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2924B1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2924B1
KR101512924B1 KR1020137029325A KR20137029325A KR101512924B1 KR 101512924 B1 KR101512924 B1 KR 101512924B1 KR 1020137029325 A KR1020137029325 A KR 1020137029325A KR 20137029325 A KR20137029325 A KR 20137029325A KR 101512924 B1 KR101512924 B1 KR 101512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pair
guide rail
operation lever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9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6976A (ko
Inventor
미츠요시 이무라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06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6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2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2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22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means of linearly-movable w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확실하게 상측의 제동자를 소정 위치까지 삽입시켜, 승객의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해서, 조속기 로프와 접속된 인상봉에 의해 회동하는 조작레버와, 상측 쐐기에 일단이 장착되고, 상측 회동축에 타단이 수직으로 고정되는 제1 작동레버와, 하측 쐐기에 일단이 장착되고, 하측 쐐기의 대향 방향으로 연장하여 장착 프레임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하측 회동축에 타단이 수직으로 고정되는 제2 작동레버와, 상측 회동축에 일단이 수직으로 고정되는 제3 작동레버의 타단과 하측 회동축에 일단이 수직으로 고정되는 제4 작동레버의 타단을 상하 방향으로 접속하는, 길이를 미리 설정한 링크부재를 구비하고, 제동력을 가지는 위치에 마련되어 상측 쐐기와 맞닿는 상측 스톱퍼판으로부터 상측 쐐기까지의 거리보다도, 제동력을 가지는 위치에 마련되어 하측 쐐기와 맞닿는 하측 스톱퍼판으로부터 하측 쐐기까지의 거리를 링크부재에 의해 길게 설정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 {ELEVATOR DEVICE}
본 발명은 승강로 내에서 승강되는 승강체를 비상정지시키기 위한 비상멈춤기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에는, 한 쌍의 쐐기(wedge)의 사이에 가이드 레일을 끼우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칸에 대해서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엘리베이터의 비상멈춤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비상멈춤장치에 구성되는 각 쐐기는 가이드 레일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안내판에 의해 각각 안내되어 가이드 레일을 끼운다. 또, 각 안내판은 각 쐐기가 가이드 레일을 끼우고 있을 때 엘리베이터칸이 하강되는 것에 의해, 각 쐐기에 의해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펴지도록 되어 있다.
종래는, 대용량의 엘리베이터에서 주로 적용되는, 비상멈춤장치를 2단으로 겹쳐 배치한 듀플렉스-타입(duplex-type)의 비상멈춤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것은 대용량의 엘리베이터에서는 그만큼 비상멈춤에 걸리는 부하가 증대하므로, 상하의 비상멈춤에 의해 부하를 분산시키자고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측의 제동자와 하측의 제동자는 거의 동시에 가이드 레일에 접촉하며, 엘리베이터칸이 가이드 레일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아래쪽으로 이동하므로 상측의 제동자는 하측의 제동자가 슬라이딩한 면을 슬라이딩하게 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개2001-354373호 공보(0029란~0032란 및 도 2)
그렇지만,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비상멈춤장치에서는, 제동자의 슬라이딩 후의 가이드 레일 표면은 매우 고온이 되기 때문에, 상측의 제동자의 마찰계수는 하측의 제동자에 대해 저하해 버린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주철, 세라믹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동자와 철 등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 레일과의 마찰계수에는 속도 의존성이 있어, 속도의 증가에 수반하여 마찰계수가 저하한다. 이 때문에, 제동 초기에 있어서, 상측의 제동자는 가이드 레일에 삽입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가이드 레일에 제동자가 정상위치까지 삽입되지 않으면 정규의 제동력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정규의 제동거리로 정지하지 못하고, 또 제동불능이 되는 위험이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상측의 제동자가 가이드 레일에 삽입된 후에, 하측의 제동자를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시키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에 의해, 확실히 상측의 제동자를 소정 위치까지 삽입시켜, 승객의 안전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로를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승강하는 승강체와, 승강체의 하부의 장착 프레임에 마련됨과 아울러, 가이드 레일을 사이에 끼우고 대향하여 배치되고, 경사면을 가진 상측 안내부재를 따라서 이동해 가이드 레일과 슬라이딩하여 승강체를 제동하는 한 쌍의 상측 쐐기와, 한 쌍의 상측 쐐기의 아래쪽의 장착 프레임에 마련되고, 가이드 레일을 사이에 끼우고 대향하여 배치되며, 경사면을 가진 하측 안내부재를 따라서 이동해 가이드 레일과 슬라이딩하여 승강체를 제동하는 한 쌍의 하측 쐐기와, 승강체와 연동하는 조속기 로프와 접속되어 가이드 레일과 평행하게 연장하는 인상봉(引上棒)에 일단부가 장착되고, 한 쌍의 상측 쐐기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해 장착 프레임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상측 회동축에 타단부가 수직으로 고정되는 직사각형 모양의 조작레버와, 한 쌍의 상측 쐐기에 각각 일단부가 장착되며, 상측 회동축에 각각 타단부가 수직으로 고정되는 직사각형 모양의 한 쌍의 제1 작동레버와, 한 쌍의 하측 쐐기에 각각 일단부가 장착되고, 하측 쐐기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해 장착 프레임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하측 회동축에 각각 타단부가 수직으로 고정되는 직사각형 모양의 한 쌍의 제2 작동레버와, 상측 회동축에 일단부가 수직으로 고정되는 직사각형 모양의 제3 작동레버의 타단부와 하측 회동축에 일단부가 수직으로 고정되는 직사각형 모양의 제4 작동레버의 타단부를 상하방향으로 접속하는, 길이를 미리 설정한 링크부재를 구비하고, 장착 프레임의 상부 또한 상측 안내부재와 가이드 레일에 의해 밀어 붙여져 제동력을 가지는 위치에 마련되어 상측 쐐기와 맞닿는 상측 스톱퍼판으로부터 상측 쐐기까지의 거리보다도, 장착 프레임의 하부 또한 하측 안내부재와 가이드 레일에 의해 밀어 붙여져 제동력을 가지는 위치에 마련되어 하측 쐐기와 맞닿는 하측 스톱퍼판으로부터 하측 쐐기까지의 거리를 링크부재에 의해 길게 설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의하면, 상측의 제동자가 가이드 레일에 삽입된 후에 하측의 제동자를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시키므로, 확실히 상측의 제동자를 소정 위치까지 삽입시켜, 승객의 안전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비상멈춤장치의 동작기구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비상멈춤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에 상측 쐐기가 접촉하고, 하측 쐐기가 접촉하기 직전의 순간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상측 쐐기 및 하측 쐐기의 각 타이밍에서의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실시형태 1.
이하, 본 실시형태 1에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엘리베이터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에서, 승강로 내에는 엘리베이터칸(2)의 승강을 안내하기 위한 한 쌍의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 및 균형추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도시생략)이 상하방향을 따라서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각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 사이에는 엘리베이터칸(승강체)(2)가 배치되며, 각 균형추 가이드 레일 사이에는 도시하지 않은 균형추(승강체)가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2) 및 균형추는 권상기(구동장치)의 구동쉬브에 감겨진 도시하지 않은 행거(hanger)에 의해 매달려 있다. 행거로서는, 예를 들면 로프나 벨트 등이 이용되고 있다. 엘리베이터칸(2) 및 균형추는 권상기의 구동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된다. 엘리베이터칸(2) 및 균형추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때는, 엘리베이터칸(2)이 각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 안내되며, 균형추가 각 균형추 가이드 레일에 안내된다.
엘리베이터칸(2)은 엘리베이터칸 본체(3)와, 엘리베이터칸 본체(3)를 둘러싼 상태에서 엘리베이터칸 본체(3)를 지지하는 엘리에이터칸 프레임(4)을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칸 프레임(4)의 하부에는 엘리베이터칸(2)에 제동력을 주어 엘리베이터칸(2)의 낙하를 저지하는 비상멈춤장치(5)가 마련되어 있다. 비상멈춤장치(5)의 외측에는 조작레버(6)가 마련되어 있다. 비상멈춤장치(5)는, 조작레버(6)의 조작에 의해, 인상(引上)되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을 파지한다. 엘리베이터칸(2)의 낙하는 비상멈춤장치(5)에 의한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의 파지에 의해 저지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비상멈춤장치(5)의 동작기구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비상멈춤장치(5)를 나타내는 도 1의 우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서, 조작레버(6)는 길이가 긴 모양(직사각형 모양)의 부재이며, 조작레버(6)의 일단부에는 엘리베이터칸이 승강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인상봉(24)이 장착되고, 타단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상측 회동축(11)이 고정되어 있다. 통상시는 길이가 긴 모양의 조작레버(6)는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의 대향 방향(도 1에서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한 상태로부터 상측 회동축(11)을 중심으로 조금 아래쪽 방향으로 회동시킨 상태로 배치, 즉 조작레버(6)의 인상봉(24)에 장착된 일단부보다 상측 회동축(11)에 고정된 타단부가 위쪽에 위치한다. 또, 인상봉(24)의 상부는 조속기 로프(7)의 일부와 접속되어 있다. 조속기 로프(7)는 승강로의 상부에 설치된 조속기의 조속기 쉬브(도시생략)와 조속기의 하부 피트 부근에 설치된 텐션 풀리에 감겨진 무단상(無端狀)의 로프이며, 조속기가 엘리베이터칸(2)의 강하 속도의 이상을 검지하면 조속기 로프(7)를 잡아 순환을 제지한다. 즉, 엘리베이터칸(2)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 조속기 로프(7)가 엘리베이터칸(2)과 함께 이동되고, 조속기 쉬브가 엘리베이터칸(2)의 이동에 따라 회전되지만, 조속기는 조속기 쉬브의 아래쪽 방향의 회전속도가 과대하게 되었을 때에, 조속기 로프(7)를 파지한다. 조작레버(6)는 조속기 로프(7)가 조속기에 의해 파지되어 엘리베이터칸(2)이 조속기 로프(7)에 대해서 변위되는 것에 의해 조작된다.
비상멈춤장치(5)는 상측 비상멈춤기구부(제1 비상멈춤기구부)(8)와, 상측 비상멈춤기구부(8)의 아래쪽에 배치된 하측 비상멈춤기구부(제2 비상멈춤기구부)(9)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과 평행하게 연장하는 엘리베이터칸 프레임(4)에 고정되어 상측 비상멈춤기구부(8) 및 하측 비상멈춤기구부(9)를 지지하는 비상멈춤 장착 프레임(10)을 가지고 있다. 또, 비상멈춤 장착 프레임(10)은 엘리베이터칸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비상멈춤장치(5)는 듀플렉스-타입의 비상멈춤장치이다.
도 1 ~ 도 3에서, 상측 비상멈춤기구부(8)는 상측 회동축(제1 회동축)(11)과, 한 쌍의 상측 쐐기(12)와, 한 쌍의 상측 안내부(상측 안내부재)(13)를 가지고 있다. 상측 회동축(11)은 비상멈춤 장착 프레임(10)에 수평하게(한 쌍의 상측 쐐기(12)의 대향하는 방향) 또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한 쌍의 상측 쐐기(12)는 상측 회동축(11)에 길이가 긴 모양의 작동레버(제1 작동레버)(14)를 통하여 연결되고, 상측 회동축(11)의 회동에 의해, 비상멈춤 장착 프레임(10)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변위된다. 한 쌍의 상측 안내부(13)는 비상멈춤 장착 프레임(10)에 고정되고, 상측 회동축(11)의 회동에 의해서 변위되는 상측 쐐기(12)를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 접리(接離)하는 방향으로 안내한다.
또, 상측 회동축(11)에 고정되는 작동레버(14)는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을 사이에 두고 동일 형상인 것이 한 쌍 존재하고, 각 작동레버(14)의 일단부는 각 상측 쐐기(12)에 장착되며, 타단부는 상측 회동축(11)에 고정된다. 또, 통상시는 길이가 긴 모양(직사각형 모양)의 작동레버(14)는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의 대향 방향(도 1에서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한 상태로부터 상측 회동축(11)을 중심으로 조금 아래쪽 방향에 회동시킨 상태로 배치, 즉 작동레버(14)의 상측 쐐기(12)에 장착된 일단부보다 상측 회동축(11)에 고정된 타단부가 위쪽에 위치한다. 또, 상측 회동축(11)에 고정되는 조작레버(6) 및 한 쌍의 작동레버(14)는 상측 회동축(11)을 중심으로 같은 방향으로 같은 각도 회동하게 되어 있다. 또, 조작레버(6) 및 한 쌍의 작동레버(14)는 평행하게 배치되고, 회동하는 경우에도 평행 상태를 유지한다.
각 상측 안내부(13)는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고 있다. 각 상측 안내부(13)와 가이드 레일(1)과의 사이의 거리는 상측 안내부(13)의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연속적으로 작게 되어 있다. 또, 상측 안내부(13)는 비상멈춤 장착 프레임(10)의 내측에 스프링을 통하여 장착되어 있고, 상측 쐐기(12)를 경사면으로 슬라이딩시켜 안내하며,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시키는 것이다. 또, 각 상측 안내부(13)의 위쪽에 있어서 비상멈춤 장착 프레임(10)에는 상측 쐐기(12)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스톱퍼판(26)이 마련되어 있다. 또, 스톱퍼판(26)은 상측 안내부(13)와 가이드 레일(1)에 의해 밀어 붙여져 제동력을 가지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각 상측 쐐기(12)는 각 상측 안내부(13)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과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각 상측 쐐기(12)는 비상멈춤 장착 프레임(1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위쪽으로 변위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상측 안내부(13)를 따라서 안내되고, 비상멈춤 장착 프레임(10)에 대해서 아래쪽으로 변위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측 안내부(13)를 따라서 안내된다. 또, 각 상측 쐐기(12)는 가이드 레일(1)을 사이에 끼우고 대향하여 배치되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과 슬라이딩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칸(2)을 제동한다.
각 상측 쐐기(12)는 상측 안내부(13)를 따라서 안내되면서 위쪽으로 변위되는 것에 의해, 각 상측 안내부(13)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과의 사이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은 각 상측 쐐기(12)가 각 상측 안내부(13)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과의 사이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각 상측 쐐기(12) 사이에서 파지된다. 상측 비상멈춤기구부(8)는 각 상측 쐐기(12) 사이에서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을 파지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칸(2)에 제동력을 준다. 즉, 상측 비상멈춤기구부(8)는 각 상측 쐐기(12)를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칸(2)에 제동력을 준다.
하측 비상멈춤기구부(9)는 하측 회동축(제2 회동축)(15)과, 한 쌍의 하측 쐐기(16)와, 한 쌍의 하측 안내부(하측 안내부재)(17)를 가지고 있다. 하측 회동축(15)은 비상멈춤 장착 프레임(10)에 수평으로(한 쌍의 하측 쐐기(16)의 대향하는 방향) 또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한 쌍의 하측 쐐기(16)는 하측 회동축(15)에 길이가 긴 모양의 작동레버(제2 작동레버)(18)를 통하여 연결되고, 하측 회동축(15)의 회동에 의해, 비상멈춤 장착 프레임(10)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변위된다. 한 쌍의 하측 안내부(17)는 비상멈춤 장착 프레임(10)에 고정되고, 하측 회동축(15)의 회동에 의해서 변위되는 하측 쐐기(16)를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 접리(接離)하는 방향으로 안내한다.
또, 하측 회동축(15)에 고정되는 작동레버(18)는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을 사이에 두고 한 쌍 존재하며, 각 작동레버(18)의 일단부는 각 하측 쐐기(16)에 장착되고, 타단부는 하측 회동축(15)에 고정된다. 또, 비상멈춤이 작동하고 있지 않은 통상시에는, 길이가 긴 모양(직사각형 모양)의 작동레버(18)는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의 대향 방향(도 1에서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한 상태로부터 하측 회동축(15)을 중심으로 조금 아래쪽 방향으로 회동시킨 상태로 배치, 즉 작동레버(18)의 하측 쐐기(16)에 장착된 일단부보다 하측 회동축(15)에 고정된 타단부가 위쪽에 위치한다. 여기서, 작동레버(18)는 미리 조작레버(6)나 작동레버(14)에 비해 수평방향에 대한 기울기가 커지도록 설정하고 있다. 또, 하측 회동축(15)에 고정되는 한 쌍의 작동레버(18)는 하측 회동축(15)을 중심으로 같은 방향으로 같은 각도 회동하게 되어 있다. 또, 한 쌍의 작동레버(18)는 평행하게 배치되어 회동하는 경우에도 평행 상태를 유지한다.
각 하측 안내부(17)는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고 있다. 각 하측 안내부(17)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과의 사이의 거리는 하측 안내부(17)의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연속적으로 작아지고 있다. 또, 하측 안내부(17)는 비상멈춤 장착 프레임(10)의 내측에 스프링을 통하여 장착되어 있고, 하측 쐐기(16)를 경사면에 슬라이딩시켜 안내하여,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시키는 것이다. 또, 각 하측 안내부(17)의 위쪽에 있어서 비상멈춤 장착 프레임(10)에는 하측 쐐기(16)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스톱퍼판(27)이 마련되어 있다. 또, 스톱퍼판(27)은 하측 안내부(17)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 의해 밀어 붙여져 제동력을 가지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각 하측 쐐기(16)는 각 하측 안내부(17)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과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각 하측 쐐기(16)는 비상멈춤 장착 프레임(1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위쪽으로 변위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하측 안내부(17)를 따라서 안내되고, 비상멈춤 장착 프레임(10)에 대해서 아래쪽으로 변위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측 안내부(17)를 따라서 안내된다. 또, 각 하측 쐐기(16)는 가이드 레일(1)을 사이에 끼우고 대향하여 배치되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과 슬라이딩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칸(2)을 제동한다.
각 하측 쐐기(16)는 하측 안내부(17)를 따라서 안내되면서 위쪽으로 변위되는 것에 의해, 각 하측 안내부(17)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과의 사이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은, 각 하측 쐐기(16)가 각 하측 안내부(17)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과의 사이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각 하측 쐐기(16) 사이에서 파지된다. 하측 비상멈춤기구부(9)는, 각 하측 쐐기(16) 사이에서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을 파지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칸(2)에 제동력을 준다. 즉, 하측 비상멈춤기구부(9)는, 각 하측 쐐기(16)를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칸(2)에 제동력을 준다.
각 상측 안내부(13) 사이 및 각 하측 안내부(17) 사이의 각각에 배치되는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은 공통의 가이드 레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각 상측 쐐기(12) 및 각 하측 쐐기(16)는 공통의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 접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일단부에 인상봉(24)이 장착된 길이가 긴 모양의 조작레버(6)의 타단부는, 상측 회동축(11)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측 회동축(11)은 인상봉(24)을 통하여 조작레버(6)의 일단부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회동된다. 또,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즉 상측 회동축(11) 및 하측 회동축(15)에는 상측 회동축(11)과 하측 회동축(15)을 서로 연동시키는 링크장치(링크부재)(19)가 작동레버(28, 29)를 통하여 마련되어 있다.
작동레버(제3 작동레버)(28)는 조작레버(6)나 작동레버(14, 18)보다도 조금 길이가 짧은 직사각형 모양의 부재이며, 상측 회동축(11)에 수직으로 고정된다. 또, 작동레버(제4 작동레버)(29)는 조작레버(6)나 작동레버(14, 18)보다도 조금 길이가 짧은 직사각형 모양의 부재이며, 하측 회동축(15)에 수직으로 고정된다.
또, 링크장치(19)는 막대 모양의 부재이며, 링크장치(19)의 길이를 조정하는 조정기구인 턴버클(turnbuckle)(19a)을 가지고 있다. 턴버클(19a)을 한 방향으로 돌리면 링크장치(19)의 길이가 길어지고, 다른 방향으로 돌리면 링크장치(19)의 길이가 짧아진다. 또, 미리 턴버클(19a)을 조정할 때, 링크장치(19)의 길이를 길게 함으로써, 상측 회동축(11)과 하측 회동축(15)을 상대적으로 회동시켜, 즉 조작레버(6), 작동레버(14) 및 작동레버(28)보다, 작동레버(18) 및 작동레버(29)가 아래쪽으로 기울도록 설정해 둔다. 이와 같이, 링크장치(19)는 조정기구인 턴버클(19a)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측 쐐기(12) 혹은 하측 쐐기(16)가 정규의 제동력을 가지지 않게 되었을 경우에,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링크장치(19)는 작동레버(28)를 통하여 상측 회동축(11)에 고정되고, 작동레버(29)를 통하여 하측 회동축(15)에 고정된다. 즉, 링크장치(19)의 위쪽 일단부는 작동레버(14)와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 작동레버(28)의 일단부에 장착되며, 작동레버(28)의 타단부에는 상측 회동축(11)이 고정된다. 또, 하측 회동축(15)은 링크장치(19)에 의한 상측 회동축(11)과의 연동에 의해 회동된다. 또, 조작레버(6), 작동레버(14) 및 작동레버(28)은 같은 방향으로 같은 각도 회동한다.
마찬가지로, 링크장치(19)의 아래쪽 타단부는 작동레버(18)와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 작동레버(29)의 일단부에 장착되고, 작동레버(29)의 타단부에는 하측 회동축(15)이 고정된다. 또, 조작레버(6), 작동레버(14), 작동레버(18), 작동레버(28) 및 작동레버(29)는 모두 같은 방향으로 같은 각도 회동한다.
여기서, 링크장치(19)의 턴버클(19a)에 의해 작동레버(14)와 작동레버(18)의 수평방향에 대한 기울기가 다르도록 링크장치(19)의 길이를 조정하고, 아래쪽에 배치되는 작동레버만큼 수평방향에 대한 기울기가 커지도록 배치, 즉 작동레버(14)의 기울기에 대해서 작동레버(18)의 기울기가 커지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다. 그에 따라, 상측 쐐기(12)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 슬라이딩할 때까지의 거리보다 하측 쐐기(16)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 슬라이딩할 때까지의 거리가 길게 설정된다. 이것에 의해, 상측 쐐기(12)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 삽입된 후에, 하측 쐐기(16)를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도 1 ~ 도 3에서, 엘리베이터칸(2)을 사이에 끼우고 반대 측에 배치되는 다른 한쪽의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 측의 상측 비상멈춤기구부에는 막대 모양의 부재인 링크장치(25)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다른 한쪽의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 측의 상측 비상멈춤기구부는 조작레버(6)와의 연동에 의해 조작된다. 링크장치(25)는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턴버클(25a)을 가지고 있고, 턴버클(25a)로 길이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2개의 상측 비상멈춤기구부는 동시에 각각의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을 파지할 수 있다.
이 구조에서, 평행하게 배치된 작동레버(14) 및 작동레버(28)의 타단부에 고정된 상측 회동축(11)에는 작동레버(14) 및 작동레버(28)에 대해서 직각으로 연장하고, 작동레버(28)와 같은 형상의 부재인 작동레버(32)의 일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작동레버(32)의 타단부는 링크장치(25)의 일단부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 다른 한쪽의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 측의 상측 비상멈춤기구부에 접속되는 링크장치(25)의 타단부도 복수의 작동레버를 통하여 동일하게 비상멈춤장치(5)가 작동한다. 여기서, 링크장치(25)에 의해 연결된 한 쌍의 비상멈춤장치(5)에 구성되는 쐐기가 모두 위쪽으로 이동하도록, 상측 쐐기와 상측 회동축을 연결하는 작동레버와 링크장치(25)와의 배치 관계가 상하 반대가 되도록 구성된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회동축(11)의 축방향에는 작동레버(28), 작동레버(32), 한 쌍의 작동레버(14), 조작레버(6)의 순서로 배치되고, 상측 회동축(11)에 수직으로 각각 고정되어 있다. 또, 하측 회동축(15)의 축방향에는 작동레버(29), 한 쌍의 작동레버(18)의 순서로 배치되며, 상측 회동축(11)에 수직으로 각각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반드시 이 순서로 배치할 필요는 없고, 작동레버(28)와 작동레버(32)의 위치 관계를 반대로 해도 되고, 작동레버(28)와 작동레버(32)는 조작레버(6)의 근처에 배치해도 된다. 또, 작동레버(28), 한 쌍의 작동레버(14) 및 조작레버(6)는 평행하게 배치되고, 작동레버(29) 및 한 쌍의 작동레버(18)는 평행하게 배치되지만, 양자의 수평방향에 대한 기울기는 다르다.
상측 쐐기(12)의 하부에 장착되는 작동레버(14)의 일단부에는 작동레버(14)의 길이 방향으로 긴 구멍(30)이 마련되어 있고, 상측 회동축(11)의 회동에 수반하여 작동레버(14)가 회동할 때에 작동레버(14)가 상측 쐐기(12)에 가해지는 힘을 해제(release)할 수 있다. 한편, 하측 쐐기(16)의 하부에 장착되는 작동레버(18)의 일단부에는 작동레버(18)의 길이 방향으로는 긴 구멍(30)과 동일한 정도이지만 상하방향으로는 긴 구멍(30)보다 폭이 넓은 구멍(31)이 마련되어 있고, 하측 회동축(15)의 회동에 수반하여 작동레버(18)가 회동할 때에 작동레버(18)가 하측 쐐기(16)에 가해지는 힘을 해제할 수 있다.
또, 상측 쐐기(12)가 스톱퍼판(26)에 맞닿으면 상측 회동축(11)의 회동이 정지함에 수반하여 하측 회동축(15)의 회동이 정지하지만, 이 시점에서는 아직 상측 쐐기(12)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은 슬라이딩하고 있고, 엘리베이터칸(2)은 정지하고 있지 않다. 그 후, 구멍(31)은 상하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하측 안내부(17)로 안내된 하측 쐐기(16)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과의 사이에 발생한 마찰력에 의해 하측 쐐기(16)를 소정 위치인 정규 위치(스톱퍼판(27)에 맞닿는 위치)까지 인상할 수 있다. 그리고, 이 하측 쐐기(16)의 인상에 의해 상측 쐐기(12)와 하측 쐐기(16)의 양쪽에서 브레이크를 걸게 되어 엘리베이터칸(2)을 정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을 가지는 비상멈춤장치를 가지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 도 3에서, 엘리베이터칸(2)의 속도 이상(異常)을 도시하지 않은 조속기가 검지하면, 조속기는 엘리베이터를 비상정지시키기 위해서 조속기 로프(7)를 구속한다. 이 때, 엘리베이터칸(2)은 하강하고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칸(2)으로부터 보면 조속기 로프(7)가 상대적으로 상승하고, 조속기 로프(7)와 접속된 인상봉(24)이 인상된다.
인상봉(24)이 인상되면, 길이가 긴 모양의 조작레버(6)가 상측 회동축(11)을 중심으로 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그에 따라 상측 회동축(11)도 같은 방향으로 회동한다. 그 때, 상측 회동축(11)에 수직으로 고정된 작동레버(14), 작동레버(28) 및 작동레버(32)가 상측 회동축(11)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그것에 의해, 도 3에서, 작동레버(14, 28)가 수평인 위치에 배치되며, 상측 쐐기(12)가 긴 구멍(30)에 접속되는 위치가 변위하며, 상측 쐐기(12)의 지면 좌측으로 작동레버(14)의 일부가 돌출한다. 이 때, 작동레버(14)가 상측 회동축(1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 긴 구멍(30)에 접속된 상측 쐐기(12)가 상측 안내부(13)로 안내되어 위쪽으로 인상됨과 아울러 링크장치(19)가 위쪽으로 인상된다. 또, 엘리베이터칸(2)을 사이에 두고 반대 측에 마련된 비상멈춤장치(5)와 연결하는 링크장치(25)는 작동레버(32)가 상측 회동축(1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에 의해 지면 왼쪽으로 끌어 들여져, 엘리베이터칸(2)을 사이에 두고 반대 측에 마련된 복수의 작동레버가 상측 회동축(11)의 회동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측 쐐기 혹은 하측 쐐기가 위쪽으로 이동한다.
도 2, 도 3에서, 링크장치(19)가 위쪽으로 인상되면, 작동레버(28)와 동시에 작동레버(29)가 하측 회동축(15)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그 때, 하측 회동축(15)이 상측 회동축(11)과 같은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에 의해 하측 회동축(15)에 타단부가 고정된 한 쌍의 작동레버(18)도 하측 회동축(15)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작동레버(18)의 일단부의 구멍(31)에 장착된 하측 쐐기(16)가 위쪽으로 이동한다. 즉, 상측 쐐기(12)와 하측 쐐기(16)는 동시에 위쪽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턴버클(19a)의 길이 조정에 의해 작동레버(18)의 기울기가 작동레버(14)의 기울기보다도 크게 되어 있으므로, 작동레버(14)가 수평인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에 하측 안내부(17)로 안내되어 위쪽으로 인상되어 있지만 작동레버(18)는 아직 기울어져 있어 가이드 레일에 삽입하기까지는 이르지 않는다. 즉, 작동레버(18)는 조작레버(6)나 작동레버(14)에 비해 수평방향에 대한 기울기가 커지도록 조정되어 있으므로, 작동레버(14)에 장착되어 있는 상측 쐐기(12)가 이동 개시하고 나서 스톱퍼판(26)에 맞닿을 때까지의 거리보다, 작동레버(18)에 장착되어 있는 하측 쐐기(16)가 이동 개시하고 나서 스톱퍼판(27)에 맞닿을 때까지의 거리가 길게 설정된다. 바꾸어 말하면, 하측 쐐기(16)의 위치가 상측 쐐기(12)의 위치보다 상대적으로 아래쪽에 배치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측 쐐기(12)가 상측 안내부(13)로 안내되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 슬라이딩하기 시작할 때까지의 시간부터 하측 쐐기(16)가 하측 안내부(17)로 안내되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 슬라이딩하기 시작할 때까지의 시간이 길어져, 슬라이딩 개시의 타이밍이 어긋난다.
도 4는 도 1의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 상측 쐐기(12)가 접촉하고, 하측 쐐기(16)가 접촉하기 직전의 순간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상측 쐐기 및 하측 쐐기의 각 타이밍에서의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상측 쐐기(12)는 작동레버(14)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철제의 쐐기 본체(20)와, 쐐기 본체(20)에 마련되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 접리하는 세라믹제의 복수의 마찰편(21)을 가지고 있다. 마찬가지로, 하측 쐐기(16)는 작동레버(18)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철제의 쐐기 본체(22)와, 쐐기 본체(22)에 마련되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 접리하는 세라믹제의 복수의 마찰편(23)을 가지고 있다.
쐐기 본체(20)에는 상측 안내부(13)에 따른 경사면(20a)과,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 대향하는 레일 대향면(20b)이 마련되어 있다. 각 마찰편(21)은 레일 대향면(20b)에 마련되어 있다. 또, 각 마찰편(21)은 레일 대향면(20b)으로부터 돌출하는 원기둥 모양 부재로 되어 있다. 상측 쐐기(12)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 접촉하고 있을 때는, 쐐기 본체(20)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로부터 멀어진 상태에서 각 마찰편(21)만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 접촉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쐐기 본체(22)에는 하측 안내부(17)에 따른 경사면(22a)과,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 대향하는 레일 대향면(22b)이 마련되어 있다. 각 마찰편(23)은 레일 대향면(22b)에 마련되어 있다. 또, 각 마찰편(23)은 레일 대향면(22b)으로부터 돌출하는 원기둥 모양 부재로 되어 있다. 하측 쐐기(16)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 접촉하고 있을 때는, 쐐기 본체(22)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로부터 멀어진 상태에서 각 마찰편(23)만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 접촉하고 있다.
도 5의 (a) ~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쐐기(12) 및 하측 쐐기(16)의 동작하는 타이밍을 늦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동작의 과정을 (a)로부터 (d)로 순서대로 나타낸다.
도 5의 (a)는 통상 상태에서 상측 쐐기(12)와 하측 쐐기(16)도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 접하지 않는다.
도 5의 (b)는 조속기가 동작하고, 조작레버(6)의 회동에 의해, 상측 쐐기(12)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 접한 상태이다. 한편, 하측 쐐기(16)는 아직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 접하지 않는다.
도 5의 (c)는 상측 쐐기(12)가 스톱퍼판(상측)(26)까지 상승하여 정규의 제동력이 발생하고, 하측 쐐기(16)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 접한 상태이다. 또한, 이 상태에서, 상측 쐐기(12)가 스톱퍼판(26)에 맞닿아 있기 때문에, 더 이상 조작레버(6), 상측 회동축(11) 혹은 하측 회동축(15)은 회동하지 않는다. 또, 이 시점에서는 아직 상측 쐐기(12)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은 슬라이딩하고 있으며, 엘리베이터칸(2)은 정지하고 있지 않다.
도 5의 (d)는 하측 쐐기(16)도 스톱퍼판(하측)(27)까지 상승하여 정규의 제동력이 발생하고 있는 상태이다. 즉, 스톱퍼판(26)에 상측 쐐기(12)가 맞닿은 후에, 스톱퍼판(27)에 하측 쐐기(16)가 맞닿는다. 이 때, 도 2, 도 3에 나타내는 구멍(31)을 작동레버(18)의 일단부에 마련함으로써, 조작레버(6), 상측 회동축(11) 혹은 하측 회동축(15)이 정지한 후에도 구멍(31)의 상하방향의 폭만큼 하측 쐐기(16)가 위쪽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 스톱퍼판(27)에 맞닿아 정규의 제동력을 얻을 수 있다. 이 하측 쐐기(16)의 인상에 의해 상측 쐐기(12)와 하측 쐐기(16)의 양쪽에 의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 대해서 엘리베이터칸(2)의 브레이크를 걸게 되어 엘리베이터칸(2)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상에 의해, 종래의 듀플렉스-타입의 쐐기는 상측과 하측의 쐐기가 동시에 레일에 접하고, 동시에 스톱퍼판까지 상승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측 쐐기(12)의 스톱퍼판(26)까지의 거리에 대해서 하측 쐐기(16)의 스톱퍼판(27)까지의 거리를 미리 길게 설정하고, 상측 쐐기(12)를 하측 쐐기(16)보다 빠른 타이밍으로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 슬라이딩시키며, 상측 쐐기(12)가 삽입된 후에, 하측 쐐기(16)를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 슬라이딩시키도록 했다. 이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상측 쐐기(12)는 상온의 레일을 슬라이딩할 수 있고, 제동 초기의 상측 쐐기(12)의 마찰계수의 저하가 없어지기 때문에, 쐐기의 레일으로의 삽입성이 향상하므로, 동작의 신뢰성이 향상하며, 승객의 안전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조작레버(6), 작동레버(14) 및 작동레버(28)의 수평방향에 대한 기울기보다도, 작동레버(18) 및 작동레버(29)의 수평방향에 대한 기울기를 크게 하도록 링크장치(19)에서 미리 조정했지만, 하측 쐐기(16)의 위치가 상측 쐐기(12)의 위치보다 상대적으로 아래쪽에 배치되면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예를 들면, 조작레버(6) 및 작동레버(14)를 평행하게 배치하고, 작동레버(18, 28, 29)를 조작레버(6) 및 작동레버(14)에 대해서 비평행하게 배치해도 된다. 또, 조작레버(6), 작동레버(14) 및 작동레버(28)를 평행하게 배치하고, 작동레버(28, 29)를 조작레버(6), 작동레버(14) 및 작동레버(28)에 대해서 비평행하게 배치해도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하측 쐐기(16)의 위치가 상측 쐐기(12)의 위치보다 상대적으로 아래쪽에 배치되도록 링크장치의 길이를 미리 설정해 두면, 링크장치(19)의 조정기구인 턴버클(19a)을 불필요하게 하며, 단순한 막대 모양의 링크장치로 할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해,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조정의 수고를 생략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마찰편(21, 23)의 형상이 원기둥 모양으로 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마찰편(21, 23)의 형상을 예를 들면 직방체나 입방체 등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상측 쐐기(12)가 세라믹제의 마찰편(21)을 가지고 있지만, 마찰편(21)은 세라믹제가 아니어도 된다. 예를 들면, 마찰편(21)을 쐐기 본체(20)와 같은 주철제로서 쐐기 본체(20) 및 각 마찰편(21)을 일체 성형해도 된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하측 쐐기(16)가 세라믹제의 마찰편(23)을 가지고 있지만, 마찰편(23)은 세라믹제가 아니어도 된다. 예를 들면, 마찰편(23)을 쐐기 본체(22)로 동일한 주철제로서 쐐기 본체(22) 및 각 마찰편(23)을 일체 성형해도 된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쐐기 본체(20, 22)에 복수의 마찰편(21, 23)이 마련되어 있지만, 쐐기 본체(20, 22)에 마련되는 마찰편(21, 23)의 수는 복수가 아니어도 된다. 이 경우,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 대한 접촉 면적이 소정의 값으로 확보되는 크기에 마찰편의 크기가 조정된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비상멈춤기구부의 단수(段數)가 상측 비상멈춤기구부(8) 및 하측 비상멈춤기구부(9)의 2단으로 되어 있지만, 비상멈춤기구부의 단수를 3단 이상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면, 하측 회동축(15)에 작동레버(29)와 평행하게 마련한 다른 작동레버의 일단부를 고정하고, 타단부를 턴버클을 가지는 다른 링크장치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여, 작동레버(29)보다도 기울기를 크게 설정한다. 즉, 3단의 비상멈춤의 경우는, 아래쪽 방향을 향함에 따라 수평방향에 대한 기울기가 커지도록 배치, 즉 작동레버의 기울기를 상단으로부터 서서히 크게 설정하는 것에 의해, 1단째의 쐐기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 삽입된 후에 둘째 단의 쐐기를 삽입시키고, 또 둘째 단의 쐐기가 삽입된 후에 3단째의 쐐기를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 삽입시킬 수 있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비상멈춤장치(5)가 엘리베이터칸(2)에 마련되어 있지만, 비상멈춤장치(5)를 균형추에 마련해도 된다. 이 경우, 비상멈춤장치(5)가 균형추 가이드 레일을 파지하는 것에 의해, 균형추에 제동력이 주어진다. 또, 균형추에 마련한 비상멈춤장치(5)를 정지시키는 경우에는, 균형추의 상승을 억제하는 구조가 필요하게 되고, 쐐기 등의 이동하는 방향은 다르지만, 유사한 구성에 의해 균형추를 안전하게 정지할 수 있다.
1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 2 엘리베이터칸
3 엘리베이터칸 본체 4 엘리베이터칸 프레임
5 비상멈춤장치 6 조작레버
7 가버너 로프 8 상측 비상멈춤기구부
9 하측 비상멈춤기구부 10 비상멈춤 장착 프레임
11 상측 회동축 12 상측 쐐기
13 상측 안내부 14, 18, 28, 29, 32 작동레버
15 하측 회동축 16 하측 쐐기
17 하측 안내부 19, 25 링크장치
19a, 25a 턴버클 20, 22 쐐기 본체
20a, 22a 경사면 20b, 22b 레일 대향면
21, 23 마찰편 24 인상봉
26, 27 스톱퍼판 30 긴 구멍
31 구멍

Claims (4)

  1. 엘리베이터의 승강로를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승강하는 승강체와,
    상기 승강체의 하부의 장착 프레임에 마련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 레일을 사이에 끼우고 대향하여 배치되고 경사면을 가진 상측 안내부재를 따라서 이동해 상기 가이드 레일과 슬라이딩하여 상기 승강체를 제동하는 한 쌍의 상측 쐐기와,
    상기 한 쌍의 상측 쐐기의 아래쪽의 상기 장착 프레임에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을 사이에 끼우고 대향하여 배치되며, 경사면을 가진 하측 안내부재를 따라서 이동해 상기 가이드 레일과 슬라이딩하여 상기 승강체를 제동하는 한 쌍의 하측 쐐기와,
    상기 승강체와 연동하는 조속기 로프와 접속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과 평행하게 연장하는 인상봉(引上棒)에 일단부가 장착되고, 상기 한 쌍의 상측 쐐기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장착 프레임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상측 회동축에 타단부가 수직으로 고정되는 직사각형 모양의 조작레버와,
    상기 한 쌍의 상측 쐐기에 각각 일단부가 장착되고, 상기 상측 회동축에 각각 타단부가 수직으로 고정되는 직사각형 모양의 한 쌍의 제1 작동레버와,
    상기 한 쌍의 하측 쐐기에 각각 일단부가 장착되고, 상기 하측 쐐기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장착 프레임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하측 회동축에 각각 타단부가 수직으로 고정되는 직사각형 모양의 한 쌍의 제2 작동레버와,
    상기 상측 회동축에 일단부가 수직으로 고정되는 직사각형 모양의 제3 작동레버의 타단부와 상기 하측 회동축에 일단부가 수직으로 고정되는 직사각형 모양의 제4 작동레버의 타단부를 상하방향으로 접속하는 길이를 미리 설정한 링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 프레임의 상부 또한 상기 상측 안내부재와 상기 가이드 레일에 의해 밀어 붙여져 제동력을 가지는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상측 쐐기와 맞닿는 상측 스톱퍼판으로부터 상기 상측 쐐기까지의 거리보다도, 상기 장착 프레임의 하부 또한 상기 하측 안내부재와 상기 가이드 레일에 의해 밀어 붙여져 제동력을 가지는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하측 쐐기와 맞닿는 하측 스톱퍼판으로부터 상기 하측 쐐기까지의 거리를 상기 링크부재에 의해 길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에 마련된 조정기구를 조정하여 상기 링크부재의 길이를 미리 설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제2 작동레버의 각각 일단부가 상기 한 쌍의 제1 작동레버의 각각 일단부보다 아래쪽으로 기울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작동레버의 상기 상측 쐐기에 장착되는 각각 일단부에, 상기 제1 작동레버가 회동할 때에 상기 제1 작동레버가 상기 상측 쐐기에 가하는 힘을 해제하는 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제2 작동레버의 상기 하측 쐐기에 장착되는 각각 일단부에, 상기 제2 작동레버가 회동할 때에 상기 제2 작동레버가 상기 하측 쐐기에 가하는 힘을 해제하는 구멍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2 작동레버의 상기 각각 일단부에 설치된 구멍은, 상기 상측 쐐기가 상기 상측 스톱퍼판에 맞닿았을 경우에, 상기 하측 쐐기의 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하측 안내부재로 안내된 상기 하측 쐐기와 상기 가이드 레일과의 사이에 발생한 마찰력에 의해 상기 하측 쐐기를 위쪽으로 인상(引上)하여 하측 스톱퍼판에 맞닿음 가능하게 하는 폭을 가지는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137029325A 2011-04-05 2011-04-05 엘리베이터 장치 KR1015129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1/002015 WO2012137248A1 (ja) 2011-04-05 2011-04-05 エレベーター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976A KR20140006976A (ko) 2014-01-16
KR101512924B1 true KR101512924B1 (ko) 2015-04-16

Family

ID=46968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9325A KR101512924B1 (ko) 2011-04-05 2011-04-05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695842B1 (ko)
JP (1) JP5535398B2 (ko)
KR (1) KR101512924B1 (ko)
CN (1) CN103459291B (ko)
WO (1) WO20121372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83111B (zh) * 2012-08-28 2016-07-20 株式会社日立制作所 电梯的紧急制动装置以及电梯
JP6031414B2 (ja) * 2013-06-24 2016-11-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
CN106167219B (zh) * 2016-08-31 2018-07-31 江苏创力电梯部件有限公司 快速响应的轿厢式电梯
CN106081781B (zh) * 2016-08-31 2018-07-31 江苏创力电梯部件有限公司 单导轨双防坠落的轿厢式电梯
AU2018247841B2 (en) * 2017-04-04 2024-02-01 Flsmidth A/S Mine shaft conveyance safety brake
EP3720799B1 (de) * 2017-12-07 2022-06-01 Inventio AG Fangvorrichtung für einen fahrkörper, aufzugsanlage mit einer fang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ntsperren einer fangvorrichtung
WO2019197703A1 (en) * 2018-04-09 2019-10-17 Kone Corporation Elevator with a rail brake arrangement
KR200491485Y1 (ko) * 2018-11-05 2020-04-17 김덕규 엘리베이터용 비상정지시스템
EP3909898B1 (en) * 2020-05-15 2023-11-08 KONE Corporation An apparatus for actuating a safety gear associated with an elevator car
US20210371244A1 (en) * 2020-05-26 2021-12-02 Thyssenkrupp Elevator Innovation And Operations Ag Devices for activating elevator safety brakes
CN111776913B (zh) * 2020-07-20 2021-11-19 台州学院 一种曲杆式防失效电梯安全钳及电梯
CN112265887B (zh) * 2020-10-23 2021-11-19 晋江华菱电梯有限公司 一种安全钳联动机构
CN113772518B (zh) * 2021-09-26 2023-04-25 杭州天奥电梯有限公司 一种升降机轿架
CN114104905B (zh) * 2021-11-11 2023-08-11 珠江富士电梯(中国)有限公司 一种电梯轿厢的安全装置
CN115258875A (zh) * 2022-07-25 2022-11-01 苏州德奥电梯有限公司 一种电梯安全钳及使用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4373A (ja) 2000-06-14 2001-12-25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ー非常止め装置
JP2010254466A (ja) 2009-04-28 2010-11-11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の非常止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95873A (ja) * 1989-05-09 1990-12-06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
JP3532349B2 (ja) * 1996-06-11 2004-05-3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JP4646153B2 (ja) * 2008-06-11 2011-03-09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CN201538626U (zh) * 2009-07-27 2010-08-04 沈皆乐 自救式电梯安全钳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4373A (ja) 2000-06-14 2001-12-25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ー非常止め装置
JP2010254466A (ja) 2009-04-28 2010-11-11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の非常止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459291A (zh) 2013-12-18
KR20140006976A (ko) 2014-01-16
EP2695842A4 (en) 2014-08-20
JPWO2012137248A1 (ja) 2014-07-28
WO2012137248A1 (ja) 2012-10-11
EP2695842B1 (en) 2015-08-26
EP2695842A1 (en) 2014-02-12
JP5535398B2 (ja) 2014-07-02
CN103459291B (zh) 2015-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2924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6633208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1537846B1 (ko) 엘리베이터용 비상멈춤장치
US11230457B2 (en) Elevator apparatus
KR101920546B1 (ko) 엘리베이터 장치
US20050126862A1 (en) Emergency brake apparatus of elevator
EP2487128A1 (en) Tension pulley device for elevator
AU2016231645B2 (en) Braking system for a hoisted structure and method of controlling braking a hoisted structure
US9764927B2 (en) Elevator
JP4672656B2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JP5809755B2 (ja) エレベーターの非常止め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ー
JP5832669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5081119B2 (ja) エレベーターの制動装置
EP3328772B1 (en) Safety block for elevator
JP2014114130A (ja) エレベータ
US11261056B2 (en) Elevator safety actuator systems
WO2015125294A1 (ja) エレベーターのタイダウン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装置
JP5189027B2 (ja) エレベーターの制動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装置
JP2012158440A (ja) エレベータ
JP2011001150A (ja) エレベーターの制動装置
WO2023152979A1 (ja)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作動装置
JP6326599B2 (ja) エレベータ
CN110171760B (zh) 调速器张紧机构、调速器装置及电梯
CN109720959B (zh) 调速器和电梯
WO2012053073A1 (ja)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