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5645B1 - 듀얼 배터리 제어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듀얼 배터리 제어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5645B1
KR101315645B1 KR1020130042000A KR20130042000A KR101315645B1 KR 101315645 B1 KR101315645 B1 KR 101315645B1 KR 1020130042000 A KR1020130042000 A KR 1020130042000A KR 20130042000 A KR20130042000 A KR 20130042000A KR 101315645 B1 KR101315645 B1 KR 101315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auxiliary
power
main
auxiliary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2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완철
윤낙준
김환수
최연식
고경군
김희중
Original Assignee
세방전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방전지(주) filed Critical 세방전지(주)
Priority to KR1020130042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56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H02J7/1469Regulation of the charging current or voltage otherwise than by variation of field
    • H02J7/1492Regulation of the charging current or voltage otherwise than by variation of field by means of controlling devices between the generator output and the batte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H02J7/16Regulation of the charging current or voltage by variation of field
    • H02J7/18Regulation of the charging current or voltage by variation of field due to variation of ohmic resistance in field circuit, using resistance switching in or out of circuit step by ste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92Energy efficient charging or discharging system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 배터리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배터리와 보조배터리를 구비한 듀얼 배터리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주행 및 주차상태에서 따라서 자동차의 부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듀얼 배터리의 제어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듀얼 배터리 제어시스템 및 방법{Dual battery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듀얼 배터리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배터리와 보조배터리를 구비한 듀얼 배터리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주행 및 주차상태에서 따라서 자동차의 부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듀얼 배터리의 제어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시동시에는 배터리 전압을 이용하게 되고 자동차의 실내 램프등이나 계기류, 에어컨장치와 같은 전기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배터리와 발전기가 장착되어 있다.
즉, 자동차의 배터리는 시동을 걸 때 스타터 모터를 회전시켜 엔진을 구동하게 되면 엔진에 팬 밸트로 접속되어 있는 교류발전기가 발전하여 배터리를 충전시키도록 되어 있으나 그 충전하여 사용할수 있는 용량에는 한계가 있어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때때로 배터리가 방전되어 자동차 시동을 걸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곤 하였고, 또한 자동차용 배터리는 지속적으로 충/방전을 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오랜시간 충/방전을 하게 되면 배터리의 용량과 수명이 단축되어 배터리로서의 기능을 발휘할수 없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배터리의 용량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자동차의 본넷을 열어 배터리의 전압을 전압계를 통해 측정해야 하나 실제로 이를 이행하기에는 번거러운 문제점도 있었다.
이와는 별도로, 교통사고시 과실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의 정확한 증거보전이나 주차중인 자동차이 제3자에서 손상을 입을 경우 증거확보를 위해 자동차에 별도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예를 들면 자동차용 비디오 레코딩 장치를 장착할 경우 기존의 배터리의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여 동작시키게 되면 장기간 사용하는데 배터리 용량상 한계점이 있고, 사용과정에서 과방전되어 배터리가 일정전압(11.5V)이하로 되게 되면 자동차의 시동을 걸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주차중인 경우에는 비디오레코딩장치를 가동시킬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특허등록공보 제0436644호(특허등록일 2004.06.09)에서는 자동차에서 필요로 하는 전기에너지를 충분히 공급할수 있도록 메인배터리와 별도로 보조배터리를 장착하여 사용할수 있으며, 메인배터리가 충전완료되면 자동적으로 보조배터리가 충전되도록 하여 배터리 사용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고, 주배터리의 충전전압이 일정전압 이하로 떨어진 경우에는 보조배터리를 이용하여 자동차 시동을 걸수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상기 메인배터리의 방전에 의하여 시동이 걸리지 않으면, 보조배터리를 통하여 시동전원이 공급되는 시간이 장시간 유지되면 보조배터리가 완전 방전될 수 있어 배터리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메인배터리와 보조배터리를 구비한 듀얼 배터리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주행 및 주차상태에서 따라서 자동차의 부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듀얼 배터리의 제어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듀얼 배터리 시스템에서 메인배터리의 방전시에 보조배터리를 이용하여 메인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어 배터리의 방전에 의한 주행불가능 상태를 예방할 수 있는 듀얼 배터리 제어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듀얼 배터리에서 배터리의 완전방전을 방지하여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듀얼 배터리의 제어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배터리의 제어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전원을 출력하는 메인배터리와 보조배터리; 상기 메인배터리와 보조배터리에서 연결되는 전원라인을 통전 또는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보드; 상기 메인배터리와 보조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부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보드는 자동차의 키박스에 인가되는 시동신호에 의하여 온 되어 상기 메인배터리와 보조배터리 및 부하에 연결되는 전원라인을 통전시키는 메인릴레이; 상기 보조배터리에서 출력되는 전원라인을 통전 또는 차단시키는 보조릴레이; 상기 보조배터리의 전압을 감지하는 제1전압센서; 및 상기 제1전압센서의 전압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보조배터리의 전원공급을 차단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전원을 출력하는 메인배터리와 보조배터리; 상기 메인배터리와 보조배터리에서 연결되는 전원라인을 통전 또는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보드; 상기 메인배터리와 보조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부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보드는 자동차의 키박스에 인가되는 시동신호에 의하여 온 되어 상기 메인배터리와 보조배터리 사이의 전원라인을 통전시키는 메인릴레이; 상기 보조배터리에서 상기 부하로 출력되는 전원라인을 통전 또는 차단시키는 보조릴레이; 상기 보조배터리의 전압을 감지하는 제1전압센서; 및 상기 제1전압센서의 전압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보조배터리의 전원공급을 차단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보드는 상기 메인배터리의 방전시에 상기 보조배터리에서 상기 메인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비상신호를 인가하는 시동입력부; 상기 시동입력부의 비상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보조배터리에서 출력된 전원이 상기 메인배터리에 공급되도록 연결되는 전원라인을 통전 및 차단시키는 시동릴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보드는 상기 메인배터리의 전압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압감지신호를 인가하는 제2전압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전압센서 및 제2전압센서의 전압감지신호를 각각 수신하여 상기 보조배터리가 상기 메인배터리를 충전시켜 상기 메인배터리의 시동전압 출력가능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보드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메인배터리의 시동전압 출력가능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동릴레이가 온된 이후부터 시간을 카운팅하여 설정된 시간이 경과 되면 상기 시동릴레이를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메인배터리와 보조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로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듀얼 배터리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자동차가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상기 메인배터리에서 출력된 전원이 부하와 보조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에 공급되는 메인배터리의 전원공급단계; 및 상기 전원공급단계 이후에 자동차의 시동이 꺼지면, 상기 메인배터리의 전원 출력이 차단되고, 상기 보조배터리에서 상기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배터리 출력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메인배터리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전압이하로 떨어져 비상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보조배터리에서 출력된 전원이 상기 메인배터리를 충전시키도록 전원라인을 연결하는 점프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조배터리의 출력단계는 상기 보조배터리에서 상기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배터리 전원공급단계; 상기 보조배터리 전원공급단계에서 상기 보조배터리의 잔여 충전량과 설정레벨을 비교하는 설정레벨판단단계; 및 상기 설정레벨 판단단계에서 상기 보조배터리의 충전량이 설정레벨에 해당되면, 상기 보조배터리에서 부하에 연결되는 전원라인을 차단하는 전원차단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점프단계는 상기 보조배터리에서 메인배터리로 전원을 공급하는 명령어가 포함된 비상신호를 수신하는 비상신호수신단계; 상기 비상신호 수신단계 이후에 상기 보조배터리에서 출력된 전원이 메인배터리에 인가되도록 전원라인을 연결하여 상기 보조배터리에서 메인배터리를 충전시키는 보조배터리의 전원공급단계; 상기 전원공급단계 이후에 상기 보조배터리에서 메인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라인이 연결된 이후에 시간을 카운팅하는 시간카운팅단계; 및 상기 시간카운팅단계에서 카운팅된 시간이 설정된 시간과 일치되면, 상기 보조배터리에서 출력된 전원이 메인배터리로 인가되도록 연결된 전원라인을 차단하는 보조배터리 전원차단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조배터리 전원공급단계에서 상기 보조배터리의 잔여 충전량을 감지하여 설정레벨에 도달되면, 상기 보조배터리에서 상기 메인배터리로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라인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점프단계는 상기 비상신호 수신단계 이후에 상기 메인배터리의 잔여 충전량을 감지하여 상기 보조배터리에 의한 전원공급으로 상기 메인배터리에서 시동전압의 출력 가능여부를 판단하는 시동가능 판단단계; 및 상기 시동가능 판단단계에서 상기 메인배터리의 잔여 충전량을 감지하고, 감지된 잔여 충전량을 통하여 시동가능 또는 시동불가능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상태표시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술하는 바와 같이 메인배터리와 보조배터리를 구비한 듀얼 배터리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주행 및 주차상태에서 따라서 자동차의 부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메인배터리와 보조배터리를 제어할 수 있어 자동차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듀얼 배터리 시스템에서 메인배터리의 방전시에 보조배터리를 이용하여 메인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어 배터리의 방전에 의한 주행불가능 상태를 예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조배터리에서 메인배터리를 충전시키도록 점프된 이후에 보조배터리의 방전시간을 측정하여 보조배터리의 완전 방전을 방지하여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배터리의 제어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배터리의 제어시스템의 상세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배터리 제어방법의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배터리 제어방법에서 보조배터리 출력단계를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배터리 제어방법에서 점프단계를 도시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배터리의 제어시스템의 타 실시예를 도시한 상세 회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배터리의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배터리의 제어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배터리의 제어시스템의 상세 회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배터리 제어시스템은 비상전원 신호를 입력하는 시동입력부(10)와, 충전된 전원을 출력하는 메인배터리(20)와, 상기 메인 배터리의 출력이 오프되면 전원을 출력하는 보조배터리(50)와, 상기 메인배터리(20)와 보조배터리(50)를 제어하는 제어보드(40)와, 상기 제어보드(40)의 제어에 의하여 공급된 전원으로 구동하는 부하(3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배터리(20)는, 예를 들면, 자동차의 시동모터 및 자동차 내의 전기부품에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배터리(20)의 출력 전압은 상기 보조배터리(50)를 충전시키고, 부하(30)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제어보드(40)는 하나의 기판에서 상기 메인배터리(20)와 보조배터리(50) 및 부하(30)간에 연결되는 전원라인을 통전 및 차단하는 회로 및 부품이 집적화된다. 그 세부구성은 상기 보조배터리(50)에서 메인배터리(20)에 전원을 충전시키도록 연결하는 전원라인을 통전시키는 시동릴레이(42)와, 시동신호가 인가되면(자동차에 시동이 걸리면) 상기 메인배터리(20)에서 출력된 전원이 보조배터리(50) 및/또는 부하(30)에 인가되도록 연결되는 전원라인을 통전 및 차단시키는 메인릴레이(43)와, 상기 보조배터리(50)의 출력된 전압이 부하(30)에 인가되도록 연결되는 전원라인을 통전 또는 차단시키는 보조릴레이(46)와, 상기 보조배터리(50)와 메인배터리(20)의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센서(45)와, 상기 보조배터리(50)와 메인배터리(20)의 충전전압을 발광표시하는 표시수단(44)을 포함한다.
상기 시동릴레이(42)는 상기 보조배터리(50)와 메인배터리(20) 사이의 전원을 스위칭하여 통전 및 차단시킨다. 즉, 상기 시동릴레이(42)는 상기 메인배터리(20)가 방전된 경우에 온 되어 상기 보조배터리(50)에서 출력된 전원을 상기 메인배터리(20)에 인가되도록 연결된 전원라인을 통전시킨다. 여기서, 메인배터리(20)가 방전된 경우는 메인배터리의 전압이 완전 방전된 상태가 아니라, 미리 설정된 전압 범위 내에 있어 별도의 전원을 통해 충전이 필요한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메인릴레이(43)는 시동신호가 인가되면 온 되고, 시동오프신호가 인가되면 오프되어 상기 메인배터리(20)에 연결된 전원라인을 통전 및 차단시킨다. 여기서 상기 시동신호 및 시동오프신호는 자동차의 키박스에 자동차키가 삽입되어 회전되면 시동신호가 상기 메인릴레이(43)에 인가되고, 키박스에 자동차키가 인출되면 시동오프신호가 상기 메인릴레이(43)에 인가된다. 즉, 상기 메인릴레이(43)는 상기 자동차키가 시동키박스에 삽입 및/또는 회전되어 시동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메인배터리(20)에서 상기 보조배터리(50) 및 부하(30)에 연결되는 전원라인을 통전가능하도록 온된다. 반대로 상기 메인릴레이(43)는 상기 자동차키가 시동키박스에서 인출되면 오프되어 상기 메인배터리(20)에서 보조배터리(50) 및 부하(30)에 연결되는 전원라인을 차단한다.
상기 전압센서(45)는 상기 보조배터리(5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잔여 충전량(충전전압)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41)에 전압감지신호를 인가하는 제1전압센서(451)와, 상기 메인배터리(20)의 충전전압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41)에 전압감지신호를 인가하는 제2전압센서(452)를 포함한다.
상기 보조릴레이(46)는 메인배터리(20)에서 상기 부하(30)에 연결되는 전원라인에 병렬로 연결되는 보조배터리(50)의 전원라인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릴레이(46)는 상기 보조배터리(50)에서 부하(30)에 연결되는 전원라인에서 온되어 상기 보조배터리(50)에서 부하(3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보조릴레이(46)는 상기 메인배터리(20)에서 공급된 전원에 의하여 보조배터리(50)가 충전되고, 동시에 부하(30)에 공급될 수 있도록 전원라인을 연결한다
즉, 도 2는 상기 보조릴레이(46)가 상기 메인배터리(20)와 상기 부하(30) 사이에 연결되는 전원라인에서 병렬로 연결되는 보조배터리(50)의 전원라인에 연결된다.
상기 보조릴레이(46)는 온으로 디폴트되어 있고, 보조배터리(50)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전압 이하로 떨어지거나, 시동릴레이(42)가 온이 되면 예외적으로 오프된다.
또는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메인배터리(20)에서 공급된 전원이 상기 보조배터리(50)에만 인가되고, 상기 부하(30)의 전원공급장치를 보조배터리(50)에서만 전담할 수 있도록 구성함도 가능하다. 이는 도 6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때, 보조릴레이(46)는 상기 보조배터리(50)와 부하(30) 사이의 전원라인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부하(30)는 상기 보조릴레이가 온되고, 시동이 꺼진 상태라면, 상기 보조배터리(50)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하여 구동된다.
여기서 제어부(41)는 제1전압센서(451)에 의해 감지된 보조배터리(50)의 전압을 감지하여 보조배터리(50)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전압 이하로 떨어지면 보조릴레이(46)를 오프시켜 상기 보조배터리(50)에서 부하(3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상기 표시수단(44)은 상기 보조배터리(50)와 메인배터리(20)의 충전전압을 감지하여 메인배터리(20)와 보조배터리(50)의 사용가능여부를 발광표시한다. 예를 들면, 상기 표시수단(44)은 상기 제어부(41)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메인배터리(20)의 방전여부와, 방전되었을 경우에 상기 보조배터리(50)에 의하여 메인배터리(20)의 충전가능여부와, 상기 보조배터리(50)의 방전여부를 발광표시한다.
또는 상기 표시수단(44)은 상기 메인배터리(20)와 보조배터리(50)의 전압레벨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함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표시수단(44)은 액정디스플레이 또는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숫자의 발광표시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전압센서(451)와 제2전압센서(452)에 의하여 감지되는 메인배터리(20)와 보조배터리(50)의 충전전압 레벨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수단(44)은 상기 제어부(41)의 제어에 의하여 구동된다.
또는 상기 표시수단(44)은 후술되는 점프단계(S40)에서 상기 메인배터리(20)의 잔여 충전량을 감지하여 상기 보조배터리(50)의 전원공급에 의하여 상기 메인배터리(20)의 시동전압 출력 가능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부하(30)는 상기 보조배터리(50) 및/또는 메인배터리(20)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하여 구동된다. 상기 부하(30)는, 예를 들면, 자동차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는 비디오 레코딩장치, 경보기, 원격시동장치와 같이 자동차내에서 부가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장착되는 장치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부하(30)는 상기에서 기재된 구성 외에 사용자 및 설계자나 사용자에 의하여 임의대로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하(30)는 상기 메인배터리(20)와 보조배터리(50)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하여 구동된다. 예를 들면, 상기 부하(30)는 상기 보조배터리(50)가 방전상태일 경우 또는 주행중인 경우에 상기 메인배터리(20)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하여 구동된다. 또는 상기 부하(30)는 자동차의 시동오프상태에서 상기 보조배터리(50)에서 공급된 전원에 의하여 구동된다.
또한 상기 시동입력부(10)는 상기 제어부(41)에 비상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비상신호는 사용자가 임의로 상기 메인배터리(20)를 보조배터리(50)로 충전시키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장시간 주차한 이후에 상기 메인배터리(20)가 방전되어 시동이 걸리지 않으면, 상기 시동입력부(10)를 조작하여 비상신호를 입력한다. 따라서 상기 시동입력부(10)는 상기 제어부(41)에 비상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41)는 상기 메인릴레이(43)의 온오프를 감지하여 상기 보조릴레이(46)를 선택적으로 제어하고, 상기 전압센서(45)의 전압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시동릴레이(42)와 보조릴레이(46)를 선택적으로 제어하고, 상기 표시수단(44)을 제어하여 상기 메인배터리(20)와 보조배터리(50)의 충전전압레벨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상기 제어부(41)는 상기 메인릴레이(43)가 오프됨을 감지하면, 상기 보조릴레이(46)를 온시켜서 상기 보조배터리(50)와 부하(30)에 연결되는 전원라인을 통전가능하도록 제어한다. 또는 상기 제어부(41)는 상기 제1전압센서(451)의 전압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보조배터리(50)의 충전전압이 설정레벨 이하라면, 상기 메인릴레이(43)가 온되면 보조릴레이(46)를 온 시켜서 상기 메인릴레이(43)에서 출력된 전원에 의하여 상기 보조배터리(50)가 충전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41)는 상기 보조배터리(50)의 충전전압이 설정레벨 이상이면, 상기 보조릴레이(46)를 오프시켜 상기 보조배터리(50)의 과충전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1)는 상기 시동입력부(10)에서 비상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제2전압센서(452)의 전압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메인배터리(20)의 충전상태를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1)는 상기 메인배터리(20)가 완전 방전되어 상기 보조배터리(50)의 충전으로도 시동전압으로의 충전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표시수단(44)을 제어하여 시동불가능함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는 제어부(41)는 상기 메인배터리(20)의 잔여 충전량을 확인하여 상기 보조배터리(50)에 의한 메인배터리(20)의 충전이 가능한 지를 판단하고, 메인배터리(20)의 충전이 가능하다면 상기 시동릴레이(42)를 온 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41)는 상기 보조릴레이(46)를 오프시켜 보조배터리(50)에서 부하(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라인을 차단하여 상기 보조배터리(50)에서 메인배터리(20)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41)는 상기 시동릴레이(42)가 온 됨과 동시에 타이머를 구동시켜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시동릴레이(42)를 오프시켜 상기 보조배터리(50)의 과방전을 방지한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41)는 상기 시동릴레이(42)가 온되면, 상기 보조릴레이(46)를 오프시켜 상기 보조배터리(50)와 부하(30) 사이의 전원라인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1)는 시동릴레이(42)가 오프되면, 상기 보조릴레이(46)를 온시켜 상기 메인배터리(20)의 출력전압이 상기 보조배터리(50)로 인가되도록 전원라인을 연결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사용자가 자동차키를 작동시키면, 상기 메인배터리(20)에서 충전된 전원이 출력되어 시동장치를 점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메인배터리(20)가 방전되는 경우에는 키박스에서 시동신호가 인가되어 상기 메인릴레이(43)가 온 된다 하더라도, 상기 메인배터리(20)에서 발전기 및 기타 장치를 최초 구동을 위한 시동전압을 출력하지 못하기 때문에 자동차의 시동이 걸리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상기 시동입력부(10)를 조작하여 비상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41)가 상기 시동릴레이(42)를 온시켜 상기 보조배터리(50)의 전원을 이용하여 메인배터리(20)를 충전시켜 상기 메인배터리(20)에서 시동전압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보조배터리(50)는 용량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상기 시동릴레이(42)가 온 된 이후에 장시간 메인배터리(20)로 전원을 공급하는 시간이 길어지면 과방전된다. 따라서 보조배터리(50)는 과방전에 따라서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41)가 상기 시동릴레이(42)의 온 이후부터 시간을 카운팅하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보조배터리(50)에서 메인배터리(20)에 전원을 출력하여 충전시키는 점프과정을 오프시키고, 메인배터리(20)에서 출력된 전원을 보조배터리(50)에 인가하도록 전원라인을 원래대로 변경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설정시간은 상기 보조배터리(50)의 전원공급에 의하여 메인배터리(20)의 시동전압을 출력할 수 있고, 상기 시동전압에 의하여 자동차가 주행가능한 시간까지를 포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보조배터리(50)의 충전전압에 따라서 상기와 같은 시간의 설정은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41)가 상기 전압센서(45)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보조배터리(50)의 현재 충전량과 설정레벨을 비교하여 상기 보조배터리의 저전압상태를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1)는 상기 보조릴레이(42)를 오프시켜 상기 시동릴레이의 설정 시간 이전이라 해도, 상기 보조배터리(50)가 방전상태임이 확인되면 상기 시동릴레이(42)를 오프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은 자동차가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상기 부하(30)가 메인배터리(20)에서 전원을 공급받도록 하고, 시동오프상태에서는 상기 보조배터리(50)에서 부하(3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메인배터리(20)의 방전시에 보조배터리(50)의 충전전압을 이용하여 메인배터리(20)를 충전시키고, 메인배터리(20)의 충전시에 보조배터리(50)의 과방전으로 인한 수명 단축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보조배터리(50)에서 메인배터리(20)로 전원이 공급되는 시간을 카운팅하여 상기 보조배터리(50)에서 전원공급을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보조배터리(50)에서 전원이 공급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상기 보조배터리(50)의 완전방전을 방지하여 종래와 같은 보조배터리(50)의 수명단축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상기 구성에 의하여 달성되는 작용을 도 3 내지 도 5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배터리 제어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배터리 제어방법은 시동신호가 인가되어 메인배터리(20)에서 시동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발전기(10)가 구동되는 시동단계(S10)와, 상기 발전기(10) 구동단계(S10) 이후에 상기 메인배터리(20)에서 보조배터리(50) 및 부하(30)에 전원을 공급하는 메인배터리 출력단계(S20)와, 시동오프상태에서 상기 부하(30)에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배터리 출력단계(S30)와, 비상신호가 인가되어 상기 보조배터리(50)에서 메인배터리(20)로 전원을 출력하는 점프단계(S40)를 포함한다.
상기 시동단계(S10)는 사용자가 자동차키를 시동키박스에 삽입하여 회전시키면, 상기 시동키박스에서 출력된 전원에 의하여 상기 메인릴레이(43)가 온되어 상기 메인배터리(20)와 보조배터리(50) 및 부하(30)에 연결되는 전원이 통전 가능하도록 연결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메인배터리 출력단계(S20)는 상기 메인릴레이(43)가 온 되어 상기 메인배터리(20)에서 상기 보조배터리(50) 및/또는 부하(30)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41)는 상기 제1전압센서(451)의 전압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보조배터리(50)가 충전이 필요한 상태임을 확인하여 자동차가 시동온 상태라 할지라도 상기 보조릴레이(46)를 온시킨다. 상기 메인배터리(20)에서 출력된 전원은 상기 메인릴레이(43)와 다이오드(D)를 거쳐 상기 보조배터리(50)에 인가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배터리(50)는 상기 보조릴레이(46)가 온 됨에 따라서 상기 메인배터리(20)에서 출력된 전원에 의하여 충전된다. 아울러 상기 부하(30)는 상기 메인배터리(20)에서 출력된 전원으로 구동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41)는 상기 메인릴레이(43)의 온오프를 감지하여 자동차의 시동온 또는 시동오프 상태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보조배터리 출력단계(S30)는 상기 제어부(41)가 상기 메인릴레이(43)의 오프를 감지하여 상기 보조릴레이(46)를 온 시켜 상기 보조배터리(50)와 상기 부하(30) 사이의 전원라인을 통전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보조배터리의 출력단계(S30)는 자동차의 시동이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배터리(20)에서 부하(30)(예를 들면, 경보장치 또는 비디오레코딩장치)에 전원을 계속 공급하면 방전으로 인하여 자동차의 시동이 걸리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보조배터리의 출력단계(S30)는 자동차의 시동이 꺼지게 되면, 상기 부하(30)의 전원공급을 보조배터리(50)에서 담당하도록 하여 자동차의 시동을 담당하는 메인배터리(20)의 방전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도 4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점프단계(S40)는 상기 시동입력부(10)에서 비상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제어부(41)가 시동릴레이(42)를 온 시켜 상기 보조배터리(50)에서 출력된 전원에 의하여 상기 메인배터리(20)를 충전시키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점프단계(S40)는 상기 메인배터리(20)의 방전으로 인하여 자동차의 시동온이 불가능한 상태일 경우에 진행된다. 상기 점프단계(S4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5에 도시된 순서도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배터리 제어방법에서 보조배터리 출력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자동차의 주행상태로서 상기 메인배터리에서 전원이 보조배터리 및/또는 부하에 공급되는 대기단계(S31)와, 상기 대기단계(S31)에서 자동차의 시동이 오프된 이후 보조배터리(50)에서 부하(30)에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배터리 전원공급단계(S32)와, 상기 보조배터리(50)의 충전전압이 설정레벨에 해당되는 지를 판단하는 설정레벨 판단단계(S33)와, 상기 설정레벨판단단계(S33)에서 상기 보조배터리(50)의 충전전압이 설정레벨 이하라면 상기 부하(30)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전원차단단계(S34)와, 상기 전원차단단계(S34) 이후에 배터리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단계(S35)를 포함한다.
상기 대기단계(S31)는 자동차가 주행중인 상태로서 상기 보조배터리(50)와 부하(30)는 상기 메인배터리(20)에 의하여 공급되는 전원에 의하여 충전 및 구동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보조배터리(50)와 부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보조릴레이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메인배터리(20)에서 공급된 전원이 동시에 인가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인가될 수 있다.
상기 보조배터리 전원공급단계(S32)는 상기 대기단계(S31)에서 자동차의 시동이 꺼지고 주차상태에서 상기 보조배터리(50)에서 출력되는 전원에 의하여 상기 부하(30)가 구동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보조릴레이(46)는 온 상태이며, 상기 메인릴레이(43)는 자동차키가 시동키박스에서 인출됨에 따라 오프된다.
따라서 자동차의 부하(30)(예를 들면, 경보기 또는 비디오레코딩장치)는 시동이 오프된 상태, 예를 들면, 자동차의 주차중인 상태에서도 도난의 방지 및/또는 주변 영상의 촬영이 가능하다.
상기 설정레벨판단단계(S33)는 상기 보조배터리 전원공급단계(S32)에서 상기 제어부(41)가 상기 보조배터리(50)의 전원출력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어부(41)는 상기 제1전압센서(451)의 전압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보조배터리(50)의 전원 출력가능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설정레벨은 상기 보조배터리(50)에서 부하(30)에 계속 전원을 공급할 경우에 과방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체 충전량의 10~30%의 범위내로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원차단단계(S34)는 상기 설정레벨 판단단계(S33)에서 상기 보조배터리(50)의 충전전압이 저전압 상태인 설정레벨 이하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41)가 상기 보조릴레이(46)를 오프하도록 제어하는 단계이다. 상기 보조릴레이(46)는 상기 제어부(41)의 제어에 의하여 오프되어 상기 보조배터리(50)에서 상기 부하(30)에 연결되는 전원의 통전을 차단한다. 따라서 상기 부하(30)는 오프된다.
상기 표시단계(S35)는 상기 전원차단단계(S34) 이후에 상기 제어부(41)가 상기 표시수단(44)을 제어하여 상기 보조배터리(50)의 충전량을 표시하는 단계이다. 상기 표시수단(44)은 상기 제어부(41)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보조배터리(50)의 충전 잔량과 함께 전원 공급 불가 또는 충전필요상태임을 표시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로는 상기 표시수단(44)은 상기 보조배터리(50)의 충전전압을 각 단계별로 표시한다. 예를 들면, 상기 표시수단(44)은 상기 보조배터리(50)의 충전용량이 전체 충전용량의 80%이상이면, 파란색으로 발광표시하거나 그 숫자를 표시한다. 또는 상기 표시수단(44)은 50~80%이면, 녹색으로 발광표시하거나 숫자나 문장으로 방전가능을 표시하고, 30~50%면 노란색으로 발광표시하거나 숫자나 문장으로 주의상태임을 표시하거나, 10~30%이면 빨간색으로 발광표시하거나 숫자나 문장으로 전원 공급 불가를 표시할 수 있다.
이중에서 상기 표시단계(S35)는 상기 보조배터리(50)의 충전량이 10~30%에 해당되면, 상기 제어부(41)의 제어에 의하여 빨간색으로 발광표시 또는 숫자나 문장으로 전원출력불가 상태임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표시수단의 표시단계(S35)는 도면이나 상술한 설명에서 상기 보조배터리(50)의 전원공급 차단단계(S34) 이후로 설명되었으나, 상기 메인배터리(20)의 출력단계(S20)에서 포함됨도 가능하고, 상기 보조배터리(50)의 출력단계(S40) 전체 과정에서 상기 보조배터리(50)의 잔여충전량을 표시함도 가능하다. 이는 설계자나 사업자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이 보조배터리(50)의 전원공급 차단단계(S34) 이후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배터리 제어방법에서 점프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점프단계(S40)는 자동차가 정지된 상황에서 비상신호가 인가되는 비상신호수신단계(S41)와, 상기 비상신호 수신단계(S41) 이후에 상기 메인배터리(20)의 잔여 충전량을 확인하여 시동가능여부를 판단하는 시동가능 판단단계(S42)와, 상기 시동가능판단단계(S42)에서 상기 메인배터리(20)가 시동가능한 충전량을 갖고 있다면, 시동릴레이(42)를 온 시켜 보조배터리(50)에서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배터리(50) 전원공급단계(S43)와, 상기 보조배터리 전원공급단계(S43)에서 상기 시동릴레이(42)가 온 된 이후의 시간을 카운팅하는 시간 카운팅단계(S44)와, 상기 시간 카운팅단계(S44) 이후에 설정된 시간과 카운팅된 시간을 비교하는 설정시간판단단계(S45)와, 상기 설정시간판단단계(S45)에서 카운팅된 시간이 설정시간과 일치되면 상기 시동릴레이(42)를 오프시켜 보조배터리(50)의 전원을 차단하는 보조배터리(50) 차단단계(S46)를 포함한다.
상기 비상신호 수신단계(S41)는 상기 시동입력부(10)에서 비상신호가 인가되는 단계이다. 여기서 사용자가 자동차키를 시동키박스에 삽입한 이후에 시동이 걸리지 않는 메인배터리(20)의 방전상태를 확인한 이후에 상기 시동입력부(10)를 조작하여 비상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시동입력부(10)는 상기 제어부(41)에 비상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시동가능 판단단계(S42)는 상기 제어부(41)가 상기 시동입력부(10)의 비상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제2전압센서(452)의 전압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메인배터리(20)의 충전가능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메인배터리(20)가 완전 방전되어 잔여 충전량이 0~5%라면 상기 보조배터리(50)의 전원공급으로도 충전이 불가능하여 시동전압을 생성하지 못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41)는 제2전압센서(452)의 전압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메인배터리(20)의 충전가능상태를 판단한다.
상기 보조배터리(50)의 전원공급단계(S43)는 상기 제어부(41)가 상기 시동가능판단단계(S42)에서 상기 메인배터리(20)의 잔여 충전량이 시동가능한 정도의 충전량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시동릴레이(42)를 온시켜 상기 보조배터리(50)의 전원을 메인배터리(20)로 공급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시동릴레이(42)는 상기 제어부(41)의 제어에 의하여 온되고, 상기 보조릴레이(46)는 오프된다. 상기 메인릴레이(43)는 자동차키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오프되어 상기 보조배터리(50)에서 메인배터리(20)간의 전원라인이 연결되고, 보조배터리(50)와 부하(30), 메인배터리(20)와 부하(30)간의 전원라인이 차단된다.
상기 시간 카운팅단계(S44)는 상기 제어부(41)가 상기 시동릴레이(42)의 온된 이후부터 타이머를 구동시켜 시간을 카운팅하는 단계이다. 상기 타이머는 상기 제어부(41)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41)와 별도의 부품으로서 하나의 기판에 상기 제어부(41)와 함께 실장됨도 가능하다.
상기 설정시간판단단계(S45)는 상기 제어부(41)가 상기 시간 카운팅 단계(S44)에서 카운팅된 시간과 설정된 시간을 비교하여 카운팅 시간이 설정시간과 일치되거나 또는 그 이상의 시간이 경과 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설정시간은 상기 보조배터리(50)의 잔여 충전량이 전체 충전량 대비 10~30%으로 감소되기 까지의 시간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배터리의 전원차단단계(S46)는 상기 제어부(41)가 상기 설정시간판단단계(S45)에서 카운팅 시간과 설정시간이 일치하거나 또는 카운팅 시간이 설정시간을 경과하였다면, 상기 시동릴레이(42)를 오프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제어부(41)는 카운팅된 시간이 설정시간을 경과 하였거나 일치된 경우에 상기 시동릴레이(42)를 오프시켜 상기 보조배터리(50)에서 출력된 전원을 차단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시동릴레이(42)가 온 되어 상기 보조배터리(50)에서 메인배터리(20)에 시간 동안만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메인배터리(20)가 시동전압을 생성할 수 있을 정도가 되면 상기 시동릴레이(42)를 오프시켜 보조배터리(50)의 과방전을 방지하고, 상기 메인배터리(20)를 시동가능상태로 충전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보조배터리 전원차단단계(S46)는 상기 제1전압센서(451)의 전압감지신호에 의하여 카운팅 시간과 설정시간의 비교와 별도로 상기 보조배터리(50)의 잔여 충전량이 설정된 레벨에 해당 되면, 상기 제어부(41)에서 상기 시동릴레이(42)를 오프시켜 설정시간 이전이라도 상기 보조배터리(50)의 전원공급을 차단함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메인배터리(20)의 충전은 상기 제어부(41)가 상기 제2전압센서(452)의 전압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메인배터리(20)의 충전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가능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표시수단(44)을 통하여 상기 메인배터리(20)의 상태를 확인하여 자동차키를 시동키박스에 삽입하여 시동을 걸게 된다. 이때 표시수단(44)은 빨간색의 완전방전상태에서 노란색 또는 녹색으로 방전가능상태로 표시된다. 또는 상기 표시수단(44)은 상기 메인배터리(20)의 충전량을 숫자로 표시하거나 시동가능이 가능함을 문장으로 표시 및 출력함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상기 메인릴레이(43)는 온되어 상기 메인배터리(20)와 부하(30) 및 보조배터리(50) 사이의 전원 라인을 연결시킨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41)는 상기 제1전압센서(451)를 통하여 상기 보조배터리(50)의 충전상태를 확인하여 전체 충전량 대비 80%이하의 충전량이라면, 상기 보조릴레이(46)를 온시켜 상기 보조배터리(50)를 충전시킨다.
그러므로 상기 보조배터리(50)는 자동차의 주행중에 상기 보조배터리(50)의 전원공급단계(S43)에서 소모된 전원을 상기 메인배터리(20)에서 출력된 전원에 의하여 충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시동가능 판단단계(S42)에서 상기 메인배터리(20)의 잔여 충전량이 0~5%로서 상기 보조배터리(50)의 전원공급으로도 상기 메인배터리(20)의 시동전압의 출력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이를 표시하는 상태표시단계(S47)를 더 포함한다.
상기 상태표시단계(S47)는 상기 시동가능 판단단계(S42)에서 상기 제어부(41)가 상기 제2전압센서(452)의 전압감지신호를 수신하여 보조배터리(50)의 전원공급으로도 상기 메인배터리(20)의 시동전압의 출력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표시수단(44)을 제어하여 현재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41)는 상기 표시수단(44)을 제어하여 상기 메인배터리(20)의 상태를 발광표시하거나 숫자와 문장으로서 시동 불가능을 표시한다.
상기 상태표시단계(S47)는 상기 보조배터리(50)의 잔여 충전량을 감지 및 표시함도 가능하고, 상술한 시동가능 판단단계(S42) 이후가 아닌 상기 메인배터리(20)의 출력단계(S20)와 보조배터리의 출력단계(S30)의 전체 과정에서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보조배터리(50)와 메인배터리(20)의 잔여 충전량을 실시간을 감지하여 상기 메인배터리(20)의 출력단계(S20)와 보조배터리(50)의 출력단계 (S30) 전체 과정에서 상기 보조배터리(50)와 메인배터리(20)의 상태를 표시한다. 이는 설계자나 사업자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적용가능한 다양한 응용예중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것이며,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메인배터리(20)에서 보조배터리(50)로 부하(30)의 전원공급장치가 변경됨에 따라서 주차중인 상태에서도 경보장치 및 비디오레코딩장치와 같은 부하(30)의 구동이 가능하고, 메인배터리(20)의 방전시에 보조배터리(50)의 전원공급에 의하여 자동차의 시동이 가능하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보조배터리(50)에 의한 메인배터리(20)의 충전시에 설정된 시간 동안만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보조배터리(50)의 과방전을 방지할 수 있어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 시동입력부 20 : 메인배터리
30 : 부하 40 : 제어보드
41 : 제어부 42 : 시동릴레이
43: 메인릴레이 44 : 표시수단
45 : 전압센서 46 : 보조릴레이
50 : 보조배터리

Claims (12)

  1. 전원을 출력하는 메인배터리와 보조배터리;
    상기 메인배터리와 보조배터리에서 연결되는 전원라인을 통전 또는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보드;
    상기 메인배터리와 보조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부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보드는
    자동차의 키박스에 인가되는 시동신호에 의하여 온 되어 상기 메인배터리와 보조배터리 및 부하에 연결되는 전원라인을 통전시키는 메인릴레이;
    상기 보조배터리에서 출력되는 전원라인을 통전 또는 차단시키는 보조릴레이;
    상기 보조배터리의 전압을 감지하는 제1전압센서; 및
    상기 제1전압센서의 전압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보조배터리의 전원공급을 차단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듀얼 배터리의 제어시스템.
  2. 전원을 출력하는 메인배터리와 보조배터리;
    상기 메인배터리와 보조배터리에서 연결되는 전원라인을 통전 또는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보드;
    상기 메인배터리와 보조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부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보드는
    자동차의 키박스에 인가되는 시동신호에 의하여 온 되어 상기 메인배터리와 보조배터리 사이의 전원라인을 통전시키는 메인릴레이;
    상기 보조배터리에서 상기 부하로 출력되는 전원라인을 통전 또는 차단시키는 보조릴레이;
    상기 보조배터리의 전압을 감지하는 제1전압센서; 및
    상기 제1전압센서의 전압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보조배터리의 전원공급을 차단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듀얼 배터리의 제어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보드는
    상기 메인배터리의 방전시에 상기 보조배터리에서 상기 메인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비상신호를 인가하는 시동입력부;
    상기 시동입력부의 비상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보조배터리에서 출력된 전원이 상기 메인배터리에 공급되도록 연결되는 전원라인을 통전 및 차단시키는 시동릴레이를 더 포함하는 듀얼 배터리의 제어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보드는
    상기 메인배터리의 전압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압감지신호를 인가하는 제2전압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전압센서 및 제2전압센서의 전압감지신호를 각각 수신하여 상기 보조배터리가 상기 메인배터리를 충전시켜 상기 메인배터리의 시동전압 출력가능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배터리의 제어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보드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메인배터리의 시동전압 출력가능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더 포함하는 듀얼 배터리의 제어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동릴레이가 온된 이후부터 시간을 카운팅하여 설정된 시간이 경과 되면 상기 시동릴레이를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배터리의 제어시스템.
  7. 메인배터리와 보조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로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듀얼 배터리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자동차가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상기 메인배터리에서 출력된 전원이 부하와 보조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에 공급되는 메인배터리의 전원공급단계; 및
    상기 전원공급단계 이후에 자동차의 시동이 꺼지면, 상기 메인배터리의 전원 출력이 차단되고, 상기 보조배터리에서 상기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배터리 출력단계를 포함하는 듀얼 배터리의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배터리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전압이하로 떨어져 비상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보조배터리에서 출력된 전원이 상기 메인배터리를 충전시키도록 전원라인을 연결하는 점프단계를 더 포함하는 듀얼 배터리의 제어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배터리의 출력단계는
    상기 보조배터리에서 상기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배터리 전원공급단계;
    상기 보조배터리 전원공급단계에서 상기 보조배터리의 잔여 충전량과 설정레벨을 비교하는 설정레벨판단단계; 및
    상기 설정레벨 판단단계에서 상기 보조배터리의 충전량이 설정레벨에 해당되면, 상기 보조배터리에서 부하에 연결되는 전원라인을 차단하는 전원차단단계를 포함하는 듀얼 배터리의 제어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점프단계는
    상기 보조배터리에서 메인배터리로 전원을 공급하는 명령어가 포함된 비상신호를 수신하는 비상신호수신단계;
    상기 비상신호 수신단계 이후에 상기 보조배터리에서 출력된 전원이 메인배터리에 인가되도록 전원라인을 연결하여 상기 보조배터리에서 메인배터리를 충전시키는 보조배터리의 전원공급단계;
    상기 전원공급단계 이후에 상기 보조배터리에서 메인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라인이 연결된 이후에 시간을 카운팅하는 시간카운팅단계; 및
    상기 시간카운팅단계에서 카운팅된 시간이 설정된 시간과 일치되면, 상기 보조배터리에서 출력된 전원이 메인배터리로 인가되도록 연결된 전원라인을 차단하는 보조배터리 전원차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듀얼 배터리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배터리 전원공급단계에서
    상기 보조배터리의 잔여 충전량을 감지하여 설정레벨에 도달되면, 상기 보조배터리에서 상기 메인배터리로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라인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배터리의 제어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점프단계는
    상기 비상신호 수신단계 이후에 상기 메인배터리의 잔여 충전량을 감지하여 상기 보조배터리에 의한 전원공급으로 상기 메인배터리에서 시동전압의 출력 가능여부를 판단하는 시동가능 판단단계; 및
    상기 시동가능 판단단계에서 상기 메인배터리의 잔여 충전량을 감지하고, 감지된 잔여 충전량을 통하여 시동가능 또는 시동불가능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상태표시단계를 더 포함하는 듀얼 배터리의 제어방법.
KR1020130042000A 2013-04-17 2013-04-17 듀얼 배터리 제어시스템 및 방법 KR101315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2000A KR101315645B1 (ko) 2013-04-17 2013-04-17 듀얼 배터리 제어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2000A KR101315645B1 (ko) 2013-04-17 2013-04-17 듀얼 배터리 제어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5645B1 true KR101315645B1 (ko) 2013-10-08

Family

ID=49637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2000A KR101315645B1 (ko) 2013-04-17 2013-04-17 듀얼 배터리 제어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5645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7984A (ko) * 2015-07-13 2017-01-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듀얼 배터리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07024A (ko) * 2016-07-11 2018-01-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
KR20180034724A (ko) * 2016-09-26 2018-04-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배터리 충전 시스템 및 방법
KR101846680B1 (ko) 2016-06-16 2018-05-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
KR101903271B1 (ko) 2017-02-03 2018-10-01 임만식 보조 배터리 모듈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00001784A (ko) 2018-06-28 2020-01-07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리튬전지와 납축전지를 이용한 듀얼 배터리 제어방법
KR102134618B1 (ko) * 2019-02-11 2020-07-16 정관옥 차량의 시동 관리 시스템
KR102174990B1 (ko) * 2020-07-09 2020-11-05 정관옥 차량 시동 관리 장치
CN113895383A (zh) * 2020-07-07 2022-01-07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控制设备、控制方法、非暂时性存储介质和车辆
KR20220104087A (ko) 2021-01-17 2022-07-26 차병갑 테스트용 차량 성능 측정기기의 재부팅 방지장치
KR20230077360A (ko) * 2021-11-25 2023-06-01 주식회사 코리아비티에스 전력 전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전력 전환 시스템
CN117068072A (zh) * 2023-09-19 2023-11-17 浙江天通电子信息材料研究院有限公司 基于互联网的机动车启动辅助系统及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8938B1 (ko) * 1995-10-11 1999-05-15 한승준 전기 자동차의 보조 전원 장치
JP2007104827A (ja) * 2005-10-05 2007-04-19 Hyundai Motor Co Ltd 電気自動車の電源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8938B1 (ko) * 1995-10-11 1999-05-15 한승준 전기 자동차의 보조 전원 장치
JP2007104827A (ja) * 2005-10-05 2007-04-19 Hyundai Motor Co Ltd 電気自動車の電源制御装置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232B1 (ko) 2015-07-13 2017-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듀얼 배터리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07984A (ko) * 2015-07-13 2017-01-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듀얼 배터리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442373B2 (en) 2016-06-16 2019-10-15 Hyundai Motor Company Battery management system of vehicle with reconnection switch for connection state determination
KR101846680B1 (ko) 2016-06-16 2018-05-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
US10263438B2 (en) 2016-07-11 2019-04-16 Hyundai Motor Company Battery management system for vehicle
KR20180007024A (ko) * 2016-07-11 2018-01-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
KR101866037B1 (ko) * 2016-07-11 2018-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
KR101866059B1 (ko) 2016-09-26 2018-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배터리 충전 시스템 및 방법
US10266062B2 (en) 2016-09-26 2019-04-23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a vehicle battery by controlling a relay between the battery and a vehicle system
KR20180034724A (ko) * 2016-09-26 2018-04-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배터리 충전 시스템 및 방법
KR101903271B1 (ko) 2017-02-03 2018-10-01 임만식 보조 배터리 모듈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00001784A (ko) 2018-06-28 2020-01-07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리튬전지와 납축전지를 이용한 듀얼 배터리 제어방법
KR102134618B1 (ko) * 2019-02-11 2020-07-16 정관옥 차량의 시동 관리 시스템
CN113895383A (zh) * 2020-07-07 2022-01-07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控制设备、控制方法、非暂时性存储介质和车辆
CN113895383B (zh) * 2020-07-07 2024-04-02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控制设备、控制方法、非暂时性存储介质和车辆
KR102174990B1 (ko) * 2020-07-09 2020-11-05 정관옥 차량 시동 관리 장치
KR20220104087A (ko) 2021-01-17 2022-07-26 차병갑 테스트용 차량 성능 측정기기의 재부팅 방지장치
KR20230077360A (ko) * 2021-11-25 2023-06-01 주식회사 코리아비티에스 전력 전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전력 전환 시스템
KR102644205B1 (ko) * 2021-11-25 2024-03-06 주식회사 코리아비티에스 전력 전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전력 전환 시스템
CN117068072A (zh) * 2023-09-19 2023-11-17 浙江天通电子信息材料研究院有限公司 基于互联网的机动车启动辅助系统及其方法
CN117068072B (zh) * 2023-09-19 2024-02-09 浙江天通电子信息材料研究院有限公司 基于互联网的机动车启动辅助系统及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5645B1 (ko) 듀얼 배터리 제어시스템 및 방법
US7362005B2 (en) Isolated dual battery system
JP5617908B2 (ja) 車両用電源装置
US771454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lligent charging and intelligent conditioning of a high voltage battery
US20040130298A1 (en) Microprocessor controlled booster apparatus with polarity protection
JP2015115979A (ja) 車両用補助給電装置
KR20150119724A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배터리 방전방지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방전방지방법
KR101231976B1 (ko) 자동차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970439B1 (ko) 무인감시 기능이 있는 차량용 영상 기록 장치
KR101508508B1 (ko) 시동 온오프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선택적 전원공급 장치 및 그 방법
US10377239B2 (en) Auxiliary battery status determination device and auxiliary battery status determination method
KR102191744B1 (ko) 전기 구동부를 구비한 차량의 저전압 온보드 전기 시스템의 공급
KR101679155B1 (ko) 자동차의 고전압 시스템의 비활성화 방법
KR20170045573A (ko) 차량용 전원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1009477B1 (ko) 차량용 배터리 세이버 시스템
US10099567B2 (en) Vehicle auxiliary battery charging system
KR101492161B1 (ko) 차량용 보조배터리 충전시스템 및 방법
US10081248B2 (en) Apparatus for detecting a static current in a secondary battery of a vehicle and protecting the secondary battery
EP1485979B1 (en) Microprocessor controlled booster apparatus with polarity protection
KR101860107B1 (ko) 소형엔진 충전표시장치
KR101645325B1 (ko)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오동작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0536334B1 (ko) 충전상태 표시기능을 가진 자동차 배터리의 충방전 시스템
JP2008149856A (ja) 代替電源供給方法及び代替電源装置
KR20170089299A (ko) 차량용 메인 및 보조 배터리들의 전원을 수동이거나 자동으로 관리하는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20120093058A (ko) 자동차의 상시 전원공급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