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8171A - 유체의 특히 유리체내 투여를 위한 투여 장치 - Google Patents

유체의 특히 유리체내 투여를 위한 투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8171A
KR20230098171A KR1020237013997A KR20237013997A KR20230098171A KR 20230098171 A KR20230098171 A KR 20230098171A KR 1020237013997 A KR1020237013997 A KR 1020237013997A KR 20237013997 A KR20237013997 A KR 20237013997A KR 20230098171 A KR20230098171 A KR 202300981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unit
primer
dosing
actuating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3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악셀 로쓰
올리버 데이빗 포그
폴 그램 헤이톤
앤드류 거이 라밧-로체코우스트
알람 조우닷 쿼탄
슈테펜 슈이
와트슨 벤자민 해리 컬리스
Original Assignee
베링거 인겔하임 인터내셔날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링거 인겔하임 인터내셔날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베링거 인겔하임 인터내셔날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30098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81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08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08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 A61F9/0017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implantable in, or in contact with, the eye, e.g. ocular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5/2033Spring-loaded one-shot injectors with or without automatic needle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46Priming, e.g. purging, reducing backlash or clear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66Means improving security or handling thereof
    • A61M5/31571Means preventing accident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76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 A61M5/31578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based on axial translation, i.e. components directly operatively associated and axially moved with plunger rod
    • A61M5/31581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based on axial translation, i.e. components directly operatively associated and axially moved with plunger rod performed by rotationally moving or pivoting actuator operated by user, e.g. an injection lever or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5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re-use, or for indicating if defective, used, tampered with or unsterile
    • A61M5/5086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re-use, or for indicating if defective, used, tampered with or unsterile for indicating if defective, used, tampered with or unsteri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2005/2073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preventing premature release, e.g. by making use of a safety l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01Means for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 A61M2005/31508Means for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provided on the piston-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5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re-use, or for indicating if defective, used, tampered with or unsterile
    • A61M5/5013Means for blocking the piston or the fluid passageway to prevent illegal refilling of a syringe
    • A61M5/502Means for blocking the piston or the fluid passageway to prevent illegal refilling of a syringe for blocking the piston
    • A61M2005/5033Means for blocking the piston or the fluid passageway to prevent illegal refilling of a syringe for blocking the piston by use of an intermediate blocking member positioned between the syringe barrel and the piston rod to prevent retraction of the latter, e.g. toothed clip placed on the piston 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1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by audible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3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by visual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12Ey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유체의 유리체내 투여를 위한 투여 장치가 제안되며, 상기 투여 장치의 제1 작동부는 리드스크류에 의해 스토퍼에 작용하는 메인 유닛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회전 가능하고, 구동 스프링은 투여 장치의 제1 작동부를 작동시킴으로써 부분적으로 해제 가능하고 그리고 투여 장치의 제2 작동부를 작동시킴으로써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제 가능하며, 상기 작동 장치의 차단 요소는 메인 유닛의 투여 위치 및 최종 위치 모두에서 메인 유닛을 축방향으로 차단하고, 및/또는 투여 장치의 인디케이터 부는 상기 메인 유닛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회전 가능하다.

Description

유체의 특히 유리체내 투여를 위한 투여 장치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안과용, 특히 유리체내(intravitreal), 청구항 1 또는 2의 전제부에 따른 유체의 투여를 위한 투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환자, 즉 인간 또는 동물에게 유체, 특히 약물을 약학적으로 투여/전달하기 위한 투여/전달 장치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투여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약물을 인간 또는 동물의 눈, 특히 눈의 유리체(vitreous), 전방 및/또는 후방에 (직접) 전달, 특히 주사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히 안과용, 특히 유리체내, 유체, 특히 약물의 주사를 위한 투여/전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투여 장치는 유체, 특히 약물을 인체 또는 동물 신체의 다른 부분으로 투여/주사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WO 2014/005728 A1은 안과용 주사에 적합한 작은 용적의 주사기에 관한 것으로, 주사기는 약물로 미리 채워져 있고 본체, 스토퍼 및 플런저를 포함한다. 플런저는 플런저가 스토퍼를 출구 쪽으로 강제하여 주사기 내에 수용된 유체를 전달하기 위해 스토퍼와 접촉하도록 배열된 플런저 접촉면을 포함한다.
US 2006/0069350 A1은 주사기 및 주사기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을 갖는 의료용 주사기 인젝터 펜(syringe injector pen)에 관한 것이다. 펜은 구동 기구와 구동 기구를 해제하고 장치를 작동시켜 주사기로부터 사용자에게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작동부재를 포함한다.
US 2010/0231102 A1은 주사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주사 조립체를 포함하는 유리체내 주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사 조립체는 주사기를 환자의 눈에 자동으로 전달한 다음 주사기에 수용된 유체를 눈에 분배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친화적이고 및/또는 쉽고, 직관적이고/사용하기에 안전하고 및/또는 오적용, 오용, 오염, 부정확 및/또는 부정확한 투여 및/또는 기포의 전달/투여의 위험성을 최소화하거나 또는 적어도 감소시키는, 개선된 - 특히 전적으로 기계적인 - 투여/전달 장치를 제공하고, 및/또는 투여 장치의 제조 공정 또는 그 제조 공정의 요구사항 및/또는 복잡성을 최소화하거나 적어도 감소시키는 것이다.
위의 목적은 청구항 1 또는 2에 따른 투여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유리한 추가 개선 사항은 하위 청구항의 대상이다.
본 발명에 따른 투여/전달 장치(이하 투여 장치라고 함)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유체 및/또는 유체, 특히 약물을 담는 원통형 컨테이너를 (고정)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투여 장치는 컨테이너 및/또는 컨테이너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열된 플런저/피스톤/스토퍼를 포함하여, 특히 플런저/피스톤/스토퍼(이하 스토퍼라고 함)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컨테이너의 출구를 향하여 컨테이너에 수용된 유체가 분배된다.
또한, 투여 장치는 랙/섀시(이하 랙이라고 함)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컨테이너는 랙에 의해 특히 움직이지 않게 유지되거나 및/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랙 내에 배열될 수 있다.
투여 장치는 투여 장치를 작동시키고 및/또는 컨테이너 내에서 스토퍼를 이동시키기 위한, 특히 유체를 투여하기 전에 및/또는 유체를 컨테이너 밖으로 분배하기 전에 소위 투여 장치를 프라이밍하기 위한 작동 기구를 포함하고,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설명할 것이다.
투여 장치, 특히 그 작동 기구는 스토퍼에 대해 특히 직접적으로 및/또는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메인 유닛, 바람직하게는 미리 로딩된/압축된 구동 스프링, 특히 직접적으로 및/또는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메인 유닛, 제1 작동부 및 제2 작동부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1 작동부 및 제2 작동부는 랙에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고 및/또는 메인 유닛은 특히 랙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및/또는 랙 내에 배열되고 및/또는 여기서 메인 유닛은 특히 투여 장치를 프라이밍하고, 및/또는 컨테이너 밖으로 유체를 분배하기 위해 제1 작동부 및/또는 제2 작동부를 작동시킴으로써 랙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투여 장치의 작동 기구는 바람직하게는 프라이밍 동안, 투여 전에 및/또는 제1 작동부를 작동시킴으로써 초기/비작동 위치로부터 투여/사용 준비/프라이밍 위치로 및/또는 프라이밍 후, (후속) 투여 동안 및/또는 구동 스프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제하고, 및/또는 제2 작동부를 작동시킴으로써 투여/사용 준비/프라이밍 위치로부터 최종/작동/사용 종료 위치로 메인 유닛, 스토퍼 및/또는 구동 스프링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투여 장치, 특히 작동 기구는 리드스크류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1 작동부 및 메인 유닛은 서로 (직접) 이동 가능하게 상호작용하고 및/또는 리드스크류에 의해 서로 (직접)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및/또는 제1 작동부는 특히 랙 및/또는 컨테이너에 대해 메인 유닛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특히 랙 및/또는 컨테이너에 대해 (수동으로) 회전 가능하여, 바람직하게는 제1 작동부의 회전이 메인 유닛 및/또는 (압축된) 구동 스프링을 축방향으로, 스토퍼를 향하여 및/또는 초기/비작동 위치로부터 투여/사용 준비/ 프라이밍 위치로 이동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제1 작동부는 메인 유닛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는, 특히 회전될 수 있는 투여 장치의 축방향 단부 및/또는 (회전가능한) 캡을 형성한다.
제1 작동부를 작동, 특히 회전시킴으로써 및 이에 따라 메인 유닛, 스토퍼 및/또는 구동 스프링을 이동시킴으로써, -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동으로 - 투여 장치를 프라이밍하고, 및/또는 컨테이너 내에 및/또는 이에 부착된 바늘에 포함된 가스/공기를 밀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투여 장치의 쉽고 직관적이며 사용자 친화적인 프라이밍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용어 "프라임"/"프라이밍"은 바람직하게는 투여 장치, 특히 그 컨테이너에 수용된 유체의 투여 전에 (즉시) 투여 장치의 (필요한) 준비를 지칭한다.
바람직하게는, 프라이밍 동안에, 메인 유닛은 메인 유닛, 특히 그 플런저/연결 로드가 스토퍼에 접하도록 및/또는 접할 때까지 (축방향으로) 이동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프라이밍 동안에, 메인 유닛은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메인 유닛, 특히 그 플런저/연결 로드가 스토퍼를 - 특히 출구를 향해 - 이동/밀거나 및/또는 (소형) 유체의 일부가 분배되고 및/또는 공기, 즉 유체, 컨테이너 및/또는 이에 부착된 바늘에 포함된 기포가 제거, 특히 밀려 나온다.
투여 장치는 프라이밍 동안 수직으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컨테이너의 출구 및/또는 이에 부착된 바늘이 위쪽을 향하도록 및/또는 공기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컨테이너 밖으로 밀려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프라이밍 후 컨테이너에 포함된 용적은 환자/사용자에게 투여될 원하는/미리 정의된 용량에 해당한다.
전형적으로, (사전 충전된) 컨테이너에 수용된 유체의 용적은 투여될 투여량의 용적을 초과하여 유체, 컨테이너 및/또는 이에 부착된 바늘에 수용된 공기가 프라이밍 없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프라이밍에 의해 투여할 용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투여 장치의 프라이밍은 컨테이너가 실제로 유체로 채워져 있고 및/또는 유체의 일부가 분배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특히, 작동 기구, 가장 바람직하게는 제1 작동부는 컨테이너가 비어 있거나 및/또는 이동 및/또는 스토퍼에 작용하지 않고 작동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프라임(prime)"/"프라이밍(priming)"은 특히 유체를 투여하기 전에 및/또는 제1 작동부를 작동시킴으로써 특히 메인 유닛, 스토퍼 및/또는 구동 스프링이 초기/비작동 위치에서 정의된 위치(이후 이를 투여/사용 준비/프라이밍 위치라고 한다)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유체 투여 및/또는 제2 작동부를 작동시키기 전에 수행되는 모든 동작은 프라이밍 및/또는 프라이밍 공정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프라이밍은 바람직하게는 제1 작동부를 (완전히) 작동, 특히 회전시킴으로써 단독으로 수행/완료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투여하다"/"투여"라는 용어는 바람직하게는 투여 장치, 바람직하게는 그 컨테이너, 가장 바람직하게는 부착된 주사 바늘을 통해 유체의 (실제) 전달/분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투여 장치는 유체, 특히 약물을 환자의 신체, 예컨대 주사 바늘을 사용함으로써, 및/또는 유체를 환자의 눈, 특히 유리체에 직접 주사함으로써 직접 투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용어 "투여하다"/"투여"는 또한 환자가 없는 상태에서 유체를 전달/분배하는 것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투여하다"/"투여"는 특히 프라이밍 후 및/또는 제1 작동부를 (완전히) 작동시킨 후, 메인 유닛 및/또는 스토퍼가 투여/사용 준비/프라이밍 위치로부터 최종/작동/사용 종료 위치로의 이동을 의미하고 및/또는 포함한다.
초기/비작동 위치(이하 초기 위치라고 함)는 바람직하게는 투여 장치 및/또는 프라이밍 전에 및/또는 제1 작동부를 작동시키고 및/또는 투여 장치의 초기 상태에서 전에 투여 장치의 랙 및/또는 컨테이너에 대한 메인 유닛, 스토퍼 및/또는 구동 스프링의 (축방향) 위치이다.
투여 장치의 초기 상태에서 및/또는 메인 유닛, 스토퍼 및/또는 구동 스프링이 초기 위치에 있을 때, 제1 작동부 및 제2 작동부가 작동되지 않고 및/또는 구동 스프링이 (가장) 인장된다.
바람직하게는, 투여 장치의 초기 상태에서 및/또는 메인 유닛, 스토퍼 및/또는 구동 스프링이 초기 위치에 있을 때 제2 작동부를 (직접) 작동하고 및/또는 유체를 (직접) 투여할 수 없다.
메인 유닛, 스토퍼 및/또는 구동 스프링은 특히 제1 작동부를 작동시킴으로써 초기 위치 밖으로 및/또는 초기 위치로부터 투여/사용 준비/프라이밍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투여/사용 준비/프라이밍 위치(이하 투여 위치라고 함)는 바람직하게는 (즉시) 프라이밍 후 및/또는 (즉시) 제1 작동부를 (완전히) 작동시킨 후, 특히 회전한 후 및/또는 (즉시) 투여가 수행되기 전 및/또는 투여 장치의 투여/사용 준비/프라이밍 상태(이하 투여 상태로 언급됨)에서 랙 및/또는 컨테이너에 대한 메인 유닛, 스토퍼 및/또는 구동 스프링의 (축방향) 위치이다.
투여 장치의 투여 상태에서 및/또는 메인 유닛, 스토퍼 및/또는 구동 스프링이 투여 위치에 있을 때, 제1 작동부는 (완전히) 작동되고 제2 작동부는 (아직) 작동하지 않는다.
투여 상태/위치에서, 메인 유닛, 스토퍼 및/또는 구동 스프링은 초기 상태/위치와 비교하여 투여 장치, 특히 컨테이너의 출구에 더 가깝게 및/또는 제1 작동부로부터 더 멀리 배열된다. 특히, 메인 유닛 및/또는 스토퍼는 초기 상태/위치에 비교하여 투여 상태/위치에서 컨테이너 내로 더 삽입된다.
투여 장치의 투여 상태에서 및/또는 메인 유닛, 스토퍼 및/또는 구동 스프링이 투여 위치에 있을 때, 메인 유닛, 특히 그 플런저/연결 로드는 스토퍼에 맞닿고 및/또는 또는 투여 장치가 즉시 사용 가능하고, 제2 작동부가 (직접) 작동될 수 있고 및/또는 유체가 제2 작동부를 작동시키는 것과 별개로 추가 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투여 상태/위치에서 제1 작동부의 작동을 (다시) 작동 및/또는 반전시키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최종/작동/사용 종료 위치(이하 최종 위치라고 함)는 바람직하게는 (즉시) 투여 및/또는 제2 작동부를 (완전히) 작동시킨 후 및/또는 투여 장치의 최종/작동/사용 종료 상태(이하 최종 상태라고 함)에서 랙 및/또는 컨테이너에 대한 메인 유닛 및/또는 스토퍼의 (축방향) 위치이다.
투여 장치의 최종 상태에서 및/또는 메인 유닛 및/또는 스토퍼가 최종 위치에 있을 때, 투여가 수행되고, 제2 작동부가 (완전히) 작동되고 및/또는 구동 스프링/그 스프링력/에너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제/팽창된다.
최종 상태/위치에서, 메인 유닛 및/또는 스토퍼는 초기 및/또는 투여 상태/위치에 비교하여 투여 장치의 출구에 더 가깝게 및/또는 제1 작동부로부터 더 멀리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메인 유닛 및/또는 스토퍼는 초기 및/또는 투여 상태/위치에 비교하여 최종 상태/위치에서 컨테이너 내로 더 삽입된다.
특히, 구동 스프링은 투여 및/또는 초기 상태/위치에서보다 최종 상태/위치에서 덜 인장된다.
그러나 용량 정확도를 위해 구동 스프링이 최종 상태/위치에서 아직 인장되는 것, 특히 압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최종 상태 및/또는 최종 위치에 도달한 후에는 더 이상 유체를 분배/투여할 수 없다.
바람직하게는 최종 상태에서 및/또는 최종 위치에 도달한 후에 제2 작동부의 작동을 (다시) 작동 및/또는 반전시키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작동부는 바람직하게는 랙 및/또는 컨테이너에 대해, 가장 바람직하게는 및/또는 적어도 본질적으로 투여 장치의 주축에 대해 및/또는 주사 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수직으로 제1 작동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수동으로) 작동된다.
제2 작동부는 바람직하게는 랙 및/또는 컨테이너에 대해, 가장 바람직하게는 및/또는 적어도 본질적으로 투여 장치의 주축에 대해 및/또는 주사 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수직으로 제2 작동부를 (수동으로) 누름으로써 작동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분사측에서 제1 작동부 및/또는 제2 작동부의 작동의 가능한 영향이 최소화되거나 적어도 감소된다.
또한 독립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작동 기구의 구동 스프링/그 스프링력/에너지는 특히, 프라이밍의 종료시 및/또는 프라이밍 동안에 및/또는 투여 전에 제1 작동부를 작동, 특히 회전함으로써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제/팽창되고 그리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추가로) 제2 작동부를 작동시킴으로써, 특히 누름으로써 및/또는 프라이밍 후 및/또는 투여 동안 해제가능/팽창가능하다.
다시 말해서, 제1 작동부는 제1 단계에서 구동 스프링/그 스프링력/에너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제, 특히 팽창하도록 구성되고 제2 작동부는 제2/후속 단계에서 구동 스프링/그 스프링력/에너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추가로) 해제, 특히 팽창시키도록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제2 작동부는 제1 작동부가 (완전히) 작동된 후에 및/또는 투여 장치의 투여 상태에서 및/또는 메인 유닛 및/또는 스토퍼의 투여 위치에서만 작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작동부는 메인 유닛, 스토퍼 및/또는 구동 스프링을 - 특히 함께 및/또는 하나의 유닛으로서 - 초기 위치로부터 해제/분리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구동 스프링/그 스프링력/에너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제/팽창되어 메인 유닛 및/또는 스토퍼의 추가/후속 이동이 구동 스프링, 특히 그 스프링력에 의해 지지 및/또는 완료되고 및/또는 메인 유닛 및/또는 스토퍼는 추가/후속으로 구동 스프링, 특히 그 스프링력에 의해 해제 위치에서 투여 위치로 - 특히 자동으로 및/또는 단독으로 - 이동된다.
다시 말해서, 메인 유닛, 스토퍼 및/또는 구동 스프링은 제1 작동부를 작동, 특히 회전시킴으로써 먼저 제1 단계에서 및/또는 초기 위치에서 해제/분리 위치로 수동 및/또는 (단독으로) 이동되고 그 다음 제2 단계에서 이동하고 및/또는 구동 스프링을 부분적으로 해제함으로써, 즉 구동 스프링의 스프링력/에너지에 의해 해제/분리 위치에서 투여 위치로 자동 및/또는 - 특히 단독으로 - 이동된다.
특히, 프라이밍 및/또는 프라이밍 공정의 종료는 구동 스프링, 즉 스프링력에 의해서만 완료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제/분리 위치(이후 해제 위치라고 함)는 바람직하게는 프라이밍 동안 및/또는 초기 위치 및 투여 위치 사이에서 및/또는 (즉시) 투여 위치, 투여 상태에 도달하기 전 및/또는 프라이밍 완료 전에 랙 및/또는 컨테이너에 대한 메인 유닛, 스토퍼 및/또는 구동 스프링의 (축방향) 위치이다.
해제 위치에서 및/또는 프라이밍 동안 및/또는 (즉시) 투여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구동 스프링/그 스프링력/에너지는 (자동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제/팽창되어, 특히 투여 위치를 향한 메인 유닛 및/또는 스토퍼의 후속 이동이 및/또는 초기 상태에서 투여 상태로의 투여 장치의 전이가 완료되고 및/또는 구동 스프링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프라이밍 동안 및/또는 초기 위치로부터 투여 위치로의 메인 유닛 및/또는 스토퍼의 프라이밍 및/또는 이동은 반수동/반자동 방식 및/또는 양자 모두 수동으로, 즉 제1 작동부를 작동, 특히 회전함으로써 및 자동으로, 즉 구동 스프링/그 스프링력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팽창/해제함으로써 으로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구동 스프링/그 스프링력/에너지는 투여 상태에서 및/또는 메인 유닛, 스토퍼 및/또는 구동 스프링이 초기 상태에 비교하여 투여 위치에 있을 때 및/또는 메인 유닛, 스토퍼 및/또는 구동 스프링이 초기 위치에 있을 때 적어도 부분적으로 팽창/해제 및/또는 덜 인장된다.
반수동/반자동 프라이밍의 이점은 완전 자동 프라이밍에 비교하여 투여 장치의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고 프라이밍 공정을 더 잘 제어할 수 있다는 것이다.
구동 스프링, 특히 그 스프링력은 투여 장치의 초기 상태에서 투여 상태로의 전이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프라이밍 동안 구동 스프링/그 스프링력/에너지의 해제/팽창은 프라이밍 공정의 수동 부분이 올바르게 완료되었음을 사용자/의사에게 명확하게 나타낸다.
또한 중요한 구성요소, 즉 투여 중에 서로 기계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구성요소들은 구동 스프링에 의해 프라이밍 중에 이미 일정 위치로 이동/밀어져서 구동 스프링/스프링력/에너지의 팽창/해제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이 처음으로 (덜 중요한) 프라이밍 동안과 (더 중요한) 유체를 투여하기 전에 발생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부정확하거나 부정확한 투여량의 위험과 투여 중 치수 공차의 영향이 줄어든다.
또한 독립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제1 작동부는 특히 메인 유닛, 스토퍼 및/또는 구동 스프링을 특히 함께 및/또는 하나의 유닛으로 - 초기 위치에서 해제 위치로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작동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 작동 기구는 메인 유닛 및/또는 구동 스프링이 초기 위치에서 해제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구동 스프링/그 스프링력/에너지의 팽창/해제를 방지하도록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투여 위치가 자동으로 도달되도록 및/또는 구동 스프링에 의해서만, 즉 스프링력에 의해, 및/또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작동부를 추가로 작동시키지 않고, 특히 해제 위치에서 및/또는 해제 위치에 도달할 때 구동 스프링/그 스프링력/에너지를 자동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팽창/해제하도록 구성된 고정 요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대응하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작동부는 고정 요소를 포함하거나 형성하고, 여기서 고정 요소는 특히 메인 유닛, 특히 그 단부와 맞물리는 암나사로서 구현되고 및/또는 고정 요소는 제1 작동부를 작동, 특히 회전시킴으로써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독립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제2 작동부는 구동 스프링/그 스프링력/에너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더) 팽창/해제하기 위해 및/또는 메인 유닛 및/또는 스토퍼를 투여 위치로부터 최종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작동, 특히 눌려질 수 있고, 작동 기구, 특히 제2 작동부는 메인 유닛을, 특히 투여 위치에서 즉 제2 작동부를 작동시키기 전 및 최종 위치에서, 즉 제2 작동부를 작동시킨 후에 메인 유닛의 축방향 이동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차단 요소/부분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차단 요소/부분은 프라이밍 종료 시 및 추가로 투여 종료 시 메인 유닛 및/또는 스토퍼의 축방향 이동을 정지시킨다.
차단 요소/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제1 작동부에 의해 구동 스프링/그 스프링력/에너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팽창/해제한 후에 및/또는 투여 장치의 투여 상태에서 투여 위치에 도달할 때 및/또는 프라이밍을 완료한 후 및/또는 제2 작동부에 의해 구동 스프링/그 스프링력/에너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팽창/해제한 후 및/또는 투여 장치의 최종 상태에서 최종 위치에 도달할 때 및/또는 투여 완료 후에 메인 유닛을 (오직) 축방향으로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투여 장치의 초기 상태 및/또는 메인 유닛 및/또는 스토퍼의 초기 위치에서, 차단 요소/부분은 바람직하게는 메인 유닛을 축방향으로 차단/결합하지 않는다.
프라이밍 및 투여 모두의 종료를 한정하기 위해 (동일한) 차단 요소를 사용하면, 투여량 정확도가 향상되어 제조 공정의 요구사항이 최소화된다.
메인 유닛, 특히 그 플런저는 바람직하게는 제1 정지부 및 제2 정지부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제1 정지부 및 제2 정지부는 서로에 대해 축방향으로 오프셋되고 및/또는 차단 요소는 투여 위치/상태에서 및/또는 프라이밍 공정을 완료한 후에 제1 정지부와 축방향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및/또는 여기서 (동일한) 차단 요소는 최종 위치/상태에서 및/또는 투여를 완료한 후에 제2 정지부와 축방향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또한 독립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투여 장치는 투여 장치의 상태 및/또는 랙 및/또는 컨테이너에 대한 스토퍼 및/또는 메인 유닛의 (축방향) 위치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 부(indicator part)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인디케이터 부는 바람직하게는 프라이밍 및/또는 투여 위치에 도달한 후에만 및/또는 오직 투여 위치에서 최종 위치로의 메인 유닛의 이동 중에만 메인 유닛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회전 가능, 특히 회전 가능하게 (직접) 구동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투약 장치의 상태 및/또는 메인 유닛 및/또는 스토퍼의 축방향 위치에 대한 쉽고 신뢰할 수 있는(시각적) 표시가 제공되어, 가능한 상태의 오해로 인한 투약 장치의 오용 위험을 방지한다.
인디케이터 부는 바람직하게는 중공 실린더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랙 내에 회전가능하게 배열되는 슬리브로서 구현된다.
바람직하게는, 메인 유닛은 인디케이터 부를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및/또는 인디케이터 부는 메인 유닛, 특히 그 중간부를 (방사상으로) 둘러싼다/감싼다.
인디케이터 부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메인 유닛, 컨테이너, 스토퍼 및/또는 랙에 대한 회전 위치를 통해 메인 유닛 및/또는 스토퍼의 초기 위치, 해제 위치, 투여 위치 및/또는 최종 위치 및/또는 투여 장치의 초기 상태, 투여 상태 및/또는 최종 상태를 나타내도록 구성된다.
인디케이터 부를 회전시키기 위해, 메인 유닛, 특히 그 중간부는 바람직하게는 방사상으로 배향된 핀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돌출부/핀은 나선형 또는 경사 슬롯 및/또는 인디케이터 부의 표면 내로 돌출 및/또는 맞물려서, 특히 메인 유닛의 축방향 이동이 인디케이터 부를 회전시키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메인 유닛과 인디케이터 부를 기계적으로 쉽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유닛의 돌출부/핀 및/또는 표시 수단은 투여 장치의 외부에서 볼 수 있어, 가장 바람직하게는 추가로 인디케이터 부에 대한 투여 장치의 상태 및/또는 메인 유닛 및/또는 스토퍼의 축방향 위치, 특히 초기 위치, 해제 위치, 투여 위치 및/또는 최종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돌출부/핀 및/또는 표시 수단은 프라이밍 동안 투여 장치의 상태 및/또는 메인 유닛 및/또는 스토퍼의 축방향 위치를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인디케이터 부는 투여 동안 투여 장치의 상태 및/또는 메인 유닛 및/또는 스토퍼의 축방향 위치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성이 개선되고 및/또는 투여 장치의 상태에 대한 가능한 오해로 인한 오용 위험성이 감소된다.
추가로, 인디케이터 부는 투여 장치에 대한 가시성을 제한하고 적어도 프라이밍 동안 사용자/의사의 주의를 인디케이터 부 및/또는 핀에 집중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추가 양태는 다음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투여 장치를 작동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 (수동으로) 제 1 작동부를 회전시켜, 랙 및/또는 컨테이너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함께 및/또는 하나의 유닛으로서 특히 작동 기구의 리드스크류에 의해 메인 유닛, 스토퍼 및/또는 구동 스프링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및/또는
· (수동으로) 제1 작동부를 작동, 특히 회전시키고 그에 의해, 특히 메인 유닛의 해제 위치에서 및/또는 해제 위치에 도달할 때 구동 스프링/그 스프링력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팽창/해제함으로써 및 이어서 (수동으로) 제2 작동부를 작동, 특히 누르고 그에 의해, 특히 메인 유닛의 투여 위치에서 구동 스프링/그 스프링력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추가로) 팽창/해제하고, 및/또는
· (수동으로) 제1 작동부를 작동, 특히 회전시키고, 그에 의해 메인 유닛, 스토퍼 및/또는 구동 스프링을 - 특히 함께 및/또는 하나의 유닛으로 - 초기 위치에서 구동 스프링/그 스프링력/에너지가 특히 부분적으로 자동으로 팽창/해제되는 해제 위치로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및/또는
· (수동으로) 제2 작동부를 작동, 특히 누르고, 그에 의해서 메인 유닛 및/또는 스토퍼를 투여 위치에서 최종 위치로 이동, 특히 밀어내는 구동 스프링/그 스프링력/에너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팽창/해제하고, 메인 유닛은 투여 위치 및/또는 제2 작동부를 작동하기 전에 및/또는 최종 위치에서 및/또는 제2 작동부를 작동시킨 후 모두에 작동 기구의 차단 요소에 의해 축방향으로 차단되고, 및/또는
· 메인 유닛, 특히 그 핀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투여 장치의 인디케이터 부를 회전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대응하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양태 및 특징과 특허청구범위 및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본 발명의 양태 및 특징은 원칙적으로 서로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지만, 또한 임의의 조합 또는 순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양태, 이점, 특징 및 특성은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청구범위 및 하기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제안된 투여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케이싱이 없고 투명한 제1 작동부가 있는 투여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투여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3과 비교하여 주축을 중심으로 90° 회전된 투여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5는 초기 위치/상태에서 투여 장치의 개략적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와 비교하여 주축을 중심으로 90° 회전된 초기 위치/상태의 투여 장치의 개략적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7은 해제 위치에 있는 투여 장치의 개략적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과 비교하여 그 주축을 중심으로 90° 회전된 해제 위치에 있는 투여 장치의 개략적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9는 투여 위치/상태에 있는 투여 장치의 개략적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와 비교하여 그 주축을 중심으로 90° 회전된, 투여 위치/상태에서 투여 장치의 개략적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11은 최종 위치/상태에서 투여 장치의 개략적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과 비교하여 주축을 중심으로 90° 회전된 최종 위치/상태의 투여 장치의 개략적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13은 초기 상태/위치에 있는 투여 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4는 투여 상태/위치에 있는 투여 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5는 최종 상태/위치에 있는 투여 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품 및 구성요소에 대해 동일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어, 이러한 특성, 특징 및 이점이 반복적으로 설명되지 않더라도 대응하거나 유사한 특성, 특징 및 이점이 발생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제안된 투여 장치(100)의 구성 및 구성요소/부품에 대해 설명한다. 구성요소/부품의 상호작용 및 투여 장치(100)의 동작은 도 5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고, 여기에서 - 단순함을 위해 - 관련된 특징/구성요소/부품이 예시되었지만 일부 참조 부호가 생략되었다.
도 1은 투여 장치(100)의 초기 상태에서 제안된 투여 장치(10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응하며, 투여 장치(100)의 일부 구성요소는 투여 장치(100)의 내부 구성요소를 도시하기 위해 마스킹되고 투명한 방식으로 도시된다. 도 3 및 도 4는 상이한 관점에서 본 투여 장치(100)의 분해도이다.
투여 장치(100)는 다부품 구조이고 및/또는 다부품/구성요소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투여 장치(100)의 일부 또는 전체 부분이 스냅/클립-온 연결에 의해 및/또는 나사없는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다.
"스냅", "클립" 및/또는 "스냅/클립-온 연결(snap/clip-on connection)"이라는 용어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개의 부품/구성요소가 강제 끼워맞춤 및/또는 형태 끼워맞춤 방식 - 조립/연결할 부품/구성요소의 탄성/유연성을 사용하고, 및/또는 못, 나사, 볼트 등과 같은 (추가) 고정 요소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서로 조립/연결되는 조립/연결 방법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및 도 4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투여 장치(100)는 바람직하게는 컨테이너(10), 랙(20), 케이싱(30), 인디케이터 부(40) 및 메인 유닛(50), 바람직하게는 압축/예비된 구동 스프링(60), 제1 작동부(70), 제2 작동부(80) 및/또는 선택적 프라이머(90)를 갖는 작동 기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투여 장치(100)의 일부 또는 전체 부품/구성요소, 특히 컨테이너(10), 랙(20), 케이싱(30), 인디케이터 부(40) 및 작동 기구, 메인 유닛(50), 제1 작동부(70), 제2 작동부(80) 및/또는 선택적 프라이머(90)는 플라스틱, 특히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및/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만들어지며, 특히 사출 성형된다.
투여 장치(100)는 바람직하게는 세장형 및/또는 로드/펜 형상이다. 특히, 투여 장치(100)는 핸드헬드 장치로서 구현되고 및/또는 인체공학적으로 사용자/의사의 손에 꼭 맞는 방식으로 성형된다.
투여 장치(100), 특히 컨테이너(10), 케이싱(30), 인디케이터 부(40), 구동 스프링(60) 및/또는 제1 작동부(70)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본질적으로 원통형이고 및/또는 회전 대칭이다.
바람직하게는, 투여 장치(100), 특히 컨테이너(10)는 주축(A)을 포함/정의하며, 특히 주축(A)은 투여 장치(100), 특히 컨테이너(10)의 중심, 길이방향, 대칭 및/또는 회전축이고, 및/또는 여기서 주축(A)은 투여 장치(100), 특히 컨테이너(10), 랙(20), 케이싱(30), 인디케이터 부(40), 메인 유닛(50), 구동 스프링(60), 제1 작동부(70) 및/또는 투여 장치(100)에 부착된 바늘(19)(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중심으로 이어진다.
이하에서, 공간적 배향 및/또는 배열, 특히 "방사상" 또는 "방사상으로" 및/또는 "축방향" 또는 "축방향으로"라는 용어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투여 장치(100), 특히 컨테이너(10)의 주축(A)을 지칭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작동부(70)는 (제1) 축방향 단부 및/또는 후방 단부를 형성하고, 및/또는 컨테이너(10), 특히 그 팁/출구는 투여 장치(100)의 (제2) 축방향 단부 및/또는 전방 단부를 형성한다.
투여 장치(100)의 정상적인 사용 위치에서, 컨테이너(10)는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사로부터 멀리 및/또는 환자를 향하고 제1 작동부(80)는 사용자/의사를 향하여 및/또는 환자로부터 멀리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싱(30)은 적어도 본질적으로 원통형이고 및/또는 특히 주축(A)을 따라 변하는 내경 및/또는 외경을 갖는 중공 실린더의 형상을 갖는다.
케이싱(30)은 바람직하게는 투여 장치(100)의 일부 또는 전부 부분/구성요소를 방사상/측방향 및/또는 외부로 감싸고/덮는다.
케이싱(30)은 적어도 컨테이너(10), 랙(20), 인디케이터부(40), 메인 유닛(50), 구동 스프링(60), 제1 작동부(70), 제2 작동부(80) 및/또는 프라이머(9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방사상/측방향 및/또는 외부로 감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싱(30)은 컨테이너(10), 제1 작동부(70) 및/또는 제2 작동부(80)를 방사상/측방향으로 부분적으로 감싸고 있는 반면, 케이싱(30)은 랙(20), 인디케이터부(40), 메인 유닛(50), 구동 스프링(60) 및/또는 프라이머(90)를 방사상/측방향 및/또는 외부로 완전히 감싸고/덮고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제1 작동부(70) 및/또는 컨테이너(10)는 케이싱(30) 밖으로 축방향으로 돌출하고, 및/또는 제2 작동부(80)는 케이싱(30) 밖으로 방사상으로 돌출한다.
케이싱(30)은 바람직하게는 다부품 구성이다. 특히, 케이싱(30)은 제1 케이싱부(31)와 제2 케이싱부(32)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제1 케이싱부(31)와 제2 케이싱부(32)는 각각 반쪽 쉘로 구현되고 및/또는 제1 케이싱부(31)와 제2 케이싱부(32)는 스냅/클립-온 연결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케이싱(30)은 바람직하게는 축방향으로 개방된다. 특히, 케이싱(30)은 제1 축방향 개구(33) 및 제2 축방향 개구(34)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여기서 제1 작동부(70)는 제1 축방향 개구(33) 밖으로 돌출하고, 및/또는 컨테이너(10)는 제2 축방향 개구(34) 밖으로 돌출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축방향 개구(33)는 제2 축방향 개구(34)보다 크다.
또한, 케이싱(30), 특히 제2 케이싱부(32)는 바람직하게는 방사상 개구(35) 및/또는 케이싱 창(36)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제2 작동부(80)는 방사상 개구(35) 밖으로 방사상으로 돌출하고, 및/또는 투여 장치(100)의 내부, 특히 인디케이터 부(40)는 케이싱 창(36)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볼 수 있다.
도입부에서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투여 장치(100)는 유체(11), 특히 약물을 환자, 즉 인간 또는 동물에게 투여/분배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컨테이너(10)는 유체(11)로 미리 채워져 있고 및/또는 투여 장치(100)의 초기 상태에서 이미 유체(11)를 수용하고 있다.
투여 장치(100)는 가장 바람직하게는 작동 기구에 의해 컨테이너(10) 외부, 특히 그 출구에서 환자에게 유체(11)를 투여/분배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후에 더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컨테이너(10)는 바람직하게는 일체로/한 부재로 형성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컨테이너(10)는 유리로 만들어지거나 플라스틱으로 사출 성형된다.
컨테이너(10)는 바람직하게는 세장형이고 및/또는 중공 실린더로서 구현된다.
바람직하게는, 컨테이너(10)는 주 본체(12)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여기서 주 본체(12)는 중공 실린더로 구현되고 및/또는 주 본체(12)의 내경은 주 본체(12)의 길이방향 연장에 걸쳐 일정하다.
컨테이너(10)는 바람직하게는 제1 축방향 단부(13) 및 제2 축방향 단부(14)를 포함하고, 특히 여기서 제1 축방향 단부(13)는 플랜지/칼라로 구현되고 및/또는 주 본체(12) 및/또는 제2 축방향 단부(14)의 외경에 비교하여 확대된 외경을 포함한다.
제2 축방향 단부(14)는 바람직하게는 컨테이너(10)의 팁으로서 구현되고 및/또는 컨테이너(10)의 출구를 포함하거나 형성한다.
특히, 컨테이너(10)의 제2 축방향 단부(14)는 원추형 및/또는 테이퍼형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제2 축방향 단부(14)는 주 본체(12) 및/또는 제1 축방향 단부(13)의 내경 및/또는 외경에 비교하여 더 작은 내경 및/또는 외경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컨테이너(10)의 제2 축방향 단부(14)는 바늘(19)(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지 않음)을 위한 연결부로서 구현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여 장치(100), 특히 컨테이너(10)는 투여 장치(100), 특히 컨테이너(10), 가장 바람직하게는 그 제2 축방향 단부(14)를 보호/밀봉하고, 및/또는 바늘(19)에 대한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폐쇄/로킹부(15), 특히 루어 로킹부를 선택적으로 장착한다.
바람직하게는, 바늘(19)은 로킹부(15)에 의해, 가장 바람직하게는 형태 끼워맞춤 및/또는 강제 끼워맞춤 방식으로 컨테이너(10), 특히 제2 축방향 단부(14)에 부착될 수 있다.
로킹부(15)는 바람직하게는 커넥터(16) 및/또는 캡(17)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여기서 커넥터(16) 및/또는 캡(17)은 특히 형태 끼워맞춤 및/또는 강제 끼워맞춤 방식으로 컨테이너(10)의 제2 축방향 단부(14)에 부착되고, 및/또는 캡(17)은 가장 바람직하게는 투여 장치(100)의 초기 상태에서 제2 축방향 단부(14) 및/또는 커넥터(16)를 축방향으로 덮는다.
커넥터(16)는 바람직하게는 바늘(19)을 컨테이너(10), 특히 그 제2 축방향 단부(14)에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바늘(19)을 컨테이너(10)에 연결하기 위해, 캡(17)은 컨테이너(10) 및/또는 커넥터(16)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어서, 바늘(19)은 커넥터(16)에 부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로킹부(15), 특히 커넥터(16)는 바늘(19)이 로킹부(15), 특히 커넥터(16)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암나사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바늘(19)과 로킹부(15)의 특히 견고한 연결이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구조적 해결책도 가능하다.
투여 장치(100), 특히 컨테이너(10)는 바람직하게는 스토퍼(18)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여기서 스토퍼(18)는 컨테이너(10), 특히 그 주 본체(12)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열된다.
컨테이너(10)의 주 본체(12)와 스토퍼(18)는 바람직하게는 유체(11)를 위한 챔버를 한정한다.
스토퍼(18)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재료, 특히 엘라스토머로 만들어지며, 특히 사출 성형된다.
스토퍼(18)는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이고 및/또는 컨테이너(10), 특히 주 본체(12)의 내경에 적어도 본질적으로 대응하고 및/또는 (약간) 더 큰 외경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스토퍼(18)가 컨테이너(10)의 내벽에 대해 가압한다.
바람직하게는, 스토퍼(18)는 컨테이너(10), 특히 주 본체(12)의 내벽에 밀봉식으로 접하고, 및/또는 특히 유체(11)가 스토퍼(18)와 주 본체(12)의 내벽 사이의 갭을 통해 누출 및/또는 유동할 수 없도록 적어도 하나의 (방사상) 밀봉부를 포함하거나 형성한다.
특히 작동 기구에 의해, 컨테이너(10)의 제2 축방향 단부(14)를 향해 스토퍼(18)를 이동/밀어냄으로써, 주 본체(12) 및 스토퍼(18)에 의해 한정된 챔버의 용적이 감소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컨테이너(10)에 담긴 유체(11)를 전달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투여 장치(100)는 바람직하게는 랙(20)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투여 장치(100)의 일부 또는 모든 부분/구성요소가 (직접) 장착되고 및/또는 - 특히 견고하게/고정 또는 이동 가능하게 - 랙(20)에 부착되고 및/또는 랙(20)에 의해 유지된다.
따라서, 랙(20)은 바람직하게는 투여 장치(100)의 다른 부분/구성요소, 특히 컨테이너(10), 케이싱(30), 인디케이터 부(40), 메인 유닛(50), 제1 작동부(70), 제2 작동부(80) 및/또는 프라이머(90)를 위한 지지/연결/장착/안정화 구조로서 기능한다.
바람직하게는, 컨테이너(10) 및/또는 케이싱(30)은 랙(20)에 의해 견고하게/고정적으로 유지 및/또는 부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인디케이터부(40), 메인 유닛(50), 제1 작동부(70), 제2 작동부(80) 및/또는 프라이머(90)는 추가 상세하게 후술하는 바와 같이 랙(20)에 이동 가능하게 부착 및/또는 배열된다.
랙(20)은 바람직하게는 컨테이너(10) 및/또는 제2 작동부(80)를 위한 - 바람직하게는 방사상/측방향으로 개방된 - 마운트(21) 및 - 바람직하게는 인디케이터 부(40), 메인 유닛(50), 제1 작동부(70) 및/또는 프라이머(90)를 위한 축방향으로 개방된 - 프레임(22)을 포함한다.
마운트(21) 및 프레임(22)은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재료로 제조되고 및/또는 일체형으로 형성, 특히 사출 성형된다.
랙(20), 특히 마운트(21)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컨테이너(10)가 랙(20), 특히 마운트(21) 내에서 및/또는 이들에 의해 방사상 및 축방향으로 유지되는 방식으로 컨테이너(10)를 고정 방식으로,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방식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컨테이너(10)는 바람직하게는 랙(20), 가장 바람직하게는 마운트(21)에 방사상/측방향으로 삽입, 특히 압착/클립된다.
이를 위해, 마운트(21)의 내부 형상/윤곽은 적어도 본질적으로 컨테이너(10)의 외부 형상/윤곽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운트(21)는 바람직하게는 컨테이너(10)의 제1 축방향 단부(13)를 위한 특히 슬롯형 소켓(21A) 및/또는 컨테이너(10)의 주 본체(12)를 위한 바람직하게는 반쪽 쉘형 리테이너(21B)를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컨테이너(10)의 제1 축방향 단부(13)는 소켓(21A)에 (방사상으로) 삽입되고, 특히 압착/클립되고 및/또는 주 본체(12)는 특히 컨테이너(10)가 랙(20), 특히 마운트(21)에 의해 움직이지 않게 유지되는 방식으로 리테이너(21B) 내로 (방사상으로) 삽입, 특히 압착/클립된다.
랙(20), 특히 프레임(22)은 바람직하게는 인디케이터 부(40), 메인 유닛(50), 제1 작동부(70), 제2 작동부(80) 및/또는 프라이머(90)를 (축방향으로) 수용 및/또는 (방사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특히 인디케이터 부(40) 및/또는 제2 작동부(70)는 랙(20)에 대해 회전될 수 있고 및/또는 랙(20), 특히 프레임(22)에 의해 축방향으로 유지되고 및/또는 메인 유닛(50) 및/또는 프라이머(90)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랙(20), 특히 프레임(22)에 대해 및/또는 이들 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 부(40), 메인 유닛(50), 제1 작동부(70) 및/또는 프라이머(90)는 바람직하게는 랙(20), 가장 바람직하게는 프레임(22)에 축방향으로 삽입된다. 바람직하게는, 인디케이터 부(40), 메인 유닛(50) 및/또는 프라이머(90)가 완전히 삽입되고 및/또는 제1 작동부(70)가 랙(20), 가장 바람직하게는 프레임(22)에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랙(20), 특히 프레임(22)은 바람직하게는 인디케이터 부(40), 메인 유닛(50), 제1 작동부(70) 및/또는 프라이머(90)를 위한 특히 적어도 본질적으로 원통형 리셉터클(22A)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 리셉터클(22A)은 축방향 개방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랙(20), 특히 프레임(22)은 인디케이터 부(40), 메인 유닛(50), 제1 작동부(70) 및/또는 프라이머(90)를 랙(20)에 삽입하기 위한 축방향 개구(22B)를 포함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작동부(70)는 바람직하게는 캡형 및/또는 적어도 본질적으로 원통형이다.
제1 작동부(70)는 바람직하게는 투여 장치(100)의 축방향 단부를 포함/형성한다.
제1 작동부(70)는 바람직하게는 핸들/다이얼(71), 칼라(72) 및/또는 커넥터(73)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 칼라(72)는 핸들/다이얼(71)과 커넥터(73) 사이에 (축방향으로) 배열되고 및/또는 칼라(72)의 외경이 핸들/다이얼(71) 및/또는 커넥터(73)의 외경보다 크다.
핸들(71)은 바람직하게는 랙(20), 특히 그 축방향 개구(22B) 밖으로 돌출된다. 칼라(72)는 바람직하게는 축방향으로 랙(20) 및/또는 케이싱(30), 특히 커넥터(73)와 랙(20) 사이의 갭 및/또는 랙(20)과 케이싱(30) 사이의 갭을 덮는다.
제1 작동부(70)는 바람직하게는 랙(20), 특히 프레임(22)에 직접 부착, 특히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작동부(70), 특히 그 커넥터(73)는 랙(20), 특히 프레임(22), 특히 축방향 개구(22B) 내로 가장 바람직하게는 축방향으로 부착, 특히 압착/클립된다.
바람직하게는, 랙(20), 특히 프레임(22)은 제1 작동부(70), 바람직하게는 커넥터(73) 및/또는 그 안에 형성된 대응 돌출부 및/또는 리세스(미도시), 가장 바람직하게는 방사상으로 맞물리는 복수의 유지 요소(22C)를 포함하여, 제1 작동부(70)가 랙(20), 특히 프레임(22)에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그러나, 제1 작동부(70)는 도 1 및 도 2에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미리 정의된 회전 방향으로 랙(20)에 대해 이동, 특히 회전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작동 기구, 특히 제1 작동부(70)는 랙(20)에 대해 제1 작동부(70)를 수동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작동될 수 있다.
제1 작동부(7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1 작동부(70)의 외부 표면, 특히 핸들(71)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홈이 파여 있거나/찢어지거나 그렇지 않으면 프로파일링될 수 있다.
투여 장치(100), 특히 작동 기구 및/또는 제1 작동부(70)는 바람직하게는 회전축(R)을 포함/정의하고, 바람직하게는 제1 작동부(70)는 회전축(R)에 대해 회전가능하다.
회전축(R)은 바람직하게는 투여 장치(100)의 주축(A)에 대응/일치한다. 그러나, 회전축(R)이 주축(A)과 상이한 다른 해결책도 가능하며, 특히 회전축(R)은 주축(A)에 대해 기울어져 있다.
제1 작동부(70)는 한 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고 및/또는 투여 장치(100), 특히 랙(20)은 제1 작동부(70)를 위한 역회전 로킹부, 특히 래칫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의도된 회전 방향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작동부(70), 특히 그 핸들(71)에 예컨대 라벨, 마크 등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그리고 도 4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랙(20), 특히 프레임(22)은 적어도 하나의 역회전 정지부(22D)를 포함하고 제1 작동부(70)는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역회전 정지부(74)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랙(20)의 역회전 정지부(22D)와 제1 작동부(70)의 역회전 정지부(74)는 특히 의도된 회전 방향의 작동부(70)의 회전만이 가능하고 및/또는 제1 작동부(70)의 역회전, 즉 의도된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이 방지되거나 제한되도록 서로 방사상으로 상호 작용한다.
특히, 제1 작동부(70)의 역회전 정지부(74)와 랙(20)의 역회전 정지부(22D)는 예컨대 제1 작동부(70)의 역회전 정지부(74) 및/또는 랙(20)의 역회전 정지부(22D)를 의도된 회전 방향으로 탄성/일시적으로 변형/구부림으로써 의도된 회전 및/또는 활주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형태 끼워맞춤 방식으로 서로 맞물린다.
본 실시예에서, 랙(20), 특히 프레임(22)은 랙(20), 특히 리셉터클(22A)의 내부로 연장되는 가요성 암 형태의 하나의 역회전 정지부(22D)를 포함하고 제1 작동부(70)는 톱니 형태의 복수의 역회전 정지부(74)를 포함한다. 그러나 다른 구조적 해결책도 가능하다.
역회전 로킹부는 제1 작동부(70)의 반전에 의한 투여 장치(100)의 오용 위험을 방지하고 프라이밍 동안 촉각/가청 피드백을 제공하여, 투여 장치(100)의 사용자 친화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랙(20) 및/또는 제1 작동부(70)는 특히 회전 방향으로 랙(20)에 대한 제1 작동부(70)의 작동, 특히 회전을 제한하기 위해 작동 정지부(22E)를 포함한다.
도 4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작동 정지부(22E)는 랙(20)의 축방향 개구(22B)/리셉터클(22A) 내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로서 구현된다.
제1 작동부(70)는 바람직하게는 대응하는 작동 정지부(미도시)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제1 작동부(70)의 작동 정지부는 제1 작동부(70)의 사전 정의된 회전 방향이 도달할 때, 특히 해제 위치에 도달할 때 원주방향으로 랙(20)의 작동 정지부(22E)에 접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투여 장치(100)는 - 제1 작동부(70)에 더하여 - 추가적인 제2 작동부(80)를 포함한다.
제2 작동부(80)는 바람직하게는 랙(20), 특히 마운트(21)에 방사상/측방향으로 부착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제2 작동부(80) 및 컨테이너(10)는 반대 측면에서 랙(20), 특히 마운트(21)에 장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작동부(80)와 컨테이너(10)는 랙(20)에 서로 독립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작동부(80)는 랙(20), 특히 마운트(21)에 이동 가능하게, 특히 선회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작동부(80)는 바람직하게는 쉘형 구조이고 및/또는 랙(20), 특히 마운트(21)를 일 측면에 측방향으로 및/또는 부분적으로 덮는다.
바람직하게는, 제2 작동부(80)는 랙(20), 특히 마운트(21)에 가장 바람직하게는 선회 방식으로 클립으로 고정된다.
투여 장치(100), 특히 랙(20), 가장 바람직하게는 마운트(21), 및/또는 제2 작동부(80)는 선회축(P)을 정의하고, 바람직하게는 여기서 제2 작동부(80)는 선회축(P)을 중심으로 랙(20)에 대해 선회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작동부(80)의 선회축(P)은 바람직하게는 투여 장치(100)의 주축(A) 및/또는 제1 작동부(70)의 회전축(R)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특히 적어도 본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랙(20)은 한 쌍의 선회 핀(23)을 포함하거나 형성하며, 바람직하게 선회 핀(23)은 선회축(P)을 정의한다.
선회 핀(23)은 바람직하게는 랙(20)으로부터 측방향 및/또는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돌출부/핀으로 구현된다.
제2 작동부(80)는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소켓(81)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소켓(81)은 대응하는 선회 핀(23)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및/또는 각 선회 핀(23)은 제2 작동부(80)의 하나의 대응하는 소켓(81)에 (직접) 클립된다.
그러나, 특히 제2 작동부(80)가 선회 핀(23)을 포함하거나 형성하고 랙(20)이 선회 핀(23)을 위한 소켓(81)을 포함하거나 형성하는 다른 구조적 해결책도 가능하다.
제2 작동부(80)는 바람직하게는 세장형이고 및/또는 제1 (축방향) 단부(82) 및 제2 (축방향) 단부(83)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 선회축(P)은 제2 작동부(80)를 통해 적어도 본질적으로 중심으로 및/또는 제1 단부(82) 및 제2 단부(83) 사이로 연장된다.
따라서, 제2 작동부(80)는 랙(20)에 대해 기울어질 수 있고 및/또는 제2 작동부(80)는 토글(toggle)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제2 작동부(80), 특히 제1 단부(82)는 바람직하게 타원형 버튼(84)을 포함하거나 형성하고, 특히 여기서 버튼(84)은 방사상 돌출부로서 구현되고 및/또는 투여 장치(100) 밖으로 특히 케이싱(30)의 방사상 개구(35), 특히 제2 케이싱부(32)를 통해 방사상/측방향으로 돌출된다.
바람직하게는, 제2 작동부(80)는 특히 랙(20) 및/또는 주축(A)을 향해 버튼(84)을 누름으로써 작동 가능하다.
제2 작동부(80)를 작동시킴으로써, 특히 버튼(84)을 누름으로써, 제2 작동부(80)의 제2 단부(83)는 바람직하게는 랙(20)으로부터 및/또는 케이싱(30) 쪽으로 상승 및/또는 이동된다.
제2 작동부(80)의 제2 단부(83)는 바람직하게는 방사상, 특히 판 형상의 돌출부로서 구현되고 및/또는 랙(20), 특히 랙(20)의 프레임(22) 내로 및/또는 주축(A)을 향하여 방사상으로 돌출된다.
바람직하게는, 제2 작동부(80), 특히 그 제2 단부(83)는 가장 바람직하게는 가요성 돌출부/아암의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작동 스프링(83A)을 포함하거나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랙(20), 바람직하게는 프레임(22), 특히 리셉터클(22A)은 바람직하게는 바닥(22F)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제2 작동부(80)의 제2 단부(83), 특히 작동 스프링(83A)은 바닥(22F)에 대해 축방향으로 안착된다. 다시 말해서, 바닥(22F)은 카운터 베어링으로서 기능하고, 및/또는 작동 스프링(83A)을 위한 베어링 표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동 스프링(83A)은 바람직하게는 투여 장치(100)의 초기 상태에서, 가장 바람직하게는 제2 작동부(80)가 작동 스프링(83A)의 스프링력/에너지에 대해 작동 가능하도록 특히 바닥(22F)에 대해 사전 인장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작동부(80)의 비의도적 작동의 위험이 감소된다.
제2 작동부(80), 특히 그 제2 단부(83)는 바람직하게는 프레임(83B) 및/또는 구멍(83C)을 포함하거나 형성하고, 바람직하게는 메인 유닛(50)은 프레임(83B) 및/또는 구멍(83C)을 통해 연장된다.
제2 작동부(80), 특히 버튼(84)을 작동시킴으로써, 메인 유닛(50)에 대한 프레임(83B) 및/또는 구멍(83C)의 (방사상) 위치가 변경되고, 그에 따라 메인 유닛(50)을 추가로 상세하게 후술되는 바와 같이 축방향으로 차단하거나 해제한다.
일반적으로, 투여 장치(100)와 같은 의료 장치는 특히 멸균제, 특히 에틸렌 옥사이드와 같은 멸균 가스에 의해 및/또는 그에 대한 노출에 의해 멸균된다. 이러한 멸균 공정에서 의료 장치의 모든 표면을 사용자/의사가 접촉할 수 있는 멸균제에 노출시키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이를 위해, 케이싱(30) 및/또는 제2 작동부(80)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85)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스페이서(85)는 케이싱(30)과 제2 작동부(80) 사이의 갭을 버튼(84)에 특히 가깝게 및/또는 투여 장치(100)의 초기/비작동 상태에서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투여 장치(100)의 멸균 동안 접촉면을 최대화한다. 특히, 멸균 공정 동안 케이싱(30)과 제2 작동부(80) 사이의 갭으로 에틸렌옥사이드와 같은 멸균제가 유입될 수 있어서, 전체 버튼(84)이 멸균 중에 멸균제에 노출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투여 장치(100), 특히 그 작동 기구는 메인 유닛(50)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메인 유닛(50)은 랙(20) 내에서 및/또는 랙(20)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배열된다.
메인 유닛(50)은 바람직하게는 스토퍼(18)에 (직접) 작용 및/또는 접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메인 유닛(50)은 스토퍼(18)를 컨테이너(10)의 출구 및/또는 유체(11) 쪽으로 밀어주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스토퍼(18)는 메인 유닛(50), 특히 그 팁에 견고하게 부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스토퍼(18)는 단순히 메인 유닛(50), 특히 그 팁에 기대어 있고 및/또는 느슨하게 연결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메인 유닛(50)과 스토퍼(18)는 압축 시 및/또는 메인 유닛(50)이 스토퍼(18)에 대해 눌릴 때 단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메인 유닛(50) 및 스토퍼(18)는 인장 시에 및/또는 메인 유닛(50)이 컨테이너(10) 밖으로 이동/당겨질 때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예컨대 멸균 공정 중에 컨테이너(10)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투여 장치(100)의 초기 상태에서, 스토퍼(18)는 또한 메인 유닛(50)이 제1 작동부(70)의 작동 시에만 스토퍼(18)에 축방향으로 접하도록 메인 유닛(50)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메인 유닛(50)은 바람직하게는 세장형 및/또는 로드형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메인 유닛(50)은 투여 장치(100), 바람직하게는 랙(20)을 통해, 특히 제1 작동부(70)로부터 랙(20)을 통해 컨테이너(10) 내로 축방향으로 (완전히) 연장된다.
특히, 메인 유닛(50)은 케이싱(30), 특히 제2 축방향 개구(34) 밖으로 연장된다.
메인 유닛(50)은 바람직하게는 플런저/연결 로드(51), 중간부(52) 및/또는 단부 부분(53)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 중간부(52)는 플런저/연결 로드(51)와 단부 부분(53) 사이에 (축방향으로) 배열된다.
플런저/연결 로드(51)(이후 플런저 로드(51)로 지칭됨)는 바람직하게는 (제1) 축방향 단부 및/또는 메인 유닛(50)의 팁을 포함하거나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플런저 로드(51)는 컨테이너(10) 내로 연장되고 및/또는 (직접) 스토퍼(18)를 향한다.
메인 유닛(50)의 단부 부분(53)은 바람직하게는 메인 유닛(50)의 (제2) 축방향 단부를 포함하거나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단부 부분(53)은 스토퍼(18)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고 및/또는 제1 작동부(70)와 기계적 상호작용하고 및/또는 제1 작동부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며, 이후에 더 자세히 설명할 것이다.
플런저 로드(51)는 바람직하게는 세장형 및/또는 로드 형상이다.
본 실시예에서, 플런저 로드(51)는 적어도 본질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특히 플런저 로드(51)가 원형 단면을 포함하는 다른 구조적 해결책도 가능하다.
플런저 로드(51)의 외부 치수는 바람직하게는 컨테이너(10), 특히 그 주 본체(12)의 내경보다 작아서 바람직하게는 플런저 로드(51)가 컨테이너(10) 내에서 자유롭게 및/또는 마찰 없이 이동할 수 있다. 플런저 로드(51)는 바람직하게는 전방 부분(51A) 및 후방 부분(51B)을 포함한다.
전방 부분(51A)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컨테이너(10) 내로 연장하고, 및/또는 (직접) 스토퍼(18)와 대면/인접하는 플런저 로드(51)의 부분이다.
플런저 로드(51)의 후방 부분(51B)은 바람직하게는 컨테이너(10) 밖으로 돌출하고 및/또는 메인 유닛(50)의 전방 부분(51A)과 중간부(52) 사이의 전이부를 포함하거나 형성하는 플런저 로드(51)의 부분이다.
플런저 로드(51), 특히 그 전방 부분(51A)의 형상은 바람직하게는 균일하다. 그러나, 플런저 로드(51)의 형상, 특히 그 후방 부분(51B) 및/또는 중간부(52)에 인접한 부분은 또한 주축(A)의 방향으로 변경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플런저 로드(51)의 후방 부분(51B)은 플런저 로드(51)의 전방 부분(51A)에 비교하여 단차형이고 및/또는 방사상으로 변위된다.
바람직하게는, 플런저 로드(51), 특히 후방 부분(51B)은 제1 정지부(51C) 및/또는 제2 정지부(51D)를 포함하거나 형성하고, 바람직하게는 제1 정지부(51C) 및/또는 제2 정지부(51D)는 (방사상) 플런저 로드(51)의 단차부/돌출부, 특히 도 6에서 가장 잘 보이는 그 후방 부분(51B)에 의해 형성된다.
제2 작동부(80), 특히 프레임(83B)은 바람직하게는 차단 요소/부분(83D)을 포함하거나 형성하고, 바람직하게는 여기서 차단 요소/부분(83D)은 특히 제1 정지부(51C) 및/또는 제2 정지부(51D)를 축방향으로 맞물림으로써 메인 유닛(50)을 축방향으로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제1 작동부(70) 및/또는 제2 작동부(80)의 작동에 의해, 메인 유닛(50)은 바람직하게는 컨테이너(10)의 출구를 향해 및/또는 더 나아가 컨테이너(10) 내로 및/또는 제1 작동부(70)로부터 멀리 이동된다.
바람직하게는, 메인 유닛(50)의 이동 방향은 특히 주축(A)에 평행하다.
추가로 또는 제1 작동부(70)에 대한 역회전 로킹부에 대한 대안으로서, 투여 장치(100)는 바람직하게는 또는 특히 (오직) 투여 장치(100)의 프라이밍 및/또는 멸균 공정 동안에 메인 유닛(50)의 후방 이동을 적어도 방지하거나 제한하기 위해 메인 유닛(50)을 위한 복귀 로킹부, 특히 래칫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랙(20)과 메인 유닛(50)은 메인 유닛(50)이 (의도된) 이동 방향으로만 이동될 수 있고 및/또는 컨테이너(10) 내로 및/또는 제1 작동부(70)로부터 더 멀어지게 추가로 이동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서로 기계적으로 및/또는 축방향으로 상호작용하는 것 및/또는 메인 유닛(50)의 후방 이동, 즉 메인 유닛(50)이 컨테이너(10) 밖으로 및/또는 컨테이너 출구로부터 멀리 이동하는 것이 특히 (오직) 프라이밍 동안 방지되거나 최소한으로 제한된다.
초기 위치/상태에서 투여 장치(100)의 길이방향 단면을 가장 잘 도시하는 도 5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랙(20), 특히 리셉터클(22A)의 바닥(22F)은 바람직하게는 메인 유닛(50), 특히 플런저 로드(51)를 위한 개구/슬롯(22G)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 메인 유닛(50), 특히 플런저 로드(51)는 랙(20)의 개구/슬롯(22G)을 통해 연장된다.
개구(22G)는 바람직하게는 메인 유닛(50)을 방사상으로 안내하고 및/또는 랙(20)에 대한 메인 유닛(50)의 잠재적인 회전을 방지하거나 제한한다.
랙(20), 특히 프레임(22)은 도 5에서 가장 잘 보이는 적어도 하나의 복귀 정지부(2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 유닛(50), 특히 플런저 로드(51)는 바람직하게는 (대응하는) 복귀 정지부(51E)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랙(20)의 복귀 정지부(24) 및 메인 유닛(50)의 복귀 정지부(51E)가 투여 장치(100)의 복귀 로킹부를 형성하고 및/또는 메인 유닛(50)이 (의도된) 이동 방향으로만 및/또는 컨테이너(10)를 향하여 및/또는 컨테이너(10) 내로 더 나아가게 이동될 수 있는 방식으로 축방향으로 서로 상호작용하고 및/또는 이동의 (의도된) 방향의 반대 방향 및/또는 컨테이너(20) 밖으로 및/또는 제1 작동부(70)를 향하는 메인 유닛(50)의 이동은 특히 제1 작동부(70)를 프라이밍하고 및/또는 작동시키는 동안에만 또는 적어도 그 동안에만 적어도 제한되거나 방지된다.
특히, 랙(20)의 복귀 정지부(24)와 메인 유닛(50)의 복귀 정지부(51E)는 랙(20)의 복귀 정지부(24) 및/또는 메인 유닛(50)의 복귀 정지부(51E)를 의도된 이동 방향으로 탄성/일시적으로 변형/구부림으로써 의도된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형태 끼워맞춤 방식으로 서로 맞물리고 및/또는 서로를 지나 미끄러진다.
본 실시예에서, 메인 유닛(50), 특히 플런저 로드(51)는 플런저 로드(51)의 반대 측면, 특히 그 전방 부분( 51A)에 배열된 특히 톱니 형태의 복수의 복귀 정지부(51E)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랙(20)은 양 측면에서 메인 유닛(50)의 대응하는 복귀 정지부(51E)와 방사상으로 맞물리는 (2개의) 가요성 암 형태의 복수의 대응하는 복귀 정지부(2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플런저 로드(51)의 일측에 배열된 복귀 정지부(51E)는 플런저 로드(51)의 다른 측에 배열된 복귀 정지부(51E)에 대해 축방향으로 오프셋되어, 특히 플런저 로드(51)의 어느 한 측면 상의 복귀 정지부(51E)의 피크가 정렬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랙(20)에 대한 메인 유닛(50)의 축방향 위치는 작은 단차로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랙(20)의 복귀 정지부(24)와 메인 유닛(50)의 복귀 정지부(51E)는 복귀 로킹부, 특히 래칫을 형성한다.
복수의 복귀 정지부(51E)는 바람직하게는 메인 유닛(50)의 일부, 특히 플런저 로드(51), 가장 바람직하게는 그 전방 부분(51A)에만 배열되고 및/또는 전체 메인 유닛(50)에 걸쳐, 특히 전체 플런저 로드(51)에 걸쳐, 가장 바람직하게는 전체 전방 부분(51A)에 걸쳐 배열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메인 유닛(50)의 후방 이동, 즉 컨테이너(10) 밖으로 메인 유닛(50)이 이동하는 것은 방지되거나 적어도 프라이밍 동안에만 또는 적어도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메인 유닛(50)의 복수의 복귀 정지부(51E) 및 랙(20)의 복귀 정지부(24)는 바람직하게는 단지 또는 적어도 기계적으로 서로 상호작용하고, 및/또는 (축방향으로) 제1 작동부(70)의 프라이밍 및/또는 작동 동안 서로 맞물린다.
복귀 로킹부는 특히 역회전 로킹부의 가청/촉각 피드백에 더하여 및/또는 구분 가능한 프라이밍 동안 청각/촉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사가 프라이밍 및/또는 투여 위치/상태에 도달했을 때 및/또는 프라이밍을 명확하게 구별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메인 유닛(50), 특히 중간부(52)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 수단을 포함하거나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 수단은 핀(52A/52B)으로서 구현되며, 바람직하게는 핀(52A/52B)은 메인 유닛(50)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및/또는 랙(20), 특히 프레임(22)을 향하여 및/또는 내로 돌출된다. 그러나, 다른 구조적 해결책도 가능하며. 예컨대, 표시 수단은 특히 메인 유닛(50)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하는 바람직하게는 호형 바아로서 구현된다.
랙(20)은 바람직하게는 특히 길이방향 및/또는 축방향 리세스(22H/22J)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 핀(52A/52B)은 특히 원주방향으로 및/또는 랙(20)에 대한 메인 유닛(50)의 회전이 방지되거나 적어도 제한되도록 리세스(22H/22J) 내에서 안내된다.
바람직하게는, 표시 수단, 특히 핀(52A/52B)은 투여 장치(100)의 외부에서 및/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 창(36)을 통해 볼 수 있다. 이 방식에서, 랙(20)에 대한 메인 유닛(50)의 축방향 위치는 투여 장치(100)의 사용자/의사에게 표시되고 및/또는 가시적이다. 따라서, 특히 메인 유닛(50)의 안내 및 메인 유닛(50)의 축방향 위치의 표시 모두를 위해 표시 수단, 핀(52A/52B)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랙(2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표시 수단, 특히 핀(52A/52B)을 덮는 랙(20)의 적어도 일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하여 표시 수단, 특히 핀(52A/52B)이 외부에서 보이고 및/또는 케이싱 창(36)을 통해 볼 수 있다. 그러나 랙(20)에는 표시 수단, 특히 핀(52A/52B)이 외부에서 및/또는 케이싱 창(36)을 통해 보이도록 컷아웃이 설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메인 유닛(50)은 바람직하게는 제1 핀(52A) 및 제2 핀(52B)을 포함하고, 랙(20)은 바람직하게는 특히 메인 유닛(50) 및 랙(20)의 반대편에 있는 제1 리세스(22H) 및 제2 리세스(22J)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제1 핀(52A)은 제1 리세스(22H) 내로 연장되고 제2 핀(52B)은 제2 리세스(22J) 내로 연장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메인 유닛(50)은 양쪽에서 안내되고 끼임의 위험이 감소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투여 장치(100)는 바람직하게는 투여 장치(100)의 상태 및/또는 랙(20)에 대한 메인 유닛(50)의 축방향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인디케이터 부(40)를 포함한다.
인디케이터 부(40)는 중공 실린더 및/또는 슬리브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디케이터 부(40)는 랙(20), 특히 리셉터클(22A) 내에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 유닛(50), 특히 중간부(52)는 바람직하게는 표시 부분(40) 내에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인디케이터 부(40)는 메인 유닛(50), 특히 중간부(52)를 방사상으로 감싸고/거나 메인 유닛(50), 특히 중간부(52)와 랙(20), 특히 프레임(22) 사이에 방사상으로 배열된다.
그러나, 메인 유닛(50), 특히 그 표시 수단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호형 바아로서 구현될 때 인디케이터 부(40)를 부분적으로 및/또는 외부로 덮을 수도 있다.
인디케이터 부(40)는 바람직하게는 랙(20), 특히 리셉터클(22A)에 대해 및/또는 내에서, 및/또는 메인 유닛(50), 특히 중간부(52)에 대해 및/또는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다. 그러나, 인디케이터 부(40)는 랙(20) 내에 및/또는 랙(20)에 의해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인디케이터 부(40)는 바람직하게는 메인 유닛(50), 특히 그 핀(52A/52B)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직접) 회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인디케이터 부(40)는 메인 유닛(50), 특히 그 핀(52A/52B)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직접) 회전식으로 구동된다.
다시 말해서, 제1 작동부(70)의 작동, 특히 회전은 바람직하게는 메인 유닛(50)의 축방향 이동을 야기하고, 이는 차례로 인디케이터 부(40)의 회전을 야기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미도시)에 따르면, 인디케이터 부(40)는 투여 위치/상태에 도달한 후 및/또는 투여 위치/상태로부터 최종 위치/상태에 도달하는 동안에만, 특히 최종 위치/상태에 도달할 때를 표시하기 위해, 메인 유닛(50)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직접) 회전 가능하게 구동된다. 본 실시예에서, 인디케이터 부(40)는 프라이밍 동안 회전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디케이터 부(40)는 바람직하게는 축방향 개구(41A/41B) 및/또는 나선형/경사형 슬롯/표면(42A/42B)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여기서 핀(52A/52B)은 개구(41A/41B) 및/또는 인디케이터 부(40)의 나선형/경사형 슬롯/표면(42A/42B), 특히 개구(41A/41B)를 통해 나선형 슬롯/표면(42A/42B)으로 축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고 및/또는 여기서 메인 유닛(50), 특히 핀(52A/52B)은 특히 투여 위치/상태에 도달한 후 및/또는 투여 위치/상태로부터 최종 위치/상태로 이동하는 동안에만 나선형/경사 슬롯/표면(42A/42B)과 축방향으로 접하고/맞물린다.
바람직하게는, 개구(41A/41B)는 나선형/경사형 슬롯/표면(42A/42B) 내로 계속되고 및/또는 개구(41A/41B)는 나선형/경사형 슬롯/표면(42A/42B)의 (축방향) 단부에 의해 형성되고 및/또는 나선형/경사형 슬롯/표면(42A/42B)은 인디케이터 부(40)의 원주방향으로 나선형으로 연장된다.
핀(52A/52B)은 바람직하게는 메인 유닛(50), 특히 핀(52A/52B)의 축방향 이동이 랙(20) 및/또는 메인 유닛(50)에 대해 인디케이터 부(40)를 회전시키도록 슬롯/표면(42A/42B) 내로 방사상으로 돌출한다.
본 실시예에서, 인디케이터 부(40)는 제1 핀(52A)을 위한 제1 축방향 개구(41A) 및/또는 제1 나선형 슬롯/표면(42A) 및 제2 핀(52B)을 위한 제2 축방향 개구(41B) 및/또는 제2 나선형 슬롯/표면(52B)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인디케이터 부(40)의 끼임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미도시)에 따르면, 메인 유닛(50)은 투여 위치/상태에 도달한 후에만 및/또는 투여 위치/상태로부터 최종 위치/상태로 이동하는 동안에만 나선형 슬롯/표면(42A/42B)과 축방향으로 맞물리거나 접하여, 특히 인디케이터 부(40)가 투여 위치/상태에 도달한 후에만 및/또는 투여 위치/상태로부터 최종 위치/상태로 이동하는 동안에만 메인 유닛(50)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동된다.
인디케이터 부(40)는 바람직하게는 투여 장치(100)의 상태 및/또는 메인 유닛(50)의 축방향 위치를 나타내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인디케이터 부(40)는 바람직하게는 도 4에서 가장 잘 보이는 바와 같이, 인디케이터 부(40)의 외부 표면에 라벨, 마크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표시 수단(43)을 포함한다.
인디케이터 부(40), 특히 표시 수단(43)은 바람직하게는 외부에서 및/또는 케이싱 창(36)을 통해, 특히 프라이밍 동안, 투여 동안 및/또는 초기 위치/상태에서, 투여 위치/상태 및/또는 최종 위치/상태에서 영구적으로 볼 수 있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투여 장치(100)는 특히 제1 작동부(70)를 작동, 가장 바람직하게는 회전시킴으로써 프라이밍될 수 있다.
제1 작동부(70)를 작동, 특히 회전시킴으로써, 메인 유닛(50)은 특히 플런저 로드(51)가 스토퍼(18)를 컨테이너(10) 내로 및/또는 그 출구를 향해 더 이동/밀도록 (축방향으로) 이동된다.
투여 장치(100), 특히 작동 기구는 바람직하게는 메인 유닛(50)을 제1 작동부(70)와 기계적으로 연결하고, 및/또는 제1 작동부(70)와 기계적으로 상호작용하는 프라이머(90)를 포함하여, 특히 제1 작동부(70)의 작동, 회전은 특히 투여 장치(100)의 프라이밍을 위해 메인 유닛(50)의 축방향 이동을 야기한다.
이하에서, 프라이머(90)의 구성 및 특징을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며, 여기서 도 5는 초기 위치/상태에서 투여 장치(100)의 개략적 길이방향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와 비교하여 주축(A)에 대해 90° 회전된 투여 장치(100)의 초기 위치/상태에서 개략적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프라이머(90)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초기 상태/위치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작동부(70) 내에 배열된다.
제1 작동부(70)는 바람직하게는 리셉터클(75)을 포함하거나 형성하고, 바람직하게는 프라이머(90)는 적어도 초기 상태/위치에서 제1 작동부(70)의 리셉터클(75) 내에 배열되고 및/또는 연장된다.
그러나, 제1 작동부(70), 특히 그 커넥터(73)는 또한 프라이머(90) 내에 삽입 및/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프라이머(90)는 바람직하게는 다부품 구성이고 및/또는 다부품/구성요소를 포함한다.
프라이머(90)는 바람직하게는 제1 프라이머 부분(91) 및 제2 프라이머 부분(92)을 포함한다.
제2 프라이머 부분(92)은 바람직하게는 메인 유닛(50), 특히 그 단부 부분(53)에 견고하게 연결되거나 이에 의해 형성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제2 프라이머 부분(92)과 메인 유닛(50)은 한 부재/일체형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제2 프라이머 부분(92)은 별도의 부품/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프라이머(90), 특히 제1 프라이머 부분(91) 및/또는 제2 프라이머 부분(92)은 바람직하게는 중공 실린더로 구현된다.
바람직하게는, 프라이머(90), 특히 제1 프라이머 부분(91) 및/또는 제2 프라이머 부분(92)은 특히 방사상 및 축방향으로 스프링 챔버(93)를 포함/구성 및/또는 제한한다.
구동 스프링(60)은 바람직하게는 프라이머(90), 특히 스프링 챔버(93) 내에 배열되고 및/또는 프라이머(90), 특히 제1 프라이머 부분(91) 및 제2 프라이머 부분(92)에 의해 캡슐화된다.
제1 프라이머 부분(91)과 제2 프라이머 부분(92)은 바람직하게는 서로 축방향으로 해제 가능하게 연결된다. 특히, 제1 프라이머 부분(91)과 제2 프라이머 부분(92)은 서로 (축방향으로) 끼움/플러그연결된다.
특히, 구동 스프링(60)/그 스프링력/에너지는 제1 프라이머 부분(91)과 제2 프라이머 부분(92)을 서로 멀어지게 이동, 특히 밀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구동 스프링(60)은 투여 장치(100)의 초기 상태에서, 특히 제1 프라이머 부분(91) 및 제2 프라이머 부분(92)이 구동 스프링(60)에 의해 서로로부터 멀리 밀쳐지도록 미리 인장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압축된다.
바람직하게는, 구동 스프링(60)은 코일/나선형 스프링으로 구현되고 및/또는 금속, 특히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조된다.
제1 프라이머 부분(91) 및 제2 프라이머 부분(92)은 바람직하게는 각각 바닥(91A/92A)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원통형 벽(91B/92B)를 포함하며, 특히 여기서 제1 프라이머 부분(91)의 바닥(91A) 및 제2 프라이머 부분(92A)은 스프링 챔버(93)를 축방향으로 한정하고, 및/또는 제1 프라이머 부분(91)의 벽(91B) 및/또는 제2 프라이머 부분(92)의 벽(92B)은 스프링 챔버(93)를 방사상으로 제한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프라이머 부분(91)의 바닥(91A) 및 제2 프라이머 부분(92)의 바닥(92A)은 (축방향) 반대 측면에 배열되고 및/또는 (축방향) 반대 측면에서 스프링 챔버(93)를 제한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프라이머 부분(92)은 특히 제1 프라이머 부분(91)의 벽 (91B)이 제2 프라이머 부분(92)의 벽(92B)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제1 프라이머 부분(91) 내로 부분적으로 삽입되고 및/또는 제1 작동부(70)에 (직접) 인접하여 배열된다.
그러나 제1 프라이머 부분(91)은 제2 프라이머 부분(92)에도 삽입될 수 있다.
구동 스프링(60)은 바람직하게는 제1 프라이머 부분(91)의 바닥(91A) 및 제2 프라이머 부분(92)의 바닥(92A)에 축방향으로 안착되고 및/또는 압력을 가한다.
제1 프라이머 부분(91), 특히 그 바닥(91A)은 바람직하게는 (제1) 스프링 시트(91C)를 포함하거나 형성하고, 제2 프라이머 부분(92), 특히 그 바닥(92A)은 바람직하게는 구동 스프링(60), 특히 장치 스프링(60)의 각각의 (축방향) 단부용 (제2) 스프링 시트(92C)를 포함하거나 형성한다.
특히, 구동 스프링(60)의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제1 프라이머 부분(91)의 바닥(91A) 및/또는 제2 프라이머 부분(92)의 바닥(92A)에는 구동 스프링(60)으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프링 핀(91D)이 장착 및/또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투여 장치(100), 특히 그 작동 기구는 바람직하게는 리드스크류를 포함하고, 여기서 한편으로는 제1 작동부(70) 및 다른 한편으로는 메인 유닛(50) 및/또는 프라이머(90)가, 서로 (직접) 이동 가능하게 상호 작용하고 및/또는 리드스크류에 의해 다른 것에 (직접)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및/또는 여기서 제1 작동부(70)는 특히 랙(20) 및/또는 컨테이너(10)에 대해 메인 유닛(50), 구동 스프링(60) 및/또는 프라이머(90)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특히 랙(20) 및/또는 컨테이너(10)에 대해 (수동으로) 회전 가능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제1 작동부(70)의 회전은 메인 유닛(50), 구동 스프링(60) 및/또는 프라이머(90)를 초기 위치에서 해제 위치로 및/또는 투여 위치를 향해, 축방향으로 및/또는 스토퍼(18) 및/또는 컨테이너의 출구(10)를 향해 이동시킨다.
따라서, 리드스크류는 제1 작동부(70)의 (수동) 회전을 특히 메인 유닛(50), 구동 스프링(60) 및/또는 프라이머(90)의 선형, 특히 축방향 운동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제1 작동부(70)는 바람직하게는 나사산(76)을 포함하고 및/또는 프라이머(90)는 바람직하게는 나사산(94)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여기서 제1 작동부(70)의 나사산(76) 및 프라이머(90)의 나사산(94)은 (기계적으로) 서로 상호작용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작동부(70)의 나사산(76)은 암나사로 구현되고, 프라이머(90)의 나사산(94)은 수나사로 구현된다. 그러나, 제1 작동부(70)의 나사산(76)도 수나사로 구현될 수 있고, 프라이머(90)의 나사산(94)도 암나사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프라이머(90)는 제1 작동부(70)를 회전시킴으로써 적어도 초기 상태/위치에서 제1 작동부(70), 특히 그 리셉터클(75) 안으로 나사 결합되고 및/또는 제1 작동부(70), 특히 그 리셉터클(75) 밖으로 나사 결합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작동부(70)의 나사산(76)은 리셉터클(75) 내로 연장되는 나선형 돌출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라이머(90)의 나사산(94)은 바람직하게는 제1 프라이머 부분(91)의 벽(91B) 및/또는 제2 프라이머 부분(92)의 벽(92B) 상의 리지 및/또는 리세스에 의해 형성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나사산(94)은 제1 프라이머 부분(91), 특히 그 벽(91B) 및 제2 프라이머 부분(92), 특히 그 벽(92B) 모두에 의해 형성된다.
제1 프라이머 부분(91), 특히 그 벽(91B)은 바람직하게는 (제1) 나사산 부분(91E)을 포함하거나 형성하고, 제2 프라이머 부분(92), 특히 그 벽(92B)은 바람직하게는 (제2) 나사산 부분(92E)을 포함하거나 형성하며, 특히 나사산 부분(91E) 및 나사산 부분(92E)은 (함께) 프라이머(90)의 - 특히 연속적인 - 나사산(94)을 형성한다.
도 3 및 도 4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프라이머 부분(91)의 나사산 부분(91E) 및/또는 벽(91B)은 바람직하게는 부분적으로 오목하고/절취된다.
제1 프라이머 부분(91), 특히 그 벽(91B)은 바람직하게는 제2 프라이머 부분(92), 특히 그 나사산 부분(92E)을 위한 슬롯(91F)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 프라이머 부분(92)의 나사산 부분(92E)은 제1 프라이머 부분(91), 특히 그 슬롯(91F)에 (축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거나 (축방향으로) 삽입되어 제1 프라이머 부분(91)의 나사산 부분(91E)과 제2 프라이머 부분(92)의 나사산 부분(92E)은 프라이머(90)의 (연속적인) 나사산(94)을 형성한다.
제2 프라이머 부분(92)의 나사산 부분(92E)은 바람직하게는 제2 프라이머 부분(92)의 벽(92B)의 방사상 돌출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제1 프라이머 부분(91)의 벽(91B), 특히 슬롯(91F)을 통해/내부로 돌출하고 및/또는 제2 프라이머 부분(92)의 벽(92B)의 외부 표면과 같은 높이로 위치한다.
다시 말해서, 제2 프라이머 부분(92), 특히 그 나사산 부분(92E)은 제1 프라이머 부분(91), 특히 그 벽(91B) 및/또는 슬롯(91F)과 방사상/회전으로 및/또는 원주방향으로 및/또는 제1 프라이머 부분(91)과 제2 프라이머 부분(92)이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프라이밍 동안 및/또는 투여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서로에 대해 회전할 수 없도록 맞물린다.
선택적으로, 제1 프라이머 부분(91)과 제2 프라이머 부분(92)은 추가 요소로 서로 맞물릴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프라이머 부분(91), 특히 그 벽(91B)은 홈(91G)을 포함하고, 제2 프라이머 부분(92), 특히 그 벽(92B)은 대응하는 리지(92G)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여기서 리지(92G)는 방사상/회전으로 및/또는 원주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프라이밍 동안 및/또는 투여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홈(91G)과 맞물린다.
이하, 도 5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투여 장치(100)의 상이한 상태 및 사용 중인 투여 장치(100)의 부품/구성요소 사이의 상호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초기 위치/상태, 즉 제1 작동부(70)를 작동하기 전의 투여 장치(100)를 도시한다. 도 7 및 도 8은 해제 위치, 즉 제1 작동부(70)를 작동시킨 후의 투여 장치(100)를 도시한다. 도 9 및 도 10은 투여 위치/상태, 즉 프라이밍 후 및/또는 제2 작동부(80)를 작동하기 직전에 있는 투여 장치(100)를 도시한다. 도 11 및 도 12는 최종 위치/상태에 있는 즉, 제2 작동부(80)를 작동시킨 후의 투여 장치(100)를 도시한다.
초기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투여 장치(100)의 프라이밍 전 및/또는 제1 작동부(70)를 작동하기 전 및/또는 투여 장치(100)의 초기 상태에서 랙(20) 및/또는 컨테이너(10)에 대한 메인 유닛(50), 스토퍼(18), 구동 스프링(60) 및/또는 프라이머(90)의 (축방향) 위치이다.
투여 장치(100)의 초기 상태 및/또는 메인 유닛(50), 스토퍼(18), 구동 스프링(60) 및/또는 프라이머(90)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 제1 작동부(70) 및 제2 작동부(80)는 모두 작동하지 않는다.
투여 장치(100)의 초기 상태에서 및/또는 메인 유닛(50), 스토퍼(18), 구동 스프링(60) 및/또는 프라이머(90)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 제2 작동부(80)를 (직접) 작동하지 않고 및/또는 유체(11)를 직접 투여할 수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초기 위치/상태에서, 프라이머(90), 특히 제1 프라이머 부분(91) 및/또는 제2 프라이머 부분(92) 및/또는 메인 유닛(50)의 단부 부분(53)은 바람직하게는 제1 작동부(70), 특히 그 리셉터클(75) 내에 완전히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프라이머 부분(91)의 바닥(91A)은 (축방향으로) 초기 상태/위치에서 제1 작동부(70)의 축방향 단부에 접한다/안착된다.
구동 스프링(60)의 (축방향)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챔버(93)의 (축방향) 길이, 즉 제1 프라이머 부분(91)의 바닥(91A)/스프링 시트(91C)와 제2 프라이머 부분(92)의 스프링 시트(92C)/바닥(92A) 사이의 (축방향) 거리에 해당한다.
초기 위치/상태에서, 구동 스프링(60)은 (가장) 인장/압축되고, 스프링 챔버(93)는 가장 압축되며 및/또는 구동 스프링(60) 및/또는 스프링 챔버(93)의 길이는 다른 위치/상태와 비교하여 최소이고 - 및/또는 제1 및/또는 최소 길이(L1)에 대응하고(도 5 참조), 바람직하게는 제1/최소 길이(L1)는 10mm 또는 15mm 초과 및/또는 30mm 또는 25mm 미만이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구동 스프링(60)은 바람직하게는 제1 프라이머 부분(91)과 제2 프라이머 부분(92)/메인 유닛(50)을 서로 이격시켜 이동하고, 특히 밀어낸다.
제1 작동부(70)는 바람직하게는 고정 요소(77)를 포함하거나 형성하며, 바람직하게는 고정 요소(77)는 초기 위치/상태에서 및/또는 제1 작동부(70)를 작동시키는 동안 및/또는 스토퍼(18), 메인 유닛(50), 구동 스프링(60) 및/또는 프라이머(90)가 초기 위치에서 해제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구동 스프링(60)의 해제 및/또는 제1 프라이머 부분(91)에 대한 제2 프라이머 부분(92)/메인 유닛(50)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고정 요소(77)는 바람직하게는 제1 작동부(70)의 리셉터클(75) 내로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리지로서 구현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 요소(77)는 제1 작동부(70)의 나사산(76)을 포함하거나 형성하거나 또는 그 반대이다. 그러나, 특히 고정 요소(77)와 나사산(76)이 별도의 부품/요소로 구현되는 다른 구조적 해결책도 가능하다.
고정 요소(77)/나사산(76)은 적어도 초기 위치/상태에서 해제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및/또는 제1 작동부(70)를 작동시키는 동안 및/또는 스토퍼(18), 메인 유닛(50), 구동 스프링(60) 및/또는 프라이머(90)가 초기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제1 프라이머 부분(91) 및 제2 프라이머 부분(92)/메인 유닛(50)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고정 요소(77)/나사산(76)(축방향)은 제2 프라이머 부분(92), 특히 제2 프라이머 부분(92)의 나사산 부분(92E)이 적어도 초기 위치/상태에서 및/또는 해제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및/또는 제1 작동부(70)를 작동시키는 동안 및/또는 스토퍼(18), 메인 유닛(50), 구동 스프링(60) 및/또는 프라이머(90)가 초기 위치에서 해제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구동 스프링(60)에 의해 제1 프라이머 부분(91), 특히 그 슬롯(91F) 밖으로 밀릴 수 없도록 제2 프라이머 부분(92)의 나사산 부분(92E)과 맞물린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초기 상태/위치에서 제1 작동부(70)를 작동시키는 동안 및/또는 스토퍼(18), 메인 유닛(50), 구동 스프링(60) 및/또는 프라이머(90)가 초기 위치에서 투여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제2 작동부(80)를 작동시킬 수 없다.
바람직하게는, 메인 유닛(50), 특히 플런저 로드(51)는 초기 상태/위치에서, 제1 작동부(70)를 작동시키는 동안 및/또는 스토퍼(18), 메인 유닛(50), 구동 스프링(60) 및/또는 프라이머(90)가 초기 위치에서 투여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제2 작동부(80)의 이동을 (방사상으로) 차단 및/또는 제한한다.
제2 작동부(80), 특히 그 제2 단부(83), 가장 바람직하게는 프레임(83B)은 도 6에서 가장 잘 보이는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로킹 요소(83E)를 포함하거나 형성하고, 바람직하게는 여기서 로킹 요소(83E)는 초기 상태/위치에서 및/또는 투여 위치/상태에 도달하기 전에 제2 작동부(80)의 작동을 방지한다.
로킹 요소(83E)는 바람직하게는 메인 유닛(50), 특히 플런저 로드(51)와 방사상으로 결합/접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제2 작동부(80), 특히 그 버튼(84)이 작동될 수 없도록, 특히 눌려질 수 없도록 한다.
따라서 특히 선회축(P)에 대한 제2 작동부(80)의 위치 및/또는 회전 각도는 초기 상태/위치에서 및/또는 스토퍼(18), 메인 유닛(50), 구동 스프링(60) 및/또는 프라이머(90)가 초기 위치에서 투여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메인 유닛(50), 특히 플런저 로드(51)와 결합/접하는 프레임(83B)에 의해 양쪽에서, 도 6에서 아래와 위에서 적어도 본질적으로 고정 및/또는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제2 작동부(80)의 위치 및/또는 회전 각도는 초기 상태/위치에서 및/또는 스토퍼(18), 메인 유닛(50), 구동 스프링(60) 및/또는 프라이머(90)가 초기 위치에서 투여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한쪽에서 도 6의 밑에서부터 메인 유닛(50), 특히 플런저 로드(51)와 결합/접하는 로킹 요소(83E)에 의해 그리고 다른 쪽에서, 도 6의 위로부터 메인 유닛(50), 특히 플런저 로드(51)와 결합/접하는 차단 요소(83D)에 의해 적어도 본질적으로 고정 및/또는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복귀 로킹부, 특히 메인 유닛(50)의 복귀 정지부(51E) 및 랙(20)의 복귀 정지부(24)는 바람직하게는 초기 상태/위치에서는 제자리에 (아직) 결합 및/또는 스냅되지 않는다.
제1 작동부(70)의 작동, 특히 회전에 의해, 스토퍼(18), 메인 유닛(50), 구동 스프링(60) 및/또는 프라이머(90)가 초기 위치 밖으로, 특히 초기 위치에서 해제 위치로 및/또는 해제 위치에서 투여 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특히 밀려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프라이머(90), 특히 제1 프라이머 부분(91) 및/또는 제2 프라이머 부분(92) 및/또는 메인 유닛(50)은 리드 스크류로 인해 제1 작동부(70)를 작동, 특히 회전시킴으로써 제1 작동부(70)에서 나사로 조여질 수 있다.
해제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제1 프라이머 부분(91) 및 제2 프라이머 부분(92)/메인 유닛(50)은 바람직하게는 함께 및/또는 하나의 유닛으로서 및/또는 제1 프라이머 부분(91) 및 제2 프라이머 부분(92)/메인 유닛(50)을 서로에 대해 이동하지 않고 이동한다.
다시 말해서, 구동 스프링(60) 및/또는 스프링 챔버(94)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동일하게 유지되고 및/또는 해제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및/또는 고정 요소(77)/제1 작동부(70)의 나사산(76)이 프라이머(90), 특히 제1 프라이머 부분(91), 가장 바람직하게는 나사산 부분(91E)과 맞물리는 동안 변경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 및 도 8은 해제 위치에 있는, 즉 제1 작동부(70)를 작동시킨 후의 투여 장치(100)를 도시한다.
해제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초기 위치와 투여 위치 사이에서 및/또는 제1 작동부(70)를 완전히 작동시킨 후 및/또는 투여 위치/상태에 도달하기 전 (즉시) 및/또는 프라이밍을 완료하기 전 (즉시) 랙(20) 및/또는 컨테이너(10)에 대한 메인 유닛(50), 스토퍼(18), 구동 스프링(60) 및/또는 프라이머(90)의 (축방향) 위치이다.
제1 작동부(70)의 작동, 특히 회전에 의해, 스토퍼(18), 메인 유닛(50), 구동 스프링(60) 및/또는 프라이머(90)가 투여 장치(100)의 출구 및/또는 컨테이너(10)를 향해 및/또는 제1 작동부(70)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mm 또는 8mm 및/또는 최대 30mm 또는 20mm, 특히 적어도 본질적으로 10mm만큼 떨어지게 축방향으로 이동, 특히 밀어내진다.
특히, 한편으로는 메인 유닛(50) 및/또는 프라이머(90), 특히 제1 프라이머 부분(91), 가장 바람직하게는 바닥(91A) 및 다른 한편으로는 제1 작동부(70), 특히 그 바닥 사이의 거리(D)는 증가한다.
해제 위치에서 및/또는 해제 위치에 도달할 때 구동 스프링(60)/그 스프링력/에너지는 바람직하게는 (자동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팽창/해제되어, 투여 위치를 향하는 및/또는 투여 장치(100)의 출구를 향하는 메인 유닛(50), 제2 프라이머 부분(92) 및/또는 스토퍼(18)의 후속 이동이 완료되고 및/또는 구동 스프링(6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고 및/또는 투여 장치(100)의 초기 상태로부터 투여 상태로의 전이가 완료되고 및/또는 구동 스프링(6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다.
해제 위치에서 및/또는 해제 위치에 도달할 때, 나사산(76)/고정 요소(77) 및 제2 프라이머 부분(92), 특히 그 나사산 부분(92E)은 (축방향으로) 분리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구동 스프링(60)이 부분적으로 해제되고 및/또는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하고 및/또는 제2 프라이머 부분(92), 특히 나사산 부분(92E)이 구동 스프링(60)에 의해 제1 프라이머 부분(91), 특히 슬롯(91F) 밖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려 나올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프라이밍이 완료되고 및/또는 투여 위치에 도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프라이밍 동안 및/또는 초기 위치로부터 투여 위치로의 메인 유닛(50), 제2 프라이머 부분(92) 및/또는 스토퍼(18)의 프라이밍 및/또는 이동은 반수동/반자동 방식 및/또는 수동으로, 즉 제1 작동부(70)를 작동, 특히 회전시킴으로써, 및 자동으로, 즉 구동 스프링(60)/그 스프링력/에너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팽창/해제함으로써 (해제 위치에 도달할 때 및/또는 해제 위치에서 투여 위치로) 완료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프라이머 부분(91) 및 제2 프라이머 부분(92)은 서로 맞물리거나 및/또는 제2 프라이머 부분(92)은 바람직하게는 제1 프라이머 부분(92)을 방사상/회전으로 및/또는 원주방향으로 구속하도록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제1 프라이머 부분(91) 및 제2 프라이머 부분(92)이 특히 적어도 프라이밍 동안 및/또는 투여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서로에 대해 회전할 수 없도록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미도시)에 따르면, 제1 프라이머 부분(91) 및 제2 프라이머 부분(92)은 서로 분리되고 및/또는 제2 프라이머 부분(92)은 바람직하게는 제1 프라이머 부분(91)을 방사상/회전으로 및/또는 원주방향으로 해제하도록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제1 프라이머 부분(91) 및 제2 프라이머 부분(92)이 프라이머 후 및/또는 적어도 일시적으로 및/또는 투여 위치에 도달할 때 서로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프라이밍 후 및/또는 투여 위치에 도달했을 때, 구동 스프링(60)/그 스프링력/에너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더) 팽창/해제되고 및/또는 제1 프라이머 부분(91)이 이동, 특히 회전되어 뒤로 및/또는 구동 스프링(60)에 의해 제1 작동부(70)로 및/또는 이를 향하여, 제1 프라이머 부분(91)과 제2 프라이머 부분(92)이 다시 서로 맞물릴 때까지 및/또는 가장 바람직하게는 제1 프라이머 부분(91)이 제2 프라이머 부분(92)의 해당 정지부를 타격할 때까지 이동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프라이밍의 종료 및/또는 투여 위치에 도달할 때를 명확하게 표시하는 청각/촉각 피드백이 제공되며, 특히 복귀 로킹부의 청각/촉각 피드백에 더하여 및/또는 구별 가능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사가 프라이밍 및/또는 투여 위치/상태에 도달했을 때를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작동부(70)의 작동, 특히 회전에 의해, 메인 유닛(50), 특히 그 플런저 로드(51)는 프레임(22)의 바닥(22F)을 통해 (더) 및/또는 제2 단부(83) 및/또는 구멍(83C) 및/또는 제2 작동부(80)의 프레임(83B)을 통해 (더) 축방향으로 이동되고, 특히 밀어내진다.
도 7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작동부(70)의 작동시 및/또는 적어도 초기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 및/또는 프라이밍 동안, 작동 기구의 복귀 로킹부가 바람직하게 활성화되고 및/또는 랙(20)의 복귀 정지부(24)는 바람직하게는 (축방향으로) 메인 유닛(50)의 복귀 정지부(51E)와 맞물린다.
따라서, 제1 작동부(70)의 작동시 및/또는 적어도 초기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 및/또는 프라이밍 동안, 메인 유닛(50)의 후방 이동, 즉 컨테이너(10) 밖으로 및/또는 제1 작동부(70)를 향하는 메인 유닛(50)의 이동은 바람직하게는 복귀 로킹부로 인해 방지되거나 적어도 제한된다.
도 8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작동부(80)의 위치 및/또는 회전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도 8의 양쪽으로부터 아래로부터 위로부터 메인 유닛(50), 특히 플런저 로드(51)와 (방사상으로) 결합/접하는 프레임(83B), 특히 로킹 요소(83E) 및/또는 차단 요소(83D)에 의해 해제 위치에서 (아직) 적어도 본질적으로 고정 및/또는 제한된다.
제2 작동부(80), 특히 제2 작동부(80)의 차단 요소(83D)는 가장 바람직하게는 초기 위치/상태 및/또는 해제 위치에서 및/또는 전체 프라이밍 공정 중에 메인 유닛(50)의 제1 정지부(51C)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되고 및/또는 메인 유닛(50), 특히 플런저 로드(51)를 축방향으로 결합/차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제2 작동부(80), 특히 제2 작동부(80)의 차단 요소(83D)는 도 9 및 도 10 및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하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프라이밍 및/또는 투여를 완료한 후에만 및/또는 투여 위치/상태 및/또는 최종 위치/상태에서 메인 유닛(50), 특히 플런저 로드(51)를 축방향으로 결합/차단한다.
도 9 및 도 10은 투여 위치에 있는, 즉 구동 스프링(60)을 부분적으로 해제한 후 및/또는 프라이밍을 완료한 후의 투여 장치(100)를 도시한다.
투여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프라이밍 공정을 완료한 후 (즉시) 및/또는 제1 작동부(70)를 (완전히) 작동, 특히 회전시킨 후 (즉시) 및/또는 투여가 수행되기 전 (즉시) 및/또는 투여 장치(100)의 투여 상태에서 랙(20) 및/또는 컨테이너(10)에 대한 메인 유닛(50), 스토퍼(18) 및/또는 프라이머(90)의 (축방향) 위치이다.
투여 장치(100)의 투여 상태에서, 제1 작동부(70)는 (완전히) 작동되고, 제2 작동부(80)는 (아직) 작동되지 않는다.
특히, 투여 장치(100)의 투여 상태에서, 제2 작동부(80)가 (직접) 작동, 특히 눌려질 수 있고 및/또는, 유체(11)가 제2 작동부(80)를 작동시키는 것과 별개로 추가 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구동 스프링(60)은 바람직하게는 제1 프라이머 부분(91)과 제2 프라이머 부분(92)을 서로 떨어지게 이동, 특히 밀어낸다.
해제 위치에 도달한 후, 제2 프라이머 부분(92)/메인 유닛(50)은 구동에 의해 스프링(60)에 의해 제1 프라이머 부분(91)에 대해 및/또는 특히 밖으로 밀쳐지고 및/또는 컨테이너(10)를 향해 투여 위치/상태로 이동하고, 특히 밀어내진다.
따라서, 투여 위치/상태에서, 구동 스프링(60)은 바람직하게는 덜 인장/압축되고 및/또는 더 연장되고 및/또는 스프링 챔버(93)는 초기 위치/상태 및/또는 해제 위치에 비교하여 더 길거나/덜 압축된다.
투여 위치/상태에서, 구동 스프링(60) 및/또는 스프링 챔버(93)의 길이는 초기 위치/상태 및/또는 해제 위치에 비교하여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1mm 또는 0.3mm 및/또는 최대 2mm 또는 1mm, 특히 적어도 본질적으로 0.5mm 만큼 증가된다.
바람직하게는, 투여 위치/상태에서 구동 스프링(60) 및/또는 스프링 챔버(93)의 길이는 제2 및/또는 중간 길이(L2)에 대응하고(도 9 참조), 바람직하게는 여기서 제2/중간 길이(L2)는 제1/최소 길이(L1)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은 차이 X1 및/또는 적어도 0.1mm 또는 0.3mm 및/또는 최대 2mm 또는 1mm, 특히 적어도 본질적으로 0.5mm 만큼 더 크다.
다시 말해서, 해제 위치에 도달했을 때/후에, 구동 스프링(60)은 바람직하게는 도 10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1mm 또는 0.3mm 및/또는 적어도 최대 2mm 또는 1mm, 특히 적어도 본질적으로 0.5mm 만큼 및/또는 메인 유닛(50), 특히 플런저 로드(51), 가장 바람직하게는 제1 정지부(51C)가 프레임(83B) 및/또는 제2 작동부(80)의 차단 요소(83D)에 (축방향으로) 접하거나 타격할 때까지 메인 유닛(50), 특히 플런저 로드(51)를 컨테이너(10) 내로 밀어낸다.
따라서 투여 위치에서 제2 작동부(80), 특히 제2 작동부(80)의 프레임(83B) 및/또는 차단 요소(83D)가 (축방향으로) 메인 유닛(50), 특히 플런저 로드(51), 가장 바람직하게는 그 제1 정지부(51C)와 맞물리고, 그에 의해서 메인 유닛(50)이 컨테이너(10)로 더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 스프링(60)/그 스프링력/에너지의 추가 해제/팽창 및/또는 메인 유닛(50), 특히 플런저 로드(51)의 컨테이너(10) 내로의 이동은 제2 작동부(80), 특히 프레임(83B) 및/또는 메인 유닛(50), 특히 플런저 로드(51), 가장 바람직하게는 그 제1 정지부(51C)와 축방향으로 및/또는 형태 끼워맞춤 방식으로 맞물리는 제2 작동부(80)의 차단 요소(83D)에 의해 방지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제2 작동부(80)는 투여 위치/상태에서 직접 작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플런저 로드(51)의 (단차형) 후방 부분(51B)으로 인해, 제2 작동부(80)의 로킹 요소(83E)는 투여 위치/상태에서 플런저 로드(51)와 더 이상 (방사상으로) 결합/접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한편으로는 제2 작동부(80)의 프레임(83B) 및/또는 로킹 요소(83E) 및 다른 한편으로는 메인 유닛(50)의 플런저 로드(51), 특히 그 후방 부분(51B)은 도 10에서 가장 잘 보이는 바와 같이 방사상으로 이격되어 있고, 특히 제2 작동부(80), 특히 그 버튼(84)이 투여 위치/상태에서 특히 눌려질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서, 플런저 로드(51)는 바람직하게는 제2 작동부(80)가 투여 위치/상태에서 작동되는 것, 특히 눌려지는 것을 차단하지 않는다.
제2 작동부(80)를 작동시킴으로써, 특히 버튼(84)을 누름으로써, 유체(11)의 투여가 수행될 수 있고 및/또는 메인 유닛(50) 및/또는 스토퍼(18)가 최종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제2 작동부(80), 특히 그 버튼(84)을 작동, 특히 누름으로써, 제2 작동부(80), 특히 그 제2 단부(83)는 선회축(P)을 중심으로 선회되고 및/또는 적어도 본질적으로 메인 유닛(50)에 대해 및/또는 메인 유닛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고, 특히 차단 요소(83D)가 (축방향으로) 메인 유닛(50), 특히 그 제1 정지부(51C)를 분리하도록 하고 및/또는 구동 스프링(60)/그 스프링력/에너지가 (다시) 해제 및/또는 (추가로) 메인 유닛(50), 특히 그 플런저 로드(51)를 컨테이너(10) 내로 팽창 및/또는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제2 작동부(80)는 바람직하게는 로킹 요소(83E)가 메인 유닛(50), 특히 플런저 로드(51)에 (다시) 방사상으로 접하고/결합될 때까지 작동, 특히 눌려질 수 있다. 따라서, 최종 위치/상태에서, 로킹 요소(83E)는 바람직하게는 (다시) 방사상으로 메인 유닛(50), 특히 플런저 로드(51)에 접하고/결합하여 특히 제2 작동부(80)의 추가적인 눌림을 방지한다.
도 11 및 도 12는 최종 위치/상태, 즉 제2 작동부(80)를 작동시킨 후의 투여 장치(100)를 도시한다.
최종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투여 후 (즉시) 및/또는 제2 작동부(80)를 (완전히) 작동시킨 후 및/또는 투여 장치(100)의 최종 상태에서 랙(20) 및/또는 컨테이너(10)에 대한 메인 유닛(50) 및/또는 스토퍼(18)의 (축방향) 위치이다.
투여 장치(100)의 최종 상태에서 및/또는 메인 유닛(50) 및/또는 스토퍼(18)가 최종 위치에 있을 때, 유체(11)의 투여가 수행되고, 제2 작동부(80)는 (완전히) 작동되고 및/또는 구동 스프링(60)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더) 해제된다.
최종 상태/위치에서, 메인 유닛(50), 스토퍼(18) 및/또는 제2 프라이머 부분(92)은 투여 장치(100)의 출구에 더 가깝게 및/또는 제1 작동부(70) 및/또는 제1 프라이머 부분(91)으로부터 더 멀리 배열되고 및/또는 초기 상태/위치 및/또는 투여 상태/위치에 비교하여 컨테이너(10)에 더 삽입된다.
최종 위치/상태에서, 제2 프라이머 부분(92)/메인 유닛(50)은 바람직하게는 투여 상태/위치에 비교하여 구동 스프링(60)에 의해 제1 프라이머 부분(91) 밖으로 더 이동, 특히 밀려난다.
최종 위치/상태에서, 구동 스프링(60)은 덜 인장/압축되고 및/또는 더 팽창되고 및/또는 스프링 챔버(93)는 초기 위치/상태 및/또는 투여 위치/상태에 비교하여 더 길거나/덜 압축된다.
최종 위치/상태에서, 구동 스프링(60) 및/또는 스프링 챔버(93)의 길이는 투여 위치/상태에 비교하여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 mm 또는 2 mm 및/또는 최대 10 mm 또는 8 mm, 특히 적어도 본질적으로 5 mm 만큼 증가된다.
바람직하게는, 최종 위치/상태에서 구동 스프링(60) 및/또는 스프링 챔버(93)의 길이는 제3 및/또는 최종 길이(L3)에 대응하고(도 11 참조), 바람직하게는 여기서 제3/최종 길이(L3)는 바람직하게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차이 X2 및/또는 적어도 1mm 또는 2mm 및/또는 최대 10mm 또는 8mm, 특히 적어도 본질적으로 5mm 만큼 제1/최소 길이(L1) 및/또는 제2/중간 길이(L2)보다 더 크다.
다시 말해서, 제2 작동부(80)를 작동시킬 때, 구동 스프링(60)은 바람직하게는 메인 유닛(50), 특히 플런저 로드(51)를 컨테이너(10) 내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mm 또는 2mm 및/또는 적어도 최대 10mm 또는 8mm, 특히 적어도 본질적으로 5mm 만큼 및/또는 메인 유닛(50), 특히 플런저 로드(51), 가장 바람직하게는 제2 정지부(51D)가 프레임(83B) 및/또는 제2 작동부(80)의 차단 요소(83D)에 (축방향으로) 접대/타격할 때까지 밀어내어, 특히 메인 유닛(50)이 컨테이너(10) 내로 추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구동 스프링(60)/그 스프링력/에너지는 제1 작동부(70)를 작동, 특히 회전시킴으로써 적어도 부분적으로 팽창/해제 가능하고 제2 작동부(80)를 작동, 특히 누름으로써 적어도 부분적으로 팽창/해제 가능하다.
따라서, 사전인장된 구동 스프링(60)에 저장된 에너지는 바람직하게는 2단계로 및/또는 제1 작동부(70) 및 이어서 제2 작동부(80)를 작동시킴으로써 해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투여 장치(100)의 사용성이 개선되고 초기 상태/위치에서 투여 상태/위치 및 최종 상태/위치로의 전이가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메인 유닛(50)의 축방향 이동은 투여 위치/상태 및 최종 위치/상태 모두에서 제2 작동부(80), 특히 그 차단 요소(83D)에 의해 제한된다.
프라이밍 및 투여 후에 메인 유닛(50)의 축방향 이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동일한) 차단 요소(83D)의 사용은 투여량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그에 따라 제조 공정의 요구사항을 최소화한다.
최종 위치/상태에서, 제2 작동부(80)의 위치 및/또는 회전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메인 유닛(50), 특히 플런저 로드(51)와 결합/접하는 프레임(83B)에 의해 도 12에서 아래 및 위에서 양쪽으로부터 (다시) 적어도 본질적으로 고정되고 및/또는 제한된다.
특히, 제2 작동부(80)의 위치 및/또는 회전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메인 유닛(50), 특히 플런저 로드(51)와 도 12의 일 측으로부터 아래로부터 결합/접하는 로킹 요소(83E)에 의해 그리고 메인 유닛(50), 특히 플런저 로드(51)와 도 12의 다른 측으로부터 위로부터 결합/접하는 차단 요소(83D)에 의해 최종 상태/위치에서 적어도 본질적으로 고정 및/또는 제한된다.
이제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메인 유닛(50)와 인디케이터 부(40) 사이의 기계적 상호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초기 상태의 투여 장치(100)의 부분 사시 단면도이다. 도 14는 투여 상태에 있는 투여 장치(100)의 부분 사시 단면도이다. 도 15는 최종 상태의 투여 장치(100)의 부분 사시 단면도이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메인 유닛(50), 특히 그 중간부(52), 가장 바람직하게는 핀(52A/52B)은 가장 바람직하게는 투여 위치/상태에 도달한 후 및/또는 투여 위치/상태로부터 최종 위치/상태로 이동하는 동안에만 인디케이터 부(40), 특히 그 축방향 개구(41A/41B) 및/또는 슬롯/표면(42A/42B) 안으로 나선형으로 방사상으로 돌출하고 및/또는 축방향으로 맞물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투여 위치에 도달할 때 메인 유닛(50), 특히 그 핀(52A/52B)의 축방향 이동은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특히 메인 유닛(50), 특히 그 중간부(52) 주위 및/또는 그에 대한 인디케이터 부(40)의 회전을 야기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인디케이터 부(40)의 회전 각도는 메인 유닛(50)의 축방향 위치와 상관관계가 있다.
메인 유닛(50)의 표시 수단, 특히 핀(52A/52B) 모두 및 인디케이터 부(40), 특히 그 표시 수단(43)은 외부에서 및/또는 케이싱 창(36)을 통해 보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메인 유닛(50)의 표시 수단, 특히 핀(52A/52B)은 바람직하게는 세장형 케이싱 창(36) 내에서, 특히 케이싱 창(36)의 한 단부에서 다른 단부로 축방향으로 이동한다(도 13 내지 도 15 상단 아래에서).
메인 유닛(50)의 표시 수단의 위치, 특히 케이싱 창(36) 내의 핀(52A/52B)의 위치는 메인 유닛(50) 및/또는 스토퍼(18)의 축방향 위치, 특히 초기 위치, 해제 위치, 투여 위치 및/또는 최종 위치를 직접적으로 표시한다.
케이싱(30), 특히 케이싱 창(36)에는 초기 위치, 해제 위치, 투여 위치 및/또는 최종 위치에 해당하는 라벨, 마크 등이 설비되어, 특히 라벨, 마크 등에 대한 메인 유닛(50)의 표시 수단의 위치는 핀(52A/52B), 메인 유닛(50) 및/또는 스토퍼(18)의 위치를 나타낸다.
인디케이터 부(40), 특히 그 표시 수단(43)은 바람직하게는 (세장형) 케이싱 창(36)의 길이방향 연장부에 대해 실질적으로 가로방향으로 이동하여 바람직하게는 특히 초기 위치, 해제 위치, 투여 위치 및/또는 최종 위치에 있는 투여 장치(100)의 상태 및/또는 메인 유닛(50) 및/또는 스토퍼(18)의 축방향 위치를 표시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인디케이터 부(40), 특히 표시 수단(43)은 특히 최종 상태/위치에 도달할 때 투여 장치(100)의 상태 및/또는 메인 유닛(50) 및/또는 스토퍼(18)의 축방향 위치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 수단(43)은 최종 위치/상태에 도달할 때 케이싱 창(36) 내로 실질적으로 가로방향으로 이동하는, 바람직하게는 대조 색상의 세장형 마크로서 구체화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성이 향상되고 및/또는 투여 장치(100)의 상태에 대한 가능한 오해로 인한 오용 위험이 감소된다.
또한, 인디케이터 부(40)는 특히 케이싱 창(36)을 통해 투여 장치(100)로의 가시성을 제한함으로써, 사용자/의사의 주의를 인디케이터 부(40) 및/또는 특히 메인 유닛(50)의 표시 수단, 특히 핀(52A/52B)에 집중시킨다.
투여 장치(100)를 작동시키는 바람직한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다음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수동으로) 특히 작동 기구의 리드스크류에 의해, 가장 바람직하게는 제1 작동부(70)의 나사산(76)과 상호작용하는 프라이머(90)의 나사산(94)에 의해, 제1 작동부(70)를 작동, 특히 회전시켜. 메인 유닛(50), 스토퍼(18), 구동 스프링(60) 및/또는 프라이머(90)를 랙(20) 및/또는 컨테이너(10)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및/또는
(수동으로) 특히 메인 유닛(50)의 해제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제1 작동부(70)를 작동, 특히 회전시켜, 제2 프라이머 부분(92), 특히 나사산 부분(92E)을 해제하고, 및/또는 구동 스프링(60)/스프링력을 부분적으로 연장/해제하여, 특히 제1 프라이머 부분(91)과 제2 프라이머 부분(92)이 구동 스프링(60)에 의해 서로 떨어져 이동되도록 하고 및/또는 프라이밍의 종료가 자동으로 및/또는 구동 스프링(60)의 스프링력/에너지에 의해 완료되도록 하고, 및/또는
(수동으로) 제2 작동부(80), 특히 그 버튼(84)을 작동, 특히 누름으로써, 메인 유닛(50)으로부터 제2 작동부(80)의 차단 요소(83D)를 (축방향으로) 분리하고 및/또는 구동 스프링(60)/스프링력을 (다시) 적어도 부분적으로 (더) 연장/해제하여, 특히 메인 유닛(50) 및/또는 스토퍼(18)가 자동으로 및/또는 구동 스프링(60)의 스프링력/에너지에 의해 투여 위치에서 최종 위치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투여 장치(100)는 안과용 주사에 적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투여 장치(100)는 안과용 주사에 적합하고, 그에 따라 적절하게 작은 용적을 갖는다.
투여 장치(100), 특히 컨테이너(10)는 또한 실리콘이 없거나 실질적으로 실리콘이 없을 수 있거나 윤활제로서 낮은 수준의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투여 장치(100) 및/또는 컨테이너(10)는 USP789의 요건을 충족할 수 있다.
투여 장치(100), 특히 컨테이너(10)는 임의의 적합한 주사 가능한 유체/액체/약물(11)로 채워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투여 장치(100), 특히 컨테이너(10)는 유체(11), 특히 안구 질환의 치료에 적합한 활성제를 포함하는 주사 가능한 약제로 채워진다. 이러한 안구 질환의 예에는 맥락막 혈관신생, 연령 관련 황반 변성(AMD, 습식 및 건식 형태 둘 다), 분지 RVO(bRVO) 및 중심 RVO(cRVO)를 모두 포함하는 망막 정맥 폐색(RVO)에 이차적인 황반 부종, 병적 근시(PM), 당뇨병성 황반 부종(DME), 당뇨병성 황반 허혈(DMI)에 이차적인 맥락막 혈관신생, 지도형 위축, 당뇨병성 망막병증 및 증식성 망막병증이 포함된다.
일 실시예에서, 유체(11), 특히 주사용 약제는 생물학적 활성 성분을 포함한다. 생물학적 활성 성분은 항체(또는 이의 단편) 또는 비항체 단백질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체(11), 특히 주사 가능한 약제는 VEGF 길항제, 다중-특이적 항-VEGF/Ang2 항체 또는 그 단편, 다중-특이적 항-VEGF/AngPT2 항체 또는 그 단편, 다중-특이적 항-VEGF/TrkB 작용제 또는 다중특이적 항-VEGF/APL-2 보체 C3 억제제, 예컨대 래니비주맵(ranibizumab), 베바시주맵(bevacizumab), 아플리버셉(aflibercept), 브로루시주맵(brolucizumab), 콘버셉(conbercept)(KH902) 및 관련 당형 KH906, 파리시냅(faricinab) 또는 파조파닙(pazopanib)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개별 양태 및 특징 및 개별 방법 단계 및/또는 방법 변형은 서로 독립적으로, 또한 임의의 조합 및/또는 순서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또한 독립적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또한 전술한 임의의 양태와 조합하여 실현될 수 있는 하기 양태들 중 임의의 양태에 관한 것이다:
1. 특히 유체(11)의 유리체내 투여를 위한 투여 장치(100)로서, 상기 투여 장치(100)가:
상기 유체(11)를 포함하는 컨테이너(10)가 랙(20)에 의해 유지될 수 있는 상기 랙(20), 및
상기 컨테이너(10)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열된 스토퍼(18)에 작용하는 메인 유닛(50), 상기 메인 유닛(50)에 작용하는 구동 스프링(60), 제1 작동부(70) 및 제2 작동부(80)를 포함하는 작동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작동부(70) 및 상기 제2 작동부(80)는 상기 랙(20)에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는, 상기 투여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작동 기구는 리드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작동부(70)는 상기 메인 유닛(50)과 상기 구동 스프링(60)을 상기 리드스크류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회전 가능하고,
상기 구동 스프링(60)은 상기 제1 작동부(70)의 작동에 의해 부분적으로 해제 가능하고, 상기 제2 작동부(80)의 작동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제/팽창 가능하고, 및/또는
상기 제1 작동부(70)는 상기 메인 유닛(50) 및/또는 상기 구동 스프링(60)을 초기 위치에서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작동될 수 있으며, 상기 작동 기구는 상기 메인 유닛(50) 및/또는 상기 구동 스프링(60)이 상기 초기 위치에서 상기 해제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구동 스프링(60)의 해제를 방지하고 상기 해제 위치에 도달했을 때 상기 구동 스프링(60)을 부분적으로 해제하도록 구성된 고정 요소(77)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제2 작동부(80)는 상기 구동 스프링(6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제하고 상기 메인 유닛(50)을 투여 위치에서 최종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작동될 수 있고, 상기 작동 기구는 상기 투여 위치 및 상기 최종 위치 모두에서 상기 메인 유닛(50)을 축방향으로 차단하도록 구성된 차단 요소(83D)를 포함하고,
상기 투여 장치(100)는 상기 투여 장치(100)의 상태 및/또는 상기 메인 유닛(50)의 축방향 위치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 부(indicator part;40)를 포함하고, 상기 인디케이터 부(40)는 상기 메인 유닛(50)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여 장치.
2. 바람직하게는 제1양태에 있어서,
상기 작동 기구는 상기 투여 장치(100)의 프라이밍 동안 및/또는 상기 제1 작동부(70)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메인 유닛(50)을 초기 위치에서 투여 위치로 이동시키고, 및 상기 유체(11)의 후속 투여 동안 및/또는 상기 제2 작동부(80)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투여 위치에서 최종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여 장치.
3. 바람직하게는 제1양태 또는 제2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작동부(70)는 상기 메인 유닛(50) 및/또는 상기 구동 스프링(60)을 상기 초기 위치에서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해제 위치에서 상기 구동 스프링(60)이 부분적으로 해제되어, 상기 메인 유닛(50)이 상기 구동 스프링(60)에 의해 특히 자동으로 및/또는 단독으로 상기 해제 위치에서 상기 투여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여 장치.
4. 바람직하게는 제1양태 내지 제3양태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작동부(70)는 한 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고 및/또는 상기 투여 장치(100)는 상기 제1 작동부(70)를 위한 역회전 로킹부(back-rotation lock), 특히 래칫을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투여 장치(100)는 상기 메인 유닛(50)을 위한 복귀 로킹부(return lock), 특히 래칫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여 장치.
5. 바람직하게는 제1양태 내지 제4양태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작동 기구가 상기 랙(20)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프라이머(90)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프라이머(90)가 제1 프라이머 부분(91) 및 제2 프라이머 부분(92)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프라이머 부분(91)과 상기 제2 프라이머 부분(92)은 축방향으로 서로 해제 가능하게 연결되고 및/또는 상기 제2 프라이머 부분(92)은 상기 메인 유닛(50), 특히 그 단부 부분(53)에 연결되거나 이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여 장치.
6. 바람직하게는 제5양태에 있어서,
상기 구동 스프링(60)이 상기 프라이머(90)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되고 및/또는 상기 프라이머(90), 특히 상기 제1 프라이머 부분(91), 상기 제2 프라이머 부분(92) 및/또는 상기 구동 스프링(60)은 적어도 상기 투여 장치(100)의 초기 상태에서 상기 제1 작동부(70)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되고 및/또는 상기 구동 스프링(60)이 상기 제1 프라이머 부분(91)과 상기 제2 프라이머 부분(92)을 서로 떨어지게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여 장치.
7. 바람직하게는 제5양태 또는 제6양태에 있어서,
상기 작동 기구가 리드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작동부(70) 및 상기 프라이머(90), 특히 상기 제1 프라이머 부분(91) 및 상기 제2 프라이머 부분(92)이 상기 리드스크류에 의해 서로 이동 가능하게 상호 작용하고, 및/또는 상기 제1 작동부(70)는 상기 프라이머(90), 특히 상기 제1 프라이머 부분(91) 및 상기 제2 프라이머 부분(92), 및/또는 상기 구동 스프링(60)을, 특히 함께 및/또는 하나의 유닛으로서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여 장치.
8. 바람직하게는 제5양태 내지 제7양태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90), 특히 상기 제1 프라이머 부분(91) 및 상기 제2 프라이머 부분(92)이 특히 수나사(94)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작동부(70)는 특히 암나사(76)를 포함하고, 상기 프라이머(90)의 나사산(94) 및 상기 제1 작동부(70)의 나사산(76)이 서로 상호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여 장치.
9. 바람직하게는 제1양태 내지 제8양태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작동부(70)는 고정 요소(77)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요소(77)는 특히 암나사(76)으로 구현되고 및/또는 상기 해제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만 상기 제1 프라이머 부분(91)과 상기 제2 프라이머 부분(92)을 함께 축방향으로 유지하고, 및/또는 상기 고정 요소(77)는 상기 제1 작동부(70)를 작동시켜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여 장치.
10. 바람직하게는 제1양태 내지 제9양태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2 작동부(80)는 프레임(83B)을 포함하거나 형성하고, 상기 메인 유닛(50), 특히 그 플런저 로드(51)는 상기 프레임(83B)을 통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여 장치.
11. 바람직하게는 제1양태 내지 제10양태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2 작동부(80), 특히 상기 프레임(83B)은 차단 요소(83D)를 포함하거나 형성하고, 상기 차단 요소(83D)는 상기 제1 작동부(70)에 의해 상기 구동 스프링(60)을 부분적으로 해제한 후 및/또는 상기 투여 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메인 유닛(50)을 축방향으로 차단하도록 구성되고 및/또는 상기 차단 요소(83D)는 상기 제2 작동부(80)에 의해 상기 구동 스프링(6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제한 후 및/또는 상기 최종 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메인 유닛(50)을 축방향으로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여 장치.
12. 바람직하게는 제1양태 내지 제11양태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메인 유닛(50), 특히 그 플런저 로드(51)는 제1 정지부(51C) 및/또는 제2 정지부(51D)를 포함하거나 형성하고, 상기 차단 요소(83D)는 상기 투여 위치에서 및/또는 프라이밍 완료 후 상기 제1 정지부(51C)와 축방향으로 맞물리도록 및/또는 상기 투여를 완료한 후 및/또는 상기 최종 위치에서 상기 제2 정지부(51D)와 축방향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여 장치.
13. 바람직하게는 제1양태 내지 제12양태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메인 유닛(50), 특히 그 중간부(52)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 수단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시 수단이 상기 투여 장치(100)의 외부에서 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여 장치.
14. 바람직하게는 제1양태 내지 제13양태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 부(40)가 적어도 하나의 나선형 슬롯 및/또는 표면(42A, 42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여 장치.
15. 바람직하게는 제13양태 및 제14양태에 있어서,
상기 메인 유닛(50)은 상기 슬롯 및/또는 표면(42A, 42B) 내로 방사상으로 돌출하고 및/또는 축방향으로 결합하여 상기 메인 유닛(50)의 축방향 이동이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유닛(50)이 상기 투여 위치에서 상기 최종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에만 상기 인디케이터 부(40)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여 장치.
16. 특히 유체(11)의 유리체내 투여를 위한 투여 장치(100), 바람직하게는 제1양태 내지 제15양태 중 어느 한 양태에 따른 투여 장치(100)로서,
유체(11)를 포함하는 컨테이너(10)가 랙(20)에 의해 유지될 수 있는 랙(20), 및
컨테이너(10)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열된 스토퍼(18)에 작용하는 메인 유닛(50), 바람직하게는 메인 유닛(50)에 작용하는 예압/압축 구동 스프링(60), 제1 작동부(70) 및 제2 작동부(80)를 포함하는 작동 기구를 포함하는 상기 투여 장치(100)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작동부(70)와 제2 작동부(80)는 랙(20)에 이동가능하게 부착되고,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제1 작동부(70)는 랙(20)에 축방향으로 고정되고 및/또는 랙(20)에 대해 (수동으로) 회전 가능하며,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제2 작동부(80)는 랙(20)에 방사상/측방향으로 부착되고 및/또는 랙(20)에 대해 (수동으로) 선회/눌려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 작동 기구는 리드스크류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제1 작동부(70) 및 메인 유닛(50)은 서로 (직접) 이동가능하게 상호작용하고 및/또는 리드스크류에 의해 서로 (직접)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및/또는 제1 작동부(70)는 메인 유닛(50) 및/또는 (압축된) 구동 스프링(60)을 리드스크류에 의해, 특히 초기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수동으로) 회전 가능하고,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구동 스프링(60)/그 스프링력/에너지는 제1 작동부(70)를 작동시킴으로써 부분적으로 해제/팽창 가능하고 제2 작동부(80)를 작동시킴으로써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제/팽창 가능하고,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제1 작동부(70)는 메인 유닛(50) 및/또는 (압축된) 구동 스프링(60)을 초기 위치에서 해제 위치로 및/또는 리드스크류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특히 랙(20)에 대해 (수동으로) 작동, 회전될 수 있고, 및/또는
바람직하게 작동 기구는 메인 유닛(50) 및/또는 (압축된) 구동 스프링(60)의 초기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구동 스프링(60)의 해제를 방지하고 및/또는 해제 위치에 도달할 때 구동 스프링(60)을 해제하도록 구성된 고정 요소(77)를 포함하고,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해제 위치에서 및/또는 해제 위치에 도달할 때/후에, 구동 스프링(60)은 바람직하게는 축방향으로 및/또는 해제 위치에서 투여 위치로 및/또는 메인 유닛(50)이 특히 투여 장치(100)가 프라이밍되도록 제2 작동부(80)의 차단 요소(83D)에 (축방향으로) 접하고/충격할 때까지 메인 유닛(50)을 이동/밀어내고,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제2 작동부(80)는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고, 특히 (케이싱(30) 내로) 눌려져서, 제2 작동부(80), 특히 그 차단 요소(83D)가 (축방향으로) 메인 유닛(50), 특히 제1 정지부(51C)를 분리하도록 하고, 및/또는 구동 스프링(60)이 (다시) 해제되고 및/또는 투여 위치에서 최종 위치로, 특히 자동으로, 메인 유닛(50)을 (더) 팽창 및/또는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바람직하게는 그에 의해 유체(11)를 배출하고, 및/또는
바람직하게 작동 기구는 투여 위치와 최종 위치 모두에서 메인 유닛(50)을 축방향으로 차단하도록 구성된 차단 요소(83D)를 포함하고,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투여 장치(100)는 투여 장치(100)의 상태 및/또는 메인 유닛(50)의 축방향 위치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 부(40)를 포함하고, 인디케이터 부(40)는 메인 유닛(50)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회전 가능한 투여 장치.
17. 특히 유체(11)의 유리체내 투여를 위한 투여 장치(100), 바람직하게는 제1양태 내지 제16양태 중 어느 한 양태에 따른 투여 장치(100)로서,
유체(11)를 포함하는 컨테이너(10)가 랙(20)에 의해 유지될 수 있는 랙(20), 및
컨테이너(10)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열된 스토퍼(18)에 작용하는 메인 유닛(50), 바람직하게는 메인 유닛(50)에 작용하는 예압/압축 구동 스프링(60), 제1 작동부(70) 및 제2 작동부(80)를 포함하는 작동 기구를 포함하는, 상기 투여 장치(100)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작동부(70)와 제2 작동부(80)는 랙(20)에 이동가능하게 부착되고,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제1 작동부(70)는 랙(20)에 축방향으로 고정되고 및/또는 랙(20)에 대해 (수동으로) 회전 가능하며,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제2 작동부(80)는 랙(20)에 방사상/측방향으로 부착되고 및/또는 랙(20)에 대해 (수동으로) 선회/누를 수 있고,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제1 작동부(70)는 초기 위치에서 해제 위치로 및/또는 메인 유닛(50)과 제1 작동부(70) 사이의 리드스크류 및/또는 나선형 트랙 맞물림에 의해, 메인 유닛(50) 및 (압축된) 구동 스프링(60)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특히 랙(20)에 대해 (수동으로) 작동, 특히 회전될 수 있고, 및/또는
바람직하게 작동 기구는 메인 유닛(50) 및 (압축된) 구동 스프링(60)이 초기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구동 스프링(60)의 해제를 방지하고 해제 위치에 도달할 때 구동 스프링(60)을 해제하도록 구성된 고정 요소(77)를 포함하고,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해제 위치에서 및/또는 해제 위치에 도달할 때/후에, 구동 스프링(60)은 바람직하게는 축방향으로 및/또는 해제 위치에서 투여 위치로 및/또는 메인 유닛(50)이 특히 투여 장치(100)가 프라이밍되도록 제2 작동부(80)의 차단 요소(83D)에 (축방향으로) 접하고/타격할 때까지 메인 유닛(50)을 이동/밀어내고,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제2 작동부(80)는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고, 특히 (케이싱(30) 내로) 눌려져서, 제2 작동부(80), 특히 그 차단 요소(83D)가 (축방향으로) 메인 유닛(50), 특히 제1 정지부(51C)를 분리하도록 하고, 및/또는 구동 스프링(60)이 (다시) 해제되고 및/또는 투여 위치에서 최종 위치로, 특히 자동으로, 메인 유닛(50)을 (더) 팽창 및/또는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바람직하게는 그에 의해 유체(11)를 투여하는 투여 장치.
100 투여 장치
10 컨테이너
11 유체
12 주 본체
13: 제1 축방향 단부(컨테이너)
14 제2 축방향 단부(컨테이너)
15 로킹부
16 커넥터
17 캡
18 스토퍼
19 바늘
20 랙
21 마운트
21A 소켓(랙)
21B 리테이너
22 프레임(랙)
22A 리셉터클(랙)
22B 축방향 개구(랙)
22C 유지 요소
22D 역회전 정지부(랙)
22E 작동 정지부
22F 바닥(랙)
22G 개구(랙)
22H 제1 리세스
22J 제2 리세스
23 선회 핀
24 복귀 정지부(랙)
30 케이싱
31 제1 케이싱부
32 제2 케이싱부
33 제1축방향 개구(케이싱)
34 축방향 개방부(케이싱)
35: 방사상 개구(케이싱)
36 케이싱 창
40 인디케이터 부
41A 제1축방향 개구(인디케이터 부)
41B 제2축방향 개구(인디케이터 부)
42A 제1 나선형 슬롯
42B 제2 나선형 슬롯
43: 표시 수단
50 메인 유닛
51 플런저 로드
51A 전방 부분
51B 후방 부분
51C 제1 정지부
51D 제2 정지부
51E 복귀 정지부(메인 유닛)
52: 중간부
52A 제1 핀
52B 제2 핀
53: 단부 부분(메인 유닛)
60 구동 스프링
70 제1 작동부
71 핸들
72 칼라
73 커넥터(제1 작동부)
74: 역회전 정지부(제1 작동부)
75 리셉터클(제1 작동부)
76 나사산
77 고정 요소
80 제2 작동부
81소켓(제2 작동부)
82: 제1 단부(제2 작동부)
83: 제2 단부(제2 작동부)
83A 작동 스프링
83B 프레임(제2 작동부)
83C 구멍
83D 차단 요소
83E 로킹 요소
84 버튼
85 스페이서
90 프라이머
91 제1 프라이머 부분
91A 바닥(제1 프라이머 부분)
91B 벽(제1 프라이머 부분)
91C 스프링 시트(제1 프라이머 부분)
91D 스프링 핀(제1 프라이머 부분)
91E 나사부(제1 프라이머 부분)
91F 슬롯(제1 프라이머 부분)
91G 홈(제1 프라이머 부분)
92 제2 프라이머 부분
92A 바닥(제2 프라이머 부분)
92B 벽(제2 프라이머 부분)
92C 스프링 시트(제2 프라이머 부분)
92E 나사부(제2 프라이머 부분)
92G 리지 (제2 프라이머 부분)
93 스프링 챔버
94 나사산
A 주축
D 거리
L1 제1 길이
L2 제2 길이
L3 제3 길이
P 선회축
R 회전축
X1 차이
X2 차이

Claims (20)

  1. 특히 유체(11)의 유리체내 투여를 위한 투여 장치(100)로서, 상기 투여 장치(100)가:
    상기 유체(11)를 포함하는 컨테이너(10)가 랙(20)에 의해 유지될 수 있는 상기 랙(20), 및
    상기 컨테이너(10)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열된 스토퍼(18)에 작용하는 메인 유닛(50), 상기 메인 유닛(50)에 작용하는 구동 스프링(60), 제1 작동부(70) 및 제2 작동부(80)를 포함하는 작동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작동부(70) 및 상기 제2 작동부(80)는 상기 랙(20)에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제1 작동부(80)는 상기 랙(20)에 축방향으로 고정되고 상기 랙(20)에 대해 회전 가능한, 상기 투여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작동 기구는 리드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작동부(70)와 상기 메인 유닛(50)은 상기 리드스크류에 의해 서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 작동부(70)는 상기 메인 유닛(50)과 상기 구동 스프링(60)을 상기 리드스크류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회전 가능하고,
    상기 구동 스프링(60)은 상기 제1 작동부(70)의 작동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제/팽창 가능하고, 상기 제2 작동부(80)의 작동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제/팽창 가능하고, 및/또는
    상기 제1 작동부(70)는 상기 메인 유닛(50)과 상기 구동 스프링(60)을 초기 위치에서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작동될 수 있으며, 상기 작동 기구는 상기 메인 유닛(50) 및 상기 구동 스프링(60)이 상기 초기 위치에서 상기 해제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구동 스프링(60)의 해제/팽창을 방지하고 상기 해제 위치에 도달했을 때 상기 구동 스프링(6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제/팽창하도록 구성된 고정 요소(77)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제2 작동부(80)는 상기 구동 스프링(6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제/팽창하고 상기 메인 유닛(50)을 투여 위치에서 최종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작동될 수 있고, 상기 작동 기구는 상기 투여 위치 및 상기 최종 위치 모두에서 상기 메인 유닛(50)을 축방향으로 차단하도록 구성된 차단 요소(83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여 장치.
  2. 바람직하게는 제1항에 따른 유체(11)의 특히 유리체내 투여를 위한 투여 장치(100)로서, 상기 투여 장치(100)가:
    상기 유체(11)를 포함하는 컨테이너(10)가 랙(20)에 의해 유지될 수 있는, 상기 랙(20), 및
    상기 컨테이너(10)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열된 스토퍼(18)에 작용하는 메인 유닛(50), 상기 메인 유닛(50)에 작용하는 구동 스프링(60), 제1 작동부(70) 및 제2 작동부(80)를 포함하는 작동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작동부(70)와 상기 제2 작동부(80)는 상기 랙(20)에 이동가능하게 부착되는, 상기 투여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투여 장치(100)는 상기 투여 장치(100)의 상태 및/또는 상기 메인 유닛(50)의 축방향 위치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 부(indicator part;40)를 포함하고, 상기 인디케이터 부(40)는 상기 메인 유닛(50)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여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기구는 상기 투여 장치(100)의 프라이밍 동안 및/또는 상기 제1 작동부(70)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메인 유닛(50)을 초기 위치에서 투여 위치로 이동시키고, 및 상기 유체(11)의 후속 투여 동안 및/또는 상기 제2 작동부(80)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메인 유닛(50)을 상기 투여 위치에서 최종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여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작동부(70)는 상기 메인 유닛(50) 및/또는 상기 구동 스프링(60)을 상기 초기 위치에서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해제 위치에서 상기 구동 스프링(60)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제/팽창되어, 상기 메인 유닛(50)이 상기 해제 위치에서 상기 투여 위치로 이동하고 및/또는 상기 메인 유닛(50)이 (축방향으로) 상기 구동 스프링(60)에 의해 특히 자동으로 및/또는 단독으로 상기 제2 작동부(80)의 차단 요소(83D)를 접대(abut)/타격(hit)할 때까지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여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작동부(70)는 한 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고 및/또는 상기 투여 장치(100)는 상기 제1 작동부(70)를 위한 역회전 로킹부(back-rotation lock), 특히 래칫을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투여 장치(100)는 상기 메인 유닛(50)을 위한 복귀 로킹부(return lock), 특히 래칫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여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기구가 상기 랙(20)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프라이머(90)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프라이머(90)가 제1 프라이머 부분(91) 및 제2 프라이머 부분(92)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프라이머 부분(91)과 상기 제2 프라이머 부분(92)은 축방향으로 서로 해제 가능하게 연결되고 및/또는 상기 제2 프라이머 부분(92)은 상기 메인 유닛(50), 특히 그 단부 부분(53)에 연결되거나 이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스프링(60)이 상기 프라이머(90)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되고 및/또는 상기 프라이머(90), 특히 상기 제1 프라이머 부분(91), 상기 제2 프라이머 부분(92) 및/또는 상기 구동 스프링(60)은 적어도 상기 투여 장치(100)의 초기 상태에서 상기 제1 작동부(70)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되고 및/또는 상기 구동 스프링(60)이 상기 제1 프라이머 부분(91)과 상기 제2 프라이머 부분(92)을 서로 떨어지게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여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기구가 리드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작동부(70) 및 상기 프라이머(90), 특히 상기 제1 프라이머 부분(91) 및 상기 제2 프라이머 부분(92)이 상기 리드스크류에 의해 서로 이동 가능하게 상호 작용하고, 및/또는 상기 제1 작동부(70)는 상기 프라이머(90), 특히 상기 제1 프라이머 부분(91) 및 상기 제2 프라이머 부분(92), 및/또는 상기 구동 스프링(60)을, 특히 함께 및/또는 하나의 유닛으로서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여 장치.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90), 특히 상기 제1 프라이머 부분(91) 및 상기 제2 프라이머 부분(92)이 특히 수나사(94)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작동부(70)는 특히 암나사(76)를 포함하고, 상기 프라이머(90)의 나사산(94) 및 상기 제1 작동부(70)의 나사산(76)이 서로 상호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여 장치.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라이머 부분(91)과 상기 제2 프라이머 부분(92)이 회전식으로 서로 결합하여 상기 제1 프라이머 부분(91)과 상기 제2 프라이머 부분(92)이 특히 적어도 상기 투여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서로에 대해 회전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여 장치.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라이머 부분(91)과 상기 제2 프라이머 부분(92)은 상기 투여 위치에 도달할 때 특히 상기 제1 프라이머 부분(91)과 상기 제2 프라이머 부분(92)이 서로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식으로 서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여 장치.
  12. 제6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 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제1 프라이머 부분(91)이 상기 구동 스프링(60)에 의해,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프라이머 부분(91)과 상기 제2 프라이머 부분(92)이 다시 서로 맞물릴 때까지 및/또는 상기 제1 프라이머 부분(91)이 상기 제2 프라이머 부분(92)의 해당 정지부를 타격할 때까지 상기 제1 작동부(70) 내로 및/또는 이를 향하여 이동, 특히 다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여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작동부(70)는 고정 요소(77)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요소(77)는 특히 암나사(76)으로 구현되고 및/또는 상기 해제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만 상기 제1 프라이머 부분(91)과 상기 제2 프라이머 부분(92)을 함께 축방향으로 유지하고, 및/또는 상기 고정 요소(77)는 상기 제1 작동부(70)를 작동시켜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여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작동부(80)는 프레임(83B)을 포함하거나 형성하고, 상기 메인 유닛(50), 특히 그 플런저 로드(51)는 상기 프레임(83B)을 통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여 장치.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작동부(80), 특히 상기 프레임(83B)은 차단 요소(83D)를 포함하거나 형성하고, 상기 차단 요소(83D)는 상기 제1 작동부(70)에 의해 상기 구동 스프링(6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제/팽창한 후 및/또는 상기 투여 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메인 유닛(50)을 축방향으로 차단하도록 구성되고 및/또는 상기 차단 요소(83D)는 상기 제2 작동부(80)에 의해 상기 구동 스프링(6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제/팽창한 후 및/또는 상기 최종 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메인 유닛(50)을 축방향으로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여 장치.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메인 유닛(50), 특히 그 플런저 로드(51)는 제1 정지부(51C) 및/또는 제2 정지부(51D)를 포함하거나 형성하고, 상기 차단 요소(83D)는 상기 투여 위치에서 및/또는 프라이밍 완료 후 상기 제1 정지부(51C)와 축방향으로 맞물리도록 및/또는 상기 투여를 완료한 후 및/또는 상기 최종 위치에서 상기 제2 정지부(51D)와 축방향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여 장치.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작동부(80)는 작동될 수 있고, 특히 눌려져서, 상기 제2 작동부(80), 특히 그 차단 요소(83D)가 상기 메인 유닛(50), 특히 그 제1 정지부(51C)를 분리하고, 및/또는 상기 구동 스프링(60)이 (다시) 해제되고 및/또는 상기 메인 유닛(50)을 (더) 팽창하고 및/또는 상기 투여 위치로부터 상기 최종 위치로, 특히 자동적으로 이동시키고, 바람직하게는 그에 의해 상기 유체(11)를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여 장치.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유닛(50), 특히 그 중간부(52)는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호형 표시 수단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시 수단이 상기 인디케이터 부(40) 위로 연장되고 및/또는 상기 투여 장치(100)의 외부에서 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여 장치.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 부(40)가 적어도 하나의 나선형 또는 경사 슬롯 및/또는 표면(42A, 42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여 장치.
  20. 제18항 및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유닛(50)은 상기 슬롯 및/또는 표면(42A, 42B) 내로 방사상으로 돌출하고 및/또는 축방향으로 결합하여 상기 메인 유닛(50)의 축방향 이동이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유닛(50)이 상기 투여 위치에서 상기 최종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에만 상기 인디케이터 부(40)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여 장치.
KR1020237013997A 2020-10-30 2021-10-29 유체의 특히 유리체내 투여를 위한 투여 장치 KR202300981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205001.9 2020-10-30
EP20205001 2020-10-30
PCT/EP2021/080118 WO2022090463A1 (en) 2020-10-30 2021-10-29 Administration device for in particular intravitreal administration of a flui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8171A true KR20230098171A (ko) 2023-07-03

Family

ID=73043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3997A KR20230098171A (ko) 2020-10-30 2021-10-29 유체의 특히 유리체내 투여를 위한 투여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230390109A1 (ko)
EP (1) EP4237043A1 (ko)
JP (1) JP2023550281A (ko)
KR (1) KR20230098171A (ko)
CN (1) CN116583314A (ko)
AU (1) AU2021369609A1 (ko)
CA (1) CA3193701A1 (ko)
CL (1) CL2023001011A1 (ko)
MX (1) MX2023004995A (ko)
TW (1) TW202233140A (ko)
WO (1) WO2022090463A1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69350A1 (en) 2004-09-30 2006-03-30 Buenger David R Medical syringe injector pen
JP5324656B2 (ja) * 2008-10-01 2013-10-23 エス・ホー・エル・グループ・アクチボラゲット 渦巻きバネにより駆動する薬剤送達装置
US20100231102A1 (en) 2009-03-16 2010-09-16 Peter Block Stowable and releasably securable mobile structure
NZ606471A (en) * 2010-07-02 2015-01-30 Itero Biopharmaceuticals Inc Preservative-free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solution delivery device
KR101521742B1 (ko) * 2011-02-03 2015-05-19 에스에이치엘 그룹 에이비 약물 주입 장치
EP2758100B1 (en) * 2011-09-22 2015-08-19 AbbVie Inc. Automatic injection device
JOP20200175A1 (ar) 2012-07-03 2017-06-16 Novartis Ag حقنة
EP3151881B1 (en) * 2014-06-05 2018-08-22 Carebay Europe Ltd. Medicament delivery device with delivery finish signal delay
US9707052B2 (en) * 2015-01-29 2017-07-18 Bryan Tapocik Mechanical pen with improvements for pen removably retaining single use capsule containing tooth whitening compounds, dental bonding compounds and adhesives and removably retaining disposable tooth whitening applicators, disposable dental bonding compound applicators and disposable adhesive applicators
EP3337539B1 (en) * 2015-08-19 2024-04-03 SHL Medical AG Variable single dose medicament deliver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1369609A1 (en) 2023-06-15
EP4237043A1 (en) 2023-09-06
MX2023004995A (es) 2023-05-12
JP2023550281A (ja) 2023-12-01
CN116583314A (zh) 2023-08-11
CL2023001011A1 (es) 2023-12-01
TW202233140A (zh) 2022-09-01
CA3193701A1 (en) 2022-05-05
WO2022090463A1 (en) 2022-05-05
US20230390109A1 (en) 2023-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05462B2 (ja) 医療用注射器具
JP5778143B2 (ja) 自動プライミング注射装置
JP6629231B2 (ja) 針シールドトリガを有する自動注射装置
JP5362048B2 (ja) 割り当てられた用量の液剤を注入するための装置
KR100763051B1 (ko) 최종 투여량의 투약에 의해 작동되는 스프링 구동식 로킹특성을 갖는 약제 투여 장치
JP6563025B2 (ja) 収束ランプを有する駆動機構を備える分注装置
JP6644793B2 (ja) ばね駆動式薬剤送達装置
JP2008521494A (ja) 自動還元注射器具
MXPA01011493A (es) Aparato de inyeccion y metodo para su operacion.
CN113966240A (zh) 用于精确剂量递送的装置及方法
JP2016516533A (ja) 混合ペンニードル
JP6240193B2 (ja) 注射ボタンを備えるばね荷重式注射装置
JP2017533798A (ja) 薬品分注器
JP2020517393A (ja) 自動流体注入装置
KR20230098171A (ko) 유체의 특히 유리체내 투여를 위한 투여 장치
US20240091455A1 (en) Administration device for in particular intravitreal administration of a fluid
EA044677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ведения, предназначенное для интравитреального введения жидкости
EP4351683A1 (en) Medicament dispensers, systems and meth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