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0502B1 - 화상 형성 장치 및 연결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및 연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0502B1
KR101510502B1 KR20120060209A KR20120060209A KR101510502B1 KR 101510502 B1 KR101510502 B1 KR 101510502B1 KR 20120060209 A KR20120060209 A KR 20120060209A KR 20120060209 A KR20120060209 A KR 20120060209A KR 101510502 B1 KR101510502 B1 KR 101510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frame
support leg
suppor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60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5485A (ko
Inventor
료이찌 가와스미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35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5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0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0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19Fram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38Modular devices, i.e. allowing combinations of separate components, removal or replacement of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62Supporting the apparatus as a whole, e.g. stan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9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auxiliary devices, e.g. add-on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38Modular devices, i.e. allowing combinations of separate components, removal or replacement of components
    • H04N1/00541Modular devices, i.e. allowing combinations of separate components, removal or replacement of components with detachable image read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2Image hardcopy reproduc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형성부와, 대향하는 제1 및 제2 측면을 갖는 화상 형성부 지지 프레임과, 제1 측면에 근접하여 상기 장치의 설치면에 접촉 상태로 제공된 제1 및 제2 프레임 지지부와, 제2 측면에 근접하여 설치면에 접촉 상태로 제공된 제3 프레임 지지부와, 설치면과 접촉하지 않는 높이와 설치면과 접촉하는 높이로 조정 가능한 보조 다리를 포함한다. 보조 다리는 화상 형성 장치에 옵션 유닛을 장착함으로써, 무게 중심이 변경되는 방향으로 제3 지지부로부터 멀리 있는 측에 제공된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 및 연결 방법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NECTING METHOD}
본 발명은 프린터, 팩시밀리, 복합기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 및 연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옵션 유닛을 착탈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와, 화상 형성 장치에 옵션 유닛을 연결하는 연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이하, "장치 본체"라고 칭함)의 프레임에 의해 화상 형성부가 지지되었다. 양호한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프레임의 휨과 비틀림(꼬임)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상 형성부를 지지하는 프레임의 전술한 구성에서, 설치면(예를 들면, 마루나 책상)과 접촉하는 다리(접지 지점)가 4개 이상이면, 이하의 문제가 생긴다. 구체적으로는, 4개의 지점 중, 장치 본체를 설치하는(위치시키는) 설치면의 평탄도가 나쁜 1개의 지점이 부유하게 되어, 다른 3 지점에, 상정된 하중 이상의 힘이 집중적으로 작용하여, 장치 본체의 프레임이 왜곡된다. 그 결과, 기록재에 출력되는 화상의 기하학적 정밀도가 악화된다.
한편, 일본 특허공개 공보 제2000-330351호에는, 장치의 설치면과 접촉하는 점을 3개의 지점으로 한정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장치 바닥면의 지지부의 수를 3개의 지점으로 한정함으로써, 장치는 설치면의 요철에 관계없이, 항상 3개의 지점에서 설치면과 접촉하게 되므로, 프레임의 비틀림(꼬임)을 억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3개의 접지 지점은, 장치 본체가 있는 임의의 면측의 프레임의 하부 능선을 따라 충분히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1 접지 지점과 제2 접지 지점을 포함하고, 상기 임의의 면측과 대향하는 대향면측의 프레임의 하부 능선을 따라 제3 접지 지점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3 접지 지점은 무게 중심을 대향면측의 능선에 수직으로 투영한 위치의 근방에 배치되므로, 장치의 중량에 의한 프레임의 휨 및 비틀림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
한편, 장치 본체에 다양한 광학 장치를 연결하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프린터의 상방에 원고를 판독하는 스캐너 유닛을 연결해서 복합기(시스템)를 제공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프린터에 의해 출력한 시트를 배지 처리하는 후 처리 장치(소위, 피니셔)를 연결하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 여기에서, 옵션 유닛(광학 장치)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무게 중심의 위치와, 옵션 유닛이 연결된 경우의 무게 중심의 위치는 서로 다르다.
여기에서, 옵션 유닛을 착탈 가능한 장치에서, 무게 중심의 위치가 변경되고, 이에 따라 옵션 유닛이 장착(연결)되지 않은 상태의 무게 중심 위치에 맞춰서 제3 접지 지점을 배치한 구성에서는, 옵션 유닛의 장착에 수반하여, 프레임에 생기는 휨 및 비틀림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옵션 유닛이 장착된 경우에, 프레임의 휨 및 비틀림을 억제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착탈 가능한 옵션 유닛을 지지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며, 회전 가능한 감광체를 포함하고, 감광체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기록재에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와, 상기 화상 형성부를 지지하고, 제1 측면과, 상기 제1 측면과 대향하는 제2 측면을 구비하는 프레임과, 상기 제1 측면에 근접하여 상기 프레임의 바닥면에 제공되고, 설치면과 접촉하여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로서,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를 연결하는 직선이 상기 감광체의 회전 축선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와, 설치면과 접촉하여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제3 지지부로서, 상기 제2 측면에 근접하여, 그리고 상기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를 연결하는 직선에 직교하고 상기 옵션 유닛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무게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 근방에 제공되는, 제3 지지부와, 설치면과 접촉하지 않는 높이와 설치면과 접촉하는 높이로 조정 가능하고, 화상 형성 장치에 옵션 유닛을 장착함으로써 무게 중심이 변경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3 지지부로부터 멀리 있는 측에 제공되는 보조 다리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을 고려하여 보다 명백해 질 것이다.
도 1은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프레임의 정면, 우측면 및 바닥면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프레임의 배면, 좌측면 및 바닥면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4의 (a) 및 도 4의 (b)는 각각,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무게 중심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5의 (a) 및 도 5의 (b)는 각각,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광학 장치의 장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프레임에 제공된 가동 지지 다리를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
도 7의 (a), 도 7의 (b) 및 도 7의 (c)는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프레임에 제공된 가동 지지 다리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측 단면도.
도 8의 (a) 및 도 8의 (b)는 각각, 실시예 2의 화상 형성 장치의 프레임에 제공된 가동 지지 다리를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
(실시예 1)
1.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적 구성 및 동작
도 1은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1의 도면 전방을 화상 형성 장치(1)의 "정면(측)"이라 하고, 도면 후방을 화상 형성 장치(1)의 "배면(측)"이라 한다. 화상 형성 장치(1)의 정면측의 면을 간단히 "정면"이라 하고, 화상 형성 장치(1)의 배면측의 면을 간단히 "배면"이라 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 좌우는, 화상 형성 장치(1)를 정면측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의 좌우이다. 화상 형성 장치(1)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좌측의 면을 "좌측면"이라 하고, 우측의 면을 "우측면"이라고도 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의 상부면(또는 상부) 및 하부면(또는 하부)은, 화상 형성 장치(1)의 통상적인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수직 방향의 상하이다. 수직 방향에 있어서의 상측의 면을 "상면"이라 하고, 하측의 면을 "바닥면"이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의 정면과 배면은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고, 우측면과 좌측면은 서로 평행한다. 정면 및 배면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직선과, 우측면 및 좌측면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직선은 서로 실질적으로 직교한다. 여기에서, 화상 형성 장치(1)의 정면측은, 통상적으로 조작자가 화상 형성 장치(1)를 조작하는 쪽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실질적으로 평행하다"는, 2개의 직선이 그 교차 각도에 대해 ±2도 이내에 들어가는 것을 가리킨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근방"이란, 기준점으로부터 반경 20mm 이내의 범위를 의미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는, 제1 내지 제4 화상 형성부 PY, PM, PC 및 PK가 중간 전사체로서의 중간 전사 벨트(12)의 상담지면의 이동 방향을 따라 제공되는 탠덤형(tandem type)의 풀 컬러 복합기이다. 제1 내지 제4 화상 형성부 PY, PM, PC 및 PK 각각은, 전자 사진 방식에 의해 토너 화상을 형성한다.
제1 내지 제4 화상 형성부 PY, PM, PC 및 PK의 구성 및 동작은, 사용하는 토너의 색이 서로 다르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 각각의 화상 형성부에 대해 특히 구별을 요하지 않는 경우에는, 관련된 요소 또는 부분의 색을 나타내기 위한 부호의 첨자 Y, M, C 및 K는 생략하고, 이들 요소 또는 부분을 총괄적으로 설명한다.
화상 형성부 P는, 상담지체로서의 드럼형 전자 사진 감광체, 즉 감광 드럼(21)을 포함한다. 감광 드럼(21)은 도시된 화살표 R1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감광 드럼(21)의 주위에는, 감광 드럼(21)의 회전 방향을 따라, 다음의 수단이 이하의 순서로 제공된다. 우선, 대전 수단으로서의 대전 롤러(22)가 제공된다. 다음으로, 현상 수단으로서의 현상 장치(24)가 제공된다. 다음으로, 1차 전사 수단으로서의 1차 전사 롤러(25)가 제공된다. 다음으로, 감광체 클리닝 수단으로서의 드럼 클리너(26)가 제공된다. 또한, 각 화상 형성부 P의 감광 드럼(21)의 표면을, 감광 드럼(21)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대전 롤러(22)와 현상 장치(24) 사이의 위치에서 노광하도록, 노광 수단으로서의 노광 장치(레이저 스캐너)(13)가 제공된다. 각 1차 전사 롤러(25)는, 중간 전사 벨트(12)의 내주면측에 있어서, 관련된 감광 드럼(21)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1차 전사 롤러(25)는 중간 전사 벨트(12)를 감광 드럼(21)을 향해서 가압하여, 중간 전사 벨트(12)가 각 감광 드럼(21)에 접촉하는 1차 전사부(1차 전사 니프) T1을 형성한다. 또한, 중간 전사 벨트(12)의 외주면에는, 중간 전사 벨트(12)가 걸쳐진 복수의 롤러 중 하나인 2차 전사 대향 롤러에 대향하는 위치에, 2차 전사 수단으로서의 2차 전사 롤러(16)가 배치되어 있다. 2차 전사 롤러(16)는, 중간 전사 벨트(12)를 통해서 2차 전사 대향 롤러를 향해 가압되어, 2차 전사 롤러(16)가 중간 전사 벨트(12)에 접촉하는 2차 전사부(2차 전사 니프) T2를 형성한다.
화상 형성부 P에서는, 회전하는 감광 드럼(21)의 표면이 대전 롤러(22)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다. 대전된 감광 드럼(21)의 표면은, 관련된 화상 형성부 P에 대응하는 화상 정보에 따라서, 노광 장치(13)에 의해 주사 노광된다. 이에 의해, 감광 드럼(21) 상에 화상 정보에 따른 정전 잠상(정전 화상)이 형성된다. 감광 드럼(21)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은, 현상 장치(24)에 의해 현상제로서의 토너가 공급됨으로써, 토너 화상으로서 현상된다. 감광 드럼(21)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은, 도시된 화살표 R2 방향으로 회전하는 중간 전사 벨트(12) 위로 1차 전사된다.
제1 화상 형성부 PY에서는, 옐로 토너 화상이 형성되고, 그 후 중간 전사 벨트(12)에 1차 전사된다. 제2 화상 형성부 PM에서는, 마젠타 토너 화상이 형성되고, 그 후 중간 전사 벨트(12) 상의 옐로 토너 화상에 겹쳐서 1차 전사된다. 제3 및 제4 화상 형성부에서는, 각각 시안 토너 화상 및 블랙 토너 화상이 형성되고, 그 후 중간 전사 벨트(12) 상의 토너 화상에 위치를 겹쳐서 순차적으로 1차 전사된다.
중간 전사 벨트(12)에 담지된 4색의 토너 화상은, 2차 전사부 T2에 반송되고, 그 후 별도로 2차 전사부 T2에 반송되는 기록재 S에 일괄해서 2차 전사된다.
2차 전사부 T2로 토너 화상이 2차 전사된 기록재 S는, 수직 경로부(4)에 수납된 정착 장치(14)에 의해 가열 및 가압되고, 표면에 토너 화상이 정착된 후에, 배출 롤러(15)에 의해 배지 트레이(5)로 배출된다.
장치 본체(3)의 하측에, 급지 카세트(2)가, 정면측으로 인출될 수 있게 배치된다. 급지 카세트(2)로부터 1매씩 인출된 기록 시트와 같은 기록재 S는, 2차 전사부 T2의 앞에서 대기하고, 그 후 중간 전사 벨트(12) 상의 토너 화상에 타이밍을 맞춰, 2차 전사부 T2로 송출된다.
장치 본체(3)의 상측에는, 수직 경로부(4)를 통해서 화상 판독부(본 실시예에서는 플랫 헤드 스캐너)(6)가 제공된다. 화상 판독부(6)는, 판독면(본 실시예에서는 유리판)(6a)에 배치된 원고의 하면의 화상을 광학적으로 판독하여, 화상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것이다. 자동 원고 급송 장치(ADF)(7)를 개방한 상태(들어올린 상태)에서, 판독면(6a)에 원고를 배치할 수 있다. ADF(7)는, 원고 트레이(8)에 적재된 원고의 시트를 1매씩 분리하고, 그 후 분리된 시트를 1매씩 판독면(6a)을 통과시킴으로써, 화상 판독부(6)에 의해 원고의 시트 상의 화상을 연속적으로 판독한다.
조작 패널(보드)(11)은, 장치 본체(3)의 정면에 제공된다. 조작 패널(11)의 바로 아래의 수직 경로부(4)에는, 배지 롤러(15)를 포함하는 기록재 S의 반송 기구, 각종 센서, 송풍 팬 등이 수납되어 있다.
자동 화상 판독 모드에서의 작동에 있어서, ADF(7)의 원고 트레이(8) 상에 원고를 세팅한다. 수동 화상 판독 모드에서의 작동에 있어서, 조작자는 ADF(7)를 후방을 향해 회동시켜서 ADF(7)를 상방으로 개방함으로써, 화상 판독부(6)의 판독면(6a)에 접속할 수 있다. 그리고, ADF(7)의 원고 트레이(8)[또는 화상 판독부(6)의 판독면(6a)]에 원고를 세팅한 후, 조작자는 조작 패널(11)을 통해, 흑백 또는 컬러 (화상) 판독 모드, 복사 출력 사이즈, 기록재 S의 종류, 복사 매수 등의 정보를 입력한다.
조작 패널(11)을 통해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화상 판독부(6)에 있어서 원고의 화상 정보가 판독된다. 그리고, 급지 카세트(2) 또는 개방된 수동 급지 트레이(9) 상에 적재된 기록재 S가 급지되어, 장치 본체(3)에 화상 형성이 되고, 그 후수직 경로부(4)를 경유해서 배지 트레이(5)로 배출되어 적재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는, 퍼스널 컴퓨터와 같은 외부 장치로부터 보내져 온 화상 정보에 따라서 기록재 S에 화상을 형성하고, 그 후 기록재 S를 출력할 수도 있다.
2. 프레임의 휨 및 비틀림
컬러 화상의 형성에서는, 각 색간의 화상 위치 정렬(이하, "색 어긋남 보정"이라 함)이 화질에 있어서의 중요한 요소가 된다. 특히, 회전축(축선)이 평행한 복수의 상담지체 상에 형성되는 토너 화상이, 전사재 상으로 겹쳐서 전사되는 탠덤형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색 어긋남 보정의 오차가 기록 화상에 있어서의 색 어긋남량으로서 그대로 나타난다. 상담지체로부터 토너 화상이 전사되는 전사재로서는, 중간 전사 벨트 또는 시트 반송 벨트에 의해 반송되는 기록재가 사용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중간 전사 벨트가 사용된다.
색 어긋남 보정의 오차의 원인으로서는, 특히 화상 형성 장치의 설치 환경(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가 장착되는 면의 수평도, 요철 또는 강성)에 의한 장치 본체의 프레임의 휨 및 비틀림과 같은 변형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요철이 있는 설치면에 화상 형성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화상 형성 장치의 지지의 방법에 따라서는 휨 및 비틀림과 같은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프레임에 변형이 생겼을 경우, 복수의 상담지체의 회전축이 비틀어지고, 그 결과, 각 색의 토너 화상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변화하고, 이에 따라 그 변화가 기록 화상의 색 어긋남으로 연결된다.
또한, 엔드리스 벨트(예를 들어, 중간 전사 벨트 또는 반송 벨트)를 장치 본체의 프레임에 의해 지지된 롤러에 의해 걸어 반송하는 경우에도, 프레임의 휨 및 비틀림은 중요한 요소가 된다. 왜냐하면, 프레임의 비틀림이란, 엔드리스 벨트가 걸리는 롤러의 정렬이 무너지고, 롤러의 축선 방향에 대한 엔드리스 벨트의 (측방) 변이력(shifting force)의 증대로 연결되기 때문이다. 엔드리스 벨트의 변이력의 증대는, 벨트의 단부의 열화나 파손에 이르는 요인이며, 따라서 엔드리스 벨트의 수명에 영향을 준다.
이상과 같이, 장치 본체의 프레임의 휨 및 비틀림은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제품으로서의 품질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3. 프레임의 지지 구성
장치 본체의 프레임의 휨 및 비틀림에 영향을 주는 화상 형성 장치의 무게 중심의 위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의 장치 본체(3)의 프레임(100)의 정면, 우측면 및 바닥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프레임(100)의 배면, 좌측면 및 바닥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의 (a) 및 도 4의 (b)는 각각,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며, 도 4의 (a)는 상면측으로부터 본 외관, 도 4의 (b)는 좌측면측으로부터 본 외관을 나타낸다. 또한, 도 5의 (a) 및 도 5의 (b)는 각각, 장치 본체(3)에 광학 장치(옵션 유닛)를 장착하기 전 및 장착한 후의 화상 형성 장치(1)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프레임(100)의 형성 부품 중 하나인 배면판(140)(도 3)에는, 화상 형성 장치(1)의 구동원을 수납한 구동 유닛(205), 전장류를 수납한 컨트롤러 유닛(201, 202), 및 전원(203) 등이 장착되어 있다. 구동 유닛(205) 및 전장 유닛류는, 많은 경우에 있어서 판금을 사용해서 구성되기 때문에, 프레임(100)의 내부에 장착되는 유닛보다도 중량이 무겁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1)의 무게 중심 G의 위치는, 배면측으로 기울게 된다[도 4의 (a) 및 도 4의 (b)]. 도 4의 (a) 및 도 4의 (b)는 각각, 무게 중심 G의 위치를 화상 형성 장치(1)의 외관에 명시한 것이다. 도 4의 (a) 및 도 4의 (b)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의 무게 중심 G의 위치는, 화상 형성 장치(1)의 정면과 배면을 연결하는 직선의 중심보다도 배면측(후방)에 더 근접하여 위치하고 있다.
그러나, 화상 형성 장치(1)에 광학 장치를 장착하면, 화상 형성 장치(1)의 무게 중심 G의 위치는 변화한다. 예를 들면, 광학 장치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플레인 모델에 대하여,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3)의 좌측면에 광학 장치로서 기록 화상(장치 본체로부터 출력된 기록재)의 후 배지 처리 장치(300)가 장착된 경우를 생각한다. 여기에서, 후 배지 처리 장치(300)는, 예를 들면 기록재에 펀치 구멍을 뚫거나, 복수의 기록재의 시트를 스테이플링하거나, 기록재의 시트를 시프트시켜서 적재하는 것으로 지정 부수마다 혹은 그룹마다 분류하는 후 처리 장치(피니셔)이다. 이때, 장치 본체(3)의 무게 중심의 위치와, 후 배지 처리 장치(300)의 무게 중심의 위치는 일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3)에 광학 장치를 장착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1)의 무게 중심 G의 위치는 변화하게 된다.
또한, 기록재의 시트가 후 배지 처리 장치(300)에 제공되는 적재 트레이(301) 상에 적재되는 경우, 기록재의 시트의 무게 중심 위치는, 도 4의 (b)에 도시하는 영역 H의 중심선[기록재 S의 반송 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배지 트레이(5) 또는 적재 트레이(301)의 중앙]에 위치된다. 그 때문에, 후 배지 처리 장치(300)의 적재 트레이(301)에의 기록재의 시트의 적재 매수에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1)의 무게 중심 G의 위치가 정면측을 향해 변화해 가게 된다.
이상과 같이, 화상 형성 장치(1)의 무게 중심 G의 위치는 화상 형성 장치(1)의 배면측(후방)을 향해 위치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의 무게 중심 G의 위치는 반드시 불변인 것이 아니라, 광학 장치의 장착 상태에 따라 변화하는 것이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의 정면측의 상부에의 각종 교환 부품에의 액세스와, 조작자가 화상 형성 장치(1)에 손을 대는 조작을 고려하면, 상정된 값 이상의 하중이 프레임(100)에 걸리는 것도 충분히 생각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장치 본체(3)의 우측면의 하부 능선을 따라 충분히 간격을 둔 2개의 설치 지점을 배치하고, 장치 본체(3)의 좌측면의 하부 능선을 따라 1개의 설치 지점을 배치했을 경우, 이 1개의 설치 지점에 관한 휨 하중은 무시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다음과 같은 프레임(100)의 지지 구성을 채용한다. 즉, 3개의 고정 지지 다리와, 이 3개의 고정 지지 다리와는 별도로 1개의 가동 지지 다리가 제공된다. 이 1개의 가동 지지 다리는, 가동 지지 다리가 프레임(100)의 내부에 수납된(후퇴된) 제1 위치로부터, 가동 지지 다리가 화상 형성 장치(1)의 설치면에 접촉하는 제2 위치까지,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또한, 가동 지지 다리를, 설치면의 높이에 따른 임의의 제2 위치에서 고정 가능한 위치 고정 수단이 제공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의 프레임(100)의 지지 구성에 대해서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화상 형성 장치(1)는, 화상 형성 장치(1)의 제1 측면 1A로서의 우측면의 프레임(100)의 하부 능선(101)[이하, 이 능선(101)을 "우측 하부 능선(101)"이라고 함]을 따라 적어도 2개의 제1 지지 다리(11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지지 다리(110)는, 화상 형성 장치(1)의 배면측과 정면측에 각각 제공되어 합이 2개가 제공된다. 이하, 이들 제1 지지 다리(110)는 제1 고정 지지 다리(배면측)(111) 및 제2 고정 지지 다리(정면측)(112)라고 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는, 제2 측면 1B로서의 좌측면의 프레임(100)의 하부 능선(102)[이하, 이 능선(102)을 "좌측 하부 능선(102)"이라고 함]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설치된 제2 지지 다리(120)를 포함한다. 이하, 제2 지지 다리(120)는 제3 고정 지지 다리(120)라고 한다.
제1 고정 지지 다리(111), 제2 고정 지지 다리(112) 및 제3 고정 지지 다리(120)는, 프레임(100)에 고정되던지 또는 일체로 형성되고, 높이가 실질적으로 불변인 고정 지지 다리이다. 제1 고정 지지 다리(111)와 제2 고정 지지 다리(112)는, 우측 하부 능선(101)을 따라 충분히 간격(간극)을 두고 배치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를 상면측에서 보았을 때에, 제1 고정 지지 다리(111), 제2 고정 지지 다리(112) 및 제3 고정 지지 다리(120)를 연결하는 직선이, 무게 중심 G가 내부에 위치되는 실질적으로 삼각형 형상을 제공하도록, 이들 지지 다리(111, 112 및 120)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는, 광학 장치를 장착하지 않는 상태(플레인 상태)에 있어서는 화상 형성 장치(1)의 설치면에 접지할 필요가 없는 좌측 하부 능선(102)을 따라 적어도 1군데에 설치된 제3 지지 다리로서, 1개의 가동 지지 다리(131)를 포함한다. 가동 지지 다리(131)는, 좌측 하부 능선(102)을 따라, 제3 고정 지지 다리(120)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는, 광학 장치를 장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제1 고정 지지 다리(111), 제2 고정 지지 다리(112) 및 제3 고정 지지 다리(120)로 구성된 합계 3개의 고정 지지 다리에 의해 3개 지점 지지 방식으로 설치면에 설치된다.
그러나,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광학 장치를 장착하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도, 필요에 따라서는, 가동 지지 다리(131)를 이용하는 것은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고정 지지 다리(111) 및 제2 고정 지지 다리(112)는, 기록 화상이 담지된 기록재의 급지 및 반송이 주로 행해지는 화상 형성 장치(1)의 우측면의 프레임(100)에 제공된다. 이것은, 기록재의 급지 및 반송이 행해지는 화상 형성 장치(1)의 우측면에서 확실하게 프레임(100)을 지지함으로써, 기록재를 반송하는 롤러의 정렬 상의 휨 및 비틀림의 영향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1 고정 지지 다리(111)는, 광학 장치를 장착하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의 화상 형성 장치(1)의 무게 중심 G를, 우측 하부 능선(101)에 수직으로 투영한 위치보다도, 우측 하부 능선(101)을 따라 배면에 더 근접한(배면을 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2 고정 지지 다리(112)는, 광학 장치를 장착하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의 화상 형성 장치(1)의 무게 중심 G를, 우측 하부 능선(101)에 수직으로 투영한 위치보다도, 우측 하부 능선(101)을 따라 정면에 더 근접한(정면을 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제2 고정 지지 다리(112)는, 우측 하부 능선(101)의 정면측 단부의 근방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조작자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 등에 기인한 프레임(100)의 휨 및 비틀림이 생기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3 고정 지지 다리(120)는, 제1 고정 지지 다리(111) 및 제2 고정 지지 다리(112)가 제공되는 우측면과 대향하는 좌측면의 프레임(100)에 제공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제3 고정 지지 다리(120)는,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 장치를 장착하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의 화상 형성 장치의 무게 중심 G를, 좌측 하부 능선(102)에 수직으로 투영한 위치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광학 장치를 장착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 화상 형성 장치(1)의 중량이 프레임(100)에 부여하는 하중의 영향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가동 지지 다리(131)는, 좌측 하부 능선(102)을 따라, 제3 고정 지지 다리(120)보다도, 화상 형성 장치(1)의 사용 상태에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의 무게 중심 G의 위치가 변화하는 측에 더 근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화상 형성 장치(1)의 무게 중심 G의 위치가 변화하는 방향은, 광학 장치의 장착 및 조작자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 등에 의해, 광학 장치가 장착되어 있지 않고 하중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의 위치로부터 화상 형성 장치(1)의 무게 중심 G의 위치가 이동하는 방향이 좌측 하부 능선(102)에 수직으로 투영되는 방향이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방향은, 무게 중심 G의 위치가 좌측 하부 능선(102)을 따라 제3 고정 지지 다리(120)의 근방으로부터 화상 형성 장치(1)의 정면을 향해 이동하는 방향이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가동 지지 다리(131)는, 좌측 하부 능선(102)의 정면측 단부의 근방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광학 장치의 장착 및 조작자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 등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1)의 무게 중심 G의 위치의 변화가 생겼을 경우에, 프레임(100)의 휨 및 비틀림이 생기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가동 지지 다리(131)는, 가동 지지 다리(131)가 프레임(100)의 내부에 수납된 제1 위치로부터 가동 지지 다리(131)가 화상 형성 장치(1)의 설치면에 접촉하는 제2 위치까지, 가동 지지 다리(131)를 수직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는 가동 지지 다리 유닛(130)에 제공된다. 가동 지지 다리 유닛(130)은, 가동 지지 다리(131)를, 상기 제1 위치에 대한 설치면의 높이(레벨)에 따른 임의의 제2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위치 고정 수단을 포함한다. 이하, 가동 지지 다리 유닛(130)에 대해서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도 2에서와 동일한 방향으로 본 가동 지지 다리 유닛(130)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의 (a), 도 7의 (b) 및 도 7의 (c)는, 가동 지지 다리 유닛(130)을 우측면으로부터 본 부분 측 단면도이며, 가동 지지 다리 유닛(130)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가동 지지 다리 유닛(130)에 있어서, 가동 지지 다리(131)는, 프레임(100)에 고정되거나 또는 일체로 형성된 제1 수납부 측판(135)과 제2 수납부 측판(136) 사이에 형성된 수납부(138) 내에, 이동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납부(138)의 바닥면에는 바닥판(137)이 제공된다. 가동 지지 다리(131)는, 그 하측의 소정 범위의 부분을, 바닥판(137)에 제공된 개구부(137a)로부터 아래쪽으로 노출시키도록 이동하여, 화상 형성 장치(1)의 설치면에 접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가동 지지 다리(131)는, 실질적으로 기다란 직사각기둥 형상을 갖고, 그 종방향이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가동 지지 다리(131)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가동 지지 다리(131)에는, 가동 지지 다리(131)의 이동을 방지(이동량 규제)하는 작용을 받는 방지 작용 수용부로서, 그 종방향에 있어서의 가동 지지 다리(131)의 상측 단부와 하측 단부의 근방에, 각각 제1 및 제2 장원형 구멍(131a, 131b)이 제공된다. 제1 및 제2 장원형 구멍(131a, 131b)은 각각, 가동 지지 다리(131)를 한 방향으로 관통한다. 또한, 가동 지지 다리(131)는, 그 종방향에 있어서 제1 및 제2 장원형 구멍(131a, 131b)의 사이에, 후술하는 스토퍼 지지축(133)을 놓아주기 위한 이스케이프 구멍(131c)을 갖는다. 이스케이프 구멍(131c)은, 가동 지지 다리(131)를 장원형 구멍(131a, 131b)과 같은 방향으로 관통한다.
가동 지지 다리(131)의 장원형 구멍(131a, 131b)에는, 가동 지지 다리(131)의 이동을 방지(이동량 규제)하는 방지(규제) 부재로서, 제1 및 제2 수납부 측판(135, 136)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프레임(100)에 고정된 2개의 방지(규제) 축(139a, 139b)이 각각 관통된다. 그리고, 이 방지 축(139a, 139b)이, 각각 장원형 구멍(131a, 131b)과 결합함으로써, 가동 지지 다리(131)는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가동 지지 다리(131)의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을 따르는 이동량(거리)은, 장원형 구멍(131a, 131b) 각각의 종방향 길이에 의해 규정된다. 상방으로 가동 지지 다리(131)를 퇴피시켰을 경우, 가동 지지 다리(131)는 프레임(100)의 내부,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및 제2 수납부 측판(135, 136) 및 바닥판(137)에 의해 형성된 수납부(138)의 내부에 수납된다. 이 위치가, 가동 지지 다리(131)의 제1 위치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가동 지지 다리(131)를 장치 본체에 구비하는 구성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장치의 바닥면에 가동 지지 다리(131)를 제공한 위치에, 높이 조정 가능한 지지 다리가 결합될 수 있는 구멍이 제공되는 구성도 채용할 수 있다. 그 구멍을 통해, 광학 유닛을 장착할 때에, 높이 조정 가능한 지지 다리를 장착할 수 있다. 즉, 장치 본체에 처음부터 가동 지지 다리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가동 지지 다리 유닛(130)은 가동 지지 다리와 동등한 기능을 갖춘 부재를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하기 위한 기구가 제공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또한, 가동 지지 다리 유닛(130)은, 가동 지지 다리(131)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스토퍼(132)를 포함한다. 스토퍼(132)는, 축부(132c)와, 축부(132c)의 한쪽의 단부에서 축부(132c)와 일체로 형성된 핸들(132a)과, 축부(132c)의 다른 쪽의 단부에서 축부(132c)와 일체로 형성된 스토퍼부(132b)를 포함한다. 스토퍼(132)의 축부(132c)의 중앙부를 통과하는 축선 방향을 따라, 핸들(132a)로부터 스토퍼부(132b)까지 스토퍼(132)를 관통하는 축 삽입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핸들(132a)은, 화상 형성 장치의 정면측으로부터 조작자가 핸들(132a)을 조작할 수 있도록, 화상 형성 장치(1)의 정면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또한, 핸들(132a)은, 화상 형성 장치(1)의 프레임(100)을 외측으로부터 덮는 외장 커버의 내측에 배치되어, 필요에 따라 조작자가 핸들(132a)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스토퍼(132)는, 제1 수납부 측판(135)을 관통하는 스토퍼 가이드 구멍(135a)의 모서리를 형성하는 스토퍼 가이드(135b)에 의해 축부(132c)가 안내됨으로써, 이 축부(132c)의 축선 방향을 따라, 가동 지지 다리(131)에 근접하는 방향 및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토퍼(132)는, 화상 형성 장치(1)의 정면 및 배면과 직교하는 방향(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스토퍼(132)의 축 삽입 구멍(132e) 내에는, 핸들(132a)의 외부로부터, 가동 지지 다리(131)의 이스케이프 구멍(131c)과 제2 수납부 측판(136)의 관통 구멍(136a)을 통과하여, 수납부(138)의 외부까지 직선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스토퍼 지지축(133)이 삽입된다. 제2 수납부 측판(136)에 근접한 스토퍼 지지축(133)의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부(133a)와 제2 수납부 측판(136) 사이에는, 가압 부재로서의 압축 스프링(134)이 제공된다. 한편, 핸들(132a)에 근접한 스토퍼 지지축(133)의 단부는, 고정 부재(135)에 의해 스토퍼(132)에 대하여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렇게, 스토퍼(132) 및 스토퍼 지지축(133)은 일체로 고정되고, 스토퍼 지지축(133)의 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스토퍼(132)는, 스토퍼 지지축(133)이 압축 스프링(134)에 의해 가압되면, 가동 지지 다리(131)를 향해 가압된다. 이에 의해, 가동 지지 다리(131)는, 스토퍼(132)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1)의 제2 수납부 측판(136)에 가압된다.
또한, 스토퍼 지지축(133)의 단부에 제공된 플랜지부(133a)와 제2 수납부 측판(136) 사이에 로킹된 압축 스프링(134)의 가압력에 의해, 도 7의 (a)에 도시하는 화살표 y 방향으로 스토퍼 지지축(133)이 가압된다. 또한, 스토퍼 지지축(133)과 스토퍼(132)는 일체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 압축 스프링(134)에 의해, 가동 지지 다리(131)를 프레임(100)의 제2 수납부 측판(136)에 가압하는 가압력이 생기게 된다.
또한, 가동 지지 다리(131)의 스토퍼(132)에 의해 가압되는 면에는, 톱니 로킹 갈고리부(131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토퍼(132)의 가동 지지 다리(131)에 가압되는 면에도, 유사한 형상의 톱니 로킹 갈고리부(132d)가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132)와 가동 지지 다리(131)의 표면에 각각 제공되는 로킹 갈고리부(131d, 132d)의 갈고리부 형상(갈고리부 각도)은, 다음과 같이 설정되어 있다. 즉, 가동 지지 다리(131)가 상방으로 가압되는 경우[가동 지지 다리(131)로부터 보면 프레임(100)이 아래쪽으로 가압되는 경우)에, 로킹 갈고리부(131d, 132d)의 갈고리부 형상이 서로 결합하여, 가동 지지 다리(131)가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스토퍼(132), 스토퍼 지지축(133), 압축 스프링(134), 고정 부재(135), 가동 지지 다리(131)의 표면에 형성된 로킹 갈고리부(131d) 등에 의해, 프레임(100)에 대한 가동 지지 다리(131)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 수단이 구성된다.
다음으로, 화상 형성 장치(1)를 설치면에 설치할 때의 수순, 및 프레임(100)의 지지 구성의 변경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광학 장치가 화상 형성 장치(1)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지지 다리(131)는 프레임(100)의 수납부(138)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다(제1 위치). 그 때문에, 화상 형성 장치는, 제1 고정 지지 다리(111), 제2 고정 지지 다리(112) 및 제3 고정 지지 다리(120)의 3개의 지점에서 설치면에 지지된다. 이 경우에, 화상 형성 장치(1)의 프레임(100)은 3개의 지점에서 3개의 고정 지지 다리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을 따르므로, 화상 형성 장치(1)의 정적 상태에 있어서의 무게 중심 G의 위치의 변동은 실질적으로 없다고 간주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프레임(100)의 휨 및 비틀림은 원리적으로는 발생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가동 지지 다리 유닛(130)을 동작시킨다.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고정 지지 다리(111), 제2 고정 지지 다리(112) 및 제3 고정 지지 다리(120)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1)의 설치 직후의 상태에서는, 가동 지지 다리(131)는 설치면 L에 접촉하지 않고 있다. 이 상태에서,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퍼(132)를 화살표 x 방향으로 인장하면, 가동 지지 다리(131)와 스토퍼(132)의 로킹 갈고리부(131d, 132d)의 결합이 해제된다(결합 제거). 그리고, 가동 지지 다리(131)가, 자중에 의해 하방(화살표 z 방향)으로 떨어져, 설치면 L에 맞닿는다(제2 위치). 여기서 조작자가 스토퍼(132)를 놓으면, 도 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지지 다리(131)와 스토퍼(132)의 로킹 갈고리부(131d, 132d)가 서로 결합하여, 가동 지지 다리(131)는 그 이상 이동할 수 없도록 고정된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1)는, 프레임(100)의 휨 및 비틀림을 발생시키는 일없이, 제1 내지 제3 고정 지지 다리(111, 112 및 120) 및 가동 지지 다리(131)의 4점에서 지지된다. 따라서, 가동 지지 다리(131)의 바로 윗쪽으로부터 아랫쪽으로 하중이 인가된 경우라도, 가동 지지 다리(131)를 경유해서 설치면 L에 의해 하중을 받는 것이 되어, 화상 형성 장치(1) 상의 하중은 최소가 된다. 또한, 광학 장치를 장착하는 경우에서도, 전술한 대로 프레임(100)은, 프레임(100)이 휨 및 비틀림이 없는 상태에서 4개의 지점에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화상 형성 장치(1)의 무게 중심 G의 위치가 변화해도 프레임(100)의 휨 및 비틀림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가동 지지 다리(131)를 설치면에 접촉한 상태로부터 가동 지지 다리(131)를 수납부(138)의 내부에 수납한 상태로, 가동 지지 다리(131)의 상태를 이동(변화)시키기 위해서는, 대략, 전술한 수순의 역의 수순에 따를 수 있다. 즉, 도 7의 (c)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조작자가 스토퍼(132)를 도 7의 (b)에 도시하는 화살표 x의 방향으로 인장하여, 가동 지지 다리(131)와 스토퍼(132)의 로킹 갈고리부(131d, 132d) 사이의 결합을 해제한다. 그 상태에서,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지지 다리(131)를, 조작자가 손 등으로 프레임(100)의 수납부(138)의 내부까지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자가 스토퍼(132)를 놓으면, 가동 지지 다리(131)와 스토퍼(132)의 로킹 갈고리부(131d, 132d)가 서로 결합하게 되어, 가동 지지 다리(131)는 가동 지지 다리(131)가 프레임(100)의 수납부(138)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이동할 수 없도록 고정된다.
이렇게,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는, 기록재 S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 P를 포함하고, 화상 형성부 P를 지지하는 프레임(100)을 포함한다. 이 화상 형성 장치(1)는, 화상 형성 장치(1)의 제1 측면의 하부에 위치된 제1 능선(101)을 따라 적어도 2군데에 설치된 제1 지지 다리(110)(111, 112)를 포함한다. 또한, 이 화상 형성 장치(1)는, 화상 형성 장치(1)의 제1 측면과 대향하는 제2 측면의 하부에 위치된 제2 능선(102)을 따라 설치된 제2 지지 다리(120)를 포함한다. 또한, 이 화상 형성 장치(1)는, 제2 능선(102)을 따라 설치된 제3 지지 다리(131)를 포함한다. 이 제3 지지 다리(131)는, 제2 능선(102)을 따라 제2 지지 다리(120)보다도, 화상 형성 장치(1)의 사용 상태에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1)의 무게 중심 G의 위치가 변화하는 측(부분)에 더 근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이 제3 지지 다리(131)는, 제3 지지 다리(131)가 화상 형성 장치(1)의 설치면 L에 접촉하지 않도록 수납된 제1 위치로부터, 제3 지지 다리(131)가 화상 형성 장치(1)의 설치면 L에 접촉하는 제2 위치까지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는, 제3 지지 다리(131)를 화상 형성 장치(1)의 설치면 L의 높이(레벨)에 따른 제2 위치에 고정 가능한 위치 고정 수단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위치 고정 수단은, 스토퍼(132), 스토퍼 지지축(133), 압축 스프링(134), 고정 부재(135), 가동 지지 다리(131)의 표면에 형성된 로킹 갈고리부(131d) 등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의 제2 측면에서, 광학 장치(300)가 화상 형성 장치(1)에 착탈될 수 있고, 화상 형성 장치(1)의 사용 상태로서의 상태로 광학 장치(300)를 장착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1)의 무게 중심 G의 위치가 변화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광학 장치(300)는, 화상 형성 장치(1)로부터 광학 장치(300)에 공급된 기록재 S의 시트가 적재되는 트레이(301)를 포함한다. 이 경우, 화상 형성 장치(1)의 사용 상태로서의 상태로, 트레이(301)에 적재되는 기록재 S의 양(시트의 매수)에 의해도, 화상 형성 장치(1)의 무게 중심 G의 위치는 변화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의 제1 측면을 따라, 화상이 형성된 기록재 S를 반송하는 반송 경로가 제공되고, 화상 형성 장치(1)는 제1 측면의 적어도 2군데에서 제1 지지 다리(110)(111, 112)에 의해 지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간단하고, 비교적 저렴한 구성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의 설치면의 상태 및 광학 장치의 유무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의 무게 중심 G의 위치의 변화 및 변동에 상관없이, 장치 본체의 프레임의 휨 및 비틀림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2)
다음으로, 실시예 2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기본적인 구성 및 동작은 실시예 1과 같다. 따라서,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한 것과 동일 또는 대응하는 기능 및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는, 도 8의 (a) 및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지지 다리(131)의 위치 검지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에는 위치 검지 수단으로서의 광 검지 수단인 포토 인터럽터(400)가 제공된다. 또한, 가동 지지 다리(131)의 종방향 상측 단부에는, 포토 인터럽터(400)의 검지부를 차광하는 차광 플래그(131e)가 제공된다. 포토 인터럽터(400)는, 가동 지지 다리(131)가 프레임(100)의 수납부(138)의 내부에 수납된 제1 위치에 가동 지지 다리(131)가 위치되는 경우에, 차광 플래그(131e)에 의해 차광되도록 배치되어 있다[도 8의 (a)]. 가동 지지 다리(131)가 설치면에 접촉한 제2 위치에 가동 지지 다리(131)가 위치되는 경우에, 차광 플래그(131e)는 포토 인터럽터(400)를 차광하는 위치에 위치되지 않는다[도 8의 (b)]. 또한, 위치 검지 수단으로서는, 가동 지지 다리(131)가 제1 위치에 있는지 제2 위치에 있는지에 따른 광학적, 기계적 혹은 전기적인 상태의 변화를 검출해서 가동 지지 다리(131)의 위치를 검지하는 임의의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술한 포토 인터럽터 대신에 마이크로 스위치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1)가, 광학 장치가 장착되어 있지 않고, 가동 지지 다리(131)의 지점을 제외한 3개의 지점에서 지지되어 있는 경우에는, 가동 지지 다리(131)는, 포토 인터럽터(400)에 의해, 가동 지지 다리(131)가 프레임(100)의 수납부(138)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것이 검지된 상태가 된다. 이 경우, 화상 형성 장치(1)에, 화상 형성 장치(1)의 상태를 표시 가능한 표시 수단으로서의 조작 패널(11)이 제공되어 있으면, 조작자는 조작 패널(11)로부터 가동 지지 다리(131)의 위치에 따른 정보를 참조 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의 동작을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컨트롤러(도시 생략)가, 포토 인터럽터(400)에 의한 검지 신호로부터 가동 지지 다리(131)의 위치[가동 지지 다리(131)가 제1 위치에 있는지 또는 제2 위치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컨트롤러는, 그 판단 결과에 따라서, 조작 패널(11)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혹은 항상, 조작 패널(11)에 가동 지지 다리(131)의 위치에 따른 정보를 표시시킨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에, 후 배지 처리 장치(300)와 같은 광학 장치가 장치 본체(3)에 장착된 것을 검지하는 장착 검지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장착 검지 수단으로서는, 전술한 위치 검지 수단과 마찬가지로, 광학 장치의 유무에 의한 광학적, 기계적 혹은 전기적인 상태의 변화를 검출해서 광학 장치가 장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임의의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술한 위치 검지 수단과 마찬가지로, 포토 인터럽터, 마이크로 스위치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트롤러는, 예를 들면, 후 배지 처리 장치(300)와 같은 광학 장치의 장착과, 가동 지지 다리(131)의 수납 양자 모두가 검지된 경우에, 다음과 같이 조작 패널(11)에 가동 지지 다리(131)의 위치에 따른 정보를 표시시킬 수 있다. 즉, "후 배지 처리 장치를 제거하고, 스토퍼를 빼 주십시요"와 같은 메시지를 명확하게 표시하여, 지지 구성을 변경하는 적절한 수순을 조작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이렇게,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는, 제3 지지 다리(131)가 제1 위치에 있는 것을 검지 가능한 위치 검지 수단(400)을 포함하고, 제3 지지 다리(131)의 위치에 따른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는 광학 장치(300)가 장착된 것을 검지 가능한 장착 검지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수단은, 장착 검지 수단이 광학 장치(300)의 장착을 검지한 경우, 위치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된 제3 지지 다리(131)의 위치에 따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짐과 함께, 조작자가, 가동 지지 다리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화상 형성 장치의 지지 구성의 변경을 촉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몇몇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거해서 설명했지만,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가동 지지 다리를 프레임에 고정하는 수단으로서, 가동 지지 다리를 나사 등으로 프레임에 체결하는 수단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2개의 제1 지지 다리가 사용되지만,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제1 고정 지지 다리 및 제2 고정 지지 다리 중 어느 한쪽 또는 양방을 복수의 지지 다리로 분할하여, 더 많은 수의 제1 지지 다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도, 분할된 지지 다리 간의 프레임의 휨량이 허용 가능한 정도로 작은 경우에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1개의 제2 지지 다리가 사용되고 있지만,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의 제3 고정 지지 다리를 복수의 지지 다리로 분할하여, 더 많은 수의 제2 지지 다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도, 분할된 지지 다리 간의 프레임의 휨량이 허용 가능한 정도로 작으면,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1개의 제3 지지 다리가 사용되고 있지만, 복수의 제3 지지 다리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도, 복수의 제3 지지 다리 간의 프레임의 휨량이 허용 가능한 정도로 작으면,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3 지지 다리의 사용은 광학 장치가 사용되는 경우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의 제조자는, 일반적인 사용을 위해, 설치면의 요철 등에 의한 프레임의 휨 및 비틀림을 억제하는 것을 중시한 3개의 지점 지지를 추천하면서도, 광학 장치를 장착하지 않은 경우에도 필요에 따라 제3 지지 다리를 이용할 수 있음을 조작자에게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구성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효과는, 화상 형성 장치의 소형화 및 프레임의 경량화를 추진할 만큼 현저하다. 즉, 본 발명은 최근의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한 시장의 요구인 소형화 및 저가격화의 요망에 응하기 위한 기술이라고 말 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구성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상세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는 이하의 청구범위의 범주 또는 개선의 목적 내에서 가능한 모든 변형 또는 변경을 포함하고자 하는 것이다.

Claims (9)

  1. 착탈 가능한 옵션 유닛을 지지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며,
    회전 가능한 감광체를 포함하고, 상기 감광체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기록재에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와,
    상기 화상 형성부를 지지하고, 제1 측면과, 상기 제1 측면에 대향하는 제2 측면을 구비하는 프레임과,
    상기 제2 측면보다 상기 제1 측면에 근접하여 상기 프레임의 바닥면에 제공되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설치되는 설치면과 접촉하여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로서,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를 연결하는 직선이 상기 감광체의 회전 축선에 평행한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와,
    상기 설치면과 접촉하여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제3 지지부로서, 상기 제1 측면보다 상기 제2 측면에 근접하여, 그리고 상기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를 연결하는 직선에 직교하고 상기 옵션 유닛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의 바닥면에 투영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무게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의 근방에 제공되는 제3 지지부와,
    상기 설치면과 접촉하지 않는 높이와 설치면과 접촉하는 높이로 조정 가능한 보조 다리로서, 상기 옵션 유닛이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되기 전의 무게 중심이 상기 제2 측면의 바닥에 수직 방향으로 투영되는 위치가 제1 위치이고, 상기 옵션 유닛이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된 후의 무게 중심이 상기 제2 측면의 바닥에 수직 방향으로 투영되는 위치가 제2 위치일 때, 상기 보조 다리가 상기 제2 측면의 바닥에 수직 방향으로 투영되는 위치는,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를 향한 방향으로, 상기 제3 지지부가 상기 제2 측면의 바닥에 수직 방향으로 투영되는 위치의 하류에 위치되는 보조 다리
    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옵션 유닛이 장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장착 검지 장치와,
    상기 제3 지지부의 설치면에의 접촉을 재촉하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면보다 상기 제1 측면에 근접하여 제공되고, 기록재에 형성된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 장치와,
    상기 제1 측면을 따라, 화상이 형성된 기록재를 반송시키는 반송 경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옵션 유닛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의 무게 중심의 위치는, 상기 제2 측면보다도 상기 제1 측면에 더 가까운 화상 형성 장치.
  4. 옵션 유닛과 연결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이며,
    회전 가능한 감광체를 포함하고, 상기 감광체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기록재에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와,
    상기 화상 형성부를 지지하고, 제1 측면과 상기 제1 측면에 대향하는 제2 측면을 구비하는 프레임과,
    상기 제2 측면보다 상기 제1 측면에 근접하여 상기 프레임의 바닥면에 제공되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설치되는 설치면과 접촉하여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로서,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를 연결하는 직선이 상기 감광체의 회전 축선에 평행한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와,
    상기 설치면과 접촉하여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제3 지지부로서, 상기 제1 측면보다 상기 제2 측면에 근접하여, 그리고 상기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를 연결하는 직선에 직교하고 상기 옵션 유닛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의 바닥면에 투영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무게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의 근방에 제공되는 제3 지지부와,
    상기 설치면과 접촉하지 않는 높이와 설치면과 접촉하는 높이로 조정 가능한 보조 다리가 장착 가능한 장착부로서, 상기 옵션 유닛이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되기 전의 무게 중심이 상기 제2 측면의 바닥에 수직 방향으로 투영되는 위치가 제1 위치이고, 상기 옵션 유닛이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된 후의 무게 중심이 상기 제2 측면의 바닥에 수직 방향으로 투영되는 위치가 제2 위치일 때, 상기 장착부가 상기 제2 측면의 바닥에 수직 방향으로 투영되는 위치는,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를 향한 방향으로, 상기 제3 지지부가 상기 제2 측면의 바닥에 수직 방향으로 투영되는 위치의 하류에 위치되는 장착부
    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1항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옵션 유닛을 연결하는 연결 방법이며,
    상기 옵션 유닛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설치면에 제공된 화상 형성 장치의 상기 보조 다리의 높이를, 상기 보조 다리가 상기 설치면에 접촉하지 않은 높이로 조정하는 제1 스텝과,
    상기 옵션 유닛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설치면에 제공된 화상 형성 장치의 상기 제1 지지부, 제2 지지부 및 제3 지지부가 모두 상기 설치면으로부터 떨어지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보조 다리가 상기 설치면과 접촉하는 높이로 상기 보조 다리의 높이를 조정하는 제2 스텝과,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상기 옵션 유닛을 장착하는 제3 스텝
    을 포함하는 연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다리는 상기 제2 측면의 바닥을 따른 방향으로 상기 제3 지지부로부터 이동된 위치에 제공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다리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바닥면의 모서리에 제공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제2 측면의 바닥을 따른 방향으로 상기 제3 지지부로부터 이동된 위치에 제공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바닥면의 모서리에 제공되는 화상 형성 장치.
KR20120060209A 2011-06-06 2012-06-05 화상 형성 장치 및 연결 방법 KR1015105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26668 2011-06-06
JP2011126668A JP5794676B2 (ja) 2011-06-06 2011-06-06 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5485A KR20120135485A (ko) 2012-12-14
KR101510502B1 true KR101510502B1 (ko) 2015-04-08

Family

ID=47261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60209A KR101510502B1 (ko) 2011-06-06 2012-06-05 화상 형성 장치 및 연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971756B2 (ko)
JP (1) JP5794676B2 (ko)
KR (1) KR101510502B1 (ko)
CN (1) CN10281920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30226B2 (ja) * 2012-11-29 2017-11-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095378B2 (ja) 2013-01-23 2017-03-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4235267A (ja) * 2013-05-31 2014-12-15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6463134B2 (ja) 2015-01-06 2019-01-3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の構造体、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の構造体の製造方法
JP6372462B2 (ja) * 2015-09-30 2018-08-1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中間転写ユニット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6429970B2 (ja) * 2017-10-10 2018-11-2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192494B2 (ja) * 2018-12-28 2022-12-2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268438B2 (ja) * 2019-03-25 2023-05-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
CN110493520B (zh) * 2019-08-20 2022-09-13 北京千寻未来科技有限公司 成像方法、成像装置及电子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0351A (ja) 1999-03-16 2000-11-30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US20090302521A1 (en) 2008-06-09 2009-12-10 Ricoh Company, Limited Image forming apparatus, optional sheet feeder, and base plate membe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4076A (ja) 1998-03-02 1999-09-14 Katsuragawa Electric Co Ltd 機器の台座
JP3937277B2 (ja) 1999-08-10 2007-06-27 リコープリンティング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子写真装置
JP2005077498A (ja) 2003-08-28 2005-03-24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5148171A (ja) 2003-11-12 2005-06-09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JP4402443B2 (ja) 2003-12-09 2010-01-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7293251A (ja) 2006-03-27 2007-11-08 Ricoh Co Ltd 支持脚を有する機器及び画像形成装置
CN101295149B (zh) * 2007-04-24 2011-03-02 京瓷美达株式会社 图像形成装置
JP5676450B2 (ja) * 2008-09-19 2015-02-25 オセ−テクノロジーズ ビーブイ 支持フレームを有するドキュメント取扱装置
JP2010151895A (ja) * 2008-12-24 2010-07-0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0351A (ja) 1999-03-16 2000-11-30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US20090302521A1 (en) 2008-06-09 2009-12-10 Ricoh Company, Limited Image forming apparatus, optional sheet feeder, and base plate me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5485A (ko) 2012-12-14
JP5794676B2 (ja) 2015-10-14
US8971756B2 (en) 2015-03-03
US20120308243A1 (en) 2012-12-06
JP2012252277A (ja) 2012-12-20
CN102819203B (zh) 2016-06-01
CN102819203A (zh) 2012-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0502B1 (ko) 화상 형성 장치 및 연결 방법
US8804213B2 (en) Image reading device including a feeding guide,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994880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5450507B2 (ja) 給紙機構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8876104B2 (en) Sheet feed apparatus, and document convey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5753863B2 (ja)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
US8829374B2 (en) Apparatus
JP5124624B2 (ja) 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20140341611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11637943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2068492A (ja) 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7243226B2 (ja) 定着装置、画像形成装置
JP2014201404A (ja) シート送り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8104760B2 (en) Automatic document transport device, image rea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6240801A (ja) 画像形成装置
JP7211113B2 (ja) 定着装置、画像形成装置
US20240174468A1 (en) Sheet feeding device, image rea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3962754B2 (ja) 画像形成装置
JP6758058B2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685679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3031209A (ja) 駆動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3221957A (ja) 画像形成装置
JP2017203797A (ja) 画像形成装置
JP2017142463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