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4618B1 - 차량의 시동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의 시동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4618B1
KR102134618B1 KR1020190015575A KR20190015575A KR102134618B1 KR 102134618 B1 KR102134618 B1 KR 102134618B1 KR 1020190015575 A KR1020190015575 A KR 1020190015575A KR 20190015575 A KR20190015575 A KR 20190015575A KR 102134618 B1 KR102134618 B1 KR 102134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main battery
battery
voltage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5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관옥
문정인
Original Assignee
정관옥
문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관옥, 문정인 filed Critical 정관옥
Priority to KR1020190015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46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4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4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B60R16/0235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for lighting devices combined with starting or ignition devices for roa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62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ical power supply means, e.g. battery
    • F02N11/0866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ical power supply means, e.g. battery comprising several power sources, e.g. battery and capacitor or two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3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19/1653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 G01R19/16542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for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DC or AC voltage with one thres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차량의 시동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시동 관리 시스템은, 차량의 주 배터리와 병렬 연결되는 보조 배터리; 상기 차량의 시동을 거는 과정에서 상기 주 배터리의 전압 변화를 감시하는 전압 감시부; 상기 전압 감시부로부터 상기 전압 감시부에서의 감시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감시 결과 상기 차량의 시동을 거는 과정에서 상기 주 배터리에서 설정된 크기 이상의 순간적인 전압 강하가 발생한 경우 상기 보조 배터리의 방전 명령을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보조 배터리의 방전 명령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차량의 시동을 온(on)시키기 위한 전원을 상기 주 배터리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보조 배터리를 방전시키는 스위칭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시동 관리 시스템{SYSTEM FOR MANAGING START-UP OF VEHICLE}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차량의 시동을 관리하는 기술과 관련된다.
차량 내 에어컨, 오디오 등과 같은 전자장치는 차량의 엔진룸에 장착된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한다. 이러한 배터리는 장시간 시동을 걸지 않거나, 차량 내 전등을 끄지 않은 채 시동을 끄거나, 블랙박스를 상시 전원 상태로 두거나, 배터리 사용량이 많은 장치를 차량에 추가하는 등의 다양한 이유로 방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실수로 인해 배터리가 방전되거나 배터리의 수명이 다 된 경우 차량의 시동이 걸리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점프선을 통해 차량의 배터리와 옆차의 배터리를 서로 연결하여 시동을 걸거나, 점프선을 통해 차량의 배터리와 미리 충전된 다른 배터리를 서로 연결하여 시동을 걸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매우 번거로운 일이며 다시 시동을 걸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55798호(2017.07.07)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차량의 주 배터리가 방전되거나 수명이 다 되더라도 차량의 시동을 효율적으로 걸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주 배터리와 병렬 연결되는 보조 배터리; 상기 차량의 시동을 거는 과정에서 상기 주 배터리의 전압 변화를 감시하는 전압 감시부; 상기 전압 감시부로부터 상기 전압 감시부에서의 감시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감시 결과 상기 차량의 시동을 거는 과정에서 상기 주 배터리에서 설정된 크기 이상의 순간적인 전압 강하가 발생한 경우 상기 보조 배터리의 방전 명령을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보조 배터리의 방전 명령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차량의 시동을 온(on)시키기 위한 전원을 상기 주 배터리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보조 배터리를 방전시키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시동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차량의 시동 관리 시스템은, 택트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 배터리가 완전 방전되어 상기 차량의 시동을 거는 과정에서 순간적인 전압 강하가 발생되지 않을 때 사용자에 의해 상기 택트 스위치가 눌려지는 경우 상기 보조 배터리의 방전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배터리는, 상기 주 배터리의 방전 여부와 관계 없이 충전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보조 배터리의 방전 명령에 따른 상기 스위칭부의 제어에 의해서만 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차량의 시동 관리 시스템은, 상기 주 배터리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주 배터리의 순간적인 전압 강하를 보상하여 상기 주 배터리의 전원을 안정화시키는 슈퍼 커패시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압 감시부는, 그라운드에 연결되는 제1 커패시터(C1); 일단이 상기 제1 커패시터(C1)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주 배터리와 연결되는 제1 다이오드(D1); 상기 제1 커패시터(C1)와 상기 제1 다이오드(D1)의 센터탭(center tap)에서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2 다이오드(D21~D2N); 상기 복수 개의 제2 다이오드(D21~D2N)의 일단과 상기 주 배터리 사이에서 각각 병렬로 연결되는 제1 저항(R1)과 제2 커패시터(C2); 및 제1 단이 상기 제1 저항(R1)과 제2 커패시터(C2)의 일단에 각각 연결되고, 제2 단이 상기 제1 저항(R1)과 제2 커패시터(C2)의 타단에 각각 연결되고, 제3 단이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는 트랜지스터(Q)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주 배터리가 방전되거나 수명이 다 된 경우 상기 주 배터리와 병렬 연결되는 보조 배터리를 통해 보다 빠르고 간편한 방법으로 차량의 시동을 걸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주 배터리의 전압 변화를 감시하고 감시 결과 차량의 시동을 거는 과정에서 상기 주 배터리에서 설정된 크기 이상의 순간적인 전압 강하가 발생한 경우 보조 배터리의 방전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시동을 온시키기 위한 전원을 주 배터리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배터리는 차량의 시동을 걸어주는 데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용도로만 사용될 수 있으며, 차량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오디오, 조명 등의 사용으로 인해 주 배터리에서 방전이 이루어져도 방전되지 않는다.
또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 배터리와 병렬 연결되는 슈퍼 커패시터를 통해 주 배터리의 전원을 안정화시킴으로써, 차량의 연비를 개선하고 주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엔진의 진동 및 상기 진동으로 인한 소음을 현저히 줄어들며, 차량 내 오디오의 노이즈가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시동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시동 관리 시스템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압 감시부의 상세 회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시동 관리 시스템(2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시동 관리 시스템(20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의 시동 관리 시스템(200)은 상기 차량의 주 배터리(100)와 병렬로 연결된다. 여기서, 주 배터리(100)는 상기 차량의 엔진룸에 장착되어 차량의 각종 장치(예를 들어, 에어컨, 오디오, 조명 등)에 전원을 공급한다.
차량의 시동 관리 시스템(200)은 주 배터리(100)의 상부 또는 측부에 배치되어 주 배터리(100)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의 시동 관리 시스템(200)은 보조 배터리(10), 관리부(20), 제어부(30), 전압 감시부(40), 스위칭부(50) 및 슈퍼 커패시터(60)를 포함한다.
보조 배터리(10)는 차량의 시동을 거는 과정에서 주 배터리(100)에서 설정된 크기 이상의 순간적인 전압 강하가 발생한 경우 주 배터리(100)로 전원을 공급하여 차량의 시동을 걸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배터리(10)는 주 배터리(100)와 병렬 연결될 수 있으며, 스위칭부(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제어부(30)는 차량의 시동을 거는 과정에서 주 배터리(100)에서 설정된 크기 이상의 순간적인 전압 강하가 발생한 경우 보조 배터리(10)의 방전 명령을 생성하고, 이를 스위칭부(50)로 전달할 수 있다. 보조 배터리(10)는 주 배터리(100)의 방전 여부와 관계 없이 충전 상태를 유지하다가, 보조 배터리(10)의 방전 명령에 따른 스위칭부(50)의 제어에 의해서만 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보조 배터리(10)는 평상시에는 충전 상태를 유지하며 차량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오디오, 조명 등의 사용으로 인해 주 배터리(100)에서 방전이 이루어져도 방전되지 않으며, 차량의 시동을 걸어주는 데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용도로만 사용될 수 있다.
관리부(20)는 보조 배터리(10)를 관리하는 시스템(BMS : Battery Management System)으로서, 보조 배터리(10)의 쇼트(short)나 과방전, 과충전 등을 방지하고 보조 배터리(10)의 셀 밸런싱을 수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어부(30)는 시동 관리 시스템(200)의 중앙 처리 장치로서, 전압 감시부(40) 및 스위칭부(50)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30)는 전압 감시부(40)로부터 전압 감시부(40)에서의 감시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감시 결과 차량의 시동을 거는 과정에서 주 배터리(100)에서 설정된 크기 이상의 순간적인 전압 강하가 발생한 경우 보조 배터리(10)의 방전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차량의 시동을 걸 때 주 배터리(100)가 방전되어 주 배터리(100)의 충전 전압이 매우 빠른 속도로 낮아지거나, 주 배터리(100)의 수명이 다 되어 사용자가 차량의 시동을 걸 때 주 배터리(100)의 충전 전압이 매우 빠른 속도로 낮아지는 경우, 제어부(30)는 보조 배터리(10)을 통해 차량의 시동을 걸기 위한 전원을 주 배터리(100)에 공급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30)는 보조 배터리(10)의 방전 명령을 생성하고, 이를 스위칭부(50)로 전달할 수 있다. 스위칭부(50)는 제어부(30)로부터 보조 배터리(10)의 방전 명령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차량의 시동을 온(on)시키기 위한 전원을 주 배터리(100)에 공급하기 위해 보조 배터리(10)를 방전시킬 수 있다.
전압 감시부(40)는 주 배터리(100)의 전압 변화를 감시한다. 구체적으로, 전압 감시부(40)는 사용자가 차량의 시동을 거는 과정에서 주 배터리(100)에서 설정된 크기 이상의 순간적인 전압 강하가 발생하였는지의 여부(예를 들어, 0.01초 이내에 5V 이상의 전압 강하가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감시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압 감시부(40)는 주 배터리(100)와 병렬 연결되고, 전압 감시를 위한 하나 이상의 저항, 커패시터, 다이오드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전압 감시부(40)의 회로도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전압 감시부(40)의 상세 회로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압 감시부(40)는 감시 결과를 제어부(30)로 전달하고, 제어부(30)는 상기 감시 결과에 따라 보조 배터리(10)의 방전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감시 결과 상기 차량의 시동을 거는 과정에서 주 배터리(100)에서 설정된 크기 이상의 순간적인 전압 강하가 발생한 경우, 제어부(30)는 보조 배터리(10)의 방전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스위칭부(50)는 보조 배터리(10)의 충방전을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위칭부(50)는 제어부(30)로부터 보조 배터리(10)의 방전 명령을 수신함에 따라 차량의 시동을 온시키기 위한 전원을 주 배터리(100)에 공급하기 위해 보조 배터리(10)를 방전시킬 수 있다. 또한, 스위칭부(50)는 차량의 시동이 걸린 이후에는 보조 배터리(10)가 충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스위칭부(50)는 관리부(20)의 제어에 따라 보조 배터리(10)의 충전 및 방전 정도를 조절하여 보조 배터리(10)의 과충전, 과방전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스위칭부(50)는 보조 배터리(10), 관리부(20) 및 제어부(30)와 각각 연결되고, 상술한 기능들의 수행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저항, 다이오드 및 트랜지스터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스위칭부(50)의 회로도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전압 감시부(40)의 상세 회로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슈퍼 커패시터(60)는 주 배터리(100)의 순간적인 전압 강하를 보상하여 주 배터리(100)의 전원을 안정화시키는 장치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슈퍼 커패시터(60)는 주 배터리(100)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보조 배터리(10)는 주 배터리(100)의 방전 여부와 관계 없이 충전 상태를 유지하다가, 보조 배터리(10)의 방전 명령에 따른 스위칭부(50)의 제어에 의해서만 방전이 시작될 수 있다. 반면, 슈퍼 커패시터(60)는 차량의 시동시 주 배터리(100)에서 순간적으로 방전되는 전압을 보충해 주며, 주 배터리(100)의 급격한 전압 변동을 보충함으로써 차량의 연비를 개선(즉, 연료소비의 절감 효과)하고 주 배터리(10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슈퍼 커패시터(60)는 엔진이 연소될 때 점화 플러그에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엔진의 진동 및 상기 진동으로 인한 소음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또한, 슈퍼 커패시터(60)로 인해 주 배터리(100)에서의 전원 공급이 안정화됨으로써, 차량 내 오디오의 노이즈가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시동 관리 시스템(200)은 실시예에 따라 택트 스위치(Tact Switch)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주 배터리(100)가 완전 방전되는 경우, 사용자가 차량의 시동을 거는 순간 주 배터리(100)의 순간적인 전압 강하가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택트 스위치를 누를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가 시동을 정상적으로 걸때까지 보조 배터리(10)가 차량의 시동을 온시키기 위한 전원을 주 배터리(100)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택트 스위치는 예를 들어, 보조 배터리(10)나 제어부(30)의 외면에 부착될 수 있으나 택트 스위치가 배치되는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만약, 택트 스위치가 제어부(30)의 외면에 부착되는 경우, 택트 스위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0)와 연결될 수 있다(도 2의 START-SW). 사용자에 의해 상기 택트 스위치가 눌려지는 경우, 제어부(30)는 상술한 보조 배터리(10)의 방전 명령을 생성하여 스위칭부(5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제어부(30)의 외면에는 상기 택트 스위치(START-SW)의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조명(START-LED)이 부착될 수 있다.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압 감시부(40)의 상세 회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전압 감시부(40)의 상세 회로도는 도 2에 도시된 전압 감시부(40)의 다른 예시적인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압 감시부(40)는 제1 커패시터(C1), 제2 커패시터(C2), 제3 커패시터(C3), 제1 저항(R1), 제2 저항(R2, 제1 다이오드(D1), 복수 개의 제2 다이오드(D21, D22, … D2N) 및 트랜지스터(Q)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회로도의 구성 및 연결 관계에 대해 살펴보면 제1 커패시터(C1)는 그라운드(GND)와 연결된다.
제1 다이오드(D1)는 일단이 제1 커패시터(C1)와 연결되고 타단이 주 배터리(100)와 연결된다. 제1 다이오드(D1)는 주 배터리(100)에서 출력되는 전압의 변동이 역으로 흐르지 않도록 방지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이때, 제1 커패시터(C1)와 제1 다이오드(D1)의 센터탭(center tap)에는 복수 개의 제2 다이오드(D21~D2N)가 직렬 연결된다.
또한, 제1 저항(R1)과 제2 커패시터(C2)는 상기 복수 개의 제2 다이오드(D21~D2N)의 일단과 주 배터리(100) 사이에서 각각 병렬로 연결된다.
또한, 트랜지스터(Q)는 제1 단, 제2 단 및 제3 단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트랜지스터(Q)의 제1 단, 제2 단 및 제3 단은 예를 들어,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의 베이스(Base), 이미터(Emitter) 및 컬렉터(Collector)에 각각 해당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트랜지스터(Q)의 제1 단은 제1 저항(R1)과 제2 커패시터(C2)의 일단에 각각 연결되고, 트랜지스터(Q)의 제2 단은 제1 저항(R1)과 제2 커패시터(C2)의 타단에 각각 연결되고, 트랜지스터(Q)의 제3 단은 제어부(3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저항(R2)과 제3 커패시터(C3)는 서로 병렬 연결되고, 일단이 제어부(30)와 트랜지스터(Q)의 제3 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그라운드(GND)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회로도의 구성 및 연결 관계에 따른 전압 감시부(40)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전압 감시부(40)는 주 배터리(100)의 충전 전압과 제1 커패시터(C1)에 충전된 전압을 서로 비교한다. 만약, 제1 커패시터(C1)에 충전된 전압보다 주 배터리(100)에 충전된 전압이 i) 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ii) 설정된 값 이상 낮아지는 경우, 트랜지스터(Q)가 구동하여 제어부(30)로 보조 배터리(10)의 구동 신호를 포함하는 감시 결과가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30)는 상기 감시 결과에 포함된 보조 배터리(10)의 구동 신호를 확인한 후 보조 배터리(10)의 방전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i) 상기 설정된 속도는 트랜지스터(Q), 제1 저항(R1) 및 제2 트랜지스터(Q2)의 소자값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1 커패시터(C1)에 충전된 전압보다 주 배터리(100)에 충전된 전압이 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매우 빠르게 낮아질 때만 보조 배터리(10)를 방전시키는 이유는 차량 내부의 전등, 오디오 등이 동작함에 따라 주 배터리(100)가 방전되는 경우에 보조 배터리(10)가 방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보조 배터리(10)는 차량의 시동을 걸어주는 데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용도로만 사용되며, 이에 따라 차량의 시동시 주 배터리(100)의 전압이 매우 빠른 속도로 급격히 변화하는 경우에만 방전될 수 있다.
또한, ii) 상기 설정된 값(즉, 전압 차)은 제2 다이오드(D21~D2N)의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 예시로서, ii) 상기 설정된 값(즉, 전압 차)은 제2 다이오드(D21~D2N)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더 커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트랜지스터(Q), 제1 저항(R1) 및 제2 트랜지스터(Q2)의 소자값, 제2 다이오드(D21~D2N)의 개수 등을 조절하여 보조 배터리(10)가 차량의 시동을 걸어주는 데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용도로만 사용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전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보조 배터리
20 : 관리부
30 : 제어부
40 : 전압 감시부
50 : 스위칭부
60 : 슈퍼 커패시터
100 : 주 배터리
200 : 차량의 시동 관리 시스템

Claims (5)

  1. 차량의 주 배터리와 병렬 연결되는 보조 배터리;
    상기 차량의 시동을 거는 과정에서 상기 주 배터리의 전압 변화를 감시하는 전압 감시부;
    상기 전압 감시부로부터 상기 전압 감시부에서의 감시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감시 결과 상기 차량의 시동을 거는 과정에서 상기 주 배터리에서 설정된 크기 이상의 순간적인 전압 강하가 발생한 경우 상기 보조 배터리의 방전 명령을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보조 배터리의 방전 명령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차량의 시동을 온(on)시키기 위한 전원을 상기 주 배터리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보조 배터리를 방전시키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압 감시부는, 상기 주 배터리의 충전 전압과 설정된 제1 커패시터(C1)에 충전된 전압을 서로 비교함으로써 상기 주 배터리의 전압 변화를 감시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시 결과 상기 차량의 시동을 거는 과정에서 상기 제1 커패시터(C1)에 충전된 전압보다 상기 주 배터리의 충전 전압이 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설정된 값 이상 낮아지는 경우에만 상기 보조 배터리의 방전 명령을 생성하는, 차량의 시동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시동 관리 시스템은, 택트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 배터리가 완전 방전되어 상기 차량의 시동을 거는 과정에서 순간적인 전압 강하가 발생되지 않을 때 사용자에 의해 상기 택트 스위치가 눌려지는 경우 상기 보조 배터리의 방전 명령을 생성하는, 차량의 시동 관리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배터리는, 상기 주 배터리의 방전 여부와 관계 없이 충전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보조 배터리의 방전 명령에 따른 상기 스위칭부의 제어에 의해서만 방전이 이루어지는, 차량의 시동 관리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시동 관리 시스템은,
    상기 주 배터리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주 배터리의 순간적인 전압 강하를 보상하여 상기 주 배터리의 전원을 안정화시키는 슈퍼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시동 관리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압 감시부는,
    그라운드에 연결되는 상기 제1 커패시터(C1);
    일단이 상기 제1 커패시터(C1)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주 배터리와 연결되는 제1 다이오드(D1);
    상기 제1 커패시터(C1)와 상기 제1 다이오드(D1)의 센터탭(center tap)에서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2 다이오드(D21~D2N);
    상기 복수 개의 제2 다이오드(D21~D2N)의 일단과 상기 주 배터리 사이에서 각각 병렬로 연결되는 제1 저항(R1)과 제2 커패시터(C2); 및
    제1 단이 상기 제1 저항(R1)과 제2 커패시터(C2)의 일단에 각각 연결되고, 제2 단이 상기 제1 저항(R1)과 제2 커패시터(C2)의 타단에 각각 연결되고, 제3 단이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는 트랜지스터(Q)를 포함하는, 차량의 시동 관리 시스템.
KR1020190015575A 2019-02-11 2019-02-11 차량의 시동 관리 시스템 KR102134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575A KR102134618B1 (ko) 2019-02-11 2019-02-11 차량의 시동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575A KR102134618B1 (ko) 2019-02-11 2019-02-11 차량의 시동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4618B1 true KR102134618B1 (ko) 2020-07-16

Family

ID=71839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5575A KR102134618B1 (ko) 2019-02-11 2019-02-11 차량의 시동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46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5132A1 (ko) * 2021-05-07 2022-11-10 (주)디에이치에너지시스템 차량 배터리 비상 충전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645B1 (ko) * 2013-04-17 2013-10-08 세방전지(주) 듀얼 배터리 제어시스템 및 방법
KR101644932B1 (ko) * 2015-09-18 2016-08-02 주궁식 차량용 지능형 배터리 방전 보상 장치
KR101755798B1 (ko) 2015-06-30 2017-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친환경 차량의 배터리 충방전량 제어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645B1 (ko) * 2013-04-17 2013-10-08 세방전지(주) 듀얼 배터리 제어시스템 및 방법
KR101755798B1 (ko) 2015-06-30 2017-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친환경 차량의 배터리 충방전량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644932B1 (ko) * 2015-09-18 2016-08-02 주궁식 차량용 지능형 배터리 방전 보상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5132A1 (ko) * 2021-05-07 2022-11-10 (주)디에이치에너지시스템 차량 배터리 비상 충전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6752B1 (ko)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 제어방법
US6977482B2 (en) Selector circuit for power management in multiple battery systems
US7840819B2 (en) Automatic switch method and apparatus for a USB
US20180233943A1 (en) Power supply system for vehicle
KR20180045954A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10416239B2 (en) Battery monitoring apparatus with monitoring integrated circuit selectively powered by a high voltage battery or low voltage power supply powered by a low voltage battery
US20090153059A1 (en) Lighting controller of lighting device for vehicle
CN103944242A (zh) 二次电池的充电装置
KR102155041B1 (ko) 차량용 전원 안정화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전원 공급 시스템
CN111923852A (zh) 一种车辆发电机控制方法及装置
KR102134618B1 (ko) 차량의 시동 관리 시스템
US20100253276A1 (en) Power supply system and circuit control method thereof
US7793116B2 (en) Power supply system with remote control circuit and power supply system operation method
KR100421094B1 (ko) 차량용 발전기의 외장형 레귤레이터
US7525282B2 (en) Battery-operated equipment including a microcomputer
WO2019078240A1 (ja) 電池ユニットおよび電池ユニットの制御方法
US20200358307A1 (en) Pre-charge current control device
US4470004A (en) Charge indicating system
JP4937146B2 (ja) 車両用の電源装置
KR100445860B1 (ko) 보조 배터리가 구비된 자동차의 전원공급장치
KR100536334B1 (ko) 충전상태 표시기능을 가진 자동차 배터리의 충방전 시스템
KR101047651B1 (ko) 연료 전지 차량의 파워 시스템 단락 검출 장치
JPH11164596A (ja) 車両用電源装置
JP2004129453A (ja) 充電制御回路、及びこの充電制御回路における二次電池の満充電を検出する電圧の調整方法
JP6936683B2 (ja) 車両用電源システム及び車両用電源システム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