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063Y1 - 관절형 멀티콘센트 - Google Patents

관절형 멀티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063Y1
KR200465063Y1 KR2020120010777U KR20120010777U KR200465063Y1 KR 200465063 Y1 KR200465063 Y1 KR 200465063Y1 KR 2020120010777 U KR2020120010777 U KR 2020120010777U KR 20120010777 U KR20120010777 U KR 20120010777U KR 200465063 Y1 KR200465063 Y1 KR 2004650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main body
outlet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07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길홍
Original Assignee
(주)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성 filed Critical (주)대성
Priority to KR20201200107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0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0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06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003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the coupling part being secured only to wir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4Turnable line connectors with limited rotation angle with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9/00Rotary current collectors, distributors or interrupters
    • H01R39/64Devices for uninterrupted current collection

Abstract

본 고안은 설치 장소에 따라 본체 및 연결체가 굴곡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관절형 멀티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관절형 멀티콘센트는,
일측에 원형의 돌출턱이 형성된 제1연결부가 단차를 두고 마련된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일측에 하부가 개방된 제2연결부가 마련되며, 타측에 원형의 돌출턱이 형성된 제3연결부가 단차를 두고 마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체;
상기 연결체에 연결되고, 일측에 하부가 개방된 제4연결부가 마련된 마감체;
상기 본체와 연결체 사이의 저면 또는 연결체와 연결체 사이의 저면에 각각 결합하는 커버;
상기 마감체 저면에 결합하는 보조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관절형 멀티콘센트{articulated multi concent}
본 고안은 멀티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몸체가 부위별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 여건에 따라 몸체가 굴곡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관절형 멀티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다수의 가전제품이 사용됨에 따라 각 가전제품으로부터 이어지는 플러그를 일시에 다수 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콘센트의 사용이 일반화되고 있다.
이때, 멀티콘센트는 몸체에 다수 개의 플러그삽입구가 마련되어 있는바, 각각의 플러그삽입구에 각 가전제품으로부터 이어지는 플러그를 결합함에 따라 각 가전제품으로부터 이어지는 플러그를 일시에 다수 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종래 멀티콘센트 대다수의 몸체는 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와 같이 몸체가 바 형태로 되는 종래의 멀티콘센트는 일시에 다수 개의 플러그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었으나, 멀티콘센트 자체가 상당한 공간을 차지할 뿐만 아니라 실내 모서리 부위 등에 위치할 때 돌출 정도가 상당하므로 협소한 장소에 설치가 곤란하게 되고 미관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이유로 등록특허 제10-0843665호 "가변형 멀티콘센트"와 같이 플러그삽입구가 형성된 각각의 몸체가 상호 연결된 형태로 된 관절형 멀티콘센트가 제안된바 있다.
이와 같은 관절형 멀티콘센트는 실내 모서리 부위 등에 설치될 때 몸체가 굴곡을 이룰 수 있게 되므로 설치 장소에 제약이 덜 따르게 될 뿐만 아니라 미관이 개선될 수 있었다.
그러나, 등록특허 제10-0843665호 "가변형 멀티콘센트"(A')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몸체(100)의 연결편(110)이 타 몸체(100)의 수용홈(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연결편(110)과 삽입홈(120)을 관통하여 연결핀(130)이 결합되는 것이었던바, 몸체(100) 간의 연결 구조가 복잡하여 조립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었으므로 생산성이 떨어지게 되고, 몸체(100) 회전시 연결편(110) 또는 수용홈(120) 또는 연결핀(130)에 과도한 힘이 작용하게 되어 몸체(100) 연결부위의 손상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이유로 해당분야에서는 몸체의 연결 구조를 단순화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몸체 연결부위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관절형 멀티콘센트의 개발을 시도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종래 관절형 멀티콘센트의 몸체 연결 구조가 복잡하여 조립의 번거로움으로 인하여 생산성이 떨어지고, 연결부위가 취약하여 손상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관절형 멀티콘센트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관절형 멀티콘센트는,
일측에 원형의 돌출턱이 형성된 제1연결부가 단차를 두고 마련된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일측에 하부가 개방된 제2연결부가 마련되며, 타측에 원형의 돌출턱이 형성된 제3연결부가 단차를 두고 마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체;
상기 연결체에 연결되고, 일측에 하부가 개방된 제4연결부가 마련된 마감체;
상기 본체와 연결체 사이의 저면 또는 연결체와 연결체 사이의 저면에 각각 결합하는 커버;
상기 마감체 저면에 결합하는 보조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본체의 제1연결부에 형성된 돌출턱은 연결체의 제2연결부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는 상면에 전원스위치가 마련되고, 내부에 한 쌍의 보스가 마련되며, 하단에 단턱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체의 제3연결부에 형성된 돌출턱은 마감체의 제4연결부 내측 또는 다른 연결체의 제2연결부 내측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체의 제2연결부는 상면에 플러그삽입구가 마련되고, 저면에 한 쌍의 보스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체는 하단에 단턱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마감체의 제4연결부는 상면에 플러그삽입구가 마련되고, 저면에 한 쌍의 보스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마감체는 제4연결부와 마주하는 일측으로 상면에 플러그삽입구가 마련되고, 저면에 한 쌍의 보스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마감체는 하단에 단턱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커버는 상단에 단턱이 마련되고, 바닥면에 한 쌍의 통공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조커버는 상단에 단턱이 마련되고, 바닥면 양측 각각에 한 쌍의 통공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관절형 멀티콘센트는 본체에 돌출턱이 형성된 제1연결부가 마련된 것이고, 연결체에 하부가 개방된 제2연결부 및 돌출턱이 형성된 제3연결부가 마련된 것이며, 마감체에 하부가 개방된 제4연결부가 마련된 것이어서 본체의 제1연결부에 형성된 돌출턱이 연결체의 제2연결부 내측에 끼워지고, 연결체의 제3연결부에 형성된 돌출턱이 마감체의 제4연결부 내측에 끼워짐에 따라 본체와 연결체와 마감체가 간단히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바, 본체와 연결체와 마감체의 연결 구조가 단순하므로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제품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본체와 연결체와 마감체의 연결부위가 견고하므로 연결부위에서의 손상 방지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관절형 멀티콘센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관절형 멀티콘센트에서 본체와 연결체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관절형 멀티콘센트에서 연결체와 연결체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관절형 멀티콘센트에서 연결체와 마감체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관절형 멀티콘센트에서 본체와 연결체의 마감체의 회동을 보인 예시도
도 6은 종래 관절형 멀티콘센트에서 몸체 간의 연결 구조를 보인 부분사시도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관절형 멀티콘센트(A)는 본체(10)와, 연결체(20)와, 마감체(30)와, 커버(40)와, 보조커버(5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일측에 원형의 돌출턱(11a)이 형성된 제1연결부(11)가 단차를 두고 마련된 것이다.
이와 같은 본체(10)에서 제1연결부(11)에 형성된 단턱(11a)은 후술하는 연결체(20)의 제2연결부(21)의 내측에 삽입되는 것이다.
본체(10)의 제1연결부(11)에 형성된 단턱(11a)이 후술하는 연결체(20)의 제2연결부(21) 내측에 삽입됨으로써 제1연결부(11)의 단턱(11a)이 제2연결부(21)에 걸리게 되므로 본체(10)와 연결체(20)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제1연결부(11)의 단턱(11a)을 축으로 삼아 본체(10)와 연결체(20)의 회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본체(10)의 상면에는 전원스위치(12)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0)의 상면에 전원스위치(12)가 마련됨으로써 전원스위치(12)를 통해 전원공급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체(10)에의 전원 공급은 본체(10)에 연결되는 배선(도면상 미도시)의 플러그(도면상 미도시)가 실내외의 콘센트(도면상 미도시)에 결합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 내부에는 한 쌍의 보스(13)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0) 내부에 한 쌍의 보스(13)가 마련됨으로써 후술하는 커버(40)의 통공(41)으로 볼트(42)를 삽입시켜 본체(10)의 보스(13)에 체결하게 되면 본체(10)와 커버(40)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체(10)의 하단에는 단턱(14)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0)의 하단에 단턱(14)이 마련됨으로써 본체(10)의 단턱(14)이 후술하는 커버(40)의 단턱(43)에 걸치게 되면 본체(10)와 커버(40)가 어긋나지 않고 정확히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연결체(20)는 본체(10)에 연결되는 것이고, 일측에 하부가 개방된 제2연결부(21)가 마련되는 것이며, 타측에 원형의 돌출턱(22a)이 형성된 제3연결부(22)가 단차를 두고 마련된 것이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것이다.
이와 같은 연결체(20)에서 제3연결부(22)에 형성된 돌출턱(22a)은 후술하는 마감체(30)의 제4연결부(41) 내측 또는 다른 연결체(20)의 제2연결부(21) 내측에 삽입된다.
연결체(20)의 제3연결부(22)에 형성된 돌출턱이 마감체(30)의 제4연결부(31) 내측 또는 다른 연결체(20)의 제2연결부(21) 내측에 삽입됨으로써 연결체(20)의 제3연결부(20)에 형성된 돌출턱(22a)이 마감체(30)의 제4연결부(31) 또는 다른 연결체(20)의 제2연결부(21)에 걸리게 되므로 연결체(20)와 마감체(30) 또는 연결체(20)와 연결체(20)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제3연결부(22)의 돌출턱을 축으로 삼아 연결체(20) 및 마감체(30)의 회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연결체(20)의 제2연결부(21) 상면에는 플러그삽입구(23))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체(20)의 제2연결부(21) 상면에 플러그삽입구(23)가 마련됨으로써 플러그삽입구(23)에 가전제품(도면상 미도시)으로부터 이어지는 플러그(도면상 미도시)를 삽입하게 되면 가전제품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연결체(20)의 플러그삽입구(23)는 본체(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은 물론이다.
여기서, 연결체(20)의 플러그삽입구(23)와 본체(10)의 전기적 연결은 연결체(20) 및 본체(10) 내부로 이어지는 배선 연결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연결체(20)의 제2연결부(21) 저면에는 한 쌍의 보스(24)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체(20)의 제2연결부(21) 저면에 한 쌍의 보스(24)가 마련됨으로써 후술하는 커버(40)의 통공(41)으로 볼트(42)를 삽입시켜 연결체(20)의 제2연결부(21)에 마련되는 보스(24)에 체결하게 되면 연결체(20)와 커버(40)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본체(10)의 제1연결부(11) 또는 다른 연결체(20)의 제3연결부(22)가 연결체(20)의 제2연결부(21)와 커버(40) 사이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된다.
그리고 연결체(20)의 하단에는 단턱(25)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체(20)의 하단에 단턱(25)이 마련됨으로써 연결체(20)의 단턱(25)이 후술하는 커버(40)의 단턱(43)에 걸치게 되면 연결체(20)와 커버(40)가 어긋나지 않고 정확히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마감체(30)는 연결체(20)에 연결되는 것이고, 일측에 하부가 개방된 제4연결부(31)가 마련된 것이다.
이와 같은 마감체(30)의 제4연결부(31) 상면에는 플러그삽입구(32)가 마련된다.
이때, 마감체(30)의 제4연결부(31) 상면에 플러그삽입구(32)가 마련됨으로써 플러그삽입구(32)에 가전제품(도면상 미도시)으로부터 이어지는 플러그(도면상 미도시)를 삽입하게 되면 가전제품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마감체(30)의 플러그삽입구(32)는 연결체(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때, 마감체(30)의 플러그삽입구(32)와 연결체(20)의 전기적 연결은 연결체(20) 및 마감체(30) 내부로 이어지는 배선 연결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마감체(30)의 제4연결부(31) 저면에는 한 쌍의 보스(33)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감체(30)의 제4연결부(31) 저면에 한 쌍의 보스(33)가 마련됨으로써 후술하는 보조커버(50)의 일측 통공(51)으로 볼트(52)를 삽입시켜 마감체(30)의 제4연결부(31)에 마련되는 보스(33)에 체결하게 되면 마감체(30)와 보조커버(50)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연결체(20)의 제3연결부(22)가 마감체(30)와 보조커버(50) 사이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마감체(30)의 하단에는 단턱(34)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감체(30)의 하단에 단턱(34)이 마련됨으로써 마감체(30)의 단턱(34)이 후술하는 보조커버(50)의 단턱(53)에 걸치게 되면 마감체(30)와 보조커버(50)가 어긋나지 않고 정확히 결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마감체(30)는 제4연결부(31)와 마주하는 일측의 상면에 플러그삽입구(32)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감체(30)의 제4연결부(31)와 마주하는 일측의 상면에 플러그삽입구(32)가 마련됨으로써 플러그삽입구(32)에 가전제품(도면상 미도시)으로부터 이어지는 플러그(도면상 미도시)를 삽입하게 되면 가전제품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마감체(30)의 제4연결부(31)와 마주하는 일측 상면의 플러그삽입구(32)는 마감체(30)의 제4연결부(31)에 마련되는 플러그삽입구(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은 물론이다.
여기서, 마감체(30)의 제4연결부(31)와 마주하는 일측 상면의 플러그삽입구(32)와 제4연결부(31)에 마련되는 플러그삽입구(32)의 전기적 연결은 마감체(30) 내부로 이어지는 배선 연결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마감체(30)는 제4연결부(31)와 마주하는 일측의 저면에 한 쌍의 보스(33)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감체(30)의 제4연결부(31)와 마주하는 일측의 저면에 한 쌍의 보스가 마련됨으로써 후술하는 보조커버(50)의 다른 일측 통공(51)으로 볼트(52)를 삽입시켜 마감체(30)의 제4연결부(31)와 마주하는 일측의 저면에 마련되는 보스(33)에 체결하게 되면 마감체(30)와 보조커버(50)의 결합이 견고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커버(40)는 본체(10)와 연결체(20) 사이의 저면 또는 연결체20)와 연결체(20) 사이의 저면에 각각 결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커버(40)의 바닥면에는 한 쌍의 통공(41)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40)의 바닥면에 한 쌍의 통공(41)이 마련됨으로써 통공(41)을 통해 볼트(42)를 삽입시켜 본체(10)의 보스(13) 또는 연결체(20)의 보스(24)에 체결하게 되면 커버(40)와 본체(10)의 결합 또는 커버(40)와 연결체(20)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커버(40)의 상단에는 단턱(43)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40)의 상단에 단턱(43)이 마련됨으로써 커버(40)의 단턱(43)이 본체(10)의 단턱(14) 또는 연결체(20)의 단턱(25)과 결합하게 되면 커버(40)와 본체(10)의 결합 또는 커버(40)와 연결체(20)의 결합이 어긋남 없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보조커버(50)는 마감체(30) 저면에 결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보조커버(50)의 바닥면 양측 각각에는 한 쌍의 통공(51)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커버(50)의 바닥면 양측 각각에 한 쌍의 통공(51)이 마련됨으로써 통공(51)을 통해 볼트(52)를 삽입시켜 마감체(30)의 보스(33)에 체결하게 되면 보조커버(50)와 마감체(30)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보조커버(50)의 상단에는 단턱(53)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커버(50)의 상단에 단턱(53)이 마련됨으로써 보조커버(50)의 단턱(53)이 마감체(30)의 단턱(34)과 결합하게 되면 보조커버(50)와 마감체(30)의 결합이 어긋남 없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관절형 멀티콘센트(A)에서 본체(10) 및 연결체(20) 및 마감체(30)의 회전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서 본체(10)의 제1연결부(1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체(20)의 제2연결부(21)와 커버(30)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이때, 본체(10)의 제1연결부(11)에 형성된 돌출턱(11a)은 연결체(20)의 제2연결부(21) 내측에 삽입되어 있고, 연결체(20) 하단의 단턱(25)은 커버(40) 상단의 단턱(43)과 결합하고 있는바, 연결체(20)의 제2연결부(21) 및 커버(30) 사이에서 본체(10)의 제1연결부(11)가 이탈 없이 회전할 수 있게 되므로 서로 연결된 본체(10)와 연결체(20)가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 연결체(20)의 제3연결부(2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연결체(20)의 제2연결부(22)와 커버(40)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이때, 연결체(20)의 제3연결부(22)에 형성된 돌출턱(22a)은 다른 연결체(20)의 제2연결부(21) 내측에 삽입되어 있고, 다른 연결체(20) 하단의 단턱(25)은 커버(40) 상단의 단턱(43)과 결합하고 있는바, 다른 연결체(20)의 제2연결부(21) 및 커버(40) 사이에서 연결체(20)의 제3연결부(22)가 이탈 없이 회전할 수 있게 되므로 서로 연결된 연결체(20)와 연결체(20)가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 연결체(20)의 제3연결부(2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체(30)의 제4연결부(31)와 보조커버(50)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이때, 연결체(20)의 제3연결부(22)에 형성된 돌출턱(22a)은 마감체(30)의 제4연결부(31) 내측에 삽입되어 있고, 마감체(30) 하단의 단턱(34)은 보조커버(50) 상단의 단턱(53)과 결합하고 있는바, 마감체(30)의 제4연결부(31) 및 보조커버(50) 사이에서 연결체(20)의 제3연결부(22)가 이탈 없이 회전할 수 있게 되므로 서로 연결된 연결체(20)와 마감체(30)가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체(10) 및 연결체(20) 및 마감체(30)가 연결 상태에서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됨으로써 실내 모서리 등에 본 고안에 의한 관절형 멀티콘센트(A)가 설치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모서리 등을 따라 본체(10) 및 연결체(20) 및 마감체(30)를 회전시켜 굴곡을 이루도록 하면 본 고안에 의한 관절형 멀티콘센트(A)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고, 실내 모서리로부터 돌출되는 정도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므로 협소한 공간 내에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미감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연결체(20)의 추가 연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고안에서 마감체(30)는 보조커버(50)의 통공(51)을 관통하는 볼트(52)가 마감체(30)의 제4연결부(31) 및 제4연결부(31)와 마주하는 타측에 마련된 보스(33)에 체결되어 보조커버(50)와 결합하는 것인바, 보조커버(50)에 체결되는 볼트(52)를 분리하는 경우 보조커버(50) 및 마감체(30)가 연결체(20)로부터 쉽사리 분리되므로 마감체(30)와 보조커버(50)가 분리된 연결체(20)의 제3연결부(22a)에 형성되는 돌출턱(22a)을 다른 연결체(20)의 제2연결부(21) 내측에 삽입하고, 추가 연결된 연결체(20) 하부에 커버(40)를 결합하게 되면 연결체(20)의 추가 연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추가 연결된 연결체(20)의 제3연결부(22)에는 마감체(30) 및 보조커버(50)가 결합하는 것은 물론이며, 추가 연결된 연결체(20)는 이전의 연결체(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관절형 멀티콘센트(A)는 본체(10)에 돌출턱(11a)이 형성된 제1연결부(11)가 마련된 것이고, 연결체(20)에 하부가 개방된 제2연결부(21) 및 돌출턱(22a)이 형성된 제3연결부(22)가 마련된 것이며, 마감체(30)에 하부가 개방된 제4연결부(31)가 마련된 것이어서 본체(10)의 제1연결부(11)에 형성된 돌출턱(11a)이 연결체(20)의 제2연결부(21) 내측에 끼워지고, 연결체(20)의 제3연결부(22)에 형성된 돌출턱(22a)이 마감체(30)의 제4연결부(31) 내측에 끼워짐에 따라 본체(10)와 연결체(20)와 마감체(30)가 간단히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바, 본체(10)와 연결체(20)와 마감체(30)의 연결 구조가 단순하므로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제품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본체(10)와 연결체(20)와 마감체(30)의 연결부위가 견고하므로 연결부위에서의 손상 방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변경 가능한 것이며,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본체 11 : 제1연결부
11a : 돌출턱 12 : 전원스위치
13 : 보스 14 : 단턱
20 : 연결체 21 : 제2연결부
22 : 제3연결부 22a : 돌출턱
23 : 플러그삽입구 24 : 보스
25 : 단턱 30 : 마감체
31 : 제4연결부 32 : 플러그삽입구
33 : 보스 34 : 단턱
40 : 커버 41 : 통공
42 : 볼트 43 : 단턱
50 : 보조커버 51 : 통공
52 : 볼트 53 : 단턱
100 : 몸체 110 : 연결편
120 : 삽입홈 130 : 연결핀
A, A' : 멀티콘센트

Claims (11)

  1. 일측에 원형의 돌출턱이 형성된 제1연결부가 단차를 두고 마련된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일측에 하부가 개방된 제2연결부가 마련되며, 타측에 원형의 돌출턱이 형성된 제3연결부가 단차를 두고 마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체;
    상기 연결체에 연결되고, 일측에 하부가 개방된 제4연결부가 마련된 마감체;
    상기 본체와 연결체 사이의 저면 또는 연결체와 연결체 사이의 저면에 각각 결합하는 커버;
    상기 마감체 저면에 결합하는 보조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형 멀티콘센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제1연결부에 형성된 돌출턱은 연결체의 제2연결부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형 멀티콘센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면에 전원스위치가 마련되고, 내부에 한 쌍의 보스가 마련되며, 하단에 단턱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형 멀티콘센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의 제3연결부에 형성된 돌출턱은 마감체의 제4연결부 내측 또는 다른 연결체의 제2연결부 내측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형 멀티콘센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의 제2연결부는 상면에 플러그삽입구가 마련되고, 저면에 한 쌍의 보스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형 멀티콘센트.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는 하단에 단턱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형 멀티콘센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체의 제4연결부는 상면에 플러그삽입구가 마련되고, 저면에 한 쌍의 보스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형 멀티콘센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체는 제4연결부와 마주하는 일측으로 상면에 플러그삽입구가 마련되고, 저면에 한 쌍의 보스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형 멀티콘센트.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체는 하단에 단턱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형 멀티콘센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단에 단턱이 마련되고, 바닥면에 한 쌍의 통공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형 멀티콘센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커버는 상단에 단턱이 마련되고, 바닥면 양측 각각에 한 쌍의 통공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형 멀티콘센트.
KR2020120010777U 2012-11-22 2012-11-22 관절형 멀티콘센트 KR2004650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777U KR200465063Y1 (ko) 2012-11-22 2012-11-22 관절형 멀티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777U KR200465063Y1 (ko) 2012-11-22 2012-11-22 관절형 멀티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5063Y1 true KR200465063Y1 (ko) 2013-01-31

Family

ID=51360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0777U KR200465063Y1 (ko) 2012-11-22 2012-11-22 관절형 멀티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06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93767A1 (ko) * 2013-12-16 2015-06-25 김호진 콘센트 어셈블리
KR101620042B1 (ko) 2015-04-29 2016-05-12 (주)대성 관절형 멀티콘센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9074Y1 (ko) * 2006-07-26 2006-10-17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조립 및 분리될 수 있는 멀티탭
US20090011627A1 (en) * 2004-07-06 2009-01-08 Tseng-Lu Chien Outlet device with changeable position features
US20120028505A1 (en) * 2010-07-29 2012-02-02 Michael Weber Power Strip with Articulatable Outlets
KR20120053400A (ko) * 2010-11-17 2012-05-25 이준희 회전 멀티탭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11627A1 (en) * 2004-07-06 2009-01-08 Tseng-Lu Chien Outlet device with changeable position features
KR200429074Y1 (ko) * 2006-07-26 2006-10-17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조립 및 분리될 수 있는 멀티탭
US20120028505A1 (en) * 2010-07-29 2012-02-02 Michael Weber Power Strip with Articulatable Outlets
KR20120053400A (ko) * 2010-11-17 2012-05-25 이준희 회전 멀티탭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93767A1 (ko) * 2013-12-16 2015-06-25 김호진 콘센트 어셈블리
KR101620042B1 (ko) 2015-04-29 2016-05-12 (주)대성 관절형 멀티콘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18368A1 (en) Connector
US8197265B1 (en) Ground-integrated electrical adaptor
US20150380886A1 (en) Power Receptacle Assembly
KR102110981B1 (ko) 온수매트의 호스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
KR200465063Y1 (ko) 관절형 멀티콘센트
KR20100122766A (ko) 커넥터
KR200455582Y1 (ko) 개폐가 용이한 커버를 갖는 분전반
KR20120053400A (ko) 회전 멀티탭
KR200354304Y1 (ko) 벽면 매설용 콘센트 박스
US20070149034A1 (en) Connector for connecting electrical wires to electronic boards in domotic networks
KR102552482B1 (ko) 조인트 커넥터 장치
KR101209800B1 (ko) 레버 타입 커넥터
KR200293050Y1 (ko) 콘센트용 안전장치
KR200423752Y1 (ko) 바닥배선용 전선박스
KR200468978Y1 (ko) 콘센트모듈에 일괄로 체결하는 멀티콘센트
CN217109678U (zh) 箱门结构及烹饪设备
TWM507594U (zh) 電連接器殼體
KR101620042B1 (ko) 관절형 멀티콘센트
CN205429274U (zh) 一种开关插座底盒
KR20070012078A (ko) 천정배선 분기구
CN207356042U (zh) 吸尘器、手柄与软管总成及其手柄结构
CN211405369U (zh) 一种便于调节高度的接线盒
KR200485070Y1 (ko) 회전방지수단이 구비된 콘센트용 플러그접지단자의 결합구조
KR101225645B1 (ko)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플러그 및 라인콘센트
KR20120042052A (ko) 사이즈 조절형 배전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