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2129B1 - 관절식 유압크레인 전술 트럭의 안전 주행장치 - Google Patents

관절식 유압크레인 전술 트럭의 안전 주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2129B1
KR101512129B1 KR20140139214A KR20140139214A KR101512129B1 KR 101512129 B1 KR101512129 B1 KR 101512129B1 KR 20140139214 A KR20140139214 A KR 20140139214A KR 20140139214 A KR20140139214 A KR 20140139214A KR 101512129 B1 KR101512129 B1 KR 101512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column
hydraulic jack
truck
hydrau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39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두식
Original Assignee
이텍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텍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텍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40139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21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2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2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44Jib-cranes adapted for attachment to standard vehicles, e.g. agricultural 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66C15/06Arrangements or use of war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8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Jib Cranes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절식 유압크레인 전술 트럭의 안전 주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아우트리거 및 유압크레인을 사용한 후 미처 원상태로 정위치하지 않고 트럭의 주행을 시도할 때 위험상황임을 알려주어 대형사고의 발생을 방지하고, 안전한 주행을 도모하는 신개념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아우트리거의 수평빔 및 레그가 원상태로 인입되지 않음을 감지하면 자동으로 이를 알려주도록 하고, 유압크레인의 컬럼 및 상기 컬럼에 연결된 이너붐이 정위치로 복원되지 않음을 감지하면 자동으로 이를 알려주어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관절식 유압크레인 전술 트럭의 안전 주행장치{Satety driving system of articulated hydraulic crane tactics truck}
본 발명은 아우트리거 및 유압크레인을 사용한 후 미처 원상태로 정위치하지 않고 트럭을 주행을 시도할 때 위험상황임을 알려주어 대형사고의 발생을 방지하고, 안전한 주행을 도모하는 신개념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군용트럭은 승용 칸으로 사용하는 운전석의 뒷 부분에 탄약이나 일반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함이 설치된다.
종래의 군용트럭은 매우 고가이면서도 적재함에 직접 탄약이나 일반 화물(이하, '적재물'이라 함)을 적재할 수 있는 기능이 없는 실정이다.
그나마 상기 군용트럭이 아닌 민수용 상용트럭으로써 '카고 크레인'이라 불리는 트럭이 민간에 보급되고 있는 것으로, 상기 카고 크레인은 트럭 등의 차량 후방 또는 운전석과 적재함의 사이에 설치된 붐크레인을 통해 중량물이나 기계 등을 들어올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체의 적재함에 물건을 싣고 이동할 수 있는 장점 때문에 건설현장이나 산업현장에서 중량물을 운반하는데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카고 크레인에 관련한 선행기술로는 「특허등록 제0976156호, 명칭/ 이동식 카고 크레인」이 제안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붐 유닛의 선단부에 그 선단부로부터 지면까지 연장되는 보조 붐을 부가적으로 갖춤으로써, 운반물을 지면에서 직접 인양작업을 이루어 운반비 절감과 작업능률을 보다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유압크레인을 이용하여 중량물을 인양하거나 다양한 부수장비를 이용한 부수작업시 안정성을 유지하도록 아우트리거를 사용하게 된다.
즉 상기 아우트리거는 유압크레인 안정장치의 일종으로, 좌우 2개씩의 수평빔을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수평방향으로 밀어내고, 다 밀려 나온 수평빔의 선단에 설치된 유압잭을 하향으로 밀어 내어 지면에 카고 크레인을 4점 지지함으로써 안정을 유지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을 포함하는 여타 아우트리거는 작업자가 실수로 인출하였던 아우트리거의 수평빔을 원상태로 인입하지 않거나, 지면으로 하강하였던 레그를 원상태로 승강하지 않은 채 차량을 주행할 경우 대형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크고, 주행중 유압이 누유되거나 원심력에 의해 아우트리거가 인출되면서 대형사고를 유발하는 폐단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실수로 회전하였던 컬럼을 원상태로 복원하지 않거나, 상부로 들어 올렸던 이너붐을 원상태로 격납하지 않은 상태로 주행할 경우 대형사고가 발생하는 폐단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유압크레인이 적용된 트럭의 주행시 발생하던 안전상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여 안전운행을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 아우트리거의 수평빔 및 레그가 원상태로 인입되지 않음을 감지하면 자동으로 이를 알려주어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컬럼 및 상기 컬럼에 연결된 이너붐이 정위치로 복원되지 않음을 감지하면 자동으로 이를 알려주어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해결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용트럭의 전, 후방 양측에 각각 설치된 프런트 아우트리거 및 리어 아우트리거의 양측 상, 하단 및 전, 후면 중 어느 하나에 리미트 스위치를 설치하고, 상기 리미트 스위치는 피킹브레이크가 해제된 조건에서 유압잭의 내면이나 유압잭에 설치된 감지판을 미감지하면 위험상황임을 작업자에게 알려주는 기술을 강구한다.
본 발명은 작업을 위해 인출하였던 수평빔이나 레그를 미처 인입하지 않거나 상기 수평빔이나 레그가 원치 않게 인출되더라도 이를 감지하여 작업자에게 알려줌으로써 대형사고를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주행시 안전운전을 도모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하였던 컬럼 및 상기 컬럼에 연결된 이너붐을 작업자가 정위치로 복원하지 않고 트럭의 주행을 시도할 때 자동으로 위험상황임을 알려주어 대형사고의 발생을 방지하고, 트럭의 주행시 항상 안전운행을 도모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군용 다목적 트럭의 일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유압잭 감지구가 설치된 프런트 아우트리거 및 리어 아우트리거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유압잭 감지구 및 레그 감지구가 설치된 프런트 아우트리거 및 리어 아우트리거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컬럼 감지장치 및 이너붐 감지구가 설치된 유압크레인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 컬럼 감지장치의 설치상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 컬럼 감지센서의 위치 조절상태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이너붐 감지구가 이너붐을 감지한 상태의 후면도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을 보다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체적인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한 쌍의 프런트 아우트리거(10), 한 쌍의 리어 아우트리거(10a), 관절식 유압크레인(20), 유압잭 감지구(30)(30a)의 구성요소로 대분 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실시 용이하도록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상용트럭(1)의 전방 양측에는 측방으로 인출 가능한 한 쌍의 프런트 아우트리거(10)가 설치되고, 후방 양측에는 측방으로 인출 가능한 한 쌍의 리어 아우트리거(10a)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상용트럭(1)을 지면에 4점 지지함으로써 안정성을 유지한다.
상기 상용트럭(1)의 운전석(2) 및 적재함(3)의 사이에는 도 1과 같이 관절식 유압크레인(20)이 설치됨으로써 적재물 및 중량물의 인양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상기 관절식 유압크레인(20)은 메인프레임(4)의 상단에 상기 관절식 유압크레인(20)을 상용트럭(1)에 고정시켜 주면서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베이스(21)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21)의 상부에는 붐 시스템(22)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컬럼(23)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컬럼(23)의 상부에는 붐 시스템(22)을 구성하는 이너붐(24)이 연결되는 한편, 상기 이너붐(24)의 선단에 연결된 아우터붐(25)의 선단에는 1단붐(26) 및 2단붐(27)이 신축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기 프런트 아우트리거(10) 및 리어 아우트리거(10a)가 제대로 인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주행할 시도할 경우 발생하는 대형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기술이 접목된다
이를 위한 기술구성으로 상기 프런트 아우트리거(10) 및 리어 아우트리거(10a)의 양측 상, 하단 및 전, 후면 중 어느 하나에 도 2 내지 도 3과 같이 유압잭 감지구(30)(30a)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프런트 아우트리거(10) 및 리어 아우트리거(10a)의 유압잭(11)에는 전, 후면에 각각 감지판(12)이 일체로 부착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파킹브레이크의 잠김 여부를 전기적으로 반드시 센싱한 후 상기 파킹브레이크가 해제된 조건에서 상기 유압잭 감지구(30)(30a)는 유압잭(11)의 내면이나 유압잭(11)에 설치된 감지판(12)을 미감지하면 유압잭(11)이 미처 원상태로 인입되지 않은 상태임을 인지하고 위험상황임을 알리는 부저 또는 차량의 혼을 울리는 경보를 발생하여 상기 프런트 아우트리거(10) 및 리어 아우트리거(10a)를 점검한 후 주행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더욱 안전한 주행을 보장한다.
여기에서 상기 파킹브레이크가 해제된 조건을 두는 이유는 통상의 작업시 안전을 위해 파킹브레이크를 걸어 놓고 프런트 아우트리거(10) 및 리어 아우트리거(10a)를 인출하는데 이 경우 상기 유압잭 감지구(30)(30a)가 유압잭(11)을 미감지한 상태이므로 불필요한 경보를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 3과 같이 상기 프런트 아우트리거(10) 및 리어 아우트리거(10a)의 양측 유압잭(11)의 하측에 레그 감지구(40)가 설치되고, 상기 레그 감지구(40)는 파킹브레이크가 해제된 조건에서 레그(13)의 하단에 부착된 발판(14)을 미감지하면 위험상황임을 알리는 경보를 발생함으로써 안전주행을 유도할 수 있는 특별한 효과를 제공한다.
즉 중량물을 인양하거나 다양한 부수장비를 이용한 부수작업시 안정성을 유지하도록 상기 프런트 아우트리거(10) 및 리어 아우트리거(10a)의 수평빔(15)을 인출하고, 레그(13)를 지면으로 하강한 후 상기 수평빔(15)이나 레그(13)를 미처 인입하지 않거나 상기 수평빔(15)이나 레그(13)가 원치 않게 인출되더라도 이를 감지하여 작업자에게 알려줌으로써 대형사고를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주행시 안전운전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관절식 유압크레인(20)의 컬럼(23)을 회전하였다가 원상태로 복원하지 않은 상태에서 주행을 시도할 경우 발생하는 대형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컬럼(23)의 정위치를 감지하는 컬럼 감지장치(50)의 기술이 추가로 접목된다.
이를 위한 기술구성으로 상기 컬럼 감지장치(50)는 상기 베이스(21)에 센서 장착대(51)가 부착되고, 상기 센서 장착대(51)에는 컬럼 감지센서(52)가 설치되며, 상기 컬럼 감지센서(52)는 파킹프레이크가 해제된 조건에서 컬럼(23)에 설치된 감지판(53)을 미감지하면 위험상황임을 알려주어 안전한 주행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컬럼 감지센서(52)는 항상 고정된 상태를 고수하지 않고, 위치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컬럼(23)의 감지거리를 최적으로 유지함으로써 센싱의 정확도를 향상한다.
이를 위해 상기 컬럼 감지센서(52)는 도 5 내지 도 6과 같이 센서 고정앵글(54)을 관통하여 나사결합되고, 상기 센서 장착대(51)의 바닥판(51a) 양측에는 각각 감지거리 조절장홀(55)이 상하 관통 형성되며, 상기 센서 고정앵글(54) 및 감지거리 조절장홀(55)을 위치 조절구(56)가 관통한 상태로 너트(57)가 결합됨으로써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면서도 상기 너트(57)를 느슨하게 풀어준 후 상기 센서 고정앵글(54)를 밀거나 당기면서 감지거리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부로 들어 올렸던 이너붐(24)을 원상태로 격납하지 않은 상태에서 주행을 시도할 경우 발생하는 대형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기술구성이 추가로 접목된다.
이를 위한 기술구성으로 상기 도 4 및 도 7과 같이 상기 관절식 유압크레인(20)의 컬럼(23) 상측에는 이너붐 감지구(60)가 설치되고, 상기 이너붐 감지구(60)는 파킹브레이크가 해제된 조건에서 이너붐(24)을 미감지하면 위험상황임을 알리는 경보를 발생함으로써 안전주행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1: 상용트럭 2: 운전석
3: 적재함 10: 프런트 아우트리거
10a: 리어 아우트리거 11: 유압잭
12, 53: 감지판 13: 레그
14: 발판 15: 수평빔
20: 관절식 유압크레인 23: 컬럼
24: 이너붐 30, 30a: 유압잭 감지구
40: 레그 감지구 50: 컬럼 감지장치
51: 센서 장착판 52: 컬럼 감지센서
54: 센서 고정앵글 55: 감지거리 조절장홀
56: 위치 조절구 60: 이너붐 감지구

Claims (5)

  1. 상용트럭(1)의 전방 양측에 측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프런트 아우트리거(10)와;
    상기 상용트럭(1)의 후방 양측에 측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리어 아우트리거(10a)와;
    상기 상용트럭(1)의 운전석(2) 및 적재함(3)의 사이에 설치된 관절식 유압크레인(20)과;
    상기 프런트 아우트리거(10) 및 리어 아우트리거(10a)의 양측 상, 하단 및 전, 후면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 유압잭 감지구(30)(30a)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유압잭 감지구(30)(30a)는 파킹프레이크가 해제된 조건에서 유압잭(11)의 내면이나 유압잭(11)에 설치된 감지판(12)을 미감지하면 위험상황임을 알려주고;
    상기 프런트 아우트리거(10) 및 리어 아우트리거(10a)의 양측 유압잭(11)의 하측에는 레그 감지구(40)가 설치되고, 상기 레그 감지구(40)는 파킹브레이크가 해제된 조건에서 레그(13)의 발판(14)을 미감지하면 위험상황임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식 유압크레인 전술 트럭의 안전 주행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식 유압크레인(20)은 컬럼(23)의 정위치를 감지하는 컬럼 감지장치(50)가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컬럼 감지장치(50)는,
    상기 상용트럭(1)의 메인프레임(4)의 상단에 설치된 베이스(21)에 부착된 센서 장착대(51)에 컬럼 감지센서(52)가 설치되고, 상기 컬럼 감지센서(52)는 파킹프레이크가 해제된 조건에서 컬럼(23)에 설치된 감지판(53)을 미감지하면 위험상황임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식 유압크레인 전술 트럭의 안전 주행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컬럼 감지센서(52)는 센서 고정앵글(54)을 관통하여 나사결합되고, 상기 센서 장착대(51)의 바닥판(51a) 양측에는 각각 감지거리 조절장홀(55)이 상하 관통 형성되며, 상기 센서 고정앵글(54) 및 감지거리 조절장홀(55)을 위치 조절구(56)가 관통하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식 유압크레인 전술 트럭의 안전 주행장치.
  5. 상용트럭(1)의 전방 양측에 측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프런트 아우트리거(10)와;
    상기 상용트럭(1)의 후방 양측에 측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리어 아우트리거(10a)와;
    상기 상용트럭(1)의 운전석(2) 및 적재함(3)의 사이에 설치된 관절식 유압크레인(20)과;
    상기 프런트 아우트리거(10) 및 리어 아우트리거(10a)의 양측 상, 하단 및 전, 후면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 유압잭 감지구(30)(30a)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유압잭 감지구(30)(30a)는 파킹프레이크가 해제된 조건에서 유압잭(11)의 내면이나 유압잭(11)에 설치된 감지판(12)을 미감지하면 위험상황임을 알려주고;
    상기 관절식 유압크레인(20)의 컬럼(23) 상측에는 이너붐 감지구(60)가 설치되고, 상기 이너붐 감지구(60)는 파킹브레이크가 해제된 조건에서 이너붐(24)을 미감지하면 위험상황임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식 유압크레인 전술 트럭의 안전 주행장치.
KR20140139214A 2014-10-15 2014-10-15 관절식 유압크레인 전술 트럭의 안전 주행장치 KR101512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39214A KR101512129B1 (ko) 2014-10-15 2014-10-15 관절식 유압크레인 전술 트럭의 안전 주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39214A KR101512129B1 (ko) 2014-10-15 2014-10-15 관절식 유압크레인 전술 트럭의 안전 주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2129B1 true KR101512129B1 (ko) 2015-04-14

Family

ID=53034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39214A KR101512129B1 (ko) 2014-10-15 2014-10-15 관절식 유압크레인 전술 트럭의 안전 주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212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0963A (ko) * 2017-05-31 2018-12-10 주식회사수산중공업 크레인 차량의 안전 주행 방법
CN110116665A (zh) * 2019-04-23 2019-08-13 太原科技大学 一种车用上层物料厢锁止固定装置及方法
KR102077966B1 (ko) 2019-08-27 2020-02-17 그린산업 주식회사 에어 브레이크 차량용 안전시스템
KR102148843B1 (ko) * 2019-12-31 2020-08-27 주식회사 미래하이텍 트레일러용 보조다리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342Y1 (ko) * 2001-02-20 2001-07-19 포철기연주식회사 크레인카의 붐 및 아웃트리거 정위치 감지용 안전장치
KR101361775B1 (ko) * 2013-10-29 2014-02-11 변동섭 자동 파킹 브레이크 장치를 갖춘 크레인 셀프로더 특장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342Y1 (ko) * 2001-02-20 2001-07-19 포철기연주식회사 크레인카의 붐 및 아웃트리거 정위치 감지용 안전장치
KR101361775B1 (ko) * 2013-10-29 2014-02-11 변동섭 자동 파킹 브레이크 장치를 갖춘 크레인 셀프로더 특장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0963A (ko) * 2017-05-31 2018-12-10 주식회사수산중공업 크레인 차량의 안전 주행 방법
KR101997209B1 (ko) * 2017-05-31 2019-07-08 주식회사수산중공업 크레인 차량의 안전 주행 방법
CN110116665A (zh) * 2019-04-23 2019-08-13 太原科技大学 一种车用上层物料厢锁止固定装置及方法
CN110116665B (zh) * 2019-04-23 2023-06-09 太原科技大学 一种车用上层物料厢锁止固定装置及方法
KR102077966B1 (ko) 2019-08-27 2020-02-17 그린산업 주식회사 에어 브레이크 차량용 안전시스템
KR102148843B1 (ko) * 2019-12-31 2020-08-27 주식회사 미래하이텍 트레일러용 보조다리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2129B1 (ko) 관절식 유압크레인 전술 트럭의 안전 주행장치
EP3458316B1 (en) A device for immobilizing a wheeled vehicle
KR20120084868A (ko) 감지센서를 구비한 지게차
CN203740980U (zh) 安全叉车
KR20150000317U (ko) 지게차
KR101461193B1 (ko) 충돌방지장치를 구비한 크레인 후크
JP4194820B2 (ja) 車両搭載型クレーンの安全装置
JP2009249138A (ja) トラッククレーン
JP2007290817A (ja) 荷崩れ防止装置
JP2007117246A (ja) 転落防止具及びその使用方法、並びに転落防止柵及びその使用方法
US11247876B2 (en) Mobile crane, mobile crane dolly and mobile crane system
JP2010064880A (ja) ブーム付き車両のブーム角度検出装置
US10329130B2 (en) Lift chain tension relieving devices and methods
KR200497900Y1 (ko) 배관 설치용 리프팅 장치
US10450171B1 (en) Automatic de-rate operating system and method for a truck mounted crane
KR101367716B1 (ko) 작업자 보호 시스템
JP6528429B2 (ja) 歯止め安全装置
CN212893704U (zh) 一种货物装卸平台
JP5337474B2 (ja) 車体支持装置の異常検出装置
KR101489018B1 (ko) 지게차 후륜 들림 감지장치
JPH0367894A (ja) クレーン
KR20100002555A (ko) 리프트 체인 장력 감지 및 경고 장치가 구비된 지게차
KR20230116545A (ko) 지게차 사고 예방 시스템
KR200394583Y1 (ko) 차량의 전복 방지 장치
KR200223395Y1 (ko) 지게차의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