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0839B1 - 바지용 서스펜더 - Google Patents

바지용 서스펜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0839B1
KR101510839B1 KR20140157247A KR20140157247A KR101510839B1 KR 101510839 B1 KR101510839 B1 KR 101510839B1 KR 20140157247 A KR20140157247 A KR 20140157247A KR 20140157247 A KR20140157247 A KR 20140157247A KR 101510839 B1 KR101510839 B1 KR 101510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pants
elastic
base
suspe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57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수
Original Assignee
김용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수 filed Critical 김용수
Priority to KR20140157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08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0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0839B1/ko
Priority to US14/884,028 priority patent/US20160128407A1/en
Priority to CN201510759464.5A priority patent/CN105581410A/zh
Priority to JP2015220419A priority patent/JP2016094691A/ja
Priority to EP15194260.4A priority patent/EP302029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3/00Braces
    • A41F3/02Strips, tongues, or the like, for attaching to the trous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17/00Means for holding-down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5/00Trouser supports attached to the shirt, waistcoat,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면서 바지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바지용 서스펜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서스펜더는, 베이스(12)와, 상기 베이스의 상단 및 하단에서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 단부가 연장된 탄성고리부(14)를 구비하는 내부클립(10)과; 상기 내부클립의 탄성고리부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도록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된 걸림홈(26)과, 바지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지지될 수 있는 지지수단을 구비하는 외부클립(20)으로 구성된다. 내부클립의 탄성고리부가 외부클립의 걸림홈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면, 상의가 내부클립과 외부클립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바지를 지지하게 된다. 외부클립(20)은 바지(T)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예를 들면 바지의 벨트 고리를 이용하여 고정될 수도 있다.

Description

바지용 서스펜더{Suspending device for trousers}
본 발명은 바지용 서스펜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바지의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바지용 서스펜더에 관한 것이다.
신체적인 이유 또는 벨트의 사용이 용이하지 않는 경우에, 바지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 바지용 서스펜더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지금까지의 서스펜더는 상의의 외부를 통하여 바지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기 때문에 외부에 노출될 수밖에 없었고, 이로 인하여 기피되는 아이템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한국 실용신안 출원 공개 제20-1998-0019616호에서 제안한 바지 멜빵이나, 특허 공개 제10-2014-001126호에서 제안한 상의에 일체화된 멜빵 역시 외부에 노출될 수밖에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상의의 외부에 노출되는 멜빵은 예전에는 일종의 패션 아이템으로 인식되던 시기도 있었으나, 현재는 외부 노출이라는 이유로 실질적인 사용이 기피되는 경향이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바지를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는 벨트와 서스펜더를 들 수 있는데, 서스펜더 역시 하나의 중요한 아이템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바지의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는 서스펜더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어깨끈(Shoulder strap)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바지의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는 바지용 서스펜더를 제공하는데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지용 서스펜더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단 및 하단에서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 단부가 연장된 탄성고리부를 구비하는 내부클립과; 상기 내부클립의 탄성고리부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도록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된 걸림홈과, 바지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지지될 수 있는 지지수단을 구비하는 외부클립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부클립의 탄성고리부가 외부클립의 걸림홈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면, 상의가 내부클립과 외부클립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바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외부클립을 바지에 대하여 지지하는 지지수단은 바지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지지수단에 대한 실시예에 의하면, 외부클립의 베이스와, 바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베이스에 체결되는 스크류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수단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외부클립의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장 성형된 걸림아암으로 구성되고, 상기 걸림아암은 바지의 상단부가 베이스와 걸림아암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바지의 벨트 고리에 걸리도록 구성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내부클립에는, 외부클립과의 해제 시 외부클립에 탄성력을 인가하기 위한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내부클립에 어깨끈을 연결하기 위한 고리를 더 포함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지용 서스펜더는, 기본적으로 착용자가 입고 있는 상의에 대하여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특징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즉,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바지의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실질적으로 상의에 고정되는 내부클립 및 외부클립에 의하여 바지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구성하고 있는데, 이 때 상의와 바지가 일정한 거리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상의 자체도 위로 벗겨지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장점도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서스펜더의 예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서스펜더의 착용 상태 예시 단면도.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외부클립의 예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서스펜더의 예시 단면도.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의 서스펜더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서스펜더는, 상의(S)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는 내부클립(10)과, 바지(T)의 상단부에 지지되는 외부클립(2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들 내부클립(10)과 외부클립(20)은 서로 탄성적으로 결합되면서, 그 사이에 셔츠(S)가 고정되도록 하여, 바지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상기 내부클립(10)은, 셔츠(예를 들면 와이셔츠)(S)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고리(18)를 통하여 어깨끈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고리(18)는 실제로는 어깨끈을 연결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으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서스펜더는 어깨끈 없이도 사용 가능한 것이기 때문에, 상기 고리(18)의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내부클립(10)은, 베이스(12)와, 상기 베이스 상하단에 각각 형성되는 탄성고리부(1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탄성고리부(14)는, 각각의 단부가 내측을 향하여(서로 마주 보도록) 벤딩된 것으로, 후술하는 외부클립(20)의 걸림홈(26)에 탄성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성형되는 것이다. 즉, 상기 탄성고리부(14)는 상부의 탄성고리부와 하부의 탄성고리부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2)의 외부면에는 판스프링 등으로 구성되는 탄성부재(16)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16)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외부클립(20)을 해제할 경우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외부클립(20)은 바지(T)에 고정되는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바지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외부클립(20)은 바지(T)의 상단부분(벨트 고리가 성형되는 부분으로 벨트의 위치에 대응하는 바지의 상단부분)에 고정되거나,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외부클립(20)의 베이스(22)가 바지(T)의 상단부 내측에 한 쌍의 고정 스크류(S)에 의하여 고정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외부클립(20)이 바지(T)의 상단부에 고정되기 위한 구성에서는 더욱 많은 실시예가 있을 것이고,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이러한 외부클립(20)은, 바지(T)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베이스(22)의 내측에 돌출 성형된 한 쌍의 탄성걸림부(24)를 구비하고 있고, 이러한 탄성걸림부(24)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22)와의 사이에 걸림홈(26)이 형성되고 있다. 상기 탄성걸림부(24)에 의하여 성형되는 걸림홈(26)은 상술한 탄성고리부(14)의 내측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것이다. 즉 상기 걸림홈(26)도 상부 걸림홈과 하부 걸림홈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즉,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고리부(14)는 서로 마주 보는 방향(상부의 탄성고리부는 하방으로 하부의 탄성고리부는 상방으로)으로 그 단부가 각각 연장되어 있고, 상기 걸림홈(26)은 외부클립(20)의 상면 또는 상부내측 및 하면 또는 하부내측에 각각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내부클립(10)의 탄성고리부(14)의 단부는 걸림홈(26)에 탄성적으로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홈(26)은 실질적으로 외부클립(20)의 베이스(22)의 상하면 또는 베이스(22)의 내측부분의 상하면 부분에 성형되어, 상기 탄성고리부(14)에 탄성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분리될 수 있는 구성이면 충분하고, 이에 대해서도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생각된다.
이와 같은 내부클립(10) 및 외부클립(20)은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성형되어야 서로 탄성적으로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부클립(10) 및 외부클립(20)은 합성수지재로 성형될 수 있을 것이고, 다른 예로써 탄성을 가지는 금속판을 이용하여 성형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다음에는 도 2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서스펜더의 사용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내부클립(10)은 상의(예를 들면 와이셔츠)(S)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내부클립(10)은 어깨끈을 이용하여 지지되도록 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어깨끈은 상기 고리(18)에 걸리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어깨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어깨끈의 후단부는 착용자의 허리 부분의 바지의 내부클립에 연결되는 것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또는 상기 내부클립(10)은 어깨끈 없이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내부클립(10)은 상의(S) 내측에서 적합한 위치를 잡을 수 있도록 착용자가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외부클립(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바지(20)의 상단부에 고정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내부클립(10)과 외부클립(20)을 서로 결합시키게 되면, 도시한 바와 같이 상의(S)가 내부클립(10)과 외부클립(20)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결합된다.
즉, 내부클립(10)의 탄성고리부(14)가 외부클립(20)의 걸림홈(36)에 탄성적으로 결합된다. 이렇게 내부클립(10)과 외부클립(20)이 결합된 상태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사이에는 상의(S)가 끼어 있다. 따라서 바지(T)는 상의(S)에 대하여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바지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서스펜더에 의하면, 바지(T)는 내부클립(10) 및 외부클립(20) 사이에 끼어 있는 상의(S)에 대해서도 상대적인 위치를 유지하고 있음은 알 수 있다.
이는 실질적으로 상의(S)도 그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본 발명의 서스펜더의 착용 상태에서, 바지(T)가 흘러내리지 않음은 물론이고, 상의(S)도 위로 올라가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서스펜더를 착용하게 되면, 바지의 흘러내림 방지는 물론이고, 착용자가 팔을 위로 드는 등의 동작에 의하여 상의가 위로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착용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상기 내부클립(10)에 힘을 가하여, 탄성고리부(14)가 걸림홈(26)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도록 탄성변형시키면 충분하다. 이 때, 내부클립(10)의 베이스(12)에 장착된 탄성부재(16)는 외부클립(20)이 보다 부드럽게 해제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외부클립(20)에 인가하게 될 것이다.
다음에는 본 발명에서 변형 가능한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탄성고리부(14) 및 걸림홈(26)이 클립(10,20)의 상하부분 전체에 성형되어 있으나,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될 수 없을 것이다. 예를 들면 상하부분의 일부에 성형될 수도 있고, 좌우측 부분에 성형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외부클립(22)은 스크류(S)를 이용하여 바지에 고정되는 것으로 구성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될 수 없음도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지(T)의 상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도 가능한데 예를 들면 스프링을 이용한 집게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외부클립(22)을 바지의 벨트 고리를 이용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지에는 벨트를 착용하기 위한 고리가 전체 둘레에 걸쳐서 다수개 성형되어 있는데, 이러한 벨트 고리를 이용하여 바지(T)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한 실시예의 서스펜더는, 상면과 하면에 상술한 탄성고리부(14)의 단부가 탄성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걸림홈(26A)이 성형되어 있음과 동시에, 바지의 벨트 고리에 걸릴 수 있는 걸림아암(28)이 성형되어 있다. 상기 걸림아암(28)은 베이스(22A)와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베이스의 일측 단부에서 연장 성형된 것으로 상기 걸림아암(28)은 바지의 벨트 고리에 삽입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베이스(22A)와 걸림아암(28) 사이에 성형되는 간격에 바지(T)의 상단부가 삽입되면서, 상기 걸림아암(28)에 바지의 벨트 고리가 삽입된다.
그리고 내부클립(10)의 탄성고리부(14)가 걸림홈(26)에 탄성적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바지의 벨트 고리에 걸림아암(28)이 삽입되면 바지(T)는 상기 탄성걸림부(14)에 의하여 흘러 내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실시예에 의하면, 내부클립(10)이 상의의 내부에 들어간 상태에서 상의를 사이에 두고 외부클립(20)과 탄성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내부클립(10)을 상의의 내부에 위치시킨 상태로 외부클립(20)과 결합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될 수는 없다.
예를 들면 내부클립(10)을 상의의 외측에 위치시키면서, 외부클립(20)과의 사이에서 상의를 끼워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가 도시된 도 4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내부클립(10)은 상부 탄성고리부(14a)와 하부 탄성고리부(14b)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외부클립(20)은, 상기 상부 탄성고리부(14a)가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상부 걸림홈(26a)과, 하부 탄성고리부(14b)가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하부 걸림홈(26b)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 탄성고리부(14b)는 하부 걸림홈(26b)에 결합된 상태만을 유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부 탄성고리부(14a)와 상부 걸림홈(26a) 사이에서만, 상의(S)의 일부를 끼워서 지지하게 된다. 즉,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내부클립(10)와 외부클립(20)의 상부만을 이용하여 상의(S)에 지지되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고, 이 때 외부클립(20)은 바지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바지가 흘러내리지 않게 지지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의(S)는 상부 탄성고리부(14a) 및 상부 걸림부(26a) 사이에서만 끼워지는데, 이는 실질적으로 내부클립(10)을 상의의 내측에 위치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의(S)에 지지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내부클립(10)을 상의(S)의 외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의(S)의 일부를 접은 상태로 내부클립(10)의 상부 탄성고리부(14a)와 외부클립(20)의 상부 걸림홈(26a) 사이에 끼워 넣을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도, 외부클립(20)은 바지의 내측면에서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서스펜더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은 방지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탄성고리부(14b)는 하부 걸림홈(26b)에 결합된 상태에서, 내부클립(10)이 외부클립(20)에 대하여 분리되지 않고 지지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하부 탄성고리부(14b)와 하부 걸림홈(26b)은 내부클립(10)과 외부클립(20)이 서로 결합되어 이러한 상태를 유지하는 기능, 예를 들면 힌지점으로써의 기능을 가지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하부 탄성고리부(14b)와 하부 걸림부(26b)은 외력에 의하여 쉽게 분리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상의 변형은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다.
예를 들면 상기 하부 걸림홈(26b)을 도브테일형 단면을 가지는 홈 형상으로 성형하고, 하부 탄성고리부(14b)를 이에 상응하는 도브테일형 단면의 돌기로 성형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 하부 탄성고리부(14b)는 일단 측면에서 하부 걸림홈(26b)에 슬라이딩하면서 삽입되어야 하고, 이렇게 삽입된 상태에서 상부 탄성고리부(14a)와 상부 걸림홈(26a) 사이에 상의(S)가 삽입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내부클립과 외부클립 사이에 상의(S)를 끼워서 결합함으로써 바지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내부클립
12 .... 베이스
14 ..... 탄성고리부
16 ..... 탄성부재
18 ..... 고리
20 ..... 외부클립
22 ..... 베이스
24 ..... 탄성걸림부
26 ..... 걸림홈
28 ..... 걸림아암

Claims (7)

  1.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단 및 하단에서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 단부가 연장된 상부 및 하부 탄성고리부를 구비하는 내부클립; 그리고
    상기 내부클립의 탄성고리부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도록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된 걸림홈과, 바지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지지될 수 있는 지지수단을 구비하는 외부클립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부클립의 탄성고리부가 외부클립의 걸림홈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면, 상의가 내부클립의 탄성고리부 및 외부클립의 걸림홈 중에서 적어도 하나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바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용 서스펜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바지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바지용 서스펜더.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외부클립의 베이스와, 바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베이스에 체결되는 스크류로 구성되는 바지용 서스펜더.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외부클립의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장 성형된 걸림아암으로 구성되고, 상기 걸림아암은 바지의 상단부가 베이스와 걸림아암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바지의 벨트 고리에 걸리는 바지용 서스펜더.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클립에는, 외부클립과의 해제 시 외부클립에 탄성력을 인가하기 위한 탄성부재가 설치된 바지용 서스펜더.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클립에 어깨끈을 연결하기 위한 고리를 더 포함하는 바지용 서스펜더.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의는 내부클립의 상부 탄성고리부 및 외부클립의 상부 걸림홈 사이에 끼워지고, 내부클립의 하부탄성고리는 외부클립의 하부 걸림홈에 걸려서 내부클립과 외부클립을 지지하는 바지용 서스펜더.

KR20140157247A 2014-11-12 2014-11-12 바지용 서스펜더 KR101510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57247A KR101510839B1 (ko) 2014-11-12 2014-11-12 바지용 서스펜더
US14/884,028 US20160128407A1 (en) 2014-11-12 2015-10-15 Suspending device for trousers
CN201510759464.5A CN105581410A (zh) 2014-11-12 2015-11-09 用于裤子的悬挂装置
JP2015220419A JP2016094691A (ja) 2014-11-12 2015-11-10 ズボン用サスペンダー
EP15194260.4A EP3020297A1 (en) 2014-11-12 2015-11-12 Suspending device for trous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57247A KR101510839B1 (ko) 2014-11-12 2014-11-12 바지용 서스펜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0839B1 true KR101510839B1 (ko) 2015-04-09

Family

ID=53034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57247A KR101510839B1 (ko) 2014-11-12 2014-11-12 바지용 서스펜더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60128407A1 (ko)
EP (1) EP3020297A1 (ko)
JP (1) JP2016094691A (ko)
KR (1) KR101510839B1 (ko)
CN (1) CN10558141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17862A1 (en) * 2018-05-10 2019-11-14 Robin Gonzalez Hidden trouser suspension appar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9813A (ja) * 1995-08-10 1997-03-04 Hideo Ozawa ズボンのずり落ち防止装置
WO2000032067A1 (en) 1998-11-27 2000-06-08 Quiksilver International Pty. Ltd. Garments
KR100975112B1 (ko) 2009-11-06 2010-08-11 김대길 유아용 차량안전벨트 보조구
KR101400464B1 (ko) 2012-06-27 2014-06-27 최유달 멜빵의 기능을 포함하도록 제작한 상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0309A (en) * 1919-08-20 1921-05-26 Edwin West League Improvement in trouser supporters
US1694835A (en) * 1927-03-10 1928-12-11 Thies Adolf Suspenders
US2001629A (en) * 1934-08-06 1935-05-14 Stephen Paul Daily Jr Garment supporter
JPS52125908U (ko) * 1976-03-22 1977-09-24
KR19980019616U (ko) 1996-10-04 1998-07-15 김광호 공기 정화기능을 갖는 프로젝션 티브이
JP3569418B2 (ja) * 1997-05-26 2004-09-22 昌伸 歌丸 ズボン吊り方法及びサスペンダー
JP3936773B2 (ja) * 1997-06-03 2007-06-27 大阪美錠工業株式会社 サスペンダー用止め具
US7398558B1 (en) * 2003-12-18 2008-07-15 Art Kattenhorn Internal suspenders
US20140150167A1 (en) * 2012-07-02 2014-06-05 Antoine Mowad Garment Support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9813A (ja) * 1995-08-10 1997-03-04 Hideo Ozawa ズボンのずり落ち防止装置
WO2000032067A1 (en) 1998-11-27 2000-06-08 Quiksilver International Pty. Ltd. Garments
KR100975112B1 (ko) 2009-11-06 2010-08-11 김대길 유아용 차량안전벨트 보조구
KR101400464B1 (ko) 2012-06-27 2014-06-27 최유달 멜빵의 기능을 포함하도록 제작한 상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094691A (ja) 2016-05-26
CN105581410A (zh) 2016-05-18
US20160128407A1 (en) 2016-05-12
EP3020297A1 (en) 2016-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247280A1 (en) Shirt Stay
US20110314593A1 (en) Fastener extension and method thereof
US11918067B2 (en) Garment and shirt stay device
US20150230530A1 (en) Top having suspenders coupled integrally therewith
KR101510839B1 (ko) 바지용 서스펜더
US20160198784A1 (en) Suspender system and kit
JP2009513229A (ja) 腰ベルトバックルの固定装置
JP2015112448A (ja) 鞄用肩掛けベルト
JP2018134176A (ja) タオルクリップ
US868298A (en) Separable fastener for garters.
US653315A (en) Fastener for garments, suspenders, &c.
US510875A (en) Trousers-strap
KR101519988B1 (ko) 클립을 이용한 허리 벨트 착용 방법
US697596A (en) Hose-supporter.
US623458A (en) Adolph bernstein
US1383165A (en) Garment-supporter
KR200480153Y1 (ko) 하의 고정구
US393581A (en) Ernest graham pullum
US1082005A (en) Hose-supporter.
US1156187A (en) Garment-supporter.
US921070A (en) Garter-clasp.
US1230800A (en) Garment-supporter.
US837548A (en) Garment-supporter fastener.
JP6074100B1 (ja) 衣服ウエスト調整具
US821742A (en) Garment-hol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