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4858B1 - 주출부재 - Google Patents

주출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4858B1
KR101514858B1 KR1020107008029A KR20107008029A KR101514858B1 KR 101514858 B1 KR101514858 B1 KR 101514858B1 KR 1020107008029 A KR1020107008029 A KR 1020107008029A KR 20107008029 A KR20107008029 A KR 20107008029A KR 101514858 B1 KR101514858 B1 KR 101514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main body
opening cap
opening
spo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8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4155A (ko
Inventor
아키히토 미야자키
히로아키 하야시
키미오 타케우치
야스유키 타케우치
마나부 호소카와
Original Assignee
도요세이칸 그룹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메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세이칸 그룹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메이지 filed Critical 도요세이칸 그룹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84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4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4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4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71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means for positioning the cap on the container, or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cap, or for preventing accidental loosening of the ca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65D51/20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 B65D51/22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 B65D51/228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a major part of the inner closure being removed from the container after the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개봉 캡 (3)의 개구단측의 끝면으로부터, 중심축에 대해서 대칭으로 2 이상의 회전 멈춤편 (3d)을 늘어뜨려서, 이 회전 멈춤편 (3d)의 폭방향의 거의 중앙에 선단측을 개방시킨 요부 (3e)를 형성하고, 주출부 본체 (2)의 기부 (23)와 주출통부 (22)와의 경계부에 형성한 플랜지부 (2c) 위의 소정의 위치에, 회전 멈춤편 (3d)의 늘어뜨리는 방향과 거의 평행으로 요부 (3e)에 끼워넣는 계지돌기 (2b)를 돌출설치 하므로써, 개봉 캡 (3)의 불필요한 회전을 억제하는 동시에, 개봉이 완료된 것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주출부재{POURING MEMBER}
본 발명은, 유동성 내용물이 밀봉 충전되는 용기에 장착되어, 내용물의 주출구를 형성하는 주출부재(注出部材)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유동성 내용물이 밀봉 충전되는 용기로서 수지 필름 등의 연포재로 제대(製袋)해서 이루어지는 주머니 모양의 용기(파우치)가 알려져 있다. 그리고, 병원 등의 의료기관에서는, 이런 종류의 주머니 모양 용기는, 경장(經腸) 영양제, 유동식, 약액 등을 밀봉 충전하기 위한 용기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고 이러한 내용물을 주출하여 환자에게 투여함에 있어서는, 노즐형상의 주출부재가 이용되고 그 일례가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일본특허출원 공개공보 제2002-293361호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주출부재(용기용 캡 장치)는, 개봉용 캡을 주출통에 대해서 회전시키므로써, 개봉용 캡에 계합된 멈춤마개를 비틀어 잘라서, 주출통에 손대는 일 없이 위생적으로 개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개봉 기구를 갖춘 주출부재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이송시나, 내용물을 밀봉 충전할 때 등에, 개봉용 캡이 회전해 버리면, 멈춤마개가 비틀어 잘려서 내용물이 세어나올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사용시 이외에는, 개봉용 캡의 불필요한 회전이 억제되도록 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또한, 멈춤마개는 개봉용 캡에 숨겨저 있고 개봉할 때에, 사용자는, 멈춤마개가 틀어져 잘린 것을 눈으로 보고 확인할 수 없으므로, 멈춤마개가 틀어 잘라짐으로서 개봉이 완료되었는지 여부 판단이 곤란해진다. 그러므로, 개봉용 캡을 필요이상으로 회전시켜서, 불필요한 작업시간을 소비해 버리거나 개봉용 캡의 회전이 부족하여, 멈춤마개가 완전하게 틀어 잘리지 않은 채, 개봉용 캡을 무리하게 뽑으려고 하다 내용물을 흘려 버리거나 하는 등의 문제가 있는 것도 지적되고 있다.
또한, 병원 등의 의료 기관에서의 사용이 상정되는 용도에 있어서는, 의료 미스를 미리 막는다는 관점에서, 국장 통지 형상에 의한 규제에 따라 주출부재의 형상을 한정하므로서, 잘못된 사용이 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개봉된 주출부재를 카테터등의 튜브에 끼워넣어 내용물을 환자에게 투여할 때에, 지름이 다른 카테터 모두에 대응시키는 것이 곤란해진다.
따라서, 그대로는 대응할 수 없는 비교적 큰 지름인 카테터에 대해서는, 주출구의 외경을 카테터의 내경에 맞추기 위한 어댑터를 병용하게 되지만, 이 경우, 주출부재가 어댑터에 확실히 장착되어 있는 것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장착 후의 이완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한다.
또한, 어댑터를 병용하는 사용 양태에 있어서는, 카테터에 어댑터를 끼운 채로, 내용물의 투여를 끝낸 용기를 새로운 용기로 교환하거나 그 사이에, 카테터칩시린지에 의해서 다른 약액을 투여하거나 하는 일이 있다. 이와 같은 어댑터의 돌려쓰기가 이루어지는 경우라도, 주출부재나 카테터칩시린지에 대한 어댑터의 밀봉 성능의 열화를 막고, 액체누출이 생기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특히, 카테터칩시린지에 의한 투여를 할 때는, 카테터칩시린지의 통끝을 어댑터 내의 밀봉면에 대고 누르게 되지만, 그 때의 압압력에 의해서 어댑터 내의 밀봉면이 변형해 버리는 일이 있다. 이 때문에, 그와 같은 어댑터 내의 밀봉면의 변형을 고려하여, 주출부재에 대한 어댑터의 밀봉 성능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주출부재를 어댑터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주출통의 측면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나착에 의한 장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나사산이 주출통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면, 어댑터를 사용할 정도로는 내경이 크지 않은 카테터에 대해서, 주출통을 바로 끼워넣었을 때에, 카테터의 소재에 따라서는, 카테터의 개구부가 확대되어 나사산에 올라앉아 버리기도 한다. 그러면, 주출된 내용물이, 주출통의 측면을 선회하는 나사산을 따라서 흘러버린다.
이러한 카테터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어댑터를 무리하게 끼워넣어, 이것에 주출부재를 장착하면 되지만, 그러한 번잡한 작업은 사용자의 부담이 될 뿐만 아니라, 카테터를 손상시켜 버리게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개봉 캡의 회전에 의해서 개봉할 수 있는 개봉 기구를 갖춘 주출부재로서, 개봉 캡의 불필요한 회전을 억제하는 동시에, 개봉이 완료된 것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고 또한, 어댑터를 병용 할 때의 여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주출부재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주출부재는, 주출부재 본체와 상기 주출부재 본체에 동심 형상으로 장착되는 한쪽 끝이 닫혀진 통 형상의 개봉 캡을 갖추고 상기 주출부재 본체가, 기부부터 원통형으로 일어서는 주출통부와 상기 주출통부의 선단에 얇은 부분을 통해서 형성된 봉지부를 가지고, 상기 봉지부에 계합시킨 상기 개봉 캡을 중심축 주위에 회전시키므로서, 상기 봉지부를 상기 얇은 부분에서 틀어서 자르고 상기 주출통부를 개봉시키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개봉 캡의 개구 끝쪽의 끝면으로부터, 중심 축에 대해서 대칭으로 2이상의 회전 멈춤편을 늘어뜨려서, 상기 회전 멈춤편의 폭방향의 거의 중앙에 선단측을 개방시킨 요부를 형성하고, 상기 주출부 본체의 상기 기부와 상기 주출통부와의 경계부에 형성한 플랜지부 위의 소정의 위치에, 상기 회전 멈춤편의 늘어뜨리는 방향과 거의 평행으로 상기 요부에 끼워 넣는 계지돌기를 돌출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관한 주출부재에 의하면, 개봉 캡으로부터 늘어뜨린 회전 멈춤편과 주출부재 본체 측에 돌출설치한 계지돌기를 계지시키므로서, 개봉 캡의 불필요한 회전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양자의 계지가 해제될 때, 탄성변형 하는 회전 멈춤편이 복원할 때의 진동이 클릭감으로서 전해져서, 사용자는, 이 때의 클릭감에 의해서, 개봉의 개시시기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주출부재의 측면측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주출부재의 정면측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주출부재의 평면측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2(a)의 A-A단면에 해당되는 요부 단면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주출부재 본체로부터 개봉 캡을 벗긴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주출부재 본체에 어댑터를 나착(螺着)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6(a)의 쇄선으로 나타낸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8은 주출부재 본체에 어댑터를 나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어댑터의 종단면(F-F단면) 및 어댑터 내에 카테터 칩 실린지를 밀어넣은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주출부재에 대해서, 그 측면측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2는, 동 정면측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러한 도면에 나타내는 주출부재 (1)는, 주출부재 본체 (2)와 주출부재 본체 (2)에 장착되는 개봉 캡 (3)을 갖추고 있으나, 후술 하는바와 같이, 어댑터 (4) (도 6 참조)를 갖추기도 한다. 주출부재 본체 (2), 개봉 캡 (3) 및 어댑터 (4)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등의 폴리올레핀(polyolefin)계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여, 사출 성형 등의 성형 수단에 의해서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a)은, 주출부재 (1)의 측면도이며, 도 1(b)은, 그 요부 노치 단면도이다. 또한, 도 2(a)는, 주출부재 (1)의 정면도이며, 도 2(b)는, 그 요부 노치 단면도이다. 또한, 주출부재 본체 (2)의 평면도를 도 3(a)에 도시하고, 주출부재 (1)의 평면도를 도 3(b)에 도시하였으나, 도 1(b) 및 도 2(b)에 도시한 주출부재 본체 (2)의 단면(각 도면중 주출부재 본체 (2)의 오른쪽 절반에 도시한 단면)은, 각각 도 3(a)의 B-B단면, D-D단면에 해당되고, 도 1(b) 및 도 2(b)에 있어서의 개봉 캡 (3)의 단면은, 각각 도 3(b)의 C-C단면, E-E단면에 해당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주출부재 본체 (2)는, 기부 (23)와 기부 (23)에서 도면 중 윗쪽으로 향해서 원통형으로 세워지는 주출통부 (22)와 주출통부 (22) 선단에 얇은 부분 (21a)을 통해서 형성된 봉지부 (21)와 기부 (23)에 대해서 도면 중 하부에 위치하는 주형부(舟形部) (24)를 가지고 있다. 기부 (23)와 주형부 (24)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출통부 (22) 내에 연통하여 통액로(通液路) (2a)가 형성되도록, 그 내부가 관통되어 있다.
주출부재 본체 (2)의 주형부 (24)는, 예를 들면, 수지 필름과 같은 연포재로 제대해서 이루어진 파우치 등의 용기에, 주출부재 (1)를 내용물의 주출구로서 장착할 때의 용착부가 이루어지는 부위이다. 주형부 (24)는, 도면 중 좌우로 뻗어난 세 개의 용착기판 (24a)과 기부 (23)와의 경계부에 위치하는 위치 결정 기판 (24b)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파우치를 형성하는 연포재의 측변에 위치 결정 기판 (24b)을 접촉시키고, 그 위치 결정을 하면서, 해당연포재를 용착기판 (24a)의 측면에 용착하므로서, 파우치에 대한 주출부재 (1)의 장착이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한편, 개봉 캡 (3)은, 상판 (3a)에 의해서 한쪽 끝이 닫혀진 통 형상의 부재로 되어 있고 주출부재 본체 (2)에 대해서, 봉지부 (21)와 계합하도록 타전(打栓)에 의해 장착되고, 주출통부 (22)의 주위를 가리게 되어 있다.
또한, 도 1(a) 및 도 2(a)에서는, 개봉 캡 (3)으로 덮인 주출부재 본체 (2)의 일부를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주출부재 본체 (2)의 봉지부 (21)에 개봉 캡 (3)을 계합시키려면, 예를 들면, 도시하는 바와 같이 봉지부 (21)에, 그 둘레에지를 따라서 플랜지형상으로 돌출하는 돌출부 (21b)를 형성하는 동시에, 이 돌출부 (21b)와 계합하는 계합 리브 (3b)를 개봉 캡 (3)의 내주면에 형성하면 된다. 이로서, 주출부재 본체 (2)에 개봉 캡 (3)을 장착할 때에, 개봉 캡 (3)에 형성된 계합 리브 (3b)가, 봉지부 (21)에 형성된 돌출부 (21b)를 넘어 서로 계합하므로서, 개봉 캡 (3)과 봉지부 (21)와의 계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개봉 캡 (3)은, 주출부재 본체 (2)에 동심형상으로 장착되는 바, 그 중심축 주위에 회전시키므로서, 개봉 캡 (3)에 계합된 봉지부 (21)가 얇은 부분 (21a)에서 틀어잘려서, 주출통부 (22)를 개봉하도록 되어 있다(도 5 참조). 이에 따라, 파우치 내의 내용물이 통액로 (2a)를 통과하여, 주출통부 (22)의 선단으로부터 주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5는, 주출통부 본체 (2)로부터 개봉 캡 (3)을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노치 단면도이며, 도 1(b)과 같이 단면을 나타냈다.
개봉 캡 (3)에 의한 봉지부 (21)의 틀어자르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위해서는, 예를 들면, 도시하는 바와 같이, 봉지부 (21)에, 그 지름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돌출편 (21c)을 형성하는 동시에, 이 돌출편 (21c)이 계지되는 계지홈 (3c)을 개봉 캡 (3)의 내주면에 형성하면 된다. 이로서, 개봉 캡 (3)을 중심축 주위(좌우 불문하고)에 회전시키면, 이에 따라 봉지부 (21)도 회전하고, 얇은 부분 (21a)에서 비틀어서 잘리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틀어서 잘린 봉지부 (21)는, 틀어서 잘린 후에도 개봉 캡 (3)과의 계합이 유지되도록 하므로서, 개봉 캡 (3)으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주출부재 본체 (2)에 개봉 캡 (3)을 장착하면, 주출부재 본체 (2)의 주출통부 (22)가 개봉 캡 (3)으로 덮인 상태인 채, 사용자의 손가락이 주출통부 (22)에 접촉하는 일 없이, 봉지부 (21)를 틀어서 잘라 주출통부 (22)를 개봉시켜서, 파우치 내의 내용물을 주출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예를 들면, 한 쪽의 손으로 주출부재 본체 (2)의 기부 (23)를 파지하면서, 다른쪽 손으로 개봉 캡 (3)을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주출통부 (22)에 접촉하는 일 없이 위생적으로 봉지부 (21)를 틀어서 자를 수 있다.
또한, 개봉 캡 (3)에는, 개봉 캡 (3)의 불필요한 회전을 억제하기 위한 회전 멈춤편 (3d)을 형성하고 있다. 회전 멈춤편 (3d)은, 개봉 캡 (3)의 개구단측의 끝면으로부터 늘어뜨리도록 형성하는 것으로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멈춤편 (3d)의 폭방향의 거의 중앙에는, 회전 멈춤편 (3d)의 선단측을 개방시킨 요부 (3e)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 요부 (3e)에, 주출부재 본체 (2) 측에 형성된 계지돌기 (2b)가, 회전 멈춤편 (3d)의 늘어뜨리는 방향과 거의 평행으로 끼워 넣으므로서, 개봉 캡 (3)의 불필요한 회전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사용시 이외에 봉지부 (21)가 틀어서 잘려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주출부재 본체 (2) 측에 형성된 계지돌기 (2b)와 개봉 캡 (3)에 형성된 회전 멈춤편 (3d)은, 주출부재 본체 (2)에 개봉 캡 (3)을 타전 할 때의 위치 결정에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회전 멈춤편 (3d)은, 개봉 캡 (3)의 중심 축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도시하는 예에서는, 두 개의 회전 멈춤편 (3d)이, 180° 띄어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주출부재 본체 (2) 측에 형성하는 계지돌기 (2b)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출통부 (22)와 기초부 (23)와의 경계부에 플랜지부 (2c)를 형성하고 개봉 캡 (3)에 형성된 회전 멈춤편 (3d)에 대응하는 플랜지부 (2c) 상의 소정의 위치에 돌출설치 하면 된다.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봉지부 (21)를 틀어서 자를 때는, 도 4(a)에 도시한 상태에서 개봉 캡 (3)을 회전시키게 되지만, 이 때, 회전 멈춤편 (3d)은, 계지돌기 (2b)에 의해서 밀려나도록 탄성변형 하면서, 계지돌기 (2b)와의 계지가 해제된다. 그리고, 회전 멈춤편 (3d)이 계지돌기 (2b)로부터 떨어져서 복원할 때의 진동이, 클릭감으로서 사용자에게 전해져 온다.
또한, 개봉 캡 (3)이 중심축 주위에 거의 반회전하면,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대측의 계지돌기 (2b)에 회전 멈춤편 (3d)이 접촉하고, 이로서, 개봉 캡 (3)은, 더 이상의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또는 회전시키기 어려운 상태가 된다.
따라서, 도 4(b)의 예에서는, 봉지부 (21)가 틀어서 자르기에 필요한 회전 각도를, 예를 들면 160° 보다 작아지도록, 얇은 부분 (21a)의 두께나, 그 재료등을 적당히 조정하므로서, 개봉 캡 (3)의 회전이 정지된 감촉에 의해서, 봉지부 (21)가 틀어자르기가 완료된 것을, 또는 이미 완료되어 있는 것을, 사용자에게, 감각적으로 알릴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양태에 있어서는, 1회의 클릭감에 의해서 개봉 개시시기를 사용자에게 알리고 도 4(b) 상태에서 개봉 캡 (3)의 회전을 정지시키므로서 개봉 완료 시기를 사용자에게 알리듯이, 개봉 개시시기와 개봉 완료시기를 사용자에게 감촉적으로 알릴 수 있는 동시에, 실제의 개봉도 완료하고, 개봉 캡 (3)을 윗쪽으로 끌어올리기 가능한 상태가 되어 있다.
또한, 도 4(b)의 접촉 상태로부터, 다시 개봉 캡 (3)을 회전시키면, 계지돌기 (2b)가, 회전 멈춤편 (3d)을 밀어내면서 요부 (3e)에 끼워넣고, 회전 멈춤편 (3d)과 계지하게 되고, 이 때에도, 회전 멈춤편 (3d)이 복원할 때의 진동에 의한 같은 클릭감이 사용자에게 전해져 온다.
이 때, 봉지부 (21)의 틀어 자르기에 필요한 회전 각도가 180° 보다 작아지도록, 얇은 부분 (21a)의 두께나, 그 재료등을 적당히 조정해 두면, 봉지부 (21)의 개봉 개시시기와 개봉 완료 시기를, 각각 1회의 클릭감(합계 2회의 클릭감)에 의해서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즉, 1회째의 클릭감에 의해서 개봉 개시시기를 사용자에게 알려 봉지부 (21)의 틀어서 자르기가 실제로 완료된 후에, 두번째의 클릭감에 의해서, 봉지부 (21)의 틀어서 자르기가 완료된 것, 또는 완료되어 있는 것을 사용자에게 감촉적으로 알릴 수 있는 동시에, 실제의 개봉도 완료하고, 개봉 캡 (3)을 윗쪽으로 끌어올리기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로써, 봉지부 (21)를 틀어서 자를 때에, 개봉 캡 (3)을 필요이상으로 회전시켜서, 불필요한 작업시간을 소비해 버리거나 개봉 캡 (3)의 회전이 부족하여 봉지부 (21)의 틀어서 자르기가 완료되지 않는 채, 개봉 캡 (2)을 무리하게 뽑아 내려고 하다 내용물을 업질러 버리거나 하는 등의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에 도시하는 단면은, 도 2(a)의 A-A단면에 해당되고, 개봉 캡 (3)의 개구끝쪽의 끝면을 2점 쇄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 때, 도 4(b)에 있어서, 계지돌기 (2b)와 회전 멈춤편 (3d)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면에서 접촉하면, 더 이상 개봉 캡 (3)이 회전하지 않는, 또는 회전하기 어려운 접촉 상태가 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서, 도 4(c),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요부 (3e)의 외측면 또는 계지돌기 (2b)의 측면의 적어도 어느 한편을, 요부 (3e)의 내측면과 같이, 계지돌기 (2b)가 넘기 쉬운 경사면 또는 곡면형상으로 하고, 서로 선접촉 또는 점접촉으로 하므로서, 계지돌기 (2b)가, 회전 멈춤편 (3d)을 밀어내면서 요부 (3e)에 끼워지기 쉬워진다. 또한 도 4(c), (d)는, 도 4(b)의 긴 쇄선으로 둘러싸는 부분에 해당한다.
또한, 요부 (3e)는 관통된 구멍형상의 것이라도 되지만, 주출부재 본체 (2)에 개봉 캡 (3)을 타전 할 때에, 축하중을 받을 때의 강도 부족이 되지 않도록,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요부 (3e)의 바닥측(개봉 캡 (3)의 중심측의 내측면)을 남겨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계지돌기 (2b)와 요부 (3e)와의 맞물리는 양(간섭량)을 조정하므로서, 계지돌기 (2b)를 회전 멈춤편 (3d)에 접촉시키거나, 넘게 하는가의 조정도 가능하다.
또한, 회전 멈춤편 (3d)과 함께, 개봉 캡 (3)의 개구끝측의 끝면으로부터 늘어뜨리는 돌기 (3f)는, 주출부재 본체 (2)에 개봉 캡 (3)을 타전 할 때에, 개봉 캡 (3)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거나 회전 멈춤편 (3d)이 타전시의 축하중을 받아 부러지지 않게 보강하거나 하기 위해서 필요에 따라 형성하지만,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지돌기 (2b)와의 간섭을 피해서 형성된다. 또한, 돌출편 (3f)은, 회전 멈춤편 (3d)과 함께 계합 리브 (3b)와의 중심축방향(높이 방향)의 거리를 규정하고, 주출부재 본체 (2)의 돌출부 (21b)와 계합 리브 (3b)가 적합하게 계합할 수 있도록 길이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주출부재 (1)는, 예를 들면, 경장(經腸)영양제, 유동식 등을 내용물로 하여 밀봉 충전하는 파우치에 장착해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봉지부 (21)를 틀어 잘라서 개봉 캡 (3)을 떼어내고 나서, 개봉된 주출통부 (22)를 카테터 등의 튜브에 끼워넣어 접속한 후에, 내용물을 주출하므로써, 환자에게 투여가 이루어지지만, 이와 같은 병원 등의 의료 기관에서의 사용이 상정되는 용도에 있어서는, 국장 통지 형상에 의한 규제에 의해서 주출본체 (2)의 형상이 제한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서로 다른 내경의 카테터의 모두에, 주출본체 (2)를 대응시키는 것이 곤란해져서, 대응할 수 없는 지름의 카테터에 대해서는, 주출구의 외경을 카테터의 내경에 맞추기 위해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어댑터 (4)를 병용하게 된다.
여기서, 도 6(a)은, 주출통부 (22)를 개봉하고 개봉 캡 (3)을 떼어낸 후의 주출부재 본체 (2)에, 어댑터 (4)를 나착한 상태의 정면측을 나타내는 요부 노치 단면도이며, 도면중 쇄선으로 둘러싸는 부분을 도 7에 확대해서 도시한다. 도 6(a)에 도시하는 단면(도면중 왼쪽 절반에 도시하는 단면)은, 도 8의 F-F단면에 해당하지만, 도 8은, 어댑터 (4)를 나착한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면중 화살표로, 어댑터 (4)의 나사 조임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6(b)은, 어댑터 (4)를 나착한 상태의 측면도이다.
어댑터 (4)는, 주출부재 본체 (2)의 주출부재 본체 (2)에 동심형상으로 나착되는 통 형상의 부재이며, 주출통부 (22)의 외주면에는, 어댑터 (4)를 나착하기 위한 나사산 (2f)이 형성되어 있다. 실제 사용에 있어서는, 카테터에 접속한 채 어댑터 (4)를, 주출부재 본체 (2)로부터 떼어내거나 장착하거나 해서 파우치를 교환하는 일이 있다. 그래서, 파우치를 교환할 때에 카테터가 꼬이지 않게, 어댑터 (4)의 나사 조임 각도는, 45~270°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어댑터 (4)의 측면에는, 어댑터 (4)를 나사로 조일 때의 손가락 걸개가 되는 한 쌍의 날개부 (4a)가, 지름 방향으로 대칭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날개부 (4a)의 도면중 하단측은,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나사 조임 방향과는 반대쪽으로 만곡해서 접촉부 (4b)로 되어 있다. 이 접촉부 (4b)는, 주출부재 본체 (2)로 어댑터 (4)와의 나착이 이루어지고 주출부재 본체 (2)의 중심축을 포함한 동일 평면상에서, 플랜지부 (2c)상에 돌출설치 된 계지돌기 (2b)와 어댑터 (4)에 형성된 날개부 (4a)가 나란히 되었을 때에, 계지돌기 (2b)에 접촉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그 이상의 어댑터 (4)의 회전이 방해되는 일 없이, 나사 조임 완료시의 날개부 (4a)의 위치를 미리 정해 둠으로서, 날개부 (4a)의 위치를 눈으로 확인하는 것만으로, 사용자는, 나사 조임이 완료된 것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어댑터 (4)의 플랜지부 (2c)와 마주하는 쪽의 끝에지를 따르는 측면에는, 상기와 같은 접촉부 (4b)를 형성하는 동시에, 주출부재 본체 (2)와 나착 된 어댑터 (4)의 이완을 방지하기 위한 이완 멈춤 리브 (4c)를 형성하고 있다. 이 이완 멈춤 리브 (4c)는, 어댑터 (4)의 측면으로부터 높이가, 나사 조임 방향과는 반대 측으로 향해서 높아지는 경사면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주출부재 본체 (2)와 어댑터 (4)와의 나착이 이루어질 때에, 플랜지부 (2c) 위에 돌출설치 된 계지돌기 (2b)가, 그 경사면을 넘어, 접촉부 (4b)와의 사이에 떨어지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접촉부 (4b)와 이완 멈춤 리브 (4c)와의 사이에 계지돌기 (2b)가 끼워져서, 어댑터 (4)가 나사 조임 방향과는 반대쪽으로 회전해 버리는 것이 억제되어 어댑터 (4)가 이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카테터에 접속된 어댑터 (4)로부터, 카테터칩시린지 (6)에 의해서, 약액 등의 투여가 이루어지는 일이 있다(도 9 참조).
여기서, 도 9(a)는, 어댑터 (4)의 종단면을 도시하고, 도 9(b)는, 카테터칩시린지 (6)의 통끝을, 어댑터 (4)내의 밀봉면에 누른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이러한 도면에 도시하는 어댑터 (4)의 단면은, 도 8의 F-F단면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해서 약액 등을 투여할 경우에는,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테터칩시린지 (6)의 통끝을, 어댑터 (4)내의 밀봉면에 밀어붙여서, 그 밀착성을 높이면서 카테터칩시린지 (6)으로부터의 주출을 하지만, 이것이 반복되면, 어댑터 (4)내의 밀봉면이 변형되어 버리는 일이 있다.
즉,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는, 도 6(a), 도 9(a) 및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어댑터 (4)의 내경은 긴 방향의 거의 중앙이며, 선단 측으로 향해서 좁혀지고 있다. 그리고, 이 좁혀진 면을 밀봉면으로 하여 주출부재 본체 (2)의 주출통부 (22) 선단이나, 카테터칩시린지 (6)의 통끝과 밀착시키고, 그 밀봉 성능이 발휘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주출부재 본체 (2)와 카테터칩시린지 (6)에 대한 어댑터 (4)내의 밀봉면을 동일한 면만으로 하면, 어댑터 (4)는, 카테터칩시린지 (6)가 무리하게 밀어넣어져서 상기 동일한 밀봉면의 내경이 확대될 우려가 있고, 한편, 주출부재 본체 (2)에 대해서는, 나착에 의해서 장착되므로, 밀봉 성능 확보를 위해서 추가로 밀어넣을수 없어서, 약액 등이 샐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주출통부 (22)의 측면에는, 나사산 (2f) 보다 선단측이 되는 위치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환형상으로 돌출하는 환형상 리브 (2d)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환형상 리브 (2d)가, 주출부재 본체 (2)와 어댑터 (4)를 나착시켯을 때에, 어댑터 (4)의 내면에 밀착하도록 하여, 카테터칩시린지 (6)에 대한 밀봉면과는 다른 부위에서 밀봉 성능이 발휘되도록 하므로서, 주출부재 본체 (2)에 대한 어댑터 (4)의 밀봉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카테터 (5)의 굵기, 탄성 등에 따라서는, 다소 굵어도 어댑터 (4)를 통하지 않고, 카테터 (5)에 주출통부 (22)를 바로 삽입하고, 국장 통지 형상하에서 형성된 나사산 (2f)을 의지하여 카테터 (5)를 압입·고정 가능한 경우가 있다. 또한, 카테터 (5)가 유연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등, 도 5에 2점 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테터 (5)의 끝에지가 나사부 (2c)를 올라앉아 버리기도 한다. 그러면, 주출통부 (22)의 측면을 선회하는 나사산 (2f)을 따라서, 내용물이 새어나올 우려가 있다. 주출통부 (22)의 측면에, 상기와 같은 환형상 리브 (2d)를 형성하는 것은, 카테터 (5)에 바로 삽입된 주출통부 (22)와 카테터 (5)의 내면과의 밀착성을 높이고, 주출된 내용물이 나사산 (2f)에 이르지 않게 하고, 그 누출을 방지하는데 있어서도 유효하다.
또한 비교적 작은 지름의 카테터 (5)에 대해서는, 삐짐멈치 (2e)에 의해서 카테터 (5)의 내면과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서,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면, 도시하는 예에서는, 2 개의 회전 멈춤편 (3d)을 180° 떼어서 형성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봉지부 (21)를 틀어서 자르기에 필요한 회전 각도가 120° 보다 작은 경우에는, 3 개의 회전 멈춤편 (3d)을 120° 떼어서 형성하는 등, 전술한 것과 같게, 두번째의 클릭감에 의해서, 봉지부 (21)의 틀어 자르기가 완료된 것(또는 완료되어 있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릴수 있고, 회전 멈춤편 (3d)의 폭을 넓히는 등, 회전 멈춤편 (3d)의 외측면과 계지돌기 (2b)가, 120° 회전했을 때에 접촉해서 개봉 캡 (3)의 회전이 정지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회전 멈춤편 (3d)은, 개봉 캡 (3)의 중심축에 대해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으면, 그 수는, 봉지부 (21)가 틀어 자르기에 필요한 회전 각도에 따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관한 주출부재는, 위생적으로 개봉할 필요가 있는 내용물이 밀봉 충전되는 용기에, 특히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없음

Claims (4)

  1. 주출부재 본체와 상기 주출부재 본체에 동심형상으로 장착되는 한쪽 끝이 닫혀있는 통 형상의 개봉 캡을 갖추고
    상기 주출부재 본체가, 기부로부터 원통형으로 일어서는 주출통부와 상기 주출통부의 선단에 얇은 부분을 통해서 형성된 봉지부를 가지고, 상기 봉지부에 계합시킨 상기 개봉 캡을 중심축 주위에 회전시키므로서, 상기 봉지부를 상기 얇은 부분에서 틀어 잘라서 상기 주출통부를 개봉시키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개봉 캡의 통로 끝쪽의 끝면으로부터, 중심 축에 대해서 대칭으로 2 이상의 회전 멈춤편을 늘어뜨려서, 상기 회전 멈춤편의 폭방향의 거의 중앙에 선단측을 개방시킨 요부를 형성하고,
    상기 주출부 본체의 상기 기부와 상기 주출통부와의 경계부에 형성한 플랜지부 위의 소정의 위치에, 상기 회전 멈춤편의 늘어뜨리는 방향과 거의 평행으로 상기 요부에 끼워넣는 계지돌기를 돌출설치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출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출부재에는, 상기 주출통부를 개봉해서 상기 개봉 캡을 떼어낸 후에, 상기 주출부재 본체와 동심형상으로 나착 되는 통 형상의 어댑터가 추가로 갖추어지고,
    상기 어댑터는, 지름 방향으로 대칭으로 돌출된 한 쌍의 날개부를 갖는 동시에,
    상기 주출부재 본체와 상기 어댑터와의 나착이 이루어지고 중심축을 포함한 동일 평면상에서 상기 주출부재 본체에 형성된 상기 계지돌기와 상기 날개부가 나란히 있을 때에, 상기 계지돌기에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어댑터의 측면으로부터 높이가 나사 조임 방향과는 반대쪽으로 향해서 높아지는 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주출부재 본체와 상기 어댑터와의 나착이 이루어짐에 있어서, 상기 계지돌기가 상기 경사면을 넘어 상기 접촉부와의 사이에 떨어지도록 한 이완 멈춤 리브를
    상기 어댑터의 상기 플랜지부에 마주하는 쪽의 끝에지를 따르는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출부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출통부의 상기 기부 근방의 측면에, 상기 어댑터를 나착하기 위한 나사산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주출통부의 상기 나사산보다 선단측의 측면으로 환형상으로 돌출하는 환형상 리브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출부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출부재 본체와 상기 어댑터를 나착시킬 때에,
    상기 환형상 리브가, 상기 어댑터의 내면에 밀착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출부재.
KR1020107008029A 2007-10-19 2008-10-17 주출부재 KR1015148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272780 2007-10-19
JP2007272780A JP4987661B2 (ja) 2007-10-19 2007-10-19 注出部材
PCT/JP2008/068850 WO2009051221A1 (ja) 2007-10-19 2008-10-17 注出部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4155A KR20100084155A (ko) 2010-07-23
KR101514858B1 true KR101514858B1 (ko) 2015-04-23

Family

ID=40567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8029A KR101514858B1 (ko) 2007-10-19 2008-10-17 주출부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434651B2 (ko)
EP (1) EP2218651B1 (ko)
JP (1) JP4987661B2 (ko)
KR (1) KR101514858B1 (ko)
CN (1) CN101827757B (ko)
HK (1) HK1143122A1 (ko)
WO (1) WO20090512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93415B2 (en) 2007-12-05 2020-06-23 Solaredge Technologies Ltd. Testing of a photovoltaic panel
US11881814B2 (en) 2005-12-05 2024-01-23 Solaredge Technologies Ltd. Testing of a photovoltaic panel
US9130401B2 (en) 2006-12-06 2015-09-08 Solaredge Technologies Ltd. Distributed power harvesting systems using DC power sources
US8963369B2 (en) 2007-12-04 2015-02-24 Solaredge Technologies Ltd. Distributed power harvesting systems using DC power sources
US9112379B2 (en) 2006-12-06 2015-08-18 Solaredge Technologies Ltd. Pairing of components in a direct current distributed power generation system
US11569659B2 (en) 2006-12-06 2023-01-31 Solaredge Technologies Ltd. Distributed power harvesting systems using DC power sources
US11855231B2 (en) 2006-12-06 2023-12-26 Solaredge Technologies Ltd. Distributed power harvesting systems using DC power sources
US8816535B2 (en) 2007-10-10 2014-08-26 Solaredge Technologies,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on during inverter shutdown in distributed power installations
US8319483B2 (en) 2007-08-06 2012-11-27 Solaredge Technologies Ltd. Digital average input current control in power converter
US9088178B2 (en) 2006-12-06 2015-07-21 Solaredge Technologies Ltd Distributed power harvesting systems using DC power sources
US11309832B2 (en) 2006-12-06 2022-04-19 Solaredge Technologies Ltd. Distributed power harvesting systems using DC power sources
US8473250B2 (en) 2006-12-06 2013-06-25 Solaredge, Ltd. Monitoring of distributed power harvesting systems using DC power sources
US8618692B2 (en) 2007-12-04 2013-12-31 Solaredge Technologies Ltd. Distributed power system using direct current power sources
US8947194B2 (en) 2009-05-26 2015-02-03 Solaredge Technologies Ltd. Theft detection and prevention in a power generation system
US11735910B2 (en) 2006-12-06 2023-08-22 Solaredge Technologies Ltd. Distributed power system using direct current power sources
US8384243B2 (en) 2007-12-04 2013-02-26 Solaredge Technologies Ltd. Distributed power harvesting systems using DC power sources
US11296650B2 (en) 2006-12-06 2022-04-05 Solaredge Technologies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on during inverter shutdown in distributed power installations
US11888387B2 (en) 2006-12-06 2024-01-30 Solaredge Technologies Ltd. Safety mechanisms, wake up and shutdown methods in distributed power installations
US11687112B2 (en) 2006-12-06 2023-06-27 Solaredge Technologies Ltd. Distributed power harvesting systems using DC power sources
US11728768B2 (en) 2006-12-06 2023-08-15 Solaredge Technologies Ltd. Pairing of components in a direct current distributed power generation system
US8013472B2 (en) 2006-12-06 2011-09-06 Solaredge, Ltd. Method for distributed power harvesting using DC power sources
US8319471B2 (en) 2006-12-06 2012-11-27 Solaredge, Ltd. Battery power delivery module
CN101933209B (zh) 2007-12-05 2015-10-21 太阳能安吉有限公司 分布式电力装置中的安全机构、醒来和关闭方法
WO2009072076A2 (en) 2007-12-05 2009-06-11 Solaredge Technologies Ltd. Current sensing on a mosfet
US8289742B2 (en) 2007-12-05 2012-10-16 Solaredge Ltd. Parallel connected inverters
US11264947B2 (en) 2007-12-05 2022-03-01 Solaredge Technologies Ltd. Testing of a photovoltaic panel
US9291696B2 (en) 2007-12-05 2016-03-22 Solaredge Technologies Ltd. Photovoltaic system power tracking method
US8111052B2 (en) 2008-03-24 2012-02-07 Solaredge Technologies Ltd. Zero voltage switching
EP2294669B8 (en) 2008-05-05 2016-12-07 Solaredge Technologies Ltd. Direct current power combiner
JP5688509B2 (ja) * 2010-09-27 2015-03-25 株式会社フジシール キャップ付きアダプタを備えるスパウト付きパウチ、及びキャップ付きアダプタ
JP5552678B2 (ja) * 2010-09-28 2014-07-16 株式会社フジシール アダプタ、及びアダプタを備えるスパウト付きパウチ
JP5552677B2 (ja) * 2010-09-28 2014-07-16 株式会社フジシール アダプタ、及びアダプタを備えるスパウト付きパウチ
GB2485527B (en) 2010-11-09 2012-12-19 Solaredge Technologies Ltd Arc detection and prevention in a power generation system
US10673222B2 (en) 2010-11-09 2020-06-02 Solaredge Technologies Ltd. Arc detection and prevention in a power generation system
US10673229B2 (en) 2010-11-09 2020-06-02 Solaredge Technologies Ltd. Arc detection and prevention in a power generation system
US10230310B2 (en) 2016-04-05 2019-03-12 Solaredge Technologies Ltd Safety switch for photovoltaic systems
GB2486408A (en) 2010-12-09 2012-06-20 Solaredge Technologies Ltd Disconnection of a string carrying direct current
GB2483317B (en) 2011-01-12 2012-08-22 Solaredge Technologies Ltd Serially connected inverters
US8570005B2 (en) 2011-09-12 2013-10-29 Solaredge Technologies Ltd. Direct current link circuit
GB2498365A (en) 2012-01-11 2013-07-17 Solaredge Technologies Ltd Photovoltaic module
US9853565B2 (en) 2012-01-30 2017-12-26 Solaredge Technologies Ltd. Maximized power in a photovoltaic distributed power system
GB2498791A (en) 2012-01-30 2013-07-31 Solaredge Technologies Ltd Photovoltaic panel circuitry
GB2498790A (en) 2012-01-30 2013-07-31 Solaredge Technologies Ltd Maximising power in a photovoltaic distributed power system
GB2499991A (en) 2012-03-05 2013-09-11 Solaredge Technologies Ltd DC link circuit for photovoltaic array
US10115841B2 (en) 2012-06-04 2018-10-30 Solaredge Technologies Ltd. Integrated photovoltaic panel circuitry
JP6044985B2 (ja) * 2012-11-07 2016-12-14 日本クロージャー株式会社 折り取りスパウト
JP6053462B2 (ja) * 2012-11-09 2016-12-27 日本クロージャー株式会社 折り取りスパウト、スパウト付きパウ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060644B2 (ja) * 2012-11-26 2017-01-18 東洋製罐株式会社 注出部材
US9548619B2 (en) 2013-03-14 2017-01-17 Solaredge Technologie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and depleting energy
US9941813B2 (en) 2013-03-14 2018-04-10 Solaredge Technologies Ltd. High frequency multi-level inverter
EP4318001A3 (en) 2013-03-15 2024-05-01 Solaredge Technologies Ltd. Bypass mechanism
US9318974B2 (en) 2014-03-26 2016-04-19 Solaredge Technologies Ltd. Multi-level inverter with flying capacitor topology
WO2016141311A1 (en) * 2015-03-04 2016-09-09 Specialty Lubricants Corp. Packaging closure adapter
US11018623B2 (en) 2016-04-05 2021-05-25 Solaredge Technologies Ltd. Safety switch for photovoltaic systems
US11177663B2 (en) 2016-04-05 2021-11-16 Solaredge Technologies Ltd. Chain of power devices
BR112021011109A2 (pt) * 2019-02-04 2021-08-31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Bico, e, conjunto bico-embalag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3361A (ja) 2001-03-30 2002-10-09 Gomuno Inaki Kk 容器用キャッ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62537A (en) * 1955-04-18 1956-09-11 Boyle Midway Inc Closure spout
US3680745A (en) * 1971-09-07 1972-08-01 Eyelet Specialty Co Container construction for a safety closure
US3910463A (en) * 1974-05-08 1975-10-07 Dome Chemical Corp Closure for liquid container
US4002275A (en) * 1975-11-12 1977-01-11 Vca Corporation Safety cap
US4334638A (en) * 1980-02-07 1982-06-15 Pacer Technology And Resources, Inc. Child proof dispenser
US4413753A (en) * 1980-05-15 1983-11-08 Pacer Technology And Resources, Inc. Dispenser for cyanoacrylate adhesives
JPS5846751U (ja) * 1981-09-22 1983-03-29 株式会社リコー 安全容器
DE3629289A1 (de) * 1986-08-28 1988-03-10 Benckiser Gmbh Joh A Kindersicherer schraubverschluss
CH681146A5 (ko) * 1990-07-20 1993-01-29 Wilhelm A Keller
US5131571A (en) * 1991-01-02 1992-07-21 Nolley Roy G Universal coupling spout apparatus
US5249695A (en) * 1991-03-05 1993-10-05 Portola Packaging, Inc. Spout fitment closure plug
IT221941Z2 (it) * 1991-10-10 1994-12-29 Sofar Spa Valvola di non ritorno impiegabile in particolare in un contenitore di erogazione a pressione di un liquido
DE59208587D1 (de) * 1992-07-22 1997-07-10 Wilhelm A Keller Mischer mit Vorsatz
WO1994014492A2 (en) * 1992-12-18 1994-07-07 Schering Corporation Inhaler for powdered medications
FR2707256B1 (fr) * 1993-07-09 1995-08-11 Cebal Ensemble d'un récipient et d'un bouchage se verrouillant ensemble par rotation relative et son utilisation.
US5509580A (en) * 1993-08-30 1996-04-23 Ideal Ideas, Inc. Child resistant cap for sprayers
US5657905A (en) * 1993-08-30 1997-08-19 Ideal Ideas, Inc. Child resistant safety cap with collar and semi-flexible tether for sprayers
US5975369A (en) * 1997-06-05 1999-11-02 Erie County Plastics Corporation Resealable pushable container closure and cover therefor
IE980530A1 (en) * 1998-06-30 2000-02-09 Loctite R & D Ltd Device for Expressing Substances from a Deformable Tube
US6076712A (en) * 1998-10-22 2000-06-20 Esber; Alex S. Flexible caulk tube nozzle
US6394314B1 (en) * 1999-10-12 2002-05-28 Discus Dental Impressions, Inc. Double-barreled syringe with detachable locking mixing tip
US6652489B2 (en) * 2000-02-07 2003-11-25 Medrad, Inc. Front-loading medical injector and syringes, syringe interfaces, syringe adapters and syringe plungers for use therewith
GB2366287B (en) * 2000-08-31 2003-04-23 Montgomery Daniel & Son Ltd Liquid container closure assembly
US6962275B2 (en) * 2003-05-19 2005-11-08 Colder Products Company Fluid coupling with disposable connector body
US7040497B2 (en) * 2003-08-26 2006-05-09 Weiler Engineering, Inc. Hermetically sealed container with child safety overcap
ATE461872T1 (de) * 2004-02-05 2010-04-15 Ibsa Inst Biochimique Sa Tropferflasche
US8033429B2 (en) * 2004-07-08 2011-10-11 Sulzer Mixpac Ag Dispensing device for single use
JP4635497B2 (ja) 2004-07-15 2011-02-23 東洋製罐株式会社 流体容器用注出装置
JP4688076B2 (ja) * 2004-09-09 2011-05-25 株式会社細川洋行 注出器及び包装袋の製造方法
CN2839135Y (zh) * 2005-10-28 2006-11-22 卢嘉颖 带盖的包装袋
US7648051B1 (en) * 2006-08-09 2010-01-19 Rexam Closures And Containers Inc. Double shell dispensing closure with a reverse tapered drop lug
US8870833B2 (en) * 2007-12-21 2014-10-28 Covidien Lp Anti-rotation and removal resistant adapter for use with a syringe
ES2781559T3 (es) * 2009-07-15 2020-09-03 Becton Dickinson Co Dispositivo de inyección con acople luer sellado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3361A (ja) 2001-03-30 2002-10-09 Gomuno Inaki Kk 容器用キャッ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434651B2 (en) 2013-05-07
EP2218651A1 (en) 2010-08-18
EP2218651A4 (en) 2012-08-01
CN101827757B (zh) 2012-07-04
JP4987661B2 (ja) 2012-07-25
EP2218651B1 (en) 2014-01-22
WO2009051221A1 (ja) 2009-04-23
CN101827757A (zh) 2010-09-08
US20100206915A1 (en) 2010-08-19
JP2009102020A (ja) 2009-05-14
KR20100084155A (ko) 2010-07-23
HK1143122A1 (en) 2010-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4858B1 (ko) 주출부재
JP2005219814A (ja) 点滴器本体
MX2011003258A (es) Ensamble de tapa y metodo de produccion.
KR20110101674A (ko) 수액백용 포트
KR100746772B1 (ko) 수액백 및 수액세트의 연결구조물
JP5310731B2 (ja) 注出口及び注出口付き液体収容体
EP2621566A1 (en) Finger-grip device for medical syringe or cartridge
KR20190022530A (ko) 커넥터용 캡 및 캡이 달린 커넥터
WO2003095325A1 (fr) Bouchon de prevention contre la contamination
CN101801444B (zh) 供给装置
KR101675989B1 (ko) 점안액 용기 및 이의 조립방법
JP4706276B2 (ja) 流体容器用注出装置
WO2018173925A1 (ja) メスシリンジ及びシリンジキット
JP2002293361A (ja) 容器用キャップ装置
JP4227287B2 (ja) 医薬品用容器兼注射器用ピストン離脱防止ストッパー
JP2002128126A (ja) 易開封性容器
RU2480196C2 (ru) Резервуар и способ хранения и подачи жидкости и жидкого медицинского препарата
JP2002516724A (ja) 充填済容器
JP2004016772A (ja) 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用注射器および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JP2002210023A (ja) 容器のカテーテル接続構造
WO2022045008A1 (ja) トランスファーニードル
ITVR20090134A1 (it) "dispositivo per l iniezione in un bulbo oculare di un liquido sterile scelto tra i perfluorocarburi o perfluorocarboni"
JP2000288068A (ja) 液体容器
JP6060644B2 (ja) 注出部材
JP2022041685A (ja) 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