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2530A - 커넥터용 캡 및 캡이 달린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용 캡 및 캡이 달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2530A
KR20190022530A KR1020187036576A KR20187036576A KR20190022530A KR 20190022530 A KR20190022530 A KR 20190022530A KR 1020187036576 A KR1020187036576 A KR 1020187036576A KR 20187036576 A KR20187036576 A KR 20187036576A KR 20190022530 A KR20190022530 A KR 201900225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ap
male member
top plate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6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9983B1 (ko
Inventor
가즈히코 다키모토
유타카 우에다
야스마사 우에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Publication of KR20190022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2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9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9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0Closure caps or plugs for connectors or open ends of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5/00Feeding-tubes for therapeu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5/00Feeding-tubes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J15/0026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feeding-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39/1011Locking means for securing connection; Additional tamper safeties

Abstract

캡(30)은, 원통 형상을 갖는 외통(15)의 내주면에 설치된 암나사(16)를 구비하는 커넥터(1)에 착탈 가능하다. 캡(30)은, 외통(15)의 개구를 막을 수 있도록 구성된 천판(31)과, 천판(31)에 설치되고 또한 외통(15)에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 리브(32)와, 리브(32)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한 돌기(33)를 구비한다. 돌기(33)는, 암나사(16)에 결합할 수 있도록, 천판(31)으로부터 이격하여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커넥터용 캡 및 캡이 달린 커넥터
본 발명은, 커넥터에 착탈 가능한 캡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착탈 가능한 캡을 구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의료 분야에서는, 액상물을 흐르게 하기 위한 유로가 이용된다. 예를 들면, 경장영양법에서는, 식사를 입으로 섭취할 수 없게 된 환자에게, 카테터를 통해, 영양제, 유동식(일반적으로 「경장 영양제」라 불림), 또는 약제 등의 액상물이 투여된다. 카테터는, 체외로부터 소화관(예를 들면 위) 내에 삽입한 상태로 환자에게 유치된다. 카테터로는, 환자의 코로부터 삽입하는 경비 카테터나, 환자의 배에 형성된 위루에 삽입하는 PEG(Percutaneous Endoscopic Gastrostomy) 카테터 등이 알려져 있다. 환자에게 액상물을 투여할 때에는, 액상물을 저류한 용기와, 환자에게 유치된 카테터(경비 카테터, PEG 카테터 등)가 유연한 튜브 등을 개재하여 접속된다. 상이한 부재를 접속하기 위해, 수형 커넥터와 암형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접속구가 이용된다.
종래의 일반적인 접속구는, 끝이 가는 테이퍼면을 갖는 수형 커넥터와, 당해 수형 커넥터가 삽입되는, 중공의 통모양 형상을 갖는 암형 커넥터를 포함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이러한 수형 커넥터와 암형 커넥터의 접속 방식은, 일반적으로 「슬립 접속」이라 불린다.
국제 공개 제 2008/152871호 팜플렛 일본국 특허 공개 2010-22511호 공보
슬립 접속에서는, 수형 커넥터와 암형 커넥터의 접속 상태는, 양자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서 유지된다. 슬립 접속은 일반적으로 접속 강도가 낮고, 인장력이나 유로 내의 압력 상승으로 인해서, 수형 커넥터와 암형 커넥터가 의도하지 않게 분리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수형 커넥터와 암형 커넥터의 접속 강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으로서, 서로 나사 결합하는 나사 결합 구조(즉, 수나사와 암나사)를 수형 커넥터 및 암형 커넥터에 설치하는 것이 생각된다.
그런데, 경장 영양법에서는, 카테터 내의 유로를 청결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액상물의 투여를 행하지 않을 때에는, 환자에게 유치되는 카테터의 상류측단에 설치된 커넥터(이하 「환자측 커넥터」라고 함)에, 그 개구를 막도록 캡을 장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환자측 커넥터에, 접속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암나사를 설치한 경우, 환자측 커넥터의 구성에 따라 캡의 구성을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환자측 커넥터에 캡을 장착한 상태로 위의 내압이 상승하면, 캡은 환자측 커넥터로부터 분리되는 압력을 받는다. 이러한 경우에도 캡이 환자측 커넥터로부터 탈락하지 않도록, 캡의 환자측 커넥터에 대한 장착 강도는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 캡이 장착된 환자측 커넥터가 환자의 몸이나 얼굴에 깔린 경우에 환자가 아픔을 느끼지 않도록, 캡은 가능한 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은, 암나사를 구비한 커넥터에 착탈 가능한 캡으로서, 커넥터로부터 빠지기 어렵고 또한 소형의 캡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그러한 캡을 구비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커넥터용 캡은, 원통 형상을 갖는 외통의 내주면에 설치된 암나사를 구비하는 커넥터에 착탈 가능하다. 상기 캡은, 상기 외통의 개구를 막을 수 있도록 구성된 천판과, 상기 천판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외통에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 리브와, 상기 리브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한 돌기를 구비한다. 상기 돌기는, 상기 암나사에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천판으로부터 이격하여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캡이 달린 커넥터는, 본 발명의 상기 캡과 상기 커넥터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캡은, 커넥터의 외통에 삽입되는 통형상부의 외주면에, 커넥터의 암나사에 결합할 수 있는 돌기를 구비한다. 이 때문에, 캡은, 커넥터로부터 빠지기 어렵고, 또한, 캡을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캡을 커넥터에 장착할 때에 돌기가 암나사와 결합할 때에 클릭감이 발생하므로, 작업자는 캡을 커넥터에 항상 적절히 장착할 수 있다. 또, 천판은 커넥터의 외통의 개구를 막으므로, 외통의 내주면에 설치된 암나사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캡이 달린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캡이 달린 커넥터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캡이 달린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커넥터의 선단에 캡이 장착된,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캡이 달린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커넥터의 선단에 캡이 장착된,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캡이 달린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캡이 달린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캡이 달린 커넥터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커넥터의 선단에 캡이 장착된,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캡이 달린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캡이 달린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캡이 달린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캡이 달린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의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8의 B는, 도 8의 A의 8B-8B선을 포함하는 면을 따른 커넥터의 화살표방향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캡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의 A~도 10의 C는, 본 발명에 있어서, 통형상부에 설치되는 돌기의 각종 단면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 캡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원통 형상을 갖는 통형상부여도 된다. 이 경우, 상기 돌기는, 상기 통형상부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통형상부가 원통 형상을 갖는 것은, 통형상부의 기계적 강도의 향상에 유리하다. 따라서, 이러한 통형상부에 돌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은, 캡을 커넥터에 장착했을 때에, 돌기를 암나사에 확실하게 결합시키는데 유리하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외통에 둘러싸이도록 상기 외통과 동축으로 설치된 수형 부재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수형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기 수형 부재를 관통하는 유로가, 상기 수형 부재의 선단에 있어서 개구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통형상부는, 상기 캡을 상기 커넥터에 장착했을 때, 상기 통형상부의 내주면과 상기 수형 부재의 외주면 사이에 액밀한 시일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은, 유로의 봉지성의 향상과, 캡의 커넥터에 대한 장착 강도의 향상에 유리하다. 또한, 돌기와 암나사와의 결합 깊이가 증대되므로, 캡의 커넥터에 대한 장착 강도를 더욱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외통에 둘러싸이도록 상기 외통과 동축으로 설치된 수형 부재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수형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기 수형 부재를 관통하는 유로가, 상기 수형 부재의 선단에 있어서 개구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캡은, 상기 유로의 개구에 끼워넣어지도록 구성된 마개체를 더 구비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은, 캡의 커넥터에 대한 장착 강도의 향상에 유리하다. 또, 마개체가 유로에 끼워넣어짐으로써, 캡은, 커넥터에 대해 수평 방향(수형 부재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평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이것은, 돌기를 암나사에 확실히 결합시키는데 유리하다.
상기 마개체는, 상기 마개체가 상기 유로의 개구에 끼워넣어졌을 때, 상기 마개체의 외주면과 상기 유로를 규정하는 내주면 사이에 액밀한 시일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은, 위의 내압 상승에 의해 수형 부재의 유로의 압력이 상승했을 때에, 캡이 커넥터로부터 탈락할 가능성을 저감하는데 유리하다. 또, 마개체가 수형 부재에 대해, 유로로부터 빠져나오는 방향으로 약간 위치 어긋나도, 액밀한 시일을 계속 형성하는데 유리하다.
본 발명의 상기 캡을 상기 커넥터에 장착했을 때, 상기 돌기는 상기 암나사를 구성하는 나사산으로부터 이격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캡을 커넥터에 장기간에 걸쳐 계속 장착해도, 돌기가 나사산에 의해서 영구 변형되는 일이 없다. 이로 인해, 돌기의 작용이 장기에 걸쳐 약해지지 않고 발휘된다.
상기 캡은, 상기 커넥터보다 연질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캡의 커넥터 본체부에 대한 착탈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반복 착탈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하는데 유리하다.
상기 캡은, 상기 커넥터의 중심축 둘레로 상기 캡이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는 회전 제한 기구를 더 구비해도 된다. 이에 의해, 커넥터에 대한 캡의 착탈을 반복해도, 커넥터의 암나사의 나사산에 대한 돌기의 위치를 항상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캡은, 상기 천판의 외주 끝가장자리로부터 돌출한 조작 탭을 더 구비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조작 탭은 상기 리브에 대해 상기 돌기와 동일한 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것은, 캡을 커넥터로부터 떼어낼 때에 힘이 가해지는 조작 탭의 근처에 돌기가 배치되므로, 캡의 떼어냄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데 유리하다.
상기 캡은, 상기 캡을 상기 커넥터에 접속하기 위한 밴드를 더 구비해도 된다. 이것은, 캡의 분실을 방지하는데 유리하다. 또, 커넥터의 비사용 시에, 캡을 커넥터에 장착하는 것을 잊는 것을 방지하는데 유리하다.
상기 밴드의 상기 캡과는 반대측단에, 환상의 링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링의 내주면에는, 내경이 상기 링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변화하도록경사진 경사면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은, 링에 커넥터를 삽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커넥터는, ISO80369-3에 준거한 수형 커넥터여도 된다. 본 발명의 캡을 당해 수형 커넥터에 적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가 현저하게 발현된다.
이하에, 본 발명을 적합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참조하는 각 도면은,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구성하는 주요 부재를 간략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의 각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임의의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어서, 이하의 각 도면에 나타난 각 부재를 변경 또는 생략할 수 있다. 각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인용하는 도면에 있어서, 선행하는 실시형태에서 인용한 도면에 나타난 부재에 대응하는 부재에는, 당해 선행하는 실시형태의 도면과 동일한 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그러한 부재에 대해서는, 중복되는 설명이 생략되어 있으며, 선행하는 실시형태의 설명을 적절히 참작해야 한다.
(실시형태 1)
경비 카테터의 상류단에 설치되는 커넥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캡(30)이 달린 커넥터(수형 커넥터)(1)의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b는 캡(30)이 달린 커넥터(1)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b에 있어서, 일점쇄선(1a)은, 커넥터(1)의 중심축이다. 커넥터(1)는, 일방측에, 연장 튜브나 주입기가 접속되는 커넥터 본체부(10)를 구비하고, 타방측에, 환자에게 삽입되는 경비 카테터(9)의 상류단이 접속되는 기단부(20)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는, 커넥터(1)에 있어서, 커넥터 본체부(10)의 측을 「선단측」 또는 「상측」이라 하고, 기단부(20)의 측을 「기단측」 또는 「하측」이라 한다. 커넥터 본체부(10)와 기단부(20)를 연결하는 방향(즉, 중심축(1a)을 따른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 하고, 중심축(1a)에 수직인 평면에 평행한 방향을 「수평 방향」이라 한다. 중심축(1a)에 직교하는 방향을 「반경 방향」, 중심축(1a) 둘레로 회전하는 방향을 「둘레 방향」이라고 한다. 단, 「상측」, 「하측」, 「상하 방향」, 및 「수평 방향」은, 커넥터(1)의 사용 시의 방향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 본체부(10)는, 중심축(1a)과 동축의 수형 부재(11) 및 외통(15)을 갖는다. 수형 부재(11)는 봉형상의 부재이다. 유로(12)가, 수형 부재(11)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수형 부재(11)를 관통하고 있다. 수형 부재(11)의 외주면(13)은,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면(소위 수형 테이퍼면)이다. 외통(15)은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갖고, 수형 부재(11)를 둘러싸고 있다. 외통(15)의 내주면(수형 부재(10)에 대향하는 면)에는 암나사(16)가 설치되어 있다. 수형 부재(11)와 외통(15)(특히 그 암나사(16)의 나사산)과는 반경 방향으로 이격하고, 양자 사이에 간극(18)이 존재하고 있다. 외통(15)의 외주면(17)은, 상하 방향에 있어서 외경이 일정한 원통면이다. 커넥터 본체부(10)는, 국제 표준화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는, 영양계의 의료기기에 관한 국제 규격 ISO80369-3의 수형 커넥터에 준거하고 있어도 된다.
기단부(20)는, 수형 부재(11)와 동축으로 설치된 통형상의 접속관(21)을 구비한다. 관통 구멍(22)이, 중심축(1a)을 따라서 접속관(21)을 관통하고 있다. 관통 구멍(22)은, 수형 부재(11)의 유로(12)와 연통하고 있다. 관통 구멍(22) 내에, 경비 카테터(9)가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카테터(9)의 접속관(21)으로의 고정 방법은 임의이며, 예를 들면 접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카테터(9)는,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공지의 임의의 경비 카테터에 이용되는 유연한 카테터(튜브)를 이용할 수 있다.
접속관(21)을 파지부(25)가 둘러싸고 있다. 파지부(25)의 외면의 수평 방향에 평행한 면을 따른 단면 형상은 장방형이다. 도 1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파지부(25)는, 당해 장방형의 장변을 포함하는 평탄한 2개의 파지면(25a)(도 1a에서는, 1개의 파지면(25a)만이 보이고 있음)을 갖는다. 작업자는, 파지면(25a)을 파지함으로써 커넥터(1)에 회전력을 가하기 쉽다.
기단부(20)의 구성은, 본 실시형태 1로 한정되지 않는다. 단, 카테터(9)를 수형 부재(11)의 유로(12)와 연통하도록 고정할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지부(25)의 구성은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속관(21)에 파지면(25a)이 직접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혹은, 파지부(25) 및 파지면(25a)을 생략해도 된다.
캡(30)은, 밴드(37)를 통해 커넥터(1)에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캡(30)을 분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커넥터(1)의 비사용 시에, 캡(30)을 커넥터(1)의 선단에 장착하는(후술하는 도 3a 및 도 3b 참조) 것을 잊을 가능성도 낮다.
캡(30)은, 원형의 천판(31)을 갖는다. 천판(31)의 외경은, 캡(30)을 커넥터(1)의 선단에 장착했을 때(후술하는 도 3a 및 도 3b 참조), 천판(31)이 외통(15)의 상방을 향한 개구를 막을 수 있도록 설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천판(31)의 외경은, 외통(15)에 설치된 암나사(16)의 골 지름보다 크다. 일반적으로는, 천판(31)의 외경은, 외통(15)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거나, 이것보다 약간 큰 것이 바람직하다. 천판(31)의 외주 끝가장자리에 밴드(37)가 접속되어 있다. 밴드(37)는, 반경 방향을 따라서 쭉 곧게 연장되는 띠형상의 얇은 평판이다. 천판(31)의 외주 끝가장자리 중, 밴드(37)와는 반대측의 위치로부터 조작 탭(36)이 돌출하고 있다.
천판(31)의 한쪽의 면(도 1a에 있어서 상방을 향한 면)으로부터, 원통 형상을 갖는 통형상부(리브)(32)가 상방을 향해 돌출하고 있다. 통형상부(32)의 외주면으로부터 돌기(33)가 돌출하고 있다. 돌기(33)는, 통형상부(32)에 대해 조작 탭(36)과 동일한 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1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돌기(33)는 천판(31)으로부터 약간 이격하고 있다. 상방에서 봤을 때, 중심축(1a)에 대해서, 밴드(37), 천판(31), 돌기(33), 조작 탭(36)이 반경 방향을 따른 일직선 상에 배치된다.
통형상부(32)로 둘러싸인 영역 내에, 마개체(34)가 설치되어 있다. 마개체(34)는, 원형의 평면에서 봤을 때의 형상을 갖고, 상방을 향해 돌출하고 있다. 마개체(34)는, 천판(31)의 근방에, 시일면(34a)을 갖는다. 시일면(34a)은, 외경이 일정한 원통면, 또는, 천판(31)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이격함에 따라서 외경이 작아지는 수형 테이퍼면(즉 원뿔면)이다. 천판(31), 통형상부(32), 마개체(34)는, 동심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통형상부(32)는, 마개체(34)를 둘러싸고, 또한, 마개체(34)로부터 이격하고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1)의 외통(15)의 선단측(상측)의 개구가 노출된 상태를, 본 발명에서는 「열림 상태」라고 한다.
도 2는, 캡(30)이 달린 커넥터(1)의 분해 사시도이다. 밴드(37)의 캡(30)과는 반대측단에, 원환형의 링(38)이 설치되어 있다. 링(38)의 외주면은, 커넥터(1)의 외통(15)과 대략 동일 직경의 원통면이다. 링(38)의 내주면은 원통면인데, 등 각도 간격으로 4개의 오목부(절결)(38a)가 설치되어 있다. 캡(30), 밴드(37), 및 링(38)은 일체화되어 캡 장치(39)를 구성한다.
커넥터(1)의 외주면이며, 커넥터 본체부(10)와 기단부(20) 사이의 위치에,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는 홈(28)이 설치되어 있다. 홈(28) 내에, 반경 방향을 따라서 외향으로 돌출하는 4개의 볼록부(28a)(도 2에서는, 2개의 볼록부(28a)만이 보이고 있음)가 중심축(1a)에 대해 등 각도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링(38)이 홈(28) 내에 끼워넣어지도록, 캡 장치(39)는 커넥터(1)에 장착된다. 홈(28) 내의 볼록부(28a)가 링(38)의 오목부(38a)에 끼워맞춰진다. 캡(30)은 밴드(37)를 개재하여 링(38)에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캡(30)을 포함하는 캡 장치(39)는, 커넥터(1)에 대해 둘레 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다. 즉, 링(38)의 오목부(38a) 및 밴드(37)는, 캡(30)이 커넥터(1)의 중심축(1a) 둘레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는 「회전 제한 기구」를 구성한다. 또한, 회전 제한 기구의 구성은, 본 실시형태 1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오목부(38a) 및 볼록부(28a)의 수나 배치는, 본 실시형태 1로 한정되지 않고,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오목부(38a) 및 볼록부(28a) 대신에, 서로 끼워맞추는 임의의 형상(예를 들면, 다각기둥면)을, 링(38)의 내주면 및 홈(28) 내에 설치해도 된다(예를 들면, 후술하는 실시형태 3 참조). 회전 제한 기구는, 캡(30)의 중심축(1a) 둘레의 회전을 실질적으로 제한할 수 있으면 된다. 예를 들면, 밴드(37)가 변형되는 것으로 인한 캡(30)의 둘레 방향의 변위는 허용된다.
커넥터(1)의 재료는, 제한은 없지만, 외력에 의해서 실질적으로 변형되지 않을 정도의 기계적 강도(강성)를 갖는 단단한 재료(경질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PC),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 경질 폴리염화비닐, 폴리아세탈(POM),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PP) 등의 수지 재료를 이용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폴리카보네이트(PC),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 경질 폴리염화비닐이 바람직하다. 커넥터(1)는, 상기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법 등에 의해 전체를 일부품으로서 일체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캡 장치(39)의 재료는, 제한은 없으나, 캡(30)의 커넥터 본체부(10)에 대한 착탈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반복의 착탈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변형이 가능한 유연성과 내구성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캡 장치(39)는, 커넥터(1)보다 연질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등의 수지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혹은, 이소프렌 고무, 실리콘 고무, 부틸 고무 등의 고무나,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 염화비닐계 엘라스토머 등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와 같은, 고무 탄성을 갖는 연질의 재료(소위 엘라스토머)를 이용할 수 있다. 캡 장치(39)는, 상기 재료를 이용하여, 예를 들면 사출 성형법 등에 의해 전체를 일부품으로서 일체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커넥터(1)와 캡 장치(39)를 일체화시키는 방법은 임의이다. 예를 들면, 커넥터(1) 및 캡 장치(39)를 따로 따로 제조하고, 링(38) 내에 커넥터(1)(즉, 커넥터 본체부(10) 또는 기단부(20))를 삽입하여 조립할 수 있다(삽입법). 삽입법에서는, 커넥터 본체부(10)(또는 기단부(20))가 링(38)을 통과할 때에, 링(38)은 확경하도록 둘레 방향으로 신장된다. 따라서, 캡 장치(39)가 상술한 연질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은, 삽입법에 의해 커넥터(1)에 캡 장치(39)를 장착하는데 유리하다. 혹은, 2색 성형법에 의해 커넥터(1)와 캡 장치(39)를 일체화시켜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1차 금형으로 커넥터(1)를 성형하고, 2차 금형으로 캡 장치(39)를 성형하고 또한 이것을 커넥터(1)에 일체화시킬 수 있다. 2색 성형법은, 캡 장치(39)의 재료가, 삽입법에서는 조립하는 것이 곤란한 비교적 고강도의 재료인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다.
캡(30)은,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1)의 선단에 장착할 수 있다. 즉, 천판(31)의 통형상부(32)가 설치된 측의 면이 수형 부재(11)에 대향하도록 캡(30)과 커넥터 본체부(10)를 상하 방향으로 대향시키고, 캡(30)을 커넥터(1)를 향해 밀어넣는다.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통(15)의 선단측(상측)의 개구가 캡(30)의 천판(31)으로 막아진다. 이 상태를, 본 발명에서는 「닫힘 상태」라고 한다. 밴드(37)는 대략 원호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만곡된 밴드(37) 및 조작 탭(36)은, 외통(15)의 외주면보다 반경 방향의 외측을 향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카테터(9)는, 코를 경유하여, 그 말단(도시하지 않음)이 위에 도달하도록 환자에 삽입되어 있다. 카테터(9)의 상류측단에 커넥터(1)가 장착되어 있다. 이 상태로, 카테터(9) 및 커넥터(1)는 환자에게 계속 유치된다. 경장 영양법을 행하는 경우에는, 캡(30)을 커넥터(1)의 선단으로부터 떼어내고, 커넥터(1)를 열림 상태로 한다(도 1a 및 도 1b 참조). 그리고, 커넥터 본체부(10)에 암형 커넥터(용기측 커넥터)를 접속하고, 액상물을 환자에게 투여한다. 암형 커넥터는, 예를 들면, 액상물을 저류한 용기에 접속된 튜브의 하류측단에, 또는 액상물을 저류한 주입기(예를 들면 시린지)의 구부에, 설치되어 있다. 암형 커넥터는, 바람직하게는 암나사(16)에 나사 결합하는 수나사(또는 돌기)를 갖는다. 암형 커넥터는, ISO80369-3에 준거하고 있어도 된다. 경장 영양법을 종료하면, 커넥터 본체부(10)로부터 암형 커넥터를 분리하고, 대신에 캡(30)을 커넥터 본체부(10)의 선단에 장착하고, 커넥터(1)를 닫힘 상태로 한다(도 3a 및 도 3b 참조). 이와 같이, 캡(30)은, 커넥터(1)의 선단에 대해 반복 착탈할 수 있다.
도 3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닫힘 상태에서는, 캡(30)의 통형상부(32)가, 외통(15)과 수형 부재(11) 사이의 간극(18)에 끼워넣어지고, 또, 캡(30)의 마개체(34)가 수형 부재(11)의 유로(12)에 끼워넣어져 있다. 또한, 캡(30)의 천판(31)이 외통(15)의 상단에 접촉하고 있다. 이로 인해, 수형 부재(11)의 유로(12)나 외통(15)과 수형 부재(11) 사이의 간극(18)이, 캡(30)으로 막아진다. 경장 영양법을 행하지 않는 커넥터(1)의 비사용 시에 커넥터(1)를 닫힘 상태로 함으로써, 유로(12) 및 간극(18)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3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캡(30)의 통형상부(32)로부터 돌출한 돌기(33)가, 외통(15)에 설치된 암나사(16)의 상하 방향으로 이웃하는 나사산(16a, 16b) 사이의 간극에 끼워넣어져 있다. 돌기(33)가 천판(31)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이격하고 있으므로, 천판(31)이 외통(15)의 선단에 접촉한 상태에서, 돌기(33)를 나사산(16a, 16b) 사이에 끼워넣을 수 있다. 돌기(33)의 선단은, 나사산(16a, 16b)의 선단보다 반경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돌기(33)는 암나사(16)(특히 그 나사산(16a))에 결합되어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열림 상태로부터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닫힘 상태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돌기(33)는 암나사(16)의 나사산(16a)을 타고 넘을 필요가 있다. 돌기(33)는 나사산(16a)을 타고 넘을 때에 변형되고, 나사산(16a)을 타고 넘은 직후에 바로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한다. 작업자가 캡(30)을 커넥터(1)를 향해 밀어넣는 힘은, 돌기(33)가 나사산(16a)을 타고 넘을 때에 급격하게 증가해, 나사산(16a)을 타고 넘은 직후에 급격하게 감소한다. 작업자는, 이러한 힘의 변화를 클릭감으로서 감지하여, 이에 의해, 캡(30)이 커넥터(1)의 선단에 적절히 장착되었다고 인식한다. 따라서, 캡(30)을 커넥터(1)에 항상 적절히 장착할 수 있다. 통형상부(32)는 원통 형상을 가지므로, 비교적 큰 강도를 갖는다. 이러한 통형상부(32)에 돌기(33)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캡(30)을 커넥터(1)에 장착했을 때에, 돌기(33)는 암나사(16)의 나사산(16a)을 확실히 타고 넘을 수 있다.
캡(30)을 커넥터(1)에 장착한 후에는, 도 3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돌기(33)는 암나사(16)의 나사산(16a)에 결합된다. 캡(30)을 커넥터(1)로부터 떼어내기 위해서는, 돌기(33)는 나사산(16a)을 타고 넘을 필요가 있고, 이 때, 돌기(33)를 변형시켜야 된다. 캡(30)을 커넥터(1)로부터 떼어내기 위해서는 큰 힘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캡(30)이 커넥터(1)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탈락할 가능성은 낮다. 암나사(16)에 결합하는 돌기(33)는 캡(30)의 커넥터(1)에 대한 장착 강도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환자의 위의 내압이 상승함으로써 유로(12)의 압력이 상승하는 경우가 있다. 닫힘 상태의 커넥터(1)를 환자에게 유치한 상태에서 유로(12)의 압력이 상승해도, 캡(30)이 커넥터(1)로부터 빠져나올 가능성은 낮다. 또, 조작 탭(36)이나 천판(31) 등에 잘못하여 상향으로 힘이 가해져도, 캡(30)이 커넥터(1)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빠질 가능성은 낮다.
본 실시형태 1과는 달리, 돌기(33)를 이용하지 않고, 캡(30)의 커넥터(1)에 대한 장착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은 가능하다.
예를 들면, 통형상부(32)의 상하 방향 치수를 크게 하여, 통형상부(32)와 수형 부재(11)(또는 외통(15))의 끼워맞춤 깊이를 증대시킨 경우에도, 캡(30)의 장착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은 가능하다. 그러나, 통형상부(32)의 상하 방향 치수를 크게 한 경우, 캡(30)을 커넥터(1)에 착탈할 때에 캡(30)을 커넥터(1)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장거리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이것은, 캡(30)의 착탈의 작업성을 저하시킨다. 또, 밴드(37)를 길게 할 필요가 있으므로, 캡(30)을 커넥터(1)에 장착한 상태에서의 밴드(37)의 반경 방향을 따른 돌출량(도 3a 및 도 3b 참조)이 증대한다. 그 결과, 캡(30)이 장착된 커넥터(1)가 환자의 몸이나 얼굴에 깔린 경우에, 크게 돌출한 밴드(37)에 의해서 환자가 아픔을 느낄 가능성이 높다.
혹은, 천판(31)의 외주 끝가장자리에, 통형상부(32)와 동일한 측을 향해 돌출하는 원통형상의 리브를 설치하고, 캡(30)을 커넥터(1)에 장착했을 때, 외통(15)의 선단 부분이 당해 원통형상 리브에 끼워넣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원통형상 리브의 내주면과 외통(15)의 외주면에, 서로 결합하는 결합 구조(예를 들면, 볼록부와, 당해 볼록부가 끼워넣어지는 오목부)를 설치할 수 있다. 이 구성도, 돌기(33)를 이용하지 않고, 캡(30)의 커넥터(1)에 대한 장착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은 가능하다. 그러나, 이 구성에서는, 캡(30)(특히 천판(31))의 외경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그 결과, 캡(30)이 장착된 커넥터(1)가 환자의 몸이나 얼굴에 깔린 경우에, 반경 방향으로 크게 돌출한 천판(31)에 의해서 환자가 아픔을 느낄 가능성이 높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1과 같이, 암나사(16)에 결합하는 돌기(33)를 캡(30)에 설치한 구성은, 캡(30)의 커넥터(1)에 대한 장착 강도를 확보하면서, 캡(30)의 착탈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캡(30)을 소형화하는데 유리하다. 커넥터(1)에 설치된 암나사(16)를 이용하므로, 캡(30)의 장착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커넥터(1)의 구성을 변경할 필요가 없다.
도 3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캡(30)을 커넥터(1)에 장착했을 때, 바람직하게는, 돌기(33)는, 암나사(16)의 나사산(16a, 16b)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이격하고 있다. 돌기(33)는, 암나사(16)로부터 힘을 받는 일은 없고, 변형되는 일도 없다. 따라서, 커넥터(1)가 닫힘 상태에서 장기간에 걸쳐서 환자에게 유치되어도, 돌기(33)가 암나사(16)에 접촉함으로써 영구 변형되어 버린다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이것은, 돌기(33)에 의한 상기 작용을 장기에 걸쳐 악해지지 않고 발휘시키는데 유리하다.
본 실시형태 1에서는, 링(38)의 내주면에 설치된 오목부(38a)가, 커넥터(1)의 홈(28) 내에 설치된 볼록부(28a)에 끼워맞춰지고(도 2 참조), 또한, 캡(30)은 밴드(37)를 통해 링(38)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커넥터(1)에 대한 캡(30)의 중심축(1a) 둘레의 회전 방향의 위치는 경시적으로 변화하지 않고, 실질적으로 일정하다. 이 때문에, 커넥터(1)에 대한 캡(30)의 착탈을 반복하는 등, 캡(30)에 다양한 외력이 작용해도, 항상, 돌기(33)를, 암나사(16)의 상하 방향으로 이웃하는 나사산(16a, 16b) 사이에, 이들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이격하여 끼워넣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통형상부(32)의 내경은, 수형 부재(11)의 외주면(13)의 외경보다 약간 작게 설정된다. 이에 의해, 통형상부(32) 내에 수형 부재(11)가 삽입되면, 통형상부(32)가 조금 확경하도록 변형된다. 통형상부(32)의 내주면과 수형 부재(11)의 외주면(13)은 면접촉하고, 양자 사이에 액밀한 시일이 형성된다. 이것은, 유로(12)의 봉지성의 향상과, 캡(30)의 커넥터(1)에 대한 장착 강도의 향상에 유리하다. 또한, 통형상부(32)가 확경됨으로써, 돌기(33)는 암나사(16)의 홈에 의해 깊게 삽입된다. 이것은, 돌기(33)와 암나사(16)의 결합 깊이를 증대시키므로, 캡(30)의 커넥터(1)에 대한 장착 강도의 향상에 유리하다.
본 실시형태 1에서는, 캡(30)을 커넥터(1)에 장착했을 때, 통형상부(32)와 외통(15)에 설치된 암나사(16)는 반경 방향으로 이격하고 있다. 단, 본 발명에서는 이것은 필수는 아니다. 예를 들면, 캡(30)을 커넥터(1)에 장착했을 때, 통형상부(32)와 외통(15)에 설치된 암나사(16)가 반경 방향으로 접촉해도 된다. 이것은, 캡(30)의 커넥터(1)에 대한 장착 강도가 한층 더 향상되는데 유리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닫힘 상태에 있어서 캡(30)을 커넥터(1)로부터 떼어내기 위해서는, 조작 탭(36)을 상방으로 들어올리면 된다. 돌기(33)는 통형상부(32)에 대해 조작 탭(36)과 동일한 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도 1a 및 도 2 참조), 조작 탭(36)과 돌기(33)는 접근하고 있다. 이 때문에, 조작 탭(36)을 들어올리면, 돌기(33)도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캡(30)의 떼어냄 작업이 용이하다.
마개체(34)가, 수형 부재(11)의 유로(12)의 선단측의 개구에 끼워넣어져 있다. 이것은, 캡(30)의 커넥터(1)에 대한 장착 강도의 향상에 유리하다. 바람직하게는, 마개체(34)는, 유로(12)를 액밀하게 봉지한다. 마개체(34)로 유로(12)를 봉지하는 것은, 위의 내압 상승에 의해 유로(12)의 압력이 상승했을 때에, 캡(30)이 커넥터(1)로부터 탈락할 가능성을 저감하는데 유리하다. 그 이유는, 이하와 같다.
본 실시형태 1과는 달리, 마개체(34)를 이용하지 않고, 유로(12)를 봉지하는 것은 가능하다. 예를 들면, 마개체(34)를 생략하여, 통형상부(32)의 내주면과 수형 부재(11)의 외주면(13) 사이에 형성되는 시일에 의해서, 유로(12)를 간접적으로 봉지할 수 있다.
유로(12)의 압력이 상승했을 때에 캡(30)이 받는 상향의 힘은, 압력이 작용하는 면적에 비례한다. 유로(12)를 마개체(34)로 봉지하는 본 실시형태 1의 구성은, 마개체(34)를 이용하지 않고 통형상부(32)와 수형 부재(11) 사이의 시일로 봉지하는 구성에 비해, 압력이 작용하는 면적이 작기 때문에, 유로(12)의 압력이 상승했을 때에 캡(30)이 받는 힘은 작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 1에서는, 유로(12)의 압력 상승 시에 캡(30)이 커넥터(1)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유리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 1에서는, 마개체(34)의 외주면을 구성하는 시일면(34a)이, 수형 부재(11)의 유로(12)를 규정하는 내주면(특히 유로(12)의 선단측 개구 근방의 내주면)에 끼워맞춰지고, 양자 사이에 액밀한 시일이 형성된다. 즉, 시일면(34a)과 유로(12)를 규정하는 내주면이, 대략 반경 방향으로 밀착하여 시일을 형성한다. 이 구성에서는, 마개체(34)가 수형 부재(11)에 대해 중심축(1a)방향으로 약간 위치 어긋나도, 액밀한 시일을 계속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캡(30)을 커넥터(1)에 장착했을 때의 캡(30)의 커넥터(1)로의 밀어넣음 깊이가 약간 얕은 경우나, 유로(12)의 압력 상승에 의해서 캡(30)이 커넥터(1)로부터 상방으로 약간 들뜬 경우에도, 유로(12)를 계속 봉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 1은, 위의 내용물의 역류 등의 방지에 유리하다.
본 실시형태 1에서는, 캡(30)은, 수형 부재(11)의 유로(12)를 봉지할 뿐만 아니라, 그 천판(31)이, 외통(15)의 선단측의 개구도 막는다. 이로 인해, 외통(15)과 수형 부재(11) 사이의 간극(18)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수형 부재(11)의 외주면(13)과 외통(15)의 암나사(16) 사이의 간격은 매우 좁기 때문에, 예를 들면 면봉 등을 삽입하여 간극(18)을 청소하는 것은 곤란하다. 간극(18)의 위생 상태가 나쁘면, 간극(18) 내에서 균이 번식해, 당해 균이 유로(12)를 통해 환자의 체내에 침입할 가능성이 있다. 본 실시형태 1의 캡(30)은, 외통(15)의 선단측의 개구를 막으므로, 커넥터(1)가 환자에게 장기간에 걸쳐서 유치되어도, 간극(18)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고, 균이 환자에게 침입하여 중증의 합병증을 일으키는 사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캡(230)이 달린 커넥터(수형 커넥터)(1)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4b는 캡(230)이 달린 커넥터(1)의 단면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 2는, 암나사(16)에 결합하는 돌기(33)가 설치되는 리브의 형상에 관해 실시형태 1과 상이하다. 이하, 실시형태 1과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본 실시형태 2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 2에서는, 돌기(33)는, 천판(31)의 면(도 4a에 있어서 상방을 향한 면)으로부터 돌출한 대략 판형상의 리브(232)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리브(232)는, 대략 원호를 따르고 있다. 즉, 리브(232)는, 원통 형상의 일부를 이룬다. 이 원통 형상은, 실시형태 1의 통형상부(32)를 구성하는 원통 형상과 동일하다.
도 5는, 커넥터(1)의 선단에 캡(230)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리브(232)가, 외통(15)과 수형 부재(11) 사이의 간극(18)에 끼워넣어지고, 또, 돌기(33)가 암나사(16)에 결합하고 있다.
마개체(34)가, 수형 부재(11)의 유로(12)의 선단측의 개구에 끼워넣어져 있다. 이 때문에, 캡(230)이, 커넥터(1)에 대해 수평 방향에 위치 결정된다. 이것은, 돌기(33)를 암나사(16)에 확실히 결합시키는데 유리하다. 또, 리브(232)의, 돌기(33)와는 반대측의 면(마개체(34)측의 면)이, 수형 부재(11)의 외주면(13)에 접촉하고 있다. 이것도, 돌기(33)를 암나사(16)에 확실히 결합시키는데 유리하다.
본 실시형태 2는, 상기를 제외하고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실시형태 1의 설명이 본 실시형태 2에 적절히 적용될 수 있다.
(실시형태 3)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캡(30)이 달린 커넥터(수형 커넥터)(3)의 접속관(21)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b는, 캡(30)이 달린 커넥터(3)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캡(30)이 달린 커넥터(3)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의 A는 커넥터(3)의 측면도, 도 8의 B는 도 8의 A의 8B-8B선을 포함하는 면을 따른 커넥터(3)의 화살표방향 단면도이다. 도 9는, 캡(30)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캡 장치(339)의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9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3의 캡 장치(339)의 링(338)에는 대략 장방형의 관통 구멍(338a)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338a)의 내경은, 링(338)의 두께 방향으로 일정하지 않다. 도 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통형상부(32)가 형성된 면과 동일한 측의 면을 향해 내경이 커지도록 경사진 경사면(338b)이, 관통 구멍(338a)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단부(320)는, 대략 원통 형상의 접속관(21)을 구비한다. 접속관(21)의 외주면에, 한 쌍의 파지편(326)이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각 파지편(326)의 수평 방향을 따른 단면 형상은, 중공의 대략 「U」자 형상이다. 한 쌍의 파지편(326)과 그 사이의 접속관(21)이, 커넥터(3)의 파지부(325)를 구성한다. 파지부(325)는, 실시형태 1의 파지부(25)와 마찬가지로, 작업자가 파지부(325)를 파지하여 커넥터(3)에 회전력을 더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파지편(326)의 구성은, 본 실시형태 3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파지편(326)이 속이 찬 대략 사각 기둥체여도 되고, 혹은, 접속관(21)으로부터 반경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얇은 판형상물이어도 된다.
접속관(21) 및 파지편(326)의 반경 방향의 외측을 향한 면의, 커넥터 본체부(10)에 인접하는 위치에, 홈(328a) 및 홈(328b)이 설치되어 있다. 홈(328a, 328b)은, 수평 방향을 따르고 있다. 도 8의 B는 홈(328a, 328b)을 통과하는 면을 따른 커넥터(3)의 단면도이다. 도 8의 B에 나타낸 커넥터(3)의 단면 형상은, 링(338)에 설치된 관통 구멍(338a)(도 7 참조)을 규정하는 대략 장방형의 끝가장자리에 내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캡 장치(339)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링(338)에 기단부(320)를 삽입함으로써, 커넥터(3)에 장착된다. 접속관(21) 및 파지편(326)이 관통 구멍(338a)에 삽입될 때에, 관통 구멍(338a)의 내주면에 형성된 경사면(338b)(도 9 참조)이, 관통 구멍(338a)의 내경이 확대하도록 링(338)을 변형시킨다. 따라서, 링(338)에 대한 커넥터(3)(특히 기단부(320))의 삽입이 용이하다. 관통 구멍(338a)의 끝가장자리가 홈(328a, 328b)에 도달하면, 링(338)은 변형 전의 상태로 복귀하고,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 구멍(338a)의 끝가장자리가 홈(328a, 328b)에 끼워넣어진다.
홈(328a, 328b)에서의 커넥터(3)의 단면 형상이 링(338)의 대략 장방형의 관통 구멍(338a)에 끼워맞춰진다. 이 때문에, 커넥터(3)에 대한 링(338)의 회전이 제한된다. 링(338)에 설치된 관통 구멍(338a), 및, 링(338)과 캡(30)을 연결하는 밴드(37)가, 캡(30)이 커넥터(3)의 중심축 둘레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는 「회전 제한 기구」를 구성한다.
본 실시형태 3은, 상기를 제외하고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실시형태 1의 설명이 본 실시형태 3에 적절히 적용될 수 있다. 링(338)에 설치된 경사면(338b)과 마찬가지로, 내경이 두께 방향에 있어서 변화하도록 경사진 경사면을, 실시형태 1의 링(38)의 내주면에 설치하여, 삽입법에 의한 캡(30)이 달린 커넥터(1)의 조립을 용이하게 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 3의 상기 구성을, 실시형태 2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 1~3은 예시에 지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 1~3으로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암나사(16)에 결합하는 돌기(33)가 설치되는 리브가, 실시형태 1, 3에서는 원통 형상을 갖는 통형상부(32)이며, 실시형태 2에서는 원통 형상의 일부를 이루는 리브(232)였는데,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리브는, 캡을 커넥터에 장착했을 때, 커넥터의 외통(15) 내에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한, 임의의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리브는, 평판형상, 기둥형상(또는 봉형상) 등의 임의의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리브는, 천판(31)의 한쪽의 면으로부터 대략 수직으로 세워 설치된다. 천판(31)에 복수의 리브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복수의 리브가, 외통(15)과 동심의 원 위에 이산적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캡에 설치되는 돌기(33)의 형상은 임의이다. 캡(또는 마개체(34))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면을 따른 돌기(33)의 단면 형상은, 도 10의 A에 나타낸 사다리꼴, 도 10의 B에 나타낸 삼각형, 도 10의 C에 나타낸 반원형 등의 어느 것이어도 되고, 혹은, 이것들 이외의 임의의 형상이어도 된다. 돌기(33)의 길이(캡의 중심축 둘레로 회전하는 방향을 따른 치수)도 임의이다. 돌기(33)가, 암나사(16)의 홈과 합치하는 나선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돌기(33)의 수는, 1개로 한정되지 않고, 2개 이상이어도 된다. 2개 이상의 돌기(33)의 리브(32, 230) 상의 위치는 임의이다. 2개 이상의 돌기(33)의 상하 방향 위치 및 둘레 방향 위치 중 한쪽이 일치하고 있어도 된다. 캡에 복수의 리브가 설치되는 경우, 복수의 리브의 전부에 1개 이상의 돌기(33)가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복수의 리브 중 일부의 리브에만 1개 이상의 돌기(33)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캡 장치(39, 339)를 커넥터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은, 링(38, 338)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링(38, 338) 대신에, 밴드(37)의 선단에 대략 「T」자 형상(또는 대략 「Y」자 형상)을 갖는 고정부를 설치해도 된다. 이 고정부는, 커넥터에 끼워넣어지거나 또는 매설된다. 이 구성에서도,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캡 장치를, 캡이 둘레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면서 커넥터에 고정할 수 있다.
캡이 커넥터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는 회전 제한 기구를 생략해도 된다. 예를 들면,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오목부(38a) 및 볼록부(28a)의 한쪽 또는 양쪽 둘 다 생략하고, 링(38)이, 커넥터(1)에 대해 중심축(1a) 둘레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홈(28)에 끼워넣어져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돌기(33)가 암나사(16)의 홈 내를 이동하도록 캡을 커넥터에 대해 회전시킴으로써, 캡의 커넥터(1)에 대한 착탈 작업을 행할 수도 있다. 이 구성은, 돌기(33)를 암나사(16)에 의해 깊게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캡의 커넥터(1)에 대한 장착 강도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할 수 있다. 또, 밴드(37)를 짧게 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 1~3에서는, 캡을 커넥터의 선단에 장착했을 때, 밴드(37)는 원호형상으로 만곡되었는데, 밴드(37)의 구성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밴드(37), 밴드(37)와 캡의 경계부, 밴드(37)와 링(38, 338)의 경계부 중 적어도 하나에, 자유롭게 회동 가능한 힌지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캡을 커넥터에 착탈할 때, 힌지 이외에서는 밴드(37)는 실질적으로 변형되지 않는다. 이 구성은, 커넥터가 닫힘 상태에서의 밴드(37)의 반경 방향을 따른 돌출량을 줄이는데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밴드(37)를 생략하고, 캡이 커넥터로부터 분리된 부품이어도 된다.
조작 탭(36)의 형상이나 수, 위치 등은, 상기 실시형태 1~3으로 한정되지 않고,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조작 탭(36)이, 천판(31)으로부터 통형상부(32)와는 반대측을 향해 돌출하고 있어도 된다. 혹은, 조작 탭(36)을 생략해도 된다. 예를 들면, 천판(31)이 외통(15)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캡의 천판(31)의 외경을, 커넥터의 외통(15)의 외경보다 조금 크게 하면, 조작 탭(36)이 없어도 캡을 커넥터로부터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 1~3에서는, 커넥터가 경비 카테터(9)의 상류단에 설치되는 경우를 설명했는데, 커넥터는, 경비 카테터 이외의 경장 영양법에서 이용되는 임의의 카테터(예를 들면, PEG 카테터)의 상류단에 설치할 수 있다. 또, 경장 영양법 이외의, 예를 들면 정맥 영양법에 이용되는 튜브에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커넥터 본체부(10)는, ISO80369-3에 준거한 수형 커넥터였는데,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캡은, 암나사가 설치된 외통을 갖는 임의의 커넥터에 적용할 수 있다. 커넥터는 수형 부재(11)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커넥터가 암형 커넥터여도 된다.
본 발명의 캡은, 제한은 없지만, 카테터나 튜브의 일단에 설치되는 커넥터용 캡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당해 커넥터의 이용 분야는 제한은 없고, 식품이나 화학의 분야에서 이용되는 것이어도 되는데, 의료 분야, 또한 경장 영양법에서 사용되는 것임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은, 경비 카테터나 PEG 카테터와 같이 환자의 체내에 삽입된 카테터의 상류측단에 고정되고, 당해 카테터와 함께 장기간에 걸쳐서 환자에게 계속 유치되는 커넥터용 캡으로서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3: 커넥터 11: 수형 부재
12: 수형 부재의 유로 13: 수형 부재의 외주면
15: 외통 16: 암나사
16a, 16b: 암나사의 나사산 30: 캡
31: 천판 32: 통형상부(리브)
33: 돌기 34: 마개체
34a: 시일면(마개체의 외주면) 36: 조작 탭
37: 밴드(회전 제한 기구) 38, 338: 링
38a: 오목부(회전 제한 기구) 230: 캡
232: 리브 338a: 관통 구멍(회전 제한 기구)
338b: 경사면

Claims (13)

  1. 원통 형상을 갖는 외통의 내주면에 설치된 암나사를 구비하는 커넥터에 착탈 가능한 커넥터용 캡으로서,
    상기 외통의 개구를 막을 수 있도록 구성된 천판과,
    상기 천판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외통에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 리브와,
    상기 리브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한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암나사에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천판으로부터 이격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캡.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원통 형상을 갖는 통형상부이며, 상기 돌기는, 상기 통형상부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있는, 커넥터용 캡.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외통에 둘러싸이도록 상기 외통과 동축으로 설치된 수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수형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기 수형 부재를 관통하는 유로가, 상기 수형 부재의 선단에 있어서 개구되어 있고,
    상기 통형상부는, 상기 캡을 상기 커넥터에 장착했을 때, 상기 통형상부의 내주면과 상기 수형 부재의 외주면 사이에 액밀한 시일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커넥터용 캡.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외통에 둘러싸이도록 상기 외통과 동축으로 설치된 수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수형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기 수형 부재를 관통하는 유로가, 상기 수형 부재의 선단에 있어서 개구되어 있고,
    상기 캡은, 상기 유로의 개구에 끼워넣어지도록 구성된 마개체를 더 구비하는, 커넥터용 캡.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마개체는, 상기 마개체가 상기 유로의 개구에 끼워넣어졌을 때, 상기 마개체의 외주면과 상기 유로를 규정하는 내주면 사이에 액밀한 시일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커넥터용 캡.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을 상기 커넥터에 장착했을 때, 상기 돌기는 상기 암나사를 구성하는 나사산으로부터 이격하는, 커넥터용 캡.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보다 연질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커넥터용 캡.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중심축 둘레로 상기 캡이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는 회전 제한 기구를 더 구비하는, 커넥터용 캡.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천판의 외주 끝가장자리로부터 돌출한 조작 탭을 더 구비하고,
    상기 조작 탭은 상기 리브에 대해 상기 돌기와 동일한 측에 배치되어 있는, 커넥터용 캡.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을 상기 커넥터에 접속하기 위한 밴드를 더 구비하는, 커넥터용 캡.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밴드의 상기 캡과는 반대측단에, 환상의 링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링의 내주면에는, 내경이 상기 링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변화하도록 경사진 경사면이 설치되어 있는, 커넥터용 캡.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ISO80369-3에 준거한 수형 커넥터인, 커넥터용 캡.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캡과 상기 커넥터를 구비한 캡이 달린, 커넥터.
KR1020187036576A 2016-06-29 2017-06-29 커넥터용 캡 및 캡이 달린 커넥터 KR1023499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28968 2016-06-29
JPJP-P-2016-128968 2016-06-29
PCT/JP2017/023953 WO2018003923A1 (ja) 2016-06-29 2017-06-29 コネクタ用キャップ及びキャップ付き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2530A true KR20190022530A (ko) 2019-03-06
KR102349983B1 KR102349983B1 (ko) 2022-01-11

Family

ID=60787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6576A KR102349983B1 (ko) 2016-06-29 2017-06-29 커넥터용 캡 및 캡이 달린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908040B2 (ko)
KR (1) KR102349983B1 (ko)
CN (2) CN114732736A (ko)
WO (1) WO20180039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0457A1 (ja) * 2018-10-17 2020-04-23 ニプロ株式会社 雌コネクタ
JP7155050B2 (ja) * 2019-03-11 2022-10-18 テルモ株式会社 台座及び保護キャップ組立体
JP7114512B2 (ja) * 2019-03-11 2022-08-08 テルモ株式会社 台座及び保護キャップ組立体
CN111282075A (zh) * 2019-07-22 2020-06-16 首都儿科研究所 输液接头保护帽
WO2022076908A2 (en) 2020-10-09 2022-04-14 Icu Medical, Inc. Fluid transfer device and method of use for same
WO2022085594A1 (ja) * 2020-10-22 2022-04-28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オスコネクタ用カバー
DE102022101151A1 (de) 2022-01-19 2023-07-20 B. Braun Melsungen Aktiengesellschaft Kappe für einen Konnektor eines enteralen Überleitungssets sowie Überleitungsset mit einer Kapp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52871A1 (ja) 2007-06-08 2008-12-18 Jms Co., Ltd. メス型コネクタ及び接続具
JP2010022511A (ja) 2008-07-17 2010-02-04 Nipro Corp 医療用コネクタ、医療用注入器及び医療用注入セット
JP2014023871A (ja) * 2012-07-30 2014-02-06 Top Co Ltd コネクタカバー
JP2015054137A (ja) * 2013-09-12 2015-03-23 日機装株式会社 医療用キャップ付コネクタ
US20160158110A1 (en) * 2014-12-02 2016-06-09 Covidien Lp Adapter Assembly for Enteral Feeding and Method of Making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511130A (en) * 1998-10-06 2003-01-31 Arno S A blender or food processor with safety function if the lid of its cup is not in place where a locking button has to bear against an abutment or in a notch on the lid before the blender or food processor can function
JP2006149576A (ja) * 2004-11-26 2006-06-15 Hakko Co Ltd 医療用コネクタ
EP2545956A1 (en) * 2011-07-15 2013-01-16 Becton Dickinson France Drug delivery device and adaptor
CN105007975B (zh) * 2013-02-28 2019-04-05 泰尔茂株式会社 帽盖
DE102014103508B4 (de) * 2014-03-14 2019-04-18 Fresenius Medical Care Deutschland Gmbh Vorgespanntes Ventil für medizinische Funktionsvorrichtung, und medizinische Funktionsvorrichtung
CN204319409U (zh) * 2014-12-19 2015-05-13 江西科伦医疗器械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止液输液器管路的排空件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52871A1 (ja) 2007-06-08 2008-12-18 Jms Co., Ltd. メス型コネクタ及び接続具
JP2010022511A (ja) 2008-07-17 2010-02-04 Nipro Corp 医療用コネクタ、医療用注入器及び医療用注入セット
JP2014023871A (ja) * 2012-07-30 2014-02-06 Top Co Ltd コネクタカバー
JP2015054137A (ja) * 2013-09-12 2015-03-23 日機装株式会社 医療用キャップ付コネクタ
US20160158110A1 (en) * 2014-12-02 2016-06-09 Covidien Lp Adapter Assembly for Enteral Feeding and Method of Mak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732736A (zh) 2022-07-12
CN109328087B (zh) 2022-09-20
CN109328087A (zh) 2019-02-12
KR102349983B1 (ko) 2022-01-11
WO2018003923A1 (ja) 2018-01-04
JPWO2018003923A1 (ja) 2019-04-25
JP6908040B2 (ja) 2021-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22530A (ko) 커넥터용 캡 및 캡이 달린 커넥터
KR101800984B1 (ko) 더블 수 커넥터
KR102507581B1 (ko) 의료용 채액 주입기
US10646705B2 (en) Male connector
CN105979999B (zh) 阳型连接器
JP4621029B2 (ja) コネクタ
EP2394691A1 (en) Medical connector
JP2012528689A (ja) 摩擦に基づく嵌合を伴う医療機器の清掃用具
JP6919794B2 (ja) メスコネクタ
JP4116785B2 (ja) コネクタ
KR102507582B1 (ko) 의료용 채액팁, 채액 노즐, 및 주입기 세트
WO2016035788A1 (ja) 半固形化栄養剤用アダプター
JP2016158656A (ja) キャップ付きコネクタ
EP3689412A1 (en) Medical connector
WO2017104689A1 (ja) メスコネクタ
JP6268877B2 (ja) 医療用接続具
JP5691648B2 (ja) メス型コネクタ
JP2018027177A (ja) オスコネクタ分解用工具及びオスコネクタ
JP2010126250A (ja) メス型コネクタおよび接続具
JP2022041685A (ja) キャップ
JP2014050524A (ja) コネクタ用弁体及びコネクタ
JP2014050525A (ja) コネクタ用弁体及び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