작용하기 위한 포울 및 힌지형 레버를 구비하는 랙 이동 기구를 구비하는 액체 또는 반죽 제품을 배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치는 상기 포울과 상기 레버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단일 구조(monolithic structure)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목적을 위해, 포울은 레버에 대략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포울과 상기 레버 사이의 상대적인 탄성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변형이 가능한 경도가 감소된 영역을 형성하도록 두께가 감소된 영역 및/또는 리세스를 가지는 연결 영역에서 상기 레버에 연결될 수 있다. 포울은 또한 두 단계로 배출시키기에 적합한 유연성을 가지며, 초기 단계는 랙 상에 압력을 증가시켜 배출 없이 변형하도록 이루어지며, 두 번째 단계는 상기 랙을 전진시켜 상기 제품을 배출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레버는 상기 레버 및 상기 포울과 함께 단 하나의 단일 구조를 형성하는 그의 단부에서 피벗 핀을 구비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장치는 상기 레버와 상기 본체 사이의 연결을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다.
이 목적을 위해, 상기 배출 장치의 본체는 상기 피벗 핀을 수용하기 위해 그의 형상이 상기 피벗 핀의 형상에 대응하는 시트와, 상기 본체의 상기 시트에서 상기 레버의 상기 피벗 핀을 스냅-결합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리프 스프링을 구비한다. 상기 리프 스프링은 이것이 상기 본체 상에 상기 레버가 조립되도록 하기 위해 보어 속으로 변형할 수 있고 다음에 상기 랙이 상기 보어의 내측에 위치할 때 더 이상 상기 레버를 변형시켜서 상기 본체에 고정시킬 수 없는 그러한 방식으로, 상기 보어의 상부 표면상에서 상기 본체에 통합될 수 있다.
상기 리프 스프링은 상기 랙이 삽입될 때 상기 피벗 핀에 들어맞고 이것을 상기 시트에 정확하게 위치 설정하는 둥근 상부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제2의 바람직한 형태에서, 상기 배출 장치는 상기 본체에 통합되어 비-복귀 포울의 기능을 수행하는 리프 스프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비-복귀 포울의 상기 단부는 상기 레버에 연결된 상기 포울의 상기 단부의 전방에 또는 같은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3의 바람직한 변형예에서, 상기 배출장치의 본체는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 홀더와 후방 본체의 조립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컨테이너 홀더는 상기 본체의 상기 전방 부분과 상기 후방 본체의 상기 후방 부분을 나타내며, 상기 두 부분들은 다른 부분에서 트랙에 위치된 한 부분 상에 적어도 두 개의 길이방향 리프 스프링에 의해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스프링은 이들의 단부에 상기 다른 부분에서 구멍속으로 클릭(click)할 수 있는 돌기를 가질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변형예에서, 상기 본체의 상기 두 부분들은 고정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고정되며, 이것에 의해 일회용인 장치의 단 한 번의 사용을 위해 조립된 부품들 전체를 고정시킨다. 또 다른 변형예에서, 상기 본체의 상기 두 부분들 사이의 연결은 세정을 목적으로 상기 장치가 분해되도록 분리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액체 또는 반죽 제품을 배출하기 위한 장치는 4개의 조립된 주요 부분들, 포울을 포함하는 레버, 컨테이너 홀더, 후방 본체 및 랙으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상기 레버, 상기 컨테이너 홀더 및 상기 후방 본체는 사출 성형된 플라스틱으로 임의로 만들어진다.
하나의 가능한 변형예에서, 적어도 컨테이너 홀더는 투명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장치의 본체는 주사 바늘을 갖는 공구 홀더를 수용하기 위한 전방 단부를 가질 수 있고, 이 전방 단부는 상기 본체에 대해 경사진 형상을 가지고 상기 주사 바늘을 일직선으로 삽입하기 위해 상기 본체와 평행한 모선(generatrices)을 가진다.
최종 변형예에서, 상기 배출 장치는 상기 후방 본체에 스커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장치의 3개의 부분들, 포울을 포함하는 레버, 컨테이너 홀더 및 후방 본체를 형성하기 위한 적어도 3개의 플라스틱 사출 성형 단계들을 구비하는 배출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것은 또한 랙을 형성하기 위한 네 번째의 플라스틱 사출 성형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변형예에서, 액체 또는 반죽 제품을 배출하기 위한 장치의 제조 방법은 적어도 4 개의 별개의 부품들, 포울을 포함하는 레버, 컨테이너 홀더, 후방 본체 및 랙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이것은 다음의 단계들을 구비하는 이들 4 개의 부품들을 조립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a) 상기 후방 본체 상으로 상기 레버를 삽입하는 단계, 및
b) 상기 후방 본체의 보어 속으로 상기 랙을 삽입하여 상기 컨테이너 홀더를 상기 후방 본체의 전방에 연결하는 단계.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액체 또는 반죽 제품을 배출하기 위한 장치를 분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방법은 적어도 4 개의 각각의 분해된 부품들, 포울을 포함하는 레버, 컨테이너 홀더, 후방 본체 및 랙을 분배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어떤 제한도 포함하지 않고 나타낸 하나의 특별한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에서 상세히 기술된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배출 장치의 상이한 조립 단계들을 도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레버의 본체에 대한 연결을 도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배출 장치의 일부분의 장치의 대략 중간 부분을 통과하는 길이방향의 수직한 평면상에서 횡단면도로 도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b에 대응하는 장치의 조립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조립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b에 대응하는 장치의 조립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6은 조립된 장치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7은 조립된 배출 장치의 대략 중간을 통과하는 길이방향의 수직한 평면상의 횡단면도를 도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배출 장치의 일부분의 후방 일부 사시도이다.
도 9는 장치의 대략 중간을 통과하는 길이방향 수직 평면상에서 취해진 전방의 사시도인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배출 장치의 도면이다.
도 10은 장치의 대략 중심을 통과하는 길이방향 수직 평면상에서 취해진 도식적인 단면도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출 장치의 작동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배출 장치는 간단한 사출 성형(injection molding)에 의해 플라스틱으로부터 만들어지는 그러한 방식으로 형성된 4개의 각각의 주요 부품들을 조립하는 것에 기초를 두고 있고, 도 1a 내지 도 1d에서 예시된 단계들에 따라 매우 간단하게 조립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제1 단계에서, 레버(1)는 후방 본체(2b) 상으로 조립된다. 레버(1)는 작동되도록 설계된 수평 상부 부분과 후방 본체(2b)내의 대응한 시트(seat)(6)에 위치된 피벗 핀(5)의 형태로 된 하부 단부를 구비한다. 부가적으로, 포울(pawl)(4)은 단일 구조(monolithic structure)로 된 레버(1)에 연결되고 본체(2b)의 내부를 향하여 아래로 연장한다.
도 1b에서 예시된 제2 단계에서, 컨테이너 홀더(2a)인 장치의 본체의 전방 부분은 완전한 본체(2)를 형성하기 위한 그러한 방식으로 컨테이너 홀더(2a) 내의 대응한 구멍들(8)에 결합하는 후방 본체(2b) 상에 클립(9)에 의해 이전의 단계에서 제조된 조립체의 전방 단부 상으로 조립된다. 이러한 작업을 하기 전에 배출될 제품을 포함하는 카트리지(10)가 컨테이너 홀더(2a) 내에 위치되어야 한다. 변형예 에서, 이 제품은 중간의 각각의 카트리지(10) 없이, 컨테이너 홀더 안으로 임의로 직접 통합된, 컨테이너 홀더 내에 이미 미리 배치되었을 수 있다. 동시에, 랙(rack)(3)으로서 이하에 언급된 톱니형 가압 실린더(toothed push cylinder)(3)는 후방 본체(2b)의 후방에서 구멍(7)을 통해 삽입되고 본체(2)의 중앙 위치에서 이 목적을 위해 제공된 원통형 보어 내에 위치된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 바늘을 갖는 공구 홀더(12)는 컨테이너 홀더(2a)의 단부(13)에 연결되어 제품을 배출시키기 위한 오리피스를 가진다. 이러한 연결은 양호하게는 문서 WO03/082387 에 기재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컨테이너 홀더(2a)의 전방의 형상은 일반적으로 본체(2)에 대해 소정 각도로 이루어지고, 이것은 주사 바늘을 구부려서 이것을 작업 위치로 고정시키기 전에 이러한 방향으로 주사 바늘을 일직선으로 삽입시키기 위해 그의 모선(generatrices)이 본체(2)의 축에 반드시 평행하게 배치되는 표면을 가진다. 배출 장치는 이제 사용을 위해 준비가 되며, 도 1d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피벗 핀(5)을 중심으로 레버(1)를 하향 이동시킴으로써 랙(3)의 전방 표면의 압력에 의해 카트리지에 포함된 제품을 배출시킨다. 변형예에서, 공구 홀더(12)는 컨테이너 홀드(2a) 안으로 통합될 수 있다.
상기 장치의 여러 부품들의 형상 및 기술적인 기능들은 이제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특히 레버(1)와 후방 본체(2b) 사이의 연결을 보여주며 도 1a에 예시된 단계에서 수반된 부품들을 상세히 보여준다. 레버(1)는 장치의 후방 본체(2b) 의 상부 부분에 형성된 대응한 직경의 원통형 시트(cylindrical seat)(6) 안에 끼워지는 그의 피벗 핀을 형성하는 원통형 단부(5)를 가진다. 이 원통형 시트(6)는 후방 본체(2b)의 중앙 원통형 보어(20)의 상부 표면의 일부분으로부터 본체(2b)에 통합된 길이방향의 리프 스프링(21)과 컷아웃(cut out)(24)을 그의 하부 부분에 구비한다.
피벗 핀(5)은 처음에 본체(2)의 상부 부분에 형성된 두 개의 측면 트랙(side tracks)(도시되지 않음)상에 위치되고, 다음에 최종 시트(final seat)(6)의 구멍들(23)쪽으로 이것을 향하게 하는 이들 트랙들을 따라 후방으로 슬라이드되며, 이 구멍의 직경은 피벗 핀(5)의 직경보다 더 작다. 스프링(21)은 레버(1)의 피벗 핀(5)의 압력하에서 보어(20) 속으로 하강하여 구멍(23)을 통해 피벗 핀(5)을 그의 시트(6)에 도달하게 한다. 스프링(21)은 이때 그의 탄성에 의해 그의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서 피벗 핀(5)의 원주의 하부 위치에 대해 편안하게 끼워진다.
레버(1)는 또한 연결 영역(connection zone)(29)에서 레버에 대해 대략 수직한 포울(4)에 연결된다. 이 포울(4)은, 나중에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랙(rack)으로 작용하기 위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톱니를 구비하는 단부(28)가 된다. 포울(4)과 레버(1)의 나머지 부분은 단일의 사출 성형 단계에서 제조된 단일 구조(monolithic structure)를 형성한다. 그들의 연결 영역(29)은 포울(4)이 레버와 함께 그의 연결 영역(29)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레버(1)에 대해 탄성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감소된 두께의 리세스(recesses) 또는 영역들은 레버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변형가능한 감소된 경도(stiffness)의 영역을 형성하도록 연결 영역(29)에서 플라스틱 내에 제공된다. 이들 리세스는 예를 들면 그의 회전축을 나타내기 위해 포울(4)에 연결된 영역(29)에서 레버의 폭을 가로질러 연장하는 피벗 핀의 윤곽을 나타낼 수 있다.
마지막으로, 후방 본체(2b)는 본체(2b)의 사출 성형중 본체 자체의 리세스(26)에 의해 형성된 길이방향의 리프 스프링의 형태로 된 적어도 하나의 비-복귀 포울(non-return pawl)(25)을 가지며, 랙(3)의 톱니를 보완하는 돌출부의 형태로 된 단부(27)는 보어(20)에 도달해서 나중에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들 톱니들과 맞물리게 된다.
레버가 보어(2b)의 시트(6)의 위치에 있을 때, 컨테이너 홀더(2a)는 본체(2b) 상으로 조립되는 한편, 랙(3)은 이것이 배출될 제품을 포함하는 카트리지(10)와 마주칠 때까지, 후방 구멍(7)을 통해 현재 조립된 본체의 길이방향 원통형 보어(20) 안으로 삽입된다. 도 3은 이 단계가 도 1b의 단계에 대응하는 것을 보여주며, 중간의 구성에서 랙(3)은 이미 삽입되어 있고, 한편 컨테이너 홀더(2a)는 결합을 위해 준비된 상태에 있다.
이들이 서로 결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후방 본체(2b)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 홀더(2a)의 내측 상의 측면 벽들에 대항하여, 보완 트랙(complementary tracks)(14)과 하부 및 상부에서 맞물리게 하기 위해 길이방향 전방으로 연장하는 두 개의 측면 암(9)을 가진다. 이들 암(9)의 단부는 컨테이너 홀더(2a)의 대응한 구멍(8)과 맞물리도록 설계된 외측 방향의 돌기(31)를 가진다. 암(9)이 컨테이너 홀더(2a)의 트랙(14) 속으로 삽입될 때, 돌기(31)는 컨 테이너 홀더(2a)의 내부 측면벽에 대해 마찰을 일으켜, 암(9)을 본체(2)의 중간을 향해 탄성적으로 구부러지게 한다. 돌기(31)가 대응하게 형성된 구멍(8)에 도달하자마자, 이들은 이들의 초기 또는 표준 간격 및 이들의 길이방향 및 평행한 방향으로 후방으로 튀는 암(9)의 탄성으로 인해 이들 속으로 클릭(click)한다. 하부 및 상부 트랙(14)에 의해 이들의 길이방향을 따라 항상 적절한 위치에서 유지된 암(9)의 긴 형상은 어떠한 불안정한 풀림 현상(disconcerting looseness)도 없이 본체의 두 부분(2a, 2b)들 사이에 견고한 연결을 제공하며, 따라서 그의 사용중 모든 힘들을 효과적으로 전달한다. 이들 두 부분들 사이의 모든 다른 동등한 기계적인 연결도 적합하게 될 것이다.
또한, 본체(2)의 보어(20) 속으로의 랙(3)의 삽입은 레버(1)의 삽입 스프링(21)의 하부 측면에 대해 이것을 지탱하게 하고, 이것에 의해 이 스프링(21)의 모든 하향 이동을 방지한다. 따라서, 레버(1)의 피벗 핀(5)은 본체(2)의 시트(6)에 고정되고 이제 더 작은 구멍(23)을 통해 더 이상 탈출할 수 없게 된다.
하나의 양호한 변형예에서, 스프링(21)의 상부 부분은, 더욱 쉽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한편 본체(2) 상으로 이것을 조립하는 단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레버(1)의 피벗 핀(5)을 구멍(23) 속으로 안내하는 완만한 상향 경사면을 형성하고, 다음에 피벗 핀(5)에 대한 시트(6)의 하부 수용 표면을 형성하는 것과 같은 그러한 피벗 핀(5)의 곡률에 대응하는 하향으로 둥글게 형성된 표면(22)을 가진다. 덧붙여 말하자면, 레버(1)의 피벗 핀(5)이 도 1a에서 도시된 초기의 조립 단계에서 그의 시트(6) 내에 편안하게 위치되는 것이 아니라, 리프 스프링(21)이 아래로 구부 러지도록 리프 스프링(21)에 대항하여 가압하는 중간 영역에서 예를 들면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면, 보어(20) 속으로의 랙(3)의 삽입은 스프링(21)을 상향으로 밀어올리고, 이것은 결국 피벗 핀(5)이 상기 피벗 핀(5)의 최종 위치로 그의 경사면(22)을 아래로 슬라이드 하게 하며, 여기서 이것은 그의 수평한 최종 위치에서 리프 스프링(21)을 떠나서, 공간(6)의 젼체 영역을 차지하게 된다. 따라서, 랙(3)을 삽입하는 것은 또한 그의 최종 위치에서 레버(1)를 설정하는 부가적인 기능을 가지며, 이것에 의해 이러한 위치에서 이것을 고정시키기 전, 그의 정확한 위치설정을 확실하게 해 준다.
이 장치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컨테이너 홀더(2a) 속으로 삽입된 카트리지는 구멍(8)으로부터 이들을 해제시키기 위해 돌기(31)를 압착하는 한편 본체(2b)를 동시에 후방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암(9)을 다시 변형시키는 것을 요하는 후방 본체(2b)의 반대방향 이동이, 불가능하다면, 상이하게 형성되는 그러한 방식으로 구멍(8)의 영역에서 암(9)에 접근한다. 따라서, 이러한 기하학적인 배열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다음에 중앙 원통형 보어(20)에서 랙(3)을 고정시키고, 다음에 레버(1)를 고정시키는 조립된 보어(2)를 돌기(31)가 탈출하여 고정시키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고정시키기 어렵게 한다. 그러므로, 조립된 장치는 다양한 부품들의 신뢰할수 있는 그리고 고도로 기능적인 위치설정을 제거 및 보장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매우 어렵게 한다.
도 6 내지 도 9는 그 결과적으로 조립된 장치의 상이한 도면들을 도시한다.
도 7, 도 8 및 도 9에서 더욱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는 배출 장치의 포울(4) 의 톱니형 단부(28)는 랙(3)의 톱니에 접근하기 위해 본체(2)의 상부 구멍(30)으로 들어가며, 비-복귀 포울(25)의 단부 부분(27)은 랙의 톱니의 하나의 뒤에 배치된다. 보어(20) 속으로의 랙(3)의 삽입은 비-복귀 포울(25)의 단부(27)가 랙의 두 톱니들 사이에서 그의 위치를 취할 때 딸깍 하는 소리(audible click)에 의해 수행된다. 비-복귀 포울(25)의 이러한 단부(27)가 포울(4)의 단부(28)의 그것의 약간 전방의 위치를 차지할 때, 이러한 딸깍 하는 소리는 랙이 레버(1)에 의해 작동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전방으로 멀리 있을 때 일어나며, 이러한 딸깍 하는 소리는 랙이 전방으로 충분히 멀리 위치되어 있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것이다.
도 10은 배출 장치의 작동을 도시한다. 특히 포울(4)과 레버(1) 사이의 연결 영역(29)에서 구조의 기하학적인 배열과 사용된 재료의 유연성의 특성의 덕분으로, 레버(1)는 레버에 대한 그의 연결 영역(29)의 주위에서 랙(3)에 대항하여 가압하는) 포울(4)의 탄성 변형을 야기하는 피벗 핀(5)을 중심으로 회전에 의해 컨테이너 홀더(2a)에 대항하여 아래로 가압된다. 포울(4)의 이러한 이동은 랙(3)의 톱니들 중의 일부와 맞물리는 그의 톱니형 단부(28)가 보어(20)의 내측에서 전방으로 랙을 가압시키도록 하는 것을 허용한다. 제안된 실시예에서, 포울(4)의 단부(28)는 랙(3)의 세 개의 톱니들과 동시에 맞물려서 이들 두 개의 부분들(3, 4)사이의 양호한 결합을 보장하도록 하기 위해, 랙(3)의 상부 원통형 형상과 톱니들의 세 개의 열들을 일치시키도록 둥글게 형성된다.
레버가 해제되면, 포울(4)은 그의 초기 위치를 향해 탄성 복원력을 인가하며 레버(1)를 그의 초기의 상승된 위치로 가압한다. 이것이 일어나는 동안 비-복귀 포울(25)은 랙이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해 준다. 이 목적을 위해 랙의 톱니의 형상 및 그의 단부(27)는 이들을 랙의 전방 방향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는 경사면을 가지며, 그 결과 랙의 톱니가 포울(25)로부터 탈출할 때까지 포울(25)의 하향 변형을 일으키고, 이때 비-복귀 포울을 다음의 톱니 속으로 튀어 물러나게 한다. 이것은 랙이 전방으로 이동한 것을 사용자에게 확인해주는 딸깍 하는 소리에 의해 수행된다. 그러나, 비-복귀 포울(25)의 단부(27)의 전방 표면은 반드시 수직하게 이루어져서 랙의 모든 후방 이동을 방지하는, 랙의 톱니 상의 대응한 수직한 표면과 맞물리게 된다. 랙(3)의 전방 이동은 배출될 내용물을 포함하는 체적(10)에 대해 지탱하는 플런저를 구동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장치의 한 양호한 실시예에서, 레버(1)와 포울(4)은 사출 성형된 플라스틱으로부터 만들어진다. 따라서, 레버가 작동될 때, 포울(4)은 처음에 탄성적으로 변형하며 그렇게 변형하는 만큼 랙이 결국 전진할 때까지 랙 위에 점점더 큰 힘을 가하게 된다. 이러한 2-단계의 작용은 레버에 대한 더 크거나 또는 더 작은 압력의 영향을 약화시키고, 그 결과 제품의 비교적 일정하고 부드러운 배출을 초래하며, 따라서 주사기의 경우에 환자의 행복을 개선하게 된다. 레버 상의 어떠한 과도한 압력도 장치의 부품들의 변형에 의해 부분적으로 흡수될 것이다.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배출 장치를 만드는 신속하고 값싼 방법은 장치의 4개의 상이한 필수 부품들 - 레버(1), 컨테이너 홀더(2a), 후방 본체(2b) 및 랙(3) - 을 플라스틱 사출 성형으로서 각각 만드는 것이다. 사용된 재료는 폴리아미드, 폴리프로필렌, ABS 또는 어떤 다른 플라스틱으로 될 수 있다. 재활용 플라스틱이 상기 장치에 매우 적합할 것이며, 이것은 사용 후 폐기될 수 있다. 배출될 제품이 얼마나 많이 남아있는지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특히 투명 플라스틱이 또한 컨테이너 홀더(2a)에 대해 유익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조 방법에서의 하나의 최종 단계는 다음에 이들 부품들을 조립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장치의 운반과 분배를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하기 직전의 장소에서 조립하기 위해 이것을 분해된 상태로 분배하는데 장점이 있다. 이것은 도 1a 내지 도 1d를 참조하여 기술된 바와 같이, 부품의 조립의 용이성 때문에 실현이 가능하다. 이것은 또한 최종 소비자가 주사할 제품을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 변형예에서, 상술한 부품들은 다른 재료들로 상이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랙(3)은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스틸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2 실시예는,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보어(20)가 예를 들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또는 폴리에테레테르케톤(polyetheretherketone)(PEEK)과 같은 그러한 또 다른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 스커트를 수용하기 위한 쇼울더(shoulder)를 가지는 상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문서 WO 2005/007224 의 도 7을 기본으로 생산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배출 장치는 마취제와 같은 그러한 제품을 경질 조직(hard tissues) 속으로 주사하거나, 또는 접착제, 수지 또는 아말감을 디포짓(deposit)하기 위한 의료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치과 분야에서의 마취 주사기(anesthetizing syringe)에서 수행하는 것이 매우 유용하다. 이것은 또한 예정된 량의 콜라겐을 디포짓하기 위한 준의료 활동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용도로는 접착제 본드(adhesive bonds) 또는 마이크로웰드(microwelds)를 만들거나 또는 제품을 디포짓하기 위한 마이크로공학(micromechanics) 또는 귀금속 세공술(jewelry)에서 사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원하는 목적들을 성취하고 다음의 장점들을 갖는다:
ㆍ정 위치에서 안전하게 고정된 레버의 존재는 효율적인 배출을 보장한다;
ㆍ이 장치는 각각의 독립적인 피벗 핀 또는 스프링을 갖지않은 몇 개의 부품들로 만들어진 간단한 구조에 기초하고 있고; 이 부품들은 재활용가능한 재료들의 사용과 양립할 수 있는 방법들에 의해 낮은 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고; 제조 방법은 그러므로 경제적이며 세정 문제들을 제거하는, 일회용 장치의 개념과 양립할 수 있고; 그리고
조립하기 쉬운 몇 개의 부품들로 장치를 분해한 것은 주사가 필요한 순간에 언제든지 분배 및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일회용 장치의 개념을 기초로 착상되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세정 방법을 채용한 비-일회용의 사용은, 예를 들면 본체들(2a, 2b) 사이의 연결을 수정해서 암(9)의 탈출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장치의 단순화와 이것을 다수의 분리가능한 부품들로 만드는 가능성이, 장치의 구조의 단순화에 의해 단순화된, 세정을 위해 분해될 수 있는 형태의 장점을 가지고 수행될 수 있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범주의 바깥에 있지 않을 것이다.
부가적으로, 양호한 실시예가 위에서 기술되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레버(1) - 포울(4) 유닛, 레버를 본체(2)에 조립하기 위한 장치, 두 개의 주요 부 품들(2a, 2b)로 이루어진 본체, 비-복귀 포울(25), 등을 포함하여 장치의 매우 단순화된 부품들의 일부만 사용하여 가능하게 되며, 이것은 이미 개선되고, 단순화되고, 그리고 값이 싼 배출 장치를 제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Claims (23)

  1. 액체 또는 반죽 제품을 배출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액체 또는 반죽 제품인 배출될 제품을 포함하도록 설계되고 상기 제품을 배출하기 위한 호울(13)이 제공되는 부분(2a)을 가지는 본체(2),
    상기 본체(2)의 내측에서 보어(20)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제품을 포함하도록 설계된 상기 부분(2a)의 체적을 변화시키는 랙(3), 및
    상기 본체 상의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레버(1)와 상기 랙(3) 상에 작용하기 위한 포울(4)을 구비하는 랙 이동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포울(4)과 상기 레버(1)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단일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포울(4)은 상기 레버 상의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울(4)은 상기 레버(1)에 대해 수직하고,
    상기 포울(4)과 상기 레버(1)가 서로 상대적인 탄성 이동을 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포울(4)은, 두께가 감소한 영역 또는 리세스를 가지는 변형가능한 연결 영역(29)에서 상기 레버(1)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울(4)은 두 단계로 상기 배출될 제품을 배출시킬 수 있고,
    첫 번째 단계는 랙(3) 상에 압력을 증가시켜 배출 없이 변형하도록 이루어지며, 두 번째 단계는 상기 랙(3)을 전진시켜 상기 제품을 배출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레버(1) 및 상기 포울(4)과 함께 단 하나의 단일 구조를 형성하는 그의 단부에서 피벗 핀(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1)와 상기 본체(2) 사이의 연결을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는 상기 피벗 핀(5)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피벗 핀(5)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시트(6)와, 상기 본체(2)의 상기 시트(6)에서 상기 레버(1)의 상기 피벗 핀(5)을 스냅-결합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리프 스프링(2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 스프링(21)은 상기 보어(20)의 상부 표면상에서 상기 본체(2)에 통합되고,
    상기 본체(2) 상에 상기 레버(1)가 조립될 때, 상기 리프 스프링(21)은 보어(20) 내측으로 변형되고, 상기 랙(3)이 상기 보어(20)의 내측에 위치할 때, 상기 리프 스프링(21)은 더 이상 변형되지 않고, 상기 레버(1)를 상기 본체(2)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 스프링(21)은 상기 랙(3)이 삽입될 때 상기 피벗 핀(5)에 들어맞고 이것을 상기 시트(6)에 위치 설정하는 둥근 상부 표면(22)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에 통합되어 랙(3)의 복귀를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리프 스프링(2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 스프링(25)의 단부(27)는 상기 레버(1)에 연결된 상기 포울(4)의 단부(28)의 전방에 또는 같은 높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는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 홀더(2a)와 후방 본체(2b)의 조립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홀더(2a)는 상기 본체(2)의 전방 부분을 나타내고, 상기 후방 본체(2b)는 상기 본체(2)의 후방 부분을 나타내고,
    상기 컨테이너 홀더(2a) 및 상기 후방 본체(2b)는 적어도 두 개의 길이방향 리프 스프링(9)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길이방향 리프 스프링(9)은 이들의 단부에 컨테이너 홀더(2a)의 구멍(8) 속으로 클릭(click)할 수 있는 돌기(31)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의 상기 컨테이너 홀더(2a) 및 상기 후방 본체(2b)의 결합은 고정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조립된 부품들 전체를 모두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의 상기 컨테이너 홀더(2a) 및 상기 후방 본체(2b) 사이의 연결은 세정을 목적으로 상기 액체 또는 반죽 제품을 배출시키기 위한 장치가 분해되도록 분리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포울(4)을 포함하는 레버(1), 컨테이너 홀더(2a), 후방 본체(2b) 및 랙(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레버(1), 상기 컨테이너 홀더(2a) 및 상기 후방 본체(2b)는 사출 성형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컨테이너 홀더(2a)는 투명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는 주사 바늘을 갖는 공구 홀더(12)를 수용하기 위한 전방 단부(13)를 가지며, 이 전방 단부는 상기 본체(2)에 대해 경사진 형상을 가지고 상기 주사바늘을 일직선으로 삽입하기 위해 상기 본체(2)와 평행한 모선(generatrices)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후방 본체(2b)에 스커트(skir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액체 또는 반죽 제품을 배출하기 위한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포울(4)을 포함하는 레버(1), 컨테이너 홀더(2a), 후방 본체(2b) 및 랙(3)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a) 상기 후방 본체(2b) 상으로 상기 레버를 삽입하는 단계, 및
    b) 상기 후방 본체(2b)의 보어(20) 속으로 상기 랙(3)을 삽입하여 상기 컨테이너 홀더(2a)를 상기 후방 본체(2b)의 전방에 연결하는 단계
    를 구비하는 이들 4 개의 부품들을 조립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11항에 따른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포울(4)을 포함하는 레버(1), 컨테이너 홀더(2a) 및 후방 본체(2b)를 형성하기 위해 플라스틱을 사출성형하는 적어도 3개의 단계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랙(3)을 형성하기 위해 플라스틱을 사출성형하는 4 번째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97019272A 2007-03-07 2008-02-19 액체 또는 반죽 제품을 배출시키기 위한 일회용 장치 KR1015184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7/01649 2007-03-07
FR0701649A FR2913341B1 (fr) 2007-03-07 2007-03-07 Dispositif d'ejection jetable d'un produit liquide ou pateux
PCT/IB2008/050593 WO2008107813A1 (fr) 2007-03-07 2008-02-19 Dispositif d'ejection jetable d'un produit liquide ou pateux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9773A KR20090119773A (ko) 2009-11-19
KR101518460B1 true KR101518460B1 (ko) 2015-05-11

Family

ID=38596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9272A KR101518460B1 (ko) 2007-03-07 2008-02-19 액체 또는 반죽 제품을 배출시키기 위한 일회용 장치

Country Status (23)

Country Link
US (1) US8851336B2 (ko)
EP (1) EP2129418B1 (ko)
JP (2) JP2010520003A (ko)
KR (1) KR101518460B1 (ko)
CN (1) CN101626795B (ko)
AU (1) AU2008222407A1 (ko)
BR (1) BRPI0807123B8 (ko)
CA (1) CA2679152C (ko)
CU (1) CU23969B1 (ko)
DK (1) DK2129418T3 (ko)
ES (1) ES2581740T3 (ko)
FR (1) FR2913341B1 (ko)
GE (1) GEP20125615B (ko)
HU (1) HUE030284T2 (ko)
IL (1) IL200762A (ko)
MX (1) MX2009009411A (ko)
PL (1) PL2129418T3 (ko)
PT (1) PT2129418T (ko)
RU (1) RU2475278C2 (ko)
TN (1) TN2009000364A1 (ko)
UA (1) UA97137C2 (ko)
WO (1) WO2008107813A1 (ko)
ZA (1) ZA20090582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57541B2 (ja) 2008-09-18 2015-01-21 ベクトン・ディキンソン・アンド・カンパニーBecton, Dickinson And Company ラチェット駆動するプランジャを備えた医療用注入器
FR2941153B1 (fr) 2009-01-16 2012-12-14 Primequal Sa Dispositif d'ejection
WO2011039202A1 (en) * 2009-09-30 2011-04-07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Drive mechanism for a drug delivery device and reset member for a drive mechanism
FR2953415B1 (fr) 2009-12-09 2012-12-28 Primequal Sa Dispositif d'ejection pour ejecter de faibles doses
US10099016B2 (en) * 2011-07-07 2018-10-16 Hee Young Lee Syringe pressure generating and pressure displaying device
CA2840957A1 (en) * 2011-07-15 2013-01-24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Locking interface, cartridge holder and drug delivery device comprising a locking interface
ITBS20110181A1 (it) * 2011-12-28 2013-06-29 Paoli Ambrosi Gianfranco De Dispositivo di erogazione di fluidi
CN104203316A (zh) * 2012-04-19 2014-12-10 赛诺菲-安万特德国有限公司 用于药物输送装置的组件和药物输送装置
EP2689793A1 (en) 2012-07-27 2014-01-29 juvaplus SA Injection device for aesthetic medicine
CH710910A1 (fr) * 2015-03-25 2016-09-30 Juvaplus Sa Porte-seringue pour dispositif d'injection motorisé.
EP3147034A1 (en) 2015-09-25 2017-03-29 Sulzer Mixpac AG Applicator for ejecting doses of a flowable component
WO2017076634A2 (en) * 2015-11-06 2017-05-11 Medmix Systems Ag Dispensing device with lateral inlet port and advancement mechanism
ES2949398T3 (es) * 2017-05-02 2023-09-28 Lilly Co Eli Dispositivo de inyección con disposición de émbolo y rampas convergentes
US10881809B2 (en) 2017-08-22 2021-01-05 KB Medical, LLC Exostructure to assist in accurate syringe injection
US11123494B2 (en) 2017-08-22 2021-09-21 KB Medical, LLC Exostructure to assist in accurate syringe injection
KR102068877B1 (ko) * 2017-11-03 2020-01-21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주입식 주사기 및 주사액 자동 주입용 보조 장치
FR3073354B1 (fr) 2017-11-06 2019-10-18 Safran Piece composite a circuit electronique d'instrumentation integr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JP6703021B2 (ja) * 2018-02-20 2020-06-03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サーボ制御装置
FR3079430A1 (fr) 2018-03-29 2019-10-04 Primequal Sa Dispositif et embout d'application et d'etalement d'un produit de type liquide, gel ou pate
US11110227B2 (en) 2018-11-09 2021-09-07 Cheryl Muise Method and apparatus for injecting fluids
KR20220002263A (ko) * 2019-02-19 2022-01-06 케이비 메디컬 엘엘씨 정확한 주사기 주사를 보조하는 외구조
WO2022014275A1 (ja) 2020-07-15 2022-01-20 株式会社グッドマン 加圧装置
KR102622734B1 (ko) * 2021-11-01 2024-01-08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밀대 이동장치가 구비된 주사기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67282A (en) * 1920-11-27 1923-09-04 George B Bergen Pencil
US3161325A (en) * 1963-06-19 1964-12-15 Lester H Hinkel Expulsion device
DE1491876A1 (de) 1966-10-14 1970-04-16 Robert Fuchslocher Medizinisches Geraet zur rektalen oder sonstigen Einfuehrung von Medikamenten in Koerperoeffnungen
US4099548A (en) * 1976-08-25 1978-07-11 Oxford Laboratories Inc. Hand-held pipette for repetitively dispensing precise volumes of liquid
US4472141A (en) * 1981-10-26 1984-09-18 Dragan William B All purpose dental syringe
US4710178A (en) * 1982-11-03 1987-12-01 Micro-Mega S.A. Precision injection system and method for intraligmental anesthesia
EP0109913A3 (fr) * 1982-11-03 1984-09-12 Micro-Mega Seringue dentaire pour injections intra-ligamentaires
FR2535206B1 (fr) 1982-11-03 1989-06-09 Micro Mega Sa Seringue dentaire pour injections intra-ligamentaires
FR2596278B2 (fr) * 1986-03-27 1989-07-13 Micro Mega Sa Seringue dentaire pour injections intra-ligamentaires
US4710172A (en) * 1986-11-24 1987-12-01 John Jacklich High pressure syringe with pressure indicator
DE8701486U1 (ko) * 1987-01-30 1988-06-01 Espe Stiftung & Co Produktions- Und Vertriebs Kg, 8031 Seefeld, De
SU1591989A1 (ru) 1988-03-23 1990-09-15 Le N Proizv Ob T Oboru Dlya Pr Ctomatoлoгичeckий шпpиц
DK145792D0 (da) * 1992-12-03 1992-12-03 Dumex Ltd As Vaeskedispenseringsapparat
US5570821A (en) * 1995-06-14 1996-11-05 Primary Delivery Systems, Inc. Vertical ratchet dispenser device with anti-oozing pull-back mechanism
RU2031664C1 (ru) 1993-10-14 1995-03-27 Товари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Мединфодент"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ий шприц
RU2083232C1 (ru) * 1993-12-28 1997-07-10 Товари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фирма "Сенига" Медицинский шприц
RU2060736C1 (ru) * 1994-12-09 1996-05-27 Научно-учеб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ТОО "Мединфодент"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ий шприц
US6096002A (en) * 1998-11-18 2000-08-01 Bioject, Inc. NGAS powered self-resetting needle-less hypodermic jet injection apparatus and method
SE9901736D0 (sv) * 1999-05-12 1999-05-12 Pharmacia & Upjohn Ab Injectino device and method for ITS operation
US6260737B1 (en) * 1999-12-29 2001-07-17 Tah Industries, Inc. Manual viscous liquid dispensing device
AU2002345785B2 (en) * 2001-07-16 2007-11-15 Eli Lilly And Company Medication dispensing apparatus configured for rotate to prime and pull/push to inject functionality
US20030186190A1 (en) * 2002-03-26 2003-10-02 Saumil Lokhandwala Dispenser for dental filling material
FR2837735B1 (fr) * 2002-04-02 2004-07-23 Prodonta Porte-outil pour outil deformable en flexion
RU2234882C1 (ru) * 2003-01-30 2004-08-27 Рисованная Ольга Николаевна Инъектор
FR2857654B1 (fr) * 2003-07-16 2007-04-27 Prodonta Dispositif d'ejection d'un produit liquide ou pateux
DE10343329A1 (de) * 2003-09-11 2005-04-07 Ing. Erich Pfeiffer Gmbh Dosiervorrichtung mit einem ein- oder mehrteiligen Dosiergehäuse
ATE418394T1 (de) * 2004-02-27 2009-01-15 3M Espe Ag Dosier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807123B1 (pt) 2018-12-11
CA2679152C (fr) 2016-05-17
CN101626795B (zh) 2013-11-13
EP2129418B1 (fr) 2016-04-13
JP2014064926A (ja) 2014-04-17
PT2129418T (pt) 2016-07-14
RU2475278C2 (ru) 2013-02-20
US20100105003A1 (en) 2010-04-29
HUE030284T2 (en) 2017-05-29
FR2913341B1 (fr) 2009-11-20
CU23969B1 (es) 2013-12-27
DK2129418T3 (en) 2016-08-01
CA2679152A1 (fr) 2008-09-12
IL200762A (en) 2014-09-30
RU2009137021A (ru) 2011-04-20
BRPI0807123A2 (pt) 2014-04-08
KR20090119773A (ko) 2009-11-19
PL2129418T3 (pl) 2016-11-30
MX2009009411A (es) 2009-12-04
CN101626795A (zh) 2010-01-13
CU20090153A7 (es) 2012-06-21
JP5815639B2 (ja) 2015-11-17
WO2008107813A1 (fr) 2008-09-12
TN2009000364A1 (fr) 2010-12-31
AU2008222407A1 (en) 2008-09-12
UA97137C2 (ru) 2012-01-10
GEP20125615B (en) 2012-08-27
US8851336B2 (en) 2014-10-07
JP2010520003A (ja) 2010-06-10
BRPI0807123B8 (pt) 2021-06-22
IL200762A0 (en) 2010-05-17
ES2581740T3 (es) 2016-09-07
FR2913341A1 (fr) 2008-09-12
EP2129418A1 (fr) 2009-12-09
ZA200905823B (en) 2010-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8460B1 (ko) 액체 또는 반죽 제품을 배출시키기 위한 일회용 장치
US9308057B2 (en) Ejection device for ejecting small doses
JP5562938B2 (ja) 使い捨ての放出装置を製造する方法
AU2015355135B2 (en) Automatic medication injection device with audible indication of injecting progress
KR102423716B1 (ko) 트랙 색인된 주사기
JP4638428B2 (ja) 液状またはペースト状の物質を駆出する装置
EP0594357A1 (en) End of dose indicator
KR200435652Y1 (ko) 의료용 주사기 세트, 의료용 주사기 및 착탈식 주사바늘 고정장치
KR20160107191A (ko) 주사 기구
EP3848073A1 (en) Dispensing device with drive mechanism having converging ramps
JP2012515029A (ja) 射出デバイス
CN105764551B (zh) 用于医疗注射装置的壳体
US20030186190A1 (en) Dispenser for dental filling material
KR20230098171A (ko) 유체의 특히 유리체내 투여를 위한 투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