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8009B1 - 콘센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콘센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8009B1
KR101518009B1 KR1020130156728A KR20130156728A KR101518009B1 KR 101518009 B1 KR101518009 B1 KR 101518009B1 KR 1020130156728 A KR1020130156728 A KR 1020130156728A KR 20130156728 A KR20130156728 A KR 20130156728A KR 101518009 B1 KR101518009 B1 KR 101518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terminal
supply member
hinge coupling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6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진
김인제
Original Assignee
김호진
김인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호진, 김인제 filed Critical 김호진
Priority to KR1020130156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8009B1/ko
Priority to US15/103,491 priority patent/US9525252B2/en
Priority to CN201480068743.0A priority patent/CN106165211B/zh
Priority to JP2016541518A priority patent/JP6059851B1/ja
Priority to PCT/KR2014/011980 priority patent/WO2015093767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8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8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003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the coupling part being secured only to wir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4Turnable line connectors with limited rotation angle with frictional contact members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전기 플러그(plug) 또는 유에스비(USB) 단자를 삽입할 수 있는 콘센트가 연속적으로 연결되며 플러그를 삽입하는 콘센트의 플러그 삽입구멍과 인접하여 배치되는 또 다른 콘센트의 플러그 삽입구멍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콘센트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콘센트 어셈블리는 다수의 단위 콘센트가 서로 힌지결합되어 모양이 가변되는 콘센트 어셈블리에 있어서, 단위 콘센트는 다면체로 이루어지는 몸체부, 몸체부와 일체로 이루어지며 몸체부의 모서리부 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공되는 힌지결합부, 몸체부의 일면에 플러그 또는 유에스비 단자가 삽입되는 삽입구멍부, 그리고 몸체부와 힌지결합부에 제공되며 삽입구멍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전원공급부재와 제2 전원공급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콘센트 어셈블리{Power strip assembly}
본 발명은 다수의 전기 플러그(plug) 또는 유에스비(USB) 단자를 삽입할 수 있는 콘센트가 연속적으로 연결되며 플러그를 삽입하는 콘센트의 플러그 삽입구멍과 인접하여 배치되는 또 다른 콘센트의 플러그 삽입구멍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콘센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콘센트는 전기 플러그를 삽입할 수 있는 구멍이 연속하여 배치되어 있다. 전기 콘센트에 다수의 전기 플러그를 삽입하여 전원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전기 콘센트는 전기 플러그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구멍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되어 비교적 크기가 큰 전기 플러그를 연속하여 콘센트에 삽입할 경우 인접하여 배치된 전기 플러그 삽입구멍에 삽입하지 못할 수 있어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86669호(2011. 07. 29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콘센트에 플러그 또는 유에스비 단자를 삽입할 때 크기가 큰 플러그 등을 연속해서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 편리함을 도모하는 콘센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생산 비용을 줄이면서도 여러가지 모양으로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는 콘센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단위 콘센트가 서로 힌지결합되어 모양이 가변되는 콘센트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단위 콘센트는 다면체로 이루어지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와 일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부의 모서리부 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공되는 힌지결합부, 상기 몸체부의 일면에 플러그 또는 유에스비 단자가 삽입되는 삽입구멍부, 그리고 상기 몸체부와 상기 힌지결합부에 제공되며 상기 삽입구멍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전원공급부재와 제2 전원공급부재를 포함하는 콘센트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상기 다면체는 육면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위 콘센트에는 전원공급부가 연결되며, 상기 전원공급부는 다면체로 이루어지는 전원 몸체부, 상기 전원 몸체부와 일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원 몸체부의 모서리부 측에 제공되는 힌지결합부, 그리고 상기 전원 몸체부에 제공되며 상기 제1 전원공급부재와 상기 제2 전원공급부재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몸체부에 제공된 힌지결합부는 상기 단위 콘센트에 제공된 힌지결합부에 힌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부는 로워 몸체부, 상기 로워 몸체부에 결합되는 어퍼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결합부는 상기 로워 몸체부의 모서리부 측에서 연장되는 로워 힌지결합부, 상기 어퍼 몸체부의 모서리부 측에서 연장되는 어퍼 힌지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워 힌지결합부와 상기 어퍼 힌지결합부는 인접하여 배치되는 또 다른 로워 힌지결합부와 어퍼 힌지결합부에 체결부재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전원공급부재는 제1 플러그 끼움부와 양측에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전원공급부재의 단자는 상기 힌지결합부에 배치되며 인접하는 또 다른 제1 전원공급부재의 단자와 접촉하며, 상기 제2 전원공급부재는 제2 플러그 끼움부와 양측에 또 다른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전원공급부재의 단자는 상기 힌지결합부에 배치되며 인접하는 또 다른 제2 전원공급부재의 단자와 접촉하고, 상기 제1 전원공급부재의 단자와 상기 제2 전원공급부재의 단자는 상기 힌지결합부에 제공되는 차단부재에 의해 절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단부재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전원공급부재의 단자와 상기 제2 전원공급부재의 단자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결합부에는 상기 제1 전원공급부재의 단자와 상기 제2 전원공급부재의 단자의 일측에 각각 웨이브와셔가 배치되고, 상기 웨이브와셔는 상기 제1 전원공급부재의 단자가 인접하는 또 다른 제1 전원공급부재의 단자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2 전원공급부재의 단자가 인접하는 또 다른 제2 전원공급부재의 단자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전원공급부재의 단자와 상기 제2 전원공급부재의 단자에는 일면에 인접하는 단자들과 접촉력을 높이는 돌출부들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콘센트를 이루는 몸체부가 다면체로 이루어지고, 다면체의 모서리부의 양측에 힌지결합부가 제공되어 서로 인접하는 몸체부에 제공된 플러그 또는 유에스비 단자 삽입구멍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크기가 비교적 큰 플러그를 연속해서 콘센트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몸체부에 힌지결합부가 결합되고 힌지 결합부와 전원공급부재의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비용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품을 동일한 구조로 제작할 수 있어 부품의 수를 줄여 생산비용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모양으로 변형이 가능하여 공간 배치의 활용도를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콘센트 어셈블리를 길게 펼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을 분해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 2의 주요부인 콘센트 어셈블리의 몸체부 중에서 로워 몸체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 2의 주요부인 콘센트 어셈블리의 몸체부 중에서 어퍼 몸체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콘센트 어셈블리를 짧게 접은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콘센트 어셈블리를 다른 모양으로 변형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콘센트 어셈블리를 또 다른 모양으로 변형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로, 콘센트 어셈블리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콘센트 어셈블리는, 전원공급부(1), 다수의 단위 콘센트(3, 5, 7, 9), 그리고 유에스비 단자용 콘센트(11)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원공급부(1)가 생략된 상태의 단위 콘센트(3, 5, 7, 9)로 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위 콘센트(3, 5, 7, 9)에 복수의 유에스비 단자용 콘센트(11)가 연속해서 연결될 수 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단위 콘센트(3, 5, 7, 9)와 유에스비 단자용 콘센트(11)가 서로 조합되어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전원공급부(1)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4개의 단위 콘센트(3, 5, 7, 9), 그리고 유에스비 단자용 콘센트(11)가 순차적으로 연결된 구조에 대해서 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위 콘센트(3, 5, 7, 9)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편의상 하나의 단위 콘센트(3)에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전원공급부(1)는 전원 몸체부(13), 전원 힌지결합부(15), 그리고 스위치(17)를 포함한다.
전원 몸체부(13)는 다면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원 몸체부(13)는 육면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 몸체부(13)는 모서리부 측에 전원 힌지결합부(15)가 제공된다. 즉, 전원 몸체부(13)에 제공되는 전원 힌지결합부(15)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서리부 일측에만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원 몸체부(13)와 전원 힌지결합부(15)는 서로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원 몸체부(13)에는 일면에 스위치(17)가 제공된다. 그리고 스위치(17)에는 가정용 전원 콘센트에 꽂아 전원을 사용할 수 있는 전원 플러그(도시생략)가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치(17)는 이러한 전원 플러그(도시생략)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전원 몸체부(13)는,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 로워 몸체부(13a)와 전원 어퍼 몸체부(13b)가 결합된 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원 로워 몸체부(13a)의 일측에는 전원 힌지결합부(15)의 일부인 전원 로워 힌지결합부(15a)가 일체로 제공되고, 전원 어퍼 몸체부(13b)의 일측에는 전원 힌지결합부(15)의 또 다른 일부인 전원 어퍼 힌지결합부(15b)가 일체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스위치(17)에는 전원공급을 위한 제1 스위치 단자(17a)와 제2 스위치 단자(17b)가 연결된다. 제1 스위치 단자(17a)는 전원 로워 힌지결합부(15a) 측에 배치되고, 제2 스위치단자(17b)는 전원 어퍼 힌지결합부(15b) 측에 배치된다. 제1 스위치 단자(17a)와 제2 스위치 단자(17b)는 선단부에 원판형의 모양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가운데 부분이 관통된 구멍이 제공된다.
그리고 도 3과 도 4를 기준으로 할 때 제1 스위치 단자(17a)의 하부와 제2 스위치단자(17b)의 상부 측에 웨이브와셔(19)가 배치된다. 웨이브와셔(19)는 제1 스위치 단자(17a) 또는 제2 스위치단자(17b)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가해지도록 와셔를 이루는 면이 굴곡면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웨이브와셔(19)는 당연히 전원 몸체부(13)의 힌지결합부(15)에 배치된다.
단위 콘센트(3)는 몸체부(21), 제1 힌지결합부(23), 제2 힌지결합부(24), 삽입구멍부(25), 제1 전원공급부재(27), 그리고 제2 전원공급부재(29)를 포함한다.
몸체부(21)는 다면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육면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몸체부(21)는 상술한 전원 몸체부(13)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부(21)는 로워 몸체부(21a)와 어퍼 몸체부(21b)가 결합되어 하나의 몸체부(21)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부(21)의 마주하는 모서리부 양측에는 제1 힌지결합부(23)와 제2 힌지결합부(24)가 몸체부(21)와 일체로 제공될 수 있다.
몸체부(21)의 일면 또는 어퍼 몸체부(21b)에는 별도의 플러그(Plug, 도시생략)가 삽입되는 삽입구멍부(25)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삽입구멍부(25)는 경우에 따라서는 유에스비 단자가 삽입되는 구멍(26)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제1 힌지결합부(23)는,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로워 힌지결합부(23a)와 제1 어퍼 힌지결합부(23a)를 포함한다. 제1 로워 힌지결합부(23a)는 로워 몸체부(21a)에 결합되고, 제1 어퍼 힌지결합부(23a)는 어퍼 몸체부(21b)에 결합된다.
이러한 제1 힌지결합부(23)는 전원 몸체부(13)에 제공된 전원 힌지결합부(15)의 전원 로워 힌지결합부(15a)와 전원 어퍼 힌지결합부(15b)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힌지결합부(24)는,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로워 힌지결합부(24a)와 제2 어퍼 힌지결합부(24b)를 포함한다. 제2 로워 힌지결합부(24a)는 로워 몸체부(21a)에 결합되고, 제2 어퍼 힌지결합부(24b)는 어퍼 몸체부(21b)에 결합된다.
상술한 제1 힌지결합부(23)는 전원 힌지결합부(15)에 체결부재(31)로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힌지 결합부(24)는 인접하여 배치되는 또 다른 단위 콘센트(5)에 제공되는 제1 힌지결합부에 또 다른 체결부재(31)로 체결될 수 있다.
즉, 제1 힌지결합부(23)는 전원 힌지결합부(15)에 힌지 결합되어 일정한 각도로 회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힌지결합부(24)도 인접하여 배치되는 또 다른 단위 콘센트(5)에 제공된 제1 힌지결합부에 힌지 결합되어 일정한 각도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전원공급부재(27)와 제2 전원공급부재(29)는 몸체부(21)와 제1 힌지결합부(23) 및 제2 힌지결합부(24)의 내부에 제공된다.
제1 전원공급부재(27)는 전기가 통할 수 있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플러그 끼움부(33)와 양측에 단자(27a, 27b)를 포함한다.
제1 플러그 끼움부(33)는 몸체부(21)에 제공된 삽입구멍부(25)의 일측에 배치되어 플러그(도시생략)가 끼워질 수 있다.
제1 전원공급부재(27)의 단자(27a)는 가운데 구멍이 뚫어진 원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스위치 단자(17a)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제1 전원공급부재(27)의 또 다른 단자(27b)는 제2 힌지결합부(24) 측에 배치된다.
제2 전원공급부재(29)는 제1 전원공급부재(27)와 마찬가지로 전기가 통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제2 플러그 끼움부(35)와 양측에 또 다른 단자(29a, 29b)를 포함한다.
제2 플러그 끼움부(35)는 몸체부(21)에 제공된 삽입구멍부(25)의 다른 일측에 배치되어 플러그가 끼워질 수 있다.
제2 전원공급부재(29)의 단자(29a)는 가운데 구멍이 뚫어진 원판형으로 이루어지며, 제2 스위치단자(17b)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제2 전원공급부재(29)의 또 다른 단자(29b)는 제2 힌지결합부(24) 측에 배치된다.
제1 전원공급부재(27)의 단자(27a)와 제2 전원공급부재(29)의 단자(29a) 사이에는 절연재로 이루어지는 차단부재(37)가 제공된다.
차단부재(37)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양단이 각각 제1 전원공급부재(27)의 단자(27a)와 제2 전원공급부재(29)의 단자(29a)에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전원공급부재(27)의 단자(27a)의 일면과 제2 전원공급부재(29)의 단자(29a)의 일면에는 다수의 돌출부(27c, 29c)가 제공된다.
제1 전원공급부재(27)의 단자(27a)에 제공된 돌출부(27c)들은 제1 스위치 단자(17a)를 향하는 면으로 돌출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 전원공급부재(29)의 단자(29a)에 제공된 또 다른 돌출부(29c)들은 제2 스위치단자(17b)를 향하는 면으로 돌출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전원공급부재(27)의 단자(27a)에 제공된 돌출부(27c)는 제1 전원공급부재(27)의 단자(27a)가 제1 스위치 단자(17a)에 점접촉으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회전을 하면서도 통전 성능을 뛰어나게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전원공급부재(29)의 단자(29a)에 제공된 또 다른 돌출부(29c)는 제2 전원공급부재(29)의 단자(29a)가 제2 스위치 단자(17b)에 점접촉으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회전을 하면서도 통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위 콘센트(3, 5, 7, 9)는 동일한 구조이므로 나머지의 단위 콘센트(5, 7, 9)의 구조는 상술한 단위 콘센트(3)의 구조 설명으로 대치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위 콘센트(9)에 유에스비 단자용 콘센트(11)가 결합된다. 이러한 유에스비 단자용 콘센트(11)의 형상도 상술한 단위 콘센트(3)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만, 제1 힌지결합부(23)와 같이 하나의 힌지결합부 만이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웨이브와셔(19)가 제1 전원공급부재(27)의 단자(27a)와 제1 스위치 단자(17a), 그리고 제2 전원공급부재(29)의 단자(29a)와 제2 스위치단자(17b)를 서로 밀착시키는 역할을 하여 통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도 전원공급부(1)와 단위 콘센트(3)가 힌지결합부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한다. 마찬가지로 단위 콘센트(3, 5, 7, 9)들도 서로 힌지결합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도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1과 같이 펼친 상태에서는 인접하여 배치되는 단위 콘센트(3, 5, 7, 9)에 제공된 삽입구멍(25, 편의상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들이 이루는 거리(D1)이 최대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비교적 크기가 큰 플러그를 연속하여 쉽게 꽂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와 같이 몸체부(21)들이 이루는 면을 서로 접촉하게 배치하는 경우 콘센트 어셈블리의 전체 길이는 작아지게 된다. 또한, 도 6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결합부를 중심으로 몸체부를 회전시켜 콘센트 어셈블리를 임의의 모양으로 만들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을 통해 콘센트 어셈블리의 형상과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원공급부(1)와 단위 콘센트(3, 5, 7, 9)들을 연결하는 힌지결합구조가 간단하여 생산비용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부품을 동일한 구조로 제작할 수 있어 부품의 종류를 줄일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전원공급부, 3, 5, 7, 9. 단위 콘센트,
11. 유에스비 단자용 콘센트, 13. 전원 몸체부,
13a. 전원 로워 몸체부, 13b. 전원 어퍼 몸체부,
15. 전원 힌지결합부, 15a. 전원 로워 힌지결합부,
15b. 전원 어퍼 힌지결합부, 17. 스위치,
17a. 제1 스위치 단자, 17b. 제2 스위치단자,
19. 웨이브와셔, 21. 몸체부,
21a. 로워 몸체부, 21b. 어퍼 몸체부,
23. 제1 힌지결합부, 23a. 제1 로워 힌지결합부,
23b. 제1 어퍼 힌지결합부, 24. 제2 힌지결합부,
24a. 제2 로워 힌지결합부, 24b. 제2 어퍼 힌지결합부,
25. 삽입구멍부, 27. 제1 전원공급부재,
27a, 27b. 단자, 27c. 돌출부,
29. 제2 전원공급부재, 29a, 29b. 단자,
29c. 돌출부, 31. 체결부재,
33. 제1 플러그 끼움부, 35. 제2 플러그 끼움부,
37. 차단부재

Claims (9)

  1. 다수의 단위 콘센트가 서로 힌지결합되어 모양이 가변되는 콘센트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단위 콘센트는
    육면체로 이루어지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와 일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부의 꼭지점 측에 하나 이상이 제공되는 힌지결합부,
    상기 몸체부의 일면에 플러그가 삽입되는 삽입구멍부, 그리고
    상기 몸체부와 상기 힌지결합부에 제공되며 상기 삽입구멍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전원공급부재와 제2 전원공급부재를 포함하며,
    평면측에서 보아 상기 몸체부가 다른 몸체부들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몸체부에는
    서로 마주하는 대각선 방향의 꼭지점 측에 상기 힌지결합부가 쌍을 이루어 배치되고,
    상기 단위 콘센트에는 전원공급부가 연결되며,
    상기 전원공급부는
    육면체로 이루어지는 전원 몸체부,
    상기 전원 몸체부와 일체로 이루어지며 평면에서 보아 상기 전원 몸체부의 꼭지점 측에 제공되는 전원 힌지결합부, 그리고
    상기 전원 몸체부에 제공되며 상기 제1 전원공급부재와 상기 제2 전원공급부재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몸체부에 제공된 전원 힌지결합부는 상기 몸체부에 제공된 힌지결합부에 힌지 결합되는 콘센트 어셈블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위 콘센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유에스비 단자를 삽입할 수 있는 유에스비용 콘센트로 이루어지는 콘센트 어셈블리.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로워 몸체부,
    상기 로워 몸체부에 결합되는 어퍼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결합부는
    상기 로워 몸체부의 모서리부 측에서 연장되는 로워 힌지결합부,
    상기 어퍼 몸체부의 모서리부 측에서 연장되는 어퍼 힌지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워 힌지결합부와 상기 어퍼 힌지결합부는
    인접하여 배치되는 또 다른 로워 힌지결합부와 어퍼 힌지결합부에 체결부재로 결합되는 콘센트 어셈블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원공급부재는
    제1 플러그 끼움부와 양측에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전원공급부재의 단자는
    상기 힌지결합부에 배치되며 인접하는 또 다른 제1 전원공급부재의 단자와 접촉하며,
    상기 제2 전원공급부재는
    제2 플러그 끼움부와 양측에 또 다른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전원공급부재의 단자는
    상기 힌지결합부에 배치되며 인접하는 또 다른 제2 전원공급부재의 단자와 접촉하고,
    상기 제1 전원공급부재의 단자와 상기 제2 전원공급부재의 단자는 상기 힌지결합부에 제공되는 차단부재에 의해 절연되는 콘센트 어셈블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전원공급부재의 단자와 상기 제2 전원공급부재의 단자 사이에 배치되는 콘센트 어셈블리.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힌지결합부에는
    상기 제1 전원공급부재의 단자와 상기 제2 전원공급부재의 단자의 일측에 각각 웨이브와셔가 배치되고,
    상기 웨이브와셔는
    상기 제1 전원공급부재의 단자가 인접하는 또 다른 제1 전원공급부재의 단자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2 전원공급부재의 단자가 인접하는 또 다른 제2 전원공급부재의 단자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가지는 콘센트 어셈블리.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원공급부재의 단자와 상기 제2 전원공급부재의 단자에는
    일면에 인접하는 단자들과 접촉력을 높이는 돌출부들이 제공되는 콘센트 어셈블리.
KR1020130156728A 2013-12-16 2013-12-16 콘센트 어셈블리 KR101518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6728A KR101518009B1 (ko) 2013-12-16 2013-12-16 콘센트 어셈블리
US15/103,491 US9525252B2 (en) 2013-12-16 2014-12-08 Socket outlet assembly
CN201480068743.0A CN106165211B (zh) 2013-12-16 2014-12-08 插座组件
JP2016541518A JP6059851B1 (ja) 2013-12-16 2014-12-08 コンセントアセンブリー
PCT/KR2014/011980 WO2015093767A1 (ko) 2013-12-16 2014-12-08 콘센트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6728A KR101518009B1 (ko) 2013-12-16 2013-12-16 콘센트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8009B1 true KR101518009B1 (ko) 2015-05-06

Family

ID=53393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6728A KR101518009B1 (ko) 2013-12-16 2013-12-16 콘센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525252B2 (ko)
JP (1) JP6059851B1 (ko)
KR (1) KR101518009B1 (ko)
CN (1) CN106165211B (ko)
WO (1) WO20150937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31159B1 (en) * 2015-08-12 2018-12-05 Creative Technologies Investment, Inc. Expandable and rotatable power strip
US10038272B2 (en) * 2016-08-30 2018-07-31 Western New England University Flexible electrical power strip
US9843149B1 (en) * 2016-09-16 2017-12-12 Coleman Cable, Llc Foldable power strip
DE202020100565U1 (de) * 2020-02-03 2021-05-06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Anschlussklemme
US11476625B1 (en) * 2020-09-08 2022-10-18 David Stansbury Repair electrical plug adapter
CN114336152A (zh) * 2021-12-29 2022-04-12 孙瑶 一种家用插座组件及插座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034A (ja) * 1997-06-16 1999-01-12 Sony Corp Icソケットと検査治具
JPH11283464A (ja) * 1998-03-31 1999-10-15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ルスイッチ
KR101288472B1 (ko) * 2012-09-27 2013-07-26 강승한 멀티탭
US8529289B2 (en) * 2011-04-27 2013-09-10 Quirky Incorporated Reconfigurable plug strip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182U (ja) * 1992-06-30 1994-01-28 株式会社明工社 テーブルタップ
US7632004B2 (en) * 2004-07-06 2009-12-15 Tseng-Lu Chien LED night light with more than 1 optics means
CN2579024Y (zh) * 2002-11-23 2003-10-08 东莞欧陆电子有限公司 折叠式插座结构
JP4247885B2 (ja) * 2003-03-19 2009-04-02 宏明 田中 テーブルタップ
KR20050075856A (ko) 2004-01-17 2005-07-22 정완영 유에스비 전원 장치와 출력 플러그
JP4052266B2 (ja) * 2004-03-10 2008-02-27 松下電工株式会社 テーブルタップ
US7874856B1 (en) * 2007-01-04 2011-01-25 Schriefer Tavis D Expanding space saving electrical power connection device
CN201252236Y (zh) * 2008-09-18 2009-06-03 杭州电子科技大学 可折叠式插线板
CN201256207Y (zh) * 2008-09-27 2009-06-10 杭州电子科技大学 折叠插线板
KR200455063Y1 (ko) 2009-11-19 2011-08-12 김동일 포장봉지
US8157574B2 (en) * 2010-02-25 2012-04-17 Rite-Tech Industrial Co., Ltd. Power strip with covered sockets
US20120028505A1 (en) * 2010-07-29 2012-02-02 Michael Weber Power Strip with Articulatable Outlets
CN201937107U (zh) * 2010-12-16 2011-08-17 慈溪市艾美特电子有限公司 一种可折叠插座
CN102766032B (zh) * 2011-05-05 2014-10-01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环己烷氧化的方法
KR200465063Y1 (ko) * 2012-11-22 2013-01-31 (주)대성 관절형 멀티콘센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034A (ja) * 1997-06-16 1999-01-12 Sony Corp Icソケットと検査治具
JPH11283464A (ja) * 1998-03-31 1999-10-15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ルスイッチ
US8529289B2 (en) * 2011-04-27 2013-09-10 Quirky Incorporated Reconfigurable plug strip
KR101288472B1 (ko) * 2012-09-27 2013-07-26 강승한 멀티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165211B (zh) 2017-09-12
CN106165211A (zh) 2016-11-23
WO2015093767A1 (ko) 2015-06-25
US9525252B2 (en) 2016-12-20
JP6059851B1 (ja) 2017-01-11
US20160315433A1 (en) 2016-10-27
JP2017503315A (ja) 2017-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8009B1 (ko) 콘센트 어셈블리
TWI444818B (zh) 插頭可分離式之多向電源供應器
US8475175B2 (en) Reorientable electrical receptacle
JP3178924U (ja) 電源ストリップ
US6443746B1 (en) Multiple receptacle having a wireless coupling feature
KR100997854B1 (ko) 회전식 전기코드
JP2017212190A (ja) 回動機構及びその回動機構を備えるアダプタ
KR100965367B1 (ko) 전원 연결 기구
CN101394049B (zh) 可伸缩调整的导电装置及插座装置
KR101484010B1 (ko) 절전형 멀티탭
US8622758B2 (en) Rotatable plug and power supply device having the rotatable plug
KR101571874B1 (ko) 안전 콘센트
CN202749625U (zh) 音视频连接器改良结构
KR200387542Y1 (ko) 수평 접속 멀티콘센트
JP2013045767A (ja) 電気コネクタ
US6051801A (en) Two position rotary switch with power cable features
US7029332B2 (en) Flat plug structure
KR200460350Y1 (ko) 가압구가 구비된 콘센트
KR100826430B1 (ko) 회전가능한 전원 플러그를 갖는 전원공급기기
KR101884421B1 (ko) 멀티 회전 콘센트
EP2897228A1 (en) Terminal device and electric outlet using same
KR102191418B1 (ko) 다중 연결이 가능한 전기 플러그
JP2007012392A (ja) 三芯の電源プラグ
JP3223224U (ja) 方向変換可能な電源プラグ
KR102654073B1 (ko) 플러그-소켓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