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1193B1 - 충돌방지장치를 구비한 크레인 후크 - Google Patents

충돌방지장치를 구비한 크레인 후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1193B1
KR101461193B1 KR1020140028357A KR20140028357A KR101461193B1 KR 101461193 B1 KR101461193 B1 KR 101461193B1 KR 1020140028357 A KR1020140028357 A KR 1020140028357A KR 20140028357 A KR20140028357 A KR 20140028357A KR 101461193 B1 KR101461193 B1 KR 101461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e
crane hook
hook
sensing unit
ti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8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봉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트
Priority to KR1020140028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11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1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1193B1/ko
Priority to PCT/KR2015/002255 priority patent/WO201513767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66C15/04Safety gear for preventing collisions, e.g. between cranes or trolleys operating on the same track
    • B66C15/045Safety gear for preventing collisions, e.g. between cranes or trolleys operating on the same track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66C15/06Arrangements or use of warning devices
    • B66C15/065Arrangements or use of warning devices electr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돌방지장치를 구비한 크레인 후크는, 크레인 후크; 크레인 후크에 장착되는 안전 감지기; 및 상기 안전 감지기에 데이터 라인에 의하여 연결되어 크레인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상기 안전 감지기는, 장애물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충돌 감지부와, 상기 크레인 후크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감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충돌방지장치를 구비한 크레인 후크{Crane with a collision prevention device}
본 발명은 크레인 후크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구조를 개선한 충돌방지장치를 구비한 크레인 후크에 관한 것이다.
대형 토목 공사 현장이나 조선소, 자재의 이송이 빈번한 건축현장과 같은 대형 생산 현장에서는 자재를 원하는 곳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여러 중대형 크레인을 가동하거나, 지상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무빙 크레인과 같은 크레인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크레인에는 인양물에 줄걸이를 할 수 있는 후크가 포함된다.
인양물을 걸기위해 후크를 이동시키는 중, 또는 후크에 인양물이 걸려 있는 상태에서 후크가 장애물 사이로 이동하면서 후크가 장애물과 충돌해 장애물을 전복시키거나, 이동과정에서 후크에 걸려있는 줄걸이가 풀리면서 크레인이 전복되어 사람이나 다른 물체를 파괴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접근하는 물체를 지상으로부터 먼거리 등의 이유로 시야가 확보되지 않더라도 위치 및 주변 상황을 운전실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파악할 수 있는 타워 크레인의 레이져 스캔 충동 방지 시스템이 제안된바 있다.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7032호(2012. 10. 12.공고) "레이져 스캔 충돌 방지 시스템"이 그것이다.
상시 타워 크레인의 충돌 방지 시스템은 회전 운동하는 지브 전방 붐과 후방 붐을 최대 30m 범위에 포함하도록 레이저 스캔 센서를 어댑터와 함께 설치하고, 다른 크레인의 붐, 와이어가 접근했을시 출력 값을 상부 박스에 설치된 PLC로 받아서, 거리와 방향에 따라 동작 신호를 운전실의 디스플레이(5)에 보내 거리 표시값에 따라서 알람과 램프가 근접하는 물체의 방향에 대해 동작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크레인 후크에 무거운 인양물을 거는 과정에서 후크가 스윙되어 일어나는 사고나 무거운 중량물의 인양 과정과 이송 과정에서 후크의 기울어짐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충돌사고나 요동치는 문제에 대한 안전확보가 전혀 마련되어 있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크레인 후크의 이동 경로 등에서 장애물의 존재를 감지하고 크레인 후크의 기울어짐을 감지하여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충돌방지장치를 구비한 크레인 후크를 산업현장에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돌방지장치를 구비한 크레인 후크는, 크레인 후크; 크레인 후크에 장착되는 안전 감지기; 및 상기 안전 감지기에 데이터 라인에 의하여 연결되어 크레인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상기 안전 감지기는, 장애물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충돌 감지부와, 상기 크레인 후크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감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충돌 감지부는, 상기 안전 감지기의 중앙 부분에서 상기 안전 감지기가 장착된 상기 크레인 후크의 일면과 수직하게 위치하는 제1 감지부와, 상기 안전 감지기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외측 부분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2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감지부는 상기 안전 감지기가 장착된 상기 크레인 후크의 일면과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기울기 감지부는, 상기 크레인 후크의 기울기와 무관하게 고정되며 제1 스케일이 위치하는 제1 부분과, 상기 크레인 후크의 기울기에 연동하여 회전하며 제2 스케일이 위치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울기 감지부는, 상기 제1 스케일과 상기 제2 스케일이 접촉하거나 겹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크레인 후크가 설정 기울기 이상으로 회전하였는지 감지하거나, 상기 크레인 후크의 실제 기울기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충돌 감지부에 의하여 상기 장애물을 감지하거나 상기 기울기 감지부에 의하여 상기 크레인 후크가 설정 기울기 이상으로 기울어짐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기가 상기 크레인을 정지하거나 경고음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충돌방지장치를 구비한 크레인 후크에 의하면, 장애물이 위치하거나 크레인 후크가 설정 회전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져서 사고 위험이 높을 때 크레인의 구동을 중지시키거나 및/또는 경고음 등을 통하여 작업자에게 이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는 것에 의하여 안전한 상태에서만 크레인이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크레인 후크가 장애물에 충돌하거나 스윙되어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른 인명 피해, 재산 피해 등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돌방지장치를 구비한 크레인 후크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돌방지장치를 구비한 크레인 후크의 전방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크레인 후크에 장착된 안전 감지기의 기울기 감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돌방지장치를 구비한 크레인 후크를 포함하는 크레인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설명을 좀더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두께, 넓이 등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하였는바, 본 발명의 두께, 넓이 등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떠한 부분이 다른 부분을 "포함"한다고 할 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부분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다른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분이 위치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위치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돌방지장치를 구비한 크레인 후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돌방지장치를 구비한 크레인 후크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후크(40)를 포함하는 크레인(100)은 지상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무빙 크레인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크레인(100)이 지상에 고정되어 있는 타워 크레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크레인(100)으로 그 외의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빙 크레인 구조의 크레인(100)은, 주행 빔(12)과 주행 빔을 지지하는 레그 구조체(14)를 포함하는 본체부(10)와, 주행 빔(12) 상에서 주행하는 캐리지부(20)와, 캐리지부(20)에 장착되며 와이어부(30)가 권취된 와이어 드럼(32)과, 와이어부(30)에 연결되며 인양물을 걸어서 인양하는 크레인 후크(40)를 포함한다. 이때, 크레인 후크(40)에는 안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 감지기(42)가 위치하게 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추후에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주행 빔(12)은 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수평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주행 빔(12)의 양단부 각각에는 주행 빔(12)을 지지하는 레그 구조체(14)가 위치한다. 레그 구조체(14)의 하단에는 지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거나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바퀴(14a)가 장착될 수 있다. 바퀴(14a)는 주행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구동되고, 이에 의하여 크레인(100)이 원하는 방향으로 주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주행 빔(12)을 사용한 것을 예시하였으나, 주행 빔(12) 대신 케이블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주행 빔(12) 및 레그 구조체(14)을 포함하는 본체부(10)의 구조로는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주행 빔(12)의 상부에는 주행 빔(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캐리지부(20)가 위치한다. 캐리지부(20)가 주행 빔(12) 상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 및 방식으로는 알려진 다양한 구조 및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캐리지부(20)에는 와이어부(30)를 끌어 올리거나 아래로 하강하는 승강 부재가 위치할 수 있다. 승강 부재는 와이어부(30)가 감겨지는 와이어 드럼(32)과 이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 모터(도시하지 않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승강 부재의 구조 및 방식으로는 알려진 다양한 구조 및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와이어 드럼(32)에 의하여 제공된 와이어부(30)의 단부에는 크레인 후크(40)가 위치하여, 크레인 후크(40)에 인양물을 걸어서 인양할 수 있도록 한다. 크레인 후크(40)의 구조로는 인양물을 걸 수 있는 알려진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크레인 후크(40)에 안전 감지기(42)를 장착하여 크레인(100)의 이동 및 인양물의 인양 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안전 감지기(42)를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돌방지장치를 구비한 크레인 후크의 전방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III-III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2에 도시한 크레인 후크에 장착된 안전 감지기의 기울기 감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크레인 후크(40)의 좌측면, 우측면, 전방면 및 후방면 중 적어도 하나에 장애물 등을 감지할 수 있는 안전 감지기(42)가 위치할 수 있다. 안전 감지기(42)가 크레인 후크(40)의 좌측면, 우측면, 전방면 및 후방면에 모두 장착되면 안전 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조 단순화를 위하여 안전 감지기(42)의 개수를 줄이는 것도 가능하다.
안전 감지기(42)는, 크레인 후크(40)와 일정 거리 내에 장애물 등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충돌 감지부(44)와, 크레인 후크(40)의 기울어짐을 감지하는 기울기 감지부(46)를 포함할 수 있다.
충돌 감지부(44)는 크레인 후크(40)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물체 등이 위치한 경우에 이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 방식의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크레인 후크(40)가 물체에 충돌하지 않은 상태에서 물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야 하므로, 충돌 감지부(44)는 마이크로 임펄스 레이저(micro-impulse radar, MIT), 음파, 초음파, 적외선, 레이저 등을 이용하여 접촉에 의존하지 않는 비접촉식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크레인 후크(40)로부터 설정 거리 내에 물체가 위치하였는지 여부만을 감지하는 방식의 센서가 사용될 수도 있고, 크레인 후크(40)로부터 물체까지의 거리를 수치화하여 감지할 수 있는 방식의 센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충돌 감지부(44)는, 안전 감지기(42)의 중앙 부분에서 안전 감지기(42)가 장착된 크레인 후크(40)의 일면과 수직하게 위치하는 제1 감지부(44a)와, 안전 감지기(42)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외측 부분으로 연장되는 제2 감지부(44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감지부(44b)는 방사상으로 복수 개 위치하여 크레인 후크(40)로부터 다양한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다양한 위치의 물체를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감지부(44b)가 상부, 하부, 좌측, 우측으로 각기 하나씩 위치하여 제2 감지부(44b)의 개수를 최소화하면서도 다양한 위치의 물체를 좀더 효과적으로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감지부(44b)는 안전 감지기(40)가 장착된 크레인 후크(40)의 일면과 예각(A)을 가지도록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그러면 제2 감지부(44b)에 의하여 감지할 수 있는 범위를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및 제2 감지부(44a, 44b)의 배치 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기울기 감지부(46)는, 안전 감지기(42)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크레인 후크(40)의 기울기 또는 회전 각도와 무관하게 고정되는 제1 부분(일명, 어미자)(462)과, 크레인 후크(40)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2 부분(일명, 아들자)(46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462)은 반원 형상을 가지면서 형성될 수 있고, 원주에는 일정 간격으로 제1 스케일(462a)가 위치할 수 있다. 제1 스케일(462a)은 일정 각도(예를 들어, 1도)를 간격으로 하여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크레인 후크(40)의 기울기를 쉽고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추후에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제1 부분(462)에는 추(462b) 등이 위치하여, 제1 부분(462)은 크레인 후크(40)의 기울기와 관계없이 중력에 의하여 일정한 위치에서 고정된 상태를 가진다.
제2 부분(464)은 크레인 후크(40)에 고정되어 크레인 후크(40)의 기울기에 따라 함께 기울어지도록 회전하게 된다. 제2 부분(464)은 180도 또는 이보다 작은 부채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2 부분(464)의 호의 양단부에는 각기 제2 스케일(464a)이 위치하게 된다. 제1 스케일(462a)과 제2 스케일(464b)이 접촉하거나 중첩되면, 크레인 후크(40)가 설정 기울기를 초과하였음을 감지할 수 있거나, 및/또는 크레인 후크(40)의 실제 기울기를 감지할 수 있다. 설정 기울기 각도는 사용자에 의해 조절될 수 있으며 현장에서는 크레인 사용이 허가된 안전관리자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0도(에를 들어 5도)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면, 크레인 후크(40)의 기울기가 10도(예를 들어, 5도)만큼 기울어지면 기울기 감지부(46)가 이를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크레인(100)의 종류, 작업 환경, 인양물의 무게 등에 따라 설정 회전 각도 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좀더 상세하게, 제2 부분(464)의 중심선은 크레인 후크(40)가 지면과 수직하게 위치한 상태에서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크레인 후크(40)가 회전하는 방향과 관계 없이(즉, 크레인 후크(40)의 회전이 두 개의 방향 중 어느 쪽이더라도) 크레인 후크(40)가 정해진 설정 기울기 이상으로 기울어지면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크레인 후크(40)가 지면과 수직하게 위치한 상태에서 제2 부분(464)의 각 단부는 제1 부분(462)과 설정 기울기(B)에 해당하는 각도만큼 이격될 수 있다. 즉, 제2 부분(464)의 중심각은 설정 기울기(B)의 두 배를 180도에서 뺀 값을 가질 수 있다. 크레인 후크(40)가 기울어져 제2 부분(464)이 설정 기울기에 해당하는 만큼 회전하여 제2 부분(464)의 일 단부(좀더 정확하게는, 이에 형성된 제2 스케일(464a))이 제1 부분(462)의 일 단부(좀더 정확하게는, 이에 형성된 제1 스케일(462a))에 접촉하거나 중첩되면, 기울기 감지부(46)가 설정 기울기 이상으로 크레인 후크(40)가 기울어졌음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일정 각도 간격으로 복수 개 배치된 제1 스케일(462a) 중에 어떠한 제1 스케일(462a)와 제2 스케일(464a)가 접촉하였는지 또는 중첩되었는지를 감지하여 크레인 후크(40)의 실제 기울기를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부분(464)이 180도의 중심각을 가지는 반원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복수의 제1 스케일(462a) 중에 어떠한 제1 스케일(462a)와 제2 스케일(464a)가 접촉하였는지를 감지하여 크레인 후크(40)의 실제 회전 각도를 판단하여, 실제 회전 각도가 설정 회전 각도 이상일 경우에 크레인 후크(40)가 설정 회전 각도 이상으로 회전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 외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기울기 감지부(46)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구조의 기울기 감지부(46)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기울기 감지부(46)가 자이로 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안전 감지기(42)에 의하여 감지된 정보는 데이터 라인(data line)(48)을 통하여 크레인(100)을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도시하지 않음)로 전송된다. 제어기는 크레인(100)의 전원과 연결되어 안전 감지기(42)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고려하여 크레인(100)의 구동을 제어한다. 데이터 라인, 제어기의 구조 등에 대해서는 알려진 다양한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크레인 후크(40)를 포함하는 크레인(도 1의 참조부호 100, 이하 동일)의 동작을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돌방지장치를 구비한 크레인 후크를 포함하는 크레인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바퀴(14a)를 이용하여 크레인(100)을 이동시키고 캐리지부(20)를 주행 빔(12) 상에서 이동시켜 크레인 후크(40)를 인양물과 충돌하지 않도록 하면서 인양물의 상부로 이동한다. 와이어 드럼(32)에 감긴 와이어부(30)를 풀어 크레인 후크(40)를 하강시켜 인양물에 크레인 후크(40)를 건 다음, 와이어 드럼(32)에 와이어부(30)를 다시 감아 크레인 후크(40)와 이에 걸린 인양물을 상부로 끌어 올린다. 이와 같이 인양물이 상부로 끌어올려진 상태에서 바퀴(14a)를 이용하여 크레인(100)을 이동시키고 캐리지부(20)를 주행 빔(12) 상에서 이동시켜 인양물을 원하는 장소까지 이동한다.
크레인(100)의 이동 시 및/또는 크레인 후크(40)의 이동 시에 크레인 후크(40)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장애물(50)이 존재하면, 충돌 감지부(44)가 장애물(50)을 감지하여 그 정보를 데이터 라인(48)을 통하여 크레인(100)의 제어기로 전달한다. 그러면, 크레인(100)의 제어기가 크레인(100)을 정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애물이 크레인 후크(40)의 하부에 위치한 경우에는 크레인 후크(40)가 장애물의 상부로부터 일정 거리 위에 이격된 상태에서 크레인(100)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애물이 크레인 후크(40)의 이동 방향으로 위치한 경우에는 크레인 후크(40)가 장애물의 측면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크레인(100)을 정지시킨다. 이때, 장애물이 감지되었을 때 크레인(100)을 정지시키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작업자에게 경고음 등을 제공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장애물이 존재하는 사실을 알리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크레인 후크(40)에 인양물(52)을 걸 때 또는 크레인 후크(40)를 이동할 때, 도 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레인 후크(40)의 일측으로 다수개가 설치된 기울기 감지부(46)가 크레인 후크(40)의 기울기를 감지해 설정 기울기 이상으로 기울어지면 이를 감지하여 그 정보를 데이터 라인(48)을 통하여 크레인(100)의 제어기로 전달한다. 그러면, 크레인(100)의 제어기가 크레인(100)을 정지할 수 있다. 이때, 회전 설정 각도 이상으로 크레인 후크(40)가 기울어지면 크레인(100)을 정지시키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작업자에게 경고음 등을 제공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크레인 후크(40)가 안전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져 있다는 사실을 알리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크레인 후크(40)를 인양물(52)에 걸 때 기울기 감지부(46)가 크레인 후크(40)의 실제 회전 각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크레인 후크(40)를 안전하게 인양물(52)에 걸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크레인 후크(40)가 불안정하게 인양물(52)에 걸린 상태로 인양을 하면, 인양물(52)이 지면으로부터 완전하게 이격되면서 스윙이 발생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크레인 후크(40)를 인양물(52)에 걸 때 안전하게 걸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여, 크레인 후크(40)를 인양물(52)에 걸 때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장애물이 위치하거나 크레인 후크(40)가 설정 기울기 이상으로 기울어져 사고 위험이 높을 때 크레인(100)의 구동을 중지시키거나 및/또는 경고음 등을 통하여 작업자에게 이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는 것에 의하여 안전한 상태에서만 크레인(100)가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크레인 후크(40)가 장애물에 충돌하거나 스윙되어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른 인명 피해, 재산 피해 등을 저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른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크레인
10: 본체부
20: 캐리지부
30: 와이어부
32: 와이어 드럼
40: 크레인 후크
42: 안전 감지기
44: 충돌 감지부
46: 기울기 감지부
48: 데이터 라인

Claims (6)

  1. 크레인 후크에 장착되는 안전 감지기; 및
    상기 안전 감지기와 데이터 라인으로 연결되어 크레인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 감지기는, 상기 크레인 후크 주변의 장애물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충돌 감지부와, 상기 크레인 후크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감지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충돌 감지부는, 상기 안전 감지기의 중앙 부분에서 상기 안전 감지기가 장착된 상기 크레인 후크의 일면과 수직하게 위치하는 제1 감지부와,
    상기 안전 감지기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외측 부분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가 설치되며 상기 크레인 후크의 일면과 예각(A)을 가지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2 감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후크의 이동경로상의 장애물을 감지해 충돌을 방지하는 충돌방지장치를 구비한 크레인 후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 감지부는, 상기 크레인 후크의 기울기와 무관하게 고정되며 제1 스케일이 위치하는 제1 부분과, 상기 크레인 후크의 기울기에 연동하여 회전하며 제2 스케일이 위치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충돌방지장치를 구비한 크레인 후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 감지부는, 상기 제1 스케일과 상기 제2 스케일이 접촉하거나 겹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크레인 후크가 설정 기울기 이상으로 회전하였는지 감지하거나, 상기 크레인 후크의 실제 기울기를 감지하는 충돌방지장치를 구비한 크레인 후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감지부에 의하여 상기 장애물을 감지하거나 상기 기울기 감지부에 의하여 상기 크레인 후크가 설정 기울기 이상으로 회전한 것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기가 상기 크레인을 정지하거나 경고음을 제공하는 충돌방지장치를 구비한 크레인 후크.
  5. 삭제
  6. 삭제
KR1020140028357A 2014-03-11 2014-03-11 충돌방지장치를 구비한 크레인 후크 KR101461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357A KR101461193B1 (ko) 2014-03-11 2014-03-11 충돌방지장치를 구비한 크레인 후크
PCT/KR2015/002255 WO2015137674A1 (ko) 2014-03-11 2015-03-09 충돌방지장치를 구비한 크레인 후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357A KR101461193B1 (ko) 2014-03-11 2014-03-11 충돌방지장치를 구비한 크레인 후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1193B1 true KR101461193B1 (ko) 2014-11-19

Family

ID=52290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8357A KR101461193B1 (ko) 2014-03-11 2014-03-11 충돌방지장치를 구비한 크레인 후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61193B1 (ko)
WO (1) WO201513767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6081A (ko) * 2016-11-18 2018-05-28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크레인의 안전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20035527A (ko) 2020-09-14 2022-03-22 주식회사 가드플러스코리아 타워 크레인의 음성 전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08547A (zh) * 2016-10-26 2017-05-03 泰富重工制造有限公司 用于悬臂式斗轮取料机的一种防不当取料塌方的保护方法及装置
CN112074482B (zh) * 2018-05-04 2023-04-28 托马斯·贝德古德 起重机的感测装置和检测起重机的提升状况的方法
CN109626220B (zh) * 2019-02-15 2023-09-26 河南省东风起重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地铁施工的出渣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6982A (ja) * 2002-03-20 2003-10-02 Kumagai Gumi Co Ltd ケーブルクレーン用フック接近警報装置
KR20120026865A (ko) * 2010-09-10 2012-03-20 박귀자 수평각도 측정기
KR101245513B1 (ko) * 2010-07-06 2013-03-20 (주)새텍 감지장치 및 센서가 부착된 후크로 작동하는 무인크레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55450B2 (ja) * 1993-08-17 1999-10-04 日立機電工業株式会社 クレーンにおける吊具の振れ角検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6982A (ja) * 2002-03-20 2003-10-02 Kumagai Gumi Co Ltd ケーブルクレーン用フック接近警報装置
KR101245513B1 (ko) * 2010-07-06 2013-03-20 (주)새텍 감지장치 및 센서가 부착된 후크로 작동하는 무인크레인
KR20120026865A (ko) * 2010-09-10 2012-03-20 박귀자 수평각도 측정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6081A (ko) * 2016-11-18 2018-05-28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크레인의 안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908969B1 (ko) * 2016-11-18 2018-10-17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크레인의 안전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20035527A (ko) 2020-09-14 2022-03-22 주식회사 가드플러스코리아 타워 크레인의 음성 전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37674A1 (ko) 2015-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1193B1 (ko) 충돌방지장치를 구비한 크레인 후크
EP3323767B1 (en) Optical detection system for lift crane
AU2004223688C1 (en) Arrangement for collision prevention of mine vehicle
JP6177400B1 (ja) クレーン車
KR20190116347A (ko) 타겟 추적 도움을 가지고 하는 오프쇼어 선박-대-선박 리프팅
ES2354810T3 (es) Sistema de detección de obstrucciones.
JP4295591B2 (ja) コンテナ衝突防止方法および装置
KR101638839B1 (ko) 중장비 접근감시 및 작동정지 제어시스템
JP6513544B2 (ja) 荷役クレーンの衝突防止装置
TWI486295B (zh) Continuous unloader
JP2013010589A (ja) 高所作業車
CN111017731A (zh) 机器、控制器和控制方法
JP2013052949A (ja) 高所作業車の安全装置
JP7189489B2 (ja) 移動式クレーン及びクレーンシステム
JP2021155181A (ja) クレーン及びクレーンの監視装置
JP2008265984A (ja) クレーン制御システム装置
JP2022078986A (ja) クレーン、特に移動式クレーン
CN110194419B (zh) 甲板起重机系统及甲板起重机的控制方法
CN116514031A (zh) 臂架控制方法、臂架控制器、臂架控制系统及作业机械
JP2018095364A (ja) クレーンの接触監視システム
KR101908698B1 (ko) 타워크레인의 안전장치
JP5897270B2 (ja) 高所作業車
CN203715135U (zh) 塔式起重机防斜拉检测装置及塔式起重机
KR101903646B1 (ko) 다중 천장 크레인의 충돌 방지장치
WO2020235176A1 (ja) 作業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