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8508B1 - 시동 온오프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선택적 전원공급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시동 온오프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선택적 전원공급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8508B1
KR101508508B1 KR20130110711A KR20130110711A KR101508508B1 KR 101508508 B1 KR101508508 B1 KR 101508508B1 KR 20130110711 A KR20130110711 A KR 20130110711A KR 20130110711 A KR20130110711 A KR 20130110711A KR 101508508 B1 KR101508508 B1 KR 101508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ck box
vehicle
power supply
auxiliary battery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0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1139A (ko
Inventor
상 운 이
Original Assignee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30110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8508B1/ko
Publication of KR20150031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1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8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8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동 온오프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선택적 전원공급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블랙박스에 전원을 공급하는데 있어서, 상시 메인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는 상시 전원공급, 차량 시동 온 시 메인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는 ACC 전원공급 및 차량 시동 오프 시 보조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 배터리 전원공급을 포함하는 회로를 제공하여, 상기 ACC 전원공급 패스에 설치되어 있는 릴레이 스위치를 통하여 메인 배터리의 전원이 온 일 때는 릴레이 스위치가 ACC 전원공급 패스로 스위칭되어 메인 배터리를 통해 블랙박스에 전원이 공급되고, ACC 전원이 오프 일 때는 릴레이 스위치가 보조 배터리 전원공급 패스로 스위칭되어 보조 배터리를 통해 블랙박스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되,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수동 혹은 자동으로 온 또는 오프 되는 스위치를 설치함으로써, 차량 시동 오프 시 차량에 설치된 각 블랙박스의 전원을 상황에 따라 사용자가 컨트롤 할 수 있는 장치와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시동 온오프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선택적 전원공급 장치 및 그 방법{A DEVICE FOR SELECTIVELY SUPPLYING ELECTRIC POWERS TO VEHICLE BLACK BOXES BY TURNING ON/OFF THE IGNITION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시동 온오프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선택적 전원공급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블랙박스의 전원 공급에 있어서, 차량의 시동이 켜져 있을 때는 메인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게 하고, 차량의 시동이 꺼져 있을 때는 보조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게 하며 보조 배터리의 전원 공급 패스에 스위치를 설치함으로써,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전방, 후방, 측방 또는 이들의 조합에 설치된 블랙박스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컨트롤 할 수 있고, 또한 블랙박스의 전원이 메인 배터리에서 보조 배터리로 전환될 때 블랙박스가 일시적으로 동작을 멈추지 않도록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전원공급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자동차 산업의 발달과 자동차도로의 끊임없는 개통에 따라 자동차 보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어, 이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교통사고를 포함한 자동차 관련 분쟁이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그리하여 자동차 운행 중 또는 주차 중에 다른 차량 또는 사람과 접촉하거나 충돌하였을 때, 해당 사고의 책임 소재를 가리기 위하여 차량용 블랙박스장치가 개발되었고 최근에는 새로이 출시되는 거의 모든 차량에 블랙박스가 기본으로 설치되는 추세이다.
한편, 일반적인 차량용 블랙박스는 차량의 시거 잭(cigar jack)을 통해 차량의 메인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설치되고 있다. 하지만, 차량의 시동이 꺼지게 되면 상기 시거 잭의 전원도 함께 꺼지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블랙박스가 차량의 시거 잭을 통해 메인 배터리에서 전원을 공급받는 경우에는 주차 시와 같이 차량의 시동이 꺼져있는 시간 동안에는 블랙박스로의 전원공급 또한 중단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차량 운행 시에는 블랙박스에서 카메라 녹화 정보를 포함한 다양한 차량 운행 정보를 수집 및 관리할 수 있지만, 차량 주차 시와 같이 차량의 시동이 꺼져 있을 때는 블랙박스의 정보 수집도 함께 중단되어, 상기 시동이 꺼져 있는 시간동안 발생하는 외부에 의한 차량 손상을 포함한 차량 관련 분쟁에 관한 책임 소재를 밝히기 위해서는 차량 근처에 설치되어 있는 CCTV나 목격자의 진술에 의존하는 수밖에 다른 방법이 없었다.
상기와 같은 차량 시동 오프 시 블랙박스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블랙박스를 차량의 시거 잭에 연결하지 않고 메인 배터리에 직접 연결함으로써 차량의 시동을 끄더라도 블랙박스에 전원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하여 블랙박스가 계속 차량 주위의 정보 수집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최근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이 경우에도 일정 부분의 전압이 드롭되는 경우 방전 방지회로를 동작시켜 메인 배터리를 블랙박스와 차단하여 자동차 시동을 위한 최소한의 배터리 용량을 보호하기 때문에 장시간 메인 배터리의 전원을 사용하여 블랙박스를 가동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차량 시동 오프 시 충전이 되고 있지 않은 메인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하여 블랙박스를 작동시키기 때문에, 차량의 배터리가 빈번하게 충전과 방전을 되풀이함으로써, 배터리의 수명이 줄어들어 메인 배터리 자체를 교체해야 하는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도 있었다.
더불어, 차량에 블랙박스를 적용하던 초기에는 차량의 전방에만 설치되었던 블랙박스가 최근에 이르러서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도 설치되는 등 한 차량 내에 수개의 블랙박스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블랙박스 외에도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전자 기기에 의해 배터리의 전력소모가 과거에 비해 더욱 많아지고 있다. 그리하여 사용자는 상기와 같이 배터리가 방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블랙박스용 예비(보조) 배터리를 차량 내에 항시 휴대하거나 배터리 잔량 측정 장치를 통해 일정 수준 이하로 배터리의 잔량이 내려가면 강제로 블랙박스의 전원을 차단하는 수밖에는 방법이 없는 실정이었다.
상기와 같은 실정에 따라, 본 발명은 차량의 시동이 켜져 있을 때와 시동이 꺼져 있을 때의 블랙박스 전원 공급 소스를 달리하여 주차 시와 같이 차량의 시동이 꺼져 있을 때에도 배터리가 방전되는 문제없이 블랙박스에 전원을 공급 할 수 있고, 상황에 따라 차량 내 설치되어 있는 각각의 블랙박스의 전원 공급을 컨트롤하여 필요 없는 전력 소모를 최소화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블랙박스 전원공급을 조절할 수 있는 차량용 블랙박스 전원공급 장치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블랙박스에 전원을 공급하는데 있어서, 상시 메인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는 상시 전원공급, 차량 시동 온(On) 시 메인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는 액세서리 전원(ACC: accessory, 이하 ACC 전원이라고 함)공급 및 차량 시동 오프(Off) 시 보조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 배터리 전원공급을 포함하는 시동 온오프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선택적 전원공급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차량 시동의 온오프에 따라 메인 배터리 또는 보조 배터리를 통해 차량 내 블랙박스에 전원을 공급하는데 있어서, 상기 ACC 전원공급 패스에 설치되어 있는 릴레이 스위치를 통하여 메인 배터리의 전원이 온 일 때는 릴레이 스위치가 ACC 전원공급 패스로 스위칭되어 메인 배터리를 통해 블랙박스에 전원이 공급되고, ACC 전원이 오프 일 때는 릴레이 스위치가 보조 배터리 전원공급 패스로 스위칭되어 보조 배터리를 통해 블랙박스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시동 온오프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선택적 전원공급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보조 배터리를 통해 차량 내 블랙박스에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 배터리로 전원을 공급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수동 혹은 자동으로 온 또는 오프 되는 스위치를 설치함으로써, 차량 시동 오프 시 차량 내 각 블랙박스의 전원을 상황에 따라 사용자가 컨트롤할 수 있는 시동 온오프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선택적 전원공급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시동 온 시에 제너레이터(generator)를 통해 상기 보조 배터리가 충전되게 함으로써, 차량 시동 오프 시 상기 차량 내 블랙박스에 전원을 공급할 때에 보조 배터리가 충전완료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상기 블랙박스로 전원을 공급하게 할 수 있는 시동 온오프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선택적 전원공급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차량의 시동이 온오프 될 때, 차량에 설치된 블랙박스에 전원이 일시적으로 끊겼다가 공급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시 전원으로부터 보조 배터리로 전원 절체(이하 스위칭이라고도 함)가 일어날 때 블랙박스에 전원 공급의 일시적 단절이 없도록 하여, 블랙박스의 고장이나 녹화되는 영상의 끊김이 없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이후에도, 원격에서 차량의 블랙박스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지 모니터링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언제 어디서나 차량에 설치된 블랙박스의 전원을 절체하여 블랙박스의 동작여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동 온오프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선택적 전원공급 장치는, 차량의 시동이 꺼져 있는 상태일 때 보조 배터리에서 차량용 블랙박스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배터리 전원공급 온오프 스위치; 차량의 시동이 켜져 있는 상태일 때는 메인 배터리에서 차량용 블랙박스에 전원을 공급하고, 차량의 시동이 꺼져 있는 상태일 때는 보조 배터리에서 차량용 블랙박스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 공급 패스를 절체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릴레이 스위치; 및 상기 절체가 일어날 때 블랙박스에 전원공급의 일시적 단절이 없도록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랙박스 멈춤 방지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치는, 스위칭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가 수동으로 혹은 스마트 단말에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배터리 전원공급 온오프 스위치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위칭 컨트롤러는, 마이크로프로세서, CPU, FPGA 또는 ASI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어부; 유선, 무선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에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통신할 수 있는 통신 인터페이스; 및 버튼,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또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가 보조 배터리 전원공급 온오프 스위치 제어 및 설정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블랙박스 멈춤 방지 스위치는, 시동 오프 시에도 메인 배터리에서 블랙박스로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시간 동안 전원 공급을 유지하도록 하여, 차량의 시동이 온에서 오프로 전환될 때 블랙박스로 전원 공급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공급 온오프 스위치는, 각 보조 배터리 전원공급 패스에 설치되어 각 블랙박스에 보조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고, 상기 시동 온오프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선택적 전원공급 장치는, 차량 시동 온 시 보조 배터리 충전 패스를 통해 보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보조 배터리 충전 패스는, 전류의 역류를 방지하는 다이오드; 충전 공급전압을 높이기 위한 승압기 회로; 및 필요 이상으로 보조 배터리가 충전되거나 보조배터리의 전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과충전 및 역류 방지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시동 온오프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선택적 전원공급 방법은, 차량 시동 온 시 메인 배터리 전원이 릴레이 스위치를 통해서 블랙박스로 공급되는 제1 단계; 차량 시동 오프 시 보조 배터리 전원이 릴레이 스위치를 통해서 블랙박스로 공급되는 제2 단계; 차량 시동 오프 시 미리 정해진 일정 시간동안 메인 배터리와 보조 배터리 전원이 동시에 블랙박스로 공급되는 제3 단계; 및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복수의 블랙박스 중에서 선택적으로 보조 배터리 전원 공급을 스위칭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3 단계는, 시동 오프 시에도 메인 배터리에서 블랙박스로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시간 동안 전원 공급을 유지하도록 하여, 차량의 시동이 온에서 오프로 전환될 때 블랙박스로 전원 공급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4 단계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혹은 스마트 단말에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배터리 전원공급 온오프 스위치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한 스위칭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시동 온오프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선택적 전원공급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블랙박스에 전원을 공급하는데 있어서, 상시 메인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는 상시 전원공급, 차량 시동 온 시 메인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는 ACC 전원공급 및 차량 시동 오프 시 보조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 배터리 전원공급을 포함하는 회로를 제공하여, 상기 ACC 전원공급 패스에 설치되어 있는 릴레이 스위치를 통하여 메인 배터리의 전원이 온 일 때는 릴레이 스위치가 ACC 전원공급 패스로 스위칭되어 메인 배터리를 통해 블랙박스에 전원이 공급되고, ACC 전원이 오프 일 때는 릴레이 스위치가 보조 배터리 전원공급 패스로 스위칭되어 보조 배터리를 통해 블랙박스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되,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수동 혹은 자동으로 온 또는 오프 되는 스위치를 설치함으로써, 차량 시동 오프 시 차량에 설치된 각 블랙박스의 전원을 상황에 따라 사용자가 컨트롤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의 시동이 온오프 될 때, 차량에 설치된 블랙박스에 전원이 일시적으로 끊겼다가 공급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시 전원으로부터 보조 배터리로 전원 절체가 일어날 때 블랙박스에 전원 공급의 일시적 단절이 없도록 하여, 블랙박스의 고장이나 녹화되는 영상에 끊김이 없도록 하고,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이후에도, 원격에서 차량의 블랙박스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지 모니터링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언제 어디서나 차량에 설치된 블랙박스의 전원을 절체하여 블랙박스의 동작여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동 온오프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선택적 전원공급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동 온오프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선택적 전원공급 장치의 구성 및 시동 온오프 시 작동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동 온오프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선택적 전원공급 장치의 시동 온오프 사이의 블랙박스 멈춤 방지 시스템 및 자동 스위치 제어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동 온오프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선택적 전원공급 장치의 스위칭 컨트롤러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동 온오프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선택적 전원공급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동 온오프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선택적 전원공급 장치 및 그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동 온오프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선택적 전원공급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동 온오프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선택적 전원공급 장치(100)(SPS : Selective Power Supply)는 차량 시동 온오프에 따라 메인 배터리(200) 혹은 보조 배터리(300)로 블랙박스 전원 공급을 스위칭하는 장치로서, 차량 시동장치(600)를 통해 차량 시동을 온(On) 시키면 본 발명의 차량용 블랙박스의 선택적 전원공급 장치(100)는 블랙박스 전원 공급을 메인 배터리(200)로 스위칭하여 메인 배터리(200)에서 블랙박스(400)로 전원을 공급하게 되고, 시동 오프(Off) 시에는 상기 본 발명의 차량용 블랙박스의 선택적 전원공급 장치(100)는 블랙박스 전원 공급을 보조 배터리(300)로 스위칭하여 보조 배터리(300)에서 블랙박스(400)로 전원을 공급하게 한다. 또한 상기 차량 시동장치(600)를 통해 차량 시동을 온 시키면 차량의 제너레이터(500)(generator)가 함께 온(On)되어 메인 배터리(200)를 충전하며 동시에 보조 배터리(300)도 충전하게 된다.
참고로 차량 시동은 일반적으로 오프(Off) 상태, ACC 상태, 온(ON) 상태로 나누어진다. 상기 오프 상태에서는 메인 배터리(200)는 아이솔레이션(Isolation) 상태로 차량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고, 상기 ACC 상태에서는 메인 배터리(200)로부터 차량 내부 및 외부에 전원만을 공급하고 차량의 제너레이터(500)가 작동되지 않는 상태로서 배터리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상기 온 상태에서는 엔진이 작동하고 메인 배터리(200)로부터 차량에 ACC 전원을 공급하며 제너레이터(500)가 작동되어 메인 배터리(200) 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하 ACC 전원공급이라 함은 상기 시동 ACC 상태에서의 전원공급이 아니라 시동 온 상태에서의 메인 배터리(200)로부터의 전원공급을 말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시동 온오프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선택적 전원공급 장치(100)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 도 2 및 도 3을 통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동 온오프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선택적 전원공급 장치의 구성 및 시동 온오프 시 작동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도 2a는 차량 시동 온(On) 시 회로 동작 상태이고, 도 2b는 차량 시동 오프(Off) 시 회로 동작 상태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동 온오프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선택적 전원공급 장치(100)는 시동 온오프(On or Off)와 상관없이 항상 블랙박스에 전원을 공급하는 상시 전원공급 패스(110), 시동 온(ON)일 때만 블랙박스에 전원을 공급하는 ACC 전원공급 패스(120), 시동 오프(Off)일 때만 블랙박스에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 배터리 전원공급 패스(130) 및 시동 온오프에 따라 상기 ACC 전원공급 패스 또는 보조 배터리 전원공급 패스로 스위칭 시켜주는 릴레이 스위치(1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시 전원공급 패스(110)는 시동 온오프와는 상관없이 블랙박스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차량 시동 오프 시 장시간 블랙박스에 전원을 공급하여 배터리가 시동이 걸리지 않을 정도로 방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전 방지 회로(111)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방전 방지 회로(111)는 차량 시동에 필요한 배터리의 전압을 고려하여 방전방지전압을 설정해놓을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12V(volt) 정도로 방전방지전압이 설정되어 있다. 상기 방전 방지 회로(111)는 메인 배터리(200)의 전압을 체크하여 상기 설정한 방전방지전압과 비교기를 통해 비교하여 메인 배터리(200)의 전압이 상기 방전방지전압과 같거나 낮으면 스위치를 열어 상기 상시 전원공급 패스(110)를 차단하게 되는 방법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ACC 전원공급 패스(120)는 차량 시동 온(On) 시에만 블랙박스에 전원을 공급하고, 차량 시동 오프(Off)일 때 사용되는 보조 배터리(300)의 충전을 수행한다. 상기 보조 배터리 충전은 DC-DC 승압회로(121)를 이용하여 충전공급 전압을 높이며, 과충전/역류 방지회로(122)를 이용하여 필요 이상으로 보조 배터리(300)가 충전되거나 전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더불어 상기 과충전/역류 방지회로(122) 이외에도 보조 배터리(300)의 전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이오드(123)(Diode)가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공급 패스(130)는 차량 시동 오프(Off) 시에만 블랙박스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각 블랙박스의 수만큼 전원공급 회로를 구성할 수 있고, 또한 상기 각 블랙박스 별 보조 배터리 전원공급 온오프 스위치(131)를 설치함으로써, 상황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블랙박스의 전원을 온오프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 시에 후방 및 측방이 주차장 벽으로 가로막혀 있어 딱히 블랙박스를 통해 후방 및 측방 상황정보를 수집할 필요가 없을 시에는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공급 온오프 스위치(131)를 제어하여, 전방 블랙박스에만 전원을 공급하여 상황정보를 수집하게 하고, 후방 및 측방 블랙박스는 전원공급을 차단하여 보조 배터리(300)의 전력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릴레이 스위치(140)는 차량 시동 온오프에 따라 상기 ACC 전원공급 패스(120) 또는 보조 배터리 전원공급 패스(130)를 통해 블랙박스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스위칭하는 것으로, 상기 ACC 전원공급 패스(120)에 전원이 들어오지 않은 상태에는 상기 릴레이 스위치(140)가 보조 배터리 전원공급 패스(130)로 닫히고, ACC 전원공급 패스(120)에 전원이 들어오게 되면 릴레이 스위치(140)가 ACC 전원공급 패스(120)로 닫히게 함으로써, 시동 온 시에는 ACC 전원공급 회로를 통해 메인 배터리(200)에서 블랙박스에 전원을 공급하고, 시동 오프 시에는 보조 배터리 전원공급 패스를 통해 보조 배터리에서 블랙박스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차량 시동 온오프에 따른 본 발명의 차량용 블랙박스의 선택적 전원공급 장치(100)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차량 시동 온(On) 시에는 메인 배터리(200)로부터 ACC 전원이 공급되므로 전방블랙박스2(420) 및 후방블랙박스(430)에 연결되어 있는 릴레이 스위치(140)가 상기 ACC 전원공급 패스(120)로 닫히게 되고, 상기 메인 배터리(200)는 상기와 같이 릴레이 스위치(140)를 통해 전방블랙박스2(420)와 후방블랙박스(430)에 연결된 ACC 전원공급 패스(120)를 이용하여 상기 전방블랙박스2(420) 및 후방블랙박스(43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즉, 시동 온 시에는 모든 블랙박스에 메인 배터리(200)가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차량 시동 온(On) 시에는 상기 ACC 전원을 통해 상기 보조 배터리(300)가 충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메인 배터리(200)의 ACC 전원을 통해 보조 배터리(300)를 충전할 때에 전류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DC-DC 승압회로(121) 전후에 다이오드(123)(Diode)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2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차량 시동 오프(Off) 시에는 메인 배터리(200)로부터 ACC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상기 전방블랙박스2(420) 및 후방블랙박스(430)에 연결되어 있는 릴레이 스위치(140)가 보조 배터리 전원공급 패스(130)로 닫히게 되고, 차량 시동 중 충전된 보조 배터리(300)는 상기와 같이 릴레이 스위치(140)를 통해 전방블랙박스2(420)와 후방블랙박스(430)에 연결된 보조 배터리 전원공급 패스(130)를 이용하여 상기 전방블랙박스2(420) 및 후방블랙박스(43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때 각각의 블랙박스에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 배터리 전원공급 패스(130)에는 보조 배터리 전원공급 온오프 스위치(131)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황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블랙박스만 작동시킬 수 있고, 영상녹화 및 상황정보 수집이 필요 없는 블랙박스는 스위치를 열어 전원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시동 오프 시, 보조 배터리 전원공급 패스에 보조 배터리 전원공급 온오프 스위치(131)를 설치하여 선택적으로 각 블랙박스의 전원공급을 설정하게 하는 이유는, 차량 시동 온 시에는 제너레이터(500)(generator)에서 전기를 지속적으로 발생시키기 때문에 모든 블랙박스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에 문제가 없지만, 차량 시동 오프 시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 배터리(300)는 메인 배터리(200)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력 용량이 적고, 또한 제너레이터(500)가 설치되어 있지도 않기 때문에 모든 블랙박스에 장시간 전원을 공급하다 보면 정작 정보 수집이 필요한 블랙박스의 전원 공급시간이 부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릴레이 스위치(140)가 각각의 블랙박스마다 설치되어 있는 이유는, 시동 오프 시에만 선택적으로 블랙박스에 전원공급을 하기 위해서이다. 즉, 모든 블랙박스가 하나의 릴레이 스위치(140)에 연결되어 있는 구조에서는 현재와 같이 보조 배터리 전원공급 온오프 스위치(131)를 오프 시켰을 때, 모든 블랙박스에 전원공급이 중단되게 되는 문제가 있고, 만약 하나의 릴레이 스위치(140)를 사용하고 릴레이 스위치(140)와 블랙박스 사이에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공급 온오프 스위치(131)를 설치한다면 본 발명과 같이 선택적으로 각 블랙박스의 전원공급을 조절할 수 있지만, 차량 시동 온 시에도 스위치의 설정에 따라 블랙박스에 전원공급이 되지 않는 등의 필요 없는 결과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보조 배터리 전원공급 온오프 스위치(131)는 상기와 같이 기계식 스위치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차량에서 직접 수동으로 온오프 시킬 수도 있고, 전자식 스위치를 사용하여 원격지에서 스마트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앱)을 통해 자동으로 온오프 시킬 수도 있다. 상기 전자식 스위치를 사용하여 원격지에서 스마트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자동으로 스위치를 제어하는 것은 아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공급 온오프 스위치(131)는 기본적으로 오프되어 열려있는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공급 온오프 스위치가 기본적으로 닫혀 있는 상태라면, 차량 시동이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전환될 때, 블랙박스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되었다가 바로 다시 자동으로 전원을 공급받게 되고, 이렇게 되면 블랙박스의 하드디스크가 정상적으로 파킹되기도 전에 다시 재부팅되어 고장의 원인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참고로, 종래의 선행기술에는 시동 오프 시 블랙박스에 보조 배터리(300)를 사용하여 전원을 공급하고 보조 배터리(300)의 전력을 전부 소모하고 난 뒤, 스위치를 통해 메인 배터리(200)의 전원을 이어서 공급하거나 혹은 메인 배터리(200)의 방전 우려하여 그냥 블랙박스의 전원공급을 중단할 수 있는 기술이 존재하나, 본 발명은 보조 배터리(300)의 용량을 두 개의 보조 배터리를 병렬로 연결하여 보조 배터리 자체 전원공급 시간을 충분히 확보하고, 더불어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공급 온/오프 스위치를 통해 필요한 만큼만 보조 배터리를 사용함으로써, 차량 시동 오프 시 메인 배터리(200)의 사용 없이도 안정적으로 블랙박스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동 온오프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선택적 전원공급 장치의 시동 온오프 사이의 블랙박스 멈춤 방지 시스템 및 자동 스위치 제어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서 차량 시동 온 시에 메인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던 블랙박스는 차량 시동이 오프되면 보조 배터리(3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하지만 이때 블랙박스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바뀌는 순간에 잠시 동안 블랙박스가 전원을 공급받지 못하는 시간이 발생하게 된다. 즉, 상기 릴레이스위치가 ACC 전원공급 패스(120)에서 보조 배터리 전원공급 패스(130)로 스위칭 되는 순간에 블랙박스로의 전원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블랙박스가 전원공급이 중단되었다가 다시 전원을 공급받게 되면 블랙박스가 재부팅되는 시간동안 영상 녹화가 중단되는 시간이 발생하게 되고 이때 사고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블랙박스로부터 사고 상황에 대한 어떠한 정보도 얻지 못하게 된다. 또한 블랙박스의 저장장치로 사용되는 후레쉬메모리 혹은 하드디스크는 전원에 매우 민감한 구조이기 때문에 잦은 강제 전원차단과 재부팅은 블랙박스 고장의 원인이 될 수도 있으며 수명을 단축시키는 요인으로 작용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동 온오프 사이의 블랙박스 멈춤 방지 스위치(112)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차량 시동 온오프 사이에 블랙박스가 전원이 차단되었다가 재부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메인 배터리(200)는 모든 블랙박스에 상시 전원공급을 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때 차량 시동이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상시 전원공급 패스(110)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가 일정 시간동안 닫혀있는 채로 유지하면서 블랙박스에 전원을 지속적으로 공급하고 있다가 일정시간이 지난 후 저절로 스위치가 열려 메인 배터리(200)로부터의 전원공급을 차단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사용자가 차량 시동 오프 후에 블랙박스의 녹화를 지속하려고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공급 스위치를 온 시킨 후에 상기 시동 온오프 사이의 블랙박스 멈춤 방지 스위치(112)가 열리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결국 블랙박스는 시동 온오프에 따른 멈춤 또는 재부팅 없이 지속적으로 상황정보를 녹화 및 저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랙박스 멈춤 방지 스위치(112)와 보조 배터리 전원공급 온오프 스위치(131)은 스위칭 컨트롤러(switching controller)(150)에서 제어하게 된다. 즉, 스위칭 컨트롤러(150)는 상기 블랙박스 멈춤 방지 스위치(112)가 시동 오프 후 일정시간이 지나고 난 뒤 오프되어 자동으로 열리게 되는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사용자는 상기 스위칭 컨트롤러(150)를 통해 상기 블랙박스 멈춤 방지 스위치(112)가 자동으로 오프되는 시간을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칭 컨트롤러(150)를 통해 사용자가 원격지에서 자동으로 보조 배터리 전원공급 온오프 스위치(131)를 온오프 시킬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칭 컨트롤러(150)는 통신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구조로서,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에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앱)을 통해 언제 어디서든 사용자의 간편한 조작만으로 제어가 가능하다. 즉, 사용자는 차량 주차 후 원격지에서도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각각의 블랙박스를 개별적으로 작동시키거나 끌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스위칭 컨트롤러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 도 4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동 온오프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선택적 전원공급 장치의 스위칭 컨트롤러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칭 컨트롤러(150)는 상기 블랙박스 멈춤 방지 스위치(112)가 자동으로 오프되어 열리는 시간을 설정 및 제어할 수 있고, 스마트 단말에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보조 배터리 전원공급 온오프 스위치(131)를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서, 제어부(151), 통신 I/F(152), 사용자 I/F(153), 전원부(15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151)는 통신 I/F(152) 및 사용자 I/F(153)에서 전송받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보조 배터리 전원공급 온오프 스위치(131) 및 블랙박스 멈춤 방지 스위치(112)를 제어하는 중앙 처리장치로서, 마이크로프로세서, CPU, FPGA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C)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통신 I/F(152)는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통신(NFC)을 포함한 유무선 통신망과 연결되어 있고, 사용자가 상기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스마트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통신 I/F(152)에 접속하여 보조 배터리 전원공급 온오프 스위치(131)의 온오프를 제어하거나, 블랙박스 멈춤 방지 스위치의 자동 오프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통신 I/F(153)에 입력한 제어 및 설정 신호는 상기 제어부(151)로 전송되어 처리되게 된다.
또한 상기 사용자 I/F(153)는 차량에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공급 온오프 스위치 및 블랙박스 멈춤 스위치를 제어하거나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LCD 창을 통해 제어 및 설정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 할 수도 있고, 버튼(button)만으로도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 I/F(153)에 입력한 제어 및 설정 신호는 상기 제어부(151)로 전송되어 처리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전원부(154)는 스위칭 컨트롤러(150), 보조 배터리 전원공급 온오프 스위치(131), 블랙박스 멈춤 방지 스위치(112)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스위치들과 스위칭 컨트롤러는 3V에서 5V의 비교적 적은 전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만약 메인 배터리(200) 또는 보조 배터리(300)에서 전원을 공급받으려면 별도의 감압회로 등과 같은 구성요소가 추가되어야 하고, 또한 큰 전력을 소비하지도 않기 때문에 상기 메인 배터리(200) 또는 보조 배터리(300)의 전원을 사용하는 형태보다는 스위칭 컨트롤러 내부에 별도의 소형 배터리를 내장하고 있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동 온오프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선택적 전원공급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동 온오프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선택적 전원공급 방법은, 차량의 시동이 켜져 있는 동안에는 메인 배터리(200)의 ACC 전원이 각 블랙박스마다 연결되어 있는 릴레이 스위치(140)에 공급되고(S101), 릴레이 스위치(140)가 온(On)상태가 되어 ACC 전원공급 패스(120)와 블랙박스를 연결시킨다(S102). 그 후 블랙박스는 상기 연결된 ACC 전원공급 회로를 통해 메인 배터리(200)에서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S103). 이렇게 시동이 온(On)인 상태에서 차량의 시동을 오프(Off)시키면 상기 메인 배터리(200)의 ACC 전원이 상기 릴레이 스위치(140)에 공급되지 않게 되고(S104), 릴레이 스위치(140)는 오프(Off)상태가 되어 보조 배터리 전원공급 패스(130)와 블랙박스를 연결시킨다(S105). 이때 상시 전원공급 패스(110) 상에 설치되어 있는 블랙박스 멈춤 방지 스위치(112)는 일정 시간동안 닫혀있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메인 배터리(200)로부터 블랙박스에 전원을 공급하여 블랙박스가 꺼지지 않도록 한다(S106). 그 후 각각의 블랙박스마다 설치되어 있는 보조 배터리 전원공급 패스(130) 상에 설치되어 있는 보조 배터리 전원공급 온오프 스위치(131)를 상황에 따라 사용자가 수동 또는 원격지에서 스마트 단말의 앱을 통해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고(S107),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공급 온오프 스위치(131)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블랙박스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황정보를 수집할 수 있게 한다(S108).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시동 온오프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선택적 전원공급 장치(SPS)
110 : 상시 전원공급 패스 111 : 방전 방지 회로
112 : 블랙박스 멈춤 방지 스위치 120 : ACC 전원공급 패스
121 : DC-DC 승압회로 122 : 과충전/역류 방지회로
123 : 다이오드 130 : 보조 배터리 전원공급 패스
131 : 보조 배터리 전원공급 온오프 스위치
140 : 릴레이 스위치 150 : 스위칭 컨트롤러
151 : 제어부 152 : 통신 I/F
153 : 사용자 I/F 154 : 전원부
200 : 메인 배터 300 : 보조 배터리
400 : 블랙박TM 410 : 전방블랙박스1
420 : 전방블랙박스2 430 : 후방블랙박스
500 : 제너레이터 600 : 시동장치

Claims (13)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량용 블랙박스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시동이 꺼져 있는 상태일 때 보조 배터리에서 차량용 블랙박스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배터리 전원공급 온오프 스위치;
    차량의 시동이 켜져 있는 상태일 때는 메인 배터리에서 차량용 블랙박스에 전원을 공급하고, 차량의 시동이 꺼져 있는 상태일 때는 보조 배터리에서 차량용 블랙박스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 공급 패스를 스위칭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릴레이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칭이 일어날 때 블랙박스에 전원공급의 일시적 단절이 없도록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랙박스 멈춤 방지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온오프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선택적 전원공급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스위칭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가 수동으로 혹은 스마트 단말에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배터리 전원공급 온오프 스위치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온오프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선택적 전원공급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컨트롤러는,
    마이크로프로세서, CPU, FPGA 또는 ASI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어부;
    유선, 무선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에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통신할 수 있는 통신 인터페이스; 및
    버튼,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또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가 보조 배터리 전원공급 온오프 스위치 제어 및 설정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온오프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선택적 전원공급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랙박스 멈춤 방지 스위치는,
    시동 오프 시에도 메인 배터리에서 블랙박스로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시간 동안 전원 공급을 유지하도록 하여, 차량의 시동이 온에서 오프로 전환될 때 블랙박스로 전원 공급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온오프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선택적 전원공급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배터리 전원공급 온오프 스위치는,
    각 보조 배터리 전원공급 패스에 설치되어 각 블랙박스에 보조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온오프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선택적 전원공급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동 온오프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선택적 전원공급 장치는,
    차량 시동 온 시 보조 배터리 충전 패스를 통해 보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온오프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선택적 전원공급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배터리 충전 패스는,
    전류의 역류를 방지하는 다이오드;
    충전 공급전압을 높이기 위한 승압기 회로; 및
    필요 이상으로 보조 배터리가 충전되거나 보조배터리의 전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과충전 및 역류 방지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온오프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선택적 전원공급 장치.
  8.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량용 블랙박스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방법에 있어서,
    차량 시동 온 시 메인 배터리 전원이 릴레이 스위치를 통해서 블랙박스로 공급되는 제1 단계;
    차량 시동 오프 시 보조 배터리 전원이 릴레이 스위치를 통해서 블랙박스로 공급되는 제2 단계;
    차량 시동 오프 시 미리 정해진 일정 시간 동안 메인 배터리와 보조 배터리 전원이 동시에 블랙박스로 공급되는 제3 단계; 및
    상기 미리 정해진 일정 시간 내에 복수의 블랙박스 중에서 선택적으로 보조 배터리 전원 공급을 스위칭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온오프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선택적 전원공급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시동 오프 시에도 메인 배터리에서 블랙박스로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시간 동안 전원 공급을 유지하도록 하여, 차량의 시동이 온에서 오프로 전환될 때 블랙박스로 전원 공급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온오프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선택적 전원공급 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혹은 스마트 단말에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배터리 전원공급 온오프 스위치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한 스위칭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온오프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선택적 전원공급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컨트롤러는,
    마이크로프로세서, CPU, FPGA 또는 ASI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어부;
    유선, 무선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에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통신할 수 있는 통신 인터페이스; 및
    버튼,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또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가 보조 배터리 전원공급 온오프 스위치 제어 및 설정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온오프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선택적 전원공급 방법.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차량 시동 온 시 보조 배터리 충전 패스를 통해 보조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온오프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선택적 전원공급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배터리 충전 패스는,
    전류의 역류를 방지하는 다이오드;
    충전 공급전압을 높이기 위한 승압기 회로; 및
    필요 이상으로 보조 배터리가 충전되거나 보조배터리의 전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과충전 및 역류 방지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온오프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선택적 전원공급 방법.
KR20130110711A 2013-09-13 2013-09-13 시동 온오프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선택적 전원공급 장치 및 그 방법 KR101508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0711A KR101508508B1 (ko) 2013-09-13 2013-09-13 시동 온오프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선택적 전원공급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0711A KR101508508B1 (ko) 2013-09-13 2013-09-13 시동 온오프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선택적 전원공급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1139A KR20150031139A (ko) 2015-03-23
KR101508508B1 true KR101508508B1 (ko) 2015-04-07

Family

ID=53024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0711A KR101508508B1 (ko) 2013-09-13 2013-09-13 시동 온오프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선택적 전원공급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85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2932A (ko) 2021-11-01 2023-05-09 (주)지피아이코리아 차량용 블랙박스의 전원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원제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3666B1 (ko) * 2015-12-16 2017-03-08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차량 전원 관리 장치
KR102470995B1 (ko) * 2016-03-23 2022-11-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전원 관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686421B1 (ko) * 2016-07-27 2016-12-14 주식회사 아노마테크닉 차량용 배터리 관리 시스템
KR102049964B1 (ko) * 2018-05-28 2019-11-28 주식회사 디젠 후방 카메라와 연동되는 avn 장치
KR102613199B1 (ko) * 2019-04-29 2023-1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7745Y1 (ko) * 1990-09-19 1992-10-17 최장희 전기기기의 예비전원 시스템
JPH09275635A (ja) * 1996-04-04 1997-10-21 Harness Sogo Gijutsu Kenkyusho:Kk 電力分配システム
JP2003226207A (ja) 2002-02-06 2003-08-12 Yazaki Corp 車両用電源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7745Y1 (ko) * 1990-09-19 1992-10-17 최장희 전기기기의 예비전원 시스템
JPH09275635A (ja) * 1996-04-04 1997-10-21 Harness Sogo Gijutsu Kenkyusho:Kk 電力分配システム
JP2003226207A (ja) 2002-02-06 2003-08-12 Yazaki Corp 車両用電源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2932A (ko) 2021-11-01 2023-05-09 (주)지피아이코리아 차량용 블랙박스의 전원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원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1139A (ko) 2015-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8508B1 (ko) 시동 온오프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선택적 전원공급 장치 및 그 방법
US7362005B2 (en) Isolated dual battery system
US812518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ybrid vehicle auxiliary battery state of charge control
CA2568875C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al energy switching and control in a vehicle
KR101315645B1 (ko) 듀얼 배터리 제어시스템 및 방법
KR101776310B1 (ko) 차량의 고객 인도 전후 모드 자동 실행 장치 및 방법
KR100970439B1 (ko) 무인감시 기능이 있는 차량용 영상 기록 장치
CN109661330B (zh) 车辆用蓄电装置
JP2008101590A (ja) 電源装置
US7129598B2 (en) Safety switch for preventing an unintentional vehicle battery discharge
KR101026557B1 (ko) 차량의 배터리 방전 지연장치 및 그 방법
CN110356345B (zh) 远程监控蓄电池状况及控制其供电的方法、装置及系统
JP2010023727A (ja) 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装置
KR20110001689A (ko) 부하의 암전류 제어 장치 및 부하의 암전류 제어 방법
KR20070016385A (ko) 암전류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46046B1 (ko) 전동카트의 배터리 방전 방지장치 및 방법
CN210309937U (zh) 车载供电控制系统和电动车
CN111347878B (zh) 车辆启动的控制方法和装置
KR101492161B1 (ko) 차량용 보조배터리 충전시스템 및 방법
KR100950950B1 (ko) 자동차 배터리 자동 충전 장치
KR101257024B1 (ko) 사용자 조작 전원 스위치를 구비한 상시 전원 공급 장치
KR200457403Y1 (ko) 카 오디오 리부팅 방지 장치
KR100940241B1 (ko) 차량 액세서리에 전원 공급을 유지하기 위한 장치
JP2000326804A (ja) 車載通信器の電源制御装置
KR20100102244A (ko) 차량용 휴대단말기기의 전원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