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8319B1 - 당면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당면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8319B1
KR101518319B1 KR1020140116698A KR20140116698A KR101518319B1 KR 101518319 B1 KR101518319 B1 KR 101518319B1 KR 1020140116698 A KR1020140116698 A KR 1020140116698A KR 20140116698 A KR20140116698 A KR 20140116698A KR 101518319 B1 KR101518319 B1 KR 101518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face
molding
conveyor belt
material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6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묵
Original Assignee
(주)환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환희 filed Critical (주)환희
Priority to KR1020140116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83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8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8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6Extrud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6Extruding machines
    • A21C11/18Extruding machines with pist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eeds, Soups, And Other Foods (AREA)

Abstract

당면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제공된 당면 제조장치는 당면제조에 필요한 원료 원료액을 정온 및 정량의 상태로 공급할 수 있도록 몸체프레임에 설치된 재료공급부; 상기 재료공급부를 통해 공급된 원료액을 당면의 형태로 가공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프레임의 인접한 일측에 설치된 제품성형부 및 상기 재료공급부와 제품성형부의 동작관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당면제조에 필요한 공정의 자동화시스템 구현을 통해 보다 편리하게 당면을 대량생산할 수 있도록 한 다.

Description

당면 제조장치{Manufacturing equipment for the Chinese noodles }
본 발명은 당면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당면 제조장치의 구조 개선을 통해 당면의 대량 생산에 필요한 자동화시스템을 구현함은 물론, 당면 제조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들의 개선을 통해 보다 편리하게 당면을 대량생산할 수 있도록 한 당면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전해내려오는 전통 식품을 다수 보유하고 있으나, 그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장치의 개발이나, 전통 식품에 대한 효과를 과학적으로 입증하기 위한 노력에는 등한시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기존에 전해 내려온 다양한 형태의 전통 식품을 현대의 일반수요자들의 입맞에 맞추면서 전통 식품이 지닌 고유의 성분 이외에 전통 식품의 색, 식감, 맛 및 향을 다양화시키기 위한 제품의 개발과,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장치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러한 전통 식품 중 하나가 당면이다. 당면은 일반적으로 녹두, 감자, 고구마, 타피오카 등의 전분을 원료로 하여 만든 마른 국수로서 호면(胡麵)이라고도 하며, 먹을 때는 끓는 물에 삶아 헹구어서 이용한다. 이러한 당면은 맛이 담백하며 식감이 쫄깃하고 탄력이 있어서 중국 및 우리나라에서는 각종 탕요리, 전골, 잡채 등 다양한 요리에 널리 이용되어 왔다.
이러한, 당면의 종래 제조방법은 고구마 전분에 명반(황산알루미늄칼륨)을 첨가하여 미리 제조한 전분풀을 혼합기에 넣고, 반죽한 다음 이를 성형틀에 넣어 통과시켜 면을 뽑아내고, 성형된 면을 열수에서 호화시킨 후 냉수에서 냉각시켜 일정 온도에서 숙성시키고, 그 다음 냉동하여 노화시킨 후 이를 다시 식히는 해동과정을 거친 후에 건조시켜 제품화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한편, 종래 당면 제조에 첨가되는 명반은 당면의 점도조절제 역할을 수행하는 성분으로, 수용액 상태에서 음이온 및 양이온의 성질을 갖는 M1Al(SO4)12H2O형의 복합 염으로 미백효과와 반죽강도를 증가시켜 전분의 호화와 물성효과를 증가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명반은 알루미늄을 함유한 화학적 식품첨가물로서 특정한 환자나 계층에게는 기억력 감퇴, 파킨슨병 및 골연화증 등을 유발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근래에는 화학첨가제를 사용하지 않은 당면의 제조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그 기술에 대한 특허출원 또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 일례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393092호는 수용성 키토산 변성물이 혼합되어 형성된 면류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위와 같은 당면 제조방법은, 중합도 2~30, 분자량이 200~5,000인 수용성 키토산 변성물이 전분 및 온수에 혼합되어 풀을 형성하고, 상기 풀을 전분류 또는 곡분류에 혼합하고 반죽하여 면류를 형성하거나 또는 일정 함량의 수용성 키토산 변성물 수용액을 곡분류에 직접 혼합하고 반죽하여 면류를 성형하며, 면류에 혼합된 키토산 올리고당의 작용에 의하여 반죽의 점탄성이나 면발의 윤기 및 보습성 등의 각종 물성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다양한 형태의 기능성 당면을 개발하여 시장에 출시하여서 많은 호평을 얻고 있다.
이러한 기능성 당면 및 그 제조방법은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495245호 기능성 당면 및 그 제조방법과,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495247호 기능성 당면 및 그 제조방법과,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557781호 콩나물과 숙주나물 분말을 함유한 기능성 당면 제조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604143호 키토산 올리고당 및 칼슘을 함유하는 기능성 면류 및 그 제조방법에 잘 설명되어 있다.
여기에 기재된 당면은 면류의 주원료인 전분류에 부재료 및 정제수를 혼합하여 반죽하고 면으로 성형한 후 호화, 냉각, 절단, 숙성, 해동, 건조 등의 과정을 거쳐서 각종 면류를 제조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 선행기술들은 당면의 품질 개선을 위한 기술들이며, 실제로 당면의 품질 개선을 위한 연구는 꾸준히 진행되고 있는 반면, 그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장치의 개발은 미비한 실정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393092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495245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495247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557781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604143호
본 발명은 이러한 당면의 대량생산을 위한 장치의 구조개선을 통해 당면을 대량생산할 수 있도록 한 당면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당면제조에 필요한 공정의 자동화시스템 구현을 통해 보다 편리하게 당면을 대량생산할 수 있도록 한 당면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당면 제조장치에 별도의 재료공급부를 구비하여 당면제조에 필요한 원료 원료액을 정온 및 정량의 상태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 생산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당면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당면 제조장치를 구성하는 제품성형부에 별도의 당면탈거부재와 당면들러붙음방지부재를 구비하여 제품의 이송 및 탈거 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 당면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과제해결을 위한 본 발명은
당면제조에 필요한 원료 원료액을 정온 및 정량의 상태로 공급할 수 있도록 몸체프레임에 설치된 재료공급부;
상기 재료공급부를 통해 공급된 원료액을 당면의 형태로 가공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프레임의 인접한 일측에 설치된 제품성형부 및
상기 재료공급부와 제품성형부의 동작관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재료공급부에는
당면 제조에 필요한 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온수저수조와,
상기 온수저수조를 통해 공급된 물과 별도의 전분을 혼합한 원료액의 양을 계측하여 정량의 원료액을 공급하기 위한 정량공급부재 및
상기 정량공급부재를 통해 공급된 원료액을 고르게 혼합하기 위한 혼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정량공급부재는
상기 온수저수조와 연결되어 이를 통해 공급되는 물과 전분의 원료액을 저장하는 제1 함체와,
상기 제1 함체 내에 설치되어 제1 함체 내에 저장된 원료액의 무게를 측정하는 계측저울 및
상기 제1 함체 내에 저장된 원료액을 배출하기 위한 개폐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혼합부재는
상기 정량공급부재와 연결되어 이를 통해 공급되는 원료액을 저장하기 위한 제2 함체;
상기 제2 함체 내에 설치되며, 외부전원이 인가시 고속회전하는 임펠러 및
상기 제2 함체 내의 원료액을 제품성형부로 공급하기 위한 제1 공급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품성형부는
상기 재료공급부의 제1 공급펌프를 통해 공급된 원료액을 임시 저장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제3 함체 내에 제2 공급펌프가 구비된 원료저수조와,
상기 원료저수조와 연결되어 상기 제2 공급펌프를 통해 공급되는 원료액을 이용하여 당면을 성형하기 위한 당면성형부재와,
상기 당면성형부재를 통해 배출되는 당면을 이송하기 위한 당면이송부재와,
상기 당면이송부재를 통해 이송된 당면을 상기 당면이송부재에서 떼어 내기 위한 당면탈거부재 및
상기 당면성형부재를 통해 배출되는 당면이 그 점성에 의해 당면이송부재에 붙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당면들러붙음방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당면성형부재는
유입호퍼가 구비된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 내에 설치되며, 외부전원이 인가시 회전운동하여 상기 이송관 내의 원료액을 이송하는 이송스크류와,
상기 이송관의 외면에 설치되며, 이송관을 따라 이송되는 원료액을 고체의 원료물로 익히기 위한 히팅자켓과,
상기 이송관의 단부에 설치된 토출관과,
상기 토출관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토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원료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밸브와,
상기 토출관의 단부에 이와 연통되게 설치된 확산관 및
상기 확산관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확산관을 통해 이송된 원료물을 면의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도록 내측에 다수의 성형공이 형성된 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노즐의 성형공은 원료물이 면으로 성형되는 과정에서 고압상태에서 빠르게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성형공의 입구측은 공간이 넓고, 상기 성형공의 출구측은 공간이 좁은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당면이송부재는 외부 전원이 인가시 회전운동하는 다수의 롤을 따라 순환하는 그물망 형상의 컨베이어밸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당면탈거부재는
상기 당면이송부재의 롤들 중 가장 외측에 위치한 롤에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그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컨베이어밸트에서 당면을 떼어내는 이격롤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당면들러붙음방지부재는
상기 당면이송부재를 구성하는 컨베이어밸트의 일단에 설치되어 순환이동하는 컨베이어밸트에 물을 도포하기 위한 침수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당면 제조에 필요한 장치의 자동화 생산라인을 구축하여 당면을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대량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당면 제조장치를 나타낸 제품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당면 제조장치 중 당면성형부재를 나타낸 요부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당면 제조장치 중 당면탈거부재를 나타낸 요부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당면 제조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장치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당면 제조장치를 나타낸 동작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당면 제조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당면 제조장치를 나타낸 제품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당면 제조장치 중 당면성형부재를 나타낸 요부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당면 제조장치 중 당면탈거부재를 나타낸 요부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당면 제조장치(1)는 몸체프레임(2)에 설치된 재료공급부(100)와, 상기 몸체프레임(2)의 인접한 일측에 설치된 제품성형부(200) 및 상기 재료공급부(100)와 제품성형부(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재료공급부(100)는 당면제조에 필요한 원료 원료액을 정온 및 정량의 상태로 공급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재료공급부(100)는 온수저수조(110)와, 정량공급부재(120) 및 혼합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온수저수조(110)는 당면 제조에 필요한 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상기 몸체프레임(2)의 인접한 타측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정량공급부재(120)는 상기 온수저수조(110)와 배관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온수저수조(110)를 통해 공급된 물과 별도의 전분을 혼합한 원료액의 양을 계측하여 정량의 원료액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정량공급부재(120)는 상기 온수저수조(110)를 통해 공급되는 물과 전분의 원료액을 저장할 수 있도록 상기 온수저수조(110)와 연결된 제1 함체(121)를 구비되고, 상기 제1 함체(121) 내에는 상기 제1 함체(121) 내에 저장된 원료액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계측저울(123)이 설치되며, 상기 제1 함체(121)의 하부에는 상기 제1 함체(121) 내에 저장된 원료액을 배출하기 위한 개폐밸브(125)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혼합부재(130)는 상기 정량공급부재(120)와 배관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정량공급부재(120)를 통해 공급된 물과 전분의 원료액을 고르게 혼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혼합부재(130)는 상기 정량공급부재(120)와 연결되어 이를 통해 공급되는 원료액을 저장하기 위한 제2 함체(131)가 구비되고, 상기 제2 함체(131) 내에는 외부전원이 인가시 고속회전하는 임펠러(133)와, 상기 제2 함체(131)의 원료액을 배출하기 위한 제1 공급펌프(14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 공급펌프(140)는 상기 제품성형부(200)와 배관을 통해 연결되며, 외부 전원이 인가시 동작하여 상기 혼합부재(130)를 구성하는 제2 함체(131)내의 원료액을 제품성형부(200)로 공급한다.
한편, 상기 제품성형부(200)는 상기 재료공급부(100)를 통해 공급된 원료액을 당면의 형태로 가공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제품성형부(200)는 원료저수조(210)와, 당면성형부재(220)와, 당면이송부재(230)와, 당면탈거부재(240) 및 당면들러붙음방지부재(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원료저수조(210)는 상기 혼합부재(130)의 제1 공급펌프(140)를 통해 공급된 원료액을 임시 저장하여 상기 당면성형부재(220)로 공급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원료저수조(210)는 내부에 저수공간을 갖는 제3 함체(211) 내에 제2 공급펌프(213)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당면성형부재(220)는 상기 원료저수조(210)와 연결되어 상기 제2 공급펌프(213)를 통해 공급되는 원료액을 이용하여 당면을 성형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당면성형부재(220)는 원료액이 이동하는 이송관(222)의 일측 상부에 원료액이 이송관(222)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호퍼(221)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관(222)의 내부에 외부전원이 인가시 회전운동하여 상기 이송관(222) 내의 원료액을 이송하는 이송스크류(223)가 설치되며, 상기 이송관(222)의 외면에 이를 따라 이송되는 원료액을 고체의 원료물로 익히기 위한 히팅자켓(224)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이송관(222)의 단부에는 토출관(225)이 설치되고, 상기 토출관(225)의 단부에 이를 통해 배출되는 원료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밸브(226)가 구비되며, 상기 토출관(225)의 단부에 확산관(227)이 설치되어 상기 토출관(225)과 연통을 이루고, 상기 확산관(227)의 단부에 이를 통해 이송된 원료물을 면의 형상으로 성형가공하기 위한 노즐(229)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노즐(229)은 그 내부에 다수의 성형공(225)이 형성되며, 상기 성형공(225)은 입구측의 공간이 넓고, 출구측의 공간이 좁은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에, 상기 성형공(225)을 통과하는 원료물은 면으로 성형되는 과정에서 고압상태에서 빠르게 배출된다.
이에, 상기 성형공(223)을 통과한 당면은 표면이 매끄러운 면의 형태가 아닌 표면이 울퉁 불퉁하게 불규칙한 형태가 되어 양념이 잘 묻어나게 됨으로써, 만두, 순대 등과 같은 음식물의 속재료에 적합한 제품이 된다.
한편, 상기 당면이송부재(230)는 상기 당면성형부재(220)를 통해 배출되는 당면을 이송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당면이송부재(230)는 외부 전원이 인가시 회전운동하는 다수의 롤(231)을 따라 순환하는 그물망 형상의 컨베이어밸트(233)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당면탈거부재(240)는 상기 당면이송부재(230)의 컨베이어밸트(233)를 통해 이송된 당면을 상기 당면이송부재(230)의 컨베이어밸트(233)에서 떼어 내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당면탈거부재(240)는 상기 당면이송부재(230)의 롤(231)들 중 가장 외측에 위치한 롤(231)에 소정간격 이격되게 이격롤(241)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이격롤(241)은 롤(231) 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이격롤(241)은 상기 당면이송부재(230)를 구성하는 롤(231)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컨베이어밸트(233)에서 당면을 떼어낸다.
즉, 상기 컨베이어밸트(233)을 따라 이송되는 당면은 상기 롤(231)과 이격롤(241) 사이에서 공중에 떠있는 상태가 되며, 이때 컨베이어밸트(233)에 붙어 있던 당면의 하부가 건조됨과 동시에 컨베이어밸트(233)에서 떨어지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당면들러붙음방지부재(250)는 상기 당면성형부재(220)를 구성하는 컨베이어밸트(233)를 통해 배출되는 당면이 그 점성에 의해 당면이송부재(230)를 구성하는 컨베이어밸트(233)에 붙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당면들러붙음방지부재(250)는 상기 당면이송부재(230)를 구성하는 컨베이어밸트(233)의 일단에 상기 컨베이어밸트(233)가 잠기도록 침수조(251)가 설치된다. 이에, 당면 생산과정에서 순환이동하는 컨베이어밸트(233)는 상기 침수조(25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물이 도포되어 당면이 컨베이어밸트(233)에 들러붙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재료공급부(100)와 제품성형부(200)의 동작관계를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재료공급부(100)의 온수저수조(1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당면 제조장치(1)의 두대에 한개 꼴로 설치된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당면 제조장치는 당면 제조에 필요한 장치의 자동화 생산라인을 구축하여 당면을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대량생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에 따른 동작관계 및 작용효과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당면 제조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장치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당면 제조장치를 나타낸 동작상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당면 제조장치(1)는 당면제조에 필요한 원료 원료액이 재료공급부(100)를 통해 제품성형부(200)로 공급되어 당면을 제조한다.
이때, 상기 재료공급부(100)를 구성하는 온수저수조(110)와, 정량공급부재(120)와, 혼합부재(130) 및 제1 공급펌프(140)의 동작관계 및 상기 제품성형부(200)를 구성하는 원료저수조(210)와, 당면성형부재(220)와, 당면이송부재(230)와, 당면탈거부재(240) 및 당면들러붙음방지부재(250)의 동작관계는 상기 제어부(300)를 통해 제어된다.
한편, 상기 재료공급부(100)의 동작관계를 살펴보면, 상기 온수저수조(110)를 통해 당면 제조에 적합한 온도로 가열된 온수와 전분이 제1 함체(121)에 투입된다.
이때, 상기 제1 함체(121)에 투입된 원료액은 계측저울(123)을 통해 그 무게를 측정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계측저울(123)을 통해 정량의 원료액이 상기 제품성형부(20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상기 계측저울(123)을 통해 계측된 제1 함체(121) 내의 원료액이 관리자가 원하는 무게가 되면, 상기 개폐밸브(125)가 개방되어 제1 함체(121) 내의 원료액이 혼합부재(130)의 제2 함체(131)로 투입된다.
이에, 상기 제2 함체(131) 내의 원료액은 고속으로 회전하는 임펠러(133)에 의해 원료액을 이루는 성분들이 고르게 혼합되며, 이렇게 혼합된 원료액은 제1 공급펌프(140)를 통해 원료저수조(210)의 제3 함체(211)로 투입된다.
이후, 상기 제3 함체(211)로 투입된 원료액은 제2 공급펌프(213)를 통해 당면성형부재(220)로 공급된다.
즉, 상기 제2 공급펌프(213)를 통해 공급된 원료액은 유입호퍼(221)를 통해 이송관(222)으로 유입되며, 상기 이송관(222)에 유입된 원료액은 이송스크류(223)를 통해 상기 이송관(222) 내에서 토출관(225) 측으로 이송된다. 그 과정에서 이송관(222)에 설치된 히팅자켓(224)의 열이 원료액에 전달되어 액체상태의 원료액이 익어 고체상태의 원료물이 된다.
이때, 상기 원료물은 탄력을 갖는 겔상태가 된다.
이후, 상기 원료물은 토출관(225)과 확산관(227)을 통해 노즐(229)로 전달되며, 상기 노즐(229)로 전달된 원료물은 다수의 성형공(225)을 통과하여 면의 형상으로 성형된다.
이때, 상기 토출관(225)을 통과하는 원료물은 상기 토출관(225)에 설치된 조절밸브(226)를 통해 그 양이 조절함으로써, 관리자가 제품제조에 필요한 최적의 원료물 양이 노즐(229)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성형공(225)은 그 입구측은 공간이 넓고, 그 출구측은 공간이 좁은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에, 상기 성형공(225)을 통과하는 원료물이 고압의 빠른 속도로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이를 통해 성형되는 당면이 꼬이는 형상을 갖게 된다.
이후, 상기 당면성형부재(220)를 통해 배출되는 당면은 회전운동하는 다수의 롤(231)을 따라 순환하는 그물망 형상의 컨베이어밸트(233)에 안착되어 상기 컨베이어밸트(233)를 따라 이송한다.
이에, 상기 컨베이어밸트(233)를 따라 이송되는 당면은 그 이송 과정에서 제품 내의 열이 소정온도 식어 당면 고유의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이후, 상기 컨베이어밸트(233)를 따라 이송되는 당면은 당면탈거부재(240)의 이격롤(241)을 통해 컨베이어밸트(233)에서 이탈된다.
이에, 상기 이격롤(241)을 통해 컨베이어밸트(233)를 따라 이동하는 당면이 상기 컨베이어밸트(233)에서 용이하게 탈거될 수 있게 된다.
이후, 상기 당면탈거부재(240)를 통해 컨베이어밸트(233)에서 이탈된 당면은 그 이후 공정을 위해 이동한다.
또한, 이렇게 당면 이송을 마친 컨베이어밸트(233)는 침수조(251)를 통과한다.
이때, 상기 침수조(251)를 통과한 컨베이어밸트(233)는 그 외면에 물이 도포되어 점성을 갖는 당면이 이송과정에서 컨베이어밸트(233)에 붙지 않도록 한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당면 제조장치는 당면의 생산을 위한 자동화시스템을 구현하여 당면을 용이하게 대량생산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당면 제조장치를 이루는 구성요소들의 구조 개선을 통해 편리하게 당면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한다.
1 : 당면 제조장치 2 : 몸체프레임 100 : 재료공급부
110 : 온수저수조 120 : 정량공급부재 130 : 혼합부재
140 : 제1 공급펌프 200 : 제품성형부 210 : 원료저수조
220 : 당면 성형부재 230 : 당면이송부재 240 : 당면탈거부재
250 : 당면들러붙음방지부재

Claims (10)

  1. 당면제조에 필요한 원료액을 정온 및 정량의 상태로 공급할 수 있도록 몸체프레임(2)에 설치된 재료공급부(100); 상기 재료공급부(100)를 통해 공급된 원료액을 당면의 형태로 가공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프레임(2)의 인접한 일측에 설치된 제품성형부(200); 상기 재료공급부(100)와 제품성형부(200)의 동작관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제품성형부(200)는
    상기 재료공급부(100)를 통해 공급된 원료액을 임시 저장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제3 함체(211) 내에 제2 공급펌프(213)가 구비된 원료저수조(210)와,
    상기 원료저수조(210)와 연결되어 상기 제2 공급펌프(213)를 통해 공급되는 원료액을 이용하여 당면을 성형하기 위한 당면성형부재(220)와,
    상기 당면성형부재(220)를 통해 배출되는 당면을 이송하기 위한 당면이송부재(230)와,
    상기 당면이송부재(230)를 통해 이송된 당면을 상기 당면이송부재(230)에서 떼어 내기 위한 당면탈거부재(240) 및
    상기 당면성형부재(220)를 통해 배출되는 당면이 그 점성에 의해 당면이송부재(230)에 붙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당면들러붙음방지부재(25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당면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당면성형부재(220)는
    유입호퍼(221)가 구비된 이송관(222)과,
    상기 이송관(222) 내에 설치되며, 외부전원이 인가시 회전운동하여 상기 이송관(222) 내의 원료액을 이송하는 이송스크류(223)와,
    상기 이송관(222)의 외면에 설치되며, 이송관(222)을 따라 이송되는 원료액을 고체의 원료물로 익히기 위한 히팅자켓(224)과,
    상기 이송관(222)의 단부에 설치된 토출관(225)과,
    상기 토출관(225)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토출관(225)을 통해 배출되는 원료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밸브(226)와,
    상기 토출관(225)의 단부에 이와 연통되게 설치된 확산관(227) 및
    상기 확산관(227)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확산관(227)을 통해 이송된 원료물을 면의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도록 내측에 다수의 성형공(225)이 형성된 노즐(229)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당면 제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229)의 성형공(225)은 원료물이 면으로 성형되는 과정에서 고압상태에서 빠르게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성형공(225)의 입구측은 공간이 넓고, 상기 성형공(225)의 출구측은 공간이 좁은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당면 제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당면이송부재(230)는
    외부 전원이 인가시 회전운동하는 다수의 롤(231)을 따라 순환하는 그물망 형상의 컨베이어밸트(23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당면 제조장치.
  5. 제 1항 또는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당면탈거부재(240)는
    상기 당면이송부재(230)의 롤(231)들 중 가장 외측에 위치한 롤(231)에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그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컨베이어밸트(233)에서 당면을 떼어내는 이격롤(241)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당면 제조장치.
  6. 제 1항 또는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당면들러붙음방지부재(250)는
    상기 당면이송부재(230)를 구성하는 컨베이어밸트(233)의 일단에 설치되어 순환이동하는 컨베이어밸트(233)에 물을 도포하기 위한 침수조(251)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당면 제조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40116698A 2014-09-03 2014-09-03 당면 제조장치 KR101518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698A KR101518319B1 (ko) 2014-09-03 2014-09-03 당면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698A KR101518319B1 (ko) 2014-09-03 2014-09-03 당면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8319B1 true KR101518319B1 (ko) 2015-05-07

Family

ID=53394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6698A KR101518319B1 (ko) 2014-09-03 2014-09-03 당면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83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0575B1 (ko) * 2015-10-27 2017-07-24 전경표 전분 호화기
CN114831245A (zh) * 2022-05-05 2022-08-02 张瑜 一种预制菜智能加工装置及其加工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867Y1 (ko) * 2000-04-25 2000-11-01 이기봉 곡물국수의 제조장치
KR20090006771A (ko) * 2007-07-11 2009-01-15 주식회사농심 사출면의 제조 방법
KR100974396B1 (ko) * 2009-02-06 2010-08-05 박성춘 양념이 잘 배이는 당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867Y1 (ko) * 2000-04-25 2000-11-01 이기봉 곡물국수의 제조장치
KR20090006771A (ko) * 2007-07-11 2009-01-15 주식회사농심 사출면의 제조 방법
KR100974396B1 (ko) * 2009-02-06 2010-08-05 박성춘 양념이 잘 배이는 당면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0575B1 (ko) * 2015-10-27 2017-07-24 전경표 전분 호화기
CN114831245A (zh) * 2022-05-05 2022-08-02 张瑜 一种预制菜智能加工装置及其加工方法
CN114831245B (zh) * 2022-05-05 2024-01-05 临沂明安食品有限公司 一种预制菜智能加工装置及其加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503232A (ja) 超臨界流体を用いる押出加工
JP2008167765A (ja) 薄いフィルムの形成法
CN101899165A (zh) 流延法制备可食性薄膜
KR101518319B1 (ko) 당면 제조장치
WO2015126138A1 (ko) 구형 가래떡 제조장치 및 구형 가래떡 제조방법
JP2005533511A6 (ja) 被覆された食品、組成物、被覆方法及び該食品の製造装置
US4913924A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gel pieces
JP2005533511A (ja) 被覆された食品、組成物、被覆方法及び該食品の製造装置
AU2007203660B2 (en) Method for producing and a system for cooling a hot-filled softgel capsule
TWI733767B (zh) 速食油炸麵之製造方法及製造裝置
US20100209580A1 (en) Product shap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137914B1 (ko) 다중 구조의 속재료를 충진함과 동시에 외관을 땅콩 모양으로 성형하는 떡볶이용 떡 제조장치
TW201817351A (zh) 食品處理系統及相關聯之方法
MX2010010637A (es) Sistema de deposicion flexible.
RU2587048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ушки лапши быстрого приготовления
JP3576449B2 (ja) ルウ製造装置およびルウ製造方法
JP2005218389A (ja) 麺類製造方法及び麺類製造装置
RU2347514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зерновых хлопьев
CN102196731A (zh) 甜食制品
JP4162965B2 (ja) 麺状食品の製造装置
WO2019188057A1 (ja) 食品コーティング装置および食品生産方法
CN209171288U (zh) 糌粑制作机
JP2008005802A (ja) 粒状食品含有食品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JP3182754U (ja) 食品の成形装置
JP3187719U (ja) 菓子食品の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